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465A - 수전 작업기 및 포장 작업기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기 및 포장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465A
KR20190078465A KR1020180071831A KR20180071831A KR20190078465A KR 20190078465 A KR20190078465 A KR 20190078465A KR 1020180071831 A KR1020180071831 A KR 1020180071831A KR 20180071831 A KR20180071831 A KR 20180071831A KR 20190078465 A KR20190078465 A KR 20190078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river
step portion
divid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다니구치
료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49258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78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49259A external-priority patent/JP69029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49260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41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49257A external-priority patent/JP690030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78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62D33/0625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op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운전부 스텝 상으로부터의, 차륜의 방향이나 존재 위치를 시인하기 쉽게 한 수전 작업기를 제공한다. 또한, 운전부 스텝을 복수개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각 분할 스텝 부재의 탈착 조작을 행하기 쉽고, 또한 손쉬운 조작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메인 스텝부와 리어 스텝부를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간단한 구조로 기립 상승부를 포함하는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복수개의 분할 스텝 부재간에서의 상대 위치의 조절 조작이나, 분할 스텝 부재의 탈착 조작을 간편하게 행하기 쉽게 한다.
운전부 스텝(3) 상에 운전 좌석(15)이 설치되고, 운전부 스텝(3)에, 차체 하방을 전망 가능한 투시 바닥부(7)가 설치되고, 투시 바닥부(7)가, 운전 좌석(15)의 존재 위치, 또는 운전 좌석(15)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70)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 스텝(3)이,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5)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3B)와, 운전 좌석(15)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3C)를 구비하고,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가 각각 분할 라인(L1, L2, L3)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 스텝(3)이,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3B)와, 메인 스텝부(3B)보다도 후방측에서, 또한 기립 상승부(3D)를 사이에 두고 메인 스텝부(3B)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된 리어 스텝부(3C)를 구비하고, 기립 상승부(3D)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L5)으로, 운전부 스텝(3)이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분할 스텝 부재(31R, 30)의 조합으로 구성된 운전부 스텝을 구비하고, 상면측이 동일 평면 상, 또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태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31R, 30)끼리의 접속 개소에, 상기 분할 스텝 부재(31R, 30)끼리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 또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태에서 상하에 중첩되는 접속부(1008)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수전 작업기 및 포장 작업기{PADDY FIELD WORKING MACHINE AND CULTIVATED FIEL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운전부 스텝에, 차체 하방을 전망 가능한 투시 바닥부가 설치된 수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 좌석 및 운전부 스텝을 구비한 승용형 포장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분할 스텝 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된 운전부 스텝을 구비한 포장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운전부 스텝을 구비하는 수전 작업기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이 수전 작업기에서는, 스텝 플로어를, 하방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없는 메인 스텝 플로어와, 하방으로 관통하는 공간부가 있는 격자상의 서브 스텝 플로어로 구성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이 운전 좌석 및 운전부 스텝을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포장 작업기에서는, 운전부 스텝을, 운전 좌석의 전방측 개소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선행 기술에서는 메인 스텝)와, 운전 좌석의 후방측 개소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선행 기술에서는 리어 스텝)와, 운전 좌석의 지지대 부분을 덮는 센터 커버를 구비하고, 각각이 개별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이 운전 좌석 및 운전부 스텝을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포장 작업기에서는, 운전부 스텝으로서, 운전 좌석의 전방측 개소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선행 기술에서는 메인 스텝)와, 운전 좌석의 후방측 개소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선행 기술에서는 리어 스텝)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메인 스텝부와 리어 스텝부는, 전후 방향 분할 라인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은 운전부 스텝을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이 포장 작업기에서는, 전방 스텝체와 후방 스텝체를, 그 전방 스텝체와 후방 스텝체 중 한쪽에 구비한 설치부와, 기체 고정부측에 구비한 스텝 지지부를 연결 볼트로 고정하고, 이것과는 별도로, 전방 스텝체와 후방 스텝체를 맞댐 상태에서 볼트 연결하고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28975호 공보(단락 [0019], [0020] 및 도 2, 도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08083호 공보(단락 [0050], [0051] 및 도 2, 도 7, 도 1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99467호 공보(단락 [0038], [0046] 및 도 6, 도 9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와 같이, 하방으로 관통하는 공간부가 있는 격자상의 서브 스텝 플로어를 사용한 구조에 의하면, 그 서브 스텝 플로어 상에서 구두에 붙은 진흙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기체 중앙부측으로의 진흙의 반입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리고, 격자상의 서브 스텝 플로어를 통해 차륜의 위치를 시인하는 것도 어느 정도 가능하므로, 이 점에서도 유리하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격자상의 서브 스텝 플로어가, 전후 방향에 따른 살 부재와, 좌우 방향에 따른 살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서브 스텝 플로어를 통해 전방 차륜의 방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경사진 횡측 전방을 보려고 하는 운전자의 시계를, 전후 방향에 따른 살 부재가 상당히 가로막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차륜의 방향을 간단하게는 시인하기 어렵고, 운전 좌석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크게 몸을 기울여서 들여다보는 것과 같은, 부적절한 자세에서의 작업이 부득이 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운전부 스텝 상으로부터의, 차륜의 방향이나 존재 위치를 시인하기 쉽게 한 수전 작업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조와 같이, 운전부 스텝을 복수개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운전부 스텝의 전체를 단일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취급하기 쉬워지고, 각 분할 단위마다 탈착하기 쉬워지지만, 다음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구조에서는, 메인 스텝부측에서는, 기초 스텝부와 확장 스텝부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리어 스텝부측에서는, 전후 방향에서도 좌우 방향에서도 분할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센터 커버는, 전체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 부분과 운전 좌석의 연결 구조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부 등을 구비하므로, 운전 좌석을 떼어내지 않으면 센터 커버의 탈착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운전 좌석 둘레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센터 커버의 탈착 조작뿐만 아니라, 운전 좌석의 탈착 조작을 수반할 필요가 있어, 작업의 번잡함을 수반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후방측의 리어 스텝부는 기체 좌우 방향의 전체 폭에 걸친 것이기 때문에,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시비 장치를 탑재하거나, 모 식부 장치를 연결한 경우에, 그 탈착 작업을 행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운전부 스텝을 복수개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각 분할 스텝 부재의 탈착 조작을 행하기 쉽고, 또한 손쉬운 조작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조와 같이, 운전부 스텝을 복수개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운전부 스텝의 전체를 단일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취급하기 쉬워지고, 각 분할 단위마다 탈착하기 쉬워지지만, 다음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구조에서는, 메인 스텝부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어 스텝부가 기립 기립 상승부와, 그 상부에 이어지는 상면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스텝부와 리어 스텝부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은, 리어 스텝부의 기립 기립 상승부의 하단과, 메인 스텝부의 후단부의 상면 사이에 있다.
이 때문에, 리어 스텝부의 기립 기립 상승부의 하단이 메인 스텝부의 후단부와는 분리되어, 단독으로는 충분한 보형 강도를 얻기 어렵고, 어떠한 보강 수단이나, 리어 스텝부의 구성 재료를 두껍게 하는 등의 강도면에서의 고안을 요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스텝부와 리어 스텝부를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간단한 구조로 기립 기립 상승부를 포함하는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구조와 같이, 설치부와 스텝 지지부를 볼트 연결하고, 전방 스텝체와 후방 스텝체를 맞댐 상태에서 볼트 연결하면 견고한 연결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스텝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측의 스텝체를 탈착하는 경우의 조작이 번잡하며, 또한 각 스텝체간에서의 상대 위치의 조절이 간단하게는 행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분할 스텝 부재간에서의 상대 위치의 조절 조작이 간단하며, 또한 분할 스텝 부재의 탈착 조작도 간편하게 행하기 쉽게 한 포장 작업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수전 작업기는,
운전부 스텝 상에 운전 좌석이 설치되고, 상기 운전부 스텝에, 차체 하방을 전망 가능한 투시 바닥부가 설치되고, 상기 투시 바닥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존재 위치, 또는 상기 운전 좌석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하방을 전망 가능한 투시 바닥부를 구성하는 투과 구멍군이, 운전 좌석의 존재 위치, 또는 운전 좌석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 따라서 투과 구멍군이 설치된 경우에 비해, 보다 눈으로 봄에 의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운전부 스텝 상에서 투시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과 구멍군의 배치 방향과, 운전자가 운전 좌석에 올라앉아 눈으로 보는 방향이 일치하거나 또는 거의 일치하는 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눈으로 보는 방향에 있어서, 운전부 스텝에서 투과 구멍이 존재하고 있는 부위 이외의 부위에 의해, 운전자의 시선을 가로막는 범위가 비교적 적어지고, 그 결과, 눈으로 봄에 의한 시인성을 높이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시 바닥부는, 좌우 방향에서 상기 운전 좌석보다도 횡외측 근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시 바닥부가, 좌우 방향에서 운전 좌석보다도 횡외측 근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횡외측 근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차륜 등의 눈으로 보는 것을 행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시 바닥부는,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상기 투과 구멍군의 배열 방향에 따른 방사 방향 살 부재와, 그 방사 방향 살 부재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의 조합에 의한 격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판상체로 구성하는 경우보다도 상하 두께 방향에서의 폭을 크게 하기 쉬운 격자상 부재를 채용하면서도, 그 격자를 구성하는 살 부재의 하나가 투과 구멍군의 배열 방향에 따른 방사 방향 살 부재이기 때문에, 적어도, 이 방사 방향 살 부재에 따라서는 운전자의 시선이 차단될 우려는 거의 없다. 그리고, 방사 방향 살 부재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는 운전자의 시선에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 교차 방향 살 부재가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운전자측에서 투시 바닥부를 통한 투시 가능한 영역이 좁아지게 되지만, 양쪽 살 부재에 의해 투시 가능 영역이 좁아지는 경우보다는 시인성이 좋은 상태를 확보하기 쉽다.
