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615A -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615A
KR20120060615A KR1020100122213A KR20100122213A KR20120060615A KR 20120060615 A KR20120060615 A KR 20120060615A KR 1020100122213 A KR1020100122213 A KR 1020100122213A KR 20100122213 A KR20100122213 A KR 20100122213A KR 20120060615 A KR20120060615 A KR 2012006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carrier
along
rotary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406B1 (ko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이상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이상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to KR102010012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4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를 주차하는 캐리어가 상?하부에서 호 형상으로 이동하고, 양쪽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는 통상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그 보조프레임에 고정된 롤러가 이동하는 자취점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 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보조프레임의 롤러는, 보조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각각 하나로 설치된 상부롤러와, 그 하부 양쪽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하부롤러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순환 이동할 때,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주차하는 차의 편하중과 외력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the guide structure of rotary p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를 주차하는 캐리어가 상?하부에서 호 형상으로 이동하고, 양쪽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는 통상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그 보조프레임에 고정된 롤러가 이동하는 자취점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 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보조프레임의 롤러는, 보조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각각 하나로 설치된 상부롤러와, 그 하부 양쪽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하부롤러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순환 이동할 때,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주차하는 차의 편하중과 외력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주차 장치(일명, 수직 순환식 주차 장치)는, 건물 외부에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주차 장치로, 로터리 주차 장치는 골조 구조의 프레임으로 구조물을 구성하고, 그 프레임에 캐리어를 다수개 구성 및 배치하며, 이 캐리어에 자동차를 주차하고, 그 캐리어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되, 캐리어는 수직 상승한 다음,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다시 수직 하강한 다음,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구조로 순환하면서, 캐리어의 수 만큼 여러 대의 차량을 주차하도록 설계한 주차 장치로, 면적 대비 많은 차량수를 주차할 수 있어, 공간이 절약되고, 작동 및 관리도 간단하여, 최근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가 회전하는 구조를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스프라켓을 캐리어의 폭만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두 쌍의 스프라켓에 각각 메인체인을 상?하에 걸쳐 설치하며, 그 메인체인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어태치먼트를 설치하고, 각각의 어태치먼트에 각 캐리어의 상부 양쪽을 고정(이 고정된 부분을 이하, ‘고정축’이라고 한다)하되, 각 어태치먼트에 대해 캐리어가 자유 회전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이렇게 설치된 캐리어는 평소 그 자체로도 수평을 유지하고 있고, 또한, 회전하면서도 수평을 유지하는 구조이지만, 주차하는 자동차 자체의 편하중이나, 또는 외력에 의해서, 캐리어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흔들림(롤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로터리 주차 장치에는 순환하는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순환하는 캐리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 구조가 개발되어 있다.
또, 그러한 종래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의 예를 보면, 첫 번째 예시로, 국내특허등록 제0664968호에서는, ‘一’자 구조의 가이드프레임 양단에 롤러가 고정되어 있고, 그 롤러는 프레임에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가이드레일은 캐리어에 이동에 따라 롤러가 이동하게 되는 자취점의 형상, 즉, 호의 형상으로 구성하는‘턴테이블을 가진 로터리 주차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두 번째 예시로, 국내특허공개 제0009862호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3)의 일측면에 사각 구조의 보조지지구(4)를 구성하고, 그 보조지지구(4)의 모서리마다 가이드롤러(5)(5´)를 고정하며, 그 가이드롤러(5)(5´)는 프레임(6)에 상부와 하부에 걸쳐 설치된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되, 그 가이드레일(1)(2)은 캐리어(3)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롤러(5)(5´)가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구성하는데, 그 위치에 따라, 프레임(6)의 양쪽에 수직하게 세워진 구조의 가이드레일(2)을 구성하고, 프레임(6)의 상단과 하단에 호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가이드레일(1)(1´)을 구성하며, 가이드레일(1)(1´)(2)의 구간에 따라 상부 쪽의 롤러(5), 또는 하부 쪽의 롤러(5´)에 의해 캐리어(3)를 지지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의‘로터리 주차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첫 번째 예시에 따른 가이드 구조의 문제점을 도10(도10은 앞서 종래 예 중에서, 첫 번째 예시에 따른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그 위치는, 도9의 D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인 상부쪽 가이드레일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9와 도10은 다른 두 가지 종래 예시에 따른 도면이지만, 중복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 같은 부호를 기입하였다.)