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676B1 - 체인 - Google Patents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676B1
KR101874676B1 KR1020150080585A KR20150080585A KR101874676B1 KR 101874676 B1 KR101874676 B1 KR 101874676B1 KR 1020150080585 A KR1020150080585 A KR 1020150080585A KR 20150080585 A KR20150080585 A KR 20150080585A KR 101874676 B1 KR101874676 B1 KR 10187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ring
link plate
ring
chain
link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323A (ko
Inventor
켄타로 야마네
세이지 오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5014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Landscapes

  • Sealing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체인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 각 내링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관통공에 각각 삽통되고, 양단부가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돌출되는 부쉬; 부쉬에 삽입되는 핀;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를 외측으로부터 끼우듯이 배치되는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로서, 핀의 양단부가 각 외링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2관통공에 각각 삽통되는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 부쉬의 양단부에 감합되고, 각 내링크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각 외링크 플레이트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고리 형상의 실부재;를 구비한다. 내주측 실 링은 내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압축상태의 제1탄성링이 개재된 상태에서, 외링크 플레이트에 접하고, 외주측 실 링은 외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압축상태의 제2탄성링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에 접한다.

Description

체인{Chain}
본 발명은, 부쉬의 내주면과 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봉입되고, 내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외플레이트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실부가 설치되는 체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부에 의해 윤활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부쉬의 내주면과 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외부로부터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체인으로서는, 내측 링크 플레이트와 외측 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실 구조가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0-136848호 공보 참조). 실 구조는, 외주측 실 링, 외주 측 실 링의 내주측에 배치된 내주측 실 링, 외주측 실 링과 내주측 실 링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을 구비한다. 추가로, 내측 링크 플레이트와 외측 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O-링이 배치된다. 외측 링크 플레이트와 내주측 실 링과의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V-링크가 배치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00-136848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체인은, 내측 링크 플레이트와 외주측 실 링이 상대적으로 회동할 경우, 외주측 실 링 및 V-링크가, 각각 외측 링크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동한다. 그리고, 접동부분에는 일반적으로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이물의 진입경로 및 내부로부터 윤활제의 누출경로는, 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외주측 실 링과의 사이의 간극, 및 링크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V-링크와의 사이의 간극을 포함하고, 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직선상의 경로이다. 이 때문에, 상술한 진입경로 및 누출경로를 이물 및 윤활제가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실 구조에 의한 밀폐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부에 의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효과에 관하여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체인은, 서로 대향하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 각 내링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관통공에 삽통되고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돌출되는 통 형상의 부쉬, 상기 부쉬에 삽입되는 핀, 상기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배치되는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로서, 상기 핀의 양단부가 각 외링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2관통공에 각각 삽통되는 상기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 상기 각 내링크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상기 각 외링크 플레이트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부쉬의 양단부에 각각 감합되는 고리 형상의 실부재를 구비한 체인으로서, 각 실부재는 상기 부쉬의 외주면에 감합하는 내주측 실 링, 상기 내주측 실 링의 외주면에 감합되는 외주측 실 링을 구비하고, 상기 내주측 실 링 및 상기 외주측 실 링은 각각 강성을 갖고, 상기 내주측 실 링 및 상기 외주측 실 링 중 어느 하나의 실 링은,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 및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내주측 실 링 및 상기 외주측 실 링 중 어느 하나의 실 링은,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압축상태의 제1탄성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그 접부에서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에 미끄럼 접촉하고, 상기 내주측 실 링 및 상기 외주측 실 링 중 다른 하나의 실 링은,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압축상태의 제2탄성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그 접부에서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에 미끄럼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주측 실 링에서의 접부와 외주측 실 링에서의 접부가 서로 반대측이 된다. 또한, 내주측 실 링과 외주측 실 링이 이들의 직경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이물의 진입경로 및 내부로부터 윤활제의 누출경로는, 내주측 실 링에서의 접부가 설치되는 측, 외주측 실 링에서의 접부가 설치되는 측, 및 내주측 실 링과 외주측 실 링과의 사이를 지나는 굴곡진 경로가 된다. 따라서, 상술한 진입경로 및 누출경로를 이물 및 윤활제가 각각 진행하기가 어렵게 되므로, 실부에 의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체인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체인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의 확대도
도 4는, 제1변경예의 체인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는, 제2변경예의 체인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은, 제3변경예의 체인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7은, 제4변경예의 체인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8은, 제5변경예의 체인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9는, 제6변경예의 체인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이하, 체인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11)은, 복수의 내링크(13) 및 복수의 외링크(15)를 구비한다. 각 내링크(13)는 폭 방향(Y)을 따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를 갖는다. 각 외링크(15)는 대응하는 내링크(13)의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를 폭 방향(Y)의 외측으로부터 끼우며 배치되는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14)를 갖는다.
