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022A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022A
KR20180031022A KR1020187004666A KR20187004666A KR20180031022A KR 20180031022 A KR20180031022 A KR 20180031022A KR 1020187004666 A KR1020187004666 A KR 1020187004666A KR 20187004666 A KR20187004666 A KR 20187004666A KR 20180031022 A KR20180031022 A KR 20180031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am
path portion
lid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469B1 (ko
Inventor
쿄코 이시하라
시게유키 나가타
치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가열 조리기(1)는 개구부(13)를 갖는 속 냄비(10)와, 가열부(30)와, 내부 증기구(21a)와, 덮개체(20)를 구비한다. 덮개체(20)는 밸브체(22a)를 갖는 증기 배출밸브(22)와, 증기 배출밸브(22)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안내하는 증기 경로부(24)와, 밸브체(22a)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6)와, 구동부(26)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부(27)와, 구동부(26)를 통과한 공기를 증기 경로부에 안내하는 공기 경로부(25)를 갖는다.

Description

가열 조리기
본 발명은 덮개(뚜껑)체와 조리용기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밥솥 등의 가열 조리기는 조리용기와, 조리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체를 갖는다. 가열 조리에 의해 조리용기 내의 내용물(예를 들면, 물)이 비등하면, 조리용기 내에 증기가 발생하고, 조리용기 내의 압력이 증가한다. 조리용기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덮개체에는 조리용기 내의 증기의 배출을 조정하는 증기 배출밸브 및 덮개체의 외부에 증기를 배출하는 외부 증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열 조리기에 의한 조리 목적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증기를 가열 조리기의 외부에 단계적으로 배출하는 가열 조리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9-8275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배기 통로(제1 및 제2의 배기 통로)에 마련된 밸브체(제1 및 제2의 밸브체)의 상태가 구동부에 의해 온과 오프(열린상태와 닫힌상태의 2개의 상태)의 어느 하나로 전환된다. 그때문에, 조리용기의 내부의 압력이 높은 때에 배기 통로를 개방하면(밸브를 열린상태로 전환하면), 개방 직후에 배기 통로로부터 증기가 높은 온도인 채로, 강한 세력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유저에게 불쾌감(예를 들면, 놀람 또는 공포감)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조리용기 내의 열 또는 증기에 의해,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덮개체 내가 고온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냉각하는 것 및 조리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온도를 내리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개구부를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내부 증기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내부 증기구에 대해 가동인 밸브체를 갖는 증기 배출밸브와, 상기 증기 배출밸브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안내하는 증기 경로부와, 상기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부와, 상기 구동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상기 증기 경로부에 안내하는 공기 경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냉각할 수 있고, 조리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가열 조리기의 제어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변형례 1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변형례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가열 조리기(1)의 제어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가열 조리기(1)는 조리용기로서의 속 냄비(10)와, 덮개체(20)와, 가열부(가열기)로서의 가열 코일(30)을 갖는다. 가열 조리기(1)는 또한, 속 냄비(10)를 유지하는 용기 커버부(40)와, 카트리지(50)와, 제어부(60)와, 인버터부(61)를 갖는다. 가열 조리기(1)는 예를 들면, 압력 밥솥이다.
속 냄비(10)는 저부(11)와, 측벽부(12)와, 개구부(13)와, 손잡이부(14)와, 플랜지부(15)를 갖는다. 속 냄비(10)는 냄비형상의 용기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저부(11)는 자성체이다.
속 냄비(10)는 용기 커버부(40) 내에 착탈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다. 속 냄비(10)는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코일(30)에 고주파 전류가 흐름에 의해, 속 냄비(10)의 저부(11)에 와전류가 흐르고, 줄 열(joule heat)에 의해 저부(11)가 발열한다.
손잡이부(14)는 측벽부(12)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부(14)와 용기 커버부(40) 사이에는 적어도 유저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13)의 둘레 테두리에는 플랜지부(15)가 구비되어 있다. 플랜지부(15)에는 복수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20)는 속 덮개(21)와, 내부 증기구(21a)와, 덮개 패킹(21b)과, 증기 배출밸브(22)와, 바깥 덮개(23)와, 흡기구(23a)와, 송풍구(23b)와, 칸막이판(23c)와, 증기 경로부(24)와, 공기 경로부(25)와, 구동부(26)와, 냉각부로서의 송풍부(27)(송풍기)와, 로크링(28)과, 덮개온도 센서(29)(제1의 온도 검출부)를 갖는다.
