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595B1 -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595B1
KR102246595B1 KR1020140083183A KR20140083183A KR102246595B1 KR 102246595 B1 KR102246595 B1 KR 102246595B1 KR 1020140083183 A KR1020140083183 A KR 1020140083183A KR 20140083183 A KR20140083183 A KR 20140083183A KR 102246595 B1 KR102246595 B1 KR 10224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heel
handle
baby carriage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468A (ko
Inventor
슈이치로 우사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60B33/02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remotely, e.g. by cable or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Abstract

차륜 유지 유닛(100)은, 차륜(101)을 유지하는 회전체(110)와,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와,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체(110)의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 부재(130)를 포함한다. 고정체(105)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방향 일측에 개구된 수용부(106)를 갖는다. 로크 부재(130)는, 수용부(106)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며, 일방향에 있어서의 그 일측단이 수용부로부터 돌출해서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한다. 수용부 내의 로크 부재보다도 일방향 일측에 압축 스프링(103)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는, 압축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받침면(131a)을 포함하며, 스프링 받침면보다도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돌출하여 압축 스프링의 측방에 위치하는 스프링측 연장부(135)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
본 발명은,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와,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를 갖는 차륜 유지 유닛 및 이 차륜 유지 유닛을 가진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모차의 전륜(前輪)을 유지하는 차륜 유지 유닛으로서,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와,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를 갖는 소위 캐스터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차륜 유지 유닛에는, US5,215,320B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로크 부재가, 전형적으로는 고정체의 수용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의 슬라이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체의 수용부와 로크 부재 사이에는 비교적 큰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핸들이, 수직축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와, 측면 보기에 있어서 수직축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유모차의 조작성을 고려하면, 전각 및 후각 모두에 소위 캐스터로서의 차륜 유지 유닛이 이용되며, 또한 진행 방향의 전방측의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의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이 가능해지고, 진행 방향의 후방측의 다리에 부착된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정체의 수용부와 로크 부재 사이의 간극이 크면, 로크 부재의 동작에 래틀(rattle)이 발생하여, 로크 부재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어진다. 또한, 핸들의 위치에 따라서 로크 부재를 동작시키는 유모차에서는, 로크 부재의 동작을 빈번하게 행하기 때문에, 특히 핸들의 위치에 따라서 로크 부재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키는 유모차에서는, 비수동으로의 로크 부재의 원활한 동작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정체의 수용부와 로크 부재 사이의 간극을 비교적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문제는 보다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로크 부재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은,
차륜과,
전(前)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일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회전체에 대면하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로크 부재로서,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그 일측단이 수용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회전체와 걸어 맞춰져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서 압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받침면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압축 스프링의 측방에 위치하는 스프링측 연장부를 갖는, 유모차용의 차륜 유지 유닛.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측 연장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를 가지며, 적어도 세 방향으로부터 상기 압축 스프링을 둘러싸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스프링 받침면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스프링측 돌출부와 접속된 기부와, 상기 기부와 접속되며 상기 기부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연장된 차륜측 연장부를 갖고, 차륜측 연장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륜측 연장부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선단 테이퍼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상기 로크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차륜측 연장부를 수용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바닥 테이퍼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전각 및 후각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과,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고정체가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로 혹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핸들의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에 따라 동작하는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환 부재의 동작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을 관통해서 연장되는 와이어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재의 한쪽의 단부가, 상기 스프링 받침면을 형성하는 상기 로크 부재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부재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시트의 등받이부가 세워지고 또한 핸들이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시트의 등받이부가 뉘어지고 또한 핸들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시트 지지 유닛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가 세워지고 또한 핸들이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트가 분리된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시트 지지 유닛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가 뉘어지고 또한 핸들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트가 분리된 도 2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유모차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유모차의 측면도.
도 7은 시트가 분리된 도 1의 유모차를 절첩(折疊)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시트 지지 유닛을 중심으로 한 유모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상태에서의 유모차의 측단면도.
도 9는 시트 지지 유닛을 중심으로 한 유모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트 지지 유닛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가 뉘어진 상태에서의 유모차의 측단면도.
