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269B1 - 이식기 - Google Patents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269B1
KR101889269B1 KR1020177003718A KR20177003718A KR101889269B1 KR 101889269 B1 KR101889269 B1 KR 101889269B1 KR 1020177003718 A KR1020177003718 A KR 1020177003718A KR 20177003718 A KR20177003718 A KR 20177003718A KR 101889269 B1 KR101889269 B1 KR 101889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conveying member
seedling
endless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588A (ko
Inventor
토모히로 타케야마
타카야스 사카가이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종방향 반송 부재를 좌우의 무단 체인(endless chain) 사이에 연결해, 종방향 반송 부재가 포트부(pot part)와 포트부의 사이로 진입할 때 간섭받지 않게 하고, 모종 트레이를 찌그러트리거나 1열 지연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셀 성형 모종을 수용하는 포트부(20a)를 복수 개 종횡으로 배치한 모종 트레이(20)를, 이식부(3)에 종방향 반송하는 이식기(10)의 종방향 반송 장치(30)에 있어서, 종방향 반송 장치(30)는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34)과, 좌우의 무단 밴드 가이드(35)와, 상기 구동 스프로킷(34)과 무단 밴드 가이드(35) 사이에 권회하는 좌우의 무단 체인(40·40)과, 좌우의 무단 체인(40·40)에 의해 모종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종방향 반송 부재(45·45…)를 구비하고, 종방향 반송 부재(45·45…)는 상기 무단 체인(40)의 상하 두께 방향 중앙에서 안쪽으로 오프셋(offset)시켜 배치했다.

Description

이식기{TRANSPLANTER}
본 발명은 모종 트레이에서 키운 셀 성형 모종을 두둑 위에 이식하는 이식기에서의 모종 트레이의 종방향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목한 포트부(pot part)를 종횡으로 배치해 형성한 모종 트레이에서 야채 모종을 키운 셀 성형 모종을 모종 트레이로부터 한 개씩 취출해 두둑 위에 이식하는 이식기는 공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이식기에서는, 모종 트레이를 트레이 재치대에 올려놓고, 종방향 반송 장치가 구동됨으로써 이식부로 반송되어, 이식부에서 간헐적으로 횡방향 반송되어 모종 트레이로부터 셀 성형 모종이 취출되어 두둑 위로 반송되어 이식된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2791377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는,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무단 체인(endless chain)이 감겨지고, 대향하는 좌우의 무단 체인의 사이는 반송 부재가 되는 종방향 반송 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고, 종방향 반송 핀은 반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구동 스프로킷을 구동함으로써 무단 체인이 회동되어, 종방향 반송 핀이 모종 트레이의 하방으로부터 포트부와 포트부의 사이로 진입해, 무단 체인의 회동과 함께 모종 트레이가 종방향으로 반송되는 구성으로 한다.
