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082B1 - 베어링 롤러 체인 - Google Patents

베어링 롤러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082B1
KR101783082B1 KR1020140121822A KR20140121822A KR101783082B1 KR 101783082 B1 KR101783082 B1 KR 101783082B1 KR 1020140121822 A KR1020140121822 A KR 1020140121822A KR 20140121822 A KR20140121822 A KR 20140121822A KR 101783082 B1 KR101783082 B1 KR 101783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ush
regulating member
peripheral surfac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631A (ko
Inventor
유스케 니시자와
다카히사 안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5003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8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to an inner race and extending toward the outer r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80Labyrinth sealings
    • F16C33/805Labyrinth sealings in addition to other sealings, e.g. dirt guards to protect sealings with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02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내마모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베어링 롤러 체인을 제공한다. 베어링 롤러 체인(11)은,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12)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부쉬(17)와, 부쉬(17)가 삽입 관통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롤러(18)와, 롤러(18)의 내주면(18a)과 부쉬(17)의 외주면(17a)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제의 구름대(19)와, 부쉬(17)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롤러(18)의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양측의 개구부(18b)에 끼워 넣어져 각 구름대(19)의 폭 방향 Y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원환상을 이루는 비금속제의 규제 부재(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베어링 롤러 체인{BEARING ROLLER CHAI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물품의 반송 등에 사용되는 베어링 롤러 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베어링 롤러 체인으로서는, 대향하는 내측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부쉬 외주면과 당해 부쉬가 삽입 관통되는 원통 형상의 롤러의 내주면 사이에 복수의 구름대가 배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특허문헌 1과 같은 베어링 롤러 체인에서는, 롤러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플랜지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구름대를 보유 지지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롤러 내에는 구름대의 회전을 윤활하는 윤활유가 충진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46413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베어링 롤러 체인에서는, 롤러, 플랜지 및 구름대는, 통상, 금속에 의해 구성된다. 이 때문에, 베어링 롤러 체인의 사용 시에는, 구름대가 회전함으로써, 특히 구름대와 플랜지의 마찰, 즉 금속끼리의 마찰에 의해, 높은 마찰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마찰열에 의해 윤활유의 온도가 상승하면, 윤활유의 점성이 저하되어, 롤러 내로부터 윤활유가 누설되기 쉬워진다. 이 결과, 구름대의 회전의 윤활이 부족하여, 내마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내마모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베어링 롤러 체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베어링 롤러 체인은,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부쉬와, 상기 부쉬가 삽입 관통되는 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롤러와, 상기 롤러의 내주면과 상기 부쉬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제의 구름대와, 상기 부쉬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축선 방향의 양측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져 상기 각 구름대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상을 이루는 비금속제의 규제 부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 부재는 비금속제이기 때문에, 금속제의 구름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금속끼리간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비해 낮게 억제된다. 그리고, 통상, 롤러의 내주면에는 윤활용의 그리스가 도포되지만, 규제 부재와 구름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낮게 억제됨으로써, 그리스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어 점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그리스가 롤러 내로부터 누설되기 어려워지므로, 내마모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베어링 롤러 체인에 있어서, 상기 부쉬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규제 부재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환상의 완충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를 완충 부재에 의해 완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베어링 롤러 체인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외경은 상기 롤러의 내경보다도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링크 플레이트와, 규제 부재 및 롤러의 각각의 사이를 완충 부재에 의해 완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베어링 롤러 체인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외경은 상기 롤러의 외경과 상기 롤러의 내경의 평균보다도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베어링 롤러 체인을 홈 형상의 레일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완충 부재의 레일에의 접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베어링 롤러 체인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롤러의 내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부쉬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롤러측의 면은, 상기 롤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 부재측의 면 및 상기 규제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 부재측의 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롤러 내의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당해 그리스는, 규제 부재의 내주면과 부쉬의 외주면 사이, 완충 부재와 규제 부재 사이, 완충 부재와 롤러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 때문에, 롤러 내의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의 경로가, 규제 부재의 외주면과 롤러의 내주면 사이나 완충 부재의 내주면과 부쉬의 외주면 사이를 통하여 롤러 내의 그리스가 누출되는 경우의 경로에 비해 길어지므로, 롤러 내의 그리스의 외부로의 누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마모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베어링 롤러 체인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베어링 롤러 체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3은 상기 베어링 롤러 체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이하, 베어링 롤러 체인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롤러 체인(11)은, 그 폭 방향 Y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금속제의 링크 플레이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측 링크(13)와, 동일하게 폭 방향 Y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금속제의 링크 플레이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 링크(15)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링크(13)는 대향하는 2개의 링크 플레이트(12) 간의 간격이 외측 링크(15)보다도 상대적으로 좁은 링크이며, 외측 링크(15)는 대향하는 2개의 링크 플레이트(14) 간의 간격이 내측 링크(13)보다도 상대적으로 넓은 링크이다. 그리고, 베어링 롤러 체인(11)은, 내측 링크(13)와 외측 링크(15)가 교대로 배치되고, 그 직렬 방향(X)에서 인접하는 서로의 단부끼리가 회동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의 각 링크(13, 15)의 링크 플레이트(12, 14)는, 베어링 롤러 체인(11)이 그 길이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인장되어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 방향으로도 되는 직렬 방향(X)을 따라서 연장되는 라운드된 판상을 이루고,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12, 14)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베어링 롤러 체인(11)은, 그 직렬 방향(X)에 있어서의 각 링크(13, 15)의 일단측과 타단측에서 폭 방향(Y)에 있어서의 링크 플레이트(12, 14) 간의 간격이 동등해지도록 구성된 소위 플랫 타입의 체인이라고 할 수 있다.
