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125A - 포장봉지 - Google Patents

포장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125A
KR20180093125A KR1020187023158A KR20187023158A KR20180093125A KR 20180093125 A KR20180093125 A KR 20180093125A KR 1020187023158 A KR1020187023158 A KR 1020187023158A KR 20187023158 A KR20187023158 A KR 20187023158A KR 20180093125 A KR20180093125 A KR 2018009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aling portion
packaging pouch
vapo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105B1 (ko
Inventor
마사토 하라
다카시 츠치야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나프코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나프코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5External rigid or semi-rigi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빼기에 관한 개량을 실시한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장봉지는상면부를 구성하는 필름과 하면부를 구성하는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여 형성한 실링부(8a)를 갖는 포장봉지로서, 실링부(8a)의 일부를 내측방향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갖고, 증기 빼기 실링부(7)는 적어도 실링부(8a)보다 내측방향에서 실링의 폭이 선단부와 그 밖의 부분에서 상이하며, 선단부가 좁게 되어 있고, 포장봉지가 팽창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7)가 박리되었을 때에 그 밖의 부분이 잔존하여, 그 잔존한 그 밖의 부분에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봉지{Packaging bag}
본 발명은 액상물, 고형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레토르트 식품 등의 내용물을 충전한 포장봉지를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했을 때의 증기압에 의해 포장봉지가 개구되어 그 포장봉지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한 포장봉지에 관한 것이다.
레토르트 식품 등의 내용물을 충전한 포장봉지를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하면 그 가열에 수반하여 내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 등의 가스에 의해 포장봉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고 포장봉지가 파열되어 내용물이 비산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 내부의 압력 상승을 회피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한 포장봉지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80072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82172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82779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320023호 공보, 특허문헌 5:일본국 특허 제3665795호 공보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전자레인지를 가열 조리했을 때의 압력 상승시에 응력을 집중시키기 위한 만곡 형상의 히트 실링(증기 빼기 실링부)을 설치하고 그 증기 빼기 실링부를 우선적으로 박리시킴으로써 그곳으로부터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여 포장봉지의 파열을 방지하고 있다. 증기 빼기 실링부는 포장봉지의 내측 쪽의 만곡 형상인 내측 만곡 형상과 포장봉지의 외측 쪽의 만곡 형상인 외측 만곡 형상 사이의 영역을 실링한 부분으로, 또한 포장봉지의 내측방향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돌출시킨 부분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포장봉지는 증기 빼기 실링부를 우선적으로 박리시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여 포장봉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봉지는 개구된 것을 알리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포장봉지가 개구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포장봉지의 내용물을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하고 있는 도중에 전자레인지 곁을 떠나거나 다른 용무 등을 행하여 포장봉지가 개구된 것을 못 보고 지나쳐 버린 경우는, 포장봉지의 개구 후에 내용물이 과도하게 가열되어 수분이 빠져 버려 식미(食味)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포장봉지의 개구 후에 일정시간 가열함으로써 뜸들임 효과에 의해 식미를 개선할 수 있는 것도 있으나, 포장봉지가 개구된 것을 못 보고 지나쳐 버린 경우는 적절한 뜸들임 시간을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가 개구된 것을 발음(發音)에 의해 알리는 것이 가능한 포장봉지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미실링부에 공기 축적기와 그 미실링부 자체를 절개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진동편을 가져, 공기 축적기에 모아진 증기로 진동편을 진동시킴으로써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포장봉지를 구성하는 포재 자체를 가공함으로써 포장봉지가 개구된 것을 발음에 의해 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에서는 사방을 둘러싼 실링부 내에 증기 통과 용이 수단인 절결 또는 절개를 실시하여 실링부의 실링 후퇴와 증기 통과 용이 수단으로 증기를 외부로 방산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 4에서는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의 압력 상승시에 응력을 집중시키기 위한 대략 V자 형상의 히트 실(증기 빼기 실링부)을 설치하여 그 증기 빼기 실링부를 우선적으로 박리시킴으로써 그곳으로부터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 개시된 전자레인지용 포장봉지는 내용물 충전의 충전시나 상품 진열시 등 이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해서 포장봉지 바닥부에 가제트를 설치하여 그 바닥부가 앉음새가 되도록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이 되는 세워 놓는 타입의 전자레인지용 봉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8007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8217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8277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320023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665795호 공보
상기와 같은 증기 빼기의 기구를 구비하는 포장봉지는 그 편리성으로부터 널리 보급되어 있고 추가적인 개량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 빼기에 관한 개량을 실시한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지는 필름을 맞붙인 실링부의 일부를 내측방향으로 만곡시켜 돌출된 증기 빼기 실링부를 갖고, 상기 증기 빼기 실링부는 적어도 일부분의 박리 강도가 상기 일부분 이외의 박리 강도보다 약하게 되어 있어, 증기압에 의한 박리시에 상기 일부분 이외가 잔존하여 에지부를 형성하고 증기 빠짐과 동시에 소리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 빼기에 관한 개량을 실시한 포장봉지를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개구(4)를 밀폐하기 전의 포장봉지(100)의 사시도이고, (b)는 포장봉지(100)에 내용물(D)을 수용하고 개구(4)를 히트 실링하여 밀폐한 포장봉지(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증기 빼기 실링부(7) 및 미실링부{9(9a,9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도 1(b)의 포장봉지(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포장봉지(100)의 측면도이고, (b)는 고압팽창시에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이 개구되어 증기 방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포장봉지(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포장봉지(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증기 방출부가 형성되었을 때에 소리가 발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증기 방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c)에 나타내는 구성예에 있어서 소리가 발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5의 포장봉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박리 전후의 증기 빼기 실링부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비교예 1~2의 포장봉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박리 전후의 증기 빼기 실링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 및 제3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개구(4)를 밀폐하기 전의 포장봉지{200(300)}의 사시도이고, (b)는 포장봉지{200(300)}에 내용물(D)을 수용하고 개구(4)를 히트 실링하여 밀폐한 포장봉지{200(30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증기 빼기 실링부(7) 및 미실링부(9)(다각형 미실링부(9a), 띠형상 미실링부(9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도 1(b)의 포장봉지(2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포장봉지(200)의 측면도이고, (b)는 고압팽창시에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이 개구되어 제1 증기 방출부(101)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의 필름 합장부(6)의 일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를 구성하는 각 부(7, 8a, 8b)에 있어서의 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도 14에 나타내는 제2 실링부(8b)에 있어서의 층 구성예를 나타내고, (b)는 도 14에 나타내는 제1 실링부(8a)에 있어서의 층 구성예를 나타내며, (c)는 도 14에 나타내는 증기 빼기 실링부(7)에 있어서의 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봉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와 포장봉지를 일체로 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용기와 포장봉지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딩 용기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5는 용기와 포장봉지를 평면에 놓은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용기와 포장봉지를 세워 놓은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증기의 방출시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포장봉지에 관한 개량이다.
종래 기술에 예시한 상기 특허문헌 2는 진동편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펀칭 가공 등에 의해 절개를 실시하고 증기에 의해 진동편을 힘차게 진동시키는 동시에 진동편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미실링부 자체를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2의 포장봉지는 포장봉지를 구성하는 포재(包材)를 히트 실링하여 미실링부를 형성한 후에 그 미실링부에 펀칭 가공을 실시하여 진동편을 형성하거나, 포재의 미실링부에 펀칭 가공을 실시하여 진동편을 사전에 형성할 필요가 있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기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포재를 히트 실링하는 공정 이외의 별도의 가공을 행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름을 실링하여 형성하는 실링부의 형상만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개요>
먼저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2(2a,2b)}를 구성하는 필름과 하면부(1)를 구성하는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여 형성한 실링부(3, 5, 10, 8a, 8b)를 갖는 포장봉지(100)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실링부(8a)의 대략 중앙부를 포장봉지(100)의 내측방향을 향해 대략 V자상으로 만곡시켜 돌출되게 형성한 증기 빼기 실링부(7)와, 증기 빼기 실링부(7)와 인접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외측에 실링하지 않고 형성한 미실링부{9(9a,9b)}를 갖고, 포장봉지(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100)가 팽창했을 때에 증기 빼기 실링부(7)가 박리되어 개구되며,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9(9a,9b)}로 포장봉지(100) 내의 증기를 방출하는 증기 방출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대략 V자의 실링부(8a)보다 내측으로 돌출된 실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만곡 형상을 개시하는 2점의 개시점(71, 71)끼리를 연결한 선보다 포장봉지(100)의 내측방향 부분에서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적어도 만곡 형상을 개시하는 2점의 개시점(71, 71) 사이에 있어서 실링 폭이 선단부와 그 밖의 부분에서 상이하며,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이 좁게 되어 있고, 포장봉지(100)가 팽창하여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가 박리되었을 때에 그 밖의 부분이 잔존하여, 그 잔존한 그 밖의 부분에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의 가스가 증기 방출부로부터 포장봉지(100)의 외측으로 방출될 때에 일부의 가스가 에지부(7a)에 부딪히게 된다. 가스가 에지부(7a)에 부딪힘으로써 가스의 흐름이 변동되고 소용돌이를 발생시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 결과 필름을 실링하여 형성하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형상만으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예 1)
<포장봉지(100)의 구성예>
먼저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개구(4)를 밀폐하기 전의 포장봉지(100)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포장봉지(100)에 내용물(D)을 수용하고 개구(4)를 히트 실링하여 밀폐한 포장봉지(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에 설치되는 증기 빼기 실링부(7)와 미실링부{9(9a,9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내는 포장봉지(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포장봉지(100)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3(a)는 포장봉지(100)의 측면도이며, 도 3(b)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이 개구되어 증기 방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c)는 포장봉지(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부(1), 하면부(1)의 개구(4)측에 포개어지는 개구측 상면부(2a) 및 하면부(1)의 길이측에 포개어지는 길이측 상면부(2b)를 가지고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개구측 상면부(2a)와 길이측 상면부(2b)로 상면부(2)를 구성하고 있다.
