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142B1 -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142B1
KR101793142B1 KR1020160070911A KR20160070911A KR101793142B1 KR 101793142 B1 KR101793142 B1 KR 101793142B1 KR 1020160070911 A KR1020160070911 A KR 1020160070911A KR 20160070911 A KR20160070911 A KR 20160070911A KR 101793142 B1 KR101793142 B1 KR 10179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bration pattern
driving
vibration
patter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철
유영빈
송병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N2002/44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B60Y2400/902Driver alarms giving haptic or tactil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수신하는 주행 정보 수신부,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SSISTANCE USING VIBRATION MOTOR INTO DRIVER'S SEAT,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복수의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주행 방향 또는 위험 정보 등을 안내하는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은 차량 운행 시 모르는 길을 안내해 주거나, 과속 안내 정보 또는 위험 안내 정보를 알려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지도를 출력하며, 추가로 음성을 통해 길 안내 정보나 안전운행 정보 등을 출력한다.
그러나, 화면 출력 및 음성 출력만으로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한다면, 주변 상황이 시끄럽다거나, 동승자와 대화를 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는, 청각장애인의 경우 음성을 인지하지 못하므로 네비게이션 화면을 주시하면서 운전을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주시태만에 해당되어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정보를 외부장치에 전달하여 HUD(Head-Up Display)나 계기판 등을 통해 추가로 안내해주는 기술도 제시된 바 있지만, 이 또한 화면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결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네비게이션 정보를 차량 시트를 진동시키는 방식으로 출력하되,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반영하여 진폭 또는 진동 주기를 조절하는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수신하는 주행 정보 수신부,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는, 상기 주행 정보 수신부를 통해 차량 조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와 상기 차량 조작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할 때마다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카운트한 상기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에 따라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는, 상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한 뒤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진폭, 주기, 진동 발생 위치 및 진동 유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는,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주행 습관 변수가 1보다 큰 상수인 경우에만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는,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생성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이 미리 정해진 최대 진폭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을 상기 최대 진폭으로 변경하고, 생성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주기 이하인 경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를 상기 최소 주기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차량 시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부 진동모터, 상기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진동모터 및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하단부 진동모터 또는 상기 등받이부 진동모터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부는,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 중 하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하단부 진동모터 또는 상기 등받이부 진동모터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수신하고,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한편,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운전자의 차량 조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와 상기 차량 조작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할 때마다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카운트한 상기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에 따라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한 뒤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진폭, 주기, 진동 발생 위치 및 진동 유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주행 습관 변수가 1보다 큰 상수인 경우에만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생성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이 미리 정해진 최대 진폭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을 상기 최대 진폭으로 변경하고, 생성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주기 이하인 경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를 상기 최소 주기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은,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부 진동모터 또는 상기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진동모터로부터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 중 하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 시트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또한, 진폭, 주기 및 진동 유지 시간 등을 다르게 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차량 시트에 착석하는 운전자는 차량 시트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따라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인지하여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발생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와 매칭되는 미리 정해진 진동 패턴에 따라 차량 시트(20)를 진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주행 보조 장치(100)는 운전자의 주행 습관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차량 시트(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 또는 주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장치(100)는 도 1과 같이, 주행 정보 수신부(110),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 및 진동 발생부(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네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의 조향 장치, 속도계 및 감속 장치 등으로부터 각종 차량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네비게이션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소정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네비게이션 장치(1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네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장치(100)가 네비게이션 장치(10)의 일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 내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정보에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주행 안내 정보란 운전자에게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알려주기 위한 정보로, 예를 들면, “700m 앞 좌회전”, “500m 앞 유턴”, “우측 고가도로 진입”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알려주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이러한 주행 안내 정보를 참고하여 차량의 조향 장치, 기어 등을 조작함으로써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경고 정보란 운전자에게 현재 주행중인 도로의 다양한 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정보로, 예를 들면, “700m 앞 과속 카메라”, “50m 앞 과속 방지턱”, “50m 앞 충돌 위험 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이러한 위험 경고 정보를 참고하여 차량의 감속 장치 등을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차량의 조향 장치, 속도계, 감속 장치 등으로부터 각종 차량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조향 장치, 속도계, 감속 장치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차량의 현재 조향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차량의 속도계와 연결되어 차량의 현재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차량의 현재 조향 정보 또는 현재 속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차량 조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주행 정보 수신부(110)에서 수신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차량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 습관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와 차량 조작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가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운전자가 