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863B1 -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863B1
KR102488863B1 KR1020190129591A KR20190129591A KR102488863B1 KR 102488863 B1 KR102488863 B1 KR 102488863B1 KR 1020190129591 A KR1020190129591 A KR 1020190129591A KR 20190129591 A KR20190129591 A KR 20190129591A KR 102488863 B1 KR102488863 B1 KR 102488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heet portion
side sheet
stroller
storag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619A (ko
Inventor
유카 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62B9/145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of the roll-up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레인 커버(100)는, 상부 가장자리(111) 및 하부 가장자리(112)를 갖는 정면 시트부(110)와, 정면 시트부(110)에 접속한 좌우의 측면 시트부(120, 125)를 구비하고, 각 측면 시트부(120, 125)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valley folding)된 상태에서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121, 126)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COVER, COVER WITH STORAGE BAG FOR STROLLER AND STROLLER}
본 발명은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모차에 장착되는 레인 커버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레인 커버는, 유모차를 덮고, 시트에 착석한 유유아에 대하여 비가림의 환경을 제공한다. JP2003-054416A에 개시된 레인 커버는, 유모차와 유모차에 장착된 레인 커버 사이에 큰 극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유모차의 정면 형상 및 측면 형상에 맞게 재단된 복수의 시트를 접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방으로부터의 비뿐만 아니라, 전방 및 측방으로부터의 비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레인 커버와 같은 커버에의 니즈의 하나로서, 사용 후에 커버를 용이하게 작게 폴딩(folding) 가능한 것이 있다. 작게 접을 수 없으면, 커버의 운반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특히, 유모차용 레인 커버의 경우, 레인 커버를 책상이나 바닥 위에 펼치지 않고, 유모차의 조종자(유모차의 이용자, 보호자)가 혼자서 재빨리 작게 접을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레인 커버를, 책상이나 바닥 위에 펼치지 않고 단시간에 작게 접는 것은 곤란하다.
본건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시간에 간단히 작고 깔끔하게 접는 것이 가능한 커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러한 커버를 갖는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갖는 정면 시트부와,
상기 정면 시트부에 접속한 좌우의 측면 시트부를 구비하고,
각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valley folding)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에 있어서,
한쪽 측면 시트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다른쪽 측면 시트부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이간(離間)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에 있어서,
한쪽 측면 시트부의 하부 가장자리는, 다른쪽 측면 시트부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이간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의 접속 길이는,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의 접속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상기 정면 시트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후면 시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면 시트부는,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 및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상기 측면 시트부에 접속한 제2 측면 시트부를 더 구비하고,
각 제2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를 갖고,
각 제2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의,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와 상기 정면 시트부의 측방 가장자리와 접속하는 전방 가장자리 사이가 되는 위치에,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는,
상기 커버와,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수납 주머니는, 상기 유모차 본체의 좌판부(座板部) 아래에 장착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수납 주머니는, 상기 좌판부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와의 사이에 상기 커버의 수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하면부를 갖고,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의 상기 수납 스페이스에 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각 가장자리부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 보강재가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레인 커버는,
각 측면 시트부의 하부 가장자리가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 시트부의 하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상기 커버와,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와,
상기 수납 주머니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에 접속한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수납 주머니의 내부에 접속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상기 커버와,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와,
상기 수납 주머니가 장착된 유모차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를 단시간에 간단히 작고 깔끔하게 접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개(展開) 상태의 유모차를 레인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레인 커버가 장착된 도 1의 유모차를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레인 커버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레인 커버를, 측면 시트부가 접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레인 커버의 정면 시트부와 한쪽의 제1 측면 시트부 사이의 파스너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유모차 본체의 종단면도로서, 좌판부 아래에 장착된 수납 주머니와, 수납 주머니에 수납된 레인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수납 주머니를, 좌판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수납 주머니가 장착된 좌판부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레인 커버의 폴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레인 커버를 수납 주머니에 수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10)는, 손수레 본체(20)를 갖고 있다. 손수레 본체(20)는, 차륜(33, 38) 및 핸들(40)을 갖고 있으며, 조종자가 핸들(40)을 파지하여 앞으로 밀 수 있다. 또한, 손수레 본체(20)는, 커버(1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버(100)로 손수레(10)를 덮을 수 있다.