하면부(1), 개구측 상면부(2a), 길이측 상면부(2b)를 구성하는 필름으로서는 히트 실링했을 때에 필름끼리가 용착되는 필름이라면 모든 필름이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통상의 포장봉지에 사용되는 히트 실링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적용 가능하다.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히트 실링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 필름, 시트류나 히트 실링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다른 열가소성 수지 등과 적층한 다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히트 실링성이 양호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내지 그의 무수물로 그래프트 변성된 올레핀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 비교적 저융점 내지 저연화점의 폴리아미드 내지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내지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층하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각종 배리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열가소성 수지와의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는 융점이 낮은 수지 등 히트 실링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층끼리가 내면이 되도록 히트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하면부(1)와 개구측 상면부(2a)의 양 측가장자리를 히트 실링하여 사이드 실링부(3)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면부(1)와 길이측 상면부(2b)의 삼방 측가장자리를 히트 실링하여 사이드 실링부(3)의 일부와 엔드 실링부(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개구측 상면부(2a)와 길이측 상면부(2b)를 되접어 꺾고 포개어 겹쳐 히트 실링하여 필름 합장부(6)를 형성하고 있다.
필름 합장부(6)는 필름 합장부(6)의 장변방향의 중앙부에 포장봉지(100)의 내측방향을 향해 대략 V자상으로 만곡하여 돌출된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가지고 있고, 또한 그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양측에 필름 합장부(6)의 장변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 8a)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필름 합장부(6)의 단변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b, 8b)를 가지고 있다. 증기 빼기 실링부(7),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 및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b)는 개구측 상면부(2a)와 길이측 상면부(2b)를 포개어 겹쳐서 히트 실링한 부분으로, 증기 빼기 실링부(7),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 및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b)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b)를 총칭하여 띠형상 실링부(8a, 8b)로서 설명한다.
필름 합장부(6)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외측에 미실링부(9)를 가지고 있다. 미실링부(9)는 개구측 상면부(2a)와 길이측 상면부(2b)를 포개어 겹쳐서 히트 실링한 엔드 실링부(8a, 8a), 사이드 실링부(8b) 및 증기 빼기 실링부(7)로 둘러싸인 외측의 히트 실링하지 않은 부분이다. 미실링부(9)는 증기 빼기 실링부(7)를 따라 형성하는 다각형 미실링부(9a)와 다각형 미실링부(9a)에 연결한 띠형상 미실링부(9b)를 가지고 구성한다. 띠형상 미실링부(9b)는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띠형상 미실링부(9b)는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증기 빼기 실링부(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100)의 내측방향을 향해 대략 V자 형상으로 만곡시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하고,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대략 V자 형상을 개시하는 2점의 개시점(71, 71)은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연결되어 있다.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대략 V자 형상의 선단(70)은 개시점(71, 71)끼리를 연결한 선보다 봉지 내측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2점의 개시점(71, 71)끼리를 연결한 선보다 포장봉지(100)의 내측방향 부분에서 구성한다.
또한 미실링부(9)를 구성하는 다각형 미실링부(9a)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대략 V자 형상을 따른 돌출 형상선(9a1) 및 그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와 연결하고, 또한 띠형상 미실링부(9b)와 연결하는 2개의 연결선(9a2, 9a2) 및 그 2개의 연결선(9a2, 9a2)의 단부(92, 92)와 연결하는 밑선(9a3)으로 구획된 영역으로 구성한다. 다각형 미실링부(9a)의 돌출 형상선(9a1)의 선단(90)은 그 돌출 형상선(9a1)을 개시하는 2점의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선보다 봉지 내측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실링부(9)와 인접하지 않은 포장봉지(100)의 내측 쪽의 V자로 돌출된 내측 만곡 형상(7a1)과, 미실링부(9)와 인접하는 포장봉지(100)의 외측 쪽의 외측 만곡 형상(돌출 형상선(9a1), 연결선(9a2)에 상당)을 갖는 히트 실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V자 형상을 개시하는 2점의 개시점(71, 71) 사이에 있어서 실링의 폭이 선단부와 그 밖의 부분에서 상이하며,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이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100)가 팽창했을 때에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만 박리되어 개구되고,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9)(특히 다각형 미실링부(9a))로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방출하는 증기 방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증기 방출부로부터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한다. 이것에 의해 포장봉지(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100)가 팽창해도 증기 방출부로부터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포장봉지(100)를 파열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증기 방출부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으로부터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선상까지 개구된 영역과 다각형 미실링부(9a)로 형성된다.
증기 방출부를 형성하는 증기 빼기 실링부(7)는 필름 합장부(6)가 상면부(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내용물(D)의 상면보다도 위쪽 위치가 된다. 또한 필름 합장부(6)는 포장봉지 장변방향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증기에 의한 내압 상승시에 증기 빼기 실링부(7)에 의해 압력이 집중되기 쉬워져 개봉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사이드 실(3, 3)의 필름 합장부(6)측 근방, 바람직하게는 필름 합장부(6)보다도 내측에 가열 및 가압 조리 후에 포장봉지(100)를 개봉하기 위한 노치(11, 1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노치(11, 11)로부터 포장봉지(100)를 개봉하고 내용물(D)을 포장봉지(100)로부터 꺼내게 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밀폐 상태의 포장봉지(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포장봉지(100) 내에 수증기 등이 발생하여 고온 및 고압이 되어 포장봉지(100)가 팽창한다. 그렇게 되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부(1)와 상면부(2)로 구성하는 포장봉지(100) 본체 부분의 수직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팽창하는 동시에 필름 합장부(6)의 증기 빼기 실링부(7),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b)로 구획된 공간이 팽창한다. 이것에 의해 필름 합장부(6)를 구성하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 부분에 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져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으로부터 히트 실링의 박리가 발생하고,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으로부터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선상까지가 개구되며,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9)(다각형 미실링부(9a), 띠형상 미실링부(9b))로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방출하는 증기 방출부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증기 방출부로부터 포장봉지(100)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때에 「삐-」하는 피리 소리를 발생시켜 포장봉지(100)가 개구된 것을 소리로 알릴 수 있다. 그 결과 포장봉지(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 및 가압 조리하고 있을 때에 전자레인지 곁을 떠나거나 다른 용무 등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포장봉지(100)가 개구된 것을 소리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봉지(100)가 개구된 것을 못 보고 지나쳐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으로부터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선상까지가 개구되고,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위치로부터 V자 형상을 개시하는 2점의 개시점(71, 71)끼리를 연결한 위치까지의 영역은 실링부가 형성된 채가 되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봉지 내측으로 돌출된 에지부(7a)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증기 빼기 실링부(7)가 박리되었을 때에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구성하는 선단부 이외의 그 밖의 부분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연결되어 잔존하여, 그 잔존한 그 밖의 부분에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가 형성된다. 또한 에지부(7a)끼리 사이에는 통형상의 증기 방출구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증기가 통형상의 증기 방출구로부터 외부(포장봉지(100)의 외측)로 방출될 때에 일부의 증기가 에지부(7a)에 부딪히게 된다. 증기가 에지부(7a)에 부딪힘으로써 증기의 흐름이 변동되고 통형상의 증기 방출구의 내측 압력이 주기적으로 변동되며, 이 연속된 압력의 상하운동이 소용돌이를 발생시키고 그 소용돌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가 에지부(7a)에 부딪힘으로써 증기의 흐름이 변동되며 그 증기 흐름의 변동에 의해 소용돌이가 발생하고 그 소용돌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 결과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통형상의 증기 방출구로부터 외부로 방출할 때에 「삐-」하는 피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포장봉지는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해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를 형성하지 않고, 증기를 방출할 때의 박리시에 V자 형상을 개시하는 2점의 개시점(71, 71)까지 한번에 박리되고 증기를 방출하여 압력을 평형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 내의 증기가 외부로 방출될 때에 일부의 증기가 에지부(7a)에 부딪히는 경우도 없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증기가 외부로 방출될 때에 일부의 증기가 에지부(7a)에 부딪히고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포장봉지(100)가 개구된 것을 소리로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실링 형상에 의한 구성으로만 에지부를 형성하고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보다도 외측에 띠형상 미실링부(9b)를 가지고 있어, 증기 방출구로부터 외부로 증기를 방출할 때에 띠형상 미실링부(9b)를 통과하게 된다. 띠형상 미실링부(9b)는 필름끼리가 미실링의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증기가 띠형상 미실링부(9b)를 통과할 때에 띠형상 미실링부(9b)를 구성하는 필름끼리가 진동하여 진동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증기 방출부를 형성하는 증기 빼기 실링부(7)를 포장봉지(100) 내의 내용물(D)의 상면 레벨보다 위쪽 위치가 되는 필름 합장부(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내용물(D)의 끓어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봉지(100) 내의 내용물(D)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 합장부(6)의 증기 빼기 실링부(7),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b)로 구획된 공간의 팽창은 하면부(1)와 상면부(2)로 구성되는 포장봉지(100) 본체 부분의 팽창 위에 포개어져 있고, 또한 증기 빼기 실링부(7) 양단의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 및 에지부(7a)(도 4 참조)가 박리되지 않고 남기 때문에, 상기 구획된 공간은 증기 빼기 실링부(7)의 개시점(71, 71)에서 대칭적으로 부풀어 오르고 이것이 필름 합장부(6)를 구성하고 있는 2매의 필름(개구측 상면부(2a), 길이측 상면부(2b))의 중앙부 양측이 솟아오르려고 하는 응력으로서 작용하여,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방출부를 구성하는 미실링부{9(9a,9b)}가 개구되어 포장봉지(100)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에 다량의 내용물(D)이 존재해도 고압 증기를 내보내는 증기 방출부를 구성하는 미실링부(9)가 충분히 커서 높은 위치에 확보되기 때문에 내용물(D)의 끓어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방출부를 구성하는 다각형 미실링부(9a)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대략 V자 형상을 따른 돌출 형상선(9a1) 및 그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와 연결하고, 또한 띠형상 미실링부(9b)와 연결하는 2개의 연결선(9a2, 9a2) 및 그 2개의 연결선(9a2, 9a2)의 단부(92, 92)와 연결하는 밑선(9a3)으로 구획된 영역으로 구성하고 증기 방출부의 개구 영역(도 5에 나타내는 α1, α2)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 방출하는 수증기 등의 단위 시간당 방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개구 영역(α1)이 긴 경우, 즉 실링 폭이 좁게 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가 큰 경우는 외부로 방출하는 수증기 등의 단위 시간당 방출량이 커지는 한편,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개구 영역(α2)이 짧은 경우는 외부로 방출하는 수증기 등의 단위 시간당 방출량이 적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에 있어서 다각형 미실링부(9a)의 선단(90)측을 구성하는 돌출 형상선(9a1)은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을 구성하는 내측 만곡 형상(7a1)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그 밖의 부분의 실링 폭보다 작아지게 구성하도록 사전에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의 위치는 적어도 증기 빼기 실링부(7)의 개시점(71, 71)끼리를 연결한 선보다도 포장봉지(1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포장봉지(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포장봉지(100)가 팽창하고,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으로부터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선상까지가 개구되어 개구 영역(α1, α2)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a), (b)에 나타내는 실링 폭(β1, β2)은 증기 빼기 실링부(7)에 가해지는 응력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폭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1 외측 만곡 형상(돌출 형상선(9a1)에 상당) 사이에 끼인 영역의 실링 폭(β1)이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2 외측 만곡 형상(연결선(9a2)에 상당) 사이에 끼인 영역의 실링 폭(β2)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증기가 발생하여 압력이 증기 빼기 실링부(7)에 집중되었을 때에 실링 폭(β1) 부분만이 박리되어 포장봉지(100)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의 단위 시간당 방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링 폭(β1) 부분만이 박리되고 실링 폭(β2) 부분은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연결되어 잔존하여, 그 잔존한 그 밖의 부분에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도 4(a) 참조)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증기가 외부로 방출될 때에 일부의 증기가 에지부(7a)에 부딪히고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개구 후의 포장봉지(100)는 연결선(9a2)을 평행하게 함으로써 그 개구측을 아래를 향하게 한 경우에 증기 빼기 실링부(7)의 개구 부분이 닫혀 내용물(D)의 누출을 방지하는 안전 밸브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열 및 가압 조리 후의 포장봉지(100)를 전자레인지로부터 안전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에 있어서 밑선(9a3)은 다각형 미실링부(9a)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설치했을 뿐으로 실제 포장봉지(10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에 있어서 다각형 미실링부(9a)와 띠형상 미실링부(9b)는 밑선(9a3)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체화되어 있고, 밑선(9a3)은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100)의 내측방향을 향해 V자상으로 만곡시켜서 돌출된 증기 빼기 실링부(7)와, 그 증기 빼기 실링부(7)와 인접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외측에 실링하지 않고 형성한 미실링부{9(9a,9b)}를 갖고, 포장봉지(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100)가 팽창했을 때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가 개구되고,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9(9a,9b)}로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방출하는 증기 방출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증기 방출부를 형성하는 증기 빼기 실링부(7)는 미실링부(9)와 인접하지 않은 포장봉지(100)의 내측 쪽의 내측 만곡 형상(7a1)과, 미실링부(9)와 인접하는 포장봉지(100)의 외측 쪽의 외측 만곡 형상(9a1, 9a2)을 갖도록 히트 실링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V자 형상을 개시하는 2점의 개시점(71, 71)끼리를 연결한 선보다 포장봉지(100)의 내측방향 부분에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증기 빼기 실링부(7)의 히트 실링한 영역의 폭(β1, β2)은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이 좁게 되어 있다(β1<β2).