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529A -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 Google Patents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529A
KR20190110529A KR1020197019311A KR20197019311A KR20190110529A KR 20190110529 A KR20190110529 A KR 20190110529A KR 1020197019311 A KR1020197019311 A KR 1020197019311A KR 20197019311 A KR20197019311 A KR 20197019311A KR 20190110529 A KR20190110529 A KR 20190110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information
dock
marina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666B1 (ko
Inventor
하쿠번 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Publication of KR2019011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효율적인 선착장 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및 선착장 관리자용 단말을 제공한다.
차량 관리자용의 차량 관리자 단말과, 선착장 관리자용의 선착장 관리자 단말과, 예약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관리자 단말은,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를 설정하는 차량 정보 설정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선착장 관리자 단말은,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정보 설정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회답을 설정할 때에,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예약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를 등록하는 차량 정보 등록부와, 상기 선착장 정보를 등록하는 선착장 정보 등록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그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선착장 관리자 단말에 송신하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를 갖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및 선착장 관리자용 단말
본 발명은,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및 선착장 관리자용 단말에 관한 것이다.
선박운항(舟運)에 있어서는, 복수 있는 선착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상황에서는, 각 선착장의 이용을 예약하기 위해서, (1) 예약자가 당해 선착장의 관리자에 대하여 빈자리 상황의 확인을 행하고, (2) 선착장의 관리자가 빈자리 상황을 종이 기타 독립된 기록 매체에서 확인하여 예약자에게 회답하고, (3) 예약자가, 어떤 선박으로, 어느 선착장의, 어느 부두(棧橋)를, 어느 시간대에 이용할지와 같은 이용 신청 서류를 작성하고, 선착장의 관리자에게 전화, 우송, 팩스 등으로 예약 신청하고, (4) 선착장의 관리자가 우송, 팩스 등으로 신청 수리의 연락을 행한다고 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하며, 번거롭다. 출발 선착장과 도착 선착장에서 관리자가 다른 경우, 상기의 프로세스가 복수회 필요하게 되며, 그 번거로움은 매우 크다.
또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의 이동을 생성하고, 그 양단 및 경유지가 포함되는 경우는 그 경유지를 포함하여 정지하는 장소의 이용 가능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은, 선착장뿐만 아니라 주차장의 관리에서도 공통되며, 선박이나 차량 이외의 임의의 이동 수단의 정류장 일반에도 공통된다.
특허문헌 1에는, 선박의 운항 예정에 대한 예약을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선착장의 예약 등을 행하는 것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한, 이미 선착장의 이용에 관하여 필요한 절차를 마친 후의 선박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3-4472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과제는, 효율적인 선착장 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및 선착장 관리자용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람이 탈것에 의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경유지를 포함함)까지의 이동에 있어서, 그 기종점의 이용 가능성을 사전에 담보하기 위한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차량 관리자 단말 및 주차장 관리자용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선박 관리자용의 선박 관리자 단말과, 선착장 관리자용의 선착장 관리자 단말과, 예약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 관리자 단말은, 선박에 관한 선박 정보를 설정하는 선박 정보 설정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선착장 관리자 단말은,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정보 설정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회답을 설정할 때에,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예약 관리 서버는, 상기 선박 정보를 등록하는 선박 정보 등록부와, 상기 선착장 정보를 등록하는 선착장 정보 등록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그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상기 선박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선착장 관리자 단말에 송신하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를 갖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예약 관리 서버는, 상기 선박 정보, 상기 선착장 정보 및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에 의거하여, 이용하는 선박, 출발 선착장 및 발선 일시, 도착 선착장 및 착선 일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정보 제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착장 정보는, 각 선착장에 포함되는 부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선착장의 부두마다,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은, 선착장 설정 수단 및 날짜 설정 수단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등록하는 선착장 정보 등록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의 송신원에 송신하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예약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와, 그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고려하여 생성된,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선박 관리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정보 설정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회답을 고려하여 생성된,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회답을 설정할 때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선착장 관리자용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등록하는 선착장 정보 등록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와,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효율적으로 선착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모식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착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는 선박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선박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선박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선착장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선착장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선착장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선착장 스케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선착장 스케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선착장 예약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6a는 선착장 예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선착장 예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품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품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인공 지능을 이용한 트래픽 데이터 활용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a는 차량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차량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차량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주차장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주차장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주차장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주차장 스케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주차장 스케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주차장 예약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5a는 주차장 예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주차장 예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마케팅 데이터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박 정보를 미리 등록해 두고, 관리 주체가 상이한 복수의 선착장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관리한다. 이에 의해, 선박의 거동(언제, 어떤 선박이, 어느 선착장으로부터 어느 선착장까지 이동하는 것인지)에 관한 정보가 자동적으로 집약되어, 선박운항 사업자 등의 업무가 효율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선착장의 이용 예약 신청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화면 및 시스템 구성이 실현되고, 특히 2개소의 선착장의 예약 신청을 행함으로써 당해 2개소의 선착장간의 승선 좌석 재고를 만들어 낼 수 있어, 예약 재고의 통합 관리가 실현된다. 또한, 이 시스템을 통해 선박마다 혹은 선착장마다 치밀한 마케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약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의 실적(판매, 예약 소화, 선박의 이동 경로 이력 등)을 바탕으로, 어느 항로를 어느 정도의 속도로, 어떠한 조건하에서 운항하고 있는지를 축적하고, 인원 절감(省人化) 운전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착장에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제약이 있는 교통 그 외의 구조에도 활용 가능하다. 즉, 어떤 교통 수단에 있어서 승객의 승강 장소나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련한 식재료 등의 원료의 주고받음·연료 등의 화물의 수송·반입출·공급·인도 등에 필요한 장소이며, 또한 법적 또는 사회적으로 정해진 유한의 장소를 점유할 때에,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
선박 기타 이동 수단에 승객과 화물을 혼재하여 두 점 사이를 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의 형태가 선착장 기타 상기의 점용 장소를 순회하며 활동하는 경우로서, 그 루트와 점용하는 장소가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일 때, 이들을 예약·관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착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선착장 관리 시스템은, 선박 관리자 단말(1)과, 선착장 관리자 단말(2)과, 예약 관리 서버(3)와, 사용자 단말(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1대씩의 선박 관리자 단말(1), 선착장 관리자 단말(2) 및 사용자 단말(4)을 묘사하고 있지만, 통상 이들은 복수 존재한다. 이러한 선착장 관리 시스템의 운용을 통해서, 선박 정보를 등록하고, 그 등록한 선박 정보를 읽어내어 선착장의 이용 신청을 행함으로써, 선박이 언제, 어디의 선착장으로부터 어디의 선착장으로 이동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선박 내의 좌석 등의 예약을 접수할 수 있는 수(이하, 예약 재고라고 한다)를 생성할 수 있다.
우선은, 선박 관리자 단말(1)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박 관리자 단말(1)은 개개의 선박을 관리하는 선박 관리자가 사용하는 것이며, 통신부(11), 선박 정보 설정부(12), 선착장 예약 신청부(13), 표시 제어부(14), 표시부(15) 등을 갖는다.
통신부(11)는 예약 관리 서버(3)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선박 정보 설정부(12)는, 선박 관리자 자신이 관리하는 선박에 관한 정보(이하, 선박 정보라고 한다)의 설정을 선박 관리자로부터 접수하고, 통신부(11)를 통해 선박 정보를 예약 관리 서버(3)에 송신한다.
