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110A - 이식기 - Google Patents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110A
KR20180123110A KR1020187029655A KR20187029655A KR20180123110A KR 20180123110 A KR20180123110 A KR 20180123110A KR 1020187029655 A KR1020187029655 A KR 1020187029655A KR 20187029655 A KR20187029655 A KR 20187029655A KR 20180123110 A KR20180123110 A KR 20180123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tray
support member
drive shaft
seedl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262B1 (ko
Inventor
타카야스 사카가이토
토모후미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하는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모종 트레이(70)의 종방향 반송 동작 또는 횡방향 반송 동작을 행하면서 모종 트레이(70)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해 두둑에 이식하는 이식기(10)에 있어서, 모종 트레이(70)의 종방향 반송 동작은 구동축(34)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며,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가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반송되고 있을 때, 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을 구동축(34)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4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식기
본 발명은 이식기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종 트레이의 종방향 반송 동작 또는 횡방향 반송 동작을 행하면서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해 두둑에 이식하는 이식기에 관한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이식기는 모종 공급부와 이식부를 구비하고, 모종 공급부가 모종 트레이에 수용되는 셀 성형 모종을 이식부에 공급하고, 이식부가 모종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셀 성형 모종을 두둑(논밭)에 이식한다(특허 문헌 1 참조).
모종 트레이는 복수 개의 셀 성형 모종을 수용하는 오목한 형상의 포트부(pot part)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식기의 모종 공급부는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 반송하는 종방향 반송 장치를 구비한다.
종방향 반송 장치는, 모종 트레이를 간헐적으로 횡방향 반송하면서 가로 1열의 셀 성형 모종의 취출 동작이 종료되면, 다음 종렬의 셀 성형 모종의 취출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모종 트레이를 1단 종방향 반송한다. 종방향 반송 장치는 구동축, 종동축, 구동 스프로킷, 체인 가이드, 무단 체인(endless chain) 및 걸림 부재를 구비한다. 구동축의 양측에는 구동 스프로킷이 고정되고, 종동축의 양측에는 원판상의 체인 가이드(종동륜)가 고정된다. 구동 스프로킷과 체인 가이드에는 무단 체인이 각각 감겨진다. 무단 체인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걸림 부재가 고정된다. 걸림 부재는 금속제의 봉 형상의 부재이고, 모종 트레이의 포트부(전후의 포트부 사이)에 걸린다. 종방향 반송 장치는, 모종 트레이의 포트부에 걸림 부재가 걸린 상태에서 구동축이 회전 구동해 무단 체인이 회동(걸림 부재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 반송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6-2856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이식기에서는, 모종 공급부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의 구동축 근방(이식부에 의한 셀 성형 모종의 취출 위치)에서 걸림 부재에 의해 끌어당겨짐으로써 걸림 부재 사이의 모종 트레이가 대략 직선상이 되어, 모종 트레이가 대략 다각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모종 공급부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의 구동축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가 다각형상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식부에 의해 모종 트레이의 포트부로부터 셀 성형 모종이 취출되는 위치(트레이의 포트부의 위치)가 정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이식기에서는, 트레이의 포트부의 위치가 정해지지 않는 것으로부터, 이식부에 의해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하는 동작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하는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종 트레이의 종방향 반송 동작 또는 횡방향 반송 동작을 행하면서 상기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해 두둑에 이식하는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종 트레이의 종방향 반송 동작은 구동축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며, 상기 구동축의 근방에서 상기 모종 트레이가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반송되고 있을 때, 상기 모종 트레이의 바닥면을 상기 구동축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양측의 구동 스프로킷의 근방에 각각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하는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공급부의 구동축, 종동축, 구동 스프로킷, 체인 가이드, 무단 체인, 장착 플레이트 및 걸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를 반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를 반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공급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공급부의 구동축, 구동 스프로킷 및 걸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공급부의 구동축, 구동 스프로킷 및 걸림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공급부의 구동축, 구동 스프로킷 및 걸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마찬가지로 이식기의 모종 공급부의 구동축, 구동 스프로킷 및 걸림 부재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이식기(10)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 F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 방향을 규정해 설명한다.
