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237A - 로워 도어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로워 도어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237A
KR20210071237A KR1020190161209A KR20190161209A KR20210071237A KR 20210071237 A KR20210071237 A KR 20210071237A KR 1020190161209 A KR1020190161209 A KR 1020190161209A KR 20190161209 A KR20190161209 A KR 20190161209A KR 20210071237 A KR20210071237 A KR 20210071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door
garnish
unit
driving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람빨리 수드히르
조기현
정청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1237A/ko
Priority to US17/020,252 priority patent/US11541733B2/en
Priority to DE102020211668.7A priority patent/DE102020211668A1/de
Priority to CN202011001129.6A priority patent/CN112922483A/zh
Publication of KR2021007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60J5/10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where lower door part moves independently from other door structures, e.g. by being hinged on the vehicle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4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recreational vehicles, e.g. caravans or campe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2Spindles; W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워 도어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고, 하부 일단이 로워 도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가니쉬 유닛,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로워 도어 및 가니쉬 유닛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 가니쉬 유닛의 틸팅을 수행하는 제1 구동부, 틸팅된 가니쉬 유닛과 로워 도어를 일체로 팝업시키고 개방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부 및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힌지암 을 포함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워 도어 개방구조{Lower door open structure}
본 발명은 로워 도어 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하나의 구동 유닛을 통해 가니쉬 유닛을 틸팅시키고 틸팅된 가니쉬 유닛 및 로워 도어를 일체로 팝업 및 회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 게이트(tail gate)는 자동차 차체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웨건형 자동차 또는 승합차 및 레저용 자동차의 후미에 설치되는 개, 폐식 도어이다.
이러한 테일 게이트는 차실 내부에 형성된 화물실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테일 게이트를 장착함으로써, 화물실에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 또는 하역시킴과 더불어 승객이 차량 후방에서도 승, 하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자율주행과 관련된 차량의 개발과 더불어 차량의 주행을 위한 운전석의 기준이 약화되었으며, 차량의 승하차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차량의 실내로 접근이 용이할 수 있도록 테일 게이트를 통한 승하차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테일 게이트가 직각으로 개방된 경우 외부 바닥면과 테일 게이트 사이의 뜨는 공간이 존재하게 되어 승하차시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테일 게이트의 일단이 외부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역시, 외부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89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구동 유닛을 통해 가니쉬 유닛을 틸팅시키고 틸팅된 가니쉬 유닛 및 로워 도어를 일체로 팝업 및 회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되어 외부 바닥면에 틸팅된 가니쉬 유닛이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로워 도어 개방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 상기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고, 하부 일단이 상기 로워 도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가니쉬 유닛;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로워 도어 및 상기 가니쉬 유닛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 상기 가니쉬 유닛의 틸팅을 수행하는 제1 구동부; 틸팅된 상기 가니쉬 유닛과 상기 로워 도어를 일체로 팝업시키고 개방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힌지암; 을 포함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니쉬 유닛은 상기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되는 가니쉬 본체; 상기 가니쉬 본체의 상부와 상기 로워 도어를 연결하는 가니쉬 힌지; 및 상기 가니쉬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니쉬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가니쉬 본체의 하부 일단이 회전하여 상기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니쉬 본체는, 상기 로워 도어의 완전 개방시 외부 바닥면과 접촉하는 가니쉬 패널; 상기 가니쉬 패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임팩트 멤버; 상기 가니쉬 패널 및 상기 제1 임팩트 멤버 사이에 위치하여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수부재; 상기 흡수부재 내에 적어도 하나 이격하여 형성되어 압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제1 임팩트 멤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임팩트 멤버; 및 상기 제1 임팩트 멤버 및 상기 제2 임팩트 멤버 사이에 위치하는 댐핑스프링;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구동 유닛 및 상기 가니쉬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레버; 및 상기 구동 유닛이 이동하는 제1 그루브를 갖는 힌지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의 일단이 상기 제1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구동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구동구간에서 상기 가니쉬 유닛은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로워 도어가 잠금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래치부; 상기 힌지암이 이동하는 제2 그루브를 갖는 스트라이커 베이스; 및 상기 스트라이커 베이스에 형성되는 스트라이커; 를 포함하고, 제1 구동구간 이동 이후,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제1 구동부와 일체로 상기 제2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구동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2 구동구간에서, 상기 힌지암은 상기 제2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틸팅된 가니쉬 유닛 및 상기 로워 도어를 팝업시키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제1 구동구간 이동 이후 상기 구동 유닛의 일단과 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릴리즈 레버; 상기 릴리즈 레버의 일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파울; 및 상기 