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229A -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229A
KR20200088229A KR1020200004077A KR20200004077A KR20200088229A KR 20200088229 A KR20200088229 A KR 20200088229A KR 1020200004077 A KR1020200004077 A KR 1020200004077A KR 20200004077 A KR20200004077 A KR 20200004077A KR 20200088229 A KR20200088229 A KR 20200088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guide
path
tak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941B1 (ko
Inventor
하루키 무로야
류지 아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0008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 D03D51/08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stopping at definite point in weaving cycle, or moving to such point after stopping
    • D03D51/085Extraction of defectiv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06Construction of the nozzles
    • D03D47/3013Main nozz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06Construction of the nozzles
    • D03D47/302Auxiliary nozz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66Control or handling of the weft at or after arriv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66Control or handling of the weft at or after arrival
    • D03D47/3073Detection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66Control or handling of the weft at or after arrival
    • D03D47/3086Weft remov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2Climatic conditioning or removing lint or dus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Abstract

(과제) 위사 검출기가 위입 미스된 위사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 없이, 위사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함께 위사 검출기에 부착되는 풍면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의 제공에 있다.
(해결 수단) 위입 미스의 위사를 위사 인취 경로로 분사 유도하는 블로우 노즐과, 슬레이와 일체가 되어 전후로 요동 가능하고, 위사가 도입되는 위사 도입 덕트와, 위사를 인취하는 위사 인취 기구와, 인취되는 위사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위사 검출기(39)를 구비한다. 위사가 도입되는 가이드 오목부(49)를 갖고, 가이드 오목부(49)에 도입된 위사를 검출하는 위치에서 위사 검출기(39)를 지지하는 위사 가이드 부재(38)를 구비하고,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직전측이 정부가 되어 가이드 오목부(49)를 형성하는 직전측 정부(54)와 경사의 송출측이 정부가 되어 가이드 오목부(49)를 형성하는 송출측 정부(53)를 구비하고, 직전측 정부(54)는,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했다.

Description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WEFT WITHDRAWING DEVICE OF AIR JET LOOM}
본 발명은,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 젯 직기의 위사(weft) 처리 장치의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직기에 있어서의 불량 위사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위사 처리 장치는, 위입(緯入) 미스(miss)를 한 위사를, 위입 경로의 측방에 형성한 위사 도입 덕트로 유도하고, 위사 도입 덕트에 유도된 위사를 한 쌍의 롤러의 압접에 의해 인취(引取)하고, 인취되는 위사에 회동 검출 아암(arm)을 맞닿게 하여 위사를 검출한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유체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불량사(不良絲) 제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위사 처리 장치는, 불량사를 포착하여 권취하는 권취기와, 불량사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고 있다. 위입 불량의 발생시에는, 급사(給絲) 컷터에 의한 불량사의 절단을 회피하고, 위입용 메인 노즐측의 위사와 불량사를 연결한 상태로 하여, 권취기를 메인 노즐 근방의 포착 위치로 이동시켜, 불량사를 포착한다. 그 후, 권취기를 권취 위치로 이동시켜, 메인 노즐측의 위사로부터 절단된 상태의 불량사를 권취기에 의해 직포로부터 빼낸다. 불량사를 검출하는 검출기는, 이동 브래킷의 아암의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검출기의 케이싱은, 선단을 향하여 확대되는 한 쌍의 안내벽과, 한 쌍의 안내벽의 수속 방향에 위치하는 검출벽을 갖고, 검출기는 검출벽의 근방을 검출 영역으로 하고 있다. 한 쌍의 안내벽은, 권취기의 권취 위치로의 이동 시에, 진행 방향측이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85351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175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위사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회동 검출 아암에는 풍면(風綿)이 부착하기 쉽고, 빈번히 풍면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특허문헌 1의 위사 처리 장치에 특허문헌 2의 위사 검출기를 적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위사 처리 장치에서는, 위사 도입 덕트에 도입된 위사는, 위사 도입 덕트와 함께 바디의 요동에 대응하여 전방으로부터 후방의 위사 인취 위치로 이동한다. 