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239A -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239A
KR20210071239A KR1020190161211A KR20190161211A KR20210071239A KR 20210071239 A KR20210071239 A KR 20210071239A KR 1020190161211 A KR1020190161211 A KR 1020190161211A KR 20190161211 A KR20190161211 A KR 20190161211A KR 20210071239 A KR20210071239 A KR 2021007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door
absorbing member
support structure
trim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현
조의찬
람빨리 수드히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1239A/ko
Priority to US16/984,460 priority patent/US11427056B2/en
Priority to CN202010828819.2A priority patent/CN112918230B/zh
Publication of KR2021007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60J5/10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where lower door part moves independently from other door structures, e.g. by being hinged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Abstract

본 발명은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 로워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고, 차체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트림 및 로워 도어와 로워 트림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로워 트림은 차체의 바닥과 로워 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로워 도어 개방시 제1 흡수부재가 전개되어 로워 트림과 로워 도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Lower Door Unloading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미래 자동차의 도어를 통한 승하차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 게이트(tail gate)는 자동차 차체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웨건형 자동차 또는 승합차 및 레저용 자동차의 후미에 설치되는 개, 폐식 도어이다.
이러한 테일 게이트는 차실 내부에 형성된 화물실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테일 게이트를 장착함으로써, 화물실에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 또는 하역시킴과 더불어 승객이 차량 후방에서도 승, 하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래 자동차에서는 차량의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에도 테일 게이트가 장착되어 화물 적재와 더불어 승객이 차량 전후방에서 승, 하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승객의 승하차 편리성을 위해 평탄한 발판 구조와 더불어 승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한편,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범퍼가 테일 게이트 하단에 배치되는 구조도 있으나, 범퍼의 충격 흡수에는 한계가 있어 별도의 충격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39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워 도어 내측에 로워 트림을 형성하고 로워 도어 개방시 전개되는 에너지 흡수부재를 갖춘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토션스프링 및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에너지 흡수부재가 로워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고, 차체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트림; 및 상기 로워 도어와 상기 로워 트림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 흡수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 트림은 차체의 바닥과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워 도어 개방시 상기 제1 흡수부재가 전개되어 상기 로워 트림과 상기 로워 도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에는 차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워 트림에는 차체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보다 차체의 높이방향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차체의 바닥에 연결되는 제1 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보강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워 트림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흡수부재는 탄성력을 가진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워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흡수부재가 압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이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이 원복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흡수부재가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토션스프링이 원복되고, 상기 제1 흡수부재가 전개되어 상기 제1 흡수부재의 일단이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 끝단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고, 차체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트림; 상기 로워 도어와 상기 로워 트림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2 흡수부재; 및 상기 제2 흡수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 트림은 차체의 바닥과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워 도어 개방시 상기 제2 흡수부재가 전개되어 상기 로워 트림과 상기 로워 도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에는 차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워 트림에는 차체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보다 차체의 높이방향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 하부 일끝단에 형성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3 흡수부재; 및 상기 제3 흡수부재와 차량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보강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흡수부재는 상기 로워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3 흡수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스티프너 빔; 및 상기 제2 보강재의 일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로워 도어와 마주하는 웨더스트립; 을 더 포함하고,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보강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워 트림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로워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완전 압축되어 진동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압축스프링이 원복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흡수부재가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이 