KR20220027095A - 마운트 장치,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 Google Patents

마운트 장치,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095A
KR20220027095A KR1020220011887A KR20220011887A KR20220027095A KR 20220027095 A KR20220027095 A KR 20220027095A KR 1020220011887 A KR1020220011887 A KR 1020220011887A KR 20220011887 A KR20220011887 A KR 20220011887A KR 20220027095 A KR20220027095 A KR 20220027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claw
lens
camera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431B1 (ko
Inventor
마사야스 시게마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13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bayonet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pin 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어댑터 장치는 한쪽에 제1 마운트를, 다른 쪽에 제2 마운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마운트가 제1 촬상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상기 제2 마운트가 제1 악세서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1 마운트는, 상기 제1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마운트 오목부, 제1 마운트 클로우, 제2 마운트 오목부, 제2 마운트 클로우, 제3 마운트 오목부, 및 제3 마운트 클로우가 배치된다. 상기 제2 마운트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4 마운트 클로우, 제4 마운트 오목부, 제5 마운트 클로우, 제5 마운트 오목부, 제6 마운트 클로우, 및 제6 마운트 오목부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마운트 클로우는, 또 다른 촬상장치 위의 마운트 오목부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제4, 제5, 및 제6 마운트 클로우는, 또 다른 악세서리 위의 마운트 오목부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마운트 오목부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 범위 중 가장 작은 각도 범위는, 상기 제4, 제5, 및 제6 마운트 클로우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 범위 중 가장 작은 각도범위 이하이다.

Description

마운트 장치,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MOUNT APPARATUS, ADAPTER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본 발명은, 마운트 장치,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환 렌즈 등의 악세서리(카메라 악세서리)는, 디지털 카메라(이하, 간단히 "카메라"라고 칭한다) 등의 촬상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원의 공급이나, 악세서리와 카메라와의 사이에서 명령이나 데이터 등의 통신이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원의 공급이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카메라와 악세서리의 장착부에, 서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접점(단자)을 복수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카메라에 대한 악세서리의 장착(결합)은, 카메라 및 악세서리 쌍방의 마운트를 서로 대향 회전시켜서, 각 장치에 설치된 베이오넷(bayonet)/마운트 클로우(mount claw)를 다른 장치에 설치된 클로우와 결합시키는 소위 베이오넷 결합 방식을 채용한 마운트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운트 시스템을 채용한 카메라 및 악세서리는, 서로 대응하는 조합이 미리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에 있어서의 플랜지 초점 거리(flange focal distance)에 따라, 대응하는 악세서리(예를 들면, 교환 렌즈 등)가 다르다. 즉, 주어진 카메라의 플랜지 초점 거리에 대하여 대응하고 있지 않은 악세서리도 존재한다.
카메라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악세서리가 장착된 경우에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플랜지 초점 거리를 갖는 카메라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교환 렌즈가 장착되었을 경우, 교환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피사체의 광학상이 카메라에 있어서의 촬상면에 초점을 맺을 수 없다. 따라서, 서로 대응하지 않는 조합에서, 카메라와 악세서리가 접속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응하는 카메라가 다른 복수의 악세서리끼리의 마운트의 지름이 대략 동일할 경우, 카메라 및 악세서리의 외관으로부터 양자가 서로 대응하고 있는 조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70712호에는, 플랜지 초점 거리가 동일하며, 백 포커스가 짧은 렌즈의 돌출부가 카메라 본체에 설치된 벽부에 접함으로써, 백 포커스가 짧은 렌즈를 장착할 수 없는 카메라 본체에의 해당 렌즈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장치는 한쪽에 제1 마운트를 구비하고, 다른 쪽에 제2 마운트를 구비하는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제1 마운트가 제1 촬상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상기 제2 마운트가 제1 악세서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1 마운트는, 상기 제1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마운트 오목부, 제1 마운트 클로우, 제2 마운트 오목부, 제2 마운트 클로우, 제3 마운트 오목부, 및 제3 마운트 클로우가 배치된다. 상기 제2 마운트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4 마운트 클로우, 제4 마운트 오목부, 제5 마운트 클로우, 제5 마운트 오목부, 제6 마운트 클로우, 및 제6 마운트 오목부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마운트 클로우는, 상기 제1 촬상장치에 설치된 대응하는 마운트 오목부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제4, 제5, 및 제6 마운트 클로우는, 상기 제1 악세서리에 설치된 마운트 오목부에 삽입 가능하다. 마운트 클로우들과 마운트 오목부들의 각각은 마운트들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 범위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마운트 오목부의 각도 범위 중 가장 작은 각도 범위가, 상기 제4, 제5, 및 제6 마운트 클로우의 각도 범위 중 가장 작은 각도범위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실시 예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실시 예들로부터의 특징들은 필요에 따라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실시 예에서의 개별 실시 예들로부터의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조합이 유익할 때 조합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악세서리 및 촬상장치의 블럭도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와 제1 렌즈 유닛의 외관 사시도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와 제1 렌즈 유닛의 분해 사시도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를 카메라 본체의 촬영자측(카메라 본체의 배면측)에서 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의 정(正) 위치에 있어서의 카메라 본체와 제1 렌즈 유닛의 카메라 클로우(claw)에 의한 결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의 수직 위치에 있어서의 카메라 본체와 제1 렌즈 유닛의 렌즈 클로우에 의한 결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를, 카메라 본체에 제1 렌즈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배면측(카메라 본체가 장착되어 있는 측)에서 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를 전면측(피사체)에서 본 외관도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를, 카메라 마운트가 장착된 측(배면측)에서 본 외관도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와 제1 렌즈 유닛에 있어서의 단자 사이의 접촉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카메라 본체에 장착 가능한 제1 변환 어댑터 및 제2 렌즈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카메라 본체에 장착 가능한 제2 변환 어댑터 및 제1 렌즈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13c는 제1 변환 어댑터의 한쪽의 단(end)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에 있어서의 베이오넷 클로우(bayonet claws)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14b는 제1 변환 어댑터의 다른 쪽의 단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에 있어서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및 15b는 서로 간섭하는 클로우와 오목부를 갖는 소정의 촬상장치와 소정의 렌즈 유닛과의 장착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측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측을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우끼리 서로 간섭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1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측 및 카메라 마운트측에 있어서, 대응하지 않는 클로우를 오목부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a 및 18b는 제2 변환 어댑터의 한쪽의 단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에 있어서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a 내지 19c는 제2 변환 어댑터의 다른 쪽의 단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에 있어서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a 및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측의 기준이 되는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측의 기준이 되는 클로우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우끼리 간섭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2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측의 기준이 되는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측의 기준 이외의 클로우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우끼리 간섭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측과 렌즈 마운트측에 설치된 클로우끼리 결합시킨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관련되는 마운트 기구의 분해 사시도다.
도 24a 내지 24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의 비결합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a 내지 25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의 결합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악세서리 및 촬상장치의 블럭도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서리로서 기능하는, 제1 렌즈 유닛(이하, 제1 렌즈라고 칭한다)(100)과, 제1 렌즈(100)를 직접 착탈할 수 있는 제1 촬상장치로서 기능하는 카메라 본체(10)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b는, 제1 렌즈(100) 및 카메라 본체(10) 내의 마운트(mounts)에 의해 형성된 마운트부(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 및 1b에 있어서는, 제1 렌즈(100)에 설치된 마운트와 카메라 본체(10)에 설치된 마운트를 총칭해서 마운트부(1)라고 칭한다. 제1 렌즈(100) 및 카메라 본체(10)에 설치된 각 마운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0)는, 제1 렌즈(100)의 내부에 설치된 촬영 렌즈 군(101)에 의해 인도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 변환해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전하 축적형의 고체 촬상소자(이하, 간단히 센서라고 칭한다)(11)를 갖는다. 또한, 카메라 본체(10)는, 촬상 센서(1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2)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13)를 갖는다. 화상처리부(13)에서 생성된 화상신호(정지화상 및 동화상)는, 표시부(14)에 표시 가능하고, 기록 매체(15)에 기록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본체(10)는, 메모리(16)를 갖는다. 이 메모리(16)는, 화상 신호에 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버퍼로서 기능하고, 또한 후술하는 카메라 제어부(18)가 사용하는 동작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카메라 본체(10)는,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 화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시키는 촬영 스위치(릴리즈(release) 스위치) 및 각종 메뉴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선택/설정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조작 입력부(17)를 갖는다. 또한, 카메라 본체(10)는, 카메라 본체(10) 및 제1 렌즈(10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컴퓨터로서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부(18)를 갖는다. 카메라 제어부(18)는, 예를 들면, 카메라 조작 입력부(17)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근거해 각종 설정을 행하고, 마운트부(1)를 통해 제1 렌즈(100)에 설치된 제1 렌즈 제어부(103)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한편, 제1 렌즈(100)는, 줌 렌즈, 쉬프트 렌즈, 포커스 렌즈 등의 복수의 렌즈 군 및 조리개 등의 광량 조절 부재를 구비한 광학 부재인 촬영 렌즈 군(101)을 갖는다. 또한, 제1 렌즈(100)는, 해당 복수의 렌즈 군과 조리개 등의 광학 부재를 이동 또는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는 동시에 해당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102)를 갖는다. 또한, 제1 렌즈(100)는, 제1 렌즈(10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렌즈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직 CPU(LCPU))를 포함하는 렌즈 제어부(103)를 갖는다. 렌즈 제어부(103)는, 예를 들면 마운트부(1)를 통해 카메라 제어부(18)와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렌즈 구동부(102)를 제어한다.
(마운트부(1)의 기본구성)
다음에, 도 1b을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10)측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면 A와 제1 렌즈(100)측에 설치된 악세서리 마운트면 B을 포함하는 마운트부(1)의 구성 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 및 악세서리 마운트는, 록킹(locking) 기구, 마운트 홀딩 기구, 및 복수의 전기단자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각 마운트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b에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운트부(1)는,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복수의 단자는, 카메라 마운트면 A에 있어서는, 접점 홀딩 부재(203)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측 접점 핀으로서 카메라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해당 복수의 단자는, 악세서리 마운트면 B에 있어서는, 접점면 홀딩 부재(303)에 설치된 복수의 악세서리측 접점면으로서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10)측 및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측의 각 접점 핀 및 접점면은, 카메라 본체(10)에 카메라 악세서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는 접점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카메라 전원부(19)는, 장착된 카메라 악세서리에 대하여, VDD 단자를 통해서 급전하기 위한 전원, 또는 전원 전환부(20)를 통해 제1 통신용 I/F부(21a)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통신 제어용 전원(VDD)을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 전원부(19)는, 장착된 카메라 악세서리에 대하여 VBAT 단자를 통해서 급전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구동용 전원(VBAT)을 생성한다.
카메라 전원부(19)는, 카메라 제어부(18) 및 제1 통신용 I/F부(21a)와 제2/제3 통신용 I/F부(21b)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3.3V의 전원을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 전원부(19)는, 전원 전환부(20)를 통해 제1 통신용 I/F부(21a)와 제2/제3 통신용 I/F부(21b)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3.0V의 전원을 생성한다.
전원 전환부(20)는, 카메라 전원부(19)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전환부(20)는 카메라 전원부(19)에서 생성된 VDD와 3.0V의 전원 중의 하나만 또는 다른 하나만을 통신 인터페이스용의 전원 Vs로서 제1 통신용 I/F부(21a)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전압의 전환은, 카메라 제어부(1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실행된다.
다음에, 렌즈 전원부(104)는, 카메라 본체(10)측으로부터 공급된 VDD에 의거하여 렌즈 제어부(103) 및 제1 렌즈측 I/F부(106)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전압으로서 3.0V의 전원을 생성한다. 또한, 제1 렌즈(100)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렌즈(100)측의 구동 회로부(105)에는, 상술한 카메라 전원부(19)로부터 VBAT 단자를 통해서 구동용 전원(VBAT)이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제어부(103)와 렌즈측 I/F부(106)의 전원전압은 동일(3.0V)하지만, 렌즈 제어부(103)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이 3.3V인 구성도 괜찮다. 이 경우, 렌즈측 I/F부(106)에 대하여 3.0V와 3.3V의 전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렌즈 전원부(104)는, 3.0V 및 3.3V의 전원을 생성한다.
이후에는, 카메라 마운트면 A 및 악세서리 마운트면 B의 쌍방에 공통되는 각 단자의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VDD 단자 203a, 303a는, 주로 통신 제어에 사용되는 통신 전력으로서의 통신 제어용 전원(VDD)을 카메라 본체(10)로부터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에 전원 공급하는 단자다. 또한, 제1 렌즈(100)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은 5.0V이지만,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되는 악세서리의 종류에 따라 공급 전원의 전압은 변화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VBAT 단자 203b, 303b은, 조리개와 포커스 렌즈의 구동에 사용하는 액추에이터의 기계적인 구동부의 동작에 사용하는 구동전력으로서의 구동용 전원(VBAT)을 카메라측에서 카메라 악세서리측에 공급하는 단자다. 즉, VBAT 단자 203b, 303b은, 상술한 통신 전력 이외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단자다. 또한, 제1 렌즈(100)에 대하여 공급하는 구동전력으로서의 전원의 전압은 4.25V라는 점에 유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VDD 단자 203a, 303a 및 VBAT 단자 203b, 303b은, 카메라 본체(10)로부터 예를 들면 카메라 악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계 단자다.
DGND 단자 203m, 303m은, 통신 제어용 전원 VDD에 대응한 접지 단자(GND 단자)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지는, 그라운드(grounding) 단자의 전압의 레벨을 전지 등의 전원의 음극(negative pole)측과 대략 동일한 레벨로 설정하는 것이라는 점에 유념한다.
