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918A -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918A
KR20000049918A KR1020000024239A KR20000024239A KR20000049918A KR 20000049918 A KR20000049918 A KR 20000049918A KR 1020000024239 A KR1020000024239 A KR 1020000024239A KR 20000024239 A KR20000024239 A KR 20000024239A KR 20000049918 A KR20000049918 A KR 2000004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server
maintenance
module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용태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102000002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9918A/ko
Publication of KR2000004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918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으로서, 부품주문과 주문처리를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서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및 부품공급업체간의 물류비용 및 재고비용을 감소시키고, 재무회계, 인사관리등과 같은 필수운영작업을 담당하여 각 업소의 업무를 감소시켜 운영비를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정비업소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경정비업소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대리점과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부품대리점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로부터 부품주문데이터를 입력받고 주문처리상태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공급업체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부품공급업체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로부터 부품주문데이터를 입력받고 주문처리상태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를 포함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이다.

Description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Integrate system for managing e-commerce and parts supply among light repair shops, part supply shops and part manufacturers using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으로서, 특히 부품주문과 주문처리를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서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및 부품공급업체간의 물류비용 및 재고비용과 운영관리비용을 감소시켜서 수익증대에 일익을 담당하고 또한 원활한 부품의 공급에 의하여 차량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댓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으로서 차량정비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경정비업소의 창업이 증가하고 있다. 경정비업소는 간단한 부품의 교체, 세차, 엔진오일의 교환등과 같은 정비작업을 통하여 수익을 창출하기 때문에 경정비업소의 증가로 인하여 경쟁이 점차 가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수익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정비업소에서는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으며, 업소의 전산화를 통한 인력감축 및 관리의 능률화, 인터넷을 이용하여 판매망확대등에 자원을 투입하여 수익의 창출에 힘쓰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 차량에 대한 정비견적, 고객관리, 재무회계관리, 이메일 마케팅등의 기능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이용의 경우에도 경정비업소 단독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부품주문 및 주문처리등이 지연되므로 효율적인 업체관리가 어렵고 재고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노출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각 경정비업소에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대리점에도 역시 유사하게 적용된다. 즉 경쟁업소의 증가로 인한 수익감소, 부품의 수요예측에 대한 부담감과 이로 인한 재고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경영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관리 및 영업망을 확충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인 것이다.
또한 상기 부품대리점에 부품을 납품하는 부품공급업체의 경우에도, 부품의 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생산된 제품의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원활한 부품주문과 이에 따른 주문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등의 각각의 업소들은 자체적으로 재무회계관리, 인사관리, 주문처리관리등을 위하여 전문요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건비상승, 관리비용의 증가등,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많은 요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및 부품공급업체간의 전자상거래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및 부품공급업체의 재무, 회계, 재고관리등을 포함하는 운영관리를 대행하여줌으로서 각 업소에서의 인건비감소에 의한 비용절감,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부품공급 및 주문처리에 의한 원활한 부품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고객들에게 자신이 소유한 자동차에 대한 제반정보 및 정비예약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의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1의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고객용서버를 포함하는 통합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6은 도 5의 고객용서버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경정비업소의 데이터입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정비이력조회, 정비예약데이터입력화면의 일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 20: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
30: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 41,42,43: 경정비업소
51,52,53: 부품대리점 61,62,63: 부품공급업체
70: 고객용서버 80: 게이트웨이
81,82,83: 휴대폰 91,92,93: 컴퓨터
101: 시스템관리모듈 102: 부품관리모듈
103: 작업관리모듈 104: 업소관리모듈
105: 재무회계모듈 106: 통신모듈
107: 저장DB 108: 고객서비스모듈
201: 시스템관리모듈 202: 부품관리모듈
203: 판매관리모듈 204: 고객서비스모듈
205: 대리점관리모듈 206: 재무회계모듈
207: 통신모듈 208: 저장DB
301: 시스템관리모듈 302: 부품관리모듈
303: 판매관리모듈 304: 고객서비스모듈
305: 공급업체관리모듈 306: 통신모듈
307: 저장DB 701: 고객관리모듈
702: 차계부모듈 703: 예방정비모듈
704: 정비예약모듈 705: 인터페이스/휴대폰검색모듈
706: 저장DB
상기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정비업소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경정비업소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대리점과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부품대리점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로부터 부품주문데이터를 입력받고 주문처리상태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공급업체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부품공급업체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로부터 부품주문데이터를 입력받고 주문처리상태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를 포함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서버, 제2서버, 및 제3서버는 각 서버에 연결된 각각의 업소(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에 대한 재무회계처리, 고객관리, 업체관리, 인사관리등과 같은 단독으로 수행하여야 할 제반운영업무를 대행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에, 고객용서버가 더 연결되어서 자동차를 소유한 고객들에게 자신의 자동차에 대한 정비이력제공, 차계부제공, 정비예약제공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또한 타 업소에 대한 경쟁력을 높일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고객용서버에 의한 대고객 서비스는 무선인터넷, 유선인터넷, 휴대폰, 일반 유선전화기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통합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10)와, 부품대리점용의 제2서버(20)와, 부품공급업체용의 제3서버(30)가 연결되어 있다. 제1서버(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정비업소(41,42,43,..)등이 연결되고, 제2서버(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대리점(51,52,53,..)등이 연결되며, 제3서버(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공급업체(61,62,63,..)등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업소들은 프랜차이즈방식으로 미리 가맹점으로 확보하고, 통신수단에 의하여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통신수단은 예를 들어서 전용통신선을 이용한 인터넷등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 때 각 업소들과 각 서버들은 24시간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정비업소(41,42,43,..)와 부품대리점(51,52,53,..)들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샵이 될 수 있으며 각 업소간의 적당한 영업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로 모집될 수 있다. 상기 부품공급업체(61,62,63,..)들은 서로 다른 자동차부품을 공급하거나 또는 동일한 부품들을 제공하는 서비스샵이 될 수 있다. 각 업소들은 프랜차이즈형태의 가맹점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경정비업소들은 부품대리점들에 대한 정보(명칭, 영업장소, 취급하는 부품목록등)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허용된다.
