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945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945A
KR20200045945A KR1020190070518A KR20190070518A KR20200045945A KR 20200045945 A KR20200045945 A KR 20200045945A KR 1020190070518 A KR1020190070518 A KR 1020190070518A KR 20190070518 A KR20190070518 A KR 20190070518A KR 20200045945 A KR20200045945 A KR 2020004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eed chain
threshing
combine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우지 우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99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70941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994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00654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99449A external-priority patent/JP710159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0004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4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으로 클러치 기구를 전동 상태로부터 전동을 차단하는 작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는 콤바인을 구성한다.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피드 체인(15)과, 피드 체인(15)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온 오프하는 피드 체인 클러치(35)와, 탈곡 장치의 횡측판(6A)에 구비되고, 차단용 모터(51)의 구동력에 의해,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전동 상태로부터 전동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조작 기구를 구비한 콤바인이며, 조작 기구를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시트재(73)가 구비되었다.
피드 체인의 후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끊긴 짚 등을 원활하게 배출하여, 체류를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을 구성한다.
피드 체인(1009)으로부터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와,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세단 장치(1013)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커버체(1019)의 내측에 있어서,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 P1000와, 배출 짚 세단 장치(1013) 중 상부 커버체(1019)가 위치하는 측의 횡측부 사이에 커버 부재 C1000이 구비되고, 커버 부재 C1000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1031)와, 상면부(103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상부 경사면부(1032)가 구비되었다.
탈곡 장치를 구동하는 벨트식의 전동 기구에 포장의 곡간 등이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콤바인을 구성한다.
피드 체인(2009)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2010)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탈곡 장치(2010)의 횡외측부에 마련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1번물 회수부 및 2번물 회수부로 전달하는 벨트식의 전동 기구가 구비되고, 전동 기구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전동부 커버(2130)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되고, 전동부 커버(213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1번물 회수부에 대응하는 위치와 2번물 회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온 오프하는 클러치 기구와, 탈곡 장치의 측판에 구비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클러치 기구를 전동 상태로부터 전동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조작 기구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피드 체인에 의해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배출 짚을,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부에서 수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와,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하방에 마련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와,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 및 배출 짚 절단 장치를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콤바인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에 클러치 기구(문헌에서는, 피드 체인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 클러치 기구보다 전방측에 모터를 구비하고, 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와이어를 당김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동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해제 기구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서는, 예취부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한 경우에는,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동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고, 이것과는 반대로, 예취부가 하강한 경우에는, 예취부의 하강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를 차단 상태로부터 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오토 클러치 기구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콤바인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탈곡 장치로부터 피드 체인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 짚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이 하측에 배출 짚 세단 장치를 구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서는, 배출 짚 세단 장치를 구동하는 전동 기구, 혹은 텐션 클러치 등이, 배출 짚 세단 장치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 상방을 덮는 위치에 평탄한 판상재가 배치된다.
상기 구성의 콤바인으로서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에는 예취 곡간을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하여 탈곡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탈곡 처리를 행하는 콤바인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탈곡 장치의 급동의 하측에 요동 선별 기구와, 풍구를 배치하고, 또한 요동 선별 기구의 하측에 1번 스크루와 2번 스크루를 배치하고 있고,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의 풍구나 요동 선별 기구 등으로 전달하는 벨트식의 전동 기구를 탈곡 장치의 측벽의 외부에 배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탈곡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벨트식의 전동 기구는 하부 케이스의 외벽으로 덮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특허문헌 3과 동일한 구성의 탈곡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탈곡 장치의 측부에, 풍구로부터의 구동력을 1번물 회수용 스크루 컨베이어와 2번물 회수용 스크루 컨베이어의 풀리로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 기구를 구비하고, 이들을 덮는 위치에 측부 벨트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 벨트 커버는 탈곡 장치의 측벽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85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400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56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60756호 공보
자탈형의 콤바인에서는, 피드 체인에 의해 예취 곡간의 이삭 끝 부분을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취 곡간을 반송할 때에 발생하는 끊긴 짚이나 진애가, 피드 체인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한다. 또한, 클러치 기구는 케이스에 수용되어 끊긴 짚이나 진애의 부착에 의한 작동 불량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기구, 혹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부재에 끊긴 짚이나 진애가 부착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도, 적정한 작동을 행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모터의 구동력으로 와이어를 당김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오프 조작하는 작동계는, 와이어가 비교적 유연하게 휘기 때문에, 와이어의 위치가 결정되기 어렵고, 이 와이어와 클러치 기구의 연계 부분의 방진을 적정하게 행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부터,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으로 클러치 기구를 전동 상태로부터 전동을 차단하는 작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는 콤바인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구성으로 배출 짚의 반송을 고려하면,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반송 시단 위치에 배출 짚이 전달되는 것이고, 이 전달 시에는 탈곡 장치에서의 훑기 처리에 의해 발생한 끊긴 짚 등이 배출 짚 반송 장치로 전달되지 않고,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송출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긴 치수의 끊긴 짚이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송출된 경우에는, 그 끊긴 짚이, 배출 짚 세단 장치의 좌측의 판상재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체류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끊긴 짚 등이 체류하는 문제는,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되는 큰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해소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하측에 배출 짚 세단 장치가 배치되고, 배출 짚 세단 장치의 횡측방을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서는, 끊긴 짚 등을 배출하기 위해 큰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와, 배출 짚 세단 장치의 거리를 확대하고, 배출 짚 세단 장치와 사이드 커버의 거리를 확대하게 되고, 기체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관점에서 실현이 곤란했다.
이와 같은 이유로부터, 피드 체인의 후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끊긴 짚 등을 원활하게 배출하여, 체류를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3, 4에 개시되는 자탈형의 콤바인에서는, 탈곡 장치의 각 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식의 전동 장치를 탈곡 장치의 측벽의 외면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전동 기구를 덮는 위치에 외벽이나 벨트 커버 등을 구비하는 구성이 많이 채용되어 있다.
이 벨트식의 전동 기구는 벨트 커버 등으로 덮이는 것의 커버의 하단에 가까운 위치에 벨트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1번물을 회수하는 기구와, 2번물을 회수하는 기구는 탈곡 장치의 저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구동하는 벨트에 대하여, 작업 시에 포장의 곡간의 일부가 접촉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부터, 탈곡 장치를 구동하는 벨트식의 전동 기구에 포장의 곡간 등이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콤바인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온 오프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탈곡 장치의 횡측판에 구비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 기구를 전동 상태로부터 전동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조작 기구를 구비한 콤바인이며, 상기 조작 기구를,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시트재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시트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조작 기구가 와이어를 구비한 것이라도, 와이어의 자세에 무관하게 조작 기구를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것이 가능해져, 끊긴 짚이나 진애가 조작 기구에 부착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으로 클러치 기구를 전동 상태로부터 전동을 차단하는 작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는 콤바인이 구성되었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횡측판 중, 상기 시트재보다 하측의 부분을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하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재는, 상기 하측 커버의 상단보다도 하측의 높이 위치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시트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측 커버의 상단부에 비해 횡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시트재가 조작 기구의 하측의 하측 커버의 상단부보다 하측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커버의 상단부와 시트재의 하단부 사이에 간극을 만드는 일 없이, 조작 부재를 하측의 하측 커버로 덮음과 함께, 횡외측의 시트재로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재의 외면을 따라 낙하하는 끊긴 짚이나 진애가, 하측 커버의 횡외측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끊긴 짚이나 진애가 하측 커버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하측 커버의 상단부에, 횡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하측 커버의 상단에 횡외측을 향해 절곡되도록, 횡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굴곡부의 돌기 부분에 시트재가 접촉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접촉 형태에서는, 시트재의 내면에 굴곡부의 돌기 부분을 강하게 접촉시켜, 양호한 시일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하측 커버는, 상기 횡측판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 마련한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탈곡 장치의 횡측판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된 지지 브래킷을 통해, 횡측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하측 커버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횡측판 중, 상기 시트재보다 상측의 부분을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상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재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커버에 대하여 횡내측으로부터 중첩한 상태로 연결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상측 커버로 조작 부재의 상측을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상측 커버의 횡내측에 중첩한 상태에서 시트재의 상단을 상측 커버에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시트재의 상단으로부터 시트재의 내측으로 끊긴 짚이나 진애가 침입하는 문제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상측 커버는, 상기 횡측판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 마련한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탈곡 장치의 횡측판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된 지지 브래킷을 통해, 횡측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상측 커버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배출 짚을,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부에서 수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와, 상기 피드 체인의 후방, 또한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횡측벽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부, 및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를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탈곡 장치의 상기 횡측벽 사이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 중 상기 사이드 커버가 위치하는 측의 횡측부 사이에 마련되는 커버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상부 경사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탈곡 장치에서의 훑기 처리에 의해 발생한 끊긴 짚 등이 배출 짚 반송 장치로 전달되지 않고,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송출된 경우에는, 끊긴 짚 등이 커버 부재의 상면부를 일부가 올라타려는 상태로 된다. 