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48A -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48A
KR20180021648A KR1020170104566A KR20170104566A KR20180021648A KR 20180021648 A KR20180021648 A KR 20180021648A KR 1020170104566 A KR1020170104566 A KR 1020170104566A KR 20170104566 A KR20170104566 A KR 20170104566A KR 20180021648 A KR20180021648 A KR 2018002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dth direction
gas
inner bag
vehicl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444B1 (ko
Inventor
오사무 후카와타세
다카미치 고무라
히로에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02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2Position of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8Shou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10)에서는, 내측 백(36)은,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보다도 조기에 팽창 전개를 완료하고, 탑승자(P)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 내측 백(36)은, 탑승자(P)의 복부(B)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하중 내성이 낮은 복부(B)가 내측 백(36)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내측 백(36)은, 외사이드 프레임(24)으로 지지된 반력판(38)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이 부여된다. 이 반력판(38)은, 시트백(14)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전연부(24F)보다도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백(36)이 외사이드 프레임(24)으로부터 반력이 얻어지기 어려운 높이에 있어서도, 내측 백(36)에 대하여 양호하게 반력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VEHICULAR SEAT INSTALLED WITH SIDE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87631호 공보에 기재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는, 주팽창부(외측 백)보다도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편의(偏倚)된 위치에 보조 팽창부(내측 백)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측 백은, 측면 충돌시에 시트백의 측부 내에서 외측 백보다도 조기에 팽창 전개되고,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복부에 걸쳐서의 부위를 후방(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가압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상반신을 차량 비스듬하게 전방의 차 내측(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외측 백보다도 조기에 팽창 전개되는 내측 백에 의해, 측면 충돌의 초기에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는, 탑승자의 동체의 하중 내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내측 백에 의한 탑승자의 가압 부위가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다. 또한, 탑승자의 복부보다도 상방측, 특히 탑승자의 흉부의 무게 중심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사이드 프레임이 차량 측면에서 보아 탑승자의 동체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떨어지도록 기울어 있다. 이 때문에, 팽창 전개된 내측 백의 상부측이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을 얻기 어렵고, 당해 상부가 탑승자 구속시에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내측 백의 탑승자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내측 백의 탑승자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는, 사이드 프레임과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를 포함하는 시트백과, 시트백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 내에서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인플레이터와, 상기 측부 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차실측부와 탑승자와의 사이로 팽창 전개되는 외측 백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전방측에서 상기 외측 백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위에 접속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탑승자의 복부보다도 차량 상방측 또한 상기 측부 내에서 팽창 전개됨과 함께, 상기 외측 백보다도 조기에 팽창 전개를 완료하여 탑승자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내측 백과, 상기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연부(前緣部)보다도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내측 백에 대하여 팽창 전개시에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으로의 반력을 부여하는 반력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실시 태양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 충돌이 검지되면, 시트백의 측부 내에서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인플레이터가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부 내에서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외측 백이 차실측부와 탑승자의 사이에 팽창 전개됨과 함께,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전방측에서 외측 백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위에 접속된 내측 백이 상기 측부 내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 내측 백은, 외측 백보다도 조기에 팽창 전개를 완료하고, 탑승자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여기에서, 상기의 내측 백은, 탑승자의 복부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동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복부가 내측 백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백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이 내측 백은,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된 반력판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으로의 반력이 부여된다. 이 반력판은,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사이드 프레임의 전연부보다도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백이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이 얻어지기 어려운 높이(예를 들면 탑승자의 흉부의 무게 중심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있어서도, 내측 백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을 양호하게 부여할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내측 백의 탑승자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팽창 전개된 상기 내측 백 중 적어도 일부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탑승자의 견갑골과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팽창 전개된 내측 백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탑승자의 견갑골을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탑승자의 견갑골은, 탑승자의 동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으면서 측방으로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내측 백의 내압을 높여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반력판의 하단은,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부의 상면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사이드 도어의 아암 레스트부와 시트백의 사이드 프레임과의 사이의 좁은 간극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반력판이 배치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반력판의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백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상기 외측 백 및 상기 내측 백과 함께 에어백 모듈을 구성하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장착 브래킷을 가지고, 상기 반력판은, 상기 장착 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반력판은, 에어백 모듈을 구성하면서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장착 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래킷에 의해 반력판을 보강할 수 있다. 그 결과, 반력판이 내측 백에 부여하는 반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모듈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스터드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모듈 장착부에 체결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반력판과 일체로 형성된 장착 브래킷이, 인플레이터의 스터드 볼트를 이용하여 사이드 프레임의 모듈 장착부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력판 및 장착 브래킷을 사이드 프레임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전용의 체결 부재가 불필요해진다. 