즉, 위사 도입 덕트에 도입된 위사의 바디의 요동에 수반하는 이동 경로는 위사 도입 덕트의 이동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특허문헌 2의 위사 검출기는, 선단을 향하여 확대되는 한 쌍의 안내벽과, 한 쌍의 안내벽의 수속 방향에 위치하는 검출벽을 갖고, 검출벽의 근방을 검출 영역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위사 검출기의 검출 영역에 위사가 유도되도록, 특허문헌 2의 한 쌍의 안내벽을 갖는 위사 검출기를 단순히 적용한 경우, 위사 검출기가 위사와 간섭하여 위사의 위사 인취 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사 검출기가 위입 미스한 위사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 없이, 위사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함께 위사 검출기에 부착되는 풍면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의 제공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인 노즐로부터 사출되어, 위입 미스로 판별된 위사를 위입 경로 측방의 위사 인취 경로에 분사 유도하는 블로우 노즐과, 슬레이와 일체가 되어 전후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위사 인취 경로로 분사 유도된 상기 위사가 도입되는 위사 도입 덕트와, 상기 위사 인취 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위사 도입 덕트에 유도된 상기 위사를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인취하는 위사 인취 기구와, 상기 위사 인취 경로에 인취되는 상기 위사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위사 검출기를 구비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사가 도입되는 가이드 오목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 오목부에 도입된 위사를 검출하는 위치에서 상기 위사 검출기를 지지하는 위사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위사 가이드 부재는, 직전(織前)측이 정부(頂部)가 되어 상기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는 직전측 정부와 경사(經絲;warp)의 송출측이 정부가 되어 상기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는 송출측 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전측 정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위사를 압접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입 미스로 판별된 위사는, 블로우 노즐의 분사에 의해 위사 도입 덕트에 도입된다. 위사 도입 덕트의 위사는 위사 도입 덕트의 이동에 의해 위사 인취 경로로 이동하고, 위사 인취 기구의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인취된다. 위사 검출기는, 인취되는 위사를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한 쌍의 롤러가 위사를 압접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위사 가이드 부재의 직전측 정부가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위사가 위사 인취 경로에 이동될 때, 위사 가이드 부재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위사가 인취될 때, 위사가 가이드 오목부에 안내되기 때문에, 위사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 외에, 가이드 오목부에 존재하는 풍면이 위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사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한 위사의 인취 시에 상기 위사로 향하여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위사 가이드 부재가 한 쌍의 롤러에 의한 위사의 인취시에 위사로 향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위사가 가이드 오목부로 향하여 도입되기 쉬워져, 위사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오목부의 최심부에서 상기 직전측 정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이드 오목부의 최심부에서 상기 송출측 정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위사는, 직전측 정부와 간섭하는 일 없이, 위사 인취 경로로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위사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송출측 정부에 의해 가이드 오목부에 도입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사 검출기가 위입 미스한 위사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 없이, 위사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함께 위사 검출기에 부착되는 풍면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A-A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5(a)는 위사 가이드 부재의 측면도이고, (b)는 위사 가이드 부재의 후면도이고, (c)는 위사 가이드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6(a)는 위사 가이드 부재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고, (b)는 위사 가이드 부재가 하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젯 직기(10)가 구비하는 슬레이(sley)(11)의 일단측에는, 위입용 메인 노즐(12)이 장착되어 있다. 위입용 메인 노즐(12)의 근방에는 위사 측장(測長) 저류 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위사 측장 저류 장치(13)는, 감기에 의해 위사(Y)를 측장하여 저류한다. 위사 측장 저류 장치(13)에 의해 저류된 위사(Y)는 위입 타이밍에 동기하여 위입용 메인 노즐(12)로 공급된다.
슬레이(11) 상에는, 변형 바디(14)가 세움 설치되어 있고, 변형 바디(14)에는 위입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 바디(14)의 위입 통로는, 위입 타이밍에 동기하여 위입용 메인 노즐(12)에 의해 사출된 위사(Y)가 비주(飛走)하는 통로이다. 슬레이(11)에는, 복수의 위입용 보조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위입용 보조 노즐은, 위입용 메인 노즐(12)로부터 사출된 위사(Y)의 비주를 조장하기 위한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위입용 메인 노즐(12)은, 위사 측장 저류 장치(13)에 의해 저류된 위사(Y)를 위입 타이밍에 동기하여 변형 바디(14)의 위입 통로 내로 사출한다. 슬레이(11)의 타단측에는, 위사 필러(feeler)(15)가 배치되어 있다. 위사 필러(15)는, 위입 미스의 유무를 검출한다. 위입이 정상적으로 행해진 경우, 위사(Y)의 선단은 경사(T)의 개구를 통과하여 위사 필러(15)가 배치된 위치까지 도달한다. 위사 필러(15)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고, 위사 필러(15)가 위입 미스를 검출하면, 제어 장치는 위입 미스로 판별한다. 변형 바디(14)는, 위입이 정상적으로 행해지면 바디 타격 동작을 행한다.
제직된 직포(W)에 있어서의 위입용 메인 노즐(12)측의 단부 부근에는, 위사(Y)를 절단하는 위사 컷터(16)가 구비되어 있다. 위사 컷터(16)는, 위입이 정상적으로 행해진 경우에 위사(Y)를 바디 타격마다 절단하여, 위입용 메인 노즐(12)로부터 위사(Y)를 분리한다. 한편, 위입 미스의 경우에는, 위사 컷터(16)는 위사(Y)를 절단하지 않고, 위입 미스의 위사(Y)를 위입용 메인 노즐(12)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입용 메인 노즐(1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블로우 노즐(17)이 슬레이(11)에 설치되어 있다. 블로우 노즐(17)은, 위입용 메인 노즐(12)로부터 사출되어, 위입 미스로 판별된 위사(Y)를 위입 경로 측방의 위사 인취 경로로 분사 유도한다. 블로우 노즐(17)은, 위입용 메인 노즐(12)의 전방에서 위입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방에 압축 공기를 노즐 구멍(18)으로부터 분사한다. 위입 경로는 비주하는 위사(Y)의 경로를 의미한다.