이하, 도 1∼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손수레(10)가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손수레(10)는, 예를 들면, 애완동물용 카트여도 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커버(100)가 레인 커버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100)는, 예를 들면, 방충, 차양 혹은 먼지막이를 목적으로서 사용되는 방충 커버, 차양 커버 혹은 먼지막이 커버여도 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손수레(10)를 이루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레인 커버(100)가 장착된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2에서는, 레인 커버(100)의 도시(圖示)의 명확화를 위해, 핸들(40)의 일부가 잘려 있다. 도 3에는, 유모차 본체(2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되는 좌석(60) 및 덮개(8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유모차(10)는, 좌석(6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쿠션 시트(15)를 갖고 있다. 유유아는, 쿠션 시트(15) 위에 타게 된다. 또한, 유모차(10)는, 좌석(60)의 하방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되는 수납용 바구니(90)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유모차 본체(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모차 본체(20)는, 상대 동작 가능한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갖고, 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핸들(40), 하단에 차륜(33, 38)을 포함한 전각(30) 및 후각(35)에 더하여, 제1∼제3 링크 부재(21∼23)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더 갖고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유모차 본체(20)의 폴딩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상대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20)를 조종하는 조종자(유모차(10)의 이용자, 보호자)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3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를 잇는 방향이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유모차 본체(20)를 조종하는 조종자가 향하는 측이며, 도 3에 있어서의 지면의 왼쪽 아래측이 유모차 본체(20)의 앞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 방향」이란, 횡 방향으로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우선, 제1 링크 부재(2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제1 링크 부재(21)는, 전각(30) 및 후각(35)의 상방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각(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30)이,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전각(30)은, 폭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전각(30)은, 그 상단 부분에 있어서, 제1 링크 부재(21)의 전방 부분에 접속해 있다. 전각(30)은, 제1 링크 부재(21)와,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다음으로, 후각(3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각(35)이,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후각(35)은, 폭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후각(35)은, 그 상단 부분에 있어서, 제1 링크 부재(21)의 전방 부분에 접속해 있다. 후각(35)은, 제1 링크 부재(21)와,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다음으로, 핸들(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 본체(41)를 갖고 있다. 핸들 본체(41)는, 한 쌍의 직선부(41a)와, 한 쌍의 직선부(41a)의 상단부를 접속하는 만곡부(41b)를 갖는다. 직선부(41a)는, 각각,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각 직선부(41a)는, 제1 링크 부재(21)의 후방 부분과 접속해 있다. 각 직선부(41a)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링크 부재(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모차 본체(20)는, 그 전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기구(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핸들(40)은, 이 고정 기구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42)를 갖고 있다. 유모차(10)의 조종자는, 조작 장치(42)를 조작함으로써,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20)의 폴딩 조작을 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링크 부재(2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링크 부재(22)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22)는, 전각(30)과 핸들(40) 사이, 특히, 전각(30)의 중간 부분과 핸들(4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22)는, 전각(30) 및 핸들(40)의 각각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22)는, 대응하는 전각(30)과 핸들(40)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제2 링크 부재(22)는, 대응하는 전각(30)의 중간 부분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또한, 제2 링크 부재(22)는, 핸들 본체(41)의 대응하는 직선부(41a)의 단부(端部)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다음으로, 제3 링크 부재(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 링크 부재(23)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23)는, 핸들(40)과 후각(35) 사이, 특히, 핸들(40)과 후각(35)의 중간 부분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23)는, 핸들(40) 및 후각(35)의 각각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23)는, 대응하는 후각(35)과 핸들(40)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제3 링크 부재(23)는, 대응하는 후각(35)의 중간 부분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또한, 제3 링크 부재(23)는, 핸들 본체(41)의 대응하는 직선부(41a)의 단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링크 부재(23)의 핸들(40)에의 접속 위치는, 제2 링크 부재(22)의 핸들(40)에의 접속 위치와 동일하다.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링크 부재(21) 사이가 되는 위치에, 좌석(60)을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유지 부재(50)는,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한 쌍의 유지 부재(50)에 의해, 폭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 사이가 되는 위치에, 좌석(60)을 유지한다.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20)는, 각 구성 요소를 서로 회동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전각(30)과 후각(35)과 핸들(40)이 접근한 폴딩 상태로 접을 수 있다. 또한, 폴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유지되는 좌석(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좌석(60), 그리고, 후술하는 덮개(80), 레인 커버(100) 및 수납 주머니(160)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좌석(60)에 착석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3에 있어서의 지면의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를 잇는 방향이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좌석(60)에 착석하는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 및 도 3에 있어서의 지면의 왼쪽 아래측이 좌석(60), 덮개(80), 레인 커버(100) 및 수납 주머니(160)의 앞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 방향」이란, 횡 방향으로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좌석(60)은, 유유아가 착석하는 부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60)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부(61)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61)는,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된 유지 부재(50)에 의해 지지되게 되는 부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부(61) 사이에, 좌석부(65) 및 등받이부(70)가 마련된다. 좌석부(65)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臀部)에 대면하게 되는 부위이다. 등받이부(70)는, 유유아의 등에 대면하게 되는 부위이다. 등받이부(70)는, 좌석부(6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좌석(60)은, 리클라이닝 기능을 갖고 있다.
