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664A -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차일드 시트 및 애완동물용 카트 - Google Patents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차일드 시트 및 애완동물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664A
KR20160101664A KR1020160011130A KR20160011130A KR20160101664A KR 20160101664 A KR20160101664 A KR 20160101664A KR 1020160011130 A KR1020160011130 A KR 1020160011130A KR 20160011130 A KR20160011130 A KR 20160011130A KR 20160101664 A KR20160101664 A KR 20160101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shade
plate
upper portion
shade frame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850B1 (ko
Inventor
이사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Architectu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linds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차양(30)은 육아 기구(1)에 이용된다. 차양(30)은, 베이스 부재(40)와, 베이스 부재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과, 제1 차양 프레임 및 제2 차양 프레임에 장착된 차양 직물(80)을 갖는다. 제2 차양 프레임의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제2 차양 프레임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의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다.

Description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차일드 시트 및 애완동물용 카트{AWNING, CHILDCARE APPARATUS, BABY CARRIAGE, CHILD SEAT AND CART FOR PET}
본 발명은, 육아 기구 또는 애완동물용 카트에 이용되는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및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모차나 차일드 시트 등의 육아 기구나 애완동물용 카트에는 차양이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JP2012-192755A). 종래의 차양은 통상적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복수의 차양 프레임과, 차양 프레임에 장착된 차양 직물을 갖고 있다. 차양 프레임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 기단부가 각각 대응하는 측의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차양은, 차양 직물의 전단(前端)을 파지해서 차양 프레임을 기부에 대해 요동시킴으로써 차양 직물을 펼치는 것 및 차양 직물을 접을 수 있다. 차양은 그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햇볕이나 비바람을 막아 쾌적한 환경을 유유아(乳幼兒)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양을 한 손으로 조작해서 차양의 개폐를 행하려고 하면 복수의 차양 프레임이 각각 동작을 개시한다. 그 결과, 요동 중인 복수의 차양 프레임의 양 기단부에 밸런스 좋게 힘을 가하는 것이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차양 프레임을 원활하게 요동시킬 수 없다. 또한, 각 차양 프레임이 그 양 기단부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경사 각도로 경사져 차양의 외관도 나빠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측에 배치된 2개의 차양 프레임간에 개방도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설치한 차양도 개발되어 있다. 이 조절구를 이용함으로써 당해 2개의 차양 프레임의 상대 요동을 구속해 특정 차양 프레임을 요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양에서는 차양의 개폐 전에 조절구의 조작이 필요해져 한 손으로 용이하게 차양의 개폐를 행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차양 프레임을 포함한 차양의 개폐를 용이하며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차양은,
육아 기구 또는 애완동물용 카트에 이용되는 차양으로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차양 프레임 및 제2 차양 프레임과,
상기 제1 차양 프레임 및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장착된 차양 직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차양은,
육아 기구 또는 애완동물용 카트에 이용되는 차양으로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차양 프레임 및 제2 차양 프레임과,
상기 제1 차양 프레임 및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장착된 차양 직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의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은, 상기 제2 차양 프레임보다 앞쪽 또는 위쪽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은,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의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소정의 범위 내로 규제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소정의 범위 내로 규제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은, 상기 제2 차양 프레임과 걸어맞춰지는 제1 판상부를 갖고,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은, 상기 제1 판상부와 걸어맞춰지는 일측 걸어맞춤면과, 상기 베이스 부재와 걸어맞춰지는 타측 걸어맞춤면을 갖는 제2 판상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과 걸어맞춰지는 베이스부 판상부를 갖고,
상기 제1 판상부와 상기 제2 판상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의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판상부와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볼록부의 수는, 상기 제2 볼록부의 수보다 적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1 요철 구조의 걸어맞춤 깊이는, 상기 제2 볼록부와 상기 제2 요철 구조의 걸어맞춤 깊이보다 얕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1 볼록부 또는 상기 제1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볼록부 또는 상기 제2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1 볼록부 또는 상기 제1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볼록부 또는 상기 제2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차양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차양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차양이 부착된 육아 기구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차양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차양이 부착된 유모차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차양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차양이 부착된 차일드 시트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트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차양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차양이 부착된 애완동물용 카트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차양 프레임을 포함한 차양의 개폐를 용이하며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육아 기구의 일례로서의 유모차 및 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 본체의 차양을 전폐(全閉)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반개(半開) 상태의 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전개(全開) 상태의 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차양의 베이스 부재, 제1 차양 프레임 및 제2 차양 프레임의 기단부를, 요동 축선을 따른 일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제1 차양 프레임을 떼어내 도 5의 베이스 부재 및 제2 차양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제2 차양 프레임을 떼어내 도 6의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베이스 부재, 제1 차양 프레임 및 제2 차양 프레임의 기단부를, 요동 축선을 따른 타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베이스 부재를 떼어내 도 8의 제1 차양 프레임 및 제2 차양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제2 차양 프레임을 떼어내 도 9의 제1 차양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제1 차양 프레임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제2 차양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제1 차양 프레임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제2 차양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베이스 부재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제2 차양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베이스 부재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제2 차양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도 5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차양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차양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차양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육아 기구 본체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1)는 육아 기구 본체(2)와, 육아 기구 본체(2)에 부착된 차양(30)을 갖고 있다. 