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020A -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020A
KR20190105020A KR1020197021769A KR20197021769A KR20190105020A KR 20190105020 A KR20190105020 A KR 20190105020A KR 1020197021769 A KR1020197021769 A KR 1020197021769A KR 20197021769 A KR20197021769 A KR 20197021769A KR 20190105020 A KR20190105020 A KR 20190105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pad
base
accelerato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츠네미
Original Assignee
가즈오 츠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오 츠네미 filed Critical 가즈오 츠네미
Publication of KR20190105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05Compound pedal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1Arrangements of two or more controlling members with respect to one anoth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6Mounting units comprising an assembly of two or more pedals, e.g. for facilitating moun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non-pivoting, e.g. slid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8Non-slip pedal treads; Pedal extensions or attachment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487Pedal ext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을 개조하지 않고 이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며, 페달의 답면을 운전자측에 돌출시키지 않고, 오른발 발꿈치를 플로어에 붙인 상태에서도 브레이크 및 액셀 조작이 가능하고, 제동시에는 반드시 액셀 폐쇄 방향으로 작동하고, 페달을 밟는 위치의 다소의 어긋남을 허용하는,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이며 저비용인 원페달 방식의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 가능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우측 방향에 돌출시킨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한 슬라이드 기구를 통해 베이스 위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한 액셀 패드와, 상기 액셀 패드의 위치를 자동차의 액셀 장치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한 페달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브래킷을 향하여 내려가는 방향으로 경사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액셀 패드는 가장 좌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답면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면보다 높지 않은 형상으로 하고, 상기 액셀 패드를 좌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달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조작 기구와 액셀 조작 기구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소위 「원페달」 방식의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설치된 액셀 페달을 철거한 후,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하여 액셀 조작 기구에 접속함으로써, 단일 페달로 브레이크와 액셀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원페달」 방식의 페달 장치는 운전자가 앞 방향으로 밟는 브레이크 페달에 발끝에서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액셀 조작 기구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을 바꿔 밟을 필요가 없어져, 급제동을 요할 때의 공주 시간을 없애 제동 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것 외에, 페달을 잘못 밟는 것에 의한 폭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페달 장치로는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구성의 것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따른 페달 장치(이하, 「선행 기술 1」로 기재함)는 밟아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에 보조 페달을 연접하고, 보조 페달에 횡방향으로 조작하는 액셀 패드를 설치하여, 이 액셀 패드에 의해 액셀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 따른 페달 장치(이하, 「선행 기술 2」로 기재함)는 브레이크 페달에 설치한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된 액셀 페달을 발로 회동시켜 액셀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 기술 1은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의 바로 위에 장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운전자측에 장치(구체적으로는 페달의 답면)가 돌출되고, 운전자의 무릎의 위치도 밑으로부터 밀려 올라가는 형태가 되어 시트의 앉는 부분과 허벅지 뒷측 사이에 공간이 생겨, 오른발의 자중이 페달 장치에 가해지기 십상인 상태가 계속된다. 