PGND 단자 203d, 303d는,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측에 설치된 모터(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구동계를 접지 레벨에 접속하는 그라운드 단자다. 즉, PGND 단자 203d, 303d는, 구동용 전원 VBAT에 대응한 접지 단자(GND 단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DGND 단자 203m, 303m 및 PGND 단자 203d, 303d는,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서리의 각종 전원계를 그라운드 레벨에 접지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다.
MIF 단자 203e, 303e는, 카메라 본체(10)에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단자다. 본 실시예에서는, MIF 단자 203e, 303e는,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한다.
카메라 제어부(18)는, MIF 단자 203e, 303e가 나타내는 전압의 레벨을 검출함으로써 카메라 본체(10)에 카메라 악세서리가 장착된 것이나 이탈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카메라 제어부(18)는, 해당 검출에 의해, 예를 들면 카메라 악세서리의 장착을 검출한 후에, 전원계 단자에의 전원 공급을 시작하고,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서리 사이에서의 통신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TYPE 단자 203c, 303c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단자다. 카메라 제어부(18)는, TYPE 단자 203c, 303c가 나타내는 신호의 전압의 값을 검출하고, 그 값에 의거하여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서리의 종류를 판별한다. 또한, 제1 렌즈(100)는, 소정의 저항값에서 DGND 단자에 풀 다운 접속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상술한 저항값은 카메라 악세서리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다음에,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서리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각종 통신용의 단자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마운트부(1)에 설치된 복수의 통신 단자는, 복수의 통신계(그룹)로 나누어져 있고, 각 통신계는 독립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CLK 단자 203h, 303h, DCL 단자 203f, 303f, DLC 단자 203g, 303g은, 제1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계이다. 또한, DLC2 단자 203i, 303i는, 제1 통신계와는 독립적인 제2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계이다. 또, CS 단자 203k, 303k, DCA 단자 203j, 303j는, 제1, 제2 통신계와는 독립적인 제3 통신을 행하는 제3 통신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제어부(18)와 렌즈 제어부(103)는, 상술한 복수의 통신용 단자를 통해서, 제1∼3의 각각 독립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LCLK 단자 203h, 303h는, 제1 통신계의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10)로부터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에 출력되는 통신 클록 신호용의 단자, 및 악세서리의 비지(busy) 상태를 카메라 본체(10)가 감시하기 위한 단자다. DCL 단자 203f, 303f는, 제1 통신계의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와의 양쪽 방향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DLC 단자 203g, 303g은, 제1 통신계의 단자이며,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로부터 카메라 본체(10)에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상술한 제1 통신계에 대응하는 LCLK 단자, DCL 단자, 및 DLC 단자는, 신호의 출력 방식을 소위 CMOS 출력 타입과 오픈 타입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CMOS 출력 타입은, H(High)과 L(Low)의 쌍방에 전압의 스위치 출력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오픈 타입은, L측에만 스위치 출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픈 타입은 소위 오픈 드레인(open drain) 타입을 나타내지만, 오픈 콜렉터(open collector) 타입이어도 된다.
DLC2 단자 203i, 303i는, 제2 통신계의 단자이며,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로부터 카메라 본체(10)에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DCA 단자 203j, 303j는, 제3 통신계의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와의 양쪽 방향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이다. CS 단자 203k, 303k은, 제3 통신계의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서리(예를 들면, 제1 렌즈(100))와의 통신 요구용의 신호 단자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제1∼ 제3 통신계에 대응하는 단자에 있어서의 통신 전압을 3.0V이다.
(카메라 마운트 및 악세서리 마운트의 구성)
이하, 도 2a∼3b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악세서리 마운트)(301)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촬상 장치측에 설치된 마운트를 카메라 마운트라고 칭하고, 렌즈 유닛측에 설치된 마운트를 렌즈 마운트라고 칭한다. 또한, 후술하는 변환 어댑터의 각 마운트에 대해서는, 촬상장치에 장착되는 쪽을 렌즈 마운트라고 칭하고, 렌즈 유닛에 장착되는 쪽을 카메라 마운트라고 칭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2 변환 어댑터(70)는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201)와 같은 카메라 마운트(1201)를 갖는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리고,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변환 어댑터(40)는 제1 렌즈(100)의 렌즈 마운트(301)와 같은 렌즈 마운트(1301)를 갖는다는 점에도 유념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의 외관 사시도다. 도 2a은,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카메라 본체(10)로부터 제1 렌즈(100)가 떼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는, 각각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한 접촉면을 각각 갖고, 사용시에 서로 협력하도록 배치되는, 링 모양의 카메라 마운트(201)와 링 모양의 렌즈 마운트(30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는 링 모양이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것은, 아크(arc) 모양의 접촉면을 갖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의 각각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즉, 이것은 접촉면의 일부가 노치(notched out)되어 있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광축은, 카메라 마운트(201) 및 렌즈 마운트(301)의 개구 부분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과 평행하다는 점에 유념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축과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이 카메라 마운트(201) 또는 렌즈 마운트(301)의 각 광축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것은 마운트의 중심축을 광축과 다르게 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의 각각의 기준면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비록(unlocked) 위치부터 록(locked) 위치로, 카메라 본체(10) 및 제1 렌즈(10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된다. 이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의 분해 사시도다. 도 3a은 카메라 본체(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제1 렌즈(1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광축(3000)은, 카메라 본체(10)에 있어서의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속을 나타낸다. 또한,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축(3001)은, 렌즈(100)에 의해 인도되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나타내는 광속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축이다.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했을 경우, 상술한 제1 광축(3000)과 광축(3001)은 일치하고, 이들의 광축에 대응하는 광속이 촬상 센서(11)에 입사·결상하여, 피사체상을 촬상할 수 있다.
록 핀(lock pin)(202)은,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서리와의 장착 상태를 규제(록)하기 위한 제1 규제 부재(록 부재)이다. 또한, 록 핀(202)은, 제1 광축(3000)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퇴 가능이다는 점에 유념한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100)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에, 록 핀(202)이 렌즈 마운트(301)에 설치된 제2 규제 부재인 록 홈(301z)에 들어가서,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를 록(lock)한다. 록 핀(202)에 접속된 록 해제 부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유저가 조작해서, 록 핀(202)을 록 홈(301z)으로부터 대피함으로써,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제1 렌즈(100)의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록 해제 부재를 조작한 상태에서, 제1 렌즈(100)와 카메라 본체(10)를 더 장착 방향을 향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도, 록 접경면(abutting face)(301y) 이후에의 회전은 규제된다(도 7a 참조).
접점 홀딩 부재(203)는, 카메라 본체(10)측에 설치된 후술(도 8a 및 8b을 참조)하는 복수의 접점 핀(접점 면) 203a∼203k, 203m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 유닛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해서, 상술한 각 단자에 대응하는 접점 핀 및 접점 면에, 해당 각 단자와 동일한 부번호를 부착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 부재(204)는, 카메라 본체(10)의 부재를 홀딩하는 카메라 하우징이다. 구체적으로, 전술의 카메라 마운트(201) 및 접점 홀딩 부재(203)는, 카메라 마운트 체결 나사 205a∼205d 및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접점 홀딩 부재 체결 나사에 의해, 카메라 본체 부재(204)에 체결되어 있다. 카메라 마운트 체결 나사 205a∼205d는 복수의 판 스프링 206a, 206b, 206c가 카메라 마운트(201)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곳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 체결 나사 205a∼205d는 렌즈 마운트(301)의 접촉면과 접촉하는 카메라 마운트(201)의 접촉면에 노출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 부재(204)는, 상술한 촬상 센서(11)를 탑재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촬상 유닛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셔터 유닛을 홀딩하고 있지만, 설명은 생략한다.
렌즈 마운트 바이어싱(biasing) 부재(206)는, 후술하는 렌즈 마운트(301)에 설치된 복수의 베이오넷 클로우(bayonet claw)인 렌즈 클로우 301d∼301e을 카메라 마운트(201)측으로 끌어들이는 촬상 장치측의 바이어싱 유닛이다. 구체적으로, 렌즈 마운트 바이어싱 부재(206)는, 복수의 판 스프링 206a, 206b, 206c을 구비하고, 제1 렌즈(100)에 설치된 베이오넷 클로우가 각 판 스프링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또한, 렌즈 마운트 바이어싱 부재(206)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카메라 본체 부재(20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양자 사이에 홀드되어 있다.
다음에,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렌즈(101a) 및 후방 렌즈(10lb)는 촬영 렌즈 군(101)을 구성하는 광학 부재다. 또한, 촬영 렌즈 군(101)은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피사체측의 끝에 배치된 전방 렌즈(101a)와 카메라 본체(10)측의 끝에 배치된 후방 렌즈(10lb)만을 도시한다.
렌즈 경통(302)은, 촬영 렌즈 군(101)을 홀드하는 홀딩 부재다. 또한, 렌즈 마운트(301)는, 렌즈 마운트 체결 나사 304a∼304d에 의해 렌즈 경통(302)에 체결되어 있다. 접점면 홀딩 부재(303)는, 후술하는(도 9a 및 9b을 참조) 제1 렌즈(100)측에 설치된 복수의 접점면 303a∼303k, 303m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 유닛이다. 접점면 홀딩 부재(303)는, 렌즈 마운트(301)에 렌즈 접점 홀딩부 체결 나사 305a, 305b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10)측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구성)
다음에, 도 4a∼6b을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10)측의 카메라 마운트(201)에 설치된 복수의 베이오넷 클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201)를 카메라 본체(10)의 촬영자측(카메라 본체(10)의 배면측)에서 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카메라 마운트(20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록 핀(202)을 기준으로 한 카메라 마운트 클로우(이하, 간단히 카메라 클로우라고 칭한다) 및 카메라 마운트 오목부(이하, 간단히 카메라 오목부라고 칭한다)가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카메라 마운트(201)의 카메라 오목부는 인접한 카메라 클로우 사이의 노치(notch)부이다. 카메라 마운트(201)의 카메라 오목부는 카메라 마운트(201)의 카메라 클로우보다도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radial) 방향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 마운트(301)의 렌즈 오목부는 렌즈 마운트(301)의 렌즈 클로우보다도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에 있어서 안쪽으로 더 형성되어 있다. 도 4b는, 카메라 마운트(20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 클로우 201a∼201c이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하는 단면 IVC-IVC에 있어서의 단면도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카메라 마운트측에 있어서 내경 방향으로 오목부로부터 돌출한 볼록부를 카메라 클로우라고 칭하고, 후술하는 렌즈 마운트(악세서리 마운트)측에 있어서는, 외형 방향으로 오목부로부터 돌출한 볼록부를 렌즈 마운트 클로우라고 칭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카메라 마운트(201)를 카메라 본체(10)의 촬영자(카메라 본체(10)의 배면)측에서 본 측을 배면측이라고 칭하고, 그 반대측을 전면측(혹은 카메라 악세서리측)이라고 칭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카메라 마운트(2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를 기준으로서 설명을 하지만, 카메라 마운트(201)를 전면측에서 본 경우에는, 각도 및 각도를 규정하는 방향(시계방향 등)은 역전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4a 및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에는 원주방향(내경 방향)을 향하여, 제1 카메라 클로우(201a), 제2 카메라 클로우(201b), 제3 카메라 클로우(201c)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 4a 및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록 핀(202)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 클로우가 제1 카메라 클로우(201a)이다. 제1 카메라 클로우(201a)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2 카메라 클로우(201b), 제3 카메라 클로우(201c)가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201)에는 원주방향(내경 방향)으로 제1 카메라 오목부 201d, 제2 카메라 오목부 201e, 제3 카메라 오목부 201f인 각 오목부가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도 4a 및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록 핀(20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가 제2 카메라 오목부 201e이다. 그리고, 제2 카메라 오목부 201e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3 카메라 오목부 201f 및 제1 카메라 오목부 201d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측에는, 카메라 악세서리가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카메라 악세서리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감합(嵌合)부(201x)가 원주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201)측에 있어서, 감합부(201x)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지름을 마운트 지름이라고 한다.
카메라 본체(10)에의 제1 렌즈(100)의 장착은, 우선, 카메라 본체(10)의 각 카메라 클로우가 제1 렌즈(100)의 각 렌즈 마운트 오목부에 삽입되고, 카메라 본체(10)측의 각 카메라 오목부에 제1 렌즈(100)측의 각 렌즈 마운트 클로우가 삽입된다. 이 상태를 장착 시작 상태(제1 상태)라고 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악세서리 마운트 오목부를 간단히 악세서리 오목부라고 하고, 악세서리 마운트 클로우를 간단히 악세서리 클로우라고 칭한다. 예를 들면, 렌즈 마운트(301)의 경우에는, 이것을 렌즈 오목부 및 렌즈 클로우라고 한다.
장착 시작 상태로부터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각 카메라 클로우와 각 렌즈 클로우가 광축과 직교하는 반경(radial)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술한 렌즈 마운트 바이어싱 부재(206)에 의해 각 렌즈 클로우가 바이어스된 상태로 이행한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록 핀(202)을 록 홈(301z)에 끼워 맞춘 록(locked) 상태로 이행한다. 이 상태를 장착 완료 상태(제2 상태)라고 한다. 또한, 장착 완료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단자끼리의 접촉이 완료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클로우 및 악세서리 클로우는 소위 베이오넷 클로우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클로우와 악세서리 클로우와의 결합에 의한 소위 베이오넷 결합 방식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 가능(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설명을 위해, 카메라 클로우 201a, 20lb, 201c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각각을, 제1 단부(201a1), 제2 단부(201a2), 제3 단부(20lb1), 제4 단부(20lb2), 제5 단부(201c1), 및 제6 단부(201c2)라고 칭한다. 각각의 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에, 제1 카메라 클로우(201a)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부번호를 부착한다.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카메라 클로우 및 각 카메라 오목부의, 카메라 마운트(201)의 원주방향으로 차지하는 각도(각도 범위)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 카메라 클로우(201a)의 각도 θa=48°, 제2 카메라 클로우(20lb)의 각도 θb=40°, 제3 카메라 클로우(201c)의 각도 θc=92°이다. 또한, 제1 카메라 오목부(201d)의 각도는 57°, 제2 카메라 오목부(201e)의 각도는 66°, 제3 카메라 오목부(201f)의 각도는 57°이다.