선착장 예약 신청부(13)는,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정보,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을 희망하는 선착장, 당해 선착장의 이용 개시 일시 및 이용 종료 일시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라고 한다)의 설정을 선박 관리자로부터 접수한다. 그리고, 선착장 예약 신청부(13)는 통신부(11)를 통해 예약 관리 서버(3)에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송신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선박 정보 설정 화면, 선박 정보 일람 화면, 선박 정보 편집 화면, 선착장 스케줄 화면, 선착장 예약 화면 등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도 2a는, 선박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새롭게 선박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이며, 선박 관리자가 선박 관리자 단말(1)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표시부(15)에 표시된다.
선박 정보 설정 화면에는, 각 선박에 부여되는 유니크한 선박 ID가 미리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그 화면에서, 선박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선박의 이름, 외관·외장, 선내 레이아웃 등의 선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 화면에서, 소속 사업자, 전체 길이, 전체 폭, 총 톤수 등, 보다 상세한 선박 정보도 설정할 수 있다. 필요한 선박 정보의 설정 후, 선박 관리자에 의해 등록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설정된 선박 정보가 선박 관리자 단말(1) 내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거나, 예약 관리 서버(3)에 송신되거나 한다.
도 2b는, 선박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 완료 선박의 일람을 표시하여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며, 선박 관리자가 선박 관리자 단말(1)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선박 관리자 단말(1) 내의 기억부 혹은 예약 관리 서버(3)로부터 선박 정보가 취득되어, 표시부(15)에 표시된다.
선박 정보 일람 화면은, 각 선박 정보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선박 ID, 선박의 이름, 전체 길이, 전체 폭을 포함하고 있다. 그 화면에 신규 등록 버튼이 마련되고, 선박 관리자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도 2a에 도시하는 선박 정보 설정 화면이 표시부(15)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선박 정보 일람 화면에는, 각 선박에 관련지어진 편집 버튼도 마련되어 있다. 편집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선박 정보 편집 화면이 표시부(15)에 표시된다.
도 2c는, 선박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 완료 선박 정보를 확인하거나 갱신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2a에 도시하는 선박 정보 설정 화면과 유사하며, 설정이 완료된 선박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박 정보 편집 화면에는 갱신 버튼 및 삭제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필요한 선박 정보의 갱신 후, 선박 관리자에 의해 갱신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갱신된 선박 정보가 선박 관리자 단말(1) 내의 기억부에 기억되거나, 예약 관리 서버(3)에 송신되거나 한다. 또한, 선박 관리자에 의해 삭제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당해 선박 정보는 삭제된다.
또한, 표시부(15)에 표시되는 선착장 스케줄 화면 및 선착장 예약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b로 되돌아와서,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착장 관리자 단말(2)은 개개의 선착장을 관리하는 선착장 관리자가 사용하는 것이며, 통신부(21), 선착장 정보 설정부(22), 선착장 예약 승인부(23), 표시 제어부(24), 표시부(25) 등을 갖는다.
통신부(21)는 예약 관리 서버(3)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선착장 정보 설정부(22)는, 선착장 관리자 자신이 관리하는 1 또는 복수의 선착장에 관한 정보(이하, 선착장 정보라고 한다)의 설정을 선착장 관리자로부터 접수하고, 통신부(21)를 통해 예약 관리 서버(3)에 송신한다.
선착장 예약 승인부(23)는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의해 설정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예약 관리 서버(3)로부터 수취한다. 그리고, 선착장 예약 승인부(23)는, 선착장 관리자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수취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고, 예약 관리 서버(3)에 송신한다.
표시 제어부(24)는, 선착장 정보 설정 화면, 선착장 정보 일람 화면, 선착장 정보 편집 화면, 선착장 스케줄 화면 등을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
도 3a는, 선착장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새롭게 선착장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이며, 선착장 관리자가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표시부(25)에 표시된다.
선착장 정보 설정 화면에는, 각 선착장에 부여되는 유니크한 선착장 ID가 미리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그 화면에서, 선착장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선착장의 이름, 외관, 주소, 지도 등의 선착장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 화면에서, 영업 시간, 부두의 이름 등, 보다 상세한 선착장 정보도 설정할 수 있다. 필요한 선착장 정보의 설정 후, 선착장 관리자에 의해 등록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설정된 선착장 정보가 선착장 관리자 단말(2) 내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거나, 예약 관리 서버(3)에 송신되거나 한다.
도 3b는, 선착장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이 완료된 선착장의 일람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며, 선착장 관리자가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선착장 관리자 단말(2) 내의 기억부 혹은 예약 관리 서버(3)로부터 선착장 정보가 취득되어, 표시부(25)에 표시된다.
선착장 정보 일람 화면은, 각 선착장 정보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선착장 ID, 선착장의 이름, 주소, 영업 시간, 부두 수를 포함하고 있다. 그 화면에 신규 등록 버튼이 마련되고, 선착장 관리자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도 3a에 도시하는 선착장 정보 설정 화면이 표시부(25)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선착장 정보 일람 화면에는, 각 선착장에 관련지어진 편집 버튼도 마련되어 있다. 편집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선착장 정보 편집 화면이 표시부(25)에 표시된다.
도 3c는, 선착장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 완료 선착장 정보를 확인하거나 갱신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3a에 도시하는 선착장 정보 설정 화면과 유사하며, 설정이 완료된 선착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착장 정보 편집 화면에는 갱신 버튼 및 삭제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필요한 선착장 정보의 갱신 후, 선착장 관리자에 의해 갱신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갱신된 선착장 정보가 선착장 관리자 단말(2) 내의 기억부에 기억되거나, 예약 관리 서버(3)에 송신되거나 한다. 또한, 선착장 관리자에 의해 삭제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당해 선착장 정보는 삭제된다.
또한, 표시부(25)에 표시되는 선착장 스케줄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계속해서, 도 1b의 예약 관리 서버(3)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약 관리 서버(3)는, 선착장 이용 플랫폼을 제공하여 전체 선착장의 관리(특히 예약 관리)를 행하는 사업자가 주로 사용하는 것이다. 예약 관리 서버(3)에 의해, 선박 및 선착장을 통합적으로 관리 가능해진다. 예약 관리 서버(3)는, 선착장 예약부(31) 및 상품 예약부(32)로 구성되고, 이들은 별개의 장치로 분산되어도 되지만, 이하에서는 하나의 장치 내에 있는 것으로 한다.
선착장 예약부(31)는 주로 선박 관리자 단말(1) 및 선착장 관리자 단말(2)로부터 액세스되고, 통신부(311), 액세스 관리부(312), 선박 정보 등록부(313), 선착장 정보 등록부(314), 예약 제어부(315), 장표 출력부(316),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 운항 정보 생성부(318), 기억부(319) 등을 갖는다.
통신부(311)는, 선박 관리자 단말(1), 선착장 관리자 단말(2) 및 상품 예약부(32)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액세스 관리부(312)는, 기억부(319)에 기억된 사용자 마스터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관리하거나, 어떤 사용자가 어떠한 정보에 액세스했는지를 나타내는 액세스 관리 정보를 기억부(319)에 기억한다.
선박 정보 등록부(313)는, 통신부(311)를 통해 선박 관리자 단말(1)로부터 선박 정보를 취득하고, 선박 정보를 기억부(319)에 등록한다. 여기서 등록된 선박 정보에 있어서의 선박이, 본 선착장 관리 시스템에서의 관리 대상의 선박이 된다.