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구성하는 선단부가 박리되고, 선단부 이외의 그 밖의 부분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연결되어 잔존하여, 그 잔존한 그 밖의 부분에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7a)가 형성된다. 또한 에지부(7a)끼리 사이에는 통형상의 증기 방출구가 형성된다. 그 결과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통형상의 증기 방출구로부터 외부로 방출할 때에 「삐-」하는 피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실링 형상만으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내측 만곡 형상(7a1)의 형상을 바꾸지 않고 돌출 형상선(9a1)의 단부(91, 91)의 위치를 사전에 규정한 돌출 형상선(9a1) 상에서 바꿈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개구 영역(α)을 변경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수증기 등의 단위 시간당 방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증기에 의한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행하여 포장봉지(100)를 파열시키지 않고 개구 영역(α)을 제어하여 적절한 응력으로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다각형 미실링부(9a)를 구성하는 2개의 연결선(9a2)은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개구 영역(α)의 폭과 밑선(9a3)의 폭(연결선(9a2)끼리 사이의 폭)이 동일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2개의 연결선(9a2)은 단부(91, 91)끼리를 연결한 개구 영역(α)의 폭보다도 밑선(9a3)의 폭(연결선(9a2)끼리 사이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포장봉지(100)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를 좁힐 수 있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다각형 미실링부(9a)의 선단(90)측을 구성하는 돌출 형상선(9a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을 구성하는 내측 만곡 형상(7a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실링 폭(β1)을 일정하게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실링 폭(β1)의 변동량이 소정 범위 내라면 다각형 미실링부(9a)의 돌출 형상선(9a1)은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내측 만곡 형상(7a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내측 만곡 형상(7a1)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략 동일 형상이란 내측 만곡 형상(7a1)과 약간 상이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실시형태의 예 2)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예 2의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고, 증기 빼기 실링부(7)의 개시점(71)으로부터 필름 합장부(6)의 장변방향의 단부를 향해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의 폭(γ)이 넓어지도록 구성한다(γ1<γ2).
이것에 의해 필름 합장부(6)의 증기 빼기 실링부(7),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b)로 구획하여 형성된 공간이 팽창했을 때에 제1 실시형태의 예 1보다도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 부분에 힘을 국소적으로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증기 빼기 실링부(7)를 제1 실시형태의 예 1보다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빼기 실링부(7)의 개시점(71)으로부터 필름 합장부(6)의 장변방향의 단부를 향해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의 폭(γ)이 넓어져 있기 때문에, 증기의 흐름이 도 2에 나타내는 형상보다도 변동되어 소용돌이가 발생하기 쉬워져 소리를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방출부가 형성되었을 때에 그 증기 방출부에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이 모이기 쉬워지기 때문에 소리를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봉지(100)가 개구된 것을 제1 실시형태의 예 1보다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를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의 히트 실링 영역이 제1 실시형태의 예 1보다도 많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가 형성되는 영역 내에 비실링부(80b)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를 히트 실링했을 때의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의 영역 내에 발생하는 기포나 주름 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한 실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양단에 연결하는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의 폭(γ)은 증기 빼기 실링부(7) 양단의 개시점(71, 71)의 위치로부터 포장봉지(100)의 측부를 향해 테이퍼상으로 넓혀서 구성한다(γ1<γ2). 이것에 의해 제1 실시형태의 예 1보다도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 부분에 힘을 국소적으로 가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빼기 실링부(7)를 제1 실시형태의 예 1보다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동시에 소리를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의 영역에 비실링부(80b)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의 영역 내에 발생한 기포를 비실링부(80b)에서 흡수하고, 또한 주름 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한 실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는 증기 빼기 실링부(7) 양단의 개시점(71, 71)의 위치로부터 포장봉지(100)의 측부를 향해 폭(γ)이 테이퍼상으로 넓혀서 구성되어 있으면(γ1<γ2), 그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의 형상은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서는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0a)는 직선 형상으로 구성하였지만 일부에 곡선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의 예 3)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예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예 3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2 외측 만곡 형상(9a2) 사이에 끼인 영역의 일정 폭을 갖는 실링 폭(β2) 및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1 외측 만곡 형상(9a1) 사이에 끼인 영역의 일정 폭을 갖는 실링 폭(β1)을 구비하고, 또한 실링 폭(β2)보다도 실링 폭(β1)이 좁아지도록 구성한다. 이 도 7(a)의 형상의 경우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예 1 및 예 2와 동일하게,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1 외측 만곡 형상(9a1) 사이에 끼인 영역의 폭(β1)이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2 외측 만곡 형상(9a2) 사이에 끼인 영역의 폭(β2)보다도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하면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구성하는 선단부(β1)의 좁게 되어 있는 부분만이 박리되고, 선단부(β1) 이외의 그 밖의 부분(β2)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연결되어 잔존하여, 그 잔존한 그 밖의 부분(β2)에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때에 「삐-」하는 피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예 3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만곡 형상(9a2)을 1개의 만곡 형상(9a2)으로 구성하고, 내측 만곡 형상(7a1)과 외측 만곡 형상(9a2) 사이에 끼인 영역의 실링 폭(β1, β2)은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내측 만곡 형상(7a1)과 외측 만곡 형상(9a2) 사이에 끼인 영역의 실링 폭(β1, β2)을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을 향해 순차적으로 좁게 할 수 있다. 이 도 7(b)에 나타내는 형상의 경우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예 1 및 예 2와 동일하게,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내측 만곡 형상(7a1)과 외측 만곡 형상(9a2) 사이에 끼인 영역의 폭(β1, β2)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을 향해 좁아져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하면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구성하는 대략 중앙부까지가 박리되고, 잔존한 증기 빼기 실링부(7)가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연결되어 에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때에 「삐-」하는 피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예 3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예를 들면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1 외측 만곡 형상(9a1) 사이에 끼인 증기 빼기 실링부(7) 선단 영역의 실링 폭(β1)을 그 밖의 실링 폭(β2)보다도 좁아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2 외측 만곡 형상(9a2)을 복수의 직선으로 구성하고, 다각형 미실링부(9a)의 중앙에 대략 사각 형상의 폭넓은 영역인 증기 대류부를 구성하며, 다각형 미실링부(9a)의 상하에 중앙의 폭넓은 영역보다도 좁은 폭좁은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이 도 7(c)의 형상의 경우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예 1 및 예 2와 동일하게,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1 외측 만곡 형상(9a1) 사이에 끼인 영역의 폭(β1)이 다른 영역의 폭(β2)보다도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하면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구성하는 선단부(β1)가 박리되고, 선단부(β1) 이외의 그 밖의 부분(β2)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연결되어 잔존하여, 그 잔존한 그 밖의 부분(β2)에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이 도 7(c)에 나타내는 형상의 경우는 다각형 미실링부(9a)의 중앙에 대략 사각 형상의 폭넓은 영역인 증기 대류부를 구성하고, 다각형 미실링부(9a)의 상하에 중앙의 폭넓은 영역보다도 좁은 폭좁은 영역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구성하는 선단부(β1)가 박리되어 다각형 미실링부(9a)로부터 외부로 증기를 방출할 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각형 미실링부(9a)의 폭넓은 영역인 증기 대류부의 양측에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그 결과 다각형 미실링부(9a)의 폭넓은 영역의 양측에 발생한 소용돌이에 의해 「삐-」하는 피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증기 대류부의 형상은 반드시 직선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곡면 형상 등으로 상하에 폭좁은 비실링부를 갖고 중앙에 폭넓은 비실링부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00)의 증기 빼기 실링부(7)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2 외측 만곡 형상(9a2) 사이에 끼인 영역의 일정 폭을 갖는 실링 폭(β2)과,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1 외측 만곡 형상(9a1) 사이에 끼인 영역의 일정 폭을 갖는 실링 폭(β1)을 구비하고, 또한 실링 폭(β2)보다도 실링 폭(β1)이 좁아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만곡 형상(7a1)과 외측 만곡 형상(9a2) 사이에 끼인 영역의 실링 폭(β1, β2)은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만곡 형상(7a1)과 외측 만곡 형상(9a1, 9a2) 사이에 끼인 영역의 실링 폭(β1, β2)을 각각 상이하게 하는 동시에 선단부(β1)의 실링 폭을 다른 부분(β2)보다도 좁아지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하면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구성하는 선단부(β1)가 박리되고, 선단부(β1) 이외의 그 밖의 부분(β2)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와 연결되어 잔존하여, 그 잔존한 그 밖의 부분(β2)에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봉지(1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때에 「삐-」하는 피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도 9, 도 10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일례로, 본 실시형태의 기술 사상은 아래의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예 1~5의 포장봉지의 증기 빼기 실링부 박리 전후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10은 비교예 1~2의 포장봉지의 증기 빼기 실링부 박리 전후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9, 도 10은 증기 빼기 실링부 박리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증기 빼기 실링부의 실링부 중에서 박리된 개소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외층을 나일론 15 ㎛, 내층을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60 ㎛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사용하고 실바(seal bar)로 실링을 행하여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한쪽에 개구(4)를 갖는 포장봉지를 성형하였다. 성형한 포장봉지에 내용물로서 물을 함유시킨 천을 충전한 후에 개구(4)를 실링하여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름 합장부(6)에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갖는 포장봉지를 제작하였다. 각각의 포장봉지 샘플 20개에 대해서 각 샘플을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의 증기 빼기 후의 실링 형상과 「삐-」하는 피리 소리의 발생에 대해서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포장봉지는 증기 빼기 실링부(7)로서 도 9(a) 박리 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V자상으로 돌출되고 선단의 실링 폭만이 좁아지도록 구성하였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후에는 도 9(b) 박리 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개의 샘플 중 15개의 샘플에서 「삐-」하는 피리 소리가 발생하고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포장봉지는 도 9(c) 박리 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다른 구성은 도 9(a) 박리 전에 나타내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후에는 포장봉지 내의 압력이 높아져 포장봉지가 팽창하면 도 9(d) 박리 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개의 샘플 중 18개의 샘플에서 「삐-」하는 피리 소리가 발생하고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포장봉지는 도 9(e) 박리 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 선단의 실링 폭이 좁고, 또한 박리 후의 증기가 통과하는 길(미실링부)이 통형상이 되도록 증기 빼기 방향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한쌍의 외측 실링부를 구비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 외측의 미실링부가 홈베이스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후에는 20개의 샘플 중 19개의 샘플에서 「삐-」하는 피리 소리가 발생하고 도 9(f) 박리 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포장봉지는 도 9(g) 박리 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의 선단을 향해서 실링 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하였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후에는 20개의 샘플 중 14개의 샘플에서 「삐-」하는 피리 소리가 발생하고 도 9(h) 박리 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포장봉지는 도 9(i) 박리 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을 향해 실링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하였다. 박리 후의 증기가 통과하는 길(다각형 미실링부의 중앙)에 대략 사각 형상의 폭넓은 영역인 증기 대류부를 구성하고, 다각형 미실링부의 상하에 중앙의 폭넓은 영역보다도 좁은 폭좁은 영역을 구성하였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후에는 20개의 샘플 중 20개의 샘플에서 「삐-」하는 피리 소리가 발생하고 도 9(j) 박리 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의 포장봉지는 도 10(k) 박리 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의 실링 폭을 전부 동일하게 하였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후에는 20개의 샘플 중 6개의 샘플에서 「삐-」하는 피리 소리가 발생하고, 소리가 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도 10(l) 박리 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비교예 2)