제1서버(10)는 경정비업소들에 대한 운영관리의 대행 및 부품주문 및 처리등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제1서버(10)에 연결되어 있는 경정비업소(41,42,43,..)들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정리하고 필요한 사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해당 경정비업소(41,42,43,..)에 통보한다.
예를 들어서 경정비업소(41)로부터 부품대리점(51)으로 부품주문(예를 들어 엔진오일 100캔)이 입력되면 제1서버(10)는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20)에 부품을 주문한다. 부품주문이 접수되면 제2서버(20)는 특정 부품대리점(51)에 해당 부품을 주문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해당 부품대리점(51)에서는 주문된 부품을 경정비업소(41)에 배달함으로서 하나의 주문처리과정이 종료된다. 부품주문데이터를 해당 부품대리점(51)에 출력함과 동시에 제2서버(20)에서는 제1서버(10)로 해당 부품주문의 처리에 대한 결과를 통보한다. 제1서버(10)에서는 처리결과를 다시 부품을 주문한 경정비업소(41)로 통보하여 부품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통보한다.
상기와 같이 경정비업소(41)에서 특정부품대리점(51)으로 직접 주문을 하는대신에 경정비업소(41)에서 필요로 하는 부품주문(엔진오일 100캔) 데이터만을 입력하면 제1서버(10)에서 주문한 부품이 있는 특정 부품대리점을 검색하여 현재 부품을 보유한 부품대리점에 부품공급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부품주문에 따른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제1서버(10)는 또한 각 경정비업소(41,42,43,..)들에 대한 운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경정비업소(41,42,43,..)들의 각각의 컴퓨터들로부터 입력되는 부품재고 목록, 매출/매입이력, 정비내역입력, 부품교체내역, 일반고객DB, 신상정보, 예방정비내역, 직원신상정보, 인사관리, 예약정비, 수입지출내역등과 같은 운영정보들을 자체에 내장된 저장DB에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하면 데이터를 갱신하게 된다.
이것은 종래 경정비업소(41,42,43,..)에서 자체적으로 관리되던 운영정보를 제1서버(10)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각 경정비업소(41,42,43,..)에서의 재무관리, 인사관리, 매출/매입관리 등과 같은 업무에 필요한 인력감소를 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비록 프랜차이즈형태로 운영되더라도 각 경정비업소(41,42,43,..)에 대한 운영정보는 특정ID 및 패스워드입력에 의한 인증을 통과한 접속자에게만 허용되도록 함으로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제1서버(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관리모듈(101)과, 부품관리모듈(102)과, 작업관리모듈(103)과, 업소관리모듈(104)과, 재무회계모듈(105)과, 통신모듈(106)과, 저장DB(107)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제1서버(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객서비스를 위한 고객서비스모듈(108)이 추가되며, 고객용서버(70)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에 상술된다.