선착장 정보 등록부(314)는, 통신부(311)를 통해 선착장 관리자 단말(2)로부터 선착장 정보를 취득하고, 선착장 정보를 기억부(319)에 등록한다. 여기서 등록된 선착장 정보에 있어서의 선박이, 본 선착장 관리 시스템에서의 관리 대상의 선착장이 된다.
예약 제어부(315)는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있어서의 선착장 예약 신청부(13)로부터의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예약 제어부(315)는, 그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서 이용 예약이 신청된 선착장을 관리하는 선착장 관리자의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예약 제어부(315)는, 당해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있어서의 선착장 예약 승인부(23)로부터, 이용 예약의 신청에 대한 회답을 수신한다.
그리고, 예약 제어부(315)는,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이에 대한 회답에 의거하여,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한다. 즉, 예약 제어부(315)는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이 설정된 일시를 파악한다. 선착장 정보가 각 선착장에 포함되는 부두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예약 제어부(315)는 부두마다 이용 예약을 제어해도 된다.
장표 출력부(316)는, 선박 관리자 단말(1)로부터의 이용 예약 신청이 승인된 경우에, 그 취지의 장표를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출력한다. 출력의 양태에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메일이나 팩스로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출력된다.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는, 선착장의 각각에 대해서 그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이용 예약이 완료된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는,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이 승인되면,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갱신한다.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기억부(319)에 기억함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선박 관리자 단말(1) 및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송신한다.
운항 정보 생성부(318)는, 선박 정보, 선착장 정보 및 선착장 스케줄 정보에 의거하여 운항 정보를 생성하고, 기억부(319)에 기억하거나, 상품 예약부(32)에 송신하거나 한다. 운항 정보는, 어떤 선박이, 언제, 어느 선착장(의 어느 부두)으로부터 어느 선착장으로 운항할 예정인지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기억부(319)는, 상술한 선박 정보, 선착장 정보, 선착장 스케줄 정보, 운항 정보, 사용자 마스터 정보, 액세스 관리 정보 등을 기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선착장 스케줄 정보는 선박 관리자 단말(1)이나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송신되고,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선착장 스케줄 화면이 선박 관리자 단말(1)이나 선착장 관리자 단말(2)의 표시 제어부(14, 24)에 의해 표시부(15, 25)에 각각 표시된다.
도 4a 및 도 4b는, 선착장 스케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선박 관리자(혹은 선착장 관리자)가 선박 관리자 단말(1)(혹은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예약 관리 서버(3)로부터 선착장 스케줄 정보가 취득되어, 표시부(15)(혹은 표시부(25))에 표시된다.
선착장 스케줄 화면은, 각 시간대에, 어떤 선박 관리자(혹은 어떤 선박)가 이용 예약을 행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선착장 스케줄 정보로서 포함하고 있다. 선박 관리자명이 없는 시간대에는 이용 예약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선착장 스케줄 화면은, 선착장 설정 수단(54), 부두 설정 수단(55) 및 날짜 설정 수단(56)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각 설정 수단은 풀다운 형식 등, 설정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선착장 설정 수단(54)에 의해 선착장이 선택되면, 그 선착장에 포함되는 부두를 부두 설정 수단(55)에 의해 선택 가능해진다. 선택된 선착장, 부두 및 날짜의 선착장 스케줄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 4a는 1개의 부두를 갖는 선착장의 스케줄 화면의 예시이다. 또한, 도 4b는 복수의 부두(동 도면에서는 2개의 부두 α,β)를 갖는 부두형 선착장의 스케줄 화면의 예시이며, 각 부두의 스케줄 정보가 하나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도 5는, 선착장 예약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미리 선박 정보 등록부(313) 및 선착장 정보 등록부(314)에 의해 선박 정보 및 선착장 정보가 각각 등록되어 있고, 또한,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에 의해 선착장 스케줄 정보가 생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선박 관리자가 선박 관리자 단말(1)에 대하여 선착장의 이용 예약 신청을 위한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응답하여,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있어서의 선착장 예약 신청부(13)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의 송신을 예약 관리 서버(3)에 리퀘스트한다(단계 S1).
예약 관리 서버(3)의 예약 제어부(315)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의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그 리퀘스트의 송신원에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21).
선박 관리자 단말(1)의 표시 제어부(14)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면, 그 정보를 포함하는 선착장 예약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단계 S2).
도 6a 및 도 6b는, 선착장 예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착장 예약 화면은, 도 4의 선착장 스케줄 화면과 유사하며, 추가로 예약명 설정 수단(51), 예약 시간 설정 수단(52) 및 예약 등록 수단(53)이 포함된다. 예약명 설정 수단(51)은, 선박 관리자가 임의의 예약명을 입력함으로써, 예약명을 설정한다. 그리고, 선박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선착장 설정 수단(54), 부두 설정 수단(55), 날짜 설정 수단(56) 및 예약 시간 설정 수단(52)에 의해, 이용 예약을 신청하는 선착장, 부두, 날짜 및 시간(이용 개시 시간 및 이용 종료 시간)을 설정한다. 이들이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로서 설정된다. 또한, 이용 예약이 완료된 일시는 선택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a는 1개의 부두를 갖는 선착장의 스케줄 화면의 예시이다. 또한, 도 6b는 복수의 부두(동 도면에서는 2개의 부두 α,β )를 갖는 부두형 선착장의 스케줄 화면의 예시이며, 각 부두에 대해서 하나의 화면으로부터 예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선박 관리자가 예약 등록 수단(53)을 선택하면, 선착장 예약 신청부(13)는 설정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예약 관리 서버(3)에 송신한다(도 5의 단계 S3).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14)는,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그 때문에, 선박 관리자는,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비어 있는 일시의 이용 예약 신청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예약 관리 서버(3)의 예약 제어부(315)는,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이용 예약 신청된 선착장 관리자의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 송신한다(단계 S22).
선착장 관리자 단말(2)의 표시 제어부(24)는,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면, 그 정보를 포함하는 선착장 스케줄 화면 및 이용 예약 신청의 내용을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단계 S31). 그리고, 선착장 예약 승인부(23)는, 선착장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고,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의 송신원인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송신한다(단계 S32).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24)는,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할 때에,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25)에 표시시킨다. 그 때문에, 선착장 관리자는,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승인할지 여부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약 관리 서버(3)의 예약 제어부(315)는 선착장 관리자 단말(2)로부터 회답을 수취한다.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한다는 취지의 회답인 경우(단계 S23의 YES),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 및 운항 정보 생성부(318)는, 각각 선착장 스케줄 정보 및 운항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24). 그리고, 예약 제어부(315)는, 이용 예약이 승인된 것을,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송신한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송신한다(단계 S25). 이 때, 장표 출력부(316)도 필요한 장표를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출력한다.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회답인 경우(단계 S23의 NO), 예약 제어부(315)는, 이용 예약이 승인되지 않은 것을,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송신한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송신한다(단계 S25).
이와 같이 하여, 선착장의 이용 예약이 완료된다. 또한, 회답이 선박 관리자 단말(1)에 통지된 것이나, 갱신된 선착장 스케줄 정보 및 운항 정보는, 선착장 관리자 단말(2)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단계 S3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선착장 관리 시스템은, 선박 관리자 단말(1), 선착장 관리자 단말(2) 및 예약 관리 서버(3)에 있어서의 선착장 예약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박 관리자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의 확인에서부터 이용 예약의 신청을 선박 관리자 단말(1) 상에서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선착장 관리자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의 확인 및 이용 예약의 신청에 대한 회답을 선착장 관리자 단말(2) 상에서 간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회답의 결과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에 반영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1b에서의 선착장 관리 시스템의 예약 관리 서버(3)는 상품 예약부(32)를 갖고, 각 상품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예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 예약부(32)는 주로 선착장 이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업자로부터 액세스되고, 통신부(321), 액세스 관리부(322), 상품 정보 제어부(323), 표시 제어부(324), 결제부(325), 장표 출력부(326), 표시부(327), 기억부(328) 등을 갖는다.
