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374A -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5374A KR20160125374A KR1020167022457A KR20167022457A KR20160125374A KR 20160125374 A KR20160125374 A KR 20160125374A KR 1020167022457 A KR1020167022457 A KR 1020167022457A KR 20167022457 A KR20167022457 A KR 20167022457A KR 20160125374 A KR20160125374 A KR 201601253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group
- meth
- monomer
- viscosity index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 C10M145/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monocarboxylic
- C10M145/14—Acrylate;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4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9/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mino group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4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9/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53/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4—Acrylate;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2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mino group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5/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5/02—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phosphorus-containg monomer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4—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2—Pour-point; Viscosity index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2—Inhibition of corrosion, e.g. anti-rust agents or anti-corros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8—Anti-foaming property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70—Soluble oi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10N2040/042—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10N2040/04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for manual transmiss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10N2040/045—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for 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CVT]
-
- C10N2220/021—
-
- C10N2220/022—
-
- C10N2230/02—
-
- C10N2230/70—
-
- C10N2240/042—
-
- C10N2240/044—
-
- C10N2240/04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단 안정성이 우수하고, HTHS 점도가 낮고, 점도 지수가 높은 점도 지수 향상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는, 폴리올레핀계 단량체를 필수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 (A) 와 베이스 오일을 함유하는 점도 지수 향상제에 있어서, (A) 와 베이스 오일의 용해 파라미터 차의 절대치가 0.8 ∼ 2.0 (cal/㎤)1/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점도 지수 향상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CO2 배출량 저감 및 석유 자원 보호 등의 실현을 위해서, 자동차의 연비 절감화가 보다 한층 요구되고 있다. 연비 절감화의 하나로서, 엔진 오일의 저점도화에 의한 점성 저항의 저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저점도화되면 액 누출이나 시이징 (seizing) 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또, 한랭지에서는 저온 시동성이 요구된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 SAE 의 엔진 오일용 점도 규격 (SAE J300) 에 정해져 있고, 0W-20 그레이드에 있어서는, 고온 고전단 하에서의 150 ℃ HTHS 점도 (ASTM D4683 또는 D5481) 가 Min. 2.6 으로 규정되어 있다. 또, 동 그레이드는, 한랭지에서의 시동성 보증을 위해서 -40 ℃ 하의 저온 점도가 60,000 mPa·s 이하 및 항복 응력이 없을 것 (ASTM D4684) 이 규정되어 있다. 연비 절감화에 대해서는, 상기 규격을 만족시킨 데다가, 80 ℃ 또는 100 ℃ 의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가 보다 낮은 엔진 오일이 요구되어, 종래부터 각종 점도 지수 향상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점도 지수 향상제로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특허문헌 1 ∼ 4), 올레핀 공중합체 (특허문헌 5), 빗살형 공중합체 (특허문헌 6 ∼ 8)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점도 지수 향상제는, 엔진 오일 조성물에 첨가한 경우에 80 ℃ HTHS 점도의 저감에 여전히 충분하지 않아, 전단에 의한 점도 저감을 받기 쉽고, 또, 저온에서의 점도가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단 안정성이 우수하고,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가 낮고, 점도 지수가 높은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이것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단량체를 필수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 (A) 와 베이스 오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도 지수 향상제에 있어서, (A) 와 베이스 오일의 용해 파라미터 차의 절대치가 0.8 ∼ 2.0 (cal/㎤)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지수 향상제와, 그 점도 지수 향상제, 그리고, 청정제, 분산제, 산화 방지제, 오일성 향상제, 마찰 마모 조정제, 극압제, 소포제, 항유화제 및 부식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윤활유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이것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윤활유 조성물은, 전단 안정성이 우수하고,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가 낮고, 점도 지수가 우수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는, 폴리올레핀계 단량체를 필수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 (A) 와 베이스 오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도 지수 향상제에 있어서, (A) 와 베이스 오일의 용해 파라미터 차의 절대치가 0.8 ∼ 2.0 (cal/㎤)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지수 향상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 (A) 는, 폴리올레핀계 단량체를 필수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단량체는, 후술하는 탄화수소 중합체를 변성하고, (메트)아크릴산과 반응시킨 단량체이다. 또한, 「(메트)아크릴」은, 메타크릴 또는 아크릴을 의미한다.
변성의 형태로는, 탄화수소 중합체에 수산기를 도입하는, 및 아미노기를 도입하는 변성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화수소 중합체에 수산기를 도입한 수산기 함유 (공)중합체 [수소화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부텐에 수산기를 도입한 수산기 함유 중합체 등] 와,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단량체, 및 탄화수소 중합체에 아미노기를 도입한 아미노기 함유 (공)중합체와, (메트)아크릴산의 아미드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변성된 탄화수소 중합체의 수산기 및 아미노기의 수는, HTHS 점도 및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1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수소 중합체로는, 이하의 (1) ∼ (3) 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이다. 탄화수소 중합체는, 블록 중합체여도 되고, 랜덤 중합체여도 된다. 탄화수소 중합체가, 이중 결합을 갖는 경우에는, 수소 첨가에 의해, 이중 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소화한 것이어도 된다.
(1)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탄소수 2 ∼ 36 의 올레핀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텐, 1-부텐, 2-부텐, 펜텐, 헵텐, 디이소부틸렌, 옥텐, 도데센, 옥타데센, 트리아코센 및 헥사트리아코센 등), 탄소수 2 ∼ 36 의 디엔 (예를 들어 1,2-부타디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1,4-펜타디엔, 1,5-헥사디엔 및 1,7-옥타디엔 등) 등]
(2) 지환식 불포화 탄화수소 [예를 들어 시클로헥센, (디)시클로펜타디엔, 피넨, 리모넨, 인덴, 비닐시클로헥센 및 에틸리덴비시클로헵텐 등]
(3) 방향족기 함유 불포화 탄화수소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2,4-디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이소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페닐스티렌, 시클로헥실스티렌, 벤질스티렌, 크로틸벤젠, 비닐나프탈렌, 디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디비닐자일렌 및 트리비닐벤젠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 중, HTHS 점도 및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36 의 올레핀 및 탄소수 2 ∼ 36 의 디엔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16 의 올레핀 및 탄소수 2 ∼ 10 의 디엔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텐, 1-부텐, 2-부텐 및 1,3-부타디엔이다.
폴리올레핀계 단량체의 수평균 분자량 (이하 Mn 으로 약기한다) 은, 전단 안정성 및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 ∼ 25,0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2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 15,000, 가장 바람직한 것은 2,500 ∼ 10,000 이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단량체의 Mn, 후술하는 (공)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 (이하 Mw 로 약기한다) 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단량체의 Mn, (A) 의 Mw 의 측정 조건>
장치:「HLC-802A」[토소 (주) 제조]
칼럼:「TSK gel GMH6」[토소 (주) 제조] 2 개
측정 온도:40 ℃
시료 용액:0.5 중량%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용액 주입량:200 ㎕
검출 장치:굴절률 검출기
기준 물질:표준 폴리스티렌 (TSKstandard POLYSTYRENE) 12 점 (분자량:500, 1,050, 2,800, 5,970, 9,100, 18,100, 37,900, 96,400, 190,000, 355,000, 1,090,000, 2,890,000) [토소 (주) 제조]
폴리올레핀계 단량체는, HTHS 점도 및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이다.