상기 시스템관리모듈(101)은 경정비업소(41,42,43,..)의 등록, 수정, 삭제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각 경정비업소(41,42,43,..)에서 필요로하는 전체 부품목록등을 등록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각 경정비업소(41,42,43,..)에서 자신들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보안을 위하여 ID와 패스워드를 설정, 등록하고, 허용된 사용자만이 자신들의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부품관리모듈(102)은 경정비업소로부터 등록된 전체부품목록중에서 특정부품등록을 수정, 삭제하는 기능과 적정한 부품수에 미달하는 부품의 목록을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업관리모듈(103)은 정비내역의 입력과 부품의 매입/판매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러한 데이터의 입력은 각 경정비업소에 설치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업소관리모듈(104)은 경정비업소에서 거래하는 거래처(부품대리점)등록, 고객등록, 직원등록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재무회계모듈(105)은 각 경정비업소(41,42,43,..)들 각각에 대하여 수입/지출입력, 일간현황, 월간현황, 미수금처리등과 같은 입출금에 대한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모듈(106)은 장비, 부품등을 주문하고 결과를 통보받을 때 또는 각 경정비업소(41,42,43,..)에 설치된 관리용 컴퓨터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106)은 각 경정비업소(41,42,43,..)와 항상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DB(107)는 각각의 경정비업소(41,42,43,..)들의 운영정보, 부품주문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저장되는 DB의 내용은, 카센터(경정비업소)목록DB, 업소별부품DB, 업소별고객DB, 업소별직원및관리DB, 업소별재무/회계DB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카센터(경정비업소)목록DB에는 제1서버(10)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경정비업소등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저장한다. 각 정보들은 타 경정비업소에서 열람이 불가능하도록 접속이 제한된다. 상기 업소별부품DB에는 각 경정비업소에 대한 현재부품의 재고 및 목록, 부품교체내역등이 저장되며, 상기 업소별고객DB에는 일반고객정보, 신상정보, 자동차의 예방정비내역등이 저장된다. 상기 업소별직원및관리DB에는 경정비업소에서 근무하는 직원에 대한 신상정보, 인사관리, 급여관리, 예약정비상황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약정비는 자동차소유자가 통신단말기등을 통하여 입력한다. 또한 상기 업소별재무/회계DB는 수입/지출내역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운영정보들은 각 경정비업소(41,42,43,..)에서 컴퓨터를 통하여 입력시키면 실시간으로 갱신되어서 자동으로 처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는 제1서버(10)에 연결되는 제2서버(20)는 부품대리점(51,52,53,..)을 위하여 운영되는 서버이다. 즉 제2서버(20)는 부품대리점(51,52,53,..)들에 대하여 운영관리대행 및 부품주문 및 주문처리등을 수행한다. 즉, 제2서버(20)에 연결되어 있는 부품대리점(51,52,53,..)들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정리하고 필요한 사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1서버(10) 및 부품대리점(51,52,53,..)등에 통보한다.
예를 들어서, 경정비업소(41)로부터 부품대리점(51)으로 부품주문이 입력되면 제1서버(10)는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20)에 부품을 주문한다. 부품주문이 접수되면 제2서버(20)는 해당 부품대리점(51)에 해당부품을 주문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해당 부품대리점(51)에서는 주문된 부품을 경정비업소(41)에 배달함으로서 하나의 주문처리과정이 종료된다. 부품주문데이터를 해당 부품대리점(51)에 출력함과 동시에 제2서버(20)에서는 제1서버(10)로 해당 부품주문의 처리에 대한 결과를 통보한다. 제1서버(10)에서는 처리결과를 다시 부품을 주문한 경정비업소(41)로 통보하여 부품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통보한다. 부품주문에 대한 확인후에 주문을 접수한 부품대리점은 주문된 부품을 배달한다.
또한 제2서버(20)는 부품대리점(51,52,53,..)들로부터 입력되는 부품주문을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3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부품대리점(51,52,53,..)에서 필요한 부품들을 직접 부품공급업체에 주문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의 예를 들면, 부품대리점(51)에서 재고가 소진되거나 충분한 재고량이 없는 특정부품을 부품공급업체(61)에 주문하기 위하여 제2서버(20)에 주문데이터를 입력하면, 제2서버(20)에서는 해당 부품공급업체(61)에 주문을 위한 데이터를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30)로 출력한다.
제3서버(30)에서는 해당 부품공급업체(61)로 부품주문신청서를 전송한다. 전송후에 부품주문의 접수가 확인되면 접수확인사실을 제3서버(30)로부터 전송받고, 이것을 다시 제2서버(20)로 전송한다. 제2서버(20)는 주문확인사실을 입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것을 부품대리점(51)에 전송하여 주문처리를 종결한다. 부품공급업체(61)는 제3서버(30)로부터 부품주문서가 전송되면 접수후에 확인사실을 제3서버(30)로 전송한다. 그 후에 주문된 부품을 부품대리점(51)에 배달한다.
제2서버(20)에는 또한 각 부품대리점(51,52,53,..)들에 대한 운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부품대리점(51,52,53,..)들의 각각의 컴퓨터들로부터 입력되는 부품대리점정보, 부품재고 및 목록, 부품판매이력, 부품대리점에 속한 직원들에 대한 정보, 인사정보, 거래처정보, 경정비업소정보, 수입/지출내역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정보들은 자체에 내장된 저장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새로운 정보가 입력되면 갱신된다.