링크 플레이트(12)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X)의 양단부에는, 각각 원형의 부쉬 삽입 구멍(16)이 링크 플레이트(12)의 두께 방향으로도 되는 폭 방향(Y)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링크(13)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링크 플레이트(12) 사이에는, 링크 플레이트(12) 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부쉬(17)가 2개 조립된다.
각 부쉬(17)는, 2개의 링크 플레이트(12) 간을 걸치도록, 양단부가 각 링크 플레이트(12)의 부쉬 삽입 구멍(16)에 대하여 각각 끼워 맞춰져 있다. 각 부쉬(17)는 각각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롤러(18)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경우, 롤러(18)의 축선은 폭 방향(Y)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롤러(18)의 축선 방향은 폭 방향(Y)과 일치하고 있다.
롤러(18)의 내주면(18a)에는 윤활용의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다. 롤러(18)의 내주면(18a)과 부쉬(17)의 외주면(17a) 사이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0개)의 금속제의 구름대(19)가 롤러(18)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쉬(17)는 각 구름대(19)를 통하여 롤러(1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8)의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양측의 개구부(18b)에는, 각 구름대(19)의 폭 방향(Y)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원환상을 이루는 비금속제의 규제 부재(20)가 각각 끼워 넣어져 있다. 이 경우, 각 규제 부재(20)에는 부쉬(17)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되어 있어, 각 규제 부재(20)의 외주면(20a)은 각각 롤러(18)의 내주면(18a)에 밀착되어 있다.
이 경우, 각 규제 부재(20)의 내주면(20c)과 부쉬(17)의 외주면(17a)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규제 부재(20)에 있어서의 폭 방향(Y)의 외측면(20b)은, 폭 방향(Y)에 있어서의 롤러(18)의 측면(18c)과 각각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규제 부재(20)는 합성 수지의 일종으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폭 방향(Y)에 있어서의 각 규제 부재(20)와 각 링크 플레이트(12) 사이에는, 원환상을 이루는 폴리아미드제의 완충 부재(21)가 롤러(18)의 각 개구부(18b)를 덮도록 각각 개재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완충 부재(21)에는 부쉬(17)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어 있어, 각 완충 부재(21)의 내주면(21a)은 각각 부쉬(17)의 외주면(17a)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완충 부재(21)에 있어서의 폭 방향(Y)의 내측면(21b)은, 롤러(18)의 각 측면(18c) 및 각 규제 부재(20)의 외측면(20b)에 미끄러지도록 접하고 있다. 따라서, 각 완충 부재(21)는 폭 방향(Y)에 있어서의 롤러(18)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완충 부재(21)의 두께는, 규제 부재(20)의 두께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21)의 외경은, 롤러(18)의 내경보다도 크고 또한 롤러(18)의 외경과 롤러(18)의 내경의 평균보다도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링크 플레이트(14)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X)의 양단부에는, 각각 부쉬(17)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핀(22)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핀 삽입 구멍(23)이 링크 플레이트(14)의 두께 방향으로도 되는 폭 방향(Y)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핀(22)의 선단부에는, 직렬 방향(X) 및 폭 방향(Y)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링크(15)의 링크 플레이트(14)는, 부쉬(17)가 2개의 링크 플레이트(12) 간에 조립되어 형성된 내측 링크(13)에 있어서의 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으로부터 핀(22)을 통하여 내측 링크(13)의 링크 플레이트(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핀(22)은 양단부 이외의 중간부가 내측 링크(13)의 2개의 링크 플레이트(12) 간에 조립된 부쉬(17)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외측 링크(15)의 링크 플레이트(14)의 핀 삽입 구멍(23)에 대하여 끼워 맞춰져 있다.