원복되고, 상기 제2 흡수부재의 일단이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 끝단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제3 흡수부재의 거치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가 폐쇄된 경우 상기 제3 흡수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2 보강재에 접하고, 상기 제3 흡수부재의 타단은 상기 로워 도어의 내부 판넬에 접하여 충돌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티프너 빔은 상기 제3 흡수부재에 전달된 하중 및 충돌에너지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된 경우 상기 제3 흡수부재 일단의 거치부에 상기 제2 흡수부재가 접하고, 상기 제3 흡수부재의 타단은 상기 로워 도어의 내부 판넬에 접하여 하중지지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로워 도어 내측에 로워 트림을 형성하고 로워 도어 개방시 전개되는 에너지 흡수부재를 갖춤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 증진 및 지지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토션스프링 및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에너지 흡수부재가 로워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전후방 충돌사고 발생시에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손상 방지와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개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개방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개방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폐쇄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개방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폐쇄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개방상태의 제2 흡수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폐쇄상태의 제2 흡수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개방상태의 제3 흡수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폐쇄상태의 제3 흡수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제2 보강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도어"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 및 차량의 폭방향으로 양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를 모두 포함하고, 본 명세서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의 일단을 대상으로 작성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개방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 개방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100), 로워 도어(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차체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트림 및 로워 도어(100)와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로워 트림(200)은 차체의 바닥과 로워 도어(10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로워 도어(100) 개방시 제1 흡수부재(310)가 전개되어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워 도어(100)에는 차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400)가 형성되고, 로워 트림(200)에는 차체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2 힌지부(500)가 형성되며, 제2 힌지부(500)는 제1 힌지부(400)보다 차체의 높이방향으로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차체의 바닥에 연결되는 제1 보강재(600)를 더 포함하고, 제2 힌지부(500)는 제1 보강재(600)와 연결되어 로워 트림(200)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는 루프와 인접한 일단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과 가까운 어퍼 도어의 타단이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개방되는 어퍼 도어의 타단과 인접하여 로워 도어(100)가 형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는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는 구동부의 구동력 인가로 개방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경우 이를 통해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탑승자가 승하차 하는 경우 로워 도어(100)의 일면에 위치하는 가니쉬가 외부 바닥면에 접촉하여 지지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로워 트림(200)은 로워 도어(1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도어(100)의 내측면은 굴곡진 형상일 수 있고, 로워 트림(200)이 차체의 바닥과 로워 도어(100) 간의 이격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트림(200)은 탑승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충돌 및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장력강(HSS: High Strength Steel) 또는 초고장력강(이하 AHSS: Advanced High Strength Steel)으로 구성될 수 있다. AHSS는 U(Ultra)HSS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로워 트림(200)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로워 트림(200)의 형상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차체의 바닥 폭넓이와 대응되는 평평한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승하차시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발이 닿게되는 로워 트림(200)의 일면은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로워 트림(200)의 배면은 제1 흡수부재(31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요철이 없도록 형성할 수 있다.
로워 트림(200)은 차체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트림(200)은 차체의 바닥과 로워 도어(10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차체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2 힌지부(500)가 리턴 스프링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에는 차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힌지부(500)는 제1 힌지부(400)보다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워 도어(100)의 상단이 회전 개방될 때 제2 힌지부(500)의 리턴 스프링에 의해 로워 트림(200)의 상단이 일체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로워 도어(100)와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 흡수부재(3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 개방시 제1 흡수부재(310)가 전개되어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3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복수개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트림(200)의 폭방향으로 센터에 하나가 형성되고 사이드에 두개가 형성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고 충돌 에너지를 