이것은 종래 부품대리점(51,52,53,..)에서 자체적으로 관리되던 운영정보를 제2서버(20)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각 부품대리점(51,52,53,..)에서의 재무관리, 인사관리, 매출/매입관리 등과 같은 업무에 필요한 인력감소를 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각각의 부품대리점(51,52,53,..)에 대한 운영정보는 특정ID 및 패스워드입력에 의한 인증을 통과한 접속자에게만 허용되도록 함으로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관리모듈(201)과, 부품관리모듈(202)과, 판매관리모듈(203)과, 고객서비스모듈(204)과, 대리점관리모듈(205)과, 재무회계모듈(206)과, 통신모듈(207)과, 저장DB(208)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관리모듈(201)은 부품대리점(51,52,53,..)의 등록, 수정, 삭제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각각의 부품대리점(51,52,53,..)에서 필요로하는 전체 부품목록등을 등록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각 부품대리점(51,52,53,..)에서 자신들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보안을 위하여 ID와 패스워드를 설정, 등록하고, 허용된 사용자만이 자신들의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부품관리모듈(202)은 부품대리점들로부터 등록된 전체부품목록중에서 특정부품등록을 수정, 삭제하는 기능과 적정한 부품수에 미달하는 부품의 목록을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판매관리모듈(203)은 부품의 매입/판매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고객서비스모듈(204)은 경정비업소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이메일(e, mail), 휴대폰문자서비스, 이벤트공지, 및 부품의 적정재고에 미달한다는 등의 내용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대리점관리모듈(205)은 각 부품대리점(51,52,53,..)에 대한 거래처등록, 고객등록, 직원등록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재무회계모듈(206)은 수입/지출입력, 일간현황, 월간현황, 년간현황, 미수금처리등과 같은 입출금에 대한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모듈(207)은 경정비업소와의 전산주문처리, 부품공급업체와의 전산주문처리등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저장DB(208)는 각각의 부품대리점(51,52,53,..)들의 운영정보, 부품주문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DB의 예를 들면, 부품대리점목록DB, 대리점별부품DB, 대리점별판매DB, 대리점별관리DB, 대리점별고객(경정비업소)DB, 대리점별재무/회계DB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부품대리점목록DB에는 부품대리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대리점별부품DB에는 각 대리점의 부품재고 및 목록이 저장되며, 상기 대리점별판매DB에는 부품판매이력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대리점별관리DB에는 직원정보, 인사정보, 거래처정보등이 저장되고, 상기 대리점별고객(경정비업소)DB에는 경정비업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대리점별재무/회계DB에는 수입지출내역등이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정보는 프로그램적으로 추출되어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대리점 운영정보들은 각 부품대리점(51,52,53,..)에서 컴퓨터를 통하여 입력시키면 자동으로 갱신, 처리된다.
상기 제2서버(20)와 연결되는 부품공급업체용의 제3서버(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의 부품공급업체(61,62,6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부품공급업체(61,62,63,..)들은 서로 다른 자동차부품을 취급하는 업체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서버(30)는 각 부품공급업체(61,62,63,..)과의 데이터전송을 통하여 부품주문이 입력되면 해당 부품을 부품공급업체중의 하나로 주문장을 발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말하면, 부품대리점에서 특정부품에 대한 주문이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20)에 입력되고, 제2서버(20)로부터 특정부품들에 대한 주문이 입력되면 제3서버(30)는 이 주문입력에 대한 주문서를 해당 부품공급업체로 전송하여 주문을 체결한다.
예를 들어서 부품대리점(51)로부터 부품공급업체(61)로 부품주문이 입력되면 제2서버(20)는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30)에 부품을 주문한다. 부품주문이 접수되면 제3서버(30)는 특정 부품공급업체(61)에 해당 부품을 주문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해당 부품공급업체(61)에서는 주문된 부품을 부품대리점(51)에 배달함으로서 하나의 주문처리과정이 종료된다. 부품주문데이터를 해당 부품공급업체(61)에 출력함과 동시에 제3서버(30)에서는 제2서버(20)로 해당 부품주문의 처리에 대한 결과를 통보한다. 제2서버(20)에서는 처리결과를 다시 부품을 주문한 부품대리점(51)으로 통보하여 부품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통보한다. 접수가 완료된 후에 해당 부품공급업체는 부품을 주문한 부품대리점에 부품을 배달한다.
제3서버(30)에는 또한 각 부품공급업체(61,62,63,..)들에 대한 운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부품공급업체(61,62,63,..)들의 각각의 컴퓨터들로부터 입력되는 부품공급업체정보, 부품정보, 부품판매정보, 직원DB, 인사정보, 거래처정보, 및 부품대리점정보등과 같은 부품공급업체들의 운영정보가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운영정보들은 자체에 내장된 저장DB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하면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 부품공급업체(61,62,63,..)들에서 자체적으로 관리되던 운영정보를 제3서버(30)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각 부품공급업체(61,62,63,..)들에서의 재무관리, 인사관리, 매출/매입관리 등과 같은 업무에 필요한 인력감소를 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각 부품공급업체(61,62,63,..)들에 대한 운영정보는 특정ID 및 패스워드입력에 의한 인증을 통과한 접속자에게만 허용되도록 함으로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제3서버(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관리모듈(301)과, 부품관리모듈(302)과, 판매관리모듈(303)과, 고객서비스모듈(304)과, 공급업체관리모듈(305)과, 통신모듈(306)과, 저장DB(307)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관리모듈(301)은 부품공급업체(61,62,63,..)들의 등록, 수정, 삭제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각 부품공급업체(61,62,63,..)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전체 부품목록등을 등록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각 부품공급업체(61,62,63,..)들에서 자신들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보안을 위하여 ID와 패스워드를 설정, 등록하고, 허용된 사용자만이 자신들의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부품관리모듈(302)은 부품의 등록, 수정, 삭제를 수행하는 기능이다. 