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238A -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 Google Patents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238A
KR20210071238A KR1020190161210A KR20190161210A KR20210071238A KR 20210071238 A KR20210071238 A KR 20210071238A KR 1020190161210 A KR1020190161210 A KR 1020190161210A KR 20190161210 A KR20190161210 A KR 20190161210A KR 20210071238 A KR20210071238 A KR 20210071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nish
lower door
unit
peak
imp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람빨리 수드히르
조기현
정청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1238A/ko
Priority to US17/021,220 priority patent/US11453275B2/en
Priority to CN202011010551.8A priority patent/CN112918226A/zh
Publication of KR2021007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2019/026Buffers, i.e. bumpers of limited ex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고, 충격흡수 및 하중지지를 수행하는 가니쉬 유닛을 포함하고, 가니쉬 유닛은,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층 영역 및 충돌에 대응하는 제2층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Lower door garnish structure}
본 발명은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미래 자동차 도어의 충돌시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를 통한 탑승자의 승하차시 하중 지지가 가능한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 게이트(tail gate)는 자동차 차체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웨건형 자동차 또는 승합차 및 레저용 자동차의 후미에 설치되는 개, 폐식 도어이다.
이러한 테일 게이트는 차실 내부에 형성된 화물실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테일 게이트를 장착함으로써, 화물실에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 또는 하역시킴과 더불어 승객이 차량 후방에서도 승, 하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래 자동차에서는 차량의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에도 테일 게이트가 장착되어 화물 적재와 더불어 승객이 차량 전후방에서 승, 하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테일 게이트가 직각으로 개방되는 경우 외부 바닥면과 테일 게이트 사이의 뜨는 공간이 존재하게 되어 승하차시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테일 게이트의 일단이 외부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역시, 외부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범퍼가 테일 게이트 하단에 배치되는 구조도 있으나, 범퍼의 충격 흡수에는 한계가 있어 별도의 충격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39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1층 및 2층 두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임팩트 멤버 및 에너지 흡수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되어 외부 바닥면에 틸팅된 가니쉬 유닛이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고, 충격흡수 및 하중지지를 수행하는 가니쉬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유닛은,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층 영역; 및 충돌에 대응하는 제2층 영역;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니쉬 유닛은, 상기 가니쉬 유닛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가니쉬 패널; 상기 가니쉬 패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임팩트 멤버; 상기 제1층 영역에 위치하는 흡수부재; 상기 흡수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제1 임팩트 멤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임팩트 멤버; 및 상기 제2층 영역에 위치하는 댐핑스프링;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임팩트 멤버는 연속된 제1 산부와 제1 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제1 곡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임팩트 멤버는 연속된 제2 산부와 제2 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댐핑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 산부와 접하고 타단은 상기 제2 산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 및 상기 댐핑스프링은 상기 제1 산부 및 상기 제1 곡부에 상호 교차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산부, 상기 제1 곡부, 상기 제2 산부 및 상기 제2 곡부는 평탄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임팩트 멤버 및 상기 제2 임팩트 멤버는 고장력강 또는 초고장력강으로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니쉬 유닛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유닛의 상부와 상기 로워 도어를 연결하는 가니쉬 힌지; 및 상기 가니쉬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니쉬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가니쉬 유닛의 하부 일단이 회전하여 상기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 상기 가니쉬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층 및 2층 두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임팩트 멤버 및 에너지 흡수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하여 후방 충돌사고 발생시에 상기 흡수부재가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손상 방지와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되어 외부 바닥면에 틸팅된 가니쉬 유닛이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탑승자의 편의성 증진 및 지지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로워 도어 폐쇄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제1층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제2층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틸팅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제1층 영역"은 가니쉬 패널(130)과 제1 임팩트 멤버(140) 사이 영역으로 에너지 흡수 영역을 의미하고, "제2층 영역"은 제1 임팩트 멤버(140)와 제2 임팩트 멤버(170) 사이의 영역으로 충돌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1층 영역(110) 및 제2층 영역(120)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도어"는 전방 도어 및 후방 도어를 모두 포함하고, 본 명세서는 도어의 일단을 대상으로 작성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로워 도어 폐쇄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는 루프와 인접한 일단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과 가까운 어퍼 도어의 타단이 높이 방향으로 회전개방되도록 구성되고, 개방되는 어퍼 도어의 타단과 인접하여 로워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는 차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된 경우 이를 통해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탑승자가 승하차 하는 경우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는 가니쉬 유닛(100)이 외부 바닥면에 접촉하여 승하차 편의성 및 지지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은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여, 하부 일단이 로워 도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가니쉬 유닛(100)은 센터부와 양끝단의 사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이 틸팅되는 경우 사이드부만이 틸팅될 수도 있고, 센터부만이 틸팅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가니쉬 유닛(100)의 센터부와 사이드부가 전체로써 틸팅될 수도 있다.