이 경우, 핀(22)의 기단부에는 핀 삽입 구멍(23)보다도 직경이 큰 직경 확대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핀(22)의 선단부의 관통 구멍(22a)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삽입 구멍(23)의 직경보다도 긴 막대 형상의 걸림 핀(24)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걸림 핀(24)의 선단부가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핀(22)은, 직경 확대부(22b) 및 걸림 핀(24)의 작용에 의해, 핀 삽입 구멍(23)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쉬(17)의 내주면(17b)과 핀(22)의 외주면(22c) 사이에는 윤활유가 개재되어 있다.
다음에, 베어링 롤러 체인(1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어링 롤러 체인(11)은, 물품의 반송에 사용되며, 예를 들면 복수의 스프로킷(도시 생략)에 권회된 상태에서 당해 각 스프로킷의 둘레를 주회 이동시키도록 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베어링 롤러 체인(11)의 사용 시에는, 롤러(18)와 규제 부재(20)가 일체 회전하거나, 부쉬(17)와 완충 부재(21)가 일체 회전하거나 한다. 롤러(18)와 규제 부재(20)가 일체 회전하면, 각 구름대(19)가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렇게 되면, 각 구름대(19)와 규제 부재(20)가 서로 스쳐서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때, 각 구름대(19)는 금속제이지만, 규제 부재(20)가 폴리아미드제(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규제 부재(20)가 금속제인 경우에 비해, 마찰열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된다. 이 때문에, 롤러(18) 내의 각 구름대(19)를 윤활하는 그리스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므로, 그리스의 점성 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롤러(18) 내로부터 외부로 그리스가 누출되기 어려워지므로, 롤러(18)나 각 구름대(19)의 윤활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롤러(18)나 각 구름대(19)의 내마모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베어링 롤러 체인(11)은, 각 규제 부재(20)의 외주면(20a)이 각각 롤러(18)의 내주면(18a)에 밀착되고, 각 완충 부재(21)의 내주면(21a)이 각각 부쉬(17)의 외주면(17a)에 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롤러(18) 내의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당해 그리스는, 각 규제 부재(20)의 내주면(20c)과 부쉬(17)의 외주면(17a) 사이의 간극, 각 완충 부재(21)의 내측면(21b)과 각 규제 부재(20)의 외측면(20b) 사이, 각 완충 부재(21)의 내측면(21b)과 롤러(18)의 각 측면(18c)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롤러(18) 내의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의 경로가, 각 규제 부재(20)의 외주면(20a)과 롤러(18)의 내주면(18a) 사이나 각 완충 부재(21)의 내주면(21a)과 부쉬(17)의 외주면(17a) 사이를 통하여 롤러(18) 내의 그리스가 누출되는 경우의 경로에 비해 길어지므로, 롤러(18) 내의 그리스의 외부로의 누출이 억제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롤러(18) 내에 진입하는 경우의 경로도 롤러(18) 내의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의 경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그리스의 누출이 억제되는 것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롤러(18) 내에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이상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1) 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규제 부재(20)는 폴리아미드제(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금속제의 구름대(19)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금속끼리간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비해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롤러(18) 내에서의 마찰열의 발생에 의한 그리스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므로, 당해 그리스의 점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리스가 롤러(18) 내로부터 누설되기 어려워지므로, 그리스의 윤활 부족에 의한 내마모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2) 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완충 부재(21)는 부쉬(17)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폭 방향(Y)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0)와 링크 플레이트(1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규제 부재(20)와 링크 플레이트(12) 사이를 완충 부재(21)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3) 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완충 부재(21)의 외경은 롤러(18)의 내경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링크 플레이트(12)와, 규제 부재(20) 및 롤러(18)의 각각의 사이를 완충 부재(21)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4) 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완충 부재(21)의 외경은 롤러(18)의 외경과 롤러(18)의 내경의 평균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베어링 롤러 체인(11)을 홈 형상의 레일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완충 부재(21)가 레일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각 규제 부재(20)의 외주면(20a)이 각각 롤러(18)의 내주면(18a)에 밀착하고, 각 완충 부재(21)의 내주면(21a)이 각각 부쉬(17)의 외주면(17a)에 밀착하고, 각 완충 부재(21)에 있어서의 폭 방향(Y)의 내측면(21b)은 