내링크(13)의 내링크 플레이트(12) 및 외링크(15)의 외링크 플레이트(14)는, 폭 방향(Y)과 직교하는 직렬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둥근 형태를 띠는 판 형상을 이룬다. 내링크 플레이트(12) 및 외링크 플레이트(14)의 중앙부는 잘록한 형상을 이룬다. 직렬방향(X)은, 체인(11)의 길이방향과 대응하고, 또한 체인(11)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당겨져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한다. 폭 방향(Y)을 따라 대향하는 내링크 플레이트(12) 및 외링크 플레이트(1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체인(11)은, 직렬방향(X)을 따른 내링크(13)의 제1단 및 제2단에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이 각각 균등하도록 구성되고, 직렬방향(X)을 따른 외링크(15)의 제1단 및 제2단에 있어서 외링크 플레이트(14) 사이의 간격이 각각 균등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체인(11)은 소위 플랫 타입의 체인이다.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직렬방향(X)에 있어서 양단부에는, 부쉬를 삽통하기 위한 원형의 제1관통공(16)이 내링크 플레이트(12)를 폭 방향(Y)을 따라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내링크(13)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사이에는, 이들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원통상의 부쉬(17)가 설치된다.
부쉬(17)의 양단부는,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제1관통공(16)에 대하여 각각 감합된다. 즉, 부쉬(17)의 양단부는,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제1관통공(16)에 각각 삽통되고,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에 각각 돌출된다. 부쉬(17)는, 원통상의 롤러(18)에 삽통됨으로써 롤러(1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부쉬(17)는, 롤러(18)에 헐겁게 설치된다.
부쉬(17)의 양단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에 돌출된 부분은 외주면(17a)을 각각 구성한다. 외주면(17a)에는, 고리 형상의 실부재(19)가 각각 감합된다. 따라서, 실부재(19)는, 각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 각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실부재(19)의 두께는, 부쉬(17)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로부터 돌출길이보다도 약간 두껍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부쉬(17)의 각 부쉬(17)b와 각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외링크 플레이트(14)의 직렬방향(X)에 있어서 양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핀(20)이 삽입되는 원형의 제2관통공(21)이 외링크 플레이트(14)를 폭 방향(Y)을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핀(20)은 부쉬(17)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핀(20)은, 그 제1단부에 제2관통공(21)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을 갖는 빠짐방지용의 확경부(20a)를 갖는다.
외링크(15)의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14)는, 내링크(13)의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으로부터 핀(20)을 통하여 내링크 플레이트(12)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내링크(13)은,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부쉬(17)를 구비한다. 이 경우, 각 핀(20)은, 그 중간부가 각 부쉬(17)에 삽통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외링크(15)의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14)의 제2관통공(21)에 대하여 각각 감합된다.