그리고, 격자상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투시 바닥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스텝은,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상기 운전 좌석의 횡측 옆을 포함하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와, 상기 메인 스텝부보다도 전방측의 기체 전단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스텝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텝부와, 상기 리어 스텝부와, 상기 프론트 스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텝부에, 상기 투시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투시 바닥부를 원하는 부위에 형성함으로써, 운전부 스텝의 임의의 각 스텝부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텝부에 설치되는 제1 투시 바닥부는, 상기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전방 차륜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제1 투시 바닥부를 통해 전방 차륜을 눈으로 보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텝부에 설치되는 제2 투시 바닥부는, 상기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후방 차륜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제2 투시 바닥부를 통해 후방 차륜을 눈으로 보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스텝부에 설치되는 제3 투시 바닥부는, 상기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상기 프론트 스텝부 하방의 기체 전방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제3 투시 바닥부를 통해 프론트 스텝부 하방의 기체 전방을 눈으로 보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시 바닥부의 각 투과 구멍은, 상기 방사 방향에 있어서의 구멍 폭이, 그 방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구멍 폭보다도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투시 바닥부의 각 투과 구멍은, 시선의 방향에 따른 방사 방향의 구멍 폭이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시선을 차단하는 부분이 적어져, 더욱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작업기는, 운전 좌석이 운전부 스텝 상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부 스텝이,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텝부와 상기 리어 스텝부가, 각각 분할 라인에서 복수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 스텝을 구성하는 곳의, 운전 좌석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운전 좌석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의 각각이, 분할 라인에서 복수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점검 대상 부품이 많은 운전 좌석 주변을, 운전부 스텝의 전체가 아니라, 운전부 스텝의 일부를 탈착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은, 상기 메인 스텝부 및 상기 리어 스텝부를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는 좌우 분할 라인이며, 평면에서 보아 메인 스텝부측의 분할 라인과 리어 스텝부측의 분할 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 좌석보다도 전방측의 메인 스텝부 및 운전 좌석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가,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는 좌우 분할 라인에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점검 대상 부품이 많은 운전 좌석 주변에서, 운전 좌석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방측 또는 타방측 중, 어느 한쪽측만을 개방하여 점검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스텝부측의 분할 라인과 리어 스텝부측의 분할 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면, 운전 좌석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방측 또는 타방측 중, 어느 한쪽측에서 운전 좌석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걸친 범위를 개방하여, 전후에서 관계된 부품의 점검 등을 용이하게 행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은, 분할된 좌우의 상기 메인 스텝부, 또는 좌우의 상기 리어 스텝부가, 좌우 비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좌우의 메인 스텝부, 또는 좌우의 리어 스텝부가, 좌우 비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분할되므로, 운전부 스텝의 하방에서 점검 대상이 되는 부품의 존재 위치 등에 따라서, 좌우의 메인 스텝부 또는 좌우의 리어 스텝부를 선택하여 탈착하고, 점검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 중, 상기 메인 스텝부측에 형성된 좌우 분할 라인과, 상기 리어 스텝부측에 형성된 좌우 분할 라인은, 좌우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좌우의 메인 스텝부, 또는 좌우의 리어 스텝부가, 좌우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좌우 분할 라인에서 분할되므로, 운전부 스텝의 하방에서 점검 대상이 되는 부품의 존재 위치 등에 따라서 메인 스텝부 및 리어 스텝부가 분할되어, 효율적으로 점검하기 쉬운 스텝 부분을 선택하여 탈착함으로써, 점검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스텝에, 그 운전부 스텝을 관통하는 부품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라인이 상기 관통 구멍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운전부 스텝을 관통하는 부품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분할 라인 상에 형성함으로써, 그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부품의 탈착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유용하다.
또한, 분할 라인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하는 관통 구멍의 수를 삭감할 수 있고, 운전부 스텝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용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에서 분할된 상기 운전부 스텝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운전부 스텝과, 타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운전부 스텝의 대향 단부 에지 중, 한쪽의 대향 단부 에지가 직선적으로 형성된 직선상의 대향 단부 에지이며, 다른 쪽의 대향 단부 에지가, 상기 한쪽의 대향 단부 에지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부분적으로 요입되는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이며, 상기 직선상의 대향 단부 에지와 상기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에 의해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운전부 스텝의 분할된 스텝 부분 중, 대향 단부 에지의 한쪽은 직선이며, 다른 쪽이 상기 대향 단부 에지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부분적으로 요입되는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이기 때문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은 일방측의 스텝 부분의 대향 단부만으로 충분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분할 라인에 따른 방향의 구멍 직경이 상기 분할 라인에 교차하는 방향의 구멍 직경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에, 조작 방향이 상기 분할 라인에 따른 방향의 조작구가 삽입 관통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관통 구멍이 분할 라인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할된 운전부 스텝의 스텝 부분을 탈착할 때에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조작구의 탈착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관통 구멍은 긴 직경 방향이 분할 라인을 따르고, 조작구의 조작 방향도 분할 라인을 따르고 있으므로, 조작 스트로크가 큰 조작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관통 구멍 자체가 크기에 비해 그다지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텝부에, 상기 분할 라인에 걸치어, 그 분할 라인의 양측에 이르는 덮개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분할 라인을 설치하면서도, 덮개 부재가 분할 라인에 걸치어 가려지게 되므로, 메인 스텝부에 있어서의 분할 라인을 그다지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작업기는, 운전 좌석이 운전부 스텝 상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부 스텝이,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상기 메인 스텝부보다도 후방측에서, 또한 기립 기립 상승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스텝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된 리어 스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 기립 상승부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에서, 상기 운전부 스텝이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 스텝이, 기립 기립 상승부에서 전후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후 방향 분할 라인에서 분할되면, 기립 기립 상승부에서는, 그 하단측에 메인 스텝부의 상면에 따른 평탄부가 존재하고, 상단측에는, 리어 스텝부의 상면에 따른 평탄부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분할된다.
따라서, 기립 기립 상승부를 포함하는 분할 스텝 부재는, 기립 기립 상승부의 하단측에서도 상단측에서도 기립 기립 상승부에 이어지는 평탄부가 존재함으로써, 3면이 연속되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되고, 단순한 기립 기립 상승부와 하단측 또는 상단측의 평탄부의 2면으로 구성되는 구조에 비해, 보다 강도가 큰 구조를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분할 라인은 상기 기립 기립 상승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부 스텝이, 기립 기립 상승부보다도 전방측으로 벗어난 위치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후 방향 분할 라인에서 분할되면, 기립 기립 상승부에서는, 그 하단측에 메인 스텝부의 상면에 따른 평탄부가 존재하고, 상단측에는, 리어 스텝부의 상면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분할된다.
따라서, 기립 기립 상승부를 포함하는 분할 스텝 부재는, 기립 기립 상승부의 하단측에서도 상단측에서도 기립 상승부에 이어지는 평탄부가 존재하고, 3면이 연속되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되고, 단순한 기립 상승부와 리어 스텝부의 2면으로 구성되는 구조에 비해, 보다 강도가 큰 구조를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텝부에, 상기 전후 방향 분할 라인과는 다른 전후 방향 분할 라인이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기립 상승부를 사이에 두는 위치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과는 다른 전후 방향 분할 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별도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에서 분할 가능한 분할 스텝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에서 리어 스텝부의 전후 방향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리어 스텝부의 후단부측에 시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리어 스텝부의 전후 방향 폭을 짧게 하고, 시비 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어 스텝부의 전후 방향 폭을 길게 하여, 모 식부 장치측으로의 예비 모의 보급을 행하기 쉽게 하거나 하는 각종 사용 형태를 현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텝부에, 상기 기립 상승부를 포함하여 상기 리어 스텝부를 좌우로 분할 가능한 좌우 분할 라인이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리어 스텝부를 좌우로 분할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어 스텝부의 탈착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때, 리어 스텝부에는 기립 상승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할된 좌우의 리어 스텝부 각각의 강도도 비교적 높게 유지하여 취급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텝부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상기 운전 좌석이, 기체 프레임측에 설치된 시트 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리어 스텝부에, 평면에서 보아 상기 시트 고정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는 상방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립 상승부에,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기 시트 고정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는 전방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방 절결부와 상기 전방 절결부가, 상기 리어 스텝부를 좌우로 분할 가능한 좌우 분할 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리어 스텝부에, 평면에서 보아 시트 고정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는 상방 절결부와,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기 시트 고정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는 전방 절결부가 설치되고, 이들의 상방 절결부와 전방 절결부가, 리어 스텝부를 좌우로 분할 가능한 좌우 분할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우로 분할 가능한 리어 스텝부를,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으로 운전 좌석 아래의 시트 고정부 둘레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가 일체의 리어 스텝부를 운전 좌석의 상방측으로부터 장착하는 구조의 것에 비해, 상방 절결부를 운전 좌석의 시트면 크기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는 없어, 콤팩트한 구조로서, 운전 좌석의 하측에 숨겨지도록 구성하기 쉽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작업기는, 복수개의 분할 스텝 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된 운전부 스텝을 구비하고, 상면측이 동일 평면 상, 또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태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접속 개소에,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 또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태에서 상하에 중첩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접속 개소에,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 또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태에서 상하에 중첩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분할 가능하며 취급하기 쉬운 것이면서,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경계선이 두드러지지 않아 미관이 양호한 운전부 스텝을 얻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서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가 중첩되는 상태로 유지된 채로,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접속 개소에 구비한 접속부에서는, 그 접속부가 중첩되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접속 개소에 있어서의 경계선이 두드러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접하는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상대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작 오차의 영향 등이 적은 상태에서의 조립을 행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서는,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원근 이동으로, 상기 접속부에 있어서의 겹침값을 증감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접속 개소에 구비한 접속부에서는,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원근 이동으로, 접속부에 있어서의 겹침값을 증감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접속 개소에 있어서의 경계선이 두드러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접하는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원근 방향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작 오차의 영향 등이 적은 상태에서의 조립을 행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 중 한쪽의 상기 분할 스텝 부재의 상기 접속부에, 상기 운전부 스텝의 상면측 부근에 위치하는 상편(上片)부가 구비되고, 다른 쪽의 상기 분할 스텝 부재의 상기 접속부에, 상기 상편부의 하측에 겹치는 하편(下片)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편부는, 상기 하편부를 구비한 상기 분할 스텝 부재로 덮이는 개소보다도, 점검 대상 부품이 많은 개소, 또는 점검 빈도가 많은 개소를 덮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점검 대상 부품이 많은 개소, 또는 점검 빈도가 많은 개소를 덮는 분할 스텝 부재에 상편부가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상편부를 구비한 측의 분할 스텝 부재를 탈착할 때, 하편부를 구비한 측의 분할 스텝 부재까지도 탈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분할 스텝 부재의 탈착 작업을 포함한, 점검 대상 부품이 많은 개소, 또는 점검 빈도가 많은 개소의 점검 작업을 간편하게 행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스텝은,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그 메인 스텝부보다도 전방측의 기체 전단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스텝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텝부의 상기 접속부에 상기 상편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스텝부에 상기 하편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스텝부로 덮이는 범위의 하방에 배치되는 부품 개수보다도 부품 개수가 많고, 점검 빈도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메인 스텝부에 접속부의 상편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프론트 스텝부의 탈착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메인 스텝부의 탈착 조작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어,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기 쉽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운전부 스텝과 차륜 및 다른 장치의 상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블로워와 가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블로워와 가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운전부 스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운전부 스텝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있어서의 VIII-VIII선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블로워와 가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운전부 스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투시 바닥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체 전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승용형 이앙기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승용형 이앙기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운전부 스텝과 차륜 및 다른 장치의 상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블로워와 가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블로워와 가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운전부 스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운전부 스텝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5에 있어서의 VIII-VIII선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프론트 스텝부와 메인 스텝부 사이에 있어서의 접속 개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있어서의 X-X선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있어서의 X-X선에서의 단면 개소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일례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 작업기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방 dF」이며,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방 dB」이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측 방향 dR」이며,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측 방향 dL」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작업기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방 dF」이며,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방 dB」이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측 방향 dR」이며,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측 방향 dL」이다.
[수전 작업기의 전체 구성] / [포장 작업기의 전체 구성]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이, 도 2에 그 평면이 각각 나타나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주행 기체(1)의 후방에 모 식부 장치(2)를 장비하여 모 식부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이, 도 2에 그 평면이 각각 나타나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주행 기체(1)의 후방에 모 식부 장치(2)를 장비하여 모 식부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1)는, 좌우 한 쌍의 차체 전후 방향의 메인 프레임(10A, 10A)을 갖는 차체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차체 프레임(10)의 하부에 장비된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11F, 11F) 및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11R, 11R)에 의해 자주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 전방 차륜(11F) 및 후방 차륜(11R)에 구동력을 출력하는 엔진(12) 및 미션 케이스(13)가 장비된 원동부(A)를 설치하고 있다. 주행 기체(1)의 후방부측에는 운전 좌석(15)을 갖는 탑승형 운전부(B)를 설치하고 있다.