롤러(18)의 각 측면(18c) 및 각 규제 부재(20)의 외측면(20b)에 미끄러지도록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롤러(18) 내의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당해 그리스는, 각 규제 부재(20)의 내주면(20c)과 부쉬(17)의 외주면(17a) 사이의 간극, 각 완충 부재(21)의 내측면(21b)과 각 규제 부재(20)의 외측면(20b) 사이, 각 완충 부재(21)의 내측면(21b)과 롤러(18)의 각 측면(18c)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롤러(18) 내의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의 경로를, 각 규제 부재(20)의 외주면(20a)과 롤러(18)의 내주면(18a) 사이나 각 완충 부재(21)의 내주면(21a)과 부쉬(17)의 외주면(17a) 사이를 통하여 롤러(18) 내의 그리스가 누출되는 경우의 경로에 비해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18) 내의 그리스의 외부로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롤러(18) 내에 진입하는 경우의 경로도 롤러(18) 내의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의 경로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그리스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롤러(18) 내로의 이물의 진입을 억제할 수 있다.
(6) 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롤러(18)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롤러의 내주면에 플랜지를 일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롤러(18)의 제조가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게다가, 롤러(18)의 내주면(18a)에는 종래와 같은 플랜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롤러(18) 내에 각 구름대(19)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작업이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변경예)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ㆍ각 규제 부재(20)의 외주면(20a)은 반드시 롤러(18)의 내주면(18a)에 밀착시킬 필요는 없다.
ㆍ각 완충 부재(21)의 내주면(21a)은 반드시 부쉬(17)의 외주면(17a)에 밀착시킬 필요는 없다.
ㆍ각 완충 부재(21)에 있어서의 폭 방향(Y)의 내측면(21b)은, 반드시 롤러(18)의 각 측면(18c) 및 각 규제 부재(20)의 외측면(20b)에 미끄러지도록 접하게 할 필요는 없다.
ㆍ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완충 부재(21)의 외경은 반드시 롤러(18)의 외경과 롤러(18)의 내경의 평균보다도 작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21)의 외경을 롤러(18)의 외경보다도 크게 해도 된다.
ㆍ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완충 부재(21)의 외경은 반드시 롤러(18)의 내경보다도 크게 할 필요는 없다.
ㆍ베어링 롤러 체인(11)에 있어서, 완충 부재(21)는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각 규제 부재(20)의 내주면(20c)을 부쉬(17)의 외주면(17a)에 미끄러지도록 접하게 해도 된다. 즉, 각 규제 부재(20)의 내주면(20c)과 부쉬(17)의 외주면(17a) 사이의 간극을 없애도 된다.
ㆍ규제 부재(20)는 폴리아미드 이외의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ㆍ규제 부재(20)는 세라믹, 유리, 목재 등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ㆍ규제 부재(20)의 두께는 임의로 변경해도 된다.
ㆍ베어링 롤러 체인(11)은,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의 직렬 방향(X)에 있어서의 일단측과 타단측에서 폭 방향(Y)의 간격이 상이하도록 형성된 링크를 직렬 방향(X)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형성되는, 소위 오프셋 타입의 체인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이하에 기재한다.
(가) 상기 규제 부재는 합성 수지제이다.
이와 같이 하면, 규제 부재를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11: 베어링 롤러 체인
12: 링크 플레이트
17: 부쉬
17a: 부쉬(17)의 외주면
18: 롤러
18a: 롤러(18)의 내주면
18b: 개구부
18c: 롤러(18)의 측면
19: 구름대
20: 규제 부재
20a: 규제 부재(20)의 외주면
20b: 규제 부재(20)의 외측면
21: 완충 부재
21a: 완충 부재(21)의 내주면
21b: 완충 부재(21)의 내측면
Y: 축선 방향의 일례로서의 폭 방향

Claims (6)

  1.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부쉬와,
    상기 부쉬가 삽입 관통되는 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롤러와,
    상기 롤러의 내주면과 상기 부쉬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제의 구름대와,
    상기 부쉬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축선 방향의 양측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져 상기 각 구름대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상을 이루는 비금속제의 규제 부재와,
    상기 부쉬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규제 부재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환상의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외경은 상기 롤러의 내경보다도 크며,
    상기 규제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롤러의 내주면에 밀착하며, 상기 규제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부쉬의 외주면과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부쉬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롤러 측의 면은, 상기 롤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 부재측의 면 및 상기 규제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 부재측의 면에 미끄러지도록 접하고 있는, 베어링 롤러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외경은 상기 롤러의 외경과 상기 롤러의 내경의 평균보다도 작은, 베어링 롤러 체인.
