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414A -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414A
KR20190068414A KR1020180133406A KR20180133406A KR20190068414A KR 20190068414 A KR20190068414 A KR 20190068414A KR 1020180133406 A KR1020180133406 A KR 1020180133406A KR 20180133406 A KR20180133406 A KR 20180133406A KR 20190068414 A KR20190068414 A KR 2019006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vibration
uni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타 이와사키
게이이치 곤도
아키노리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6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hap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60N2/4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sadd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4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 B60Q9/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using a distance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8War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9Distances to obs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 B60W2550/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는, 자차량(100)의 주변의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 검출부(12); 차량용 시트(50)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진동 부여부(16); 상기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의 각각에 따른 상기 주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부(18); 및 상기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진동 부여부(16)를 작동시키고, 또한, 검출된 주의 정보에 따른 상기 주의 정보의 내용을 상기 표시부(18)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ATTENTION ATTRAC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탑승자에게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일본공개특허 특개2016-207097 참조).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207097은, 자차량(自車輛)의 주위에서 장해물이 되는 정보를 검지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경우에, 좌석 시트에 장착된 진동 모터 등의 자극 제공 수단을 구동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207097은,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운전자로의 주의를 환기하는 취지에 맞춰 좌석 시트의 각 장소에 장착하고 있는 자극 제공 수단의 하나를 구동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하면, 관점이 동일한 1종류의 주의 정보(예를 들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자차량 주변의 장해물의 정보)만을 전달하는 경우는, 주의 환기의 의미가 운전자에게 비교적 전해지기 쉽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에 있어서, 관점이 서로 상이한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예를 들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자차량 주변의 장해물의 정보와, 자차량의 차선 일탈 또는 차선 일탈 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경우에는, 좌석 시트의 어느 부위에 자극이 제공되어도, 어떤 내용의 주의 환기를 의미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나 이해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진동에 의해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가 착좌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구성에 있어서, 착좌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의 진동으로 전해진 주의 환기의 의미나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는, 자차량의 주변의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 검출부; 차량용 시트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진동 부여부; 상기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의 각각에 따른 상기 주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부; 및 상기 정보 검출부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진동 부여부를 작동시키고, 또한, 검출된 주의 정보에 따른 상기 주의 정보의 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정보 검출부는, 자차량의 주변에 관한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진동 부여부는, 차량용 시트에 진동을 부여 가능하게 되어 있고, 표시부는,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정보 검출부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진동 부여부를 작동시킴과 함께 검출된 주의 정보에 따른 내용을 표시부에 의해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착좌 탑승자는, 차량용 시트가 진동한 경우에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봄으로써, 차량용 시트의 진동에 의한 주의 환기의 의미나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주의 정보의 내용에 따라 진동 패턴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부여부를, 상기 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주의 정보의 내용에 따른 진동 패턴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부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부위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부위는 상기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 쿠션의 시트면측이면서 우전단측의 부위인 우전측 피가진부(被加振部)와, 상기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 쿠션의 시트면측이면서 좌전단측의 부위인 좌전측 피가진부와, 상기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 백의 등받이면측이면서 우상단측의 부위인 우후측 피가진부와, 상기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 백의 등받이면측이면서 좌상단측의 부위인 좌후측 피가진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검출부가 주의 정보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검출 위치가 상기 자차량의 우전측, 좌전측, 우후측 및 좌후측의 적어도 하나의 측일 때, 상기 우전측 피가진부, 상기 좌전측 피가진부, 상기 우후측 피가진부 및 상기 좌후측 피가진부 중 차량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측의 부위에 상기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상기 진동 부여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 위치가 전측 정면일 때에는 상기 우전측 피가진부와 상기 좌전측 피가진부의 양방에 상기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상기 진동 부여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및 상기 검출 위치가 후측 정면일 때에는 상기 우후측 피가진부와 상기 좌후측 피가진부의 양방에 상기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상기 진동 부여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진동 부여부에 의해 진동의 부여가 가능한 부위인 좌우의 전측 피가진부와 좌우의 후측 피가진부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차량 평면에서 볼 때 시트 전후 방향의 양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정보 검출부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우전측, 좌전측, 우후측 및 좌후측 중 어느 것일 때에는 좌우의 전측 피가진부 및 좌우의 후측 피가진부 중 차량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어느 측에 대응하는 측의 부위에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정보 검출부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전측 정면일 때에는 좌우의 전측 피가진부의 양방에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후측 정면일 때에는 좌우의 후측 피가진부의 양방에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 상의 진동 위치로부터, 자차량의 주변의 주의 정보 검출 위치를, 체감으로서 파악하기 쉽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자차량 주변의 장해물의 정보, 및 상기 자차량의 차선 일탈 또는 차선 일탈 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정보 검출부가 검출하는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 중에, 착좌 탑승자가 주의해야 할 우선 순위가 높은 주의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의 진동에 의해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가 전해지는 구성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의 진동으로 전해진 주의 환기의 의미 내용을 착좌 탑승자에게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특징, 장점, 기술적 및 산업적 특성은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며, 도면 내에 동일 요소는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진동 제어 ECU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표시 제어 ECU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차량용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차실 전부(前部)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a는, 진동 제어 ECU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b는, 표시 제어 ECU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a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b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c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d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e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f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LD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b는, LD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b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0c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0d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0e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0f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1a는, LD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b는, LD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5a는, BSM/RCT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차선 변경시의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b는, BSM/RCT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차선 변경시의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BSM/RCT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후퇴시의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FCT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a는, BSM/RCT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시의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b는, BSM/RCT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시의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면이다.
