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259B1 - 덮개 및 카트 - Google Patents

덮개 및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259B1
KR102309259B1 KR1020180101544A KR20180101544A KR102309259B1 KR 102309259 B1 KR102309259 B1 KR 102309259B1 KR 1020180101544 A KR1020180101544 A KR 1020180101544A KR 20180101544 A KR20180101544 A KR 20180101544A KR 102309259 B1 KR102309259 B1 KR 10230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keleton
pivotally attached
base memb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794A (ko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타카히로 카와타
다케시 테라우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덮개로서, 보다 전방의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카트 본체(2)에 사용되는 덮개(100)이며, 덮개 천(101)과,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110)를 구비하고, 지지 장치(110)는, 카트 본체(2)에 접속되는 기초부 부재(120)와,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된 중간 부재(140)와, 중간 부재(140)에 피봇 부착되고,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1 뼈대부(131)를 포함하는 뼈대 부재(150)를 갖는다.

Description

덮개 및 카트 {COVER AND CART}
본 발명은, 카트에 사용되는 덮개 및 덮개를 구비한 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모차 등의 카트에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덮개는, 통상, 기초부와, 기초부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복수의 덮개 뼈대와, 덮개 뼈대에 지지되는 덮개 천을 갖고 있다. 덮개 뼈대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쪽 기단부가 각각 대응하는 측의 기초부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이 덮개는, 덮개 천의 전단부를 파지하여 덮개 뼈대를 기초부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전개되거나 혹은 접힌다.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덮개 천을 펼치는 것 및 덮개 천을 접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는, 그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햇빛을 차단하고, 시트에 착석한 영유아에 대하여 그늘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에 대한 요구의 하나로서, 완전 전개 상태일 때에 시트 전체를 덮어야 하는 것이 있다. 시트 전체를 덮기 위해서는, 덮개 뼈대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한편, 덮개 뼈대는, 덮개가 접힘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이행할 때에 대략 U자 형상의 핸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를 통과한다. 따라서, 덮개 뼈대의 치수는, 핸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를 통과 가능한 치수로 제한된다. 덮개 뼈대의 치수가 제한됨으로써, 덮개로 덮는 것이 가능한 범위도 제한된다. 그리고, 통상, 덮개는, 시트의 후방측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덮개로 시트의 전단부까지 덮을 수 없어, 시트에 착석한 영유아의 발끝은 햇빛을 받는 상태로 되어 있었다. 혹은, 영유아의 발끝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추가의 커버를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더욱 넓은 범위를 덮는 것이 가능한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혹은, 시트의 전방측 영역을 덮는 것이 가능한 덮개를 구비한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덮개는, 카트 본체에 사용되는 덮개이며,
덮개 천과,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카트 본체에 접속되는 기초부 부재와,
상기 기초부 부재에 피봇 부착된 중간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에 피봇 부착되고,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1 뼈대부를 포함하는 뼈대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덮개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기초부 부재 및 상기 뼈대 부재에 피봇 부착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된 제2 뼈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뼈대부는,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덮개는, 접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뼈대 부재의 상기 중간 부재에 피봇 부착되는 단부와, 상기 제2 뼈대부의 상기 연결부에 접속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덮개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기초부 부재에 피봇 부착되고,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3 뼈대부를 포함하는 다른 뼈대 부재를 더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덮개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기초부 부재에 피봇 부착되고,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3 뼈대부를 포함하는 다른 뼈대 부재를 더 갖고, 접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른 뼈대 부재의 상기 기초부 부재에 피봇 부착되는 단부와, 상기 제2 뼈대부의 상기 연결부에 접속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는,
시트 지지부를 갖는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접속된 상기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단부가 상기 시트 지지부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가 수평 방향보다 하향이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는, 또한, 상기 시트 지지부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암레스트를 갖고,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가 상기 암레스트를 따르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에 있어서, 상기 덮개 천은,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뼈대 부재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된 전단부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단부 부분은, 판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덮개에 의하면, 더욱 넓은 범위를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카트에 의하면, 덮개는, 시트 지지부의 전단부까지 덮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카트 본체가 전개 상태에 있고, 덮개가 접힘 상태에 있는 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카트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덮개가 완전 전개 상태에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카트의 카트 본체와 덮개에 포함되는 지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핸들과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접속 개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접힘 상태에 있는 카트 본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덮개가 완전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지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지지 장치의 기초부 부재와 중간 부재와 뼈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한 쌍의 접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한 쌍의 기초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하는 중간 부재의 양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하는 뼈대 부재의 양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2에 도시하는 덮개를 접힘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b는 도 2에 도시하는 덮개를 반 전개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c는 도 2에 도시하는 덮개를 완전 전개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1)는, 카트 본체(2)와, 카트 본체(2)에 접속된 덮개(100)를 갖는다. 카트(1)는, 예를 들어 유모차이다. 카트 본체(2)는, 예를 들어 유모차 본체이며, 아이가 올라타는 스페이스를 갖고 있다. 덮개(100)는, 햇빛이나 비바람 등을 차단하여, 카트 본체(2) 상의 아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덮개(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개 및 접힘 가능하게 구성되고, 카트 본체(2)의 아이가 올라타는 스페이스 전체를 덮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궁리가 행해져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카트(1)가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유모차(10)의 전체 구성부터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카트(1)를 이루는 유모차(10) 및 덮개(100)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유모차 본체(11)와, 유모차 본체(11)에 장착된 시트(90)와, 유모차 본체(11)에 접속된 덮개(100)를 갖고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카트 본체(2)를 이루는 유모차 본체(11)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는, 유모차 본체(11)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유모차 본체(11)와 핸들(15)과의 접속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접힘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1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는, 본체 프레임(12)과, 본체 프레임(12)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15)을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11)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82082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7012호 공보), 접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개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접힘 상태로 접을 수 있고, 또한, 접힘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 본체(11)에 있어서는, 핸들(15)을 유모차(1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영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핸들(15)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영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배면 밀기 상태), 및 조작자가 영유아에 대면하는 전방 다리측 위치로부터 핸들(15)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모차(10)의 후방 다리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대면 밀기 상태)이 모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카트에 대한 "전", "후", "위", "아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카트를 배면 밀기 상태로 전진시키는 상황에서 판단되는 "전", "후", "위", "아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유모차에 대한 "전", "후", "위", "아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에 승차하는 영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위", "아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유모차)의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를 잇는 방향이며,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방"이란, 도시된 예에서는 승차한 영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부측 및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카트(유모차)의 "전방측"으로 된다. 한편, 카트(유모차)의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동시에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 방향"이란 가로 방향이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체 프레임(12)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방 다리(22)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방 다리(24)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재로서의 암레스트(30)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링크(31) 및 한 쌍의 제2 링크(32)를 갖고 있다. 전방 다리(22)의 하단부에는, 전륜(23)이 설치되고, 후방 다리(24)의 하단부에는, 후륜(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한 쌍의 전방 다리(22) 사이 또한 한 쌍의 후방 다리(24) 사이에는, 시트(90)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40)가 위치하고 있다.