게다가, 사이드 프레임의 모듈 장착부는,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서 체결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이 양호하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시트백의 상하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長尺)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설치된 가스 분출부로부터 가스를 분출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시트백의 상하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된 인플레이터의 상단부에 가스 분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복부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팽창 전개되는 내측 백의 가까이에 가스 분출부를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백에 대하여 조기에 가스를 공급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내측 백의 팽창 전개의 조기화에 기여한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반력판은, 상기 외측 백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반력판의 일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의 상기 가스 분출부를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은 가스 안내판을 가지고, 상기 반력판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안내판과 대향하면서 상기 가스 분출부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내측 백으로 공급하기 위한 내측 가스 공급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가스 안내판과 반력판의 사이를 흐르고, 반력판에 형성된 내측 가스 공급 구멍을 통하여 내측 백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탑재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인플레이터가 배치하여 설치된 구성이라도, 내측 백에 신속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스 공급 구멍은, 다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반력판에 있어서의 다수의 관통 구멍의 사이의 부위도, 내측 백에 대하여 반력을 부여하는 반력면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반력판에 하나의 큰 내측 가스 공급 구멍이 형성된 구성과 비교하여, 반력면의 영역을 넓게 확보하기 쉬워진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관통 구멍은,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반력판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 구멍이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당해 다수의 관통 구멍보다도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가스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다수의 관통 구멍 내에 원활하게 유입되기 쉬워진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가스 분출부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개구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가스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다수의 관통 구멍에 효율적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내판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분출부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상기 가스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상기 외측 백으로 공급하기 위한 외측 가스 공급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반력판에 형성된 내측 가스 공급 구멍을 통하여 내측 백으로 공급됨과 함께, 가스 안내판에 형성된 외측 가스 공급 구멍을 통하여 외측 백으로 공급된다. 이들 내측 가스 공급 구멍 및 외측 가스 공급 구멍의 개구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내측 백 및 외측 백의 팽창 전개 완료 타이밍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 팽창 전개 전의 상기 내측 백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접책 접기(accordion-folded)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내측 백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접책 접기로 되어 있다. 접책 접기는 팽창 전개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내측 백의 팽창 전개의 조기화에 기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서는,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내측 백의 탑승자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이고, 외측 백 및 내측 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외측 백 및 내측 백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팽창 전개된 외측 백 및 내측 백을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른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반력판, 장착 브래킷, 리테이너 및 인플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나는 구성을 차량 폭 방향 외측 또한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내측 백, 반력판 및 장착 브래킷을 차량 폭 방향 외측 또한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반력판 및 장착 브래킷을 차량 폭 방향 외측 또한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XIA-XIA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b는, 다수의 관통 구멍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1a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1c는, 다수의 관통 구멍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1a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11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이하, 단순히 「차량용 시트(10)」라고 칭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하게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은, 차량의 앞 방향(진행 방향), 상 방향, 폭 방향의 외방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단순히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좌우 방향(차량 폭 방향)의 좌우,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는 관계로, 일부의 부호를 생략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
우선,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시트 쿠션(12)과, 시트 쿠션(12)의 후단부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백(14)과, 시트백(14)의 상단부에 연결된 헤드레스트(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시트백(1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사이드 서포트부)(14A) 내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8)가 탑재되어 있다. 이 차량용 시트(10)는, 예를 들면 좌핸들차의 운전석, 또는 우핸들차의 조수석으로 되어 있으며, 차실 내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차량용 시트(1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 차량용 시트(10)가 차실 내의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와는 좌우 대칭의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실제의 탑승자를 대신하여 충돌 시험용의 더미(P)가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더미(P)의 흉부(C)를 2점 쇄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더미(P)는,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World Side Impact Dummy: World SID)의 AM50형(미국인 성인 남성의 50퍼센타일(percentile))이다. 이 더미(P)는, 측면 충돌 시험법에서 정해진 착좌 자세로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고 있으며, 차량에 대한 시트백(14)의 전후 위치, 및 시트 쿠션(12)에 대한 시트백(14)의 경사 각도는, 상기의 착좌 자세에 대응한 기준 설정 위치로 조정되어 있다. 이하, 더미(P)를 「탑승자(P)」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의 시트백(14)은, 골격 부재인 금속제의 시트백 프레임(20)과, 시트백 프레임(20)에 씌워진 도시하지 않는 시트백 패드(쿠션재)과, 시트백 패드를 덮은 시트 표피(22)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백 프레임(20)은, 시트백(1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14A) 내에 설치된 외(外)사이드 프레임(24)과, 시트백(14)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사이드 서포트부)(14B)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내(內)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트백 프레임(20)은, 외사이드 프레임(24)과 내사이드 프레임의 상단부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어퍼 프레임과, 외사이드 프레임(24)과 내사이드 프레임의 하단부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로어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외사이드 프레임(24)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의 일 예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의 측부(14A)를 「외사이드부(14A)」라고 칭한다.
도 2∼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사이드 프레임(24)은, 사이드 프레임 본체(26)와, 고정판(28)(도 1에서는 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 본체(26)는, 시트백(14)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개구한 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부(26A)와, 전(前)플랜지부(26B)와, 후(後)플랜지부(26C)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26A)는, 시트백(14)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플랜지부(26B)는, 측벽부(26A)의 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차량 후방측으로 굴곡져 있다. 후플랜지부(26C)는, 측벽부(26A)의 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차량 전방측으로 굴곡져 있다. 이 후플랜지부(26C)는, 전플랜지부(26B)보다도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내사이드 프레임은, 사이드 프레임 본체(26)와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8)은, 예를 들면 금속판이 단면 L자 형상으로 벤딩 가공되어 형성된 것이며,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시트백(14)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 방향: 이하 동일)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판(28)은, 사이드 프레임 본체(26)의 측벽부(26A)의 차량 폭 방향 외측면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된 판 형상의 고정부(28A)와, 고정부(28A)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모듈 장착부(2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판(28)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18)에 대응되고 있다.