덮개체(20)는 개구부(13)에 대해 개폐 자유롭다. 덮개체(20)가 닫혀짐에 의해, 덮개체(20)가 개구부(13)를 덮는다. 속 덮개(21)는 바깥 덮개(23)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속 덮개(21)가 속 냄비(10)의 개구부(13)를 막음에 의해 속 냄비(10)의 내부가 속 덮개(21) 및 바깥 덮개(23)에 의해 덮인다.
덮개 패킹(21b)은 속 덮개(21)의 둘레 테두리부에 고정되어 있다. 덮개 패킹(21b)은 개구부(13)의 둘레 테두리부(플랜지부(15)의 내주면)에서의 간극을 막기 위한 실 재이다. 덮개체(20)가 닫혀진 때에 속 덮개(21) 및 덮개 패킹(21b)에 의해, 개구부(13) 및 속 냄비(10)의 내부가 밀폐된다.
내부 증기구(21a)는 증기 배출밸브(22)에 접속되어 있고, 속 냄비(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증기 배출밸브(22)는 내부 증기구(21a)를 막도록 덮개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증기 배출밸브(22)는 내부 증기구(21a)에 대해 가동인 밸브체(22a)를 가지며,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26)로부터의 구동력이 캠 기구를 통하여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에 전달됨에 의해,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가 상하로 변위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증기 배출밸브(22)는 니들형(型)이고, 니들형상의 밸브체(22a)(가동부)를 갖는다. 즉, 니들형상의 밸브체(22a)의 가동량에 따라,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이 변경된다. 단, 증기 배출밸브(22)는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을 변경 가능한 기구라면 좋고, 니들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바깥 덮개(23)는 속 덮개(21) 및 로크링(28)을 덮도록 구성된다.
덮개체(20)(예를 들면, 바깥 덮개(23))에는 외기를 공기 경로부(25)에 받아들이기 위한 흡기구(23a)가 구비되어 있다. 즉, 흡기구(23a)는 덮개체(20)의 외부와 공기 경로부(25)를 연통시킨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 방향(화살표(D1)의 방향)에서의 공기 경로부(25)의 상류측에 흡기구(23a)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23a)는 수평 방향 및 수평 방향보다도 하방측의 어느 한쪽에 면하도록 덮개체(20)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체(20)(예를 들면, 바깥 덮개(23))에는 공기 경로부(25)와 증기 경로부(24)를 연통시키는 송풍구(23b)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 방향에서의 공기 경로부(25)의 하류측에 송풍구(23b)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구(23b)는 수평 방향으로 향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 방향에서의 상류측부터 흡기구(23a), 송풍부(27), 구동부(26), 송풍구(23b)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단, 흡기구(23a)로부터 받아들여진 외기가 구동부(26)를 통과하여 증기 경로부(24)에 유입되는 구조라면, 공기 경로부(25) 내의 구성 요소의 배열순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풍 방향에서의 상류측부터 흡기구(23a), 구동부(26), 송풍부(27), 송풍구(23b)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칸막이판(23c)은 공기 경로부(25) 내의 기류(공기)가 송풍구(23b)를 통하여 증기 경로부(24)(카트리지(50)의 내부)에 유입하도록, 공기 경로부(25) 내의 기류를 안내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칸막이판(23c)에 의해, 덮개체(20) 내에서 증기 경로부(24)와 공기 경로부(25)가 구획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칸막이판(23c)은 증기 경로부(24) 및 공기 경로부(25)를 형성한다.
증기 경로부(24)는 덮개체(20)(예를 들면, 바깥 덮개(2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증기 경로부(24)는 내부 증기구(21a) 및 증기 배출밸브(22)를 통하여 속 냄비(10)의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증기 배출밸브(22)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증기 경로부(24)를 통과한다.
공기 경로부(25)는 덮개체(20)(예를 들면, 바깥 덮개(2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경로부(25)는 송풍구(23b)를 통하여 증기 경로부(24)와 연통한다. 덮개체(20)(예를 들면, 바깥 덮개(23))에 카트리지(5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공기 경로부(25)는 송풍구(23b)를 통하여 카트리지(50)의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공기 경로부(25)는 구동부(26)(예를 들면, 구동부(26)의 주위)를 통과한 공기를 증기 경로부(24)(카트리지(50)의 내부)에 안내한다.