육아 기구(1)는 유모차,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랙(baby rack) 등의 기구이며, 전형적으로는 어린이(유아(乳兒), 유아(幼兒), 아동 등의 연소자)를 키우는 과정에 있어서 어린이를 돌보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육아 기구 본체(2)는 유모차,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랙 등의 본체부이며, 전형적으로는 어린이가 올라타는 스페이스를 갖고 있다. 차양(30)은 햇볕이나 비바람 등을 막아 육아 기구 본체(2) 위의 어린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양(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개폐 조작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이하, 도 1∼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육아 기구(1)가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지만, 후술하는 변형예에서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로서의 예에 한하지 않으며, 육아 기구(1)는 그 밖의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는 육아 기구(1)를 이루는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육아 기구 본체(2)를 이루는 유모차 본체(11)와, 유모차 본체(11)에 부착된 쿠션 시트부(25) 및 차양(30)을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11)는 한 쌍의 암레스트(12)와, 한 쌍의 전각(前脚)(13), 한 쌍의 후각(後脚)(15), 및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17)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암레스트(12)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전각(13)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전각(13)은 그 상단 부분에 있어서 암레스트의 앞쪽 부분과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전각(13)의 하단에는 전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전륜 유닛(14)이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후각(15)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후각(15)은 그 상단 부분에 있어서 암레스트의 앞쪽 부분과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후각(15)에는 후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후륜 유닛(16)이 설치되어 있다. 각 암레스트(12)의 후단 부분에는 측부 연결 부재(18)가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측부 연결 부재(18)의 하단 부분에는 브래킷(19)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브래킷(19)은 후각(15)과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17)은 U자의 양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에 배치된 측부 연결 부재(18) 및 브래킷(19)과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차양(30)은 측부 연결 부재(18)의 상단 부분에 부착되며 쿠션 시트부(25)를 위쪽으로부터 덮을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육아 기구(1)에의 탑승자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를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탑승자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왼쪽 하측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육아 기구(1)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육아 기구(1)의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 방향」 및 「가로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디에도 직교하는 가로 방향이다.
다음으로, 차양(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양(30)은, 유모차 본체(11)에의 접속 개소를 이루는 베이스 부재(40)와, 베이스 부재(40)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과,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에 장착된 차양 직물(80)을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차양 직물(80)은,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사이에 설치된 앞쪽 부분(81)과, 앞쪽 부분(81)에 뒤쪽으로부터 접속되는 뒤쪽 부분(82)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은 제2 차양 프레임(60)의 앞쪽 혹은 위쪽에 배치된다.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요동함으로써,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양(30)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은 서로 접근하며 함께 뒤쪽으로 요동되어 있다. 즉, 도 2는 차양 직물(80)이 접히는 차양(30)의 폐쇄 상태, 특히 전폐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은 서로로부터 이간하며 함께 앞쪽으로 요동되어 있다. 즉, 도 4는 차양 직물(80)이 펼쳐지는 차양(30)의 개방 상태, 특히 전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이 제2 차양 프레임(60)으로부터 이간하도록 앞쪽으로 요동하며, 한편 제2 차양 프레임(60)은 뒤쪽으로 요동한 채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은 차양 직물(80)의 앞쪽 부분(81)만이 펼쳐진 차양(30)의 절반 개방 상태, 즉 반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차양(3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해 간다. 우선, 차양 직물(80)에 대해 설명한다.
차양 직물(80)은 햇볕이나 비바람을 막을 수 있는 유연한 재료, 예를 들면 직물을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다. 단, 차양 직물(80)로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광, 통기, 투시 등을 가능케 하는 관점에서 차양 직물(80)의 일부분이 메시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차양 직물(80)은 앞쪽 부분(81) 내에 위치하는 전단 부분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에 부착되어 있다. 차양 직물(80)은 앞쪽 부분(81)과 뒤쪽 부분(82)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에 있어서 제2 차양 프레임(6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차양 직물(80)은 뒤쪽 부분(82) 내에 위치하는 후단 부분에 고정구(83)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구(83)는 쿠션 시트부(25)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구(83)를 이용함으로써 차양 직물(80)의 후단 부분이 쿠션 시트부(25)에 고정된다. 이러한 차양 직물(80)의 구성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차양(30)의 전폐 상태에 있어서, 차양 직물(80)의 앞쪽 부분(81) 및 뒤쪽 부분(82)의 양쪽이 접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차양(30)의 반개 상태에 있어서 앞쪽 부분(81)만이 펼쳐지며, 한편 뒤쪽 부분(82)은 접힌 채로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차양(3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양 직물(80)의 앞쪽 부분(81) 및 뒤쪽 부분(82)의 양쪽이 펼져진다. 단, 고정구(83)는 필수는 아니며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양(30)이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차양 직물(80)이 찌그러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심재(84)가 차양 직물(80)에 재봉되는 혹은 차양 직물(80)에 내장되도록 해도 된다. 보조 심재(84)는, 예를 들면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보다 유연성이 풍부한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심재(84)는 베이스 부재(40)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과 구별된다.