분산하여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3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1 ch1oride)로 형성되어 충돌 에너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제1 흡수부재(310)의 재질로 PVC에 준한 성질을 갖는 재료라면 특별히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1 흡수부재(310)는 로워 도어(100)와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트림(200)을 통한 탑승자의 승하차시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간의 이격 공간을 제1 흡수부재(310)가 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로워 도어(100)가 개방되어 탑승자가 승하차시 하중 지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 충돌시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간의 이격 공간을 제1 흡수부재(310)가 메우도록 구성되어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손상 방지와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차체의 바닥에 연결되는 제1 보강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재(600)에는 제2 힌지부(500)가 연결되어 로워 트림(200)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보강재(600)는 차체의 바닥에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재(600)의 일단에 제2 힌지부(500)가 볼트 체결되어 로워 트림(200)이 회전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트림(200)의 하단부 양끝단에 제2 힌지부(500)가 연결되어 로워 도어(100)가 개방되는 경우 로워 트림(200)이 일체로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100) 개방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제1 흡수부재(310)는 탄성력을 가진 토션스프링(31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로워 도어(100)가 개방되는 경우 토션스프링(311)이 원복되는 힘에 의해 제1 흡수부재(310)가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311)이 원복되고, 제1 흡수부재(310)가 전개되어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이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311)은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연결된 제1 흡수부재(310)의 타단에 토션스프링(311)이 형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311)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개방상태에 있는 경우 압축력을 받지 않는 상태일 수 있고, 로워 도어(100)가 폐쇄되어 제1 흡수부재(310)가 회전하여 압착되는 경우 압축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토션스프링(311)의 원복되는 힘에 의해 제1 흡수부재(310)가 회전 전개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토션스프링(311)의 원복력은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에 인가되고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은 회전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311)이 완전히 원복되고, 제1 흡수부재(310)가 전개되어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이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회전하여 전개된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접하게 되면 더 이상 전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310)의 타단은 토션스프링(311)을 통해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접하고,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지지되어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의 이격 공간을 안정적으로 메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100) 폐쇄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흡수부재(310)가 압착되고 토션스프링(311)이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폐쇄되는 경우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을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이 밀어 압착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도어(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접해있던 제1 흡수부재(310)의 일단이 로워 도어(100)가 폐쇄되면서 로워 도어(100)의 내측면에 걸려 회전하여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310)는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 충돌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사이 이격 공간에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100) 개방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100) 폐쇄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100), 로워 도어(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차체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트림(200), 로워 도어(100)와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2 흡수부재(320) 및 제2 흡수부재(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330)을 포함하고, 로워 트림(200)은 차체의 바닥과 로워 도어(10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로워 도어(100) 개방시 제2 흡수부재(320)가 전개되어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워 도어(100)에는 차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400)가 형성되고, 로워 트림(200)에는 차체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2 힌지부(500)가 형성되며, 제2 힌지부(500)는 제1 힌지부(400)보다 차체의 높이방향으로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수부재(320)는 로워 도어(100)와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흡수부재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복수개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트림(200)의 폭방향으로 센터에 하나가 형성되고 사이드에 두개가 형성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고 충돌 에너지를 분산하여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흡수부재(32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1 ch1oride)로 형성되어 충돌 에너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제2 흡수부재(320)의 재질로 PVC에 준한 성질을 갖는 재료라면 특별히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로워 트림(200)을 통한 탑승자의 승하차시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간의 이격 공간을 제2 흡수부재(320)가 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로워 도어(100)가 개방되어 탑승자가 승하차시 하중 지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 충돌시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간의 이격 공간을 제2 흡수부재(320)가 메우도록 구성되어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손상 