이에 비해, 상기 특징 구성에 의하면, 커버 부재에 상면부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상부 경사면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피드 체인으로부터 끊긴 짚 등이 연속적으로 송출되고, 끊긴 짚이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상태에 빠진 경우라도, 끊긴 짚이 상면부로부터 상부 경사부를 따라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피드 체인의 후단으로부터 송출되는 끊긴 짚 등을 원활하게 배출하여, 체류를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이 구성되었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하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배출 짚 반송 장치로 반송되는 배출 짚의 밑동 부분을 커버 부재의 상면부에 접촉시켜 상면부에 퇴적되어 있는 배출 짚을 쓸어 떨어뜨리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 경사면부의 횡폭이 상기 상면부의 횡폭보다 넓게 설정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끊긴 짚 등이 상부 경사면부를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질 때에, 기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상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 경사면부에 상기 사이드 커버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넓은 광폭부가 구비되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상부 경사면부와 사이드 커버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끊긴 짚 등이 상부 경사면부를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질 때에, 기체 외측으로 이동해도 상부 경사면부와 사이드 커버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문제를 해소하여 끊긴 짚 등을 상부 경사면부에 있어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상부 경사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하부 경사면부가 구비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끊긴 짚 등이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 위치에 접촉하고, 하측으로 보내져 하측으로 송출된 후에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끊긴 짚 등이 피드 체인에 권취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끊긴 짚 등이 상면부 및 상부 경사면부의 하방 공간으로 들어가려고 해도, 하부 경사면부에 의해 들어가기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하부 경사면부에 접촉한 끊긴 짚 등을 후방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탈곡 장치에, 1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1번물 회수부의 후방에 있어서 2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탈곡 장치의 횡외측부에 마련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상기 1번물 회수부 및 상기 2번물 회수부로 전달하는 벨트식의 전동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기구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커버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1번물 회수부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1번물 회수부를 구동하는 풀리와, 2번물 회수부를 구동하는 풀리에 권회하는 벨트의 바로 아래에 커버가 배치되게 된다. 이 구성에서는, 벨트 전동 기구의 외측을 덮는 벽체가 배치되고, 1번물 회수부를 구동하는 풀리와, 2번물 회수부를 구동하는 풀리에 권회하는 벨트가, 벽체의 하단에 가까운 레벨에 배치되어 있어도, 포장의 곡간이 접촉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를 구동하는 벨트식의 전동 기구에 대하여 포장의 곡간 등이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콤바인이 구성되었다.
다른 구성으로서, 기체의 하부에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자탈형의 콤바인이고, 크롤러 주행 장치를 구비한 것에서는, 주행 시에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 부위로부터 포장면의 이토를 상방으로 튀겨 올리고, 이 이토가 벨트식의 전동 기구에 부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커버의 후단 위치를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크롤러 주행 장치가 이토를 튀겨 올리는 일이 있어도, 전동 기구의 벨트나 풀리에 부착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높은 전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부에, 상기 탈곡 장치의 좌우 양측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운터축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카운터축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어 카운터축에 풀리를 구비하고, 이 풀리의 구동력을, 풍구를 구동하는 풀리, 1번물 회수부를 구동하는 풀리, 혹은 2번물 회수부를 구동하는 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를 구비하여 벨트식의 전동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카운터축에 풀리를 구비해도, 카운터축에 구비한 풀리에 권회하는 벨트에 포장의 곡간이 접촉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의 후단부에, 상방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커버보다 후방으로부터 커버의 상방을 향해 이토가 비산되는 경우가 있어도, 절곡부가, 이토를 받아들여, 전동 기구의 벨트나 풀리에 부착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에 의해 커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가 전후 방향에서 복수로 분할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커버가 분할됨으로써, 커버를 구성하는 부품이 소형화되게 되어, 커버를 착탈할 때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메인터넌스 시에는, 모든 커버를 떼어내는 일 없이,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커버를 떼어내는 것으로 된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에,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예취 곡간의 반송 시에, 곡간의 일부나 진애 등이 피드 체인으로부터 낙하하는 경우가 있어도, 이들을 긴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하여 커버 내부에 모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상에 낙하하는 곡간은, 통상, 전후 방향으로 긴 자세가 되기 때문에, 이 곡간을 긴 구멍으로부터 배출하기 쉽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전동 기구의 전단부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방부 커버를 구비해도 된다.
벨트 전동 기구의 외측을 덮는 벽체가 배치되고, 이 벽체의 전단 부분보다 내부의 공간이 전방으로 개방되어도, 이와 같이 개방되는 부위를 전방부 커버로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전방부 커버 중, 상기 전동 기구를 덮는 면부는 무공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전동 기구를 덮는 면부가 무공이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벨트식의 전동 기구로의 이물의 침입을 저지한다.
도 1은 자탈형의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전동 케이스와 위치 보유 지지 기구와 해제 기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전동 케이스와 승강 연동 조작 기구와 강제 차단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작동 상태의 강제 차단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측 커버, 시트재, 하측 커버 등의 배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측 커버, 시트재, 하측 커버 등의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자탈형의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기체 후방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커버 부재가 배치된 부위의 기체 후방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1은 커버 부재가 배치된 부위의 기체 후방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커버 부재가 배치된 부위의 기체 후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자탈형의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탈곡 장치를 좌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벨트 전동 기구와 전동부 커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벨트 전동 기구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콤바인의 전동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전동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탈형의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자주하는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3)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4)에 의해 주위가 덮인 운전부(5)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5)의 후방에는 예취부(3)에서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6)와,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횡방향으로 나열되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운전부(5)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8)의 하방에 기체 각 부를 구동하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9)이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부호 (F)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전방측이고, 도 1 및 도 2에 부호 (B)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후방측이다. 도 2에 부호 (L)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좌측이고, 도 2에 부호 (R)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예취부(3)는 예취 대상이 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을 분초 안내하는 분초구(10), 분초된 식립 곡간을 세로 자세로 일으켜 세우는 복수의 세움 장치(11), 일으켜 세워진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2), 예취 곡간을 세로 자세로부터 서서히 가로 쓰러짐 자세가 되도록 자세 변경하면서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 장치(6)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13)의 상방측은 방진 커버(14)에 의해 덮여 있다.
탈곡 장치(6)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6)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15)과, 그 상방측에 대향하여 마련된 끼움 지지 레일(16)이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후방에는, 탈곡 장치(6)로부터의 배출 짚을 절단하는 배출 짚 커터(17)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탱크(7)에는 곡립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8)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
탈곡 장치(6)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피드 체인(15)과 끼움 지지 레일(16)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하면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실(19) 내에서 탈곡 처리한다. 급실(19)에는 급동(20)이 마련되어 있다. 급동(20)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탈곡 장치(6)의 좌측 외측은 복수의 외장 커버(23)로 덮여 있다. 이들 외장 커버(23)는 개별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의 하부에는 급실(19)로부터의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여, 선별 대상물을 기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5)를 구비함과 함께, 요동 선별 장치(25)로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26),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27), 2번물의 곡립(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28) 등이 마련되어 있다.
〔피드 체인의 구동 구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의 후방부 위치에서 좌측 외측부에 전동 케이스(30)가 구비되고, 이 전동 케이스(30)에 구동 스프로킷(31)을 구비하고, 이 구동 스프로킷(31)과, 전방의 종동 스프로킷(32)에 걸쳐서 피드 체인(15)이 권회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30)에는 입력 풀리(33)를 구비하고 있고, 이 입력 풀리(33)에 대하여 전동 벨트(34)를 통해 엔진(9)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30)의 내부에는 입력 풀리(33)와 일체 회전하는 입력축(33a)의 회전력을 피드 체인 클러치(35)(클러치 기구의 일례)로 전달하는 기어 전동 기구를 내장하고 있고, 이 피드 체인 클러치(35)로부터의 구동력을 구동 스프로킷(31)의 구동축(31a)으로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피드 체인 클러치(35)(클러치 기구)는 입력 풀리(33)의 입력축(33a)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구동 스프로킷(31)의 구동축(31a)으로 전달하는 전동 상태와, 전달하지 않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30)는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단속 조작하는 클러치 조작축(36)을 회동 축심 Y2와 동축심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이 클러치 조작축(36)의 외측 단부 부분에 클러치 조작 암(3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동 축심 Y2는 하단측일수록 기체 전방측으로 변위되는 경사 자세이기 때문에, 클러치 조작축(36)도 경사 자세로 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차단 상태로 유지하는 클러치 조작 암(37)의 자세를 오프 자세라고 칭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전동 상태로 설정하는 클러치 조작 암(37)의 자세를 온 자세라고 칭한다.