또, 차양 직물(80)의 크기는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요동 가능 범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차양(3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양 직물(80)이 팽팽한 상태로 되는 크기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베이스 부재(40),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40)는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이 이루는 U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부재(40)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0)는, 측부 연결 부재(18)에의 접속 개소를 이루는 부착부(41)와, 부착부(41)의 위쪽에 배치된 베이스부 판상부(42)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 판상부(42)에는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이 접속되어 있다. 부착부(41)는 측부 연결 부재(18)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차양(30)을 분리 가능하게 유모차 본체(11)에 부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판상부(42)는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접속 개소를 이루고 있다.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과 대면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46)는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은, 축부(46)의 축선에 의해 획정되는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해서,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상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베이스 부재(40)에 있어서 축부(46)는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베이스부 판상부(42)로부터 뻗어 나와 있다. 따라서,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요동 축선(As)은 폭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차양 프레임(50)은, 금속이나 수지 등의 대략 가는 판 형상이나 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양 프레임 본체(51)와, 차양 프레임 본체(5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접속 부재(52)를 갖고 있다. 도 5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접속 부재(52)는, 차양 프레임 본체(51)를 유지하는 유지부(53)와, 베이스 부재(40) 및 제2 차양 프레임(60)과의 접속 개소를 이루는 제1 판상부(54)를 갖고 있다. 유지부(53)에는 차양 프레임 본체(51)의 단부(端部)가 삽입되며 당해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판상부(54)에는 베이스 부재(40)의 축부(46)가 관통하는 베어링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접속 부재(52)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유지부(53) 및 제1 판상부(54)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차양 프레임(50)과 마찬가지로 제2 차양 프레임(60)은, 금속이나 수지 등의 대략 가는 판 형상이나 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양 프레임 본체(61)와, 차양 프레임 본체(6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접속 부재(62)를 갖고 있다.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접속 부재(62)는, 차양 프레임 본체(61)를 유지하는 유지부(63)와, 베이스 부재(40) 및 제1 차양 프레임(50)과의 접속 개소를 이루는 제2 판상부(64)를 갖고 있다. 유지부(63)에는 차양 프레임 본체(61)의 단부가 삽입되며 당해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구멍(6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판상부(64)에는 베이스 부재(40)의 축부(46)가 관통하는 베어링 구멍(64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접속 부재(62)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유지부(63) 및 제2 판상부(64)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도 7은, 베이스 부재(40),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접속 개소를, 요동 축선(As)에 있어서의 일측으로부터,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도 8∼도 10은, 베이스 부재(40),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접속 개소를, 요동 축선(As)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요동 축선(As)에 있어서의 일측으로부터 제2 차양 프레임(6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요동 축선(As)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제2 차양 프레임(6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도 14는 차양(30)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40)의 축부(46)는,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판상부(64) 및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1 판상부(54)를 이 순서로 관통해 있다. 그리고, 제1 판상부(54)는, 요동 축선(As)을 따른 일측(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제2 판상부(64)에 맞닿아 있다. 또한, 제1 판상부(54)의 요동 축선(As)을 따른 타측을 향하는 제1 걸어맞춤면(55)(도 10 참조)이, 제2 판상부(64)의 요동 축선(As)을 따른 일측을 향하는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도 6, 도 11, 도 12 참조)과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걸어맞춤면(55)과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이 복수의 소정의 상대 위치 중 어딘가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판상부(54)의 제1 걸어맞춤면(55) 및 제2 판상부(64)의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66)가 형성되며, 또한 제1 걸어맞춤면(55) 및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의 다른 쪽에 제1 요철 구조(66)와 걸어맞춤 가능한 제1 볼록부(56)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에 제1 요철 구조(6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15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요철 구조(66)는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부(66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오목부(66a)는 요동 축선(As)과 평행한 방향으로 깊이를 갖고 있다. 복수의 제1 오목부(66a)는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원주 위에 등 간격 이간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12개의 제1 오목부(66a)가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원주 위에 중심각 30°씩 이간해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1 걸어맞춤면(55)에 제1 볼록부(5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볼록부(56)는 요동 축선(As)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걸어맞춤면(55)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1 볼록부(56)는 적어도 그 선단이 제1 요철 구조(66)의 제1 오목부(66a)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굵기 및 길이가 결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6)는 제1 오목부(66a)와 마찬가지로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원주 위에 이간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2세트의 제1 볼록부군이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해서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제1 볼록부군에는 2개의 제1 볼록부(5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볼록부(56)는 제1 오목부(66a)와 동일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1 볼록부군의 양측에 한 쌍의 홈(54b)이 형성되어 있다. 홈(54b)은 제1 판상부(54)를 관통해 있다. 각 홈(54b)은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제1 볼록부군을 이루는 2개의 제1 볼록부(5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제1 판상부(54)의 그 밖의 부분에 대해 변형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홈(54b) 사이에 위치하며 2개의 제1 볼록부(5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을 고정단으로 해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판상부(64)로부터 이간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판상부(54)의 제1 걸어맞춤면(55)에는 요동 범위 규제 돌기(5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판상부(64)의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에는 요동 범위 규제벽(67)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 범위 규제 돌기(57)가 요동 범위 규제벽(67)에 맞닿음으로써,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해 상대 요동 가능한 범위가 획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걸어맞춤면(55)과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이 복수의 소정의 상대 위치 중 어딘가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즉, 제1 걸어맞춤면(55)과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생긴다. 