통신부(321)는 선착장 예약부(31) 및 사용자 단말(4)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액세스 관리부(322)는, 기억부(328)에 기억된 사용자 마스터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관리하거나, 어떤 사용자가 어떠한 정보에 액세스했는지를 나타내는 액세스 관리 정보를 기억부(328)에 기억한다.
상품 정보 제어부(323)는, 선착장 예약부(31)에 있어서의 운항 정보 생성부(318)에 의해 생성된 운항 정보에 기초하여, 판매 가능한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부(328)에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품 정보 제어부(323)는, 운항 정보를 참조하여, 이용 예약되지 않은 선박 및 선착장을 파악하고, 또한, 선착장 이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의향에 따라, 각 상품의 이름, 이용하는 선박, 출발 선착장 및 그 발선 일시, 도착 선착장 및 그 착선 일시, 운임 등을 포함하는 상품의 정보를 생성한다. 각 상품은, 기억부(328)에 기억된 임의의 알림이나 이벤트 등과 관련지어져 있어도 되고, 식사나 가이드 포함이어도 된다.
표시 제어부(324)는 상품 정보 일람 화면이나 상품 정보 편집 화면 등을 표시부(327)에 표시시킨다.
도 7은, 상품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이 완료된 상품의 일람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며, 선착장 이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업자가 예약 관리 서버(3)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표시부(327)에 표시된다. 이 화면에 의해, 상품의 재고를 파악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일람 화면은, 각 상품을 특정하는 ID, 상품명, 이용하는 선박, 운임, 출발 선착장 및 그 예약 가능한 시간대, 도착 선착장 및 그 예약 가능한 시간대를 포함하고 있다. 그 화면에 신규 등록 버튼이 마련되고, 사업자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새로운 상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부(327)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품 정보 일람 화면에는, 각 상품에 관련지어진 편집 버튼도 마련되어 있다. 편집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상품 정보 편집 화면이 표시부(327)에 표시된다.
도 8은, 상품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 완료 상품 정보를 갱신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화면이다. 그 화면에 있어서, 각 상품에 있어서의 상품명, 이용하는 선박, 운임, 출발 선착장 및 그 예약 가능한 시간대, 도착 선착장 및 그 예약 가능한 시간대를 갱신할 수 있다. 필요한 상품 정보의 설정 후, 갱신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갱신된 상품 정보가 기억부(328)에 기억된다. 또한, 삭제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당해 상품 정보는 삭제된다.
도 1b로 되돌아와서, 결제부(325)는, 필요에 따라 결제 대행 회사의 시스템을 이용하고, 상품 판매 시에 결제를 행한다.
장표 출력부(326)는 상품 판매 시에 필요한 장표를 사용자 단말(4)에 출력한다. 출력의 양태에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메일이나 팩스로 선박 관리자 단말(1)에 출력된다.
기억부(328)는, 상술한 알림, 이벤트 정보, 사용자 마스터 정보, 상품 정보 등을 기억한다.
사용자 단말(4)은 일반 사용자 혹은 여행 대리점 등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며, 통신부(41), 상품 예약 신청부(42), 표시 제어부(43) 및 표시부(44) 등을 갖는다. 통신부(41)는 선착장 예약부(31)와의 통신을 행한다. 상품 예약 신청부(42)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품의 예약을 행한다. 표시 제어부(43)는 상품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부(44)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상품 예약 신청부(42)에 의해 상품의 예약을 행할 때에, 표시 제어부(43)가 상품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재고를 확인하면서 상품 예약의 신청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선박 관리자 및 각 선착장 관리자로부터 복수의 선박 및 선착장의 등록을 각각 접수하고, 예약 관리 서버(3)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선착장의 예약을 행할 수 있는 편리한 선착장 이용 플랫폼이 제공된다. 또한, 복수의 선착장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관리함으로써, 선착장의 혼잡 상황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선박운항 서비스의 제공이 용이하게 된다.
더불어 선착장 관리자는, 선박의 이용 상황 및 하나의 선착장에 복수의 부두가 있는 경우, 각각의 부두의 예약·이용 상황 등을 바탕으로, 일시적으로 비어 있는 부두를 시간 대여할 때에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선박 관리자는, 자신이 운항시키지 않는 선박에 대해서, 본 발명의 선박을 제삼자에게 빌려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선박 정보 리스트로부터 자신이 관리하는 선박으로서 운항하고 있지 않은 선박 일람을 제삼자에게 개시하고, 제삼자는 희망하는 배를 검색·선택하고, 소정의 선착장에서 승선하여 소정의 선착장에 반환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활용하여 임의의 선착장간을 이동하는 예약을 이룰 수 있다.
선박 관리자는, 간이하게 선박 관리자 자신이 관리하는 선박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참조하거나, 갱신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선박 관리자는, 선박 스케줄 화면을 보면서, 선착장의 이용 예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선박 관리자에게 있어, 선박 정보의 관리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일체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관리자가 상이한 선착장간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예약 조작을 동일한 플랫폼 상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은 크다.
또한, 이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면, 선착장 이용료의 지불을 인터넷 상에서의 결제에 의해 행하는 것도 추가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약에서부터 지불까지의 일련의 플로우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게 선착장 이용을 행할 수 있다.
선착장 관리자는, 간이하게 선착장 관리자 자신이 관리하는 선착장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참조하거나, 갱신하거나, 삭제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선착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리자가 관리하는 선착장과의 연계가 가능해짐으로써, 자신이 관리하는 선착장의 이용률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박 관리 운항자는, 선착장 예약을 행하는 것만으로, 어디에서 어디로 향하는 운항과 연동된 승선좌석의 판매에 관련되는 재고 관리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요금 수수에 대해서도, 본 시스템과 연동되는 결제 제어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선착장 관리자가 정하는 시기, 양식, 금액의 선착장 사용료를, 현행의 은행 송금이나 현금 수수와 같은 형태보다 간편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요금 수수에 소요되는 관리 비용 삭감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선착장이 어느 타이밍에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쉬워지고, 또한 다른 선착장과의 비교 등을 통해, 선착장의 이용과 활용 촉진을 위한 마케팅 활동을, 종래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착장의 이용자에게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주체가 상이한 복수의 선착장간의 이동을 상정할 때, 각각의 선착장의 이용 신청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착장의 이용자에게 있어, 선착장간을 이동하는 선박의 정보가 이용 신청 시에 동시에 생성됨으로써, 그 선박이 이동하는 선착장간의 승선 예약 판매를 위한 재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약 관리 서버(3)에 기억된 과거의 선박마다·선착장마다의 예약 정보들(트래픽 데이터)을 읽어내어, 예약 정보를 심층 학습 등의 통계학적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여 패턴성을 추출함으로써, 추출한 패턴에 의거하여, 어느 시기에, 어디에서 어디로의 수요가 있는지 등의 마케팅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 1b에 도시하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4)에 선착장 관리자 단말(2)과 동일한 선착장 예약 신청부(13)를 마련하거나, 선박 관리자 단말(1)과 선착장 관리자 단말(2)을 일체화하는 등, 여러 가지의 추가, 삭제, 변형이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선착장 관리 시스템의 각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서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사고 방식을 응용하여,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차량 관리자 단말 및 주차장 관리자용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차량 관리자 단말(1A)과, 주차장 관리자 단말(2A)과, 예약 관리 서버(3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1대씩의 차량 관리자 단말(1A) 및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을 묘사하고 있지만, 통상 이들은 복수 존재한다. 이러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운용을 통해서, 차량 정보를 등록하고, 그 등록한 차량 정보를 읽어내어 주차장의 이용 신청을 행함으로써, 차량이 언제, 어디의 주차장으로부터 어디의 주차장으로 이동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우선은,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 관리자 단말(1A)은 개개의 차량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자(예를 들면,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며, 통신부(11A), 차량 정보 설정부(12A), 주차장 예약 신청부(13A), 표시 제어부(14A), 표시부(15A) 등을 갖는다.