또한 상기 판매관리모듈(303)은 부품들의 판매이력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상기 고객서비스모듈(304)은 부품대리점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이메일, 휴대폰서비스, 이벤트공지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급업체관리모듈(305)은 거래처의 등록, 고객등록, 및 직원등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통신모듈(306)은 제2서버(20)로부터 장비, 부품등을 주문받고 결과를 통보하거나 부품공급업체(61,62,63,..)들에 주문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등, 부품공급업체(61,62,63,..)들에 설치된 관리용 컴퓨터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306)은 각 부품공급업체(61,62,63,..)들과 항상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DB(307)는 각각의 부품공급업체(61,62,63,..)들의 운영정보, 부품주문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DB의 예를 들면, 대리점목록DB, 공급업체별부품DB, 공급업체별판매DB, 공급업체별관리DB, 공급업체별고객(부품대리점)DB등이 된다. 상기 대리점목록DB에는 부품공급업체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예를 들면 부품공급업체의 명칭, 위치, 연락처등과 같은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공급업체별부품DB에는 각 공급업체가 생산하거나 공급가능한 부품목록이 저장된다. 상기 공급업체별판매DB에는 부품의 판매에 대한 정보, 예를 들명 수량, 구매한 부품대리점, 단가 등과 같은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공급업체별관리DB에는 각 부품공급업체의 직원에 대한 정보, 인사관리, 거래처정보등이 저장된다. 상기 공급업체별고객(부품대리점)DB에는 각 부품대리점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부품대리점의 위치, 명칭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정보는 프로그램적으로 추출되어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대리점 운영정보들은 각 부품공급업체들에서 컴퓨터를 통하여 입력시키면 자동으로 갱신, 처리된다.
상기에 설명된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10)와, 부품대리점(51,52,53,..)용 제2서버(20)와,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30) 사이의 데이터 전송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서버(10), 제2서버(20), 및 제3서버(30)등의 각 서버들은 부품의 주문 및 주문처리에 대한 결과 통보 이외에는 서로 독립된 서버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각 서버에서는 각각의 서버에 연결된 업소들, 예를 들어 제1서버(10)에는 경정비업소(41,42,43,..), 제2서버(20)에는 부품대리점(51,52,53,..), 제3서버(30)에는 부품공급업체(61,62,63,..)들만을 집중관리하고 서로 연결되지 않는 업소들(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의 관리는 허용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10)의 부품/작업DB와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20)의 부품/판매DB가 서로 통신모듈(경정비업소와 대리점사이의 B2B 모듈)에 의하여 부품주문 및 주문처리에 의한 데이터교환(주문수량, 주문부품의 명칭, 단가등)이 이루어진다.
또한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20)의 부품/판매DB와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30)의 부품/판매DB가 서로 통신모듈(부품대리점과 부품공급업체 사이의 B2B 모듈)에 의하여 부품주문 및 주문처리에 의한 데이터교환(주문수량, 주문부품의 명칭, 단가등)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설명에서 제1서버(10), 제2서버(20), 및 제3서버(30)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에 통신모듈(106, 207, 306)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실제로 각 서버들은 동일한 장소에 집합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케이블, 또는 LAN으로 연결되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1서버(10)와 각 경정비업소(41,42,43,..), 제2서버(20)와 부품대리점(51,52,53,..),제3서버(30)와 부품공급업체(61,62,63,..)들은 서로 원격지(전국에 분산됨)에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화선, 전용선,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통신모듈이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 각 통신모듈은 인터넷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부품의 주문이 특정 경정비업소(41)가 특정 부품대리점(51)을 지정하여 주문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제1서버(10) 및 제2서버(20) 사이의 데이터전송에 의하여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경정비업소(41)가 특정 대리점을 지정하지 않고 필요한 부품의 명칭 및 갯수를 입력한다. 제1서버(10)에서는 부품주문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에 제2서버(20)로 전송한다.
제2서버(20)에서는 부품의 명칭 및 갯수를 참고하여 현재 제2서버(20)에 연결되어 있는 부품대리점에 대한 재고현황을 검색하고, 경정비업소(41)에서 주문한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특정 부품대리점을 선택한 후에, 선택된 부품대리점에 주문서를 발송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부품의 공급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에 제2서버(20)는 경정비업소(41)와 최단거리로 인접한 부품대리점을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문방식은 부품대리점(51,52,53,..)과 부품공급업체(61,62,63,..) 사이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7은 제1서버(10)와 연결되는 경정비업소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화면의 일실시예이다.
부품, 직원, 재무, 고객등과 같은 메뉴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품의 경우에는 부품의 공급을 위하여 주문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면을 통하여 필요한 부품명 및 부품수를 입력하고 전송하면, 제1서버(10)에서 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데이터의 처리상태는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도면에 표시된 화면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화면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다수의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및 부품공급업체간에 주문 및 주문처리가 통신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며, 또한 각 업소에서 단독으로 처리하여야 할 회계업무, 재고관리업무, 인사관리업무들을 각 서버들에서 대신 처리하여 줌으로서 운영비절감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경정비업소에서 입력하는 고객정보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별적으로 경정비업소에서 관리하던 고객관리업무, 예를 들면 소유차량에 대한 고객별 정비이력, 예방정비내용, 주유내역, 고객별 소모성 부품교체내역등과 같은 자동차정비에 관련된 자료를 관리하였다가,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필요한 자료를 출력하고, 또한 자동차의 정비를 원하는 경우에 자신이 원하는 특정경정비업소에 미리 차량정비예약등을 신청할 수 있어서 질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시스템에 상기의 대고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된 고객용서버(70)의 연결상태도이다.