단, 이 규제력보다 큰 힘으로 제1 차양 프레임(50)을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해 요동시키려고 하면, 제1 걸어맞춤면(55)과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의 걸어맞춤이 탄성 변형에 의해 해제되어, 제1 차양 프레임(50)을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해 요동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제1 판상부(54)의 제1 볼록부(56)가 제2 판상부(62)의 서로 다른 제1 오목부(66a)에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 부재(40)와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판상부(64)의 걸어맞춤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판상부(64)는 요동 축선(As)을 따른 일측(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베이스부 판상부(42)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제1 걸어맞춤면(55)과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의 걸어맞춤과 마찬가지로, 제2 판상부(64)의 요동 축선(As)을 따른 타측을 향하는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이, 베이스 부재(40)의 요동 축선(As)을 따른 일측을 향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과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과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가 복수의 소정의 상대 위치 중 어딘가에 유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판상부(64)의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 및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69)가 형성되며, 또한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 및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의 다른 쪽에 제2 요철 구조(69)와 걸어맞춤 가능한 제2 볼록부(44)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에 제2 요철 구조(69)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5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요철 구조(69)는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69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오목부(69a)는 요동 축선(As)과 평행한 방향으로 깊이를 갖고 있다. 복수의 제2 오목부(69a)는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원주 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7개의 제2 오목부(69a)를 포함하는 제2 오목부군이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해서 점대칭인 2개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에 제2 볼록부(44)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볼록부(44)는 요동 축선(As)과 평행한 방향으로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2 볼록부(44)는 적어도 그 선단이 제2 요철 구조(69)의 제2 오목부(69a)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굵기 및 길이가 결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볼록부(44)는 제2 오목부(69a)와 마찬가지로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원주 위에 이간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2세트의 제2 볼록부군이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해서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볼록부군에는 3개의 제2 볼록부(44)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제2 볼록부군 내에 있어서 제2 볼록부(44)는, 하나의 제2 요철 구조군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69a)의 피치의 2배의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2 볼록부군의 양측에 한 쌍의 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홈(42a)은 베이스부 판상부(42)를 관통해 있다. 각 홈(42a)은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제2 볼록부군을 이루는 3개의 제2 볼록부(4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베이스부 판상부(42)의 그 밖의 부분에 대해 변형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홈(42a) 사이에 위치하며 2개의 제2 볼록부(4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을 고정단으로 해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판상부(64)로부터 이간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판상부(42)의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에는 요동 범위 규제 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9,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판상부(64)의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에는 요동 범위 규제벽(70)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 범위 규제 돌기(45)가 요동 범위 규제벽(70)에 맞닿음으로써,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상대 요동 가능한 범위가 획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과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이 걸어맞춰짐으로써, 베이스 부재(4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이 복수의 소정의 상대 위치 중 어딘가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즉,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과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의 걸어맞춤에 의해 베이스 부재(4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생긴다. 단, 이 규제력보다 큰 힘으로 제1 차양 프레임(50)을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해 요동시키려고 하면,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과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의 걸어맞춤이 탄성 변형에 의해 해제되어, 제1 차양 프레임(50)을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해 요동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베이스부 판상부(42)의 제2 볼록부(44)가 제2 판상부(62)의 서로 다른 제2 오목부(69a)에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도시된 차양(30)에 있어서는, 차양(30)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며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전술한 구성에서는, 제2 차양 프레임(60)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정지한 상태에서 제1 차양 프레임(50)이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해 상대 요동함으로써, 제1 차양 프레임(50)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상대 요동한다. 한편, 제1 차양 프레임(50)이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해 정지한 상태에서 제2 차양 프레임(60)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상대 요동했을 경우에도, 제1 차양 프레임(50)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상대 요동한다. 이러한 차양(30)에 있어서는,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제2 차양 프레임(60)이 베이스 부재(40)에 정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게 된다.
제2 볼록부(44) 및 제2 요철 구조(69)의 걸어맞춤을 해제되기 어렵게 하면,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6) 및 제1 요철 구조(66)의 걸어맞춤을 해제되기 쉽게 하면,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합계 6개의 제2 볼록부(44)가 동시에 제2 요철 구조(69)와 걸어맞춰질 수 있으며, 한편 합계 4개의 제1 볼록부(56)가 동시에 제1 요철 구조(66)와 걸어맞춰질 수 있다. 즉, 제1 볼록부(56)의 수가 제2 볼록부(44)의 수보다 적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8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1 판상부(54)에 인접해서 덮개체(35)가 설치되어도 된다. 덮개체(35)는,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1 판상부(54)를 요동 축선(As)을 따른 일측으로부터, 즉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덮는다. 덮개체(35)는, 예를 들면 제1 판상부(54)를 관통한 베이스 부재(40)의 축부(46)에 부착되며, 축부(46)에 의해 지지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양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제2 차양 프레임(60)이 베이스 부재(4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차양 프레임(50)은 제2 차양 프레임(60)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 차양 프레임(60)은 베이스 부재(40)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차양(30)이 전폐된 도 2의 상태로부터 차양 직물(80)의 전단 부분을 파지해서 차양(30)을 개방하려고 하면 우선, 제1 차양 프레임(50)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요동한다. 이때, 제2 차양 프레임(60)은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정지해 있다. 즉, 하나의 차양 프레임(50)만이 그 밖의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상대 요동한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제1 차양 프레임(50)의 한쪽의 단부 및 다른 쪽의 단부가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같이 동작하도록, 비교적 용이하게 한쪽의 단부 및 다른 쪽의 단부의 각각에 밸런스 좋게 힘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양(30)이 폐쇄 상태로부터 제1 차양 프레임(50)만이 요동해서 차양이 절반 개방된 도 3의 상태까지 차양(30)을 한 손으로 용이하며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양단에 있어서의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차양(30)이 절반 개방된 도 2의 상태에 있어서, 차양 직물(80)은 제1 차양 프레임(50)과 제2 차양 프레임(60) 사이에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며, 제2 차양 프레임(60)과 후단 부분 사이에 있어서 접힌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중까지 개방된 도 3의 반개 상태에 있어서의 차양(30)의 외관도 좋아진다.