주행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운전자가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할 때마다 그 횟수를 각각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안내 정보가 “우회전”이고 차량 조작 정보가 “좌회전”인 경우,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또는, 위험 경고 정보가 “80km/h 속도 제한”이고, 차량 조작 정보가 “90km/h”인 경우,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운전자가 주행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및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를 각각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카운트한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에 따라 제1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하고,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에 따라 제2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규칙에 따라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로부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에 0.5를 곱하는 방식으로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이후,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한 뒤 주행이 종료될 때까지 운전자가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할 때마다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최초 제1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한 뒤, 운전자가 주행 안내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할 수 있으며, 또는,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최초 제2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한 뒤, 운전자가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규칙에 따라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운전자가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할 때마다 최초 주행 습관 변수에 1을 더하는 방식으로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운전자가 주행 안내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고, 운전자가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2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아래 표 1과 같이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진폭, 주기, 진동 유지 시간 및 진동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진동 패턴 정보에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진동 발생 위치, 진동 유지 시간, 진폭 및 주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진동 패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서로 진동 패턴 정보를 갖도록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6054903664-pat00001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주행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 즉,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획득하면, 표 1과 같이 미리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서, 현재 수신한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매칭되는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주행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700m 앞 우회전”의 주행 안내 정보를 획득하면, 표 1을 참조하여 “시트 하단부 우측 진동모터 1분간 진동(진폭:1, 주기:10Hz)”의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면,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및 주기에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주행 안내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면,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제1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고,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면,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제2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규칙에 따라 추출한 진동 패턴 정보에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일예로, 추출한 진폭 또는 주기에 현재 시점에서의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는 방식으로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주행 습관 변수가 1보다 큰 상수인 경우에만 추출한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할 수 있다. 또한,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추출한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한 결과 미리 정해진 최대 진폭 보다 크거나, 최소 주기보다 짧은 경우, 최대 진폭 또는 최소 주기에 따라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진동 패턴 정보를 “시트 하단부 우측 진동모터 1분간 진동(진폭:1, 주기:10Hz)”로 추출하고, 현재 시점에서의 제1 주행 습관 변수는 “2”인 경우, 진동 패턴 신호를 “시트 하단부 우측 진동모터 1분간 진동(진폭:2, 주기:20Hz)”로 생성하여 후술하는 모터 구동부(141)로 전달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140)는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진동 패턴 신호를 전달받으면 해당 신호에 따라 차량 시트(20)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 발생부(140)는 모터 구동부(141) 및 모터 구동부(14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하단부 진동모터(142) 및 등받이부 진동모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구동부(141)는 하단부 진동모터(142) 및 등받이부 진동모터(143)와 연결되어 진동 패턴 신호를 전달받고,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하단부 진동모터(142) 또는 등받이부 진동모터(143)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구동부(141)는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진동 패턴 신호에 “시트 하단부 우측 진동모터 1분간 진동(진폭:2, 주기:20Hz)”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진폭:2, 주기 20Hz의 진동이 시트 하단부 우측 진동모터(142b)에서 1분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부(141)는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하단부 진동모터(142) 또는 등받이부 진동모터(143)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구동부(141)는 “시트 하단부 우측 진동모터 1분간 진동(진폭:2, 주기:20Hz)” 및 “시트 전체 진동모터 3분간 진동(진폭:3, 주기:30Hz)”의 진동 패턴 신호를 동시에 전달받으면, 위험 경고 정보 우선순위에 따라 “시트 전체 진동모터 3분간 진동(진폭:3, 주기:30Hz)”의 진동 패턴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시트(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부 진동모터(142) 및 차량 시트(20)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진동모터(143)는 도 2와 같이 각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발생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단부 진동모터(142)는 시트 하단부 좌측 진동모터(142a) 및 시트 하단부 우측 진동모터(142b)로 구성되고, 등받이부 진동모터(143)는 시트 등받이부 좌측 진동모터(143a) 및 시트 등받이부 우측 진동모터(143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진동모터(142a, 142b, 143a, 143b)는 예를 들면, 편심 모터, 선형 공진 모터, 압전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하여 모터 구동부(14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감쇄 소재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차량 시트(20)의 하단부 및 등받이부의 좌우에 각각 하나의 진동모터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차량 시트(20)의 하단부 및 등받이부에 각각 4x4의 배열 형태로 진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 발생부(140)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차량 시트(20)를 진동시키는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또한, 진폭, 주기 및 진동 유지 시간 등을 다르게 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차량 시트(20)에 착석하는 운전자는 차량 시트(2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따라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인지하여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주행 보조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주행 보조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200). 또한,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차량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300). 주행 정보 수신부(110)는 네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수신하며, 차량의 조향 장치, 속도계 등으로부터 각종 차량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와 차량 조작 정보를 비교하여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400).
구체적으로는, 도 4를 참조하면,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차량 주행이 시작하면(410),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와 차량 조작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420). 비교 결과,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운전자가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435),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위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440).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이와 같은 과정을 차량 주행 시작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반복하여(440),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에 따라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450).