이 때문에, 운전 중의 발에 대한 부담이 커져 장시간 주행에 적합하지 않고, 또한 운전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실수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할 가능성도 있다. 물론, 액셀 페달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도 철거하고, 페달 장치가 운전자측에 돌출되지 않도록 브레이크 기구로 개조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비용의 증가뿐만 아니라 중요 보안 부품의 개조에 관한 법령상의 문제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선행 기술 2는 동일한 문제점을 가질뿐만 아니라, 회동 가능한 액셀 페달 위에 발바닥 전체를 올려 놓고 작업한다는 발명의 구성 자체에 별개의 문제점을 갖는다. 특허문헌 2에서는 발꿈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발끝측을 외선(外旋)시켜 액셀 패드를 조작하는 것에 의한 발목의 피로 축적을 문제시하여, 발 전체의 내선·외선에 의해 조작 가능하면, 발의 일부에 대한 피로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실태는 플로어에 발꿈치를 붙이고 페달을 바꿔 밟아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단순히 2페달 조작에 대한 익숙함뿐만 아니라, 가감속 등에 의한 주행 중의 G(가속도)의 변화에 대해, 왼발뿐만 아니라 오른발의 발꿈치로도 무의식적으로 힘껏 버텨 운전 자세를 유지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선행 기술 2와 같이 운전자측에 돌출된 액셀 패드 위에 발바닥 전체를 올려 놓은 상태, 즉 오른발을 상시 뜨게 한 상태가 강제된 경우, 발목에 대한 부담의 경감 이상으로 전술한 발 전체의 자중을 지지하는 것에 의한 부담의 쪽이 커진다. 또한, 오른발은 상시 차체의 중앙 근방의 브레이크 페달 위에 위치시킬 수 밖에 없어, 발꿈치가 항상 떠있는 상태가 되는 이상, 운전자는 자세의 유지에 오른발을 전혀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좌측 커브에서 우측 방향에 대한 G를 받은 경우에 발꿈치가 플로어에 접하고 있으면 오른발로 힘껏 버티면서 발목만으로 액셀을 조작할 수 있지만, 선행 기술 2의 구성에서는 무의식적으로 오른발에 힘이 들어가면 액셀을 걸면서 브레이크도 걸리는 상태가 될 수 있어, 위험하기도 하다. 원래, 주행 중에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에서 상시 오른발을 뜨게 한 상태 자체가 일반 운전자의 감각과는 괴리되어 있어, 심리적으로도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선행 기술은 복잡하고 부피가 커지는 기구가 될 수 밖에 없다. 선행 기술 1의 구성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우측에 액셀 와이어 아암, 액셀 레버, 액셀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액셀 기구가 존재하기 때문에, 긴급시의 급제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발이 약간 오른쪽으로 어긋났기 때문에, 실수로 이들 액셀 기구를 밟아 누른 경우, 충분한 브레이킹을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고,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선행 기술 2의 구성에서는 원래 액셀 패드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 자체가 대형으로 되어 있다. 대형 페달은 운전자의 발밑 공간을 압박하고, 승강성의 지장이 될 뿐만 아니라, 관성 중량의 크기에 따라 페달의 조작성·조작감을 해치며, 플로어에 떨어뜨린 물품이 하면에 끼워져 브레이크 조작을 방해할 위험도 증대시킨다. 특히, 왼발이 의족인 신체 장애자는 감각이 없는 의족이 무의식 중에 페달 장치에 간섭하여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사안이 발생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서도 페달 장치에서는 간소화·소형화의 중요성이 높다.
일본 특허공보 4249010호 일본 특허공보 5991257호
본원 발명은 이러한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1)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을 개조하지 않고 이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할 것. (2) 페달의 답면을 운전자측에 돌출시키지 않을 것. (3) 오른발 발꿈치를 플로어에 붙인 상태에서도 브레이크 및 액셀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장시간 조작에 의한 피로를 경감시킬 것. (4) 제동시에는 반드시 액셀 폐쇄 방향으로 작동하고, 페달을 밟는 위치의 다소의 어긋남을 허용할 것. (5) 가능한 한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이며 저비용으로 할 것.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페달 장치는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 가능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우측 방향에 돌출시킨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한 슬라이드 기구를 통해 기판 위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액셀 패드와, 상기 액셀 패드의 위치를 자동차의 액셀 장치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한 페달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브래킷을 향하여 내려가는 방향으로 경사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액셀 패드는 가장 좌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답면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면보다 높지 않은 형상으로 하고, 상기 액셀 패드를 좌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페달 장치의 액셀 패드는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의 우측, 즉 철거된 이미 설치된 액셀 페달이 있던 위치에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이 된다.