도 10은 시트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시트 지지 유닛 및 본체 프레임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시트 지지 유닛 및 본체 프레임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시트 지지 유닛 및 본체 프레임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핸들과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5는 핸들과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한쪽의 차륜을 분리한 상태에서 차륜 유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차륜을 분리한 상태에서 차륜 유지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4는 차륜 유지 유닛의 제 2 탄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도 23의 ⅩⅩⅢ-ⅩⅩⅢ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의 단면도로서, 로크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도 25와 마찬가지의 단면도로서, 로크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로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시트를 펼친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9는 도 8의 시트 지지 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0은 도 9의 시트 지지 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1은 바구니에 조립된 바닥 패널 및 후측 패널을 전방 위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는 바구니에 조립된 바닥 패널 및 후측 패널을 후방 아래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모차의 개략》
도 1∼도 32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시된 유모차(10)는, 본체 프레임(15) 및 본체 프레임(15)에 지지된 시트 지지 유닛(40)을 갖는 유모차 본체(11)와, 시트 지지 유닛(40)에 장착된 시트(150)와, 유모차 본체(11)에 접속된 핸들(70)과, 본체 프레임(15)의 전각(前脚)(20) 및 후각(後脚)(21)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과, 유모차 본체(11)에 지지된 바구니(90)를 갖고 있다. 시트(150)는 쿠션성을 가진 기지(旣知)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 지지 유닛(4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시트(150) 상에 유유아가 앉거나 눕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덮개 등의 다른 부재가 유모차(10)에 더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20), 후각(21) 및 핸들(70)이 서로 접근하도록 해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모차 본체(11)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는 절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150)는 유연성을 가진 직물재 등을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70)은 유모차 본체(11)에 접속되며 또한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70)은,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 후방 위치)와,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난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 전방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보호자)가 유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핸들(70)을 파지하고 유모차(10)를 조종하여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 및 조작자가 유유아에 대면하는 전각측의 위치로부터 핸들(70)을 파지하고 유모차를 조종하여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각(20) 및 후각(21) 중 적어도 한쪽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은,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110)와, 차륜(101)의 회전 축선(Ar)과 비평행인 축선(「캐스터 축선(Ac)」이라고도 부름)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를 가진 소위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모차(10)에는,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를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기구(88)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각(20) 및 후각(21)의 모두에 캐스터로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설치되며,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진행 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진행 방향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규제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도 4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을 잇는 방향, 및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를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도 4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측 및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측」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동시에 유모차(10)가 놓인 면(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가 놓여 있는 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횡 방향」 및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디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우」 및 「좌」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횡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 및 「좌」인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유모차 본체 및 핸들》
유모차 본체(11)는, 전각(20) 및 후각(21)을 갖는 본체 프레임(15)과, 축 부재(13)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15)에 접속된 시트 지지 유닛(40)을 갖고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은 축 부재(13)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15)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절첩 동작 및 전개 동작에 수반하여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상대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회동 중심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에 일치해 있으며,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유모차(10)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은 축 부재(13)를 통하여 유모차 본체(11)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회동 중심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에 일치해 있고, 따라서 유모차(10)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우선, 유모차 본체(11)의 시트 지지 유닛(40)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11)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후, 핸들(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 지지 유닛(40)〉
도 2, 도 3, 도 8∼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 유닛(40)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엉덩이부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등에 후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를 포함하고 있다.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하여 요동 가능(경도(傾倒)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리클라이닝(reclining)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리클라이닝 각도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배면을 통과해서 본체 프레임(15)에 부착된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도시하지 않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는, 그 후방 부분에 폭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후방 접속부(54)를 갖고 있다. 한편,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그 하방 부분에 폭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하방 접속부(62)를 갖고 있다. 좌측의 후방 접속부(54)는 좌측의 하방 접속부(62)와 걸어 맞춰져 있고, 우측의 후방 접속부(54)는 우측의 하방 접속부(62)와 걸어 맞춰져 있다.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의 걸어 맞춤에 의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한 쌍의 후방 접속부(54)는 한 쌍의 하방 접속부(62)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해 있지만, 이 예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한 쌍의 하방 접속부(62)가 한 쌍의 후방 접속부(54)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에는, 각각 축 부재(13)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50a), 관통 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도 1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축 부재(13)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배치되어 있다. 각 축 부재(13)는, 대응하는 측이 되는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의 관통 구멍(50a), 관통 구멍(60a)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하방 접속부(62)에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설치되며 또한 축선 방향(da)으로 돌출하는 보스(제 1 보스)(62a)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62a)는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외표면)을 갖고 있다. 한편, 후방 접속부(54)에는 보스(62a)의 보스면(62a1)을 받치는 보스 받침(54a)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54a)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 받침(54a1)을 갖고 있다.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가 상대 회동할 때, 보스(62a)의 보스면(62a1)과 보스 받침(54a)의 보스 받침면(54a1)은 상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보스(62a)와 보스 받침(54a)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진다. 특히, 보스(62a)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한 요동 축선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과 일치한다. 또한,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의 한쪽에 설치된 각 보스(62a)가,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의 다른 쪽에 설치된 대응하는 측의 보스 받침(54a)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축 부재(13)에 관통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도,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및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상대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서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예와는 달리 후방 접속부(54)에 보스가 설치되고 하방 접속부(62)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하방 접속부(62)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62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62a)는 축 부재(13)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60a)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보스(62a)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을 고리 형상으로 주회(周回)하고 있다. 한편,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의 후방 접속부(54)에 보스(62a)를 받치는 보스 받침(54a)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54a)은 후방 접속부(54)에 형성된 축 부재(13)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50a)의 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는, 후방 접속부(54)의 관통 구멍(50a)은 하방 접속부(62)의 보스(62a)를 개재하고 축 부재(13)를 수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형성된 관통 구멍(60a)의 축선 방향(da)을 따른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 유닛(40)의 축 부재(13)에 대한 흔들림을 억제해서, 축 부재(13)를 통한 시트 지지 유닛(40)과 본체 프레임(15)의 상대 요동을 원활화할 수 있다.