운전부(B)에서는, 탑승용 운전부 스텝(3)이 차체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운전부 스텝(3) 상에 운전 좌석(15)이 배치되고, 이 운전 좌석(15)에 올라앉은 상태에서, 원동부(A)의 후방부에 배치된 스티어링 휠(14)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운전부(B)의 전방부에서 원동부(A)의 좌우 양쪽 횡외측에 상당하는 주행 기체(1)의 횡측방 개소에는, 운전부 스텝(3)의 전방부를 사이에 두고 예비 모를 탑재하기 위한 예비 모 적재대(16)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B)의 후방부에서 운전 좌석(15)의 후방측에, 8조용 시비 장치(4)가 설치되고, 승용형 이앙기가 미드 마운트 시비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 식부 장치]
모 식부 장치(2)는 차체 프레임(10)의 후방부에 대하여 링크 기구(17)를 통해 승강 작동 가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모 식부 장치(2)에서는, 8조분의 매트상 모를 탑재 가능한 8조 식부용 모 적재대(20), 엔진(12)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축(2a)을 통해 입력되는 피드 케이스(21) 및 차체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띄워 나열되는 4개의 식부 구동 케이스(22)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식부 구동 케이스(22) 각각에는, 후단부측의 양쪽 횡측부에 모 식부 기구(23)가 구동 자유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각 식부 구동 케이스(22)를 접속하는 식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하부에, 4개의 정지 플로트(24)가 차체 횡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장비되어 있다.
각 모 식부 기구(23)는, 피드 케이스(21)로부터 식부 구동 케이스(22)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회전 축심 주위에서 180도 위상하는 위치의 2개의 식부 갈고리(23a)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주지된 구조의 것이다. 각각의 식부 갈고리(23a)는, 그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긴 회동 궤적을 그리도록 구동되고, 2개의 식부 갈고리(23a)에 의해 교대로, 모 적재대(20)의 하단부로부터 식부 모를 취출하고, 정지 플로트(24)에 의한 정지가 행해진 이토층에 심는 모 식부 운동을 행한다.
이 모 식부 장치(2)는, 링크 기구(17)가 승강 실린더(18)에 의해 차체 프레임(10)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정지 플로트(24)가 포장의 이토면에 접지된 하강 작업 상태와, 정지 플로트(24)가 포장의 이토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된다.
[시비 장치]
시비 장치(4)는, 운전 좌석(15)의 배면부측에 배치된 분립상의 비료를 저류하는 시비 탱크(40)와, 그 하방측에 배치되는 조출부(41)와, 조출된 비료를 모 식부 장치(2)에 구비한 작구기(25)를 향해 반송하는 시비 호스(42)를 구비하고 있다. 시비 호스(42)는 연질 수지제 등의 가요관으로 구성되고, 모 식부 장치(2)의 승강 동작에 따라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비 장치(4)는 시비 지지 프레임(43)(지지 부재에 상당함)을 통해 차체 프레임(10)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즉, 차체 프레임(10)측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에 따른 메인 프레임(10A, 10A)의 후방부 상면에, 그 메인 프레임(10A, 10A)에 따른 후방부 종프레임(10B, 10B)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후방부 종프레임(10B)의 상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횡프레임재가 연장 설치되고, 이 횡프레임재에 의해 시비 지지 프레임(43)이 구성되어 있다.
[블로워]
시비 장치(4)의 조출부(41)로부터 조출된 비료를, 시비 호스(42)로 풍력 반송하기 위한 반송풍의 공급 수단으로서, 시비용 블로워(5)가 시비 장치(4)의 좌측 횡측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블로워(5)는, 블로워 케이스(50) 내에, 상하 방향의 회전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송풍팬(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내장된 송풍팬은, 회전 축심에 따른 하방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접선 방향으로 배출하는 터보형 또는 시로코형 원심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51)가, 송풍팬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블로워 케이스(50)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블로워 케이스(50)의 하부측에서 송풍팬의 회전 중심부에 상당하는 개소에, 흡기용 배관(52)이 접속되어 있다. 블로워 케이스(50)의 외주부에는, 송풍팬의 회전 궤적에 대한 접선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시비 장치(4)를 향해 반송풍을 공급하는 급기 덕트(53)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흡기용 배관(52)으로부터 도입된 기체가, 블로워 케이스(50)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배기되고, 시비 장치(4)의 급기 덕트(53)에 반송풍으로서 송입된다. 조출부(41)로부터 조출된 비료가 급기 덕트(53) 내에서 반송풍으로 혼입되고, 시비 호스(42)를 거쳐서 시비 대상 개소의 작구기(25)에 풍력 반송된다.
도 1 및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5)는, 블로워 케이스(50) 중, 송풍팬을 내장하는 대경부(50a)가 운전부 스텝(3)의 후단부의 상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운전부 스텝(3)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블로워 케이스(50)의 하측에 접속되는 흡기용 배관(52)이, 운전부 스텝(3)보다도 하방측에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 배관(5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부측이 원동부(A) 부근에까지 연장 설치되고, 엔진(12)의 폐열로 가열된, 고온이면서 건조한 기체를 도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용 배관(52)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부 스텝(3)의 최외측 에지보다도 좌우 방향에서의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용 배관(52)은, 블로워 케이스(50)에의 접속 개소 근처에서는 단면 원형의 둥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전체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52)의 형상은, 블로워 케이스(50)에의 접속 개소보다도 전방측으로의 연장 개소에서, 운전부 스텝(3)의 하측에 상당하는 개소에서는, 상하 방향 직경보다도 좌우 방향 직경이 넓은 편평 형상이 되도록, 단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흡기 경로로서의 배관(52)의 단면적은 소정 이상의 단면적을 확보하면서, 기체 하복부의 차고를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제로는 통로 저항 등을 고려하여, 타원 형상 부분의 단면적을 원형 부분의 단면적보다도 조금 넓게 설정하고 있다.
[가드 부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워(5)의 전방측에는 가드 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드 부재(6)는 금속제 둥근 파이프재로 구성되고, 기체 내측의 일단부가, 시비 장치(4)를 지지하고 있는 시비 지지 프레임(43)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외측의 타단부가, 운전부 스텝(3)의 횡외측 에지보다도 외측을 통해, 운전부 스텝(3)의 하측에 존재하는 차체 프레임(10)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가드 부재(6) 중, 블로워 케이스(50)의 직전방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에 따른 횡간(橫杆)부(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워 케이스(50)의 외주연보다도 조금 전방측에서, 블로워 케이스(50)의 대경부(50a)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고, 블로워 케이스(50)에 대한 발의 접촉을 규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횡간부(60)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에 따른 종간부(61)는, 운전부 스텝(3)의 상면보다도 조금 높은 위치에서, 운전부 스텝(3)의 횡외측 에지를 따라서, 운전부 스텝(3)의 횡외측 에지와 동일하거나, 또는 조금 횡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종간부(61)가, 운전부 스텝(3)에 걸쳐진 발이, 운전부 스텝(3)의 횡외측 에지보다도 횡외측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상기 가드 부재(6)는, 블로워(5)가 설치된 측의 기체 횡측 일측부에 설치된 것이지만, 이것과는 별도로, 블로워(5)가 설치되지 않은 측의 기체 횡측 타측부에도, 제2 가드 부재(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가드 부재(62)도, 가드 부재(6)와 동일하게, 일단부가 시비 장치(4)를 지지하고 있는 시비 지지 프레임(43)에 볼트 연결되고, 타단부가, 운전부 스텝(3)의 횡외측 에지보다도 외측을 통해, 운전부 스텝(3)의 하측에 존재하는 차체 프레임(10)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가드 부재(62)도, 가드 부재(6)와 동일하게, 좌우 방향에 따른 횡간부(63a)와, 그 횡간부(63a)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에 따른 종간부(63b)를 구비하고, 블로워(5)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서도, 운전부 스텝(3)에 걸쳐진 발이, 운전부 스텝(3)의 횡외측 에지보다도 횡외측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도 3 참조).
[운전 스텝]
운전부(B)에 설치된 운전부 스텝(3)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 스텝(3)은 합성 수지제 재료를 인젝션 성형에 의해 가공한 것이며, 블로우 성형에 의한 가공품에 비해, 형상이나 구조에 관한 설계 상의 자유도가 높고, 또한 고정밀도로 성형하기 쉬운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로운 형상이나 구조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 스텝(3)은, 기체 전단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스텝부(3A)와,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5)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3B)와, 운전 좌석(15)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3C)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면을 구비하고 있지만, 리어 스텝부(3C)는, 프론트 스텝부(3A) 및 메인 스텝부(3B)의 상면보다도 한층 높은 위치에 상면을 구비하고 있다.
즉, 리어 스텝부(3C)의 상면은, 시비 탱크(40)에 비료를 보급할 때에 운전자가 탑승하거나, 예비 모 적재대(16)로부터 취출한 매트상 모를 모 식부 장치(2)의 모 적재대(20)에 보급할 때에 운전자가 발을 걸거나 하기 위해서, 프론트 스텝부(3A) 및 메인 스텝부(3B)의 상면보다도 높게 하고 있다.
프론트 스텝부(3A)는, 원동부(A)의 엔진 보닛(19)이 존재하는 개소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엔진 보닛(19)으로 덮이는 엔진룸에 상당하는 영역이 절결되어, 엔진 보닛(19)의 전방측과 좌우 양측에, 탑승 가능한 상면이 존재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후방측이 개방된 U자상 스텝판(30)에 의해 프론트 스텝부(3A)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스텝부(3A)는, 원동부(A)의 엔진 보닛(19)이 존재하는 개소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엔진 보닛(19)으로 덮이는 엔진룸에 상당하는 영역이 절결되어, 엔진 보닛(19)의 전방측과 좌우 양측에, 탑승 가능한 상면이 존재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후방측이 개방된 U자상 스텝판(30)(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에 의해 프론트 스텝부(3A)가 구성되어 있다.
메인 스텝부(3B)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5)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우측 메인 스텝판(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31L), 그것들의 우측 메인 스텝판(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31L)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는 우측 메인 확장판(33R)과, 좌측 메인 확장판(33L)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후술하는 우측 리어 스텝판(32R) 및 좌측 리어 스텝판(32L) 중, 기립 상승부(3D)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판 부분(32a)의 상면을, 메인 스텝부(3B)의 일부로서 포함하고 있다.
또한, 메인 스텝부(3B)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5)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우측 메인 스텝판(31R)(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과, 좌측 메인 스텝판(31L)(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 그것들의 우측 메인 스텝판(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31L)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는 우측 메인 확장판(33R)과, 좌측 메인 확장판(33L)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후술하는 우측 리어 스텝판(32R)(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 및 좌측 리어 스텝판(32L)(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 중, 기립 상승부(3D)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판 부분(32a)의 상면을, 메인 스텝부(3B)의 일부로서 포함하고 있다.
우측 메인 확장판(33R)과 좌측 메인 확장판(33L)은, 각각 우측 메인 스텝판(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31L)과는 별도로, 차체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우측 메인 스텝판(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31L)과는 별도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메인 확장판(33R) 및 좌측 메인 확장판(33L)의 횡외측 위치에, 횡측방으로부터 운전부 스텝(3)에 오르고 내리기 위한 승강용 스텝(64)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 메인 스텝판(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31L)은, 주행 기체(1)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CL)에 합치하는 좌우 분할 라인(L1)(분할 라인에 상당함)에서, 메인 스텝부(3B)를 좌우로 2 분할하는 위치에서 분할되고, 개별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좌우 분할 라인(L1)은, 주행 기체(1)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설치된 관통 구멍(3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31a)은, 미션 케이스(13)의 상방에 기립 설치된 조작구(13a)의 파지부를 운전부 스텝(3) 상에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31a)이다. 이와 같이, 좌우 분할 라인(L1)이 관통 구멍(3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조작구(13a) 등의 관통 부품의 탈착 작업 등을 요하지 않고, 우측 메인 스텝판(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31L)을 탈착할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메인 스텝판(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31L)에 걸쳐 플로어 매트(35)(덮개 부재에 상당함)를 부설하고 있다. 플로어 매트(35)는, 메인 스텝부(3B)의 중앙에 위치하는 좌우 분할 라인(L1)의 거의 전체를 덮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고, 좌우 방향에서는, 메인 스텝부(3B)에 설치된 후술하는 좌우의 투시 바닥부(7)끼리의 간격 폭 정도의 좌우 방향 길이를 갖고 있다.