고객용서버(70)는 통합시스템의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10)에 연결된다. 고객용서버(70)로부터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제1서버(10)에는 고객서비스모듈(108)이 더 추가된다. 이것이 도 5의 경정비업소용의 제1서버(10) 블럭안에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실제로 도 2의 블럭안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객서비스모듈은 고객용서버(70)로부터 입력되는 요구에 따라서 제1서버(10)의 DB에 저장된 고객DB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한다. 제1서버(10)의 고객서비스모듈(108)과 고객용서버(7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실제로 각 서버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이나 랜(LAN)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객용서버(70)는 고객들과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도 5를 다시 참고하면 고객용서버(70)에는 게이트웨이(80)가 연결되어서 휴대폰(81,82,83,..)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91,92,93,..)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80)는 이동통신회사에 설치되어서 인터넷 프로토콜(HTML)을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게이트웨이(80)는 WAP/HDML에 기초하여 각 마크업 랭귀지를 변환시키도록 작동된다. 개인용 컴퓨터(91,92,93,..)등도 역시 일반PC통신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고객들은 상기와 같이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81,82,83,..)이나 개인용컴퓨터(91,92,93,..)를 이용하여 고객용서버(70)에 접속한 후에, 자신이 소유한 차량에 대한 정비이력조회나 정비예약을 할 수 있다. 정비이력조회는 예를 들어서 자신이 소유한 자동차의 엔진오일교환시기나 타이어교환시기, 교환된 부품의 금액등과 같이 자동차에 관련된 정보가 된다. 고객에 의하여 요청된 데이터는 고객용서버(70)에서 즉시 처리되어서 휴대폰이나 개인용컴퓨터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정비예약은 소유자동차에 대한 정비를 위하여, 정비를 원하는 경정비업소명, 날자, 시간 등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하여 자동차정비를 미리 예약할 수 있다. 휴대폰이나 개인용컴퓨터를 이용하여 예약을 신청하면 신청접수와 함께 해당 경정비업소에 예약내용을 통보하고, 예약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고객의 휴대폰 또는 개인용컴퓨터에 전송한다. 이러한 처리과정은 프로그램의 설계시에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정비이력조회나 정비예약등은 고객용서버(70)에 접속하는 경우에 화면에 다양한 정비이력목록을 출력하여 고객이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정비예약의 경우에는 화면에 역시 정비를 원하는 경정비업소의 명칭, 위치등을 표시하고 고객이 선택하도록 하며, 예약을 원하는 날자, 시간, 자동차 등록번호 등도 직접 입력시키거나 선택하도록 구성한다.
도 6은 상기 고객용서버(7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고객용서버(70)는, 고객관리모듈(701)과, 차계부모듈(702)과, 예방정비모듈(703)과, 정비예약모듈(704)과, 인터페이스/휴대폰연결모듈(705)과, 그리고 저장DB(70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객관리모듈(701)은 일반고객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차계부모듈(702)은 고객의 자동차에 대한 정비이력, 주유이력, 소모성 부품등의 사용이력등과 같은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이다. 상기 예방정비모듈(703)은 자동차의 예방정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정비예약모듈(704)은 자동차의 정비를 위하여 날자, 시간등을 예약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인터페이스/휴대폰연결모듈(705)은 경정비업소용의 제1서버(10)와, 게이트웨이(80) 또는 개인용컴퓨터등과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통신기능모듈이다.