또한, 카메라 본체(10)의 배면측에서 카메라 클로우를 본 경우에, 카메라 마운트(201)의 원주방향으로 각 카메라 클로우가 배치되는 록 핀(202)의 위치(기준 위치라고 칭한다)를 기준으로 한 시계 회전 방향의 각도는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 카메라 클로우(201a)는, 기준 위치를 기점으로 169°에서 217°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카메라 클로우(20lb)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274°에서 314°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카메라 클로우(201c)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20°에서 112°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201)를 광축 방향에서 본 경우에, 복수의 베이오넷 클로우 중, 제3 카메라 클로우(201c)는, 카메라 마운트(201)의 광축과 평행한 중심축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3)과 카메라 마운트(201)의 반경(radial) 방향으로 중첩한다. 또한, 제1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3)은, 카메라 마운트(201)를 전면측에서 본 경우 록 핀(202)이 좌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본체(10)의 정(正) 위치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광축)으로부터 중력방향 및 해당 중력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이다. 즉, 제1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3)은, 카메라의 정(正) 위치에 있어서, 광축을 지나는 수직선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3)은 카메라 본체(10)가 수평 평면 위에 놓여 있을 때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축과 직교하고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이다.
이에 대하여, 카메라 마운트(201)를 전면측에서 본 경우 록 핀(202)이 상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본체(10)의 수직 위치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광축)으로부터 중력방향 및 해당 중력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제2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2)이라고 한다. 즉,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2)은, 카메라 본체(10)의 정(正) 위치(normal position)에 있어서, 광축을 지나는 수평선이다. 이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2)은, 카메라 마운트(201)의 반경(radial) 방향에 있어서 록 핀(202) 및 제1 카메라 클로우(201a)와 중첩한다. 또한, 제1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3)과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2)은 서로 대략 직교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10)의 정 위치에 있어서의 카메라 클로우에 의한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의 결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를 전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단면 VB-VB에 따른 카메라 본체(10) 및 제1 렌즈(100)의 부분 단면도다. 또한, 도 5a 및 5b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는 상술한 정 위치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 부재(204)에 설치된 카메라 그립(204a)이, 카메라 본체(10)를 전면측에서 본 경우에 좌측에 위치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10)의 수직 위치에 있어서의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의 베이오넷 클로우에 의한 결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를 전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단면 VIB-VIB에 따른 카메라 본체(10) 및 제1 렌즈(100)의 부분 단면도다. 또한, 도 6a 및 6b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는 상술한 수직 위치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카메라 그립(204a)이, 카메라 본체(10)를 전면측에서 본 경우에 상측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교환 렌즈를 장착했을 경우, 양자의 치수 공차(dimensional tolerance)에 의해,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카메라와 교환 렌즈와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해당 간격에 기인해서 카메라에 대한 렌즈의 느슨함(looseness)이 커진다. 특히, 베이오넷 결합에 의해 카메라와 교환 렌즈를 결합할 경우, 렌즈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베이오넷 클로우끼리가 결합하는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상술한 렌즈의 느슨함이 커진다. 또한, 교환 렌즈 자체의 무게에 의해, 카메라에 대한 교환 렌즈의 중력방향으로의 느슨함(휨(bowing))이 커진다. 따라서, 카메라에 대한 교환 렌즈의 느슨함이 큰 경우에 피사체를 촬상하면, 카메라의 광축과 렌즈의 광축과의 어긋남(deviation)에 기인하여,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부자연스러운 화상이 취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측의 베이오넷 클로우 중에서 가장 넓은 각도를 갖는 제3 카메라 클로우(201c)가, 카메라 마운트(201)의 반경 방향으로 제1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3)과 중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했을 때에, 제1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3)이 제3 카메라 클로우(201c)와 후술하는 제3 렌즈 클로우(301f)가 결합하는 위치와 중첩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촬상장치를 조작할 때에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정 위치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제1 렌즈(100) 등의 카메라 악세서리의 중력방향으로의 느슨함(휨)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도 5b에 나타낸 간격 Δ1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의 카메라 본체(10)에 대한 제1 렌즈(100)의 느슨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카메라 클로우(201a)가, 카메라 마운트(201)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제2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2)과 중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했을 때에, 제2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2)이 제1 카메라 클로우(201a)와 후술하는 제1 렌즈 클로우(301d)가 결합하는 위치와 중첩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촬상장치의 수직위치에 있어서도,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제1 렌즈(100) 등의 카메라 악세서리의 중력방향으로의 느슨함(휨)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도 6b에 나타낸 간격 Δ2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도 6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의 카메라 본체(10)에 대한 제1 렌즈(100)의 느슨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가 정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측에 위치하는 제3 카메라 클로우(201c)의 각도는, 하측에 위치하는 제1 클로우(201a)와 제2 클로우(20lb)의 각도의 합보다 크다. 보다 엄밀히 하면, 카메라 마운트(201)에 설치된 각 카메라 클로우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의 총 합계는, 제2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을 기준으로 해서 상측이 하측보다도 크다. 구체적으로, 각도 θc와 제2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2)의 상측에 있는 제1 카메라 클로우(201a)의 각도 θa1의 합은, 각도 θb와 제2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2)의 하측에 있는 제1 카메라 클로우(201a)의 각도 θa2의 합보다도 크다. 즉, 이하의 2개의 식을 충족시키도록, 각 카메라 클로우 및 오목부의 레이아웃이 결정되어 있다.
θc ≥ θa + θb ···(1)
θa1 + θc > θa2 + θb ···(2)
이 구성에 의해,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카메라 본체(10)의 정 위치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201)의 수평방향을 나타내는 제2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2)의 상측(중력방향과는 반대측)에 있어서의 카메라 클로우의 강도를, 하측(중력방향)에 있어서의 카메라 클로우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10)는, 제1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카메라 본체(10)의 정 위치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에 대한 제1 렌즈(100)의 중력방향으로의 느슨함(휨)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10)는, 제1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카메라 본체(10)의 정 위치에 있어서, 제1 렌즈(100) 자체의 무게에 의해 각 카메라 클로우 및 렌즈 클로우의 변형을 억제할 수도 있다.
(제1 렌즈(100)측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구성)
다음에, 도 7a 및 7b을 참조하여, 제1 렌즈(100)측의 렌즈 마운트(301)에 설치된 복수의 렌즈 클로우(악세서리 클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301)를,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배면측(카메라 본체(10)가 부착된 측)으로부터 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렌즈 마운트(301)측에 있어서의 각 클로우와 오목부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도 7b는, 도 7a에서의 단면 VIIB-VIIB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7a 및 7b에 나타낸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10)가 정 위치에 위치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301)에는 원주방향(내경 방향)을 향하여 제1 렌즈 클로우(301d), 제2 렌즈 클로우(301e), 및 제3 렌즈 클로우(301f)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3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록 홈(301z)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된 렌즈 클로우가 제1 렌즈 클로우(301d)이다. 제1 렌즈 클로우(301d)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2 렌즈 클로우(301e) 및 제3 렌즈 클로우(301f)가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렌즈 마운트(301)에는 원주방향(내경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렌즈 오목부(301a), 제2 렌즈 오목부(301b), 및 제3 렌즈 오목부(301c)인 각 오목부가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설치된다.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3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록 홈(301z)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가 제3 렌즈 오목부(301c)이다. 제3 렌즈 오목부(301c)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1 렌즈 오목부(301a) 및 제2 렌즈 오목부(301b)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301)측에는, 촬상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촬상장치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끼워맞춤부(301x)가 원주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마운트(301)측에 있어서, 끼워맞춤부(301x)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지름을 마운트 지름이라고 한다.
또한, 렌즈 클로우 301d, 301e, 301f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각각을, 제1 단부(301d1), 제2 단부(301d2), 제3 단부(301e1), 제4 단부(301e2), 제5 단부(301f1), 제6 단부(301f2)라고 칭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각각의 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3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에, 제1 렌즈 클로우(301d)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부번호를 부착한다.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렌즈 클로우 및 각 렌즈 오목부가, 렌즈 마운트(301)의 원주방향에서 차지하는 각도(각도 범위)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 렌즈 클로우(301d)의 각도 θd=53°, 제2 렌즈 클로우(301e)의 각도 θe=62°, 제3 렌즈 클로우(301f)의 각도 θf=53°이다. 또한, 제1 렌즈 오목부(301a)의 각도는 52°, 제2 렌즈 오목부(301b)의 각도는 44°, 제3 렌즈 오목부(301c)의 각도는 96°이다.
또한, 배면측에서 렌즈 클로우를 본 경우에, 렌즈 마운트(3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각 렌즈 클로우가 배치되는 록 홈(301z)의 위치(기준위치라고 칭한다)를 기준으로 한 시계회전의 각도는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 렌즈 클로우(301d)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159°~ 212°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렌즈 클로우(301e)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256°~ 318°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렌즈 클로우(301f)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54°~ 107°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마운트(301)를 광축 방향에서 본 경우에, 복수의 베이오넷 클로우 중, 제2 렌즈 클로우(301e)가, 렌즈 마운트(301)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5)과 렌즈 마운트(301)의 반경 방향으로 중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마운트(301)를 배면측 및 전면측에서 본 경우에, 복수의 베이오넷 클로우 중, 제3 렌즈 클로우(301f)가, 제1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5)과 렌즈 마운트(301)의 반경 방향으로 중첩한다.
제1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5)은,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때의 정 위치에 있어서,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광축)으로부터 중력방향 및 해당 중력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이라는 점에 유념한다. 즉, 제1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5)은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을 지나며, 제1 렌즈(100)가 부착된 카메라 본체(10)가 수평 평면에 놓여 있을 때의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직선이다. 이에 대하여,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때의 수직 위치에 있어서,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광축)으로부터 중력방향 및 해당 중력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6)이라고 한다. 이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6)은, 렌즈 마운트(301)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록 홈(301z) 및 제1 렌즈 클로우(301d)와 중첩한다. 제1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5)과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6)은 서로 직교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했을 때에, 제2 렌즈 클로우(301e)와 제3 렌즈 클로우(301f)가, 렌즈 마운트(301)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제1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5)과 중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했을 때에, 제1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5)이, 렌즈 클로우와 카메라 클로우와의 결합 위치 중의 2개의 위치와 중첩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촬상장치(10)의 정 위치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제1 렌즈(100)의 중력방향으로의 느슨함(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했을 때에, 제1 렌즈 클로우(301d)가, 렌즈 마운트(301)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6)과 중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했을 때에,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6)이 제1 렌즈 클로우(301d)와 제1 카메라 클로우(201a)가 결합하는 위치와 중첩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촬상장치의 수직 위치에 있어서도,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제1 렌즈(100)의 중력방향으로의 느슨함(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2 카메라 마운트 중심선(3002)과 제2 렌즈 마운트 중심선(3006)은 록 핀(202)과 록 홈(301z)을 끼워 맞추는 록 영역과 중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의 수직 위치에 있어서는, 제1 카메라 클로우(201a)와 제1 렌즈 클로우(301d)와의 결합 위치와 상술한 록 영역이 중력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운트 중심선과 중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촬상장치의 수직 위치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제1 렌즈(100)의 중력방향으로의 느슨함(휨)을 훨씬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10)에 있어서의 접점 핀의 구성)
이하,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10)측에 설치된 각 접점 핀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201)를 전면측(피사체)으로부터 본 외관도다. 도 8a는, 카메라 마운트(201)를 광축 방향에서 본 외관도이며, 도 8b는, 카메라 마운트(201)를 위쪽에서 본 외관 사시도다.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의 내측에는, 접점 홀딩 부재(203) 및 접점 홀딩 부재(203)에 의해 홀딩된 접점 핀 203a∼203k, 203m이 카메라 마운트(201)의 원주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8a는 각 접점 핀이 배치되어 있는 어레이 선을 어레이 선 3007로서 도시하고 있다.
각 접점 핀 203a∼203k, 203m은, 광축(30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진퇴(돌출 및 인입)가 가능한 가동식의 핀이며, 판 스프링(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제1 렌즈(100)측에 바이어스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접점 핀 203a∼203k, 203m은, 상술한 각 단자의 기능을 갖고,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접점 핀에 부착된 부번호는 상술한 각 단자와 동일하다.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점 핀 203a∼203k, 203m 중, 접점 핀203a, 203b, 203c, 203d의 광축(3000)과 평행한 방향의 (전면쪽의) 높이는, 다른 접점 핀보다도 높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점 홀딩 부재(203)의 광축 방향으로의 돌출량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상기의 구성을 실현하고 있지만, 접점 홀딩 부재(203)로부터의 각 접점 핀의 돌출량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베이오넷 결합 방식을 채용해서 카메라에 대하여 교환 렌즈의 착탈을 행할 경우, 카메라측의 접점 핀과 렌즈측의 접점면은 서로 슬라이딩(slide)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측에 있어서는, 교환 렌즈의 장착을 완료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끝에 위치하는 접점 핀 이외의 접점 핀은, 렌즈측에 설치된 하나의 접점면 또는 다른 접점면과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카메라에 대한 카메라 악세서리의 착탈 횟수가 증가할수록 접점 핀 및 접점면은 마모해버린다.