상기 프레임은 브래킷과 베이스를 일체화한 것이고, 별체의 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접합하여 구성해도 되지만, 급제동시에서의 운전자의 최대 답력에 견딜 수 있는 대변형성·내구성을 구비하기 위해, 강재를 절곡 또는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 성형해도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의 페달 패드에 씌우도록 이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고정 방법은 임의이지만, 적절한 고정 부재를 통해 볼트 고정함으로써, 자동차 메이커마다 상이한 브레이크 페달의 형상·크기에 대응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액셀 패드를 좌우, 즉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키도록 지지하여,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 기구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롤러 또는 베어링을 통해 액셀 패드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셀 패드는 그 답면이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의 답면과 평행이 되고, 또한 기판 위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했을 때는 동일한 높이이거나 약간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을 하면이 베이스의 경사에 대응한 경사를 갖는 횡방향의 대략 사다리꼴로 함으로써, 액셀 패드는 답면의 각도를 변경하지 않고 베이스 위를 슬라이딩하고, 우측, 즉 베이스의 선단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답면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액셀 패드의 우측 끝에는 오른발 새끼 발가락 외측이 맞닿게 하는 플랜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 수단은 액셀 패드의 좌우의 위치 변화를 자동차의 이미 설치된 액셀 장치에 전달하여 액셀의 개도를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기구이다. 그 구조는 임의이고, 예를 들면, 와이어 케이블의 일단을 액셀 패드에 걸고, 타단을 액셀 장치에 접속하여 연계시킴으로써, 액셀 패드가 가장 우측의 위치에서 액셀 개도가 최대가 되고, 가장 좌측의 위치에서 액셀이 전부 폐쇄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프레임 위에 액셀 패드의 위치를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검출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배선 케이블을 통해 액셀 장치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탄성 지지 수단은 액셀 패드를 개방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를 좌측 끝, 즉 액셀이 전부 닫힌 위치에 복귀시키는 수단이다. 그 구조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액셀 패드와 브래킷을 스프링으로 접속하고, 그 수축력에 의해 액셀 패드를 좌측 끝으로 되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기구 내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액셀 패드의 우측 끝에 상기 플랜지를 설치함으로써, 운전 중에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플랜지가 운전자의 오른발 새끼 발가락 외측에 밀착되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미묘한 액셀 워크가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페달 장치의 장착, 조작 및 작동은 이하와 같다. 먼저 장착시에는 이미 설치된 액셀 페달을 스테이마다 철거한 후, 페달 장치의 브래킷을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하여 고정하고, 전달 수단, 예를 들면, 와이어 케이블의 타단을 이미 설치된 액셀 기구에 접속한다.
운전시에는 운전자는 오른발 발꿈치를 플로어에 둔 상태에서 액셀 패드의 답면에 발바닥의 앞쪽을 올려 놓고, 가속시에는 발꿈치를 축으로 발끝을 외선시켜 액셀 패드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액셀이 개방되고, 감속시에는 발끝을 내선시켜 액셀 패드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제동시에는 액셀 패드를 전방으로 밟음으로써 브레이크가 걸린다. 이 때, 액셀 패드가 슬라이딩하는 베이스는 브래킷측을 향해 경사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에 대한 답압은 좌측 아래 방향에 대한 벡터로 변환되고, 액셀 패드는 강제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한다. 즉, 운전자가 의식적으로 액셀 패드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지 않아도, 단순히 액셀 패드를 전방으로 밟는 것만으로 액셀을 닫는 탄성 지지가 작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청구항 2에 기재된 페달 장치는 청구항 1에 따른 페달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를 우측 끝이 운전자측 근방이 되는 각도로 상기 브래킷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셀의 개폐는 운전자가 오른발의 발끝을 외선·내선함으로써 행하지만, 이러한 선회를 플로어에 붙인 발꿈치를 축으로 하여 행하는 경우, 당연히 발끝은 원호를 그린다. 여기서, 베이스에 우측 끝이 운전자측 근방이 되는 각도를 형성해둠으로써, 액셀 패드의 슬라이딩 방향이 발끝의 원호를 따르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액셀을 여는 것에 따라 액셀 패드와 발꿈치의 거리가 넓어지는 경우가 없어지고, 보다 원활한 액셀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동시의 액셀 패드의 슬라이딩 방향은 좌측 앞방향이 되고, 액셀 패드를 전방으로 밟는 답력은 좌측 근방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각도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확실하게 액셀을 닫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원 발명에 따른 페달 장치는 선행 기술에 비해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1)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을 개조하지 않고 이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도입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2) 