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277A -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277A
KR20180016277A KR1020170096035A KR20170096035A KR20180016277A KR 20180016277 A KR20180016277 A KR 20180016277A KR 1020170096035 A KR1020170096035 A KR 1020170096035A KR 20170096035 A KR20170096035 A KR 20170096035A KR 20180016277 A KR20180016277 A KR 20180016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airbag
height
rectify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600B1 (ko
Inventor
미츠요시 오노
이쿠오 야마다
미키네 하야시
? 이토
šœ 이토
다카히로 고지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01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1/262Elongated tubular diffusers, e.g. curtain-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9Obliqu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23Offset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60R2021/01027Safing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5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combination of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과제)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가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보다도 낮은 조수석용 에어백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에 스페이서 등을 형성하는 일 없이, 조수석용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킨다.
(해결 수단) 모듈 케이스(26) 내에는,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의 쪽이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보다도 낮은 조수석용 에어백(40)이 수용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26)의 제 1 에어백부(62)측에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의 인플레이터(30)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30)는,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62)의 상면(62B)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64)의 상면(64B)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80)의 높이를 제 2 에어백부(64)의 하면(64B)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82)의 높이보다도 높게 하는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다.

Description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FRONT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본 개시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수석에 착좌한 탑승자의 차량 전후 방향 전측에서 팽창 전개되는 제 1 에어백부와, 제 1 에어백부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제 1 에어백부의 후단부보다도 더욱 차량 후방측으로 팽출되는 제 2 에어백부를 구비한 조수석용 에어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037127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31808호 공보 참조). 상기 구조의 조수석용 에어백은 차량 평면에서 보아 좌우 비대칭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좌우 비대칭 구조의 조수석용 에어백」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조수석에 착좌하고 있는 탑승자를 「조수석 탑승자」라고 칭하고, 운전석에 착좌하고 있는 탑승자를 「운전석 탑승자」라고 칭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037127호 공보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서는,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가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보다도 낮아지는 것 을 감안하여, 에어백 도어의 이면의 제 1 에어백부측에 쌍방의 접힌 높이의 차이에 상당하는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도어의 이면이 제 1 에어백부로부터 받는 전개 하중과 제 2 에어백부로부터 받는 전개 하중이 대략 균일화되고, 에어백 도어가 좌우로 치우치는 일 없이 전개되고, 좌우 비대칭 구조의 조수석용 에어백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경우, 에어백 도어의 이면에 있어서의 제 1 에어백부측에 스페이서 등을 설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창 전개했을 때에 제 1 에어백부가 스페이서에 강하게 부딪힌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 등이 에어백 도어의 이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31808호 공보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도,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접힌 높이(H2)」)가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접힌 높이(H1)」)보다도 약간 높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31808호 공보의 도 1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에 대하여, 도 5(B)에 나타난 제 1 변형예의 높이 차이의 제 1 인플레이터와 제 2 인플레이터를 적용하면, 접힌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에어백부를, 높이가 높은 쪽의 제 1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037127호 공보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스페이서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31808호 공보에 기재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경우, 다른 과제가 발생한다. 즉, 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서는, 차량평면에서 보아,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의 접힌 폭(「접힌 길이(L2)」)의 쪽이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폭(「접힌 길이(L1)」)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에어백부와 제 2 에어백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의 초기 팽창을 이용하여, 제 2 에어백부를 제 1 에어백부보다도 먼저 팽창 전개시키는 것을 기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령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31808호 공보의 도 1(A)에 나타나는 조수석용 에어백에 도 5(B)에 나타나는 높이 차이의 제 1 인플레이터 및 제 2 인플레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스페이서가 탈락할 가능성 등을 배제할 수 있었다고 해도, 접힌 길이가 긴 제 2 에어백부의 쪽이 접힌 길이가 짧은 제 1 에어백부보다도 먼저 에어백 도어를 전개시키는 것에 변함은 없다. 따라서, 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경우, 에어백 도어의 이면측에 대략 균일한 전개 하중을 작용시켜 에어백 도어를 좌우 대략 균일하게 전개시킬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상기 문헌에 기재된 어느 기술에 있어서도, 제 1 에어백부의 팽창 전개시에 스페이서를 탈락 등시키지 않는 일과, 에어백 도어를 대략 균일하게 전개시켜 좌우 비대칭 구조의 조수석용 에어백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키는 일의 양립은 어렵고, 이 점에 있어서 상기 문헌에 기재된 기술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가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보다도 낮은 조수석용 에어백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에 스페이서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조수석용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 1 태양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로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조수석측에 설치된 에어백 도어의 이면측에 배치된 모듈 케이스와,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으로 접혀 상기 모듈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의 쪽이, 상기 제 1 에어백부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보다도 낮고, 또한,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부터 보아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폭과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폭이 동일하게 된 조수석용 에어백과, 상기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측에 배치되고, 작동함으로써 상기 조수석용 에어백 내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용 에어백보다도 바닥부측에 배치되고, 접힌 상태의 상기 제 1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상기 제 2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 1 에어백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의 높이를 상기 제 2 에어백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하는 높이 올리기 부재를 가지고 있다.
본 태양에 의하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조수석측에 에어백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백 도어의 이면측에 모듈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 케이스 내에 제 1 에어백부 및 제 2 에어백부를 가지는 조수석용 에어백이 접힌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전면 충돌시가 되면,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측에 배치된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여, 가스가 발생한다. 발생한 가스는 조수석용 에어백 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조수석용 에어백이 조수석 탑승자를 향하여 팽창 전개된다. 즉, 제 1 에어백부가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 전개됨과 함께, 제 2 에어백부가 제 1 에어백부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이면서 차량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즉, 조수석용 에어백은, 차량 평면에서 보아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팽창 전개된다.
여기에서, 조수석용 에어백은, 에어백 도어측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으로 접혀 있으며,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폭과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폭이 동일하게 된다. 또한,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의 쪽이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보다도 낮다.
그러나, 본 태양에서는, 높이 올리기 부재에 의해,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제 1 에어백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의 높이가, 제 2 에어백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된다. 그 결과,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창 전개될 때에, 제 1 에어백부의 상면이 에어백 도어의 이면을 가압하는 전개 하중과 제 2 에어백부의 상면이 에어백 도어의 이면을 가압하는 전개 하중이 대략 동일해진다. 이 때문에, 에어백 도어는 제 1 에어백부측과 제 2 에어백부측에서 대략 동일한 타이밍으로 전개되고, 조수석용 에어백의 전개 거동이 안정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직사각형」은, 완전한 직사각형이 포함되는 외에,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폭과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폭이 동일」은, 양자의 폭이 완전하게 동일한 경우가 포함되는 외에, 양자의 폭이 완전하게 동일하지 않지만 동일에 가까운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는, 조수석용 에어백의 모듈 케이스로의 고정 위치로부터의 높이가 아닌, 제 1 에어백부가 접혀 한 덩어리로 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이다. 마찬가지로,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는, 조수석용 에어백의 모듈 케이스로의 고정 위치로부터의 높이가 아닌, 제 2 에어백부가 접혀 한 덩어리로 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이다. 또한,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도록」은,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와 대략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와 완전하게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높이 올리기 부재」에는, 인플레이터가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는 구성과, 인플레이터와 별개로 높이 올리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의 양쪽이 포함된다.
또한,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에어백 도어의 이면에 스페이서 등을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어 가는 과정에서, 제 1 에어백부가 스페이서 등에 걸려, 스페이서 등에 과도한 전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태양에서는, 높이 올리기 부재는 모듈 케이스에 있어서 조수석용 에어백보다도 바닥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어 가는 과정에서, 높이 올리기 부재가 제 1 에어백부에 걸리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태양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가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보다도 낮은 조수석용 에어백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에 스페이서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조수석용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고, 상기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인플레이터는 제 1 에어백부측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제 1 에어백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즉, 인플레이터가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게다가 제 1 에어백부와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의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인플레이터가 제 2 에어백부측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에어백부와 제 2 에어백부의 보다 큰 고저차를 인플레이터로 메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제 1 에어백부와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가 상이한 조수석용 에어백을 수용하면서 장치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차량으로의 탑재성의 향상에 이바지한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되면서 제 1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되면서 제 2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2 정류부와, 상기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 1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를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하는 제 1 단차부를 포함하는 제 1 정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상기 제 1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정류 부재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 1 에어백부측에는 제 1 정류 부재의 제 1 정류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에어백부측에는 제 1 정류 부재의 제 2 정류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정류부는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고 있으며,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면, 가스의 일부는 제 1 정류 구멍을 통하여 제 1 에어백부 내로 공급된다. 또한, 남은 가스는, 제 2 정류 구멍을 통하여 제 2 에어백부 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다.