좌석부(65)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재(66)와, 프레임재(66)에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좌판부(67)를 갖고 있다. 프레임재(66)의 U자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베이스부(61)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재(66)는, 한 쌍의 베이스부(6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프레임재(66)는,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좌판부(67)는, 수지나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단, 좌판부(67) 대신에, 프레임재(66)에 팽팽하게 설치된 직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좌판부(67)는, 경량화 및 통기성 확보를 위한 개구(68)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등받이부(7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 프레임재(71)를 갖고 있다. 후방 프레임재(71)를 이루는 U자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베이스부(6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후방 프레임재(71)는, 한 쌍의 베이스부(61)로부터 상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다. 후방 프레임재(71)가 베이스부(61)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등받이부(70)를 좌석부(65)에 대하여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등받이부(70)는, 후방 프레임재(71)에 의해 지지되는 천 형상재나 판 형상재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좌석(60)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부(61)가,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는 유지 부재(50)에 유지됨으로써, 유모차 본체(20) 위에 유지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유지 부재(50)를 통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되는 좌석(60)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석(60)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도 3에 나타난 유유아가 유모차(10)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하는 배면 상태와, 유유아가 유모차(10)의 조종자(보호자)와 대면하는 대면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좌석(60)에는, 각 베이스부(61) 사이에 굴곡 가능한 가드 부재(72)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석(60)은, 베이스부(61)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덮개 지지부(73)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덮개(80)는, 덮개 지지부(73)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4∼도 11을 참조하여, 레인 커버(100) 및 레인 커버(100)를 수납하는 수납 주머니(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레인 커버(100)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레인 커버(100)를, 상하 방향으로 당겨 펼친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레인 커버(100)의 파스너(15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유모차 본체(20)의 종단면도로서, 좌판부(67) 아래에 장착된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된 레인 커버(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유모차(10)의 우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수납 주머니(160)를, 좌판부(67)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수납 주머니(160)가 장착된 좌판부(67)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레인 커버(100)의 폴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레인 커버(100)를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수납 주머니(160)의 도시의 명확화를 위해, 좌판부(6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레인 커버(100)는, 유모차(10)에 적용된 상태에서 좌석(60) 및 덮개(80)를 덮고, 좌석(60)에 착석하는 유유아에 비가림의 환경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레인 커버(100)는,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된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레인 커버(100)를, 유모차 본체(20)와 함께 보관하고, 유모차(10)의 사용시에 항상 휴대할 수 있다.
우선, 레인 커버(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인 커버(100)는, 유모차(10)에 적용된 상태에서, 좌석(60)의 전방으로부터 덮개(80)의 상방을 덮는 정면 시트부(110)와, 좌석(60) 및 덮개(80)의 우측방 및 좌측방을 덮는 오른쪽 제1 측면 시트부(120) 및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레인 커버(100)는, 유모차(10)에 적용된 상태에서, 제1 측면 시트부(120, 125)보다 후방에서 좌석(60) 및 덮개(80)의 우측방 및 좌측방을 덮는 오른쪽 제2 측면 시트부(130) 및 왼쪽 제2 측면 시트부(135)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레인 커버(100)는, 정면 시트부(110)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유모차(10)에 적용된 상태에서, 좌석(60) 및 덮개(8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 시트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정면 시트부(110) 및 제1 측면 시트부(120, 125)는, 투명한 수지제 시트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좌석(60)에 착석한 유유아가 정면 시트부(110) 및 제1 측면 시트부(120, 125)를 통하여, 외부를 시인(視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유모차(10)의 조종자(보호자)가, 정면 시트부(110) 및 제1 측면 시트부(120, 125)를 통하여, 레인 커버(100)의 내부를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2 측면 시트부(130, 135) 및 후면 시트부(140)는, 불투명한 천재로 형성되어 있다.
정면 시트부(1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방(長方)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정면 시트부(110)는, 상부 가장자리(111) 및 하부 가장자리(112)와, 상부 가장자리(111) 및 하부 가장자리(112) 사이를 상하로 연장되는 우측 가장자리(113) 및 좌측 가장자리(114)를 갖는다.
제1 측면 시트부(120, 12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측면 시트부(120, 125)는, 각각, 상부 가장자리(121, 126) 및 하부 가장자리(122, 127)와, 상부 가장자리(121, 126) 및 하부 가장자리(122, 127) 사이를 상하로 연장되는 전방 가장자리(123, 128) 및 후방 가장자리(124, 129)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가장자리(123, 128)는, 레인 커버(100)가 유모차(10)에 적용된 상태에서, 후방 가장자리(124, 129)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5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접속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와 접속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 제1 측면 시트부(120)의 전방 가장자리(123)는, 정면 시트부(110)의 우측 가장자리(113)에 접속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전방 가장자리(128)는, 정면 시트부(110)의 좌측 가장자리(114)에 접속해 있다.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는, 각각, 상부 가장자리(131, 136) 및 하부 가장자리(132, 137)와, 상부 가장자리(131, 136) 및 하부 가장자리(132, 137) 사이를 상하로 연장되는 전방 가장자리(133, 138) 및 후방 가장자리(134, 139)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가장자리(133, 138)는, 레인 커버(100)가 유모차(10)에 적용된 상태에서, 후방 가장자리(134, 139)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5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상부 가장자리(131, 136)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와 접속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하부 가장자리(132, 137)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와 접속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 제2 측면 시트부(130)의 전방 가장자리(133)는, 오른쪽 제1 측면 시트부(120)의 후방 가장자리(124)에 접속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 제2 측면 시트부(135)의 전방 가장자리(138)는,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후방 가장자리(129)에 접속해 있다.