답면까지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의 무릎의 위치도 변하지 않고, 선행 기술과 같이 발 전체에 대한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3) 오른발 발꿈치를 플로어에 붙인 상태에서 스무스하게 브레이크 및 액셀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선행 기술과 같이 오른발을 차체의 중앙 근방에 두지 않고, 종래대로 자연스러운 운전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의 피로나 심리적인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좌선회시 등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오른발도 자세 유지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 자세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4) 베이스의 방향으로 상하·전후 각각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제동시에 있어서 액셀 폐쇄 방향에 대한 탄성 지지가 강화되기 때문에, 제동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또한, 액셀 패드와 브래킷이 일체로서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브레이크 페달로서의 답면이 확대되어 있고, 페달 장치의 어디를 밟아도 브레이크가 걸린다는 점에서도 제동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5) 외형상 프레임과 액셀 패드만으로 이루어지는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이며, 외부에 장치가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실 내의 구조와의 간섭이나 이물질이 끼일 우려, 오조작이나 고장의 가능성도 작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페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페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페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한 사용 상태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가속시(엑셀 개방)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가속시(액셀 개방)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동시(액셀 폐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동시(액셀 폐쇄)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페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도 2 중의 화살표(V)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페달 장치(1)를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B)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은 페달 장치(1)의 조작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가속시(액셀 개방)의 평면도, 도 6은 정면도, 도 7은 제동시(액셀 폐쇄)의 평면도, 도 8은 정면도이다.
페달 장치(1)는 브레이크 페달(B)의 페달 패드(Bp)를 덮도록 장착 가능한 대략 상자형 브래킷(10a)의 우측면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그 하단으로부터 장방형의 판재인 베이스(10b)를 오른쪽에 돌출시킨 구조의 프레임(10)과, 베이스(10b)의 상면에 설치한 슬라이드 기구(11)를 통해 좌우 방향, 즉 베이스(10b)의 길이 방향의 축선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한 액셀 패드(20), 액셀 패드(20)의 위치 변화를 이미 설치된 액셀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으로서의 와이어 케이블(12)로 이루어진다.
브래킷(10a)의 우측면은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해 오프셋각(d1)으로 오른쪽으로 경사되어 있기 때문에, 액셀 패드(20)의 슬라이딩 방향의 축선도 d1의 각도로 바로 앞측, 즉 운전자측에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0b)는 브래킷(10a)의 상면에 대해 오프셋각(d2)으로 상방으로 경사시키고 있고, 액셀 패드(20)는 이 경사를 따라 베이스(10b) 위를 슬라이딩한다. d1, d2는 액셀 패드(20)의 슬라이딩 허용 거리(S)에 대응하여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40㎜로 했을 경우, 13°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각(d1)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가 발꿈치를 플로어에 붙이고 발끝을 외선시켜 액셀을 개방할 때에, 발꿈치와 액셀 패드(20)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액셀을 개방하는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오프셋각(d2)을 형성함으로써, 제동시에 전방으로 밟은 답압이 좌측 아래 방향에 대한 벡터로 변환되고, 액셀 패드(20)가 강제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액셀 폐쇄의 탄성 지지를 발생시켜, 제동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액셀 패드(20)는 상기 V방향에서 보아 우측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대략 사다리꼴의 블록으로서, 베이스(10b) 위에 장착한 상태에서 답면이 되는 상면이 브래킷(10a)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상면의 우측 끝에는 운전자가 오른발 새끼 발가락 외측을 맞닿게 하는 플랜지(21)를 설치하고 있다. 액셀 패드(20)의 높이는 적어도 베이스(10b) 위의 좌측 끝의 위치에서, 그 답면이 브래킷(10a)보다 낮아지는 높이로 한다. 이에 따라, 제동시에 밟은 발끝이 브래킷(10a)에 의해 제지되므로, 실수로 페달 장치(1)를 잘못 밟을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셀 패드(20)의 답면은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B)의 페달 패드(Bp)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고, 무릎으로부터의 거리도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발이 밑으로부터 밀려 올라가듯 높아져 시트의 앉는 부분과 허벅지 뒷측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경우도 없고, 종래대로의 자연스러운 조작감이 얻어진다.
