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050A -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 Google Patents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050A
KR20220023050A KR1020200104501A KR20200104501A KR20220023050A KR 20220023050 A KR20220023050 A KR 20220023050A KR 1020200104501 A KR1020200104501 A KR 1020200104501A KR 20200104501 A KR20200104501 A KR 20200104501A KR 20220023050 A KR20220023050 A KR 20220023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uide rail
pair
circul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001B1 (ko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to KR102020010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0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따르면, 하나의 안내레일이 하나의 안내롤러만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링크의 구조를 보강하기 별도의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구름베어링에 주입된 윤활유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와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 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고의 순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링크의 구조가 견고해지며, 윤활유의 유출이 방지되는 효과와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의 교체가 수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VERTICAL CIRCULATION PA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순환 회전하는 여러 개의 차고를 구비한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누적된 차량의 증가에 비하여 주차 공간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어서, 신축 건물을 지을 때 건축 규정에 따라 일정한 주차 공간을 마련해야만 한다.
일반적인 경우 지하 공간이나 옥상, 또는 특정 층 전체나 건물의 측면 공간 등을 주차 공간으로 확보한다. 그러나 그런 전통적인 주차 공간의 확보 방법은 특히 도심에서 대지나 건물의 층당 면적이 주는 절대적인 수용 한계로 인하여 충분한 주차 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기축 건물의 경우 증가하는 차량 대수에 비하여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는 실정이어서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주차 공간을 확보할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따라서 여러 대의 차량을 수직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주차 설비를 구축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별도의 주차 설비로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이하 '주차장비'라 약칭함)가 본 발명과 관련된다.
주차장비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에 구동장치에 의해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을 설치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순환체인에는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차고가 매달려 있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서,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차고도 순환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71130호의 도면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안내레일(해당 공보에는 '가이더'로 명칭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53334호의 도면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차고의 과도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차고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레일(해당 공보에는 '가이드레일'로 명침됨)을 가진다.
위와 같은 주차장비는 차고의 안정적인 순환 회전과 수명 연장을 위해 여러 구성품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발명은 차고 안내레일, 체인 안내레일 및 순환체인의 구조 등에 관한 것이다.
먼저, 차고 안내레일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고안내레일은 메인체인의 어느 일 지점에 매달린 차고가 수직 순환 이동하는 동안 차고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차고가 요동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차고에는 안내롤러가 구비되어서 안내롤러가 차고안내레일의 안내를 받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차고의 양측에 한 개씩의 안내롤러를 구비하고, 차고의 순환 회전 영역을 사이에 두고서는 양 측으로 나뉘어 두 개의 차고 안내레일을 구비하였다. 즉, 차고의 일 측 안내롤러는 일 측 차고 안내레일의 안내를 받고, 차고의 타 측 안내롤러는 타 측 차고 안내레일의 안내를 받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차고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구역에서는 일 측 안내롤러가 일 측 차고 안내레일에서 진출하면서 타 측 안내롤러가 타 측 차고 안내레일에 진입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고 안내레일은 차고의 이동 방향 전환 구역(수직 승강 후 수직 하강 또는 그 반대 이동을 하기 위해 방향이 전환되는 회전 구역)에 적절한 반경을 가진 둥근 곡선 형태의 곡선 안내부위를 가진다. 이는 이동 방향 전환 구역에서 차고가 일정 반경을 가진 회전 이동을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곡선 안내부위에서 차고의 안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생한다. 사각지대는 안내롤러의 회전 반지름과 안내레일의 이동궤적의 반지름이 유사한 궤적으로 근접하는 위치에서 발생한다.
그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6061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와 같이 차고의 양 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2개씩의 안내롤러를 구비하고, 그에 따른 차고 안내레일을 갖춘 구조가 도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순환체인에 매달려 있는 차고(130)의 양 쪽에는 2개의 안내롤러가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프레임의 양 쪽에 상호 대칭되는 구조로 차고 안내레일이 구비된다. 그리고 차고 안내레일은 상하 방향으로 중간 부위가 하나의 직선 레일로써 상·하 안내롤러의 궤적을 공유하는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그 상하 양 쪽에는 각각 2개의 곡선 레일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직선 레일 구조는 차고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곡선 레일 구조는 차고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곡선 이동을 안내한다. 따라서 차고의 상하 2개의 안내롤러가 직선 레일 구조의 중간 부위에서는 동일한 수직선상을 공동으로 사용하여 이동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곡선 레일 구조의 상하 측 부위에서는 서로 다른 안내 경로로 갈라져서 이동하다가 다시 직선 경로에서는 서로 합쳐져서 진입한다. 이를 위해 직선 경로에서 곡선 경로로 갈라지거나 곡선 경로에서 직선 경로로 합쳐져서 진입하는 부위에서 원활한 안내롤러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도 20의 참조도에서와 같이 첨단부(T)(안내롤러의 유도가 용이하도록 초입부를 확장한 형태로써, 안내롤러가 안내레일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곡면부를 가진 유도부)가 필요했다. 그런데, 이러한 첨단부(T)의 존재는 해당 부위에서 차고의 이동을 적절히 안내하지 못하는 안내의 단절부분(EP)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상측 안내롤러 및 하측 안내롤러가 차고안내레일의 분기 영역을 이동하는 동안에 곡선부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시적으로 안내 기능이 수행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될 수 있으며, 또한 분기 영역에서 경로가 분리되는 순간 안내롤러들이 분기 영역의 첨단부(T)의 곡면부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안내롤러와 곡면부가 충돌되어, 안내롤러들이 손상되고 소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수직 이동 구간에서 상부·하부의 두 개 롤러가 동시에 차고안내레일의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차고의 요동에 의해 안내롤러들이 안내홈에 끼어 이동 방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안내롤러들과 차고안내레일 간 필요 이상의 간섭이 발생함에 따라 구동장치에 부하가 가해지고 안내롤러나 안내레일이 손상된다.