후면 시트부(140)는,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후면 시트부(140)는, 상부 가장자리(141) 및 하부 가장자리(142)와, 상부 가장자리(141) 및 하부 가장자리(142) 사이를 상하로 연장되는 우측 가장자리(143) 및 좌측 가장자리(144)를 갖는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 시트부(140)의 상부 가장자리(141)는,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 및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상부 가장자리(131, 136)에 접속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 시트부(140)의 우측 가장자리(143)는, 오른쪽 제2 측면 시트부(130)의 후방 가장자리(134)와 접속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 시트부(140)의 좌측 가장자리(144)는, 왼쪽 제2 측면 시트부(135)의 후방 가장자리(139)와 접속해 있다.
이러한 레인 커버(10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하부 가장자리(112)를 멀어지도록 펴면,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하여 제1 측면 시트부(120, 125) 및 제2 측면 시트부(130, 135)가 접힌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면 시트부(120, 125) 및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는,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하부 가장자리(112)가 멀어지도록 레인 커버(100)가 펼쳐지면, 각각,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120a, 125a, 130a, 135a)를 따라 접힌다. 이 때문에, 레인 커버(100) 전체를, 단시간에 평평하게 할 수 있다. 평평해진 레인 커버(100)는, 단시간에 작고 깔끔하게 접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레인 커버(100)가 후면 시트부(140)를 갖고 있음으로써, 레인 커버(100)는, 전개한 상태에서 큰 주머니 형상을 갖게 된다. 이 때문에, 레인 커버(100)는, 유모차(10)에 적용되었을 때, 좌석(60) 및 덮개(80)를 덮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20) 및 덮개(80)의 측방을 덮는 시트부로서,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에 더하여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를 갖고 있음으로써, 레인 커버(100)는,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충분히 큰 치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인 커버(100)는, 일반적으로 폭 방향 치수보다 전후 방향 치수가 큰 유모차(10)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5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른쪽 제1 측면 시트부(120)의 상부 가장자리(121)는,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상부 가장자리(126)로부터 이간해 있다. 또한, 오른쪽 제1 측면 시트부(120)의 하부 가장자리(122)는,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하부 가장자리(127)로부터 이간해 있다. 이에 따라, 레인 커버(100)를 접을 때에, 오른쪽 제1 측면 시트부(120)와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가 간섭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인 커버(100)의 폴딩을 용이하며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른쪽 제2 측면 시트부(130)의 상부 가장자리(131)는, 왼쪽 제2 측면 시트부(135)의 상부 가장자리(136)로부터 이간해 있다. 또한, 오른쪽 제2 측면 시트부(130)의 하부 가장자리(132)는, 왼쪽 제2 측면 시트부(135)의 하부 가장자리(137)로부터 이간해 있다. 이에 따라, 레인 커버(100)를 접을 때에, 오른쪽 제2 측면 시트부(130)와 왼쪽 제2 측면 시트부(135)가 간섭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도, 레인 커버(100)의 폴딩을 용이하며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도 5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와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의 접속 길이(L1)는,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와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와의 접속 길이(L2)보다 길다. 이에 따라, 레인 커버(100)의 하방 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인 커버(100)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레인 커버(100)의 폴딩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상부 가장자리(131, 136)와 대응하는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와의 접속 길이(L3)는,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하부 가장자리(132, 137)와 대응하는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와의 접속 길이(L4)보다 길다. 이에 따라서도, 레인 커버(100)의 하방 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인 커버(100)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레인 커버(100)의 폴딩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면 시트부(110)의 좌측 가장자리(114)와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전방 가장자리(128)는,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정면 시트부(110)의 좌측 가장자리(114)와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전방 가장자리(128)는, 슬라이드 파스너(15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면 시트부(110)의 좌측 가장자리(114)에는, 슬라이드 파스너(150)의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51, 152) 중 한쪽의 파스너 스트링거(15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전방 가장자리(128)에는, 다른쪽의 파스너 스트링거(152)가, 한쪽의 파스너 스트링거(151)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파스너(150)는, 또한,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51, 152)의 각 엘리먼트열을 걸어맞추는 슬라이더(153)를 갖고 있으며, 슬라이더(153)를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 파스너(150)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파스너(150)를 닫음으로써, 정면 시트부(110)의 좌측 가장자리(114)와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전방 가장자리(128)를 극간 없이 접속하여, 정면 시트부(110)의 좌측 가장자리(114)와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전방 가장자리(128) 사이에서 빗물이 레인 커버(10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150)를 열어 정면 시트부(110)의 좌측 가장자리(114)와 왼쪽 제1 측면 시트부(125)의 전방 가장자리(128)를 떼어놓음으로써, 레인 커버(100)를 유모차(10)에 장착한 채, 유유아를 좌석(60)에 태우고 내릴 수 있다. 슬라이드 파스너(150)는, 지수성(止水性)의 파스너이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파스너(150)를 통하여 빗물이 레인 커버(100)의 내측에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120a, 125a)와 전방 가장자리(123, 128) 사이가 되는 위치에, 통기 구멍(155)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통기 구멍(155)은, 각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통기 구멍(155)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은, 레인 커버(100)가 유모차(10)에 적용된 상태에 있어서, 배면 밀기일 경우이면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을 향하는 경향이 있는 부분이며, 또한 대면 밀기일 경우이면 정면 시트부(110)보다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이 되는 경향이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분에 통기 구멍(155)을 마련함으로써, 통기 구멍(155)을 통하여 빗물이 레인 커버(100) 내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후방 가장자리(134, 139) 및 후면 시트부(140)의 하부 가장자리(142)에는, 레인 커버(100)를 유모차 본체(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58)가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158)를 이용하여,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후방 가장자리(134, 139) 및 후면 시트부(140)의 하부 가장자리(142)를, 유모차 본체(20)의 전각(30) 및 후각(35)에 고정함으로써, 레인 커버(100)를 유모차(10)에 더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납 주머니(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주머니(160)는, 유모차 본체(20)의 좌판부(67)의 이측(裏側)(하면(67a)의 측)에 장착되어 있다. 접은 레인 커버(100)를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함으로써, 레인 커버(100)를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구니(90)의 수납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레인 커버(100)를 좌판부(67) 아래에 수납함으로써, 수납된 레인 커버(100)를 좌석(60)에 의해 은폐할 수 있다. 