  3.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부쉬와,
    상기 부쉬가 삽입 관통되는 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롤러와,
    상기 롤러의 내주면과 상기 부쉬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제의 구름대와,
    상기 부쉬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축선 방향의 양측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져 상기 각 구름대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상을 이루는 비금속제의 규제 부재와,
    상기 부쉬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규제 부재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환상의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외경은 상기 롤러의 외경과 상기 롤러의 내경의 평균보다도 작으며,
    상기 규제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롤러의 내주면에 밀착하며, 상기 규제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부쉬의 외주면과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부쉬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롤러 측의 면은, 상기 롤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 부재측의 면 및 상기 규제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 부재측의 면에 미끄러지도록 접하고 있는, 베어링 롤러 체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21822A 2013-09-19 2014-09-15 베어링 롤러 체인 KR101783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4155 2013-09-19
JP2013194155A JP5675923B1 (ja) 2013-09-19 2013-09-19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631A KR20150032631A (ko) 2015-03-27
KR101783082B1 true KR101783082B1 (ko) 2017-09-28

Family

ID=5258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822A KR101783082B1 (ko) 2013-09-19 2014-09-15 베어링 롤러 체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2314B2 (ko)
JP (1) JP5675923B1 (ko)
KR (1) KR101783082B1 (ko)
CN (1) CN104455205B (ko)
DE (1) DE102014218423B4 (ko)
TW (1) TWI5603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50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9193A2 (en) * 2014-07-30 2016-02-04 Itr America Llc Cutting link for mining chain and mining pin retention system
US9416848B2 (en) * 2014-12-10 2016-08-16 U.S. Tsubaki, Inc. Pin-roller chain
CN106352020A (zh) * 2015-07-15 2017-01-25 王俊 升降装置及其刚性链传动结构
US10183809B2 (en) * 2016-05-24 2019-01-22 Habasit Ag Pin retention for conveyor modules
CN106438846B (zh) * 2016-11-30 2018-09-07 浙江神牛机械制造有限公司 轴承滚子链条及带有该轴承滚子链条的垂直循环系统车库
US11846187B2 (en) 2017-08-30 2023-12-19 Itr America, Llc Mining pin retention system
JP6691153B2 (ja) * 2018-02-09 2020-04-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チェーンユニット
CN112855760A (zh) * 2021-04-07 2021-05-28 宁波顺超轴承有限公司 一种圆柱滚子轴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286B1 (ko) * 2001-02-09 2005-02-0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로울러 베어링 및 이 로울러 베어링을 조립한 체인
KR100554435B1 (ko) 2001-08-09 2006-02-22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632A (en) * 1896-10-20 Drive-chain
US624492A (en) * 1899-05-09 Ernst gustav hoffmann
US501587A (en) * 1893-07-18 Drive-chain
US2428060A (en) * 1944-08-07 1947-09-30 Chain Belt Co Chain joint
US3278000A (en) * 1964-12-14 1966-10-11 Anson Ind Inc L Conveyor chain with disconnectable ball bearing link joints
JPS5560713A (en) * 1978-10-31 1980-05-08 Yamakiyuu Chain Kk Manufacturing method of chain roller
JPS624112A (ja) * 1985-06-26 1987-01-10 Tsubakimoto Chain Co チエ−ン
JPS624122A (ja) * 1985-06-26 1987-01-10 Tsubakimoto Chain Co ロ−ラチエ−ン
JPS6224122A (ja) * 1985-07-24 1987-02-02 Canon Inc ヌ−ド型イオンゲ−ジ球
JPH0452173Y2 (ko) * 1986-08-04 1992-12-08
US4729754A (en) * 1986-10-15 1988-03-08 Rexnord Inc. Sealed bushing joint for chain