그러나, 모종 트레이 반송시에, 포트부와 포트부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종방향 반송 핀을 진입시키도록 구성하고, 종방향 반송 핀은 무단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플레이트와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핀의 연장상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종방향 반송 핀이 포트부와 포트부의 사이에 진입할 때 걸리거나 올라타게 되어 1열 지연되는 일이 있었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종방향 반송 장치는 모종 트레이(20)의 반송 방향(V)에 대해 무단 체인(40) 상측의 반송 방향(W)의 각도가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포트부(20a)와 포트부(20a) 사이의 하방으로부터 진입하도록 했다. 그리고, 구동 스프로킷(34)의 톱니부와 톱니부의 사이에 최초로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맞물린 상태로, 다음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사이에 하방에서 진입할 때, 포트부(20a)의 하단과 간섭해 걸리거나 올라타게 되어 1열 지연되거나, 상부 가이드와 하부 가이드에 끼여 찌그러지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종방향 반송 부재를 좌우의 무단 체인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종방향 반송 부재가 포트부와 포트부의 사이로 진입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하여, 모종 트레이를 찌그러뜨리거나 1열 지연시키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셀 성형 모종을 수용하는 포트부를 복수 개 종횡으로 배치한 모종 트레이를 이식부로 종방향 반송하는 이식기의 종방향 반송 장치에 있어서, 종방향 반송 장치는 좌우의 톱니 회전 부재와, 좌우의 무단 밴드 가이드와, 상기 톱니 회전 부재와 무단 밴드 가이드 사이를 권회하는 좌우의 무단 밴드와, 그 좌우의 무단 밴드에 의해 모종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종방향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는 상기 무단 밴드의 상하 두께 방향 중앙에서 안쪽으로 오프셋(offset)시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단 밴드는 무단 체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는 상기 무단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플레이트와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링크 핀으로부터 안쪽으로 오프셋시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단 체인의 링크 핀과 링크 핀의 간격은, 모종 트레이의 포트부와 포트부의 간격보다 길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단 밴드는 톱니 벨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는 소정의 톱니수마다 톱니부 상하 두께 방향 중심보다 안쪽으로 오프셋시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와 종방향 반송 부재의 사이에는 위치가 변경 가능한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모종 트레이를 이식부로 반송할 경우, 종방향 반송 부재가 모종 트레이의 포트부와 포트부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할 때 포트부의 바닥부에 맞닿지 않게 됨으로써, 종방향 반송을 1열 건너뛰거나 포트부를 밀어올려 찌그러뜨리는 등의 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무단 밴드가 톱니 회전 부재에 감긴 상태에서는 모종 트레이가 종방향 반송 부재에 의해 무리하게 당겨지는 일이 없어져, 모종 트레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반송 저항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모종 트레이의 종방향 반송의 정지 위치도 안정되므로, 모종 트레이로부터 이식부로의 모종의 반송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식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모종 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방향 반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구동 스프로킷과 무단 밴드 가이드에 무단 체인을 권회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무단 체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방향 반송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종방향 반송 부재의 장착과 본 실시 형태의 종방향 반송 부재의 장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종방향 반송 부재에 의한 모종 트레이의 반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방향 반송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톱니 벨트와 톱니 풀리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는 톱니 벨트에 종방향 반송 부재를 리벳으로 고정한 측면도이고, (b)는 톱니 벨트에 종방향 반송 부재를 일체적으로 고정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128구와 200구의 종방향 반송 부재와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무단 체인에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를 마련한 일부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3은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톱니 벨트에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를 마련한 일부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종방향 반송 장치(30)를 구비하는 이식기(10)의 전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F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 방향을 규정해 설명한다.
이식기(10)는 주행부(1), 모종 공급부(2), 이식부(3) 및 후부에 조종부(4)를 구비하고, 보행형의 이식기를 구성한다. 주행부(1)는 기체 프레임(5)의 앞부분 위에 엔진(6)을 올리고, 기체 프레임(5)의 후부에 미션 케이스(7)를 지지하고, 그 뒷부분에 이식부(3)를 지지한다.
기체 프레임(5)의 앞부분 양측으로부터 전방 아래쪽으로 전륜 지지 프레임(8·8)을 돌출시키고, 전륜 지지 프레임(8·8)의 선단에 전륜(9·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기체 프레임(5)의 후부 양측으로부터 후륜 구동 케이스(11·11)를 후방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고, 후륜 구동 케이스(11·11)의 후방 하부에 후륜(12·12)을 지지한다. 상기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7)를 통해 변속되고, 후륜 구동 케이스(11·11)를 개재해 변속 후의 동력이 후륜(12·12)으로 전달된다.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8)과 후륜 구동 케이스(11)는 링크를 개재해 승강 기구와 연결되어, 승강 기구에 의해 두둑 상면을 추종해 승강시킴으로써, 이식부(3)에 의한 셀 성형 모종의 식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작업의 개시·종료시에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기체 프레임(5)의 후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핸들 지지 프레임(15·15)을 후방 위쪽을 향해 연장해 마련하고, 두 핸들 지지 프레임(15·15)의 후단부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형성한 핸들(16)을 장착한다. 핸들(16)에는 조종부(4)를 형성한다. 핸들(16)에는 포기 간격 조절 레버, 주변속 레버(17), 식부 클러치 레버(18) 또는 승강 레버(19) 등을 마련한다.