여기에서, 본 구성에서는, 제 2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제 1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된 가스가 제 1 에어백부 및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의 고저에 따라서 밸런스 좋게 분배된다. 또한, 제 1 정류 부재의 형상(제 1 단차부의 높이)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지지면에 대한 제 1 지지면의 높이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를 제 1 에어백부 및 제 2 에어백부의 각각으로 적절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제 2 지지면 에 대한 제 1 지지면의 높이를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와,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의 높이의 쪽이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상기 제 1 인플레이터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 1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1 에어백부 내로 공급되고, 제 2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2 에어백부 내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본 구성에서는, 제 1 에어백부측에는 제 1 인플레이터가 배치되고, 또한 제 2 에어백부측에는 제 2 인플레이터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 1 인플레이터만으로는 출력이 부족한 경우에, 그 부족분을 제 2 인플레이터로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 및 제 2 인플레이터는 모두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이고,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의 높이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제 1 지지면이 되고, 제 2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인플레이터를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의 높이」는,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의 상면(바닥면)으로부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의 높이」는,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의 상면(바닥면)으로부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 지지면을 구성하는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 및 제 2 지지면을 구성하는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은, 요철이 없는 원형의 평면 또는 요철이 있어도 기복이 적은 원형의 대략 평면에 의해 구성된다. 그 결과, 제 1 지지면으로부터 반력을 얻어 팽창 전개되는 제 1 에어백부로부터 에어백 도어의 이면에 작용하는 전개 하중과, 제 2 지지면으로부터 반력을 얻어 팽창 전개되는 제 2 에어백부로부터 에어백 도어의 이면에 작용하는 전개 하중이 대략 균일해진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조수석용 에어백의 용량이 큰 경우에도 대응이 가능함과 함께, 에어백 도어의 전개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조수석용 에어백의 전개 거동을 한층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는,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는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 구성에서는, 본체의 높이가 상이한 2종류의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가 사용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는, 디스크형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축선 방향의 길이이다. 이 때문에,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와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의 차이에 상당하는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제 1 에어백부측에, 본체의 높이가 높아 상대적으로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는 제 1 인플레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조수석용 에어백의 신속한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에서의 전개 신뢰성과 장치의 소형화에 의한 차량으로의 탑재성의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와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는 동일하게 되고,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제 1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의 쪽이,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제 2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와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는 동일하게 된다. 즉, 본 구성에서는, 본체의 높이가 동일한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제 1 인플레이터와 제 2 인플레이터에서는,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제 1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제 2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인플레이터의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는,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플랜지의 하면까지의 축선 방향의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제 1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제 1 플랜지의 상면으로부터 본체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제 2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제 2 플랜지의 상면으로부터 본체의 상면까지의 높이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와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의 차이에 상당하는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제 1 에어백부측에, 제 1 인플레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제 1 인플레이터를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를 설치하는 높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제 1 인플레이터 및 제 2 인플레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는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는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예를 들면 제 2 인플레이터로서 사용하면,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를 바꾼 제 1 인플레이터만을 준비하면 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는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부품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와,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는, 상기 제 1 인플레이터가 고정되는 제 1 바닥부와, 상기 제 2 인플레이터가 고정되는 제 2 바닥부와, 상기 제 1 바닥부의 높이가 상기 제 2 바닥부의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제 1 바닥부와 제 2 바닥부를 연결하는 제 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가 평탄한 형상이 아닌 제 2 단차부를 설치함으로써, 제 1 바닥부의 높이의 쪽이 제 2 바닥부의 높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바닥부에는 제 1 인플레이터가 고정되고, 제 2 바닥부에는 제 2 인플레이터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모듈 케이스에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제 1 인플레이터 및 제 2 인플레이터의 사양을 바꾸지 않고, 제 2 단차부의 높이를 바꿈으로써, 여러가지 차종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와,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측에만,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으면서 제 3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3 정류부를 포함하는 제 2 정류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정류 부재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3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이 되고,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 1 에어백부측에는 제 1 인플레이터가 배치되고, 제 2 에어백부측에는 제 2 인플레이터가 배치된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제 1 인플레이터측에만, 제 1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도록 제 2 정류 부재가 배치된다. 제 2 정류 부재의 제 3 정류부에는 제 3 정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3 정류부의 상면이, 제 1 에어백부의 하면과 대향되는 제 1 지지면이 되고, 제 2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제 2 지지면이 된다. 따라서, 제 2 정류 부재가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제 2 정류 부재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제 1 에어백부측에 높이 올리기 부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정류 부재가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제 1 인플레이터 및 제 2 인플레이터에는, 예를 들면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된 고온의 가스를 제 3 정류부가 일단 트랩함으로써, 제 1 에어백부가 고온의 가스를 직접 받는 일이 줄어든다.
따라서, 본 구성에서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와 공통의 인플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인플레이터의 사양이 줄어들고, 그 만큼,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에어백부가 가스의 열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와,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되면서 제 4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4 정류부와,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되면서 제 5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5 정류부와, 상기 제 4 정류부와 상기 제 5 정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의 쪽이 상기 제 5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된 제 3 정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정류 부재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4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이 되고, 상기 제 5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 1 에어백부측에는 제 1 인플레이터가 배치되고, 제 2 에어백부측에는 제 2 인플레이터가 배치된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제 4 정류부, 제 5 정류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 3 정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인플레이터와 제 1 에어백부의 사이에는 제 4 정류부가 배치되고, 제 1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4 정류 구멍을 통하여 제 1 에어백부 내로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인플레이터와 제 2 에어백부의 사이에는 제 5 정류부가 배치되고, 제 2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5 정류 구멍을 통하여 제 2 에어백부 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게, 제 3 정류 부재를 추가 하는 것만으로 제 1 에어백부측에 높이 올리기 부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정류 부재가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제 1 인플레이터 및 제 2 인플레이터에는, 예를 들면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된 고온의 가스를 제 3 정류부가 일단 트랩함으로써, 제 1 에어백부가 고온의 가스를 직접 받는 일이 줄어든다. 마찬가지로, 제 2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된 고온의 가스를 제 4 정류부가 일단 트랩함으로써, 제 2 에어백부가 고온의 가스를 직접 받는 일이 줄어든다.
따라서, 본 구성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의한 효과의 외에, 제 1 에어백부만이 아닌 제 2 에어백부가 가스의 열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도 억제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축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형 인플레이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형 인플레이터와 상기 제 1 에어백부 및 상기 제 2 에어백부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실린더형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으면서, 상기 제 1 에어백부의 하면과 대향하여 제 6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6 정류부와, 상기 제 2 에어백부의 하면과 대향하여 제 7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7 정류부와, 상기 제 6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의 쪽이 상기 제 7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제 6 정류부와 제 7 정류부를 연결하는 제 3 단차부를 포함하는 제 4 정류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7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상기 제 6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정류 부재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6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이 되고, 상기 제 7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인플레이터로서, 축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형 인플레이터가 이용된다. 실린더형 인플레이터와 제 1 에어백부 및 제 2 에어백부의 사이에는, 실린더형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는 제 4 정류 부재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4 정류 부재는, 제 6 정류부, 제 7 정류부 및 제 3 단차부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와 제 1 에어백부의 사이에는 제 6 정류부가 배치되고,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6 정류 구멍을 통하여 제 1 에어백부 내로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인플레이터와 제 2 에어백부의 사이에는 제 7 정류부가 배치되고,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7 정류 구멍을 통하여 제 2 에어백부 내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본 구성에서는, 제 7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제 6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형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제 1 에어백부와 제 2 에어백부로 밸런스 좋게 분배된다. 또한, 제 4 정류 부재의 형상(제 3 단차부의 높이)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지지면에 대한 제 1 지지면의 높이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가스를 제 1 에어백부가 직접 받는 것에 의한 제 1 에어백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가스를 제 2 에어백부가 직접 받는 것에 의한 제 2 에어백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한 가스를 제 1 에어백부 및 제 2 에어백부의 각각으로 적절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제 2 지지면에 대한 제 1 지지면의 높이를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고, 또한 제 1 에어백부 및 제 2 에어백부가 가스의 열에 의해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도 2의 1-1선을 따라 차량 폭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가 작동하여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가 작동하여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를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는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하여, 디스크형 인플레이터 대신 실린더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5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6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전체 구성>
이하, 도 1∼도 5를 이용하여,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나타나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UP은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IN은 차량 폭 방향 내측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는, 왼쪽 핸들차용인 것이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2)의 조수석측의 상면부(12A)의 차량 하방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는, 상면부(12A)측에 설치된 에어백 도어(14)와, 에어백 도어(14)의 이면측(차량 하방측)에 배치된 에어백 모듈(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2)의 상면부(12A)는, 수지제의 기재(12A1)와, 기재(12A1)의 표면측에 설치된 표피층(12A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서, 표피층(12A2)은, 의장면을 구성하는 표피와, 표피의 이면과 기재(12A1)의 표면의 사이에 설치된 발포층의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표피층(12A2)을 표피만으로 해도 된다.