또한, 액셀 패드(20)는 그 전체 또는 적어도 답면을 고무제로 하고,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 패턴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액셀 패드(20)의 좌측 끝과 브래킷(10) 사이의 간극은 액셀 패드(20)의 이동에 따라 신축 가능한 더스트 부츠(22)로 덮고 있어, 이물질의 끼임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11)는 그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액셀 패드(20)를 슬라이딩 허용 범위(S)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예를 들면, 축선 방향의 레일과 롤러 또는 베어링을 조합하고, 액셀 패드(20)의 이동을 슬라이딩 허용 범위(S) 내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양단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와이어 케이블(12)은 일단을 액셀 패드(20)의 좌측 끝에 고정하고, 타단은 이미 설치된 액셀 장치와 접속하고 있고, 액셀 패드(20)의 이동에 의해 기계적으로 액셀 장치에 개폐를 행하게 한다. 와이어 케이블(12)은 페달 장치(1)의 작동이나 운전자의 왼발에 간섭하지 않도록 브래킷(10a) 내를 경유하여 브레이크 페달(B)의 스테이(Bs)를 따라 상방에 도출하는 배치로 하고, 브래킷(10a) 내 및 노출부에 대해서는 튜브(13)로 피복해 둔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개량 또는 개변이 가능하며,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자동차 등의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에 직접 장착하고, 액셀 페달을 철거한 액셀 장치와 와이어 케이블을 접속하여 연계시킴으로써 적용 가능하다. 자동차측의 대규모의 개수(改修)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도 간이하여 부피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경자동차 등에도 저비용으로 보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기술의 원페달 방식에 비해 조작성이나 운전 자세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고령자 등의 운전자의 적응도 보다 용이하다.
B: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
Bp: 페달 패드(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
Bs: 스테이(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
d1: 오프셋각(브래킷)
d2: 오프셋각(베이스)
S: 슬라이딩 허용 범위
1: 페달 장치
10: 프레임
10a: 브래킷
10b: 베이스
11: 슬라이드 기구
12: 와이어 케이블
13: 튜브
20: 액셀 패드
21: 스토퍼
22: 더스트 부츠

Claims (2)

  1. 이미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 가능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우측 방향에 돌출시킨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한 슬라이드 기구를 통해 베이스 위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한 액셀 패드와, 상기 액셀 패드의 위치를 자동차의 액셀 장치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한 페달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브래킷을 향하여 내려가는 방향으로 경사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액셀 패드는 가장 좌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답면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면보다 높지 않은 형상으로 하고, 상기 액셀 패드를 좌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페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우측 끝이 운전자측 근방이 되는 각도로 상기 브래킷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페달 장치.