상기 핸들 지지 프레임(15·15) 사이의 상부에는 모종 공급부(2)가 배치된다. 모종 공급부(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의 파이프를 구부려 형성한 반송틀(31)에, 트레이 재치대(21), 빈 트레이 수납대(22) 및 종방향 반송 장치(30)를 장착한다.
트레이 재치대(21)는 모종 트레이(20)를 재치하는 것으로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이 낮고 뒤가 높게 배치된다. 빈 트레이 수납대(22)는 이식 후의 빈 모종 트레이(20)를 트레이 재치대(21)의 하방에서 수납하는 것으로서, 봉형상체를 구부려 형성하고,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전방 아래에서 후방 위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종방향 반송 장치(30)는, 도시하지 않은 식부 미션 케이스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왕복 이동됨과 동시에, 식부 미션 케이스로부터의 동력을 종방향 반송 구동축(32)에 전달해, 모종 트레이(20)를 종방향 반송한다.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모종 트레이(20)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로, 복수의 셀 성형 모종을 수용하는 오목한 형태의 포트부(20a·20a…)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한다.
상기 이식부(3)는 종방향 반송 장치(30)의 전방에 배치하고, 모종 공급부(2)의 트레이 재치대(21) 상에 올려진 모종 트레이(20)의 포트부(20a)로부터 셀 성형 모종(미도시)을 취출하는 모종 취출 장치(23)와, 모종 취출 장치(23)에 의해 취출된 셀 성형 모종을 받아 두둑면에 심는 식부 장치(24)를 구비한다. 모종 취출 장치(23)는 취출 아암에 모종 취출 갈퀴를 마련해 전후 왕복 요동시킴으로써 모종 트레이(20)의 포트부(20a)로부터 셀 성형 모종을 취출하고, 식부 장치(24)의 식부 아암에 마련한 이식 갈퀴 내로 방출한다. 이식 갈퀴는 식부 아암의 상하 이동에 의해 이식부(3)로부터 두둑 상면에 셀 성형 모종을 반송하고, 이식 갈퀴를 벌려 두둑 위에 이식한다. 이식 후에는 핸들 지지 프레임(15)의 하부에 마련한 좌우의 진압 바퀴(29·29)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밑동의 흙이 눌려진다.
상기 종방향 반송 장치(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틀(31)에 트레이 재치대(21), 빈 트레이 수납대(22), 상측 트레이 누름부(25), 하측 트레이 가이드(26), 구동축(32) 및 종동축(33)이 지지되고, 반송틀(31)은 상기 핸들 지지 프레임(15)에 장착된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트레이 재치대(21) 하단의 아래쪽에 종동축(33)이 배치되고, 트레이 재치대(21)의 연장상의 전방 아래쪽에 하측 트레이 가이드(26)가 배치되고, 하측 트레이 가이드(26)의 전방 아래쪽에 구동축(32)이 배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32)의 양측에는 톱니 회전 부재가 되는 구동 스프로킷(34·34)이 고정되고, 종동축(33)의 양측에는 원판상의 무단 밴드 가이드(종동륜)(35·35)가 고정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34·34)과 무단 밴드 가이드(35·35)에는 무단 밴드로서 무단 체인(40·40)이 각각 감긴다. 한편, 무단 밴드는 무단 형상의 톱니 벨트(50)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기 상측 트레이 누름부(25)는, 좌우의 무단 체인(40·40)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구동 스프로킷(34)의 전방 아래쪽으로부터 외주를 따라 상방의 트레이 재치대(21) 하부 위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빈 트레이 수납대(22)는, 상측 트레이 누름부(25)의 전단에서부터 상기 구동 스프로킷(34)의 전방 아래쪽의 외주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동 스프로킷(34)의 하부로부터 비스듬히 후방 위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무단 체인(4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링크 플레이트(41·41)와, 좌우의 링크 플레이트(41·41)를 연결하는 링크 핀(42)을 구비하고, 이를 한 세트로 하여, 전후 한쪽의 좌우 링크 플레이트(41·41)의 사이에 다른 세트의 전후 다른 쪽의 좌우 링크 플레이트(41·41) 사이를 삽입하고, 양자에 링크 핀(42)을 삽입해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여러 세트를 무단 형상으로 연결함으로써 무단 체인(40)이 형성된다. 