통신부(11A)는 예약 관리 서버(3A)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차량 정보 설정부(12A)는, 차량 관리자 자신이 관리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이하, 차량 정보라고 한다)의 설정을 차량 관리자로부터 접수하고, 통신부(11A)를 통해 차량 정보를 예약 관리 서버(3A)에 송신한다.
주차장 예약 신청부(13A)는,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정보,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을 희망하는 주차장, 당해 주차장의 이용 개시 일시 및 이용 종료 일시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라고 한다)의 설정을 차량 관리자로부터 접수한다. 그리고, 주차장 예약 신청부(13A)는 통신부(11A)를 통해 예약 관리 서버(3A)에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송신한다.
표시 제어부(14A)는, 차량 정보 설정 화면, 차량 정보 일람 화면, 차량 정보 편집 화면, 주차장 스케줄 화면, 주차장 예약 화면 등을 표시부(15A)에 표시시킨다.
도 11a는, 차량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새롭게 차량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이며, 차량 관리자가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표시부(15A)에 표시된다.
차량 정보 설정 화면에는, 각 차량에 부여되는 유니크한 차량 ID 또는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최적의 차량군을 예를 들면 카셰어·라이드셰어 서비스 사업자나 렌터카 사업자 등으로부터 얻는 ID가 미리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그 화면에서, 차량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이름, 외관·외장, 차내 레이아웃(점포형 차량의 경우는, 적재 상품 내용) 등의 차량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 화면에서, 차량 관리 번호, 전체 길이, 전체 폭, 총 정원수 등, 보다 상세한 차량 정보도 설정할 수 있다. 필요한 차량 정보의 설정 후, 차량 관리자에 의해 등록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설정된 차량 정보가 차량 관리자 단말(1A) 내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거나, 예약 관리 서버(3A)에 송신되거나 한다.
도 11b는, 차량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 완료 차량의 일람을 표시하여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며, 차량 관리자가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차량 관리자 단말(1A) 내의 기억부 혹은 예약 관리 서버(3A)로부터 차량 정보가 취득되어, 표시부(15A)에 표시된다.
차량 정보 일람 화면은, 각 차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차량 ID, 차량의 이름, 전체 길이, 전체 폭을 포함하고 있다. 그 화면에 신규 등록 버튼이 마련되고, 차량 관리자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도 11a에 도시하는 차량 정보 설정 화면이 표시부(15A)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차량 정보 일람 화면에는, 각 차량에 관련지어진 편집 버튼도 마련되어 있다. 편집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차량 정보 편집 화면이 표시부(15A)에 표시된다. 도 11b에 도시하는 항목에 더하여, 다른 각종 항목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11c는, 차량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 완료 차량 정보를 확인하거나 갱신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11a에 도시하는 차량 정보 설정 화면과 유사하며, 설정이 완료된 차량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량 정보 편집 화면에는 갱신 버튼 및 삭제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필요한 차량 정보의 갱신 후, 차량 관리자에 의해 갱신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갱신된 차량 정보가 차량 관리자 단말(1A) 내의 기억부에 기억되거나, 예약 관리 서버(3A)에 송신되거나 한다. 또한, 차량 관리자에 의해 삭제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당해 차량 정보는 삭제된다.
또한, 표시부(15A)에 표시되는 주차장 스케줄 화면 및 주차장 예약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으로 되돌아와서,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은 개개의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장 관리자가 사용하는 것이며, 통신부(21A), 주차장 정보 설정부(22A), 주차장 예약 승인부(23A), 표시 제어부(24A), 표시부(25A) 등을 갖는다.
통신부(21A)는 예약 관리 서버(3A)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주차장 정보 설정부(22A)는, 주차장 관리자 자신이 관리하는 1 또는 복수의 주차장에 관한 정보(이하, 주차장 정보라고 한다)의 설정을 주차장 관리자로부터 접수하고, 통신부(21A)를 통해 예약 관리 서버(3A)에 송신한다.
주차장 예약 승인부(23A)는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의해 설정된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예약 관리 서버(3A)로부터 수취한다. 그리고, 주차장 예약 승인부(23A)는, 주차장 관리자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수취한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주차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고, 예약 관리 서버(3A)에 송신한다.
표시 제어부(24A)는, 주차장 정보 설정 화면, 주차장 정보 일람 화면, 주차장 정보 편집 화면, 주차장 스케줄 화면 등을 표시부(25A)에 표시시킨다.
도 12a는, 주차장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새롭게 주차장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이며, 주차장 관리자가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표시부(25A)에 표시된다.
주차장 정보 설정 화면에는, 각 주차장에 부여되는 유니크한 주차장 ID가 미리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그 화면에서, 주차장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주차장의 이름, 외관, 주소, 지도 등의 주차장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 화면에서, 영업 시간, 주차 스페이스 등, 보다 상세한 주차장 정보도 설정할 수 있다. 필요한 주차장 정보의 설정 후, 주차장 관리자에 의해 등록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설정된 주차장 정보가 주차장 관리자 단말(2A) 내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거나, 예약 관리 서버(3A)에 송신되거나 한다.
도 12b는, 주차장 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이 완료된 주차장의 일람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며, 주차장 관리자가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주차장 관리자 단말(2A) 내의 기억부 혹은 예약 관리 서버(3A)로부터 주차장 정보가 취득되어, 표시부(25A)에 표시된다.
주차장 정보 일람 화면은, 각 주차장 정보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주차장 ID, 주차장의 이름, 주소, 영업 시간, 주차 스페이스 수를 포함하고 있다. 그 화면에 신규 등록 버튼이 마련되고, 주차장 관리자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도 12a에 도시하는 정보 설정 화면이 표시부(25A)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주차장 정보 일람 화면에는, 각 주차장에 관련지어진 편집 버튼도 마련되어 있다. 편집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주차장 정보 편집 화면이 표시부(25A)에 표시된다.
도 12c는, 주차장 정보 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등록 완료 주차장 정보를 확인하거나 갱신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12a에 도시하는 주차장 정보 설정 화면과 유사하며, 설정이 완료된 주차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주차장 정보 편집 화면에는 갱신 버튼 및 삭제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필요한 주차장 정보의 갱신 후, 주차장 관리자에 의해 갱신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갱신된 주차장 정보가 주차장 관리자 단말(2A) 내의 기억부에 기억되거나, 예약 관리 서버(3A)에 송신되거나 한다. 또한, 주차장 관리자에 의해 삭제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당해 주차장 정보는 삭제된다.