이하,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및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더 상세히 기술한다.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과,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이 이루는 U자의 단부(端部)(51a)에 각각 부착된 프레임 선단 부재(53)와,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에 팽팽하게 설치된 베이스 시트(55)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55)는 도 10에만 나타내고 있다.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은,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와,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부(52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는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부(52b)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의 전측 단부를 잇도록 연장되어 있다.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은, 단일의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파이프를 구부리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일체물의 부품(부재)으로 할 수 있다. 프레임 선단 부재(53)는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 내에서 연장되는 부품(부재)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를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선단 부재(53)가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와의 접합부로 되는 후방 접속부(54)를 형성하고 있다.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에 팽팽한 상태로 지지된 베이스 시트(55)는, 예를 들면 직물재나 매쉬재로 형성된 시트 형상의 부재이다. 도시된 베이스 시트(55)는,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의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 및 연결 프레임부(52b)에 의해 평면 보기에 있어서 세 방향으로부터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는 메인 시트부(56)와, 메인 시트부(56)에 접속 또는 부착된 통 형상부(57) 및 벨트부(58)를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부(57)는 메인 시트부(56)의 전단연(前端緣)에 접속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벨트부(58)는 그 양단에 있어서 메인 시트부(56)와 접속되어 있고, 메인 시트부(56)와의 사이에 지지 관통 구멍(55a)을 형성하고 있다. 메인 시트부(56)의 후단연(後端緣)은, 다음에 설명하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하방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의 연결 프레임부(52b)가 통 형상부(57) 내를 통과하며 또한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가 지지 관통 구멍(55a)을 통과하도록 해서, 베이스 시트(55)가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에 장착되며, 베이스 시트(55)가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양방향으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부(61)를 갖고 있다.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와의 접속부로 되는 한 쌍의 하방 접속부(62)가 메인 플레이트부(6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메인 플레이트부(61)에는 통기용의 구멍이나 통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핀(fin)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도 3 및 도 8∼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 유닛(40)은,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접속되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상방(上方) 지지 요소(41)와, 상방 지지 요소(41) 및 본체 프레임(15)에 각각 접속된 측방 지지 요소(45)를 갖고 있다. 측방 지지 요소(45)는 상방 지지 요소(41)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방 지지 요소(41)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2개의 하방 연결부(41b)를 통하여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방 지지 요소(41)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측방 연결부(41a)가,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는 측방 지지 요소(45)의 후상방(後上方) 연결부(45b)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측방 지지 요소(45)는 그 전하방(前下方) 연결부(45a)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5)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방 지지 요소(45)의 전하방 연결부(45a)는 본체 프레임(15)의 후술하는 제 2 링크 요소(24)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단, 도시된 예에 한하지 않으며, 일례로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전하방 연결부(45a)가, 제 2 링크 요소(24)가 아닌 본체 프레임(15)의 다른 부위,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등받이부 지지 요소(60) 등에 피벗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2∼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한 요동에 수반하여, 측방 지지 요소(45)는 전하방 연결부(45a)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방 지지 요소(45)는, 시트(150)가 리클라이닝되어 있을 때에도 그렇지 않을 때에도, 시트(150) 상의 유유아의 측방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방 지지 요소(45)는 링크로서 기능하며,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한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요동에 따라서,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상방 지지 요소(41)를 요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젖혀진 상태에 있어서 상방 지지 요소(41)가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세워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 유닛(40) 상에서 누운 상태의 유유아를, 한 쌍의 측방 지지 요소(45)에 의하여 측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상방 지지 요소(41)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 상방 지지 요소(41)가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와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시트 지지 유닛(40) 상에 앉은 상태의 유유아를, 한 쌍의 측방 지지 요소(45)에 의하여 측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상방 지지 요소(41)가 헤드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의 프레임 선단 부재(53)의 사이에 연결 프레임 요소(6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시트(55)와 연결 프레임 요소(68) 사이에서 긴장(緊張)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연장되도록 하고, 이 긴장 부재에 의하여 베이스 시트(55)를 팽팽한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결 프레임 요소(68)에 의하면, 시트 지지 유닛(40)의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재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 요소(68)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
