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461A - 시일 체인 - Google Patents

시일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461A
KR20190077461A KR1020197015286A KR20197015286A KR20190077461A KR 20190077461 A KR20190077461 A KR 20190077461A KR 1020197015286 A KR1020197015286 A KR 1020197015286A KR 20197015286 A KR20197015286 A KR 20197015286A KR 20190077461 A KR20190077461 A KR 2019007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ush
retaining ring
pai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891B1 (ko
Inventor
다쿠야 야스
마코토 후지와라
유스케 니시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9007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2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rigid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2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rigid sealing rings
    • F16J15/2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rigid sealing rings with sealing rings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04Helical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시일 체인(11)은, 서로 대향하여 떨어져서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와,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에 양단부가 각각 접합되는 통형 부쉬(17)와, 부쉬(1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21)과, 부쉬(17)가 삽입되어서 부쉬(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통형 롤러(18)와,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를 외측으로부터 집듯이 배치되어서 핀(21)의 양단부가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14)를 구비한다. 그리고,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의 내측면(12a)에는, 롤러(18)의 단부가 삽입되는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시일 체인
본 발명은, 부쉬와 롤러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구조를 가진 시일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일 체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일 체인에 있어서, 양단부에 원통형 부쉬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조립 장착된 한 쌍의 내부 플레이트와, 양단부에 원기둥형 핀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조립 장착된 한 쌍의 외부 플레이트가, 부쉬에 핀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통됨으로써 교대로 조합되어 있다. 각 부쉬에는, 원통형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52908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은 시일 체인은, 부쉬와 롤러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구조를 특별히 갖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부쉬와 롤러의 사이를 적합하게 시일할 수 없으므로, 부쉬와 롤러 사이의 윤활유가 내부 플레이트의 내면과 롤러의 단부면의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이 내부 플레이트의 내면과 롤러의 단부면의 사이를 통과하여 부쉬와 롤러의 사이에 진입하기 쉬워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부쉬와 롤러의 사이를 적합하게 시일할 수 있는 시일 체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서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시일 체인은, 서로 대향하여 떨어져서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와,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에 양단부가 각각 접합되는 통형 부쉬와, 부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과, 부쉬가 삽입되어서 부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통형 롤러와,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를 외측으로부터 집듯이 배치되어서 핀의 양단부가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를 구비한 시일 체인이며, 내부 링크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롤러의 단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의 단부가 오목부 내에 삽입됨으로써, 예를 들어 부쉬와 롤러의 사이에 배치된 윤활제가 외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의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쉬와 롤러 사이의 윤활제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이 부쉬와 롤러의 사이에 진입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부쉬와 롤러의 사이를 적합하게 시일할 수 있다.
상기 시일 체인에 있어서, 부쉬의 외주면에는 리테이닝 링이 조립 장착되고, 롤러의 내주면에는 리테이닝 링을 수용하는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리테이닝 링이 수용 홈에 수용됨으로써, 예를 들어 부쉬와 롤러의 사이에 배치된 윤활제가 외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의 거리를 더욱 연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쉬와 롤러 사이의 윤활제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이 부쉬와 롤러의 사이에 진입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부쉬와 롤러의 사이를 보다 한층 적합하게 시일할 수 있다.
상기 시일 체인에 있어서, 수용 홈은, 롤러에 있어서의 스프로킷과의 걸림 결합 부분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에 수용 홈을 형성하면, 롤러에 있어서의 수용 홈을 형성한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지만, 롤러에 있어서의 수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저하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롤러가 스프로킷과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롤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시일 체인에 있어서, 수용 홈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에 수용 홈을 형성하면, 롤러에 있어서의 수용 홈을 형성한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지만, 롤러에 있어서의 스프로킷과의 걸림 결합 부분으로부터 수용 홈을 떼어 놓을 수 있으므로, 롤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시일 체인에 있어서, 리테이닝 링은, 원환형이며, 그 내경이 가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리테이닝 링의 조립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쉬와 롤러의 사이를 적합하게 시일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시일 체인의 일부가 스프로킷과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리테이닝 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변경예의 리테이닝 링의 사시도이다.