파울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크로우; 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우의 회전으로 상기 스트라이커와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구간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레버에 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가니쉬 유닛이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33mm 내지 39mm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구간에서 상기 구동 유닛의 일단이 상기 릴리즈 레버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파울 및 상기 크로우가 회전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크로우와 걸림 해제되어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구동구간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힌지암이 상기 제2 구동구간을 따라 이동시 상기 제1 구동부, 상기 가니쉬 유닛 및 상기 로워 도어가 일체로 팝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구간에서 상기 힌지암은 상기 제2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145mm 내지 155mm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구간 이후 제3 구동구간에서, 상기 힌지암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 상기 가니쉬 유닛 및 상기 로워 도어가 일체로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핀들;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 유닛을 통해 가니쉬 유닛을 틸팅시키고 틸팅된 가니쉬 유닛 및 로워 도어를 일체로 팝업 및 회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개의 액츄에이터 없이 구동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되어 외부 바닥면에 틸팅된 가니쉬 유닛이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탑승자의 편의성 증진 및 지지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폐쇄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완전 개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가니쉬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가니쉬 유닛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가니쉬 유닛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구동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제1 구동구간동안 구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래치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제2 구동구간동안 구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제3 구동구간동안 구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제1 구동구간"은 구동 유닛(300)의 일단이 제1 그루브(4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제2 구동구간"은 1 구동구간 이동 이후 구동 유닛(300)이 제1 구동부(400)와 일체로 제2 그루브(5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의미하며, "제3 구동구간"은 제2 구동구간 이동 이후 구동 유닛(300)이 추가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제1 구동구간 내지 제3 구동구간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도어"는 전방 도어 및 후방 도어를 모두 포함하고, 본 명세서는 도어의 일단을 대상으로 작성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폐쇄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완전 개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는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100), 상기 로워 도어(100)의 일면에 위치하고, 하부 일단이 상기 로워 도어(100)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가니쉬 유닛(200),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로워 도어(100) 및 상기 가니쉬 유닛(20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300), 상기 가니쉬 유닛(200)의 틸팅을 수행하는 제1 구동부(400), 틸팅된 상기 가니쉬 유닛(200)과 상기 로워 도어(100)를 일체로 팝업시키고 개방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부(500) 및 제1 구동부(400) 및 제2 구동부(5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힌지암(52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는 루프와 인접한 일단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과 가까운 어퍼 도어의 타단이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개방되는 어퍼 도어의 타단과 인접하여 로워 도어(100)가 형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는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구동 유닛(300)으로부터 개방력을 인가받은 로워 도어(100)는 힌지암(520)을 기준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경우 이를 통해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탑승자가 승하차 하는 경우 로우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는 가니쉬 유닛(200)이 외부 바닥면에 접촉하여 승하차 편의성 및 지지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니쉬 유닛(200)은 로워 도어(100)의 일면에 위치하고, 하부 일단이 로워 도어(100)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가니쉬 유닛(200)은 로워 도어(100)로부터 틸팅되는 가니쉬 본체(210), 가니쉬 본체(210)의 상부와 상기 로워 도어(100)를 연결하는 가니쉬 힌지(220) 및 가니쉬 본체(2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니쉬 레버(230)를 포함하고, 가니쉬 힌지(220)를 기준으로 가니쉬 본체(210)의 하부 일단이 회전하여 로워 도어(100)로부터 틸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유닛(300)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로워 도어(100) 및 가니쉬 유닛(200)에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구동 유닛(300)은 구동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310) 및 액츄에이터(3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핀들(3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핀들(320)은 액츄에이터(310)에 의해 구동력이 인가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액츄에이터(310)의 구동력이 스핀들(320)에 인가되는 경우 로워 테일게이드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 구동부(400)를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길이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연속적으로 액츄에이터(310)의 구동력이 스핀들(320)에 추가로 인가되는 경우 스핀들(320) 및 제1 구동부(400)가 일체로 힌지암(52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동부(400)는 가니쉬 유닛(200)의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오픈 입력에 대응하여 스핀들(32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구동부(400)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동부(400)에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가니쉬 유닛(20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하부 일단이 로워 도어(100)로부터 틸팅될 수 있다.