다음으로, 전술한 시트 지지 유닛(40)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3∼7 및 도 11∼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5)은, 좌우의 전각(20) 및 좌우의 후각(21)과, 대응하는 측의 전각(20) 및 후각(21)과 접속된 제 1 링크 요소(22)와, 대응하는 측의 제 1 링크 요소(22)와 접속된 제 2 링크 요소(24)와, 대응하는 측의 전각(20)에 접속된 좌우의 전각 지지 요소(32)와, 대응하는 측의 후각(21)에 접속된 제 3 링크 요소(28)를 갖고 있다. 전각(20) 및 후각(21)은 각각 그 상방 부분에 있어서 제 1 링크 요소(22)와 접속되며 또한 제 1 링크 요소(2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링크 요소(22)는 그 후방 부분에 있어서 제 2 링크 요소(24)와 접속되며 또한 제 2 링크 요소(24)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1 링크 요소(22)는 암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제 2 링크 요소(24)는 그 하방 부분에 있어서 제 3 링크 요소(28)와 접속되며 또한 제 3 링크 요소(28)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지지 유닛(40)을 관통하는 축 부재(13)에 의하여, 제 2 링크 요소(24) 및 제 3 링크 요소(28)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축 부재(13)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 2 링크 요소(24) 및 제 3 링크 요소(28)는 시트 지지 유닛(40)과도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15)의 제 2 링크 요소(24), 제 3 링크 요소(28),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및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링크 요소(24)는, 그 상방 부분에 있어서 제 1 링크 요소(22)에 접속된 제 2 링크 본체(25)와, 제 2 링크 본체(25)의 하방 단부에 부착된 제 2 링크 선단 부재(26)를 갖고 있다. 축 부재(13)는, 제 2 링크 본체(25) 중 제 2 링크 선단 부재(26)가 덮고 있는 하방 부분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링크 본체(25) 및 제 2 링크 선단 부재(26)는 축 부재(13)가 통과해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25a, 2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3 링크 요소(28)는 그 하방 부분에 있어서 후각(21)에 접속되며 또한 후각(21)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3 링크 요소(28)는, 그 하방 부분에 있어서 후각(21)에 접속된 제 3 링크 본체(29)와, 제 3 링크 본체(29)의 상방 단부에 부착된 제 3 링크 선단 부재(30)를 갖고 있다. 축 부재(13)는 제 3 링크 요소(28) 중 제 3 링크 선단 부재(30)가 덮고 있는 상방 부분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링크 본체(29) 및 제 3 링크 선단 부재(30)는 축 부재(13)가 통과해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29a, 3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 부재(13)를 통하여 시트 지지 유닛(40)과 접속된 본체 프레임(15)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설치되며 또한 축선 방향(da)으로 돌출하는 제 2 보스(30b)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30b)는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외표면)을 갖고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에, 제 2 보스(30b)의 보스면(30b1)을 받치는 제 2 보스 받침(62b)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62b)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 받침(62b1)을 갖고 있다. 본체 프레임(15) 및 시트 지지 유닛(40)이 상대 회동할 때, 제 2 보스(30b)의 보스면(30b1)과 제 2 보스 받침(62b)의 보스 받침(62b1)은 상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제 2 보스(30b)와 제 2 보스 받침(62b)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축 부재(13)에 의존하지 않고도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해서 시트 지지 유닛(40) 및 본체 프레임(15)이 상대 회동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30b) 및 보스 받침(62b)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보스(30b)가 보스 받침(62b)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축 부재(13)에 관통되기 전의 조립 시에 시트 지지 유닛(40) 및 본체 프레임(15)을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와는 달리 시트 지지 유닛(40)에 보스가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15)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축 부재(13)는, 제 2 링크 요소(24), 제 3 링크 요소(28) 및 시트 지지 유닛(40)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이 순서로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제 3 링크 요소(28)의 제 3 링크 선단 부재(30)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30b)가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보스(30b)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을 고리 형상으로 주회하고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하방 접속부(62)에, 보스(30b)를 받치는 보스 받침(62b)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62b)은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개구된 오목부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각 지지 요소(32)는, 그 하방 부분이 전각(20)에 접속되며 또한 전각(2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각 지지 요소(32)는 그 상방 부분에 있어서 시트 지지 유닛(40)과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전각 지지 요소(32)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고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전각 지지 요소(32)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를 이루는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의 대응하는 측의 측면 프레임부(52a)와 고착되어 있다. 도 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각 지지 요소(32)의 상단부에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의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을 상방으로부터 받치는 지지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이 이 지지 오목부(32a)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핀 등을 이용하여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과 전각 지지 요소(32)가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는 전각 지지 요소(32)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전각 지지 요소(32)는 가늘고 긴 시트 받침 부재(33)를 지지하고 있다. 시트 받침 부재(33)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각 지지 요소(3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 받침 부재(33)가 전각 지지 요소(32)에 대하여 슬라이딩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 시트(150)의 전방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젖혀져서 유유아가 시트(150) 상에 누워 있는 경우에, 시트 받침 부재(33)에 의하여 시트(150)의 전방 부분을 들어올려서, 유유아의 다리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5)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20)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풋 레스트(17)와, 한 쌍의 후각(21)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연결재(18)와, 한 쌍의 제 1 링크 요소(2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드 부재(19)를 갖고 있다.
