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278B1 -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278B1
KR102625278B1 KR1020217041445A KR20217041445A KR102625278B1 KR 102625278 B1 KR102625278 B1 KR 102625278B1 KR 1020217041445 A KR1020217041445 A KR 1020217041445A KR 20217041445 A KR20217041445 A KR 20217041445A KR 102625278 B1 KR102625278 B1 KR 10262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portion
airbag device
side airbag
airbag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684A (ko
Inventor
유토 고바야시
히로유키 시마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00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002/5808Seat coverings comprising opening zones for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의 적절한 전개 거동을 촉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전개함으로써 승차인을 구속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대하여 팽창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인플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고 주로 승차인측(내측)에서 전개하는 프리 푸시 챔버와, 상기 프리 푸시 챔버에 연결되어 주로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메인 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이 수용 상태로 있을 때에는 상기 프리 푸시 챔버에 의해 제1 접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챔버에 의해 제2 접음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제2 접음부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프리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결합하는 봉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제부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 시에 파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탑재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에어백을 차량에 설치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에어백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팽창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이른바 운전석용 에어백, 자동차의 창문 내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전개하여 차량 가로 방향의 충돌이나 횡전(橫轉), 전복 사고 시에 승차인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나아가 시트의 사이드 서포트부에 수용되어 차량 가로 방향의 충돌 시에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승차인과 사이드 패널 사이에서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 팽창 및 전개하여 승차인을 보호하는 주 에어백과, 상기 주 에어백에 앞서 팽창을 개시하고 승차인을 차량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보조 에어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 에어백과 보조 에어백의 존재에 의해 좁은 공간에 있어서의 승차인의 구속을 확실하게 실시하고 승차인의 보호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 이외에도 주 에어백에 더하여 보조 에어백을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의 사이드 서포트부 속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형상 및 크기의 제약이 크고 콤팩트하게 패키징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에어백을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전개시키는 것은 언제나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주 에어백과 보조 에어백을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는 최초에 전개를 개시하는 보조 에어백에 의해 주 에어백의 자세가 흐트러지고 주 에어백의 전개 거동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또한 주 에어백과 보조 에어백을 각각 수용할 경우에는 접은 두 개의 에어백 덩어리가 따로따로 분리하기 쉽고 에어백 모듈로서의 취급이 불편해지기 때문에 에어백 전체를 덮는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별도 부재로서의 커버를 설치한다고 하는 것은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거나 비용이 증가된다고 하는 좋지 않은 상황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2009-02349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에어백의 전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의 적절한 전개 거동을 촉진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에어백의 전개 속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최적의 전개 거동으로 확실하게 승차인을 구속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급(핸들링)이 용이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전개함으로써 승차인을 구속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대하여 팽창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인플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리 푸시(pre-push) 챔버와 상기 프리 푸시 챔버에 연결되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메인 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이 수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메인 챔버에 의해 제1 접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 푸시 챔버에 의해 제2 접음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제2 접음부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프리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결합하는 봉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제부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 시에 파단(破斷)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인플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리 푸시 챔버와, 상기 프리 푸시 챔버와 연결되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메인 챔버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메인 챔버에 의해 제1 접음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 푸시 챔버에 의해 제2 접음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제2 