이 플로어 매트(35)에도, 좌우 분할 라인(L1)에 연결되는 관통 구멍(31a)의 존재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동일 형상의 관통 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 스텝부(3C)는, 메인 스텝부(3B)보다도 후방측에서, 또한 기립 상승부(3D)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스텝부(3B)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리어 스텝부(3C)는,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과, 그것들의 우측 리어 스텝판(32R) 및 좌측 리어 스텝판(32L)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는 우측 리어 확장판(34R)과, 좌측 리어 확장판(34L)을 구비하고 있다.
우측 리어 스텝판(32R) 및 좌측 리어 스텝판(32L)은, 각각, 기립 상승부(3D)를 구성하는 기립 상승판 부분(32b)과, 그 기립 상승판 부분(32b)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판 부분(32a)과, 기립 상승판 부분(32b)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판 부분(32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후방판 부분(32c, 32c)과, 그것들의 횡외측에 위치하는 우측 리어 확장판(34R) 및 좌측 리어 확장판(34L)이, 메인 스텝부(3B)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3C)를 구성하고 있다.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의 대향 부위에는, 운전 좌석(15)의 하면측을, 후방부 종프레임(10B)의 상부에 구비한 시트 고정부(65)(도 8 참조)에 지지시키기 위한 설치용 개구(3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설치용 개구(36)는, 평면에서 보아 시트 고정부(65)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도록 후방판 부분(32c)에 설치된 상방 절결부(36a)와, 전후 방향에서 보아 시트 고정부(65)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도록 기립 상승판 부분(32b)에 설치된 전방 절결부(36b)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설치용 개구(36)는, 평면에서 보아, 운전 좌석(15)의 좌부의 전후 좌우의 폭보다도 작은 전후 좌우의 폭을 가지며, 또한 시트 고정부(65)의 좌우 방향 폭 및 전후 방향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그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의 상기 설치용 개구(36)에 가까운 부위는, 운전 좌석(15)의 좌부의 하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되어, 운전 좌석(15)의 좌부가 설치용 개구(36)의 덮개 부재로서의 역할도 한다.
이렇게 설치용 개구(36)의 개구 면적을 운전 좌석(15)의 좌부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리어 스텝부(3C)의 전체가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으로 분할되어, 그 대향 단부 에지 부분에 설치용 개구(36)가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어 스텝부(3C)에는, 운전 좌석(15)의 전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큰 면적의 탈착용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 큰 탈착용 개구와 운전 좌석(15) 사이를 폐색하는 센터 커버에 상당하는 별도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설치용 개구(36)는, 전단부측이 전술한 우측 메인 스텝판(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31L)의 좌우 분할 라인(L1)에 이어지게, 기립 상승판 부분(32b)에 설치된 종 방향 분할 라인(L2)(분할 라인에 상당함)에 연결되고, 후단부측이, 후방판 부분(32c)에 형성된 별도의 좌우 분할 라인(L3)(분할 라인에 상당함)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판 부분(32c)에 형성된 별도의 좌우 분할 라인(L3)은, 주행 기체(1)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CL)으로부터 좌측으로 조금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별도의 좌우 분할 라인(L3)은, 우측 메인 스텝판(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31L)의 좌우 분할 라인(L1)이나, 종 방향 분할 라인(L2)과는, 동일 직선상으로는 나열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은, 전단부측의 종 방향 분할 라인(L2)이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기체 중심부에서 분할되어 있지만, 별도의 좌우 분할 라인(L3)이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좌우 대칭이 아니라, 좌우 비대칭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시트 고정부(65)의 주변에서 고정되는 부재나 형상이 반드시 좌우 대칭으로는 배치되지 않은 개소에서,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의 한쪽을 좌우 방향에서 탈착할 때, 운전 좌석(15)이나, 다른 쪽의 우측 리어 스텝판(32R) 또는 좌측 리어 스텝판(32L)을 탈착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종 방향 분할 라인(L2)이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의 대향 단부 에지 중, 일방측의 대향 단부 에지,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의 대향 단부 에지가 직선상의 대향 단부 에지(37a)이며, 다른 쪽의 대향 단부 에지, 즉, 좌측의 대향 단부 에지가 상기 한쪽의 대향 단부 에지(37a)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부분적으로 요입되는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37b)이다.
이 직선상의 대향 단부 에지(37a)와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37b)에 의해, 운전부 스텝(3)을 관통하는 コ자상의 관통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コ자상의 관통 구멍(37)은, 종 방향 분할 라인(L2)에 따른 방향의 구멍 직경이, 그 종 방향 분할 라인(L2)에 교차하는 방향의 구멍 직경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コ자상의 관통 구멍(37)에는, 예를 들어 유압 레버 등의 요동 조작구(66)가 삽입 관통되어, 요동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 방향 분할 라인(L2)을 포함하여 형성된 コ자상 관통 구멍(37)은, 우측 리어 스텝판(32R) 또는 좌측 리어 스텝판(32L)을 탈착할 때, 요동 조작구(66)를 탈착할 필요없이 탈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조작에 필요한 개구 길이를 길게 설정해도, 종 방향 분할 라인(L2) 상에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크기에 비해 그다지 눈에 띄지 않고, 또한 구조적으로 큰 변경도 필요없다.
좌우 분할 라인(L1, L2, L3)과는 별도로,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의 경계 부분에서, U자상 스텝판(30)과, 우측 메인 스텝판(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31L)이, 전후 방향 분할 라인(L4)(분할 라인에 상당함)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에 있어서도, 기립 상승부(3D)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L5)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립 상승부(3D)보다도 전방측에서, 우측 메인 스텝판(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31L)과,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이, 전후 방향 분할 라인(L5)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스텝부(3A)에 있어서의 U자상 스텝판(30)과, 메인 스텝부(3B)에 있어서의 우측 메인 스텝판(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31L)과, 리어 스텝부(3C)에 있어서의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의 각각은, 스텝 고정부(38)에서 차체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스텝 고정부(38)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분할 라인(L4, L5), 또는 좌우 분할 라인(L1, L3)에 근접한 개소 및 외주연 근처에 비교적 많이 설치되어 있다.
리어 스텝부(3C)에 있어서의 우측 리어 스텝판(32R)에는, 그 후방판 부분(32c)에서 운전 좌석(15)의 주변에 상당하는 개소에, 공구함(67)을 장착 가능한 개구(39a)와, 컵함(68)을 장착 가능한 개구(39b)가 형성되어 있다.
[투시 바닥부]
운전부 스텝(3)에는, 주행 기체(1)의 하방을 전망 가능한 투시 바닥부(7)가 설치되어 있다.
투시 바닥부(7)는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의 각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투시 바닥부(7)는 좌우 방향에서 운전 좌석(15)보다도 횡외측 근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메인 스텝부(3B)에 설치되는 제1 투시 바닥부(7)는, 운전 좌석(15)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전방 차륜(11F)의 방향 등을 시인하기 쉬운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리어 스텝부(3C)에 설치되는 제2 투시 바닥부(7)는, 운전 좌석(15)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후방을 되돌아봐서 후방 차륜(11R)의 방향 등을 시인하기 쉬운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스텝부(3A)에 설치되는 제3 투시 바닥부(7)는, 운전 좌석(15)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프론트 스텝부(3A) 하방의 기체 전방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이앙기 등으로 개자리 선회할 때, 두렁가까지 진행하고 나서 후퇴하고, 선회하지만, 그 때에 제3 투시 바닥부(7)를 통해 기체와 두렁의 접근 정도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투시 바닥부(7)는, 운전 좌석(15)의 좌부 중심, 또는 운전 좌석(15)의 존재 위치, 혹은 운전 좌석(15)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70)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방사 방향의 기점은,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올라앉은 자세인 그대로 눈으로 보는 상태의 운전자의 시선의 위치가 기준이지만, 어느 정도의 개인차도 있기 때문에, 운전 좌석(15)이 존재하는 범위라면 지장없다. 또한, 어느 정도는 운전 좌석(15)이 존재하는 범위보다도 외측의 운전 좌석(15) 부근에서, 신체를 기울이거나 올려 세우거나 하여 들여다볼 수 있는 범위이면 된다.
투시 바닥부(7)는,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70)군의 배열 방향에 따른 방사 방향 살 부재(71)와, 그 방사 방향 살 부재(71)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72)의 조합에 의한 격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메인 스텝부(3B) 및 리어 스텝부(3C)에 설치되는 교차 방향 살 부재(72)는, 거의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전방 차륜(11F) 및 후방 차륜(11R)이 직진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지표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투시 바닥부(7)가, 운전 좌석(15)의 좌부 중심, 또는 운전 좌석(15)의 존재 위치, 혹은 운전 좌석(15)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70)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운전 좌석(15)의 좌부 중심, 또는 운전 좌석(15)의 존재 위치, 혹은 운전 좌석(15)의 부근 위치로부터 눈으로 보는 운전자에 의한, 투시 바닥부(7)를 통해 눈으로 보기 가능한 영역의 면적을 최대한 확장할 수 있어,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투시 바닥부(7)의 투과 구멍(70)군을 구성하는 방사 방향 살 부재(71)와 교차 방향 살 부재(72) 중, 인접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72)끼리의 간격은, 인접하는 방사 방향 살 부재(71)끼리의 간격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인접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72)끼리의 간격이 넓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반대로 인접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72)끼리의 간격이, 인접하는 방사 방향 살 부재(71)끼리의 간격보다도 좁거나, 또는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운전 좌석(15)에 올라앉아 투시 바닥부(7)를 눈으로 보는 운전자의 눈으로 보기 가능한 영역의 면적을 좁힐 우려가 적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의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드 부재(6)의 기체 내측의 일단부가, 시비 장치(4)를 지지하고 있는 시비 지지 프레임(43)에 볼트 연결되고, 타단부가 운전부 스텝(3)의 하측에 존재하는 차체 프레임(10)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 스텝(3)의 횡측부에 난간(8)을 설치하고, 이 난간(8)에 가드 부재(6)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지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때, 가드 부재(6)의 기체 내측의 일단부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비 지지 프레임(43)에 지지시켜도 되고, 시비 지지 프레임(43)에 지지시키지 않고, 리어 스텝부(3C)의 하방에 위치하는 별도의 기체 고정부에 지지시켜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블로워(5)의 전방측에 가드 부재(6)를 단독으로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재(6)를 이용하여, 그 가드 부재(6)에 임시 배치대(69)를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이 임시 배치대(69)는, 시비 탱크(40)에 비료를 투입할 때, 비료 주머니를 일시적으로 임시 배치할 때에 유효하고, 운전부 스텝(3)으로서의 리어 스텝부(3C)의 상면과, 시비 탱크(40)의 비료 투입구의 중간부에 상당하는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시 배치대(69)는, 평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블로워(5)의 상측에 중복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블로워(5)의 상방측에 대한 보호 부재로서도 기능함으로써, 더욱 유효하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블로워(5)의 흡기측의 배관(52)이 리어 스텝부(3C)의 후단부보다도 후방 외측에 설치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52)이 리어 스텝부(3C)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배관(52)의 구부러짐이나 배치 거리를 얼마간은 적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유효하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기체의 후방에 시비 장치(4)를 구비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4)를 구비하지 않는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운전부 스텝(3)으로서는, 리어 스텝부(3C)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된다.
