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815A - 리포솜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815A
KR20170129815A KR1020177029629A KR20177029629A KR20170129815A KR 20170129815 A KR20170129815 A KR 20170129815A KR 1020177029629 A KR1020177029629 A KR 1020177029629A KR 20177029629 A KR20177029629 A KR 20177029629A KR 20170129815 A KR20170129815 A KR 2017012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liposome composition
liposome
persisten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709B1 (ko
Inventor
미츠루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17012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더 나아가서는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a)~(e);(a) 인지질, (b) 흰목이 추출물, (c)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d) IOB값 1.5~5의 다가 알코올, (e) 물을 함유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포솜 조성물{Liposome composition}
본 발명은 리포솜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인지질, 흰목이 추출물(Tremella fuciformis extract),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IOB값 1.5~5의 다가 알코올, 물을 함유하는 리포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더 나아가서는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막의 주요 구성 성분인 인지질의 이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폐쇄 소포인 리포솜은 생체막 모델로서 연구에 사용됨과 동시에, 예전부터 약제를 내포시켜 전달하는 마이크로캡슐로서 의약품이나 화장료로의 이용이 시도되고 있었다. 특히, 화장료 분야에 있어서는 마이크로캡슐로서 가치가 있는 형태인 것, 리포솜의 구성 성분인 인지질 그 자체가 생체막 유래의 안전성이 높은 양친매성 물질인 것 등으로부터 주목을 모으고 있다.
리포솜의 용도기능은 다양화되고 있어 화장료나 피부 외용제로의 전개도 시도되며,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한다는 면에 있어서 미백효과와 보습효과를 부여할 뿐 아니라, 피부의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이나 탄력감 등 실감으로 효과가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는 리포솜을 화장료 등에 함유하는 것에 따른 높은 보습효과를 목적으로 한 제제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포스파티딜콜린 함량 90 질량% 이상인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콜레스테롤, N-아실아미노산염,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과 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한 리포솜(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리포솜에 관한 기술은 리포솜 자체에 관한 것 외에, 리포솜을 함유하는 화장료나 피부 외용제에 관해서도 많이 검토되고 있다. 이는 리포솜의 유용성을 화장료나 피부 외용제에 응용하여 제제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일 가능성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2-18418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도포 후 보습효과의 지속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한, 피부의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각종 친수성 고분자나 유용성 성분이 피부 외용제에 함유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도포 직후의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은 얻을 수 있으나 일시적인 것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 측면에서는 아직 불충분하였다.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더 나아가서는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종래 기술인 인지질, 다가 알코올, 물로 이루어지는 리포솜 조성물에 대해 보습효과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을 부여하고, 또한 그 효과의 지속성을 실감할 수 있는 성분을 검토한 결과, 리포솜 조성물에 대해 흰목이 추출물 및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양쪽을 함유시킴으로써, 어느 한쪽으로는 얻을 수 없는 효과의 지속성을 얻을 수 있다는 지견(知見)을 얻었다. 추가로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특정 IOB값의 다가 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보습효과의 지속성,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효과적인 리포솜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로 한 경우, 분산매인 수성 성분으로서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a)~(e);
(a) 인지질
(b) 흰목이 추출물
(c)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d) IOB값 1.5~5의 다가 알코올
(e) 물
을 함유하는 리포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분(b), 성분(c)의 함유 질량 비율이 (b)/(c)=0.05~9의 범위인 리포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성분(f)로서 리소인지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분(d)가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리포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수중유형(oil-in-water) 유화 화장료로, 연속상인 수상 중에 성분(g)로서 수용성 고분자(단, 상기 성분(b)를 제외함)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분(a)가 해바라기 유래의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리포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 및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화장료는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더 나아가서는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에 대해서 특히 그 바람직한 형태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a) 인지질은 글리세린이나 스핑고신을 중심 골격으로 하여 지방산과 인산이 결합하고, 추가로 인산에 알코올이 에스테르 결합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지방산이나 알코올의 종류 등에 따라 많은 종류가 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포솜 조성물의 지질 이분자막을 형성시키는 주성분으로서 함유되는 것이다. 