구동 유닛(200)은 가니쉬 유닛(100)의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가니쉬 유닛(100)에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구동 유닛(200)은 가니쉬 유닛(100)의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가니쉬 유닛(100) 틸팅 입력에 대응하여 구동 유닛(20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니쉬 유닛(100)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은 구동 유닛(200)으로부터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하부 일단이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동 유닛(200)의 추가적인 구동력 인가로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하는 경우 틸팅된 가니쉬 유닛(100)이 바닥면과 수평에 가깝도록 하여 지지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제1층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제2층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는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고, 충격흡수 및 하중지지를 수행하는 가니쉬 유닛(100)을 포함하고, 가니쉬 유닛(100)은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층 영역(110) 및 충돌에 대응하는 제2층 영역(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니쉬 유닛(100)은 가니쉬 유닛(100)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가니쉬 패널(130), 가니쉬 패널(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임팩트 멤버(140), 제1층 영역(110)에 위치하는 흡수부재(150), 흡수부재(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부재(160), 제1 임팩트 멤버(1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임팩트 멤버(170) 및 제2층 영역(120)에 위치하는 댐핑스프링(18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가니쉬 유닛(100)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충돌시 충격흡수 및 하중지지를 수행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은 로워 도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차량의 외측면에서 가장 돌출된 면을 이루어 충돌시 일차적인 보호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은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층 영역(110) 및 충돌에 대응하는 제2층 영역(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층 영역(110)은 가니쉬 패널(130), 흡수부재(150), 스프링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층 영역(120)은 제1 임팩트 멤버(140), 제2 임팩트 멤버(170), 댐핑스프링(18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니쉬 패널(130)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가니쉬 유닛(100)의 외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충돌시 차량의 가장 돌출된 부위로써 일차적으로 보호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되는 경우 가니쉬 패널(130)은 외부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다. 외부 바닥면과의 지지안정성을 위해 가니쉬 패널(130)의 형상은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충돌 및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가니쉬 패널(130)의 내측으로는 스프링부재(160), 제1 임팩트 멤버(140), 댐핑스프링(180) 및 제2 임팩트 멤버(17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가니쉬 패널(130) 및 제1 임팩트 멤버(140) 사이에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수부재(150)를 형성하여 차량의 충돌시 또는 로워 도어 개방으로 외부 바닥면에 접촉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고, 탑승자의 승하차시 지지안정성을 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임팩트 멤버(140)는 가니쉬 패널(130)의 내측에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팩트 멤버(140)는 연속된 제1 산부(141)와 제1 곡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 임팩트 멤버(140)는 전체면에 걸쳐 산곡 형상의 제1 산부(141) 및 제1 곡부(142)가 반복되게 이루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산부(141) 및 제1 곡부(142)는 평탄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제1 임팩트 멤버(140)가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동시에 스프링부재(160) 및 댐핑스프링(18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평탄부는 제1 산부(141)의 끝점과 제1 곡부(142)의 시작점 사이 또는 제1 곡부(142)의 끝점과 제1 산부(141)의 시작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임팩트 멤버(170)는 제1 임팩트 멤버(140)의 내측에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임팩트 멤버(170)는 연속된 제2 산부(171)와 제2 곡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2 임팩트 멤버(170)는 전체면에 걸쳐 산곡 형상의 제2 산부(171) 및 제2 곡부(172)가 반복되게 이루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산부(171) 및 제2 곡부(172)는 평탄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제2 임팩트 멤버(170)가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동시에 댐핑스프링(18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평탄부는 제2 산부(171)의 끝점과 제2 곡부(172)의 시작점 사이 또는 제2 곡부(172)의 끝점과 제2 산부(171)의 시작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임팩트 멤버(140) 및 제2 임팩트 멤버(170)는 고장력강(HSS: High Strength Steel) 또는 초고장력강(이하 AHSS: Advanced High Strength Steel)으로 구성될 수 있다. AHSS는 U(Ultra)HSS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1 임팩트 멤버(140) 및 제2 임팩트 멤버(170)는 용접 이음(Weld joint)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차체의 내부패널과 연결된 제1 임팩트 멤버(140) 및 제2 임팩트 멤버(170) 또한 용접 이음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흡수부재(150)는 제1층 영역(110)에 위치하여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가니쉬 패널(130)과 흡수부재(150)는 핫스태킹(Hot staking)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160)는 흡수부재(150)의 내측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프링부재(160)는 제1 곡부(142)와 가니쉬 패널(130)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160)는 