단, 체인의 구조는 상기 오프셋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핀 링크식이나 조인트 링크식 등이라도 된다. 그리고, 링크 핀(42)과 링크 핀(42)의 사이에 스프로킷의 톱니부가 맞물려, 구동 스프로킷(34)과 무단 밴드 가이드(35)의 사이에서 무단 체인(40)이 회전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반송 방향으로 여러 세트의 링크 플레이트(41)마다 고정 링크 플레이트(44)가 링크 플레이트(41)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좌우의 무단 체인(40·40)에서 안쪽 링크 플레이트(41·41)의 수 세트마다 대향하도록 설치 링크 플레이트(44·44)가 고정되고, 좌우의 설치 링크 플레이트(44·44)에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핀을 좌우 고정 링크 플레이트(44·44)의 사이에 가로로 걸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한다. 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되지 않고 좌우 양측의 고정 링크 플레이트(44·44)로부터 좌우 중앙 수평 방향으로 핀을 돌출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둥근 막대형의 핀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바를 돌출 또는 가로로 걸쳐 놓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은 하나로 한정하지 않고 복수 개를 돌출 또는 가로로 걸쳐 놓는 구성이라도 되고, 모종 트레이(20)의 포트부(20a)의 외주에 안정적으로 맞댈 수 있으면 된다.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축직경은, 상기 모종 트레이(20)의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포트부(20a)와 포트부(20a) 사이의 홈의 가장 안쪽의 간격보다 약간 크게 구성된다. 또한, 무단 체인(40)의 링크 핀(42)과 링크 핀(42)의 간격(L2)은, 모종 트레이(20)의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간격(L1)보다 약간 길게 구성된다(도 7의 (c), L2>L1).
이렇게 하여, 좌우의 무단 체인(40·40)의 대향면에 배치되는 고정 링크 플레이트(44·44)의 사이에 양측 무단 체인(40·40)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모종 트레이(20)의 포트부(20a)에 걸어(지지해) 강제 반송하는 반송 부재가 되는 종방향 반송 부재(45)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마련하고, 종방향 반송 부재(45)에 의해 모종 트레이(20)의 포트부(20a)에 맞대 강제적으로 종방향 반송하도록 한다. 이 종방향 반송은, 모종 트레이(20)를 간헐적으로 횡방향 반송해 모종 취출 갈퀴에 의해 횡방향 1열의 셀 성형 모종의 취출이 종료되면, 1단 종방향 반송하여 다음 열의 모종 취출이 행해지는 것이다.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고정 링크 플레이트(44)에 대한 설치 위치는 상기 링크 핀(42)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로 한다. 즉,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무단 체인(40)이 스프로킷(34) 및 무단 밴드 가이드(35)에 감겼을 때,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링크 핀(42)보다 중앙측(감긴 상태의 상하 방향 안쪽)에 위치해 고정 링크 플레이트(44)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링크 플레이트(44)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외주)측의 정점 근방에는 링크 핀(42·42)이 장착되고,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고정 링크 플레이트(44) 하(내주)측의 정점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환상의 무단 체인(40)에서 링크 핀(42)보다 내측(중심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봉형상체를 구부려 형성하여, 좌우 중앙의 수평부를 반송 부재로 하고, 양단을 직접 좌우의 무단 체인(40·40) 내측의 링크 플레이트(41·41)에 고정해,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반송 부분(포트부(20a)와 맞닿는 부분)이 링크 핀(42)보다 내측(중심측)에 위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단,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봉형상체를 구부려 형성해 좌우의 링크 플레이트(41·41)로부터 돌출해 마련해도 무방하다.