KR1020197021769A 2016-12-26 2017-12-21 페달 장치 KR20190105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0566A JP6141503B1 (ja) 2016-12-26 2016-12-26 ペダル装置
JPJP-P-2016-250566 2016-12-26
PCT/JP2017/046050 WO2018123835A1 (ja) 2016-12-26 2017-12-21 ペダ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020A true KR20190105020A (ko) 2019-09-11

Family

ID=5901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769A KR20190105020A (ko) 2016-12-26 2017-12-21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01841A1 (ko)
EP (1) EP3560775A4 (ko)
JP (1) JP6141503B1 (ko)
KR (1) KR20190105020A (ko)
CN (1) CN110325413A (ko)
WO (1) WO2018123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6545B1 (ja) * 2018-03-09 2018-08-22 勇 中島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
JP7095652B2 (ja) * 2019-05-21 2022-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CN112092640B (zh) * 2019-12-03 2022-01-2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新能源车辆的控制方法和装置
CN111762135A (zh) * 2020-07-08 2020-10-13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防勾脚制动踏板面结构、制动踏板总成及车辆
JP7248251B2 (ja) * 2020-08-17 2023-03-29 株式会社戸張空調 アクセル・ブレーキ操作装置
CN112622615B (zh) * 2020-12-28 2022-02-01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油门防误踩和主动刹车系统及其主动刹车方法
CN115447542B (zh) * 2022-11-11 2023-01-17 山东大千制动系统有限公司 制动踏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1257A (ja) 1982-11-17 1984-05-25 三晃金属工業株式会社 採光外囲体
JP4249010B2 (ja) 2001-05-25 2009-04-02 益幸 鳴瀬 自動車用アクセル及びブレーキペダ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2381C2 (de) * 1977-09-21 1981-12-24 Norbert 8871 Behlingen Pretsch Sicherheitspedal für Kraftfahrzeuge
JPH07111663B2 (ja) * 1993-12-28 1995-11-29 コナミ株式会社 操作用フットペダル
JPH1178815A (ja) * 1997-09-12 1999-03-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走行作業機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0800032B1 (ko) * 2006-10-24 2008-01-31 마지현 브레이크와 엑셀레이터 통합장치
JP2008165670A (ja) * 2006-12-28 2008-07-17 Koji Kondo 輸送用機器の加速・制動入力装置
JP2013230740A (ja) * 2012-04-27 2013-11-14 Ihi Shibaura Machinery Corp ブレーキペダル操作装置
JP5858883B2 (ja) * 2012-08-03 2016-02-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5991257B2 (ja) * 2013-04-13 2016-09-14 和夫 小笠原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JP6153832B2 (ja) * 2013-09-19 2017-06-28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
JP2016062396A (ja) * 2014-09-19 2016-04-25 春治 小林 車両のアクセルペダルとブレーキペダルを連動させたペダル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1257A (ja) 1982-11-17 1984-05-25 三晃金属工業株式会社 採光外囲体
JP4249010B2 (ja) 2001-05-25 2009-04-02 益幸 鳴瀬 自動車用アクセル及びブレーキペダ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0775A4 (en) 2020-08-19
US20200101841A1 (en) 2020-04-02
JP6141503B1 (ja) 2017-06-07
JP2018103705A (ja) 2018-07-05
EP3560775A1 (en) 2019-10-30
WO2018123835A1 (ja) 2018-07-05
CN110325413A (zh)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5020A (ko) 페달 장치
JP5906206B2 (ja) ブレーキペダルとアクセルペダルが一連に配設されたペダル。
JP2011100324A (ja) 電気自動車用又はスロットル機構を備えた自動車用のペダル装置
JP5714426B2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5991257B2 (ja)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JP6501333B2 (j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JP6887635B2 (ja) アクセルペダル誤操作防止機構
JP6691457B2 (ja) 車両の運転手支持装置
JP6376545B1 (ja)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
JP2753405B2 (ja) ペダル機構
JP3210668U (ja) アクセル操作装置
KR19990082180A (ko) 자동차의 단일-페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JP7417235B2 (ja) ブレーキとアクセルの踏み間違い修正器具
JPWO2005058631A1 (ja) 自動車の暴走防止装置
JPH01119437A (ja) アクセル機能を有すブレーキ装置
KR101410654B1 (ko) 악셀페달의 오조작 방지 구조
JP2014048742A (ja) 踏み間違い防止装置
JP3223556U (ja) ペダル踏み間違い防止装置
CN110937028B (zh) 地板构造
JPS5937247B2 (ja) 動力車両の安全ペダル
KR101020971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KR200164930Y1 (ko) 발 지지턱이 마련된 가속페달
JP2008165670A (ja) 輸送用機器の加速・制動入力装置
TWI405684B (zh) Locomotive fixture
KR200313492Y1 (ko) 자동차의 페달위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