블로우 노즐(17)의 상방에는 위사 도입 덕트(19)가 형성되어 있다. 위사 도입 덕트(19)는, 블로우 노즐(17)에 의해 위입 경로 측방의 위사 인취 경로로 분사 유도된 위사(Y)를 도입하는 덕트이다. 위사 도입 덕트(19)의 입구(20)는, 블로우 노즐(17)의 노즐 구멍(18)과 대향한다. 위사 도입 덕트(19)의 출구(21)와 대향하도록 에어 가이드(22)가 설치되어 있다. 추가로, 에어 가이드(22)의 출구와 대향하도록 흡인 덕트(23)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가이드(22)는 위사 도입 덕트(19)로 도입된 위사(Y)를 흡인 덕트(23)로 유도하기 쉽게 한다. 또한, 위사 도입 덕트(19)의 입구(20)와 위입용 메인 노즐(12)의 노즐 선단의 사이에는, 위입 미스를 한 위사(Y)를 절단하는 날체(刀體)(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덕트(23)의 출구는, 더스트 박스(dust box)(도시하지 않음)를 향하여 만곡되어 있다. 더스트 박스는, 슬레이(11)가 요동하는 영역인 슬레이 요동역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흡인 덕트(23)의 만곡부(24)에는 에어 공급원과 접속된 에어 노즐(25)이 접속되어 있다. 에어 노즐(25)은 흡인 덕트(23)의 출구를 지향한다. 위사 도입 덕트(19), 에어 가이드(22) 및 흡인 덕트(23)는, 위사(Y)가 인취되는 위사 인취 경로를 형성하여, 슬레이(11)와 일체적으로 전후로 요동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레이 요동역에 있어서의 후방의 기대(frame)에는 스테핑 모터(26)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핑 모터(26)의 상방에는 구동 롤러(2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테핑 모터(26)의 구동 풀리(28)와 구동 롤러(27)측의 피동 풀리(29)에는 타이밍 벨트(30)가 매달려 장착되어 있다. 스테핑 모터(26)의 상방이며 구동 롤러(27)보다도 높은 위치에는, 에어 실린더(31)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31)는, 기측(機側)에 부착된 에어 실린더 본체(32)와 에어 실린더 본체(32)에 대하여 진퇴하는 로드(33)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33)의 진퇴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에어 실린더(31)의 로드(33)는, 판면을 세우는 자세로 한 플레이트 부재(34)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4)는 에어 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승강한다. 플레이트 부재(34)의 전면에는 에어 젯 직기(10)의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브래킷(35) 및 제2 브래킷(36)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브래킷(35)에는 피동 롤러(3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동 롤러(37)는 하방에 위치하는 구동 롤러(27)와 대향한다. 피동 롤러(37)는, 에어 실린더(31)의 로드(33)의 하강에 의해 구동 롤러(27)와 맞닿아 구동 롤러(27)를 압압한다. 구동 롤러(27) 및 피동 롤러(37)는, 슬레이(11)가 슬레이 요동역에 있어서의 기측의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위사 도입 덕트(19)와 에어 가이드(22)의 사이에 위치하여, 위사 인취 경로 상에 위치한다. 구동 롤러(27) 및 피동 롤러(37)는, 위사 인취 기구가 구비하는 한 쌍의 롤러에 상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위사 인취 기구는, 스테핑 모터(26), 구동 롤러(27) 및 피동 롤러(37)를 갖는다. 스테핑 모터(26)는, 제어 장치의 지령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제2 브래킷(36)에는, 위사 가이드 부재(38)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이동 가능하다.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위사 인취 경로에서 인취되는 위사(Y)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위사 검출기(39)를 지지한다.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위사 인취 경로에 있어서의 위사(Y)를 위사 검출기(39)의 검출 가능 범위에 안내한다. 위사 검출기(39)는 반사식의 광학 센서이고, 센서광을 위사(Y)로 향하여 발광하는 투광부(도시하지 않음)와, 위사(Y)로부터의 반사광을 받는 수광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위사 검출기(39)는 제어 장치와 접속되고, 위사(Y)를 검출했을 때의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로 향하여 발신한다.
다음으로,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형상을 설명하는데, 위사 가이드 부재(38)가 제2 브래킷(36)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각 부를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가이드 본체부(40)와, 가이드 본체부(40)에 일체 형성된 아암부(41)를 갖고 있다.
가이드 본체부(40)는, 상단면(42)과, 제1 측면(43)과, 제2 측면(44)과, 제1 원호 형상면(45)과, 제1 경사면(46)과, 제2 원호 형상면(47)과, 제2 경사면(48)을 구비하고 있다. 상단면(42)은 상방에 면해 있고 상단면(42)의 후방에는 아암부(41)가 위치한다. 제1 측면(43)은 상단면(42)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연재하여, 전방에 면하는 면이다. 제2 측면(44)은, 제1 측면(43)의 반대측에서 후방에 면하는 면이다.