[화학식 1]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X1- 은 -O-, -O(AO)m- 또는 -NH- 로 나타내는 기로서, A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이고,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m 이 2 이상인 경우의 A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AO)m 부분은 랜덤 결합이어도 되고 블록 결합이어도 된다;R2 는 이소부틸렌 및/또는 1,2-부틸렌을 필수 구성 단위로 하는 탄화수소 중합체로부터 수소 원자를 1 개 제외한 잔기;p 는 0 또는 1 의 수이다.]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이들 중,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메틸기이다.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X1- 은, -O-, -O(AO)m- 또는 NH- 로 나타내는 기이다.
A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이다.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로는, 에틸렌기, 1,2- 또는 1,3-프로필렌기, 및 1,2-, 1,3- 또는 1,4-부틸렌기를 들 수 있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 4 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2 의 정수이다.
m 이 2 이상인 경우의 A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AO)m 부분은 랜덤 결합이어도 되고 블록 결합이어도 된다.
-X1- 중,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O- 및 -O(AO)m- 으로 나타내는 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O- 및 -O(CH2CH2O)- 로 나타내는 기이다.
p 는 0 또는 1 의 수이다.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R2 는, 이소부틸렌 및/또는 1,2-부틸렌을 필수 구성 단위로 하는 탄화수소 중합체로부터 수소 원자를 1 개 제외한 잔기이다.
이소부틸렌 및/또는 1,2-부틸렌을 구성 단위로 하는 탄화수소 중합체로는, 이소부텐, 1-부텐 및 2-부텐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그리고 1,3-부타디엔을 중합한 1,2-부가물의 말단 이중 결합을 수소화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 중합체는, 블록 중합체여도 되고, 랜덤 중합체여도 된다.
이소부틸렌 및/또는 1,2-부틸렌을 필수 구성 단위로 하는 탄화수소 중합체는, 이소부틸렌 및/또는 1,2-부틸렌 이외의 구성 단위를 추가로 함유하는 탄화수소 중합체여도 된다. 구성 단량체로는, 이소부텐, 1-부텐 및 2-부텐을 제외한, 상기의 (1)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2) 지환식 불포화 탄화수소 및 (3) 방향족기 함유 불포화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 중합체가, 이중 결합을 갖는 경우에는, 수소 첨가에 의해, 이중 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소화한 것이어도 된다.
탄화수소 중합체의 합계 구성 단위 수에 기초하여, HTHS 점도와 점도 지수와 전단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렌 및/또는 1,2-부틸렌의 합계가 30 몰%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이다.
탄화수소 중합체의 합계 구성 단위 수에 기초하여, 이소부틸렌과 1,2-부틸렌의 합계는, 탄화수소 중합체를 13C-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에 의해 분석하고, 하기 수학식 (1) 을 사용하여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다. 13C-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에 있어서, 이소부틸렌의 메틸기에서 유래하는 피크가 30 ∼ 32 ppm 의 적분치 (적분치 A), 1,2-부틸렌의 분기 메틸렌기 (-CH2-CH(CH2CH3)-) 에서 유래하는 피크가 26 ∼ 27 ppm 의 적분치 (적분치 B) 로 나타낸다. 상기 피크의 적분치와, 탄화수소 중합체의 전체 탄소의 피크에 관한 적분치 (적분치 C) 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는, 탄화수소 중합체에 수산기를 도입한 수산기 함유 (공)중합체 또는 탄화수소 중합체에 아미노기를 도입한 아미노기 함유 (공)중합체와, (메트)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아미드화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수산기 함유 (공)중합체 및 아미노기 함유 (공)중합체 (Y)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수산기 함유 (공)중합체 (Y1) ∼ (Y4) 및 아미노기 함유 (공)중합체 (Y5) 를 들 수 있다.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Y1);상기 (1)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2) 지환식 불포화 탄화수소 및 (3) 방향족기 함유 불포화 탄화수소 (예를 들어 탄소수 2 ∼ 36 의 올레핀 등) 등을 이온 중합 촉매 (나트륨 촉매 등) 존재 하에 중합하여 얻어진 탄화수소 중합체에, 알킬렌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등) 를 부가하여 얻어진 것 등.
하이드로붕소화물 (Y2);탄화수소 중합체의 하이드로붕소화 반응물 (예를 들어 US4,316,973호에 기재된 것) 등.
무수말레산-엔-아미노알코올 부가물 (Y3);이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 중합체와 무수말레산의 엔 (ene) 반응으로 얻어진 반응물을, 아미노알코올로 이미드화하여 얻어진 것 등.
하이드로포르밀-수소화물 (Y4);이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 중합체를 하이드로포르밀화하고, 이어서 수소화 반응시켜 얻어진 것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175096호에 기재된 것) 등.
무수말레산-엔-에틸렌디아민 부가물 (Y5);이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 중합체와 무수말레산의 엔 반응으로 얻어진 반응물을, 에틸렌디아민으로 이미드화하여 얻어진 것 등.
(Y) 중 HTHS 점도 및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Y1), (Y2) 및 (Y3) 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Y1) 이다.
수산기 함유 (공)중합체 및 아미노기 함유 (공)중합체 (Y) 의 수평균 분자량은, 전단 안정성 및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 ∼ 25,0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 2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 15,000, 가장 바람직한 것은 4,000 ∼ 10,000 이다.
(Y) 의 결정화 온도는,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윤활유 조성물의 저온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또한, (Y) 와 후술하는 (공)중합체 (A) 의 결정화 온도는, 시차주사 열량계 「유닉스 (등록 상표) DSC7」 (PERKIN-ELMER 사 제조)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Y), (A) 5 ㎎ 을 시료로 하여, 10 ℃/분의 등온 속도로 100 ℃ 로부터 -80 ℃ 까지 냉각시켰을 때에 관측되는 결정화 온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 (A) 는, HTHS 점도 및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단량체 (b) 를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이다.
[화학식 2]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X2- 는 -O- 또는 -NH- 로 나타내는 기;R4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R5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q 는 1 ∼ 20 의 정수이고, q 가 2 이상인 경우의 R4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R4O)q 부분은 랜덤 결합이어도 되고 블록 결합이어도 된다.]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이들 중,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메틸기이다.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X2- 는, -O- 또는 -NH- 로 나타내는 기이다. 이들 중,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O- 로 나타내는 기이다.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R4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이다.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로는,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1,2- 또는 1,3-프로필렌기, 이소부틸렌기, 및 1,2-, 1,3- 또는 1,4-부틸렌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q 는 1 ∼ 20 의 정수이고, 점도 지수 및 저온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5 의 정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 의 정수이다.
q 가 2 이상인 경우의 A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R4O)q 부분은 랜덤 결합이어도 되고 블록 결합이어도 된다.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R5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n-헵틸기, 이소헵틸기, n-헥실기, 2-에틸헥실기, n-펜틸기 및 n-옥틸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중,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 ∼ 8 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가장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4 의 알킬기이다.