이하, 시일 체인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체인(11)은, 예를 들어 강재에 의해 구성되고, 서로 폭 방향 Y로 대향하여 떨어져서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를 각각 갖는 복수의 내부 링크(13)와,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를 폭 방향 Y의 외측으로부터 집듯이 배치되는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14)를 각각 갖는 복수의 외부 링크(15)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링크(13)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 및 외부 링크(15)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14)는, 시일 체인(11)이 폭 방향 Y와 직교하는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이끌려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 방향인 직렬 방향 X를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폭 방향 Y로 대향하는 내부 링크 플레이트(12) 및 외부 링크 플레이트(14)는,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체인(11)은, 그 직렬 방향 X에 있어서의 내부 링크(13) 및 외부 링크(15)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내부 링크 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 및 외부 링크 플레이트(14) 사이의 간격이 동등해지도록 구성된, 소위 플랫 타입의 체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의 직렬 방향 X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각 원형 부쉬 삽입 구멍(16)이,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의 두께 방향인 폭 방향 Y에 있어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부 링크(13)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 사이에는, 이들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원통형 부쉬(17)가 둘 조립 장착된다.
부쉬(17)의 양단부는,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의 부쉬 삽입 구멍(16)에 대해서 각각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춤(접합)되어 있다. 부쉬(17)는, 원통형 롤러(18)에 삽입됨으로써 롤러(1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즉, 부쉬(17)는 롤러(18)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롤러(18)에는, 스프로킷(19)이 걸림 결합되어 있다.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의 내측면(12a)에는, 롤러(18)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원환형 오목부(20)가, 부쉬 삽입 구멍(16)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부(20), 부쉬 삽입 구멍(16) 및 롤러(18) 각각의 중심 축선은 서로 공통으로 되어 있다. 부쉬(17)의 외주면(17a)과 롤러(18)의 내주면(18a)의 사이에는, 윤활제(G)가 배치되어 있다. 윤활제로서는, 고체 윤활제(예를 들어, 분말 그래파이트나 분말 이황화몰리브덴 등을 원통형으로 압축 성형한 것)나 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제로서 그리스가 채용되고 있다.
외부 링크 플레이트(14)의 직렬 방향 X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각 부쉬(17)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진 원기둥형 핀(21)이 삽입 끼움되는 원형 핀 삽입 구멍(22)이, 외부 링크 플레이트(14)의 두께 방향인 폭 방향 Y에 있어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핀(21)의 선단부에는 관통 구멍(23)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23)에는, 핀(21)이 핀 삽입 구멍(2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빠짐 방지 핀(24)이 삽입되어 있다. 빠짐 방지 핀(24)은, 관통 구멍(23)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선단부가 굴곡되어 있다.
외부 링크(15)의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14)는, 부쉬(17)가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 사이에 조립 장착되어서 형성된 상태에서, 내부 링크(13)에 있어서의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를 외측으로부터 집듯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외부 링크(15)의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14)는, 핀(21)을 통해 내부 링크(13)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핀(21)의 양단부 이외의 중간부가 내부 링크(13)의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 사이에 조립 장착된 부쉬(1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핀(21)의 양단부가 외부 링크(15)의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14)의 핀 삽입 구멍(22)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춤(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핀(21)의 양단부는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14)를 각각 관통하고 있고, 직렬 방향 X로 인접하는 내부 링크(13)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와 외부 링크(15)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14)는, 직렬 방향 X의 단부끼리, 핀(21) 및 부쉬(17)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쉬(17)의 외주면(17a)에 있어서의 오목부(20)와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원환형 리테이닝 링(25)이 조립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리테이닝 링(25)으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제 평선을 이중 권취함으로써 구성되는 이중 감기 리테이닝 링이 채용되고 있다. 리테이닝 링(25)은, 내경이 가변으로 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고, 그 내경이 부쉬(17)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닝 링(25)에 부쉬(17)를 압입함으로써 리테이닝 링(25)을 확경하게 탄성 변형시키면서, 부쉬(17)에 리테이닝 링(25)이 조립 장착된다. 따라서, 리테이닝 링(25)은,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부쉬(17)에 대해서 밀착 끼움(압접)되어 있다.