그리고,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계속해서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와 차량 조작 정보를 비교하는데(460), 운전자가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470),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할 수 있다(475).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120)는 이와 같은 과정을 차량 주행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480).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진동 패턴 정보에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500).
구체적으로는, 도 5를 참조하면,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520). 이때, 진동 패턴 정보에는 진동 발생 위치, 진동 유지 시간, 진폭 및 주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주행 습관 변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고(520), 주행 습관 변수가 1보다 큰 경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530). 이때,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진폭 또는 주기 중 어느 하나에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거나, 진폭 및 주기에 모두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생성한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이 최대 진폭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540),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을 최대 진폭으로 변경할 수 있다(550). 또는,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130)는 생성한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주기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560),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를 최소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570).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부(140)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차량 시트(2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600).
구체적으로는, 도 6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부(140)는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수신한 경우(610),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선택하고(620), 선택한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63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보조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네비게이션 장치
20: 차량 시트
100: 주행 보조 장치
110: 주행 정보 수신부
120: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
130: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
140: 진동 발생부

Claims (20)

  1.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수신하는 주행 정보 수신부;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행 정보 수신부를 통해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획득하면, 미리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서, 현재 수신한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매칭되는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는, 주행 안내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면,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제1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고,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면,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제2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는, 상기 주행 정보 수신부를 통해 차량 조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와 상기 차량 조작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할 때마다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를 카운트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카운트한 상기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에 따라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진폭, 주기, 진동 발생 위치 및 진동 유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는,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생성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이 미리 정해진 최대 진폭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을 상기 최대 진폭으로 변경하고, 생성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주기 이하인 경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를 상기 최소 주기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습관 변수 생성부는,
    상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한 뒤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는,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주행 습관 변수가 1보다 큰 상수인 경우에만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차량 시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부 진동모터;
    상기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진동모터; 및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하단부 진동모터 또는 상기 등받이부 진동모터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 중 하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하단부 진동모터 또는 상기 등받이부 진동모터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11.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수신하고,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되,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에서, 주행 정보 수신부를 통해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획득하면, 미리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서, 현재 수신한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매칭되는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진동 패턴 신호 생성부에서, 주행 안내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면,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제1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고,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면,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제2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운전자의 차량 조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와 상기 차량 조작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할 때마다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카운트한 상기 주행 안내 정보 위반 횟수 또는 위험 경고 정보 위반 횟수에 따라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진폭, 주기, 진동 발생 위치 및 진동 유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생성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이 미리 정해진 최대 진폭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진폭을 상기 최대 진폭으로 변경하고, 생성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가 미리 정해진 최소 주기 이하인 경우,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포함되는 주기를 상기 최소 주기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상기 위험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행 습관 변수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산정한 뒤 상기 운전자가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최초 주행 습관 변수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방법.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안내 정보 또는 위험 경고 정보에 각각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 진동 패턴 정보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반영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추출한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주행 습관 변수가 1보다 큰 상수인 경우에만 상기 진동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진폭 또는 주기에 상기 주행 습관 변수를 곱하여 진동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방법.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은,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시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부 진동모터 또는 상기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진동모터로부터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동 패턴 신호 중 하나의 진동 패턴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차량 시트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방법.