단량체 (b) 의 구체예로는, 메톡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록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록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록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1 ∼ 8 의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 부틸렌옥사이드를 2 ∼ 20 몰 부가한 것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 (b) 중,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 (A) 는, 단량체 (a) 및 (b) 에 추가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c) 및/또는 탄소수 12 ∼ 36 의 직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d) 및/또는 탄소수 12 ∼ 36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e) 를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실효 온도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c) 로는,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및 (메트)아크릴산부틸 등을 들 수 있다.
(c) 중 HTHS 점도와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메트)아크릴산메틸 및 (메트)아크릴산부틸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메트)아크릴산부틸이다.
탄소수 12 ∼ 36 의 직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d) 로는, (메트)아크릴산n-도데실, (메트)아크릴산n-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n-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n-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n-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n-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n-이코실, (메트)아크릴산n-테트라코실, (메트)아크릴산n-트리아콘틸 및 (메트)아크릴산n-헥사트리아콘틸 등을 들 수 있다.
(d) 중 HTHS 점도와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2 ∼ 32 의 직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2 ∼ 28 의 직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2 ∼ 22 의 직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 (A) 는,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e) 를 구성 단량체로 할 수 있다.
[화학식 3]
[R6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X3- 은 -O- 또는 -NH- 로 나타내는 기;R7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R8,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4 의 직사슬 알킬기;r 은 0 ∼ 20 의 정수이고, r 이 2 이상인 경우의 R7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R7O)r 부분은 랜덤 결합이어도 되고 블록 결합이어도 된다.]
일반식 (3) 에 있어서의 R6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이들 중,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메틸기이다.
일반식 (3) 에 있어서의 -X3- 은, -O- 또는 -NH- 로 나타내는 기이다. 이들 중,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O- 로 나타내는 기이다.
일반식 (3) 에 있어서의 R7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이다.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로는,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1,2- 또는 1,3-프로필렌기, 이소부틸렌기, 및 1,2-, 1,3- 또는 1,4-부틸렌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 (3) 에 있어서의 r 은 0 ∼ 20 의 정수이고,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 5 의 정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2 의 정수이다.
r 이 2 이상인 경우의 R7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R7O)r 부분은 랜덤 결합이어도 되고 블록 결합이어도 된다.
일반식 (3) 에 있어서의 R8,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4 의 직사슬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는, n-부틸기, n-헵틸기, n-헥실기, n-펜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 n-운데실기, n-도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n-헥사데실기, n-옥타데실기, n-에이코실기 및 n-테트라코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4 ∼ 24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알킬기 중,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6 ∼ 24 의 직사슬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6 ∼ 20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알킬기,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8 ∼ 16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알킬기이다.
단량체 (e) 의 구체예로는, (메트)아크릴산2-옥틸데실, 에틸렌글리콜모노-2-옥틸펜타데실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2-옥틸도데실, (메트)아크릴산2-n-데실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2-n-도데실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2-테트라데실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2-도데실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2-테트라데실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2-헥사데실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2-헵타데실이코실, (메트)아크릴산2-헥사데실도코실, (메트)아크릴산2-에이코실도코실, (메트)아크릴산2-테트라코실헥사코실 및 N-2-옥틸데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 (e) 중, 점도 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2 ∼ 36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4 ∼ 32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16 ∼ 28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단량체 (b) ∼ (e) 는, 탄화수소기 함유 화합물의 말단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미노기를, (메트)아크릴산과 반응시킨 단량체이지만, 탄화수소 중합체를 변성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단량체에 해당되지 않는다. 또, 탄소수 1 ∼ 8 의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 부틸렌옥사이드를 2 ∼ 20 몰 부가한 것이나 탄소수 10 ∼ 50 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 부틸렌옥사이드를 1 ∼ 20 몰 부가한 것도, 탄화수소 중합체는 아니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단량체에 해당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 (A) 는, 단량체 (a) ∼ (e) 에 더하여, 추가로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 (f), 수산기 함유 단량체 (g) 및 인 원자 함유 단량체 (h)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 (f) 로는, 단량체 (a), (b) 및 (e) 를 제외한, 이하의 단량체 (f1) ∼ (f4) 를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f1):
(메트)아크릴아미드, 모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질소 원자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1 개 결합한 것;예를 들어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n- 또는 이소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N-(N'-모노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질소 원자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1 개 결합한 아미노알킬기 (탄소수 2 ∼ 6) 를 갖는 것;예를 들어 N-(N'-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이소프로필아미노-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N'-n- 또는 이소부틸아미노-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질소 원자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2 개 결합한 것;예를 들어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N-디-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N-(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아미노알킬기의 질소 원자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2 개 결합한 아미노알킬기 (탄소수 2 ∼ 6) 를 갖는 것;예를 들어 N-(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N',N'-디-n-부틸아미노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N-비닐카르복실산아미드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n- 또는 이소프로피온산아미드 및 N-비닐하이드록시아세트아미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니트로기 함유 단량체 (f2):
4-니트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1 ∼ 3 급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f3):
1 급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탄소수 3 ∼ 6 의 알케닐아민 [(메트)알릴아민 및 크로틸아민 등], 아미노알킬 (탄소수 2 ∼ 6)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2 급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모노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질소 원자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가 1 개 결합한 아미노알킬기 (탄소수 2 ∼ 6) 를 갖는 것;예를 들어 N-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N-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탄소수 6 ∼ 12 의 디알케닐아민 [디(메트)알릴아민 등]};3 급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질소 원자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가 2 개 결합한 아미노알킬기 (탄소수 2 ∼ 6) 를 갖는 것;예를 들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질소 원자를 갖는 지환식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르폴리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방향족계 단량체 [N-(N',N'-디페닐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스티렌, 4-비닐피리딘, 2-비닐피리딘, N-비닐피롤, N-비닐피롤리돈 및 N-비닐티오피롤리돈 등]}, 및 이것들의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또는 저급 알킬 (탄소수 1 ∼ 8) 모노카르복실산 (아세트산 및 프로피온산 등) 염 등을 들 수 있다.
니트릴기 함유 단량체 (f4):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f) 중 슬러지 분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f1) 및 (f3) 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N-(N',N'-디페닐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수산기 함유 단량체 (g):
수산기 함유 방향족 단량체 (p-하이드록시스티렌 등), 하이드록시알킬 (탄소수 2 ∼ 6)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 또는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모노- 또는 비스-하이드록시알킬 (탄소수 1 ∼ 4) 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N,N-비스(하이드록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비스(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비닐알코올, 탄소수 3 ∼ 12 의 알케놀 [(메트)알릴알코올, 크로틸알코올, 이소크로틸알코올, 1-옥테놀 및 1-운데세놀 등], 탄소수 4 ∼ 12 의 알켄모노올 또는 알켄디올 [1-부텐-3-올, 2-부텐-1-올 및 2-부텐-1,4-디올 등], 하이드록시알킬 (탄소수 1 ∼ 6) 알케닐 (탄소수 3 ∼ 10) 에테르 (2-하이드록시에틸프로페닐에테르 등), 다가 (3 ∼ 8 가) 알코올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소르비탄, 디글리세린, 당류 및 자당 등) 의 알케닐 (탄소수 3 ∼ 10) 에테르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자당(메트)알릴에테르 등] 등;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알킬렌기의 탄소수 2 ∼ 4, 중합도 2 ∼ 50),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상기 3 ∼ 8 가의 알코올의 폴리옥시알킬렌에테르 (알킬렌기의 탄소수 2 ∼ 4, 중합도 2 ∼ 100)],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알킬 (탄소수 1 ∼ 4) 에테르의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Mn:100 ∼ 300)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Mn:130 ∼ 500)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Mn:110 ∼ 310)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2 ∼ 30 몰)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모노(메트)아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 (Mn:150 ∼ 230) 소르비탄 등] 등;을 들 수 있다.