따라서, 핀(20)의 양단부는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14)의 제2관통공(21)을 지나 외측에 각각 돌출된다. 그리고, 직렬방향(X)에서 서로 이웃한 내링크(13)의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와 외링크(15)의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14)가 직렬방향(X)에 대응하는 단부 사이에서 핀(20) 및 부쉬(17)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핀(20)의 외주면에 있어서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충진하기 위한 요부(2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요부(20b)에 윤활제가 충진된 상태에서 체인(11)을 사용하면, 부쉬(17)와 핀(20)이 상대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요부(20b) 내의 윤활제가 부쉬(17)의 내주면과 핀(20)의 외주면의 사이로 퍼진다. 이로써, 윤활제에 의해 부쉬(17)와 핀(20)의 상대적인 회동이 윤활된다. 본 실시형태의 체인(11)은, 강재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 실부재(19)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부재(19)는, 강성을 갖는 고리 형상의 내주측 실 링(30)과, 강성을 갖는 고리 형상의 외주측 실 링(31)을 구비한다. 내주측 실 링(30)은 부쉬(17)의 외주면(17a)에 감합된다. 외주측 실 링(31)은 내주측 실 링(30)의 외주면에 감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 및 외주측 실 링(31)은, 강재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내주측 실 링(30)의 내주면에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12)에 근접한 각부에는, 모깎이가 행해짐으로써 사면(32)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주측 실 링(30)의 사면(32)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 부쉬(17)의 외주면(17a)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는, 고리 형상의 제1탄성링(33)이 사면(32), 외측면(12a) 및 외주면(17a)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제1탄성링(33)은, 내주측 실 링(30)의 사면(32)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의 사이 및 사면(32)과 부쉬(17)의 외주면(17a)과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개재된다. 이 경우, 내주측 실 링(30)에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 대향하는 면을 제1대향면(34)이라 하면, 이 제1대향면(34)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내주측 실 링(30)에 있어서 외링크 플레이트(14)와 미끄럼 접촉하는 측에는,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에 미끄럼 접촉하는 고리 형상의 접부(35)와, 접부(35)에 인접하는 고리 형상의 윤활제저류부(36)가 설치된다. 윤활제저류부(36)에는 접부(35)에 공급되는 윤활제가 저류된다. 접부(35)는, 내주측 실 링(30)의 직경 방향의 외측부분에 있어서, 윤활제저류부(36)보다도 외링크 플레이트(14)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윤활제저류부(36)는, 내주측 실 링(30)에 있어서 외링크 플레이트와 미끄럼 접촉하는 측에 형성된다. 윤활제저류부(36)는, 접부(35)보다도 내주측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의 주위 전체에 형성되고, 윤활제저류부(36)와 접부(35)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윤활제저류부(36)와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에 부쉬(17)와 핀(20)과의 사이로부터 부쉬(17)와 외링크 플레이트(14)와의 사이를 지나 유입되는 윤활제가 저류된다.
외주측 실 링(31)에 있어서 외링크 플레이트(14)와 대향하는 면을 제2대향면(40)이라 하면, 이 제2대향면(40)의 외주측 실 링(31)의 직경방향의 중앙부에는, 고리 형상의 제1홈(41)이 형성된다. 제1홈(41)에는, 고리 형상의 제2탄성링(42)이 감입된다. 제1홈(41)의 깊이는 제2탄성링(42)의 두께보다도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제2탄성링(42)는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와 제1홈(41)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2탄성링(42)는 스스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에 밀착된다. 제2탄성링(42)는,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 외주측 실 링(31)과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개재된다. 이 경우, 외주측 실 링(31)의 제2대향면(40)과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외주측 실 링(31)에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12)에 근접한 면은,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부로서의 접면(43)을 구성한다. 접면(43)에 있어서 외주측 실 링(31)의 직경방향의 중앙부에는, 고리 형상의 제2홈(44)가 형성된다. 제2홈(44)는, 폭 방향(Y)에 있어서 제1홈(41)과 인접한다. 제2홈(44)의 외주측 실 링(31)의 직경방향의 폭은 제1홈(41)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깊이는 제1홈(41)보다도 깊게 설정된다.
제2홈(44)에는 고리 형상의 제3탄성링(45)이 감입된다. 제3탄성링(45)은 제2탄성링(42)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제2홈(44)의 깊이는 제3탄성링(45)의 두께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제3탄성링(45)는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 제2홈(44)에 의해 압축되어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3탄성링(45)는 스스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외주측 실 링(31)의 양측에는 제2탄성링(42) 및 제3탄성링(45)의 두께보다도 작은 깊이를 갖는 한 쌍의 고리 형상의 제1홈(41) 및 제2홈(4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제1홈(41) 및 제2홈(44)에 제2탄성링(42) 및 제3탄성링(45)가 각각 배치된다.