구동부(26)는 증기 배출밸브(22)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부(26)는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구동부(26)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이다. 단, 구동부(26)는 증기 배출밸브(22)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 기구라면 스테핑 모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부(26)는 솔레노이드 등의 직동 기구이라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동부(26)는 공기 경로부(2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26)는 통전에 의해 온도 상승이 생기는 일이 있다. 또한, 가열 조리에 의한 열이 구동부(26)에 전하여짐에 의해, 구동부(26)의 온도 상승이 생기는 일이 있다. 구동부(26)의 온도 상승은 가열 조리기(1)의 고장을 야기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구동부(26)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구동부(26)의 동작 중에 송풍부(27)에 의해 구동부(26)가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부(27)는 구동부(26)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함에 의해, 구동부(26)를 냉각할 수 있다. 환언하면, 구동부(26)는 송풍부(27)에 의해 생성된 기류에 의해 냉각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부(27)는 팬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부(27)는 공기 경로부(2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부(27)가 구동함에 의해 흡기구(23a)로부터 덮개체(20)(예를 들면, 바깥 덮개(23))의 내부(즉, 공기 경로부(25))에 외기가 받아들여지고, 구동부(26)를 향하는 기류가 생성된다. 단, 송풍부(27)는 덮개체(20) 내에서 송풍 가능한 기구라면 팬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부(27)는 공기 경로부(25) 내의 송풍 방향에서의 구동부(26)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있다. 단, 공기 경로부(25) 내의 송풍 방향에서의 구동부(26)의 하류측에 송풍부(27)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로크링(28)은 속 덮개(21)와 속 냄비(10)의 플랜지부(15)를 끼우도록 구비되어 있다. 로크링(28)은 외부로부터 회전 조작됨에 의해 회전하고, 플랜지부(15)의 노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덮개온도 센서(29)는 덮개체(20)가 닫혀진 상태에서 속 덮개(21)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덮개온도 센서(29)는 바깥 덮개(23)에 마련할 수 있다. 덮개온도 센서(29)는 속 냄비(10) 내의 온도를 검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덮개온도 센서(29)가 바깥 덮개(23)에 부착되어 있는데, 덮개온도 센서(29)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가열 코일(30)은 용기 커버부(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코일(30)은 내측 프레임(41)을 통하여 속 냄비(10)의 저부(11)와 대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가열 코일(30)은 유도 가열용의 가열 코일이고, 스파이럴형상으로 선회되어 있다. 가열 코일(30)에는 인버터부(61)로부터 고주파 전류가 공급된다. 가열 코일(30)에 고주파 전류가 공급됨에 의해, 가열 코일(30)은 자계를 발생시키고, 전자 유도에 의해 속 냄비(10)(구체적으로는 속 냄비(10)의 저부(11))를 가열시킨다.
용기 커버부(40)는 내측 프레임(41)과, 외측 프레임(42)과, 냄비온도 센서(43)(제2의 온도 검출부)와, 압축 스프링(44)과, 조작 표시부(45)를 갖는다. 내측 프레임(41)의 저부에는 구멍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41a)는 내측 프레임(41)의 저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이다.
냄비온도 센서(43)는 용기 커버부(40)의 저부에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냄비온도 센서(43)는 구멍부(41a)에 삽통되어 있고, 압축 스프링(44)에 의해 하방부터 지지된다. 구멍부(41a)와 냄비온도 센서(43) 사이의 간극은 예를 들면, 패킹에 의해 밀폐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냄비온도 센서(43)는 속 냄비(10)의 저부(11)에 접촉하고, 속 냄비(10)의 온도를 검출한다.
조작 표시부(45)는 용기 커버부(40)의 외측 측면(외측 프레임(42)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조작 표시부(45)는 예를 들면, 표시 패널 및 조작 버튼을 갖는다. 유저는 조작 표시부(45)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면서 조작 버튼에 의해 가열 조리기(1)를 조작할 수 있다.
카트리지(50)에는 제1의 내부 통풍구(51)와, 제2의 내부 통풍구(52)와, 외부 통풍구(53)(외부 증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카트리지(50)는 증기 경로부(24)의 일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증기 경로부(24) 중의 상측에 카트리지(5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50)의 내부는 증기 경로부(24)의 일부를 형성한다.
카트리지(50)는 덮개체(20)에 대해 착탈 자유롭다. 카트리지(50)가 덮개체(20)로부터 떼내어져 있는 경우, 증기 경로부(24) 중의 덮개체(20)의 외측에 인접하는 영역이 외부 증기구를 형성한다.