비교예 2의 포장봉지는 도 10(m) 박리 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의 실링 폭을 전부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와 증기 빼기 실링부로 둘레가 둘러싸인 적층 필름의 미실링부에 절개로부터 외부로 증기가 방출되도록 직선상의 절개를 실시하였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 후에는 20개의 샘플 중 3개의 샘플에서 「삐-」하는 피리 소리가 발생하고, 소리가 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도 10(n) 박리 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지 않았다.
(시험 결과)
전술한 시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가 박리되었을 때에 에지부가 형성되는 실시예 1~5의 포장봉지는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했을 때에 「삐-」하는 피리 소리가 거의 모든 샘플에서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는 포장봉지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증기가 에지부에 부딪혀서 증기의 흐름이 변동되고 소용돌이를 발생시켜 소리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 2~4의 포장봉지와 같이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삐-」하는 피리 소리를 더욱 발생시키기 쉬워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는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증기의 흐름이 실시예 1에 나타내는 형상보다도 변동되어 소용돌이를 발생시키기 쉬워져 소리를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증기 방출부가 형성되었을 때에 그 증기 방출부에 포장봉지 내의 수증기 등이 모이기 쉬워져 소리를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 5의 포장봉지와 같이 증기 방출부가 형성되는 다각형 미실링부의 중앙에 대략 사각 형상의 폭넓은 영역을 구성하고, 다각형 미실링부의 상하에 중앙의 폭넓은 영역보다도 좁은 폭좁은 영역인 증기 대류부를 구성함으로써 「삐-」하는 피리 소리가 확실하게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는 증기 방출부를 구성하는 다각형 미실링부로부터 외부로 증기를 방출할 때에 다각형 미실링부의 폭넓은 영역의 양측에 소용돌이가 발생하고, 그 발생한 소용돌이에 의해 「삐-」하는 피리 소리를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로,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로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실시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봉지(100)에 필름 합장부(6)를 설치하고, 그 필름 합장부(6)의 가장자리에 증기 빼기 실링부(7)와 미실링부(9)를 설치하여, 필름 합장부(6)의 가장자리에 증기 방출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포장봉지(100)에 필름 합장부(6)를 설치하지 않고, 하면부(1)와 상면부(2)로 구성하는 포장봉지(100)의 가장자리에 증기 빼기 실링부(7)와 미실링부(9)를 설치하여, 포장봉지(100)의 가장자리에 증기 방출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단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필름 합장부(6)를 설치한 포장봉지(100)의 경우는 그 포장봉지(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100)가 팽창했을 때에 필름 합장부(6)의 증기 빼기 실링부(7), 띠형상의 엔드 실링부(8a),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b)로 구획된 공간의 팽창이 하면부(1)와 상면부(2)로 구성되는 포장봉지(100) 본체 부분의 팽창 위에 포개어지기 때문에, 필름 합장부(6)의 부분이 수증기 등에 의해 가장 팽창하기 쉬운 개소가 된다. 이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필름 합장부(6)의 가장자리에 증기 빼기 실링부(7)와 미실링부(9)를 설치하여 증기 방출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포장봉지(100)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에 의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여 증기 방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소리를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장봉지(100)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의 단위 시간당 방출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만곡 형상(7a1)과 제1 외측 만곡 형상(9a1) 사이에 끼인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 부분은 선단 부분을 그 밖의 부분에 비해 폭좁게 함으로써 우선적으로 박리시키는 방법 외에, 예를 들면 선단 부분에만 이지필(easy-peel) 수지를 매개로 이지필을 형성하는 등 실링 폭의 대소에 한정되지 않고 선단 부분만의 박리 강도를 약하게 하여 증기에 의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선단부만이 박리되어 에지부(7a)를 형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증기 빼기 실링부(7)의 형상은 V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호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증기 빼기 실링부(7)에 있어서 박리 강도가 약한 부분은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 부분(양측 띠형상의 사이드 실링부(8a)의 중간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편측에만 에지부가 형성되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단부 등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을 실링하여 형성하는 실링부의 형상만이라는 간이한 구성으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증기의 방출시에 발생되는 소리에 관한 개량으로 소리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3은 포장봉지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포장봉지 내부의 압력 상승을 회피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은 증기 빼기 실링부를 우선적으로 박리시켜 그곳으로부터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은 실링부 내에 실시한 증기 통과 용이 수단으로부터 증기를 외부로 방산(放散)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3은 포장봉지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삐-」하는 소리가 나서 사용자를 놀라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포장봉지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포장봉지의 개발이 필요시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포장봉지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소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의 개요>
먼저 도 11~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봉지(200)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는 포장봉지(2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200)가 팽창했을 때에 증기 빼기 실링부(7)가 박리되어 개구되고,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9(9a,9b)}로 포장봉지(200)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제1 증기 방출부(101)(도 13 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미실링부(9)(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각형 미실링부(9a))에 제2 증기 방출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200)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적어도 제1 증기 방출부(101)와 제2 증기 방출부(102)로부터 외부로 방출하여 증기를 적어도 2차원 방향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봉지(200)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의 포장봉지는 포장봉지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1차원 방향에서 외부로 방출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리가 발생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는 포장봉지(200)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적어도 2차원 방향(제1 증기 방출부(101), 제2 증기 방출부(102))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
<포장봉지(200)의 구성예>
먼저 도 11~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1(a)는 개구(4)를 밀폐하기 전의 포장봉지(200)의 사시도이며, 도 11(b)는 포장봉지(200)에 내용물(D)을 수용하고 개구(4)를 히트 실링하여 밀폐한 포장봉지(20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에 설치되는 증기 빼기 실링부(7)와 미실링부(9)(다각형 미실링부(9a), 띠형상 미실링부(9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b)에 나타내는 포장봉지(2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포장봉지(200)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13(a)는 포장봉지(200)의 측면도이며, 도 13(b)는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이 개구되어 제1 증기 방출부(101)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각형 미실링부(9a)에는 제2 증기 방출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증기 방출부(102)는 다각형 미실링부(9a)를 구성하는 2개의 필름(개구측 상면부(2a), 길이측 상면부(2b))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증기 방출부(101)로부터 수증기 등이 외부로 방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제2 증기 방출부(102)로부터 수증기 등이 외부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는 포장봉지(200) 내부의 수증기 등을 2차원 방향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봉지(2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200)가 팽창해도 적어도 제1 증기 방출부(101)와 제2 증기 방출부(102)로부터 포장봉지(2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봉지(200)를 파열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장봉지(200)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때에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각형 미실링부(9a)에 형성되는 제2 증기 방출부(10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포장봉지(200) 내부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펀칭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 증기 방출부(102)는 원호, 직선, V자, U자 등의 절개나 원, 삼각, 사각, 사다리꼴, 다각형 등의 절결(切欠)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직선 형상이 아니라 다각 형상이나 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증기의 단위 시간에 빠지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각형 미실링부(9a)를 구성하는 개구측 상면부(2a)와 길이측 상면부(2b)의 양쪽에 동일 형상의 제2 증기 방출부(102)를 형성하고 있지만, 개구측 상면부(2a) 또는 길이측 상면부(2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해도 되고 각각 다른 형상의 제2 증기 방출부(10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에 있어서 연결선(9a20)은 다각형 미실링부(9a)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설치했을 뿐으로 실제 포장봉지(20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에 있어서 다각형 미실링부(9a)와 띠형상 미실링부(9b)는 연결선(9a20)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체화되어 있고, 연결선(9a20)은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200)의 내측방향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돌출된 증기 빼기 실링부(7)와, 그 증기 빼기 실링부(7)와 인접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외측에 실링하지 않고 형성한 미실링부(9)(다각형 미실링부(9a), 띠형상 미실링부(9b))를 갖고, 포장봉지(2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200)가 팽창했을 때에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가 개구되고,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9)(다각형 미실링부(9a), 띠형상 미실링부(9b))로 제1 증기 방출부(101)가 형성된다. 또한 미실링부(9)(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각형 미실링부(9a))에 제2 증기 방출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는 포장봉지(200)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을 적어도 제1 증기 방출부(101)와 제2 증기 방출부(102)로부터 외부로 방출하여 수증기 등을 적어도 2차원 방향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로 다량의 증기를 방출할 수 있고, 포장봉지(200)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때에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200)의 다각형 미실링부(9a)의 선단(90)측을 구성하는 돌출 형상선(9a10)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을 구성하는 내측 만곡 형상(7a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실링 폭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실링 폭의 변동량이 소정 범위 내라면 다각형 미실링부(9a)의 돌출 형상선(9a10)은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내측 만곡 형상(7a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내측 만곡 형상(7a1)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략 동일 형상이란 내측 만곡 형상(7a1)과 약간 상이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제1 증기 방출부(101)와 제2 증기 방출부(102)로부터 포장봉지(2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여, 포장봉지(200)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적어도 2차원 방향에서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2차원 방향에 한정하지 않고 포장봉지(200)에 새로운 증기 방출부를 설치하여 포장봉지(200)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다차원 방향에서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증기 빼기 실링부의 박리성에 관한 개량이다.