즉, 수납된 레인 커버(100)에 의해 유모차(10)의 의장성(意匠性)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 주머니(160)는, 좌판부(67)의 하면(67a)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상면부(161)와, 상면부(161)와의 사이에 레인 커버(100)의 수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하면부(162)를 갖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161) 및 하면부(162)는, 각각, 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면부(161)의 전방 가장자리부(161a)는, 하면부(162)의 전방 가장자리부(162a)와 함께, 상면부(161) 및 하면부(162) 사이의 수납 스페이스에 통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상면부(161)의 측방 가장자리부(161b, 161c) 및 후방 가장자리부(161d)는, 하면부(162)의 대응하는 측방 가장자리부(162b, 162c) 및 후방 가장자리부(162d)에 접속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161)에는, 수납 주머니(160)를 좌판부(67)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170)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장착구(170)는,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끈 형상 부재이다. 장착구(170)는, 상면부(161)의 측방 가장자리부(161b, 161c)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장착구(17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는, 수납 주머니(160)의 상면부(161)에 고정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장착구(170)의 양단부(170a, 170b)를, 좌판부(67)의 개구(68)에 하면(67a)의 측으로부터 삽입 통과하고, 상면(67b)의 측에서 서로 접속함으로써, 수납 주머니(160)를 좌판부(67)에 장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장착구(170)의 양단부(170a, 170b)는, 접속 수단(17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접속 수단(171)으로서는, 면 파스너나 스냅 버튼 등, 각종 접속 수단을 채용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면부(161) 및 하면부(162)의 전방 가장자리부(161a, 162a)에, 각각, 폭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 보강재(163)가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탄성 보강재(163)는,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 주머니(160)의 개구를 이루는 전방 가장자리부(161a, 162a)에 탄성 보강재(163)가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수납 주머니(160)의 개구를 닫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인 커버(100)가 의도하지 않게 수납 주머니(160)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보강재(163)가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수납 주머니(160)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주머니(160)를 좌판부(67)에 의해 은폐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수납 주머니(160)가 장착됨으로써 유모차(10)의 의장성이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주머니(160)의 개구에 탄성 보강재(163)가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하면부(162)의 전방 가장자리부(162a)를 내림으로써, 수납 주머니(160)의 개구를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인 커버(100)를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할 때, 그 수납 스페이스에 밀어넣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수납 주머니(160)는, 상면부(161) 및 하면부(162)의 전방 가장자리부(161a, 162a) 근방에, 상면부(161) 및 하면부(162)의 전방 가장자리부(161a, 162a)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는 걸쇠(165)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레인 커버(100)가 의도하지 않게 수납 주머니(160)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걸쇠(165)로서는, 면 파스너나 스냅 버튼 등, 각종 걸쇠를 채용 가능하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납 주머니(160)와 레인 커버(100)의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는, 연결 부재(18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가, 연결 부재(180) 및 수납 주머니(160)를 통해 유모차 본체(20)에 접속해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인 커버(100)의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하여 당기는 것만으로,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하부 가장자리(112)를 멀어지도록 레인 커버(100)를 펼칠 수 있다. 즉, 유모차(10)의 조종자는, 혼자서 용이하게 레인 커버(100)를 펼칠 수 있다. 또한, 레인 커버(100)를 펼쳤을 때에, 레인 커버(100)를 진동시켜, 레인 커버(100)의 물기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즉, 유모차(10)의 조종자는, 레인 커버(100)의 폴딩 조작의 과정에서 물기 제거를 실행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 부재(180)는 끈 형상 부재이다. 연결 부재(180)의 일단부(181)는,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180)의 타단부(18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쇠(185)에 의해, 수납 주머니(16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연결 부재(180)가 수납 주머니(16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해 있음으로써, 연결 부재(180)를 수납 주머니(160)로부터 분리하여, 레인 커버(100)를 세탁할 수 있다. 물론, 연결 부재(180)는, 그 타단부(182)가 수납 주머니(160)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181)가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해 있어도 된다. 걸쇠(185)로서는, 면 파스너나 스냅 버튼 등, 각종 걸쇠를 채용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 부재(180)는, 수납 주머니(160)의 내부에 접속해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180)를, 레인 커버(100)와 함께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할 수 있다. 즉, 레인 커버(100)를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할 때, 연결 부재(180)와 수납 주머니(160)가 간섭하여, 레인 커버(100)의 수납 주머니(160)에의 수납을 방해해 버린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레인 커버(100)를 수납할 때, 연결 부재(180)를 접은 레인 커버(100)에 감으면, 수납 주머니(160)뿐만 아니라 연결 부재(180)에 의해서도, 레인 커버(100)를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 부재(180)의 타단부(182)는, 수납 주머니(160)의 하면부(162)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레인 커버(100)를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할 때, 연결 부재(180)가 늘어져 수납 주머니(160)의 개구와 간섭하여, 레인 커버(100)의 수납 주머니(160)에의 수납이 방해된다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레인 커버(100)의 폴딩 방법 및 수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에 장착된 레인 커버(100)의 고정구(158)를, 유모차 본체(20)의 전각(30) 및 후각(35)으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레인 커버(100)의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하여 유모차(10)의 좌석(60)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겨, 레인 커버(100)를 유모차(1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한 채, 레인 커버(100)를 좌석(6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더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하부 가장자리(112)를 멀어지도록, 레인 커버(100)를 펼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측면 시트부(120, 125) 및 제2 측면 시트부(130, 135)가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접힌다.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 시트부(140)를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폭 방향 내측으로 접는다. 그리고, 레인 커버(100)를,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로부터 하부 가장자리(112)를 향하여 감도록 해서 접는다. 그 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힌 레인 커버(100)에 연결 부재(180)를 감으면서,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가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와 접속해 있으며, 또한, 각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하부 가장자리(132, 137)가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와 접속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는,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와 접속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각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하부 가장자리(132, 137)는,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와 접속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하여 커버(100)를 매달면, 제1 측면 시트부(120, 125) 및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120a, 125a, 130a, 135a)를 따라,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접힌다. 