〈핸들(70)〉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U자 형상의 핸들(70)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70)은 U자의 양단부가 대응하는 측의 제 3 링크 요소(28)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를 관통하는 축 부재(13)에 의하여, 핸들(70)과 유모차 본체(11)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특히 축 부재(13)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핸들(70), 본체 프레임(15)의 제 2 링크 요소(24), 제 3 링크 요소(28),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및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 본체(71)와, 핸들 본체(71)의 U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핸들 선단 부재(74)와, 핸들 선단 부재(74)에 폭 방향으로부터 인접해서 설치된 제 1 전환 부재(75)를 갖고 있다. 핸들 본체(71)는, 하방단(下方端)에 핸들 선단 부재(74)가 각각 부착된 한 쌍의 핸들 메인부(72a)와, 핸들 메인부(72a)의 상방단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핸들 연결부(72b)를 갖고 있다. 축 부재(13)는, 핸들 본체(71) 중 핸들 선단 부재(74)가 덮고 있는 하방 부분과, 핸들 선단 부재(74)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전환 부재(75)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 본체(71)의 핸들 메인부(72a), 핸들 선단 부재(74) 및 제 1 전환 부재(75)는, 축 부재(13)가 통과해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71a, 74a, 7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 부재(13)를 통하여 핸들(70)과 접속된 유모차 본체(11)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설치되며 또한 축선 방향(da)으로 돌출하는 제 3 보스(26b)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보스(26b)는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외표면)을 갖고 있다. 핸들(70)에, 제 3 보스(26b)의 보스면(26b1)을 받치는 제 3 보스 받침(75b)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보스 받침(75b)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 받침면(76b1)을 갖고 있다. 핸들(70)이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요동할 때, 제 3 보스(26b)의 보스면(26b1)과 제 3 보스 받침(75b)의 보스 받침면(76b1)은 상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제 3 보스(26b)와 제 3 보스 받침(75b)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축 부재(13)에 의존하지 않고도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해서 핸들(70)이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26b) 및 보스 받침(75b)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보스(26b)가 보스 받침(75b)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축 부재(13)에 관통되기 전의 조립 시에, 핸들(70) 및 유모차 본체(11)를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와는 달리 핸들(70)에 보스가 설치되고 유모차 본체(11)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도 13∼도 15에 나타난 예에서는, 축 부재(13)는, 핸들(70), 제 2 링크 요소(24), 제 3 링크 요소(28) 및 시트 지지 유닛(40)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이 순서로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링크 요소(24)의 제 2 링크 선단 부재(26)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보스(26b)가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보스(26b)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26b1)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핸들(70)의 제 1 전환 부재(75)에, 보스(26b)의 보스면(26b1)을 받치는 보스 받침(75b)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75b)은 폭 방향 안쪽을 향해서 개구된 오목부 또는 개구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된 보스 받침면(76b1)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보스 받침(75b)의 보스 받침면(76b1)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일부분 상에 위치해 있다. 원주 방향을 따른 보스 받침면(76b1)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른 보스면(26b1)의 길이보다도 길다. 이 때문에, 핸들(70)이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요동할 때 보스(26b)는 보스 받침(75b)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26b)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26b1)과 함께, 당해 원주를 따라서 보스면(26b1)의 양측에 위치하며 또한 보스면(26b1)과 비평행인 한 쌍의 단면(26b2, 26b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스(26b)의 각 단면(26b2, 26b3)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스 받침(76b)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 받침면(76b1)과 함께, 당해 원주를 따라서 보스 받침면(76b1)의 양측에 위치하며 또한 보스 받침면(76b1)과 비평행인 한 쌍의 단면(76b2, 76b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스 받침(76b)의 각 단면(26b2, 26b3)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핸들(70)이 제 1 위치(후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보스(26b)의 한쪽의 단면(26b2)이 보스 받침(75b)의 한쪽의 단면(76b2)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위치에 배치된 핸들(70)이 후방으로 더 요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핸들(70)이 제 2 위치(전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보스(26b)의 다른 쪽의 단면(26b3)이 보스 받침(75b)의 다른 쪽의 단면(76b3)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 2 위치에 배치된 핸들(70)이 전방으로 더 요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핸들(70)은, 핸들 본체(71)의 핸들 메인부(7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핸들(7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요동 규제 부재(73)를 갖고 있다. 요동 규제 부재(73)는 유모차 본체(11)에 설치된 핸들 고정 핀(37)(도 5 및 도 6 참조)과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 고정 핀(37)과 요동 규제 부재(73)가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핸들(70)이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 또는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걸리게 된다.
《유모차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작용》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11) 및 핸들(70)에 기인하는 유모차(10)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는, 도 1∼6에 나타난 전개 상태로부터 도 7에 나타난 절첩 상태로 절첩할 수 있다. 절첩 동작 중, 유모차(10)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 회동(피벗 운동, 요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위치에 배치된 핸들(70)을 일단 후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것에 의하여, 제 3 링크 요소(28)를 후각(21)에 대하여 도 5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제 1 링크 요소(22) 및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가 제 2 링크 요소(24)에 대하여 도 5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조작에 의해, 핸들(70)과 전각(20)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접근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70)의 배치 위치가 내려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어, 유모차(1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수순을 따르면 된다. 따라서, 이 유모차(10)에 있어서, 시트 지지 유닛(40)의 일부분(구체적으로는,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의 측면 프레임부(52a) 중 단부(51a)로부터 전각 지지 요소(32)와의 고착 위치까지의 부분) 및 전각 지지 요소(32)가, 유모차(10)의 절첩 조작 시 및 유모차(10)의 전개 조작 시에 하나의 링크로서 기능한다.