인 원자 함유 단량체 (h) 로는, 이하의 단량체 (h1) ∼ (h2) 를 들 수 있다.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단량체 (h1):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 (탄소수 2 ∼ 4) 인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및 인산알케닐에스테르 [인산비닐, 인산알릴, 인산프로페닐, 인산이소프로페닐, 인산부테닐, 인산펜테닐, 인산옥테닐, 인산데세닐 및 인산도데세닐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옥시」는, 아크릴로일옥시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를 의미한다.
포스포노기 함유 단량체 (h2):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 (탄소수 2 ∼ 4) 포스폰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폰산 등] 및 알케닐 (탄소수 2 ∼ 12) 포스폰산 [비닐포스폰산, 알릴포스폰산 및 옥테닐포스폰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h) 중 금속 표면과의 마찰 계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h1) 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 (탄소수 2 ∼ 4) 인산에스테르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이다.
(A) 는, 단량체 (a) ∼ (h) 에 더하여, 추가로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단량체 (i) 를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단량체 (i) 로는,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탄소수 4 ∼ 12 의 알카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1,4-펜타디엔, 1,6-헵타디엔 및 1,7-옥타디엔 등), (디)시클로펜타디엔, 비닐시클로헥센 및 에틸리덴비시클로헵텐, 리모넨, 에틸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알릴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국제 공개 WO01/009242호에 기재된, Mn 이 500 이상인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글리콜의 에스테르 및 불포화 알코올과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A) 는, 단량체 (a) ∼ (i) 에 더하여, 이하의 단량체 (j) ∼ (p) 를 구성 단량체로 해도 된다.
지방족 탄화수소계 단량체 (j):
탄소수 2 ∼ 20 의 알켄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틸렌, 펜텐, 헵텐, 디이소부틸렌, 옥텐, 도데센 및 옥타데센 등)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탄화수소계 단량체 (k):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및 피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단량체 (l):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2,4-디메틸스티렌, 4-에틸스티렌, 4-이소프로필스티렌, 4-부틸스티렌, 4-페닐스티렌, 4-시클로헥실스티렌, 4-벤질스티렌, 4-크로틸벤젠, 인덴 및 2-비닐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 비닐에테르, 비닐케톤류 (m):
탄소수 2 ∼ 12 의 포화 지방산의 비닐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및 옥탄산비닐 등), 탄소수 1 ∼ 12 의 알킬, 아릴 또는 알콕시알킬비닐에테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프로필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2-에틸헥실비닐에테르, 페닐비닐에테르, 비닐-2-메톡시에틸에테르 및 비닐-2-부톡시에틸에테르 등) 및 탄소수 1 ∼ 8 의 알킬 또는 아릴비닐케톤 (메틸비닐케톤, 에틸비닐케톤 및 페닐비닐케톤 등)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n):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메트)알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 원소 함유 단량체 (o):
염화비닐, 브롬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염화(메트)알릴 및 할로겐화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폴리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p):
불포화 폴리카르복실산의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르알킬에스테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말레산, 푸말산 및 이타콘산 등) 의 탄소수 1 ∼ 8 의 알킬디에스테르 (디메틸말레에이트, 디메틸푸말레이트, 디에틸말레에이트 및 디옥틸말레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A) 를 구성하는 (a) 의 비율은,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 ∼ 5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4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40 중량%, 가장 바람직한 것은 10 ∼ 30 중량% 이다.
(A) 를 구성하는 (b) 의 비율은,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 ∼ 8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35 중량%, 가장 바람직한 것은 10 ∼ 30 중량% 이다.
(A) 를 구성하는 (a) 와 (b) 의 합계의 비율은,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9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80 중량%, 가장 바람직한 것은 20 ∼ 50 중량% 이다.
(A) 를 구성하는 (c) 의 비율은,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 ∼ 8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7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65 중량% 이다.
(A) 를 구성하는 (d) 의 비율은,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 ∼ 4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30 중량% 이다.
(A) 를 구성하는 (e) 의 비율은,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 및 저온 점도의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 ∼ 4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25 중량% 이다.
(A) 를 구성하는 (f) ∼ (h) 각각의 비율은,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 및 저온 점도의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 ∼ 15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10 중량% 이다.
(A) 를 구성하는 (i) 의 비율은,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200 pp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5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20 ppm 이다.
(A) 를 구성하는 (j) ∼ (p) 각각의 비율은, 점도 지수 및 저온 점도의 관점에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 ∼ 1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7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5 중량%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의 용해 파라미터 (이하 SP 치로 약기한다) 는, 베이스 오일과의 SP 치 차의 절대치가 0.8 ∼ 2.0 이면 되고, 예를 들어, 5.8 ∼ 11.5 (cal/㎤)1/2 이다.
(A) 의 SP 치가, 상기 범위 외이면, (A) 가 베이스 오일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거나, 설령 (A) 가 베이스 오일에 충분히 용해되었다고 해도 HTHS 점도와 점도 지수가 낮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A) 및 후술하는 베이스 오일의 SP 치는, Fedors 법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February, 1974, Vol.14, No.2 P.147 ∼ 154) 에 기재된 방법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A) 의 SP 치는, 점도 지수 및 베이스 오일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1 ∼ 10.3 (cal/㎤)1/2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 9.7 (cal/㎤)1/2, 특히 바람직하게는 9.1 ∼ 9.5 (cal/㎤)1/2, 가장 바람직하게는 9.1 ∼ 9.3 (cal/㎤)1/2 이다.
(A) 의 SP 치는, (A) 를 구성하는 단량체 각각의 SP 치를 상기 방법으로 산출하고, 각각의 단량체의 SP 치를, 구성 단량체 단위의 몰 분율에 기초하여 평균한 값이다.
(A) 의 SP 치는, 사용하는 단량체의 SP 치, 몰 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A) 의 Mw 는,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 및 저온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 ∼ 2,000,000 이고,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윤활유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상이하고, 표 1 에 기재된 범위이다.
(A) 의 결정화 온도는,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윤활유 조성물의 저온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A) 는, 공지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단량체를 용제 중에서 중합 촉매 존재 하에 용액 중합함으로써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제로는, 톨루엔, 자일렌, 탄소수 9 ∼ 10 의 알킬벤젠, 메틸에틸케톤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촉매로는, 아조계 촉매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 과산화물계 촉매 (벤조일퍼옥사이드, 쿠밀퍼옥사이드 및 라우릴퍼옥사이드 등) 및 레독스계 촉매 (벤조일퍼옥사이드와 3 급 아민의 혼합물 등) 를 들 수 있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공지된 연쇄 이동제 (탄소수 2 ∼ 20 의 알킬메르캅탄 등)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 온도는, 공업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 ∼ 14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20 ℃ 이다. 또, 상기의 용액 중합 외에,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또는 현탁 중합에 의해 (A) 를 얻을 수 있다.