이러한 성분(a) 인지질은 통상의 화장료에도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스파티딜콜린(즉, 레시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딘산 등의 글리세로인지질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a)로서는 대두 유래, 난황 유래, 해바라기 유래, 옥수수 유래의 것을 들 수 있으나, 그중에서도 해바라기 유래의 것이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의 유래란, 그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물질을 기원으로 하고 있는 것이면 그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바라기 유래의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함유 비율로서 인지질 전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며, 4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a) 인지질은 정제한 것이나 수소첨가한 것(예를 들면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어도 되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소첨가하지 않은 인지질과 수소첨가한 인지질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 어느 한쪽만을 포함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습효과의 지속성뿐 아니라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함유되는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수소첨가하지 않은 인지질의 함량은 인지질 전량에 대해 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며, 더 나아가서는 50 질량%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의 구체적인 상품으로서는 레시놀 S-10E, 레시놀 S-10EZ(모두 닛코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HSL-70(주식회사 와이엠씨 제조), 베이시스 LS-60HR(닛신 오일리오 그룹 주식회사 제조), 난황 레시틴 PL-100P(큐피 주식회사 제조), 밀크 세라마이드 1G, 밀크 세라마이드 4G(모두 야마카와 무역 주식회사 제조), LIPOID P 75, LIPOID P 100(모두 Lipoid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지질에는 콜레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테롤을 사전에 혼합된 것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시판품으로서 PRESOME CS2-101, PHYTOPRESOME, PYTOCOMPO-PP, COMPOSITE-PC(모두 닛폰 파인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0.004~10 질량%(이하, 질량%는 간단하게 %로 기재함)가 바람직하며, 0.0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면 피부로의 보습효과와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b) 흰목이 추출물은 흰목이과에 속하는 버섯으로부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부로의 보습효과와 리포솜의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성분(b) 흰목이 추출물의 INCI명(미국 화장품 공업회의 화장품원료 국제명명법(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에 따른 화장품 성분의 국제적 표시명칭)은 TREMELLA FUCIFORMIS (MUSHROOM) EXTRACT이고, INCI에 있어서는 Tremella Fuciformis (Mushroom) Extract is the extract of mushroom, Tremella fuciformis로 정의되어 있는 것이다. 성분(b) 흰목이 추출물은 흰목이 진액, 흰목이 다당체, 흰목이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다당류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추출용매로서는 물, 에탄올 등의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이나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과 임의의 비율로 혼합 가능한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이나 1,3-부틸렌글리콜과의 혼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추출을 위한 용매와 흰목이 자실체(건조물이어도 된다.)를 혼합하여 가온추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얻어진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적절히 농축시킨 것이나 분무건조나 동결건조 등에 의해 분말상으로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성분(b) 흰목이 추출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시판품의 예로서는 Tremoist-TP, Tremoist-SL(닛폰 파인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흰목이 다당체-P(오리자 유화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b)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피부의 보습효과가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로 하는 점에서는 건조 순농도로서 0.0001~1.0%가 바람직하며, 0.0005~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c)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는 아래와 같다. 비타민 E에는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등의 피틸 측쇄에 유래하는 2계열의 각각에 크로만 고리의 메틸기에 유래하는 α, β, γ, δ의 4종류, 합계 8종류의 동족체가 존재하여,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도체」라고 할 때는 특별히 기재한 경우를 제외하고 염, 에스테르 또는 배당체를 포함하며, 피부 외용제나 화장료로서 허용되는 것을 말한다. 