또한, 유모차(10)에는,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유모차(10)의 동작을 규제하는 상태 유지 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상태 유지 기구(35)는, 제 2 링크 요소(2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 2 링크 요소(24)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작 규제 부재(35c)를 포함하고 있다. 동작 규제 부재(35c)는, 제 3 링크 요소(28)의 제 3 링크 선단 부재(30)를 향해서 압압되어, 제 3 링크 선단 부재(30)에 형성된 걸어 맞춤 오목부(28a)와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제 2 링크 요소(24)와 제 3 링크 요소(28)의 상대 요동을 규제하며,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동작을 규제한다. 또한, 상태 유지 기구(35)는, 동작 규제 부재(35c)와 걸어 맞춤 가능한 조작 부재(35b)와, 조작 부재(35b)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35a)를 더 포함하고 있다. 조작 부재(35b)는 핸들(70)의 핸들 메인부(7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핸들 메인부(72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원격 조작 장치(35a)는 핸들(70)의 핸들 연결부(72b)에 설치되며, 조작 부재(35b)의 핸들 메인부(72a)에 대한 슬라이딩을 원격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격 조작 장치(35a)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35b)를 통하여 동작 규제 부재(35c)를 조작하여, 동작 규제 부재(35c)와 제 3 링크 선단 부재(30)의 걸어 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원격 조작 장치(35a)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절첩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으로 연장되는 보스(62a)가 설치됨과 함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보스(62a)를 받치는 보스 받침(54a)이 형성되어, 보스(62a) 및 보스 받침(54a)을 통한 걸어 맞춤에 의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접속되며, 또한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회동 중심을 중심으로 해서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보스(62a)와 보스 받침(54a)의 걸어 맞춤을 이용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와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소정의 상대 위치에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보스(62a)와 보스 받침(54a)의 걸어 맞춤에 의하여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와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를 상대 요동 가능하게 미리 소정의 위치 관계에서 접속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축 부재(13)를 이용한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요동이 축 부재(13)에 대하여 안정된다. 이 때문에, 리클라이닝 동작 및 절첩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62a) 및 보스 받침(54a)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작용 효과는 축 부재(13)가 보다 많은 부재를 관통할 경우에 현저해진다. 또한,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보스가 설치되고,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되며, 이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의 제조에 있어서, 시트 지지 유닛(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제작하고, 다음으로, 제작된 시트 지지 유닛(40)을 본체 프레임(15)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각 구성 요소를 차례로 부착해 가며 유모차를 제조하는 방법과 비교해서, 유모차(10)의 생산을 용이화, 안정화, 고효율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본 발명은 유모차(10)의 제조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본체 프레임(15)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으로 연장되는 제 2 보스(30b)가 설치되며, 시트 지지 유닛(40)에, 제 2 보스(30b)를 받치는 제 2 보스 받침(6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스(30b)와 보스 받침(62b)의 걸어 맞춤을 이용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15)과 시트 지지 유닛(40)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소정의 상대 위치에서 접속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축 부재(13)를 이용한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지지 유닛(40)과 본체 프레임(15)의 상대 회동이 안정되므로, 절첩 동작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30b) 및 보스 받침(62b)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지지 유닛(40)에 보스가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15)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되며, 이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유모차 본체(11)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으로 연장되는 제 3 보스가 설치되고, 핸들(70)에, 제 3 보스(26b)를 받치는 제 3 보스 받침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스(26b)와 보스 받침(75b)의 걸어 맞춤을 이용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 본체(11)와 핸들(70)을 용이하고 정밀도 좋게 소정의 상대 위치에서 접속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축 부재(13)를 이용한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70)과 유모차 본체(11)의 상대 회동이 안정되므로, 절첩 동작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26b) 및 보스 받침(75b)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70)에 보스가 설치되고, 유모차 본체(11)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되며, 이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차륜 유지 유닛(100)》
다음으로, 주로 도 22∼도 27을 참조하면서, 차륜 유지 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각(20) 및 후각(21)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은, 모두,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110)와,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를 갖는 소위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모차(10)에는,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를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기구(88)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기구(88)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에서는 차륜 유지 유닛(100)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한 쌍의 전각(20)에는 동일한 또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후각(21)에는 동일한 또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전각(20) 및 후각(21)에는, 다리에의 부착 부분의 구성이 다를 뿐이며 그 밖의 것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캐스터로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륜 유지 유닛(100)은, 차축(113)을 통하여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110)와,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를 갖고 있다. 고정체(105)는 대응하는 전각(20) 또는 후각(21)에 고착된다. 차륜(101)의 회전 축선(Ar)은 차축(113)의 축선 방향에 일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체(105)가 지지축 부재(108)를 지지하고 있고, 회전체(110)가 고정체(105)로부터 아래로 늘여진 지지축 부재(108)에 지지되어, 지지축 부재(108)의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해서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110)는,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 홀더(120)와, 차륜 홀더(120)를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블록(115)과, 지지 블록(115) 및 차륜 홀더(120)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갖고 있다. 