또한, 무단 밴드를 톱니 벨트(50)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 벨트(50)는 원형 벨트의 내주면측에 톱니부(50a·50a…)가 소정 간격마다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톱니 회전 부재가 되는 톱니 풀리(34)의 톱니부와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몇 개의 톱니부(50a)마다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일단이 고정되어, 좌우의 톱니 벨트(50·50) 사이에 종방향 반송 부재(45·45…)가 소정 간격을 두고 걸쳐진다.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45)를 톱니 벨트(50)에 고정하는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0의 (a)에서는, 톱니부(50a)와 톱니부(50a)의 사이에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일단을 위치시키고 리벳(51) 등에 의해 양자를 고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톱니 벨트(50)의 소정 톱니수마다 톱니부(50a)와 톱니부(50a)의 사이에 종방향 반송 부재(45)를 위치시키고 리벳(51) 등에 의해 고정해,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상하 두께 방향 중심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한편,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맞물리는 톱니 풀리(34)의 외주에는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형상 및 간격에 맞추어 오목부(34a·34a…)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종방향 반송 부재(45)를 무단 밴드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종방향 반송 부재(45)를 톱니 벨트(50)에 고정하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 벨트(50)의 내주에 소정 간격마다 볼록부(50b·50b…)를 형성하고, 그 볼록부(50b)에 삽입공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 개구하고, 그 삽입 구멍에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일단을 삽입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한편,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맞물리는 톱니 풀리(34)의 외주에는 볼록부(50b)의 형상 및 간격에 맞추어 오목부(34b·34b…)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종방향 반송 부재(45)를 무단 밴드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오프셋량은 상기와 같은 양으로 한다.
이와 같이, 무단 밴드로서 톱니 벨트(50)를 이용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경량화와 저소음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모종 트레이(20)가 트레이 재치대(21)에 올려지고 종방향 반송 장치(30)가 구동되면, 모종 트레이(20)의 상면은 상측 트레이 누름부(25)에 의해 가이드된다. 한편, 좌우의 무단 체인(40·40)(또는 톱니 벨트(50·50))에 지지되는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재치대(21)의 하단과 하측 트레이 가이드(26) 후부 사이의 틈새를 전방 아래쪽을 향해 통과한다.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틈새를 통과할 때, 모종 트레이(20)의 하방으로부터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사이로 진입해, 종방향 반송시에는 포트부(20a)의 후면에 맞닿아 모종 트레이(20)가 강제적으로 반송되도록 한다.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하방으로부터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사이로 진입할 때, 종래에는 링크 핀(42·42) 사이의 간격과 포트부(20a·20a) 사이의 간격이 대략 같기 때문에 걸리거나 올라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포트부(20a)와 포트부(20a) 사이의 가장 안쪽 홈의 거의 상단에 진입해 반송하도록 하여 직선상에서는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지만,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의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구동 스프로킷(34)에 맞물리고, 뒤쪽의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사이로 진입할 때에는, 포트부(20a)의 하단에 걸리는 일이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핀(42)과 링크 핀(42)의 간격(L2)이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간격(L1)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무단 체인(40)의 직선 부분에서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사이로 진입할 때, 포트부(20a)의 하단에 부딪히지 않고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n개의 링크 플레이트(41)마다 배치되고, n번째 포트부(20a)의 바닥부와 n+1번째 포트부(20a)의 바닥부 사이에(그 사이의 거리를 L3이라고 한다)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진입하게 된다. 즉,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사이로 진입하고 나서 n번째의 링크 플레이트(41)까지의 길이(n×L2)와, n번째의 포트부(20a)까지의 길이(n×L1)의 차(n×L2-n×L1)는 L3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0<n×(L2-L1)<L3). 이렇게 하여,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사이에 쉽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방향 반송 부재(45)를 링크 핀(42)으로부터 회전 중심측으로 오프셋시킨 위치에 배치하고, 무단 체인(40)이 구동 스프로킷(34)에 권회되어 있는 상태일 때,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종방향 반송 부재(45) 사이의 거리는 직선시보다 짧아진다. 이렇게 권회됨으로써 짧아진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종방향 반송 부재(45) 사이의 거리는, 무단 체인(40)에의 권회에 수반해 모종 트레이(20)가 만곡된 상태에서 상기 간격의 차(L2-L1)가 상쇄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무단 체인(40)이 구동 스프로킷(34)에 권회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중심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에 의해, 모종 트레이(20)의 홈의 상단(연결부(20b))은 직경이 짧은 쪽에서 대략 원호상의 무단 체인(40)의 링크 핀(42)의 회동 궤적과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회동 궤적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간격의 차(L2-L1)가 상쇄된다. 따라서, 모종 트레이(20)가 종방향 반송 부재(45)에 의해 밀려 반송될 때, 늘어지거나 압축되는 일 없이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반송 저항도 작게 반송되게 된다.