도 19는, BSM/RCT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후퇴시의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FCTA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에 대하여 도 1∼도 11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의 기능적인 구성이 기능 블록도로 나타내어지고, 도 2에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의 개략 구성의 일례가 블록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4에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를 탑재한 차량(100)의 일례가 모식적인 평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W는 차량 폭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 주행시에 다양한 주의 환기를 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는, 정보 검출부(12), 제어부(14), 진동 부여부(16) 및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보 검출부(12)는, 자차량(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가 탑재된 차량)의 주변의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부이다. 이 정보 검출부(1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정보 검출부(12A) 및 제 2 정보 검출부(1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란, 관점이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주의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주의 정보」란, 그 정보가 검출된 경우에는 착좌 탑승자에게 주의 환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제 1 정보 검출부(12A)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A, 22B, 22C, 22D, 22E, 22F)(이하,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A∼22F)」라고 약기함) 및 클리어런스 소나 ECU(「클리어런스 소나 센서 ECU」라고도 함)(24)에 의해, 저속(일례로서 차속 약 10km/h 이하)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의 프론트 범퍼 부근 및 리어 범퍼 부근의 장해물에 관한 주의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A∼22F) 및 클리어런스 소나 ECU(24)에 의해 제 1 정보 검출부(12A)(도 1 참조)로서 기능하는 구성부를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라고 한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A)는, 차량(100)의 프론트 범퍼(26)의 우측 코너부에 장착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B)는, 프론트 범퍼(26)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C)는, 프론트 범퍼(26)의 좌측 코너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D)는, 차량(100)의 리어 범퍼(28)의 우측 코너부에 장착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E)는, 리어 범퍼(28)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F)는, 리어 범퍼(28)의 좌측 코너부에 장착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A∼22F)는, 초음파를 발신하여 장해물을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A∼22F)는, 클리어런스 소나 ECU(24)에 접속되고, 클리어런스 소나 ECU(24)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소나 ECU(24)는, CPU, RAM, RO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I/O)를 구비하고, ROM은 판정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클리어런스 소나 ECU(24)는,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A∼22F)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장해물의 위치 및 장해물과의 거리를 판정한다. 또한, 클리어런스 소나 ECU(24)는, CAN(Control Area Network)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70)에 주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제 2 정보 검출부(12B)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카메라(32) 및 LDA(Lane Departure Alert)-ECU(34)에 의해, 차선 일탈에 관한 주의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32) 및 LDA-ECU(34)에 의해 제 2 정보 검출부(12B)(도 1 참조)로서 기능하는 구성부를 레인 디퍼쳐 얼러트 검출 기구(30)라고 한다. 또한, 레인 디퍼쳐 얼러트 검출 기구(30)는, 이하, 「LDA 검출 기구(30)」라고 약기한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카메라(32)는, 프론트 글래스(36)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이면서 상부에 장착된 CCD(Charge-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이다. 이 카메라(32)는, 자차량(100)의 차량 전방 비스듬한 하방측을 촬상 영역으로 하고 있고, 일례로서 수 밀리세컨드마다 반복 촬상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카메라(32)는, LDA-ECU(34)에 접속되고, LDA-ECU(34)에 화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LDA-ECU(34)는, CPU, RAM, RO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I/O)를 구비하고, ROM에는 판정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LDA-ECU(34)는, 카메라(32)의 촬상 화상의 도로 구획선의 인식을 행하여, 자차량과 차선과의 위치 관계를 구함과 함께, 자차량의 차선 일탈 또는 차선 일탈 가능성을 판정한다. 또한, LDA-ECU(34)는, CAN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70)에 주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정보 검출부(12)가 검출하는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 중에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자차량 주변의 장해물의 정보) 및 LDA 검출 기구(30)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자차량의 차선 일탈 또는 차선 일탈 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양방이 포함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정보 검출부(12)는 제어부(1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14)에는, 진동 부여부(16) 및 표시부(18)가 접속되어 있다.
진동 부여부(16)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앰프(44) 및 진동자(46A, 46B, 46C, 46D)(이하, 「진동자(46A∼46D)」라고 약기함)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차량용 시트(50)(도 4 및 도 5 참조)에 진동을 부여 가능한 기능부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50)는, 탑승자의 둔부 및 대퇴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 쿠션(52)을 구비하고, 시트 쿠션(52)의 상면은,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면(52A)이다. 시트 쿠션(52)은, 슬라이드 기구(58)에 의해 시트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이다. 시트 쿠션(52)의 후단부의 상방측에는, 착좌 탑승자의 등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 백(54)이 배치되어 시트 후부를 구성하고 있다. 시트 백(54)의 시트 전방측의 면은 등받이면(54A)이다. 또한, 시트 백(54)의 상단부의 상방측에는, 착좌 탑승자의 머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56)가 마련되어 있다.