한편, 체인 안내레일은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체인 안내레일은 그 안정성을 위해 프레임에 단단히 용접 접합된다. 그런데, 체인 안내레일은 순환체인과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수시로 체인 안내레일을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체인 안내레일이 프레임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교체가 곤란한 점이 있다.
이어서 순환체인과 관련해서 알아본다.
순환체인은 많은 링크들이 연이어 결합된 엔드리스(endless) 체인구조로써 하나의 큰 체인고리를 이루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순환체인은 체인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순환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원활할 이동을 위해 자전롤러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자전롤러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자전롤러의 내부에 있는 베어링 쪽에 윤활유를 채워준다. 따라서 윤활유의 유출 및 그에 따른 오수 발생의 문제가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또한, 순환체인을 이루는 링크판들 간의 결속력이 충분히 강하지 않아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차고 안내레일, 체인 안내레일 및 순환체인의 구조를 변경하여 보다 더 정확하고 안정성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하는 동기에서 출발하였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순환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차고들;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안내장치; 상기 차고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차고 안내장치는 상기 차고의 상승 이동을 안내하는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 상기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에 안내되면서 상승한 상기 차고를 상승 이동에서 수평 이동으로 안내하는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상측 전환용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수평 이동으로 전환된 상기 차고를 수평 이동에서 하강 이동으로 안내하는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하강 이동으로 전환된 상기 차고의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 상기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에 안내되면서 하강한 상기 차고를 하강 이동에서 수평 이동으로 안내하는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및 상기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수평 이동으로 전환된 상기 차고를 수평 이동에서 상승 이동으로 안내하는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 상기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 상기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은 서로 이격되어서 분리되게 위치하며, 각각 상기 차고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차고에 있는 안내롤러가 삽입되는 안내홈을 가진다.
상기 차고는 상기 상승용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하나의 상승용 안내롤러; 상기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과 상기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제1 전환용 안내롤러; 상기 하강용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하나의 하강용 안내롤러; 및 상기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과 상기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제2 전환용 안내롤러;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환용 안내롤러는 상기 상승용 안내롤러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면서 상기 상승용 안내롤러는 지나는 수직선a와 상기 제1 전환용 안내롤러를 지나는 수직선b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전환용 안내롤러는 상기 하강용 안내롤러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강용 안내롤러를 지나는 수직선c와 상기 제2 전환용 안내롤러를 지나는 수직선d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수직선b와 상기 수직선d 간의 간격은 상기 수직선a와 상기 수직선c 간의 간격보다 좁다.