제1 측면(43)의 하단으로부터 제1 원호 형상면(45)이 연속하여 연재하고, 제1 원호 형상면(45)으로부터 제1 경사면(46)이 연속하여 연재한다. 제1 경사면(46)은, 제1 원호 형상면(45)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후방 또한 상방으로 향하는 경사면이다. 제2 측면(44)의 하단으로부터 제2 원호 형상면(47)이 연속하여 연재하고, 제2 원호 형상면(47)으로부터 제2 경사면(48)이 연속하여 연재한다. 제2 경사면(48)은, 제2 원호 형상면(47)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전방 또한 상방으로 향하는 경사면이다. 제1 경사면(46)의 상단 및 제2 경사면(48)의 상단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본체부(40)는, 제1 원호 형상면(45)과, 제1 경사면(46)과, 제2 경사면(48)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오목부(49)를 갖고 있다. 가이드 오목부(49)의 최심부(50)에는, 가이드 오목부(49)로부터 상단면(42)에 관통되는 관통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1)에는 위사 검출기(39)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가이드 오목부(49)에 도입된 위사(Y)를 검출하는 위치에서 위사 검출기(39)를 지지한다.
제1 측면(43), 제1 원호 형상면(45) 및 제1 경사면(46)은, 가이드 본체부(40)의 직전측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직전측 돌출부(52)를 형성한다. 제2 측면(44), 제2 원호 형상면(47) 및 제2 경사면(48)은, 가이드 본체부(40)의 경사(T)의 송출측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송출측 돌출부(53)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 오목부(49)의 전방에 직전측 돌출부(52)가 위치하고, 가이드 오목부(49)의 후방에 송출측 돌출부(53)가 위치한다.
직전측 돌출부(52)는, 직전측의 정부가 되어 가이드 오목부(49)를 형성하는 직전측 정부(54)를 갖는다. 직전측 정부(54)는, 직전측 돌출부(52)에 있어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27)와 피동 롤러(37)가 위사(Y)를 압접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직전측 정부(54)는,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직전측 정부(54)가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위사 도입 덕트(19)로부터 흡인 덕트(23)에 도입된 위사(Y)가 슬레이(11)의 요동에 의해 직전으로부터 경사(T)의 송출측으로 이동되어도 위사(Y)가 위사 가이드 부재(38)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27)와 피동 롤러(37)가 위사(Y)를 압접한 상태에서는, 직전측 정부(54)는,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송출측 돌출부(53)는, 경사(T)의 송출측의 정부가 되어 가이드 오목부(49)를 형성하는 송출측 정부(55)를 갖는다. 송출측 정부(55)는, 송출측 돌출부(53)에 있어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송출측 정부(55)는, 직전측 정부(54)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송출측 정부(55)는,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이드 오목부(49)의 최심부(50)로부터 직전측 정부(54)까지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가이드 오목부(49)의 최심부(50)로부터 송출측 정부(55)까지의 상하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다. 송출측 정부(55)가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위사(Y)가 제2 경사면(48)에 의해 안내되기 쉬워지고, 위사 검출기(39)로 위사(Y)를 접근시키기 쉬워진다.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아암부(41)는, 가이드 본체부(40)의 후부에서 상방으로 연재하는 부위이다. 아암부(41)는 상단면(56)과, 전측면(57)과 후측면(58)을 구비하고 있다. 전측면(57)은 상단면(56)의 전측의 단부와 가이드 본체부(40)의 상단면(42)의 후측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후측면(58)은 가이드 본체부(40)의 제2 측면(44)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아암부(41)의 상단 부근에는 볼트 삽입 통과용의 통과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통과 구멍(59)에 통과한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제2 브래킷(36)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에어 젯 직기(10)의 위사 처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어 젯 직기(10)가 운전되는 상태에서는, 위입용 메인 노즐(12)로부터 사출된 위사(Y)가 정상적으로 위입되어, 직포(W)에 있어서의 위입용 메인 노즐(12)측의 반대측의 단(端)까지 도달하면, 위사(Y)가 변형 바디(14)에 의해 바디 타격되어 직포(W)의 직전에 짜여 넣어진다. 바디 타격된 위사(Y)는 위입용 메인 노즐(12)측의 근방에 형성된 위사 컷터(16)에 의해 절단되고, 이후의 위입의 반복에 의해 직성(織成) 동작이 계속된다.