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첫 번째 예시한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는, 롤러(5)는 ‘一’자 구조의 가이드프레임(4)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고, 캐리어(3)의 순환에 따라 가이드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데,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롤러(5)가 상부 쪽 호 구조의 가이드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레일(1)의 어떤 지점을 지나는 롤러(5)와 고정축(3´)(캐리어가 어태치먼트에 조립되는 부분)을 잇는 선(Y)과, 그 롤러(5)가 위치한 지점과 가이드레일(1)의 중심을 잇는 선(X)이 이루는 각도(θ)(이하, ‘궤적유사각도’라고 함,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상부 쪽에 위치한 호 구조의 가이드레일(1)에서의 궤적유사각도는, 롤러(5)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수록 각도가 작아진다)가 25° 이하가 되는 구간에서는 롤러(5)가 고정축(3´)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이 가이드레일(1)의 궤적과 유사해지므로, 이 구간에서 롤러(5)가 캐리어(3)를 지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캐리어(3)에 주차된 차량에 편하중이 있거나, 캐리어(3)에 외력이 가해지면, 캐리어(3)는 고정축(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흔들리는데, 롤러(5)가 호 구조의 가이드레일(1)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궤적유사각도가 25°이하가 되는 구간에서는, 캐리어(3)의 흔들림에 따른 롤러(5)가 움직이는 방향이 가이드레일(1)의 궤적과 유사하게 되므로, 롤러(5)가 캐리어(3)를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는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호 구조의 가이드레일(1)에서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첫번째 예시의 로터리 주차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앞서 두 번째 예시한 로터리 ,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5)(5´)를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으로 구성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서 두 번째 예시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상부 쪽에 위치한 곡선 구조의 가이드레일(1)을 보면, 궤도유사각도(θ)가 25°이상인 구간에서는 상부의 가이드롤러(5)가 캐리어(3)를 지지하고, 궤도유사각도(θ)가 25°이하인 구간에서는 하부의 가이드롤러(5´)에 의해 캐리어(3)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궤도유사각도(θ)가 25°이하인 구간의 가이드레일(1)에는, 상부의 가이드롤러(5)와 그 하부의 가이드롤러(5´)의 이동 경로에 의해서 두 궤적(자취점)이 만나서 합치는 구간(F)(이하, ‘교차구간’이라고 함)이 발생하며, 이 교차구간(F)에서는 상부와 하부의 가이드롤러(5)(5´)가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간섭이 없는 구조의 가이드레일(1)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그 교차구간(F)에서는 하부의 가이드롤러(5´)의 이동 경로와 함께, 상부의 가이드롤러(5)가 이동 경로가 합쳐치며, 하부의 가이드롤러(5´)가 이동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이 교차구간(F)의 가이드레일(1)의 폭은 바깥쪽으로 더 넓게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차구간(F)에서는 하부의 가이드롤러(5´)에 의해서 캐리어(3)를 지지하는 구간이나, 이 교차구간(F)에서 캐리어(3)에 흔들림에 의해서, 가이드롤러(5´)가 안쪽으로 밀리는 힘은 지지할 수 있으나, 가이드롤러(5´)가 바깥쪽으로 밀리는 힘은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앞서 두 번째 예시의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3)를 순환 이동시키는 메인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테이크업(take-up) 장치(스프라켓을 상?하로 조절)를 구성하는데,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테이크업 장치에 부합하기 위해서, 상?하부에 위치하는 호 구조의 가이드레일(1)(1´)과, 좌? 우 측면에 위치하는 직선 구조의 가이드레일(2)는 서로 떨어진 구조의 신축이음부를 구성하며, 이러한 이유로, 캐리어(3)가 순환할 때, 신축이음부는 테이크업 장치에 의해 어느 정도 떨어진 간격(G)를 가지므로, 가이드롤러(5)(5´)가 신축이음부를 통과할 때에는, 캐리어(3)가 덜컹거리거나 매끄럽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앞서 두 번째 예시에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두 가이드롤러(5)(5´)가 수직 구조의 가이드레일(2)을 동시에 지날 때, 캐리어(3)의 주차된 차가 편하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캐리어(3)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부의 가이드롤러(5) 및 하부의 가이드롤러(5´)에는 가이드레일(2) 내부에서 측 방향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는데, 이들 가이드롤러(5)(5´)가 가이드레일(2)을 미는(지지하는) 힘의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하부의 가이드롤러(5)(5´)가 직선 구조의 가이드롤러(2) 내부에서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소음이 발생하고, 이 부분에서 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를 주차하는 캐리어가 상?하부에서 호 형상으로 이동하고, 그 양쪽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는 통상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그 보조프레임에 고정된 롤러가 이동하는 자취점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 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보조프레임의 롤러는, 보조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각각 하나로 설치된 상부롤러와, 그 하부 양쪽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하부롤러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이동할 때,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주차하는 차의 편하중과 외력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 로터리 주차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는, 한 쌍의 상부곡선가이드로 구성하되, 그 상부곡선가이드는, 상부롤러가 최상부 위치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단폭가이드와, 상부롤러의 궤적유사각도가 20 내지 40°일 때, 하부롤러가 위치하는 지점에서부터 하부롤러가 수직 이동하기 전까지의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장폭가이드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상부곡선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로터리 주차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는, 한 쌍의 하부곡선가이드로 구성하되, 그 하부곡선가이드는, 상부롤러가 최하부 위치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단폭가이드와, 상부롤러의 궤적유사각도가 20 내지 40°일 때, 하부롤러가 위치하는 지점에서부터 수직 이동하기 전까지의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장폭가이드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하부곡선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때,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 사이에는 수직 구조의 직선가이드를 구성하되, 상기 직선가이드의 폭은 한 쌍의 하부롤러가 지나갈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상?하로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한 쌍의 하부롤러가 직선가이드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상기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 사이에는 수직 구조의 직선가이드를 구성하되, 상기 직선가이드의 폭은 한 쌍의 하부롤러 사이의 간격으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상?하로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하부롤러가 직선가이드 양면을 따라 이동하여,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소음 발생과 부하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며, 아울러, 각 직선가이드의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이 각각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에 일부 인입되도록 구성하여, 로터리 주차 장치의 테이크업 장치에 의해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인입된 직선가이드 끝단에 의해 하부롤러의 연속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의 위치는, 그 하부의 위치한 하부롤러와의 위치와 어긋나게 구성하여, 캐리어가 수직 승강 이동을 할 때, 상부롤러는 직선가이드와 접촉하지 않고, 한 쌍의 하부롤러만이 직선가이드의 양면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는 구조에 의해서,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이 부분에서 부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를 주차하는 캐리어가 상?