도 8은 고객이 자신이 소유한 차량에 대한 이력조회 또는 정비예약을 위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차량의 이력조회는 예를 들면 정비이력, 또는 주유이력과 같은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휴대폰이나 컴퓨터화면을 통하여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정비예약의 경우에도 역시 차량번호와 예약을 원하는 날자, 시간등을 직접 입력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고객용서버(70)에서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경정비업소용의 제1서버(1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예약데이터를 전송한다. 예약이 확인되면 고객용서버(70)에서는 다시 고객이 접속한 통신단말기로 결과를 통보한다. 그 결과 고객의 통신단말기화면상에는 예약이 확인되었다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상기 화면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따라서 도면에 표시된 것과 다른 다양한 화면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DB(706)는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객정보DB, 정비이력DB, 주유이력DB, 소모성부품DB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객정보DB는 자동차의 정비를 의뢰한 고객에 대한 신상정보, 예를 들면 성명, 차량등록번호, 차량년식등을 저장한다. 상기 정비이력DB는 자동차에 대한 정비내용을 저장한다. 상기 주유이력DB는 자동차에 공급한 기름에 대한 기록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소모성부품DB는 정비시에 교환한 소모품에 대한 기록을 저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및 부품공급업체간의 전자상거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및 부품공급업체의 재무, 회계, 재고관리를 수행하여 각 업소에서의 비용절감, 원활한 부품공급 및 주문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반 고객들에게 자신이 소유한 자동차에 대한 제반정보 및 정비예약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자동차부품의 공급 및 거래를 위한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정비업소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경정비업소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대리점과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부품대리점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경정비업소용 제1서버로부터 부품주문데이터를 입력받고 주문처리상태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공급업체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하여 부품공급업체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부품대리점용 제2서버로부터 부품주문데이터를 입력받고 주문처리상태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품공급업체용 제3서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10)가 시스템관리모듈(101)과, 부품관리모듈(102)과, 작업관리모듈(103)과, 업소관리모듈(104)과, 재무회계모듈(105)과, 통신모듈(106)과, 저장DB(107)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관리모듈(101)은 각 경정비업소의 등록, 수정, 삭제와, 각 경정비업소에서 필요로하는 전체 부품목록등을 등록하고, 상기 부품관리모듈(102)은 경정비업소로부터 등록된 전체부품목록중에서 특정부품등록을 수정, 삭제하고 적정한 부품수에 미달하는 부품의 목록을 검색하며, 상기 작업관리모듈(103)은 정비내역의 입력과 부품의 매입/판매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업소관리모듈(104)은 경정비업소에서 거래하는 거래처등록, 고객등록, 직원등록등을 관리하며, 상기 재무회계모듈(105)은 각 경정비업소들 각각에 대하여 수입/지출입력, 일간현황, 월간현황, 미수금처리등과 같은 입출금에 대한 관리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모듈(106)은 장비, 부품등을 주문하고 결과를 통보받을 때 또는 각 경정비업소에 설치된 관리용 컴퓨터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저장DB(107)는 각각의 경정비업소들의 운영정보, 부품주문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카센터(경정비업소)목록DB, 업소별부품DB, 업소별고객DB, 업소별직원및관리DB, 업소별재무/회계D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20)가, 시스템관리모듈(201)과, 부품관리모듈(202)과, 판매관리모듈(203)과, 고객서비스모듈(204)과, 대리점관리모듈(205)과, 재무회계모듈(206)과, 통신모듈(207)과, 저장DB(208)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관리모듈(201)은 부품대리점의 등록, 수정, 삭제와, 각각의 부품대리점에서 필요로하는 전체 부품목록등을 등록하고, 상기 부품관리모듈(202)은 부품대리점들로부터 등록된 전체부품목록중에서 특정부품등록을 수정, 삭제하고, 적정한 부품수에 미달하는 부품의 목록을 검색하며, 상기 판매관리모듈(203)은 부품의 매입/판매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고객서비스모듈(204)은 경정비업소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폰문자서비스, 이벤트공지, 및 부품의 적정재고에 미달한다는 등의 내용을 통지하며, 상기 대리점관리모듈(205)은 각 부품대리점에 대한 거래처등록, 고객등록, 직원등록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재무회계모듈(206)은 수입/지출입력, 일간현황, 월간현황, 년간현황, 미수금처리등과 같은 입출금에 대한 관리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모듈(207)은 경정비업소와의 전산주문처리, 부품공급업체와의 전산주문처리등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저장DB(208)는 각각의 부품대리점들의 운영정보, 부품주문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부품대리점목록DB, 대리점별부품DB, 대리점별판매DB, 대리점별관리DB, 대리점별고객(경정비업소)DB, 대리점별재무/회계D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서버(30)가, 시스템관리모듈(301)과, 부품관리모듈(302)과, 판매관리모듈(303)과, 고객서비스모듈(304)과, 공급업체관리모듈(305)과, 통신모듈(306)과, 저장DB(307)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관리모듈(301)은 부품공급업체들의 등록, 수정, 삭제기능을 수행하고, 각 부품공급업체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전체 부품목록등을 등록하고, 상기 부품관리모듈(302)은 부품의 등록, 수정, 삭제를 수행하며, 상기 판매관리모듈(303)은 부품들의 판매이력을 관리하고, 상기 고객서비스모듈(304)은 부품대리점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이메일, 휴대폰서비스, 이벤트공지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공급업체관리모듈(305)은 거래처의 등록, 고객등록, 및 직원등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모듈(306)은 제2서버(20)로부터 장비, 부품등을 주문받고 결과를 통보하거나 부품공급업체들에 주문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며, 그리고 상기 저장DB(307)는 각각의 부품공급업체(61,62,63,..)들의 운영정보, 부품주문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대리점목록DB, 공급업체별부품DB, 공급업체별판매DB, 공급업체별관리DB, 공급업체별고객(부품대리점)D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10), 제2서버(20), 및 제3서버(30)가 각각 케이블 또는 랜(LAN)과 같은 지역네트워크에 의하여 연결되어서 데이터송수신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6. 상기 제1서버(10), 제2서버(20), 및 제3서버(30)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업소들이 각각 연결된 서버들에 접속하기 위하여 각 업소별로 할당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야 접속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10)와 제2서버(20) 사이의 부품주문, 또는 제2서버(20)와 제3서버(30) 사이의 부품주문이, 부품의 공급을 원하는 업소가 특정 업소를 지정하여 부품을 주문하거나, 부품의 공급을 원하는 업소가 부품을 주문하면 부품공급이 가능한 공급업소를 검색하여 부품공급업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10)가 고객서비스모듈(108)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객서비스모듈(108)과의 데이터전송을 통하여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고객용서버(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서버(70)가, 고객관리모듈(701)과, 차계부모듈(702)과, 예방정비모듈(703)과, 정비예약모듈(704)과, 인터페이스/휴대폰연결모듈(705)과, 그리고 저장DB(706)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관리모듈(701)은 일반고객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고, 상기 차계부모듈(702)은 고객의 자동차에 대한 정비이력, 주유이력, 소모성 부품등의 사용이력등과 같은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예방정비모듈(703)은 자동차의 예방정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이고. 상기 정비예약모듈(704)은 자동차의 정비를 위하여 날자, 시간등을 예약하기 위한 기능이며, 상기 인터페이스/휴대폰연결모듈(705)은 제1서버(10) 및 외부 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송수신을 기능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저장DB(706)는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객정보DB, 정비이력DB, 주유이력DB, 소모성부품D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 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서버(70)의 인터페이스/휴대폰연결모듈(705)이 무선인터넷, 인터넷, 일반 휴대폰등과의 데이터전송이 가능한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시스템.