상기 특허문헌 1, 4의 증기 빼기 실링부를 갖는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압력 상승시에 실링부끼리를 연결하여 구성한 모서리부 등에 응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어 버려, 그 모서리부 등의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박리되어 내용물 등의 누출이 발생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증기 빼기 실링부를 갖는 포장봉지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의 박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지(300)의 개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봉지(300)에 대해서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포장봉지(300)는 증기 빼기 실링부(7)를 갖는 포장봉지(300)로, 증기 빼기 실링부(7)와 이어지는 띠형상의 제1 실링부(8a) 및 그 제1 실링부(8a)와 교차하는 띠형상의 제2 실링부(8b)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모서리부의 실링부(예를 들면 8b의 부분)의 박리 강도가 가장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지(300)는 포장봉지(3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에 응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모서리부의 실링부의 박리 강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그 모서리부 등의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물(300) 내의 내용물(D)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지(300)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예 1)
<포장봉지(300)의 구성예>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박리 강도는 그 증기 빼기 실링부(7)와 이어진 제1 실링부(8a)의 히트 실링한 부분의 박리 강도보다도 약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실링부(8a)의 히트 실링한 부분의 박리 강도는 그 제1 실링부(8a)와 교차하는 제2 실링부(8b)의 히트 실링한 부분의 박리 강도보다도 약하게 되어 있다.
즉 필름 합장부(6)에 있어서 히트 실링한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는 아래의 조건(1)을 만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조건(1)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박리 강도<제1 실링부(8a)의 박리 강도<제2 실링부(8b)의 박리 강도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00)는 상기 조건(1)을 만족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실링부(8a)와 제2 실링부(8b)가 연결되어 구성하는 모서리부의 실링부의 박리 강도를 가장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3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300)가 팽창했을 때에 증기가 체류되어 응력이 높아지기 쉬운 모서리부의 실링부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봉지(300)가 팽창했을 때에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미연에 억제하고,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으로부터 박리되어 제1 증기 방출부(101)를 용이하게 형성하여 내용물(D)의 의도하지 않은 개소로부터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 합장부(6)에 있어서 히트 실링한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는 상기의 조건(1)을 만족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임의의 구성으로 필름 합장부(6)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히트 실링할 때의 열, 압력, 실링부의 실링 폭 등을 상이하게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히트 실링할 때의 열, 압력, 실링부의 실링 폭 등의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히트 실링한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트 실링할 때의 열, 압력을 작게 함으로써 박리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히트 실링할 때의 열, 압력을 크게 함으로써 박리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의 실링 폭을 짧게 함으로써 박리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실링 폭을 길게 함으로써 박리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합장부(6)를 형성하는 개구측 상면부(2a), 길이측 상면부(2b)의 일부분에 인쇄를 실시하여 인쇄층을 형성하고, 증기 빼기 실링부(7), 제1 실링부(8a), 제2 실링부(8b)를 형성하는 각 부(7, 8a, 8b)의 층 두께를 상이하게 하여 히트 실링함으로써, 그 히트 실링하여 형성한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인쇄층을 형성한 개구측 상면부(2a), 길이측 상면부(2b)를 히트 실링하여 형성한 필름 합장부(6)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를 구성하는 각 부(7, 8a, 8b)에 있어서의 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a)는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를 A-A'선으로 절단한 제2 실링부(8b)에 있어서의 층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15(b)는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를 B-B'선으로 절단한 제1 실링부(8a)에 있어서의 층 구성예를 나타내며, 도 15(c)는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를 C-C'선으로 절단한 증기 빼기 실링부(7)에 있어서의 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측 상면부(2b)에 있어서 증기 빼기 실링부(7)를 형성하는 부분에 2층의 인쇄층(2b2, 2b3)을 형성하고,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링부(8a)를 형성하는 부분에 1층의 인쇄층(2b2)을 형성하며,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링부(8b)를 형성하는 부분에 인쇄층을 형성하지 않아, 각 부(7, 8a, 8b)의 층 두께를 상이하게 한다. 또한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측 상면부(2a)에 있어서 증기 빼기 실링부(7)를 형성하는 부분에 2층의 인쇄층(2a2, 2a3)을 형성하고,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링부(8a)를 형성하는 부분에 1층의 인쇄층(2a2)을 형성하며,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링부(8b)를 형성하는 부분에 인쇄층을 형성하지 않아, 각 부(7, 8a, 8b)의 층 두께를 상이하게 한다. 그리고 길이측 상면부(2b)와 개구측 상면부(2a)를 포개어 겹쳐서 히트 실링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필름 합장부(6)를 구성하는 각 부(7, 8a, 8b)의 층 두께가 상이하기 때문에 히트 실링한 부분의 박리 강도가 상기 조건(1)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빼기 실링부(7)를 형성하는 부분이나 제1 실링부(8a)를 형성하는 부분에 형성하는 인쇄층(2b2, 2a2)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링부(8b)를 형성하는 부분에는 형성하지 않고, 또한 제2 실링부(8b)를 형성하는 부분과 사이가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인쇄층(2b2, 2a2)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합장부(6)의 양단을 구성하는 제2 실링부(8b, 8b) 사이에 끼인 거리보다도 짧은 범위에서 형성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인쇄층(2b2, 2a2)의 형성 위치가 어긋난 경우라도 제2 실링부(8b)를 형성하는 부분에는 인쇄층(2b2, 2a2)을 형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링부(8a)와 제2 실링부(8b)가 연결되어 구성하는 모서리부의 실링부의 박리 강도를 가장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2b2, 2a2)이 제2 실링부(8b)를 형성하는 부분과 사이가 떨어져 있음으로써, 제1 실링부(8a)의 제2 실링부(8b)측 단부의 박리 강도를 높게 하고, 제1 실링부(8a)와 제2 실링부(8b)가 연결되는 부분의 실링부에 있어서 박리 강도가 높은 영역을 많게 할 수 있다.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는 아래의 방법으로 형성한다.
먼저 길이측 상면부(2b)의 필름을 구성하는 기재(예를 들면 나일론)(2b1)에 잉크를 인쇄하여 제1 인쇄층(2b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인쇄층(2b2) 상에 잉크를 인쇄하여 제2 인쇄층(2b3)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2 인쇄층(2b3)은 제1 인쇄층(2b2)보다도 접착 강도가 약해지는 재료를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박리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인쇄층(2b3)의 박리 강도를 제1 인쇄층(2b2)보다도 약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제1 인쇄층(2b2)이나 제2 인쇄층(2b3)을 형성하는 잉크 또는 접착제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재료의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인쇄층(2b2)을 형성하는 잉크의 재료와 제2 인쇄층(2b3)을 형성하는 잉크의 재료를 각각 상이하게 하여, 제2 인쇄층(2b3)을 제1 인쇄층(2b2)보다도 약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인쇄층(2b2)을 형성하는 잉크의 재료와 제2 인쇄층(2b3)을 형성하는 잉크의 재료를 동일하게 하고, 제1 인쇄층(2b2)을 형성하는 잉크에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접착제를 첨가하여 제1 인쇄층(2b2)의 박리 강도를 제2 인쇄층(2b3)보다도 강하게 하여, 제2 인쇄층(2b3)의 박리 강도를 제1 인쇄층(2b2)보다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인쇄층(2b3)을 형성하는 잉크에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박리제를 첨가하여 제2 인쇄층(2b3)의 박리 강도를 제1 인쇄층(2b2)보다도 약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하는 재료 또는 그것들을 첨가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층(2b2, 2b3)을 형성함으로써 제2 인쇄층(2b3)의 박리 강도를 제1 인쇄층(2b2)보다도 약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2개의 인쇄층(2b2, 2b3)을 형성한 기재(2b1)와 히트 실링성을 갖는 시트(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2b4)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한다. 이것에 의해 길이측 상면부(2b)의 필름을 형성한다.