차량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고, 탑승자의 승하자시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160)는 가니쉬 패널(130)에 스크류 조인트(Screw joint)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가니쉬 유닛(100)의 양쪽이 사이드에 스프링부재(160)가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고, 센터부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댐핑스프링(180)은 충돌에 대응하여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댐핑스프링(180)의 일단은 제1 산부(141)와 접하고 타단은 제2 산부(171)와 접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댐핑스프링(180)의 일단은 면적을 지니고 있어 제1 임팩트 멤버(140)의 내부면에 볼트 조인트로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제2 임팩트 멤버(170)의 타단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160) 및 댐핑스프링(180)은 제1 임팩트 멤버(140)의 제1 산부(141) 및 제1 곡부(142)에 반복하여 상호 교차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160)의 탄성력과 댐핑스프링(180)의 충돌에너지 감쇄력이 균형을 이루며 제1층 영역(110) 및 제2층 영역(120)은 상호 충돌대응 및 하중 지지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충돌시 스프링부재(160)가 선행하여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스프링부재(160)가 흡수할 수 있는 이상의 에너지가 인가되는 경우 댐핑스프링(180)이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댐핑스프링(180)이 선행하여 충돌에너지를 흡수한 후, 댐핑스프링(180)이 흡수할 수 있는 이상의 에너지가 인가되는 경우 스프링부재(160)가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의 틸팅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는, 가니쉬 유닛(10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200)을 더 포함하고, 가니쉬 유닛(100)의 상부와 로워 도어를 연결하는 가니쉬 힌지(300) 및 가니쉬 유닛(100)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니쉬 레버(400)를 포함하고, 가니쉬 힌지(300)를 기준으로 가니쉬 유닛(100)의 하부 일단이 회전하여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유닛(200)은 구동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210) 및 액츄에이터(2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핀들(220)을 포함하고, 스핀들(220)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 가니쉬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의 상부에는 가니쉬 힌지(300)를 형성하여 로워 도어와 연결될 수 있다. 가니쉬 힌지(300)는 가니쉬 유닛(10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니쉬 힌지(300)를 기준으로 가니쉬 유닛(100)의 하부 일단이 회전하여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의 하부에는 구동 유닛(200)과 연결되는 가니쉬 레버(400)가 형성될 수 있다. 가니쉬 레버(400)는 구동 유닛(20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구동 유닛(200)이 장력을 인가하는 경우 가니쉬 유닛(100)을 소정의 각도로 틸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레버(400)의 일끝단은 구동 유닛(200)에 연결되고 타끝단은 가니쉬 유닛(100)의 배면에 연결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의 틸팅 각도는 로워 도어를 기준으로 4°내지 8°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6°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니쉬 유닛(10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로워 도어가 완전 개방되어 외부 바닥면과 접촉되는 경우 생기는 간극을 메을 수 있어 지지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스핀들(220)의 일끝단이 33mm 내지 39mm 이동하는 경우 가니쉬 레버(400)의 일끝단에 장력을 인가하여 가니쉬 레버(400)의 타끝단이 가니쉬 유닛(100)을 틸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니쉬 유닛(100)의 틸팅 각도는 로워 도어를 기준으로 4°내지 8°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6°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유닛(200)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로워 도어 및 가니쉬 유닛(100)에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구동 유닛(200)은 구동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210) 및 액츄에이터(2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핀들(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핀들(220)은 액츄에이터(210)에 의해 구동력이 인가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1층 및 2층 두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임팩트 멤버 및 에너지 흡수부재(150)를 매개로 서로 연결하여 후방 충돌사고 발생시에 상기 흡수부재(150)가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손상 방지와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방 도어, 후방 도어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차량 측면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니쉬 유닛
110: 제1층 영역
120: 제2층 영역
130: 가니쉬 패널
140: 제1 임팩트 멤버
141: 제1 산부
142: 제1 곡부
150: 흡수부재
160: 스프링부재
170: 제2 임팩트 멤버
171: 제2 산부
172: 제2 곡부
180: 댐핑스프링
200: 구동 유닛
210: 액츄에이터
220: 스핀들
300: 가니쉬 힌지
400: 가니쉬 레버
500: 로워 도어

Claims (9)

  1. 로워 도어의 일면에 위치하고, 충격흡수 및 하중지지를 수행하는 가니쉬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유닛은,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1층 영역; 및
    충돌에 대응하는 제2층 영역;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 유닛은,
    상기 가니쉬 유닛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가니쉬 패널;
    상기 가니쉬 패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임팩트 멤버;
    상기 제1층 영역에 위치하는 흡수부재;
    상기 흡수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제1 임팩트 멤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임팩트 멤버; 및