수용성이어도 되고 유용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토코페롤 유도체로서는, 초산 토코페롤(초산 d-α-토코페롤 또는 초산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 토코페롤(니코틴산 d-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토코트리에놀, 토코페릴 인산Na, 아스코르빌/토코페릴 인산K, 말레산 아스코르빌 토코페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토코트리에놀의 유도체로서는 초산 토코트리에놀, 니코틴산 토코트리에놀, 숙신산 토코트리에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부에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유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중에서도 토코페롤, 초산 토코페롤, 니코틴산 토코페롤이 바람직하며, 토코페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리켄 E 오일 800, 리켄 E 오일 1000(모두 리켄 비타민 주식회사 제조), 오리자 토코트리에놀-90(오리자 유화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c)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피부의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로 하는 점에서는 0.0005~1.0%가 바람직하며, 0.001~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성분(b)와 성분(c)를 적절히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리포솜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함유 질량 비율을 특정의 것으로 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b)/(c)=0.05~9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0.15~2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조제한 리포솜 조성물은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의 성분(b) 및 (c)는 리포솜 형성 시에 함유해도 되고 리포솜 형성 후의 화장료에 함유해도 되나, 보다 효과를 발휘하기 쉬운 형태로서는 리포솜 형성 시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d) 다가 알코올은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2개 이상 갖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d)는 성분(a)를 물에 분산시키는 용매로서의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성분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한 필수 성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IOB값이 1.5~5의 범위인 다가 알코올을 사용하여 조정한 리포솜 조성물은 피부로의 보습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또한 IOB값이란, Inorganic/Organic Balance(무기성/유기성 비)의 약칭으로 무기성값의 유기성값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며, 유기화합물의 극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다. IOB값은 구체적으로는 「IOB값=무기성값/유기성값」으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무기성값」, 「유기성값」 각각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분자 중의 탄소원자 1개에 대해서 「유기성값」이 20, 동일 수산기 1개에 대해서 「무기성값」이 100 등과 같이 각종 원자 또는 관능기에 따른 「무기성값」, 「유기성값」이 설정되어 있어, 유기화합물 중의 모든 원자 및 관능기의 「무기성값」, 「유기성값」을 적산함으로써 해당 유기화합물의 IOB값을 산출할 수 있다(예를 들면 후지타저, 「화학의 영역」 제11권, 제10호, 제719쪽~제725쪽, 1957년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는 IOB값이 1.5~5의 범위인 것이나, 1.8~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서는 2~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d) IOB값 1.5~5의 다가 알코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글리세린(IOB값 5.0), 1,3-부틸렌글리콜(IOB값 2.5), 디프로필렌글리콜(IOB값 1.83), 프로필렌글리콜(IOB값 3.33), 1,3-프로판디올(IOB값 3.33), 소르비톨(IOB값 5.0)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성분(d)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d)의 함유량은 5~30%가 바람직하며, 10~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면 피부의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e) 물은 성분(a)~(d)의 분산매체로서 사용되나, 통상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제수, 탈이온수, 증류수, 온천수나, 장미수, 라벤더수 등의 식물 유래의 수증기 증류수 등의 이른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f) 리소인지질은 포스포리파제에 의해 인지질의 2번 위치의 에스테르 결합이 가수분해된 효소 개질 인지질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f)는 리포솜 조성물의 지질 이분자막을 형성시키는 성분 등으로서 함유되는 것이다. 이러한 성분(f) 리소인지질은 통상의 화장료에도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 예시하자면 대두 리소인지질, 수소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난황 리소인지질, 수소첨가 난황 리소인지질 등의 성분(a)로 나타낸 인지질을 사용하여, 효소 개질하는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리소인지질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소인지질은 리소인지질의 리소화율(전체 인지질 중 리소인지질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것이다. 또한, 리소인지질 중 포스파티딜콜린의 순도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상품으로서는 NIKKOL 레시놀 LL-20(닛코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LP70H(닛폰 파인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난황 리소레시틴 LPC-1(큐피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a), 성분(f)의 함유 질량 비율이 (a)/(f)=10~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15~50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면 보다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g) 수용성 고분자(단, 성분(b)를 제외함)는 물에 용해할 때 분자 주변에 많은 물을 포함한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g)는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함유했을 때, 보습효과의 지속성이나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성분이다.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인 경우는 성분(g)는 연속상인 수상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g) 수용성 고분자는 화장료 일반에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산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칼리게네스 생산 다당체, 뮤코다당체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크산탄검, 알칼리게네스 생산 다당체, 뮤코다당체가 피부로의 보습효과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g)의 함유량은 0.0001~2%가 바람직하며, 0.00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면 보습효과의 지속성,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성분(a), (c) 및 필요에 따라 (f)를 사전에 혼합해 두고, 거기에 교반하면서 (b), (d), (e) 및 필요한 경우 내포시키고자 하는 수계(aqueous system)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여기서, 지질 이분자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얻어진 조성물에 대해서 몰타 십자가상의 존재를 직교 니콜하에서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 가능하다. 