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943B1 -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943B1
KR100383943B1 KR10-2000-0070373A KR20000070373A KR100383943B1 KR 100383943 B1 KR100383943 B1 KR 100383943B1 KR 20000070373 A KR20000070373 A KR 20000070373A KR 100383943 B1 KR100383943 B1 KR 100383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lower gate
inner cylinder
cylin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344A (ko
Inventor
손호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94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후방에 설치되는 상하이단 분리형 테일게이트에서 하단게이트의 개폐시 이를 지지하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외통과, 상기 외통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통과, 상기 외통과 내통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 스프링과, 상기 내통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외통과 함께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면 상기 외통에 대한 내통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제한수단으로 구성된 스프링장치의 양단이 각각 차체와 하단게이트에 회전 가능한 힌지로 연결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하단게이트를 개방할 때나 폐쇄할 때에 상호 슬라이딩하는 외통과 내통속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사용자의 힘을 덜어주어 부드러운 개폐동작을 실현하여, 원활한 조작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확보하고, 차체에 대해 완전히 구속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량의 운행시 인접한 부품과의 부딪힘 등을 예방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A supporting structure of tailgate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후방에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를 개폐할 때에 테일게이트를 차체에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이단 분리형 테일게이트에서 하단게이트의 개폐시 이를 지지하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상하이단 분리형 테일게이트의 지지구조 및 그 작동상태를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체의 루프레일쪽에 상단게이트(100)가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단게이트(100)에 맞닿는 하단게이트(102)는 후방범퍼(104) 위쪽의 차체부위에 힌지(106)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게이트(102)의 개방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케이블(108)이 일단은 차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단게이트(102)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하단게이트(102)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와이어케이블(108)이 펼쳐져서 차체에 대해 하단게이트(102)를 지지하고, 하단게이트(102)를 닫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케이블(108)은 접혀져서 차내로 놓여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케이블(108)에 의해서 하단게이트(102)의 개방상태를 지지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하단게이트(102)를 열 때에 상기 와이어케이블(108)은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서 천천히 열지 않는 이상 하단게이트(102)의 자중에 의해 상기 와이어케이블(108)이 펼쳐질 때까지 떨어지듯이 열리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위협적이며 그 충격에 의해 상기 와이어케이블(108) 및 그 연결부위의 내구성에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하단게이트(102)를 닫을 때에도 역시 상기 와이어케이블(108)은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고 하단게이트(102)를 닫기 위한 어떤 보조장치도 없으므로 사용자는 하단게이트(102)의 중량을 이기면서 들어올려 닫아야하며, 오히려 하단게이트(102)와 차체 사이에 와이어케이블(108)이 끼이거나 하는 장애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성이 매우 불량하고, 하단게이트(102)가 닫힌 상태에서도상기 와이어케이블(108)은 별도의 구속장치 없이 차내에 방치되어 주행중 인접부품에 부딪히면서 소음을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외관상으로도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단게이트를 개방할 때나 폐쇄할 때에 사용자의 힘을 덜어주어 부드러운 개폐동작을 실현하여 원활한 조작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확보하고, 그 외관이 보다 미려하게 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통과, 상기 외통과 내통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 스프링과, 상기 내통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외통과 함께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면 상기 외통에 대한 내통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제한수단으로 구성된 스프링장치의 양단이 각각 차체와 하단게이트에 회전 가능한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도 2에 하단게이트가 닫혔을 때의 스프링장치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도 2의 하단게이트가 열렸을 때의 스프링장치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외통 3: 내통
5: 스프링 7: 스프링장치
9, 11: 힌지 13, 15: 철심
102: 하단게이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되었던 구성 부품과 동일한 부품의 명칭 및 기호는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외통(1)과 그 속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내통(3) 및 스프링(5) 등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장치(7)의 양단이 각각 차체와 하단게이트(10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9,11)로 지지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장치는 외통(1)과, 상기 외통(1)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통(3)과, 상기 외통(1)과 내통(3)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 스프링(3)과, 상기 내통(3)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외통(1)과 함께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면 상기 외통(1)에 대한 내통(3)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제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외통(1) 및 내통(3)은 각각 일단이 막힌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외통(1)과 내통(3)속에 양단이 지지된 스프링(5)은 상기 외통(1)과 내통(3)이 항상 짧은 상태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제한수단은 상기 외통(1)과 내통(3) 속에서 그 중심부는 각각 상기 힌지(9,11)를 감싸도록 설치된 'ㄷ'자형 철심(13,15)으로서, 상기 두 철심(13,15)은 내통(3)과 외통(1)의 길이가 일정한 길이가 되면 서로 그 단부(17,19)가 교차되어 걸리도록 구부러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통(1)과 내통(3)이 형성하는 일정한 길이란 상기 하단게이트(10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차체와 하단게이트의 힌지(9,11)를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슬라이딩제한수단으로는 상기 외통(1)과 내통(3)에 스토퍼를 설치하는 등 여러 가지의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하단게이트(102)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하단게이트(102)를 아래방향으로 열어젓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장치(7)의 외통(1)과 내통(3)은 각각 그 힌지(9,11)로 연결된 부위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외통(1)에 대해 내통(3)이 슬라이딩하여 빠져나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외통(1)과 내통(3) 속의 스프링(5)은 늘어나면서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게이트(102)는 사용자의 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프링(5)이 제공하는 탄성력을 받음으로써, 종래와 같이 하단게이트(102)의 자중이 그대로 작용하여 급격히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고 부드러운 동작으로 개방되게 된다.