제1의 내부 통풍구(51)는 송풍구(23b)와 연통하고 있고, 증기 경로부(24)와 공기 경로부(25)를 연통시킨다. 제2의 내부 통풍구(52)는 카트리지(50)의 내부와 증기 경로부(24)를 연통시킨다. 외부 통풍구(53)는 카트리지(50)의 내부와 덮개체(20)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외부 통풍구(53)는 증기 경로부(24)와 덮개체(20)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제어부(60)는 예를 들면, 메모리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갖는다. 제어부(60)는 예를 들면,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성 요소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부(60)는 조작 표시부(45), 냄비온도 센서(43), 인버터부(61), 구동부(26), 송풍부(27) 및 덮개온도 센서(29)를 제어한다. 인버터부(61)는 인버터 회로를 갖는다. 인버터부(61)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고, 가열 코일(3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한다.
제어부(60)에 의한 제어의 예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냄비온도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속 냄비(10)의 온도에 응하여, 가열 코일(30)에 흐른 전류를 인버터부(61)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유저에 의해 조작 표시부(45)로부터 입력된 명령(예를 들면, 조리 시간)에 의거하여, 가열 코일(30)에의 통전시간을, 인버터부(61)를 통하여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덮개온도 센서(29)에 의해 검출된 속 냄비(10) 내의 온도에 응하여, 구동부(26)를 제어하고,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송풍부(27)를 제어하여, 공기 경로부(25) 내의 송풍량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덮개온도 센서(29)에 의해 검출된 속 냄비(10) 내의 온도에 응하여, 송풍부(27)에 의한 송풍의 강도를 제어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 및 2를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가열 조리기(1)의 유저에 의해, 조리용의 재료(예를 들면, 물, 쌀 등)가 속 냄비(10) 내에 넣어지고, 속 냄비(10)가 용기 커버부(40)에 내에 재치된다. 덮개체(20)(예를 들면, 바깥 덮개(23))에 의해 속 냄비(10)가 닫혀지면, 속 덮개(21)의 덮개 패킹(21b)이 속 냄비(10)의 플랜지부(15)에 압접됨에 의해, 속 냄비(10)가 밀폐 실 된다. 덮개체(20)의 외측에 부착된 회전 조작부가 유저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플랜지부(15)의 노치와 로크링(28)이 맞물리고, 덮개체(20)가 로크된다. 유저에 의해 조리 시작 스위치가 온이 되면, 가열 조리기(1)에서 조리가 시작된다.
조리 시작 후, 구동부(26)는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를 변위시킨다.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는 구동부(26)에 의해 주어진 구동력에 의해, 내부 증기구(21a)가 막혀지는 상태까지 변위한다.
가열 코일(30)에는 인버터부(61)로부터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어 있고, 가열 코일(30)로부터 고주파 자계가 발생한다. 가열 코일(30)과 자기 결합한 속 냄비(10)의 저면(저부(11) 중의 가열 코일(30)에 대향하는 면)이 여자되고, 속 냄비(10)의 저면에 와전류가 유기된다. 속 냄비(10)가 갖는 전기 저항 및 와전류에 의해 줄 열이 생기고, 속 냄비(10)의 저면이 발열한다. 속 냄비(10)의 저면의 발열에 의해, 속 냄비(10) 내의 조리용 재료가 가열 조리된다.
속 냄비(10) 내의 내용물(예를 들면, 물)이 비등하면, 속 냄비(10) 내의 증기가 발생한다. 속 냄비(10) 내에 발생한 증기는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에 의해 배출이 방해된다. 속 냄비(10) 내에 증기가 계속해서 발생함에 의해, 속 냄비(10) 내의 압력(이하, 내부 압력이라고도 한다.)이 증가한다.
속 냄비(10) 내의 압력의 상한치는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 및 내부 증기구(21a)를 막는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의 중량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의 자중에 의해 압력 상한치가 결정되는 구성에서는 내부 증기구(21a)의 직경이 1㎜이고, 또한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가 10g이라면, 내부 압력의 상한치는 약 2.2기압(abs)이다. 내부 압력이 상한치에 달하면, 증기 압력에 의해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가 압상되고, 내부 증기구(21a)가 개구되고, 속 냄비(10)로부터 증기가 증기 배출밸브(22)를 통하여 증기 경로부(24)에 유입한다.