또한 개구측 상면부(2a)의 필름을 구성하는 기재(예를 들면 나일론)(2a1)에 잉크를 인쇄하여 제1 인쇄층(2a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인쇄층(2a2) 상에 잉크를 인쇄하여 제2 인쇄층(2a3)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2 인쇄층(2a3)은 제1 인쇄층(2a2)보다도 박리 강도를 약하게 한다.
다음으로 2개의 인쇄층(2a2, 2a3)을 형성한 기재(2a1)와 히트 실링성을 갖는 시트(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2a4)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한다. 이것에 의해 개구측 상면부(2a)의 필름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개구측 상면부(2a)의 필름과 길이측 상면부(2b)의 필름을 히트 실링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증기 빼기 실링부(7), 제1 실링부(8a), 제2 실링부(8b)를 갖는 필름 합장부(6)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가 얻어진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는 제2 실링부(8b)에 인쇄층을 형성하지 않고, 필름 합장부(6)를 구성하는 각 부(7, 8a, 8b)의 층 두께가 상기 조건(1)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건(1)을 만족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제2 실링부(8b)에도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제1 실링부(8a)나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인쇄층을 많게 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필름 합장부(6)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합장부(6)를 형성하는 개구측 상면부(2a), 길이측 상면부(2b)의 일부분에 다층의 인쇄층을 형성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각 부(7, 8a, 8b)를 형성하는 층 두께를 상이하게 하여 히트 실링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필름 합장부(6)를 형성하는 개구측 상면부(2a), 길이측 상면부(2b)에 박리 강도가 상이한 1층의 인쇄층을 형성하여 히트 실링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길이측 상면부(2b)에 있어서 증기 빼기 실링부(7)를 형성하는 부분에 박리 강도가 약한 인쇄층을 형성하고, 제1 실링부(8a)를 형성하는 부분에 박리 강도가 강한 인쇄층을 형성하며, 제2 실링부(8b)를 형성하는 부분에 인쇄층을 형성하지 않고 히트 실링함으로써, 상기의 조건(1)을 만족하도록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먼저 증기 빼기 실링부(7)를 형성하는 부분의 영역을 빼고 제1 실링부(8a)를 형성하는 부분의 영역에만 박리 강도가 강한 잉크를 인쇄한다. 다음으로 증기 빼기 실링부(7)를 형성하는 부분의 영역에만 박리 강도가 약한 잉크로 인쇄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1층의 인쇄층이라도 도 14에 나타내는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00)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00)는 필름 합장부(6)를 구성하는 증기 빼기 실링부(7), 제1 실링부(8a), 제2 실링부(8b)의 각 부(7, 8a, 8b)의 박리 강도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증기 빼기 실링부(7)의 박리 강도<제1 실링부(8a)의 박리 강도<제2 실링부(8b)의 박리 강도
이것에 의해 제1 실링부(8a)와 제2 실링부(8b)가 연결되어 구성하는 모서리부의 실링부의 박리 강도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포장봉지(3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300)가 팽창했을 때에 모서리부의 실링부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박리 강도가 가장 약한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으로부터 박리되어 제1 증기 방출부(10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포장봉지(300) 내의 내용물(D)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필름 합장부(6)에 있어서는 대략 V자 형상의 실링 부분의 박리 강도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함으로써 추가로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의 박리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의 예 2)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의 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예 2의 포장봉지(30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링부(8a)와 제2 실링부(8b)가 연결되는 연결 부분에 박리 강도가 가장 강한 강실링부(8ab)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실링부(8a)와 제2 실링부(8b)가 연결되어 구성하는 부분에 강실링부(8ab)를 가지고 구성하기 때문에 강실링부(8ab)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봉지(3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300)가 팽창했을 때에 박리 강도가 가장 높은 강실링부(8ab)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박리 강도가 가장 약한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으로부터 박리되어,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으로부터 대략 V자 형상을 개시하는 2점의 개시점(71, 71)끼리를 연결한 선상까지 개구하게 된다. 그리고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9)(다각형 미실링부(9a), 띠형상 미실링부(9b))로 포장봉지(300)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1 증기 방출부(101)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포장봉지(300)가 팽창했을 때에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미연에 억제하고, 증기 빼기 실링부(7)의 선단(70)측으로부터 박리되어 제1 증기 방출부(10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로, 상기 실시형태로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실시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증기 빼기 기구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용 봉지에 사용하는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이 되는 세워 놓는 타입의 전자레인지용 포장봉지는 사방 실링되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평면에 놓는 타입의 전자레인지용 봉지에 비해 제조가 번잡하여 곤란하다. 또한 전자레인지 사용시에는 세워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전자레인지 안에서 넘어져 버릴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평면에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세워 놓는 타입의 전자레인지용 봉지는 평면에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측면(바닥부)이 펼쳐진 대략 삼각 형상이 되고, 전자레인지 사용시에 있어서의 압력 상승에 의해 개구되는 증기 빠짐부가 전체의 높이에 대해서 낮거나 또는 약간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증기 빠짐부에 압력 상승에 의한 응력을 효과적으로 반영시킬 수 없어 증기 빼기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자레인지용 봉지는 손잡이가 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전자레인지로 가열 후에는 포장봉지 전체가 고온이 되어 있어, 전자레인지로부터 꺼낼 때에 화상 등의 걱정이 우려되고 있었다. 또한 포장봉지 자신의 앉음새가 충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로 가열 후에 세워 놓고 상부를 잘라내어 개구해도 전도 등의 위험성으로 인해 포장봉지로부터 직접 안의 식품을 먹는 것은 곤란해서 세워 놓기의 이점을 완전히 살릴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실시형태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증기압에 의한 내압 상승에 수반하여 증기 빠짐을 형성하는 전자레인지용 포장봉지를 전도 등의 위험성 없이 세워 놓고 전자레인지로 가열 가능하게 하는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예 1)
먼저 도 17~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는 종이제로 이루어지고 바닥면(402)과 측면(403)을 가지며 상부가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의 용기이다.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402)을 둘러싸듯이 대략 타원 형상으로 바닥면(402)에 대해서 수직으로 서는 측면(403)을 구비한다. 측면(403)의 높이는 후술하는 포장봉지의 증기를 빼는 증기 빼기 실링부를 덮지 않는 높이이다. 바닥면(402)과 측면(403) 사이의 교선은 양단이 이어진 접은 선(405)을 갖고, 그 양단의 접은 선(405)을 따라 중앙에 원호 형상의 극간(406)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바닥면(402)과 측면(403)은 양단의 일부분만이 이어져 있어 무리 없이 용이하게 접어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402)은 양단이 접지되도록 중앙부가 위쪽으로 부풀어 오른 브리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바닥면(402)은 포장봉지를 수용했을 때에 적어도 측면(403)에 지지되어 기대어 세워 놓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편평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성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전개도이다.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는 단일 종이를 접어 구부려서 형성된다.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를 전개했을 때에 중앙에 위치하는 바닥면(402)은 조립했을 때에 접지되는 직선 부분(411)과, 측면(403)과 이어지는 원호 형상의 곡선 부분(412)을 갖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곡선 부분(412)은 그 양단에 바닥면(402)과 측면(403)을 잇는 접은 선(405)을 갖고, 양단의 접은 선(405) 사이에는 접은 선(405)끼리를 잇도록 대략 원호 형상을 따라 극간(406)에 상당하는 절개가 들어가 있다. 측면(403)은 접은 선(405)을 따라 접음으로써 바닥면(402)에 대해서 측면(403)을 대략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측면(403)을 수직으로 세우면 동시에 바닥면(4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리지 형상으로 휘게 되어 의장성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을 가진 포장봉지와 접지면을 최대한 멀리 떼어 놓을 수 있기 때문에 포장봉지의 보온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설치 장소에 포장봉지로부터의 열이 이행되어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쪽 측면(403)에는 다른 쪽 측면(403)에 설치된 절개(415)에 끼워맞추는 볼록부(414)를 갖는다. 볼록부(414)는 측면(403)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조립했을 때에 둘레방향으로 퍼지지 않도록 바닥면(402)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른 쪽 측면(403)의 볼록부(414)에 대응하는 개소에 구비된 절개(415)는 볼록부(414)를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바닥면(402)에 대해서 경사지게 하여 원호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볼록부(414)의 인접하는 위치에는 바닥면(402)에 대해서 수직방향에 접은 선(413)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조립했을 때에도 용이하게 볼록부(414)를 절개(415)에 끼워 맞출 수 있다. 볼록부(414)는 측면(403)을 세웠을 때에 서로 포개지는 측면(403)의 외측으로부터 절개(415)에 끼워 넣어져 선단의 볼록부(414)가 측면(403)의 내측으로 나와 고정된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상면도이다. 대략 타원 형상을 갖는 바닥면(402)에 있어서의 장변방향의 양단에는 바닥면(402)과 측면(403) 사이가 떨어진 구멍(421)을 구비한다. 구멍(421)은 바닥면(402)의 직선 부분(411)과 측면(403)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략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해 측면(403)을 무리 없이 구부릴 수 있어 볼록부(414)와 절개(415)를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에 수납되는 포장봉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포장봉지(31)에 내용물(40)을 수용하고 개구를 히트 실링하여 밀폐한 포장봉지(3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1)는 상면부(32)를 구성하는 필름과 하면부(33)를 구성하는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여 형성한 실링부(34,27,28)를 갖는 포장봉지(31)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1)는 실링부(34)의 대략 중앙부를 포장봉지(31)의 내측방향을 향해 대략 V자상으로 만곡시켜서 돌출 형성한 증기 빼기 실링부(35)와, 증기 빼기 실링부(35)와 인접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35)의 외측에 실링하지 않고 형성한 미실링부(36)를 갖고, 포장봉지(31)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31)가 팽창했을 때에 증기 빼기 실링부(35)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증기 빼기 실링부(35)가 박리되어 개구되며,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36)로 포장봉지(31) 내의 증기를 방출하는 증기 방출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1)는 하면부(33), 상측에 포개어지는 상측 상면부(32a) 및 하면부(33)의 하측에 포개어지는 하측 상면부(32b)를 가지고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1)는 상측 상면부(32a)와 하측 상면부(32b)로 상면부(32)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1)는 하면부(33)와 상면부(32)의 양 측가장자리를 히트 실링하여 사이드 실링부(37)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면부(33)와 상측 상면부(32a)의 삼방 측가장자리를 히트 실링하여 사이드 실링부(37)의 일부와 엔드 실링부(38)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측 상면부(32a)와 하측 상면부(32b)를 되접어 꺾고 포개어 겹쳐 히트 실링하여 필름 합장부(39)를 형성하고 있다.