추가로, 이 경우, 제2홈(44)의 깊이가 제1홈(41)의 깊이보다도 깊게 설정되기 때문에, 제2탄성링(42)의 압축률이 제3탄성링(45)의 압축률보다도 커진다. 이 때문에, 제2탄성링(42)의 탄성복원력이 제3탄성링(45)의 탄성복원력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제2탄성링(42)의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에 대한 밀착력이, 제3탄성링(45)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에 대한 밀착력보다 커진다.
즉, 폭 방향(Y)에 있어서 외주측 실 링(31)의 양측에 배치된 제2탄성링(42) 및 제3탄성링(45) 중,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와 같은 측에 배치된 제2탄성링(42)의 밀착력이, 접부(35)와 반대측에 배치된 제3탄성링(45)의 밀착력보다도 커진다.
제1탄성링(33), 제2탄성링(42), 제3탄성링(45)은,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다음으로, 체인(11)의 사용시에 있어서 실부재(19)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체인(11)을 사용하면, 내링크 플레이트(12)와 외링크 플레이트(14)가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이때, 제2탄성링(42)의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에 대한 밀착력은, 제3탄성링(45)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에 대한 밀착력보다 크다. 이 때문에, 외주측 실 링(31)의 접면(43) 및 제3탄성링(45)가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에 대하여 접동하는 한편, 제2탄성링(42)는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에 대하여 접동하지 않고, 내측면(14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내주측 실 링(30)은, 접부(35)에 있어서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에 대하여 접동한다. 이 때문에, 내주측 실 링(30), 제1탄성링(33), 및 부쉬(17)는, 내링크 플레이트(12)와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내주측 실 링(30)의 사면(32),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 및 부쉬(17)의 외주면(17a)에 대한 제1탄성링(33)의 밀착상태는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부터, 체인(11)의 외부에 존재하는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이 체인(11)의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이물은 제2탄성링(42)과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물은 외주측 실 링(31)의 접면(43)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의 사이, 및 제3탄성링(45)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의 사이를 통하여 체인(11)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때, 이물은 내주측 실 링(30)의 제1대향면(34)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 진행한다. 그러나, 제1탄성링(33)이 내주측 실 링(30)의 사면(32) 및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의 진행은 제1탄성링(33)에 의해 차단된다.
이 때문에, 체인(11)의 내부로 진입한 이물은, 내주측 실 링(30)의 외주면과 외주측 실 링(31)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통해 진입한다. 그 후, 이물은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와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 및 부쉬(17)의 단면(17b)과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를 통해 부쉬(17)의 내주면과 핀(20)의 외주면과의 사이로 진입한다.
따라서, 체인(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경로는, 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이 된다. 즉, 체인(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경로는, 소위 래버린스(미궁)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이물이 실부재(19)의 내부를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즉, 종래와 비교하여 실부재(19)에 의한 밀폐성이 향상되기에, 실부재(19)에 의해 체인(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부쉬(17)의 내주면과 핀(20)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윤활제가 체인(1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윤활제는, 부쉬(17)의 부쉬(17)b과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를 통해 윤활제저류부(36)으로 유입된다. 이 윤활제는, 윤활제저류부(36)에 저류되어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와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로 공급된다.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와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에 공급되어 해당 위치를 윤활시킨 윤활제는, 제2탄성링(42)과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윤활제는 내주측 실 링(30)의 외주면과 외주측 실 링(31)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유동한 후, 외주측 실 링(31)의 접면(43)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의 사이, 및 제3탄성링(45)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의 사이를 통해 체인(11)의 외부로 누출된다.