하부에서 호 형상으로 이동하고, 그 양쪽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는 통상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그 보조프레임에 고정된 롤러가 이동하는 자취점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 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보조프레임의 롤러는, 보조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각각 하나로 설치된 상부롤러와, 그 하부 양쪽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하부롤러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이동할 때,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주차하는 차의 편하중과 외력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 로터리 주차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는, 한 쌍의 상부곡선가이드로 구성하되, 그 상부곡선가이드는, 상부롤러가 최상부 위치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단폭가이드와, 상부롤러의 궤적유사각도가 20 내지 40°일 때, 하부롤러가 위치하는 지점에서부터 하부롤러가 수직 이동하기 전까지의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장폭가이드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상부곡선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전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리 주차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는, 한 쌍의 하부곡선가이드로 구성하되, 그 하부곡선가이드는, 상부롤러가 최하부 위치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단폭가이드와, 상부롤러의 궤적유사각도가 20 내지 40°일 때, 하부롤러가 위치하는 지점에서부터 수직 이동하기 전까지의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장폭가이드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하부곡선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때,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전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 사이에는 수직 구조의 직선가이드를 구성하되, 상기 직선가이드의 폭은 한 쌍의 하부롤러가 지나갈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상?하로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한 쌍의 하부롤러가 직선가이드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상기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 사이에는 수직 구조의 직선가이드를 구성하되, 상기 직선가이드의 폭은 한 쌍의 하부롤러 사이의 간격으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상?하로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하부롤러가 직선가이드 양면을 따라 이동하여,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소음 발생과 부하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며, 아울러, 각 직선가이드의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이 각각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에 일부 인입되도록 구성하여, 로터리 주차 장치의 테이크업 장치에 의해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인입된 직선가이드 끝단에 의해 하부롤러가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안정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의 위치는, 그 하부의 위치한 하부롤러와의 위치와 어긋나게 구성하여, 캐리어가 수직 승강 이동을 할 때, 상부롤러는 직선가이드와 접촉하지 않고, 한 쌍의 하부롤러만이 직선가이드의 양면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는 구조에 의해서,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이 부분에서 부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가 적용된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 2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가 적용된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곡선가이드를 보여주는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곡선가이드를 보여주는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직선가이드가 적용된 가이드 구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CC´부분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배경기술에서 예시한 두 번째 예시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에 따른 정면도.
도 10은 배경기술에서 예시한 첫 번째 예시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도.
도 11은 도 9의 D 부분에 대한 작동 상태도.
도 12는 도 9의 E 부분인 가이드의 신축이음부에 대한 확대도.
본 발명은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를 주차하는 캐리어가 상?하부에서 호 형상으로 이동하고, 양쪽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는 통상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그 보조프레임에 고정된 롤러가 이동하는 자취점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 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보조프레임의 롤러는, 보조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각각 하나로 설치된 상부롤러와, 그 하부 양쪽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하부롤러로 구성되어, 캐리어가 순환 이동할 때,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주차하는 차의 편하중과 외력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구조는 일반적인 로터리 주차 장치에 적용되는데, 도1 및 도2를 참고하여, 가이드 구조를 제외한 로터리 주차 장치에 대한 구조를 대략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의 로터리 주차 장치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로터리 주차 장치는 메인프레임(10), 캐리어(11), 로터리부로 구성하는데, 메인프레임(10)은 골조 구조로 구성되어, 로터리부와 캐리어(11)는 물론, 주차하는 차량까지 지지할 수 있는 구조와 강도로 구성한다.
또,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1)는 팔레트(11a)가 행거(11b)에 지지되는 구조로, 그 팔레트(11a)에 차량 한 대씩 주차할 수 있으며, 이 캐리어(11)는 후설하는 로터리부에 다수개 장착한다.
그리고 로터리부는 캐리어(11)를 상?하로 회전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상?하로 구성하는 한 쌍 스프로켓(12)을 캐리어(11)의 거리만큼 서로 마주보도록 두 군데 설치하며, 상?하의 스프로켓(12)에 걸쳐 메인체인을 걸며, 또한, 그 메인체인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어태치먼트(14)가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어태치먼트(14)가 회전하는 구조의 로터리부를 구성한다.
참고로, 상기 상?하의 스프로켓(12)에 조립되는 메인체인(1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테이크업 장치(미도시)를 구성하는데, 이 테이크업 장치에 의해서 상?하의 스프로켓(12)의 위치를 각각 상?하로 수직 이동하여 메인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테이크업 장치의 작동으로 후설하는 곡선가이드의 위치도 같이 상?하 이동한다.
그래서, 상기 마주하는 어태치먼트(14)에 캐리어(11)의 각 양단을 어태치먼트(14)에 고정하되, 캐리어(11)의 행거(11b) 상단에 구성하는 고정축(11b´)으로 어태치먼트(14)에 고정하는데, 행거(11b)의 고정축(11b´)은 어태치먼트(14)에 대해 자유 회전하는 구조(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캐리어는 항상 수평한 자세를 유지한다)로 고정되어, 어태치먼트(14)의 이동하는 경로와 마찬가지로, 캐리어(11)는 로터리부를 회전하는 구조의 로터리 주차 장치를 구성한다.