필름 합장부(39)는 필름 합장부(39)의 장변방향의 중앙부에 포장봉지(31)의 내측방향을 향해 대략 V자상으로 만곡하여 돌출된 증기 빼기 실링부(35)를 가지고 있고, 또한 그 증기 빼기 실링부(35)의 양측에 필름 합장부(39)의 장변방향과 단변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띠형상의 실링부(34)를 가지고 있다. 증기 빼기 실링부(35)와 띠형상의 실링부(34)는 상측 상면부(32a)와 하측 상면부(32b)를 포개어 겹쳐서 히트 실링한 부분으로, 증기 빼기 실링부(35)와 띠형상의 실링부(34)가 연결되어 있다.
필름 합장부(39)는 증기 빼기 실링부(35)의 외측에 미실링부(36)를 가지고 있다. 미실링부(36)는 상측 상면부(32a)와 하측 상면부(32b)를 포개어 겹쳐서 히트 실링한 실링부(34)와 증기 빼기 실링부(35)로 둘러싸인 외측의 히트 실링하지 않은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증기 빼기 실링부(35)는 포장봉지(31)의 내측방향을 향해 대략 V자 형상으로 만곡시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증기 빼기 실링부(35)는 미실링부(36)와 인접하지 않은 포장봉지(31)의 내측 쪽의 V자로 돌출된 내측 만곡 형상과, 미실링부(36)와 인접하는 포장봉지(31)의 외측 쪽의 외측 만곡 형상을 갖는 히트 실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증기 빼기 실링부(35)의 선단측이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포장봉지(31)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31)가 팽창했을 때에 증기 빼기 실링부(35)의 선단측만 박리되어 개구되고,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36)로 포장봉지(31) 내의 수증기 등을 방출하는 증기 방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증기 방출부로부터 포장봉지(31)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한다. 이것에 의해 포장봉지(31)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지(31)가 팽창해도 증기 방출부로부터 포장봉지(31) 내의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포장봉지(31)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 및 포장봉지(31)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개구(404)로부터 포장봉지(31)의 증기 빼기 실링부(35)가 노출되도록 일체로 하여 세팅된다. 또한 도 22는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와 포장봉지(31)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2(a)는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와 포장봉지(31)의 사시도, 도 22(b)는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와 포장봉지(3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바닥면(402)을 아래로 하고 측면(403)의 개구(404)를 위로 하여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개구(404)로부터 포장봉지(31)를 수용함으로써 포장봉지(31)를 세울 수 있다.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와 포장봉지(31)는 적절히 공지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장봉지(31)의 증기 빼기 실링부(35)는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개구(404)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증기 빼기 실링부(35)가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에 막히는 경우는 없다.
밀폐 상태의 포장봉지(31)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포장봉지(31) 내에 수증기 등이 발생하여 고온 및 고압이 되어 포장봉지(31)가 팽창한다. 그렇게 되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부(33)와 상면부(32)로 구성하는 포장봉지(31) 본체 부분의 수평 단면이 타원형이 되도록 팽창하는 동시에 필름 합장부(39)의 증기 빼기 실링부(35), 띠형상의 실링부(34)로 구획된 공간이 팽창한다. 이것에 의해 필름 합장부(39)를 구성하는 증기 빼기 실링부(35)의 선단 부분에 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져 증기 빼기 실링부(35)의 선단으로부터 히트 실링의 박리가 발생하여 증기 빼기 실링부(35)의 선단이 개구되고, 그 개구된 영역과 미실링부(36)로 포장봉지(31) 내의 수증기 등을 방출하는 증기 방출부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증기 방출부로부터 포장봉지(31)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포장봉지(31)의 증기 빼기 실링부(35)가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로부터 노출되도록 포장봉지(31)를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에 수용한 상태에서 내용물(40)을 데움으로써 내용물이 식는 것을 기다릴 것 없이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를 손잡이로 하여 전자레인지로부터 안전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포장봉지(31)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 부분(41)으로부터 봉지를 잘라 엶으로써, 포장봉지(31)와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를 세워서 그대로 내용물을 먹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봉지(31)는 증기 방출부를 형성하는 증기 빼기 실링부(35)를 포장봉지(31) 내의 내용물(40)의 상면 레벨보다 위쪽 위치가 되는 필름 합장부(39)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봉지(31) 내의 내용물(40)의 끓어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봉지(31) 내의 내용물(40)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포장봉지(31)의 증기 빼기 실링부(35)가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400)의 측면의 높이가 포장봉지(31)와 동일 또는 높은 경우에는 증기 빼기 실링부(35)보다 상측, 즉 증기가 빠지도록 대응 개소의 일부분을 오려낸 형상 등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의 예 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는 포장봉지(31)를 수용 후에 예를 들면 평면에 놓은 상태에서 전자레인지로 데울 수 있고, 그 후 전자레인지로부터 꺼냈을 때에는 즉시 세워 놓고 내용물을 꺼내기 쉽게 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킨 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의 폴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화살표 A-A선 단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는 폴딩 상태로부터 양측의 측가장자리를 서로 밀어 넣음으로써 통형상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용기 본체(52)와 이 용기 본체(52)의 하단부에 설치한 바닥부재(53)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52)의 폴딩과 전개에 연동하여 바닥면을 바닥부재(53)에도 폴딩과 전개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52)는 두꺼운 종이나 합성 수지 시트와 같은 시트 재료를 사용하여 도 24(a)와 같이 2매의 측벽(54)을 갖고 이 양 측벽(54)을 한쪽 측가장자리에서 서로 이어지도록 1매의 시트로부터 형성하여, 양 측벽(54)을 접은 선(55)에서 둘로 접어 포개어 다른 쪽 측가장자리를 풀 부착 조각(56)으로 서로 접착 고정함으로써 편평한 폴딩 상태로부터 양 측가장자리를 눌러서 통형상으로 원터치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용기 본체(52)에 있어서 양 측벽(54)의 하단 가장자리는 용기 본체(52)의 상하 축선에 대해서 대략 직각인 수평 직선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측벽(54)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폭방향의 중앙 위치에 바닥부재(53)와 연결하는 띠형상의 접속편(57)이 아래를 향한 연장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재(53)는 재료에 용기 본체(52)와 동일한 시트 재료를 사용하여 도 24(b)와 같이 직선의 접은 선(61)을 사이에 두고 이어지는 한쌍의 바닥벽(62)이 둘로 접은 상태로부터 양측으로 전개 가능해지도록 형성되고, 양 바닥벽(62)은 직선이 되는 접은 선(61)과 반대의 바깥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의 팽출 가장자리가 되는 판형상이 되고, 양 바닥벽(62)의 접은 선(61)을 따른 방향의 길이가 폴딩한 용기 본체(52)의 양 측가장자리 사이에 들어가는 길이로 설정되어 둘로 접은 상태에서 접은 선(61)측이 용기 본체(52)의 내측에 위치하며, 바닥벽(62)의 일부가 측벽(54)의 아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치로 용기 본체(52)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재(53)의 양 바닥벽(62)에는 접은 선(61) 상에 중앙 장공(長孔)(63)과, 접은 선(61)을 사이에 두고 등거리 떨어진 위치에 외측 장공(64)이 평행 상태의 배치로 설치되고, 바닥부재(53)를 전개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52)의 각 측벽(54)의 아래 가장자리에 연이어 형성된 띠형상의 접속편(57)을 외측 장공(64)에 위에서부터 통과시켜 바닥벽(62)의 하면에서 접어 구부리고, 그 선단부를 중앙 장공(63)에 아래에서부터 통과시키도록 접어 구부림으로써 측벽(54)과 바닥벽(62)을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평면에 놓고 사용할 때는 도 23(a)와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52)를 양 측벽(54)이 포개어지도록 폴딩하고, 바닥부재(53)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 양 측벽(54) 사이의 하단부에 끼워 넣어 전체를 편평한 형상으로 해 둔다. 이 상태에서 양 측벽(54)에 설치한 접속편(57)은 바닥부재(53)의 둘로 접기에 의해 내측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도 25는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와 포장봉지(31)를 일체로 하여 평면에 놓은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와 포장봉지(31)는 적어도 포장봉지(31)의 증기 빼기 실링부가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로부터 노출되도록 수용된다. 수용된 포장봉지(31)는 공지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에 고정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는 예를 들면 내용물(40)을 전자레인지로 데울 때에는 포장봉지(31)를 평면에 놓은 채로 전자레인지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를 작동시키고 있을 때에 전도의 우려 등이 없어 안정하게 전자레인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로부터 꺼낼 때에도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를 듦으로써 화상 등의 걱정 없이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와 포장봉지(31)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로부터 꺼낸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 및 포장봉지(31)는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의 측가장자리를 꽉 누름으로써 도 2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재(53)의 양 바닥벽(62)이 원터치로 인출되어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다. 그 후 포장봉지(31)의 상부를 잘라냄으로써 내용물(40)을 꺼내기 쉬워 먹을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와 포장봉지(31)를 평면에 놓고 데운 후에 전자레인지 봉지 수용 용기(51)와 포장봉지(31)를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기 때문에 화상 등의 걱정 없이 데운 직후에 내용물(40)을 먹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로 상기 실시형태로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실시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에 기재된 기술은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실링 폭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거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와 같은 다각형 미실링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200,300 포장봉지
6 필름 합장부
7 증기 빼기 실링부
101 제1 증기 방출부
102 제2 증기 방출부
2a2 제1 인쇄층
2a3 제2 인쇄층
400 용기
31 포장봉지
35 증기 빼기 실링부

Claims (7)

  1. 증기 빼기 실링부를 갖는 포장봉지로,
    상기 증기 빼기 실링부와 이어지는 띠형상의 제1 실링부와 상기 제1 실링부와 교차하는 띠형상의 제2 실링부를 갖고,
    적어도 상기 증기 빼기 실링부를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인쇄되는 제1 인쇄층 및 적어도 상기 증기 빼기 실링부를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영역에 인쇄되는 제2 인쇄층을 가지고 구성된 필름이 히트 실링되어 이루어지는 포장봉지로서,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제2 인쇄층에서 층간 박리되어 제1 증기 방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실링부 및 상기 제2 실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제1 인쇄층보다도 박리 강도가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실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빼기 실링부는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시킨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면부, 개구측 상면부 및 길이측 상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측 상면부와 상기 길이측 상면부를 되접어 꺾고 포개어 겹쳐 히트 실링하여 이루어지는 필름 합장부에 상기 증기 빼기 실링부, 상기 제1 실링부 및 상기 제2 실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빼기 실링부의 외측에, 상기 필름의 내면에서 외면으로 증기를 방출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된 제2 증기 방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KR1020187023158A 2011-12-28 2012-12-27 포장봉지 KR102018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8741 2011-12-28