전방 다리(22)의 상단부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30)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 다리(24)의 상단부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30)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31)의 상방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30)의 후단부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좌측의 제2 링크(32)는, 좌측의 후방 다리(24)와 좌측의 제1 링크(31)를 연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제2 링크(32)는, 우측의 후방 다리(24)와 우측의 제1 링크(31)를 연결하고 있다. 각 제2 링크(32)는, 그 일부분에 있어서 후방 다리(24)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다른 부분에 있어서 제1 링크(31)의 하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된 제2 링크(32)는, 유모차(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부재(50)를 통하여 제1 링크(31)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 부재(50)는, 제2 링크(32) 및 제1 링크(31) 외에, 핸들(15) 및 후술하는 시트 지지부(40)의 좌석부 지지 요소(41) 및 배면부 지지 요소(42)를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2 링크(32)는, 유모차(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부(51)를 통하여 후방 다리(24)에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시트 지지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90)는, 좌석부(91), 배면부(92) 및 측부(93)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지지부(40)는, 시트(90)의 좌석부(91)를 지지하는 좌석부 지지 요소(41)와, 시트(90)의 배면부(92)를 지지하는 배면부 지지 요소(42)와, 시트(90)의 측부(93)를 지지하는 측부 지지 요소(43)를 포함한다. 또한, 시트 지지부(40)는, 배면부 지지 요소(42)와 측부 지지 요소(43)를 연결하는 헤드부 연결 부재(44)를 포함한다.
배면부 지지 요소(42)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직선부(42a)와, 한 쌍의 직선부(42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42b)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배면부 지지 요소(42)는, U자의 양단부 부분을, 대응하는 측의 제2 링크(32)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좌석부 지지 요소(41)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직선부(41a)와, 한 쌍의 직선부(41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4lb)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좌석부 지지 요소(41)는, U자의 양단부 부분을, 배면부 지지 요소(42)의 U자의 양단부 부분 중 대응하는 측의 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직선부(41a)의 전방측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전방 다리(22)로부터 후방 또한 상방으로 연장된 전방 다리 지지 요소(29)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좌석부 지지 요소(41)의 U자의 양단부 사이에는, 좌석부 연결 부재(41c)가 설치되어 있다.
측부 지지 요소(43)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부(43a)와, 한 쌍의 측방부(43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43b)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측부 지지 요소(43)는, U자의 양단부 부분을, 대응하는 측의 암레스트(30)의 후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헤드부 연결 부재(44)는, 한 쌍의 대략 직선 형상의 부재이다. 각 헤드부 연결 부재(44)의 한쪽의 단부는, 배면부 지지 요소(42)의 중간부(42b)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단부는, 측부 지지 요소(43)의 중간부(43b)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된 배면부 지지 요소(42)의 U자의 양단부 부분은, 축 부재(50)를 통하여 대응하는 측의 제2 링크(32)에 회전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좌석부 지지 요소(41)의 U자의 양단부 부분은, 축 부재(50)를 통하여 대응하는 측의 배면부 지지 요소(42)의 직선부(42a)에 회전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3으로 돌아와, 도시된 유모차(10)의 본체 프레임(12)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방 다리(22) 사이를 연결하는 풋레스트(전방측 연결 바)(26)와, 한 쌍의 후방 다리(24)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연결 바(27)를 갖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암레스트(30) 사이에 굴곡 가능한 가드 부재(28)가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 본체(11)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핸들(15)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15)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직선부(15a)와, 한 쌍의 직선부(15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15b)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15)은, U자의 양단부 부분을, 대응하는 측의 제1 링크(31)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축 부재(50)가, 핸들(15) 및 제1 링크(31)를 관통하여, 이들을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5)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하고, 핸들(15)의 직선부(15a)는 암레스트(30)의 측방을 암레스트(3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부재(50)는, 제2 링크(32) 및 시트 지지부(40)의 좌석부 지지 요소(41) 및 배면부 지지 요소(42)도 관통하여, 제2 링크(32) 및 시트 지지부(40)의 좌석부 지지 요소(41) 및 배면부 지지 요소(42)를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즉,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15)의 제1 링크(31)에 대한 회동 축선(요동 중심)은,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의 회동 축선, 제2 링크(32)와 시트 지지부(40)의 배면부 지지 요소(42)의 회동 축선 및 시트 지지부(40)의 배면부 지지 요소(42)와 좌석부 지지 요소(41)의 회동 축선과 일치하고 있고, 유모차(10)의 폭 방향(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30)의 측방을 이동 가능한 핸들(15)의 한 쌍의 직선부(15a) 상에는, 직선부(15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미끄럼 이동 부재(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미끄럼 이동 부재(16)는, 핸들(15)의 대응하는 직선부(15a) 상에 있어서, 직선부(15a) 내에 설치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방(U자의 단부쪽)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10)에는, 한 쌍의 미끄럼 이동 부재(16)와 각각 결합하여 핸들(15)의 회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결합부(제1 결합 돌기(17) 및 제2 결합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에 설치된 제1 결합 돌기(17)와 미끄럼 이동 부재(16)가 결합하여 서로 걸림 지지됨으로써, 도 2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5)이 전방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후방에 설치된 제2 결합 돌기와 미끄럼 이동 부재(16)가 결합하여 서로 걸림 지지됨으로써,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5)이 후방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결합 돌기(17)는 암레스트(30)에 설치되고, 제2 결합 돌기는 제1 링크(3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5)은, 그 직선부(15a) 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18)와, 그 중간부(15b) 상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18)의 미끄럼 이동을 원격 조작 가능한 원격 조작 장치(18a)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있어서 핸들(15)이 후방 위치(배면 위치)에 배치되면, 핸들(15) 상의 조작 부재(18)는, 제1 링크(31) 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부재(19)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게 된다. 각 로크 부재(19)는, 제1 링크(31) 상에 있어서, 제1 링크(31) 내에 설치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방(U자의 단부쪽)을 향해서, 바꾸어 말하면,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의 연결 개소를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유모차(10)가 전개 상태 또는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에, 로크 부재(19)는 제2 링크(32)와 결합하여, 제2 링크(32)와 제1 링크(31)의 상대적인 회동을 구속한다. 이에 의해, 유모차(10)가, 전개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의 유모차 본체(11)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부(91), 배면부(92) 및 측부(93)를 갖는 시트(90)가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갖는 유모차(10)(유모차 본체11)는, 이하와 같이 하여,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 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다.