이 문제는, 단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현저해서, 접점 핀과 접점면 간의 슬라이딩의 횟수는 증가한다. 접점 핀 및 접점면의 마모에 의해, 단자의 접촉 임피던스가 상승하기 때문에 전압 강하가 커지고, 전기회로의 동작을 위한 허용 전압 범위를 밑도는 전압에 의해 예를 들면 교환 렌즈의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광축(3000)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카메라측의 접점 핀과 교환 렌즈측의 접점면과의 접촉 높이를 다르게 한다. 구체적으로, 접점 홀딩 부재(203)는 광축(3000)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차(step)를 가지고 있어, 상단에는 접점 핀 203a∼203d을 갖고, 하단에는 접점 핀 203e∼203k, 203m을 갖는다. 또한, 접점면 홀딩 부재(303)는 광축(3001)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있어, 하단에는 접점면303a∼303d을 갖고, 상단에는 접점면303e∼303k, 303m을 갖는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201)측에 있어서의 접점 홀딩 부재(203)의 상단은,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때의 제1 렌즈(100)의 전면측(피사체측)으로 돌출한 단이다. 또한, 접점 홀딩 부재(203)의 하단은, 카메라 본체(10)의 배면측(촬상 센서(11)측)으로 들어간 단이다. 또한, 렌즈 마운트(301)측에 있어서의 접점면 홀딩 부재(303)의 상단은,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때의 제1 렌즈(10)의 배면측 (촬상 센서(11)측)으로 돌출한 단이다. 또한, 접점면 홀딩 부재(303)의 하단은, 카메라 본체(10)의 전면측(피사체측)으로 들어간 단이다.
카메라 마운트(201)에 렌즈 마운트(301)가 장착되었을 경우, 접점 홀딩 부재(203)의 상단측에 설치된 각 접점 핀, 및 접점면 홀딩 부재(303)의 하단측에 설치된 각 접점면과의 대응하는 단자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201)에 렌즈 마운트(301)가 장착되었을 경우, 접점 홀딩 부재(203)의 하단측에 설치된 각 접점 핀, 및 접점면 홀딩 부재(303)의 상단측에 설치된 각 접점면과의 대응하는 단자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카메라 마운트(201)측과 렌즈 마운트(301)측의 단차는, 서로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카메라 마운트 A에 렌즈 마운트(301)를 장착할 때에, 상이한 단에 설치된 카메라측의 접점 핀과 렌즈측의 접점면은 접촉하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제1 렌즈(100)를 장착 시작 상태로부터 장착 완료 상태까지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에, 접점 핀 203e∼203k, 203m이, 접점면 303a∼303d와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한,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제1 렌즈(100)를 장착 완료 상태로부터 장착 시작 상태까지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도, 접점 핀 203e∼203k, 203m이, 접점면 303a∼303d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즉, 상술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 마운트(201)측 및 렌즈 마운트(301)측의 쌍방에 있어서의 접점 핀과 접점면과의 슬라이딩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10)측의 각 접점 및 제1 렌즈(100)측의 각 접점면은, 카메라 본체(10)에 대한 제1 렌즈(100)의 장착 시작 상태에서는, 모두 비접촉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 렌즈(100)의 장착 완료 전에 있어서의, 단자 사이에서의 쇼트(short-circuiting)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렌즈(100)에 있어서의 접점면의 구성)
이하,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제1 렌즈(100)측에 설치된 각 접점면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301)를, 카메라 마운트(201)가 장착되는 쪽(배면측)에서 본 외관도다. 도 9a는, 렌즈 마운트(301)를 광축 방향에서 본 외관도이며, 도 9b는, 렌즈 마운트(301)를 위쪽에서 본 외관 사시도다.
도 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301)의 내측에는, 접점면 홀딩 부재(303) 및, 접점면 홀딩 부재(303)에 홀드된 접점면 303a∼303k, 303m이 렌즈 마운트(30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9a는 각 접점이 배치되어 있는 어레이 선을 어레인 선(3008)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접점면 303a∼303k, 303m은, 상술한 각 단자의 기능을 갖고,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접점면에 부착된 부번호는 각 단자와 동일하다.
도 9b에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점면 303a∼303k, 303m 중, 접점면 303a, 303b, 303c, 303d은 광축 3001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다른 접점면보다도 낮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점면 홀딩 부재(303)의 광축 방향으로의 돌출량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상술한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제1 렌즈(100)를 장착 시작 상태로부터 장착 완료 상태까지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때에, 접점면 303a∼303d가, 접점 핀 203e∼203k, 203m과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한,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제1 렌즈(100)를 장착 완료 상태로부터 장착 시작 상태까지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때도, 접점면 303a∼303d가, 접점 핀 203e∼203k, 203m과 접촉하는 일은 없다. 즉, 카메라 마운트(201)측 및 렌즈 마운트(301)측의 쌍방에 있어서의 접점 핀 및 접점면과의 슬라이딩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점면 홀딩 부재(303)는, 제1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장착할 때에, 대응하는 접점 핀을 배면 방향(촬상 센서(11)측)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제1 유인 경사면(guiding inclined face)(303n) 및 제2 유인 경사면(303p)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접점면 홀딩 부재(303)에 대한 카메라 본체(10)측에 설치된 각 접점 핀의 접촉 압력이 단계적으로 완만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10)측에 설치된 각 접점 핀의 변형이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10)에의 제1 렌즈(100)의 장착 동작)
다음에, 도 10a 및 10b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10)에 제1 렌즈(100)를 장착할 때의 장착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에 있어서의 각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제1 렌즈(100)의 카메라 본체(10)에의 장착을 시작한 장착 시작 상태에 있어서의 각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제1 렌즈(100)의 카메라 본체(10)에의 장착이 완료한 장착 완료 상태에 있어서의 각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광축 방향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201)측의 접점 핀 203m, 203k이 렌즈 마운트 B측의 접점면 303a, 303b과 중첩하고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 홀딩 부재(203) 및 접점면 홀딩 부재(303)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높이를 영역마다 다르게 하기 때문에, 도 10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접점 핀 및 접점면 어느 것도 접촉하지 않는다.
도 10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도 10a을 참조)을 향해서, 제1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대략 60°회전시킨 상태가 도 10b에 도시한 상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 시작 상태로부터 장착 완료 상태로의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는 대략 60°이다. 도 10b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록 핀(202)이 록 홈(301z)에 끼워 맞춰진(looked) 상태라는 점에 유념한다.
제1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대략 60°회전시킴으로써 제1 렌즈 클로우(301d)가 제1 카메라 클로우(201a)의 배면측(촬상 센서(11)측)에 인입되어, 광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결합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2 렌즈 클로우(301e)가 제2 카메라 클로우(201b)의 배면측(촬상 센서(11)측)에 인입되어, 광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결합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3 렌즈 클로우(301f)가 제3 카메라 클로우(201c)의 배면측(촬상 센서(11)측)에 인입되어, 광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결합한다. 또한, 제1 렌즈(100)에 설치된 각 렌즈 클로우는, 카메라 마운트(201)측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 바이어싱 부재(206)에 의해, 배면측쪽으로 바이어싱됨으로써 그 위치가 결정되어,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가 결합된다.
또한, 제1 유인면(303n) 및 제2 유인면(303p)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측의 각 접점 핀이 배면측(촬상 센서(11)측)쪽으로 눌러진다. 카메라 본체(10)의 각 접점 핀은, 눌러진 상태에서 렌즈 마운트(301)측의 접점면 303a∼303k, 303m 위의 대응하는 장소에 접촉하면서, 장착 완료 상태에서 각각이 대응하는 접점면과 접촉한다. 이때, 처음에 접촉을 시작하는 것은, 카메라 마운트(201)측에 설치된 접점 핀(203m)과 렌즈 마운트(301)측에 설치된 렌즈 접점부(303e)이다.
(변환 어댑터의 기본구성)
다음에, 도 11a∼12b를 참조하여, 상술한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201)에 장착 가능한 카메라 악세서리인 변환 어댑터(어댑터 장치)의 기본 구성 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및 11b는, 카메라 본체(10)에 장착 가능한 제1 변환 어댑터(40) 및 제2 렌즈 유닛(5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카메라 본체(10)에 제1 변환 어댑터(40)를 통해 제2 렌즈 유닛(50)이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b은 카메라 본체(10), 제1 변환 어댑터(40), 및 제2 렌즈 유닛(50)을 각각 떼어낸 상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제2 렌즈 유닛(이하, 제2 렌즈라고 칭한다)(50)은, 플랜지 초점 거리(flange focal distance)가 길지만, 카메라 마운트(201)와 동일한 마운트 지름을 갖는 렌즈 마운트(501)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즉, 제2 렌즈(50)는, 상술한 제1 렌즈(100)와 동일한 마운트 지름을 갖지만, 제1 렌즈(100)는 다르고, 카메라 본체(10)에의 직접 장착에 대응하지 않는 카메라 악세서리다.
도 12a 및 12b는, 카메라 본체(60)에 장착 가능한 제2 변환 어댑터(70) 및 제1 렌즈 유닛(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카메라 본체(60)에 제2 변환 어댑터(70)를 통해 제1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2b는 카메라 본체(60), 제2 변환 어댑터(70), 및 제1 렌즈(100)를 각각 떼어낸 상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촬상장치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렌즈 유닛이 직접 장착되면, 정확한 위치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그때에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화상이 취득되게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카메라 본체(10)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제2 렌즈 유닛(50)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상기의 문제가 생긴다.
마찬가지로,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촬상장치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 유닛이 직접 장착되었을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그때에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화상이 취득되게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카메라 본체(10)보다도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제2 촬상장치로서 카메라 본체(60)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제1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상기의 문제가 생긴다.
특히, 카메라 본체(10) 및 카메라 본체(60)와,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50)는 동일한 마운트 지름을 갖기 때문에, 어느 촬상장치와 어느 렌즈 유닛이 직접 장착에 대응한 플랜지 초점 거리를 가지는지를 유저가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서로 대응하지 않는 플랜지 초점 거리를 갖는 촬상장치와 렌즈 유닛이 잘못해서 직접 장착되지 않도록, 소정의 촬상장치에는 대응하는 렌즈 유닛만이 직접 장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응하지 않는 렌즈 유닛을 촬상장치에 장착할 경우, 플랜지 초점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양자 사이에 변환 어댑터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변환 어댑터의 한쪽이 촬상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해당 변환 어댑터의 다른 쪽에 해당 촬상장치에의 직접 장착에 대응한 렌즈 유닛이 장착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초점이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변환 어댑터의 한쪽과 다른 쪽은 직접 장착 가능한 촬상장치 및 카메라 악세서리를 제한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촬상장치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렌즈 유닛을 장착할 경우, 한쪽의 단측(端側)이 해당 촬상장치에만 장착 가능하며, 다른 쪽의 단측이 해당 렌즈 유닛에만 장착 가능한 변환 어댑터가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촬상장치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 유닛을 장착할 경우, 한쪽의 단측이 해당 촬상장치에만 장착 가능하며, 다른 쪽의 단측이 해당 렌즈 유닛에만 장착 가능한 변환 어댑터가 바람직하다.
제1 변환 어댑터(40)에서는,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측에서, 렌즈 마운트(1301)가 어댑터 경통(40a)에 체결 나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렌즈 마운트(1301)는, 상술한 카메라 본체(1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201)에 착탈할 수 있는 악세서리 마운트다.
제1 변환 어댑터(40)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단측에서는, 카메라 마운트(1401)가 어댑터 경통(40a)에 체결 나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 마운트(1401)는, 제2 렌즈(50)의 렌즈 마운트(501)에 착탈할 수 있는 카메라 마운트다. 제1 변환 어댑터(40)의 카메라 마운트(1401)는, 제2 렌즈(50)의 플랜지 초점 거리에 대응한 위치에 촬상 센서(11)의 촬상면이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제2 변환 어댑터(70)에서는,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측에서, 렌즈 마운트(1501)가 어댑터 경통(70a)에 체결 나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렌즈 마운트(1501)는, 카메라 본체(6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401)에 착탈할 수 있는 악세서리 마운트다.
제2 변환 어댑터(70)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단측에서는, 카메라 마운트(1201)가 어댑터 경통(70a)에 체결 나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 마운트(1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100)의 렌즈 마운트(301)에 착탈할 수 있는 카메라 마운트다.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어댑터 경통(70a)과 렌즈 마운트(1501) 사이에서, 제2 변환 어댑터(70)에 제1 광학 부재(701a) 및 제2 광학 부재(70lb)가 설치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제1 광학 부재(701a)와 제2 광학 부재(70lb)에 의해, 제2 변환 어댑터(70)가, 카메라 본체(60)에 설치된 촬상 센서의 촬상면에 따라 제1 렌즈(100)의 플랜지 초점 거리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편의상 2개의 렌즈라고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변환 어댑터(40)의 구성)
다음에, 도 13a∼도 17d을 참조하여, 제1 변환 어댑터(40)의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베이오넷 클로우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위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a 내지 13c는, 제1 변환 어댑터(40)의 한쪽의 단(end)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401)에 있어서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배면측(카메라 본체(10)측)에서 본, 카메라 마운트(14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록 핀(1401z)을 기준으로 한 카메라 클로우 및 카메라 오목부가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배면측(카메라 본체(10)측)으로부터 본, 카메라 마운트(140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 클로우 1401a∼1401c가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c는, 도 13b에 도시하는 단면 XIIIB-XIIIB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 변환 어댑터(40)는,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카메라 본체(10)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제2 렌즈(50)를 장착하는데도 사용하는 마운트 어댑터다. 따라서, 제1 변환 어댑터(40)는, 렌즈 마운트(1301)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카메라 본체(60)가 직접 장착될 수 없고, 카메라 마운트(1401)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제1 렌즈(100)가 직접 장착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1 변환 어댑터(40)의 한쪽의 단(제1의 단)측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301)와, 다른 쪽의 단(제2의 단)측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401)가 각각 직접 장착될 수 없도록 클로우 및 오목부의 위치 관계를 충족시킬 수 있다.