계속해서 이것을 고압처리함으로써, 보다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성분(g) 및 그 밖의 수용성 성분을 첨가, 혼합함으로써 상기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한 수성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의 관점에서 50~4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100~3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은 투명~반투명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입경은 쿨터카운터(벡크만쿨터 주식회사 제조:서브미크론 입자 애널라이저 N5)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또한 투명~반투명의 외관이란,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즉, 광로 길이 10 ㎜의 셀을 사용하여 분광광도계로 파장 700 ㎚의 빛의 투과율을 측정한 경우에, 정제수의 투과율을 100%로 했을 때 투과율이 30% 이상인 것을 가리킨다. 투과율을 측정하는 분광광도계는 「UV-2500PC UV-VIS REDCORDING SPECTROPHOTOMETER」(SHIMADZU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리포솜 조성물을 화장료에 함유하여 사용하는 것에 적합하다. 또한 여기서의 화장료는 리포솜 조성물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부터 수성 화장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성」이란 물을 매체로 하는 제제를 뜻하는데, 리포솜 조성물의 분산성에 적합한 제제이나 유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 화장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리포솜 조성물의 양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리포솜 조성물 자체를 화장료로서 사용해도 되는데, 예를 들면 화장료에 대해 임의 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리포솜 조성물은 화장료 전량에 대해 0.1~99%로 할 수 있고, 0.5~7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50%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면 보습효과의 지속성도 우수한 것으로서 함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에는, 상기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 등에 함유되는 임의 성분, 즉, 알코올류, 분체, 피막형성제, 계면활성제, 유용성 겔화제, 유기 변성 점토광물, 수지, 자외선흡수제, 방부제, 항균제, 향료,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리포솜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리포솜 조성물 자체인 경우와,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인 경우를 포함한다.)의 형태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면 용도로서는 화장수, 유액, 크림, 아이크림, 미용액, 마사지료, 팩료, 핸드크림, 바디크림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화장용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예시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피부에 윤이 나고 생기 있는 단단하고 탄탄함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얼굴에 도포하는 화장수가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기 쉬운 수성 화장료이다. 또한 그 사용법은 손이나 손가락으로 사용하는 방법, 부직포 등에 함침시켜서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은 화장료 외에도 피부 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부 외용제의 용도로서는 외용 액제, 외용 겔제, 크림제, 연고제, 리니먼트제, 로션제, 습포제, 경고제, 분무제, 에어졸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사용방법은 상기한 화장료와 동일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 및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더 나아가서는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 및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의해 나타나는 「보습효과의 지속성」이란, 대상 리포솜 또는 화장품을 도포하고 수시간(바람직하게는 10시간) 경과한 후의 피부에 보습감이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리포솜 조성물 및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의해 나타나는 「단단하고 탄탄함」이란, 피부 내측으로부터 밀어내는 듯한 유연한 탄력이 있는 것을 말한다.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유무 또는 그 정도는 당업자라면 훈련된 전문가에 의한 관능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할 수 있다. 관능시험은 평점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전에 정한 채점기준을 토대로 복수의 전문가에 의해 대상 화장품의 점수를 매기고, 그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 1
아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들은 본 발명을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품 1~18 및 비교품 1~4:리포솜 조성물
표 1~표 3에 나타내는 조성 및 하기 제조방법으로 리포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화장품 평가 전문패널 20명에 의해 각 시료를 적량 얼굴에 도포한 후, 보습효과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의 각 항목에 대해서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5단계로 평가하여 평점을 매기고, 각 시료별 패널 전원의 평점으로부터 그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판정기준에 따라 4단계로 판정하였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에 대해서는 아래에 나타내는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 판정하고, 이들 결과를 합하여 표 1~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제조방법)
A:성분(1)~(4), (6)~(13)을 8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한다.
B:성분(5), (17)의 일부를 80℃로 가열하고, A에 첨가하여 교반한다.