다음으로, 제1 차양 프레임(50)이 요동 가능 범위 내에 있어서 제2 차양 프레임(60)으로부터 가장 이간된 도 3의 상태로부터, 추가로 차양 직물(80)의 전단 부분을 파지해서 차양(30)을 더 개방하려고 하면, 제2 차양 프레임(60)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요동한다. 이때, 제2 차양 프레임(60)에 접속된 제1 차양 프레임(50)은 제2 차양 프레임(60)과 함께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요동한다. 즉, 이 조작 중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자는 제2 차양 프레임(60)의 한쪽의 단부 및 다른 쪽의 단부가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같이 동작하도록, 비교적 용이하게 한쪽의 단부 및 다른 쪽의 단부에 밸런스 좋게 힘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차양 프레임(50)만이 앞쪽으로 요동된 상태로부터,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양쪽이 요동해서 차양(30)이 전개된 상태까지, 차양(30)을 한 손으로 용이하며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양단에 있어서의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맞출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폐쇄 상태의 차양(30)을 용이하며 원활하게 펼칠 수 있다. 게다가, 폐쇄된 차양(30)을 개방하는 조작은 한 손으로 어렵지 않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방 상태의 차양(30)을 폐쇄할 경우, 차양(30)의 전단을 뒤쪽으로 민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제2 차양 프레임(60)이 베이스 부재(4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우선, 제1 차양 프레임(50)이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해서 요동해 제2 차양 프레임(60)에 접근한다. 이때, 제2 차양 프레임(60)은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정지해 있다. 제1 차양 프레임(50)이 요동 가능 범위 내에 있어서 가장 제2 차양 프레임(60)에 접근하면, 다음으로 제2 차양 프레임(60)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요동을 개시한다. 이때, 제1 차양 프레임(50)은 제2 차양 프레임(60)에 동반해서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요동한다. 단,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상대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2 차양 프레임(60)이 요동 가능 범위 내에 있어서 가장 뒤쪽으로 요동해 차양(30)이 전폐된다.
차양(30)의 개방 조작과 마찬가지로, 차양(30)의 폐쇄 조작에 있어서도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 동작,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1 차양 프레임(50)을 동반한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 동작이 차례로 행해진다. 즉,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이 하나씩 차례로 요동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요동하고 있는 차양 프레임(50, 60)의 양단 부분이 같이 동작하도록, 비교적 용이하게 당해 차양 프레임(50, 60)에 밸런스 좋게 힘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양(30)이 전개된 상태로부터 차양(30)이 전폐된 상태까지 차양(30)을 한 손으로 용이하며 원활하게 폐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의 양쪽에 대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요동,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요동이 동시에 행해지지 않고 이 순서로 하나씩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동작 중인 차양 프레임(50, 60)의 양단에 밸런스 좋게 힘을 가하기 쉬워지며, 이에 따라 차양 프레임(50, 60)을 용이하며 원활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특히, 차양(30)의 선단 부분을 파지함으로써 차양(30)의 개폐를 한 손으로 원활하게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은 제2 차양 프레임(60)보다 앞쪽 또는 위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폐 상태로부터 차양(30)을 절반 개방했을 때에, 보다 눈에 띄기 쉬운 차양 직물(80)의 앞쪽 부분(81)이 팽팽한 상태로 된다. 한편, 보다 눈에 띄기 어려운 차양 직물(80)의 뒤쪽 부분(82)이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절반 개방 상태의 차양(30)의 외관이 좋다. 차양(30)은 육아 기구, 특히 유모차(10)에 있어서 가장 사람들의 눈에 띄기 쉬운 부위 중 하나이다. 이 차양(30)의 외관을 개선함으로써 육아 기구(1)의 미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당해 유모차(10)의 고급감, 상품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은 제2 차양 프레임(60)과 걸어맞춰지는 제1 판상부(54)를 갖는다. 또한, 제2 차양 프레임(60)은 서로 대향하는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 및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을 포함하는 제2 판상부(64)를 가지며,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은 제1 판상부(54)와 걸어맞춰지고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은 베이스 부재(40)와 걸어맞춰진다. 또한, 베이스 부재(40)는 제2 판상부(64)의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과 걸어맞춰지는 베이스부 판상부(42)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판상부(54)와 제2 판상부(64)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발생시키고, 제2 판상부(64)와 베이스부 판상부(42)의 걸어맞춤에 의해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형화된 구성에 의해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의 크기,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의 크기를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요철 구조(66)가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에 설치되고, 제2 요철 구조(69)가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1 걸어맞춤면(55)에 제1 볼록부(56)가 설치되어, 제1 판상부(54)의 제1 볼록부(5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에 제2 볼록부(44)가 설치되며, 베이스부 판상부(42)의 제2 볼록부(44)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을 상대 요동시킬 경우 및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를 