카메라 마운트(1401)에는 원주방향(내경 방향)으로, 제1 카메라 클로우(1401a), 제2 카메라 클로우(140lb), 및 제3 카메라 클로우(1401c)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도 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14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록 핀(1401z)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 클로우가 제1 카메라 클로우(1401a)이다. 제1 카메라 클로우(1401a)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2 카메라 클로우(140lb)와 제3 카메라 클로우(1401c)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1401)에는 원주방향(내경방향)으로, 제1 카메라 오목부(1401d), 제2 카메라 오목부(1401e), 및 제3 카메라 오목부(1401f)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도 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14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록 핀(1401z)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가 제2 카메라 오목부(1401e)다. 제2 카메라 오목부(1401e)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3 카메라 오목부(1401f) 및 제1 카메라 오목부(1401d)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도 1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는, 카메라 악세서리가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카메라 악세서리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끼워맞춤부(1401x)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끼워맞춤부(1401x)의 광축에 직교한 방향에 있어서의 지름을 마운트 지름이라고 한다.
제1 변환 어댑터(40)와 제2 렌즈(50)의 베이오넷 결합의 방법은, 상술한 카메라 본체(10)와 제1 렌즈(100)의 베이오넷 결합의 방법과 대략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을 위해서, 카메라 클로우 1401a, 140lb, 1401c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각각을, 제1 단부(1401a1), 제2 단부(1401a2), 제3 단부(140lb1), 제4 단부(140lb2), 제5 단부(1401c1), 및 제6 단부(1401c2)라고 칭한다. 각각의 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14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에, 제1 카메라 클로우(1401a)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부번호를 부착한다.
도 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변환 어댑터(40)에 있어서, 각 카메라 클로우 및 각 카메라 오목부가, 카메라 마운트(1401)의 원주방향으로 차지하는 각도(각도 범위)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 카메라 클로우(1401a)의 각도 θ1 = 56°, 제2 카메라 클로우(140lb)의 각도 θ2 = 62°, 제3 카메라 클로우(1401c)의 각도 θ3 = 62°이다. 또한, 제1 카메라 오목부(1401d)의 각도는 57°, 제2 카메라 오목부(1401e)의 각도는 66°, 제3 카메라 오목부(1401f)의 각도는 57°이다. 즉, 카메라 마운트(1401)는, 상술한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201)에 대하여, 각 카메라 클로우의 각도는 다르지만, 각 카메라 오목부의 각도는 동일하다.
또한, 변환 어댑터(40)의 배면측에서 카메라 클로우를 본 경우, 카메라 마운트(140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 카메라 클로우가 배치되는, 록 핀(402)의 위치(기준위치라고 칭한다)를 기준으로 한 각도는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 카메라 클로우(1401a)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159°와 215°사이에 배치된다. 제2 카메라 클로우(140lb)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272°와 334°사이에 배치된다. 제3 카메라 클로우(1401c)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40°와 102°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에, 도 14a 및 14b는, 제1 변환 어댑터(40)의 다른 쪽의 단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301)에 있어서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배면측에서 본, 렌즈 마운트(130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록 홈(1301z)을 기준으로 해서 렌즈 클로우 및 렌즈 오목부가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배면측에서 본, 렌즈 마운트(13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 오목부 1301a∼1301c가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렌즈 오목부가, 렌즈 마운트(1301)의 원주방향에서 차지하는 각도(각도 범위)는, 제1 렌즈 오목부(1301a)의 각도를 θ4로 나타내고, 제2 렌즈 오목부(1301b)의 각도를 θ5로 나타낸다. 제1 변환 어댑터(40)의 렌즈 마운트(1301)에 있어서의 각 클로우 및 오목부의 설치 각도는, 상술한 제1 렌즈(100)의 렌즈 마운트(301)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변환 어댑터(40)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301)와 카메라 마운트(1401)와의 각 클로우와 오목부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각도를 비교한다. 예를 들면, 렌즈 마운트(1301)측에 있어서, 최소의 각도를 갖는 제2 렌즈 오목부(1301b)의 각도 θ5은 44°이며, 이에 대하여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최소의 각도를 갖는 제1 카메라 클로우(1401a)의 각도 θ1은 56°이다. 즉, 렌즈 마운트(1301)측에 있어서의 가장 작은 각도를 갖는 오목부보다도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의 가장 작은 각도를 갖는 클로우가 더 크다(θ5 <θ1). 이 경우, 렌즈 마운트(1301)측의 오목부와 카메라 마운트(1401)측의 클로우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렌즈 오목부와 카메라 클로우끼리는 서로 간섭한다. 따라서, 카메라 마운트(1401)측과 렌즈 마운트(1301)측의 광축끼리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카메라 본체에 렌즈 유닛을 장착하려고 시도해도, 클로우와 오목부가 간섭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렌즈 유닛을 장착할 수 없다.
그렇지만, 1개의 클로우와 오목부만 서로 간섭하고 있는 경우에는, 렌즈 마운트측의 각 오목부에 카메라 마운트측의 각 클로우를 삽입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도 15a 및 15b는, 서로 간섭하는 클로우와 오목부를 갖는 소정의 촬상장치(1000)와 소정의 렌즈 유닛(2000)과의 장착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서로 간섭하는 클로우와 오목부를 갖는 소정의 촬상장치에 소정의 렌즈 유닛을 장착하는 도중의 정면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하는 단면 XVB-XVB에 따른 단면도다.
예를 들면, 도 15a 및 1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측의 광축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측의 광축을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카메라 클로우의 일단을 렌즈 오목부에 삽입하고, 그 상태로부터,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 마운트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본래는 서로 간섭하는 카메라 클로우와 렌즈 오목부이어도,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 마운트와의 상대 회전 도중에 서로의 간섭이 해소되어서, 해당 렌즈 오목부에 카메라 클로우가 삽입된 상태로 천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다른 카메라 클로우와 렌즈 오목부가 간섭하고 있지 않으면,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렌즈 유닛을 장착 가능하다.
따라서, 기준 렌즈 클로우에 인접하는 소정의 렌즈 오목부의 각도가, 기준 카메라 오목부에 인접하는 2개의 카메라 클로우의 각도보다도 작도록, 렌즈 마운트(1301)측과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의 각 클로우와 오목부를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 클로우(1301d)에 인접하는 제1 렌즈 오목부(1301a)와 제2 렌즈 오목부(1301b)의 각도 θ4, θ5가, 제1 카메라 오목부(1401d)에 인접하는 제1 카메라 클로우(1401a)와 제2 클로우(140lb)의 각도 θ1, θ2보다도 작다. 즉, θ4(52°)가 θ1 (56°)보다 작고, θ5 (44°)이 θ2 (62°)보다도 작다(θ4 < θ1, θ5 < θ2). 따라서, 도 16a 및 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렌즈 클로우1301d(301d)를 제1 카메라 오목부401d(1401d)에 삽입시키려고 시도해도, 제2 렌즈 클로우1301e(301e)가 제2 카메라 클로우401b(140lb)와 확실하게 간섭하고, 또 제3 렌즈 클로우1301f(301f)가 제1 카메라 클로우401a(1401a)와 확실하게 간섭한다.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1401(401)측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301(1301)측을 장착하려고 시도했을 때의, 클로우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제3 렌즈 클로우1301f(301f)와 제1 카메라 클로우401a(1401a)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도 16b는, 제2 렌즈 클로우1301e(301e)와 제2 카메라 클로우40lb(140lb)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대응하지 않는 렌즈 유닛과 촬상장치의 각 마운트부에 있어서의 각 클로우 중, 서로의 2개의 클로우가 서로 간섭하도록, 대응하지 않는 렌즈 유닛과 촬상장치, 및 변환 어댑터의 각 마운트부를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대응하지 않는 렌즈 유닛이 촬상장치에 오장착되거나, 또는, 변환 어댑터의 양단에 설치된 각 마운트부에 대응하지 않는 렌즈 유닛 및 촬상장치가 오장착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도, 예를 들면, 3개의 클로우를 대응하지 않는 오목부에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에, 각 클로우 및 오목부의 각도에 따라, 2개의 클로우가 오목부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렌즈 오목부의 각도가, 모든 카메라 클로우의 각도보다 작은 구성을 더 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 오목부(1301a)와 제2 렌즈 오목부(1301b)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각도 θ4, θ5가, 제1∼제3 카메라 클로우(1401a∼1401c)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각도 θ1∼θ3보다 작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렌즈 마운트(1301)측과 카메라 마운트(1401)측의 각 클로우와 각 오목부 간의 관계는, θ4 <θ1, θ4 <θ2, θ4 <θ3, θ5 <θ1, θ5 <θ2, θ5 <θ3을 충족시킨다.
도 17a 내지 1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301(1301)측 및 카메라 마운트1401(401)측에 있어서, 대응하지 않는 클로우를 오목부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제1 렌즈 클로우1301d(301d)를 제3 카메라 오목부401f(1401f)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에, 제3 렌즈 클로우1301f(301f)와 제3 카메라 클로우401c(1401c)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7b는 제1 렌즈 클로우1301d(301d)를 제3 카메라 오목부401f(1401f)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에, 제2 렌즈 클로우1301e(301e)와 제1 카메라 클로우401a(1401a)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7c는 제1 렌즈 클로우1301d(301d)를 제2 카메라 오목부401e(1401e)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에, 제3 렌즈 클로우1301f(301f)와 제2 카메라 클로우40lb(140lb)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7d는 제1 렌즈 클로우1301d(301d)를 제2 카메라 오목부401e(1401e)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에, 제2 렌즈 클로우1301e(301e)와 제3 카메라 클로우401c(1401c)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7a∼17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마운트301(1301)와 카메라 마운트1401(401)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에 관계없이, 적어도 2군데의 렌즈 클로우와 카메라 클로우끼리가 간섭한다. 이 구성에 의해, 렌즈 마운트(301) 또는 렌즈 마운트(1301)를 구비한 렌즈 유닛 및 변환 어댑터가 카메라 마운트(401) 또는 카메라 마운트(1401)를 구비한 촬상장치 및 변환 어댑터에 오장착되는 것을 훨씬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변환 어댑터(70)의 구성)
다음에, 도 18a∼21d을 참조하여, 제2 변환 어댑터(70)의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베이오넷 클로우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위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변환 어댑터(70)는,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카메라 본체(60)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제1 렌즈(100)를 장착하는데도 사용하는 마운트 어댑터다. 제2 변환 어댑터(70)의 한쪽의 단(제3의 단)측에는 렌즈 마운트(1501)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단(제4의 단)측에는 카메라 마운트(1201)가 설치된다. 제2 변환 어댑터(70)의 카메라 마운트(1201)는, 상술한 제1 촬상장치인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20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제2 변환 어댑터(70)의 렌즈 마운트(1501)는, 상술한 제2 렌즈(50)의 렌즈 마운트(50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2 변환 어댑터(70)는, 렌즈 마운트(1501)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카메라 본체(10)를 직접 장착할 수 없고, 카메라 마운트(1201)에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제2 렌즈(50)를 직접 장착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구성은, 제2 변환 어댑터(70)의 한쪽의 단(제3의 단)측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501)와, 다른 쪽의 단(제4의 단)측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201)를 각각 직접 장착할 수 없도록 클로우 및 오목부의 위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실현된다.
도 18a 및 18b는, 제2 변환 어댑터(70)의 한쪽의 단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201)에 있어서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a는, 배면측에서 본,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록 핀(1202)을 기준으로 해서 카메라 클로우 및 카메라 오목부가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b는, 배면측에서 본,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 클로우 1201a∼1201c에 관해서, 각 클로우가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 변환 어댑터(70)의 카메라 마운트(1201)에 있어서의 각 클로우 및 오목부의 설치 각도는, 이전에 설명한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201)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3 카메라 클로우(1201c)의 제6의 단(1201c2)으로부터 제1 카메라 클로우(1201a)를 포함하여 제2 카메라 클로우(1201b)의 제3의 단(120lb1)까지의 각도를 θ6(162°)이라고 한다.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1 카메라 클로우(1201a)의 제2의 단(1201a2)으로부터 제2 카메라 클로우(1201b)를 포함하여 제3 카메라 클로우(1201c)의 제5의 단(1201c1)까지의 각도를 θ7 (163°)이라고 한다.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2 카메라 클로우(1201b)의 제4의 단(120lb2)으로부터 제3 카메라 클로우(1201c)를 포함하여 제1 카메라 클로우(1201a)의 제1의 단(1201a1)까지의 각도를 θ8 (215°)라고 한다.
다음에, 도 19a 내지 19c는, 제2 변환 어댑터(70)의 다른 쪽의 단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501)에 있어서의 베이오넷 클로우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a는 배면측에서 본,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록 홈(1501z)을 기준으로 해서 렌즈 클로우 및 렌즈 오목부가 차지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9b는, 배면측에서 본,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 오목부 1501a∼1501c에 관해서 각 오목부가 설치되는 각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c는, 도 19b에 있어서의 단면 XIXC-XIXC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렌즈 마운트(1501)에는 원주방향(내경 방향)을 향하여, 제1 렌즈 클로우(1501d), 제2 렌즈 클로우(150le), 및 제3 렌즈 클로우(1501f)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도 1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15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록 홈(1501z)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되는 렌즈 클로우가 제1 렌즈 클로우(1501d)라는 점에 유념한다. 제1 렌즈 클로우(1501d)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2 렌즈 클로우(1501e) 및 제3 렌즈 클로우(1501f)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렌즈 마운트(1501)에는 원주방향(내경 방향)을 향하여, 제1 렌즈 오목부(1501a), 제2 렌즈 오목부(150lb), 및 제3 렌즈 오목부(1501c)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 1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15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록 홈(1501z)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가 제3 렌즈 오목부(1501c)이다. 제3 렌즈 오목부(1501c)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1 렌즈 오목부(1501a) 및 제2 렌즈 오목부(150lb)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설명을 위해서, 렌즈 클로우 1501d, 1501e, 1501f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각각을, 제1 단부(1501d1), 제2 단부(1501d2), 제3 단부(1501e1), 제4 단부(1501e2), 제5 단부(1501f1), 및 제6 단부(1501f2)라고 칭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각각의 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15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에, 제1 렌즈 클로우(1501d)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부번호를 부착한다.