상기 체인 안내장치는 상기 순환체인이 순환 회전하는 동안 하강 이동에서 상승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향 전환 구간에서 상기 순환체인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 안내레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곡선 안내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지지체; 및 상기 곡선 안내레일을 상기 레일지지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체인은 다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고리를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순환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호 마주 대하는 한 쌍의 링크판;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이웃하는 링크의 한 쌍의 링크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순환체인의 고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핀; 상기 한 쌍의 링크핀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자전하는 한 쌍의 자전롤러;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동력을 받는 구동핀; 및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링크핀들에 상기 자전롤러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구름베어링은 상기 자전롤러의 내경에 접하는 외륜; 상기 링크핀의 외경에 접하는 내륜;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는 구름볼; 일 측이 상기 내륜 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외륜에 접하여서 상기 외륜이 상기 내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의 윤활유가 상기 외륜의 바깥 측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내륜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외륜에 밀착되게 접하는 밀착단; 및 상기 고정단과 밀착단을 연결하며, 상기 밀착단에 외륜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단; 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체인은 다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고리를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순환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호 마주 대하는 한 쌍의 링크판;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이웃하는 링크의 한 쌍의 링크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순환체인의 고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핀; 상기 한 쌍의 링크핀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자전하는 한 쌍의 자전롤러;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동력을 받는 구동핀;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링크핀들에 상기 자전롤러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 고정시켜서 양 링크판 상호 간의 상대적인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링크핀에 의한 양 링크판의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순환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차고들;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안내장치; 상기 차고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 안내장치는 상기 순환체인이 순환 회전하는 동안 하강 이동에서 상방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향 전환 구간에서 상기 순환체인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 및 하측 내부 곡선 안내레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지지체; 및 상기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을 상기 레일 지지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순환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차고들;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안내장치; 상기 차고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체인은 다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고리를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순환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호 마주 대하는 한 쌍의 링크판;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이웃하는 링크의 한 쌍의 링크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순환체인의 고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핀; 상기 한 쌍의 링크핀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자전하는 한 쌍의 자전롤러;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동력을 받는 구동핀; 및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링크핀들에 상기 자전롤러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구름베어링은 상기 자전롤러의 내경면에 접하는 외륜; 상기 링크핀의 외경에 접하는 내륜;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는 구름볼; 내측이 상기 내륜 측에 고정되고 외측이 상기 외륜에 접하여서 상기 외륜이 상기 내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의 윤활유가 상기 외륜의 바깥측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내륜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외륜에 밀착되게 접하는 밀착단; 및 상기 고정단과 밀착단을 연결하며, 상기 밀착단에 외륜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순환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차고들;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안내장치; 상기 차고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체인은 다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고리를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순환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호 마주 대하는 한 쌍의 링크판;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이웃하는 링크의 한 쌍의 링크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순환체인의 고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핀; 상기 한 쌍의 링크핀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자전하는 한 쌍의 자전롤러;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동력을 받는 구동핀; 및 상기 링크판들 중 상호 마주 대하는 양 링크판을 결합 고정시켜서 양 링크판 상호 간의 상대적인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링크핀에 의한 양 링크판의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고 안내장치를 이루는 4개의 안내레일을 각각 이격시켜서 분리되도록 하고, 차고가 순환회전할 때 하나의 안내레일에 의해서만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안내 사각지대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안내롤러가 안내레일에 끼이는 현상이 방지되어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둘째, 순환체인의 방향 전환 구간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과 레일 지지체로 나누어 별개로 구비하고,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이 레일 지지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체성을 좋게 하여 자원의 낭비가 줄고, 그 교체 작업이 수월해진다.
셋째, 자전롤러의 내부에 있는 구름베어링에 채워진 윤활유의 유출을 방지하여 오염을 줄이면서도 구름베어링에 이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동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넷째, 순환체인을 이루는 링크판들 중 상호 마주보는 양 링크판을 보강부재에 의해 단단히 결속시킴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적용된 순환체인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순환체인에 있는 링크의 부속품인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순환체인에 있는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9는 도 1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적용된 차고 안내장치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적용된 차고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차고의 순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적용된 체인 안내장치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체인 안내장치에 적용된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0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
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되, 순환체인이 전후 쌍으로 구비되고, 관련 구성들 또한 전후에 대칭적으로 구성되나 기재의 편의상 전면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전체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주요 특징 부위에 대하여 목차를 나누어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전체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10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100)는 순환체인(110), 구동장치(120), 차고(130)들, 체인 안내장치(140), 차고 안내장치(150) 및 지지 프레임(160)을 포함한다.
순환체인(110)은 구동장치(140)의 구동력에 의해 일정한 순환 궤도를 무한 반복하여 순환 회전한다.
구동장치(120)는 순환체인(110)의 순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차고(130)들은 순환체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순환체인(110)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차고(130)들은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매달려 있다.
체인 안내장치(140)는 순환체인(110)의 순환 회전을 안내한다.
차고 안내장치(150)는 차고(130)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한다.
지지 프레임(160)은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한다.
<순환체인에 대한 설명>
도 2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순환체인(110)은 여러 개의 링크(111)들이 서로 연이어 결합되어서 하나의 거대한 고리 형태를 이룬다.
링크(111)는 한 쌍의 링크판(111a-1, 111a-2), 한 쌍의 링크핀(111b-1, 111b-2), 한 쌍의 자전롤러(111c-1, 111c-2), 구동핀(111d), 구름베어링(111e-1, 111e-2)들 및 보강부재(111f)를 포함한다.
한 쌍의 링크판(111a-1, 111a-2)은 이웃하는 링크(111)의 링크판(111a-1, 111a-2)들과 상호 간에 연결되어서 순환체인(110) 전체의 길이를 결정한다. 물론, 한 쌍의 링크판(111a-1, 111a-2)은 상호 마주 대하고 있다.
한 쌍의 링크핀(111b-1, 111b-2)은 한 쌍의 링크판(111a-1, 111a-2)을 결합시키고, 한 쌍의 링크판(111a-1, 111a-2)을 이웃하는 링크(111)의 한 쌍의 링크판(111a-1, 111a-2)과 연결함으로써 순환체인(111)의 고리를 형성한다.