상대 요동시킬 경우의 어떠한 경우에도, 제1 요철 구조(66) 및 제2 요철 구조(69)가 형성된 제2 판상부(64)가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상대 요동에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의 상대 요동에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판상부(54), 제2 판상부(64) 및 베이스부 판상부(42)를 병설해서 이루어지는 소형화된 차양(30)에 의해,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제2 차양 프레임(60) 및 베이스 부재(40)의 양쪽에 대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안정되게 크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양 프레임(50, 60)의 원활한 요동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1 걸어맞춤면(55)에 제1 볼록부(56)가 설치되고, 제2 차양 프레임의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에 제1 요철 구조(66)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1 걸어맞춤면(55)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고, 제2 차양 프레임의 제2 일측 걸어맞춤면(65)에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에 제2 볼록부(44)가 설치되고, 제2 차양 프레임의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에 제2 요철 구조(69)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걸어맞춤면(43)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고, 제2 차양 프레임의 제2 타측 걸어맞춤면(68)에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차양 프레임(50)의 베이스 부재(4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의 크기를,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작게 하는 방법으로서, 제1 볼록부(56)의 수를 제2 볼록부(44)의 수보다 적게 하는 것을 예시했다. 그러나, 이 예에 한하지 않으며, 제1 볼록부(56)의 수를 제2 볼록부(44)의 수보다 적게 하는 것 대신에, 혹은 제1 볼록부(56)의 수를 제2 볼록부(44)의 수보다 적게 하는 것에 부가해서, 다음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우선, 제1 대체안으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볼록부(56)와 제1 요철 구조(66)의 걸어맞춤 깊이(D1)를 제2 볼록부(44)와 제2 요철 구조(69)의 걸어맞춤 깊이(D2)보다 얕게 해도 된다. 볼록부(56, 44)와 요철 구조(66, 69)의 걸어맞춤 깊이(D1, D2)는 볼록부(56, 44)가 요철 구조(66, 69)의 오목부(66a, 69a) 내에 들어간 깊이이다. 이 걸어맞춤 깊이(D1, D2)가 깊을수록 볼록부(56, 44)와 요철 구조(66, 69)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1 볼록부(56)와 제1 요철 구조(66)의 걸어맞춤 깊이(D1) 및 제2 볼록부(44)와 제2 요철 구조(69)의 걸어맞춤 깊이(D2)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함으로써, 제1 차양 프레임(50)의 베이스 부재(4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의 크기와,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의 크기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대체안으로서, 제1 판상부(54)의 제1 볼록부(56) 또는 제1 요철 구조(6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베이스부 판상부(42)의 제2 볼록부(44) 또는 제2 요철 구조(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휘어지기 쉽게 해도 된다. 제1 판상부(54) 또는 베이스부 판상부(42)의 볼록부(56, 44) 또는 요철 구조(66, 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휘어지기 쉬우면, 당해 판상부(54, 42)와 제2 판상부(64)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쉬워진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판상부(54)의 제1 볼록부(56) 또는 제1 요철 구조(6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T1)를, 베이스부 판상부(42)의 제2 볼록부(44) 또는 제2 요철 구조(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T2)보다 얇게 해도 된다.
또한, 제1 판상부(54) 또는 베이스부 판상부(42)의 볼록부(56, 44) 또는 요철 구조(66, 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그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홈(54b, 42a)에 의해 구획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부분의 길이(L)(도 18 참조)를 조절함으로써, 환언하면 한 쌍의 홈(54b, 42a)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당해 부분의 변형의 용이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판상부(54) 또는 베이스부 판상부(42)의 볼록부(56, 44) 또는 요철 구조(66, 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L)를 길게 함으로써, 판상부(54, 42)의 당해 부분이 휘어지기 쉬워져 당해 판상부(54, 42)와 제2 판상부(64)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판상부(54)의 제1 볼록부(56) 또는 제1 요철 구조(6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베이스부 판상부(42)의 제2 볼록부(44) 또는 제2 요철 구조(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해도 된다.
또한, 제1 판상부(54) 또는 베이스부 판상부(42)의 볼록부(56, 44) 또는 요철 구조(66, 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그 양측에 형성된 홈(54b, 42a)에 의해 구획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부분의 폭(W)(도 18 참조)을 조절함으로써, 환언하면 한 쌍의 홈(54b, 42a)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당해 부분의 변형의 용이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판상부(54) 또는 베이스부 판상부(42)의 볼록부(56, 44) 또는 요철 구조(66, 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폭(W)을 좁게 함으로써, 판상부(54, 42)의 당해 부분이 휘어지기 쉬워져 당해 판상부(54, 42)와 제2 판상부(64)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판상부(54)의 제1 볼록부(56) 또는 제1 요철 구조(6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폭을 베이스부 판상부(42)의 제2 볼록부(44) 또는 제2 요철 구조(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폭보다 좁게 해도 된다.