롤러(18)의 내주면(18a)에 있어서의 리테이닝 링(25)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부쉬(17)에 조립 장착된 리테이닝 링(25)을 수용하는 원환형 수용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수용 홈(26)의 일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반 정도)가 오목부(20) 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수용 홈(26)은, 롤러(18)에 있어서의 스프로킷(19)과의 걸림 결합 부분(18b)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인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닝 링(25)과 수용 홈(26)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리테이닝 링(25)의 직경 방향(폭 방향 Y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리테이닝 링(25)과 수용 홈(26) 사이의 간극을 제1 간극(27)이라 하고,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리테이닝 링(25)과 수용 홈(26) 사이의 한 쌍의 간극을 제2 간극(28)이라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간극(27)은 제2 간극(28)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롤러(18)와 오목부(20)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롤러(18)의 단부면(18c)과 오목부(20)의 저면(20a) 사이의 간극을 제3 간극(29)이라 하고, 롤러(18)의 외주면(18d)과 오목부(20)의 측면(20b) 사이의 간극을 제4 간극(30)이라 한다.
다음으로, 시일 체인(1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일 체인(11)을 스프로킷(19)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스프로킷(19)을 회전시키면, 시일 체인(11)이 이동되어, 윤활제(G)에 의해 롤러(18)와 부쉬(17)의 사이가 윤활된다. 그러면, 롤러(18)와 부쉬(17)의 사이에 있는 윤활제(G)는, 롤러(18)의 단부를 향해서 흐르려고 하지만, 그 대부분이 리테이닝 링(25)으로 가두어진다. 이때, 윤활제(G)의 일부는 리테이닝 링(25)과 수용 홈(26) 사이의 간극인 제1 간극(27) 및 제2 간극(28)을 통과하여 리테이닝 링(25)을 돌아 들어가도록 하여 제3 간극(29)을 향해서 흐르려고 하지만, 제1 간극(27) 및 제2 간극(28)은, 좁고 굴곡진 통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윤활제(G)를 통과하기 어렵게 하여 시일하는 소위 래비린스 시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리테이닝 링(25)과 수용 홈(26) 사이의 간극인 제1 간극(27) 및 제2 간극(28)을 통과하여 제3 간극(29)을 향해서 흐르는 윤활제(G)는 얼마 되지 않는다. 이 제3 간극(29)을 향해서 흐른 약간의 윤활제(G)는, 롤러(18)와 오목부(20) 사이의 간극인 제3 간극(29) 및 제4 간극(30)을 통과하여 외부로 흐르려고 하지만, 제3 간극(29) 및 제4 간극(30)은, 좁고 굴곡진 통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윤활제(G)를 통과하기 어렵게 하여 시일하는 소위 래비린스 시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롤러(18)와 오목부(20) 사이의 간극인 제3 간극(29) 및 제4 간극(30)을 통과하여 외부로 흐르는 윤활제(G)는 극히 얼마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체인(11)에서는, 부쉬(17)의 외주면(17a)과 롤러(18)의 내주면(18a)의 사이에 배치된 윤활제(G)가 외부로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의 도중에 2개소의 래비린스 구조(래비린스 시일)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경로의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쉬(17)의 외주면(17a)과 롤러(18)의 내주면(18a)의 사이가 적합하게 시일되므로, 부쉬(17)의 외주면(17a)과 롤러(18)의 내주면(18a) 사이의 윤활제(G)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이 부쉬(17)의 외주면(17a)과 롤러(18)의 내주면(18a)의 사이에 진입하거나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1) 시일 체인(11)에 있어서, 내부 링크 플레이트(12)의 내측면(12a)에는, 롤러(18)의 단부가 삽입되는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롤러(18)의 단부가 오목부(20) 내에 삽입됨으로써, 부쉬(17)와 롤러(18)의 사이에 배치된 윤활제(G)가 외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의 도중에 소위 래비린스 구조가 형성되고, 당해 경로의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부쉬(17)와 롤러(18) 사이의 윤활제(G)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이 부쉬(17)와 롤러(18)의 사이에 진입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부쉬(17)와 롤러(18)의 사이를 적합하게 시일할 수 있으므로, 윤활제(G)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시일 체인(11)의 장수명화에 공헌할 수 있다.
(2) 시일 체인(11)에 있어서, 부쉬(17)의 외주면(17a)에는 리테이닝 링(25)이 조립 장착되고, 롤러(18)의 내주면(18a)에는 리테이닝 링(25)을 수용하는 수용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테이닝 링(25)이 수용 홈(26)에 수용됨으로써, 부쉬(17)와 롤러(18)의 사이에 배치된 윤활제(G)가 외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의 도중에 소위 래비린스 구조가 추가로 형성되므로, 당해 경로의 거리를 더욱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부쉬(17)와 롤러(18) 사이의 윤활제(G)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이 부쉬(17)와 롤러(18)의 사이에 진입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으므로, 부쉬(17)와 롤러(18)의 사이를 보다 한층 적합하게 시일할 수 있다.