한편, 이러한 로터리 주차 장치의 구조에서 캐리어(11)가 메인체인(13)의 이동에 따라 안전하게 움직이기 위한 가이드 구조는 보조프레임(100)과 가이드로 구성하며, 그 가이드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00)은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사각의 골조 구조로, 캐리어(11)의 행거(11b) 중앙 상부(정확하게는, 캐리어에서 차가 진입하는 쪽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쪽에 고정되는데, 참고로, 보조프레임(100)을 사각 구조로 형성하는 것은 롤러의 조립과 보조프레임(100)의 설치에 대한 용이함을 위한 것으로, 보조프레임(100)은 다른 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에는 롤러를 자유 회전하도록 고정하되, 롤러는 보조프레임(100) 상부 양쪽에 고정되는 상부롤러(110)와, 보조프레임(100) 하부 양쪽에 고정되는 하부롤러(120)로 구성하며, 상부롤러(110)는 상부 각 모서리에 하나씩 각각 고정하고, 하부롤러(120)는 상부 각 모서리에 일정 거리(간격)를 가지도록 한 쌍(두 개)으로 각각 고정한다.
한편, 한 쌍의 하부롤러(120)가 가지는 간격은, 후설하는 가이드의 직선가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우선, 후설하는 가이드의 직선가이드(210)가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 경우에는, 한 쌍의 하부롤러(120)가 가지는 폭(롤러 한 쌍이 가지는 전체 폭)이, 직선가이드(210)의 폭과 같도록 구성하여, 한 쌍의 하부롤러(120) 사이에 직선가이드(210)가 위치되어, 한 쌍의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의 양면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참고로, 앞서 상부롤러(110)의 위치(높이)는 앞서 설명한 캐리어(11)가 어태치먼트(14)에 고정되는 고정축(11b´)보다 낮은 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부롤러(110)의 위치가 고정축(11b´) 위치보다 낮을수록, 후에 설명하는 궤적유사각도(α)와 궤적유사각도(β)가 전체적으로 커지므로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후설하는 직선가이드(120)가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120), 또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120)인 경우에는, 상부롤러(110)의 위치와 이 상부롤러(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롤러(120)의 수직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성(각 상부롤러는 한 쌍의 하부롤러 중에서 보조프레임 중심과 더 가까운 하부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하거나, 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설하는 직선가이드(120)가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120)인 경우에는, 상부롤러(110)의 위치가 하부의 하부롤러(120)의 위치보다 일정 간격(H)이 오프셋된 위치(서로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어긋난 위치를 말함, 상부롤러가 그 하부의 하부롤러와 일정 간격으로 오프셋된 위치는, 한 쌍의 하부롤러가 위치한 양쪽 바깥 방향으로 오프셋된다)에 고정하는데, 이렇게 오프셋된 위치에 고정되는 상부롤러(110)의 작동과 효과는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네 모서리에 롤러가 고정된 보조프레임(100)을 구성하고, 그 보조프레임(100)은 캐리어(11)에서 차가 진입하는 반대쪽의 행거(11b)의 중앙 상부 쪽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가이드 구조에 있어서, 가이드를 도2에 참고하여 설명하면, 가이드는 캐리어(11) 및 이에 고정된 보조프레임(100)의 이동에 따라,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가 지지하면서 구를 수 있는 면을 제공하여, 안내와 지지를 통해서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가이드는 캐리어(11)의 이동에 따른 상부롤러(110)의 자취점과, 하부롤러(120)의 자취를 따라 형성하는데, 이러한 가이드는 곡선 구조를 가지는 곡선가이드와 직선 구조를 가지는 직선가이드(210)로 구성하며, 이러한 가이드는 메인프레임(10)에 상하로 걸쳐 설치된다.
우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가이드(210)는 캐리어(11)의 양쪽 방향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설치되는데, 그 폭과 단면 구조에 따라 두 가지 실시예로 구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직선가이드(120)의 제 1실시예를 도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직선가이드(210)의 단면은 사각 구조로 구성하되, 직선가이드(210)의 폭은 한 쌍의 하부롤러(120) 사이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를 사이에 끼고 구르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선가이드(120)의 제 2실시예를 도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직선가이드(210)는 한 쌍의 하부롤러(120)를 수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직선가이드(210)의 폭은 앞서 설명한 한 쌍의 하부롤러(120)가 가지는 폭, 즉, 왼쪽의 하부롤러(120)의 왼쪽 끝에서 그와 한 쌍으로 구성하는 오른쪽 하부롤러(120)의 오른쪽 끝까지 이루는 거리로 구성되어, 한 쌍의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를 따라 이동하되,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120)를 내부에 수용되어, 그 구조를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참고로, 제 2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120) 양단은, 후설하는 곡선가이드와 이어지는 부분과는 떨어진 간격(G´)을 가지는 신축이음부를 가지며,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에서, 제 2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120)가 적용되는 경우에, 앞서 설명한 보조프레임(100)의 상부롤러(110)과 그 하부에 위치한 하부롤러(120)의 위치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캐리어(11)가 수직 승강할 때,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120)를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곡선가이드는 직선가이드(210)의 상부 쪽의 상부곡선가이드(220)와, 직선가이드(210)의 하부 쪽의 하부곡선가이드(230)로 구성하며, 이러한 곡선가이드는 상부롤러(110)가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형성된 단폭가이드(221)(231)와, 하부롤러(120)가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형성하는 장폭가이드(222)(232)로 구성하며, 곡선가이드에서는 롤러가 닿아 구르는 면을 형성하고, 또, 곡선가이드는 하부롤러(120)와 상부롤러(110)를 구성하는 수가 다르므로, 단폭가이드(221)(231)와 장폭가이드(222)(232)의 폭도 다르며, 또한, 롤러는 상부의 상부롤러(110)와 그 하부의 하부롤러(120)로 구성하므로, 상부곡선가이드(220)와 하부곡선가이드(230)의 구조(형상)는 다르게 형성한다.