조수석측의 상면부(12A)의 기재(12A1)에는, 차량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기재(12A1)의 개구(18)의 주연부(18A)는, 기재(12A1)의 차량 하방측으로 내려가는 단차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18)를 막도록 기재(12A1)와는 상이하게 극저온에서도 깨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 에어백 도어(14)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 도어(14)의 하면에는, 차량 하방이면서 전방으로 향하여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다리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20)에 있어서의 전후의 벽부의 하부에는, 각각 직사각형의 관통 구멍으로 된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앵커 구멍이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 도어(14)에 있어서의 다리부(20)의 내측(다리부(20)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단면 형상이 역 V자 형상의 노치로 구성된 박육부(티어 라인)(24)가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24)는 에어백 도어(14)의 이면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H형(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개의 「Y」자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옆으로 넘어뜨려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도어(14)는, 소정값 이상의 전개 하중이 작용하면, 박육부(24)의 중심으로부터 파단하여 박육부(24)를 따라 개열되어 가고,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의 사방으로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박육부(24)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량 평면에서 보아 H형의 박육부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에어백 도어는, 차량 전후 방향의 2방향으로 전개된다. 또한, 차량 평면에서 보아 U형의 박육부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에어백 도어는, 차량 전후 방향의 일 방향으로 전개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에어백 도어(14)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2)에 일체화된 타입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인스트루먼트 패널과는 별개로 구성된 에어백 도어를 채용해도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16)은, 대략 상자체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모듈 케이스(26)를 구비하고 있다. 모듈 케이스(26)에 있어서의 전후의 측벽부(26A)의 외측면에는, 에어백 도어(14)를 모듈 케이스(26)에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 도구(28)가 장착되어 있다. 걸림 도구(28)는, 띠 형상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측벽부(26A)에 고정되는 본체부(28A)와, 본체부(28A)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돌출된 복수의 후크(2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후크(28B)의 피치는, 전술한 복수의 앵커 구멍의 피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후크(28B)는, 대응되는 앵커 구멍에 걸림 가능한 상하 역 방향의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26)의 후크(28B)는, 에어백 도어(14)의 다리부(20)의 앵커 구멍에 각각 걸려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26)의 바닥부측에는, 작동함으로써 후술하는 조수석용 에어백(40) 내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를, 도 2의 1-1선을 따라 차량 폭 방향으로 절단된 상태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지만, 인플레이터(30)는 절단하지 않고 도시되어 있다. 인플레이터(30)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 방향의 양단이 막힌 원통 형상의 본체(30A)와, 본체(30A)의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판 형상의 플랜지(3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서, 인플레이터(30)의 외곽을 구성하는 인플레이터 케이스(32)는, 금속제로 해트형으로 형성된 어퍼 케이스(32A)와, 금속제로 축 방향의 일단부가 막힌 반원통 형상의 로어 케이스(32B)를 축 방향으로 접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어퍼 케이스(32A)의 주벽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가스 분출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플랜지(30B)는 어퍼 케이스(32A)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로어 케이스(32B)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랜지(30B)로서는, 인플레이터(30)의 축 방향에서 보아 고리형을 이루는 것이나, 고리형으로 형성된 플랜지 본체로부터 90도 간격으로 장착용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30)에서는, 가스 발생제를 이용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방식을 채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고압 가스 봉입 방식의 인플레이터나 가스 발생제와 고압 가스의 양쪽을 사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인플레이터를 채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도 3을 이용하여, 조수석용 에어백(4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전개 완료 상태의 조수석용 에어백(40)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와 차량 측면에서 보았을 때로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수석용 에어백(40)은, 인플레이터(30)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해 조수석측으로 팽창 전개되는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와,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센터 에어백부(4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에는, 좌우의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커튼 에어백 장치(46)(도 2 참조)가 각각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측면 충돌시, 미소 랩 충돌시, 사선 충돌시, 롤 오버시에 작동하고, 루프 헤드 라이닝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말부를 탄성 변형시켜 커튼 에어백(46A)을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팽창 전개시킨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2)의 상면부(12A)로부터 팽출되면, 상면부(12A)와 차량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 윈드쉴드 유리(48)에 일단 맞닿는다. 그 후,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는, 상면부(12A)와 윈드쉴드 유리(48)에 반력을 취하여 조수석측(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팽창 전개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개 완료 상태의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후단부에는, 풀 랩 전면 충돌시에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를 구속하기 위한 제 1 헤드부 구속면(50)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헤드부 구속면(50)은, 조수석 탑승자측으로부터 보아 대체로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헤드부 구속면(50)은, 상변의 중점(中點)과 하변의 중점을 연결한 상하 방향선에 대하여 대략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과 우측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B)은, 모두 조수석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부풀어 오르는 볼록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 50B)의 경계부에 형성되면서 차량 전방측으로 들어간 제 1 홈부(51)로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를 받아 내고, 좌우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 50B)으로 헤드부(H)를 사이에 끼워, 차량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둘레로 헤드부(H)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센터 에어백부(44)는,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센터 에어백부(44)는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보다도 높이가 낮고, 또한,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후단부보다도 차량 후방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이하, 센터 에어백부(44)에 있어서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후단부보다도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센터 에어백부(44)의 팽출부(44A)」라고 칭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개 완료 상태에서는, 센터 에어백부(44)는,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와 동일하게, 인스트루먼트 패널(12)의 상면부(12A)와 윈드쉴드 유리(48)에 반력을 취하여 차량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센터 에어백부(44)의 팽출부(44A)의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측을 향하는 측면이 제 2 헤드부 구속면(52)으로 되어 있다. 제 2 헤드부 구속면(52)은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으로 되어 있으며, 좌측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속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과 제 2 헤드부 구속면(52)이 교차하는 부위에는, 차량 전방측이면서 차량 폭 방향 내측이 되는 비스듬하게 전방측으로 들어간 제 2 홈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사선 충돌시 등에 제 2 홈부(54)에서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를 받아 내고, 좌측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과 제 2 헤드부 구속면(52)으로 헤드부(H)를 사이에 끼워, 차량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둘레로 헤드부(H)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의 전개 완료 상태」는,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후단부에 제 1 헤드부 구속면(50A, 50B)이 형성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센터 에어백부의 전개 완료 상태」는, 센터 에어백부(44)에 있어서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측을 향하는 측면에 제 2 헤드부 구속면(52)이 형성된 상태를 말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의 전개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30)의 점화 장치는, 제어부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5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ECU(56)는, 충돌 검지 센서(58)와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충돌 검지 센서(58)의 종류로서는, 일 예로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속도 센서를 복수 이용함으로써, 충돌한 것 외에, 충돌 형태 등을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전부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전단부 부근에 도시하지 않는 프론트 새틀라이트 센서를 각각 배치하여 설치함과 함께, 센터 콘솔(60)의 하방의 플로어에 도시하지 않는 플로어 센서를 배치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좌우의 새틀라이트 센서에 의해 대략 동등하게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 가속도가 검출되면, 자차량이 풀 랩 전면 충돌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새틀라이트 센서 중 어느 일방측만에서, 소정의 문턱값 이상의 큰 가속도가 검출된 경우는, 자차량이 오프셋 충돌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준이 되는 문턱값을 미리 복수 설정해 두고, 좌우의 새틀라이트 센서 중 어느 일방측만에서, 보다 높은 쪽의 문턱값을 초과하는 가속도를 검출한 경우에는, 검출된 새틀라이트 센서측에서 미소 랩 충돌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새틀라이트 센서와 플로어 센서에 의해 각각 검출된 가속도의 파형으로부터 사선 충돌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 충돌 판정 시스템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에 더하여 차량 탑재 카메라를 이용한 방법 등)에 의해 충돌 형태를 판정해도 된다.