이식기(10)는, 모종 트레이(70)의 종방향 반송 동작 또는 모종 트레이(70)의 횡방향 반송 동작을 행하면서 모종 트레이(70)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해 두둑에 이식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식기(10)는 주행부(1), 모종 공급부(2), 이식부(3) 및 조종부(4)를 구비하고, 보행형 이식기를 구성한다. 주행부(1)는 기체 프레임(5)의 앞부분 위에 엔진(6)을 재치하고, 기체 프레임(5)의 뒷부분에 미션 케이스(7)를 지지하고, 그 후방에 이식부(3)를 지지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5)의 앞부분 양측으로부터 전방 아래쪽으로 전륜 지지 프레임(8·8)이 돌출되어, 전륜 지지 프레임(8·8)의 선단에 전륜(9·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5)의 뒷부분 양측으로부터 후륜 구동 케이스(11·11)가 후방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후륜 구동 케이스(11·11)의 후방 하부에 후륜(12·12)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7)를 통해 변속되고, 후륜 구동 케이스(11·11)를 개재해 변속 후의 동력이 후륜(12·12)으로 전달된다.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8)과 후륜 구동 케이스(11)는 링크를 개재해 승강 기구와 연결되어, 승강 기구에 의해 두둑 상면에 추종해 승강시켜 이식부(3)에 의한 셀 성형 모종의 식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작업의 개시·종료시에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5)의 후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핸들 지지 프레임을 개재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형성한 핸들(16)이 장착되어 있다. 핸들(16)에는 조종부(4)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16)에는 농작물의 포기 간격 조절 레버, 주변속 레버, 식부 클러치 레버 또는 승강 레버 등의 조작구(17)가 마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종 공급부(2)는 모종 트레이(70)에 수용되는 셀 성형 모종을 이식부에 공급한다. 모종 트레이(70)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로서, 복수 개의 셀 성형 모종을 수용하는 오목 형상의 포트부(70a·70a …)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형성해 구성된다.
모종 공급부(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의 파이프를 구부려 형성한 반송틀(20)에, 트레이 재치대(21), 빈 트레이 수납대(22) 및 종방향 반송 장치(30)를 장착해 구성된다. 반송틀(20)은 핸들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다.
트레이 재치대(21)는 모종 트레이(70)를 올려놓는 것으로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이 낮고 뒤가 높게 배치된다. 빈 트레이 수납대(22)는 이식 후의 빈 모종 트레이(70)를 트레이 재치대(21)의 하방에서 수납하는 것으로서, 봉형상체를 구부려 형성하고,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전방 아래에서 후방 위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종방향 반송 장치(30)는, 도시하지 않은 식부 미션 케이스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왕복 이동됨과 동시에, 식부 미션 케이스로부터의 동력을 구동축(34)에 전달해, 모종 트레이(70)를 종방향 반송한다.
이식부(3)는 모종 공급부(2)로부터 공급되는 셀 성형 모종을 두둑(논밭)에 이식한다. 이식부(3)는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식부(3)는 모종 취출 장치(50)를 구비하고, 모종 취출 장치(50)가 모종 공급부(2)의 트레이 재치대(21) 상에 올려진 모종 트레이(70)의 포트부(70a)로부터 셀 성형 모종(미도시)을 모종 취출날에 의해 취출해 이식날(62)에 방출하고, 이식날(62) 내의 셀 성형 모종을 두둑 상면에 반송해 이식날(62)을 벌려 두둑에 이식한다. 상기 셀 성형 모종의 이식 후에는, 후륜(12·12)의 전방에 배치되는 진압 바퀴(18·18)에 의해 양쪽에서부터 밑동의 흙이 눌려진다.