    상기 제2층 영역에 위치하는 댐핑스프링;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팩트 멤버는 연속된 제1 산부와 제1 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제1 곡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팩트 멤버는 연속된 제2 산부와 제2 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댐핑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 산부와 접하고 타단은 상기 제2 산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 및 상기 댐핑스프링은 상기 제1 산부 및 상기 제1 곡부에 상호 교차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부, 상기 제1 곡부, 상기 제2 산부 및 상기 제2 곡부는 평탄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팩트 멤버 및 상기 제2 임팩트 멤버는 고장력강 또는 초고장력강으로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 유닛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유닛의 상부와 상기 로워 도어를 연결하는 가니쉬 힌지; 및
    상기 가니쉬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니쉬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가니쉬 유닛의 하부 일단이 회전하여 상기 로워 도어로부터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 상기 가니쉬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KR1020190161210A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KR20210071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10A KR20210071238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US17/021,220 US11453275B2 (en) 2019-12-06 2020-09-15 Garnish structure for lower door
CN202011010551.8A CN112918226A (zh) 2019-12-06 2020-09-23 装饰结构、装饰单元和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10A KR20210071238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238A true KR20210071238A (ko) 2021-06-16

Family

ID=7616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210A KR20210071238A (ko) 2019-12-06 2019-12-06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53275B2 (ko)
KR (1) KR20210071238A (ko)
CN (1) CN1129182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2420A1 (en) * 2017-11-24 2019-05-31 S Dhanya R Automobile collision impact reducer with spring, plate and cushioning materi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943B1 (ko) 2000-11-24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580A (en) * 1984-03-06 1986-06-03 Dominick Stanganelli Bumper cushion
US4807915A (en) * 1988-03-28 1989-02-28 Shyi David Y Structure of multi-protection safety car bumper
US5037148A (en) * 1990-10-15 1991-08-06 Alberto Kennedy Body side guard
US5431463A (en) * 1994-01-28 1995-07-11 Chou; Tong-Jih Air cell bumper device
US5971451A (en) * 1998-02-26 1999-10-26 Huang; Ching-Yuan Vehicle bumper
US6217090B1 (en) * 1999-02-19 2001-04-17 Mohammed Berzinji Safety bumpers
US7252313B2 (en) * 2004-03-12 2007-08-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n demand morphable automotive body moldings and surfaces
US7097222B2 (en) * 2004-06-18 2006-08-29 Xiaocheng Ran Vehicle anti-crash safety device
US7401832B2 (en) * 2005-09-14 2008-07-22 Mitsubishi Jidosha Engineering Kabushiki Kaisha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vehicle
US8292345B2 (en) * 2009-06-12 2012-10-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s with rear hatch assemblies
US8113555B2 (en) * 2009-08-21 2012-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mpact mitigation system
US8182023B2 (en) * 2010-03-16 2012-05-22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lastically deformable spr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GB2505682B (en) * 2012-09-06 2015-10-14 Jaguar Land Rover Lt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doors of a power split tailgate
US9731658B2 (en) * 2014-01-09 2017-08-15 Magna International Inc. Liftgate cargo module
US20200172041A1 (en) * 2018-11-30 2020-06-0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with deployable energy absorbing device
US10906488B2 (en) * 2019-01-22 2021-02-02 Edward Santiago Vehicle dent protection assembly
KR20210071239A (ko) * 2019-12-06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943B1 (ko) 2000-11-24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3275B2 (en) 2022-09-27
CN112918226A (zh) 2021-06-08
US20210170843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18230B (zh) 上车/下车支撑结构和车辆
JPH09216543A (ja) 車両用扉の衝撃吸収装置
JPWO2020149305A1 (ja) 自動車ドア
EP1275575B1 (en) Automotive body structure
KR20210071238A (ko)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JP2006069279A (ja) 車体後部構造
JP7215498B2 (ja) 自動車ドア
US10479411B2 (en) Structurally reinforced vehicle body
JP3349782B2 (ja) 自動車のシート取付構造
JP2022104512A (ja) ロアーゲートストッパー構造
US3098675A (en) Shock-resisting motor vehicles
US11541733B2 (en) Opening structure for lower door
JP3063605B2 (ja) 自動車の車体上部の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
KR102132724B1 (ko) 자동차의 프론트도어 슬라이딩장치
CN209870555U (zh) 门槛梁内板后段加强件
JP2009006976A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334728B1 (ko) 차체의 측면 하부의 보강 구조
KR200194301Y1 (ko) 자동차의 후방 충돌 흡수구조
KR19980034406U (ko) 화물자동차의 전방부 보강구조
JPH10316041A (ja) 車体のトーボード構造
KR200213369Y1 (ko) 충격흡수구조를갖는자동차의루프사이드레일구조
JP2003182647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H03121923A (ja) 車両用ドア構造
JPH07205836A (ja) 前部車体構造
KR20020049502A (ko) 승합차의 리어 범퍼용 스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