JPJP-P-2011-288741 2011-12-28
JPJP-P-2012-019255 2012-01-31
JP2012019255A JP6026747B2 (ja) 2011-12-28 2012-01-31 包装袋
PCT/JP2012/083891 WO2013100058A1 (ja) 2011-12-28 2012-12-27 包装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376A Division KR101892377B1 (ko) 2011-12-28 2012-12-27 포장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125A true KR20180093125A (ko) 2018-08-20
KR102018105B1 KR102018105B1 (ko) 2019-09-04

Family

ID=4869753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158A KR102018105B1 (ko) 2011-12-28 2012-12-27 포장봉지
KR1020167032376A KR101892377B1 (ko) 2011-12-28 2012-12-27 포장봉지
KR1020147015632A KR101680439B1 (ko) 2011-12-28 2012-12-27 포장봉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376A KR101892377B1 (ko) 2011-12-28 2012-12-27 포장봉지
KR1020147015632A KR101680439B1 (ko) 2011-12-28 2012-12-27 포장봉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6026747B2 (ko)
KR (3) KR102018105B1 (ko)
CN (4) CN109229938B (ko)
HK (1) HK1200424A1 (ko)
MY (1) MY183399A (ko)
PH (2) PH12014501291B1 (ko)
SG (3) SG10202109167QA (ko)
WO (1) WO2013100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0535A1 (en) * 2012-02-17 2013-08-22 Amcor Flexibles Transpac N.V. Self-venting package
KR101687885B1 (ko) * 2012-03-07 2016-12-19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증기 배출 스탠딩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스탠딩 파우치
JP2015151142A (ja) * 2014-02-12 2015-08-24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ッケージ
WO2016014825A1 (en) * 2014-07-23 2016-01-28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with peelable closure
JP6492592B2 (ja) * 2014-12-03 2019-04-0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6558115B2 (ja) * 2015-07-16 2019-08-1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KR20180100383A (ko) * 2016-01-07 2018-09-10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지퍼 테이프,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JP6938111B2 (ja) * 2016-01-20 2021-09-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KR102579018B1 (ko) * 2016-01-21 2023-09-15 가부시키가이샤 선 에이. 가켄 가열용 파우치
JP7004129B2 (ja) * 2016-06-02 2022-01-21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
KR102100615B1 (ko) 2016-06-02 2020-04-14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파우치
JP7095218B2 (ja) * 2016-06-02 2022-07-05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
JP7226628B2 (ja) * 2016-06-02 2023-02-21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
JP2018027802A (ja) * 2016-08-18 2018-02-22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
CN108622544A (zh) * 2017-03-17 2018-10-09 杭州顶正包材有限公司 一种可微波加热排气的包装袋及其制作工艺
WO2018181616A1 (ja) 2017-03-29 2018-10-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ES1214089Y (es) * 2018-05-10 2018-09-13 Garcia Pedro Terron Válvulas temporizada con sistema de alerta
JP6587019B2 (ja) * 2018-08-10 2019-10-09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ッケージ
JP7218559B2 (ja) * 2018-12-13 2023-0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袋
WO2020262614A1 (ja) * 2019-06-28 2020-12-30 マルハニチロ株式会社 冷凍食品入り袋製品
KR102152457B1 (ko) * 2019-07-26 2020-09-04 (주)태방파텍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JP2021024573A (ja) * 2019-07-31 2021-02-2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包装袋
JP2021075289A (ja) * 2019-11-06 2021-05-20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7396889B2 (ja) * 2019-12-26 2023-12-12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加熱処理用包装体
CN115397745A (zh) * 2020-04-08 2022-11-25 凸版印刷株式会社
JP2023095614A (ja) * 2021-12-24 2023-07-06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376A (ja) * 1996-10-04 1998-05-06 Sun A Kaken Co Ltd 電子レンジ調理食品用包装袋
JP2001270569A (ja) * 2000-03-22 2001-10-02 Fuji Seal Inc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2080072A (ja) 2000-09-07 2002-03-19 Marumiya Sangyo:Kk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密封袋
JP2003182779A (ja) 2001-12-19 2003-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082172A (ja) 2003-09-05 2005-03-31 Toyo Seikan Kaisha Ltd 開口時に発音する自動開口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3665795B2 (ja) 2000-10-31 2005-06-29 株式会社マルミヤ産業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密封袋の製造方法
JP2005320023A (ja) 2004-05-07 2005-11-17 Toyo Seikan Kaisha Ltd 平置き型の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7238165A (ja) * 2006-03-10 2007-09-20 Maruyuu:Kk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密封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254B2 (ja) * 1996-10-24 2004-12-02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袋
JP3339559B2 (ja) * 1997-05-08 2002-10-28 東セロ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体
JP2000226078A (ja) * 1999-02-05 2000-08-15 Sorubekkusu:Kk 食品容器
KR20020063476A (ko) * 2001-01-29 2002-08-03 아테나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즉석식품용 용기
SE521684C2 (sv) * 2001-04-30 2003-11-25 Micvac Ab Återförslutningsbar envägsventil för livsmedelsförpackning
JP4139588B2 (ja) * 2001-12-19 2008-08-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AUPS282902A0 (en) * 2002-06-07 2002-06-27 Pak Technologies Group Pty Ltd Flexible pouch, filling and heat sealing line for flexible pouches, and containers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flexible pouches
JP4139659B2 (ja) * 2002-09-17 2008-08-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334923B2 (ja) * 2003-06-20 2009-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035594A (ja) * 2003-07-14 2005-02-10 Toppan Printing Co Ltd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とそれを用いた包装体
CN100551791C (zh) * 2003-07-24 2009-10-21 凸版印刷株式会社 具有除蒸气功能的包装袋
BRPI0412793A (pt) * 2003-07-24 2006-09-26 Toppan Printing Co Ltd saco tipo embalagem com função de ventilação de vapor e embalagem usando o saco tipo embalagem
JP4265348B2 (ja) * 2003-09-02 2009-05-20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631417B2 (ja) * 2004-12-07 2011-02-16 凸版印刷株式会社 蒸気抜き包装袋
JP4727251B2 (ja) * 2005-02-15 2011-07-20 藤森工業株式会社 加熱調理用包装袋の製造方法
JP4770496B2 (ja) * 2006-02-03 2011-09-14 凸版印刷株式会社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
JP4826279B2 (ja) * 2006-02-22 2011-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7284118A (ja) * 2006-04-18 2007-11-01 Toppan Printing Co Ltd 蒸気抜き包装袋
CN201105866Y (zh) * 2007-05-14 2008-08-27 李维杨 一种微波炉直接膨爆加热食品包装袋
CN201415793Y (zh) * 2009-05-31 2010-03-03 东莞奇妙包装有限公司 微波加热食品包装袋
KR101113402B1 (ko) * 2009-11-05 2012-02-29 주식회사 원지 내용물의 유출과 건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내압배출수단이 형성된 전자레인지용 비닐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376A (ja) * 1996-10-04 1998-05-06 Sun A Kaken Co Ltd 電子レンジ調理食品用包装袋
JP2001270569A (ja) * 2000-03-22 2001-10-02 Fuji Seal Inc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2080072A (ja) 2000-09-07 2002-03-19 Marumiya Sangyo:Kk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密封袋
JP3665795B2 (ja) 2000-10-31 2005-06-29 株式会社マルミヤ産業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密封袋の製造方法
JP2003182779A (ja) 2001-12-19 2003-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082172A (ja) 2003-09-05 2005-03-31 Toyo Seikan Kaisha Ltd 開口時に発音する自動開口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320023A (ja) 2004-05-07 2005-11-17 Toyo Seikan Kaisha Ltd 平置き型の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7238165A (ja) * 2006-03-10 2007-09-20 Maruyuu:Kk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密封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29938A (zh) 2019-01-18
PH12018501421A1 (en) 2019-11-11
KR101680439B1 (ko) 2016-11-28
KR101892377B1 (ko) 2018-08-27
SG11201403141RA (en) 2014-08-28
CN103998350B (zh) 2018-10-12
HK1200424A1 (en) 2015-08-07
KR20140091050A (ko) 2014-07-18
CN115504086A (zh) 2022-12-23
JP6026747B2 (ja) 2016-11-16
CN115504086B (zh) 2023-10-13
CN110834822A (zh) 2020-02-25
WO2013100058A1 (ja) 2013-07-04
CN109229938B (zh) 2019-11-12
CN110834822B (zh) 2022-07-22
PH12014501291A1 (en) 2014-09-08
CN103998350A (zh) 2014-08-20
PH12014501291B1 (en) 2014-09-08
SG10201510657QA (en) 2016-01-28
SG10202109167QA (en) 2021-09-29
JP2013151317A (ja) 2013-08-08
MY183399A (en) 2021-02-18
KR20160135857A (ko) 2016-11-28
KR102018105B1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377B1 (ko) 포장봉지
ES2577540T3 (es) Método y aparato para hacer envases marcados por láser
JP6282026B2 (ja) 包装袋
JPH11245957A (ja) 開封容易なバッグ及びパッケ―ジ用素材
JP6817810B2 (ja) シート材容器
CN108349637B (zh) 袋式包装物以及用于适配此类包装物的相关联方法
JP6059896B2 (ja) 包装袋
US20110233267A1 (en) Pack having tear-open aid
US20170203900A1 (en) Film bag
JP6168997B2 (ja) 包装袋
JP2005047605A (ja)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と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2014141261A (ja) 自動通気包装袋及び自動通気包装袋収容箱
JP7268397B2 (ja) 蓋、パッケージ、および、包装体
JP7135053B2 (ja) 包装袋
JP6578461B2 (ja) 包装袋
JP6960515B2 (ja) シート材容器
JP6788713B2 (ja) 包装袋
JP6534435B2 (ja) 包装袋
JP4529679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袋
JP4346232B2 (ja) 加熱対応型密封包装袋
JP2022037218A (ja) 包装袋
JP4826341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密封包装袋包装用箱
CN114945523A (zh) 在打开后保持一体的撕开式袋
JP2000335654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18127231A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