모종 공급부(2)의 종방향 반송 장치(30)는, 모종 트레이(70)를 간헐적으로 횡방향 반송하면서 가로 1열의 셀 성형 모종의 취출 동작이 종료되면, 다음 종렬의 셀 성형 모종의 취출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모종 트레이(70)를 1단 종방향으로 반송한다. 종방향 반송 장치(30)에서의 모종 트레이(70)의 종방향 반송 동작은, 구동축(34)이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모종 공급부(2)의 종방향 반송 장치(30)는, 상측 트레이 누름부(31), 하측 트레이 가이드(32), 안내판(33), 구동축(34), 종동축(35), 구동 스프로킷(36), 체인 가이드(37), 무단 체인(38), 장착 플레이트(41) 및 걸림 부재(42)를 구비한다. 종방향 반송 장치(30)는, 반송틀(20)에, 상측 트레이 누름부(31), 하측 트레이 가이드(32), 안내판(33), 구동축(34) 및 종동축(35)이 지지되어 구성된다. 안내판(33)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이 낮고 뒤가 높게 배치되어, 트레이 재치대(21)의 연장상의 전방 아래쪽에 배치된다. 하측 트레이 가이드(32)는 그 전단부가 전방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안내판(33)의 상면에 배치된다. 구동축(34)은 하측 트레이 가이드(32)의 하방 또는 안내판(33)의 하단(전단)의 하방에 배치된다. 종동축(35)은 트레이 재치대(21)의 하방 또는 구동축(34)의 후방 위쪽에 배치된다.
구동축(34)의 양측에는 구동 스프로킷(36·36)이 고정되고, 종동축(35)의 양측에는 원판상의 체인 가이드(종동륜)(35·35)가 고정된다. 구동 스프로킷(36·36)과 체인 가이드(37·37)에는 무단 체인(38·38)이 각각 감긴다.
상측 트레이 누름부(31)는, 좌우의 무단 체인(38·38)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구동 스프로킷(36)의 전방으로부터 후방(후방 위쪽)의 트레이 재치대(21) 하부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빈 트레이 수납대(22)는, 구동 스프로킷(36)의 전방 아래쪽으로부터 외주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동 스프로킷(36)의 하부로부터 비스듬히 후방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모종 공급부(2)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좌우의 무단 체인(40·40)의 내측에는 장착 플레이트(41·41)가 소정 간격마다 각각 마련되고, 좌우의 장착 플레이트(41·41)끼리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6개)의 걸림 부재(42)가 고정된다. 걸림 부재(42)는 금속제의 봉 형상 부재이며, 모종 트레이(70)의 포트부(70a)(전후의 포트부(70a·70a) 사이)에 걸린다. 걸림 부재(42)의 축직경은, 모종 트레이(70)의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포트부(70a)와 포트부(70a) 사이의 홈의 가장 깊은 부분의 간격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다.
모종 공급부(2)의 종방향 반송 장치(30)는, 모종 트레이(70)의 포트부(70a)에 걸림 부재(42)가 걸린 상태에서 구동축(34)이 회전 구동해 무단 체인(40)이 회동(걸림 부재(42)가 이동)함으로써 모종 트레이(70)를 종방향 반송한다. 이식부(3)에 의한 셀 성형 모종의 취출 위치(회동축(34) 근방)로 반송된 모종 트레이(70)는, 구동축(34)의 반경 방향 바깥쪽(구동 스프로킷(36)의 내측)에서 구동축(34)의 회전 방향을 따라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하여 반송된다. 이식부(3)에 의해 셀 성형 모종이 취출된 모종 트레이(70)는, 구동축(34)보다 하류측에서 대략 직선상이 되도록 빈 트레이 수납대(22)로 반송된다.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지지 부재(43)는, 구동축(34) 근방에서(구동축(34)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에 걸쳐) 모종 트레이(70)가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반송되고 있을 때,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모종 트레이(70)의 포트부(70a)의 바닥면)을 구동축(34)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부재(43)는 걸림 부재(42·42) 사이의 모종 트레이(70)가 구동축(34)측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모종 트레이(70)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43)는 걸림 부재(42·42) 사이의 모종 트레이(70)가 직선상이 되지 않도록(구동 스프로킷(36)의 회전 궤적에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모종 트레이(70)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43)는 걸림 부재(42)의 내측(구동축(34)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축(34)의 외측(구동축(34)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축(34)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 스프로킷(36·36)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가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반송되고 있을 때, 그 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43)의 외면(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에 맞닿는 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으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43)의 외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걸림 부재(42)의 회전 궤적보다 작은 원 형상으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43)는, 예를 들면 한 장의 금속제 박판상의 부재를 가공해 형성되는 것이며, 한 개의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43)는 축심 방향의 길이가 모종 트레이(70)(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다. 