접음부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양방의 접음부를 결합하는 봉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봉제부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 시에 파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로 메인 챔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접음부와 주로 프리 푸시 챔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접음부가 겹치는 부분에, 파단 가능한 봉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작동 전 단계에서는 제1 접음부와 제2 접음부가 연결되어 있어 에어백 전체를 포위하는 커버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양방의 접음부가 흩어지는 일 없이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에어백의 전개 초기 단계에서 메인 챔버가 전개를 개시할 때까지의 사이에는, 메인 챔버는 프리 푸시 챔버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서로의 챔버들의 상대적 자세(위치 관계) 및 브래킷 등과의 위치 관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을 반력면으로서 이용하는 에어백에 있어서는 상기 브래킷에 대한 에어백의 위치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해당 반력면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어백의 전개 속도가 향상함과 함께 에어백의 전개 형상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승차인의 구속 성능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전개함으로써 승차인을 구속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대하여 팽창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인플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리 푸시 챔버와, 상기 프리 푸시 챔버에 연결되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메인 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이 수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메인 챔버에 의해 제1 접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 푸시 챔버에 의해 제2 접음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인플레이터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시트의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래킷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전방)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제2 접음부의 상기 인플레이터에 가까운 부분은 상기 브래킷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접음부와 제2 접음부를 파단 가능한 봉제부로 연결하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제2 접음부의 인플레이터에 가까운 부분이 브래킷의 제1 면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전개 초기 단계에서는 프리 푸시 챔버에 대응하는 제2 접음부가 브래킷의 전면(前面)을 반력면으로서 선행하여 전개하게 된다. 이 때문에 프리 푸시 챔버가 어느 정도 전개할 때까지는 메인 챔버(제1 접음부)는 크게 전개하는 일 없이 프리 푸시 챔버에 접근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메인 챔버와 프리 푸시 챔버와의 상대적인 자세(위치 관계) 및 브래킷과의 위치 관계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 접음부는 벨로스(Bellows)접기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음부는 롤링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봉제부는 적어도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최외주층과, 상기 벨로스 접기 형상의 상기 제2 접음부의 상기 제1 접음부에 가장 가까운 층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제부는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제부가 제1 접음부를 관통함으로써 롤링 형상의 상기 접음부의 전개 전의 자세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봉제부는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롤링 중심으로부터 어긋나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제부가 롤링 형상의 제1 접음부의 중심을 피하여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 접음부의 전개 지연을 발생하도록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봉제부가 에어백 쿠션을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는 외주 봉제와 관련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면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롤링 중심 근방에서 관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제 위치를 적절하게 콘트롤하면 외주 봉제부에 불필요한 대미지를 부여하는 일 없이 접음부의 전개 전의 자세 보유 지지를 더욱 확실하게 실시하면서 전개의 지연을 발생하도록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봉제부는 주로 프리 푸시 챔버를 포함하는 Z 접음 부분을 제외하고 롤링 부분에만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접음부들이 적절한 강도로 연결되고 에어백의 전개 지연을 발생한다고 하는 사태를 회피 가능하다.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인플레이터를 보유 지지하는 브래킷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전방)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음부 및 상기 제2 접음부가 상기 브래킷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면 상'에 배치된다는 것은 상하 관계에서의 '상'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면에 기울다, 접하다, 면하다 등의 의미이다.
상기 프리 푸시 챔버 및 메인 챔버는 상기 브래킷의 상기 제1 면을 반력면으로 하여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이 향하고 있는 방향(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칭하고 좌표 축을 나타낼 때는 '전후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의 우측을 '우측 방향', 승차인의 좌측을 '좌측 방향'이라고 칭하고 좌표 축을 나타낼 때는 '좌우 방향'이라고 한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보다 승차인측의 영역을 '내'로 하고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보아 승차인 반대 영역을 '외'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의 머리부 방향을 '상방', 승차인의 허리부 방향을 '하방'으로 칭하고 좌표 축을 나타낼 때는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은 시트의 도어측(외측)으로 전개하는 타입 외 시트의 차량 중심측으로 전개하는 타입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시트의 차량 중심측으로 전개하는 타입의 사이드 에어백은 예를 들어 파 사이드 에어백, 프론트 센터 에어백, 리어 