즉,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의 후방측에, 연장 스텝판(9)을 설치하여, 이 우측 리어 스텝판(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과, 연장 스텝판(9)에 의해 리어 스텝부(3C)를 구성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우측 리어 스텝판(32R) 및 좌측 리어 스텝판(32L)과, 연장 스텝판(9) 사이에, 별도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L6)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우측 리어 스텝판(32R) 및 좌측 리어 스텝판(32L)과는 별도로 연장 스텝판(9)을 탈착할 수 있고, 연장 스텝판(9)과는 별도로 우측 리어 스텝판(32R) 또는 좌측 리어 스텝판(32L)을 탈착할 수 있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확장판(33R, 33L, 34R, 34L)을 제외하고 생각하면, 운전부 스텝(3)으로서, 좌우 분할 라인(L1, L2, L3)과, 전후 방향 분할 라인(L4, L5)을 사용하여, 5 분할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스텝부(3A)의 U자상 스텝판(30)도 좌우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우측 메인 스텝판(31R)과 우측 리어 스텝판(32R)을 일체화하고, 좌측 메인 스텝판(31L)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을 일체화하여, 우측 메인 스텝판(31R)과 우측 리어 스텝판(32R), 또는 좌측 메인 스텝판(31L)과 좌측 리어 스텝판(32L)을 일체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5 분할에 한정되지 않고 2 분할 이상의 적당한 복수개로 분할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6 분할 이상의, 보다 많은 분할이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부 스텝(3)으로서, 분할 가능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분할 불능한 일체 구조의 운전부 스텝(3)을 채용한 것이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시 바닥부(7)를,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의 각각에 대하여 각 좌우 양측에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스텝부(3A)만, 메인 스텝부(3B)만, 또는 리어 스텝부(3C)만 설치한 구조의 것, 또는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만,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만, 또는 프론트 스텝부(3A)와 리어 스텝부(3C)만에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시 바닥부(7)를 방사 방향 살 부재(71)와, 그 방사 방향 살 부재(71)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72)의 조합에 의한 격자상 부재에 의해 구성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격자상 부재를 채용하지 않고, 운전부 스텝(3)에 다수의 투과 구멍(70)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시 바닥부(7)를 설치한 부위에서는, 모든 투시 바닥부(7)가, 운전 좌석(15)의 존재 위치, 또는 운전 좌석(15)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70)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의 투시 바닥부(7)를 방사상으로가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투과 구멍(70)군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장공 형상의 투과 구멍(70)군을 리어 스텝부(3C)의 좌측 리어 스텝판(32L)에 설치한 구조를 나타냈지만, 우측 리어 스텝판(32R)에도 동일한 투시 바닥부(7)를 설치해도 된다.
특히, 이 리어 스텝부(3C)에 있어서는, 투시 바닥부(7)와 운전 좌석(15)의 전후 방향 위치가 상당히 가까우므로, 이러한 좌우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투과 구멍(70)군이어도, 비교적 용이하게 후방 차륜(11R)의 상황을 시인하기 쉽다.
또한, 프론트 스텝부(3A)에서는, 투시 바닥부(7)와 운전 좌석(15)의 전후 방향 위치는 멀리 이격된다. 이 때, 운전 좌석(15)에 올라앉아 직진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시선의 방향은, 주행 기체(1)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CL)에 대략 따른 직전방이다. 그리고, 운전 좌석(15)의 위치와 프론트 스텝부(3A)에 있어서의 투시 바닥부(7)의 존재 개소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과, 상기 중심선(CL)이 이루는 각도는 비교적 작고, 직진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시선의 방향으로부터 그다지 크게 어긋나 있지는 않다.
따라서, 이 프론트 스텝부(3A)에 있어서, 주행 기체(1)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투과 구멍(70)군으로 투시 바닥부(7)를 구성해도, 다소 헤드부를 횡이동시키거나 하면, 비교적 용이하게 전방 차륜(11F)의 상황을 시인하기 쉽다.
이렇게 투시 바닥부(7)를 설치하는 운전부 스텝(3) 상의 위치 등에 따라서, 투시 바닥부(7)의 투과 구멍(70)의 배열 상황을,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70)군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투과 구멍(70)군과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용 스텝(64)을 운전부 스텝(3)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 위치에서 기체 횡외측부에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의 전단부 근처에, 기체 전방측으로부터 승강이 가능하도록, 승강 시에 발 걸침 가능한 전방 승강용 스텝(64a)을 설치해도 된다. 이 전방 승강용 스텝(64a)은 기체 횡외측으로부터의 승강을 행하기 위한 승강용 스텝(64)과 병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부 스텝(3)으로서, 기체 전단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스텝부(3A)와,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5)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3B)와, 운전 좌석(15)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3C)로 분할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지만,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의 3군데를 전후 방향에서는 일련의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좌우 방향에서 2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의 3군데 중,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에 상당하는 부위를 전후 방향에서 일련의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리어 스텝부(3C)를 좌우 방향에서 2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의 3군데 중,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를 전후 방향에서는 일련의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좌우 방향에서 2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때, 리어 스텝부(3C)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의 분할 개소는, 시트 고정부(65)가 위치하는 설치용 개구(36)에 전후에서 연결되도록 좌우 분할 라인(L2, L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부 스텝(3)으로서, 기체 전단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스텝부(3A)와,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5)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3B)와, 운전 좌석(15)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3C)로 분할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지만,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의 3군데 중,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에 상당하는 부위를 전후 방향에서 일련의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리어 스텝부(3C)를 좌우 방향에서 2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론트 스텝부(3A)와,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의 3군데 중, 메인 스텝부(3B)와 리어 스텝부(3C)를 전후 방향에서는 일련의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좌우 방향에서 2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때, 리어 스텝부(3C)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의 분할 개소는, 시트 고정부(65)가 위치하는 설치용 개구(36)에 전후에서 연결되도록 좌우 분할 라인(L2, L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일례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작업기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방 dF」이며,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방 dB」이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측 방향 dR」이며,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측 방향 dL」이다.
[포장 작업기의 전체 구성]
도 13에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이, 도 14에 그 평면이 각각 나타나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주행 기체(1001)의 후방에 모 식부 장치(1002)를 장비하여 모 식부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1001)는, 좌우 한 쌍의 차체 전후 방향의 메인 프레임(1010A, 1010A)을 갖는 차체 프레임(1010)을 구비하고, 차체 프레임(1010)의 하부에 장비된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1011F, 1011F) 및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1011R, 1011R)에 의해 자주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001)의 전방부에, 전방 차륜(1011F) 및 후방 차륜(1011R)에 구동력을 출력하는 엔진(1012) 및 미션 케이스(1013)가 장비된 원동부(A)를 설치하고 있다. 주행 기체(1001)의 후방부측에는 운전 좌석(1015)을 갖는 탑승형 운전부(B)를 설치하고 있다.
운전부(B)에서는, 탑승용 운전부 스텝(1003)이 차체 프레임(10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운전부 스텝(1003) 상에 운전 좌석(1015)이 배치되고, 이 운전 좌석(1015)에 올라앉은 상태에서, 원동부(A)의 후방부에 배치된 스티어링 휠(1014)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운전부(B)의 전방부에서 원동부(A)의 좌우 양쪽 횡외측에 상당하는 주행 기체(1001)의 횡측방 개소에는, 운전부 스텝(1003)의 전방부를 사이에 두고 예비 모를 탑재하기 위한 예비 모 적재대(1016)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B)의 후방부에서 운전 좌석(1015)의 후방측에, 8조용 시비 장치(1004)가 설치되고, 승용형 이앙기가 미드 마운트 시비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 식부 장치]
모 식부 장치(1002)는 차체 프레임(1010)의 후방부에 대하여 링크 기구(1017)를 통해 승강 작동 가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모 식부 장치(1002)에서는, 8조분의 매트상 모를 탑재 가능한 8조 식부용 모 적재대(1020), 엔진(1012)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축(1002a)을 통해 입력되는 피드 케이스(1021) 및 차체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띄워 나열되는 4개의 식부 구동 케이스(1022)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식부 구동 케이스(1022) 각각에는, 후단부측의 양쪽 횡측부에 모 식부 기구(1023)가 구동 자유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각 식부 구동 케이스(1022)를 접속하는 식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하부에, 4개의 정지 플로트(1024)가 차체 횡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장비되어 있다.
각 모 식부 기구(1023)는, 피드 케이스(1021)로부터 식부 구동 케이스(1022)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회전 축심 주위에서 180도 위상하는 위치의 2개의 식부 갈고리(1023a)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주지된 구조의 것이다. 각각의 식부 갈고리(1023a)는, 그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긴 회동 궤적을 그리도록 구동되고, 2개의 식부 갈고리(1023a)에 의해 교대로, 모 적재대(1020)의 하단부로부터 식부 모를 취출하고, 정지 플로트(1024)에 의한 정지가 행해진 이토층에 심는 모 식부 운동을 행한다.
이 모 식부 장치(1002)는, 링크 기구(1017)가 승강 실린더(1018)에 의해 차체 프레임(1010)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정지 플로트(1024)가 포장의 이토면에 접지된 하강 작업 상태와, 정지 플로트(1024)가 포장의 이토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된다.
[시비 장치]
시비 장치(1004)는, 운전 좌석(1015)의 배면부측에 배치된 분립상의 비료를 저류하는 시비 탱크(1040)와, 그 하방측에 배치되는 조출부(1041)와, 조출된 비료를 모 식부 장치(1002)에 구비한 작구기(1025)를 향해 반송하는 시비 호스(1042)를 구비하고 있다. 시비 호스(1042)는 연질 수지제 등의 가요관으로 구성되고, 모 식부 장치(1002)의 승강 동작에 따라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비 장치(1004)는 시비 지지 프레임(1043)(지지 부재에 상당함)을 통해 차체 프레임(1010)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즉, 차체 프레임(1010)측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에 따른 메인 프레임(1010A, 1010A)의 후방부 상면에, 그 메인 프레임(1010A, 1010A)에 따른 후방부 종프레임(1010B, 1010B)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후방부 종프레임(1010B)의 상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횡프레임재가 연장 설치되고, 이 횡프레임재에 의해 시비 지지 프레임(1043)이 구성되어 있다.
[블로워]
시비 장치(1004)의 조출부(1041)로부터 조출된 비료를, 시비 호스(1042)로 풍력 반송하기 위한 반송풍의 공급 수단으로서, 시비용 블로워(1005)가 시비 장치(1004)의 좌측 횡측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블로워(1005)는, 블로워 케이스(1050) 내에, 상하 방향의 회전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송풍팬(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내장된 송풍팬은, 회전 축심에 따른 하방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접선 방향으로 배출하는 터보형 또는 시로코형 원심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1051)가, 송풍팬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블로워 케이스(1050)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블로워 케이스(1050)의 하부측에서 송풍팬의 회전 중심부에 상당하는 개소에, 흡기용 배관(1052)이 접속되어 있다. 블로워 케이스(1050)의 외주부에는, 송풍팬의 회전 궤적에 대한 접선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시비 장치(1004)를 향해 반송풍을 공급하는 급기 덕트(1053)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흡기용 배관(1052)으로부터 도입된 기체가, 블로워 케이스(1050)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배기되고, 시비 장치(1004)의 급기 덕트(1053)에 반송풍으로서 송입된다.