방지와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330)은 제2 흡수부재(32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330)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개방상태에 있는 경우 압축력을 받지 않는 상태일 수 있고, 로워 도어(100)가 폐쇄되어 제2 흡수부재(320)가 압착되는 경우 압축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압축스프링(330)의 원복되는 힘에 의해 제2 흡수부재(320)가 전개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압축스프링(330)의 원복력은 제2 흡수부재(320)의 일면에 인가되고 제2 흡수부재(320)의 일면이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압축스프링(330)이 완전히 원복되고, 제2 흡수부재(320)가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제2 흡수부재(320)의 일단이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전개된 제2 흡수부재(320)의 일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접하게 되면 더 이상 전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로워 도어(100)의 내측 하부 일끝단에 형성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3 흡수부재(340) 및 제3 흡수부재(340)와 차량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보강재(700)를 더 포함하고, 제3 흡수부재(340)는 로워 도어(100)가 개방되는 경우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흡수부재(340)는 제2 흡수부재(320)와 차체의 폭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3 흡수부재(340)의 일단에는 제2 흡수부재(320)가 접하는 거치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측 하부 일끝단에 굴곡진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흡수부재(34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1 ch1oride)로 형성되어 충돌 에너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제3 흡수부재(340)의 재질로 PVC에 준한 성질을 갖는 재료라면 특별히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로워 도어(100)가 개방되는 경우 제3 흡수부재(340)는 일체로 회전하여 제3 흡수부재(340)의 일단이 로워 트림(200) 및 제2 흡수부재(320)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워 도어(100)와 로워 트림(2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메울 수 있고, 탑승자가 승하차시 하중 지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제2 흡수부재(320)의 일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접하고, 타단은 제3 흡수부재(340)의 거치부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흡수부재(340)는 제2 흡수부재(320) 및 압축스프링(330)과 연동하여 하중지지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보강재(700)는 제3 흡수부재(340)와 차량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강재(700)는 차체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고,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경우 제3 흡수부재(340)의 일단을 지지하여 외부 충돌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는, 제3 흡수부재(340)의 내부를 관통하는 스티프너 빔(350) 및 제2 보강재(700)의 일끝단에 위치하고 로워 도어(100)와 마주하는 웨더스트립(360)을 더 포함하고, 제2 힌지부(500)는 제2 보강재(700)와 연결되어 로워 트림(200)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티프너 빔(350)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제3 흡수부재(340)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티프너 빔(350)으로는 기계구조용 탄소강관(STKM)이 사용될 수 있다. 스티프너 빔(350)은 제3 흡수부재(340)와 더불어 상호 충돌대응 및 하중 지지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티프너 빔(350)은 제3 흡수부재(340)에 전달된 하중 및 충돌에너지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100) 개방상태의 제2 흡수부재(320)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100) 폐쇄상태의 제2 흡수부재(3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제2 흡수부재(320)의 일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에 접하고 타단은 제3 흡수부재(340)의 거치부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승자의 승하차시 하중은 로워 트림(200)에서 압축스프링(330)과 제2 흡수부재(320)에 인가되고, 제2 흡수부재(320)는 로워 도어(100)와 제3 흡수부재(34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압축스프링(330)은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완전 압축되어 진동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압축스프링(330)의 일단은 제2 흡수부재(320)에 접하고, 타단은 로워 트림(200)의 배면에 접하여 외부 충돌이나 진동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100) 개방상태의 제3 흡수부재(340)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로워 도어(100) 폐쇄상태의 제3 흡수부재(340)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경우 제3 흡수부재(340) 일단의 거치부에 제2 흡수부재(320)가 접하고, 제3 흡수부재(340)의 타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부 판넬에 접하여 하중지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트림(200)을 통해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로워 트림(200)과 로워 도어(100) 사이에는 뜨는 공간을 제3 흡수부재(340)가 지지하여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흡수부재(340)와 더불어, 스티프너 빔(350)은 제2 흡수부재(320)에 전달된 하중을 인가받아 하중지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경우 제3 흡수부재(340)의 일단은 제2 보강재(700)에 접하고, 제3 흡수부재(340)의 타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부 판넬에 접하여 충돌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400)를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100)는 차량 충돌시 일차적인 충격 에너지가 가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제3 흡수부재(340)의 타단은 로워 도어(100)의 내측 끝단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하고, 제2 보강재(700)를 제3 흡수부재(340)의 일단에 접하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돌시 로워 도어(100)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제3 흡수부재(340)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3 흡수부재(340)와 더불어 스티프너 빔(350)과 제2 보강재(700)는 충격에너지를 감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차량 충돌시 제3 흡수부재(340)가 선행하여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스티프너 빔(350)과 제2 보강재(700)가 충돌에너지를 감쇄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의 제2 보강재(700)를 도시하고 있다.