위사(Y)가 직포(W)에 있어서의 위입용 메인 노즐(12)측의 반대측의 단부까지 도달하지 않는 바와 같은 위입 미스가 발생하면, 위사 필러(15)가 위입 미스를 검출한다. 그리고, 위사 필러(15)로부터의 위입 미스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주축(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용 모터의 작동이 정지된다. 위입 미스의 검출 신호가 발신된 후, 주축은 1회정도 타성(惰性)으로 회전하여 정지한다. 즉, 슬레이(11)가 슬레이 요동역에 있어서의 최후퇴 위치로부터 직포(W)측으로 전진하는 동안에 위입 미스의 검출 신호가 발신된다. 그리고, 위입 미스를 한 위사(Y)가 직포(W)에 바디 타격된 후, 슬레이(11)는 추가로 왕복 운동하여, 도 1, 도 3의 2점 쇄선에 의해 나타내는 바디 타격 위치 직전에서 정지한다. 위입 미스의 검출 신호의 발신과 함께 위사 컷터(16)는 위사(Y)를 절단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직포(W)에 짜 넣어진 위입 미스의 위사(Y)는 위입용 메인 노즐(12)에 접속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블로우 노즐(17) 및 에어 노즐(25)에 압력 공기가 공급된다. 이 때문에, 블로우 노즐(17)과 위사 도입 덕트(19)의 사이에는 위입 경로를 횡단하는 공기류가 발생하는 외에, 흡인 덕트(23)의 입구측에는 흡인 방향의 공기류가 발생한다. 이들 공기류는, 위사 컷터(16)가 위사(Y)를 절단하지 않은 채, 슬레이(11)가 슬레이 요동역에 있어서의 도 3의 실선 위치로부터 쇄선 위치에 정지할 때까지의 사이에 발생한다. 따라서, 위입 미스의 위사(Y)는 위입용 메인 노즐(12)측에 접속한 상태에서 짜여 넣어지고, 위입 미스의 위사(Y)에 후속하는 위사(Y)는 블로우 노즐(17)로부터의 분사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위사 측장 저류 장치(13)로부터 인출됨과 함께 위사 도입 덕트(19) 내로 강제 도입된다.
후속의 위사(Y)가 소정 길이 이상 있고, 또한 위사 도입 덕트(19) 내로 원활히 도입되면, 후속의 위사(Y)는 출구(21)로부터 에어 가이드(22)를 거쳐 흡인 덕트(23) 내로 도달하고, 블로우 노즐(17)의 분사 작용에 의해 더스트 박스를 향하여 분사 노출된다. 이 때문에, 위사 도입 덕트(19)와 흡인 덕트(23)의 사이의 위사(Y)가 적당한 장력이 부여되어 긴장한다.
주축은 정지 후에 계속하여 소정량만큼 역전하여 작동하고, 슬레이(11)가 최후퇴 위치로 이동하고, 위사(Y)는 위사 인취 경로에 이동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직전측 정부(54)가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위사(Y)가 위사 인취 경로에 이동될 때, 위사 가이드 부재(38)에 간섭하지 않는다. 주축의 역전에 의해 경사(T)가 개구되고, 상하의 경사(T)에 의한 위입 미스의 위사(Y)의 짜여 넣어짐 상태가 해제된다.
위입 미스의 위사(Y)의 짜여 넣어짐이 해제됨과 동시에, 위사 도입 덕트(19)와 에어 가이드(22)의 사이의 후속의 위사(Y)가 구동 롤러(27)와 피동 롤러(37)의 사이로 배치됨과 함께, 에어 가이드(22)와 흡인 덕트(23)의 사이의 후속의 위사(Y)가 위사 검출기(39)를 구비한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하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31)의 로드(33)가 하강하고, 플레이트 부재(34)가 하강한다. 플레이트 부재(34)의 하강에 의해, 피동 롤러(37)가 구동 롤러(27)에 압접됨과 함께,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사 가이드 부재(38)가 하강한다.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하강에 수반하여, 위사(Y)는 구동 롤러(27)와 피동 롤러(37)에 의해 압접된다. 또한,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하강에 수반하여, 위사(Y)는 위사 가이드 부재(38)와의 상대 이동에 의해 가이드 오목부(49)에 위치한다. 위사(Y)가 가이드 오목부(49)에 위치할 때,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제1 경사면(46) 및 제2 경사면(48)은, 위사(Y)의 위치에 따라서 위사(Y)와 슬라이딩 접하면서, 위사(Y)를 가이드 오목부(49)의 최심부(50)로 향하여 안내한다. 위사(Y)가 가이드 오목부(49)에 위치하면, 위사 검출기(39)는 위사(Y)를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또한, 제1 경사면(46) 및 제2 경사면(48)에 풍면이 존재하는 경우, 풍면은 안내되는 위사(Y)에 얽혀진다.