지지 부재(43)는 축심 방향의 길이가 모종 트레이(70)의 좌단으로부터 우단에 걸치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 스프로킷(36·36)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43)는 좌우 양단부(지지 부재(43)의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36·36)의 근방에 각각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43)는 왼쪽 구동 스프로킷(36)의 내측면의 근방에 지지 부재(43)의 좌단부가 위치하고, 오른쪽 구동 스프로킷(36)의 내측면의 근방에 지지 부재(43)의 우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지지 부재(43)가,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가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반송되고 있을 때,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을 구동축(34)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이식기(10)에서는,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을 구동축(34)측으로부터 지지 부재(43)가 지지함으로써 모종 트레이(70)의 반송 상태가 안정되어, 걸림 부재(42)에 의해 끌어당겨짐으로써 걸림 부재(42·42) 사이의 모종 트레이(70)가 대략 직선상이 되어 모종 트레이(70)가 대략 다각형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식기(10)에서는,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10)의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가 다각형상이 되지 않고, 이식부(3)에 의해 모종 트레이(70)의 포트부(70a)로부터 셀 성형 모종이 취출되는 위치(트레이(70)의 포트부(70a)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식기(10)에 의하면, 모종 트레이(70)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하는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을 구동축(34)측으로부터 지지 부재(43)가 지지함으로써 모종 트레이(70)의 반송 상태가 안정되는 것으로부터, 상측 트레이 누름부(31)와 하측 트레이 가이드(32)의 간격을 좁게 해도, 비교적 순조롭게 모종 트레이(70)를 반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지지 부재(43)가 구동축(34)에 고정되는 이식기(10)에서는,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종방향 반송 동작을 실시할 때 구동축(34)과 함께 지지 부재(43)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이식기(10)에서는, 모종 트레이(70)의 바닥면이 지지 부재(4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모종 트레이(70)가 반송되어도, 지지 부재(43)에 걸리지 않고 모종 트레이(70)를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기(10)에 의하면, 모종 트레이(70)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하는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지지 부재(43)가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는 이식기(10)에서는, 지지 부재(43)가 원통형의 간단한 구성인 것으로부터, 지지 부재(43)를 예를 들면 한 장의 금속제의 박판상 부재를 가공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기(10)에 의하면, 지지 부재(43)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지지 부재(43)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식기(10)에 의하면, 지지 부재(43)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지지 부재(43)가, 지지 부재(36)의 축심 방향 양단부가 양측의 구동 스프로킷(36·36)의 근방에 각각 도달하도록 구성되는 이식기(10)에서는, 모종 트레이(70) 바닥면의 좌단으로부터 우단에 걸쳐 지지 부재(36)가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이식부(3)에 의해 모종 트레이(70)의 포트부(70a)로부터 셀 성형 모종이 취출되는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안내판(33)은, 그 전단부(하단부)가 지지 부재(43)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안내판(33)은, 안내판(33)의 전방 아래쪽으로의 연장상에 지지 부재(43)의 외면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안내판(33)은, 그 전단부가 지지 부재(43)의 근방에 위치하고, 안내판(33)의 전방 아래쪽으로의 연장상에 지지 부재(43)의 외면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이식기(10)에서는, 예를 들면 모종 트레이(70)를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모종 공급부(2)로부터 취출할 때 등에 있어서, 모종 트레이(70)가 안내판(33)의 전단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지지 부재(43)는,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원통형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43)의 외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으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 스프로킷(36·36) 사이에서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가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반송되고 있을 때, 그 모종 트레이(70)의 포트부(70a)의 바닥면마다 맞닿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종 공급부(2)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지지 부재(43)는,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8개)의 판상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43)는 구동축(34)으로부터 구동축(34)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축(34)의 축심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지지 부재(43)는 구동축(34) 근방에서 모종 트레이(70)가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반송되고 있을 때, 그 모종 트레이(70)의 가로 1열의 포트부(70a)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해 두둑에 이식하는 이식기에 이용된다.