C:B를 냉각한 후에 성분(14)~(16) 및 (17)의 잔부를 첨가 혼합한다.
D:C를 직교 니콜하에서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몰타 십자가상의 존재를 확인한 후, 알티마이저로 고압처리(150 ㎫ 처리횟수 1회)하여 리포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본 발명품 1~19 및 비교품 1~5의 각 시료를 배율 400배, 노광시간 1/200초로 정립형 현미경(올림푸스사 제조)을 사용하여 편광하에서 관찰하여 몰타 십자가상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계속해서, 전문평가자 20명에게 본 발명품 1~19 및 비교품 1~5의 각 시료를 도포하고, (1) 보습효과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2)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에 대해서 앙케트를 행하여, 아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지속성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부터 도포 후의 시간을 10시간으로 하여, 실제의 사용장면을 상정하여 아침에 도포하고 저녁에 평가를 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1:보습효과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5단계 절대평가
(평점):(평가)
 5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매우 보습감이 있음.
 4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보습감이 있음.
 3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약간 보습감이 있음.
 2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그다지 보습감이 없음.
 1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전혀 보습감이 없음.
4단계 판정기준
(판정):(평점의 평균점)
 ◎:4점 초과(매우 양호)
 ○:3점 초과, 4점 이하(양호)
 △:2점 초과, 3점 이하(약간 불량)
 ×:2점 이하(불량)
(2: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평점):(평가)
 5점:도포 10시간 경과 후 피부에 단단하고 탄탄함을 매우 느낌.
 4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단단하고 탄탄함을 느낌.
 3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단단하고 탄탄함을 약간 느낌.
 2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단단하고 탄탄함을 그다지 느끼지 못함.
 1점:도포 10시간 경과 후의 피부에 단단하고 탄탄함을 전혀 느끼지 못함.
4단계 판정기준
(판정):(평점의 평균점)
 ◎:4점 이상(매우 양호)
 ○:3점 이상, 4점 미만(양호)
 △:2점 이상, 3점 미만(약간 불량)
 ×:2점 미만(불량)
(3: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조제한 시료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평가에 대해서는, 각 시료에 대해 40℃ 1개월 정치(靜置)한 후에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을 행하여, 아래의 평가 판정기준에 따라 각각 평가하였다.
 ○:리포솜이 확인되었다.
 △:일부가 손상된 리포솜이 확인되었다.
 ×:리포솜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품 1~19의 리포솜 조성물은 보습효과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및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특히, 수소첨가하지 않은 인지질과 수소첨가한 인지질을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품 11, 12 및 14는 보습효과의 지속성,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그중에서도 해바라기 유래 인지질을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품 11 및 14는 그들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성분(b)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품 1의 경우는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 평가가 낮았다. 또한, 성분(c)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품 2의 경우는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 평가가 낮았다. 성분(d)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품 3은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나쁘고, 또한 보습효과의 지속성 및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 평가가 현저하게 낮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b), 성분(c) 및 성분(d)는 필수 성분으로, 이중 어느 것이 결여되더라도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IOB값 0.67의 다가 알코올을 함유한 비교품 4는 보습효과의 지속성과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IOB값이 클수록 친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IOB값이 1.5~5의 범위면 리포솜 조성물 내 물과의 친화성이 높아 리포솜과 함께 피부에 저류되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본 결과로부터, 성분(d)는 특정 IOB값일 필요가 있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실시예 2:수성 화장료(화장수)
(성분)                           (%)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2
 2. 수소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0.1
 3. 콜레스테롤 0.3
 4. 토코페롤 0.005
 5. 아스타크산틴*4 0.01
 6. 글리세린 5
 7. 1,3-부틸렌글리콜 15
 8. 흰목이 다당체 0.01
 9. 정제수 잔량
10. 정향나무 추출물 0.1
11. 에델바이스 추출물 0.1
12. 자작나무 추출물 0.1
13. 백단향 추출물 0.1
14. 가수분해 콜라겐 0.1
*4 아스타크산틴-5C(오리자 유화 주식회사 제조)
(제조방법)
A:성분(1)~(7)을 8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한다.