센터 에어백 등으로 칭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주로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차량용 시트의 골격으로서 기능하는 내부 구조체(시트 프레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개략 측면도로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수용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의 A1-A1 방향의 단면의 일부에 대응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개략 측면도로서 에어백이 전개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채용 가능한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도가 차량 외측(승차인 반대측)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나타내고, (B)도가 차량 내측(승차인측)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9(B)는 동 도(A)의 A3-A3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A), (B),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서, (C)는 도 5의 A2-A2 방향의 단면에 대응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2(B)는 동 도(A)의 A4-A4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A),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A), (B),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서, (C)는 도 5의 A2-A2 방향의 단면에 대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주로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에어백 장치(에어백 모듈)(20)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차량용 시트의 골격으로서 기능하는 내부 구조체(시트 프레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여기에서도 에어백 장치(에어백 모듈)(20)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개략 측면도로서 좌측 좌석의 도어에 가까운 측면(니어 사이드)에 에어백 장치(에어백 모듈)(20)가 수용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시트는, 부위로서 보았을 때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차인이 착석하는 부분인 시트 쿠션(2)과, 등받이를 형성하는 시트백(1)과, 시트백(1)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1)의 내부에는 시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백 프레임(1f)이 설치되고, 그 표면 및 주위에는 우레탄 발포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드(16)(도 4 참조)가 설치되며, 상기 패드(16)의 표면은 피혁, 패브릭 등의 표피(14)에 의해 덮여 있다. 시트 쿠션(2)의 밑측에는 착석 프레임(2f)이 배치되고 시트백(1)과 마찬가지로 그 상면 및 주위에는 우레탄 발포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패드의 표면은 피혁, 패브릭 등의 표피(14)(도 4)에 의해 덮여 있다. 착석 프레임(2f)과 시트 프레임(1f)은 리클라이닝 기구(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시트백 프레임(1f)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사이드 프레임(10)과, 이 사이드 프레임(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에 의해 테두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외측에 쿠션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헤드레스트(3)가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의 A1-A1 방향의 단면의 일부에 대응한다. 사이드 프레임(10)은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성형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 단면 형상 또는 コ자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0)의 내측(시트 중심측) 및 전방측에 에어백 모듈(사이드 에어백 장치)(20)이 고정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1)은 차량 폭 방향 측부(단부)에 있어서 차량 진행 방향(차량 전방)으로 팽출(膨出)한 사이드 서포트부(12)를 구비한다. 사이드 서포트부(12)의 내부에는 우레탄 패드(16)가 배치되고 우레탄 패드(16)의 틈새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20)가 수용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20)는 팽창 전개함으로써 승차인을 구속하는 에어백(33)과, 에어백(33)에 대하여 팽창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0)를 구비한다.
시트백(1)의 표피(14)의 이음매(18, 22, 24)는 내측으로 집어 넣어 봉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방의 이음매(18)는 에어백이 전개했을 때에 개열하도록 되어 있다.
압축된 에어백(33)은 브래킷(52, 54)을 개재하여 사이드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에어백(33)은 패브릭제의 유연한 커버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부호 25는 도어 트림(DOOR TRIM)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브래킷(52, 54)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판 형상의 제1 플레이트(54)와, 인플레이터(30)에 연결된 두 개의 스터드 볼트(32)가 관통하고 사이드 프레임(10)에 직접 고정되는 제2 플레이트(5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브래킷은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제1 플레이트(54)와 제2 플레이트(52)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이들 제1 플레이트(54)와 제2 플레이트(52)는 서로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된다.
브래킷의 제1 플레이트(54)는 차량 진행 방향과 면하는 제1 면(54a)을 가지고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에어백(33)이, 이 제1 면(54a)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압축된 에어백(33)이 차량 진행 방향으로 팽창 전개할 때에 제1 플레이트(54)의 제1 면(54a)이 반력면이 되고 에어백(33)이 전방을 향하여 확실하고 신속하게 전개하게 된다.
한편 브래킷의 제2 플레이트(52)는 승차인측과 면하는 제2 면(52a)을 가지고, 에어백(33)의 주로 프리 푸시 챔버(36)의 일부가 상기 제2의 면(52a) 상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개략 측면도로서 에어백이 전개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에어백(33)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도가 차량 외측(승차인 반대측)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나타내고, (B)도가 차량 내측(승차인측)으로부터 관찰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3)은 사이드 서포트부(12)의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메인 챔버(34)와, 메인 챔버(34)에 선행하여 전개하는 프리 푸시 챔버(36)를 구비한다.