한 쌍의 자전롤러(111c-1, 111c-2)는 한 쌍의 링크핀(111b-1, 111b-2)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체인 안내장치(140)에 접촉되어 자전하면서 체인 안내장치(140)의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구동핀(111d)은 한 쌍의 자전롤러(111c-1, 111c-2) 사이에 구비되며, 구동장치(120)에 의한 구동력을 받는다. 즉, 구동장치(120)는 링크(111)들에 있는 구동핀(111d)들을 견인함으로써 순환체인(110)을 순환 회전시킨다. 여기서 구동핀(111d)의 외측으로는 회전롤러(RR)가 구비되어서 구동장치(120)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 전달과정에서 오는 마찰에 따른 마모 등이 방지될 수 있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름베어링(111e-1, 111e-2)들은 각각 자전롤러(111c-1, 111c-2)의 내측에 구비되며, 링크핀(111b-1, 111b-2)들과 자전롤러(111c-1, 111c-2)들 간의 회전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구름베어링(111e-1, 111e-2)들은 도 3의 단면 발췌도에서와 같이 외륜(OW), 내륜(IW), 구름볼(SB) 및 밀폐부재(SE)를 포함한다.
외륜(OW)은 자전롤러(111c-1, 111c-2)의 내경에 삽입하고, 내륜(IW)은 링크핀(111b-1, 111b-2)의 외경에 삽입하며, 구름볼(SB)은 외륜(OW)과 내륜(IW) 사이에 구비되어서 외륜(OW)과 내륜(IW) 간의 회전을 유지한다.
밀폐부재(SE)는 일 측(내 측)이 내륜(IW) 측에 고정되고, 타 측(외 측)이 외륜(OW)에 접촉하여서 외륜(OW)이 내륜(IW)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의 윤활유가 바깥으로 새어나가거나 외부의 오수가 구름베어링(111e-1, 111e-2)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밀폐부재(SE)는 일 측의 고정단(F), 타 측의 밀착단(A) 및 고정단(F)과 밀착단(A) 사이의 가압단(P)으로 나뉠 수 있다.
고정단(F)은 내륜(IW) 측에 고정된다.
밀착단(A)은 외륜(OW)에 밀착되게 접촉하지만, 외륜(OW)이 내륜(IW)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외륜(OW)과 분리되어 있다.
가압단(P)은 고정단(F)과 밀착단(A)을 연결하며, 밀착단(A)에 외륜(OW) 측으로 밀착되도록 소성 가공되어 있어서 고정단(F)이 내륜(IW)에 근접하면 탄성 가공체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이 발생하여 밀착단(A)을 외륜(OW) 쪽으로 밀어준다. 이처럼 밀폐부재(SE)는 밀착단(A)이 외륜(OW)에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밀착단(A)에 탄성력이 작용하는 형태로 사전에 소성 가공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좀 더 보충한다.
도 4의 (a)는 고정단(F)과 밀착단(A)의 간격이 "a"로써, 밀폐부재(SE)가 조립되기 전에 탄성이 발생할 수 있도록 소성 가공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물론, 가압단(P)은 고정단(F)과 밀착단(A) 사이에 있는 경사진 부위로서, 적어도 가압단(P)은 그 재질이 탄성적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4의 (b)는 밀폐부재(SE)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며, 고정단(F)과 밀착단(A)의 간격이 "a"보다 작은 "b"로 감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탄성 대응 능력(c)은 a-b에 비례하므로, c가 크면 탄성 대응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가압단(P)이 탄성력을 가져야 되는 이유는 구름베어링(111e-1, 111e-2)의 외륜(OW)과 링크판(111a-1, 111a-2)사이의 간격이 수시로 변동되므로, 여기에 대응하여 밀착단(A)이 외륜(OW)에 밀착되도록 항상 탄성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계속하여 밀폐부재(SE)의 여러 형태들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의 밀폐부재(SE)는 금속제 평와셔 형태로써 밀착단(A)은 편평하게 형성하여 외륜(OW)의 측면에 밀착되게 하고, 고정단(F)은 요철형(▲)으로 주름을 형성하여서 내륜(IW)에 대하여 일정량의 실폭(G)을 확보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고정단(F)과 밀착단(A) 사이에는 경사진 가압단(P)을 형성하여 밀착단(A)이 외륜(OW) 측으로 탄성 가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적당한 탄성력에 의해 밀착단(A)이 외륜(OW)의 측면에 밀착되어지게 한다. 따라서 구름베어링(111e-1, 111e-2)과 링크판(111a-1, 111a-2) 사이의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더라도, 밀착단(A)이 가압단(P)의 탄성에 의해 외륜(OW)의 측면에 미끄럼 가능하면서도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구름베어링(111e-1, 111e-2) 내부의 밀폐효과가 향상된다.