위사 검출기(39)의 위사(Y)에 의해 스테핑 모터(26)가 구동된다. 구동 롤러(27)가 소정량의 회전함으로써, 구동 롤러(27) 및 피동 롤러(37)가 위사(Y)를 파 지한 상태에서 회전한다. 구동 롤러(27) 및 피동 롤러(37)의 회전에 의해, 위사(Y)는 흡인 덕트(23)측에 인취된다. 위사(Y)에는 위사(Y)가 인취될 때에 인취 장력이 발생하고, 날체는 인취 장력에 의해 위사(Y)를 절단한다. 위사(Y)는 날체에 의해 위입용 메인 노즐(12)로부터 절단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위입 미스의 위사(Y)의 선단이 구동 롤러(27)와 피동 롤러(37)를 통과하면, 위사 검출기(39)는 위사(Y)를 검출하지 않게 되고, 위입 미스의 위사(Y)는 더스트 박스로 배출된다. 또한, 위사(Y)가 위사 가이드 부재(38)에 부착되는 풍면과 얽혀져 있는 경우, 위사(Y)는 풍면과 함께 더스트 박스로 배출된다.
위사 검출기(39)가 위사(Y)를 검출하지 않게 됨으로써, 블로우 노즐(17) 및 에어 노즐(25)에 대한 압축 공기의 공급이 정지됨과 함께, 에어 실린더(31)의 로드(33)가 상승하고, 플레이트 부재(34)는 상승한다. 플레이트 부재(34)의 상승에 의해 피동 롤러(37) 및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여, 제직이 재개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에어 젯 직기(10)의 위사 처리 장치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1) 위입 미스로 판별된 위사(Y)는, 블로우 노즐(17)의 분사에 의해 위사 도입 덕트(19)에 도입된다. 위사 도입 덕트(19)의 위사(Y)는 위사 도입 덕트(19)와 함께 이동에 의해 위사 인취 경로에 이동하고, 구동 롤러(27) 및 피동 롤러(37)에 의해 인취된다. 위사 검출기(39)는, 인취되는 위사(Y)를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구동 롤러(27) 및 피동 롤러(37)가 위사(Y)를 압접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직전측 정부(54)가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위사(Y)가 위사 인취 경로에 이동될 때, 위사 가이드 부재(38)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위사(Y)가 인취될 때, 위사(Y)가 가이드 오목부(49)에 안내되기 때문에, 위사(Y)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 외에, 가이드 오목부(49)에 존재하는 풍면이 위사(Y)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사 검출기(39)는 위입 미스된 위사(Y)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 없이, 위사(Y)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함께 위사 검출기(39)에 부착되는 풍면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제2 브래킷(36)을 통하여 플레이트 부재(34)에 부착되어 있고, 플레이트 부재(34)는 에어 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위사 가이드 부재(38)가 구동 롤러(27) 및 피동 롤러(37)에 의한 위사(Y)의 인취 시에 위사(Y)로 향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위사(Y)가 가이드 오목부(49)로 향하여 도입되기 쉬워져, 위사(Y)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3)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경사(T)의 송출측의 정부가 되는 송출측 정부(55)를 갖는다. 가이드 오목부(49)의 최심부(50)에서 직전측 정부(54)까지의 거리는, 가이드 오목부(49)의 최심부(50)에서 송출측 정부(55)까지의 거리보다도 짧다. 이 때문에, 위사(Y)는, 직전측 정부(54)와 간섭하는 일 없이, 위사 인취 경로로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위사 가이드 부재(38)에 있어서 송출측 정부(55)에 의해 가이드 오목부(49)에 도입되기 쉬워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위사 가이드 부재가 승강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여 공통의 부호를 이용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젯 직기(10)의 위사 처리 장치는, 위사 도입 덕트(19)와 흡인 덕트(23)의 사이에 에어 가이드(22)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이다. 위사 인취 기구는 한 쌍의 롤러로서의 구동 롤러(61) 및 피동 롤러(62)를 갖고 있다. 구동 롤러(61)는 피동 롤러(6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 롤러(61)는 고정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동 롤러(61)는 승강하지 않는다. 구동 롤러(61)의 하방에 위치하는 피동 롤러(62)는 구동 롤러(61)에 대하여 접리(接離)하도록 승강한다. 피동 롤러(62)는 승강 가능한 가동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 있고, 가동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은 에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위사 가이드 부재(38)는, 구동 롤러(61)와 마찬가지로 승강하지 않도록 고정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직전측 정부(54)가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위입 미스된 위사(Y)는, 블로우 노즐(17)과 에어 노즐(25)의 압축 공기에 의해 위사 도입 덕트(19) 및 흡인 덕트(23)에 도입된다. 피동 롤러(62)가 상승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위사 인취 경로에 있어서의 위사(Y)는 구동 롤러(61) 및 위사 가이드 부재(38)의 하방에 위치한다. 피동 롤러(62)가 상승되면, 피동 롤러(62)는 위사 인취 경로의 위사(Y)를 들어 올려, 구동 롤러(61)에 맞닿는다. 위사(Y)는 구동 롤러(61)와 피동 롤러(62)에 의해 압접되어, 피동 롤러(62)의 들어 올림에 의해 산형(山形)으로 된다. 위사 가이드 부재(38)에서는 위사(Y)가 들어 올려짐으로써 가이드 오목부(49)에 위치하고, 위사 검출기(39)는 가이드 오목부(49)의 위사(Y)를 검출한다. 위사 검출기(39)에 의한 위사(Y)의 검출에 의해 구동 롤러(61)가 구동되어, 위입 미스의 위사(Y)는 더스트 박스로 배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1), (3)과 동등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위사 가이드 부재(38)를 고정한 상태에서도 위사 인취 경로에 있어서의 위입 미스의 위사(Y)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기와 같이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위사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오목부의 최심부로부터 직전측 정부까지의 거리는, 가이드 오목부의 최심부로부터 송출측 정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짧다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위사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오목부의 최심부로부터 직전측 정부까지의 거리는, 가이드 오목부의 최심부로부터 송출측 정부까지의 거리와 동일해도 좋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롤러 중 한쪽의 롤러를 고정하고, 다른 한쪽의 롤러를 한쪽의 롤러에 대하여 접리 가능한 가동 롤러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쌍방의 롤러를 서로 접리 가능한 가동 롤러로 해도 좋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위사 가이드 부재는 직선 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위사 가이드 부재를 원호 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을 구비해도 좋다.