(A) 가 공중합체인 경우의 중합 형태로는, 랜덤 부가 중합체 또는 교호 공중합체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는, (A) 와 베이스 오일 외에, (A) 이외의 알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B) 를 병용해도 된다.
(B) 로는, (A) 이외의 알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 1 ∼ 18 의 직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B) 의 구체예로는, 메타크릴산n-옥타데실/메타크릴산n-도데실 (몰비 10 ∼ 30/90 ∼ 70) 공중합체, 메타크릴산n-테트라데실/메타크릴산n-도데실 (몰비 10 ∼ 30/90 ∼ 70) 공중합체, 메타크릴산n-헥사데실/메타크릴산n-도데실/메타크릴산메틸 (몰비 20 ∼ 40/55 ∼ 75/0 ∼ 10)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n-도데실/메타크릴산n-도데실 (몰비 10 ∼ 40/90 ∼ 60)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A) 와 (B) 를 병용하는 경우의 (B) 의 사용량은,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저온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 3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2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 1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오일은, (A) 와의 용해 파라미터 차의 절대치가 0.8 ∼ 2.0 (cal/㎤)1/2 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광물유 (용제 정제유, 파라핀유, 이소파라핀을 함유하는 고점도 지수유, 이소파라핀의 수소화 분해에 의한 고점도 지수유 및 나프텐유 등), 합성 윤활유 [탄화수소계 합성 윤활유 (폴리α-올레핀계 합성 윤활유 등) 및 에스테르계 합성 윤활유 등]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산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광물유이다.
베이스 오일의 SP 치는, (A) 의 SP 치와의 차의 절대치가 0.8 ∼ 2.0 (cal/㎤)1/2 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8 ∼ 9.5 (cal/㎤)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오일의 SP 치가, 7.8 (cal/㎤)1/2 미만이면, HTHS 점도와 점도 지수가 낮아지기 쉽고, 9.5 (cal/㎤)1/2 를 초과하면 (A) 가 베이스 오일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베이스 오일의 SP 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9 ∼ 9.0 (cal/㎤)1/2,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8.5 (cal/㎤)1/2,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 8.3 (cal/㎤)1/2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8.3 (cal/㎤)1/2 이다.
베이스 오일의 SP 치는, 에스테르유의 종류와 배합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 오일의 100 ℃ 에 있어서의 동점도 (JIS-K 2283 으로 측정한 것) 는, 실효 온도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15 ㎟/s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5 ㎟/s 이다.
베이스 오일의 점도 지수 (JIS-K 2283 으로 측정한 것) 는,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이다.
베이스 오일의 담점 (曇点) (JIS-K 2269 로 측정한 것) 은,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베이스 오일의 담점이 이 범위 내이면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윤활유 조성물의 저온 점도가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에 있어서의 (A) 의 함유율은, 점도 지수 향상제의 동점도의 관점에서, 베이스 오일의 중량에 기초하여, 점도 지수 향상제 중의 (A) 의 중량으로 환산하여,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 이다.
엔진 오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100 ℃ 의 동점도가 4 ∼ 10 ㎟/s 의 베이스 오일에, (A) 를 2 ∼ 10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 오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100 ℃ 의 동점도가 2 ∼ 10 ㎟/s 의 베이스 오일에, (A) 를 3 ∼ 30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변속기 오일 (ATF 및 belt-CVTF 등) 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100 ℃ 의 동점도가 2 ∼ 6 ㎟/s 의 베이스 오일에, (A) 를 3 ∼ 25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션 오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100 ℃ 의 동점도가 1 ∼ 5 ㎟/s 의 베이스 오일에, (A) 를 0.5 ∼ 10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는 베이스 오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중합체 (A) 와 베이스 오일의 혼합 비율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 자체가 윤활유 조성물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후술하는 그 밖의 첨가제를 1 종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과 구별하기 위해, 점도 지수 향상제로서 기재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에 더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각종 첨가제를 1 종 이상 함유하고 있다. 첨가제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1) 청정제:
염기성, 과염기성 또는 중성의 금속염 [술포네이트 (석유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및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 등) 의 과염기성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등], 살리실레이트류, 페네이트류, 나프테네이트류, 카보네이트류, 포스포네이트류 및 이것들의 혼합물;
(2) 분산제:
숙신산이미드류 (비스- 또는 모노-폴리부테닐숙신산이미드류), 만니히 축합물 및 보레이트류 등;
(3) 산화 방지제:
힌더드페놀류 및 방향족 2 급 아민류 등;
(4) 오일성 향상제:
장사슬 지방산 및 그것들의 에스테르 (올레산 및 올레산에스테르 등), 장사슬 아민 및 그것들의 아미드 (올레일아민 및 올레일아미드 등) 등;
(5) 마찰 마모 조정제:
몰리브덴계 및 아연계 화합물 (몰리브덴디티오포스페이트, 몰리브덴디티오카바메이트 및 징크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등) 등;
(6) 극압제:
황계 화합물 (모노 또는 디술파이드, 술폭사이드 및 황포스파이드 화합물), 포스파이드 화합물 및 염소계 화합물 (염소화파라핀 등) 등;
(7) 소포제:
실리콘유, 금속 비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포스페이트 화합물 등;
(8) 항유화제:
4 급 암모늄염 (테트라알킬암모늄염 등), 황산화유 및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함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포스페이트 등) 등;
(9) 부식 방지제:
질소 원자 함유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및 1,3,4-티오디아졸릴-2,5-비스디알킬디티오카바메이트 등) 등.
또한, 각 첨가제를 컴퍼넌트 첨가제라고 하고, 컴퍼넌트 첨가제를 2 종 이상 혼합한 것을 패키지 첨가제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온도 조절 장치, 진공 교반 날개, 질소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말단 불포화기 함유 폴리부텐 (상품명;「니치유 폴리부텐 10N」, 니치유 (주) 제조, Mn:1,000] 28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붕소·테트라하이드로푸란 1 ㏖/ℓ 용액 [와코우 순약 공업 (주) 제조] 40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0 중량부를 투입하고, 25 ℃ 에서 4 시간 하이드로붕소화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물 50 중량부, 3N-NaOH 수용액 50 용량부, 30 중량% 과산화수소 50 용량부를 투입하여 산화하였다. 분액 깔때기에 의해 상청액을 회수하고, 50 ℃ 로 승온 후, 동 온도에서 감압 하 (0.027 ∼ 0.040 ㎫)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2 시간에 걸쳐 제거하고, 수산기 함유 중합체 (Y2-1) 를 얻었다. (Y2-1) 의 합계 구성 단위 수에 기초한, 이소부틸렌 및 1,2-부틸렌의 합계는 100 몰% 이고, (Y2-1) 의 결정화 온도는 -60 ℃ 이하였다.