1: 주행부
2: 모종 공급부
3: 이식부
10: 이식기
30: 종방향 반송 장치
33: 안내판
34: 구동축
35: 종동축
36: 구동 스프로킷
38: 무단 체인
42: 걸림 부재
43: 지지 부재
70: 모종 트레이

Claims (4)

  1. 모종 트레이의 종방향 반송 동작 또는 횡방향 반송 동작을 행하면서 상기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해 두둑에 이식하는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종 트레이의 종방향 반송 동작은, 구동축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며,
    상기 구동축의 근방에서 상기 모종 트레이가 대략 원호상이 되도록 반송되고 있을 때, 상기 모종 트레이의 바닥면을 상기 구동축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는, 이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되는, 이식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양측의 구동 스프로킷의 근방에 각각 도달하도록 구성되는, 이식기.
KR1020187029655A 2016-03-31 2017-03-28 이식기 KR102220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2844A JP6602249B2 (ja) 2016-03-31 2016-03-31 移植機
JPJP-P-2016-072844 2016-03-31
PCT/JP2017/012764 WO2017170612A1 (ja) 2016-03-31 2017-03-28 移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110A true KR20180123110A (ko) 2018-11-14
KR102220262B1 KR102220262B1 (ko) 2021-02-24

Family

ID=5996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655A KR102220262B1 (ko) 2016-03-31 2017-03-28 이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02249B2 (ko)
KR (1) KR102220262B1 (ko)
CN (1) CN108777936B (ko)
WO (1) WO2017170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1549B2 (ja) * 2019-06-18 2023-12-05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JP7214578B2 (ja) * 2019-06-18 2023-01-30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WO2020256020A1 (ja) * 2019-06-18 2020-12-24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CN115119581B (zh) * 2022-06-16 2023-12-05 北京市农林科学院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穴盘苗自动移栽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4439B2 (ja) * 1995-05-01 2001-12-04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苗分送方法
KR101115755B1 (ko) * 2006-10-25 2012-03-06 제지앙 싸이-테크 유니버시티 발모 순서 모종 이식기
JP2016028563A (ja) 2014-07-17 2016-03-03 ヤンマー株式会社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684B2 (ja) * 1976-04-03 1983-11-11 少覚 納 土付苗移植機の搬送装置
EP0613614B1 (en) * 1993-03-04 1999-09-08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Seedling planting apparatus
JP3538949B2 (ja) * 1995-03-15 2004-06-1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装置
JPH08298823A (ja) * 1995-04-28 1996-11-19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H0994009A (ja) * 1995-09-29 1997-04-08 Kubota Corp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JP2009261327A (ja) * 2008-04-25 2009-11-12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5320821B2 (ja) * 2008-05-29 2013-10-2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4439B2 (ja) * 1995-05-01 2001-12-04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苗分送方法
KR101115755B1 (ko) * 2006-10-25 2012-03-06 제지앙 싸이-테크 유니버시티 발모 순서 모종 이식기
JP2016028563A (ja) 2014-07-17 2016-03-03 ヤンマー株式会社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262B1 (ko) 2021-02-24
CN108777936B (zh) 2021-07-13
JP2017176145A (ja) 2017-10-05
CN108777936A (zh) 2018-11-09
WO2017170612A1 (ja) 2017-10-05
JP6602249B2 (ja)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110A (ko) 이식기
KR101512685B1 (ko) 모종 이식기
CN109937656B (zh) 高速插秧机、高速送秧方法以及高速插秧方法
KR101889269B1 (ko) 이식기
KR20190032157A (ko) 작업 차량
KR200469522Y1 (ko) 육묘상자 공급기
JP2014003956A (ja) 移植機
JP6628149B2 (ja) 移植機
KR20180122694A (ko) 이식기
JP6307020B2 (ja) 移植機
JP2016101141A (ja) 苗移植機
JP3079424B2 (ja) 苗植機における空苗箱受け装置
JP2018174857A (ja) 移植装置
JP2011147361A (ja) 移植機
JP2011050264A (ja) 苗移植機
JPH11253014A (ja) 移植機の苗トレイ載置装置
JP2509740Y2 (ja) 移植機における苗トレイ補給装置
WO2020140482A1 (zh) 高速送秧方法、高速插秧方法以及高速插秧机
JP4669265B2 (ja) 移植機
JP2023037687A (ja) 移植装置
JP2011167156A (ja) 球根類の移植機
JP2639631B2 (ja) 移植機の植付装置
JP2005229992A (ja) 移植機の苗箱載置搬送装置
JP2004016172A (ja) 移植機
JP2008141984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