도 1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렌즈 클로우 및 각 렌즈 오목부가,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으로 차지하는 각도(각도 범위)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 렌즈 클로우(1501d)의 각도는 53°, 제2 렌즈 클로우(1501e)의 각도는 62°, 및 제3 렌즈 클로우(1501f)의 각도는 53°이다. 즉,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각 렌즈 클로우의 각도는 이전에 설명한 렌즈 마운트(1301)측에 있어서의 렌즈 클로우의 각도와 동일하다.
이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1501)측의 렌즈 오목부의 각도는, 상술한 렌즈 마운트(1301)측의 렌즈 오목부의 각도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 오목부(1501a)의 각도는 60°, 제2 렌즈 오목부(150lb)의 각도는 66°, 제3 렌즈 오목부(1501c)의 각도는 66°이다.
또한, 카메라 본체(10)의 배면측에서 렌즈 클로우를 본 경우에,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각 렌즈 클로우가 배치되는, 록 홈(1501z)의 위치(기준 위치라고 칭한다)를 기준으로 한 시계회전 방향의 각도는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 렌즈 클로우(1501d)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해서 157°와 210°사이에 배치된다. 제2 렌즈 클로우(1501e)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해서 276°와 338°사이에 배치된다. 제3 렌즈 클로우(1501f)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해서 44°와 97°사이에 배치된다.
도 1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1501)측에는, 촬상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촬상장치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끼워맞춤부(1501x)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 끼워맞춤부(1501x)의 광축에 직교한 방향에 있어서의 지름을 마운트 지름이라고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의 마운트 지름은 대략 동일한 길이이다.
도 1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제3 렌즈 클로우(1501f)의 제5의 단(1501f1)으로부터 제1 렌즈 오목부(1501a)를 포함하여 제1 렌즈 클로우(1501d)의 제2의 단(1501d2)까지의 각도를 θ9(166°)라고 한다.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1 렌즈 클로우(1501d)의 제1의 단(1501d1)으로부터 제2 렌즈 오목부(150lb)를 포함하여 제2 렌즈 클로우(1501e)의 제4의 단(1501e2)까지의 각도를 θ10(181°)이라고 한다.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제2 렌즈 클로우(1501e)의 제3의 단(1501e1)으로부터 제3 렌즈 오목부(1501c)를 포함하여 제3 렌즈 클로우(1501f)의 제6의 단(1501f2)까지의 각도를 θ11(181°)라고 한다.
제2 변환 어댑터(7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201)와 렌즈 마운트(1501)와의 각 클로우와 오목부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를 비교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1201)측에 있어서의 제3 카메라 클로우의 각도 (92°)는,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렌즈 오목부 중 최대의 각도를 갖는 제2 및 제3 렌즈 오목부(150lb, 1501c의 각도 (66°)보다 크다. 즉, 카메라 마운트(1201)측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카메라 클로우의 각도가,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최대의 각도를 갖는 렌즈 오목부의 각도보다 크다.
이 경우,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클로우와 렌즈 마운트(1501)측의 오목부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카메라 클로우와 렌즈 오목부끼리는 서로 간섭한다. 따라서,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의 광축끼리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카메라 본체에 렌즈 유닛을 장착하려고 시도해도, 클로우와 오목부가 간섭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렌즈 유닛을 장착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상술한 제1 변환 어댑터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1개의 클로우와 오목부만이 서로 간섭하고 있으면, 렌즈 마운트측의 각 오목부에 카메라 마운트측의 각 클로우가 삽입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측의 광축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측의 광축을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카메라 클로우의 일단을 렌즈 오목부에 삽입하고,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 마운트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렌즈 유닛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201(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501)측에 있어서의 클로우 및 오목부를, θ6 <θ9, 및 θ7 <θ10을 충족시키도록 설치한다. 도 20a 및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201(1201)측의 기준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1501(501)측의 기준 클로우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 클로우끼리 간섭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a는, 제3 렌즈 클로우1501f(501f)와 제3 카메라 클로우201c(1201c)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도 20b는, 제2 렌즈 클로우1501e(501e)와 제3 카메라 클로우201c(1201c)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20a 및 2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기준 제1 렌즈 클로우1501d(501d)를 기준 카메라 오목부201d(1201d)에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 제3 카메라 클로우201c(1201c)가 제2 및 제3 렌즈 클로우1501e(501e),1501f(501f)와 간섭한다.
즉, 배면측에서 봤을 때, 기준 1개의 렌즈 클로우와, 그 시계회전 방향으로 그것에 인접하는 또 다른 렌즈 클로우와, 이들 렌즈 클로우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오목부의 각도의 총 합계를 제1 각도라고 한다. 또한, 배면측에서 봤을 때, 기준 1개의 카메라 오목부와, 그 시계회전 방향으로 그것에 인접하는 또 다른 카메라 오목부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클로우의 각도의 총 합계를 제2 각도라고 한다. 또한, 배면측에서 봤을 때, 기준 1개의 렌즈 클로우와, 그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그것에 인접하는 또 다른 렌즈 클로우와, 이들 렌즈 클로우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오목부의 각도의 총 합계를 제3 각도라고 한다. 또한, 배면측에서 봤을 때, 기준 1개의 카메라 오목부와, 그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그것에 인접하는 또 다른 카메라 오목부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클로우의 각도의 총 합계를 제4 각도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각도가 제2 각도보다도 크고 제3 각도가 제4 각도보다도 크도록,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클로우 및 오목부를 레이아웃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적어도 2개의 렌즈 클로우와 1개의 카메라 클로우가 서로 간섭한다. 따라서, 대응하지 않는 렌즈 유닛이 촬상장치에 오장착되거나 또는 변환 어댑터의 양단에 설치된 각 마운트부에 대응하지 않는 렌즈 유닛 및 촬상장치가 오장착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도, 예를 들면 3개의 클로우를 대응하지 않는 오목부에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에, 각 클로우 및 오목부의 각도에 따라, 2개의 클로우가 오목부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원주방향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클로우 및 오목부를, θ6 <θ9, θ6 <θ10, θ6 <θ11, θ7 <θ9, θ7 <θ10, 및 θ7 <θ11을 충족시키도록 설치한다. 즉, 배면측에서 봤을 때, 상술한 기준 렌즈 클로우 이외의 2개의 클로우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오목부의 총 합계를 제5 각도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2 각도 및 제4 각도가, 제1 각도, 제3 각도 및 제5 각도 중의 어느 하나보다도 작도록,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클로우 및 오목부를 레이아웃하면 된다.
도 21a 내지 2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201(1201)측의 기준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1501(501)측의 기준 클로우 이외의 클로우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 클로우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a는, 제2 렌즈 클로우1501e(501e)를 제1 카메라 오목부201d(1201d)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 제1 렌즈 클로우1501d(501d)와 제3 카메라 클로우201c(1201c)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21b는, 제2 렌즈 클로우1501e(501e)를 제1 카메라 오목부201d(1201d)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 제3 렌즈 클로우1501c(501c)와 제3 카메라 클로우201c(1201c)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21c는, 제3 렌즈 클로우1501f(501f)를 제1 카메라 오목부201d(1201d)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 제2 렌즈 클로우1501e(501e)와 제3 카메라 클로우201c(1201c)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21d는, 제3 렌즈 클로우1501f(501f)를 제1 카메라 오목부201d(1201d)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 제1 렌즈 클로우1501d(501d)와 제3 카메라 클로우201c(1201c)가 간섭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21a∼21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마운트1501(501)와 카메라 마운트201(1201)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에 관계없이, 적어도 2개 렌즈 클로우가 1개의 카메라 클로우와 간섭한다. 이 구성에 의해, 렌즈 마운트(501) 또는 렌즈 마운트(1501)를 구비한 렌즈 유닛 및 변환 어댑터가, 카메라 마운트(201) 또는 카메라 마운트(1201)를 구비한 촬상장치 및 변환 어댑터에 오장착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14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에 각각 설치된 클로우끼리를 결합시킨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카메라 본체(60)의 카메라 마운트(401)가 제2 렌즈(50)의 렌즈 마운트(501)와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는 점에 유념한다.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렌즈 클로우(501d)는 제1 카메라 오목부(401d)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클로우(501e)는 제2 카메라 오목부(401e)에 삽입될 수 있다. 또, 제3 렌즈 클로우(501f)는 제3 카메라 오목부(401f)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마운트(401)측과 렌즈 마운트(501)측은, 서로 직접 장착에 대응한 조합이다. 도 10a에 도시한 것처럼, 카메라 마운트(201)측과 렌즈 마운트(301)측은, 서로 직접 장착에 대응한 조합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촬상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60))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 401(1401)과,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렌즈 유닛(예를 들면, 제2 렌즈(50))에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 501(1501)은 서로 직접 장착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촬상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10))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 201(1201)과,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렌즈 유닛(예를 들면, 제2 렌즈(50))에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 501(1501)는 서로 직접 장착될 수 없다. 또한,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촬상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10))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 201(1201)과,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 유닛(예를 들면, 제1 렌즈(100))에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 301(1301)은 서로 직접 장착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플랜지 초점 거리가 긴 촬상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60))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 401(1401)과,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 유닛(예를 들면, 제1 렌즈(100))에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 301(1301)은 서로 직접 장착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채용한 촬상장치 및 카메라 악세서리는, 대략 동일한 마운트 지름을 갖지만 서로 대응하지 않는 촬상장치 및 카메라 악세서리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채용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시큐리티 카메라 등, 디지털 카메라 이외의 촬상장치를 채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카메라 악세서리의 일례로서 교환 렌즈와, 변환 어댑터 등의 중간 악세서리를 채용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악세서리로서는, 상술한 각 촬상장치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에 직접적으로 접속(결합) 가능한 악세서리 마운트를 구비한 기기이면, 어떤 것을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 및 악세서리 마운트의 쌍방은, 서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는 한 쌍의 전기 단자를 구비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로 대응하지 않는 전기 단자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10)에 장착 가능한 카메라 악세서리에, 카메라 본체(10)측이 구비하지 않는 단자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 및 악세서리 마운트의 중심으로부터의 지름이 대략 같게 되는 원주방향을 따라, 각 전기단자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 및 악세서리 마운트의 중심으로부터의 상이한 지름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각 전기단자가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각 마운트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증가하지만, 단자 간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마운트가, 원주방향으로 3개의 클로우를 구비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상술한 실시예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면, 클로우의 수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마운트에 설치된 3개의 클로우의 각각을, 더 분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1개의 클로우가 복수의 클로우로 이루어진 한 개의 클로우군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클로우에 홈부를 설치했을 경우가, 이것에 해당한다. 이 경우, 각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배치되는 클로우군의 각도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마운트의 마운트 지름을, 각 마운트에 설치된 끼워맞춤부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의 내경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마운트에 있어서, 각 마운트의 중심(광축)으로부터 복수의 단자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내경을 마운트 지름으로서 사용해도 되거나, 또는 각 마운트의 중심(광축)으로부터 클로우 혹은 오목부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내경을 마운트 지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서리 마운트 중의 하나를 구비한 기기를 다른 마운트를 구비한 기기에 대하여 실제로 회전시킴으로써, 쌍방의 기기끼리를 베이오넷 결합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서리 마운트끼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서리 마운트끼리의 베이오넷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하, 이 상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5000)의 분해 사시도다. 도 24a 내지 24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5000)의 비결합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a 내지 25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5000)의 결합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25c에 있어서는, 설명의 동일을 위해, 마운트 기구(5000)의 가동 마운트부(5010)와 베이오넷 결합이 가능한 렌즈 마운트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착하고,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5000)는, 광축(3000)을 중심축으로 해서, 렌즈 마운트가 부착된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작부(5030), 고정 마운트부(5020), 가동 마운트부(5010), 및 접점 홀딩 부재(203)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503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링 모양의 조작 유닛이며, 암부(arm portions)(5040)에 의해, 가동 마운트부(5010)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변형 예에서는,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암부(5040)를 사용하여, 조작부(5030)와 가동 마운트부(5010)가 2개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작부(5030)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가동 마운트부(5010)도 일체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가동 마운트부(5010)에는, 렌즈 마운트에 설치된 베이오넷 클로우 301a∼301c와 각각 베이오넷 결합이 가능한 가동 마운트 클로우 5011a, 501lb, 5011c이 설치된다. 또한, 가동 마운트부(5010)에는, 중심축 주위에 스레드(threaded)된 나사부(5012)가 설치되어 있고, 가동 마운트부(5010)의 중심축 주위의 회전에 따라, 후술하는 고정 마운트부(5020)의 나사부(5022)와의 나사결합 상태가 변화된다.
고정 마운트부(5020)에는, 렌즈 마운트의 마운트면과 접하는 카메라 마운트면(5021)과, 상술한 가동 마운트부(5010)의 나사부(5012)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5022)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마운트부(5020)는, 상술한 가동 마운트부(5010)와 달리, 조작부(50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도 24a 내지 25c를 참조하여, 본 변형 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5000)의 베이오넷 결합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렌즈 마운트에 설치된 각 베이오넷 클로우는, 조작부(5030)의 개구부 및 고정 마운트부(5020)의 개구부를 통과한 상태에서, 가동 마운트부(5010)의 가동 마운트 클로우 5011a∼5011c와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24a 내지 24c에 도시하는 상태는, 조작부(5030)가 비록(unlocked)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마운트의 렌즈 마운트면과 고정 마운트부(5020)의 카메라 마운트면(5021)이 접하지만, 중심축 방향에서 보면, 렌즈 마운트 및 가동 마운트부(5010)의 각각의 클로우끼리가 서로 결합하지 않고 겹치지 않는다. 도 24c는 도 24b에서의 단면 XXIVC-XXIV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a 내지 25c는, 이 상태로부터 조작부(5030)를 회전 조작한 상태의 마운트 기구(5000)를 예시한다.