(3) 통상, 롤러(18)에 수용 홈(26)을 형성하면, 롤러(18)에 있어서의 수용 홈(26)을 형성한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체인(11)에서는, 수용 홈(26)이 롤러(18)에 있어서의 스프로킷(19)과의 걸림 결합 부분(18b)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롤러(18)에 있어서의 수용 홈(26)을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저하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롤러(18)가 스프로킷(19)과 걸림 결합하므로, 롤러(18)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통상, 롤러(18)에 수용 홈(26)을 형성하면, 롤러(18)에 있어서의 수용 홈(26)을 형성한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체인(11)에서는, 수용 홈(26)의 일부가 오목부(20)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롤러(18)에 있어서의 스프로킷(19)과의 걸림 결합 부분(18b)으로부터 수용 홈(26)을 떼어 놓을 수 있으므로, 롤러(18)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5) 시일 체인(11)에 있어서, 리테이닝 링(25)은, 원환형이며, 그 내경이 가변이다. 이 때문에, 수용 홈(26) 내에 리테이닝 링(25)을 배치한 후에, 리테이닝 링(25)에 부쉬(17)를 압입할 수 있으므로, 리테이닝 링(25)의 조립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6) 시일 체인(11)에 있어서, 오목부(20)와 롤러(18)가 비접촉으로 윤활제(G)의 시일 구조(래비린스 구조)를 형성함과 함께, 리테이닝 링(25)과 수용 홈(26)이 비접촉으로 윤활제(G)의 시일 구조(래비린스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윤활제(G)의 시일 구조(래비린스 구조)에 의해 롤러(18)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으므로, 시일 체인(11)의 사용 시에 있어서 롤러(18)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7) 시일 체인(11)에 있어서, 제1 간극(27)은 제2 간극(28)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핀(21) 및 부쉬(17) 사이에서의 마모에 의해 시일 체인(11)이 직렬 방향 X로 연장된 경우에, 그 연장된 만큼을 제1 간극(27)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리테이닝 링(25)의 주연부가 수용 홈(26)의 저면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시일 체인(11)에서는, 윤활제(G)의 시일 구조에 오일 시일이나 메커니컬 시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윤활제(G)의 시일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리테이닝 링(25)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환형이 아닌 C형 리테이닝 링(40)으로 변경해도 된다.
·리테이닝 링(25)을, 내경이 가변이 아닌 리테이닝 링으로 변경해도 된다.
·수용 홈(26)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20)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 홈(26)의 전체가 오목부(20)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수용 홈(26)은, 반드시 롤러(18)에 있어서의 스프로킷(19)과의 걸림 결합 부분(18b)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수용 홈(26)은, 롤러(18)에 있어서의 스프로킷(19)과의 걸림 결합 부분(18b)에 형성해도 된다.
·시일 체인(11)에 있어서, 리테이닝 링(25) 및 수용 홈(26)은 생략해도 된다.
·시일 체인(11)은, 대향하는 두 링크 플레이트의 직렬 방향 X에 있어서의 일단부의 폭을 타단부의 폭보다도 좁아지도록 만곡시킨 링크를, 부쉬(17) 및 핀(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복수 연결한, 소위 오프셋 타입의 체인이어도 된다.
11: 시일 체인
12: 내부 링크 플레이트
14: 외부 링크 플레이트
17: 부쉬
18: 롤러
18b: 걸림 결합 부분
19: 스프로킷
20: 오목부
21: 핀
25: 리테이닝 링
26: 수용 홈
G: 윤활제

Claims (5)

  1. 서로 대향하여 떨어져서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에 양단부가 각각 접합되는 통형 부쉬와,
    상기 부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과,
    상기 부쉬가 삽입되어서 상기 부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통형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를 외측으로부터 집듯이 배치되어서 상기 핀의 양단부가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
    를 구비한 시일 체인이며,
    상기 내부 링크 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롤러의 단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의 외주면에는 리테이닝 링이 조립 장착되고, 상기 롤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리테이닝 링을 수용하는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체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은, 상기 롤러에 있어서의 스프로킷과의 걸림 결합 부분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체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체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링은, 원환형이며, 그 내경이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체인.