또한, 표시부(25A)에 표시되는 주차장 스케줄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계속해서, 도 10의 예약 관리 서버(3A)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약 관리 서버(3A)는, 주차장 이용 플랫폼을 제공하여 전체 주차장의 관리(특히 예약 관리)를 행하는 사업자가 주로 사용하는 것이다. 예약 관리 서버(3A)에 의해, 차량 및 주차장을 통합적으로 관리 가능해진다. 예약 관리 서버(3A)는 주로 주차장 예약부(31)로 구성된다.
주차장 예약부(31)는 주로 차량 관리자 단말(1A) 및 주차장 관리자 단말(2A)로부터 액세스되고, 통신부(311A), 액세스 관리부(312A), 차량 정보 등록부(313A), 주차장 정보 등록부(314A), 예약 제어부(315A), 장표 출력부(316A),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A), 기억부(319A) 등을 갖는다.
통신부(311A)는 차량 관리자 단말(1A) 및 주차장 관리자 단말(2A)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액세스 관리부(312A)는, 기억부(319A)에 기억된 사용자 마스터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관리하거나, 어떤 사용자가 어떠한 정보에 액세스했는지를 나타내는 액세스 관리 정보를 기억부(319A)에 기억한다.
차량 정보 등록부(313A)는, 통신부(311A)를 통해 차량 관리자 단말(1A)로부터 차량 정보를 취득하고, 차량 정보를 기억부(319A)에 등록한다. 여기서 등록된 차량 정보에 있어서의 차량이, 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의 관리 대상의 차량이 된다.
주차장 정보 등록부(314A)는, 통신부(311A)를 통해 주차장 관리자 단말(2A)로부터 주차장 정보를 취득하고, 주차장 정보를 기억부(319A)에 등록한다. 여기서 등록된 주차장 정보에 있어서의 차량이, 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의 관리 대상의 주차장이 된다.
예약 제어부(315A)는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있어서의 주차장 예약 신청부(13A)로부터의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예약 제어부(315A)는, 그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에서 이용 예약이 신청된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장 관리자의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예약 제어부(315A)는, 당해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있어서의 주차장 예약 승인부(23A)로부터, 이용 예약의 신청에 대한 회답을 수신한다.
그리고, 예약 제어부(315A)는,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이에 대한 회답에 의거하여, 각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한다. 즉, 예약 제어부(315A)는 각 주차장의 이용 예약이 설정된 일시를 파악한다. 주차장 정보가 각 주차장에 포함되는 주차 스페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예약 제어부(315A)는 주차 스페이스마다 이용 예약을 제어해도 된다.
장표 출력부(316A)는, 차량 관리자 단말(1A)로부터의 이용 예약 신청이 승인된 경우에, 그 취지의 장표를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출력한다. 출력의 양태에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메일이나 팩스로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출력된다.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A)는, 주차장의 각각에 대해서 그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이용 예약이 완료된 일시를 나타내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A)는, 주차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이 승인되면,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갱신한다.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A)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기억부(319A)에 기억함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차량 관리자 단말(1A) 및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송신한다.
기억부(319A)는, 상술한 차량 정보, 주차장 정보, 주차장 스케줄 정보, 사용자 마스터 정보, 액세스 관리 정보 등을 기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주차장 스케줄 정보는 차량 관리자 단말(1A)이나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송신되고,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스케줄 화면이 차량 관리자 단말(1A)이나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의 표시 제어부(14A, 24)에 의해 표시부(15A, 25)에 각각 표시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주차장 스케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화면은, 차량 관리자(혹은 주차장 관리자)가 차량 관리자 단말(1A)(혹은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 예약 관리 서버(3A)로부터 주차장 스케줄 정보가 취득되어, 표시부(15A)(혹은 표시부(25A))에 표시된다.
주차장 스케줄 화면은, 각 시간대에, 어떤 차량 관리자(혹은 어떤 차량)가 이용 예약을 행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주차장 스케줄 정보로서 포함하고 있다. 차량 관리자명이 없는 시간대에는 이용 예약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차장 스케줄 화면은, 주차장 설정 수단(54), 주차 스페이스 설정 수단(55) 및 날짜 설정 수단(56)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각 설정 수단은 풀다운 형식 등, 설정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주차장 설정 수단(54)에 의해 주차장이 선택되면, 그 주차장에 포함되는 주차 스페이스를 주차 스페이스 설정 수단(55)에 의해 선택 가능해진다. 선택된 주차장, 주차 스페이스 및 날짜의 주차장 스케줄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 13a는 1개의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주차장의 스케줄 화면의 예시이다. 또한, 도 13b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동 도면에서는 2개의 주차 스페이스 α,β)를 갖는 주차장의 스케줄 화면의 예시이며, 각 주차 스페이스의 스케줄 정보가 1개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도 14는, 주차장 예약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미리 차량 정보 등록부(313A) 및 주차장 정보 등록부(314A)에 의해 차량 정보 및 주차장 정보가 각각 등록되어 있고, 또한,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A)에 의해 주차장 스케줄 정보가 생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차량 관리자가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대하여 주차장의 이용 예약 신청을 위한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응답하여,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있어서의 주차장 예약 신청부(13A)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의 송신을 예약 관리 서버(3A)에 리퀘스트한다(단계 S1A).
예약 관리 서버(3A)의 예약 제어부(315A)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의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그 리퀘스트의 송신원에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21A).
차량 관리자 단말(1A)의 표시 제어부(14A)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면, 그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예약 화면을 표시부(15A)에 표시시킨다(단계 S2A).
도 15a 및 도 15b는, 주차장 예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차장 예약 화면은, 도 13의 주차장 스케줄 화면과 유사하며, 추가로 예약명 설정 수단(51), 예약 시간 설정 수단(52) 및 예약 등록 수단(53)이 포함된다. 예약명 설정 수단(51)은, 차량 관리자가 임의의 예약명을 입력함으로써, 예약명을 설정한다. 그리고, 차량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주차장 설정 수단(54), 주차 스페이스 설정 수단(55), 날짜 설정 수단(56) 및 예약 시간 설정 수단(52)에 의해, 이용 예약을 신청하는 주차장, 주차 스페이스, 날짜 및 시간(이용 개시 시간 및 이용 종료 시간)을 설정한다. 이들이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로서 설정된다. 또한, 이용 예약이 완료된 일시는 선택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5a는 1개의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주차장의 스케줄 화면의 예시이다. 또한, 도 15b는 주차 스페이스의 부두(동 도면에서는 2개의 주차 스페이스 2개의 부두 α,β)를 갖는 주차장의 스케줄 화면의 예시이며, 각 주차 스페이스에 대해서 하나의 화면으로부터 예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차량 관리자가 예약 등록 수단(53)을 선택하면, 주차장 예약 신청부(13A)는 설정된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예약 관리 서버(3A)에 송신한다(도 14의 단계 S3A).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14A)는,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15A)에 표시시킨다. 그 때문에, 차량 관리자는, 주차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비어 있는 일시의 이용 예약 신청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예약 관리 서버(3A)의 예약 제어부(315A)는,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이용 예약 신청된 주차장 관리자의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 송신한다(단계 S22A).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의 표시 제어부(24A)는,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면, 그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스케줄 화면 및 이용 예약 신청의 내용을 표시부(25A)에 표시시킨다(단계 S31A). 그리고, 주차장 예약 승인부(23A)는, 주차장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고,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의 송신원인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송신한다(단계 S32A).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24A)는,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할 때에,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25A)에 표시시킨다. 그 때문에, 주차장 관리자는, 주차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승인할지 여부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약 관리 서버(3A)의 예약 제어부(315A)는 주차장 관리자 단말(2A)로부터 회답을 수취한다.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한다는 취지의 회답인 경우(단계 S23A의 YES),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317A)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24A). 그리고, 예약 제어부(315A)는, 이용 예약이 승인된 것을,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송신한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송신한다(단계 S25A). 이 때, 장표 출력부(316A)도 필요한 장표를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출력한다.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회답인 경우(단계 S23A의 NO), 예약 제어부(315A)는, 이용 예약이 승인되지 않은 것을,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송신한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송신한다(단계 S25A).