속 냄비(10)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증기 경로부(24)에 유입하고, 제2의 내부 통풍구(52)로부터 카트리지(50)의 내부를 통과하고, 외부 통풍구(53)로부터 덮개체(20)의 외부에 배출된다. 카트리지(50)가 덮개체(20)로부터 떼내어져 있는 경우라도, 속 냄비(10)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증기 경로부(24)를 통과하고, 증기 경로부(24)의 배출 방향(화살표(D2)의 방향)에서의 하류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덮개체(20)의 외부에 배출된다. 속 냄비(1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덮개체(20)의 외부에 배출됨에 의해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에서의 가열이 종료된 후, 속 냄비의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도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속 냄비의 내부의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바깥 덮개 및 속 덮개를 개방하면, 압력 변화에 의해 돌비(突沸)가 발생하고, 내용물(조리물)이 튀어나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속 냄비의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까지 내려간 후에 바깥 덮개 및 속 덮개를 개방할 것이 요구된다. 가열 조리기 내의 증기를 배출시킴에 의해 속 냄비의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키려고 하는 경우, 속 덮개에 구비된 증기구의 개구 면적이 크고, 또한 속 냄비의 내부의 압력이 높을수록, 속 냄비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이 강해진다. 한편, 증기구의 개구 면적이 너무 작으면, 속 냄비로부터 배출된 증기의 세력은 작지만, 감압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부(60)는 속 냄비(10) 내의 압력이 높은 동안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이 작아지도록 구동부(26)를 제어한다. 구동부(26)의 구동에 의해,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는 속 냄비(10) 내의 압력이 높은 동안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이 작아지도록 변위한다. 따라서, 속 냄비(10) 내의 압력이 높은 동안 속 냄비(1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속 냄비(10) 내의 압력이 낮은 경우, 제어부(60)는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이 커지도록 구동부(26)를 제어한다. 구동부(26)의 구동에 의해, 증기 배출밸브(22)의 밸브체(22a)는 속 냄비(10) 내의 압력이 낮은 경우,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이 커지도록 변위한다. 따라서, 속 냄비(10) 내의 압력이 낮은 동안 속 냄비(1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을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속 냄비의 내부의 감압을 행하는 경우, 속 덮개의 증기구의 개구 면적을 일정하게 하면, 속 냄비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은 속 냄비의 내부의 압력에 응하여 변화한다. 즉, 속 냄비의 내부의 압력이 높은 경우, 속 냄비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은 강하다. 한편, 속 냄비의 내부의 압력이 낮은 경우, 속 냄비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은 약하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증기구(21a)의 개구 면적은 속 냄비(10)의 내부 압력에 응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속 냄비(10)의 내부 압력에 관계없이 속 냄비(1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세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가 구동부(26)를 적절하게 제어함에 의해, 증기의 세력을 억제하면서 내부 압력을 대기압까지 재빠르게 감압시킬 수 있다.
구동부(26)는 통전 또는 속 냄비(1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온도 상승하는 일이 있다. 구동부(26)를 냉각하기 위해, 송풍부(27)가 구동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동부(26)인 팬이 회전한다. 송풍부(27)의 구동에 의해 흡기구(23a)로부터 공기 경로부(25)에 외기가 받아들여진다. 공기 경로부(25)에 외기가 받아들여짐에 의해, 공기 경로부(25) 내에 기류(바람)가 발생한다. 송풍부(27)는 기류가 구동부(26)로 향하여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부(27)에 의한 송풍에 의해 구동부(26)가 냉각된다.
구동부(26)(예를 들면, 구동부(26)의 주위)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 경로부(25) 및 칸막이판(23c)에 의해 안내되고, 송풍구(23b)를 통하여 증기 경로부(24)(카트리지(50)의 내부)에 유입한다. 송풍구(23b)로부터 증기 경로부(24)에 공기(외기)가 유입함에 의해, 증기 경로부(24) 내의 증기가 확산되어, 증기 경로부(24) 내의 증기가 냉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송풍구(23b)로부터 제1의 내부 통풍구(51)를 통하여 카트리지(50)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함에 의해, 카트리지(50)의 내부(증기 경로부(24) 내)의 증기가 확산되어, 카트리지(50)의 내부(증기 경로부(24) 내)의 증기가 냉각된다. 즉, 송풍부(27)는 송풍을 행함에 의해, 구동부(26)를 냉각함과 함께, 카트리지(50)의 내부(증기 경로부(24) 내)의 증기를 확산시켜, 카트리지(50)의 내부(증기 경로부(24) 내)의 증기를 냉각한다.
카트리지(50)가 덮개체(20)로부터 떼내어져 있는 경우라도, 송풍구(23b)로부터 증기 경로부(24)에 공기(외기)가 유입함에 의해, 증기 경로부(24) 내의 증기가 확산되어, 증기 경로부(24) 내의 증기가 냉각된다.
덮개체(20)의 외부에 배출되는 증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송풍구(23b)는 배출 방향(화살표(D2)의 방향)에서의 증기 경로부(24)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례 1.
도 3은 변형례 1에 관한 가열 조리기(1a)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가열 조리기(1a)는 덮개(201)에서의 흡기구(231a)의 위치가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의 덮개체(20)에서의 흡기구(23a)의 위치와 다르고, 그 밖의 점은 서로 같다.