도면에는 구체 구조를 도시하지 있지 않지만, 피드 체인 클러치(35)는 구동 스프로킷(31)의 구동축(31a)에 대하여 시프트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추는 클러치 부재를 갖고, 이 클러치 부재에 형성한 결합 갈고리를 전술한 기어 전동 기구의 기어에 걸림 결합하는 위치와, 분리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전동 상태와 차단 상태의 전환을 실현한다. 클러치 조작 암(37)은 회동 축심 Y2를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클러치 부재의 위치를 전환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35)에 있어서의 전동 상태와 차단 상태의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구성하는 클러치 부재는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전동 위치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전동 케이스(30)의 내부에는, 클러치 부재가 차단 위치로 시프트 조작된 때에, 구동 스프로킷(31)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마찰 다판식의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외부로부터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클러치 조작 암(37)은 전동 자세로 보유 지지되고, 피드 체인 클러치(35)는 전동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비해, 클러치 조작 암(37)이 차단 자세로 조작된 경우에는, 클러치 부재가 시프트함으로써 피드 체인 클러치(35)에 의한 전동이 차단됨과 함께, 제동 기구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31)에 제동력을 작용시켜, 피드 체인(15)의 신속한 정지를 실현한다.
〔피드 체인 클러치의 조작 구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예취부(3)의 상승과 하강에 연동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차단 조작과 하강 조작을 행하는 승강 연동 조작 기구 U를 구비함과 함께, 정지 스위치(50)의 인위 조작에 연동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35)의 차단 조작을 행하는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에는 전동 케이스(30)를 측면에서 본 것을 도시하고 있고, 승강 연동 조작 기구 U와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의 일부(이점 쇄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는 평면에서 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승강 연동 조작 기구〕
승강 연동 조작 기구 U는 예취 레벨에 있는 예취부(3)가, 비예취 레벨까지 상승한 때에, 이 상승에 연동하여 클러치 조작 암(37)을 오프 자세로 조작하고, 비예취 레벨까지 상승한 예취부(3)가 예취 레벨까지 하강한 때에 클러치 조작 암(37)을 온 자세로 조작하는 기계식의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예취 레벨에 있는 예취부(3)가, 비예취 레벨까지 상승한 때에는, 상승에 연동하여 연동 와이어(44)의 이너 와이어(44a)의 장력이 상승하고, 이 장력의 작용에 의해 연동 크랭크 암(42)이 크랭크 지지축(4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연동 핀(45)이 클러치 조작 암(37)에 강하게 맞닿고, 이 맞닿음에 의해 클러치 조작 암(37)을, 회동 축심 Y2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오프 자세로 조작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차단 상태로 조작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예취부(3)가 비예취 레벨로부터 예취 레벨까지 하강한 때에는, 연동 와이어(44)의 이너 와이어(44a)의 장력이 저하되고, 중립 스프링(46)이 연동 크랭크 암(42)을 도 4에 도시하는 중립 지정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연동 핀(45)을 클러치 조작 암(37)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이 클러치 조작 암(37)을 온 자세로 복귀시키고,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전동 상태로 설정한다.
〔강제 차단 조작 기구〕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스위치(50)는 탈곡 장치(6)의 외장 커버(23) 중, 피드 체인(15)의 반송 시단부에 가까운 개소에서 기체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는 정지 스위치(50)가 누름 조작(ON 조작)된 때에, 차단용 모터(51)(도 4를 참조)를 작동시켜, 클러치 조작 암(37)을 도 5에 도시하는 오프 자세로 조작하고, 이 오프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2)에는 정지 스위치(50)가 누름 조작된 때의 ON 신호를 취득하여, 차단용 모터(51)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차단용 모터(51)의 근방 위치에는, 클러치 조작 암(37)의 요동각을 검지하는 포텐시오미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제어 장치는 정지 스위치(50)의 ON 신호를 취득한 때에는, 포텐시오미터로부터 피드백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클러치 조작 암(37)이 소정의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 차단용 모터(51)를 작동시켜, 오프 자세의 대응하는 각도에 도달한 타이밍에서, 차단용 모터(51)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는 차단용 모터(51)의 작동 암(52)에 의해 조작되어 있는 조작 와이어(53)와, 이 조작 와이어(53)의 이너 와이어(53a)로부터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작동하는 암 유닛 AU와, 암 유닛 AU의 작동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작동하는 슬라이드 링크(54)와, 이 슬라이드 링크(54)의 작동에 수반하여 요동 작동하는 중간 암부 AM과, 이 중간 암부 AM의 요동 작동에 수반하여 요동 작동하는 조작 암부 AP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 5에 도시하는 조작 와이어(53)(아우터 와이어의 부위에 부호를 붙이고 있음)는 내부에 이너 와이어(53a)를 갖고 있고, 이 이너 와이어(53a)의 장력에 의해 조작을 실현한다.
암 유닛 AU는 주행 기체(2)에 대하여 종방향 자세의 요동 지지축(55)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암(56)과, 이 제1 암(56)의 요동단에 대하여 종방향 자세의 전환 지지축(57)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게 지지된 제2 암(58)과, 전환 지지축(57)을 중심으로 한 제1 암(56)과 제2 암(58)의 상대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토글 스프링(59)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암 유닛 AU는 제2 암(58)의 요동단이 종방향 자세의 제1 연결축(61)에 의해 슬라이드 링크(54)의 일단(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링크(54)는 주행 기체(2)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암 유닛 AU는 슬라이드 링크(54)로부터 제1 연결축(61)을 통해 제2 암(58)의 요동단에 압박력[도 4에 있어서 슬라이드 링크(54)를 우측으로 시프트하는 힘]이 작용하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암(56)과 제2 암(58)이 도 4에 도시하는 로크 자세를 유지한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1 암(56)은 요동 지지축(55)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에서의 회동이 규제되고, 제2 암(58)의 기단에 구비한 스토퍼(58a)가 제1 암(56)에 맞닿고, 이 자세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토글 스프링(59)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요동 지지축(55)의 축심과 제1 연결축(61)의 축심을 연결하는 데드 포인트를 기준으로, 전환 지지축(57)의 축심이 동 도에서 좌측에 있는 점에서, 토글 스프링(59)의 가압력으로,이 자세가 유지되고, 슬라이드 링크(54)로부터의 압박력을 암 유닛 AU가 받아들인다.
이에 비해, 조작 와이어(53)의 장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암(56)이 요동 지지축(5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전환 지지축(57)의 위치가 데드 포인트를 초과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2 암(58)이 도 4에 도시하는 로크 자세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로크 해제 자세에 도달하고, 토글 스프링(59)의 가압력에 의해 로크 해제 자세가 유지된다.
조작 암부 AP는 주행 기체(2)에 대하여 종방향 자세의 조작 지지축(62)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이 조작 지지축(62)의 상단에 연결하는 상부 암(63)과, 이 조작 지지축(62)의 하단부에 연결하는 하부 암(64)을 구비함과 함께, 이들 사이에는 조작 지지축(62)에 연결하는 중간부 암(65)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암(63)의 요동단에는 클러치 조작 암(37)에 맞닿음 가능한 조작 핀(6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간부 암(65)에는 차단용 스프링(67)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특히, 이 차단용 스프링(67)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 지지축(62)이 회동한 경우에는, 이 회동에 수반하여 상부 암(63)의 조작 핀(66)으로부터 클러치 조작 암(37)에 작용하는 조작력에 의해 클러치 조작 암(37)을 오프 자세로 조작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도록, 차단용 스프링(67)의 가압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중간 암부 AM은 중간 암(68)의 기단 부분(도 4에서 우측단)을, 제2 연결축(68a)을 통해 슬라이드 링크(54)의 타단(전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중간 암(68)의 요동측 부분(도 4에서 좌측단)을, 제3 연결축(68b)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하부 암(64)의 요동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강제 차단 조작부의 작동 형태〕
이와 같이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용 모터(51)가 구동되지 않고, 조작 와이어(53)의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암(56)과 제2 암(58)이 도 4에 도시하는 로크 자세로 유지된다. 이로써, 슬라이드 링크(54)의 이동이 규제되어, 클러치 조작 암(37)이 온 자세로 유지되고, 피드 체인 클러치(35)가 전동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 조작 암(37)이 온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정지 스위치(50)가 누름 조작되어, 차단용 모터(51)가 작동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암(52)의 요동에 수반하여 조작 와이어(53)에 장력이 작용하여, 제1 암(56)이 요동 지지축(5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제2 암(58)이 로크 자세로부터 어긋나, 동 도에 도시하는 로크 해제 자세에 도달한다.