10 : 에어 젯 직기
11 : 슬레이
12 : 위입용 메인 노즐
13 : 위사 측장 저류 장치
14 : 변형 바디
17 : 블로우 노즐
19 : 위사 도입 덕트
23 : 흡인 가이드
25 : 에어 노즐(흡인 가이드)
27, 61 : 구동 롤러
31 : 에어 실린더
37, 62 : 피동 롤러
38 : 위사 가이드 부재
39 : 위사 검출기
46 : 제1 경사면
48 : 제2 경사면
49 : 가이드 오목부
50 : 최심부
52 : 직전측 돌출부
53 : 송출측 돌출부
54 : 직전측 정부
55 : 송출측 정부
경사 : T
위사 : Y

Claims (3)

  1. 위입용 메인 노즐로부터 사출되어, 위입 미스(miss)로 판별된 위사(緯絲)를 위입 경로 측방의 위사 인취(引取) 경로로 분사 유도하는 블로우 노즐과,
    슬레이와 일체가 되어 전후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위사 인취 경로로 분사 유도된 상기 위사가 도입되는 위사 도입 덕트와,
    상기 위사 인취 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위사 도입 덕트에 유도된 상기 위사를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인취하는 위사 인취 기구와,
    상기 위사 인취 경로에 인취되는 상기 위사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위사 검출기를 구비한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사가 도입되는 가이드 오목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 오목부에 도입된 위사를 검출하는 위치에서 상기 위사 검출기를 지지하는 위사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위사 가이드 부재는, 직전(織前)측이 정부(頂部)가 되어 상기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는 직전측 정부와 경사(經絲)의 송출측이 정부가 되어 상기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는 송출측 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전측 정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위사를 압접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위사 인취 경로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한 위사의 인취 시에 상기 위사로 향하여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오목부의 최심부에서 상기 직전측 정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이드 오목부의 최심부에서 상기 송출측 정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
KR1020200004077A 2019-01-14 2020-01-13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 KR102186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03965 2019-01-14
JP2019003965A JP7077968B2 (ja) 2019-01-14 2019-01-14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糸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229A true KR20200088229A (ko) 2020-07-22
KR102186941B1 KR102186941B1 (ko) 2020-12-04

Family

ID=6905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077A KR102186941B1 (ko) 2019-01-14 2020-01-13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8609B2 (ko)
EP (1) EP3680376B1 (ko)
JP (1) JP7077968B2 (ko)
KR (1) KR102186941B1 (ko)
CN (1) CN111434814B (ko)
TW (1) TWI76622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5351A (en) 1987-09-21 1989-03-30 Toyoda Automatic Loom Works Inferior weft yarn treatment apparatus in loom
JPH06220746A (ja) * 1993-01-25 1994-08-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検出装置
JP2001011753A (ja) 1999-06-25 2001-01-16 Tsudakoma Corp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不良糸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5850A (en) * 1972-06-09 1974-04-23 Maschf Te Strake L Nv Control device for repairing weaving defects in a pneumatic weaving machine
JPS5927411B2 (ja) * 1978-02-27 1984-07-0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US4347872A (en) * 1979-08-06 1982-09-07 Leesona Corporation Air weft insertion system
JPS5729639A (en) * 1980-07-28 1982-02-17 Toyoda Chuo Kenkyusho Kk Weft inserting apparatus in jet loom
CH649103A5 (de) * 1981-01-13 1985-04-30 Rueti Te Strake Bv Schuetzenlose webmaschine.