메인 챔버(34)와 프리 푸시 챔버(36)의 칸막이부(경계 부분)에는 팽창 가스가 프리 푸시 챔버(36)로부터 메인 챔버(34)로 흘러드는 내부 벤트홀(도시 없음)이 설치되어 있다.
메인 챔버(34)의 전단부에는 외부에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벤트(V1, V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챔버(34)와 마찬가지로 프리 푸시 챔버(36)의 전단부에, 외부로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벤트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챔버(34)는 전방 챔버(34F)와 후방 챔버(34R)로 구획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벤트홀을 개재하여 후방 챔버(34R)로부터 전방 챔버(34F)로 팽창 가스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각 챔버(34F, 34R, 36)는 봉제(S1, S2, S3)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
도 7(A), (B), 도 8(A), (B), 도 (A), 도10(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7 ~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인플레이터(30)의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도 중 '전', '후', '상', '하'는 에어백 장치가 실제로 시트에 탑재된 경우(전개한 경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에어백(33)을 접을 때에는 먼저 인플레이터(30)를 프리 푸시 챔버(36)의 개구(40)로부터 삽입하고 적어도 가스 배출 구멍(도시 없음)이 완전히 프리 푸시 챔버(36)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플레이터(30)를 세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플레이터(30)를 세팅한 에어백(33)에 대하여 최초에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3)의 하방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는 선(102)을 따라서 상방으로 접는다.
이어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3)의 상방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는 선(104)을 따라서 하방으로 접는다.
그 다음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3)을 앞뒤 반전시킨다. 이어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3)의 전방 하측 모서리부 부근으로부터 후방 경사 상방을 향하여 주로 메인 챔버(34)에 대응하는 부분의 롤링을 개시하여 초기 롤링부(106)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메인 챔버(34)에 대응하는 부분을 완전히 감아올리고 롤링 형상의 제1 접음부(106X)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9(B)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음부(106X)를 관통하도록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파단 가능한 봉제부(108)를 형성하고 제1 접음부(106X)(메인 챔버(34))와 프리 푸시 챔버(36)의 메인 챔버(34)측의 단부를 연결한다.
봉제부(108)는 제1 접음부(106X)를 조금 찌부러뜨린 상태에서 미싱에 의해 꿰맴으로써 형성되고 제1 접음부(106X)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봉제부(108)는 제1 접음부(106X)의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봉제부(108)의 봉제 위치는 어느 정도의 자유도는 있지만 적어도 롤링 형상의 제1 접음부(106X)의 최외주층과, 프리 푸시 챔버(36)(제2 접음부110X)의 제1 접음부(106X)에 가장 가까운 층을 연결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봉제부(108)의 봉제가, 예를 들어 메인 챔버와 프리 푸시 챔버의 외주 봉제 부분에 침입하는 부분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바람직하게는 외주 봉제 부분에 들어가지 않도록), 가능하면 상기 봉제부가 롤링 형상의 제1 접음부(106X)의 중심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3)을 재차 앞뒤 반전시켜 주로 프리 푸시 챔버(36)에 대응하는 부분을 접는 선(110)을 따라서 벨로스 형상으로 접음으로써 제2 접음부(110X)를 형성한다. 에어백(33)이 완전히 접힌 상태가 도 10(B)이다. 이와 같이 접힌 에어백(33)에 대하여 브래킷(52, 54)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플레이트(52)에 인플레이터(30)의 스터드 볼트(32)를 끼워넣게 된다.