진동자(46A)는, 시트 쿠션(52)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측이면서 우측에 배치되고, 진동자(46B)는, 시트 쿠션(52)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측이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자(46A, 46B)는, 시트 쿠션(52)의 내부에 있어서, 시트면(52A)의 비교적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진동자(46C)는, 시트 백(54)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단부측이면서 우측에 배치되고, 진동자(46D)는, 시트 백(54)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단부측이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자(46C, 46D)는, 시트 백(54)의 내부에 있어서, 등받이면(54A)의 비교적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진동 부여부(16)(도 1 참조)가 진동을 부여 가능한 차량용 시트(50)의 부위로서,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의 시트 쿠션(52)의 시트면(52A)측이면서 전단측의 좌우 부위인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와,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의 시트 백(54)의 등받이면(54A)측이면서 상단측의 좌우 부위인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가 마련되어 있다. 진동자(46A∼46D)는, 일례로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진동 제어 ECU(42)는, 앰프(44)를 개재하여 진동자(46A∼46D)에 접속되어 있고, 진동자(46A∼46D)의 진동을 제어한다. 도 3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진동 제어 ECU(42)는, CPU(42A), RAM(42B), ROM(42C)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I/O)(42D)를 구비하고, 이들이 버스(42E)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ROM(42C)은 불휘발성의 기억부이고, 이 ROM(42C)에는 진동 제어 프로그램(43)이 기억되어 있다. I/O(42D)는, 진동 제어 ECU(42)에 접속되는 제어 장치(70)(도 2 참조)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진동 제어 ECU(42)는, 진동 제어 프로그램(43)이 ROM(42C)으로부터 독출되어 RAM(42B)에 송신되고, RAM(42B)에 송신된 진동 제어 프로그램(43)이 CPU(42A)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진동자(46A∼46D)의 진동을 제어한다. 진동 제어 ECU(42)는, CAN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70)로부터 주의 정보에 관한 신호가 입력된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표시부(18)는,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한 기능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미터 표시 기기(64)에 의해 주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표시부(18)(도 1 참조)는, 미터 표시 기기(64) 대신에 센터 디스플레이(66)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68)(이하, 「HUD(68)」라고 함)에 의해,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한 기능부여도 된다. 미터 표시 기기(64) 및 센터 디스플레이(66)는, 모두 차실 전부(60)의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 설치되어 있다. HUD(68)는, 자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내측에 본체 부분이 내장되고, 프론트 글래스(36)에 투영 표시를 행한다. HUD(68)의 기본 구성은,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144889 등에서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미터 표시 기기(64)는, 표시 제어 ECU(62)를 개재하여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센터 디스플레이(66)가 표시 제어 ECU(65)를 개재하여 제어 장치(70)에 접속되는 구성이나 HUD(68)가 표시 제어 ECU(67)를 개재하여 제어 장치(70)에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표시 제어 ECU(65) 및 표시 제어 ECU(67)는, 표시 제어 ECU(62)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부로 된다.
도 3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 ECU(62)는, CPU(62A), RAM(62B), ROM(62C)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I/O)(62D)를 구비하고, 이들이 버스(62E)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ROM(62C)은 불휘발성의 기억부이고, 이 ROM(62C)에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63)이 기억되어 있다. I/O(62D)는, 표시 제어 ECU(62)에 접속되는 제어 장치(70)(도 2 참조)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표시 제어 ECU(62)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63)이 ROM(62C)으로부터 독출되어 RAM(62B)에 전개되고, RAM(62B)에 전개된 표시 제어 프로그램(63)이 CPU(62A)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미터 표시 기기(64)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 ECU(62)는, CAN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70)로부터 주의 정보에 관한 신호가 입력된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제어부(14)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제어 장치(70), 진동 제어 ECU(42) 및 표시 제어 ECU(62)를 포함하는 기능부이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4)는, 제어 장치(70), 진동 제어 ECU(42) 및 표시 제어 ECU(62)에 의해, 진동 부여부(16)를 작동시킴과 함께 검출된 주의 정보에 따른 내용을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14)에 의한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의 제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4)는,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하고, 또한,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우전측, 좌전측, 우후측 및 좌후측 중 어느 측일 때에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진동 부여부(16)가,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 및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 중 차량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어느 측에 대응하는 측의 부위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하고, 또한,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전측 정면일 때, 제어부(14)는,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도 5 참조)의 양방에 진동 부여부(16)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한다.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하고, 또한,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후측 정면일 때, 제어부(14)는,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도 5 참조)의 양방에 진동 부여부(16)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자차량의 주변의 주의 정보와 차량용 시트(50)(도 4 및 도 5 참조)로의 진동 부여와의 관계에 대하여, 도 8a∼도 8f 및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도 8f에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도 2 참조)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9a, 도 9b에는, LDA 검출 기구(30)(도 2 참조)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8a∼도 8f, 도 9a, 도 9b의 각 도에서는, 도면 중 우측에 자차량 및 그 주변 상황이 나타내어지고, 도면 중 좌측에 차량용 시트(50)의 진동 위치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각 도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 진동시키는 부위에 대략 대응하는 부분을 굵은 선의 동그라미로 둘러싸고 있다.
도 8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D)가 자차량(100)의 우후측에 장해물(102)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도 2 참조, 이하, 적절히 참조 도면의 기재를 생략함)는 차량용 시트(50)의 우후측의 진동자(46C)를 진동시킨다. 도 8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F)가 자차량(100)의 좌후측에 장해물(102)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좌후측의 진동자(46D)를 진동시킨다. 도 8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E)가 자차량(100)의 후측 정면에 장해물(104)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우후측의 진동자(46C) 및 차량용 시트(50)의 좌후측의 진동자(46D)를 진동시킨다.
또한, 도 8d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A)가 자차량(100)의 우전측에 장해물(102)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우전측의 진동자(46A)를 진동시킨다. 도 8e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C)가 자차량(100)의 좌전측에 장해물(102)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좌전측의 진동자(46B)를 진동시킨다. 도 8f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B)가 자차량(100)의 전측 정면에 장해물(104)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우전측의 진동자(46A) 및 차량용 시트(50)의 좌전측의 진동자(46B)를 진동시킨다.
또한, 도 9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자차량(100)의 차선 좌측으로의 일탈 또는 일탈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 판정된 경우는,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좌전측의 진동자(46B)를 진동시킨다. 보충하면, 전진하는 자차량(100)이 차선의 좌측으로 일탈하는 경우는 자차량(100)의 좌전측으로부터 일탈하게 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시키도록 차량용 시트(50)의 좌전측을 진동시킨다. 즉, 착좌 탑승자가 주의 정보의 내용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도록, 차량용 시트(50)의 좌전측을 진동시킨다. 도 9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자차량(100)의 차선 우측으로의 일탈 또는 일탈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 판정된 경우는,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우전측의 진동자(46A)를 진동시킨다. 보충하면, 전진하는 자차량(100)이 차선의 우측으로 일탈하는 경우는 자차량(100)의 우전측으로부터 일탈하게 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시키도록 차량용 시트(50)의 우전측을 진동시킨다. 즉, 착좌 탑승자가 주의 정보의 내용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도록, 차량용 시트(50)의 우전측을 진동시킨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있어서, 라인(a1, a2)은, 차선을 구분하는 라인(구획선)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미터 표시 기기(64)(도 6 참조)에 표시되는 주의 정보의 표시예에 대하여, 도 10a∼도 10f 및 도 11a, 도 1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도 10f에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예가 나타내어지고, 도 11a, 도 11b는, LDA 검출 기구(30)(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0a는, 자차량의 우후측에 장해물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우후측에 장해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1)가 표시된다. 도 10b는, 자차량의 좌후측에 장해물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좌후측에 장해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2)가 표시된다. 도 10c는, 자차량의 후측 정면에 장해물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후측 정면에 장해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3)가 표시된다.