충돌 형태에 대해서 보충 설명하면, 「사선 충돌(오블리크 충돌)」은, 예를 들면 미국의 국가 도로 교통 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에서 규정되는 비스듬하게 전방으로부터의 충돌(일 예로서, 충돌 상대방과의 상대각 15°, 차폭 방향의 랩량 35% 정도의 충돌)이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일 예로서 상대 속도 90㎞/hr에서의 사선 충돌이 상정되어 있다. 또한, 미소 랩 충돌은, 자동차의 전면 충돌 중, 예를 들면 미국 도로 안전 보험 협회(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IIHS)에 있어서 규정되는 충돌 상대방과의 차폭 방향의 랩량이 25% 이하의 충돌이 된다. 예를 들면, 차체 골격인 프론트 사이드 멤버보다도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의 오프셋 전면 충돌이 미소 랩 충돌에 해당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일 예로서 상대 속도 64㎞/hr에서의 미소 랩 충돌이 상정되어 있다. 또한, 「풀 랩 전면 충돌」은, 시험차를 시속 55㎞/hr로 콘크리트제의 장벽(배리어)에 정면 충돌시켰을 때의 충돌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요부의 구성>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조수석용 에어백(40)은, 에어백 도어측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으로 접혀 모듈 케이스(26)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수석용 에어백(40)은, 에어백 모듈(16)의 중심선(CL1)(차량 평면에서 보아 모듈 케이스(26)의 차량 폭 방향의 중간점을 통하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1 에어백부(62)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선(CL1)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2 에어백부(64)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 에어백부(44)는, 제 2 에어백부(64)의 측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수석용 에어백(40)은, 에어백 도어(14)측으로부터 보아,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폭(B1)과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폭(B2)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도 1도 참조).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직사각형」은, 완전한 직사각형이 포함되는 외에,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장변이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폭(B1)과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폭(B2)이 동일」은, 양자의 폭(B1과 B2)이 완전하게 동일한 경우가 포함되는 외에, 양자의 폭(B1과 B2)이 완전하게 동일하지 않지만 동일에 가까운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수석용 에어백(40)이 모듈 케이스(26)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에어백 모듈(16)의 중심선(CL2)(차량 정면에서 보아 모듈 케이스(26)의 차량 폭 방향의 중간점을 통하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제 1 에어백부(62)가 배치되고, 중심선(CL2)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제 2 에어백부(6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의 쪽이, 제 1 에어백부(6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는, 후술하는 에어백 리테이너(74)에 의해 조수석용 에어백(40)의 제 1 에어백부(62)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 고정된 위치로부터의 높이가 아닌, 제 1 에어백부(62)가 접혀 한 덩어리로 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이며, 구체적으로는, 접힌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으로부터 상면(62B)까지의 높이이다. 마찬가지로,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는, 조수석용 에어백(40)의 모듈 케이스(26)로의 고정 위치로부터의 높이가 아닌, 제 2 에어백부(64)가 접혀 한 덩어리로 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이며, 구체적으로는, 접힌 제 2 에어백부(64)의 하면(64A)으로부터 상면(64B)까지의 높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 2 에어백부(64)에 대해서는, 그 하면(64A)이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 직접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조수석용 에어백(40)의 모듈 케이스(26)로의 고정 위치로부터의 높이와 결과적으로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조수석용 에어백(40)은, 접힌 상태에서 보호천(패키지 클로스)(66)에 의해 롤 형상으로 덮여 있다. 보호천(66)의 일단부는 조수석용 에어백(40)에 봉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보호천(66)의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스터드 볼트(76)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천(66)에 의해 조수석용 에어백(40)이 접힌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보호천(66)의 에어백 도어(14)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의 파단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천(66)에 전개 하중이 작용하면, 보호천(66)은 파단부(66A)를 따라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30)가 제 1 에어백부(62)측에만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인플레이터(30)는,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 있어서의 제 1 에어백부(62)측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는, 제 1 에어백부(62)와 차량 상하 방향에 대향되는 위치에만 원형의 인플레이터 장착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장착 구멍(68)의 내경은, 인플레이터(30)의 본체(30A)의 외형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30)는,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차량 하방측(모듈 케이스(26)의 외측)으로부터 인플레이터 장착 구멍(68) 내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30)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인플레이터가 모듈 케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구성을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인플레이터(30)의 플랜지(30B)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인플레이터(30)의 가스 분출부(70)(적어도 가스 분출 구멍(34)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여기에서는 어퍼 케이스(32A)에 있어서 인플레이터(30)의 플랜지(30B)의 상면보다 상측의 부분으로 한다)가, 전술한 인플레이터 장착 구멍(68) 내로 삽입되어 있다. 제 1 에어백부(62) 내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장착 구멍(68)의 주연부에는, 금속제로 되면서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백 리테이너(74)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 리테이너(74)에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스터드 볼트(76)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76)는, 제 1 에어백부(62)의 인플레이터 삽입부(72)의 주연부 및 전술한 보호천(66)을 관통한 후,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 내로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스터드 볼트(76)는, 인플레이터(30)의 플랜지(30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 내로 삽입 통과된 후, 플랜지(30B)의 하방측으로부터 너트(7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에어백부(62)의 인플레이터 삽입부(72)의 주연부가 에어백 리테이너(74)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조수석용 에어백(40) 및 인플레이터(30)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30)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은, 인플레이터(30)의 본체(30A)의 상면(제 1 지지면(8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제 2 에어백부(64)의 하면(64A)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상면(제 2 지지면(8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은, 인플레이터(30)의 본체(30A)의 상면(제 1 지지면(80))에 의해 높이(H3)만큼 높이 올리기되어 있다. 높이(H3)는, 구체적으로는 인플레이터(30)의 본체(30A)에 있어서,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상면(제 2 지지면(82))으로부터 에어백 도어(14)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의 높이가 된다. 전술한 인플레이터 케이스(32)와의 관계에서는, 어퍼 케이스(32A)의 전체 높이로부터 플랜지(30B)의 판두께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판두께를 뺀 높이가 된다.
또한, 전술한 높이(H3)는,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와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의 고저차에 상당한다. 이에 따라,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는,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62)의 상면(62B)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64)의 상면(64B)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에서는, 인플레이터(30)의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상면(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H3)가,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와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의 고저차에 대략 일치하도록, 인플레이터(30)가 설계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62)의 상면(62B)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64)의 상면(64B)의 높이와 일치하도록」은,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62)의 상면(62B)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64)의 상면(64B)의 높이와 대략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62)의 상면(62B)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64)의 상면(64B)의 높이와 완전하게 일치할 필요는 없고, 상면(62B)과 상면(64B)의 사이에 다소의 단차가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술한 인플레이터(30)는,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62)의 상면(62B)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64)의 상면(64B)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80)의 높이를 제 2 에어백부(64)의 하면(64A)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82)의 높이보다도 높게 하는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통상의 차량 주행시에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는 비작동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에어백부(62) 및 제 2 에어백부(64)를 가지는 조수석용 에어백(40)은 모듈 케이스(26) 내에 접힌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전면 충돌시가 되면, 충돌 검지 센서(58)에 의해 전면 충돌한 것이 검지되고, 충돌 검지 신호가 충돌 검지 센서(58)로부터 ECU(56)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ECU(56)는, 인플레이터(30)의 점화 장치에 소정의 전류를 통전시킨다. 그 결과, 인플레이터(30)가 작동하여, 가스가 발생한다. 발생한 가스는 가스 분출 구멍(34)으로부터 분출되어 접힌 상태의 조수석용 에어백(40) 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조수석용 에어백(40)이 조수석 탑승자를 향하여 팽창 전개된다. 즉, 제 1 에어백부(62)가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 전개됨과 함께, 제 2 에어백부(64)가 제 1 에어백부(6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이면서 차량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즉, 조수석용 에어백(40)은, 차량 평면에서 보아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팽창 전개된다.
예를 들면, 풀 랩 전면 충돌시에는,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는, 차량 전후 방향 전측(도 2의 화살표 X 참조)으로 관성 이동한다. 관성 이동한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는,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의 제 1 홈부(51)에서 받아 낸다. 그 결과, 좌우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 50B)으로 헤드부(H)가 사이에 끼워져, 차량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둘레로 헤드부(H)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운전석측으로의 사선 충돌시 등에는,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는, 충돌 방향측인 차량 전방측이면서 차량 폭 방향 내측인 차량 비스듬하게 전방(도 2의 화살표 Y 참조)으로 관성 이동한다. 관성 이동한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는, 조수석 탑승자측으로부터 보아 좌측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과 제 2 헤드부 구속면(52)이 교차하는 제 2 홈부(54)에서 받아 낸다. 그 결과, 좌측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A)과 제 2 헤드부 구속면(52)으로 헤드부(H)가 사이에 끼워져, 차량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둘레로 헤드부(H)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차량 전부의 조수석측으로의 사선 충돌시 등의 경우에는, 차량 전부의 운전석측으로의 사선 충돌시 등과는 상이하게,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는 차량 전방측이면서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비스듬하게(도 2의 화살표 Z 참조) 관성 이동한다. 이 경우, 루프 헤드 라이닝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말부를 탄성 변형시켜 커튼 에어백(46A)이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그리고, 커튼 에어백(46A)과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우측의 제 1 헤드부 구속면(50B)으로 조수석 탑승자의 헤드부(H)의 구속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전술한 조수석용 에어백(40)은, 에어백 도어(14)측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으로 접혀 있고,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폭(B1)과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폭(B2)이 동일하게 된다. 또한,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의 쪽이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보다도 낮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는 인플레이터(30)에 의해, 접힌 상태의 제 1 에어백부(62)의 상면(62B)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제 2 에어백부(64)의 상면(64B)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80)의 높이가, 제 2 에어백부(64)의 하면(64A)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82)의 높이보다도 높게 된다. 그 결과, 조수석용 에어백(40)이 팽창 전개할 때에, 제 1 에어백부(62)의 상면(62B)이 에어백 도어(14)의 이면을 가압하는 전개 하중과 제 2 에어백부(64)의 상면(64B)이 에어백 도어(14)의 이면을 가압하는 전개 하중이 대략 동일해진다. 이 때문에, 에어백 도어(14)는 제 1 에어백부(62)측과 제 2 에어백부(64)측이 대략 동일한 타이밍에서 전개되고, 조수석용 에어백(40)의 전개 거동이 안정된다.
또한,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에어백 도어의 이면에 스페이서 등을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어 가는 과정에서, 제 1 에어백부가 스페이서 등에 걸려, 스페이서 등에 과도한 전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의 인플레이터(30)는 모듈 케이스(26)에 있어서 조수석용 에어백(40)보다도 저벽부(26B)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수석용 에어백(40)이 팽창 전개되어 가는 과정에서, 높이 올리기 부재(인플레이터(30))가 제 1 에어백부(62)에 걸리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는,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가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보다도 낮은 조수석용 에어백(40)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14)에 스페이서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조수석용 에어백(40)의 팽창 전개시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30)는 제 1 에어백부(62)측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30)의 상면이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80)으로 되어 있다. 즉, 인플레이터(30)가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게다가 제 1 에어백부(62)와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의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인플레이터(30)가 제 2 에어백부(64)측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에어백부(62)와 제 2 에어백부(64)의 보다 큰 고저차를 인플레이터(30)로 메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제 1 에어백부(62)와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가 상이한 조수석용 에어백(40)을 수용하면서도 장치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차량으로의 탑재성의 향상에 이바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의 인플레이터(30)를 이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통 형상의 실린더형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축 방향 길이가 모듈 케이스(26)의 장변의 길이의 절반 정도밖에 없는 짧은 편인 실린더형의 인플레이터(84)가, 차량전후 방향으로 복수개(2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84)는,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 1 에어백부(62)측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나는 구성에서도,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2 실시 형태]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9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90)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제 1 정류 부재」로서의 디퓨저(92)를 부가한 점에 특징이 있다.