도 25a 내지 25c에 도시한 상태는, 조작부(5030)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마운트 및 가동 마운트부(5010)의 각각의 클로우끼리가 서로 중첩함으로써,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부(50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고정 마운트부(5020)의 나사부(5022)와 가동 마운트부(5010)의 나사부(5012)와의 나사결합 상태가 변화되고, 가동 마운트부(5010)가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촬상장치측으로 이동한다. 도 25c는 도 25b에서의 단면 XXVC-XXV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c 및 2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마운트부(5010)는, 마운트 기구(5000)의 비록(non-locked) 상태가 마운트 기구(5000)의 록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 고정된 마운트부(5020)에서 멀어진다. 이 구성에 의해, 렌즈 마운트측의 베이오넷 클로우와 결합된 상태의 가동 마운트 클로우 5011a∼5011c의 각각이, 촬상장치측으로 이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운트 기구(5000)는, 렌즈 마운트측의 클로우와 결합 가능한 클로우를 구비한 가동 마운트부가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함으로써, 가동 마운트부를 고정 마운트부에 대하여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변형 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5000)는, 결합 상태의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측의 마운트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느슨함)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변형 예에서는, 촬상장치측에 마운트 기구(5000)를 설치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은 교환 렌즈 등의 카메라 악세서리측에 마운트 기구(5000)를 구비하는 구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9)

  1. 제1 마운트가 설치된 악세서리가 착탈 가능한 마운트 장치로서,
    제2 마운트;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복수의 클로우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클로우부;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복수의 클로우의 각각을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바이어싱 부재; 및
    상기 악세서리의 복수의 클로우와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클로우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클로우부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1 클로우부와 제2 클로우부와 제3 클로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클로우부와 상기 제3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보다도 크고,
    상기 제1 클로우부, 상기 제2 클로우부, 및 상기 제3 클로우부는, 상기 복수의 바이어싱 부재가 각각 배치된, 제1 바이어싱 부재 배치 영역과 제2 바이어싱 부재 배치 영역과 제3 바이어싱 부재 배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규제 부재와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제1 마운트 중심선이라고 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과 직교하는 선을 제2 마운트 중심선이라고 하며,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바이어싱 부재 배치 영역은 상기 제2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마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2 바이어싱 부재 배치 영역은,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마운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의 정(正) 위치(normal position)에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클로우부는,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에 대해서 중력 방향과는 반대되는 제1 측에 배치되고, 중력 방향이 포함되는 제2 측에는 배치되지 않는, 마운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클로우부는, 상기 제2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마운트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의 정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3 클로우부는,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에 대해서, 상기 제2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클로우부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마운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제2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 및 상기 제3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의 총 합계 이상인, 마운트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의 정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에 대해서 상기 제1 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의 총 합계가,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에 대해서 상기 제1측과 반대되는 상기 제2 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의 총 합계보다 큰, 마운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에 상기 악세서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규제 부재는,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제2 규제 부재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복수의 클로우와 상기 마운트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클로우부의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고,
    상기 제1 규제 부재가 상기 제2 규제 부재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의 복수의 클로우 중의 대응하는 클로우에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클로우부의 각각이 결합하는, 마운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부재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핀인, 마운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는, 상기 제1 클로우부와 상기 제2 클로우부와의 사이에,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클로우 중 제4 클로우가 삽입 가능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클로우부와 상기 제3 클로우부와의 사이에,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클로우 중 제5 클로우가 삽입 가능한 제2 오목부와, 상기 제3 클로우부와 상기 제1 클로우부와의 사이에,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클로우 중 제6 클로우가 삽입 가능한 제3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3 오목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오목부의 각도 범위 및 상기 제2 오목부의 각도 범위 이상인, 마운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제2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 및 상기 제3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의 1. 5배 이상 큰, 마운트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 범위는, 상기 제1 클로우부가 92°, 상기 제2 클로우부가 48°, 상기 제3 클로우부가 40°인, 마운트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는,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클로우부의 각각이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 중의 대응하는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클로우부의 각각이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악세서리의 복수의 클로우 중의 대응하는 클로우에 결합한 제2 상태로 천이 가능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로우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악세서리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상기 제1 클로우부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의 각도 범위보다 작은, 마운트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마운트 장치와,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마운트 장치를 갖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와는 반대 측에, 촬상장치에 설치된 제4 마운트와 결합 가능한 제3 마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마운트는, 상기 악세서리로서 교환 렌즈에 설치된 상기 제1 마운트를 결합할 수 있는, 어댑터 장치.
  16. 제1 마운트를 갖는 마운트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악세서리로서,
    제2 마운트;
    상기 마운트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클로우 중의 상기 제1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 범위가 가장 큰 제4 클로우에 대해서 결합 가능한 제1 클로우부;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의 상기 제4 클로우가 삽입 가능한 제1 오목부; 및
    상기 마운트 장치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클로우와 상기 악세서리에 설치된 상기 제1 클로우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악세사리가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4 클로우에 설치된 공간에 배치된 제1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클로우부가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며,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규제 부재와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제1 마운트 중심선이라고 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과 직교하는 선을 제2 마운트 중심선이라고 하며,
    상기 제1 클로우부는, 상기 마운트 장치에 상기 악세서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마운트 장치의 상기 제4 클로우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2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2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악세서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는, 제2 오목부 및 제3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악세서리의 상기 제1 오목부, 상기 제2 오목부, 상기 제3 오목부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제2 오목부의 각도 범위와 상기 제3 오목부의 각도 범위보다 크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2 마운트 중심선 상에 상기 악세서리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오목부 중의 어느 오목부도 위치하지 않는, 악세서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악세서리가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된 상태의 상기 마운트 장치의 정(正) 위치(normal position)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로우부는,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에 대해서 중력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클로우는 상기 제2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악세서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1 클로우부는 상기 제2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악세서리.
  20. 제 17 항에 있어서,
    제2 클로우부 및 제3 클로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클로우부, 상기 제2 클로우부, 및 상기 제3 클로우부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클로우부는, 상기 악세서리가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마운트 장치에 설치된 제5 클로우와 결합하고,
    상기 제3 클로우부는, 상기 악세서리가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마운트 장치에 설치된 제6 클로우와 결합하며,
    상기 악세서리가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5 클로우에 설치된 공간에 배치된 제2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클로우부가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상기 제6 클로우에 설치된 공간에 배치된 제3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상기 제3 클로우부가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2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악세서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3 클로우부는, 상기 제2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악세서리.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운트를 본 경우에, 상기 제2 클로우부는, 상기 제1 마운트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악세서리.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오목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제2 오목부의 각도 범위 및 상기 제3 오목부의 각도 범위의 총 합계 이상인, 악세서리.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에 상기 악세서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규제 부재는, 상기 마운트 장치에 설치된 제2 규제 부재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클로우와 상기 악세서리의 복수의 클로우부와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고,
    상기 제1 규제 부재가 상기 제2 규제 부재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의 상기 복수의 클로우부의 각각이 상기 마운트 장치의 상기 복수의 클로우 중의 대응하는 클로우에 결합하는, 악세서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부재는, 상기 마운트 장치에 설치된 상기 제2 규제 부재와 감합(嵌合)하는 오목부인, 악세서리.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제2 오목부에, 상기 제5 클로우가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3 오목부에, 상기 제6 클로우가 삽입 가능하고,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클로우의 각각이 상기 악세서리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오목부 중의 대응하는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악세서리의 복수의 클로우부의 각각이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클로우 중의 대응하는 클로우에 결합한 제2 상태로 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악세서리.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제2 오목부의 각도 범위 및 상기 제3 오목부의 각도 범위의 1. 5배 이상 큰, 악세서리.
  28. 제 16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마운트 장치로서 촬상장치에 설치된 상기 제1 마운트와 결합 가능한 상기 제2 마운트를 갖는 교환 렌즈인, 악세서리.
  29. 제 16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와는 반대 측에 설치되고, 교환 렌즈에 설치된 제4 마운트와 결합 가능한 제3 마운트를 갖는 어댑터 장치이며,
    상기 제2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 장치로서 촬상장치에 설치된 상기 제1 마운트와 결합 가능한, 악세서리.
KR1020220011887A 2017-05-31 2022-01-27 마운트 장치,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KR102501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8277 2017-05-31
JPJP-P-2017-108277 2017-05-31
KR1020180062233A KR102358098B1 (ko) 2017-05-31 2018-05-31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33A Division KR102358098B1 (ko) 2017-05-31 2018-05-31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095A true KR20220027095A (ko) 2022-03-07
KR102501431B1 KR102501431B1 (ko) 2023-02-21

Family

ID=625549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33A KR102358098B1 (ko) 2017-05-31 2018-05-31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KR1020220011887A KR102501431B1 (ko) 2017-05-31 2022-01-27 마운트 장치,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33A KR102358098B1 (ko) 2017-05-31 2018-05-31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0775682B2 (ko)
EP (2) EP3410187B1 (ko)
JP (4) JP6615265B2 (ko)
KR (2) KR102358098B1 (ko)
CN (5) CN208424537U (ko)
BR (1) BR102018011052B1 (ko)
MY (1) MY196104A (ko)
PH (1) PH12018000138A1 (ko)
RU (2) RU2754082C2 (ko)
SG (3) SG10202103518RA (ko)
TW (4) TWI676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2103518RA (en) * 2017-05-31 2021-05-28 Canon Kk Adapter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US10948684B2 (en) * 2018-07-20 2021-03-16 Nikon Corporation Interchangeable lens
WO2020044470A1 (ja) * 2018-08-29 2020-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ダプタ装置、撮像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CN214846194U (zh) 2020-11-17 2021-11-2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转接组件及投影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6417A1 (en) * 2008-12-31 2010-07-01 Samsung Digital Imaging Co., Ltd. Camera having detachable lens module
US20120201532A1 (en) * 2010-09-06 2012-08-09 Nikon Corporation Camera accessory, camera accessory mount, camera body and camera body mount
KR20130106031A (ko) * 2012-03-19 2013-09-27 김준환 렌즈 교환형 카메라용 기능성 렌즈 어댑터
US20130266304A1 (en) * 2012-04-04 2013-10-10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camera accessory

Family Cites Families (1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097B1 (ko) * 1971-04-16 1979-04-12
DE2653495B2 (de) * 1976-11-25 1979-05-03 Ernst Leitz Wetzlar Gmbh, 6300 Lahn- Wetzlar Bajonettkupplung für Wechselobjektive an fotografischen Systemkameras
US4307954A (en) 1980-08-18 1981-12-29 Ludwig Robert B Bayonet mount
US4448509A (en) 1981-10-26 1984-05-15 Canon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 lens barrel with signal transfer contacts
US4464034A (en) 1981-11-13 1984-08-07 Nippon Kogaku K.K.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lens and camera
US4437752A (en) 1981-11-28 1984-03-20 Canon Kabushiki Kaisha Safety device for camera and accessory
JPS5895721A (ja) 1981-12-03 1983-06-07 Canon Inc 映像機器の附属品
US4565434A (en) 1982-02-15 1986-01-21 Canon Kabushiki Kaisha Signal transferring device for photographic instrument or accessory
JPS59161133U (ja) 1983-04-14 1984-10-29 株式会社 飯山コシナ カメラ用レンズマウント
JPH0623821B2 (ja) * 1983-09-02 1994-03-30 ミノルタカメラ株式会社 バヨネットマウント装置とこの装置を用いる光学機器
JP2530814B2 (ja) 1986-01-31 1996-09-04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鏡筒のマウント構造
GB2187856B (en) 1986-02-17 1990-10-03 Canon Kk Mount device
JPS62195633A (ja) 1986-02-24 1987-08-28 Canon Inc 光学付属品
JPS63172257A (ja) 1987-01-12 1988-07-15 Canon Inc 光学付属機器の電気回路接続用コネクタ
US4924249A (en) 1986-12-27 1990-05-08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for camera
GB2199668B (en) * 1986-12-27 1991-05-22 Canon Kk Connector for a camera
JP2681924B2 (ja) 1987-05-13 1997-11-26 株式会社ニコン 防水カメラ及び防水カメラ用交換レンズ
US4922283A (en) 1988-02-12 1990-05-01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instrument
US5079578A (en) 1988-10-13 1992-01-07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JPH0734093B2 (ja) 1988-10-13 1995-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DE68922472T2 (de) 1988-12-05 1995-09-28 Canon Kk Optisches Gerät.