KR1020197015286A 2016-11-04 2017-10-03 시일 체인 KR102215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6156 2016-11-04
JP2016216156A JP6339159B2 (ja) 2016-11-04 2016-11-04 シールチェーン
PCT/JP2017/035891 WO2018083926A1 (ja) 2016-11-04 2017-10-03 シールチェ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461A true KR20190077461A (ko) 2019-07-03
KR102215891B1 KR102215891B1 (ko) 2021-02-16

Family

ID=6207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286A KR102215891B1 (ko) 2016-11-04 2017-10-03 시일 체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9605B2 (ko)
JP (1) JP6339159B2 (ko)
KR (1) KR102215891B1 (ko)
CN (1) CN109844363B (ko)
DE (1) DE112017005574T5 (ko)
WO (1) WO201808392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9032A (ja) * 2006-09-29 2008-04-17 Tsubakimoto Chain Co 長寿命チェーン
JP2012145186A (ja) * 2011-01-13 2012-08-02 Tsubakimoto Chain Co コンベヤチェーン
JP2014152908A (ja) 2013-02-13 2014-08-25 Oriental Chain Mfg Co Ltd ローラチェーン
JP2015232352A (ja) * 2014-06-09 2015-12-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501B2 (ja) 2004-03-30 2010-08-04 大同工業株式会社 ローラチェーン
DE102005054600A1 (de) 2005-11-14 2007-05-2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Zylinderkolbeneinheit mit einer nichtzylindrischen Kammer
TWM294597U (en) * 2006-02-09 2006-07-21 Kmc Chain Ind Co Ltd Chain plate of roller chain capable of enhancing strength
JP2008164043A (ja) 2006-12-27 2008-07-17 Tsubakimoto Chain Co 無給油チェーン
JP4302754B2 (ja) 2007-05-15 2009-07-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無給油チェーン
JP2009047281A (ja) 2007-08-22 2009-03-05 Tsubakimoto Chain Co 無給油チェーン
JP2009052624A (ja) 2007-08-24 2009-03-12 Tsubakimoto Chain Co 搬送用長寿命チェーン
CN204284307U (zh) * 2014-11-12 2015-04-22 杭州顺峰链业有限公司 异形滚子链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9032A (ja) * 2006-09-29 2008-04-17 Tsubakimoto Chain Co 長寿命チェーン
JP2012145186A (ja) * 2011-01-13 2012-08-02 Tsubakimoto Chain Co コンベヤチェーン
JP2014152908A (ja) 2013-02-13 2014-08-25 Oriental Chain Mfg Co Ltd ローラチェーン
JP2015232352A (ja) * 2014-06-09 2015-12-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5516A1 (en) 2021-09-16
WO2018083926A1 (ja) 2018-05-11
KR102215891B1 (ko) 2021-02-16
JP6339159B2 (ja) 2018-06-06
DE112017005574T5 (de) 2019-09-05
JP2018071760A (ja) 2018-05-10
US11499605B2 (en) 2022-11-15
CN109844363A (zh) 2019-06-04
CN109844363B (zh)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5969B2 (ja)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JP4098340B2 (ja) シールチェーン
US9004269B2 (en) Conveyor chain
KR101783082B1 (ko) 베어링 롤러 체인
US20080076613A1 (en) Oil-free chain
JP2008133871A (ja)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JP2008116014A (ja) シールチェーン
JP2008164043A (ja) 無給油チェーン
KR20190077461A (ko) 시일 체인
JP6662405B2 (ja) シールチェーン
JP5094779B2 (ja) シールチェーン
JP4476068B2 (ja)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JP4815258B2 (ja) アンローダ用シールチェーン
JP6392031B2 (ja) サイドローラ及びサイドローラ付きチェーン
JP5822717B2 (ja) シールチェーン
KR101874676B1 (ko) 체인
KR102320512B1 (ko) 복열 시일 체인
KR102604188B1 (ko) 씰링성이 향상된 구름 베어링
JP2005083429A (ja) シールチェーン
JP2012102822A (ja) 無給油チェーン
JP2012021541A (ja) 無給油チェーン
JP2013127300A (ja) 耐摩耗チェーン
JP2019183912A (ja) シールチェーン及びローラブシュ
KR20200037987A (ko) 주유형 세라믹래깅 리턴아이들러
JP2008082407A (ja) 無給油チェ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