핸들(15)이 전방 위치(도 2의 이점 쇄선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핸들(15)을 유모차 본체(11)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켜서, 핸들(15)을 후방 위치(도 2의 실선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후방 위치에 배치된 핸들(15) 상의 미끄럼 이동 부재(16)와 유모차 본체(11)의 제1 링크(31) 상의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핸들(15)을 유모차(10)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때, 그 하단부 부분에 있어서 제1 링크(31)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15)은, 미끄럼 이동 부재(16)와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제1 링크(31)에 대하여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하의 접힘 조작 중, 측면에서 볼 때, 즉, 유모차(10)의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핸들(15)의 하방 부분은, 제1 링크(31)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어서, 원격 조작 장치(18a)를 조작함으로써,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의 로크 부재(19)를 통한 결합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원격 조작 장치(18a)에 의해 조작 부재(18)를 동작시키고, 동시에, 조작 부재(18)를 통하여 제1 링크(31) 상의 로크 부재(19)를 동작시키고, 제1 링크(31)의 제2 링크(32)에 대한 고정, 나아가, 제1 링크(31)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또한 이때, 유모차(10)는 전개 상태에 있고, 제1 링크(31)의 하단부 부분이 후방 다리(24)의 중간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후방 위치에 배치된 핸들(15)을 일단 후방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링크(31)는, 핸들(15)과 함께 동작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31)가 후방 다리(24)로부터 이격되고, 제2 링크(32)는, 후방 다리(24)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조작에 따라, 암레스트(30)은 제1 링크(31)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측면에서 볼 때), 핸들(15)이 전방 다리(22)와의 대략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방 다리(22)에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치수가 소형화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10)를 전후 방향으로 접으면, 핸들(15)과 전방 다리(22)가 대략 평행하게 유지된 채로, 핸들(15)의 배치 위치가 내려지게 된다. 이 결과,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뿐만 아니라, 유모차(1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도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유모차 본체11)를 접힘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접힘 조작과 반대로 조작을 행하면 된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6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덮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0)는, 덮개 천(101)과,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110)를 갖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10)는, 유모차 본체(11)에의 접속 개소를 이루는 기초부 부재(120)와,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대략 U자 형상의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는, 대략 가는 판 형상이나 선 형상의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덮개 천(101)은,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덮개 뼈대(131)는, 제2 덮개 뼈대(132)의 전방 혹은 상방에 배치된다. 제2 덮개 뼈대(132)는, 제3 덮개 뼈대(133)의 전방 혹은 상방에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를 서로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0)를, 접힘 상태로 하거나, 반 전개 상태 혹은 완전 전개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 접힘 상태라 함은,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가 후술하는 각각의 요동 범위 내에 있어서, 서로 가장 접근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완전 전개 상태라 함은,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가 각각의 요동 범위 내에 있어서, 서로 가장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반 전개 상태라 함은, 도 12a에 도시하는 접힘 상태와 도 12a에 도시하는 완전 전개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이다.
그런데, 도시한 바와 같은 덮개에 대한 요구의 하나로서, 시트 전체를 덮어야 하는 것이 있다. 시트 전체를 덮기 위해서는, 덮개 뼈대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 뼈대는, 접힘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이행할 때에 대략 U자 형상의 핸들(15)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를 통과한다. 따라서, 덮개 뼈대의 치수는, 핸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를 통과 가능한 치수로 제한된다. 덮개 뼈대의 치수가 제한되면, 덮개가 덮을 수 있는 범위도 제한된다. 그리고, 통상, 덮개는, 시트의 후방측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덮개로 시트의 전단부까지 덮을 수는 없었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덮개(100)는, 시트 지지부(40)(따라서 시트(90))를 보다 광범위에 걸쳐 덮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궁리가 행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카트(1)로서의 유모차(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덮개(100)의 전단부(100a)가 시트 지지부(40)의 전단부(40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어, 시트 지지부(40)의 전방측 영역을 덮고 있다.
이하, 덮개(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덮개 천(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덮개 천(101)은, 햇빛이나 비바람을 차단할 수 있는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천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 덮개 천(101)에는, 다양한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광, 통기, 투시 등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덮개 천(101)의 일부분이, 메쉬 부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덮개 천(101)은, 발수성, 방수성, 내수도 등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덮개 천(101)은, 제1 덮개 뼈대(131) 및 제2덮개 뼈대(132) 사이에 설치된 전방 부분(102)과, 전방 부분(102)에 후방으로부터 접속되는 후방 부분(103)을 포함하고 있다. 덮개 천(101)은, 또한, 전방 부분(102)에 후방 부분(103)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접속되는 전단부 부분(104)과, 후방 부분(103)에 전방 부분(10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접속되는 후단부 부분(105)을 갖고 있다.
전방 부분(102) 및 후방 부분(103)은, 시트 지지부(40)에 장착된 시트(90)와 덮개(100) 사이의 스페이스의 환기를 행하기 위하여, 각각, 메쉬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제1 망 형상부(102a) 및 제2 망 형상부(103a)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망 형상부(102a) 및 제2 망 형상부(103a)와 겹치는 부분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제1 플랩(102b) 및 제2 플랩(103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플랩(102b)을 넘기면 제1 망 형상부(102a)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제2 플랩(103b)을 넘기면 제2 망 형상부(103a)가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령 시트(90)의 상방을 덮개(100)로 덮었다고 해도, 제1 망 형상부(102a) 및/또는 제2 망 형상부(103a)를 통해서, 시트(90)와 덮개(100) 사이의 스페이스의 환기를 행할 수 있다.