따라서, 커버(100)를 단시간에 간단히 작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100)가 레인 커버로서 사용되고, 정면 시트부(110) 및 제1 측면 시트부(120, 125)가 투명한 수지제 시트재를 포함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버(100)가 방충 커버 혹은 차양 커버로서 사용될 경우, 채광, 통기, 투시 등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정면 시트부(110) 및 제1 측면 시트부(120, 125)의 일부분이, 메쉬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물론, 제2 측면 시트부(130, 135) 및 후면 시트부(140)도, 메쉬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커버(100)가 먼지막이 커버로서 사용될 경우, 정면 시트부(110) 및 제1 측면 시트부(120, 125)는, 불투명한 천재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커버(100)를 구성하는 시트부(110, 120, 125, 130, 135, 14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커버(100)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의(適宜) 선택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를 손수레에 적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는, 예를 들면, 자전거나 오토바이, 차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버(100)는, 상부 가장자리(111) 및 하부 가장자리(112)를 갖는 정면 시트부(110)와, 정면 시트부(110)에 접속한 좌우의 측면 시트부(제1 측면 시트부)(120, 125)를 구비하고, 각 측면 시트부(120, 125)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121, 126)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100)는, 측면 시트부(120, 125)를 정면 시트부(110)와 겹치도록 접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하여 커버(100)를 매다는 것만으로, 측면 시트부(120, 125)는,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120a, 125a)를 따라,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접힌다. 이 때문에, 커버(100)를 단시간에 간단히 작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버(100)에 있어서, 한쪽 측면 시트부(120)의 상부 가장자리(121)는, 다른쪽 측면 시트부(125)의 상부 가장자리(126)로부터 이간해 있다. 이러한 커버(100)에 의하면, 커버(100)를 접을 때에, 한쪽 측면 시트부(120)와 다른쪽 측면 시트부(125)가 간섭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00)의 폴딩을 용이하며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버(100)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120, 125)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122, 127)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100)는,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하부 가장자리(112)를 멀어지도록 편다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하여 측면 시트부(120, 125)를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100)를, 단시간에 간단히 작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버(100)에 있어서, 한쪽 측면 시트부(120)의 하부 가장자리(122)는, 다른쪽 측면 시트부(125)의 하부 가장자리(127)로부터 이간해 있다. 이러한 커버(100)에 의하면, 커버(100)를 접을 때에, 한쪽 측면 시트부(120)와 다른쪽 측면 시트부(125)가 간섭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00)의 폴딩을 용이하며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버(100)는, 정면 시트부(110)에 대향하여 배치된 후면 시트부(140)를 더 구비하고, 후면 시트부(140)는,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 및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에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141)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100)는, 정면 시트부(110), 측면 시트부(120, 125) 및 후면 시트부(140)의 조합에 의해, 전개한 상태에서 큰 주머니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커버(100)의 적용 대상(상술한 예에서는, 손수레(10))을 덮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버(100)는, 측면 시트부(120, 125)에 접속한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를 더 구비하고, 각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와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131, 136)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100)에 의하면,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충분히 큰 치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커버(100)는,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를 정면 시트부(110)와 겹치도록 접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하여 커버(100)를 매다는 것만으로,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는,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130a, 135a)를 따라,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접힌다. 이 때문에, 커버(100)를 단시간에 간단히 작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버(100)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120, 125)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122, 127)를 갖고, 각 제2 측면 시트부(130, 135)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132, 137)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100)에 의하면,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하부 가장자리(112)를 멀어지도록 커버(100)를 펼침으로써, 측면 시트부(120, 125) 및 제2 측면 시트부(130, 135)의 각각을,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하여, 작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면 시트부(120, 125)의 상부 가장자리(121, 126)와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의 접속 길이(L1)는,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와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와의 접속 길이(L2)보다 길다. 이러한 커버(100)에 의하면, 하방 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00)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커버(100)의 폴딩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120, 125)의,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120a, 125a)와 정면 시트부(110)의 측방 가장자리(113, 114)와 접속하는 전방 가장자리(123, 128) 사이가 되는 위치에, 통기 구멍(1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100)에 의하면, 커버(100)의 적용 대상이 손수레(10)일 경우, 통기 구멍(155)이, 손수레(1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을 향하는 경향이 있는 부분에, 혹은, 정면 시트부(110)보다 손수레(1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이 되는 경향이 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 구멍(155)을 통하여 빗물이 커버(100) 내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160) 부착 커버(100)는, 상술한 커버(100)와,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되어 커버(100)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160)를 구비한다. 이러한 커버(100)는, 측면 시트부(120, 125)를 정면 시트부(110)와 겹치도록 접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하여 커버(100)를 매다는 것만으로, 측면 시트부(120, 125)는,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120a, 125a)를 따라,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접힌다. 