우선, 상부곡선가이드(220)는 상기 직선가이드(210)의 상단에 이어서 장폭가이드(222)와 단폭가이드(221)가 이어지는 구조이고, 하부곡선가이드(230)는 직선가이드(210)의 하단에 이어서 장폭가이드(232)와 단폭가이드(231)가 각각 갈라지는(벌어지는) 구조이다.
더 자세하게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곡선가이드(220)는 캐리어(11)가 최상단에 위치하였을 때의 상부롤러(110)의 위치부터 시작하여, 캐리어(11)가 좌?우 방향으로 하강 이동(호 형상으로 하강 이동)함에 따른 상부롤러(110)에 따른 자취점을 따라 형성하는 단폭가이드(221)를 구성하되, 상부롤러(110)의 궤적유사각도(α)가 20 내지 40°에 해당하는 위치에서의 하부롤러(120)가 위치하는 지점에서부터는, 캐리어(11)가 좌?우 방향으로 하강 이동(호 형상으로 하강 이동)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하기 시작하기 전까지의 이동함에 따른 하부롤러(120)의 자취점을 따라 형성하는 장폭가이드(222)를 구성한다.
한편, 궤적유사각도(α)를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부롤러(110)가 단폭가이드(22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롤러(110)가 어떠한 위치에 있을 때, 상부롤러(110) 중심과 단폭가이드(221)의 중심(호 구조를 가지는 단폭가이드의 중심)을 잇는 선(K)과, 그 위치의 상부롤러(110)와 고정축(11b´)을 잇는 선(M)이 이루는 각도를 말하는 것으로, 이 궤적유사각도(α)는 상부롤러(110)가 최상부에 있을 때 가장 크고, 상부롤러(110)가 단폭가이드(221)를 타고 하강하면서 그 각도가 점점 작아지는데, 이러한 상부롤러(110)의 궤적유사각도(α)가 20 내지 40°인 지점에서 위치했을 때에, 하부롤러(120)가 위치하는 지점부터 장폭가이드(222)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부곡선가이드(220)에서는,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22)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롤러(110)가 단폭가이드(221)를 따라 구르면서(이때, 상부롤러는 단폭가이드를 따라 두 점을 접촉하면서 구른다)이며,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또,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22)에 있는 상태에서는,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22)를 따라 구르면서(이때, 한 쌍의 하부롤러는 장폭가이드를 따라 각각 한 점씩 접촉하여, 총 두 점을 접촉하면서 구른다)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데,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22)를 구르는 과정에서도 상부롤러(110)는 단폭가이드(221)를 따라 구르지만, 상부롤러(110)가 고정축(11b´)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과 단폭가이드(221)의 궤적이 유사하여, 이 구간에서 상부롤러(110)가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데 미비하므로, 이 구간에서는 하부롤러(120)에 의해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부곡선가이드(220)는 단폭가이드(221)와 장폭가이드(222)가 연속되어서 구성하되, 단폭가이드(221)와 장폭가이드(222)의 사이의 안쪽 부분은 트인 구조의 트임부(223)를 구성하여, 이 트임부(223)에 의해 하부롤러(120) 하부롤러(221)가 장폭가이드(222)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의 상부곡선가이드(22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의 상단에 상부롤러(110) 사이 거리 만큼의 간격을 두고 양쪽에 대칭되게 한 쌍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도2 및 도6를 참고하여 하부곡선가이드(230)의 구조를 살펴보면, 하부곡선가이드(230)는 직선가이드(210)의 하부부터 단폭가이드(231)와 장폭가이드(232)가 갈라지는 구조로 구성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하부곡선가이드(230)는 캐리어(11)가 최하단에 위치하였을 때의 상부롤러(110)의 위치부터 시작하여, 캐리어(11)가 좌?우 방향으로 상승 이동(호 구조로 상승 이동)함에 따른 상부롤러(110)에 따른 자취점을 따라 형성하는 단폭가이드(231)를 구성하고, 또한, 상부롤러(110)의 궤적유사각도(β)가 20 내지 40°일 때의, 하부롤러(120)가 위치하는 지점에서부터, 캐리어(11)가 좌?우 방향으로 상승 이동(호 구조로 상승 이동)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하기 시작하기 전까지의 이동함에 따른 하부롤러(120)의 자취점을 따라 형성하는 장폭가이드(231)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궤적유사각도(β)는 앞서 상부곡선가이드(220)의 궤적유사각도(α)와 같은 개념으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롤러(110)가 단폭가이드(23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롤러(110)가 어떠한 위치에 있을 때, 상부롤러(110) 중심과 단폭가이드(231)의 중심(호 구조의 단폭가이드의 중심)을 잇는 선(P)과, 그 위치의 상부롤러(110)와 고정축(11b´)을 잇는 선(Q)이 이루는 각도를 말하는 것으로, 캐리어(11)가 최하단에 위치하였을 때의 궤적유사각도(β)가 제일 크고, 캐리어(11)가 단폭가이드(231)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상승 이동하면서 궤적유사각도(β)는 점점 작아지게 되는데, 최하단에서 상승하는 캐리어(11)는 단폭가이드(231)를 따라 구르는 상부롤러(110)에 의해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31)를 진입하면, 캐리어(11)는 장폭가이드(231)를 따라 구르는 하부롤러(120)에 의해서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하부곡선가이드(230)는,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가이드(210)의 하부에서 장폭가이드(231)와 하부롤러(120)가이드가 각각 호 구조로 서로 갈라지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의 하부곡선가이드(230)는, 메인프레임(10)의 상단에 상부롤러(110) 사이의 거리만큼 거리를 두고 양쪽에 대칭되어 구성한다.