(에어백의 전개 거동)
도 11(A), (B), (C)는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서, 도 (C)는 도 5의 A2-A2 방향의 단면에 대응한다. 먼저 도 11(A)에 나타내는 것은 에어백 장치에 브래킷(52, 54)을 세팅한 상태로서 에어백(33)이 전개하기 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주로 프리 푸시 챔버(36)로 구성되는 제2 접음부(110X)는 벨로스 접음(Z 접음)으로 되어 있다. 이때 봉제부(108)는 이 벨로스 접음이 되어 있는 제2 접음부(110X)에는 들어가 있지 않고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 푸시 챔버(36)의 메인 챔버측의 단부까지만 도달하게 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가 작동하면 인플레이터(30)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최초에 제2 접음부(110X)를 형성하는 프리 푸시 챔버(36)가 전개를 개시한다. 프리 푸시 챔버(36)가 전개하면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 푸시 챔버(36)가 브래킷(54)의 전면(54a)을 반력면으로 하여 전개하고 메인 챔버(34)를 형성하는 제1 접음부(106X)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모습이 된다. 이때 봉제부(108)는 아직 파단하지 않는다.
또한 에어백(33)의 전개가 진행되면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부(108)가 파단하여 제1 접음부(106X)의 롤링이 풀어져 메인 챔버(34)가 전방으로 크게 전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로 메인 챔버(34)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접음부(106X)와 주로 프리 푸시 챔버(36)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접음부(110X)가 겹치는 부분에, 바람직하게는 주로 메인 챔버(34)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접음부(106X)와 주로 프리 푸시 챔버(36)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접음부(110X)의 제1 접음부(106X)의 단부측이 겹치는 부분에, 파단 가능한 봉제부(10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접음부(106X)와 제2 접음부(110X)가 겹치는 부분에서 봉제부(108)가 형성됨으로써 에어백(33)의 작동 전 단계 (A)에서는 제1 접음부(106X)와 제2 접음부(110X)가 연결되어 있고 양방의 접음부(106X, 110X)를 일체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음부(106X)와 제2 접음부(110X)의 연결이 필요 이상으로 유지되는 일 없이 에어백(33)의 전개 속도를 저하시키는 사태를 회피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에어백(33)의 전개 초기 단계에서 프리 푸시 챔버(36)가 전개를 개시한 시점까지, 즉 메인 챔버(34)가 전개를 개시할 때까지의 사이에는, 메인 챔버(34)는 프리 푸시 챔버(36)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B). 그 때문에 서로의 챔버(34, 36)들의 상대적인 자세(위치 관계) 및 브래킷(54)과의 위치 관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전개할 때에 반력면으로서 이용되는 브래킷(54a)에 대한 위치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반력면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에어백(33)의 신속한 전개 속도를 방해하는 일 없이 에어백(33)의 전개 형상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승차인의 구속 성능이 향상한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공통된 부분이 많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에어백(33)의 제1 접음부(106X)와 제2 접음부(110X)를 파단 가능한 봉제(108)에 의해 연결하고 있는데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봉제(108)를 채용하지 않는다.
도 12(A), 도 13(A), (B)는 본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2(A)까지의 제조 공정(접기 공정)에 있어서는 도 7(A), (B), 도 8(A), (B)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8(B)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접힌 에어백(33)은 이어서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메인 챔버(34)에 대응하는 부분이 완전히 감아올려져 롤링 형상의 제1 접음부(106X)가 형성된다.
이어서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3)을 앞뒤 반전시켜 주로 프리 푸시 챔버(36)에 대응하는 부분을 접는 선(110)을 따라서 벨로스 형상으로 접음으로써 제2 접음부(110X)를 형성한다. 에어백(33)이 완전히 접힌 상태가 도 13(B)이다. 이와 같이 접힌 에어백(33)에 대하여 브래킷(52, 54)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플레이트(52)에 인플레이터(30)의 스터드 볼트(32)를 끼워넣게 된다.