도 5의 밀폐부재(SE)는 금속재 평와셔 형태로써, 밀착단(A)은 편평하게 형성하여 외륜(OW)의 측면에 밀착되게 하고, 고정단(F)은 판재를 안쪽으로 라운딩지게 한번(또는 두 번 이상일 수 있음) 접어서 내륜(IW)에 대하여 일정량의 실폭(G)을 확보하는 구조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고정단(F)과 밀착단(A) 사이에는 경사진 가압단(P)을 형성하여 밀착단(A)이 외륜(OW) 측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의 밀폐부재(SE)는 내륜(IW) 측에 별도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 보조와셔(W)를 삽입하여 고정단(F)과 내륜(IW) 사이에 일정한 실폭(G)을 형성하고, 고정단(F)과 밀착단(A) 사이에 경사진 가압단(P)을 형성하는 형태를 취한다.
물론, 도 3,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다양한 형태의 밀폐부재(SE)들의 적용에 따른 효과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밀폐부재(SE)의 밀착단(A)에 외륜(OW) 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가압단(P)을 보유한 형태라면 어떠한 구조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보강부재(111f)는 한 쌍의 링크판(111a-1, 111a-2)을 결합 고정시켜서 양 링크판(111a-1, 111a-2) 상호 간의 상대적인 유동을 방지한다. 즉, 종래에는 링크핀(111b-1, 111b-2)들만에 의해 양 링크판(111a-1, 111a-2)을 결합시켰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부재(111f)를 적용하여 양 링크판(111a-1, 111a-2)의 결합을 더욱 보강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보강부재(111f)는 도 2의 예시 외에도 도 7에서 보이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도 8에서와 같이 그 구비위치는 구동장치(120) 및 다른 구조물들과 간섭이 없는 빗금영역(DF)이어야 한다. 도 8에서 부호 121은 구동장치(120)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켓(121)으로서, 구동스프로켓(121)은 구동핀(111d)을 견인하여 순환체인(1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20)의 일부이다.
참고로, 도 2, 도 7 및 도 8 등에서의 미설명 부호 "H"는 차고(130)를 순환체인(110)에 매달기 위한 행거(H)이다. 즉, 도 2의 순환체인(110)에는 6개의 행거(H)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6개의 차고(130)가 매달려 있게 된다.
<차고 안내장치에 대한 설명>
차고 안내장치(150)는 순환체인(110)에 매달린 상태에서 순환 회전하는 차고(130)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면서 차고(130)의 요동을 억제하는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9는 도 1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100)에서 차고 안내장치(150)를 발췌한 정면도이다. 도 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차고 안내장치(150)는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154),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156)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차고(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 회전하는 예를 취하고 있으며, 차고 안내장치(150)에 대한 명칭도 그러한 차고(130)의 순환 회전 방향에 따라 부여되어 있다. 물론, 차고(130)가 시계 방향으로 순환 회전할 경우에는 그 반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은 차고(130)의 상승 이동을 안내한다.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은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에 안내되면서 상승한 차고(130)를 상승 이동에서 수평 이동으로 안내한다.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은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에 안내되어 수평 이동으로 전환된 차고(130)를 수평 이동에서 하강 이동으로 안내한다. 즉,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은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과 함께 차고(130)가 반원형의 곡선을 그리면서 상승 이동에서 하강 이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154)은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에 안내되어 하강 이동으로 전환된 차고(130)의 하강 이동을 안내한다.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은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154)에 안내되면서 하강한 차고(130)를 하강 이동에서 수평 이동으로 안내한다.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156)은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에 안내되면서 수평 이동으로 전환한 차고(130)를 수평 이동에서 상승 이동으로 안내한다. 즉,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156)은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과 함께 차고(130)가 반원형의 곡선을 그리면서 하강 이동에서 상승 이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154),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156)에 의해 차고(130)는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154),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156)에는 차고(130)에 있는 안내롤러(132, 추후 도면에 표기됨)가 삽입되는 안내홈(GG)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154),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156)이 서로 이격되어서 분리되게 위치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각각의 안내레일이 전부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되었을 경우에는 일정 부분의 안내롤러의 안내 기능을 포기해야 하는 구조를 가진 종래기술가 차이를 가진다.
위와 같은 차고 안내장치(150)의 역할 및 그 특징은 후술할 차고(130)의 특징과 함께 설명되어질 것이다.
<차고에 대한 설명>
도 10은 도 1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100)에서 차고(130)를 발췌한 정면도이다.
차고(130)는 행거(H)를 게재하여 순환체인(110)에 회전(자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수용틀(131), 상승용 안내롤러(132a), 제1 전환용 안내롤러(132b), 하강용 안내롤러(132c), 제2 전환용 안내롤러(132d)를 포함한다.
수용틀(131)은 차량을 수용하기 위한 뼈대를 이룬다.
상승용 안내롤러(132a)는 상승용 안내레일(151)에 의해 안내된다.
제1 전환용 안내롤러(132b)는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과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156)에 의해 안내된다.
하강용 안내롤러(132c)는 하강용 안내레일(154)에 의해 안내된다.