조수석용 에어백(40)의 내부에는, 금속제의 디퓨저(92)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디퓨저(92)는, 제 1 에어백부(62)측에 배치된 제 1 정류부(94)와, 제 2 에어백부(64)측에 배치된 제 2 정류부(96)와, 제 1 정류부(94)와 제 2 정류부(96)를 연결하는 「제 1 단차부」로서의 단차부(98)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디퓨저(92)는 전술한 에어백 리테이너(74)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디퓨저(92)의 외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스터드 볼트(76)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 1 정류부(94)는, 인플레이터(30)의 가스 분출부(70)를 덮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정류부(94)의 상벽 및 주벽에는, 복수의 제 1 정류 구멍(10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정류부(94)의 상면에는, 제 1 에어백부(62)가 탑재되어 있다. 즉, 제 1 정류부(94)의 상면이 제 1 지지면(102)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부호의 인출선의 인출 위치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을 제 1 정류부(94)의 상면(제 1 지지면(102))으로부터 조금 뜨게 한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이 점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7 이후에도 동일하다.).
한편, 제 2 정류부(96)는,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에어백부(64)의 하면(64A)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정류부(96)의 상벽에는, 복수의 제 2 정류 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정류부(96)의 상면에는, 제 2 에어백부(64)가 탑재되어 있다. 즉, 제 2 정류부(96)의 상면이 제 2 지지면(106)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부호의 인출선의 인출 위치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제 2 에어백부(64)의 하면(64A)을 제 2 정류부(96)의 상면(제 2 지지면(106))으로부터 조금 뜨게 한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이 점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7 이후도 동일하다.).
제 2 정류부(96)는 단차부(98)을 개재하여 한단 높은 제 1 정류부(94)와 접속되어 있다. 즉, 단차부(98)는, 제 1 정류부(94)의 상면의 높이(H3)를 제 2 정류부(96)의 상면의 높이(H4)보다도 높게 하고 있다. 이 점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디퓨저(92)가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제 2 정류 구멍(104)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제 1 정류 구멍(100)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90)에 의하면, 전면 충돌시가 되면, ECU(56)에 의해 인플레이터(30)가 작동된다. 인플레이터(30)는 작동하면, 가스 분출부(70)의 가스 분출 구멍으로부터 많은 양의 가스를 분출시킨다.
인플레이터(30)의 가스 분출부(70)는 디퓨저(92)의 제 1 정류부(94)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가스의 일부는 제 1 정류부(94)에 형성된 제 1 정류 구멍(100)으로부터 제 1 에어백부(62) 내로 공급된다. 또한, 제 1 정류부(94)는 단차부(98)를 개재하여 제 2 정류부(96)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남은 가스는 제 2 정류부(96)의 제 2 정류 구멍(104)으로부터 제 2 에어백부(64) 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조수석용 에어백(40)이 팽창 전개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정류 구멍(104)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제 1 정류 구멍(100)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30)로부터 분출된 가스가, 제 1 에어백부(62) 및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1, H2)의 고저에 따라서 밸런스 좋게 분배된다. 또한, 디퓨저(92)의 형상(단차부(98)의 높이)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지지면(106)에 대한 제 1 지지면(102)의 높이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상기로부터, 인플레이터(30)에 의해 발생한 가스를 제 1 에어백부(62) 및 제 2 에어백부(64)의 각각으로 적절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제 2 지지면(106)에 대한 제 1 지지면(102)의 높이를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의 인플레이터(30)를 이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원통 형상의 실린더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제 3 실시 형태]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선행되는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이 점은, 후술하는 제 4 실시 형태 이후도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10)에서는, 제 1 에어백부(62)측에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된 제 1 인플레이터(1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에어백부(62)측뿐만 아니라, 제 2 에어백부(64)측에도,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된 제 2 인플레이터(114)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 1 인플레이터(112) 및 제 2 인플레이터(114)를 이용하기 위해, 에어백 리테이너(116)가 2개의 제 1 인플레이터(112) 및 제 2 인플레이터(114)를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대형화되어 있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전체 높이(본체(112A)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축선 방향의 길이)(H5)는,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전체 높이(본체(114A)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축선 방향의 길이)(H6)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 1 인플레이터(112)의 플랜지(112B)의 높이(본체(112A)의 하면으로부터 플랜지(112B)의 하면까지의 높이)(H7)는, 제 2 인플레이터(114)의 플랜지(114B)의 높이(본체(114A)의 하면으로부터 플랜지(114B)의 하면까지의 높이)(H8)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인플레이터(112)의 가스 분출부(118)의 높이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114)의 가스 분출부(120)의 높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상면(즉, 제 1 지지면(122))의 높이(H3)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상면(즉, 제 2 지지면(124))의 높이(H4)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 1 인플레이터(112)가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상면의 높이(H3)」는,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상면(바닥면)으로부터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상면의 높이(H4)」는,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상면(바닥면)으로부터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10)에 의하면, 전면 충돌시가 되면, ECU(56)에 의해 제 1 인플레이터(112) 및 제 2 인플레이터(114)가 함께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 1 인플레이터(112)의 가스 분출 구멍(34)으로부터 분출된 가스는 제 1 에어백부(62) 내로 공급되고, 제 2 인플레이터(114)의 가스 분출 구멍(34)으로부터 분출된 가스는 제 2 에어백부(64) 내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에어백부(62)측에는 제 1 인플레이터(112)가 배치되고, 제 2 에어백부(64)측에는 제 2 인플레이터(114)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 1 인플레이터(112)만으로는 출력이 부족한 경우에, 그 부족분을 제 2 인플레이터(114)로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112) 및 제 2 인플레이터(114)는 모두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이고,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상면의 높이(H3)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상면의 높이(H4)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상면이 제 1 지지면(122)으로 되고,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상면이 제 2 지지면(124)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인플레이터(112)를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면(122)을 구성하는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상면 및 제 2 지지면(124)을 구성하는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상면은, 모두 요철이 없는 원형의 평면에 의해 구성된다(또한,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상면 및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상면에, 기복이 적은(얕은) 고리형의 패임 등이 있어도 되고, 그 경우는, 상기 상면은, 원형의 대략 평면이 된다). 그 결과, 제 1 지지면(122)으로부터 반력을 얻어 팽창 전개되는 제 1 에어백부(62)로부터 에어백 도어(14)의 이면에 작용하는 전개 하중과, 제 2 지지면(124)으로부터 반력을 얻어 팽창 전개되는 제 2 에어백부(64)로부터 에어백 도어(14)의 이면에 작용하는 전개 하중이 대략 균일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수석용 에어백(40)의 용량이 큰 경우에도 대응이 가능함과 함께, 에어백 도어(14)의 전개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조수석용 에어백(40)의 전개 거동을 한층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인플레이터(112)의 본체(112A)의 전체 높이(H5)는 제 2 인플레이터(114)의 본체(114A)의 전체 높이(H6)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와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의 차이에 상당하는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제 1 에어백부(62)측에, 가스 분출부(118)의 높이가 높아 상대적으로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는 제 1 인플레이터(112)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수석용 에어백(40)의 신속한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에서의 전개 신뢰성과 장치의 소형화에 의한 차량으로의 탑재성의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이하, 도 8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30)에서는, 전술한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각각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된 제 1 인플레이터(132)와 제 2 인플레이터(134)가 사용되고 있다. 단, 제 1 에어백부(62)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132)와 제 2 에어백부(64)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134)에서는, 본체(132A, 134A)의 전체 높이가 동일하고, 플랜지(132B, 134B)의 높이가 상이한 설정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인플레이터(132)의 본체(132A)의 전체 높이(본체(132A)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축선 방향의 길이)(H9)와, 제 2 인플레이터(134)의 본체(134A)의 전체 높이(본체(134A)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축선 방향의 길이)(H10)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 1 인플레이터(132)의 플랜지(132B)의 높이(본체(132A)의 하면으로부터 플랜지(132B)의 하면까지의 높이)(H11)는, 제 2 인플레이터(134)의 플랜지(134B)의 높이(본체(134A)의 하면으로부터 플랜지(134B)의 하면까지의 높이)(H12)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인플레이터(132)의 가스 분출부(136)의 높이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134)의 가스 분출부(138)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인플레이터(132)의 본체(132A)의 상면(즉, 제 1 지지면(140))의 높이(H3)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134)의 본체(134A)의 상면(즉, 제 2 지지면(142))의 높이(H4)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 1 인플레이터(132)가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제 1 인플레이터(132)의 본체(132A)의 상면의 높이(H3)」는,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상면(바닥면)으로부터 제 1 인플레이터(132)의 본체(132A)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인플레이터(134)의 본체(134A)의 상면의 높이(H4)」는,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의 상면(바닥면)으로부터 제 2 인플레이터(134)의 본체(134A)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플랜지(132B, 134B)의 높이를 바꾸는 방법으로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케이스가 해트형의 어퍼 케이스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로어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라면, 어퍼 케이스의 전체 높이와 로어 케이스의 전체 높이를 각각 변경함으로써, 인플레이터의 전체 높이를 바꾸지 않고 어퍼 케이스의 플랜지의 높이를 임의로 바꿀 수 있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30)에 의하면, 전면 충돌시가 되면, ECU(56)에 의해 제 1 인플레이터(132) 및 제 2 인플레이터(134)가 함께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 1 인플레이터(132)의 가스 분출 구멍(34)으로부터 분출된 가스는 제 1 에어백부(62) 내로 공급되고, 제 2 인플레이터(134)의 가스 분출 구멍(34)으로부터 분출된 가스는 제 2 에어백부(64) 내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 1 에어백부(62)측에는 제 1 인플레이터(132)가 배치되고, 제 2 에어백부(64)측에는 제 2 인플레이터(134)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 1 인플레이터(132)만으로는 출력이 부족한 경우에, 그 부족분을 제 2 인플레이터(134)로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 1 인플레이터(132) 및 제 2 인플레이터(134)는 모두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이며, 제 1 인플레이터(132)의 본체(132A)의 상면의 높이(H3)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134)의 본체(134A)의 상면의 높이(H4)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132)의 본체(132A)의 상면이 제 1 지지면(140)으로 되고, 제 2 인플레이터(134)의 본체(134A)의 상면이 제 2 지지면(142)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인플레이터(132)를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면(140)을 구성하는 제 1 인플레이터(132)의 본체(132A)의 상면 및 제 2 지지면(142)을 구성하는 제 2 인플레이터(134)의 본체(134A)의 상면은, 모두 요철이 없는 원형의 평면에 의해 구성된다(또한, 제 1 인플레이터(132)의 본체(132A)의 상면 및 제 2 인플레이터(134)의 본체(134A)의 상면에, 기복이 적은(얕은) 고리형의 패임 등이 있어도 되고, 그 경우는, 상기 상면은, 원형의 대략 평면이 된다). 그 결과, 제 1 지지면(140)으로부터 반력을 얻어 팽창 전개되는 제 1 에어백부(62)로부터 에어백 도어(14)의 이면에 작용하는 전개 하중과, 제 2 지지면(142)으로부터 반력을 얻어 팽창 전개되는 제 2 에어백부(64)로부터 에어백 도어(14)의 이면에 작용하는 전개 하중이 대략 동일해진다.