도 10d는, 자차량의 우전측에 장해물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우전측에 장해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4)가 표시된다. 도 10e는, 자차량의 좌전측에 장해물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좌전측에 장해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5)가 표시된다. 도 10f는, 자차량의 전측 정면에 장해물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전측 정면에 장해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6)가 표시된다.
즉,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는, 검출된 장해물의 위치에 따라 자차량의 마크(100A)의 주위에 장해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1∼M6)가 표시된다.
또한, 도 11a는, 자차량의 차선 좌측으로의 일탈 또는 일탈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주행 차선의 좌측의 라인(LL)을 강조하여 나타낸다. 도 11b는, 자차량의 차선 우측으로의 일탈 또는 일탈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우측의 라인(RL)을 강조하여 나타낸다. 즉, 미터 표시 기기(64)(도 6 참조)는, 자차량이 일탈하는 측 또는 일탈할 것 같은 측의 라인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가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 진동 제어 ECU(42)에서 실행되는 진동 제어 처리에 대하여, 도 7a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어 그 신호가 진동 제어 ECU(42)에 입력되면, 도 7a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제어 처리의 실행이 개시된다.
도 7a에 나타내어지는 진동 제어 처리의 단계 200에 있어서, 진동 제어 ECU(42)는, 주의 정보를 취득하였는지의 여부, 환언하면, 제어 장치(70)로부터 주의 정보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00의 판정이 긍정인 경우는 단계 202로 이행하고, 단계 200의 판정이 부정인 경우는 단계 204로 이행한다.
단계 202에 있어서, 진동 제어 ECU(42)는, 취득한 주의 정보에 따라 차량용 시트(50)를 진동시키도록 진동자(46A∼46D)를 제어한다. 주의 정보와 진동 부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과 같다(도 8a∼도 8f 및 도 9a, 도 9b 참조).
다음의 단계 204에서는, 진동 제어 ECU(42)는, 자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IG)가 오프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04의 판정이 부정인 경우는 단계 200으로 되돌아가고, 단계 204의 판정이 긍정일 때까지, 단계 200∼단계 204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04의 판정이 긍정인 경우는, 진동 제어 ECU(42)는, 도 7a에 나타내어지는 진동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가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 표시 제어 ECU(62)에서 실행되는 표시 제어 처리에 대하여, 도 7b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어 그 신호가 표시 제어 ECU(62)에 입력되면, 도 7b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제어 처리의 실행이 개시된다.
도 7b에 나타내어지는 진동 제어 처리의 단계 210에 있어서, 표시 제어 ECU(62)는, 주의 정보를 취득하였는지의 여부, 환언하면, 제어 장치(70)로부터 주의 정보의 검출 신호가 입력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10의 판정이 긍정인 경우는 단계 212로 이행하고, 단계 210의 판정이 부정인 경우는 단계 214로 이행한다.
단계 212에 있어서, 표시 제어 ECU(62)는, 취득한 주의 정보에 따른 내용을 미터 표시 기기(64)가 표시하도록 미터 표시 기기(64)의 작동을 제어한다. 주의 정보와 표시예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과 같다(도 10a∼도 10f 및 도 11a, 도 11b 참조).
다음의 단계 214에서는, 표시 제어 ECU(62)는, 자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IG)가 오프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14의 판정이 부정인 경우는 단계 210으로 되돌아가고, 단계 214의 판정이 긍정일 때까지, 단계 210∼단계 214를 반복한다. 반면, 단계 214의 판정이 긍정인 경우는, 표시 제어 ECU(62)는, 도 7b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에 의해 프론트 범퍼 부근 및 리어 범퍼 부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해물에 관한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그 주의 정보는, 제어 장치(70)를 중계하여 진동 제어 ECU(42) 및 표시 제어 ECU(62)에 전달된다. 진동 제어 ECU(42)는, 진동자(46A∼46D)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도 8a∼도 8f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주의 정보 검출 위치에 따른 부위를 진동시킨다. 또한,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제어 ECU(62)는, 미터 표시 기기(64)의 표시 화면에 주의 정보에 따른 내용(도 10a∼도 10f 중 어느 하나)을 표시시킨다.