제2 전환용 안내롤러(132d)는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과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에 의해 안내된다.
한편, 제1 전환용 안내롤러(132b)는 상승용 안내롤러(132a)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승용 안내롤러(132a)를 지나는 수직선a와 제1 전환용 안내롤러(132b)를 지나는 수직선b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D)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다.
또한, 제2 전환용 안내롤러(132d)는 하강용 안내롤러(132c)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하강용 안내롤러(132c)를 지나는 수직선c와 제2 전환용 안내롤러(132d)를 지나는 수직선d는 일정 간격(D)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선b와 수직선d 간의 간격(D1)은 수직선a와 수직선c 간의 간격(D2)보다 좁다.
차고(130)가 상승될 때는 위와 같은 안내레일(151, 152 내지 156) 및 안내롤러(132a, 132b)들의 구비 위치 및 배치 등에 의해 하나의 안내레일(151, 152 내지 156)은 하나의 안내롤러(132a, 132b)만 안내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안내롤러(132a, 132b)들이 안내레일(151, 152 내지 156)에 끼이는 현상이나 사각지대의 발생 현상 등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목차를 달리하여 설명한다.
<차고 안내장치와 차고 간의 역할에 대한 설명>
먼저, 차고(130)가 상승될 때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승용 안내롤러(132a)가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의 안내홈(GG)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서, 차고(130)는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에 의해서만 안내되고 지지된다.
그리고 도 12에서와 같이 차고(130)가 상승 이동에서 수평 이동으로 전환될 시점에서는 상승용 안내롤러(132a)가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151)에서 빠져나오면서 제1 전환용 안내롤러(132b)가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로 진입하고, 곧바로 이어서 도 13에서와 같이 제1 전환용 안내롤러(132b)만이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의 안내홈(GG)에 삽입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차고(130)는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2)에 의해서만 안내되고 지지된다.
계속하여, 차고(130)가 수평 이동에서 하강 이동으로 전환될 때는 도 14에서와 같이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153)에 의해서만 안내되고 지지되며, 차고(130)가 하강 이동될 때에는 도 15에서와 같이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154)에 의해서만 안내되고 지지된다.
또한, 차고(130)가 하강 이동에서 수평 이동으로 전환될 때는 도 16에서와 같이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155)에 의해 안내되고 지지되며, 차고(130)가 수평 이동에서 상승 이동으로 전환될 때는 도 17에서와 같이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156)에 의해서만 안내되고 지지된다.
차고(130)가 상승될 때는 위와 같이, 하나의 안내레일(151, 152 내지 156)은 하나의 안내롤러(132a, 132b)만을 안내하는 구조이고, 차고(130)는 각각의 안내레일(151, 152 내지 156)에서 다른 안내레일(151, 152 내지 156)로 갈아타는 시점을 제외한 나머지의 구간에서는 하나의 안내레일(151, 152 내지 156)에 의해서만 안내되고 지지되기 때문에, 차고(130)의 안내롤러(132a, 132b)가 안내레일(151, 152 내지 156)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체인 안내장치에 대한 설명>
도 18의 개략적인 발췌도에서와 같이, 체인 안내장치(140)는 상측 내부 곡선 안내레일(141),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 하측 내부 곡선 안내레일(142b), 한 쌍의 수직 외부 안내레일(143a, 144a), 한 쌍의 수직 내부 안내레일(143b, 144b), 레일지지체(145) 및 결합부재(146)들을 포함한다.
상측 내부 곡선 안내레일(141)은 순환체인(110)이 순환 회전하는 동안 상승 이동에서 하강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향 전환 구간에서 순환체인(11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한다.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과 하측 내부 곡선 안내레일(142b)은 순환체인(110)이 순환 회전하는 동안 하강 이동에서 상승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향 전환 구간에서 순환체인(11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한다.
한 쌍의 수직 외부 안내레일(143a, 144a)과 한 쌍의 수직 내부 안내레일(143b, 144b)은 순환체인(110)의 수직 이동 구간에서 순환체인(11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한다.
레일지지체(145)는 프레임(160)에 고정되며,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을 지지한다.