이로써, 제1 암(56)과 제2 암(58)이 크게 시계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슬라이드 링크(54)의 압박 방향(도 5에서 우측)으로의 변위가 허용된다. 이 변위의 결과, 차단용 스프링(67)의 가압력에 의한 조작 지지축(62)의 회동이 허용되어, 상부 암(63)의 요동에 수반하여, 조작 핀(66)이 클러치 조작 암(37)에 강하게 맞닿는 결과, 이 클러치 조작 암(37)이 오프 자세로 변위되고, 피드 체인 클러치(35)가 차단 상태로 된다. 이로써, 피드 체인(15)이 정지한다.
특히, 제1 암(56)과 제2 암(58)이 로크 해제 자세에 도달한 후에는, 토글 스프링(59)의 가압력이 상부 암(63)의 조작 핀(66)으로부터 클러치 조작 암(37)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조작 와이어(53)의 장력이 저하된 경우라도, 클러치 조작 암(37)이 온 자세로 복귀되는 일은 없고,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차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에 의해 피드 체인 클러치(35)가 차단 상태로 조작된 후에는, 작업을 중단하는 등의 상황에 있어서, 외장 커버(23) 등을 개방하고, 인위적으로 암 유닛 AU의 제1 암(56)과 제2 암(58)을 로크 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피드 체인 클러치의 조작계의 보호 구조〕
이 콤바인에서는, 도 3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에 있어서 피드 체인(15)이 배치된 측의 횡측판(6A)보다 외측에 전방부 커버(71)를 구비함과 함께, 이 후방측에 상측 커버(72)와, 시트재(73)와, 하측 커버(74)를 상부로부터 하부로 순차 나열하는 위치 관계로 구비하고, 또한 상측 커버의 후방측에 후방부 커버(75)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전방부 커버(71)와, 상측 커버(72)와, 시트재(73)와, 하측 커버(74)와, 후방부 커버(75)는, 평면에서 보아 피드 체인(15)이 배치되는 공간보다 탈곡 장치(6)의 횡측판(6A)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횡측판(6A)으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부 커버(71)는 철재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차단용 모터(51)의 상방 및 외측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측일수록 횡측판(6A)에 근접하는 경사 자세의 전방부 경사판(71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전방부 커버(71)는 수지판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측 커버(72)는 철재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전동 케이스(30)와 전동 벨트(34)의 외측에서, 클러치 조작 암(37)의 일부와, 승강 연동 조작 기구 U를 덮도록 구동 스프로킷(31)보다 내측에 있어서 종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측 커버(72)의 상부에는 상측일수록 횡측판(6A)에 근접하는 경사 자세의 상측 경사판(72a)을 구비하고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커버(72)는 횡측판(6A)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 마련한 상부 지지 브래킷(77)의 돌출단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커버(72)는 수지판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시트재(73)는 유연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고무재나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이, 상측 커버(72)와 후방부 커버(75)의 하단의 내측에 겹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비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 지지되어 있다.
이 시트재(73)는 암 유닛 AU와 중간 암부 AM과 조작 암부 AP를 포함하는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의 외측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고, 그 하단이, 하측 커버(74)의 상단의 횡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종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즉, 시트재(73)의 하단부가, 하측 커버(74)의 상단보다 하측의 높이까지 연신되고, 이 하단부가, 하측 커버(74)의 횡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커버(74)는 철재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보아 상측 커버(72)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단부에는 횡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74a)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커버(74)는 횡측판(6A)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 마련한 복수의 하부 지지 브래킷(78)의 돌출단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하측 커버(74)는 수지판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전방부 커버(71)와, 상측 커버(72)와, 시트재(73)와, 하측 커버(74)가, 차단용 모터(51)의 위치로부터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에 걸쳐 있는 영역의 외측을 덮고 있다. 따라서, 조작 와이어(53)를 통해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차단 조작하는 기계적인 조작 기구에 끊긴 짚이나 진애 등이 부착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차단용 모터(51)의 구동력을 피드 체인 클러치(35)로 전달하고, 피드 체인(15)의 구동을 정지하는 작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시트재(73)를, 조작 와이어(53)로부터의 조작력이 전달되는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의 제1 암(56)이 요동하고, 조작 와이어(53)의 연결 위치가 시트재(73)에 접촉하는 상황에서도, 시트재(73)가 유연하게 변형됨으로써, 이 작동이 허용된다.
또한, 시트재(73)의 상단을 상측 커버(72)의 하단의 내측에 겹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방으로부터의 시트재(73)의 내측으로 진애 등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한다. 또한, 시트재(73)의 하단을 하측 커버(74)의 상단의 외측에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진애 등이 시트재(73)의 하단으로부터 시트재(73)의 내부에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한다.
이 구성에서는, 상측 커버(72)가 상부 지지 브래킷(77)을 통해 탈곡 장치(6)의 횡측판(6A)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횡측판(6A)과 상측 커버(72) 사이에, 진애 등이 침입하는 일이 없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측 커버(74)가 하부 지지 브래킷(78)을 통해 탈곡 장치(6)의 횡측판(6A)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횡측판(6A)과 하측 커버(74) 사이에, 진애 등이 침입하는 일이 없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실시 형태와 공통의 번호, 부호를 붙이고 있음).
(a)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 장치(6)로서, 급동(20)이 주행 기체(2)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회전 축심 Y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급동(20)의 회전 축심 Y1을 주행 기체(2)의 횡방향(좌우 방향)를 따르는 자세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서는, 피드 체인(15)에 의한 곡간의 반송 방향이 주행 기체(2)의 횡방향(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되고, 탈곡 장치(6)의 횡측판(6A)이 주행 기체(2)의 전방측, 혹은 후방측에 배치됨으로써, 이것에 대응하여 시트재(73)가 배치되게 된다.
(b) 강제 차단 조작 기구 V는,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기구를 구비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조작 와이어(53)로부터의 조작력을 기어에 의해 회전력으로 변환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35)를 차단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8에 도시하는 자탈형의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001)과, 기체 프레임(1001)을 지지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10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기체 프레임(1001)의 전방부 우측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1004)가 배치되고, 운전부(1004)는 운전 캐빈(1003)으로 덮여 있다. 또한, 운전부(1004)의 하방에 엔진 E100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F1000은 「전방향」을 나타내고, B1000은 「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콤바인은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1006)를 전방부에 구비하고, 예취부(1006)에서 예취된 예취 곡간이 공급되는 탈곡 장치(1010)를 기체 프레임(1001)의 좌측에 배치하고 있다. 탈곡 장치(1010)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1007)를, 탈곡 장치(1010)의 우측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곡립 저류 탱크(1007)는 운전 캐빈(1003)의 후방에 위치되어,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008)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1010)는 예취부(1006)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1009)을 좌측부에 구비하고 있고, 피드 체인(1009)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급동(1011)을 탈곡 장치(1010)의 상부의 급실에 수용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은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배출된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10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콤바인은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배출 짚 세단 장치(1013)(배출 짚 절단 장치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 짚 세단 장치(1013)는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에서 반송되는 배출 짚을 세단하여 하방으로 방출하는 세단 처리와, 배출 짚을 세단하지 않고 기체 후방으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처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1006)는 기체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복수의 분초구(1014)와, 기체 폭 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세움 장치(1015)와, 절단 장치(1016)와, 반송 장치(1017)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014)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분초하고, 세움 장치(1015)는 분초된 식립 곡간을 일으켜 세우고, 절단 장치(1016)는 일으켜 세워진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017)는 절단 장치(1016)에서 밑동이 절단된 예취 곡간을 피드 체인(1009)에 전달하도록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 장치(1010) 중 피드 체인(1009)이 위치하는 측의 횡측부(좌측부)에 있어서의 기체 최횡외측에는 사이드 커버(1018)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1018)는 상측의 전후 2개소에 배치되는 상부 커버체(1019)와, 하측의 전후 2개소에 배치되는 하부 커버체(1020)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상부 커버체(1019)는 이들 전후의 상부 커버체(1019)와, 전후의 하부 커버체(1020)는 개별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의 하부에는 급동(1011)의 훑기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을 요동에 의해 선별하는 요동 선별부(1022)와,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1023)와, 1번물을 회수하여 곡립 저류 탱크(1007)에 공급하기 위한 1번물 회수부(1024)와, 2번물을 회수하여 요동 선별부(1022)에 환원하기 위한 2번물 회수부(1025)와, 급실로부터 배출되는 진애를 배출하는 배진 팬(102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와 배출 짚 세단 장치〕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반송 장치(1012)는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송출된 배출 짚을 경사 후방으로 반송하도록 반송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이 배출 짚 반송 장치(1012)는 배출 짚의 밑동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체인(1012a)과, 배출 짚의 이삭 끝 부분을 반송하는 이삭 끝 걸림 지지 반송부(101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출 짚 세단 장치(1013)는 커터 케이스(1028)의 내부에 있어서 기체 횡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된 한 쌍의 구동축의 한쪽에 원판 상의 다수의 공급날(1029)을 구비하고, 다른 쪽에 원반상의 다수의 절단날(103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배출 짚 세단 장치(1013)에서는, 각각의 구동축을 다른 속도로 구동 회전함으로써, 공급날(1029)과 절단날(1030) 사이에서 배출 짚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터 케이스(1028)의 상면에는 횡방향 자세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덮개(1028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1028a)를 폐색하는 자세로 유지함으로써,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에 의해 반송되는 배출 짚을 기체 후방으로 배출하고, 덮개(1028a)를 개방함으로써, 커터 케이스(1028)의 내부에 배출 짚을 공급하여 세단을 실현한다.