흡기구(231a)는 수평면에 면하도록 덮개(201)(예를 들면, 바깥 덮개(231))에 구비되어 있다. 환언하면, 흡기구(231a)는 연직 방향에서의 하방에 면하도록 덮개(201)(예를 들면, 바깥 덮개(231))에 구비되어 있다. 흡기구(231a)는 카트리지(50)에 구비된 외부 통풍구(53)보다도 연직 방향에서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덮개(201)(예를 들면, 바깥 덮개(231))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변형례 2.
도 4는 변형례 2에 관한 가열 조리기(1b)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가열 조리기(1b)는 풍향판(70)을 구비한다. 또한, 가열 조리기(1b)는 덮개체(202)에서의 흡기구(232a)의 위치가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의 덮개체(20)에서의 흡기구(23a)의 위치와 다르다. 또한, 변형례 2에 관한 가열 조리기(1b)에서 구동부(26)와 송풍부(27)의 위치 관계가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에서의 구동부(26)와 송풍부(27)의 위치 관계와 다르다. 이러한점 이외에 있어서 가열 조리기(1)와 가열 조리기(1b)란 서로 같다.
풍향판(70)은 덮개체(202)(예를 들면, 바깥 덮개(232))의 상면에서 덮개체(20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의 방향을 규제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풍향판(70)은 덮개체(20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흡기구(232a)에 가까워지는 방향(화살표(D3)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배기의 방향이 규제됨에 의해, 배기는 예를 들면, 흡기구(232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화살표(D4)의 방향)으로 배출된다.
흡기구(232a)는 수평면에 면하도록 덮개체(202)(예를 들면, 바깥 덮개(232))에 구비되어 있다. 환언하면, 흡기구(232a)는 연직 방향에서의 상방에 면하도록 덮개체(202)(예를 들면, 바깥 덮개(232))에 구비되어 있다. 덮개체(202)에 구비된 흡기구(232a)의 위치가 카트리지(50)에 구비된 외부 통풍구(53)의 위치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흡기구(232a)가 덮개체(202)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단, 흡기구(232a)의 위치는 외부 통풍구(53)의 위치보다도 높아도 좋다. 흡기구(232a)의 위치가 외부 통풍구(53)의 위치와 같은 높이 또는 외부 통풍구(53)의 위치보다도 높은 경우라도, 화살표(D3)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배기는 풍향판(70)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덮개체(20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는 흡기구(232a)에 유입하기 어려워진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기구(232a)가 연직 방향에서의 상방에 면하도록 덮개체(202)(예를 들면, 바깥 덮개(232))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부(26) 및 송풍부(27)의 배치를 연직 방향으로 배열시켜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서의 특징 및 각 변형례에서의 특징은 서로 적절히 조합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에 의하면, 구동부(26)(예를 들면, 구동부(26)의 주위)를 통과한 공기를 증기 경로부(24)(카트리지(50)의 내부)에 안내하는 공기 경로부(25)를 갖기 때문에, 속 냄비(10)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덮개체(20) 내에서 냉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증기 경로부(24) 내(카트리지(50)의 내부)의 증기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증기 경로부(24) 내(카트리지(50)의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외기)에 의해 증기 경로부(24) 내에서 확산되기 때문에, 덮개체(2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의 세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증기 경로부(24) 내(카트리지(50)의 내부)의 증기가 냉각됨에 의해, 증기 경로부(24) 내(카트리지(50)의 내부)에서 증기를 결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덮개체(20)로부터 배출된 배기의 수분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증기의 세력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가열 조리기(1)의 주위의 습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가열 조리기(1)가 마련된 실내에서의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송풍부(27)가 구동부(26)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함에 의해, 구동부(26)를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6)의 온도 상승에 의한 가열 조리기(1)의 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경로부(25)는 구동부(26)를 통과한 공기를 증기 경로부(24)(카트리지(50)의 내부)에 안내하기 때문에, 송풍부(27)를 구동부(26)의 냉각부 및 증기 경로부(24) 내(카트리지(50)의 내부)의 증기의 냉각부로서 겸용할 수 있다.
송풍구(23b)가 수평 방향으로 향하여져 있는 경우, 덮개체(20)로부터 배출된 배기의 확산 효과를 높이고, 배기의 세력을 더욱 약하게 할 수 있다.