결합부재(146)들은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을 레일지지체(14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즉, 종래에는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과 레일지지체가 일체로 되어 하나의 외부 곡선 안내레일을 이루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과 레일지지체(145)를 별개로 제작하고, 이를 결합부재(146)에 의해 체결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처럼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이 레일지지체(145)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게 한 것은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의 마모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과 레일지지체(145)가 일체로 된 경우, 순환체인(110)과의 지속된 마찰로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의 마모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차고(130) 및 차량의 중량에 의해 순환체인(110)의 하측 영역에서 순환체인(110)이 아래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한다. 그러면 그리고 거기에 더하여 구동장치(120)가 구동핀(111d)을 견인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전달 효율이 저하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수시로 일체형의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을 교체해야 하는데, 일체형의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이 프레임(16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으면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도 19에서 자세히 참조되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과 레일지지체(145)를 분리시켜서 별개로 구성하고, I-I선을 자른 단면도에서와 같이 결합부재(146)를 이용하여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을 레일지지체(14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142a)의 마모 시에 쉽게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110 : 순환체인
111 : 링크
111a-1, 111a-2 : 링크판
111b-1, 111b-2 : 링크핀
111c-1, 111c-2 : 자전롤러
111d : 구동핀
111e-1, 111e-2 : 구름베어링
OW : 외륜 IW : 내륜
SB : 구름볼
SE : 밀폐부재
F : 고정단 A : 밀착단 P : 가압단
120 : 구동장치
130 : 차고
132a : 상승 이동용 안내롤러
132b : 제1 전환용 안내롤러
132c : 하강용 안내롤러
132d : 제2 전환용 안내롤러
140 : 체인 안내장치
141 : 상측 내부 곡선 안내레일
142a :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
142b : 하측 내부 곡선 안내레일
143a, 144a : 수직 외부 안내레일
143b, 144b : 수직 내부 안내레일
145 : 레일지지체
146 : 결합부재
150 : 차고 안내장치
151 :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
152 :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153 :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
154 :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
155 :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156 :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
160 : 프레임

Claims (12)

  1.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순환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차고들;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안내장치;
    상기 차고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차고 안내장치는,
    상기 차고의 상승 이동을 안내하는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
    상기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에 안내되면서 상승한 상기 차고를 상승 이동에서 수평 이동으로 안내하는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상측 전환용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수평 이동으로 전환된 상기 차고를 수평 이동에서 하강 이동으로 안내하는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하강 이동으로 전환된 상기 차고의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
    상기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에 안내되면서 하강한 상기 차고를 하강 이동에서 수평 이동으로 안내하는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및
    상기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수평 이동으로 전환된 상기 차고를 수평 이동에서 상승 이동으로 안내하는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이동용 안내레일, 상기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하강 이동용 안내레일, 상기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 상기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은 서로 이격되어서 분리되게 위치하며, 각각 상기 차고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차고에 있는 안내롤러가 삽입되는 안내홈을 가지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고는,
    상기 상승용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하나의 상승용 안내롤러;
    상기 상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과 상기 상승 전환용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제1 전환용 안내롤러;
    상기 하강용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하나의 하강용 안내롤러; 및
    상기 하강 전환용 안내레일과 상기 하측 수평 전환용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제2 전환용 안내롤러; 를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용 안내롤러는 상기 상승용 안내롤러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면서 상기 상승용 안내롤러는 지나는 수직선a와 상기 제1 전환용 안내롤러를 지나는 수직선b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전환용 안내롤러는 상기 하강용 안내롤러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강용 안내롤러를 지나는 수직선c와 상기 제2 전환용 안내롤러를 지나는 수직선d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선b와 상기 수직선d 간의 간격은 상기 수직선a와 상기 수직선c 간의 간격보다 좁은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는,
    상기 순환체인이 순환 회전하는 동안 하강 이동에서 상승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향 전환 구간에서 상기 순환체인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 안내레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곡선 안내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지지체; 및
    상기 곡선 안내레일을 상기 레일지지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체인은 다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고리를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순환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호 마주 대하는 한 쌍의 링크판;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이웃하는 링크의 한 쌍의 링크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순환체인의 고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핀;
    상기 한 쌍의 링크핀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자전하는 한 쌍의 자전롤러;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동력을 받는 구동핀; 및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링크핀들에 상기 자전롤러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구름베어링은,
    상기 자전롤러의 내경에 접하는 외륜;
    상기 링크핀의 외경에 접하는 내륜;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는 구름볼;
    일 측이 상기 내륜 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외륜에 접하여서 상기 외륜이 상기 내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의 윤활유가 상기 외륜의 바깥 측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 를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내륜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외륜에 밀착되게 접하는 밀착단; 및
    상기 고정단과 밀착단을 연결하며, 상기 밀착단에 외륜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단; 을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체인은 다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고리를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순환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호 마주 대하는 한 쌍의 링크판;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이웃하는 링크의 한 쌍의 링크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순환체인의 고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핀;