또한, 도 2에 나타내어지는 LDA 검출 기구(30)에 의해 차선 일탈에 관한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그 주의 정보는, 제어 장치(70)를 중계하여 진동 제어 ECU(42) 및 표시 제어 ECU(62)에 전달된다. 진동 제어 ECU(42)는, 진동자(46A∼46D)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도 9a, 도 9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주의 정보 검출 위치에 따른 부위를 진동시킨다. 또한,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제어 ECU(62)는, 미터 표시 기기(64)의 화면에 주의 정보에 따른 내용(도 11a, 도 11b 중 어느 하나)을 표시시킨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50)(도 5 참조)의 진동에 의해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가 전해짐과 함께, 착좌 탑승자는, 미터 표시 기기(64)의 화면을 봄으로써, 차량용 시트(50)의 진동으로 전해진 주의 환기의 의미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 진동자(46A∼46D)(진동 부여부(16)(도 1 참조))에 의해 진동의 부여가 가능한 부위인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와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는, 차량 평면에서 볼 때 시트 전후 방향의 양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제어부(14)는,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우전측, 좌전측, 우후측 및 좌후측 중 어느 측일 때에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 및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 중 차량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어느 측에 대응하는 측의 부위에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진동 부여부(16)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는,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전측 정면일 때에는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도 5 참조)의 양방에 진동 부여부(16)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하고, 자차량에 대한 주의 정보 검출 위치가 후측 정면일 때에는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도 5 참조)의 양방에 진동 부여부(16)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50) 상의 진동 위치로부터, 자차량의 주변의 주의 정보 검출 위치를, 체감으로서 파악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에 의해 주의 환기되는 주의 정보로서,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자차량 주변의 장해물의 정보) 및 LDA 검출 기구(30)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자차량의 차선 일탈 또는 차선 일탈 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 환언하면, 착좌 탑승자가 주의해야 할 우선 순위가 높은 주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에 대하여, 도 12∼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80)의 기능적인 구성이 기능 블록도로 나타내어지고, 도 13에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80)의 개략 구성의 일례가 블록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4에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80)를 탑재한 차량(100)의 일례가 모식적인 평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차량(100)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도 2 등 참조) 대신에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80)(도 13 등 참조)를 탑재하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차량(100)(도 4 참조)과는 상이하지만, 편의상 제 1 실시형태의 차량(100)과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정보 검출부(82)는, 자차량의 주변의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부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정보 검출부(12A) 및 제 2 정보 검출부(12B)에 더하여, 제 3 정보 검출부(12C) 및 제 4 정보 검출부(12D)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정보 검출부(12C)는,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BSM 센서(86A, 86B) 및 BSM-ECU(88A, 88B)에 의해, 차선 변경시 및 후퇴시에 있어서의 주의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BSM 센서(86A, 86B) 및 BSM-ECU(88A, 88B)에 의해 제 3 정보 검출부(12C)(도 12 참조)로서 기능하는 구성부를 블라인드 스폿 모니터/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러트 검출 기구(84)라고 한다. 또한, 블라인드 스폿 모니터/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러트 검출 기구(84)는, 이하, 「BSM/RCTA 검출 기구(84)」라고 약기한다.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BSM 센서(86A)는, 차량 우측부의 휠 하우스 후단측 부분에 장착되고, BSM 센서(86B)는, 차량 좌측부의 휠 하우스 후단측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BSM 센서(86A, 86B)는, 일례로서 레이더파를 발신하여 타차량을 검출하는 레이더 센서로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BSM 센서(86A)는, BSM-ECU(88A)에 접속되고, BSM-ECU(88A)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BSM 센서(86B)는, BSM-ECU(88B)에 접속되고, BSM-ECU(88B)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BSM-ECU(88A, 88B)는, CPU, RAM, RO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I/O)를 구비하고, ROM에는 판정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BSM-ECU(88A, 88B)는, BSM 센서(86A, 86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자차량의 차선 변경 시에는 후방 시인용 미러의 사각(死角)에 들어간 비스듬한 후방측의(차선 변경처의) 타차량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자차량이 주차 위치로부터 후퇴로 발진할 때에는, 자차량의 후방측을 직교하도록 접근하는 타차량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BSM-ECU(88A, 88B)는, CAN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70)에 주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제 4 정보 검출부(12D)는,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FCTA 센서(92A, 92B) 및 FCTA-ECU(94A, 94B)에 의해, 시야가 나쁜 교차점 등으로의 진입시에 있어서의 주의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FCTA 센서(92A, 92B) 및 FCTA-ECU(94A, 94B)에 의해 제 4 정보 검출부(12D)(도 12 참조)로서 기능하는 구성부를 프론트 크로스 트래픽 얼러트 검출 기구(90)라고 한다. 또한, 프론트 크로스 트래픽 얼러트 검출 기구(90)는, 이하, 「FCTA 검출 기구(90)」라고 약기한다.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FCTA 센서(92A)는, 차량 우측부의 휠 하우스 전단측 부분에 장착되고, FCTA 센서(92B)는, 차량 좌측부의 휠 하우스 전단측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FCTA 센서(92A, 92B)는, 일례로서 레이더파를 발신하여 타차량을 검출하는 레이더 센서로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FCTA 센서(92A)는, FCTA-ECU(94A)에 접속되고, FCTA-ECU(94A)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FCTA 센서(92B)는, FCTA-ECU(94B)에 접속되고, FCTA-ECU(94B)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FCTA-ECU(94A, 94B)는, CPU, RAM, RO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I/O)를 구비하고, ROM에는 판정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FCTA-ECU(94A, 94B)는, FCTA 센서(92A, 92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시야가 나쁜 교차점 등으로의 진입시에 자차량의 전방측을 직교하도록 접근하는 타차량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FCTA-ECU(94A, 94B)는, CAN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70)에 주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진동 제어 ECU(42)는, 실행되는 진동 제어 프로그램이 본 실시형태용의 프로그램으로 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진동 제어 ECU(42)(도 2 참조)와는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진동 제어 ECU(42)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편의상 제 1 실시형태의 진동 제어 ECU(42)와 동일 부호를 붙인다. 또한, 표시 제어 ECU(62)에 대해서도, 실행되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이 본 실시형태용의 프로그램으로 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표시 제어 ECU(62)(도 2 참조)와는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표시 제어 ECU(62)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편의상 제 1 실시형태의 표시 제어 ECU(62)와 동일 부호를 붙인다.
여기서, 자차량의 주변의 주의 정보와 차량용 시트(50)(도 14 및 도 5 참조)로의 진동 부여와의 관계에 대하여, 도 15a∼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에는, BSM/RCTA 검출 기구(84)(도 13 참조)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7에는, FCTA 검출 기구(90)(도 13 참조)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주의 정보와 진동 위치와의 관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5a, 도 15b, 도 16, 도 17의 각 도에서는, 도면 중 우측에 자차량 및 그 주변 상황이 나타내어지고, 도면 중 좌측에 차량용 시트(50)의 진동 위치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각 도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 진동시키는 부위에 대략 대응하는 부분을 굵은 선의 동그라미로 둘러싸고 있다.