제2 보강재(700)의 일면에는 제2 힌지부(500)가 볼트 결합되어 로워 트림(200)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보강재(700)의 일끝단에는 로워 도어(100)와 마주하는 웨더스트립(360)을 형성하여 로워 도어(100)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보강재(700)는 제3 흡수부재(340)와 차량의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로워 도어(100)가 폐쇄된 경우 충돌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로워 도어(100) 내측에 로워 트림(200)을 형성하고 로워 도어(100) 개방시 전개되는 에너지 흡수부재를 갖춤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 증진 및 지지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도어"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로워 도어
200: 로워 트림
310: 제1 흡수부재
311: 토션스프링
320: 제2 흡수부재
330: 압축스프링
340: 제3 흡수부재
350: 스티프너 빔
360: 웨더스트립
400: 제1 힌지부
500: 제2 힌지부
600: 제1 보강재
700: 제2 보강재

Claims (16)

  1.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고, 차체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트림; 및
    상기 로워 도어와 상기 로워 트림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 흡수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 트림은 차체의 바닥과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워 도어 개방시 상기 제1 흡수부재가 전개되어 상기 로워 트림과 상기 로워 도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에는 차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워 트림에는 차체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보다 차체의 높이방향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차체의 바닥에 연결되는 제1 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보강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워 트림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부재는 탄성력을 가진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워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흡수부재가 압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이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이 원복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흡수부재가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토션스프링이 원복되고, 상기 제1 흡수부재가 전개되어 상기 제1 흡수부재의 일단이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 끝단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7.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고, 차체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트림;
    상기 로워 도어와 상기 로워 트림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2 흡수부재; 및
    상기 제2 흡수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 트림은 차체의 바닥과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워 도어 개방시 상기 제2 흡수부재가 전개되어 상기 로워 트림과 상기 로워 도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에는 차체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워 트림에는 차체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보다 차체의 높이방향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 하부 일끝단에 형성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3 흡수부재; 및
    상기 제3 흡수부재와 차량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보강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흡수부재는 상기 로워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흡수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스티프너 빔; 을 더 포함하고,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보강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워 트림이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로워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완전 압축되어 진동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압축스프링이 원복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흡수부재가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이 원복되고, 상기 제2 흡수부재의 일단이 상기 로워 도어의 내측 끝단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제3 흡수부재의 거치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가 폐쇄된 경우 상기 제3 흡수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2 보강재에 접하고, 상기 제3 흡수부재의 타단은 상기 로워 도어의 내부 판넬에 접하여 충돌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 빔은 상기 제3 흡수부재에 전달된 하중 및 충돌에너지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된 경우 상기 제3 흡수부재 일단의 거치부에 상기 제2 흡수부재가 접하고, 상기 제3 흡수부재의 타단은 상기 로워 도어의 내부 판넬에 접하여 하중지지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KR1020190161211A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KR20210071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11A KR20210071239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US16/984,460 US11427056B2 (en) 2019-12-06 2020-08-04 Boarding/deboarding support structure for lower door
CN202010828819.2A CN112918230B (zh) 2019-12-06 2020-08-17 上车/下车支撑结构和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11A KR20210071239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239A true KR20210071239A (ko) 2021-06-16

Family

ID=7616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211A KR20210071239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7056B2 (ko)
KR (1) KR20210071239A (ko)