이 때문에, 커버(100)를 단시간에 간단히 작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함으로써, 커버(100)를 작게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모차(10)에 장착 가능한 수납 주머니(160)를 이용함으로써, 작게 접은 상태의 커버(100)를, 유모차(10)와 함께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납 주머니(160)는, 유모차 본체(20)의 좌판부(67) 아래에 장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좌판부(67)의 이측의 빈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커버(100)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좌판부(67)의 하방에 바구니(90)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바구니(90)의 수납 용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납 주머니(160)는, 좌판부(67)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상면부(161)와, 상면부(161)와의 사이에 커버(100)의 수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하면부(162)를 갖고, 상면부(161) 및 하면부(162)의 수납 스페이스에 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각 가장자리부(161a, 162a)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 보강재(163)가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 주머니(160) 부착 커버(100)에 의하면, 수납 주머니(160)의 개구를 탄성 보강재(163)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커버(100)가 의도하지 않게 수납 주머니(160)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보강재(163)에 의해 수납 주머니(160)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주머니(160)를 좌판부(67)에 의해 은폐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수납 주머니(160)가 장착됨으로써 유모차(10)의 의장성이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주머니(160)의 개구에 탄성 보강재(163)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하면부(162)의 전방 가장자리부(162a)를 내림으로써, 상기 개구를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버(100)를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할 때, 그 수납 스페이스에 밀어넣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납 주머니(160) 부착 커버(100)는, 측면 시트부(120, 125)의 하부 가장자리(122, 127)가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와 접속한 상기 커버(100)와,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되어 커버(100)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160)와, 수납 주머니(160)와 커버(100)의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에 접속한 연결 부재(180)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납 주머니(160) 부착 커버(100)에 의하면, 정면 시트부(110)의 하부 가장자리(112)가, 연결 부재(180) 및 수납 주머니(160)를 통해 유모차 본체(20)에 접속해 있다. 따라서, 커버(100)의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하여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와 하부 가장자리(112)를 멀어지도록 커버(100)를 펼칠 수 있다. 즉, 유모차(10)의 조종자는, 혼자서 용이하게 커버(100)를 펼쳐 작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커버(100)를 펼쳤을 때에, 커버(100)를 진동시켜, 커버(100)의 물기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즉, 유모차(10)의 조종자는, 커버(100)의 폴딩 조작의 과정에서 물기 제거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180)는, 수납 주머니(160)의 내부에 접속해 있다. 이러한 수납 주머니(160) 부착 커버(100)에 의하면, 연결 부재(180)를, 커버(100)와 함께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할 수 있다. 즉, 커버(100)를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할 때, 연결 부재(180)와 수납 주머니(160)가 간섭하여, 커버(100)의 수납 주머니(160)에의 수납을 방해한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100)를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할 때, 접은 커버(100)에 연결 부재(180)를 감으면, 수납 주머니(160)뿐만 아니라 연결 부재(180)에 의해서도, 커버(100)를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는, 상술한 커버(100)와,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되어 커버(100)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160)와, 수납 주머니(160)가 장착된 유모차 본체(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커버(100)의 측면 시트부(120, 125)를 정면 시트부(110)와 겹치도록 접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정면 시트부(110)의 상부 가장자리(111)를 파지하여 커버(100)를 매다는 것만으로, 측면 시트부(120, 125)는,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120a, 125a)를 따라, 정면 시트부(110)에 겹치도록 접힌다. 이 때문에, 커버(100)를 단시간에 간단히 작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수납 주머니(160)에 수납함으로써, 커버(100)를 작게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모차(10)에 장착 가능한 수납 주머니(160)를 이용함으로써, 작게 접은 상태의 커버(100)를, 유모차(10)와 함께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의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5)

  1.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갖는 정면 시트부와,
    상기 정면 시트부에 접속한 좌우의 측면 시트부와,
    상기 측면 시트부에 접속한 제2 측면 시트부를 구비하고,
    각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valley folding)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를 갖고,
    각 제2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를 갖는,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 측면 시트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다른쪽 측면 시트부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이간(離間)해 있는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를 갖는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한쪽 측면 시트부의 하부 가장자리는, 다른쪽 측면 시트부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이간해 있는 커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의 접속 길이는,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의 접속 길이보다 긴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시트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후면 시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면 시트부는,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 및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한 상부 가장자리를 갖는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를 갖고,
    각 제2 측면 시트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밸리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접속한 하부 가장자리를 갖는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각 측면 시트부의, 밸리 폴딩시의 꺾어 구부림부와 상기 정면 시트부의 측방 가장자리와 접속하는 전방 가장자리 사이가 되는 위치에,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
  9. 제1항에 기재된 커버와,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를 구비하는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주머니는, 상기 유모차 본체의 좌판부(座板部) 아래에 장착 가능한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주머니는, 상기 좌판부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와의 사이에 상기 커버의 수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하면부를 갖고,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의 상기 수납 스페이스에 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각 가장자리부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 보강재가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는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12. 제3항에 기재된 커버와,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와,
    상기 수납 주머니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정면 시트부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에 접속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수납 주머니의 내부에 접속해 있는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14. 제1항에 기재된 커버와,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와,
    상기 수납 주머니가 장착된 유모차 본체를 구비하는 유모차.