  20. 제11항, 제15항, 제17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070911A 2016-06-08 2016-06-08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79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11A KR101793142B1 (ko) 2016-06-08 2016-06-08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11A KR101793142B1 (ko) 2016-06-08 2016-06-08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142B1 true KR101793142B1 (ko) 2017-11-02

Family

ID=6038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911A KR101793142B1 (ko) 2016-06-08 2016-06-08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1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2469A1 (fr) * 2018-06-15 2019-12-20 Faurecia Sieges D'automobile Ensemble de siege de vehicule a dispositifs vibrant en fonction de la trajectoire du vehicule
US10703267B2 (en) 2017-12-08 2020-07-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aptic and visual attention attracting device for vehicle
FR3114275A1 (fr) * 2020-09-23 2022-03-25 Psa Automobiles Sa Réveil d’un occupant d’un véhicule
RU2814902C1 (ru) * 2023-09-14 2024-03-06 Евген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Начев Система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води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 расстоянии о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о препятстви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1752B2 (ja) * 2006-09-29 2011-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費向上運転アドバイス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1752B2 (ja) * 2006-09-29 2011-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費向上運転アドバイス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3267B2 (en) 2017-12-08 2020-07-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aptic and visual attention attracting device for vehicle
FR3082469A1 (fr) * 2018-06-15 2019-12-20 Faurecia Sieges D'automobile Ensemble de siege de vehicule a dispositifs vibrant en fonction de la trajectoire du vehicule
FR3114275A1 (fr) * 2020-09-23 2022-03-25 Psa Automobiles Sa Réveil d’un occupant d’un véhicule
RU2814902C1 (ru) * 2023-09-14 2024-03-06 Евген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Начев Система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води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 расстоянии о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о препятствия
RU2817431C1 (ru) * 2023-09-14 2024-04-16 Евген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Начев Способ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води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 расстоянии о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о препятств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128B2 (ja) 報知制御装置および報知制御方法
US6172641B1 (en) Navigation system with audible route guidance instructions
JP540981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793142B1 (ko) 진동을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20100121526A1 (en) Speed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JP200911571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789815B2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7020098B2 (ja) 駐車場評価装置、駐車場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7135855A1 (ja) 情報案内装置、情報案内方法、情報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4134503A (ja) 疲労軽減サポート装置
JP552826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06112210A1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音声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63389B1 (ko) 운전 부주의 경고 방법 및 시스템
JP561110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11215472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vehicle device
WO2023286826A1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3073856A1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824935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9012480A (ja) 運転診断装置および運転診断方法
JP7280072B2 (ja) 報知制御装置、および、報知制御方法
WO2019235346A1 (ja) 移動支援情報提示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69093B2 (ja) 音声案内方法及び音声案内装置
JP5781233B2 (ja) 車両接近報知音発生装置
US20210166563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apparatu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a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motor vehicle
JP6205443B2 (ja) 音発生装置及び音発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