전단부 부분(10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덮개 뼈대(131)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비바람을 차단한다. 전단부 부분(104)은, 판 부재(104a)를 포함하고 있어, 전단부 부분(104)이 바람에 의해 넘겨지는 경우나, 덮개(100)의 반 전개 시에 전단부 부분(104)이 시트(90) 상방으로부터 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전단부 부분(104)의 측부 테두리부(즉 덮개(100)의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104b)가 수평 방향보다 하향이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트(90)의 전방측 영역에서, 유모차(10)의 측방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비바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104b)는,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암레스트(30)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덮개(100)와 유모차 본체(11)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고, 유모차(10)의 측방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비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후단부 부분(105)은, 제3 덮개 뼈대(133)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되어, 시트(90)의 측부(93)와 덮개(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유모차(10)의 후방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비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덮개 천(101)은, 전단부 부분(104)과 전방 부분(102)의 경계 영역에 있어서, 제1 덮개 뼈대(13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천(101)은, 전방 부분(102)과 후방 부분(103)의 경계 영역에 있어서, 제2 덮개 뼈대(13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천(101)은, 후방 부분(103)과 후단부 부분(105)의 경계 영역에 있어서, 제3 덮개 뼈대(133)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 천(101)의 구성에 의해, 덮개 천(101)의 전방 부분(102) 및 후방 부분(103)은,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의 서로에 대한 요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또한 접어진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도 12c 참조) 혹은 반 전개 상태(도 12b 참조)에 있어서 덮개 천(101)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코어재(134)가 덮개 천(101)에 꿰매어져 부착되거나 혹은 덮개 천(101)에 내장되도록 해도 좋다. 보조 코어재(134)는,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보다도 유연성이 많은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코어재(134)는, 기초부 부재(120) 및 후술하는 중간 부재(140)의 연결부(141)의 어느 것과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1 내지 제3 덮개 뼈대(131, 132 및 133)와 구별된다.
또한, 덮개 천(101)의 크기는, 제1 덮개 뼈대(131) 및 제2 덮개 뼈대(132)의 제3 덮개 뼈대(133)를 기준으로 한 요동 가능 범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덮개 천(101)이 팽팽한 상태로 되는 크기로 설정된다.
이어서, 지지 장치(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 장치(110)는, 카트 본체(2)로서의 유모차 본체(11)에 접속되는 한 쌍의 기초부 부재(120)와, 양단부가 한 쌍의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된 중간 부재(140)와 중간 부재(140)에 피봇 부착된 뼈대 부재(150)를 갖는다. 한 쌍의 기초부 부재(120)는, 유모차 본체(11)에 고정된 한 쌍의 접속 부재(160)에 접속되어 있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접속 부재(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160)는, 대응하는 측에 배치된 암레스트(30)의 후방 부분에 고정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속 부재(160)는, 유모차 본체(11)에의 설치 개소를 이루는 설치부(161)와, 기초부 부재(120)의 접속 개소를 이루는 접속부(162)를 갖고 있다. 접속 부재(160)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부(161)는, 그 전단부가 시트 지지부(40)의 측부 지지 요소(43)와 암레스트(30)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볼트 등에 의해 암레스트(3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설치부(161)는, 그 후단부에 있어서, 제1 링크(31)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160)는, 접속부(162)가 설치부(16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덮개(100)의 기초부 부재(120)의 유모차 본체(11)에의 접속 위치가, 암레스트(30)의 후단부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결과, 기초부 부재(120)가 암레스트(30)의 후단부에 접속되었을 경우와 비교하여, 덮개(100)를 전체적으로 전방에 배치할 수 있고, 덮개(100)로 보다 전방의 영역을 덮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162)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상을 이루고, 후술하는 기초부 부재(120)의 설치부(121)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162)는, 그 폭 방향 외측면에, 설치부(121)와 결합하는 결합 구멍(162a)을 갖고 있다. 접속 부재(160)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접속 부재(160)는, 유모차 본체(11)와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 부재(120)는, 접속 부재(160)에의 접속 개소를 이루는 설치부(121)와, 설치부(121)의 상방에 배치된 기초부 판 형상부(122)를 갖고 있다. 기초부 판 형상부(122)는, 중간 부재(140)가 피봇 부착되는 제1 피봇 부착부(122a)와, 제3 덮개 뼈대(133)가 피봇 부착되는 제2 피봇 부착부(122b)를 갖는다. 기초부 부재(120)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기초부 부재(120)는, 접속 부재(160)와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기초부 부재(120)는, 카트 본체(2)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예를 들어 암레스트(3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설치부(121)는, 접속 부재(160)의 결합 구멍(162a)이 설치된 면과 대면하게 되는 면(즉 폭 방향 외측의 면)에, 혀부(121a)를 갖고 있다. 혀부(121a)에는, 결합 구멍(162a)과 결합하는 결합 돌기(12lb)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돌기(12lb)와 결합 구멍(162a)이 결합됨으로써, 덮개(100)를 접속 부재(160)에 설치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혀부(121a)는, 그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에 걸쳐서,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그 상단부에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100)를 유모차 본체(11)에 접속할 때에는, 혀부(121a)의 상단부에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기초부 부재(120)의 설치부(121)를 접속 부재(160)의 접속부(162) 내로 삽입 할 수 있도록 된다. 이에 의해, 덮개(100)를 접속 부재(16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덮개(100)를 유모차 본체(11)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혀부(121a)의 상단부에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기초부 부재(120)의 결합 돌기(12lb)와 접속 부재(160)의 결합 구멍(162a)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덮개(100)를 접속 부재(16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중간 부재(140)와 대면하게 되는 제1 피봇 부착부(122a)의 기초부 결합면(123)에는, 축부(12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23a)는, 중간 부재(140)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부재(140)는, 축부(123a)의 축선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하여,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상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기초부 부재(120)에 있어서, 축부(123a)는,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기초부 판 형상부(12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부재(140)의 요동 축선(As)은, 폭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피봇 부착부(122b)는, 기초부 판 형상부(12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피봇 부착부(122b)는, 제3 뼈대부로서의 제3 덮개 뼈대(133)의 단부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제2 피봇 부착부(122b)는, 그 하단부에 제3 덮개 뼈대(133)의 수평 방향보다 하방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범위 규제 벽(122c)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제3 덮개 뼈대(133)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 요동 범위 규제 벽(122c)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기초부 부재(120)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3 덮개 뼈대(133)를 파지하여 들어 올림으로써, 덮개(100)의 후방측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3 덮개 뼈대(133)는, 기초부 부재(120)에 회동(요동) 불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3 덮개 뼈대(133)는, 기초부 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덮개 뼈대(133)는, 덮개(100)의 후방측에 있어서, 덮개(100)의 내측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양단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팽창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중간 부재(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 부재(140)는, 기초부 부재(120)와 뼈대 부재(15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141)와, 한 쌍의 연결부(141)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제2 뼈대부로서의 제2 덮개 뼈대(132)를 포함한다. 각 연결부(141)는, 기초부 부재(120)가 피봇 부착되는 판 형상의 제3 피봇 부착부(143)와, 뼈대 부재(150)가 피봇 부착되는 판 형상의 제4 피봇 부착부(144)를 갖는다. 중간 부재(140)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제3 피봇 부착부(143)에는, 기초부 부재(120)의 축부(123a)가 관통하는 베어링 구멍(1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 피봇 부착부(144)에는, 후술하는 뼈대 부재(150)의 축부(155a)가 관통하는 베어링 구멍(1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피봇 부착부(143)와 제4 피봇 부착부(144) 사이에는, 제2 덮개 뼈대(132)의 한쪽 혹은 다른 쪽의 단부가 삽입되어서 당해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부(1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제2 뼈대부로서의 제2 덮개 뼈대(132)와 연결부(141)는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덮개 뼈대(132)는,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대략 덮개(100)의 폭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 중심면을 지난다.