  15. 삭제
KR1020190129591A 2018-11-16 2019-10-18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KR102488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5909A JP6957031B2 (ja) 2018-11-16 2018-11-16 カバー、乳母車用の収納袋付きカバー及び乳母車
JPJP-P-2018-215909 2018-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619A KR20200057619A (ko) 2020-05-26
KR102488863B1 true KR102488863B1 (ko) 2023-01-17

Family

ID=7074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591A KR102488863B1 (ko) 2018-11-16 2019-10-18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57031B2 (ko)
KR (1) KR102488863B1 (ko)
CN (1) CN111196301B (ko)
TW (1) TWI753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547A1 (ko)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3715892A (zh) * 2020-05-25 2021-11-3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座位部挡片、婴儿载具及婴儿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480B2 (ja) * 1997-03-17 2001-09-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周辺視認装置
WO2006006405A1 (ja) * 2004-07-09 2006-01-19 Aprica Ikujikenkyukai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育児器具および幌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3323U (ja) * 1983-12-21 1985-07-15 根本 立雄 口金
JPH0228059A (ja) * 1988-04-28 1990-01-30 Aprica Kassai Inc 乳母車
JPH0649260U (ja) * 1992-11-11 1994-07-05 美貴 大隅 ベビーカー用日除け装置
JP2003054416A (ja) * 2001-08-21 2003-02-26 Combi Corp ベビーカー用レインカバー
CA2416498A1 (en) * 2003-01-17 2004-07-17 Ivy Pho Sun shade for an infant carrier and an infant car seat
CN202098454U (zh) * 2011-03-31 2012-01-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幼儿推车
JP3206480U (ja) * 2016-03-23 2016-09-23 東洋ケース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480B2 (ja) * 1997-03-17 2001-09-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周辺視認装置
WO2006006405A1 (ja) * 2004-07-09 2006-01-19 Aprica Ikujikenkyukai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育児器具および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23868A (zh) 2020-07-01
KR20200057619A (ko) 2020-05-26
JP2020082817A (ja) 2020-06-04
CN111196301B (zh) 2023-02-17
TWI753322B (zh) 2022-01-21
JP6957031B2 (ja) 2021-11-02
CN111196301A (zh)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0059B2 (ja) 折り畳み式ワゴン
JP6957018B2 (ja) 特大の囲いを備えたペット用手押し車
JP5938203B2 (ja)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カート
EP1403166A2 (en) Stroller
KR102488863B1 (ko)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KR20120121394A (ko) 절첩 가능한 유모차
TWI659878B (zh) Baby carriage
KR102309259B1 (ko) 덮개 및 카트
KR200476857Y1 (ko) 햇빛가리개 탈부착이 가능한 유모차
WO2018051807A1 (ja) ベビーカー
JP6415043B2 (ja)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
KR101075107B1 (ko) 유모차의 차양 및 이를 구비한 유모차
JP7023515B2 (ja) レインカバー着脱可能な座席
JP6017244B2 (ja) 乳母車用の幌及び乳母車
JP4722334B2 (ja) ベビーカーの幌装置
JP7084148B2 (ja) ベビーカー用カバー
JP2014213788A (ja) 乳母車用のレインカバー及び乳母車
JP3227819U (ja) ベビーカー用レインカバー
JP6923929B2 (ja) 乳母車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WO2022130504A1 (ja) 手押しカート用カバー
CN219584273U (zh) 一种顶篷及设有该顶篷的儿童载具
JP6964922B1 (ja) ケープ及びケープ付き育児器具
KR102420914B1 (ko) 차양 및 차양을 구비한 육아 기구
JP2007282795A (ja) 車椅子の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