도 15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자차량(100)이 차선을 좌측으로 변경하려고 할 때(화살표 A 참조)에 BSM 센서(86B)가 자차량(100)의 좌측에 타차량(106)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도 13 참조, 이하, 적절히 참조 도면의 기재를 생략함)는 차량용 시트(50)의 좌후측의 진동자(46D)를 진동시킨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자차량(100)이 차선을 우측으로 변경하려고 할 때(화살표 B 참조)에 BSM 센서(86A)가 자차량(100)의 우측에 타차량(106)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우후측의 진동자(46C)를 진동시킨다.
도 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자차량(100)이 주차 위치로부터 후퇴로 발진할 때(화살표 C 참조)에 BSM 센서(86B)가 자차량(100)의 좌후측에 접근하려고 하는(즉, 화살표 X1 방향으로 주행하는) 타차량(106)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좌후측의 진동자(46D)를 진동시킨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자차량(100)이 주차 위치로부터 후퇴로 발진할 때에 BSM 센서(86A)가 자차량의 우후측에 접근하려고 하는 타차량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우후측의 진동자(46C)를 진동시킨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자차량(100)이 시야가 나쁜 교차점 등으로의 진입할 때(화살표 D 참조)에 FCTA 센서(92B)가 자차량(100)의 좌전측에 접근하려고 하는(즉, 화살표 X2 방향으로 주행하는) 타차량(106)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좌전측의 진동자(46B)를 진동시킨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자차량(100)이 시야가 나쁜 교차점 등으로의 진입할 때에 FCTA 센서(92A)가 자차량의 우전측에 접근하려고 하는 타차량을 검출한 경우, 진동 제어 ECU(42)는 차량용 시트(50)의 우전측의 진동자(46A)를 진동시킨다.
다음에, 미터 표시 기기(64)(도 6 참조)에 표시되는 주의 정보의 표시예에 대하여, 도 18a∼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a, 도 18b 및 도 19에는, BSM/RCTA 검출 기구(84)(도 13 참조)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예가 나타내어지고, 도 20에는, FCTA 검출 기구(90)(도 13 참조)를 이용하여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표시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8a는, 자차량이 차선을 좌측으로 변경하려고 할 때에 자차량의 좌후측에 타차량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좌후측에 타차량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7)가 표시된다. 도 18b는, 자차량이 차선을 우측으로 변경하려고 할 때에 자차량의 우후측에 타차량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우후측에 타차량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8)가 표시된다.
도 19는, 자차량이 주차 위치로부터 후퇴로 발진할 때에 자차량의 좌후측에 접근하려고 하는 타차량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접근하려고 하는 타차량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9) 등이 표시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자차량이 주차 위치로부터 후퇴로 발진할 때에 자차량의 우후측에 접근하려고 하는 타차량이 검출된 경우는, 도 19를 좌우 반전시킨 표시가 된다.
도 20은, 자차량이 시야가 나쁜 교차점 등으로의 진입할 때에 자차량의 좌전측에 접근하려고 하는 타차량이 검출된 경우의 표시예이고, 이 경우에는, 자차량의 마크(100A)의 좌전측에 타차량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M10)가 표시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자차량이 시야가 나쁜 교차점 등으로의 진입할 때에 자차량의 우전측에 접근하려고 하는 타차량이 검출된 경우는, 도 20을 좌우 반전시킨 표시가 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진동 제어 ECU(42)에서 실행되는 진동 제어 처리의 플로우는, 도 7a에 나타내어지는 플로우와 마찬가지이고, 표시 제어 ECU(62)에서 실행되는 표시 제어 처리의 플로우는, 도 7b에 나타내어지는 플로우와 마찬가지이다.
먼저,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에 의해 프론트 범퍼 부근 및 리어 범퍼 부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해물에 관한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작용, 및 LDA 검출 기구(30)에 의해 차선 일탈에 관한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의 작용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BSM/RCTA 검출 기구(84)에 의해 차선 변경시에 있어서의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그 주의 정보는, 제어 장치(70)를 중계하여 진동 제어 ECU(42) 및 표시 제어 ECU(62)에 전달된다. 진동 제어 ECU(42)는, 진동자(46A∼46D)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도 15a, 도 15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주의 정보 검출 위치에 따른 부위를 진동시키고,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제어 ECU(62)는, 미터 표시 기기(64)의 화면에 주의 정보에 따른 내용(도 18a, 도 18b 중 어느 하나)을 표시시킨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BSM/RCTA 검출 기구(84)에 의해 후퇴시에 있어서의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그 주의 정보는, 제어 장치(70)를 중계하여, 진동 제어 ECU(42) 및 표시 제어 ECU(62)에 전달된다. 진동 제어 ECU(42)는, 진동자(46A∼46D)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도 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주의 정보 검출 위치에 따른 부위를 진동시키고,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제어 ECU(62)는, 미터 표시 기기(64)의 화면에 주의 정보에 따른 내용(도 19 또는 도 19를 좌우 반전시킨 것)을 표시시킨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FCTA 검출 기구(90)에 의해 시야가 나쁜 교차점 등으로의 진입시에 있어서의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그 주의 정보는, 제어 장치(70)를 중계하여 진동 제어 ECU(42) 및 표시 제어 ECU(62)에 전달된다. 진동 제어 ECU(42)는, 진동자(46A∼46D)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주의 정보 검출 위치에 따른 부위를 진동시키고,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제어 ECU(62)는, 미터 표시 기기(64)의 화면에 주의 정보에 따른 내용(도 20 또는 도 20을 좌우 반전시킨 것)을 표시시킨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차량용 시트(50)(도 14 참조)의 진동에 의해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가 전해짐과 함께, 차량용 시트(50)의 진동으로 전해진 주의 환기의 의미 내용을 착좌 탑승자에게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진동 부여부는, 예를 들면, 차량용 시트의 1개소∼3개소 또는 5개소 이상의 부위에 진동을 부여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진동 부여부가 차량용 시트의 5개소 이상의 부위에 진동을 부여 가능한 일례로서, 진동 부여부(16)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 및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에 더하여,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끼리의 사이 전측 중간부 및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끼리의 사이의 후측 중간부 등에 있어서도 진동을 부여 가능한 구성부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B)가 자차량(100)의 전측 정면의 장해물을 검출한 경우에, 진동 부여부(16)가,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 대신에 또는 좌우 한 쌍의 전측 피가진부(52L, 