KR1020000024239A 2000-05-06 2000-05-06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통합시스템 KR20000049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239A KR20000049918A (ko) 2000-05-06 2000-05-06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239A KR20000049918A (ko) 2000-05-06 2000-05-06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통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918A true KR20000049918A (ko) 2000-08-05

Family

ID=1966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239A KR20000049918A (ko) 2000-05-06 2000-05-06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991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268A (ko) * 2000-07-28 2002-02-04 이승환 온-라인 회계처리를 통한 자동발주방법 및 장치
KR20020065464A (ko) * 2002-07-27 2002-08-13 전용성 네트웍 시스템을 이용한 공정관리 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67715A (ko) * 2001-02-17 2002-08-24 주식회사 아이킹콩 닷 컴 무한개의 대리점 운영을 위한 이-씨알엠의 다층적 운용방법
KR100551533B1 (ko) * 2000-07-21 2006-02-13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344982A (zh) * 2018-10-10 2019-02-15 海南安桥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维修门店的互联网营销交易管理系统
CN115375244A (zh) * 2022-09-02 2022-11-22 深圳小狮快送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第四方汽配物流平台及管理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533B1 (ko) * 2000-07-21 2006-02-13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0268A (ko) * 2000-07-28 2002-02-04 이승환 온-라인 회계처리를 통한 자동발주방법 및 장치
KR20020067715A (ko) * 2001-02-17 2002-08-24 주식회사 아이킹콩 닷 컴 무한개의 대리점 운영을 위한 이-씨알엠의 다층적 운용방법
KR20020065464A (ko) * 2002-07-27 2002-08-13 전용성 네트웍 시스템을 이용한 공정관리 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344982A (zh) * 2018-10-10 2019-02-15 海南安桥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维修门店的互联网营销交易管理系统
CN115375244A (zh) * 2022-09-02 2022-11-22 深圳小狮快送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第四方汽配物流平台及管理方法
CN115375244B (zh) * 2022-09-02 2023-09-29 深圳小狮快送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第四方汽配物流平台及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84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content delivery
US20120123951A1 (en) Service management platform for fleet of assets
US200200072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tomobile repair data and statistics
CA2469699A1 (en) Delivery of goods to electronic storage lockers
US20140278597A1 (en) Trav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WI789374B (zh) 港口管理系統、預約管理伺服器、船舶管理者終端及港口管理者用終端
US9779445B1 (en) Procurement systems and methods
KR20020045538A (ko) 정보처리장치와 정보처리방법, 망시스템, 기록매체 및컴퓨터프로그램
KR100805864B1 (ko) 수, 발주 시스템을 활용한 온, 오프라인 판매와 구매 및 통합 관리 방법
KR2000003650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보험료 비교 및 계약 서비스 방법
US20090164631A1 (en) Centralized Services Management (CSM) System
KR20000049918A (ko)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경정비업소, 부품대리점,부품공급업체간의 상거래 및 업체관리를 수행하는통합시스템
JP2001338182A (ja) 車両情報管理システム、車両リースシステム、車両リース見積・発注方法、及び車両情報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848334B1 (ko) Sms을 이용한 사이버 열차티켓 판매시스템 및 판매방법
JPH09319795A (ja) 製品加工作業における作業管理システム
JP3828517B2 (ja) 電子商取引管理サーバ及び電子商取引管理方法
JP2003256981A (ja) 回送レンタカー運用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10034959A (ko)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자간 공동 차량관리방법 및 장치
JP2002073832A (ja) 設備保全用予備品取引システム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装置
JP2002318838A (ja) 電子商取引管理サーバ及び電子商取引管理方法
KR100487079B1 (ko) 인터넷 웹을 이용한 자원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1256293A (ja) 車両管理業務処理システム
JP2002230362A (ja) 調達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JP3607619B2 (ja) 乗車券発売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1118010A (ja) 予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