또한, 도 9,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세단 장치(1013)는 커터 케이스(1028)의 측부 중, 피드 체인(1009)이 배치된 측(좌측)의 외면에 한 쌍의 구동축을 구동하는 기어류 등의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고 있고, 이 구동부의 상방을 덮는 위치에, 판상의 상부벽(1028b)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
이 콤바인에서는,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의 반송 시단 위치로 배출 짚이 전달될 때에, 탈곡 장치(1010)에서의 훑기 처리에 의해 발생한 끊긴 짚 등이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에 전달되지 않고,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송출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송출되는 끊긴 짚 등은 체류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 끊긴 짚 등을 효율적으로 하방으로 배출하는 커버 부재 C10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체인(1009)은 반송 종단측에 배치된 구동 스프로킷(1009a)에 권회되어 있고, 이 구동 스프로킷(1009a)에 권회하는 부위 중, 가장 후단부를 반송 종단 위치 P1000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반송 종단 위치 P1000의 하측에는 탈곡 장치(1010)의 횡측벽(1010a)과, 상부 커버체(1019)의 내벽으로 둘러싸이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개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 끊긴 짚 등을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 C1000은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 P1000보다 후방이고, 커터 케이스(1028)의 상부벽(1028b)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 C1000은 사이드 커버(1018)의 상부 커버체(1019)와, 탈곡 장치(1010)의 횡측벽(1010a)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 C100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1031)와, 상면부(103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상부 경사면부(1032)와, 상부 경사면부(1032)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하부 경사면부(103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 부재 C1000은 피드 체인(1009)에 의한 반송 방향의 직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 C1000의 상면부(1031)는 전단부가 약간 하방으로 변위되는 완만한 경사 자세이고, 이 상면부(1031)는 피드 체인(1009)의 반송 경로의 높이와 대략 균등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면부(1031)는 커터 케이스(1028)의 상부벽(1028b)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가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경사면부(1032)의 상면은 상부 커버체(1019)의 상단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 C1000의 상면부(1031)의 전단 위치 Q1000이,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와 커터 케이스(1028)의 전단 위치의 대략 중앙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 C1000의 상부 경사면부(1032)의 전단과, 하부 경사면부(1033)의 전단의 경계 위치, 즉 커버 부재 C1000에서 가장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위치가, 피드 체인(1009)의 구동 스프로킷(1009a)의 축심보다 약간 상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 C1000은 금속재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고,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부(1031)의 전단 위치 Q1000와,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 P1000의 간격 R1000이, 끊긴 짚 등의 평균적인 치수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1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경사면부(1032)에는 이 상부 경사면부(1032)의 횡폭을, 상면부(1031)의 횡폭보다 크게 한 광폭부(1032a)를 형성하고 있다. 이 광폭부(1032a)는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측부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경사면부(1032)의 형상을 설정하여 형성되고, 이 돌출 부분이 사이드 커버(1018)를 구성하는 상부 커버체(1019)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경사면부(1033)의 횡폭은 상부 경사면부(1032)의 하단측의 횡폭과 동등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 C100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탈곡 장치(1010)에서 발생한 끊긴 짚 등이, 피드 체인(1009)으로부터 배출 짚 반송 장치(1012)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끊긴 짚 등은 커버 부재 C1000의 상면부(1031)에 일부가 올라타려는 상태로 된다. 이에 비해, 커버 부재 C1000에는 상면부(103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상부 경사면부(1032)가 구비되기 때문에, 피드 체인(1009)으로부터 끊긴 짚 등이 연속적으로 송출되고, 끊긴 짚 등이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상태에 빠져도, 끊긴 짚 등이 상면부(1031)로부터 상부 경사면부(1032)를 따라 낙하한다. 이로써, 끊긴 짚 등을 원활하게 송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 부재 C1000이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에 의해 반송되는 배출 짚의 밑동 부분을, 커버 부재 C1000의 상면부(1031)에 접촉시키는 상태로 이동시키고, 이 상면부(1031)에 퇴적되어 있는 배출 짚을 쓸어 떨어뜨리는 것도 가능해진다.
커버 부재 C1000에 상부 커버체(1019)[사이드 커버(1018)]의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면부(1031)보다 광폭이 되는 광폭부(1032a)가 구비되고, 이 광폭부(1032a)의 돌출측이 상부 커버체(1019)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기 때문에, 상부 경사면부(1032)와 상부 커버체(1019)의 내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끊긴 짚 등이 상부 경사면부(1032)를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질 때에, 기체 외측으로 이동해도, 광폭부(1032a)가 상부 경사면부(1032)와 상부 커버체(1019)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가는 문제를 해소하여 끊긴 짚 등을 상부 경사면부(1032)에 있어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 C1000에, 상부 경사면부(1032)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하부 경사면부(103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끊긴 짚 등이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 P1000에 접촉하여 하측으로 보내지고, 하측으로 송출된 후에는, 끊긴 짚 등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하부 경사면부(1033)에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끊긴 짚 등이 피드 체인에 권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끊긴 짚 등이 상면부(1031) 및 상부 경사면부(1032)의 하방 공간으로 들어가려고 해도, 하부 경사면부(1033)에 의해 들어가기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하부 경사면부(1033)에 접촉한 끊긴 짚 등을 후방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실시 형태와 공통의 번호, 부호를 붙이고 있음).
(a) 커버 부재 C1000으로서, 상면부(1031)와 상부 경사면부(1032)를 구비하고, 하부 경사면부(1033)를 구비하지 않고 구성한다. 이 커버 부재 C1000은, 하부 경사면부(1033)를 구비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하부 경사면부(1033)를 구비하지 않아도,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끊긴 짚 등이 체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b) 상부 경사면부(1032)에 광폭부(1032a)를 형성하지 않고, 커버 부재 C1000을 구성한다. 광폭부(1032a)를 구비함으로써 끊긴 짚 등의 하방으로의 안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지만, 이 광폭부(1032a)를 구비하지 않아도 끊긴 짚 등의 하방으로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c) 커버 부재 C1000의 상면부(1031)를 수평 자세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수평 자세로 함으로써도, 커버 부재 C1000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고, 끊긴 짚 등의 하방으로의 배출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자탈형의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2001)과, 기체 프레임(2001)을 지지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20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탈형의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2001)의 전방부 우측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2004)가 배치되고, 운전부(2004)는 운전 캐빈(2003)으로 덮여 있다. 운전부(2004)의 하방에는 엔진 E2000가 배치되어 있다(도 17을 참조).