이와 같이 하여, 주차장의 이용 예약이 완료된다. 또한, 회답이 차량 관리자 단말(1A)에 통지된 것이나, 갱신된 주차장 스케줄 정보는,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단계 S33A).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차량 관리자 단말(1A), 주차장 관리자 단말(2A) 및 예약 관리 서버(3A)에 있어서의 주차장 예약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차량 관리자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의 확인에서부터 이용 예약의 신청을 차량 관리자 단말(1A) 상에서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관리자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의 확인 및 이용 예약의 신청에 대한 회답을 주차장 관리자 단말(2A) 상에서 간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회답의 결과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에 반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차량 관리자 및 각 주차장 관리자로부터 복수의 차량 및 주차장의 등록을 각각 접수하고(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등록을 생략해도 된다), 예약 관리 서버(3A)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주차장의 예약을 행할 수 있는 편리한 주차장 이용 플랫폼이 제공된다. 또한, 복수의 주차장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관리함으로써, 주차장의 혼잡 상황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차량 관리자는, 간이하게 차량 관리자 자신이 관리하는 차량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참조하거나, 갱신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 관리자는, 차량 스케줄 화면을 보면서, 주차장의 이용 예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차량 관리자에게 있어, 차량 정보의 관리와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일체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관리자가 상이한 주차장간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예약 조작을 동일한 플랫폼 상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은 크다.
또한, 이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면, 주차장 이용료의 지불을 인터넷 상에서의 결제에 의해 행하는 것도 추가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약에서부터 지불까지의 일련의 플로우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게 주차장 이용을 행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자는, 간이하게 주차장 관리자 자신이 관리하는 주차장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참조하거나, 갱신하거나, 삭제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리자가 관리하는 주차장과의 연계가 가능해짐으로써, 자신이 관리하는 주차장의 이용률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금 수수에 대해서도, 본 시스템과 연동되는 결제 제어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주차장 관리자가 정하는 시기, 양식, 금액의 주차장 사용료를, 현행의 은행 송금이나 현금 수수와 같은 형태보다 간편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요금 수수에 소요되는 관리 비용 삭감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주차장이 어느 타이밍에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쉬워지고, 또한 다른 주차장과의 비교 등을 통해, 주차장의 이용과 활용 촉진을 위한 마케팅 활동을, 종래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차장의 이용자에게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주체가 상이한 복수의 주차장간의 이동을 상정할 때, 각각의 주차장의 이용 신청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장의 이용자에게 있어, 주차장간을 이동하는 차량의 정보가 이용 신청 시에 동시에 생성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약 관리 서버(3A)에 기억된 과거의 차량마다·주차장마다의 예약 정보들(트래픽 데이터)을 읽어내어, 예약 정보를 심층 학습 등의 통계학적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여 패턴성을 추출함으로써, 추출한 패턴에 의거하여, 어느 시기에, 어디에서 어디로의 수요가 있는지 등의 마케팅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차량 관리자 단말(1A)과 주차장 관리자 단말(2A)을 일체화하거나 하는 등, 여러 가지의 추가, 삭제, 변형이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각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서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로서 이하의 주차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차량 관리자 단말 및 주차장 관리자용 단말을 생각할 수 있다.
[1]
차량 관리자용의 차량 관리자 단말과,
주차장 관리자용의 주차장 관리자 단말을 구비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관리자 단말은,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주차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각 주차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주차장 관리자 단말은,
주차장에 관한 주차장 정보를 설정하는 주차장 정보 설정부와,
상기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주차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주차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회답을 설정할 때에, 상기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를 갖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
[2]
상기 주차장 정보는, 각 주차장에 포함되는 주차 스페이스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차장의 주차 스페이스마다, 상기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1]에 기재된 주차장 관리 시스템.
[3]
상기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은, 주차장 설정 수단 및 날짜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주차장 관리 시스템.
[4]
주차장에 관한 주차장 정보를 등록하는 주차장 정보 등록부와,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와, 상기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주차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주차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각 주차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의 송신원에 송신하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예약 관리 서버.
[5]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주차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와, 그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주차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고려하여 생성된, 각 주차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 관리자 단말.
[6]
주차장에 관한 주차장 정보를 설정하는 주차장 정보 설정부와,
주차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주차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회답을 고려하여 생성된, 각 주차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회답을 설정할 때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주차장 관리자용 단말.
[7]
주차장에 관한 주차장 정보를 등록하는 주차장 정보 등록부와,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주차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주차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주차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주차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주차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주차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와,
상기 주차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기재된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의 다양한 변형예는, 당업자라면 당연히 이룰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른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장 넓은 범위로 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및 차량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탈것에 적용 가능하다.
1, 1A: 차량 관리자 단말 11, 11A: 통신부
12, 12A: 차량 정보 설정부 13, 13A: 선착장 예약 신청부
14, 14A: 표시 제어부 15, 15A: 표시부
2, 2A: 선착장 관리자 단말 21, 21A: 통신부
22, 22A: 선착장 정보 설정부 23, 23A: 선착장 예약 승인부
24, 24A: 표시 제어부 25, 25A: 표시부
3, 3A: 예약 관리 서버 31, 31A: 선착장 예약부
311, 311A: 통신부 312, 312A: 액세스 관리부
313, 313A: 차량 정보 등록부 314, 314A: 선착장 정보 등록부
315, 315A: 예약 제어부 316, 316A: 장표 출력부
317, 317A: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
318: 운항 정보 생성부 319, 319A: 기억부
32: 상품 예약부 321: 통신부
322: 액세스 관리부 323: 상품 정보 제어부
324: 표시 제어부 325: 결제부
326: 장표 출력부 327: 표시부
328: 기억부 4: 사용자 단말
41: 통신부 42: 상품 예약 신청부
43: 표시 제어부 44: 표시부
51: 예약명 설정 수단 52: 예약 시간 설정 수단
53: 예약 등록 수단 54: 선착장 설정 수단
55: 부두 설정 수단 56: 날짜 설정 수단

Claims (8)

  1. 차량 관리자용의 차량 관리자 단말과,
    선착장 관리자용의 선착장 관리자 단말과,
    예약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관리자 단말은,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를 설정하는 차량 정보 설정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선착장 관리자 단말은,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정보 설정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회답을 설정할 때에,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예약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를 등록하는 차량 정보 등록부와,
    상기 선착장 정보를 등록하는 선착장 정보 등록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그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선착장 관리자 단말에 송신하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를 갖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약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선착장 정보 및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에 의거하여, 이용하는 차량, 출발 선착장 및 발선(發船) 일시, 도착 선착장 및 착선(着船) 일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정보 제어부를 갖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착장 정보는, 각 선착장에 포함되는 부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선착장의 부두마다,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은, 선착장 설정 수단 및 날짜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
  5.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등록하는 선착장 정보 등록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의 송신원에 송신하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예약 관리 서버.
  6.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와, 그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고려하여 생성된,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할 때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 관리자 단말.