또, 도 18은 제1 판상부(54) 또는 베이스부 판상부(42)의 볼록부(56, 44) 또는 요철 구조(66, 6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L) 및 폭(W)에 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판상부(42)를 대표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40)의 축부(46)에 의해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접속 부재(52)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접속 부재(62)의 양쪽이 관통되며, 이에 따라,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의 양쪽이 베이스 부재(40)에 접속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접속 부재(62)가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판상부(42)에 접속되며, 또한 제1 차양 프레임(50)이 베이스 부재(40)에 직접 접속되지 않고 제2 차양 프레임(60)에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이때, 제1 차양 프레임(5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 축선이 제2 차양 프레임(60)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양(30)이 2개인 차양 프레임(50, 60)을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양(30)이 제2 차양 프레임(60)의 뒤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3 차양 프레임을 갖도록 해도 된다. 제3 차양 프레임은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요동 불가능해도 되며 요동 가능해도 된다. 제3 차양 프레임이 베이스 부재(40)에 대해 요동 불가능한 고정 차양으로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차양 직물(80)의 후단 부분을 제3 차양 프레임에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제3 차양 프레임이 요동 가능할 경우, 제1 차양 프레임(50), 제2 차양 프레임(60) 및 제3 차양 프레임이 차례로 하나씩 요동할 수 있도록, 각 차양 프레임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 우선, 제3 차양 프레임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차양 프레임(50) 및 제2 차양 프레임(6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도록 하고,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판상부(42)와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판상부(64) 사이에 제3 차양 프레임의 판상부를 배치한다. 제3 차양 프레임의 판상부가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2 판상부(64)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3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발생시키고, 제3 차양 프레임의 판상부가 베이스 부재(40)의 베이스부 판상부(42)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제3 차양 프레임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3 차양 프레임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3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크며, 또한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3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커지도록 한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차양 프레임(50)의 제2 차양 프레임(60), 제3 차양 프레임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 제2 차양 프레임(60)의 제3 차양 프레임 및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 제3 차양 프레임의 베이스 부재(40)에 대한 요동이 동시에 행해지지 않고 이 순서로 하나씩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동작 중인 차양 프레임의 양단에 밸런스 좋게 힘을 가하기 쉬워지며, 이에 따라 차양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로서 도시된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11)의 전체 구성은 단지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전술한 차양(30)을 각종 형식의 유모차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가 육아 기구(1)를 이루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차양(30)이 적용되는 육아 기구(1)는 유모차(10)에 한하지 않는다. 일례로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아 기구(1)가, 차일드 시트 본체(91)와 차일드 시트 본체(91)에 장착된 전술한 차양(30)을 갖는 차일드 시트(90)이도록 해도 된다. 차일드 시트(90)는 차량, 예를 들면 자동차의 좌석 위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차일드 시트(90)는 성인을 대상으로 해서 설계된 좌석이나 시트 벨트를 포함하는 차량에 어린이를 안전하게 승차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는 장치이다. 한정된 스페이스로 이루어지는 차량 내에 있어서 용이하며 원활하게 개폐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차양(30)은 유용하다. 부가해서, 차양(30)은 육아 기구(1)에의 적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애완동물용 카트 본체와의 조합에 의해 애완동물용 카트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애완동물용 카트는 애완동물을 태운 상태에서 주행하는 카트이며 애완동물을 데리고 나갈 때에 이용된다. 애완동물용 카트에 차양(30)을 적용했을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가 확보된다.
또,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6)

  1. 육아 기구 또는 애완동물용 카트에 이용되는 차양으로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차양 프레임 및 제2 차양 프레임과,
    상기 제1 차양 프레임 및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장착된 차양 직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큰 차양.
  2. 육아 기구 또는 애완동물용 카트에 이용되는 차양으로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차양 프레임 및 제2 차양 프레임과,
    상기 제1 차양 프레임 및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장착된 차양 직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은,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의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보다 큰 차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은, 상기 제2 차양 프레임보다 앞쪽 또는 위쪽에 위치하는 차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은,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차양.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의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소정의 범위 내로 규제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는 차양.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소정의 범위 내로 규제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는 차양.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은, 상기 제2 차양 프레임과 걸어맞춰지는 제1 판상부(板狀部)를 갖고,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은, 상기 제1 판상부와 걸어맞춰지는 일측 걸어맞춤면과, 상기 베이스 부재와 걸어맞춰지는 타측 걸어맞춤면을 갖는 제2 판상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과 걸어맞춰지는 베이스부 판상부를 갖고,
    상기 제1 판상부와 상기 제2 판상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제1 차양 프레임의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판상부와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제2 차양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을 발생시키는 차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볼록부의 수는, 상기 제2 볼록부의 수보다 적은 차양.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1 요철 구조의 걸어맞춤 깊이는, 상기 제2 볼록부와 상기 제2 요철 구조의 걸어맞춤 깊이보다 얕은 차양.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1 볼록부 또는 상기 제1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볼록부 또는 상기 제2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휘어지기 쉬운 차양.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 걸어맞춤면 및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걸어맞춤면 및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의 다른 쪽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1 볼록부 또는 상기 제1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볼록부 또는 상기 제2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차양.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일측 걸어맞춤면에, 제1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제1 걸어맞춤면에,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1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판상부의 상기 타측 걸어맞춤면에, 제2 요철 구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 판상부의 상기 제2 판상부에 대면하는 베이스부 걸어맞춤면에, 상기 제2 요철 구조와 걸어맞춰지는 제2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양.