이렇게, 메인프레임(10) 양쪽에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의 직선가이드(210)를 각각 고정하고, 직선가이드(210) 상단에는 연속하여 이어지는 호 구조의 상부곡선가이드(220)를 구성하고, 직선가이드(210) 하단에는 두 개로 갈라진 호 구조의 하부곡선가이드(230)로 구성하는 가이드를 구성한다.
참고로,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 상단과 하단의 일부는,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곡선가이드에 일정 길이가 인입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직선가이드(210)의 양단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곡선가이드에 인입된 직선가이드(210)의 끝단은 곡선가이드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도록 형성하며, 이러한 신축이음부의 구조를 통해서,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에서 곡선가이드로의 이동 시에, 또는, 하부롤러(120)가 곡선가이드에서 직선가이드(210) 이동 시에, 움직임이 매끄럽게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는 테이크업(take-up) 장치에 의해서 실선의 상부곡선가이드(220)가 점선의 상부곡선가이드(220)의 위치로 적정 거리(I)를 이동하더라도, 직선가이드(210)가 상부곡선가이드(22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부롤러(120)의 매끄러운 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구조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곡선가이드(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울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 상단과 하단의 위치는 곡선가이드의 장폭가이드(222)(232)의 끝과 일치하게 위치하여,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22)(232)에서 직선가이드(210)로 이동하거나, 또는,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에서 장폭가이드(222)(232)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렇게 보조프레임(100)의 롤러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구조를 구성하며, 이 가이드 구조의 작동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일 하부에 위치한 캐리어(11)에 차를 주차하면, 캐리어(11)는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순환)하기 시작하는데, 차가 진입하는 방향(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캐리어(11)가 회전한다고 가정하여, 그 작동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주차된 캐리어(11)는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는데, 이때 보조프레임(100)의 롤러는 왼쪽의 하부곡선가이드(230)를 따라 이동하되, 보조프레임(100)의 왼쪽(보조프레임 전체에서 왼쪽) 상부롤러(110)가 단폭가이드(231)를 따라 구르면서 상승하며, 이어서, 왼쪽(보조프레임 전체에서 왼쪽) 하부롤러(120)는 장폭가이드(232)를 따라 구르면서 상승한다.
한편, 왼쪽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32)를 따라 구르는 과정에서, 상부롤러(110)는 단폭가이드(231)를 벗어나서 직선가이드(210)에 진입하여, 그 측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부롤러(110)가 직선가이드(210)의 일면을 구르면서 상승하지만,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롤러(110)가 직선가이드(210)에 구르지 않은 상태로 상승하더라도,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32)를 따라 이동하고 있으므로,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어서, 캐리어(11)가 호 구조의 이동을 끝내고 수직 상승하면서, 보조프레임(100)의 왼쪽 하부롤러(120)는 장폭가이드(232)를 빠져나옴과 동시에 직선가이드(210)로 진입한다.
이때,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롤러(120) 사이에 직선가이드(210)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캐리어(11)가 수직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직선가이드(210)의 양면을 따라 하부롤러(120)가 구르면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부롤러(110)와 그 하부에 위치한 하부롤러(120)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가 모두 직선가이드(210)를 따라 구르면서 상승한다.