  7.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정보 설정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회답을 고려하여 생성된,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완료 일시를 나타내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회답을 설정할 때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선착장 관리자용 단말.
  8. 선착장에 관한 선착장 정보를 등록하는 선착장 정보 등록부와,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신청하기 위한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를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신청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에 의한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의 신청을 승인하는지 여부의 회답을 설정하는 선착장 예약 승인부와,
    상기 선착장 예약 신청 정보 및 상기 회답에 의거하여, 상기 선착장의 이용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 제어부와,
    각 선착장의 이용 예약 상황을 고려하여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선착장 스케줄 정보 생성부와,
    상기 선착장 스케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선착장 관리 시스템.
KR1020197019311A 2017-01-31 2018-01-30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KR10251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5913 2017-01-31
JP2017015913 2017-01-31
PCT/JP2018/002980 WO2018143200A1 (ja) 2017-01-31 2018-01-30 船着場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サーバ、船舶管理者端末および船着場管理者用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529A true KR20190110529A (ko) 2019-09-30
KR102515666B1 KR102515666B1 (ko) 2023-03-30

Family

ID=6304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311A KR102515666B1 (ko) 2017-01-31 2018-01-30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05235A1 (ko)
EP (1) EP3579159A4 (ko)
JP (1) JP7168834B2 (ko)
KR (1) KR102515666B1 (ko)
CN (1) CN110178150B (ko)
TW (1) TWI789374B (ko)
WO (1) WO2018143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8249B2 (ja) * 2019-04-26 2023-06-07 株式会社Hacobu 車両割当装置、車両割当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K201901566A1 (en) * 2019-12-20 2021-07-22 A P Moeller Mærsk As Method of handling one or more vessels and/or equipment in a terminal,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CN111080504A (zh) * 2019-12-31 2020-04-28 大连大学 一种客运轮渡生产智能运营管理系统
CN111785028B (zh) * 2020-07-31 2022-02-11 上海海事大学 一种车-港-船协同调度方法及系统
TWI742867B (zh) * 2020-09-30 2021-10-11 中華電信股份有限公司 用於交出口重櫃之預報系統與預報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133A (ja) * 2000-04-13 2001-10-26 Idemitsu Kosan Co Ltd 操業情報共有管理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170016A (ja) * 2000-12-01 2002-06-14 Nippon Data Base Kaihatsu Kk 予約方法及び予約システム
JP2003044727A (ja) 2001-07-27 2003-02-14 Nec Soft Ltd 船舶乗船予約システム及び予約方法
KR20140026773A (ko) * 2012-08-23 2014-03-0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저 선박에 대한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예약 시스템
KR101620369B1 (ko) * 2016-02-01 2016-05-13 주식회사 마텍 선박 접안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8643A (en) * 1983-08-29 1988-11-29 Trippe Kenneth A B Cruise information and booking data processing system
JPH05143605A (ja) * 1991-11-18 1993-06-11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船舶管理システム
JP3189702B2 (ja) 1995-10-03 2001-07-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回生制動併用式ブレーキ装置
JPH09230910A (ja) * 1996-02-23 1997-09-05 Nec Corp 旅客需要予測方式
JP2002032646A (ja) * 2000-07-14 2002-01-31 Fishing Net Kyushu:Kk 遊漁船予約装置および遊漁船予約方法
JP2002063449A (ja) * 2000-08-22 2002-02-28 Idemitsu Kosan Co Ltd コンビナートにおける設備利用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157485A (ja) 2000-11-17 2002-05-31 Junichiro Kitamura 遊漁船情報の供給および予約方法
JP2004178152A (ja) * 2002-11-26 2004-06-24 Sumitomo Heavy Ind Ltd 予約管理方法、予約管理装置、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プログラム、予約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予約業務支援方法及び予約業務支援システム
JP2005251099A (ja) * 2004-03-08 2005-09-15 Chuden Gijutsu Consultant Kk 小型船舶の管理支援方法
JP2005263477A (ja) * 2004-03-22 2005-09-29 Sumitomo Heavy Ind Ltd 配車管理システム、配車管理サーバ、配車管理方法、及び配車管理プログラム
JP2006113635A (ja) * 2004-10-12 2006-04-27 Hitachi Ltd 列車座席の需要予測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7084259A (ja) * 2005-09-21 2007-04-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ゲートシステム
JP2007200024A (ja) * 2006-01-26 2007-08-09 More Joho System Kk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3137180A1 (ja) * 2012-03-12 2013-09-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予約管理方法
CN103020723A (zh) * 2012-12-12 2013-04-03 天津东方海陆集装箱码头有限公司 集装箱码头预约集港的控制方法
CN104361411B (zh) * 2014-11-12 2018-04-27 武汉理工大学 基于双向匹配的船岸间锚地申请与分配系统及方法
CN105787687A (zh) * 2016-02-25 2016-07-20 长江海事局信息中心 川江滚装船运营调度管理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133A (ja) * 2000-04-13 2001-10-26 Idemitsu Kosan Co Ltd 操業情報共有管理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170016A (ja) * 2000-12-01 2002-06-14 Nippon Data Base Kaihatsu Kk 予約方法及び予約システム
JP2003044727A (ja) 2001-07-27 2003-02-14 Nec Soft Ltd 船舶乗船予約システム及び予約方法
KR20140026773A (ko) * 2012-08-23 2014-03-0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저 선박에 대한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예약 시스템
KR101620369B1 (ko) * 2016-02-01 2016-05-13 주식회사 마텍 선박 접안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78150B (zh) 2023-10-20
WO2018143200A1 (ja) 2018-08-09
TW201833828A (zh) 2018-09-16
KR102515666B1 (ko) 2023-03-30
JP7168834B2 (ja) 2022-11-10
TWI789374B (zh) 2023-01-11
US20200005235A1 (en) 2020-01-02
CN110178150A (zh) 2019-08-27
JPWO2018143200A1 (ja) 2019-11-21
EP3579159A1 (en) 2019-12-11
EP3579159A4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666B1 (ko) 선착장 관리 시스템, 예약 관리 서버, 선박 관리자 단말
JP4927375B2 (ja) 荷物の配達完了通知方法
JPH11143977A (ja) 業務出張支援システム
Reinhardt et al. Optimization of the drayage problem using exact methods
JP2004192357A (ja) 結合サーバーを用いた旅行商品検索・予約システム
JP2009205290A (ja) 手荷物配送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
JP5256320B2 (ja) 手荷物配送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バ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6761213B2 (ja) 車両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16756B2 (ja) 航空機内情報提供システム
JPH11232495A (ja) 座席予約システム
JP2007513417A (ja) 車両の端末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物流管理システム
JP2005327217A (ja) 自動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自動スケジューリ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986950B1 (ko) 출장 예약 시스템
JP4403838B2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車両運行管理方法、および車両運行管理装置
KR20060124109A (ko) 온라인 출장시스템 및 방법
JP4235428B2 (ja) 商品搬送管理装置、商品搬送管理システム、商品搬送管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3196355A (ja) 運行日報自動作成システム
JP2004005499A (ja) 情報管理サーバ及び情報管理方法
JP2002117266A (ja) 航空券予約販売システム
KR20000049918A (ko)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통합시스템
JP2002259770A (ja) 資材注文配送システム
JPH11232355A (ja) 航空座席予約搭乗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00054139A (ko)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역정보제공시스템 및지역정보제공방법
JP2016115291A (ja) 予約システム、予約受付装置及び券売機
JP2016115290A (ja) 予約受付装置及び予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