전술한 바에 의해, 조수석용 에어백(40)의 용량이 큰 경우에도 대응이 가능함과 함께, 에어백 도어(14)의 전개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조수석용 에어백(40)의 전개 거동을 한층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인플레이터(132)와 제 2 인플레이터(134)에서는, 본체(132A, 134A)의 전체 높이는 동일하지만, 플랜지(132B, 134B)의 높이가 상이한 설정으로 되어 있다(H11<H12). 이 때문에, 제 1 인플레이터(132)의 가스 분출부(136)의 높이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134)의 가스 분출부(138)의 높이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제 1 에어백부(62)의 접힌 높이(H1)와 제 2 에어백부(64)의 접힌 높이(H2)의 차이에 상당하는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제 1 에어백부(62)측에, 제 1 인플레이터(132)를 배치함으로써, 제 1 인플레이터(132)를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132B, 134B)를 설치하는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제 1 인플레이터(132) 및 제 2 인플레이터(134)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는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는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예를 들면 제 2 인플레이터(134)로서 사용하면, 플랜지(132B)가 설치되는 높이를 바꾼 제 1 인플레이터(132)만을 준비하면 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는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부품의 공통화 나아가서는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
이하, 도 9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제 5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5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50)에서는,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모듈 케이스(152)를 이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에어백부(62)측에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된 제 1 인플레이터(154)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에어백부(64)측에도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된 제 2 인플레이터(156)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154)와 제 2 인플레이터(156)는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54A, 156A)의 전체 높이나 본체(154A, 156A)에 대한 플랜지(154B, 156B)의 높이도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모듈 케이스(152)의 「바닥부」로서의 저벽부(152A)는, 제 1 인플레이터(154)가 고정되는 제 1 바닥부(152A1)와, 제 2 인플레이터(156)가 고정되는 제 2 바닥부(152A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바닥부(152A1)와 제 2 바닥부(152A2)는, 「제 2 단차부」로서의 단차부(152A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단차부(152A3)는, 제 1 바닥부(152A1)에 대하여 제 2 바닥부(152A2)를 낮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사벽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바닥부(152A1)의 높이가 제 2 바닥부(152A2)의 높이보다도 높이(H13)만큼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단차부(152A3)가 설치됨으로써, 제 1 인플레이터(154)의 상면이 제 1 지지면(158)으로 되고, 또한 제 2 인플레이터(156)의 상면이 제 2 지지면(160)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모듈 케이스(152)가 본 개시에 있어서의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다.
또한, 모듈 케이스(152)의 저벽부(152A)가 단차 형상으로 된 것에 수반하여, 조수석용 에어백(40)을 고정하는 에어백 리테이너(162)도 저벽부(152A)와 겹쳐지는 단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50)에 의하면, 모듈 케이스(152)의 저벽부(152A)가 평탄한 형상이 아닌 단차부(152A3)를 설치함으로써, 제 1 바닥부(152A1)의 높이의 쪽이 제 2 바닥부(152A2)의 높이보다도 높이(H13)만큼 높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바닥부(152A1)에는 제 1 인플레이터(154)가 고정되고, 제 2 바닥부(152A2)에는 제 2 인플레이터(156)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듈 케이스(152)의 저벽부(152A)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모듈 케이스(152)에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1 인플레이터(154) 및 제 2 인플레이터(156)의 사양을 바꾸지 않고, 단차부(152A3)의 높이(H13)를 바꿈으로써, 여러가지 차종에 적합시킬 수 있다.
[제 6 실시 형태]
이하, 도 10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제 6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6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70)에서는,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제 2 정류 부재」로서의 디퓨저(172)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모듈 케이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모듈 케이스(26)가 사용되고 있으며, 모듈 케이스(26)의 플랫한 저벽부(26B)에, 서로 동일 구성의 제 1 인플레이터(154) 및 제 2 인플레이터(156)가 전술한 제 5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배치로 설정되어 있다. 단, 제 1 인플레이터(154)와 제 2 인플레이터(156)의 전체 높이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제 1 인플레이터(154)의 본체(154A)의 전체 높이의 쪽이 제 2 인플레이터(156)의 본체(156A)의 전체 높이보다도 약간 높은 구성이라도 된다.
전술한 제 1 인플레이터(154)에는, 금속제의 디퓨저(172)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디퓨저(172)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리테이너(116)에 상당하는 리테이너부(174)와, 리테이너부(174)의 제 1 인플레이터(154)측에 리테이너부(174)와 일체로 형성된 제 3 정류부(17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3 정류부(176)는, 제 1 인플레이터(154)측에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인플레이터(156)는, 디퓨저(172)에 의해 덮여 있지 않다. 또한, 제 3 정류부(176)는, 제 1 인플레이터(154)의 가스 분출부(136)를 덮는 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3 정류부(176)의 주벽에는, 복수의 제 3 정류 구멍(1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3 정류부(176)의 상면이 제 1 지지면(182)으로 되고, 제 2 인플레이터(156)의 상면이 제 2 지지면(160)으로 되어 있다. 제 1 지지면(182)의 높이(H3)는, 제 2 지지면(160)의 높이(H4)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70)에 의하면, 제 1 에어백부(62)측에는 제 1 인플레이터(154)가 배치되고, 제 2 에어백부(64)측에는 제 2 인플레이터(156)가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인플레이터(154)측에만, 제 1 인플레이터(154)의 가스 분출부(136)를 덮도록 디퓨저(172)의 제 3 정류부(176)가 배치된다. 제 3 정류부(176)에는 제 3 정류 구멍(1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정류 구멍(180)이 형성된 제 3 정류부(176)의 상면이,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62A)과 대향되는 제 1 지지면(182)으로 되고, 제 2 인플레이터(156)의 본체부(156A)의 상면이 제 2 지지면(160)으로 된다. 따라서, 디퓨저(172)가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퓨저(172)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제 1 에어백부(62)측에 높이 올리기 부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퓨저(172)가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제 1 인플레이터(154) 및 제 2 인플레이터(156)에는, 예를 들면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154)로부터 분출된 고온의 가스를 제 3 정류부(176)가 일단 트랩함으로써, 제 1 에어백부(62)가 고온의 가스를 직접 받는 일이 줄어든다.