DE3913933C2 (de) * 1989-04-27 1997-04-10 Kolb Gmbh & Co Hans Transportkette für Textilverarbeitungsmaschinen
JPH0454350A (ja) * 1990-06-25 1992-02-21 Borg Warner Automot Kk 低騒音チェーン及びチェーン伝動装置
JPH073059Y2 (ja) 1990-07-18 1995-0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金属製ブシユを一体成形した樹脂製ころ軸受、及び該軸受を組込んだチェーン
JPH06307501A (ja) * 1993-04-26 1994-11-01 Masao Kubota チェーン
JP3336330B2 (ja) * 1997-03-10 2002-10-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円筒コロを内装したローラを有するコンベヤチェーン
JP3269026B2 (ja) * 1998-04-27 2002-03-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ローラチェーン
GB9907173D0 (en) * 1999-03-30 1999-05-26 Renold Plc A chain
JP3434244B2 (ja) * 1999-08-26 2003-08-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円筒ころ軸受
DE19941306C1 (de) * 1999-08-31 2001-01-18 Monforts Textilmaschinen Gmbh Rollenkette
JP4410348B2 (ja) * 1999-09-20 2010-02-03 大同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チェーン
JP2002227938A (ja) 2001-01-30 2002-08-14 Tsubakimoto Chain Co ローラチェーン
JP2002340106A (ja) * 2001-05-15 2002-11-27 Tsubakimoto Chain Co 転動体を組み込んだチェーン
US6978886B2 (en) * 2003-07-29 2005-12-27 Globe Composite Solutions, Ltd. Non-metallic drive chain
JP4476068B2 (ja) 2004-08-02 2010-06-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JP4260181B2 (ja) * 2006-11-27 2009-04-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JP4255969B2 (ja) * 2006-12-05 2009-04-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JP4455608B2 (ja) * 2007-03-20 2010-04-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円筒ころ型ローラチェーン
JP5637871B2 (ja) * 2011-01-13 2014-12-1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コンベヤチェーン
CN202091427U (zh) * 2011-06-01 2011-12-28 杭州顺峰链业有限公司 轴承滚子链
JP5880185B2 (ja) 2012-03-21 2016-03-08 横浜ゴム株式会社 防舷材カバー層用ゴム組成物、これを用いる防舷材、空気式防舷材及びソリッド式防舷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286B1 (ko) * 2001-02-09 2005-02-0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로울러 베어링 및 이 로울러 베어링을 조립한 체인
KR100554435B1 (ko) 2001-08-09 2006-02-22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50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KR102444001B1 (ko) 2020-08-20 2022-09-20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18423A1 (de) 2015-03-19
TW201512563A (zh) 2015-04-01
CN104455205A (zh) 2015-03-25
US9482314B2 (en) 2016-11-01
CN104455205B (zh) 2016-08-31
DE102014218423B4 (de) 2022-10-13
US20150080161A1 (en) 2015-03-19
JP5675923B1 (ja) 2015-02-25
JP2015059623A (ja) 2015-03-30
TWI560378B (en) 2016-12-01
KR20150032631A (ko) 201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082B1 (ko) 베어링 롤러 체인
JP5518008B2 (ja) コンベヤチェーン
JP5637871B2 (ja) コンベヤチェーン
KR20080024432A (ko) 시일 체인
US20080234086A1 (en) Cylindrical roller-incorporated roller chain
US20080076613A1 (en) Oil-free chain
JP2009173410A (ja) サイドローラ付きコンベヤチェーン
CA3027161C (en) Nonmetallic bearing on bearing assembly
US9416848B2 (en) Pin-roller chain
JP6392031B2 (ja) サイドローラ及びサイドローラ付きチェーン
KR102215891B1 (ko) 시일 체인
KR101874676B1 (ko) 체인
JP2012245174A (ja) スライドレール
JP6411596B1 (ja)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JP2013133926A (ja) シールチェーン
JP6508241B2 (ja) チェーン
JP2012102822A (ja) 無給油チェーン
JP2019183912A (ja) シールチェーン及びローラブシュ
GB2514755A (en) A Chain
JP2014129832A (ja) 密封装置
JP6186264B2 (ja) 潤滑構造を備えるリニアガイド
JP2017003057A (ja) ローラチェーン
JP2015137687A (ja) リンクプレートおよびチェーン
JP2018165518A (ja) チェン
JP2018076886A (ja) チェ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