이어서,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여, 뼈대 부재(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뼈대 부재(150)는, 중간 부재(140)의 대응하는 측의 연결부(141)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부(151)와, 한 쌍의 접속부(151)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제1 덮개 뼈대(131)를 포함한다. 각 접속부(151)는, 중간 부재(140)의 대응하는 측의 연결부(141)의 제4 피봇 부착부(144)가 피봇 부착되는 판 형상의 제5 피봇 부착부(152)와, 제1 덮개 뼈대(131)의 한쪽 또는 다른 쪽의 단부가 삽입되어서 당해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부(154)를 포함한다. 접속부(151)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제1 뼈대부로서의 제1 덮개 뼈대(131)와, 접속부(151)는,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덮개 뼈대(131)는,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가드 부재(28)의 측방 영역으로부터 전방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그 양단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팽창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140)와 대면하게 되는 제5 피봇 부착부(152)의 뼈대 부재 피봇 부착면(155)에는, 축부(155a)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55a)는, 중간 부재(140)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151)는, 축부(155a)의 축선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요동 축선(At)을 중심으로 하여, 중간 부재(140)에 대하여 상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접속부(151)에 있어서, 축부(155a)는,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제5 피봇 부착부(15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뼈대 부재(150)와 중간 부재(140)의 상대 요동의 요동 축선(At)은, 폭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요동 축선(As)과 평행하다.
또한, 도시한 예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는, 덮개(100)의 접힘 상태에 있어서, 제1 덮개 뼈대(131)의 중간 부재(140)에 피봇 부착되는 단부와, 제2 덮개 뼈대(132)의 연결부(141)에 접속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덮개 뼈대(131)와 제2 덮개 뼈대(132) 사이에 의류 등이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는, 덮개(100)의 접힘 상태에 있어서, 제3 덮개 뼈대(133)의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되는 단부와 제2 덮개 뼈대(132)의 연결부(141)에 접속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덮개 뼈대(132)와 제3 덮개 뼈대(133) 사이에 의류 등이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중간 부재(140)의 제3 피봇 부착부(143)는, 요동 축선(As)을 따른 일측(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기초부 부재(120)의 기초부 판 형상부(122)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기초부 부재(120)의 요동 축선(As)을 따른 일측을 향하는 기초부 결합면(123)(도 9 참조)이, 중간 부재(140)의 제3 피봇 부착부(142)의 요동 축선(As)을 따른 타측을 향하는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도 10 참조)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초부 결합면(123)과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이 결합함으로써, 제2 덮개 뼈대(132)를 갖는 중간 부재(140)가, 기초부 부재(120)에 대한 복수의 소정의 상대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초부 결합면(123) 및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의 한쪽에, 제1 요철 구조(170)가 형성되고, 또한, 기초부 결합면(123) 및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의 다른 쪽에, 제1 요철 구조(170)와 걸림 가능한 제1 볼록부(171a)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에, 제1 요철 구조(17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요철 구조(170)는,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부(170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오목부(170a)는, 요동 축선(As)과 평행한 방향으로 깊이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2조의 제1 오목부 군이,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제1 오목부 군에는, 6개의 제1 오목부(170a)가,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원주 상에 중심각 15° 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 결합면(123)에, 제1 볼록부(17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볼록부(171a)는, 요동 축선(As)과 평행한 방향으로 기초부 결합면(12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171a)는, 적어도 그 선단이 제1 요철 구조(170)의 제1 오목부(170a)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굵기 및 길이가 결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볼록부(171a)는, 제1 오목부(170a)와 마찬가지로,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원주 상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2조의 제1 볼록부 군이, 요동 축선(As)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제1 볼록부 군에는, 2개의 제1 볼록부(171a)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1 볼록부(171a)는, 제1 오목부(170a)와 동일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 결합면(123)에는, 요동 범위 규제 돌기(17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에는, 요동 범위 규제 벽(173)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 범위 규제 돌기(172)가, 요동 범위 규제 벽(173)에 접촉함으로써, 제2 덮개 뼈대(132)의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상대 요동 가능한 범위가 구획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기초부 결합면(123)과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이 결합함으로써, 제2 덮개 뼈대(132)를 갖는 중간 부재(140)가, 기초부 부재(120)에 대한 복수의 소정의 상대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기초부 결합면(123)과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의 결합에 의해, 중간 부재(140)의 기초부 부재(12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발생한다. 