조출부(1041)로부터 조출된 비료가 급기 덕트(1053) 내에서 반송풍으로 혼입되고, 시비 호스(1042)를 거쳐서 시비 대상 개소의 작구기(1025)에 풍력 반송된다.
도 13 및 도 16,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1005)는, 블로워 케이스(1050) 중, 송풍팬을 내장하는 대경부(1050a)가 운전부 스텝(1003)의 후단부의 상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운전부 스텝(1003)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블로워 케이스(1050)의 하측에 접속되는 흡기용 배관(1052)이, 운전부 스텝(1003)보다도 하방측에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 배관(105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부측이 원동부(A) 부근에까지 연장 설치되고, 엔진(1012)의 폐열로 가열된, 고온이면서 건조한 기체를 도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용 배관(1052)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부 스텝(1003)의 최외측 에지보다도 좌우 방향에서의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용 배관(1052)은, 블로워 케이스(1050)에의 접속 개소 근처에서는 단면 원형의 둥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전체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하지는 않지만, 배관(1052)의 형상은, 블로워 케이스(1050)에의 접속 개소보다도 전방측으로의 연장 개소에서, 운전부 스텝(1003)의 하측에 상당하는 개소에서는, 상하 방향 직경보다도 좌우 방향 직경이 넓은 편평 형상이 되도록, 단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흡기 경로로서의 배관(1052)의 단면적은 소정 이상의 단면적을 확보하면서, 기체 하복부의 차고를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제로는 통로 저항 등을 고려하여, 타원 형상 부분의 단면적을 원형 부분의 단면적보다도 조금 넓게 설정하고 있다.
[가드 부재]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워(1005)의 전방측에는 가드 부재(10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드 부재(1006)는 금속제 둥근 파이프재로 구성되고, 기체 내측의 일단부가, 시비 장치(1004)를 지지하고 있는 시비 지지 프레임(1043)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외측의 타단부가, 운전부 스텝(1003)의 횡외측 에지보다도 외측을 통해, 운전부 스텝(1003)의 하측에 존재하는 차체 프레임(1010)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가드 부재(1006) 중, 블로워 케이스(1050)의 직전방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에 따른 횡간(橫杆)부(106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워 케이스(1050)의 외주연보다도 조금 전방측에서, 블로워 케이스(1050)의 대경부(1050a)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고, 블로워 케이스(1050)에 대한 발의 접촉을 규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횡간부(1060)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에 따른 종간부(1061)는, 운전부 스텝(1003)의 상면보다도 조금 높은 위치에서, 운전부 스텝(1003)의 횡외측 에지를 따라서, 운전부 스텝(1003)의 횡외측 에지와 동일하거나, 또는 조금 횡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종간부(1061)가, 운전부 스텝(1003)에 올려놓아진 발이, 운전부 스텝(1003)의 횡외측 에지보다도 횡외측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상기 가드 부재(1006)는, 블로워(1005)가 설치된 측의 기체 횡측 일측부에 설치된 것이지만, 이것과는 별도로, 블로워(1005)가 설치되지 않은 측의 기체 횡측 타측부에도, 제2 가드 부재(10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가드 부재(1062)도, 가드 부재(1006)와 동일하게, 일단부가 시비 장치(1004)를 지지하고 있는 시비 지지 프레임(1043)에 볼트 연결되고, 타단부가, 운전부 스텝(1003)의 횡외측 에지보다도 외측을 통해, 운전부 스텝(1003)의 하측에 존재하는 차체 프레임(1010)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가드 부재(1062)도, 가드 부재(1006)와 동일하게, 좌우 방향에 따른 횡간부(1063a)와, 그 횡간부(1063a)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에 따른 종간부(1063b)를 구비하고, 블로워(1005)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서도, 운전부 스텝(1003)에 올려놓아진 발이, 운전부 스텝(1003)의 횡외측 에지보다도 횡외측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도 15 참조).
[운전 스텝]
운전부(B)에 설치된 운전부 스텝(1003)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 스텝(1003)은 합성 수지제 재료를 인젝션 성형에 의해 가공된 것이며, 블로우 성형에 의한 가공품에 비해, 형상이나 구조에 관한 설계 상의 자유도가 높고, 또한 고정밀도로 성형하기 쉬운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로운 형상이나 구조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 스텝(1003)은, 기체 전단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스텝부(1003A)와,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15)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1003B)와, 운전 좌석(1015)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1003C)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메인 스텝부(1003B)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면을 구비하고 있지만, 리어 스텝부(1003C)는, 프론트 스텝부(1003A) 및 메인 스텝부(1003B)의 상면보다도 한층 높은 위치에 상면을 구비하고 있다.
즉, 리어 스텝부(1003C)의 상면은, 시비 탱크(1040)에 비료를 보급할 때에 운전자가 탑승하거나, 예비 모 적재대(1016)로부터 취출한 매트상 모를 모 식부 장치(1002)의 모 적재대(1020)에 보급할 때에 운전자가 발을 올려놓거나 하기 위해서, 프론트 스텝부(1003A) 및 메인 스텝부(1003B)의 상면보다도 높게 하고 있다.
프론트 스텝부(1003A)는, 원동부(A)의 엔진 보닛(1019)이 존재하는 개소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엔진 보닛(1019)으로 덮이는 엔진룸에 상당하는 영역이 절결되어, 엔진 보닛(1019)의 전방측과 좌우 양측에, 탑승 가능한 상면이 존재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후방측이 개방된 U자상 스텝판(1030)(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에 의해 프론트 스텝부(1003A)가 구성되어 있다.
메인 스텝부(1003B)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15)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우측 메인 스텝판(1031R)(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과, 좌측 메인 스텝판(1031L)(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 그것들의 우측 메인 스텝판(10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1031L)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는 우측 메인 확장판(1033R)과, 좌측 메인 확장판(1033L)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후술하는 우측 리어 스텝판(1032R)(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 및 좌측 리어 스텝판(1032L)(분할 스텝 부재에 상당함) 중, 기립 상승부(1003D)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판 부분(1032a)의 상면을, 메인 스텝부(1003B)의 일부로서 포함하고 있다.
우측 메인 확장판(1033R)과 좌측 메인 확장판(1033L)은, 각각 우측 메인 스텝판(10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1031L)과는 별도로, 차체 프레임(10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우측 메인 스텝판(10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1031L)과는 별도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메인 확장판(1033R) 및 좌측 메인 확장판(1033L)의 횡외측 위치에, 횡측방으로부터 운전부 스텝(1003)에 오르고 내리기 위한 승강용 스텝(1064)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1031L)은, 주행 기체(1001)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CL)에 합치하는 좌우 분할 라인(L1)(분할 라인에 상당함)에서, 메인 스텝부(1003B)를 좌우로 2 분할하는 위치에서 분할되고, 개별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좌우 분할 라인(L1)은, 주행 기체(1001)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설치된 관통 구멍(103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031a)은, 미션 케이스(1013)의 상방에 기립 설치된 조작구(1013a)의 파지부를 운전부 스텝(1003) 상에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031a)이다. 이와 같이, 좌우 분할 라인(L1)이 관통 구멍(103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조작구(1013a) 등의 관통 부품의 탈착 작업 등을 요하지 않고, 우측 메인 스텝판(10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1031L)을 탈착할 수 있다.
도 15,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1031L)에 걸쳐 플로어 매트(1035)(덮개 부재에 상당함)를 부설하고 있다. 플로어 매트(1035)는, 메인 스텝부(1003B)의 중앙에 위치하는 좌우 분할 라인(L1)의 거의 전체를 덮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고, 좌우 방향에서는, 메인 스텝부(1003B)에 설치된 후술하는 좌우의 투시 바닥부(1007)끼리의 간격 폭 정도의 좌우 방향 길이를 갖고 있다.
이 플로어 매트(1035)에도, 좌우 분할 라인(L1)에 연결되는 관통 구멍(1031a)의 존재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동일 형상의 관통 구멍(1035a)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 스텝부(1003C)는, 메인 스텝부(1003B)보다도 후방측에서, 또한 기립 상승부(1003D)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스텝부(1003B)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리어 스텝부(1003C)는, 우측 리어 스텝판(10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과, 그것들의 우측 리어 스텝판(1032R) 및 좌측 리어 스텝판(1032L)보다도 횡외측에 위치하는 우측 리어 확장판(1034R)과, 좌측 리어 확장판(1034L)을 구비하고 있다.
우측 리어 스텝판(1032R) 및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은, 각각, 기립 상승부(1003D)를 구성하는 기립 상승판 부분(1032b)과, 그 기립 상승판 부분(1032b)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판 부분(1032a)과, 기립 상승판 부분(1032b)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판 부분(1032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후방판 부분(1032c, 1032c)과, 그것들의 횡외측에 위치하는 우측 리어 확장판(1034R) 및 좌측 리어 확장판(1034L)이, 메인 스텝부(1003B)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1003C)를 구성하고 있다.
우측 리어 스텝판(10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의 대향 부위에는, 운전 좌석(1015)의 하면측을, 후방부 종프레임(1010B)의 상부에 구비한 시트 고정부(1065)(도 20 참조)에 지지시키기 위한 설치용 개구(103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설치용 개구(1036)는, 평면에서 보아 시트 고정부(1065)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도록 후방판 부분(1032c)에 설치된 상방 절결부(1036a)와, 전후 방향에서 보아 시트 고정부(1065)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도록 기립 상승판 부분(1032b)에 설치된 전방 절결부(1036b)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용 개구(1036)는, 전단부측이 전술한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1031L)의 좌우 분할 라인(L1)에 이어지게, 기립 상승판 부분(1032b)에 설치된 종 방향 분할 라인(L2)(분할 라인에 상당함)에 연결되고, 후단부측이, 후방판 부분(1032c)에 형성된 별도의 좌우 분할 라인(L3)(분할 라인에 상당함)에 연결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판 부분(1032c)에 형성된 별도의 좌우 분할 라인(L3)은, 주행 기체(1001)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CL)으로부터 좌측으로 조금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별도의 좌우 분할 라인(L3)은,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1031L)의 좌우 분할 라인(L1)이나, 종 방향 분할 라인(L2)과는, 동일 직선상으로는 나열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우측 리어 스텝판(10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은, 전단부측의 종 방향 분할 라인(L2)이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기체 중심부에서 분할되어 있지만, 별도의 좌우 분할 라인(L3)이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좌우 대칭이 아니라, 비대칭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시트 고정부(1065)의 주변에서 고정되는 부재나 형상이 반드시 좌우 대칭으로는 배치되지 않은 개소에서, 우측 리어 스텝판(10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의 한쪽을 좌우 방향에서 탈착할 때, 운전 좌석(1015)이나, 다른 쪽의 우측 리어 스텝판(1032R) 또는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을 탈착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종 방향 분할 라인(L2)이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우측 리어 스텝판(10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의 대향 단부 에지 중, 일방측의 대향 단부 에지,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의 대향 단부 에지가 직선상의 대향 단부 에지(1037a)이며, 다른 쪽의 대향 단부 에지, 즉, 좌측의 대향 단부 에지가 상기 한쪽의 대향 단부 에지(1037a)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부분적으로 요입되는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1037b)이다.