52R)와 함께 상기 전측 중간부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제어부(14)가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하고,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22E)가 자차량(100)의 후측 정면의 장해물을 검출한 경우에, 진동 부여부(16)가,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 대신에 또는 좌우 한 쌍의 후측 피가진부(54L, 54R)와 함께 상기 후측 중간부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제어부(14)가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검출된 주의 정보의 내용에 따라 진동 부여부가 차량용 시트에 부여하는 진동의 주파수나 진폭, 진동의 길이, 진동의 반복 횟수나 간격 등의,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도록 제어부가 진동 부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도 4 등에 나타내어지는 차량(100)의 프론트 범퍼(26)의 차량 폭 방향 중간부에 복수의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가 차량 폭 방향으로 병설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차량(100)의 리어 범퍼(28)의 차량 폭 방향 중간부에 복수의 클리어런스 소나 센서가 차량 폭 방향으로 병설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클리어런스 소나 검출 기구(20) 및 LDA 검출 기구(30)의 일방 또는 양방이 포함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도 2 및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제어 장치(70)와 진동 제어 ECU(42) 및 표시 제어 ECU(62)가 일체화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덧붙이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10, 80)가 탑재된 차량에, LKA(Lane Keeping Assist)라고 불리는 차선 유지 지원 제어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상술의 복수의 변형례는, 적절히 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로서,
    자차량(100)의 주변의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 검출부(12);
    차량용 시트(50)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진동 부여부(16);
    상기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의 각각에 따른 상기 주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부(18); 및
    상기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진동 부여부(16)를 작동시키고, 또한, 검출된 주의 정보에 따른 상기 주의 정보의 내용을 상기 표시부(18)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14)를 포함하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 정보의 내용에 따라 진동 패턴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진동 부여부(16)를, 상기 정보 검출부(12)가 검출한 주의 정보의 내용에 따른 진동 패턴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부(16)는 상기 차량용 시트(50)의 부위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위는,
    상기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의 시트 쿠션의 시트면측이면서 우전단측의 부위인 우전측 피가진부와,
    상기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의 시트 쿠션의 시트면측이면서 좌전단측의 부위인 좌전측 피가진부와,
    상기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의 시트 백의 등받이면측이면서 우상단측의 부위인 우후측 피가진부와,
    상기 차량용 시트(50)에 있어서의 시트 백의 등받이면측이면서 좌상단측의 부위인 좌후측 피가진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정보 검출부(12)가 주의 정보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정보 검출부(12)가 상기 자차량(100)에 대한 주의 정보를 검출한 검출 위치가 상기 자차량(100)의 우전측, 좌전측, 우후측 및 좌후측의 적어도 하나의 측일 때, 상기 우전측 피가진부, 상기 좌전측 피가진부, 상기 우후측 피가진부 및 상기 좌후측 피가진부 중 차량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측의 부위에 상기 진동 부여부(16)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상기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 위치가 전측 정면일 때에는 상기 우전측 피가진부와 상기 좌전측 피가진부의 양방에 상기 진동 부여부(16)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상기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하고; 및
    상기 검출 위치가 후측 정면일 때에는 상기 우후측 피가진부와 상기 좌후측 피가진부의 양방에 상기 진동 부여부(16)가 진동을 부여하도록 상기 진동 부여부(1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주의 정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자차량(100) 주변의 장해물의 정보, 및 상기 자차량(100)의 차선 일탈 또는 차선 일탈 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KR1020180133406A 2017-12-08 2018-11-02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KR20190068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6138A JP6954069B2 (ja) 2017-12-08 2017-12-08 車両用注意喚起装置
JPJP-P-2017-236138 2017-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414A true KR20190068414A (ko) 2019-06-18

Family

ID=6427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406A KR20190068414A (ko) 2017-12-08 2018-11-02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03267B2 (ko)
EP (1) EP3495187B1 (ko)
JP (1) JP6954069B2 (ko)
KR (1) KR20190068414A (ko)
CN (1) CN109895789A (ko)
BR (1) BR102018072648A2 (ko)
RU (1) RU270970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2600B2 (ja) * 2019-03-20 2022-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警報装置
US11231501B2 (en) 2019-09-26 2022-01-25 Baidu Usa Llc Front and side three-LIDAR design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s
CN113734190B (zh) * 2021-09-09 2023-04-1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车辆信息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介质和车辆
CN113706872B (zh) * 2021-09-27 2023-04-18 陕西汉唐计算机有限责任公司 一种防疲劳驾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900A (ja) * 1998-07-03 2000-01-21 Hitachi Ltd 車間距離警報装置及び集約配線装置
JP2001199296A (ja) 2000-01-17 2001-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警報装置、振動体を有する運転座席、警報装置を車両に搭載した移動体
US7245231B2 (en) * 2004-05-18 2007-07-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20050259033A1 (en) * 2004-05-20 2005-11-24 Levine Alfred B Multiplex-selective heads-up displays for cars
JP4329622B2 (ja) 2004-06-02 2009-09-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2006119840A (ja) * 2004-10-20 2006-05-11 Hitachi Ltd 車両用警告装置
JP4557819B2 (ja) * 2005-06-21 2010-10-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両周辺情報提供装置