덮개체(20)에는 덮개체(20)의 외부와 연통하는 흡기구(23a)가 구비되고, 흡기구(23a)로부터 신선한 공기(예를 들면, 습도가 낮은 공기, 온도가 낮은 공기 등)를 공기 경로부(25)에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송풍부(27)에 의한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흡기구(23a)가 수평 방향 및 수평 방향보다도 하방측의 어느 한쪽에 면함에 의해, 덮개체(2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 흡기구(23a)로부터 덮개체(20) 내로 재차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송풍부(27)에 의한 냉각 효과가 저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50)가 덮개체(20)에 대해 착탈 가능함에 의해, 카트리지(50) 내의 청소 또는 카트리지(50)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변형례 1에 관한 가열 조리기(1a)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가열 조리기(1a)에 의하면, 흡기구(231a)는 외부 통풍구(53)보다도 연직 방향에서의 하방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바깥 덮개(231)의 하면측에 흡기구(23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201)로부터 배출된 배기가 흡기구(231a)로부터 덮개(201) 내로 재차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구(231a)는 수평면에 면하도록 덮개(201)(예를 들면, 바깥 덮개(231))에 구비되어 있다. 환언하면, 흡기구(231a)는 연직 방향에서의 하방에 면하도록 덮개(201)(예를 들면, 바깥 덮개(231))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물 또는 이물이 덮개(201)의 내부에 유입하는 것을 막고, 가열 조리기(1a)(예를 들면, 구동부(26) 등)의 고장을 막을 수 있다.
변형례 2에 관한 가열 조리기(1b)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1)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가열 조리기(1b)는 덮개체(20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의 방향을 규제하는 풍향판(70)을 갖기 때문에, 덮개체(202)로부터 배출된 배기가 흡기구(232a)로부터 덮개체(202) 내로 재차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덮개체(202)로부터 배출된 습기를 많이 포함하는 배기가 덮개체(202)의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흡기구(232a)로부터 신선한 공기(예를 들면, 습도가 낮은 공기, 온도가 낮은 공기 등)를 공기 경로부(25)에 받아들일 수 있고, 송풍부(27)에 의한 냉각 효과가 저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습기를 많이 포함하는 배기가 덮개(201)의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가열 조리기(1b)(예를 들면, 구동부(26) 등)의 고장을 막을 수 있다.
구동부(26) 및 송풍부(27)의 배치를 연직 방향으로 배열시킴에 의해, 공기 경로부(25) 내의 스페이스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a, 1b : 가열 조리기 10 : 속 냄비
11 : 저부 12 : 측벽부
13 : 개구부 14 : 손잡이부
15 : 플랜지부 20 : 덮개체
21 : 속 덮개 21a : 내부 증기구
21b : 덮개 패킹 22 : 증기 배출밸브
23 : 바깥 덮개 23a : 흡기구
23b : 송풍구 23c : 칸막이판
24 : 증기 경로부 25 : 공기 경로부
26 : 구동부 27 : 송풍부
28 : 로크링 29 : 덮개온도 센서
30 : 가열 코일 40 : 용기 커버부
41 : 내측 프레임 42 : 외측 프레임
43 : 냄비온도 센서 44 : 압축 스프링
45 : 조작 표시부 50 : 카트리지
60 : 제어부 61 : 인버터부
70 : 풍향판

Claims (9)

  1. 개구부를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내부 증기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내부 증기구에 대해 가동인 밸브체를 갖는 증기 배출밸브와,
    상기 증기 배출밸브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안내하는 증기 경로부와,
    상기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부와,
    상기 구동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상기 증기 경로부에 안내하는 공기 경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에는 상기 공기 경로부와 상기 증기 경로부를 연통시키는 송풍구가 또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에 대해 착탈 자유로운 카트리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에는 상기 증기 경로부와 상기 덮개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통풍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에는 상기 덮개체의 외부와 상기 공기 경로부를 연통시키는 흡기구가 또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외부 통풍구보다도 연직 방향에서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수평면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경로부 내의 송풍 방향에의 상기 구동부의 상류측에 상기 송풍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경로부 내의 송풍 방향에의 상기 구동부의 하류측에 상기 송풍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의 방향을 규제하는 풍향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187004666A 2015-11-02 2015-11-02 가열 조리기 KR102018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0904 WO2017077569A1 (ja) 2015-11-02 2015-11-02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022A true KR20180031022A (ko) 2018-03-27
KR102018469B1 KR102018469B1 (ko) 2019-09-04

Family

ID=5866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666A KR102018469B1 (ko) 2015-11-02 2015-11-02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25831B2 (ko)
KR (1) KR102018469B1 (ko)