제2 구동부(500)는 틸팅된 가니쉬 유닛(200)과 로워 도어(100)를 일체로 팝업시키고 개방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부(500)는 제1 구동부(400)와 힌지암(520)으로 연결되어 제1 구동부(400)가 이동할 때 힌지암(520)에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가니쉬 유닛(200)의 틸팅을 수행하도록 연장된 스핀들(320)은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연장되어 힌지암(520)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암(520)에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틸팅된 가니쉬 유닛(200) 및 로워 도어(100)는 일체로 팝업되고, 이에 연속으로 힌지암(520)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의 가니쉬 유닛(2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의 가니쉬 유닛(200)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의 가니쉬 유닛(2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가니쉬 본체(210)는, 로워 도어(100)의 완전 개방시 외부 바닥면과 접촉하는 가니쉬 패널(211), 가니쉬 패널(2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임팩트 멤버(212), 가니쉬 패널(211) 및 제1 임팩트 멤버(212) 사이에 위치하여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수부재(213), 흡수부재(213) 내에 적어도 하나 이격하여 형성되어 압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214), 제1 임팩트 멤버(212)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임팩트 멤버(215) 및 제1 임팩트 멤버(212) 및 제2 임팩트 멤버(215) 사이에 위치하는 댐핑스프링(216)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본체(210)의 상부에는 가니쉬 힌지(220)를 형성하여 로워 도어(100)와 연결될 수 있다. 가니쉬 힌지(220)는 가니쉬 본체(2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니쉬 힌지(220)를 기준으로 가니쉬 본체(210)의 하부 일단이 회전하여 로워 도어(100)로부터 틸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니쉬 본체(210)의 하부에는 제1 구동부(400)와 연결되는 가니쉬 레버(230)가 형성될 수 있다. 가니쉬 레버(230)는 제1 구동부(40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구동부(400)가 장력을 인가하는 경우 가니쉬 본체(210)를 소정의 각도로 틸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레버(230)의 일끝단은 연결 레버(410)에 연결되고 타끝단은 가니쉬 유닛(200)의 배면에 연결될 수 있다.
가니쉬 본체(210)의 틸팅 각도는 로워 도어(100)를 기준으로 4°내지 8°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6°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본체(21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되어 외부 바닥면과 접촉되는 경우 생기는 간극을 메을 수 있어 지지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가니쉬 패널(211)은 센터부와 양끝단의 사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유닛(200)이 틸팅되는 경우 가니쉬 패널(211)의 사이드부만이 틸팅될 수도 있고, 센터부만이 틸팅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가니쉬 패널(211)의 센터부와 사이드부가 전체로써 틸팅될 수도 있다.