    상기 한 쌍의 링크핀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자전하는 한 쌍의 자전롤러;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동력을 받는 구동핀;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링크핀들에 상기 자전롤러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 고정시켜서 양 링크판 상호 간의 상대적인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링크핀에 의한 양 링크판의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9.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순환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차고들;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안내장치;
    상기 차고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 안내장치는,
    상기 순환체인이 순환 회전하는 동안 하강 이동에서 상방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향 전환 구간에서 상기 순환체인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 및 하측 내부 곡선 안내레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지지체; 및
    상기 하측 외부 곡선 안내레일을 상기 레일 지지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10.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순환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차고들;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안내장치;
    상기 차고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체인은 다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고리를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순환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호 마주 대하는 한 쌍의 링크판;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이웃하는 링크의 한 쌍의 링크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순환체인의 고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핀;
    상기 한 쌍의 링크핀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자전하는 한 쌍의 자전롤러;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동력을 받는 구동핀; 및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링크핀들에 상기 자전롤러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구름베어링은,
    상기 자전롤러의 내경면에 접하는 외륜;
    상기 링크핀의 외경에 접하는 내륜;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는 구름볼;
    내측이 상기 내륜 측에 고정되고 외측이 상기 외륜에 접하여서 상기 외륜이 상기 내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의 윤활유가 상기 외륜의 바깥 측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 를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내륜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외륜에 밀착되게 접하는 밀착단; 및
    상기 고정단과 밀착단을 연결하며, 상기 밀착단에 외륜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단; 을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12. 순환 회전하는 순환체인;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순환체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며,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차고들;
    상기 순환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체인 안내장치;
    상기 차고들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차고 안내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체인은 다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고리를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순환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호 마주 대하는 한 쌍의 링크판;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링크판을 이웃하는 링크의 한 쌍의 링크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순환체인의 고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핀;
    상기 한 쌍의 링크핀이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 안내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자전하는 한 쌍의 자전롤러;
    상기 한 쌍의 자전롤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동력을 받는 구동핀; 및
    상기 링크판들 중 상호 마주 대하는 양 링크판을 결합 고정시켜서 양 링크판 상호 간의 상대적인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링크핀에 의한 양 링크판의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KR1020200104501A 2020-08-20 2020-08-20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KR10244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501A KR102444001B1 (ko) 2020-08-20 2020-08-20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501A KR102444001B1 (ko) 2020-08-20 2020-08-20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050A true KR20220023050A (ko) 2022-03-02
KR102444001B1 KR102444001B1 (ko) 2022-09-20

Family

ID=8081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501A KR102444001B1 (ko) 2020-08-20 2020-08-20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0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411A (ja) * 1993-03-31 1994-10-04 Shin Meiwa Ind Co Ltd 垂直循環式立体駐車装置
JP2008281073A (ja) * 2007-05-09 2008-11-20 Ntn Corp 転がり軸受
JP2012047206A (ja) * 2010-08-24 2012-03-08 Tsubakimoto Chain Co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KR20120060615A (ko) * 2010-12-02 2012-06-12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JP2013147865A (ja) * 2012-01-20 2013-08-01 Daifuku Co Ltd 垂直循環型駐輪設備
KR101399369B1 (ko) * 2013-05-20 2014-06-27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KR20170025192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KR101783082B1 (ko) * 2013-09-19 2017-09-28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베어링 롤러 체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411A (ja) * 1993-03-31 1994-10-04 Shin Meiwa Ind Co Ltd 垂直循環式立体駐車装置
JP2008281073A (ja) * 2007-05-09 2008-11-20 Ntn Corp 転がり軸受
JP2012047206A (ja) * 2010-08-24 2012-03-08 Tsubakimoto Chain Co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KR20120060615A (ko) * 2010-12-02 2012-06-12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JP2013147865A (ja) * 2012-01-20 2013-08-01 Daifuku Co Ltd 垂直循環型駐輪設備
KR101399369B1 (ko) * 2013-05-20 2014-06-27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KR101783082B1 (ko) * 2013-09-19 2017-09-28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베어링 롤러 체인
KR20170025192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001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63401B (zh) 一种不停机拆装机身的带式输送机
KR102444001B1 (ko)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US4561551A (en) Propulsion means for hoisting systems
KR101399369B1 (ko)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CN117028730B (zh) 具有中导管的大口径管道内部钢板内衬修复装置及方法
CN103574158A (zh) 超大直径压力钢管斜井三吊点安装方法
CN110080791B (zh) 一种小直径隧道掘进机
CN209976547U (zh) 一种小直径隧道掘进机
CN114289949B (zh) 一种h型钢构件组立设备
CN216894510U (zh) 薄煤层综采工作面运人装置及综采设备
CN111472783B (zh) 一种盾构机分体始发加长管线延伸装置及应用方法
GB204881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veyor trough for use with a mining machine
CN107119655B (zh) 突扩体减震水箱钢结构组拼平台及突扩体组拼方法
CN213389754U (zh) 双楔形接头连接式拽拉器
CN110106794B (zh) 一种高效架桥机
CN204591235U (zh) 一种链条传动换向矮支架倍程长冲程抽油机
CN203461721U (zh) 溜尾设备
CN202953655U (zh) 一种导轨架
CN220618106U (zh) 一种轧辊件的吊具摆架
RU214845U1 (ru) Линейная опора качения полного выдвижения
CN213235059U (zh) 盾构机空推过站装置
CN214035549U (zh) 打井机钻架
CN218435887U (zh) 一种改向装置和链篦机
CN109915185A (zh) 一种tbm中板过站支架体系
CN219325548U (zh) 一种用于大口径hdpe管道组对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