도 1∼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8)는, 인플레이터(30)와, 사이드 에어백(32)과, 반력판(38)과, 장착 브래킷(40)과, 가스 안내판으로서의 리테이너(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사이드 에어백(32)은, 외측 백으로서의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와, 내측 백(36)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 백(36), 장착 브래킷(40), 반력판(38) 및 리테이너(42)는,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이기 때문에,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우선 인플레이터(30) 및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플레이터(30)의 구성>
인플레이터(30)는, 소위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이고, 장척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30)는, 축선 방향(긴 쪽 방향)이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측벽부(26A)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판(28)의 모듈 장착부(28B)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30)의 외주부로부터는,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30A)(도 2∼도 4 참조: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가 돌출되어 있다. 이들의 스터드 볼트(30A)는, 모듈 장착부(28B)를 관통하고 있으며, 선단측에 너트(4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30)가 고정판(28) 즉 외사이드 프레임(24)에 체결 고정(소위 배면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3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여기서는 상단부)에는, 가스 분출부(30B)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분출부(30B)에는, 인플레이터(30)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가스 분출구(도 8 참조: 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30)가 기동(작동)했을 때에는, 복수의 가스 분출구로부터 가스가 방사 형상으로 분출된다. 이 인플레이터(30)에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ECU(Electronic Control Unit)(4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ECU(46)에는, 측면 충돌을 검지하는 측돌 센서(4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ECU(46) 및 측돌 센서(48)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8)의 제어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측돌 센서(48)로서는, 예를 들면, 프론트 사이드 도어 및 리어 사이드 도어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압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도어 내 센서)와, B필러 내 및 C필러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가속도 센서(필러 내 센서)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의 ECU(46)는, 측돌 센서(48)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을 검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30)를 기동시킨다. 또한, ECU(46)에 측면 충돌을 예지(예측)하는 충돌 예지 센서(프리크러쉬 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ECU(46)가 측면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30)가 기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충돌 예지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밀리미터파 레이더나 스테레오 카메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구성>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는, 외사이드 프레임(2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는, 예를 들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포재(布材)를 잘라내어 형성된 1매의 기포(基布)(35)가 봉제됨으로써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기포(35)가 둘로 접혀, 당해 기포(35)의 일측 부분(35A)과 타측 부분(35B)이 겹쳐짐과 함께, 당해 둘로 접힌 기포(35)가 외주연부를 봉제부(T1)(도 5 및 도 6 참조: 도 1∼도 4에서는 도시 생략)에 있어서 봉제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제조 방법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2매의 기포가 서로 겹쳐져서 외주연부를 봉제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 본체(34)가 제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자동 직기에 의한 통 형상으로 짜는 공법(소위 OPW 제법)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가 제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내측 백(36)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는, 소위 3챔버 사이드 에어백이며, 전후 칸막이부(54) 및 상하 칸막이부(56)에 의해 전측 백부(34F), 후측 백부(34R) 및 하측 백부(34L)로 구분되어 있다. 전후 칸막이부(54) 및 상하 칸막이부(56)는,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내부에 배치하여 설치된 테더(격벽: 칸막이천)이며, 예를 들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기포(35)와 동일한 포재를 장척 띠 형상으로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후 칸막이부(54) 및 상하 칸막이부(56)는, 일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가 기포(35)의 일측 부분(35A)에 봉제되고, 타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가 기포(35)의 타측 부분(35B)에 봉제되어 있다. 또한, 전후 칸막이부(54) 및 상하 칸막이부(56)가, 테더로 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포(35)의 일측 부분(35A)과 타측 부분(35B)을 서로 봉제한 봉제부로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챔버수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후측 백부(34R)의 후단부 내에는, 전술한 인플레이터(30)가 수용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30)의 상하의 스터드 볼트(30A)가 후측 백부(34R)의 후단부 및 모듈 장착부(28B)를 관통하여 너트(44)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 본체(34)가 인플레이터(30)를 이용하여 모듈 장착부(28B)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30)가 후측 백부(34R) 내에서 발생시키는 가스는, 전후 칸막이부(54) 및 상하 칸막이부(56)에 각각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연통구(개구)를 통하여 전측 백부(34F) 내 및 하측 백부(34L) 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 본체(34)가 외사이드부(14A)의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탑승자(P)와 차체 측부(여기서는 도 6에 나타나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50)의 도어 트림(51) 및 도시하지 않는 B필러 가니시)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 이외에서는 도어 트림(51)(프론트 사이드 도어(5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장척 대략 직사각 형상(대략 긴 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탑승자(P)의 견부(S), 흉부(C), 복부(B) 및 요부(W)를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구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부(前部)가 전측 백부(34F)에 의해 구속되고,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後部)와 견부(S)가 후측 백부(34R)에 의해 구속되고, 요부(W)가 하측 백부(34L)에 의해 구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크기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가 탑승자(P)의 견부(S)로부터 복부(B)까지를 구속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는, 통상시에는, 인플레이터(30), 내측 백(36), 장착 브래킷(40), 반력판(38) 및 리테이너(42)와 함께 도 4에 나타나는 에어백 모듈(19)이 되고, 외사이드부(14A)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에어백 모듈(19)에서는, 접힌 사이드 에어백 본체(34)가, 용이하게 파단되는 랩재(도시 생략)에 의해 감싸여 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는, 예를 들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접책 접기됨과 함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상하로 둘로 접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8)는, 내측 백(36)과, 반력판(38)과, 장착 브래킷(40)과, 리테이너(42)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측 백(36)의 구성>
도 1∼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내측 백(36)은,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기포(35)와 동일한 포재를 잘라내어 형성된 1매의 기포(37)가 봉제됨으로써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포(37)가 둘로 접혀, 당해 기포(37)의 일측 부분(37A)과 타측 부분(37B)이 겹쳐짐과 함께, 당해 둘로 접힌 기포(37)가 외주연부를 봉제부(T2)(도 3, 도 5, 도 6 참조: 도 1, 도 2, 도 4에서는 도시 생략)에 있어서 봉제되어 있다. 이 내측 백(36)은,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에 비해 충분히 소용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백(36)은, 도 2∼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전방측에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내측 백(36)은, 후측 백부(34R)의 상부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겹쳐지고 있다. 이 겹쳐진 개소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기포(35)의 타측 부분(35B)과, 내측 백(36)의 기포(37)의 일측 부분(37A)에는, 각각 연통구(58, 6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포(35)에 있어서의 연통구(58)의 주연부와, 기포(37)에 있어서의 연통구(60)의 주연부가,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나는 봉제부(T3)에 있어서 봉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백(36)이 후측 백부(34R)의 상부에 접속(결합)됨과 함께, 후측 백부(34R)의 상부 내와 내측 백(36) 내가 연통구(58, 60)를 개재하여 서로 연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30)가 후측 백부(34R) 내에서 발생시키는 가스가, 상기의 연통구(58, 60)를 통하여 내측 백(36) 내로 공급되고, 내측 백(36)이 팽창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내측 백(36)은,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탑승자(P)의 견부(S) 및 흉부(C)의 후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측 백(36)의 적어도 일부가 탑승자(P)의 견갑골(더미(P)에 있어서의 견갑골에 상당하는 부위)과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내측 백(36)은,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보다도 조기에 팽창 전개를 완료하고, 탑승자(P)의 견부(S) 및 흉부(C)의 후부(견갑골 및 그 주변부)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 내측 백(36)의 전연부는,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견부(S)의 배면을 따르도록 만곡한다.