CN (1) CN108289559B (ko)
TW (1) TWI595852B (ko)
WO (1) WO2017077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6478A (zh) * 2017-05-18 2018-01-05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7536486B (zh) * 2017-05-18 2024-05-10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10811344B (zh) * 2018-08-13 2021-1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JP7312041B2 (ja) * 2019-06-28 2023-07-20 エスペック株式会社 調理環境形成装置及び調理器
FR3101237B1 (fr) * 2019-09-27 2021-09-17 Seb Sa Couvercle de recipient de cuisson muni d’un dispositif de mesure du debit vapeur
BE1028872B1 (de) * 2020-12-10 2022-07-12 Miele & Cie Deck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chgeschirrverbun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296A (ja) * 1998-07-21 2000-02-08 Sanyo Electric Co Ltd 圧力調理器
JP2009082755A (ja) 2009-01-30 2009-04-23 Zojirushi Corp 圧力炊飯器
JP2009112556A (ja) * 2007-11-07 2009-05-28 Panasonic Corp 調理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9691B2 (ja) * 1999-05-14 2003-08-25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圧力調理器
JP3484378B2 (ja) * 1999-09-20 2004-01-06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炊飯器
JP3471676B2 (ja) * 1999-09-22 2003-12-0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炊飯ジャーにおける保温装置
JP2002272599A (ja) * 2001-03-16 2002-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TWM263887U (en) * 2004-09-03 2005-05-11 Han-Jou Suen Electronic pressure cooker
JP5150198B2 (ja) * 2007-10-23 2013-02-20 三洋電機株式会社 炊飯器
KR101213901B1 (ko) * 2008-02-07 2012-12-20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취반기 및 취반방법
JP2010054173A (ja) * 2008-08-29 2010-03-11 Sharp Corp 加熱調理器
CN201312729Y (zh) * 2008-12-02 2009-09-23 何日英 智能选压控压的电压力锅
EP2450631A4 (en) * 2009-07-03 2017-12-13 Sharp Kabushiki Kaisha Heating cooking appliance
JP5058232B2 (ja) * 2009-09-25 2012-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JP4901934B2 (ja) * 2009-09-30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炊飯器
JP5942595B2 (ja) * 2012-05-24 2016-06-29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JP5575183B2 (ja) * 2012-06-01 2014-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TWM449556U (zh) * 2012-08-24 2013-04-01 Tong Truin Electric Co Ltd 鍋具洩壓裝置
JP2014171626A (ja) * 2013-03-08 2014-09-22 Panasonic Corp 炊飯器
JP2015010743A (ja) * 2013-06-27 201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装置
CN203662577U (zh) * 2013-11-26 2014-06-25 合肥荣事达三洋电器股份有限公司 微压电饭煲泄压排气装置
CN204483837U (zh) * 2015-02-10 2015-07-22 北京星八子科技有限公司 可调压力式加热烹饪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296A (ja) * 1998-07-21 2000-02-08 Sanyo Electric Co Ltd 圧力調理器
JP2009112556A (ja) * 2007-11-07 2009-05-28 Panasonic Corp 調理機器
JP2009082755A (ja) 2009-01-30 2009-04-23 Zojirushi Corp 圧力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95852B (zh) 2017-08-21
KR102018469B1 (ko) 2019-09-04
CN108289559A (zh) 2018-07-17
JPWO2017077569A1 (ja) 2018-03-29
WO2017077569A1 (ja) 2017-05-11
JP6425831B2 (ja) 2018-11-21
TW201716019A (zh) 2017-05-16
CN108289559B (zh)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1022A (ko) 가열 조리기
WO2018189921A1 (ja) 加熱調理器
JP2007010189A (ja) 加熱調理器
JP4251156B2 (ja) 加熱調理器
CN218635796U (zh) 蒸汽烹饪装置
JP4822879B2 (ja) 炊飯器
JP2006107807A (ja) 加熱調理器
JP5059711B2 (ja) 加熱調理器
JP2012143341A (ja) 炊飯器
JP4549128B2 (ja) 過熱水蒸気調理器
JP5460467B2 (ja) 炊飯器
EP3448780B1 (en) Packing member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791099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공기배출장치
KR20170068987A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KR100667202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고온도어 경고방법
JP5573380B2 (ja) 電気炊飯器
US20240215748A1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102384770B1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JP2011254945A (ja) 電気炊飯器
KR100678665B1 (ko) 오븐
JP2018051095A (ja) 炊飯器
JP2019037717A (ja) 加熱調理器
JP2006266613A (ja) 加熱調理器
JP5752490B2 (ja) 圧力式炊飯器
JP2001017313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