또한, 캐리어(11)가 수직 상승하는 과정에서, 도7 및 도8과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가 적용되고, 상부롤러(110)와 그 하부에 위치한 하부롤러(120)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롤러(110)는 직선가이드(210)에 닿지 않은 상태로 상승하더라도, 한 쌍의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의 양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또, 상부롤러(110)는 직선가이드(210)에 닿지 않으면서 상승하므로, 소음과 부하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참고로, 앞서 상부롤러(110)와 그 하부에 위치한 하부롤러(120)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구조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에 적용한 것으로만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에서, 제 2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를 적용한 경우, 보조프레임(100)에 설치된 상부롤러(110)의 위치를 그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하부롤러(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상부롤러와 그 하부에 위치한 하부롤러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하지 않음)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에서, 캐리어(11)가 수직 상승하는 과정에서, 하부롤러(120)만이 직선가이드(210)를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므로,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음과 부하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제 1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210)의 경우에는, 캐리어(11)가 호 구조의 이동을 끝내고 수직 상승하면서, 보조프레임(100)의 왼쪽 하부롤러(120)는 장폭가이드(232)를 빠져나오면서, 동시에 직선가이드(210)로 진입하여, 왼쪽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를 따라 이동하여, 캐리어(1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캐리어(11)가 수직 상승하면서, 왼쪽 상부롤러(110)는 직선가이드(210)의 상단 및 장폭가이드(222)를 통과하고, 이어서, 왼쪽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의 상단을 지나면, 캐리어(11)는 수직 상승을 끝내고,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는데, 먼저, 왼쪽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22)를 따라 구르면서 통과함과 동시에, 왼쪽 상부롤러(110)는, 단폭가이드(221)를 따라 이동하며, 왼쪽 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22)를 벗어나더라도, 왼쪽 상부롤러(110)는 지속적으로 단폭가이드(221)를 따라 굴러 이동하면서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이러한 과정으로 캐리어(11)는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최상부에 위치한 캐리어(11)는 다시 본래의 최하부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오른쪽(보조프레임 전체에서 오른쪽) 상부롤러(110)가 오른쪽의 상부곡선가이드(220)를 따라 이동하되, 오른쪽의 상부롤러(110)는 단폭가이드(221)를 따라 굴러 이동하고, 이어서, 오른쪽(보조프레임 전체에서 오른쪽) 하부롤러(120)는 장폭가이드(222)에 진입하여 이동하며, 오른쪽하부롤러(120)가 장폭가이드(222)를 벗어나면서부터는, 하부롤러(120)가 직선가이드(210)에 진입하면서, 캐리어(11)는 수직 하강을 하게 된다.
아울러, 캐리어(11)가 수직 하강함에 따른, 가이드 구조 및 작동은, 캐리어(11)가 수직 상승할 때의 가이드 구조 및 작동과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캐리어(11)가 수직 하강한 후에는, 왼쪽으로 하강 이동을 시작하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가이드(210)를 벗어난 하부롤러(120)는 하부곡선가이드(230)의 장폭가이드(232)를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고, 이어서, 직선가이드(210)를 벗어난 오른쪽 상부롤러(110)는 단폭가이드(231)를 따라 구르며 이동하여, 캐리어(11)는 원래 위치, 즉, 로터리 주차 장치의 최하부의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캐리어(11)가 순환하는 구조에 따른 가이드 구조 및 작동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를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구조와 작동은, 캐리어(11)가 반대로 회전(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하더라도, 같은 가이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고, 같은 작동 순서를 가진다.
이렇게 구성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는, 메인프레임(10)의 상부 쪽에서, 캐리어(11)가 좌?우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는, 보조프레임(100)의 롤러가 상부곡선가이드(220)를 따라 이동하되, 상부롤러(110)는 단폭가이드(221)를 따라 이동하고, 하부롤러(120)는 장폭가이드(22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궤적유사각도(α)가 작아서 상부롤러(110)가 단폭가이드(221)에서 캐리어(11)를 지지하지 못하더라도, 장폭가이드(222)를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하부롤러(120)에 의해서,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메인프레임(10)의 아래쪽에서, 캐리어(11)가 좌?우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는, 보조프레임(100)의 롤러가 곡선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되, 보조프레임(100)의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상부롤러(110)는 단폭가이드(231)를 따라 이동하고, 하부롤러(120)는 장폭가이드(232)를 따라 이동하므로, 궤적유사각도(β)가 작아서 상부롤러(110)가 단폭가이드(221)에서 캐리어(11)를 지지하지 못하더라도, 장폭가이드(232)를 따라 이동하는 두 개의 하부롤러(120)에 의해서,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구조에서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상부나 하부에서, 캐리어(11)의 호 구조의 이동에 따라, 상부의 상부롤러(110)와 그 하부에 한 쌍으로 구성하는 하부롤러(120)가 곡선가이드를 따라 각각 이동하면서 캐리어(11)를 지지하되, 상부롤러(110)를 안내하는 단폭가이드(221)(231)와, 하부롤러(120)를 안내하는 장폭가이드(222)(232)가 온전히 구분된 폭과 위치(공간)를 가지므로, 캐리어(11)의 이동에 따라서, 롤러가 곡선가이드를 따라 구르면서, 위치에 상관없이, 캐리어(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0)의 양쪽에서 캐리어(11)가 수직으로 상승, 하강하는 과정에서는, 직선가이드(210)를 따라 하부롤러(120)가 구르면서 이동하므로, 캐리어(11) 흔들림을 방지한다.