또한, 이 내측 백(36)은,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내측 백(36)은,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한 더미(P)(도 1 참조)의 동체에 설치된 6개의 리브(R1, R2, R3, R4, R5, R6) 중 아래로부터 2번째의 리브(R5)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더미(P)와 동등한 체격을 가지는 탑승자나, 더미(P)보다도 몸집이 작은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고 있는 경우, 이들 탑승자의 동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복부에 대하여, 내측 백(36)의 가압력이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몸집이 작은 탑승자」는, 예를 들면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의 AF05형(미국인 성인 여성의 5퍼센타일)과 동등한 체격을 가지는 탑승자이다.
또한, 상기의 리브(R1, R2, R3, R4, R5, R6)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어깨 리브(R1)」, 「흉상(上) 리브(R2)」, 「흉중(中) 리브(R3)」, 「흉하(下) 리브(R4)」, 「복상(上) 리브(R5)」, 「복하(下) 리브(R6)」라고 칭해지는 것이다. 어깨 리브(R1)는, 더미(P)의 견부(S)에 설치되어 있고, 흉상 리브(R2), 흉중 리브(R3) 및 흉하 리브(R4)는, 더미(P)의 흉부(C)에 설치되어 있고, 복상 리브(R5) 및 복하 리브(R6)는, 더미(P)의 복부(B)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내측 백(36)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탑승자(P)의 흉부(C)의 전후 방향 중앙(도 2의 일점 쇄선(L1) 참조)보다도 근소하게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에 따라, 흉부(C)의 전후 방향 중앙 및 후부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가상선으로 나타나는 시트백(14)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 및 내측 백(36)의 팽창 전개 전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내측 백(36)은, 외사이드부(14A)를 차량 폭 방향 내측 및 차량 전방측으로 부풀리면서, 외사이드부(14A) 내에서 팽창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내측 백(36)은, 통상시에는, 인플레이터(30), 사이드 에어백 본체(34), 장착 브래킷(40), 반력판(38) 및 리테이너(42)와 함께 도 4에 나타나는 에어백 모듈(19)로, 외사이드부(14A)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에어백 모듈(19)에서는, 내측 백(36)이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서 접책 접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책 접기된 내측 백(36)의 선단부(36A)가, 도시하지 않는 클립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 본체(26)의 후플랜지부(26C) 또는 측벽부(26A)에 걸려 있다. 이 클립은, 내측 백(36)이 팽창 전개될 때에, 상기의 걸림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장착 브래킷(40)의 구성>
도 1∼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40)은, 예를 들면 판금이 단면 대략 U자 형상(단면 コ자 형상)으로 벤딩 가공되어 형성된 것이며,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브래킷(40)은,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후측 백부(34R)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후측 백부(34R)의 후단부와 인플레이터(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장착 브래킷(40)은,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에서 보아 차량 전방측(시트백(14)의 전방측)으로 개구한 단면 대략 U자 형상(열린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배판부(40A)와, 좌플랜지부(40B)와, 우플랜지부(40C)를 구비하고 있다. 배판부(40A)는,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긴 쪽 방향이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따르면서 판두께 방향이 시트백(14)의 전후 방향을 따른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배판부(40A)에는, 인플레이터(30)의 상하의 스터드 볼트(30A)가 관통한 상하의 볼트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스터드 볼트(3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측 백부(34R)의 후단부 및 모듈 장착부(28B)를 관통하여 너트(44)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판부(40A) 즉 장착 브래킷(40)이 외사이드 프레임(24)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좌플랜지부(40B)는, 배판부(40A)의 차량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우플랜지부(40C)는, 배판부(40A)의 차량 폭 방향 내측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들의 플랜지부(40B, 40C)는,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긴 쪽 방향이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따르면서 판두께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우플랜지부(40C)에는, 반력판(3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반력판(38)의 구성>
도 1∼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반력판(38)은, 장착 브래킷(40)에 있어서의 우플랜지부(40C)의 상부로부터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 반력판(38)은,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 판 형상(여기에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판두께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반력판(38)은, 후측 백부(34R) 내(사이드 에어백 본체(34)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반력판(38)은, 장착 브래킷(40)을 개재하여 외사이드 프레임(24)에 장착되어 있으며, 외사이드 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반력판(38)은, 도 2∼도 4에 나타나는 시트백(14)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도 1에 나타나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전연부(24F)보다도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측 백(3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반력판(38)은, 차량 측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탑승자(P)의 흉부(C)의 후부(바람직하게는 견갑골)와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반력판(38)의 상단(38U)은,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차량 상방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반력판(38)의 하단(38L)은,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 도어(50)의 도어 트림(51)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부(51A)의 상면(51A1)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반력판(38)의 하단(38L)은, 차량용 시트(10)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콘솔 박스의 상면, 또는 시트백(14)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아암 레스트부(이하, 「시트 부착 아암 레스트부」라고 칭한다)의 상면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반력판(38)의 하단(38L)은, 더미(P)의 흉중 리브(R3)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중앙(흉부(C)의 무게 중심)보다도 약간 차량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반력판(38) 및 장착 브래킷(40)에는, 리테이너(42)가 장착되어 있다.