US20070244641A1 (en) * 2006-04-17 2007-10-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based haptic communication systems
JP2008056172A (ja) 2006-09-01 2008-03-13 Toyota Motor Corp 車両用注意喚起システム
US8214143B2 (en) * 2007-05-31 2012-07-03 Aisin Aw Co., Ltd. Navigation devices, methods, and programs
KR100882687B1 (ko) 2007-12-06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후측방 장애물 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CN101782646B (zh) * 2009-01-19 2012-08-29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全周环境感测系统及方法
US8629784B2 (en) * 2009-04-02 2014-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eripheral salient feature enhancement on full-windshield head-up display
DE102009046230A1 (de) 2009-10-30 2011-05-12 Robert Bosch Gmbh Kollisionsüberwachung für ein Kraftfahrzeug
CN201576090U (zh) * 2009-12-03 2010-09-08 刘宛莲 一种前后倒车雷达警示系统
RU2514924C2 (ru) 2009-12-18 2014-05-10 Хонда Мотор Ко., Лтд. Прогнозирующий человеко-машинный интерфейс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хнологии обнаружения взгляда, индикаторов "мертвых" зон и водительского опыта
CN101833092B (zh) * 2010-04-27 2012-07-04 成都捌零科技有限公司 车辆360度障碍无死角智能检测与预警方法
JP5338801B2 (ja) * 2010-12-23 2013-11-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障害物情報報知装置
DE102011117297A1 (de) * 2011-11-01 2013-05-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und dazugehöriges Fahrerassistenzsystem
US9286773B2 (en) * 2012-06-22 2016-03-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with improved actuator installation
US9545879B2 (en) * 2012-06-22 2017-0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eat back haptic alert systems and methods
US9266451B2 (en) * 2012-06-22 2016-0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US9349263B2 (en) * 2012-06-22 2016-05-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JP6127255B2 (ja) * 2012-07-03 2017-05-17 トヨタ ボウショク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振動警報パッチ
TWM454349U (zh) * 2012-10-29 2013-06-01 Hua Chuang Automobile Information Technical Ct Co Ltd 車用全向性警示系統
DE102012111318A1 (de) * 2012-11-23 2014-05-28 Hella Kgaa Hueck & Co. Fahrassistenzsystem eines Fahrzeugs
KR101439367B1 (ko) 2012-12-20 2014-09-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마사지 시트를 이용한 장애물 경고 장치 및 방법
JP5962706B2 (ja) * 2014-06-04 2016-08-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CN105620477B (zh) * 2014-10-28 2018-06-2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车道偏离预警控制方法
US9517777B2 (en) * 2014-11-06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ne departure feedback system
JP6417994B2 (ja) * 2015-02-09 2018-11-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制御装置及び車両用表示制御方法
JP6564577B2 (ja) * 2015-02-16 2019-08-21 修一 田山 自動車における近接体警報知装置
JP2016207097A (ja) * 2015-04-27 2016-12-08 公立大学法人岩手県立大学 運転者への状況伝達装置
JP6511355B2 (ja) * 2015-07-08 2019-05-1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報知装置および報知方法
CN105599765A (zh) * 2015-12-11 2016-05-25 上海卓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道偏离的判断和预警方法
CN106904167A (zh) * 2015-12-18 2017-06-3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obd的车道偏离预警方法、车载终端以及智能汽车
JP6601250B2 (ja) 2016-02-10 2019-11-0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注意喚起システム
JP6414096B2 (ja) 2016-02-17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装置、車載装置の制御方法及び車載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793142B1 (ko) 2016-06-08 2017-11-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6775188B2 (ja) * 2016-08-05 2020-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205930496U (zh) * 2016-08-08 2017-02-08 李晟 传感器集成式智能虚拟汽车外后视镜
US9896031B1 (en) * 2017-01-03 2018-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atial auditory alerts for a vehicle
CN206561836U (zh) * 2017-03-10 2017-10-17 华南理工大学 车联网环境下的汽车座位震动警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5187A1 (en) 2019-06-12
BR102018072648A2 (pt) 2019-06-25
RU2709702C1 (ru) 2019-12-19
JP6954069B2 (ja) 2021-10-27
CN109895789A (zh) 2019-06-18
US20190176696A1 (en) 2019-06-13
JP2019104259A (ja) 2019-06-27
US10703267B2 (en) 2020-07-07
EP3495187B1 (en)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8414A (ko) 차량용 주의 환기 장치
US8872919B2 (en) Vehicle surrounding monitoring device
JP4134939B2 (ja) 車両周辺表示制御装置
JP4730191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及び、脇見状態検出装置
US10882450B2 (en)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apparatus
JP2011524298A (ja) 自動車の駐車プロセスを支援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7030569A (ja) 駐車支援装置
JP2005088717A (ja) 自動車用警告装置
JP6885022B2 (ja) 運転支援装置
US1054080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7069539B2 (ja) 運転支援装置
JP2017189989A (ja) 車線維持装置
JP2017094922A (ja) 周辺監視装置
JP2004310522A (ja) 車両用画像処理装置
JP2006209637A (ja) 車両用警報装置
JPH0676200A (ja) 車線逸脱警報装置
JP4310224B2 (ja)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る車両
JP4530052B2 (ja)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る車両
JP5020606B2 (ja) 周辺監視装置
JP4983458B2 (ja) 自律移動装置
JP4385734B2 (ja)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5093603B2 (ja) 危険状況報知装置
JP7333185B2 (ja) 車両の接近警報装置
JP7298744B2 (ja) 運転支援装置
JP7415393B2 (ja) 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3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30

Effective date: 202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