상기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와 공통의 인플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인플레이터의 사양이 줄어들고, 그만큼,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에어백부(62)가 가스의 열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실시 형태]
이하, 도 11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9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90)에서는,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제 3 정류 부재」로서의 금속제의 디퓨저(192)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90)는, 디퓨저(192)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는 의미에서는, 전술한 제 6 실시 형태와 궤를 같이 하는 실시 형태이며, 디퓨저(192) 이외의 구성은, 제 6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전술한 제 6 실시 형태의 디퓨저(172)는, 제 1 에어백부(62)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154) 및 제 2 에어백부(64)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156)라는 2개의 인플레이터에 대하여, 제 1 인플레이터(154)에만 제 3 정류부(176)가 설치된 구성이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디퓨저(192)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리테이너(116)에 상당하는 리테이너부(174)와, 리테이너부(174)의 제 1 인플레이터(154)측에 리테이너부(174)와 일체로 형성된 제 4 정류부(194)와, 리테이너부(174)의 제 2 인플레이터(156)측에 리테이너부(174)와 일체로 형성된 제 5 정류부(196)와, 제 4 정류부(194)와 제 5 정류부(196)를 연결하는 연결부(19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4 정류부(194)는 제 1 인플레이터(154)의 가스 분출부(136)를 덮는 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주벽에는 제 4 정류 구멍(200)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5 정류부(196)는 제 2 인플레이터(156)의 가스 분출부(138)를 덮는 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주벽에는 제 5 정류 구멍(2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4 정류부(194)의 상벽, 제 5 정류부(196)의 상벽에 정류 구멍을 형성하도록 해도 되고, 제 4 정류부(194)의 상벽과 주벽, 제 5 정류부(196)의 상벽과 주벽에 정류 구멍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 2 에어백부(64)에 보다 많은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 5 정류 구멍(204)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제 4 정류 구멍(200)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4 정류부(194)의 상면이 제 1 지지면(182)으로 되고, 제 5 정류부(196)의 상면이 제 2 지지면(206)으로 되어 있다. 제 1 지지면(182)의 높이(H3)는, 제 2 지지면(206)의 높이(H4)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90)에 의하면, 제 1 인플레이터(154)와 제 1 에어백부(62)의 사이에는 제 4 정류부(194)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인플레이터(154)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4 정류 구멍(200)을 통하여 제 1 에어백부(62) 내로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인플레이터(156)와 제 2 에어백부(64)의 사이에는 제 5 정류부(196)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인플레이터(156)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5 정류 구멍(204)을 통하여 제 2 에어백부(64) 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 6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디퓨저(192)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제 1 에어백부(62)측에 높이 올리기 부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퓨저(192)가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제 1 인플레이터(154) 및 제 2 인플레이터(156)에는, 예를 들면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인플레이터(154)로부터 분출된 고온의 가스를 제 4 정류부(194)가 일단 트랩함으로써, 제 1 에어백부(62)가 고온의 가스를 직접 받는 일이 줄어든다. 이 때문에, 제 1 에어백부(62)가 열에 의한 손상을 받는 일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인플레이터(156)로부터 분출된 고온의 가스를 제 5 정류부(196)가 일단 트랩함으로써, 제 2 에어백부(64)가 고온의 가스를 직접 받는 일이 줄어든다. 이 때문에, 제 2 에어백부(64)가 열에 의한 손상을 받는 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제 6 실시 형태가 가지는 효과의 외에, 제 1 에어백부(62)뿐만 아니라 제 2 에어백부(64)가 가스의 열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도 억제할 수 있다.
[제 8 실시 형태]
이하, 도 12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2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210)에서는, 제 1 에어백부(62) 및 제 2 에어백부(64)에 대하여 공통의 인플레이터(212)가 사용되고 있다. 인플레이터(212)는, 축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형 인플레이터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 7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제 1 인플레이터(154) 및 제 2 인플레이터(156) 대신, 실린더형 인플레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인플레이터(212)의 축 방향의 길이는, 모듈 케이스(26)의 좌우 한 쌍의 측벽부(26A)의 대향 사이의 거리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로 되어 있다. 인플레이터(212)의 외주 하부에는, 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간한 위치에 한 쌍의 스터드 볼트(214)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는, 스터드 볼트(214)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는 한 쌍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214)를 볼트 삽입 통과 구멍 내에 삽입시킨 후, 저벽부(26B)의 하방으로부터 너트(216)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인플레이터(212)가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212)의 외주 상부에는, 인플레이터(212)의 축선을 따라 도시하지 않는 복수개의 가스 분출 구멍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 분출 구멍의 형성 위치는, 반드시 외주 상부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인플레이터(212)의 외주 중간부에 가스 분출 구멍을 형성해도 되고, 외주 상부와 외주 중간부에 가스 분출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전술한 인플레이터(212)와 제 1 에어백부(62) 및 제 2 에어백부(64)의 사이에는, 높이 올리기 부재로서, 「제 4 정류 부재」로서의 금속제의 디퓨저(218)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디퓨저(218)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트레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부에는 플랜지(218A)가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218)는, 조수석용 에어백(40)에 형성된 개구부(220)로부터 조수석용 에어백(40)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조수석용 에어백(40)의 개구부(220)의 주연부는, 디퓨저(218)의 저벽부(218B)의 이면측으로 되접히고,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가고정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26)의 차량 폭 방향에 위치하는 좌우의 측벽부(26A)의 내측면에는, 저벽부(26B)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 앵글 형상의 스토퍼(222)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26)의 저벽부(26B)에 인플레이터(212)를 고정한 후, 접힌 상태의 조수석용 에어백(40)과 함께 디퓨저(218)가 모듈 케이스(26) 내로 삽입되고, 좌우의 스토퍼(222)에 디퓨저(218)의 저벽부(218B)가 걸리는 구성이다.
그 후, 모듈 케이스(26)의 측벽부(26A)의 외측으로부터, 도 12의 화살표 P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 첨부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 예로서 셀프 피어싱 리벳(224)이 박힘으로써, 모듈 케이스(26)의 측벽부(26A)에 디퓨저(218)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셀프 피어싱 리벳 이외의 고정 부재를 이용해도 되지만, 고정 부재의 선단이 모듈 케이스(26)의 측벽부(26A)를 관통하는 경우는, 선단이 뾰족해지지 않는 타입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면 된다.
디퓨저(218)가 모듈 케이스(26)의 측벽부(26A)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조수석용 에어백(40)의 개구부(220)의 주연부가 디퓨저(218)의 플랜지(218A)와 모듈 케이스(26)의 측벽부(26A)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조수석용 에어백(40)이 모듈 케이스(26)의 측벽부(26A)에 시일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즉, 디퓨저(218)는 에어백 리테이너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디퓨저(218)는, 모듈 케이스(26) 내의 공간을 상하로 구분하는 칸막이로서 존재하고 있으며, 인플레이터(212)의 가스 분출부(226)를 덮고 있다. 또한, 디퓨저(218)는, 제 1 에어백부(62)의 하면과 대향되고 제 6 정류 구멍(228)이 형성된 제 6 정류부(230)와, 제 2 에어백부(64)의 하면과 대향되고 제 7 정류 구멍(232)이 형성된 제 7 정류부(234)를 구비하고 있다. 제 6 정류부(230)와 제 7 정류부(234)는 「제 3 단차부」로서의 단차부(23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단차부(236)가 설치됨으로써, 제 6 정류부(230)의 상면의 높이의 쪽이 제 7 정류부(234)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 6 정류부(230)의 상면이 제 1 지지면(238)으로 되고, 제 7 정류부(234)의 상면이 제 2 지지면(240)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7 정류 구멍(232)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제 6 정류 구멍(228)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210)에 의하면, 인플레이터(212)와 제 1 에어백부(62)의 사이에는 제 6 정류부(230)가 배치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212)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6 정류 구멍(228)을 통하여 제 1 에어백부(62) 내로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인플레이터(212)와 제 2 에어백부(64)의 사이에는 제 7 정류부(234)가 배치되어 있고, 인플레이터(212)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제 7 정류 구멍(232)을 통하여 제 2 에어백부(64) 내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7 정류 구멍(232)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제 6 정류 구멍(228)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형의 인플레이터(212)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제 1 에어백부(62)와 제 2 에어백부(64)에 밸런스 좋게 분배된다. 또한, 디퓨저(218)의 형상(제 3 단차부(236)의 높이)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지지면(240)에 대한 제 1 지지면(238)의 높이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212)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가스의 일부는, 제 6 정류부(230)에 의해 일단 트랩된다. 따라서, 제 1 에어백부(62)가 고온의 가스를 직접 받는 일이 줄어든다. 마찬가지로, 인플레이터(212)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가스의 나머지는, 제 7 정류부(234)에 의해 일단 트랩된다. 따라서, 제 2 에어백부(64)가 고온의 가스를 직접 받는 일이 줄어든다.