단, 이 규제력보다도 큰 힘으로 중간 부재(140)를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요동시키려고 하면, 기초부 결합면(123)과 제3 피봇 부착부 결합면(148)의 결합이 탄성변형에 의해 해제되어, 중간 부재(140)를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140)를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제2 뼈대 부재(132)의 연결부(141)에의 접속 위치를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제1 덮개 뼈대(131)를 포함하는 뼈대 부재(150)의 중간 부재(140)에의 피봇 부착 위치도,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뼈대 부재(132)의 연결부(141)에의 접속 위치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심이,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뼈대 부재(150)의 중간 부재(140)에의 피봇 부착 위치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덮개 뼈대(131)의 전단부, 즉 덮개(100)의 전단부가, 뼈대 부재(150)가 기초부 부재(120)에 직접 피봇 부착되었을 경우와 비교하여,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뼈대 부재(150)의 제5 피봇 부착부(152)는, 요동 축선(At)을 따른 타측(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부터, 중간 부재(140)의 제4 피봇 부착부(144)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 부재(140)의 제4 피봇 부착부(144)의 요동 축선(At)을 따른 타측을 향하는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도 10 참조)이, 뼈대 부재(150)의 접속부(151)의 요동 축선(At)을 따른 일측을 향하는 뼈대 부재 결합면(157)(도 11 참조)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과 뼈대 부재 결합면(157)이 결합함으로써, 제1 덮개 뼈대(131)를 갖는 뼈대 부재(150)가, 중간 부재(140)에 대한 복수의 소정의 상대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 및 뼈대 부재 결합면(157)의 한쪽에, 제2 요철 구조(180)가 형성되고, 또한,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 및 뼈대 부재 결합면(157)의 다른 쪽에, 제1 요철 구조(180)와 걸림 가능한 제2 볼록부(181a)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에, 제2 요철 구조(18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요철 구조(180)는,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180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오목부(180a)는, 요동 축선(At)과 평행한 방향으로 깊이를 갖고 있다. 복수의 제2 오목부(180a)는, 요동 축선(At)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24개의 제2 오목부(180a)가, 요동 축선(At)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 중심각 15° 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뼈대 부재 결합면(157)에, 제2 볼록부(181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볼록부(181a)는, 요동 축선(At)과 평행한 방향으로 뼈대 부재 결합면(157)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볼록부(181a)는, 적어도 그 선단이 제2 요철 구조(180)의 제2 오목부(180a)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굵기 및 길이가 결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볼록부(181a)는, 제2 오목부(180a)와 마찬가지로, 요동 축선(At)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원주 상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2조의 제2 볼록부 군이, 요동 축선(At)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볼록부 군에는, 2개의 제2 볼록부(181a)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볼록부(181a)는, 제2 오목부(180a)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뼈대 부재 결합면(157)에는, 요동 범위 규제 돌기(18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에는, 요동 범위 규제 벽(183)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 범위 규제 돌기(182)가, 요동 범위 규제 벽(183)에 접촉함으로써, 제1 덮개 뼈대(131)의 중간 부재(140)에 대하여 상대 요동 가능한 범위가 구획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과 뼈대 부재 결합면(157)이 결합함으로써, 제1 덮개 뼈대(131)를 갖는 뼈대 부재(150)가, 중간 부재(140)에 대한 복수의 소정의 상대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과 뼈대 부재 결합면(157)의 결합에 의해, 뼈대 부재(150)의 중간 부재(140)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력이 발생한다. 단, 이 규제력보다도 큰 힘으로 뼈대 부재(150)를 중간 부재(140)에 대하여 요동시키려고 하면, 제4 피봇 부착부 결합면(149)과 뼈대 부재 결합면(157)의 결합이 탄성 변형에 의해 해제되어, 뼈대 부재(150)를 중간 부재(140)에 대하여 요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덮개의 전개 조작 및 접힘 조작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개 조작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0)의 접힘 상태에 있어서, 제1 덮개 뼈대(131) 및 제2 덮개 뼈대(132)는, 후방으로 요동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덮개 뼈대(131) 및 제2 덮개 뼈대(132)가, 각각의 요동 가능 범위 내에 있어서, 제3 덮개 뼈대(133)에 가장 접근되어 있다. 이때, 연결부(141)의 제4 피봇 부착부(144)는, 제3 피봇 부착부(143)와 대략 상하 방향으로 정렬하고, 기초부 부재(1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덮개 뼈대(131)를 포함하는 뼈대 부재(150)의 양단부는, 기초부 부재(1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덮개(100)의 측면에서 볼 때, 뼈대 부재(150)의 제1 덮개 뼈대(131)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3 피봇 부착부(143) 및 제4 피봇 부착부(144)가 배열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있다.
이어서, 도 12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100)의 전단부를 파지하여 제1 덮개 뼈대(131)를 전방으로(도 12a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0)가 전개된다. 이때,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덮개 뼈대(131)를 갖는 뼈대 부재(150)가 축부(155a) 둘레를 중간 부재(140)에 대하여 회동(요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덮개 뼈대(131)가, 제2 덮개 뼈대(132)로부터 이격되어, 덮개 천(101)의 전방 부분(102)이 펼쳐진다.
또한, 제1 덮개 뼈대(131)를 갖는 뼈대 부재(150)에 전방으로 요동시키는 힘이 가해짐으로써, 중간 부재(140)에도 전방으로 요동시키는 힘이 가해져, 중간 부재(140)가 축부(123a) 둘레를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회동(요동)한다. 이에 의해, 제2 덮개 뼈대(132)가 제3 덮개 뼈대(133)로부터 이격되어, 덮개 천(101)의 후방 부분(103)이 펼쳐진다. 이때, 뼈대 부재(150)가 피봇 부착되는 중간 부재(140)의 연결부(141)는, 축부(123a)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이에 의해, 뼈대 부재(150)가 피봇 부착되는 제4 피봇 부착부(144)는,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덮개 뼈대(131)의 양단부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덮개 뼈대(132)의 연결부(141)에의 접속 위치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도 12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제1 덮개 뼈대(131)를 전방으로(도 12a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덮개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00)가 더욱 전개된다. 제1 덮개 뼈대(131)를 갖는 뼈대 부재(150)가 중간 부재(140)에 대하여 더욱 요동한다. 이때,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덮개 뼈대(131)를 갖는 뼈대 부재(150)가 축부(155a) 둘레를 중간 부재(140)에 대하여 더욱 회동(요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덮개 뼈대(131)가, 제2 덮개 뼈대(132)로부터 더욱 이격되어, 덮개 천(101)의 전방 부분(102)이 더욱 펼쳐진다.