  13. 제1항에 기재된 차양을 구비하는 육아 기구.
  14. 제1항에 기재된 차양을 구비하는 유모차.
  15. 제1항에 기재된 차양을 구비하는 차일드 시트.
  16. 제1항에 기재된 차양을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카트.
KR1020160011130A 2015-02-17 2016-01-29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차일드 시트 및 애완동물용 카트 KR102400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8940A JP6771859B2 (ja) 2015-02-17 2015-02-17 幌、育児器具、乳母車、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ペット用カート
JPJP-P-2015-028940 201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64A true KR20160101664A (ko) 2016-08-25
KR102400850B1 KR102400850B1 (ko) 2022-05-24

Family

ID=5669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130A KR102400850B1 (ko) 2015-02-17 2016-01-29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차일드 시트 및 애완동물용 카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71859B2 (ko)
KR (1) KR102400850B1 (ko)
CN (1) CN105882721B (ko)
HK (1) HK1223892A1 (ko)
TW (1) TWI669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96722S (ko) 2017-08-23 2018-02-05
JP6858404B2 (ja) * 2017-08-30 2021-04-14 コンビ株式会社 幌およびカート
USD923256S1 (en) 2019-03-19 2021-06-22 Vermont Juvenile Furniture Mfg., Inc. Pet carrier
CN211166558U (zh) 2019-11-14 2020-08-04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顶篷调整结构及具有该顶篷调整结构的儿童安全座椅
USD960770S1 (en) 2020-03-19 2022-08-16 Vermont Juvenile Furniture Mfg., Inc. Carrier with support frame
WO2023027174A1 (ja) * 2021-08-26 2023-03-02 エステー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及び動物用トイレセット
CN118082642A (zh) * 2022-11-15 2024-05-28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幼儿载具及其卡合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5920A (ja) * 2004-07-02 2006-01-19 Rinei Kk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9095612A (ja) * 2007-10-19 2009-05-07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キャノピー装置
JP2011195053A (ja) * 2010-03-19 2011-10-06 Aprica Children's Products Kk 育児器具の幌
JP2012192755A (ja) * 2011-03-15 2012-10-11 Richell Corp ベビーカーの幌、該幌が取り付けられたベビーカー
JP2013123413A (ja) * 2011-12-15 2013-06-24 Combi Corp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カ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555A (ja) * 1984-12-12 1986-06-2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用幌
JP4184071B2 (ja) * 2002-12-26 2008-11-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幌
CN202754002U (zh) * 2012-07-30 2013-02-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遮阳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5920A (ja) * 2004-07-02 2006-01-19 Rinei Kk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9095612A (ja) * 2007-10-19 2009-05-07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キャノピー装置
JP2011195053A (ja) * 2010-03-19 2011-10-06 Aprica Children's Products Kk 育児器具の幌
JP2012192755A (ja) * 2011-03-15 2012-10-11 Richell Corp ベビーカーの幌、該幌が取り付けられたベビーカー
JP2013123413A (ja) * 2011-12-15 2013-06-24 Combi Corp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82721A (zh) 2016-08-24
CN105882721B (zh) 2020-11-03
TWI669235B (zh) 2019-08-21
JP2016150654A (ja) 2016-08-22
KR102400850B1 (ko) 2022-05-24
TW201634323A (zh) 2016-10-01
HK1223892A1 (zh) 2017-08-11
JP6771859B2 (ja)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1664A (ko)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차일드 시트 및 애완동물용 카트
JP6858404B2 (ja) 幌およびカート
KR101790543B1 (ko) 절첩 가능한 유모차
TWI680074B (zh) 嬰兒車
KR101075107B1 (ko) 유모차의 차양 및 이를 구비한 유모차
KR102488863B1 (ko)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KR100856086B1 (ko) 차양 및 상기 차양이 장착되는 유모차
JP4489927B2 (ja) 乳母車用の幌
WO2022201331A1 (ja) 幌および育児器具
KR20120046022A (ko) 유모차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CN112061221B (zh) 车篷装置、育儿器具以及宠物车
JP2016533967A (ja) 新生児を運ぶのに適した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JP7499037B2 (ja) 乳母車
JP7428526B2 (ja) 乳母車
JP2001097226A (ja) 乳母車
JP2002019617A (ja) 日除け付き乳母車
JP3172193U (ja) 幌および子供用座席
JP5946397B2 (ja) 乳幼児用座席の幌構造
JP4176939B2 (ja) 自転車用子供同乗席
JP2021123170A (ja) 子供用育児器具の幌
JP3189517U (ja) 乳母車用シェード
JP6189204B2 (ja) 手押し車用の幌及び乳母車
JP2004284435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