한편, 무단 체인(40)의 권회에 수반해 만곡된 모종 트레이(20)가 반송될 때에는, 포트부(20a)와 포트부(20a)의 연결부(20b)와, 그 내주측에 위치하는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구동축(32)의 중심을 지나는 동일한 반경 방향의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무단 체인(40)의 링크 핀(42)과 링크 핀(42)의 간격을 종래와 같은 간격으로 한 경우에도, 포트부(20a)와 포트부(20a) 사이의 간격과 같게 하여(L1=L2), 종방향 반송 부재(45)를 링크 핀(42)으로부터 회전 중심측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권회되어 있는 상태일 때,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종방향 반송 부재(45) 사이의 거리를 상기와 같은 길이로 할 수 있으므로, 반송시에 모종 트레이(20)가 늘어지거나 압축되거는 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사이에 이송 위치(지지 위치)가 변경 가능한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를 마련해, 모종 트레이(20)의 포트부(20a)에의 면압을 낮추어 찌그러지는 것을 억제하고, 모종 취출 위치를 안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의 이송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포트부(20a)의 크기 및 배치수가 다른 모종 트레이(20)도 반송할 수 있게 한다.
즉, 모종 트레이(20)에는 한 장의 종횡의 길이는 일정하지만 포트부(20a)의 크기가 달라 종횡의 포트부(20a)의 수가 다른 여러 종류의 모종 트레이(20)가 있고, 이식하는 모종의 종류에 부합하는 크기의 포트부(20a)를 갖는 모종 트레이(20)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8구의 모종 트레이(20)의 경우, 포트부(20a)의 4열마다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위치하고,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구의 모종 트레이(20)의 경우, 포트부(20a)의 5열마다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위치해, 지지되어 반송되도록 하고 있다. 단, 반송 방향 앞쪽과 뒤쪽의 이송 위치는 적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4열 또는 5열마다 모종 트레이(20)를 지지하는 구성에서는,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사이가 포트부(20a)의 중량에 의해 처져 모종 취출 위치가 어긋나거나, 종방향 반송 부재(45)에 의한 지지부의 하중이 커져 포트부(20a)가 변형하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사이에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를 배치해,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에 하중이 걸리도록 해 부하를 분산시켜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의 구성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상체의 양측을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려 양단에 축지지부(46a·46a)를 형성하고, 그 축지지부(46a·46a)의 선단을 좌우의 무단 체인(40·40)이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41)에 지지시킨다. 이 지지 위치는 링크 핀(42)과 동일 축심상에 배치한다. 이 지지부의 위쪽에 역V자 형상으로 형성한 상측 규제체(47)를 배치하고, 축지부의 하방에 삼각형상의 하측 규제체(48)를 배치한다.