상기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인플레이터(212)에 의해 발생한 가스를 제 1 에어백부(62) 및 제 2 에어백부(64)의 각각으로 적절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제 2 지지면(240)에 대한 제 1 지지면(238)의 높이를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고, 또한 제 1 에어백부(62) 및 제 2 에어백부(64)가 가스의 열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2)의 상면부(12A)측으로부터 조수석용 에어백(40)이 팽출되는 타입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10)에 대하여 본 개시를 적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후면부측으로부터 조수석용 에어백이 팽출되는 타입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본 개시를 적용해도 된다. 그 경우, 센터 에어백부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반력을 취하여 팽창 전개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센터 에어백부(44)가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근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센터 에어백부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수석용 에어백 본체(4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면의 차량 전후 방향의 중간부 부근으로부터, 센터 에어백부가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가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Claims (10)

  1.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조수석측에 설치된 에어백 도어의 이면측에 배치된 모듈 케이스와,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으로 접혀 상기 모듈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의 쪽이, 상기 제 1 에어백부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높이보다도 낮고, 또한,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부터 보아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제 1 에어백부의 접힌 폭과 제 2 에어백부의 접힌 폭이 동일하게 된 조수석용 에어백과,
    상기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측에 배치되고, 작동함으로써 상기 조수석용 에어백 내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용 에어백보다도 바닥부측에 배치되고, 접힌 상태의 상기 제 1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가 접힌 상태의 상기 제 2 에어백부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 1 에어백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의 높이를 상기 제 2 에어백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하는 높이 올리기 부재를 갖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으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어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되면서 제 1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되면서 제 2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2 정류부와, 상기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 1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를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하는 제 1 단차부를 포함하는 제 1 정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상기 제 1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정류 부재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와,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의 높이의 쪽이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상기 제 1 인플레이터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는,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와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전체 높이는 동일하게 되고,
    상기 제 1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제 1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 2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제 2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제 1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의 쪽이,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제 2 플랜지가 설치되는 높이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와,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바닥부는, 상기 제 1 인플레이터가 고정되는 제 1 바닥부와, 상기 제 2 인플레이터가 고정되는 제 2 바닥부와, 상기 제 1 바닥부의 높이가 상기 제 2 바닥부의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제 1 바닥부와 제 2 바닥부를 연결하는 제 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가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를 겸하고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측에만,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는 제 2 정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와,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를 포함하고,
    제 2 정류 부재는,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으면서 제 3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3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고,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는 제 3 정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1 인플레이터와, 원반 형상의 디스크형 인플레이터로 되고, 또한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된 제 2 인플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류 부재는, 상기 제 1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에어백부측에 배치되면서 제 4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4 정류부와, 상기 제 2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2 에어백부측에 배치되면서 제 5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5 정류부와, 상기 제 4 정류부와 상기 제 5 정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의 쪽이 상기 제 5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고,
    상기 제 4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고, 상기 제 5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올리기 부재로 되어 있는 제 4 정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는, 축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형 인플레이터로 되어 있고,
    상기 제 4 정류 부재는, 상기 실린더형 인플레이터와 상기 제 1 에어백부 및 상기 제 2 에어백부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실린더형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를 덮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백부의 하면과 대향되고 제 6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6 정류부와, 상기 제 2 에어백부의 하면과 대향되고 제 7 정류 구멍이 형성된 제 7 정류부와, 상기 제 6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의 쪽이 상기 제 7 정류부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제 6 정류부와 제 7 정류부를 연결하는 제 3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7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의 쪽이 상기 제 6 정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 합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6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지지면으로 되고, 상기 제 7 정류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지지면으로 되어 있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KR1020170096035A 2016-08-04 2017-07-28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KR101898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4061A JP6423394B2 (ja) 2016-08-04 2016-08-04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JP-P-2016-154061 2016-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277A true KR20180016277A (ko) 2018-02-14
KR101898600B1 KR101898600B1 (ko) 2018-09-13

Family

ID=5950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035A KR101898600B1 (ko) 2016-08-04 2017-07-28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58107B2 (ko)
EP (1) EP3279041B1 (ko)
JP (1) JP6423394B2 (ko)
KR (1) KR101898600B1 (ko)
CN (1) CN107933482B (ko)
BR (1) BR102017016549B1 (ko)
MY (1) MY190661A (ko)
RU (1) RU266032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9794B1 (en) * 2015-01-29 2020-07-15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WO2018061373A1 (ja) * 2016-09-30 2018-04-0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KR102391012B1 (ko) * 2017-05-19 2022-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10266144B2 (en) * 2017-06-09 2019-04-23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airbag system
US10464519B2 (en) * 2017-10-18 2019-11-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for oblique crash protection
CA3108753A1 (en) * 2018-08-06 2020-02-13 Honda Motor Co., Ltd. Instrument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strument panel
US11192512B2 (en) * 2018-08-31 2021-12-07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Airbag arrangement
JP2020090259A (ja) * 2018-12-07 2020-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21054243A (ja) * 2019-09-30 2021-04-08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014522B2 (en) 2019-10-08 2021-05-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chambered side and front airbag
US11377059B2 (en) * 2020-03-23 2022-07-05 Autoliv Asp, Inc. Subtotal enclosures for airbag assemblies
CN112110156B (zh) * 2020-08-26 2022-04-19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快速处理备煤系统皮带事故的方法
KR20240007993A (ko) * 2022-07-11 2024-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루프 에어백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1808A (ja) * 2014-06-10 2015-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6016716A (ja) * 2014-07-07 2016-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956A (ja) * 1989-06-30 1991-02-1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US5364125A (en) * 1993-10-19 1994-11-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protecting an occupant of a vehicle upon a side impact to the vehicle
US5527065A (en) * 1994-12-01 1996-06-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epolyment door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JPH10250515A (ja) * 1997-03-12 1998-09-22 Denso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3784130B2 (ja) * 1997-03-31 2006-06-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3577208B2 (ja) * 1997-12-09 2004-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DE19860932A1 (de) * 1998-12-30 2000-07-13 Petri Ag Airbagmodul
US6499765B2 (en) * 2000-10-31 2002-12-31 Delphi Technologies, Inc. Bias deployment inflatable air bag
DE10139626A1 (de) * 2001-08-14 2003-03-13 Takata Petri Ag Airbaganordnung
DE10204333B9 (de) * 2002-02-01 2005-07-21 Peguform Gmbh & Co. Kg Rückzugsmechanismus für die Verkleidung eines Airbagsystems
US20030197358A1 (en) * 2002-04-18 2003-10-23 Hawthorn Laura Adelle Air bag module assembly
JP4289066B2 (ja) * 2003-08-04 2009-07-0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5145321A (ja) * 2003-11-18 2005-06-09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7121576B2 (en) * 2004-02-27 2006-10-17 Autoliv Asp Inc. Airbag retention collar for airbag module assembly
JP4281637B2 (ja) * 2004-07-09 2009-06-17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GB2422357B (en) * 2005-01-25 2008-03-12 Autoliv Dev Improv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US7261320B2 (en) * 2005-03-23 2007-08-28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dual mode deployment for pre-impact and impact conditions
US7497468B2 (en) * 2005-05-12 2009-03-03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ion deflection module
JP4347281B2 (ja) * 2005-08-29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
DE202005014442U1 (de) * 2005-09-13 2006-02-23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modul
JP4235197B2 (ja) * 2005-09-26 2009-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助手席用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4382740B2 (ja) * 2005-10-21 2009-1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4291821B2 (ja) * 2006-01-25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US20070222194A1 (en) * 2006-03-22 2007-09-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a shield
JP4885035B2 (ja) * 2007-03-30 2012-02-2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488539B2 (ja) * 2011-06-29 2014-05-14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EP2799292B1 (en) * 2011-12-29 2017-05-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bag system for automobile
JP2014162313A (ja) * 2013-02-22 2014-09-08 Toyot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JP5958387B2 (ja) * 2013-02-28 2016-07-27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942969B2 (ja) * 2013-12-12 2016-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前席エアバッグシステム
WO2015162943A1 (ja) 2014-04-25 2015-10-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US9248799B2 (en) * 2014-06-03 2016-02-02 Autoliv Asp, Inc. Dual cushion airbag with independent inflation
JP6299477B2 (ja) * 2014-06-23 2018-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6107757B2 (ja) * 2014-07-11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エアバッグ装置
JP6408827B2 (ja) 2014-08-06 2018-10-17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を有する車両
JP6408826B2 (ja) * 2014-08-06 2018-10-17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を有する車両
JP6365327B2 (ja) * 2014-08-12 2018-08-01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6040155A (ja) * 2014-08-12 2016-03-24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398667B2 (ja) * 2014-12-03 2018-10-03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507740B2 (ja) * 2015-03-12 2019-05-08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1808A (ja) * 2014-06-10 2015-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6016716A (ja) * 2014-07-07 2016-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23394B2 (ja) 2018-11-14
CN107933482A (zh) 2018-04-20
EP3279041B1 (en) 2018-11-07
MY190661A (en) 2022-05-09
KR101898600B1 (ko) 2018-09-13
US10358107B2 (en) 2019-07-23
EP3279041A1 (en) 2018-02-07
JP2018020702A (ja) 2018-02-08
US20180037188A1 (en) 2018-02-08
BR102017016549B1 (pt) 2023-02-07
CN107933482B (zh) 2020-03-31
BR102017016549A2 (pt) 2018-05-02
RU2660328C1 (ru)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00B1 (ko)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EP3152087B1 (en) Dual cushion airbag with independent inflation
JP6294963B2 (ja) 巻き付け型側面衝突エアバッ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21949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ためのトップテザー
JP201810881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一体成形織り布地の費用効果的使用
JP590191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7559564B2 (en) Outwardly deploying airbag system
US20110074141A1 (en) Airbag module
US8690184B2 (en) Vehicle airbag system
US7735858B2 (en) Airbag device
US9211860B2 (en) Knee side face restraint airbag device
CN109693637B (zh) 气囊装置
JP4745674B2 (ja) 乗員放出防止組立体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US20190193670A1 (en) Airbag module
JP7013230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20240208452A1 (en) Front airbag for a vechile occupant,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7165015B2 (ja) 乗員保護装置
JPH10278717A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13042469A1 (ja) エアバッグ用冷却剤放出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725046B2 (ja) 膝側面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3200812A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