이 직선상의 대향 단부 에지(1037a)와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1037b)에 의해, 운전부 스텝(1003)을 관통하는 コ자상의 관통 구멍(10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コ자상의 관통 구멍(1037)은, 종 방향 분할 라인(L2)에 따른 방향의 구멍 직경이, 그 종 방향 분할 라인(L2)에 교차하는 방향의 구멍 직경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コ자상의 관통 구멍(1037)에는, 예를 들어 유압 레버 등의 요동 조작구(1066)가 삽입 관통되어, 요동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 방향 분할 라인(L2)을 포함하여 형성된 コ자상 관통 구멍(1037)은, 우측 리어 스텝판(1032R) 또는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을 탈착할 때, 요동 조작구(1066)를 탈착할 필요없이 탈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조작에 필요한 개구 길이를 길게 설정해도, 종 방향 분할 라인(L2) 상에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크기에 비해 그다지 눈에 띄지 않고, 또한 구조적으로 큰 변경도 필요없다.
좌우 분할 라인(L1, L2, L3)과는 별도로,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메인 스텝부(1003B)의 경계 부분에서, U자상 스텝판(1030)과, 우측 메인 스텝판(10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1031L)이, 전후 방향 분할 라인(L4)(분할 라인에 상당함)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스텝부(1003B)와 리어 스텝부(1003C)에 있어서도, 기립 상승부(1003D)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L5)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립 상승부(1003D)보다도 전방측에서, 우측 메인 스텝판(10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1031L)과, 우측 리어 스텝판(10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이, 전후 방향 분할 라인(L5)에서 전후로 분할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스텝부(1003A)에 있어서의 U자상 스텝판(1030)과, 메인 스텝부(1003B)에 있어서의 우측 메인 스텝판(1031R) 및 좌측 메인 스텝판(1031L)과, 리어 스텝부(1003C)에 있어서의 우측 리어 스텝판(10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의 각각은, 스텝 고정부(1038)에서 차체 프레임(1010)에 고정되어 있다.
스텝 고정부(1038)는, 도 15,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분할 라인(L4, L5), 또는 좌우 분할 라인(L1, L3)에 근접한 개소 및 외주연 근처에 비교적 많이 설치되어 있다.
리어 스텝부(1003C)에 있어서의 우측 리어 스텝판(1032R)에는, 그 후방판 부분(1032c)에서 운전 좌석(1015)의 주변에 상당하는 개소에, 공구함(1067)을 장착 가능한 개구(1039a)와, 컵함(1068)을 장착 가능한 개구(1039b)가 형성되어 있다.
[투시 바닥부]
운전부 스텝(1003)에는, 주행 기체(1001)의 하방을 전망 가능한 투시 바닥부(1007)가 설치되어 있다.
투시 바닥부(1007)는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메인 스텝부(1003B)와, 리어 스텝부(1003C)의 각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투시 바닥부(1007)는 좌우 방향에서 운전 좌석(1015)보다도 횡외측 근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메인 스텝부(1003B)에 설치되는 제1 투시 바닥부(1007)는, 운전 좌석(1015)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전방 차륜(1011F)의 방향 등을 시인하기 쉬운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리어 스텝부(1003C)에 설치되는 제2 투시 바닥부(1007)는, 운전 좌석(1015)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후방을 되돌아봐서 후방 차륜(1011R)의 방향 등을 시인하기 쉬운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스텝부(1003A)에 설치되는 제3 투시 바닥부(1007)는, 운전 좌석(1015)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프론트 스텝부(1003A) 하방의 기체 전방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투시 바닥부(1007)는, 운전 좌석(1015)의 좌부 중심, 또는 운전 좌석(1015)의 존재 위치, 혹은 운전 좌석(1015)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1070)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방사 방향의 기점은,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올라앉은 자세인 그대로 눈으로 보는 상태의 운전자의 시선의 위치가 기준이지만, 어느 정도의 개인차도 있기 때문에, 운전 좌석(1015)이 존재하는 범위라면 지장없다. 또한, 어느 정도는 운전 좌석(1015)이 존재하는 범위보다도 외측의 운전 좌석(1015) 부근에서, 신체를 기울이거나 올려 세우거나 하여 들여다볼 수 있는 범위이면 된다.
투시 바닥부(1007)는,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1070)군의 배열 방향에 따른 방사 방향 살 부재(1071)와, 그 방사 방향 살 부재(1071)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1072)의 조합에 의한 격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메인 스텝부(1003B) 및 리어 스텝부(1003C)에 설치되는 교차 방향 살 부재(1072)는, 거의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전방 차륜(1011F) 및 후방 차륜(1011R)이 직진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지표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투시 바닥부(1007)가, 운전 좌석(1015)의 좌부 중심, 또는 운전 좌석(1015)의 존재 위치, 혹은 운전 좌석(1015)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1070)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운전 좌석(1015)의 좌부 중심, 또는 운전 좌석(1015)의 존재 위치, 혹은 운전 좌석(1015)의 부근 위치로부터 눈으로 보는 운전자에 의한, 투시 바닥부(1007)를 통해 눈으로 보기 가능한 영역의 면적을 최대한 확장할 수 있어,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투시 바닥부(1007)의 투과 구멍(1070)군을 구성하는 방사 방향 살 부재(1071)와 교차 방향 살 부재(1072) 중, 인접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1072)끼리의 간격은, 인접하는 방사 방향 살 부재(1071)끼리의 간격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인접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1072)끼리의 간격이 넓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반대로 인접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1072)끼리의 간격이, 인접하는 방사 방향 살 부재(1071)끼리의 간격보다도 좁거나, 또는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운전 좌석(1015)에 올라앉아 투시 바닥부(1007)를 눈으로 보는 운전자의 눈으로 보기 가능한 영역의 면적을 좁힐 우려가 적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스텝 접속부]
운전부 스텝(1003)에 있어서의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메인 스텝부(1003B)의 연결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메인 스텝부(1003B)는, 서로의 인접 개소가 스텝 접속부(1008)(접속부에 상당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에서는, 메인 스텝부(1003B)의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프론트 스텝부(1003A)의 U자상 스텝판(1030)의 우측 단부의 접속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메인 스텝부(1003B)의 좌측 메인 스텝판(1031L)과 프론트 스텝부(1003A)의 U자상 스텝판(1030)의 좌측 단부의 접속 개소에 있어서도 스텝 접속부(1008)가 설치되어 있지만, 우측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 좌측의 스텝 접속부(1008)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접속부(1008)는, 우측 메인 스텝판(1031R)에 설치된 상편부(1080)와, U자상 스텝판(1030)에 설치된 하편부(1081)와, 연결 볼트(1082)와, 너트(1083)를 구비하고 있다.
상편부(1080)에 볼트 구멍(1080a)이 형성되고, 하편부(1081)에, 후방측이 개방된 U자상의 절결(1081a)이 형성되어 있다. 상편부(1080)의 볼트 구멍(1080a)과 하편부(1081)의 절결(1081a)이 평면에서 보아 합치되는 상태로 하여 연결 볼트(1082)를 삽입 관통한다.
연결 볼트(1082)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1083)는, 차체 프레임(10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설치 프레임(1010C)의 하면측에 용접 고정되어 있고, 그 고정된 너트(1083)에 연결 볼트(1082)를 넣어,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U자상 스텝판(1030)을 연결한다. 이 연결에 의해,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U자상 스텝판(1030)의 연결 개소는 설치 프레임(1010C)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 때, 하편부(1081)에는, 후방측이 개방된 U자상의 절결(108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측 메인 스텝판(1031R)에 대하여 U자상 스텝판(1030)을 원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우측 메인 스텝판(1031R)에 대한 U자상 스텝판(1030)의 상대 위치를 원근 방향에서 변경할 수 있다.
이 원근 이동에 의해, 스텝 접속부(1008)에 있어서의 상편부(1080)와 하편부(1081)의 겹침값이 증감 조절되어,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U자상 스텝판(1030)의 상대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상편부(1080)에 볼트 구멍(1080a)도, 연결 볼트(1082)의 외경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측 메인 스텝판(1031R)에 대한 U자상 스텝판(1030)의 상대 위치를 상기 원근 방향 이외의 방향, 예를 들어 원근 방향에 직교하는 데에도 약간이지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U자상 스텝판(1030)의 상대 위치의 조절은, 우측 메인 스텝판(1031R)의 상면과 U자상 스텝판(1030)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행할 수 있다. 즉, 우측 메인 스텝판(1031R)에 설치된 상편부(1080)와, U자상 스텝판(1030)에 설치된 하편부(1081)가 중첩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U자상 스텝판(1030)의 상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스텝 접속부(1008)에서는, 상편부(1080)가 메인 스텝부(1003B)의 우측 메인 스텝판(1031R)에 설치되고, 하편부(1081)가 프론트 스텝부(1003A)의 U자상 스텝판(1030)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프론트 스텝부(1003A)로 덮이는 범위의 하방에 배치되는 부품 개수보다도, 메인 스텝부(1003B)로 덮이는 범위의 하방에 배치되는 부품 개수가 많고, 필연적으로 점검 대상 부품도 많아, 점검 빈도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점검 빈도가 높은 측이라고 예측되는 메인 스텝부(1003B)를 구성하는 우측 메인 스텝판(1031R)에 상편부(1080)를 설치하고, 하편부(1081)를 구비하는 프론트 스텝부(1003A)측의 U자상 스텝판(1030)을 탈착할 필요없이, 우측 메인 스텝판(1031R)만을 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의 1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접속부(1008)로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분할 스텝 부재끼리인 곳의,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U자상 스텝판(1030)을 상대적으로 원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후방측이 개방된 U자상의 절결(1081a)이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U자상의 절결(1081a) 대신에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을 설치해도 되고, 조절 방향도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원근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인접 단부 에지에 따른 방향에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메인 스텝부(1003B)의 인접 개소에 스텝 접속부(1008)를 설치한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스텝부(1003B)와 리어 스텝부(1003C)의 인접 개소에 스텝 접속부(1008)를 설치해도 되고, 메인 스텝부(1003B)의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좌측 메인 스텝판(1031L)의 인접 개소, 또는 우측 리어 스텝판(1032R)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의 인접 개소에 스텝 접속부(1008)를 설치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접속부(1008)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분할 스텝 부재의 한쪽에 상편부(1080)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하편부(1081)를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분할 스텝 부재의 양쪽에 하편부(1081)를 설치하고, 상편부(1080) 대신에 별도 설치한 누름 스페이서(1084)를 사용하여, 양측의 하편부(1081)를 설치 프레임(1010C)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드 부재(1006)의 기체 내측의 일단부가, 시비 장치(1004)를 지지하고 있는 시비 지지 프레임(1043)에 볼트 연결되고, 타단부가 운전부 스텝(1003)의 하측에 존재하는 차체 프레임(1010)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지만, 운전부 스텝(1003)의 횡측부에 난간을 설치하고, 이 난간에 가드 부재(1006)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지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때, 가드 부재(1006)의 기체 내측의 일단부는, 시비 지지 프레임(1043)에 지지시켜도 되고, 시비 지지 프레임(1043)에 지지시키지 않고, 리어 스텝부(1003C)의 하방에 위치하는 별도의 기체 고정부에 지지시켜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확장판(1033R, 1033L, 1034R, 1034L)을 제거하면, 운전부 스텝(1003)으로서, 좌우 분할 라인(L1, L2, L3)과 전후 방향 분할 라인(L4, L5)을 사용하여, 5 분할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스텝부(1003A)의 U자상 스텝판(1030)도 좌우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우측 리어 스텝판(1032R)을 일체화하고, 좌측 메인 스텝판(1031L)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을 일체화하여, 우측 메인 스텝판(1031R)과 우측 리어 스텝판(1032R), 또는 좌측 메인 스텝판(1031L)과 좌측 리어 스텝판(1032L)을 일체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5 분할에 한정되지 않고 2 분할 이상의 적당한 복수개로 분할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6 분할 이상의, 보다 많은 분할이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시 바닥부(1007)를,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메인 스텝부(1003B)와, 리어 스텝부(1003C)의 각각에 대하여 각 좌우 양측에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스텝부(1003A)만, 메인 스텝부(1003B)만, 또는 리어 스텝부(1003C)만 설치한 구조의 것, 또는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메인 스텝부(1003B)만, 메인 스텝부(1003B)와 리어 스텝부(1003C)만, 또는 프론트 스텝부(1003A)와 리어 스텝부(1003C)만에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시 바닥부(1007)를 방사 방향 살 부재(1071)와, 그 방사 방향 살 부재(1071)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1072)의 조합에 의한 격자상 부재에 의해 구성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격자상 부재를 채용하지 않고, 운전부 스텝(1003)에 다수의 투과 구멍(1070)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2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시 바닥부(1007)를 설치한 부위에서는, 모든 투시 바닥부(1007)가, 운전 좌석(1015)의 존재 위치, 또는 운전 좌석(1015)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1070)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지만, 일부의 투시 바닥부(1007)를 방사상으로가 아니고, 좌우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투과 구멍(1070)군으로 구성하거나,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투과 구멍(1070)군으로 구성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8조 식부 사양의 모 식부 장치(2)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식부 조수 사양의 모 식부 장치(2)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거나, 포장에 볍씨를 파종하는 직파기거나, 또는 약제 살포기 등의 각종 수전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8조 식부 사양의 모 식부 장치(2)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식부 조수 사양의 모 식부 장치(2)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거나, 포장에 볍씨를 파종하는 직파기거나, 또는 약제 살포기 등의 각종 포장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8조 식부 사양의 모 식부 장치(2)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식부 조수 사양의 모 식부 장치(2)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거나, 포장에 볍씨를 파종하는 직파기거나, 또는 약제 살포기 등의 각종 승용형 포장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8조 식부 사양의 모 식부 장치(1002)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식부 조수 사양의 모 식부 장치(1002)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거나, 포장에 볍씨를 파종하는 직파기거나, 또는 약제 살포기 등의 각종 포장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주행 기체