B:성분(8) 및 (9)의 일부를 80℃로 가열하고, A에 첨가하여 교반한다.
C:B를 냉각하고, 직교 니콜하에서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몰타 십자가상의 존재를 확인한 후, 알티마이저로 고압처리(200 ㎫ 처리횟수 1회)한다.
D:C에 성분(10)~(14) 및 (9)의 잔부를 첨가 혼합하여 수성 화장료(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2의 수성 화장료(화장수)는 보습효과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및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수성 화장료(젤)
(성분)                          (%)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3
 2. 해바라기 인지질 0.1
 3. 콜레스테롤 0.3
 4. 토코페롤 0.01
 5. 1,3-부틸렌글리콜 15
 6. 흰목이 다당체 0.01
 7. 정제수 잔량
 8. 크산탄검 0.05
 9. 카보머 0.1
10. 수산화나트륨 적량
11. 히드록시프롤린 0.05
12. 세포접착제(cytocatalyzer) 0.05
13. 히알루론산 나트륨 0.05
(제조방법)
A:성분(1)~(5)를 8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한다.
B:성분(6) 및 (7)의 일부를 80℃로 가열하고, A에 첨가하여 교반한다.
C:B를 냉각하고, 직교 니콜하에서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몰타 십자가상의 존재를 확인한 후,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로 고압처리(80 ㎫ 처리횟수 2회)한다.
D:C에 성분(8)~(13) 및 (7)의 잔부를 첨가 혼합하여 수성 화장료(젤)을 얻었다.
실시예 3의 수성 화장료(젤)은 보습효과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및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4:수성 화장료(바디용 미스트)
(성분)                           (%)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5
2. 수소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0.01
3. 콜레스테롤 0.01
4. 세라마이드 II 0.001
5. 세라마이드 III 0.001
6. 토코페롤                     0.01
7. 1,3-부틸렌글리콜                5
8. 디프로필렌글리콜 15
9. 흰목이 다당체 0.01
10. 정제수 잔량
11. 로즈마리 추출물 0.01
12. 백합 추출물 0.01
13. 생강 뿌리 추출물             0.01
(제조방법)
A:성분(1)~(8)을 10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한다.
B:성분(9) 및 (10)의 일부를 80℃로 가열하고, A에 첨가하여 교반한다.
C:B를 냉각하고, 직교 니콜하에서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몰타 십자가상의 존재를 확인한 후, 알티마이저로 고압처리한다.
D:C에 성분(11)~(13) 및 (10)의 잔부를 첨가 혼합하여 수성 화장료(바디용 미스트)를 얻었다.
실시예 4의 수성 화장료(바디용 미스트)는 보습효과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및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5:수성 화장료(미용액)
(성분)                          (%)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3
 2. 해바라기 인지질 0.1
 3. 콜레스테롤 0.3
 4. 토코페롤 0.01
 5. 리놀레산 0.1
 6. 1,3-부틸렌글리콜              8
 7. 디프로필렌글리콜                7
 8. 흰목이 다당체                  0.01
 9. 정제수                      잔량
10. 크산탄검                    0.1
11. 알칼리게네스 생산 다당체      0.002
12. 글리시리진산 이칼륨 0.1
13. 테아닌 0.01
(제조방법)
A:성분(1)~(7)을 8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한다.
B:성분(8) 및 (9)의 일부를 80℃로 가열하고, A에 첨가하여 교반한다.
C:B를 냉각하고, 직교 니콜하에서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몰타 십자가상의 존재를 확인한 후,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로 고압처리(80 ㎫ 처리횟수 2회)한다.
D:C에 성분(10)~(13) 및 (9)의 잔부를 첨가 혼합하여 수성 화장료(미용액)를 얻었다.
실시예 5의 수성 화장료(미용액)는 보습효과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단단하고 탄탄한 느낌의 지속성(도포 10시간 후) 및 리포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었다.