아울러, 제 1실시예의 직선가이드(210)를 가지는 가이드 구조에서, 보조프레임(100)에 구성된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가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하지 않은 구조를 가지므로, 캐리어(11)가 수직으로 상승, 하강하는 과정에서, 캐리어(11)에 외력이 가해져도, 상부롤러(110)는 직선가이드(210)에 닿지 않고, 하부롤러(120)가 캐리어(11)를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서, 캐리어(11)의 이동 중에 소음 발생과 부하 발생을 최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11 : 캐리어 14 : 어태치먼트
100 : 보조프레임 110 : 상부롤러
120 : 하부롤러 210 : 직선가이드
230 : 상부곡선가이드 221 : 단폭가이드
222 : 장폭가이드 223 : 트임부
230 : 하부곡선가이드 231 : 단폭가이드
232 : 장폭가이드

Claims (7)

  1. 차가 주차되는 캐리어가 상?하부에서 반원호 형상으로 이동하고, 그 양쪽에서는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는 통상 로터리 주차 장치에서, 캐리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그 보조프레임에 고정된 롤러의 자취점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의 롤러는,
    보조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각각 하나로 설치된 상부롤러와, 그 하부 양쪽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하부롤러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롤러가 구르는 면을 제공하여,
    캐리어가 순환하면서,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부의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의 하부곡선가이드와, 상기 상부곡선가이드와 하부곡선가이드 사이에 구성하는 직선가이드로 구성하되,
    상부곡선가이드는 최상부에서 상부롤러를 안내하는 단폭가이드와 하부롤러를 안내하는 장폭가이드를 순차로 형성하고,
    직선가이드는 상기 상부곡선가이드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이어지는 구조이며,
    하부곡선가이드는 상기 직선가이드 하부에서, 상부롤러를 안내하는 단폭가이드와 하부롤러를 안내하는 장폭가이드가 갈리는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가이드의 장폭가이드는,
    상부곡선가이드의 단폭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롤러의 궤적유사각도가 20 내지 40°인 위치에서, 하부롤러가 위치하는 지점부터 직선가이드까지 하부롤러가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형성되어 구성하고,
    상기 하부곡선가이드의 장폭가이드는,
    하부곡선가이드의 단폭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롤러의 궤적유사각도가 20 내지 40°인 위치에서, 하부롤러가 위치하는 지점부터 직선가이드까지 하부롤러가 이동하는 자취점으로 형성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에서,
    상기 직선가이드는,
    한 쌍의 하부롤러가 형성하는 좌우 폭으로 구성되어,
    하부롤러는 직선가이드의 내부를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5.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에서,
    상기 직선가이드는,
    한 쌍의 하부롤러의 사이 간격으로 구성되어,
    하부롤러는 직선가이드의 양면을 따라 구름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가이드 상단과 하단의 일부는, 각각 상부곡선가이드 및 하부곡선가이드에 일정 길이가 인입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직선가이드의 양단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의 위치는, 그 하부의 위치한 하부롤러와의 위치와 어긋나게 구성하여,
    하부롤러가 직선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롤러는 직선가이드에 접촉하지 않아서, 소음 발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KR1020100122213A 2010-12-02 2010-12-02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KR10119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13A KR101196406B1 (ko) 2010-12-02 2010-12-02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13A KR101196406B1 (ko) 2010-12-02 2010-12-02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15A true KR20120060615A (ko) 2012-06-12
KR101196406B1 KR101196406B1 (ko) 2012-11-02

Family

ID=4661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213A KR101196406B1 (ko) 2010-12-02 2010-12-02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4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890A (zh) * 2015-08-21 2015-12-16 济南金力液压机械有限公司 电动旋转垂直升降式立体车库
CN107859384A (zh) * 2017-11-16 2018-03-30 长沙理工大学 一种模块化循环立体自行车库
CN108149977A (zh) * 2018-01-31 2018-06-12 深圳市奇见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循环车库的防摆轨道的坡口机构
KR20220023050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369B1 (ko) 2013-05-20 2014-06-27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906Y1 (ko) 1995-12-29 2000-03-02 이종수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케이지 흔들림 방지장치
KR200329557Y1 (ko) 2003-07-26 2003-10-10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턴테이블이 내장된 로타리 주차장치
KR200446291Y1 (ko) 2009-03-09 2009-10-14 김봉춘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890A (zh) * 2015-08-21 2015-12-16 济南金力液压机械有限公司 电动旋转垂直升降式立体车库
CN105155890B (zh) * 2015-08-21 2017-05-24 济南金力液压机械有限公司 电动旋转垂直升降式立体车库
CN107859384A (zh) * 2017-11-16 2018-03-30 长沙理工大学 一种模块化循环立体自行车库
CN108149977A (zh) * 2018-01-31 2018-06-12 深圳市奇见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循环车库的防摆轨道的坡口机构
KR20220023050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406B1 (ko) 201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406B1 (ko) 로터리 주차 장치의 가이드 구조
TWI597222B (zh) Handling equipment and automatic warehouses
JP2016106058A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0522064B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JP5858771B2 (ja) 乗客コンベア
JP5447109B2 (ja) 防火シャッタ、防火シャッタの据え付け方法
JP6898805B2 (ja) フォーク式機械駐車装置
JP2004131009A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5841892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21063421A (ja) 引戸
JP6658362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用ドア装置
JP2614494B2 (ja) 旋回装置付垂直循環式駐車装置
JP2003035046A (ja) ダブルケージ型昇降式駐車装置
JP2585575B2 (ja) クレ−ンの組み立て方法
JP7332513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2389801B1 (ko) 차량 적재함의 덮개장치
KR102224584B1 (ko) 직진 이동하는 사각 회전 구조를 가진 회전형 자동문
JP3912710B2 (ja) 3縦列中間乗入型昇降式駐車装置
JP3312884B2 (ja) 多段式駐車設備
JP3426978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2008008010A (ja) 機械式駐車設備
JPS63218407A (ja) クレ−ンの昇降キヤレツジ案内装置
JP3960566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H01275863A (ja) 立体駐車施設
JP3508575B2 (ja) 収納装置における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