이렇게 하여,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를 상측 규제체(47)와 하측 규제체(48)에 의해 반송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에 유지 가능하게 하고,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를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하여 반송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한다. 한편,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설치 위치에도 상측 규제체(47)와 하측 규제체(48)를 배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종방향 반송 부재(45)는 링크 플레이트(41)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는 같은 부품을 사용해 부품의 종류를 삭감해 코스트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지만,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고정분은 위치 변경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는 상기 톱니 벨트(50)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 벨트(50)의 측면에 상측 규제체(47)와 하측 규제체(48)를 상기 무단 체인(40)과 같은 위치에 마련한다. 한편,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의 오프셋량은 상기와 같은 양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128구의 모종 트레이(20)를 이식기(10)에 공급해 이식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를 전방 위치에 유지시켜, 구동 스프로킷(34)을 회전시키고 모종 트레이(20)를 공급하면, 도 11의 (a)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화살표 방향을 트레이 반송 방향이라고 한다), 제1열과 제2열 사이에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진입해 반송되고, 다음에 2열 건너뛰고 제3열과 제4열 사이에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가 진입해 지지하면서 반송하고, 다음에 2열 건너뛰고 제5열과 제6열 사이에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진입한다. 그 후,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와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2열마다 교대로 진입해 지지하면서 모종 트레이(20)를 반송한다.
또한, 200구의 모종 트레이(20)를 이식기(10)에 공급해 이식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46…)를 후방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절환하고, 구동 스프로킷(34)을 회전시키면, 도 11의 (b)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열과 제2열 사이에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진입해 지지하면서 반송하고, 다음에 2열 건너뛰고 제3열과 제4열 사이에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가 진입한다. 다음에 3열 건너뛰고 제6열과 제7열 사이에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진입한다. 그 후, 2열 건너뛰고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가 진입하고, 다음에 3열 건너뛰고 종방향 반송 부재(45)가 진입하고, 이를 반복해 모종 트레이(20)를 지지하면서 반송한다.
이렇게 하여, 종방향 반송 부재(45)와 종방향 반송 부재(45)의 사이에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가 위치해 모종 트레이(20)를 지지하게 되어, 종래에 비해, 모종 트레이(20)가 받는 면압을 감소시킬 수 있어, 포트부(20a)를 찌그러뜨리지 않고 모종 취출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46)의 유지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128구와 200구의 모종 트레이(20)에 대응해 반송할 수 있게 되어, 모종 트레이(20)의 종류마다 무단 밴드나 구동 스프로킷(34) 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여러 종류의 야채 모종을 안정적으로 이식할 수 있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오목부를 종횡으로 형성한 모종 트레이에서 셀 성형 모종을 키워, 그 모종 트레이를 모종 반송 장치에 올려놓고, 모종 트레이를 이식부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3 이식부
10 이식기
20 모종 트레이
20a 포트부
30 종방향 반송 장치
34 톱니 회전 부재(구동 스프로킷, 톱니 풀리)
35 무단 밴드 가이드
40 무단 체인
41 링크 플레이트
42 링크 핀
45 종방향 반송 부재
46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

Claims (5)