도 14(A), (B), (C)는 제2 실시예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전개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서 도 (C)는 도 5의 A2-A2 방향의 단면에 대응한다. 도 14(A)에 나타내는 것은 에어백 장치에 브래킷(52, 54)을 세팅한 상태로서 에어백(33)이 전개하기 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주로 프리 푸시 챔버(36)로 구성되는 제2 접음부(110X)는 벨로스 접음(Z 접음) 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가 작동하면 인플레이터(30)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최초에 제2 접음부(110X)를 형성하는 프리 푸시 챔버(36)가 전개를 개시한다.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 푸시 챔버(36)가 브래킷(52)의 내면을 반력면으로 하여 내측(승차인측)을 향하여 전개함과 동시에 브래킷(54)의 전면(54a)을 반력면으로 하여 메인 챔버(34)를 형성하는 제1 접음부(106X)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전개한다.
또한 에어백(33)의 전개가 진행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음부(106X)의 롤링이 풀어지고 메인 챔버(34)가 전방으로 크게 전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접음부(106X)와 제2 접음부(110X)를 파단 가능한 봉제부(108)로 연결하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지만 적어도 제2 접음부(110X)의 인플레이터에 가까운 부분이 브래킷(54)의 전면(54a)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백(33)의 전개 초기 단계에서는 프리 푸시 챔버(36)에 대응하는 제2 접음부(110X)가 브래킷(54)의 전면(54a)을 반력면으로서 선행하여 전개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프리 푸시 챔버(36)가 어느 정도 전개할 때까지는 메인 챔버(34)(제1 접음부(106X))는 크게 전개하는 일 없이 프리 푸시 챔버(34)에 접근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메인 챔버(34)와 프리 푸시 챔버(36)의 상대적인 자세(위치 관계) 및 브래킷(54)과의 위치 관계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어떠한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니어 사이드의 사이드 에어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서술했지만 파 사이드 에어백(차량용 시트의 차량 도어로부터 먼 측의 면)이나 스몰 모빌리티 등 초소형 차량 등에 있어서의 단일 좌석의 차량(도어의 유무에 관계없이 일렬에 시트가 하나밖에 없는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등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전개함으로써 승차인을 구속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대하여 팽창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인플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리 푸시 챔버와, 상기 프리 푸시 챔버에 연결되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메인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이 수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메인 챔버를 포함하여 제1 접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 푸시 챔버를 포함하여 제2 접음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제2 접음부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프리 푸시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봉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제부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 시에 파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음부는 벨로스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부는 롤링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적어도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최외주층과 상기 벨로스 형상의 상기 제2 접음부의 상기 제1 접음부에 가장 가까운 층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롤링 중심으로부터 어긋나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롤링의 중심부 근방에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인플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리 푸시 챔버와, 상기 프리 푸시 챔버와 연결되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메인 챔버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메인 챔버를 접는 제1 접음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 푸시 챔버를 접는 제2 접음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제2 접음부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부와 상기 프리 푸시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봉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봉제부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 시에 파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음부는 벨로스 접기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음부는 롤링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적어도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최외주층과, 상기 벨로스 접기 형상의 상기 제2 접음부의 상기 제1 접음부에 가장 가까운 층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롤링 중심부로부터 어긋나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상기 롤링 형상의 상기 제1 접음부의 롤링 중심부 근방에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인플레이터를 보유 지지하는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전방)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음부 및 상기 제2 접음부가 상기 브래킷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17041445A 2019-05-31 2020-03-24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25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2145 2019-05-31
JP2019102145 2019-05-31
JPJP-P-2020-021736 2020-02-12
JP2020021736 2020-02-12
PCT/JP2020/013166 WO2020241020A1 (ja) 2019-05-31 2020-03-24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84A KR20220002684A (ko) 2022-01-06
KR102625278B1 true KR102625278B1 (ko) 2024-01-16

Family

ID=7355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445A KR102625278B1 (ko) 2019-05-31 2020-03-24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52965B2 (ko)
EP (1) EP3978322A4 (ko)
JP (1) JP7449930B2 (ko)
KR (1) KR102625278B1 (ko)
CN (1) CN113825678B (ko)
WO (1) WO2020241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8610B1 (en) * 2019-10-18 2021-11-0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US11858448B2 (en) * 2020-02-16 2024-01-0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US11958429B2 (en) * 2020-04-09 2024-04-16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JP7458359B2 (ja) 2021-11-01 2024-03-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3068526A (ja) * 2021-11-02 2023-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2023068527A (ja) * 2021-11-02 2023-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4075A (ja) * 2006-05-26 2007-12-06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9255706A (ja) 2008-04-16 2009-11-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16124382A (ja) 2014-12-26 2016-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側突荷重伝達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3917B2 (ja) * 1994-01-12 2003-09-08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GB2397048A (en) * 2003-01-10 2004-07-14 Autoliv Dev Vehicle seat comprising airbag
JP2005014862A (ja) 2003-06-30 2005-01-20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
FR2902424B1 (fr) 2006-06-19 2008-10-17 Saint Gobain Ct Recherches Ciment de jointoiement a spheres creuses pour filtre a particules.