이 콤바인은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2006)를 전방부에 구비하고, 예취부(2006)에서 예취된 예취 곡간이 공급되는 탈곡 장치(2010)를 기체 프레임(2001)의 좌측에 배치하고 있다. 탈곡 장치(2010)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2007)를, 탈곡 장치의 우측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곡립 저류 탱크(2007)는 운전 캐빈(2003)의 후방에 위치되어,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2008)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2010)는 예취부(2006)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2009)을 좌측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 탈곡 장치(20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급실(2025)이 형성됨과 함께, 피드 체인(2009)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급동(2011)을 급실(2025)에 수용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은 피드 체인(2009)의 반송 종단 위치로부터 배출된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20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콤바인은 배출 짚 반송 장치(2012)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배출 짚 세단 장치(20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 짚 세단 장치(2013)는 배출 짚 반송 장치(2012)에서 반송되는 배출 짚을 세단하여 하방으로 방출하는 세단 처리와, 배출 짚을 세단하지 않고 기체 후방으로부터 배출하는 처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2006)는 기체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복수의 분초구(2014)와, 기체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복수의 세움 장치(2015)와, 절단 장치(2016)와, 반송 장치(2017)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2014)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분초하고, 세움 장치(2015)는 분초된 식립 곡간을 일으켜 세우고, 절단 장치(2016)는 일으켜 세워진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2017)는 절단 장치(2016)에서 밑동이 절단된 예취 곡간을 피드 체인(2009)에 전달하도록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 장치(2010) 중 피드 체인(2009)이 위치하는 측의 횡측부(좌측부)에 있어서의 기체 최횡외측에는 사이드 커버(2018)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2018)는 상측의 상부 커버체(2019)와 하측의 하부 커버체(2020)로 상하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상부 커버체(2019)는 전후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측의 하부 커버체(2020)는 전후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전후의 상부 커버체(2019)와, 전후의 하부 커버체(2020)는 개별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탈곡 장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2025)이 탈곡 장치(20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 급실(2025)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회전 축심 Y200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급동(2011)이 지지되어 있다. 급동(2011)의 하측에 회전 축심 Y2001을 중심으로 한 원호 영역에 배치되는 받침망(2027)이 마련되어 있다. 이 탈곡 장치(2010)에서는, 피드 체인(2009)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 부분을, 받침망(2027)의 상면과 급동(2011)의 하측 사이에 공급함으로써 훑기 처리가 행해진다.
급실(2025)의 후방에 분리 드럼(2028)이 기체 좌우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드럼 축심 X200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분리 드럼(2028)의 후방에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202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리 드럼(2028)은 급실(2025)의 송진구(2046)로부터 배출된 배출물에 접촉함으로써 배출물에 포함되는 곡립 등의 하향 유동을 촉진하는 확산동으로서 기능한다. 배진 팬(2029)은 훑기 처리 등에 의해 발생한 진애를 배출한다.
받침망(2027)을 누설 낙하한 처리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030)가, 탈곡 장치(20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 요동 선별 장치(2030)의 하측에는 정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주풍구(2031)와, 조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제1 부풍구(2032)가 배치되고, 탈곡 장치(2010)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 제2 부풍구(203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부풍구(2033)는 후술하는 2번물 회수부(2035)에서 회수되는 2번물에 선별풍을 공급한다.
요동 선별 장치(2030)의 하측에, 요동 선별 장치(2030)에서 선별된 1번물로서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2034)를 구비하고, 이 후방에 요동 선별 장치(2030)로부터의 2번물로서의 미처리물(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2035)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2030)는 시브 케이스(2036)와, 조선별용의 제1 그레인 팬(2037)과, 복수의 선재를 사용한 전방 체부(2038)와, 조선별용의 제2 그레인 팬(2039)과, 복수의 선재를 사용한 후방 체부(2040)와, 조선별용의 채프 시브(2041)와, 조선별용의 스트로우 랙(2042)과, 안내판(2043)과, 정선별용의 그레인 시브(2044)를 구비하고 있다.
시브 케이스(2036)는 편심 캠식의 요동 구동 기구(2045)에 의해 요동한다. 제1 그레인 팬(2037)은 시브 케이스(2036)의 조선별 영역의 전방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그레인 팬(2037)은 시브 케이스(2036)의 요동에 수반하여, 받침망(2027)의 전방부측으로부터 누설 낙하된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비중 선별한다.
전방 체부(2038)는 제1 그레인 팬(2037)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 돌출되어 있고, 기체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전방 체부(2038)는 제1 그레인 팬(2037)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풀면서 채프 시브(2041)의 전단부에 공급한다.
제2 그레인 팬(2039)은 시브 케이스(2036)의 조선별 영역의 후방부측에 있어서, 송진구(2046)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제2 그레인 팬(2039)은 시브 케이스(2036)의 요동에 수반하여, 송진구(2046)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비중 선별한다.
후방 체부(2040)는 제2 그레인 팬(2039)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고, 기체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후방 체부(2040)는 제2 그레인 팬(2039)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풀면서 채프 시브(2041)의 후단부 및 스트로우 랙(2042)에 공급한다.
채프 시브(2041)는 시브 케이스(2036)의 조선별 영역에 있어서의 제1 그레인 팬(2037)의 후방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채프 시브(2041)는 시브 케이스(2036)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방 체부(2038)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이나, 받침망(2027)의 후방부측으로부터 누설 낙하된 선별 대상물, 후방 체부(2040)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한다.
스트로우 랙(2042)은 시브 케이스(2036)의 조선별 영역의 후방부측에 있어서, 채프 시브(2041)의 후단부에 연속 마련되어 있다. 스트로우 랙(2042)은 시브 케이스(2036)의 요동에 수반하여, 후방 체부(2040)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이나, 채프 시브(2041)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한다.
안내판(2043)은 시브 케이스(2036)의 정선별 영역의 전방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안내판(2043)은 시브 케이스(2036)의 요동에 수반하여, 채프 시브(2041)의 전방부측으로부터 누설 낙하된 선별 대상물을 후방 하방을 향해 하향 유동 안내한다.
그레인 시브(2044)는 시브 케이스(2036)의 정선별 영역의 후방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그레인 시브(2044)는 채프 시브(2041)의 후방부측으로부터 누설 낙하된 선별 대상물이나, 안내판(2043)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시브 케이스(2036)의 요동에 수반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한다. 그레인 시브(2044)는 기체 횡외측(좌측 방향)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1번물 회수부(2034)는 그레인 시브(2044)의 하방에 마련되어, 1번물의 곡립을 기체의 우측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2047)를 구비하고 있다. 이 1번 스크루(2047)의 우측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2007)로 리프팅 반송하는 리프팅 장치(2048)가 배치되어 있다.
2번물 회수부(2035)는 1번물 회수부(2034)의 후방이고 스트로우 랙(2042)의 하방에 마련되어, 2번물의 곡립을 기체의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2049)를 구비하고 있다. 이 2번 스크루(2049)의 우측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03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2050)가 배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경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운터축(2051)이 탈곡 장치(2010)의 전방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축(2051)의 우측단부와 엔진 E2000의 출력축 Ea2000에 걸쳐서, 엔진 E2000의 출력축 Ea2000의 동력을 카운터축(2051)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52)가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축(2051)의 좌우 중간부와 중계축(2053)에 걸쳐서, 카운터축(2051)의 동력을 중계축(2053)으로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2054)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2053)과 급동(2011)의 급동축(2011a)과 중계축(2055)에 걸쳐서, 중계축(2053)의 동력을 급동(2011)의 급동축(2011a) 및 중계축(2055)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56)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2055)과 중계축(2057)에 걸쳐서, 중계축(2055)의 동력을 중계축(2057)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58)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2057)과 배출 짚 반송 장치(2012)의 입력축(2012a)에 걸쳐서, 중계축(2057)의 동력을 배출 짚 반송 장치(2012)의 입력축(2012a)으로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2059)가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축(2051)의 좌측단부와 중계축(2060)에 걸쳐서, 카운터축(2051)의 동력을 중계축(2060)으로 전달하는 기어 전동 기구(2061)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 횡외측부[탈곡 장치(2010)의 좌측부]에는 벨트 전동 기구(2062, 2063, 2064, 2065, 2066, 206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들 중, 전방측에 배치되는 3개의 벨트 전동 기구(2063, 2064)가 본 발명의 벨트식의 전동 기구의 구체예이다.
중계축(2060)과 주풍구(2031)의 회전축(2031a)과 제1 부풍구(2032)의 회전축(2032a)에 걸쳐서, 중계축(2060)의 동력을 주풍구(2031)의 회전축(2031a) 및 제1 부풍구(2032)의 회전축(2032a)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62)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2062)는 중계축(2060)에 마련된 출력 풀리(2068)와, 주풍구(2031)의 회전축(2031a)에 마련된 입력 풀리(2069)와, 제1 부풍구(2032)의 회전축(2032a)에 마련된 입력 풀리(2070)와, 출력 풀리(2068) 및 입력 풀리(2069, 2070)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의 전동 벨트(2071)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2071)는 텐션 풀리(2072) 및 풀리(2073)에도 권회되어 있다.