  1. 셀 성형 모종을 수용하는 포트부를 복수 개 종횡으로 배치한 모종 트레이를 이식부로 종방향 반송하는 이식기의 종방향 반송 장치에 있어서, 종방향 반송 장치는 좌우의 톱니 회전 부재와, 좌우의 무단 밴드 가이드와, 상기 톱니 회전 부재와 무단 밴드 가이드 사이를 권회하는 좌우의 무단 밴드와, 상기 좌우의 무단 밴드에 의해 모종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종방향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는 상기 무단 밴드의 상하 두께 방향 중앙에서 안쪽으로 오프셋시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밴드는 무단 체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는 상기 무단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플레이트와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링크 핀으로부터 안쪽으로 오프셋시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체인의 링크 핀과 링크 핀의 간격은, 모종 트레이의 포트부와 포트부의 간격보다 길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밴드는 톱니 벨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는 소정의 톱니수마다 톱니부 상하 두께 방향 중심보다 안쪽으로 오프셋시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반송 부재와 종방향 반송 부재의 사이에는, 위치가 변경 가능한 가변 종방향 반송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KR1020177003718A 2014-07-17 2015-07-14 이식기 KR101889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6755 2014-07-17
JP2014146755 2014-07-17
JP2014199423A JP6181624B2 (ja) 2014-07-17 2014-09-29 移植機
JPJP-P-2014-199423 2014-09-29
PCT/JP2015/070127 WO2016010027A1 (ja) 2014-07-17 2015-07-14 移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588A KR20170029588A (ko) 2017-03-15
KR101889269B1 true KR101889269B1 (ko) 2018-08-17

Family

ID=5507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718A KR101889269B1 (ko) 2014-07-17 2015-07-14 이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81624B2 (ko)
KR (1) KR101889269B1 (ko)
CN (1) CN106572633A (ko)
WO (1) WO2016010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6147A (ja) * 2016-03-31 2017-10-05 ヤンマー株式会社 移植機
JP6602249B2 (ja) * 2016-03-31 2019-11-06 ヤンマー株式会社 移植機
CN110235575A (zh) * 2019-07-25 2019-09-17 尹飞龙 一种插秧机用的自动上苗装置
CN113692826B (zh) * 2021-09-27 2022-08-09 江苏大学 一种移栽机分苗装置及其作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1377B2 (ja) 1990-11-05 1998-08-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移植機の縦搬送装置
JP2002000017A (ja) 2000-06-19 2002-01-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821U (ja) * 1983-08-04 1985-02-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移植機の苗供給装置
JPH07194208A (ja) * 1993-12-30 1995-08-0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苗移植機の作業台構造
JP3469155B2 (ja) * 2000-01-26 2003-11-25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における苗トレイの縦送り装置
JP4652590B2 (ja) * 2001-02-28 2011-03-16 ヤンマー株式会社 移植機の苗トレイ縦送り機構
JP2006075061A (ja) * 2004-09-08 2006-03-23 Seirei Ind Co Ltd 移植機の苗トレイ縦送り装置
CN201491493U (zh) * 2009-09-22 2010-06-02 韩长杰 穴盘苗移栽自动取喂装置
CN201491562U (zh) * 2009-09-25 2010-06-02 沈阳农业大学 一种穴盘苗自动移栽机
CN102893736B (zh) * 2012-10-23 2014-12-17 湖南农业大学 钵盘苗自动取苗投苗装置及其控制方法
CN203563437U (zh) * 2013-09-26 2014-04-30 现代农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栽机及其苗盘输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1377B2 (ja) 1990-11-05 1998-08-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移植機の縦搬送装置
JP2002000017A (ja) 2000-06-19 2002-01-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588A (ko) 2017-03-15
CN106572633A (zh) 2017-04-19
JP6181624B2 (ja) 2017-08-16
JP2016028563A (ja) 2016-03-03
WO2016010027A1 (ja)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269B1 (ko) 이식기
KR101570718B1 (ko) 모종 이식기
CN109937656B (zh) 高速插秧机、高速送秧方法以及高速插秧方法
CN108777936B (zh) 移植机
JP2006075061A (ja) 移植機の苗トレイ縦送り装置
JP2018093808A (ja) 移植機
JP5356319B2 (ja) 植付機
JP3445109B2 (ja)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JP2016101141A (ja) 苗移植機
JP4542879B2 (ja) 移植機
KR20180122694A (ko) 이식기
JP2019146550A (ja) 苗移植機
JP2011050264A (ja) 苗移植機
CN110959354B (zh) 苗移植机
JP6307020B2 (ja) 移植機
JP2023037687A (ja) 移植装置
JP2020198841A (ja) 移植装置
JP2009159923A (ja) 芋植付機
KR20170132372A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WO2020140482A1 (zh) 高速送秧方法、高速插秧方法以及高速插秧机
JPH099735A (ja) 苗移植機
JP4669265B2 (ja) 移植機
JP4047829B2 (ja) 移植機
JPH0919207A (ja) 苗移植機
JP3381321B2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