US5177520A (en) 1988-12-05 1993-01-0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JP2864384B2 (ja) 1989-07-10 1999-03-03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とその交換レンズのマウント機構
JPH0424736U (ko) 1990-06-21 1992-02-27
RU1778745C (ru) 1990-12-06 1992-11-30 Красногорск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сменных объективов
JPH0647943U (ja) 1992-01-08 1994-06-28 株式会社シグマ カメラマウント装置
JP3278267B2 (ja) 1993-10-20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交換可能なカメラ、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H0937119A (ja) 1995-07-20 1997-02-07 Canon Inc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及び光学付属品
US5734935A (en) * 1995-10-13 1998-03-31 Nikon Corporation Camera system and intermediate adapter
JP3919280B2 (ja) 1996-01-31 2007-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及び交換レンズ
JPH09211645A (ja) 1996-01-31 1997-08-15 Minolta Co Ltd レンズ交換式カメラのバヨネットマウント装置
US6089761A (en) 1996-01-31 2000-07-18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JP3511229B2 (ja) 1998-07-31 2004-03-29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付属品の取付検出装置
JP3793365B2 (ja) 1999-04-12 2006-07-05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
JP4411037B2 (ja) 2002-09-09 2010-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撮影システム
JP2004102005A (ja) 2002-09-11 2004-04-0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バヨネット式レンズマウント
JP2004301939A (ja) 2003-03-28 2004-10-28 Sony Corp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及び交換レンズ
CN100428048C (zh) 2003-04-08 2008-10-22 奥林巴斯株式会社 镜头更换式照相机系统
JP4477313B2 (ja) 2003-04-08 2010-06-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システム
JP2004341265A (ja) 2003-05-16 2004-12-02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3870183B2 (ja) 2003-08-01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中間アダプタ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3513512B1 (ja) * 2003-08-01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レンズ、交換レンズ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4555556B2 (ja) 2003-10-09 2010-10-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システム
JP4608199B2 (ja) * 2003-11-04 2011-01-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バヨネットマウント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ヨネットアダプタ
US7567290B2 (en) 2004-03-29 2009-07-28 Fujifilm Corporation Camera system, camera body, imaging lens unit, and interchangeable lens camera
JP4284620B2 (ja) 2004-12-27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519291B2 (en) 2005-03-24 2009-04-14 Fujifilm Corporation Digital camera, lens unit, and camera system having the same
JP5085023B2 (ja) 2005-08-26 2012-11-28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の中間アダプタ
JP2007101656A (ja) 2005-09-30 2007-04-19 Fujifilm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4595783B2 (ja) * 2005-10-20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4315206B2 (ja) * 2006-06-05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
JP2008015016A (ja) 2006-07-03 2008-01-24 Fujifilm Corp マウントキャップ
JP2008015017A (ja) 2006-07-03 2008-01-24 Fujifilm Corp 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2008015267A (ja) 2006-07-06 2008-01-24 Fujifilm Corp バヨネットマウント機構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8197372A (ja) 2007-02-13 2008-08-28 Fujifilm Corp カメラ及びその組立方法
US8390733B2 (en) * 2007-02-15 2013-03-05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device with interchangeable lens and camera body for imaging device
JP2009111682A (ja) 2007-10-30 2009-05-21 Olympus Corp 撮像装置
JP2009216878A (ja) 2008-03-10 2009-09-24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7874747B2 (en) * 2008-04-28 2011-01-25 Panasonic Corporation Intermediate adapter, camera body and imaging system
CN101772730B (zh) 2008-07-24 2014-12-0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照相机驱动装置
JP5407219B2 (ja) 2008-08-25 2014-02-05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
JP2010271418A (ja) 2009-05-19 2010-12-02 Nikon Corp 光学ユニット、カメラボディ、カメラボディと光学ユニットとの結合構造およびカメラ
JP2010282101A (ja) * 2009-06-05 2010-12-16 Nikon Corp 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アクセサリ
JP5100722B2 (ja) 2009-09-02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変換アダプタ装置及び交換レンズシステム
JP5483233B2 (ja) * 2009-10-05 2014-05-07 宮本 和雄 レンズアダプタ
JP2011175191A (ja) 2010-02-25 2011-09-08 Nikon Corp カメラ本体およびレンズ鏡筒
JP5521758B2 (ja) 2010-05-13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854623B2 (ja) 2010-08-06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アクセサリ及び撮像装置システム
CN202267775U (zh) * 2010-09-06 2012-06-06 株式会社尼康 相机用配件、配件侧接环、相机主体及相机主体侧接环
CN102401975B (zh) * 2010-09-06 2014-07-09 株式会社尼康 相机用配件
CN102402098B (zh) 2010-09-09 2014-03-26 株式会社尼康 可换透镜、相机主体及电子设备
CN102402100B (zh) 2010-09-09 2014-10-15 株式会社尼康 可换透镜、相机主体及电子设备
US8682152B2 (en) * 2010-11-10 2014-03-25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body, interchangeable lens, and intermediate lens
JP5541142B2 (ja) * 2010-12-20 2014-07-09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用アクセサリ、アクセサリ側マウント、カメラボディおよびボディ側マウント
JP5445479B2 (ja) 2011-01-28 2014-03-19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用アクセサリ、アクセサリ側マウント、カメラボディおよびボディ側マウント
JP5874016B2 (ja) * 2011-02-09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5765617B2 (ja) 2011-03-10 2015-08-19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撮像装置、情報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
TW201239502A (en) * 2011-03-16 2012-10-01 Lumos Technology Co Ltd Adapter lens module and adapter seat for the same
KR101846925B1 (ko) * 2011-03-21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인터페이스 방법
CN102104722B (zh) * 2011-04-02 2012-11-07 天津天地伟业数码科技有限公司 高清摄像机的cs转接环固定结构
JP5810661B2 (ja) 2011-06-17 2015-11-11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
JP5025814B2 (ja) * 2011-07-06 2012-09-12 ベルボン株式会社 アダプター装置
JP5896635B2 (ja) 2011-07-20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JP5418552B2 (ja) 2011-07-22 2014-02-19 株式会社ニコン アダプター、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ー制御プログラム
JP5894397B2 (ja) 2011-08-29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アクセサリ及び撮像システム
TW201312192A (zh) * 2011-09-01 2013-03-16 Lumos Technology Co Ltd 光學影像擷取裝置用濾鏡光源模組及該影像擷取裝置
CN103814329B (zh) * 2011-09-12 2015-08-19 株式会社尼康 相机用附件
JP5896662B2 (ja) 2011-09-15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アクセサリ
JP5257536B2 (ja) * 2011-09-20 2013-08-07 株式会社ニコン 中間アダプタ、アクセサリおよび交換レンズ
US8693863B2 (en) 2011-09-20 2014-04-08 Nikon Corporation Exchangeable lens
US8714844B2 (en) * 2011-09-20 2014-05-06 Nikon Corporation Intermediate adapter, camera accessory, and exchangeable lens
JP2013068833A (ja) 2011-09-22 2013-04-18 Sony Corp アクセサリー、撮像装置及び検出方法
JP2013092556A (ja) 2011-10-24 2013-05-16 Sony Corp アクセサリー及び撮像装置
JP5905275B2 (ja) 2012-01-30 2016-04-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773900B2 (ja) 2012-01-30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ータ
TWI468840B (zh) 2012-02-28 2015-01-11 Canon Kk 可裝卸地安裝到相機側配件插座的相機配件裝置
US9684229B2 (en) 2012-04-04 2017-06-20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ccessory and camera
CN104204939B (zh) * 2012-04-04 2018-05-04 佳能株式会社 相机及相机配件
JP5645889B2 (ja) 2012-07-20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EP2963472B1 (en) 2012-04-04 2021-12-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lens unit
JP5955136B2 (ja) 2012-07-05 2016-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JP5822861B2 (ja) 2012-04-04 2015-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US8830607B2 (en) 2012-04-10 2014-09-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interchanging lenses and lens mount therefor
JP5785324B2 (ja) 2012-04-27 2015-09-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JP5980559B2 (ja) * 2012-05-07 2016-08-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JP2013235074A (ja) 2012-05-07 2013-11-21 Olympus Imaging Corp 光学機器
CN104335116B (zh) * 2012-06-04 2017-08-08 理光映像有限公司 摄像装置
JP5344655B2 (ja) 2012-09-27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変換アダプタ装置及び交換レンズシステム
JP6192292B2 (ja) 2012-12-27 2017-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4157248A (ja) * 2013-02-15 2014-08-28 Nikon Corp カメラ用アクセサリ
CA2906336A1 (en) * 2013-03-15 2014-09-18 Zuma Dental, LLC Imaging system and method
WO2014147911A1 (ja) * 2013-03-21 2014-09-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およびマウント・アダプタならびにそれらの動作制御方法
CN105308501B (zh) 2013-06-21 2018-01-16 富士胶片株式会社 电接点装置、透镜单元、摄像装置
JP6415102B2 (ja) 2013-06-25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5525093B1 (ja) * 2013-07-11 2014-06-18 株式会社コシナ カメラ用ロック解除装置
JP5541430B1 (ja) 2013-08-1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装着装置
JP2015099350A (ja) 2013-10-15 2015-05-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
US9465279B2 (en) * 2013-12-16 2016-10-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with movable locking member
JP5969976B2 (ja) 2013-12-27 2016-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波モータ
CN103702022B (zh) 2014-01-01 2017-03-15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基于新型卡口和集成式镜头的影像获取方法
TWI518439B (zh) 2014-01-02 2016-01-2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裝置
CN203773216U (zh) 2014-04-21 2014-08-13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光学元件厂 一种相机连接器
JP6427944B2 (ja) * 2014-05-08 2018-11-2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255295B1 (ko) 2014-07-24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568808B2 (en) 2014-08-07 2017-02-14 Houdinix Llc Low-profile lens mount
JP2016080721A (ja) 2014-10-09 2016-05-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取付用アダプタ
JP6138104B2 (ja) 2014-11-05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JP6446241B2 (ja) * 2014-11-06 2018-12-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素子付中間筒
JP2016126069A (ja) 2014-12-26 2016-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533390B2 (ja) 2015-01-12 2019-06-19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内面検査装置
US10254633B2 (en) 2015-09-03 2019-04-09 Sony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camera grip, and imaging system
WO2017047229A1 (ja) 2015-09-17 2017-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収差補正ユニット
KR102140296B1 (ko) 2015-11-13 2020-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5785692A (zh) * 2016-03-09 2016-07-20 梁建平 手动镜头转接环和手动镜头实现自动对焦的方法
CN109716230B (zh) 2016-09-16 2021-03-12 富士胶片株式会社 透镜单元、相机系统及透镜卡口
JP6529683B2 (ja) 2016-09-27 2019-06-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ボディ
KR101698468B1 (ko) 2016-11-22 2017-02-01 주식회사 픽센 다목적 cctv 카메라 장치
CN106647108A (zh) 2016-12-15 2017-05-10 福建福特科光电股份有限公司 采用固定焦距镜头实现自动聚焦的镜头组件
TWI681245B (zh) * 2017-05-31 2020-01-0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安裝設備及用於成像設備的配件
JP6808680B2 (ja) 2017-05-31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ウント装置、撮像装置、アダプタ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US10591808B2 (en) * 2017-05-31 2020-03-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SG10202103518RA (en) 2017-05-31 2021-05-28 Canon Kk Adapter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US10627704B2 (en) 2017-05-31 2020-04-21 Canon Kabushiki Kaisha Accessory, image pickup apparatus on which same is mountable, and camera system
CN208386721U (zh) 2017-05-31 2019-01-15 佳能株式会社 配件、能够安装该配件的摄像设备及相机系统
RU2755029C2 (ru) 2017-05-31 2021-09-1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Аксессуар,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котором он может устанавливаться, и система камеры
JP6597751B2 (ja) * 2017-10-26 2019-10-30 株式会社ニコン アクセサリ
JP6455577B1 (ja) 2017-10-26 2019-01-23 株式会社ニコン アクセサリ
US10895710B2 (en) 2017-10-26 2021-01-19 Nikon Corporation Accessory
WO2020044501A1 (ja) * 2018-08-30 2020-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及びこれを装着可能な撮像装置、カメ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6417A1 (en) * 2008-12-31 2010-07-01 Samsung Digital Imaging Co., Ltd. Camera having detachable lens module
US20120201532A1 (en) * 2010-09-06 2012-08-09 Nikon Corporation Camera accessory, camera accessory mount, camera body and camera body mount
KR20130106031A (ko) * 2012-03-19 2013-09-27 김준환 렌즈 교환형 카메라용 기능성 렌즈 어댑터
US20130266304A1 (en) * 2012-04-04 2013-10-10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camera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85A (ko) 2018-12-10
SG10201804096XA (en) 2018-12-28
JP6615265B2 (ja) 2019-12-04
RU2020108074A (ru) 2020-03-11
PH12018000138A1 (en) 2019-12-11
BR102018011052B1 (pt) 2023-10-03
TW201903505A (zh) 2019-01-16
US20220082907A1 (en) 2022-03-17
JP2020024464A (ja) 2020-02-13
JP2018205736A (ja) 2018-12-27
EP3671338B1 (en) 2022-01-19
SG10201909089WA (en) 2019-11-28
EP3671338A1 (en) 2020-06-24
US11269240B2 (en) 2022-03-08
TW202234137A (zh) 2022-09-01
RU2715590C2 (ru) 2020-03-02
CN113518170B (zh) 2023-05-26
RU2018119501A (ru) 2019-11-28
RU2020108074A3 (ko) 2020-04-17
JP2021006930A (ja) 2021-01-21
CN108989611A (zh) 2018-12-11
TWI798091B (zh) 2023-04-01
US10775682B2 (en) 2020-09-15
EP3410187A1 (en) 2018-12-05
TWI676073B (zh) 2019-11-01
CN113518170A (zh) 2021-10-19
US20200233286A1 (en) 2020-07-23
EP3992709A1 (en) 2022-05-04
CN113518169A (zh) 2021-10-19
CN208424537U (zh) 2019-01-22
JP2022093551A (ja) 2022-06-23
CN113542570A (zh) 2021-10-22
JP6776433B2 (ja) 2020-10-28
KR102501431B1 (ko) 2023-02-21
TW202117433A (zh) 2021-05-01
JP7071464B2 (ja) 2022-05-19
RU2754082C2 (ru) 2021-08-26
EP3410187B1 (en) 2020-01-29
RU2018119501A3 (ko) 2019-11-28
KR102358098B1 (ko) 2022-02-07
TWI711873B (zh) 2020-12-01
BR102018011052A2 (pt) 2018-12-18
TWI768519B (zh) 2022-06-21
MY196104A (en) 2023-03-14
CN108989611B (zh) 2021-07-27
JP7409620B2 (ja) 2024-01-09
SG10202103518RA (en) 2021-05-28
US20180348601A1 (en) 2018-12-06
TW201947312A (zh) 201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8680B2 (ja) マウント装置、撮像装置、アダプタ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JP7086721B2 (ja) マウント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KR102501431B1 (ko) 마운트 장치, 어댑터 장치, 촬상장치, 및 악세서리
JP7309730B2 (ja) アダプタ装置、マウント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JP6743090B2 (ja) 撮像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EP3992709B1 (en) Adapter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