로워 도어(100)가 완전 개방되는 경우 가니쉬 패널(211)은 외부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다. 외부 바닥면과의 지지안정성을 위해 가니쉬 패널(211)의 형상은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외부 바닥면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가니쉬 패널(211)의 내측으로는 스프링부재(214), 제1 임팩트 멤버(212), 댐핑스프링(216) 및 제2 임팩트 멤버(215)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가니쉬 패널(211) 및 제1 임팩트 멤버(212) 사이에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수부재(213)를 형성하여 차량의 후방 충돌시 또는 로워 도어(100) 개방으로 외부 바닥면에 접촉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고, 탑승자의 승하차시 지지안정성을 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구동 유닛(300)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개방구조의 제1 구동구간동안 구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400)는 구동 유닛(300) 및 가니쉬 유닛(200)을 연결하는 연결 레버(410) 및 구동 유닛(300)이 이동하는 제1 그루브(421)를 갖는 힌지베이스(420)를 포함하고, 구동 유닛(300)의 일단이 제1 그루브(4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구동구간을 형성하여, 제1 구동구간에서 가니쉬 유닛(200)은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부(500)는 로워 도어(100)가 잠금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래치부(510), 힌지암(520)이 이동하는 제2 그루브(531)를 갖는 스트라이커 베이스(530) 및 스트라이커 베이스(530)에 형성되는 스트라이커(540)를 포함하고, 제1 구동구간 이동 이후, 구동 유닛(300)이 제1 구동부(400)와 일체로 제2 그루브(5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구동구간을 형성하여, 제2 구동구간에서, 힌지암(520)은 제2 그루브(5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틸팅된 가니쉬 유닛(200) 및 로워 도어(100)를 팝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동부(400)는 스트라이커(540)를 통해 제2 구동부(500)에 잠금되어 차량의 폭방향으로 구동 유닛(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부(500)는 제1 구동부(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유닛(300)이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먼저 스핀들(320)이 제1 구동부(400)를 따라 이동하고, 제1 구동부(400)는 제2 구동부(500)로부터 스트라이커(540)를 통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후 구동 유닛(300)이 연속적으로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고정된 제2 구동부(500)를 따라 제1 구동부(400)와 스핀들(320)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구동부(400)와 스핀들(320)이 움직이면 힌지암(52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연결 레버(410)는 힌지베이스(420)의 일단에 위치하여 구동 유닛(300) 및 가니쉬 유닛(200)을 연결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연결 레버(410)의 일끝단은 가니쉬 레버(230)의 일끝단과 연결되고, 타끝단은 구동 유닛(300)의 스핀들(320)의 일끝단과 연결되어 장력을 가니쉬 유닛(200)에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베이스(420)는 로워 도어(100)의 배면의 양끝단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워 도어(100)가 팝업되고 회전 개방될 수 있는 장력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로워 도어(100)의 배면에 소정의 접촉면적을 가지고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로워 도어(100)가 팝업되고 회전 개방하는 경우 힌지베이스(420) 또한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421)는 힌지베이스(42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 그루브(421)의 길이는 가니쉬 유닛(200)이 틸팅되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421)를 통해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 레버(410)에 장력을 인가하고, 가니쉬 레버(230)를 통해 가니쉬 유닛(200)을 소정의 각도록 틸팅시킬 수 있다.
스핀들(320)의 일끝단에는 볼조인트가 형성되어 힌지베이스(420)가 회전하는 경우 스핀들(320)은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제1 그루브(421)의 일단에서 차량의 외측방향 끝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스핀들(320)의 추가 연장으로 힌지암(520)의 타끝단이 제2 그루브(531)의 일단에서 차량의 외측방향 끝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다시 추가적인 스핀들(320)의 연장으로 힌지베이스(420) 및 로워 도어(100)가 일체로 회전하는 경우 스핀들(320)은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 레버(410)에 장력 인가시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구동구간에서, 구동 유닛(300)의 일단이 제1 그루브(4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 구동구간은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제1 그루브(4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니쉬 유닛(200)의 틸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부(510)는 힌지베이스(420)의 일면에 위치하여 로워 도어(100)가 잠금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2 구동부(500)에 잠금되어 있던 제1 구동부(400)의 잠금을 해제하여 가니쉬 유닛(200)이 틸팅된 이후 틸팅된 가니쉬 유닛(200)과 로워 도어(100)가 일체로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암(520)의 일끝단은 힌지베이스(420)에 연결되고 타끝단은 스트라이커 베이스(530)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유닛(300)이 힌지암(520)에 인가하는 구동력으로 로워 도어(100)는 팝업될 수 있다. 이때 힌지암(520)의 일끝단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워 도어(100)가 차체의 하부 방향으로 팝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암(520)의 일끝단을 기준으로 로워 도어(100)가 회전 개방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 베이스(530)는 차체의 하면에 고정되어 힌지베이스(4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 베이스(530)는 로워 도어(100)의 폐쇄상태 및 제1 구동구간 동안 힌지베이스(420)와 스트라이커(540)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래치부(510)를 통해 잠금이 해제되면 힌지암(52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힌지베이스(420)를 스트라이커 베이스(53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그루브(531)는 스트라이커 베이스(53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2 그루브(531)의 길이는 로워 도어(100)가 팝업되는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핀들(320)의 연장으로 힌지암(520)의 타끝단이 제2 그루브(531)의 일단에서 차량의 외측방향 끝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힌지암(520)이 이동하고, 힌지베이스(420)를 통해 로워 도어(100)를 소정의 길이로 팝업시킬 수 있다.