JP2008247212A (ja) 2007-03-30 2008-10-16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952422B2 (ja) 2007-07-19 2012-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31137B2 (ja) * 2009-12-10 2014-03-05 タカタ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車両用シート、インフレータのガス整流器、ガス整流器のインフレータへの組み付け方法
EP3100917B1 (en) * 2014-01-27 2019-03-27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JP6274420B2 (ja) * 2014-03-20 2018-02-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14010188B4 (de) * 2014-07-10 2024-02-22 Autoliv Development Ab Knieschutz-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nd Kniegassackmodul zur Verwendung in einer solchen Knieschutz-Einrichtung
JP6229612B2 (ja) * 2014-07-23 2017-11-15 豊田合成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6030538A (ja) 2014-07-29 2016-03-07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EP2979933B1 (en) 2014-07-29 2018-06-20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ribag apparatus
JP6451548B2 (ja) 2014-08-07 2019-01-16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5412B2 (ja) * 2015-07-11 2018-12-0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保護装置
EP3127758B1 (en) * 2015-08-07 2019-05-15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irbag apparatus for deployment between adjacent vehicle seats
JP6561942B2 (ja) * 2016-08-22 2019-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US11214223B2 (en) * 2017-11-02 2022-01-04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EP3744579B1 (en) * 2018-01-26 2024-05-15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 bag device and vehicle seat with same
CN113423617B (zh) * 2018-12-21 2023-05-02 奥托立夫开发公司 侧面安全气囊装置及其制造方法、具备该装置的车辆座椅
WO2021100335A1 (ja) * 2019-11-20 2021-05-2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2133976A (ja) * 2021-03-02 2022-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2133977A (ja) * 2021-03-02 2022-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4075A (ja) * 2006-05-26 2007-12-06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9255706A (ja) 2008-04-16 2009-11-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16124382A (ja) 2014-12-26 2016-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側突荷重伝達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8322A1 (en) 2022-04-06
US11752965B2 (en) 2023-09-12
US20220227326A1 (en) 2022-07-21
EP3978322A4 (en) 2023-07-05
JP7449930B2 (ja) 2024-03-14
CN113825678A (zh) 2021-12-21
WO2020241020A1 (ja) 2020-12-03
KR20220002684A (ko) 2022-01-06
CN113825678B (zh) 2023-07-04
JPWO2020241020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278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5687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이것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JP64141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CN112292290B (zh) 侧面安全气囊装置以及具备该侧面安全气囊装置的车辆用座椅
US11254276B2 (en) Side airbag apparatus and vehicle seat including the same
JPWO2020162065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078742B2 (ja) 車両用シート
CN109795440B (zh) 车辆用侧气囊装置
JP679002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6865723B2 (ja) 車両用シート
JPWO2018179844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5052785B (zh) 侧面安全气囊装置
JP7314107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2209259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