상기 하단게이트(102)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가 되면, 동시에 상기 스프링장치(7)의 내부에 설치된 슬라이딩제한수단인 두 철심(13,15)은 그 단부(17,19)가 서로 교차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차체와 하단게이트(102)의 두 힌지(9,11)를 두 철심(13,15)으로 지지하는 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하단게이트(102) 개방을 억제하고 하단게이트(102)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하단게이트(102)를 닫을 때에도 사용자가 하단게이트(102)를 들어올리기 시작하면 상기 스프링(5)은 인장된 상태에 있으므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힘에 더해져서 상기 하단게이트(102)를 들어올리는 데에 사용되어 사용자는 보다 가벼운 조작감으로 상기 하단게이트(102)를 닫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하단게이트(102)가 닫히는 동안 상기 두 철심(13,15)은 그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서로 겹쳐지는 상태가 되며 상기 내통(3)도 외통(1)의 속으로 점차 슬라이딩해 들어가 그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하단게이트(10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장치(7)는 외관상 외통(1)만이 있는 것처럼 보이며 양단이 힌지(9,11)로 고정된 상태로서 인접부품들과의 부딪힘 등에 의한 소음 발생의 염려 등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게이트를 개방할 때나 폐쇄할 때에 상호 슬라이딩하는 외통과 내통속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사용자의 힘을 덜어주어 부드러운 개폐동작을 실현함으로써, 원활한 조작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확보하고, 차체에 대해 완전히 구속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량의 운행시 인접한 부품과의 부딪힘 등을 예방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외통과, 상기 외통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통과, 상기 외통과 내통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 스프링과, 상기 내통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외통과 함께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면 상기 외통에 대한 내통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제한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통과 내통은 각각 차체와 하단게이트에 회전 가능한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제한수단은 상기 외통과 내통 속에서 그 중심부는 각각 상기 힌지를 감싸도록 설치된 'ㄷ'자형 철심으로서, 상기 두 철심은 내통과 외통의 길이가 일정한 길이가 되면 서로 그 단부가 교차되어 걸리도록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KR10-2000-0070373A 2000-11-24 2000-11-24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KR100383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73A KR10038394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73A KR10038394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44A KR20020040344A (ko) 2002-05-30
KR100383943B1 true KR100383943B1 (ko) 2003-05-14

Family

ID=1970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373A KR10038394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238A (ko) 2019-12-06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KR20210071239A (ko) 2019-12-06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238A (ko) 2019-12-06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 도어 가니쉬 구조
KR20210071239A (ko) 2019-12-06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 도어 승하차 지지구조
US11427056B2 (en) 2019-12-06 2022-08-30 Hyundai Motor Company Boarding/deboarding support structure for lower door
US11453275B2 (en) 2019-12-06 2022-09-27 Hyundai Motor Company Garnish structure for lowe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44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2228A (ko) 도어체커 일체형 도어힌지장치
KR2021007299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KR100383943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지지구조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JP3106617U (ja) キャビネットの蝶番構造
KR100383938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KR970003674Y1 (ko) 자동차의 본넷트 개폐구조
KR19980044667U (ko) 슬라이드식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013028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100355943B1 (ko) 단일화된 트렁크 리드 힌지 토션바
KR100508265B1 (ko) 자동차용 트윈 스윙 테일 게이트 체커
KR200144269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스톱퍼와 캐치의 결합구조
KR1003683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200266489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KR20230144293A (ko) 차량의 도어 연결 장치
KR200155066Y1 (ko) 승합차량의 슬라이드 도어용 상부 롤러 수평 유지구조
KR100461064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처짐방지장치
KR20230102883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KR0130615Y1 (ko) 버스에 장착된 사이드 도어의 개폐구조
KR19980048301U (ko) 자동차용 백도어의 스테이 구조
KR100204517B1 (ko) 차량용 뒤도어의 체결구조
KR100198841B1 (ko) 자동차의 본네트 힌지구조
KR19980062021U (ko) 자동차의 도어 승강식 개폐장치
KR19980084898A (ko) 외장형용 백도어의 백도어체크
KR20020052333A (ko) 차량의 트윈스윙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