힌지암(520)의 일끝단 및 타끝단에는 볼조인트가 형성되어 제2 그루브(531)의 끝까지 이동한 이후 힌지베이스(420)가 회동할 때 힌지암(520)은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540)는 스트라이커 베이스(530)의 일면에 래치부(5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540)의 걸림 형상을 통해 제1 구동부(400)는 로워 도어(100)의 폐쇄상태 및 제1 구동구간 동안 제2 구동부(500)에 잠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구동구간에서, 제1 구동구간 이동 이후, 구동 유닛(300)이 제1 구동부(400)와 일체로 제2 그루브(5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2 구동구간은 힌지암(520)의 타끝단이 제2 그루브(5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로워 도어(100)가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는, 제1 구동구간에서 구동 유닛(300)은 제1 그루브(4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 레버(410)에 장력을 인가하고, 가니쉬 유닛(200)이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구동 유닛(300)은 제1 그루브(4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33mm 내지 39mm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제1 그루브(421)를 따라 33mm 내지 39mm 이동하는 경우 연결 레버(410)의 타끝단이 그에 대응하여 이동하고, 연결 레버(410)의 일끝단이 가니쉬 레버(230)의 일끝단에 장력을 인가하여 가니쉬 레버(230)의 타끝단이 가니쉬 유닛(200)을 틸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니쉬 유닛(200)의 틸팅 각도는 로워 도어(100)를 기준으로 4°내지 8°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6°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의 래치부(5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는 래치부(510)는 제1 구동구간 이동 이후 구동 유닛(300)의 일단과 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릴리즈 레버(511), 릴리즈 레버(511)의 일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파울(512) 및 파울(512)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크로우(513)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로우(513)의 회전으로 스트라이커(540)와 걸림 해제되어 제1 구동부(400)가 제2 구동부(500)로부터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구동구간에서 구동 유닛(300)의 일단이 릴리즈 레버(511)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파울(512) 및 크로우(513)가 회전되고, 스트라이커(540)가 크로우(513)와 걸림 해제되어 구동 유닛(300)에 의해 제2 구동구간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리즈 레버(511)는 힌지베이스(420)의 일면에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제1 그루브(421)의 차량의 외측과 가까운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릴리즈 레버(511)의 일끝단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울(512) 및 크로우(513)는 힌지베이스(420)의 동일면에 릴리즈 레버(511)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회전된 릴리즈 레버(511)의 타끝단에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울(512) 및 크로우(513)의 움직임으로 크로우(513)에 걸려있던 스트라이커(540)가 걸림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제1 그루브(421)의 차량의 외측과 가까운 일단에 위치하여 스트라이커(540)가 크로우(513)와 걸림 해제되는 경우, 스핀들(320)의 추가적인 이동으로 제2 구동구간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힌지암(520)을 통해 제1 구동부(400) 및 제2 구동부(500)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구동 유닛(300)으로 스핀들(320)의 일끝단을 이동시킨 이후, 추가적인 구동력 인가시 힌지암(520)이 이동하여 로워 도어(100)를 팝업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의 제2 구동구간동안 구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는 제2 구동구간에서 힌지암(520)은 제2 그루브(5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145mm 내지 155mm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힌지암(520)이 제2 구동구간을 따라 이동시 제1 구동부(400), 가니쉬 유닛(200) 및 로워 도어(100)가 일체로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암(520)의 타끝단이 제2 그루브(531)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에 대응하여, 차체로부터 로워 도어(100)가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제1 그루브(421)를 따라 33mm 내지 39mm 이동한 이후, 스핀들(320)의 추가 연장으로 힌지암(520)의 타끝단이 제2 그루브(531)를 따라 145mm내지 155mm 이동하여 로워 도어(100)가 팝업될 수 있다.