차륜 홀더(120)는 차축(113)을 유지하고 있으며, 당해 차축(113)의 양측에 차륜(101)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서는 차륜의 도시가 생략되며, 도 22에서는 편측의 차륜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축 부재(111)를 통하여 차륜 홀더(120)가 지지 블록(115)에 부착되며, 요동축 부재(111)의 축선 방향을 중심(sc2)으로 해서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회전체(110)는 차륜 홀더(1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동 부재(129)를 더 갖고 있다. 제동 부재(129)는 회전 축선(Ar)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동 돌출부(129a)를 갖고 있다. 제동 부재(129)가 차륜 홀더(120)에 대하여 요동하는 것에 의해, 제동 돌출부(129a)가 차륜(101)과 걸어 맞춰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 축선(Ar)을 중심으로 한 차륜(101)의 회전이 규제된다.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에 의해 변형된다. 환언하면,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변형되는 것에 의해,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을 흡수하여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한다. 여기에서 탄성 구조체란, 외력을 받으면 변형되고 또한 당해 외력을 제거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진 구조체를 의미하고 있으며, 따라서, 고무나 수지 등의 단순한 탄성 재료의 덩어리뿐만 아니라, 스프링이나 후술하는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와 같이 구조적으로 전술한 성질을 발현하는 것도 탄성 구조체에 포함된다. 2개의 탄성 구조체(125, 127)를 포함하는 차륜 유지 유닛(100)에서는, 우수한 서스펜션 기능을 발현하는 관점에서, 이하의 조건 a 및 조건 b 중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조건 a 및 조건 b는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사이에서 재료, 구조, 배치, 변형 가능량 등이 다르도록,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조건 a :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가압되어 변형되고,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이 더 진행되면,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부가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도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가압되어 변형된다.
조건 b :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제 1 탄성 구조체(125)를 변형시켜서 차륜 홀더(120)를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동작시키는데 필요해지는 힘의 크기는,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 제 2 탄성 구조체(127)만이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변형시켜서 차륜 홀더(120)를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동작시키는데 필요해지는 힘의 크기와 다르다.
조건 a에서는,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이 상대 동작했을 경우, 상대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변형되어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한다. 한편,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이 진행되면,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변형을 개시하여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한다. 예를 들면,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 중 적어도 한쪽에 비접촉이고,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이 진행되면,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양쪽에 접촉하게 해도 된다.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할 때, 제 1 탄성 구조체(125)도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동작에 수반하여 변형을 계속하여,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제 1 탄성 구조체(125)와 함께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하도록 해도 되고, 혹은 제 1 탄성 구조체(125)는 더 이상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조건 b에서는,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이 소정량만큼 상대 동작할 때에 있어서의 제 1 탄성 구조체(12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하는 항력과,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이 동일량만큼 상대 동작할 때에 있어서의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상대 동작에 저항하는 항력이 다르게 설정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성 구조체(125, 127)의 구성, 및 탄성 구조체(125, 127)의 지지에 관련된 회전체(1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탄성 구조체(125)는 고무 등의 탄성체(126) 그 자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탄성체(126)는 오목부로서 형성된 받침부(126a)를 갖고 있다. 차륜 홀더(120)는 받침부(126a)에 끼워진 지지 돌기(121a)를 갖고 있다. 지지 돌기(121a)와 받침부(126a)의 걸어 맞춤에 의해 탄성체(126)로 이루어지는 제 1 탄성 구조체(125)가 차륜 홀더(120)에 유지되어 있다. 탄성체(126)는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차륜 홀더(120)가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요동되었을 경우, 탄성체(126)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압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요동에 대한 제 1 탄성 구조체(125)의 항력은,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요동의 진행에 상관없이 대략 일정하다.
다음으로, 제 2 탄성 구조체(127)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지지하는 회전체(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110)의 지지 블록(11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지지판부(116)를 갖고 있다. 한편, 회전체(110)의 차륜 홀더(120)는, 지지 블록(115)에 피벗 부착된 홀더 베이스(121)와, 홀더 베이스(121)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 연장부(122)를 갖고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연장부(122)는 지지 블록(115)의 지지판부(116)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륜(101)을 유지하기 위한 차축(113)은 차륜 홀더(120) 중의 홀더 베이스(121)와 상방 연장부(122)의 접속 개소 근방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제동 부재(129)는 상방 연장부(122)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로서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를 이루는 재료는 신장성을 가진 고무나 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기체를 밀봉한 수지제의 주머니(128)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 주머니(128)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되어 있다. 수지제 주머니(128)는 도시하지 않는 고정구를 통하여 지지 블록(115)의 지지판부(116)에 지지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주머니(128)는 대략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128a)와, 단차부(128b)와, 고정구 받침(128c)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8a)는 차륜 홀더(120)의 상방 연장부(122)에 대면하는 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8a)는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요동 축선(sc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방 연장부(122)에는 오목부(128a)에 대면하는 위치에 볼록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3)는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요동 축선(sc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차륜 홀더(120)가 지지 블록(115)에 동작했을 때에 오목부(128a)에 맞닿게 된다.