3: 운전부 스텝
3A: 프론트 스텝부
3B: 메인 스텝부
3C: 리어 스텝부
3D: 기립 상승부
L1, L2, L3: (좌우) 분할 라인
L5, L6: 전후 방향 분할 라인
4: 시비 장치
7: 투시 바닥부
15: 운전 좌석
31a: 관통 구멍
36a: 상방 절결부
36b: 전방 절결부
37: 관통 구멍
37a: 대향 단부 에지
37b: 대향 단부 에지
65: 시트 고정부
70: 투과 구멍
71: 방사 방향 살 부재
72: 교차 방향 살 부재
1001: 주행 기체
1003: 운전부 스텝
1003A: 프론트 스텝부
1003B: 메인 스텝부
1003C: 리어 스텝부
1008: 접속부
1031R, 1030: 분할 스텝 부재
1080: 상편부
1081: 하편부

Claims (26)

  1. 운전부 스텝 상에 운전 좌석이 설치되고,
    상기 운전부 스텝에, 차체 하방을 전망 가능한 투시 바닥부가 설치되고,
    상기 투시 바닥부가, 상기 운전 좌석의 존재 위치, 또는 상기 운전 좌석의 부근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투과 구멍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바닥부는 좌우 방향에서 상기 운전 좌석보다도 횡외측 근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바닥부는, 방사상으로 나열되는 상기 투과 구멍군의 배열 방향에 따른 방사 방향 살 부재와, 그 방사 방향 살 부재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 살 부재의 조합에 의한 격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스텝은,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상기 운전 좌석의 횡측 옆을 포함하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와,
    상기 메인 스텝부보다도 전방측의 기체 전단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스텝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텝부와, 상기 리어 스텝부와, 상기 프론트 스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텝부에, 상기 투시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텝부에 설치되는 제1 투시 바닥부는, 상기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전방 차륜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텝부에 설치되는 제2 투시 바닥부는, 상기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후방 차륜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스텝부에 설치되는 제3 투시 바닥부는, 상기 운전 좌석에 올라앉은 운전자가 상기 프론트 스텝부 하방의 기체 전방을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바닥부의 각 투과 구멍은, 상기 방사 방향에 있어서의 구멍 폭이, 그 방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구멍 폭보다도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9. 운전 좌석이 운전부 스텝 상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부 스텝이,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텝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텝부와 상기 리어 스텝부가, 각각 분할 라인에서 복수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은, 상기 메인 스텝부 및 상기 리어 스텝부를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는 좌우 분할 라인이며, 평면에서 보아 메인 스텝부측의 분할 라인과 리어 스텝부측의 분할 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은, 분할된 좌우의 상기 메인 스텝부, 또는 좌우의 상기 리어 스텝부가, 좌우 비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 중, 상기 메인 스텝부측에 형성된 좌우 분할 라인과, 상기 리어 스텝부측에 형성된 좌우 분할 라인은, 좌우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스텝에, 그 운전부 스텝을 관통하는 부품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라인이 상기 관통 구멍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에서 분할된 상기 운전부 스텝에 있어서, 상기 분할 라인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운전부 스텝과, 타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운전부 스텝의 대향 단부 에지 중, 한쪽의 대향 단부 에지가 직선적으로 형성된 직선상의 대향 단부 에지이며, 다른 쪽의 대향 단부 에지가, 상기 한쪽의 대향 단부 에지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부분적으로 요입되는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이며, 상기 직선상의 대향 단부 에지와 상기 굴곡 형상의 대향 단부 에지에 의해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분할 라인에 따른 방향의 구멍 직경이 상기 분할 라인에 교차하는 방향의 구멍 직경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에, 조작 방향이 상기 분할 라인에 따른 방향의 조작구가 삽입 관통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텝부에, 상기 분할 라인에 걸치어, 그 분할 라인의 양측에 이르는 덮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7. 운전 좌석이 운전부 스텝 상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부 스텝이,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상기 메인 스텝부보다도 후방측에서, 또한 기립 상승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스텝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된 리어 스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 상승부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의 전후 방향 분할 라인에서, 상기 운전부 스텝이 전후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분할 라인은 상기 기립 상승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텝부에, 상기 전후 방향 분할 라인과는 다른 전후 방향 분할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텝부에, 상기 기립 상승부를 포함하여 상기 리어 스텝부를 좌우로 분할 가능한 좌우 분할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텝부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상기 운전 좌석이, 기체 프레임측에 설치된 시트 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리어 스텝부에, 평면에서 보아 상기 시트 고정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는 상방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립 상승부에,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기 시트 고정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개방하는 전방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방 절결부와 상기 전방 절결부가, 상기 리어 스텝부를 좌우로 분할 가능한 좌우 분할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22. 복수개의 분할 스텝 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된 운전부 스텝을 구비하고,
    상면측이 동일 평면 상, 또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태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접속 개소에,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 또는 거의 동일 평면 상의 상태에서 상하에 중첩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포장 작업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서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가 중첩되는 상태로 유지된 채로,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서는,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끼리의 원근 이동으로, 상기 접속부에 있어서의 겹침값을 증감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 중 한쪽의 상기 분할 스텝 부재의 상기 접속부에, 상기 운전부 스텝의 상면측 부근에 위치하는 상편부가 구비되고,
    다른 쪽의 상기 분할 스텝 부재의 상기 접속부에, 상기 상편부의 하측에 겹치는 하편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편부는, 상기 하편부를 구비한 상기 분할 스텝 부재로 덮이는 개소보다도, 점검 대상 부품이 많은 개소, 또는 점검 빈도가 많은 개소를 덮는 상기 분할 스텝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스텝은,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 스텝부와,
    그 메인 스텝부보다도 전방측의 기체 전단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스텝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텝부의 상기 접속부에 상기 상편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스텝부에 상기 하편부가 구비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KR1020180071831A 2017-12-26 2018-06-22 수전 작업기 및 포장 작업기 KR20190078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49258A JP6917884B2 (ja) 2017-12-26 2017-12-26 圃場作業機
JP2017249259A JP6902996B2 (ja) 2017-12-26 2017-12-26 圃場作業機
JP2017249260A JP6914183B2 (ja) 2017-12-26 2017-12-26 圃場作業機
JPJP-P-2017-249257 2017-12-26
JPJP-P-2017-249259 2017-12-26
JP2017249257A JP6900307B2 (ja) 2017-12-26 2017-12-26 水田作業機
JPJP-P-2017-249258 2017-12-26
JPJP-P-2017-249260 2017-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65A true KR20190078465A (ko) 2019-07-04

Family

ID=6702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831A KR20190078465A (ko) 2017-12-26 2018-06-22 수전 작업기 및 포장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78465A (ko)
CN (1) CN10995592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467A (ja) 2003-03-28 2004-10-28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JP2007228975A (ja) 2007-05-30 2007-09-13 Iseki & Co Ltd 乗用型田植機
JP2013208083A (ja) 2012-03-30 2013-10-10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510B2 (ja) * 1992-04-28 2001-03-05 井関農機株式会社 農用走行車体
JP3430542B2 (ja) * 1993-03-05 2003-07-28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
JP3515653B2 (ja) * 1995-11-30 2004-04-0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のボンネット構造
CN1294798C (zh) * 1998-12-11 2007-01-17 洋马农机株式会社 乘式水稻插秧机
JP3644349B2 (ja) * 2000-03-29 2005-04-27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両
JP2002019645A (ja) * 2001-05-21 2002-01-23 Iseki & Co Ltd 乗用苗植機
JP2002335726A (ja) * 2001-05-22 2002-11-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
US8172312B2 (en) * 2009-09-03 2012-05-08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Excavator cab with an improved field of view
CN202679958U (zh) * 2011-06-28 2013-01-23 井关农机株式会社 苗移植机
JP5835154B2 (ja) * 2012-08-21 2015-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
TWI555465B (zh) * 2013-02-15 2016-11-01 井關農機股份有限公司 苗移植機
JP6210802B2 (ja) * 2013-09-04 2017-10-11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CN104663085B (zh) * 2013-11-29 2018-10-12 井关农机株式会社 苗移植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467A (ja) 2003-03-28 2004-10-28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JP2007228975A (ja) 2007-05-30 2007-09-13 Iseki & Co Ltd 乗用型田植機
JP2013208083A (ja) 2012-03-30 2013-10-10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55921A (zh)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8465A (ko) 수전 작업기 및 포장 작업기
JP2022095395A (ja) 乗用型苗移植機
JP5722741B2 (ja) 乗用田植機の予備苗載置構造
KR100805347B1 (ko) 복수조식 묘식기
JP6900307B2 (ja) 水田作業機
JP6902996B2 (ja) 圃場作業機
JP6917884B2 (ja) 圃場作業機
CN111108872B (zh) 植播系列作业机
JP6902995B2 (ja) 水田作業機
JP2003291853A (ja) 作業機の機体構造
JP4537570B2 (ja) 田植機の植付部
JP2019112017A (ja) 圃場作業機
JP7012542B2 (ja) 苗植付装置
JP2015204804A (ja) 苗移植機
JP2016154480A5 (ko)
JP6261448B2 (ja) 乗用田植機
JP7118018B2 (ja) 水田作業機
JP7325374B2 (ja) 水田作業機
JP2019010018A (ja) 収穫機
JP2022085722A (ja) 田植機
JP2001224209A (ja) 水田作業機
JP3960938B2 (ja) 水田作業機
JP4076507B2 (ja) 乗用型田植機
CN114532020A (zh) 插秧机
CN114532022A (zh) 插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