로워 도어(100)는 틸팅된 가니쉬 유닛(200)과 일체로 팝업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 구동부(400)가 가니쉬 유닛(200)의 틸팅을 수행한 후, 제1 구동부(400)가 제2 구동부(500)로부터 잠금이 해제되고, 스핀들(320)의 추가 연장으로 제1 구동부(400)와 힌지암(52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로워 도어(100)를 팝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의 제3 구동구간동안 구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는 제2 구동구간 이후 제3 구동구간에서, 힌지암(520)을 기준으로 제1 구동부(400), 가니쉬 유닛(200) 및 로워 도어(100)가 일체로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동구간 이동으로 스핀들(320)의 일끝단이 제1 그루브(421)의 차량의 외측과 가까운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구동부(400)는 제2 구동부(500)로부터 잠금이 해제될 수 있ㄷ. 제2 구동구간에서 제1 구동부(400)가 스핀들(320)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힌지베이스(420)에 연결된 힌지암(520)이 이동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00)의 힌지베이스(420)는 로워 도어(10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로워 도어(100)가 팝업되는 경우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구동구간 이후 제3 구동구간에서 로워 도어(100)가 틸팅된 가니쉬 유닛(200) 및 제1 구동부(400)와 일체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3 구동구간에서 힌지암(520)의 일끝단을 기준으로 제1 구동부(400) 및 가니쉬 유닛(200)을 포함한 로워 도어(100)가 일체로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제2 구동구간에서 스핀들(320)은 힌지암(520)의 타끝단이 제2 그루브(531)를 따라 150mm 이동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134mm 연장되어 로워 도어(100)를 회전 개방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 유닛(300)을 통해 가니쉬 유닛(200)을 틸팅시키고 틸팅된 가니쉬 유닛(200) 및 로워 도어(100)를 일체로 팝업 및 회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 로워 도어(100) 개방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방 도어, 후방 도어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차량 측면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로워 도어
200: 가니쉬 유닛
210: 가니쉬 본체
211: 가니쉬 패널
212: 제1 임팩트 멤버
213: 흡수부재
214: 스프링부재
215: 제2 임팩트 멤버
216: 댐핑스프링
220: 가니쉬 힌지
230: 가니쉬 레버
300: 구동 유닛
310: 액츄에이터
320: 스핀들
400: 제1 구동부
410: 연결 레버
420: 힌지베이스
421: 제1 그루브
500: 제2 구동부
510: 래치부
511: 릴리즈 레버
512: 파울
513: 크로우
520: 힌지암
530: 스트라이커 베이스
531: 제2 그루브
540: 스트라이커

Claims (13)

  1.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단이 회전 개방되는 로워 도어;
    상기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고, 하부 일단이 상기 로워 도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가니쉬 유닛;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로워 도어 및 상기 가니쉬 유닛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
    상기 가니쉬 유닛의 틸팅을 수행하는 제1 구동부;
    틸팅된 상기 가니쉬 유닛과 상기 로워 도어를 일체로 팝업시키고 개방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힌지암; 을 포함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 유닛은 상기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되는 가니쉬 본체;
    상기 가니쉬 본체의 상부와 상기 로워 도어를 연결하는 가니쉬 힌지; 및
    상기 가니쉬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니쉬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가니쉬 본체의 하부 일단이 회전하여 상기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 본체는,
    상기 로워 도어의 완전 개방시 외부 바닥면과 접촉하는 가니쉬 패널;
    상기 가니쉬 패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임팩트 멤버;
    상기 가니쉬 패널 및 상기 제1 임팩트 멤버 사이에 위치하여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수부재;
    상기 흡수부재 내에 적어도 하나 이격하여 형성되어 압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제1 임팩트 멤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임팩트 멤버; 및
    상기 제1 임팩트 멤버 및 상기 제2 임팩트 멤버 사이에 위치하는 댐핑스프링;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구동 유닛 및 상기 가니쉬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레버; 및
    상기 구동 유닛이 이동하는 제1 그루브를 갖는 힌지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의 일단이 상기 제1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구동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구동구간에서 상기 가니쉬 유닛은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로워 도어가 잠금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래치부;
    상기 힌지암이 이동하는 제2 그루브를 갖는 스트라이커 베이스; 및
    상기 스트라이커 베이스에 형성되는 스트라이커; 를 포함하고,
    제1 구동구간 이동 이후,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제1 구동부와 일체로 상기 제2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구동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2 구동구간에서, 상기 힌지암은 상기 제2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틸팅된 가니쉬 유닛 및 상기 로워 도어를 팝업시키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제1 구동구간 이동 이후 상기 구동 유닛의 일단과 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릴리즈 레버;