<리테이너(42)의 구성>
도 1∼도 4, 도 6∼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42)는, 예를 들면 판금이 단면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벤딩 가공되어 형성된 것이며, 반력판(38)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42)는, 도 3, 도 4, 도 7, 도 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40)에 있어서의 좌플랜지부(40B)의 상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후방측 벽부(42A)와, 후방측 벽부(42A)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중간 벽부(42B)와, 중간 벽부(42B)의 차량 폭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벽부(42C)와, 전방측 벽부(42C)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벽부(42D)와, 전벽부(42D)의 차량 폭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전플랜지부(42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측 벽부(42A)의 후단부는, 좌플랜지부(40B)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쳐지고 있으며,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좌플랜지부(40B)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전플랜지부(42E)는, 반력판(38)의 전단부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쳐지고 있으며,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반력판(38)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42)의 구성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플랜지부(42E)가 생략되고, 전벽부(42D)가 반력판(38)의 전단부에 접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리테이너(42)가 좌플랜지부(40B)로부터 일체로 연장 돌출된 구성(리테이너(42)가 장착 브래킷(40)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리테이너(42)는, 인플레이터(30)의 가스 분출부(30B) 및 반력판(38)의 일부(하부)을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 리테이너(42)와 반력판(38)의 사이에는, 인플레이터(30)의 상단부를 수용한 공간(62)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인플레이터(30)의 상단부는, 후방측 벽부(42A)와 반력판(38)의 사이에서 또한 중간 벽부(42B)와 배판부(40A)의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벽부(42A) 및 중간 벽부(42B)에는, 인플레이터(30)로부터의 가스를 후측 백부(34R) 내로 공급하기 위한 외측 가스 공급 구멍(64, 6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외측 가스 공급 구멍(64, 66)은, 인플레이터(30)의 상단부에 설치된 가스 분출부(30B)와 대향하고 있으며, 가스 분출부(30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외측 가스 공급 구멍(64, 66)을 통하여 후측 백부(34R)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공간(62)이 차량 상방측 및 차량 하방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당해 개방된 개소로부터도 가스가 후측 백부(34R)로 공급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리테이너(42)에 설치한 상벽부 및 하벽부 중 적어도 일방에 의해, 상기의 공간(62)을 차량 상방측 및 차량 하방측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폐색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방측 벽부(42C)는, 반력판(38)에 대하여 간극을 사이를 두고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대향되고 있다. 그리고, 반력판(38)에는, 전방측 벽부(42C)와 대향하면서 가스 분출부(30B)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다수의 관통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관통 구멍(68)은, 인플레이터(30)로부터의 가스를 내측 백(36)으로 공급하기 위한 내측 가스 공급 구멍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다수의 관통 구멍(68)은, 반력판(38)을 차량 폭 방향으로 관통한 원형의 펀치 구멍이고, 축선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르고 있다(도 11a 참조).
또한, 다수의 관통 구멍(68)은, 도 6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연통구(58)(도 9에서는 도시 생략) 및 내측 백(36)의 연통구(60)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공간(62)이 연통구(58, 60)를 개재하여 내측 백(36) 내와 연통되고 있다. 인플레이터(30)의 가스 분출부(30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일부는, 리테이너(42)의 전방측 벽부(42C)와 반력판(38)의 사이에 유입되고, 다수의 관통 구멍(68) 및 연통구(58, 60)를 통하여 내측 백(36) 내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8 및 도 11a의 화살표 G 참조).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 의하면, ECU(46)는, 측돌 센서(48)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측면 충돌을 검지하면, 인플레이터(3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외사이드부(14A) 내에서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가 차실측부와 탑승자(P)의 사이에 팽창 전개됨과 함께,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전방측에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위에 접속된 내측 백(36)이 외사이드부(14A) 내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 내측 백(36)은,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보다도 조기에 팽창 전개를 완료하고, 탑승자(P)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상기의 내측 백(36)은, 탑승자(P)의 복부(B)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P)의 동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복부(B)가 내측 백(36)에 의해 직접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백(36)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이 내측 백(36)은, 외사이드 프레임(24)에 지지된 반력판(38)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이 부여된다. 이 반력판(38)은, 시트백(14)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전연부(24F)보다도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백(36)이 외사이드 프레임(24)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이 얻어지기 어려운 높이(예를 들면 탑승자(P)의 흉부(C)의 무게 중심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있어서도, 내측 백(36)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을 양호하게 부여할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내측 백(36)에 의해 탑승자(P)를 조기에 효과적으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내측 백(36)의 탑승자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내측 백(36)에 뒤쳐져 팽창 전개를 완료하는 사이드 에어백 본체(34)가, 프론트 사이드 도어(50)의 도어 트림(51) 등으로부터 반력을 받아 탑승자(P)를 구속하기 전에, 탑승자(P)의 관성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탑승자(P)를 충돌 개소로부터 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내측 백(36) 중 적어도 일부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탑승자(P)의 견갑골과 겹쳐진다. 이에 따라, 팽창 전개된 내측 백(36)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탑승자(P)의 견갑골을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탑승자(P)의 견갑골은, 탑승자(P)의 동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으면서 측방으로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내측 백(36)의 내압을 높여 탑승자(P)를 효과적으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력판(38)이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백(14)에 기대는 탑승자(P)가 반력판(38)으로부터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짐과 함께, 반력판(38)의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게다가, 반력판(38)의 일부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탑승자(P)의 흉부(C)의 후부와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력판(38)으로부터의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을, 내측 백(36)을 개재하여 효과적으로 흉부(C)의 후부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력판(38)의 하단(38L)은, 프론트 사이드 도어(50)의 도어 트림(51)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부(51A)의 상면(51A1)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프론트 사이드 도어(50)의 아암 레스트부(51A)와 시트백(14)의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사이의 좁은 간극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반력판(38)이 