또한, 제1 덮개 뼈대(131)를 갖는 뼈대 부재(150)에 전방으로 요동시키는 힘이 가해짐으로써, 중간 부재(140)에도 전방으로 요동시키는 힘이 가해져, 중간 부재(140)가 축부(123a)의 둘레를 기초부 부재(120)에 대하여 더욱 회동(요동)한다. 이에 의해, 제2 덮개 뼈대(132)가 제3 덮개 뼈대(133)로부터 더욱 이격되어, 덮개 천(101)의 후방 부분(103)이 더욱 펼쳐진다. 이때, 뼈대 부재(150)가 피봇 부착되는 연결부(141)는, 축부(123a)를 중심으로 하여 더욱 전방으로 기울고, 뼈대 부재(150)가 피봇 부착되는 제4 피봇 부착부(144)는,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더욱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덮개 뼈대(131)의 양단부도, 더욱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덮개 뼈대(132)의 연결부(141)에의 접속 위치도, 더욱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뼈대 부재(150)가, 요동 범위 규제 벽(183)과 요동 범위 규제 돌기(182)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중간 부재(140)에 대한 상대 요동 가능한 범위까지 요동하고, 또한, 중간 부재(140)가, 요동 범위 규제 벽(173)과 요동 범위 규제 돌기(172)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기초부 부재(120)에 대한 상대 요동 가능한 범위까지 요동하면, 덮개(100)는 완전 전개 상태로 된다(도 12c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덮개 뼈대(131)는 전방으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제2 덮개 뼈대(132)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덮개(100)의 폭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 중심면 상에 위치하는 제2 덮개 뼈대(132)는,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덮개 뼈대(131)의 양단부는, 제2 덮개 뼈대(132)보다도 더욱 전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종래의 덮개에 있어서는, 통상, 덮개 뼈대가 암레스트의 후단부 혹은 그 근방(따라서 카트 본체의 후방측)에 설치된 기초부 부재에 직접 피봇 부착되어 있었다. 따라서,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폭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 중심면은, 암레스트의 후단부 혹은 그 근방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덮개의 선단을 규정하는 덮개 뼈대는, 암레스트의 후단부 혹은 그 근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덮개에서는, 시트 지지부의 전단부까지 덮는 것은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덮개(100)는,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덮개(100)의 전단부를 규정하는 제1 덮개 뼈대(131)의 양단부가,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덮개(100)는, 시트 지지부(40)의 전단부까지 덮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덮개(100)는,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덮개(100)의 전후 방향 중심면이,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시트(90)에 착석한 영유아가 옆으로 누워 있어도 일어서 있어도, 덮개 천(101)과 영유아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영유아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전개 상태에 있는 덮개(100)에 있어서, 전단부 부분(104)은, 제1 덮개 뼈대(131)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되어, 시트 지지부(40)의 전방을 덮고 있다. 또한, 전단부는, 시트(90)의 전방측 영역의 측방을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단부 부분(104)의 측부 테두리부(따라서 덮개(100)의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104b)는, 수평 방향보다도 하향이고 전방으로, 암레스트(30)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편, 덮개(100)의 접힘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전개 조작과 반대로 조작을 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덮개(100)는, 카트 본체(2)에 사용되는 덮개(100)이며, 덮개 천(101)과,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110)를 구비하고, 지지 장치(110)는, 카트 본체(2)에 접속되는 기초부 부재(120)와,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된 중간 부재(140)와, 중간 부재(140)에 피봇 부착되고,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1 뼈대부(131)를 포함하는 뼈대 부재(150)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덮개(100)에 있어서,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110)의 뼈대 부재(150)는, 기초부 부재(120)에 직접 피봇 부착되어 있지 않고,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된 중간 부재(140)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장치(110)에서는, 중간 부재(140)를 전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덮개(100)의 전단부를 규정하는 제1 뼈대부(131)의 양단부를,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덮개(100)는, 보다 전방의 영역까지 덮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간 부재(140)는, 기초부 부재(120) 및 뼈대 부재(150)에 피봇 부착된 연결부(141)와, 연결부(141)로부터 연장된 제2 뼈대부(132)를 포함하고, 제2 뼈대부(132)는,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중간 부재(140)의 제2 뼈대부(132)가 연장되는 위치를, 중간 부재(140)를 전방으로 요동 시킴으로써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덮개(10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을 기초부 부재(120)보다도 전방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90)에 착석한 영유아가 옆으로 누워 있어도 일어서 있어도, 덮개 천(101)과 영유아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영유아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100)는, 접힘 상태에 있어서, 뼈대 부재(150)의 중간 부재(140)에 피봇 부착되는 단부와, 제2 뼈대부(132)의 연결부(141)에 접속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경우, 뼈대 부재(150)와 제2 뼈대부(132) 사이에 의류 등이 끼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는,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되고,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3 뼈대부(133)를 포함하는 다른 뼈대 부재를 더 갖는다. 이 경우, 덮개(100)의 후방측에 있어서, 덮개(100)의 내측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덮개(100)의 후방측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는,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되고, 덮개 천(101)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3 뼈대부(133)를 포함하는 다른 뼈대 부재를 더 갖는다. 그리고, 접힘 상태에 있어서, 다른 뼈대 부재(133)의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되는 단부와, 제2 뼈대부(132)의 상기 연결부(141)에 접속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경우, 기초부 부재(120)에 피봇 부착되는 뼈대 부재(133)와 중간 부재(140)의 제2 뼈대부(132) 사이에 의류 등이 끼이게 되는 것 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트(1)는, 시트 지지부(40)를 갖는 카트 본체(2)와, 카트 본체(2)에 접속된 상술한 덮개(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덮개(100)의 전단부가 시트 지지부(40)의 전단부(100a)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카트(1)에 있어서, 덮개(100)는, 시트 지지부(40)의 전단부까지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 지지부(40)의 전방측 영역에서도, 상방으로부터의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100)는, 그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100)의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104b)가 수평 방향보다 하향이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시트 지지부(40)의 전방측 영역에 있어서, 측방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비바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트 본체(2)는, 또한, 시트 지지부(40)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암레스트(30)를 갖고,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덮개(100)의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104b)가 암레스트(30)를 따르고 있다. 이 경우, 덮개(100)의 전방측에 있어서, 덮개(100)와 카트 본체(2)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시트 지지부(40)의 전방측 영역에 있어서, 측방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비바람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 천(101)은, 덮개(100)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뼈대 부재(150)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된 전단부 부분(104)을 갖고 있으며, 전단부 부분(104)은, 판 부재(104a)를 포함한다. 이 경우, 시트 지지부(40)의 전방으로부터의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덮개 천(101)의 전단부 부분(104)이, 바람에 의해 넘겨지거나, 덮개(100)의 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하였으나,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원 발명의 덮개를 카트에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카트 이외의 물품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유아용 의자, 영유아용 침대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카트 본체에 사용되는 덮개이며,
    덮개 천과,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카트 본체에 접속되는 기초부 부재와,
    상기 기초부 부재의 제1 피봇 부착부에 피봇 부착된 중간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에 피봇 부착되고,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1 뼈대부를 포함하는 뼈대 부재와,
    상기 기초부 부재의 상기 제1 피봇 부착부와는 다른 제2 피봇 부착부에 피봇 부착되고,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3 뼈대부를 포함하는 다른 뼈대 부재를 갖는,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기초부 부재 및 상기 제1 뼈대부를 포함하는 상기 뼈대 부재에 피봇 부착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된 제2 뼈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뼈대부는,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접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뼈대부를 포함하는 상기 뼈대 부재의 상기 중간 부재에 피봇 부착되는 단부와, 상기 제2 뼈대부의 상기 연결부에 접속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덮개.