중계축(2060)과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에 걸쳐서, 중계축(2060)의 동력을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63)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2063)는 중계축(2060)에 마련된 출력 풀리(2074),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에 마련된 입력 풀리(2075)와, 출력 풀리(2074) 및 입력 풀리(2075)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의 전동 벨트(2076)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2076)는 텐션 풀리(2077)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2076)는 전동 벨트(2071)보다도 기체 횡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과 리프팅 장치(2048)의 회전축(2048a)에 걸처셔,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의 동력을 리프팅 장치(2048)의 회전축(2048a)으로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2078)가 마련되어 있다.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과 제2 부풍구(2033)의 회전축(2033a)과 2번 스크루(2049)의 회전축(2049a)에 걸쳐서,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의 동력을 제2 부풍구(2033)의 회전축(2033a) 및 2번 스크루(2049)의 회전축(2049a)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64)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2064)는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에 마련된 출력 풀리(2079)와, 제2 부풍구(2033)의 회전축(2033a)에 마련된 입력 풀리(2080)와, 2번 스크루(2049)의 회전축(2049a)에 마련된 입력 풀리(2081)와, 출력 풀리(2079) 및 입력 풀리(2080, 2081)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의 전동 벨트(2082)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2082)는 텐션 풀리(2083) 및 풀리(2084)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2082)는 전동 벨트(2076)보다도 기체 횡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2번 스크루(2049)의 회전축(2049a)과 중계축(2085)에 걸쳐서, 2번 스크루(2049)의 회전축(2049a)의 동력을 중계축(2085)으로 전달하는 체인 전동 기구(2086)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2085)과 2번 환원 장치(2050)의 회전축(2050a)에 걸쳐서, 중계축(2085)의 동력을 2번 환원 장치(2050)의 회전축(2050a)으로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2087)가 마련되어 있다.
2번 스크루(2049)의 회전축(2049a)과 분리 드럼(2028)의 회전축(2028a)과 중계축(2088)과 구동 케이스(2089)의 입력축(2089a)에 걸쳐서, 2번 스크루(2049)의 회전축(2049a)의 동력을 분리 드럼(2028)의 회전축(2028a), 중계축(2088) 및 구동 케이스(2089)의 입력축(2089a)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65)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2065)는 2번 스크루(2049)의 회전축(2049a)에 마련된 출력 풀리(2090)와, 분리 드럼(2028)의 회전축(2028a)에 마련된 입력 풀리(2091)와, 중계축(2088)에 마련된 입력 풀리(2092)와, 구동 케이스(2089)의 입력축(2089a)에 마련된 입력 풀리(2093)와, 출력 풀리(2090) 및 입력 풀리(2091, 2092, 2093)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의 전동 벨트(2094)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2094)는 풀리(2095, 2096)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2094)는 전동 벨트(2082)보다도 기체 횡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중계축(2088)과 요동 구동 기구(2045)의 구동축(2045a)에 걸쳐서, 중계축(2088)의 동력을 요동 구동 기구(2045)의 구동축(2045a)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66)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2066)는 중계축(2088)에 마련된 출력 풀리(2097)와, 요동 구동 기구(2045)의 구동축(2045a)에 마련된 입력 풀리(2098)와, 출력 풀리(2097) 및 입력 풀리(2098)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의 전동 벨트(2099)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2099)는 텐션 풀리(2100)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2099)는 전동 벨트(2094)보다도 기체 횡내측(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동 케이스(2089)의 입력축(2089a)과 배출 짚 세단 장치(2013)의 입력축(2013a)에 걸쳐서, 구동 케이스(2089)의 입력축(2089a)의 동력을 배출 짚 세단 장치(2013)의 입력축(2013a)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2067)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2067)는 구동 케이스(2089)의 입력축(2089a)에 마련된 출력 풀리(2101)와, 배출 짚 세단 장치(2013)의 입력축(2013a)에 마련된 입력 풀리(2102)와, 출력 풀리(2101) 및 입력 풀리(2102)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의 전동 벨트(2103)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2103)는 텐션 풀리(2104)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2103)는 전동 벨트(2094)보다도 기체 횡내측(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동 케이스(2089)는 입력축(2089a)과, 출력축(2089b)과, 입력축(2089a)의 동력을 배진 팬(2029)의 회전축(2029a) 및 출력축(2089b)으로 전달하는 기어 전동 기구(2089c)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축(2089b)에는 피드 체인(2009)을 구동하는 구동 스프로킷(2105)이 마련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동 구성에서는, 전동 벨트(2082)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기구(2109)가 마련되어 있다. 텐션 기구(2109)는 전동 벨트(2082)에 접촉하는 텐션 풀리(2083)와, 텐션 풀리(2083)를 지지하는 요동 가능한 텐션 암(2110)과, 텐션 암(2110)을 텐션 풀리(2083)가 전동 벨트(2082)에 접촉하는 측으로 요동 가압하는 스프링(2111)과, 스프링(2111) 중 텐션 암(2110)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설치되는 로드(2112)와, 조작 레버(2113)를 구비하고 있다.
텐션 풀리(2083)는 전동 벨트(2082) 중 하측 경로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텐션 암(2110)은 1번 스크루(2047)의 회전축(2047a)과 동일한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다.
좌측의 횡측판(2106)에는 로드(2112)를 지지하는 지지부(2116)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 레버(2113)를 인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전동 벨트(2082)를 긴장 상태와, 이완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탈곡 장치(2010)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횡측판(2106)의 외측에 중간 커버체(2119)가, 횡측판(210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 중간 커버체(2119)는 상측일수록 횡측판(2106)에 접근하는 경사 자세의 상단 경사부(2119a)와, 수직 자세의 중간벽부(2119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중간 커버체(2119)의 하단부는 하부 커버체(2020)의 상단 부분과 약간 중복되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전동부 커버〕
도 15,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2010)의 좌측의 횡측판(2106)보다 외측에 벨트 전동 기구(2063, 2064, 2065, 2066, 2067)가 마련되고, 특히, 전방측에 배치되는 3개의 벨트 전동 기구(2063, 2064)의 하측의 전동부 커버(2130)(본 발명의 커버의 일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동부 커버(2130)는 하부 커버체(2020)의 하단으로부터, 벨트 전동 기구(2063, 2064)가 배치되는 공간에 대하여, 이물 등이 침입하는 문제를 억제한다. 즉, 기체 프레임(2001)으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복수의 스테이(2131)가 돌출 마련되고, 이들 스테이(2131)에 전동부 커버(2130)를 적재하도록 배치하고, 전동부 커버(2130)에 관통하는 고정 볼트(2132)를 스테이(2131)의 너트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전동부 커버(2130)가 기체 프레임(2001)에 지지되어 있다.
전동부 커버(213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2130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부 커버(2130)는 전후 방향에서 2분할된 구조를 갖고 있다. 2개의 전동부 커버(2130) 중, 후방부에 배치된 것의 후단을, 크롤러 주행 장치(2002)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설정하고 있고, 이 후단을 상방을 향해 절곡함으로써 절곡부(213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절곡부(2130b)는 기체 프레임(2001)에 고정 마련된 지지편(2133)에 대하여 비스(21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부 커버(2130)의 전단을, 카운터축(2051)보다 전방측까지 연장되는 위치에 설정하고 있다. 또한, 전동부 커버(2130)의 전단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무공의 전방부 커버(213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방부 커버(2135)는 하부 커버체(2020)의 전단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이 하부 커버체(2020)도 무공의 판상이 사용되고, 출력 풀리(207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1번물 회수부(2034)와 2번물 회수부(2035)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전동 기구(2063, 2064)가 하부 커버체(2020)의 하단의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 1번물 회수부(2034)와 2번물 회수부(2035)의 하측에 대응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게 된다. 이로써, 하부 커버체(2020)의 하단으로부터 포장의 곡간 등이 내측에 침입해도, 전동부 커버(2130)가 침입을 저지하여, 벨트 전동 기구에 접촉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동부 커버(2130)에, 복수의 긴 구멍(2130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드 체인(2009)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으로부터 끊긴 짚이나 진애가, 벨트 전동 기구(2063, 2064)에 떨어지는 상황이라도, 이들을 긴 구멍(2130a)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하여, 전동부 커버(2130)의 상면에 퇴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부 커버(2130)의 후단 위치를, 크롤러 주행 장치(2002)의 후단보다 후방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연장 돌출된 구조이고, 이 후단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절곡부(2130b)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체의 주행 시에 크롤러 주행 장치(2002)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토가 튀겨 오르는 일이 있어도, 이 이토를 전동부 커버(2130)가 차단하여, 이토를 벨트 전동 기구에 부착시키는 일도 없다. 이로써, 벨트 전동 기구는 이토가 부착되는 것에 의한 전동 성능의 저하나 손상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전동부 커버(2130)의 전단 위치를, 카운터축(205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카운터축(2051)의 축단에 풀리를 구비하고, 이 풀리로부터의 구동력을 벨트 전동 기구에 의해 탈곡 장치(2010)로 전달하도록 전동 기구를 구성해도, 카운터축(2051)의 하방을 전동부 커버(2130)로 덮는 것도 가능해진다.