배치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반력판(38)의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한, 반력판(38)의 하단(38L)은, 차량용 시트(10)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콘솔 박스의 상면, 또는 시트 부착 아암 레스트부의 상면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력판(38)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탑승자(P)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내측 백(36)의 가압력이, 콘솔 박스 및 시트 부착 아암 레스트부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탑승자(P)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 주변 구성 부재에 영향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탑승자(P)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력판(38)은, 에어백 모듈(19)을 구성하면서 외사이드 프레임(24)에 장착된 장착 브래킷(4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래킷(40)에 의해 반력판(38)을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반력판(38)이 내측 백(36)에 부여하는 반력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측면 충돌의 초기에 탑승자(P)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장착 브래킷(40)은,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에서 보아 차량 전방측으로 개구한 단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장착 브래킷(40)이 배판부(40A)에 의해서만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장착 브래킷(40)의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반력판(38)이 장착 브래킷(40)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력판(38)과 일체로 형성된 장착 브래킷(40)이, 인플레이터(30)의 스터드 볼트를 이용하여 외사이드 프레임(24)의 모듈 장착부(28B)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력판(38) 및 장착 브래킷(40)을 외사이드 프레임(24)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전용의 체결 부재가 불필요해진다. 게다가, 외사이드 프레임(24)의 모듈 장착부(28B)는,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서 체결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된 인플레이터(30)의 상단부에 가스 분출부(30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P)의 복부(B)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팽창 전개되는 내측 백(36)의 가까이에 가스 분출부(30B)를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백(36)에 대하여 조기에 가스를 공급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내측 백(36)의 팽창 전개의 조기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30)의 가스 분출부(30B) 및 반력판(38)의 일부를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은 리테이너(42)를 가지고 있으며, 반력판(38)에 있어서의 리테이너(42)와 대향하면서 가스 분출부(30B)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인플레이터(30)로부터의 가스를 내측 백(36)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구멍(68)(내측 가스 공급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30)의 가스 분출부(30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리테이너(42)의 전방측 벽부(42C)와 반력판(38)의 사이를 흘러, 반력판(38)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 구멍(68)을 통하여 내측 백(36)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탑재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만 인플레이터(30)가 배치하여 설치된 구성이라도, 내측 백(36)에 신속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측 백(36)의 팽창 전개의 조기화에 더 한층 기여한다.
게다가, 내측 백(36)으로의 가스의 공급 경로와 반력판(38)의 설치 스페이스를 중복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력판(38)의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 적어지고, 반력판(38)의 크기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력판(38)에 있어서의 다수의 관통 구멍(68) 사이의 부위도, 내측 백(36)에 대하여 반력을 부여하는 반력면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반력판(38)에 하나의 큰 내측 가스 공급 구멍이 형성된 구성과 비교하여, 반력면의 영역을 넓게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42)에 있어서의 가스 분출부(30B)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가스 분출부(30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후측 백부(34R)로 공급하기 위한 외측 가스 공급 구멍(64, 66)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30)의 가스 분출부(30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반력판(38)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 구멍(68)(내측 가스 공급 구멍)을 통하여 내측 백(36)으로 공급됨과 함께, 리테이너(42)에 형성된 외측 가스 공급 구멍(64, 66)을 통하여 사이드 에어백 본체(34)로 공급된다. 따라서, 다수의 관통 구멍(68) 및 외측 가스 공급 구멍(64, 66)의 개구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내측 백(36) 및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팽창 전개 완료 타이밍을 용이하게 변경(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전의 내측 백(36)은,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접책 접기로 되어 있다. 접책 접기는 팽창 전개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내측 백(36)의 팽창 전개의 조기화에 기여한다.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 구멍(68)의 축선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른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1b에 나타나는 제 1 변형예와 같이, 다수의 관통 구멍(68a)이,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제 1 변형예에서는, 다수의 관통 구멍(68a)이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당해 다수의 관통 구멍(68a)보다도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가스 분출부(30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다수의 관통 구멍(68a) 내에 원활하게 유입되기 쉬워진다(도 11b의 화살표 G 참조). 따라서, 내측 백(36)의 팽창 전개를 한층 조기화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11c에 나타나는 제 2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다수의 관통 구멍(68b)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다수의 관통 구멍(68a)과 동일하게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게다가,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다수의 관통 구멍(68b)은, 가스 분출부(30B)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개구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도 11c에 있어서, d1>d2>d3). 이에 따라, 가스 분출부(30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다수의 관통 구멍(68b)에 효율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도 11c의 화살표 G 참조). 그 결과, 내측 백(36)의 팽창 전개를 더 한층 조기화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력판(38)이 장착 브래킷(40)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반력판(38)이 장착 브래킷(40)과 별체(別體)로 형성되고, 장착 브래킷(40)과는 별도로 외사이드 프레임(24)에 장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장착 브래킷(40)이 생략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력판(38)이 장착 브래킷(40)과 함께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내부에 수용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반력판(38) 및 장착 브래킷(40)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외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연통 구멍(58, 60)보다도 차량 상방측에서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와 내측 백(36)의 사이에 반력판(38)이 배치되고, 반력판(38)의 다수의 관통 구멍(68)이 생략된 구성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력판(38) 및 장착 브래킷(40)에 리테이너(42)(가스 안내판)가 장착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반력판(38)이 사이드 에어백 본체(34)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 가스 안내판을 생략해도 된다. 단 그 경우, 인플레이터(30)로부터의 가스를 내측 백(36)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스 안내 부재를 사이드 에어백 본체(34)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력판(38)의 하단(38L)이 도어 트림(51)의 아암 레스트부(51A)의 상면(51A1)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반력판(38)의 하단(38L)이 아암 레스트부(51A)의 상면(51A1)보다도 차량 하방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전의 내측 백(36)이,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접책 접기로 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팽창 전개 전의 내측 백(36)이, 외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둘로 접힌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사이드 프레임(24)과,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14A)를 포함하는 시트백(14)과,