JPS58104247A (ja) * 1981-12-11 1983-06-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不良緯糸処理方法
JPS5966540A (ja) * 1982-10-02 1984-04-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欠点織込み防止方法
KR890000569Y1 (ko) * 1985-01-09 1989-03-11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셔틀리스 (Shuttleless) 직기의 불량사 제거장치
JPS62117853A (ja) * 1985-11-15 1987-05-2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よこ入れ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228342B1 (de) * 1985-12-20 1990-07-18 GebràœDer Sulzer Aktiengesellschaft Luftstrahlwebmaschine
CN1004214B (zh) * 1986-01-20 1989-05-17 株式会社丰田自动机械制作所 无梭织机的纬纱处理方法
JPS6452850A (en) * 1987-08-25 1989-02-28 Toyoda Automatic Loom Works Weft yarn treatment apparatus in jet loom
US4890650A (en) * 1987-08-25 1990-01-02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Detecting and removing faulty weft in a jet loom
CN1010597B (zh) * 1987-08-25 1990-11-28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制作所 织机中处理疵纬的方法和装置
DE3730480A1 (de) * 1987-09-11 1989-03-30 Picanol Nv Verfahren zum entfernen eines fehlerhaft eingebrachten schussfadens an einer luftwebmaschine
JPH01260040A (ja) * 1988-04-06 1989-10-17 Tsudakoma Corp よこ糸抜き取り装置
FR2631980B1 (fr) * 1988-05-25 1990-08-24 Saurer Diederichs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 fil de trame defectueux, sur une machine a tisser
JPH0247338A (ja) * 1988-08-06 1990-02-16 Nissan Motor Co Ltd 流体噴射式織機の緯糸処理方法
FR2642769B1 (fr) * 1989-02-07 1991-10-25 Saurer Diederichs Sa Dispositif pour la detection de defauts du fil de trame dans une machine a tisser
US5129430A (en) * 1989-08-25 1992-07-1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Weft removal device with measurement of broken yarn piece
FR2659361B1 (fr) * 1990-03-06 1994-07-29 Saurer Diederichs Sa Dispositif de detissage automatique pour machines a tisser avec organes d'insertion mecanique de la trame.
EP0458736A1 (de) * 1990-05-21 1991-11-27 Gebrüder Sulzer Aktiengesellschaft Schussbruchbehebung bei Projektilwebmaschinen
JP2847971B2 (ja) * 1990-12-28 1999-01-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US5303745A (en) * 1991-06-11 1994-04-19 Sulzer Brothers Limited Weaving machine with weft break clearing devices
DE4438762C1 (de) * 1994-10-29 1995-09-28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zur Vermeidung von Gewebefehlern in Glatt- und Polgeweben
DE19833079C2 (de) * 1998-07-23 2001-03-15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zum Beheben eines Schußfehlers auf Luftdüsenwebmaschinen mit pneumatischen Einlegern
BE1012608A3 (nl) * 1999-04-14 2001-01-09 Picanol Nv Spuitmondstuk voor een weefmachine.
JP2003342857A (ja) * 2002-05-28 2003-12-03 Tsudakoma Corp 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CN100500964C (zh) * 2003-01-16 2009-06-17 津田驹工业株式会社 空气喷射式织布机用筘
JP6374369B2 (ja) * 2015-11-06 2018-08-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緯糸測定装置
JP6776980B2 (ja) * 2017-03-29 2020-10-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糸検知装置
JP6921621B2 (ja) * 2017-05-15 2021-08-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糸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5351A (en) 1987-09-21 1989-03-30 Toyoda Automatic Loom Works Inferior weft yarn treatment apparatus in loom
JPH06220746A (ja) * 1993-01-25 1994-08-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検出装置
JP2001011753A (ja) 1999-06-25 2001-01-16 Tsudakoma Corp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不良糸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941B1 (ko) 2020-12-04
CN111434814A (zh) 2020-07-21
CN111434814B (zh) 2021-11-02
JP7077968B2 (ja) 2022-05-31
JP2020111852A (ja) 2020-07-27
EP3680376B1 (en) 2021-07-28
TW202031953A (zh) 2020-09-01
TWI766227B (zh) 2022-06-01
US20200224342A1 (en) 2020-07-16
EP3680376A1 (en) 2020-07-15
US11078609B2 (en)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101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 위사처리방법 및 그 장치
EP0100939A2 (en) Method for treating a weft yarn upon stoppage of a shuttleless loom and device for effecting the same
US4890650A (en) Detecting and removing faulty weft in a jet loom
KR20200088229A (ko) 에어 젯 직기의 위사 처리 장치
JP6028773B2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S6228446A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ミス糸除去装置
JPH0726287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不良糸除去装置
JPH073022B2 (ja) 織機における不良緯糸処理装置
JP2518262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2643139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2889054B2 (ja) 不良糸の除去方法
JPH05156549A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糸処理装置
JPH0336548Y2 (ko)
JPH0791734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H0819595B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S61167048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吸引装置
JPH07113183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H0556984U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糸処理装置
JPH0390654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給糸処理装置
JPH01156553A (ja) 無杼織機のミス糸自動除去装置におけるミス糸搬送装置
JP2001011753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不良糸除去装置
JPH09291437A (ja) 織機の糸づまり防止方法
JPH05263336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糸切れ防止装置
JPH0726286B2 (ja) ジェットルームの緯糸処理装置
JPH10266046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