<제조예 2>
온도 조절 장치 및 교반기를 구비한 SUS 제 내압 반응 용기에, 말단 불포화기 함유 폴리부텐 (상품명;「니치유 폴리부텐 200N」, 니치유 (주) 제조, Mn:2,650] 530 중량부 및 무수말레산 [와코우 순약 공업 (주) 제조] 25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 하 220 ℃ 로 승온 후, 동 온도에서 4 시간 엔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25 ℃ 까지 냉각시키고, 2-아미노에탄올 20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 하 130 ℃ 로 승온 후, 동 온도에서 4 시간 이미드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120 ∼ 130 ℃ 에서 감압 하 (0.027 ∼ 0.040 ㎫) 미반응된 무수말레산 및 2-아미노알코올을 2 시간에 걸쳐 제거하고, 수산기 함유 중합체 (Y3-1) 를 얻었다. (Y3-1) 의 합계 구성 단위 수에 기초한, 이소부틸렌 및 1,2-부틸렌의 합계는 100 몰% 이고, (Y3-1) 의 결정화 온도는 -60 ℃ 이하였다.
<실시예 1 ∼ 8, 비교예 1 ∼ 6>
교반 장치, 가열 냉각 장치, 온도계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베이스 오일 A (SP 치:8.3 (cal/㎤)1/2, 100 ℃ 의 동점도:4.2 ㎟/s, 점도 지수:128) 400 중량부, 표 2 에 기재된 단량체 배합물 100 중량부, 2,2'-아조비스 (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0.5 중량부 및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치환 (기상 산소 농도 100 ppm) 을 실시한 후, 밀폐 하, 교반하면서 76 ℃ 로 승온시키고, 동 온도에서 4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120 ∼ 130 ℃ 로 승온 후, 동 온도에서 감압 하 (0.027 ∼ 0.040 ㎫) 미반응된 단량체를 2 시간에 걸쳐 제거하고, 공중합체 (A1) ∼ (A14) 및 베이스 오일을 함유하는 점도 지수 향상제 (R1) ∼ (R8), (S1) ∼ (S6) 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A1) ∼ (A14) 의 SP 치를 상기의 방법으로 계산하고, Mw 를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 공중합체의 베이스 오일 용해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공중합체의 베이스 오일 용해성의 평가 방법>
점도 지수 향상제 (R1) ∼ (R8), (S1) ∼ (S6) 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베이스 오일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외관이 균일하고, 공중합체의 불용해물이 없다
×:외관이 불균일하고, 공중합체의 불용해물이 관찰된다
표 2 에 기재된 단량체 (a) ∼ (h) 의 조성은,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다.
(Y1-1):수소화 폴리부타디엔의 편말단 수산기 함유 중합체 (상품명;KrasolHLBH-5000M, Cray Valley 제조, 1,2-부틸렌 비율;65 몰%, 수산기가;10.4 ㎎KOH/g) [(Y1-1) 의 합계 구성 단위 수에 기초한, 이소부틸렌 및 1,2-부틸렌의 합계는 65 몰%, (Y1-1) 의 결정화 온도 -60 ℃ 이하]
(Y2-1):제조예 1 의 편말단 불포화기 함유 폴리부텐의 하이드로붕소화물
(Y3-1):제조예 2 의 편말단 불포화기 함유 폴리부텐의 무수말레산-엔-아미노알코올 부가물
(a1-1):(Y1-1) 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화물 [Mn:5,000]
(a1-2):(Y2-1) 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화물 [Mn:1,100]
(a1-3):(Y3-1) 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화물 [Mn:3,000]
(b-1):에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b-2):부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c-1):메타크릴산메틸
(c-2):메타크릴산부틸
(d-1):메타크릴산n-도데실
(d-2):메타크릴산n-테트라데실
(d-3):메타크릴산n-헥사데실
(e-1):메타크릴산2-n-데실테트라데실
(e-2):메타크릴산2-n-도데실헥사데실
(f-1):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g-1):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h-1):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실시예 9 ∼ 16, 비교예 7 ∼ 12:0W-20 평가>
교반 장치를 구비한 스테인리스제 용기에, 베이스 오일 A (SP 치:8.3 (cal/㎤)1/2, 100 ℃ 의 동점도:4.2 ㎟/s, 점도 지수:128) 90 부와 패키지 첨가제 (Infineum P5741) 10 부를 투입하고, 얻어지는 윤활유 조성물의 150 ℃ 의 HTHS 점도가 2.60 ± 0.05 (㎟/s) 가 되도록, 각각 점도 지수 향상제 (R1) ∼ (R8), (S1) ∼ (S6) 를 첨가하고, 윤활유 조성물 (V1) ∼ (V8), (W1) ∼ (W6) 을 얻었다.
윤활유 조성물 (V1) ∼ (V8), (W1) ∼ (W6) 의 전단 안정성, HTHS 점도 (100 ℃), HTHS 점도 (80 ℃), 점도 지수 및 저온 점도 (-40 ℃) 를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S2) 를 첨가한 비교예 8 에 대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HTHS 점도에 도달할 때까지 (S2) 를 첨가할 수 없었기 때문에 ((S2) 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단 안정성, HTHS 점도 (100 ℃), HTHS 점도 (80 ℃), 점도 지수 및 저온 점도 (-40 ℃) 를 측정할 수 없었다.
<실시예 17 ∼ 24, 비교예 13 ∼ 18:0W-16 평가>
교반 장치를 구비한 스테인리스제 용기에, 베이스 오일 A (SP 치:8.3 (cal/㎤)1/2, 100 ℃ 의 동점도:4.2 ㎟/s, 점도 지수:128) 90 부와 패키지 첨가제 (Infineum P5741) 10 부를 투입하고, 얻어지는 윤활유 조성물의 150 ℃ 의 HTHS 점도가 2.30 ± 0.05 (㎟/s) 가 되도록, 각각 점도 지수 향상제 (R1) ∼ (R8), (S1) ∼ (S6) 를 첨가하고, 윤활유 조성물 (V9) ∼ (V16), (W7) ∼ (W12) 를 얻었다.
윤활유 조성물 (V9) ∼ (V16), (W7) ∼ (W12) 의 전단 안정성, HTHS 점도 (100 ℃), HTHS 점도 (80 ℃), 점도 지수, 및 저온 점도 (-40 ℃) 를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또한, (S2) 를 첨가한 비교예 14 에 대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HTHS 점도에 도달할 때까지 (S2) 를 첨가할 수 없었기 때문에 ((S2) 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단 안정성, HTHS 점도 (100 ℃), HTHS 점도 (80 ℃), 점도 지수 및 저온 점도 (-40 ℃) 를 측정할 수 없었다.
<윤활유 조성물의 전단 안정성의 측정 방법 및 계산 방법>
ASTM D 6278 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ASTM D 6022 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윤활유 조성물의 HTHS 점도의 측정 방법>
ASTM D 5481 의 방법에 의해, 80 ℃ 와 100 ℃ 에서 측정하였다.