따라서, 체인(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윤활제의 누출경로는, 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이 된다. 즉, 체인(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윤활제의 누출경로는, 이물의 진입경로를 이물의 진행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는 경로에 대응하고, 소위 래버린스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윤활제가 실부재(19)의 내부를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즉, 종래와 비교하여 실부재(19)에 의한 밀폐성이 향상되기에, 실부재(19)에 의해 체인(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윤활제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실부재(19)에 의해, 체인(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경로의 거리 및 체인(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윤활제의 누출경로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기에, 체인(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체인(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윤활제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인(1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체인(11)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은, 내링크 플레이트(12)와의 사이에 압축상태의 제1탄성링(33)을 개재한 상태로, 접부(35)에 있어서 외링크 플레이트(14)에 접한다. 외주측 실 링(31)은, 외링크 플레이트(14)와의 사이에 압축상태의 제2탄성링(42)을 개재한 상태로, 접부로서의 접면(43)에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12)에 접한다. 즉, 체인(11)에 있어서는, 내주측 실 링(30)에서의 접부(35)와, 외주측 실 링(31)에서의 접면(43)이 서로 폭 방향(Y)에서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내주측 실 링(30)과 외주측 실 링(31)이 이들의 직경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때문에, 체인(1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경로 및 체인(11)에 있어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윤활제의 누출경로는,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과 내주측 실 링(30)에서 접부(35)과의 사이,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 외주측 실 링(31)에서 접면(43)과의 사이, 및 내주측 실 링(30)과 외주측 실 링(31)과의 사이를 지나는 굴곡진 크랭크 형상(래버린스 구조)의 경로가 된다. 따라서, 이물 및 윤활제가 체인(11)에 있어서 이물의 진입경로 및 윤활제의 누출경로를 각각 진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실부재(19)에 의한 이물 및 윤활제에 대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체인(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체인(11)에 있어서, 외주측 실 링(31)에 있어서의 제1홈(41)에 배치된 제2탄성링(42)의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에 대한 밀착력은, 외주측 실 링(31)에 있어서의 제2홈(44)에 배치된 제3탄성링(45)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에 대한 밀착력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체인(11)의 외부에 존재하는 이물이 제2탄성링(42)를 넘어서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를 향하여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를 윤활시킨 윤활제가 제2탄성링(42)을 넘어서 체인(1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3) 체인(11)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에는, 외링크 플레이트(14)에 접하는 접부(35)와, 이 접부(35)와 인접하고 접부(35)에 공급되는 윤활제를 저류 가능한 윤활제저류부(36)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윤활제저류부(36)에 저류된 윤활제를 접부(35)에 대하여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4) 체인(11)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는, 이의 내주측 실 링(30)의 직경방향의 외측부분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보다도 내주측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의 전 주위에 윤활제저류부(36)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제저류부(36)를 크게 할 수 있다.
(5) 체인(11)에 있어서, 제1탄성링(33)은 접동하지 않기 때문에, 접동하는 제3탄성링(45)보다도 수명이 길어진다. 이 때문에, 제3탄성링(45)가 기능하지 않게 된 경우에, 제3탄성링(45)의 백업으로서 제1탄성링(33)을 기능시킬 수 있다.
(변경예)
상기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ㆍ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측 실 링(31)에 있어서 제2홈(44) 및 제3탄성링(45)을 생략할 수 있다.
ㆍ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측 실 링(30)에 있어서 사면(32)을 생략하고, 내주측 실 링(30)에 있어서의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 대향하는 제1대향면(34)에 고리 형상의 제3홈(50)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 제3홈(50)에 제1탄성링(33)을 압축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탄성링(33)은 제3홈(50)과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에서 끼어 압축되고, 내링크 플레이트(12)의 외측면(12a)과 내주측 실 링(30)의 제1대향면(34)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ㆍ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의 체인(11)에 있어서, 외주측 실 링(31)에 있어서 제2홈(44) 및 제3탄성링(45)을 생략할 수 있다.
ㆍ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의 체인(11)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의 방향 및 외주측 실 링(31)의 방향을 각각 폭 방향(Y)에서 반대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체인(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윤활제의 누출경로 및 체인(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경로도, 도 7에 이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의 체인(11)에 대하여 폭 방향(Y)에서 반대가 된다.
ㆍ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의 체인(11)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에 있어서의 접부(35) 및 윤활제저류부(36)를 생략하고, 내주측 실 링(30)에 있어서 외링크 플레이트(14)의 내측면(14a)에 근접하는 면을 내측면(14a)에 접하는 평탄한 제2접면(51)로서 구성한다. 그리고, 제2접면(51)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의 직경방향의 중앙부에 제2홈(44)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4홈(52)을 형성하고, 이 제4홈(52)에 제3탄성링(45)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4탄성링(53)이 감입되도록 할 수 있다.