Claims (7)

  1. 다음의 성분(a)~(e);
    (a) 인지질
    (b) 흰목이 추출물
    (c)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d) IOB값 1.5~5의 다가 알코올
    (e) 물
    을 함유하는 리포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 성분(c)의 함유 질량 비율이 (b)/(c)=0.05~9의 범위인 리포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성분(f)로서 리소인지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d)가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리포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포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6. 제5항에 있어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 연속상인 수상 중에 성분(g)로서 수용성 고분자(단, 상기 성분(b)를 제외함)를 함유하는 화장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가 해바라기 유래의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리포솜 조성물.
KR1020177029629A 2015-03-27 2016-03-24 리포솜 조성물 KR102467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7342 2015-03-27
JP2015067342 2015-03-27
PCT/JP2016/059508 WO2016158704A1 (ja) 2015-03-27 2016-03-24 リポソーム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815A true KR20170129815A (ko) 2017-11-27
KR102467709B1 KR102467709B1 (ko) 2022-11-15

Family

ID=5700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629A KR102467709B1 (ko) 2015-03-27 2016-03-24 리포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26715B2 (ko)
JP (1) JP6928551B2 (ko)
KR (1) KR102467709B1 (ko)
CN (1) CN107405265A (ko)
TW (1) TWI754610B (ko)
WO (1) WO20161587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362A (ko) 2022-10-17 2024-04-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콜레스테롤 대체제인 지방산 에르고스테롤 에스터를 사용하여 제조한 신규한 플랙시블 리포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3002A1 (ja) * 2016-12-28 2018-07-05 小林製薬株式会社 外用組成物
JP7008975B2 (ja) * 2017-08-31 2022-01-25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2019099530A (ja) * 2017-12-07 2019-06-24 日本精化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6499784B1 (ja) * 2018-03-27 2019-04-10 ユニテックフーズ株式会社 シロキクラゲ多糖体及びメチルセルロー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剤
CN108653004A (zh) * 2018-06-26 2018-10-16 广州诺德丽诗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多重保湿舒缓修护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251416A (zh) * 2019-07-05 2019-09-20 中山中研化妆品有限公司 一种神经酰胺复合物及其制备方法
EP4260841A1 (en) * 2022-04-14 2023-10-18 Inayatbdv Ltd. Delivery system of active agents via osmotic gradi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0257A (ja) * 2004-04-19 2005-12-02 Nippon Fine Chem Co Ltd 化粧料
JP2006111545A (ja) * 2004-10-13 2006-04-27 Nippon Menaade Keshohin Kk グルタチオンレダクターゼ活性増強剤
JP2006137684A (ja) * 2004-11-10 2006-06-01 Nippon Fine Chem Co Ltd リポソーム前駆体の製造方法
JP2012184182A (ja) 2011-03-04 2012-09-27 Nof Corp 化粧料用リポソーム及び化粧料
US20130078294A1 (en) * 2010-06-09 2013-03-28 NY Derm LLC Multi-Active Microtargeted Anti-Aging Skin Care Cream Polymer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32A (ja) 1983-06-29 1985-01-16 Dai Ichi Seiyaku Co Ltd リポソーム懸濁液およびその製法
JPS61143311A (ja) 1984-12-14 1986-07-01 Pola Chem Ind Inc 化粧料
US4829512A (en) 1986-08-26 1989-05-09 Nec Corporation Loop-back control apparatus for a loop network having duplicate optical fiber transmission lines
JP3521517B2 (ja) 1994-12-28 2004-04-19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
JPH11269056A (ja) 1998-03-24 1999-10-05 Kyowa Hakko Kogyo Co Ltd 化粧料
JP2000063265A (ja) 1998-08-20 2000-02-29 Shionogi & Co Ltd リポソーム外用剤
JP4067211B2 (ja) 1999-02-08 2008-03-26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皮膚外用剤
JP2004143080A (ja) 2002-10-24 2004-05-20 P & P F:Kk 皮膚外用剤
JP2004359573A (ja) 2003-06-03 2004-12-24 Nikko Chemical Co Ltd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該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を用い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2005112742A (ja) 2003-10-03 2005-04-28 Naris Cosmetics Co Ltd 老化防止化粧料