CN (1) CN1129182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238A (ko) * 2019-12-06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JP2021155004A (ja) * 2020-03-30 2021-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KR20220094488A (ko) * 2020-12-29 2022-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 도어 개폐 보조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943B1 (ko) 2000-11-24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4527A (en) * 1973-01-24 1975-04-01 Robert E Royce Vehicle mounted access ramp for wheelchair users
US4155468A (en) * 1977-05-31 1979-05-22 The Robert E. Royce Revocable Trust Vehicle mounted access ramp assembly for wheel chair users
US4877226A (en) * 1987-11-25 1989-10-31 Tayco Developments, Inc. Fluid shock absorber constructions
US5188415A (en) * 1992-04-13 1993-02-23 Wagner Mark E Pivotable tailgate connector
US5904391A (en) * 1998-02-23 1999-05-18 Liljenquest; Lance Tailgate gap cover
JP4193482B2 (ja) * 2002-12-13 2008-12-1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荷室構造
US7401832B2 (en) * 2005-09-14 2008-07-22 Mitsubishi Jidosha Engineering Kabushiki Kaisha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vehicle
US7571947B2 (en) * 2006-08-22 2009-08-11 Ronald Hawley Device and method for extending truck cargo space
US7677626B2 (en) * 2007-10-23 2010-03-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ulti-functional vehicle tailgate
US7651148B2 (en) * 2008-03-27 2010-01-26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Passenger vehicle trunk structure
KR100986547B1 (ko) * 2008-04-17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적재함의 게이트 완충구조
KR101068172B1 (ko) * 2009-05-28 2011-09-27 주식회사 금강특장 탑차
US20110291338A1 (en) * 2010-05-27 2011-12-01 Pepka Charles F Preloaded dual-spring assembly
US8459716B2 (en) * 2010-12-22 2013-06-11 David L. Kaplan Removable tailgate gap cover
FR2980418B1 (fr) * 2011-09-26 2013-10-25 Nexter Systems Systeme d'acces a un habitacle
JP5427216B2 (ja) * 2011-09-27 2014-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軽荷重吸収構造
TW201406575A (zh) * 2012-08-10 2014-02-16 San-Lang Ding 舉升裝置、罩覆機構以及覆蓋施作總成
JP5994591B2 (ja) * 2012-11-15 2016-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ーラバー
US9016764B2 (en) * 2013-09-05 2015-04-2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cargo bed accessory
US9016753B2 (en) * 2013-09-23 2015-04-28 Martin Daniel McDermott, III Tailgate gap cover
CN103660879A (zh) * 2013-12-05 2014-03-26 东风汽车公司 一种上下对开式的两截式联动车门
BR102014002330B1 (pt) * 2014-01-30 2022-03-08 Fca Fiat Chrysler Automoveis Brasil Ltda Porta traseira com extensor da área de carga para veículo automotivo de carga e veículo automotivo
WO2017007339A2 (en) * 2015-07-06 2017-01-12 Gheorghe Sorin Shock absorption device
KR101806621B1 (ko) * 2015-10-02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시 도어 개방 방지 장치
JP2018012395A (ja) * 2016-07-20 2018-0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782624B2 (ja) * 2016-12-16 2020-11-11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緩衝材
CN206485289U (zh) * 2017-01-19 2017-09-12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饰板、车门及汽车
JP6669086B2 (ja) * 2017-01-23 2020-03-1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バックドア及び車両後部構造
CN206938407U (zh) * 2017-06-09 2018-01-30 青岛述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支撑框架
CN108749538A (zh) * 2018-07-03 2018-11-06 绿源环保有限公司 一种建筑余泥装运车
CN110239316B (zh) * 2019-05-17 2021-01-0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乘客保护装置及车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943B1 (ko) 2000-11-24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18230A (zh) 2021-06-08
US20210170844A1 (en) 2021-06-10
US11427056B2 (en) 2022-08-30
CN112918230B (zh)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1239A (ko)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CN104114793A (zh) 用于车辆门锁的防撞缓冲器
EP1275575B1 (en) Automotive body structure
US6851740B1 (en) Automotive vehicle with lateral impact seat displacement system
KR20210071238A (ko)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JP2013244788A (ja) 車両用ドア
JP7215498B2 (ja) 自動車ドア
KR20220093413A (ko) 로워 게이트 스토퍼 구조
JP4917976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334728B1 (ko) 차체의 측면 하부의 보강 구조
JPS6218380B2 (ko)
KR101338596B1 (ko) 측면 충돌 강성 강화타입 차체프레임
KR102132724B1 (ko) 자동차의 프론트도어 슬라이딩장치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177379Y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완충장치
KR100263965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04509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100275201B1 (ko) 자동차의 센터필라 보강구조
KR20210071237A (ko) 로워 도어 개방구조
KR0126816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200188443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210034Y1 (ko)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00410930B1 (ko)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KR20020049502A (ko) 승합차의 리어 범퍼용 스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