<윤활유 조성물의 점도 지수의 계산 방법>
ASTM D 445 의 방법으로 40 ℃ 와 100 ℃ 의 동점도를 측정하고, ASTM D 2270 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윤활유 조성물의 저온 점도의 측정 방법>
JPI-5S-42-2004 의 방법으로 -40 ℃ 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표 3 및 표 4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윤활유 조성물 (실시예 9 ∼ 16 및 실시예 17 ∼ 24) 은, 전단 안정성이 우수하고,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가 낮고, 점도 지수가 높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7 ∼ 12 및 비교예 13 ∼ 18 의 윤활유 조성물은, 전단 안정성, 실효 온도역에서의 HTHS 점도, 및 점도 지수 중, 적어도 하나가 열등한 것을 알 수있다. 또, 비교예 9, 비교예 12, 비교예 15, 비교예 18 의 결과로부터, 폴리올레핀계 단량체를 필수 구성 단위로 하지 않는 공중합체 (A)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도 지수 향상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윤활유 조성물은, 비록 (A) 와 베이스 오일의 용해 파라미터 차의 절대치가 0.8 ∼ 2.0 이어도 전단 안정성이 열등한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이것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윤활유 조성물은, 구동계 윤활유 (MTF, 디퍼렌셜 기어 오일, ATF 및 belt-CVTF 등), 작동유 (기계의 작동유, 파워 스티어링 오일 및 쇼크 업소버 오일 등), 엔진 오일 (가솔린용 및 디젤용 등) 및 트랙션 오일로서 바람직하다.
Claims (14)
- 폴리올레핀계 단량체를 필수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 (A) 와 베이스 오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도 지수 향상제에 있어서, (A) 와 베이스 오일의 용해 파라미터 차의 절대치가 0.8 ∼ 2.0 (cal/㎤)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오일의 용해 파라미터가 7.8 ∼ 9.5 (cal/㎤)1/2 인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단량체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인 점도 지수 향상제.
[화학식 1]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X1- 은 -O-, -O(AO)m- 또는 -NH- 로 나타내는 기로서, A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이고,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m 이 2 이상인 경우의 A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AO)m 부분은 랜덤 결합이어도 되고 블록 결합이어도 된다;R2 는 이소부틸렌 및/또는 1,2-부틸렌을 필수 구성 단위로 하는 탄화수소 중합체로부터 수소 원자를 1 개 제외한 잔기;p 는 0 또는 1 의 수이다.] - 제 3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이소부틸렌 및/또는 1,2-부틸렌을 필수 구성 단위로 하는 탄화수소 중합체가, 합계 구성 단위 수에 기초하여, 이소부틸렌과 1,2-부틸렌의 합계가 30 몰% 이상인 중합체인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5 항에 있어서,
(A) 가, 구성 단량체로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a) 를 1 ∼ 50 중량%, (b) 를 1 ∼ 80 중량%, 및 (a) 와 (b) 의 합계를 10 중량% 이상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인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A) 가, (A) 의 구성 단량체로서 추가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c) 및/또는 탄소수 12 ∼ 36 의 직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d)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인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8 항에 있어서,
(A) 가, 구성 단량체로서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a) 를 5 ∼ 40 중량%, (b) 를 5 ∼ 60 중량%, (c) 를 1 ∼ 80 중량%, (d) 를 1 ∼ 40 중량% 및 (e) 를 1 ∼ 30 중량%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가, 추가로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 (f), 수산기 함유 단량체 (g), 및 인 원자 함유 단량체 (h)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인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 2,000,000 인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A) 이외의 (공)중합체 (B) 를, (A) 의 중량에 기초하여 0.01 ∼ 30 중량%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오일의 100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 ∼ 15 ㎟/s 이고, 또한 상기 베이스 오일의 점도 지수가 100 이상인 점도 지수 향상제.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도 지수 향상제, 그리고 청정제, 분산제, 산화 방지제, 오일성 향상제, 마찰 마모 조정제, 극압제, 소포제, 항유화제 및 부식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윤활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34579 | 2014-02-25 | ||
JP2014034579 | 2014-02-25 | ||
PCT/JP2015/055358 WO2015129732A1 (ja) | 2014-02-25 | 2015-02-25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5374A true KR20160125374A (ko) | 2016-10-31 |
KR102318183B1 KR102318183B1 (ko) | 2021-10-26 |
Family
ID=5400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2457A KR102318183B1 (ko) | 2014-02-25 | 2015-02-25 |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윤활유 조성물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683195B2 (ko) |
EP (1) | EP3093334A4 (ko) |
JP (1) | JP6060311B2 (ko) |
KR (1) | KR102318183B1 (ko) |
CN (1) | CN106062155B (ko) |
WO (1) | WO201512973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6607A (ko) * | 2017-09-04 | 2019-03-13 | 에보니크 오일 아디티페스 게엠베하 | 규정된 분자량 분포를 갖는 신규 점도 지수 개선제 |
KR20190070887A (ko) * | 2017-12-13 | 2019-06-21 | 에보니크 오일 아디티페스 게엠베하 | 개선된 전단-저항 및 전단 후 용해도를 갖는 점도 지수 개선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62155B (zh) | 2014-02-25 | 2019-03-26 | 三洋化成工业株式会社 | 粘度指数改进剂和润滑油组合物 |
JP6748593B2 (ja) * | 2016-03-18 | 2020-09-02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EP3555245B1 (en) | 2016-12-19 | 2020-10-28 | Evonik Operations GmbH |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omprising dispersant comb polymers |
CN110462009B (zh) * | 2017-03-23 | 2021-12-07 | 三洋化成工业株式会社 | 粘度指数改进剂和润滑油组合物 |
ES2926249T3 (es) | 2017-07-28 | 2022-10-24 | Basf Se | Composición lubricante que contiene copolímeros de poliisobutilmetacrilato |
JP7266367B2 (ja) * | 2018-03-12 | 2023-04-28 | エクソンモービル・テクノロジー・アンド・エンジニアリング・カンパニー | 潤滑油基油組成物 |
JP2020076056A (ja) * | 2018-10-12 | 2020-05-21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CN111040843B (zh) * | 2018-10-15 | 2022-11-15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汽油机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
JP7545966B2 (ja) | 2019-06-26 | 2024-09-05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粘度指数向上剤組成物及び潤滑油組成物 |
JP7237753B2 (ja) * | 2019-06-28 | 2023-03-13 | 出光興産株式会社 |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
EP3778839B1 (en) | 2019-08-13 | 2021-08-04 | Evonik Operations GmbH | Viscosity index improver with improved shear-resistance |
JP7311032B2 (ja) * | 2020-03-25 | 2023-07-19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重合体組成物、潤滑油添加剤、粘度指数向上剤、潤滑油組成物、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マクロモノマーの製造方法 |
WO2022008289A1 (en) * | 2020-07-08 | 2022-01-13 | Basf Se | Lubricant with copolymer of aminophenol derived pib macromonomer |
DE112021004312T5 (de) | 2020-09-14 | 2023-08-31 |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 Viskositätsindex-verbesserndes mittel und schmieröl-zusammensetzung |
DE112021004098T5 (de) * | 2020-09-14 | 2023-07-06 |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 Viskositätsindex-Verbesserer und Schmieröl-Zusammensetzung |
FR3118630B1 (fr) * | 2021-01-06 | 2024-04-19 | Total Marketing Services | Composition lubrifiante ayant une stabilité à froid et des propriétés fuel eco améliorées |
EP4060009B1 (en) | 2021-03-19 | 2023-05-03 | Evonik Operations GmbH | Viscosity index improver and lubricant compositions thereof |