JP4460420B2 (ja) 2004-11-05 2010-05-12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JP2006182695A (ja) 2004-12-27 2006-07-13 Nippon Menaade Keshohin Kk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阻害剤。
JP4740015B2 (ja) 2006-03-30 2011-08-03 株式会社コーセー 2剤混合型皮膚外用剤
JP5064717B2 (ja) 2006-04-27 2012-10-31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リポソーム及びリポソーム含有化粧料
JP2008094809A (ja) 2006-10-16 2008-04-24 Kose Corp リポソー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配合する化粧料、並びに皮膚外用剤
FR2907452B1 (fr) 2006-10-18 2008-12-12 Servier Lab "nouveaux derives indol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JP4732307B2 (ja) 2006-11-20 2011-07-27 株式会社ア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ナノエマルション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10235491A (ja) 2009-03-31 2010-10-21 Nof Corp 化粧料用リポソーム
JP2011144133A (ja) 2010-01-15 2011-07-28 Doctor Program Kk 乳化組成物
JP5601950B2 (ja) 2010-09-27 2014-10-08 株式会社マンダム リポソーム含有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配合してなる皮膚用水溶性化粧料
JP2014050018A (ja) 2012-09-03 2014-03-17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ビデオ会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02139A1 (en) * 2014-01-21 2015-07-23 Md Solarciences Corp. Anti-aging skincare produc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0257A (ja) * 2004-04-19 2005-12-02 Nippon Fine Chem Co Ltd 化粧料
JP2006111545A (ja) * 2004-10-13 2006-04-27 Nippon Menaade Keshohin Kk グルタチオンレダクターゼ活性増強剤
JP2006137684A (ja) * 2004-11-10 2006-06-01 Nippon Fine Chem Co Ltd リポソーム前駆体の製造方法
US20130078294A1 (en) * 2010-06-09 2013-03-28 NY Derm LLC Multi-Active Microtargeted Anti-Aging Skin Care Cream Polymer Technology
JP2012184182A (ja) 2011-03-04 2012-09-27 Nof Corp 化粧料用リポソーム及び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362A (ko) 2022-10-17 2024-04-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콜레스테롤 대체제인 지방산 에르고스테롤 에스터를 사용하여 제조한 신규한 플랙시블 리포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3755A (zh) 2017-02-01
US20180110701A1 (en) 2018-04-26
CN107405265A (zh) 2017-11-28
JP6928551B2 (ja) 2021-09-01
KR102467709B1 (ko) 2022-11-15
TWI754610B (zh) 2022-02-11
US10426715B2 (en) 2019-10-01
WO2016158704A1 (ja) 2016-10-06
JPWO2016158704A1 (ja)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9815A (ko) 리포솜 조성물
JP5142989B2 (ja) 脂質とスチレン及びマレイン酸の共重合体とを含む組成物
JP6588568B2 (ja) バイセル構造体を含有する組成物
JP6580018B2 (ja) 透明化粧水
JP5148127B2 (ja) ナノ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含む化粧用および皮膚用組成物
KR102052621B1 (ko) 각질층의 라멜라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는 유사 피부 모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147B1 (ko)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414390B (zh) 皮肤外用剂
KR20220159075A (ko) 피부모사 리포좀 및 보습효능을 포함하는 이의 용도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748A (ko) 탄성 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04837479B (zh) 泡囊组合物和配混有该泡囊组合物的皮肤外用剂以及化妆品
JP2016056198A (ja) 化粧料
DE19830004B4 (de) Kosmetische Wirkstoffzubereitung mit hohem Radikalschutzfaktor und deren Verwendung
JP7321015B2 (ja) バイセル構造体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272302B1 (ko)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CN108368451A (zh) 油脂组合物和油脂的氧化抑制方法
JP5756602B2 (ja) ゼラチンおよび/またはエラスチン構成ポリペプチドで修飾されたリポソームからなる化粧料基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KR100614816B1 (ko) 안정한 나노 캡슐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0652122B1 (ko) 실크아미노산과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나노베지클 조성물
JP2016150916A (ja) 皮脂分泌抑制剤
JP2019116456A (ja) 抗皮膚老化外用組成物
CN110652460B (zh) 含有亚油酸的组合物
JP2622602B2 (ja) 水性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