ㆍ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의 체인(11)에 있어서, 외주측 실 링(31)에 있어서의 제2홈(44) 및 제3탄성링(45)을 생략할 수 있다.
ㆍ 체인(11)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의 접부(35)는, 반드시 내주측 실 링(30)의 직경방향의 외측부분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ㆍ 체인(11)에 있어서, 내주측 실 링(30)의 윤활제저류부(36)은 생략할 수 있다.
ㆍ 내주측 실 링(30) 및 외주측 실 링(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을, 강성을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ㆍ 제1홈(41)에 복수의 제2탄성링(42)을 감입할 수 있고, 제2홈(44)에 복수의 제3탄성링(45)을 감입할 수도 있다.
ㆍ 롤러(18)은 생략할 수 있다.
ㆍ 체인(11)은, 대향하는 2개의 링크 플레이트의 직렬방향(X)에 있어서 일단측의 폭이 타단측의 폭보다도 좁도록 만곡시킨 복수의 링크를 부쉬(17) 및 핀(20)에 의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소위 오프셋 타입의 체인일 수 있다.

Claims (6)

  1. 서로 대향하고, 또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
    각 내링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관통공에 삽통되고,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돌출되는 통 형상의 부쉬;
    상기 부쉬에 삽입되는 핀;
    상기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를 외측으로부터 끼워 배치되는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로서, 상기 핀의 양단부가 각 외링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2관통공에 각각 삽통되는 상기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 및
    상기 각 내링크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상기 각 외링크 플레이트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부쉬의 양단부에 각각 감합되는 고리 형상의 실부재;를 구비하는 체인으로서,
    각 실부재는, 상기 부쉬의 외주면에 감합하는 내주측 실 링과, 상기 내주측 실 링의 외주면에 감합하는 외주측 실 링을 구비하고, 상기 내주측 실 링 및 상기 외주측 실 링은 각각 강성을 가지고,
    상기 내주측 실 링 및 상기 외주측 실 링은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 및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내주측 실 링은,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압축상태의 제1탄성링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그 접부에 있어서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에 미끄럼 접촉하고,
    상기 외주측 실 링은,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압축상태의 제2탄성링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그 접부에 있어서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에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외주측 실 링과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는 압축상태의 제3탄성링이 개재되고,
    상기 외주측 실 링은,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에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외주측 실 링의 접부를 구성하는 미끄럼 접촉면과,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제1홈과, 상기 미끄럼 접촉면에 형성된 제2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링은 상기 제1홈에 감입되며,
    상기 제3탄성링은 상기 제2홈에 감입되고,
    상기 제1홈의 깊이는 상기 제2홈의 깊이보다 얕게 설정되고,
    상기 제3탄성링은 상기 제2탄성링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측 실 링에는, 그 내주측 실 링의 접부에 인접하고, 그 접부에 공급되는 윤활제를 저류가능한 윤활제저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측 실 링의 접부는, 상기 내주측 실 링의 직경방향의 외측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80585A 2014-06-11 2015-06-08 체인 KR101874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0753A JP6040199B2 (ja) 2014-06-11 2014-06-11 チェーン
JPJP-P-2014-120753 2014-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323A KR20150143323A (ko) 2015-12-23
KR101874676B1 true KR101874676B1 (ko) 2018-07-05

Family

ID=5507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585A KR101874676B1 (ko) 2014-06-11 2015-06-08 체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40199B2 (ko)
KR (1) KR101874676B1 (ko)
CN (1) CN105276086B (ko)
HK (1) HK1217529A1 (ko)