전방부 커버(2135)를 구비함으로써, 전방부 위치의 하부 커버체(2020)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라도, 이 공간을 전방부 커버(2135)로 덮고, 이 부위로부터 곡간이 침입하는 문제를 저지하여 벨트 전동 기구에서의 전동을 양호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동부 커버(2130)가, 전후 방향에서 복수(실시 형태에서는 2개)로 분할된 구성이기 때문에, 커버를 착탈할 때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 시에는, 모든 커버를 떼어내는 일 없이,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커버를 떼어냄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실시 형태와 공통의 번호, 부호를 붙이고 있음).
(a) 전동부 커버(2130)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1번물 회수부(2034)에 대응하는 위치와 2번물 회수부(2035)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 있는 영역에만 구비해도 된다. 즉, 1번물 회수부(2034)와 2번물 회수부(2035)는 복수의 벨트 전동 기구 중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을 하측으로부터 덮도록 전동부 커버(2130)를 배치함으로써, 벨트 전동 기구에 대한 접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b) 1번물 회수부(2034)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크롤러 주행 장치(2002)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도달하는 영역에 전동부 커버(2130)를 구비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동부 커버(2130)의 후단에 절곡부(2130b)를 형성하지 않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 전동부 커버(2130)를 일체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실시 형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동부 커버(2130)를 복수로 분할하는 것보다 구성이 단순화되고, 전동부 커버(2130)의 전체의 강도 향상도 용이하다.
(d) 전동부 커버(2130)에,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2130a)을 형성하지 않고, 둥근 구멍이나 가로로 긴 구멍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서도 전동부 커버(2130)로부터 곡간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e) 전방부 커버(2135)에 구멍을 형성한다. 이 구멍은 전방으로부터 곡간의 침입을 저지할 정도의 개구 직경이면 되고, 내부의 진애의 배출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f)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부 커버(2130)를 기체 프레임(2001)에 지지하고 있었지만, 이것 대신에, 하부 커버체(2020)의 내측에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부 커버체(2020)와 전동부 커버(2130)를 일체적으로 착탈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g) 전방부 커버(2135)를 기체 프레임(2001), 혹은 탈곡 장치(2010)의 횡측판(2106)에 지지한다. 혹은, 전방부 커버(2135)를 전동부 커버(2130)와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부 커버(2135)의 지지 강도를 높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피드 체인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온 오프하는 클러치 기구와, 이 클러치 기구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피드 체인으로부터 배출 짚 반송 체인으로 전달하는 구성의 콤바인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이용할 수 있다.
6 : 탈곡 장치
6A : 횡측판
15 : 피드 체인
35 : 피드 체인 클러치(클러치 기구)
51 : 차단용 모터(액추에이터)
72 : 상측 커버
73 : 시트재
74 : 하측 커버
74a : 절곡부
77 : 상부 지지 브래킷(지지 브래킷)
78 : 하부 지지 브래킷(지지 브래킷)
1009 : 피드 체인
1010 : 탈곡 장치
1010a : 횡측벽
1012 : 배출 짚 반송 장치
1013 : 배출 짚 절단 장치(배출 짚 세단 장치)
1018 : 사이드 커버
1019 : 하부 커버체(사이드 커버)
1031 : 상면부
1032 : 상부 경사면부
1032a : 광폭부
1033 : 하부 경사면부
C1000 : 커버 부재
P1000 : 반송 종단부
2002 : 크롤러 주행 장치
2009 : 피드 체인
2010 : 탈곡 장치
2034 : 1번물 회수부
2035 : 2번물 회수부
2051 : 카운터축
2130 : 전동부 커버(커버)
2130a : 긴 구멍
2130b : 절곡부
2135 : 전방부 커버
E2000 : 엔진

Claims (19)

  1.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온 오프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탈곡 장치의 횡측판에 구비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 기구를 전동 상태로부터 전동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조작 기구를 구비한 콤바인이며,
    상기 조작 기구를,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시트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측판 중, 상기 시트재보다 하측의 부분을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하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재는, 상기 하측 커버의 상단보다도 하측의 높이 위치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시트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측 커버의 상단부에 대하여 횡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커버의 상단부에, 횡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커버는, 상기 횡측판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 마련한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측판 중, 상기 시트재보다 상측의 부분을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상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재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커버에 대하여 횡내측으로부터 중첩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커버는, 상기 횡측판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 마련한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7.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송출된 배출 짚을,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부에서 수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와,
    상기 피드 체인의 후방, 또한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횡측벽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부, 및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를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탈곡 장치의 상기 횡측벽 사이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 중 상기 사이드 커버가 위치하는 측의 횡측부 사이에 마련되는 커버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상부 경사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사면부의 횡폭이 상기 상면부의 횡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사면부에 상기 사이드 커버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넓은 광폭부가 구비되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 있는, 콤바인.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상부 경사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자세의 하부 경사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2.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탈곡 장치에, 1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1번물 회수부의 후방에 있어서 2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탈곡 장치의 횡외측부에 마련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상기 1번물 회수부 및 상기 2번물 회수부로 전달하는 벨트식의 전동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기구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커버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1번물 회수부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2항에 있어서, 기체의 하부에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부에, 상기 탈곡 장치의 좌우 양측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운터축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카운터축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단부에, 상방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전후 방향에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콤바인.
  17. 제12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18.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기구의 전단부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전방부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커버 중, 상기 전동 기구를 덮는 면부는 무공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90070518A 2018-10-23 2019-06-14 콤바인 KR20200045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9450A JP7094197B2 (ja) 2018-10-23 2018-10-23 コンバイン
JPJP-P-2018-199451 2018-10-23
JPJP-P-2018-199450 2018-10-23
JP2018199451A JP2020065474A (ja) 2018-10-23 2018-10-23 コンバイン
JPJP-P-2018-199449 2018-10-23
JP2018199449A JP7101591B2 (ja) 2018-10-23 2018-10-23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945A true KR20200045945A (ko) 2020-05-06

Family

ID=7039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518A KR20200045945A (ko) 2018-10-23 2019-06-14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45945A (ko)
CN (1) CN111083995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086A (ja) 2003-07-24 2005-02-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排ワラ処理構造
JP2009005610A (ja) 2007-06-27 2009-01-15 Kubota Corp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1160756A (ja) 2010-02-12 2011-08-25 Kubota Corp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5198580A (ja) 2014-04-04 2015-11-12 株式会社クボタ 自脱型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176A (ja) * 1995-10-12 1997-04-22 Kubota Corp 自脱型コンバイン
JPH11192014A (ja) * 1998-01-06 1999-07-21 Kubota Corp 脱穀部構造
JP4755030B2 (ja) * 2006-06-20 2011-08-2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655819B2 (ja) * 2012-06-18 2015-01-21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4103944A (ja) * 2012-11-29 2014-06-0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5991231B2 (ja) * 2013-02-28 2016-09-1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086A (ja) 2003-07-24 2005-02-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排ワラ処理構造
JP2009005610A (ja) 2007-06-27 2009-01-15 Kubota Corp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1160756A (ja) 2010-02-12 2011-08-25 Kubota Corp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5198580A (ja) 2014-04-04 2015-11-12 株式会社クボタ 自脱型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83995A (zh) 2020-05-01
CN111083995B (zh)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8175B1 (en) Integrated reversing system with belt engagement
KR20110076898A (ko) 콤바인
CN107426965B (zh) 联合收割机
JP7203134B2 (ja) コンバイン
JP4892960B2 (ja) コンバイン
JP5020596B2 (ja) コンバイン
KR101671255B1 (ko) 콤바인
KR20200045945A (ko) 콤바인
JP6914310B2 (ja) コンバイン
KR102557624B1 (ko) 콤바인
JP7313223B2 (ja) 脱穀装置
JP5975633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2020108412A (ja) コンバイン
JP5814862B2 (ja) コンバイン
JP2020065472A (ja) コンバイン
JP2009165368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KR102653365B1 (ko) 콤바인
JP7085981B2 (ja) コンバイン
JP6073057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2023123834A (ja) コンバイン
JP6879893B2 (ja) コンバイン
JP2010187575A (ja) コンバイン
JP2009005610A (ja) 自脱型コンバイン
CN114642117A (zh) 联合收割机
WO2019181549A1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