    상기 시트백의 상기 측부 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인플레이터(30)와,
    상기 측부 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차실측부와 탑승자와의 사이로 팽창 전개되는 외측 백(34)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전방측에서 상기 외측 백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위에 접속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아, 탑승자의 복부보다도 차량 상방측 또한 상기 측부 내에서 팽창 전개됨과 함께, 상기 외측 백보다도 조기에 팽창 전개를 완료하여 탑승자를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내측 백(36)과,
    상기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차량 측면에서 보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연부보다도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내측 백에 대하여 팽창 전개시에 차량 폭 방향 내측 방향의 반력을 부여하는 반력판(38)을 갖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팽창 전개된 상기 내측 백(36) 중 적어도 일부가, 차량 측면에서 보아 탑승자의 견갑골과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판(38)의 하단(38L)은,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부의 상면보다도 차량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백(34)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30), 상기 외측 백(34) 및 상기 내측 백(36)과 함께 에어백 모듈(19)을 구성하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24)에 장착된 장착 브래킷(40)을 가지고,
    상기 반력판(38)은, 상기 장착 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24)은,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모듈 장착부(28B)를 가지고,
    상기 장착 브래킷(40)은,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스터드 볼트(30A)를 이용하여 상기 모듈 장착부에 체결 고정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상기 시트백(14)의 상하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설치된 가스 분출부(30B)로부터 가스를 분출하는 차량용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판(38)은, 상기 외측 백(34)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반력판의 일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상기 가스 분출부(30B)를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은 가스 안내판(42)을 가지고,
    상기 반력판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안내판과 대향하면서 상기 가스 분출부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내측 백으로 공급하기 위한 내측 가스 공급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스 공급 구멍(68)은, 다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관통 구멍은,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는 차량용 시트.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가스 분출부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개구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내판(42)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분출부(30B)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상기 가스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상기 외측 백으로 공급하기 위한 외측 가스 공급 구멍(64, 66)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전개 전의 상기 내측 백(36)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24)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접책 접기로 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KR1020170104566A 2016-08-22 2017-08-18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KR102008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2266 2016-08-22
JP2016162266A JP6561942B2 (ja) 2016-08-22 2016-08-22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48A true KR20180021648A (ko) 2018-03-05
KR102008444B1 KR102008444B1 (ko) 2019-08-07

Family

ID=5964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566A KR102008444B1 (ko) 2016-08-22 2017-08-18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343638B2 (ko)
EP (1) EP3290276B1 (ko)
JP (1) JP6561942B2 (ko)
KR (1) KR102008444B1 (ko)
CN (1) CN107757543B (ko)
AU (1) AU2017216462B2 (ko)
BR (1) BR102017017177B1 (ko)
CA (1) CA2976727C (ko)
ES (1) ES2727297T3 (ko)
MX (1) MX2017010653A (ko)
MY (1) MY190200A (ko)
PH (1) PH12017050043B1 (ko)
RU (1) RU2664140C1 (ko)
TW (1) TWI656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1138B1 (en) * 2015-07-11 2021-10-13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6508038B2 (ja) * 2015-12-28 2019-05-08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付き車両用シート
JP6614047B2 (ja) * 2016-06-24 2019-12-0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104287B2 (en) * 2016-12-05 2021-08-31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 bag device
JP6658585B2 (ja) *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CN110869248B (zh) * 2017-08-01 2022-02-01 奥托立夫开发公司 乘员保护装置
KR102362655B1 (ko) * 2017-11-02 2022-02-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6940627B2 (ja) * 2018-01-11 2021-09-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保護装置
JP6940629B2 (ja) * 2018-01-26 2021-09-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6762328B2 (ja) * 2018-02-14 2020-09-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US20190275974A1 (en) * 2018-03-12 2019-09-12 Lear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systems for a vehicle seat
US10926733B2 (en) * 2018-03-12 2021-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ncluding inflatable assembly supported by seat
WO2019197164A1 (de) * 2018-03-27 2019-10-1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CN108501849A (zh) * 2018-04-24 2018-09-07 广州中国科学院工业技术研究院 一种汽车碰撞安全控制方法
US11267433B2 (en) * 2018-06-19 2022-03-08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JP6841797B2 (ja) * 2018-07-03 2021-03-1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CN112533797A (zh) * 2018-09-05 2021-03-19 奥托立夫开发公司 侧面安全气囊装置
JP7047701B2 (ja) * 2018-10-22 2022-04-05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643566B1 (en) * 2018-10-24 2021-06-09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JP7271378B2 (ja) * 2018-10-24 2023-05-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9559615B (zh) * 2018-12-19 2020-12-01 南方医科大学深圳医院 运动生物力学仿真结构的固定结构
US11833990B2 (en) 2018-12-21 2023-12-05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DE102019124091A1 (de) * 2019-01-29 2020-07-30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11752966B2 (en) * 2019-02-09 2023-09-12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US11059442B2 (en) * 2019-03-26 2021-07-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daptive side airbag for protecting occupants in a vehicle