  4. 제2항에 있어서,
    접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른 뼈대 부재의 상기 기초부 부재에 피봇 부착되는 단부와, 상기 제2 뼈대부의 상기 연결부에 접속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덮개.
  5. 시트 지지부를 갖는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접속된 제1항에 기재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단부가 상기 시트 지지부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는, 또한, 상기 시트 지지부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암레스트를 갖고,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가 상기 암레스트를 따르고 있는, 카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천은,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뼈대 부재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된 전단부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단부 부분은, 판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
  8. 시트 지지부를 갖는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접속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덮개 천과,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카트 본체에 접속되는 기초부 부재와, 상기 기초부 부재에 피봇 부착된 중간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에 피봇 부착되고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1 뼈대부를 포함하는 뼈대 부재를 갖고,
    상기 카트 본체는, 또한, 상기 시트 지지부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암레스트를 갖고,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방측 측부 테두리부가 상기 암레스트를 따르고 있는, 카트.
  9. 시트 지지부를 갖는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접속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덮개 천과,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카트 본체에 접속되는 기초부 부재와, 상기 기초부 부재에 피봇 부착된 중간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에 피봇 부착되고 상기 덮개 천을 지지하는 덮개 뼈대로서 기능하는 제1 뼈대부를 포함하는 뼈대 부재를 갖고,
    상기 덮개 천은, 상기 덮개의 완전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뼈대 부재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된 전단부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단부 부분은, 판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
  10. 제5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제1 뼈대부를 포함하는 상기 뼈대 부재가 피봇 부착되는 피봇 부착부를 갖고,
    상기 제1 뼈대부를 포함하는 상기 뼈대 부재가 피봇 부착되는 상기 피봇 부착부는, 상기 덮개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 부재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카트.



KR1020180101544A 2017-08-30 2018-08-28 덮개 및 카트 KR102309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65927 2017-08-30
JP2017165927A JP6858404B2 (ja) 2017-08-30 2017-08-30 幌およびカ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794A KR20190024794A (ko) 2019-03-08
KR102309259B1 true KR102309259B1 (ko) 2021-10-06

Family

ID=6551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544A KR102309259B1 (ko) 2017-08-30 2018-08-28 덮개 및 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58404B2 (ko)
KR (1) KR102309259B1 (ko)
CN (1) CN109421782B (ko)
TW (1) TWI7340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8526B2 (ja) * 2020-02-03 2024-02-06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乳母車
JP7499037B2 (ja) * 2020-02-03 2024-06-13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乳母車
CN114435454A (zh) * 2020-10-30 2022-05-06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顶篷调整机构及婴儿载具
CN116897123A (zh) * 2021-03-23 2023-10-17 康贝株式会社 婴儿车
CN114771632B (zh) * 2022-04-07 2024-02-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副篷组件及儿童推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8368A1 (en) 2004-08-17 2006-02-23 Stephen Hu Sunshade device for stroller
CN201670256U (zh) 2010-04-23 2010-12-15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顶篷
JP2012192755A (ja) 2011-03-15 2012-10-11 Richell Corp ベビーカーの幌、該幌が取り付けられたベビーカー
JP2016064679A (ja) 2014-09-22 2016-04-28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3684A1 (de) * 1982-06-25 1983-12-29 Erhard 8620 Lichtenfels Bräutigam Verdeck fuer kinder- oder puppenwagen oder dergleichen
US5687985A (en) * 1994-11-04 1997-11-1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reclining and canopy tensioning mechanisms thereof
GB9511505D0 (en) * 1995-06-07 1995-08-02 Kuester Stephen M Personal protection
CN2633698Y (zh) * 2003-06-19 2004-08-18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
TW200613181A (en) * 2004-10-19 2006-05-01 Combi Corp Stroller hood
CN201201634Y (zh) * 2008-04-30 2009-03-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的篷插座结构
CN201597616U (zh) * 2009-11-27 2010-10-0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童车
CN103723181B (zh) * 2012-10-15 2016-12-2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顶篷装置、婴幼儿载具及其顶篷连接机构
CN103407480B (zh) * 2013-07-08 2016-07-06 慈溪市宗汉弘盛塑料制品厂 一种婴儿手推车
JP6771859B2 (ja) * 2015-02-17 2020-10-21 コンビ株式会社 幌、育児器具、乳母車、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ペット用カ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8368A1 (en) 2004-08-17 2006-02-23 Stephen Hu Sunshade device for stroller
CN201670256U (zh) 2010-04-23 2010-12-15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顶篷
JP2012192755A (ja) 2011-03-15 2012-10-11 Richell Corp ベビーカーの幌、該幌が取り付けられたベビーカー
JP2016064679A (ja) 2014-09-22 2016-04-28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43231A (ja) 2019-03-22
CN109421782A (zh) 2019-03-05
CN109421782B (zh) 2022-12-30
TWI734025B (zh) 2021-07-21
KR20190024794A (ko) 2019-03-08
TW201912481A (zh) 2019-04-01
JP6858404B2 (ja)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259B1 (ko) 덮개 및 카트
JP5410313B2 (ja)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JP5232437B2 (ja) 幌付折畳式乳母車
JP5410312B2 (ja)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KR102037861B1 (ko) 유모차 및 시트 유닛
KR102246595B1 (ko)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KR20070028220A (ko) 접이식 좌석 운반 차체
KR20130050248A (ko) 베이비 카
JP6242614B2 (ja) 乳母車
JP4841879B2 (ja) ベビーカー
JP2007098996A (ja)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JP2018043710A (ja) ベビーカー
KR102488863B1 (ko)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JP2013244909A (ja)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KR102246596B1 (ko)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JP6980302B2 (ja) 乳母車
JP4738919B2 (ja) ベビーカー
JP6957051B2 (ja) 乳母車
JP6169426B2 (ja) 乳母車及びシート支持ユニット
TWI752337B (zh) 嬰兒車
CN107697141B (zh) 手推车
KR102213626B1 (ko) 유모차
JP4489462B2 (ja) ベビーカー
JP6990954B1 (ja) 乳母車
TWI755566B (zh) 嬰兒車及保持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