TW (1) TWI572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374B1 (ko) 2016-09-06 2017-09-28 조성진 버킷 엘리베이터용 체인의 밀봉수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818A (ja) * 2000-11-22 2002-06-04 Daido Kogyo Co Ltd シールチェーン
JP2003322221A (ja) * 2002-04-26 2003-11-14 Tsubakimoto Chain Co シールチェーン
JP2009085253A (ja) * 2007-09-27 2009-04-23 Hitachi Metals Techno Ltd チェン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0288A1 (de) * 1983-01-07 1984-07-12 Intertractor Viehmann GmbH & Co, 5820 Gevelsberg Dichtung fuer eine gelenkverbindung in einem spurkettengelenk eines raupenfahrzeuges
US5069509A (en) * 1990-06-18 1991-12-03 Caterpillar Inc. Endless track chain with rotatable sleeve
US5183318A (en) * 1991-11-26 1993-02-02 Caterpillar Inc. Endless track chain for track-type vehicles
JP3349103B2 (ja) * 1998-10-30 2002-11-20 日立機材株式会社 チェン構造
DE102004031941A1 (de) * 2004-06-30 2006-01-19 Ab Skf Dichtungsanordnung und Gelenk einer Kette mit der Dichtungsanordnung
US8011497B2 (en) * 2005-09-09 2011-09-06 Daido Kogyo Co., Ltd. Seal chain having greaser
JP4098340B2 (ja) * 2006-09-13 2008-06-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シールチェーン
JP2008116014A (ja) * 2006-11-07 2008-05-22 Tsubakimoto Chain Co シールチェーン
JP4255969B2 (ja) * 2006-12-05 2009-04-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JP2008157423A (ja) * 2006-12-26 2008-07-10 Tsubakimoto Chain Co シールチェーン
JP2009264502A (ja) * 2008-04-25 2009-11-12 Tsubakimoto Chain Co コンベヤチェーン
KR20100095220A (ko) * 2009-02-20 2010-08-30 동양체인공업주식회사 체인용 씰링 장치
JP5409501B2 (ja) * 2010-04-27 2014-02-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シールチェーン
JP5404531B2 (ja) * 2010-06-01 2014-02-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シールチェーン
JP5637871B2 (ja) * 2011-01-13 2014-12-1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コンベヤチェーン
TWI460360B (zh) * 2012-02-13 2014-11-11 Yaban Chain Ind Co Ltd 含油鏈條及其鏈片(一)
TWI456123B (zh) * 2012-02-13 2014-10-11 Yaban Chain Ind Co Ltd 含油鏈條及其鏈片(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818A (ja) * 2000-11-22 2002-06-04 Daido Kogyo Co Ltd シールチェーン
JP2003322221A (ja) * 2002-04-26 2003-11-14 Tsubakimoto Chain Co シールチェーン
JP2009085253A (ja) * 2007-09-27 2009-04-23 Hitachi Metals Techno Ltd チ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323A (ko) 2015-12-23
HK1217529A1 (zh) 2017-01-13
CN105276086A (zh) 2016-01-27
JP2016001023A (ja) 2016-01-07
CN105276086B (zh) 2017-12-26
TW201604441A (zh) 2016-02-01
TWI572793B (zh) 2017-03-01
JP6040199B2 (ja)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9501B2 (ja) シールチェーン
JP5404531B2 (ja) シールチェーン
KR102354320B1 (ko) 밀봉 장치
JP5741538B2 (ja) 直動案内装置
KR101874676B1 (ko) 체인
JP6193021B2 (ja) 直動案内ユニット
KR101694641B1 (ko) 실링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터빈밸브 유압액추에이터 실린더어셈블리
KR20130054962A (ko) 밀봉 장치 및 밀봉 장치를 갖는 체인의 링크
JP6076789B2 (ja) シール構造
JP5545420B1 (ja) シールリング
JP6735673B2 (ja) 密閉組立体、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5045358B2 (ja) 密封構造
JP2014025526A (ja) シールチェーン
JP2021156314A (ja) 密封装置
JP5702676B2 (ja) オイルシール
JP5100794B2 (ja) シールチェーン
JP2012211659A (ja) 密封装置
JP5304057B2 (ja) 密封装置及び密封構造
JP2021001647A (ja) コンタミネーションシール
JP2014129832A (ja) 密封装置
JP2005083429A (ja) シールチェーン
KR102215891B1 (ko) 시일 체인
JP2017180482A (ja) 密封装置
JP2018115702A (ja) シール付転がり軸受
JP2019158102A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