US11214219B2 (en) * 2019-03-27 2022-01-04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KR102625278B1 (ko) * 2019-05-31 2024-01-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JP7107892B2 (ja) * 2019-06-12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7050723B2 (ja) * 2019-07-10 2022-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280138B2 (ja) * 2019-07-22 2023-05-23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US11393225B2 (en) * 2019-12-06 2022-07-19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ettling of passengers in a vehicle
US11292419B2 (en) * 2019-12-31 2022-04-05 Joyson Safety System Acquisition LLC Airbag module
JP7205500B2 (ja) * 2020-01-08 2023-01-17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161473B2 (en) * 2020-01-22 2021-1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assembly
KR20220131391A (ko) * 2020-02-16 2022-09-2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JP7479876B2 (ja) 2020-03-12 2024-05-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CN115397700B (zh) * 2020-04-09 2023-10-27 奥托立夫开发公司 侧面安全气囊装置
KR20210139091A (ko) 2020-05-13 2021-1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에어백장치
KR20210139092A (ko) 2020-05-13 2021-1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에어백장치
CN112622801B (zh) * 2020-12-23 2022-04-01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座椅侧气囊以及囊袋折叠方法
JP2022133976A (ja) * 2021-03-02 2022-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2133977A (ja) * 2021-03-02 2022-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3085214A1 (ja) * 2021-11-09 2023-05-1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7631A (ja) * 2006-10-02 2008-04-17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08337A (ko) * 2011-07-12 2013-01-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20130109704A (ko) * 2012-03-28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5891B2 (ja) * 1995-10-11 2003-01-14 アラコ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車両用シート
JP3027928B2 (ja) * 1996-01-10 2000-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組込み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3424421B2 (ja) * 1996-02-02 2003-07-0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とその折り畳み方法
US5913536A (en) * 1996-02-07 1999-06-22 Trw Vehicle Safety System Inc. Air bag module
US6616177B2 (en) * 2001-06-11 2003-09-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depth airbag
US20050104342A1 (en) * 2003-11-17 2005-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 improved side airbag
DE102005059197B4 (de) * 2005-12-06 2008-04-10 Takata-Petri Ag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e mit einem in einem Fahrzeugsitz angeordneten aufblasbaren Gassack
JP2009018715A (ja) * 2007-07-12 2009-01-2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952422B2 (ja) * 2007-07-19 2012-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962185B2 (ja) 2007-07-19 2012-06-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85990B2 (ja) * 2008-07-15 2014-05-07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自動車用の車両シート装置及び車両乗員保護方法
JP5433250B2 (ja) 2009-02-13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877350B2 (ja) 2009-03-27 2012-02-15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319734B1 (en) * 2009-11-04 2014-10-22 Autoliv Development AB A Safety Arrangement
EP2567870B1 (en) * 2011-09-09 2015-03-25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seat with an airbag unit
DE102011117939A1 (de) * 2011-11-08 2013-05-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sitz mit einer Seitenairbageinrichtung,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Kraft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eitenairbag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KR101355594B1 (ko) * 2011-12-07 2014-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 챔버 사이드에어백 장치
US9238425B2 (en) * 2011-12-28 2016-01-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KR101585096B1 (ko) * 2012-03-14 2016-01-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CN104349945B (zh) * 2012-06-06 2016-11-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JP5692178B2 (ja) * 2012-07-23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664607B2 (ja) 2012-08-02 2015-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RU127009U1 (ru) * 2012-09-21 2013-04-20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Илюхин Головная подуш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US8905431B1 (en) * 2013-09-24 2014-1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JP6351998B2 (ja) 2014-02-28 2018-07-0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428666B2 (ja) 2016-02-10 2018-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7631A (ja) * 2006-10-02 2008-04-17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08337A (ko) * 2011-07-12 2013-01-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20130109704A (ko) * 2012-03-28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0276A1 (en) 2018-03-07
EP3290276B1 (en) 2019-04-17
JP2018030399A (ja) 2018-03-01
PH12017050043A1 (en) 2018-08-06
RU2664140C1 (ru) 2018-08-15
MY190200A (en) 2022-04-04
AU2017216462A1 (en) 2018-03-08
US10343638B2 (en) 2019-07-09
TW201808690A (zh) 2018-03-16
AU2017216462B2 (en) 2019-03-14
KR102008444B1 (ko) 2019-08-07
CA2976727A1 (en) 2018-02-22
ES2727297T3 (es) 2019-10-15
CA2976727C (en) 2018-12-04
PH12017050043B1 (en) 2018-08-06
JP6561942B2 (ja) 2019-08-21
TWI656051B (zh) 2019-04-11
CN107757543B (zh) 2019-11-15
BR102017017177A2 (pt) 2018-03-27
MX2017010653A (es) 2018-09-19
BR102017017177B1 (pt) 2023-03-28
CN107757543A (zh) 2018-03-06
US20180050651A1 (en)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1648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CN109383437B (zh) 侧气囊装置
KR102095578B1 (ko) 승차인 보호 장치
JP63946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EP3028904B1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EP3050761B1 (en) Vehicle-side-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JP6361600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80090749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JP64141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CN107891834B (zh) 具有侧气囊设备的车辆座椅
EP1944201B1 (en) Occupant leg part restraining apparatus and retainer
US10583798B2 (en) Vehicle seat with side airbags apparatus
CN109795440B (zh) 车辆用侧气囊装置
JP201801247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