FR3126711A1 (fr) * | 2021-09-03 | 2023-03-10 | Totalenergies Marketing Services | Composition lubrifiante présentant des propriétés d’épaississement à froid améliorées |
KR20240128568A (ko) | 2023-02-17 | 2024-08-26 | 인피늄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 다목적 옥시피리디논 및 그의 기능적 용도 |
CN118516152A (zh) | 2023-02-17 | 2024-08-20 | 英菲诺姆国际有限公司 | 多用途氧吡啶酮和它们的功能用途 |
JP2024117721A (ja) | 2023-02-17 | 2024-08-29 | インフィニュー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 多目的オキシピリジノン及びその機能的使用 |
KR20240128569A (ko) | 2023-02-17 | 2024-08-26 | 인피늄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 다목적 옥시피리디논 및 그의 기능적 용도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32187B2 (ja) | 1992-03-20 | 1998-03-25 |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 無灰分散剤ポリメタクリレート重合体 |
JP2754343B2 (ja) | 1994-08-11 | 1998-05-20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新規な粘度指数向上剤 |
JP3474918B2 (ja) | 1993-04-20 | 2003-12-08 | レーム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 くし型ポリマー、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高分子及びこれからなる油添加物 |
JP2005200454A (ja) | 2004-01-13 | 2005-07-28 | Mitsui Chemicals Inc | 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とその用途 |
JP3831203B2 (ja) | 2001-04-06 | 2006-10-11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粘度指数向上剤および潤滑油組成物 |
JP3999307B2 (ja) | 1997-05-07 | 2007-10-31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低温粘度特性がよい粘度指数向上剤 |
JP2008546894A (ja) | 2005-07-01 | 2008-12-25 | エボニック ローマックス アディティヴ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油溶性櫛型ポリマー |
JP2010532805A (ja) | 2007-07-09 | 2010-10-14 | エボニック ローマックス アディティヴ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燃料消費量を減少させるための櫛形ポリマーの使用 |
WO2012081180A1 (ja) * | 2010-12-17 | 2012-06-21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JP2013129730A (ja) * | 2011-12-21 | 2013-07-04 | Sanyo Chem Ind Ltd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JP2013133460A (ja) * | 2011-12-27 | 2013-07-08 | Sanyo Chem Ind Ltd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JP2014009293A (ja) * | 2012-06-29 | 2014-01-20 | Sanyo Chem Ind Ltd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43996A (ja) | 1989-10-30 | 1991-06-19 | Tonen Corp | 潤滑油組成物 |
DE4431302A1 (de) * | 1994-09-02 | 1996-03-07 | Roehm Gmbh | Kammpolymere |
EP2186871A1 (en) | 2009-02-11 | 2010-05-19 |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 Lubricating composition |
JP2013147608A (ja) * | 2012-01-23 | 2013-08-01 | Sanyo Chem Ind Ltd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JP5902230B2 (ja) * | 2013-05-27 | 2016-04-13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CN106062155B (zh) | 2014-02-25 | 2019-03-26 | 三洋化成工业株式会社 | 粘度指数改进剂和润滑油组合物 |
-
2015
- 2015-02-25 CN CN201580010384.8A patent/CN106062155B/zh active Active
- 2015-02-25 JP JP2016505254A patent/JP6060311B2/ja active Active
- 2015-02-25 WO PCT/JP2015/055358 patent/WO201512973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2-25 EP EP15755830.5A patent/EP309333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5-02-25 KR KR1020167022457A patent/KR10231818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2-25 US US15/117,883 patent/US968319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32187B2 (ja) | 1992-03-20 | 1998-03-25 |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 無灰分散剤ポリメタクリレート重合体 |
JP3474918B2 (ja) | 1993-04-20 | 2003-12-08 | レーム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 くし型ポリマー、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高分子及びこれからなる油添加物 |
JP2754343B2 (ja) | 1994-08-11 | 1998-05-20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新規な粘度指数向上剤 |
JP3999307B2 (ja) | 1997-05-07 | 2007-10-31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低温粘度特性がよい粘度指数向上剤 |
JP3831203B2 (ja) | 2001-04-06 | 2006-10-11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粘度指数向上剤および潤滑油組成物 |
JP2005200454A (ja) | 2004-01-13 | 2005-07-28 | Mitsui Chemicals Inc | 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とその用途 |
JP2008546894A (ja) | 2005-07-01 | 2008-12-25 | エボニック ローマックス アディティヴ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油溶性櫛型ポリマー |
JP2010532805A (ja) | 2007-07-09 | 2010-10-14 | エボニック ローマックス アディティヴ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燃料消費量を減少させるための櫛形ポリマーの使用 |
WO2012081180A1 (ja) * | 2010-12-17 | 2012-06-21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JP2013129730A (ja) * | 2011-12-21 | 2013-07-04 | Sanyo Chem Ind Ltd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JP2013133460A (ja) * | 2011-12-27 | 2013-07-08 | Sanyo Chem Ind Ltd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JP2014009293A (ja) * | 2012-06-29 | 2014-01-20 | Sanyo Chem Ind Ltd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6607A (ko) * | 2017-09-04 | 2019-03-13 | 에보니크 오일 아디티페스 게엠베하 | 규정된 분자량 분포를 갖는 신규 점도 지수 개선제 |
KR20190070887A (ko) * | 2017-12-13 | 2019-06-21 | 에보니크 오일 아디티페스 게엠베하 | 개선된 전단-저항 및 전단 후 용해도를 갖는 점도 지수 개선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009177A1 (en) | 2017-01-12 |
CN106062155B (zh) | 2019-03-26 |
US9683195B2 (en) | 2017-06-20 |
WO2015129732A1 (ja) | 2015-09-03 |
EP3093334A1 (en) | 2016-11-16 |
JPWO2015129732A1 (ja) | 2017-03-30 |
CN106062155A (zh) | 2016-10-26 |
EP3093334A4 (en) | 2017-12-13 |
KR102318183B1 (ko) | 2021-10-26 |
JP6060311B2 (ja) | 2017-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25374A (ko) |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윤활유 조성물 | |
CN110462009B (zh) | 粘度指数改进剂和润滑油组合物 | |
JP6703453B2 (ja) | 粘度指数向上剤組成物及び潤滑油組成物 | |
JP5878199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2016169368A (ja) | 潤滑油組成物 | |
JP5926761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5902230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5826022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6748593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2015134913A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6104610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CN113939579B (zh) | 粘度指数改进剂组合物和润滑油组合物 | |
JP5913431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5913455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2015183123A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2022022992A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5898262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2020076056A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2015127403A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7349032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7506712B2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WO2022054956A1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2022076449A (ja) | 粘度指数向上剤及び潤滑油組成物 | |
JP2023004932A (ja) | 潤滑油組成物 | |
JP2023004933A (ja) | 潤滑油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