    상기 릴리즈 레버의 일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파울; 및
    상기 파울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크로우; 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우의 회전으로 상기 스트라이커와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구간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레버에 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가니쉬 유닛이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33mm 내지 39mm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구간에서 상기 구동 유닛의 일단이 상기 릴리즈 레버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파울 및 상기 크로우가 회전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크로우와 걸림 해제되어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구동구간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이 상기 제2 구동구간을 따라 이동시 상기 제1 구동부, 상기 가니쉬 유닛 및 상기 로워 도어가 일체로 팝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구간에서 상기 힌지암은 상기 제2 그루브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145mm 내지 155mm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구간 이후 제3 구동구간에서,
    상기 힌지암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 상기 가니쉬 유닛 및 상기 로워 도어가 일체로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핀들;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개방구조.
KR1020190161209A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개방구조 KR20210071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09A KR20210071237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개방구조
US17/020,252 US11541733B2 (en) 2019-12-06 2020-09-14 Opening structure for lower door
DE102020211668.7A DE102020211668A1 (de) 2019-12-06 2020-09-17 Öffnungsstruktur für eine untere Klappe
CN202011001129.6A CN112922483A (zh) 2019-12-06 2020-09-22 打开结构和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09A KR20210071237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237A true KR20210071237A (ko) 2021-06-16

Family

ID=7596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209A KR20210071237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개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41733B2 (ko)
KR (1) KR20210071237A (ko)
CN (1) CN112922483A (ko)
DE (1) DE10202021166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906B1 (ko) 2004-11-24 2006-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가니쉬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605A (en) * 1987-05-29 1990-10-09 Body Guard, Inc. Extendable protective trim
JPH0644748Y2 (ja) * 1987-10-28 1994-11-16 日野車体工業株式会社 テールゲートリフタのゲート開閉ロック構造
GB2505682B (en) * 2012-09-06 2015-10-14 Jaguar Land Rover Lt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doors of a power split tailgate
CN106882125A (zh) * 2015-12-16 2017-06-23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注塑件和车身配合件的安装结构、注塑件和车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906B1 (ko) 2004-11-24 2006-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가니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22483A (zh) 2021-06-08
US20210172232A1 (en) 2021-06-10
DE102020211668A1 (de) 2021-06-10
US11541733B2 (en)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5596B1 (en) Automotive double folding tailgate
US7980621B2 (en) Vehicle rear door articulating mechanism
US7735893B2 (en) Overhead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WO2014006975A1 (ja) テールゲート付き車両
US6234565B1 (en) Dual action bifold door assembly
JP6348527B2 (ja) 車体後部構造
KR20210071239A (ko)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KR20210071237A (ko) 로워 도어 개방구조
US11725447B2 (en) Structure for assisting opening and closing of lower door
JP4999153B2 (ja) 車両の補助テールゲート構造
JP2008105547A (ja) 自動車の車室後部構造
JP2623676B2 (ja) 自動車の後部ドア装置
KR20210071238A (ko)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JP3284825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7238634B2 (ja) 車両のスロープドア構造
JP2006224712A (ja) 車両用荷室構造
JPS6218380B2 (ko)
KR100828773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구조
KR100828775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구조
KR100223606B1 (ko) 자동차의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고정장치
KR100747888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KR100828774B1 (ko) 차량의 보조 테일 게이트구조
JP2003104141A (ja) 車両のリヤバンパ構造
KR200314271Y1 (ko) 자동차의 트렁크 구조
KR200272685Y1 (ko) 밴형 자동차의 2단 격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