단차부(128b)는 지지판부(116)에 대면하는 측의 면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128b)는 요동 축선(sc2)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부(116)에는 단차부(128b)에 대면하는 위치에 단부(段部)(117)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구 받침(128c)은 수지제 주머니(128)를 지지판부(116)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도시하지 않는 )가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구 받침(128c) 내의 공간은 나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의 머리부를 받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륜 유지 유닛(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륜 유지 유닛(100)은, 상대 동작 가능한 지지 블록(115)과 차륜 홀더(120) 사이에,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상대 동작에 의해 변형되는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전술한 조건 a, 즉,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가압되어 변형되고,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이 더 진행되면,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부가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도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가압되어 변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이 작은 경우, 예를 들면 유모차에 승차한 유유아의 월령이 낮으며 또한 바구니(90)에 화물이 들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의해서 주행 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우수한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이 큰 경우, 예를 들면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월령이 높으며 또한 바구니(90)에 무거운 화물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제 1 탄성 구조체(125)와는 별도인 제 2 탄성 구조체(127)에 의해서, 혹은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양쪽에 의해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주행 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우수한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의 대소에 상관없이 유모차(10)에 우수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전술한 조건 b, 즉,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제 1 탄성 구조체(125)를 변형시켜서 차륜 홀더(120)를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동작시키는데 필요해지는 힘의 크기가,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 제 2 탄성 구조체(127)만이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변형시켜서 차륜 홀더(120)를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동일량만큼 동작시키는데 필요해지는 힘의 크기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제 1 탄성 구조체(125)의 항력과,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항력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 사이에서 재료, 구조, 배치, 변형 가능량 등이 다르도록,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에 의해, 높은 설계 자유도로 원하는 서스펜션 기능을 차륜 유지 유닛(10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전술한 조건 a 및 조건 b의 양쪽을 만족시키도록 해도 된다. 일례로서,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제 1 탄성 구조체(125)의 항력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항력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면,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이 작은 경우에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의하여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의하여 주행 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이 큰 경우에는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의하여, 혹은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에 의하여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주행 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의 대소의 영향을 극히 효과적으로 배제하여 유모차(10)에 우수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주머니(128)의 형상이나 기체의 충전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항력, 특히 변형의 진행에 수반한 항력의 변화를 적정화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높은 설계 자유도로 원하는 서스펜션 기능을 차륜 유지 유닛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이루는 주머니(128)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2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한쪽이,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요동 축선(sc2)에 대하여 오목부(128a)가 직교해서 연장되도록 주머니(128)를 지지하고,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다른 쪽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 시에 오목부(128a) 내에 위치하게 되는 볼록부(123)를 갖고 있다.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이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지만, 오목부(128a)와 볼록부(123)의 걸어 맞춤에 의해,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다른 쪽과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 유지되어, 주머니(128)가 예정된 변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기대한 서스펜션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 개시 전에,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다른 쪽과,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비접촉으로 되어 있고, 또한 차륜 홀더 및 지지 블록의 다른 쪽과,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오목부(128a)와 볼록부(123)의 걸어 맞춤에 의해,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다른 쪽과,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기대한 서스펜션 효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차부(128b)와 단부(117)의 걸어 맞춤에 의해, 지지 블록(115)의 지지판부(116) 상에 있어서의 주머니(128)의 어긋남이 규제되며, 또한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수지제 주머니(128)의 변형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머니(128)로 이루어지는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기대된 서스펜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이루는 주머니(128)에 단차(턱)부를 갖는 고정구 받침(12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구 받침(128c)에 의하여, 주머니(128)가 변형되기 어려운 방향을 갖게 되고, 이것에 의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 시에 주머니(128)의 변형이 대체로 일정해져 기대한 소정의 서스펜션 기능이 발현되게 된다.
또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차륜 홀더(120)가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동작했을 때에,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한쪽은, 주머니(128)에 형성된 모서리부에 있어서 당해 주머니(128)에의 접촉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로 이루어지는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주머니(128)의 모서리부가 변형에 대하여 우수한 내성을 나타내는 한편, 모서리부가 일단 변형을 개시한 후에는,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을 민감하게 흡수하도록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예상되는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을 제 2 탄성 구조체(127)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적재 하중을 지지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구조체(125, 127)는,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인 경우에 한하지 않으며,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탄성 구조체(125, 127)의 항력이, 탄성 구조체(125, 127)의 변형이 개시된 후에 일정하지 않고 변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예에 있어서도,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탄성 구조체(125, 127)의 항력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의 대소에 상관없이 유모차(10)에 우수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구조체(125, 12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 시각적으로 서스펜션 기능을 연상시킬 수 있어 유유아의 보호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로 이루어지는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서스펜션 기능을 강하게 연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주머니(128)가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경우에는 서스펜션 기능을 보다 강하게 연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륜 유지 유닛(100)이 캐스터로서 구성되고, 회전체(110)가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회전체(110)와 고정체(10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즉 차륜(101)이 선회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륜 유지 유닛에 대해도, 제 1 전환 부재(75) 및 제 2 전환 부재(80)를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 전환 부재(75) 및 제 2 전환 부재(80)에 기인한 전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륜 유지 유닛(100)이 제 1 전환 부재(75)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양쪽을 갖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차륜 유지 유닛(100)이 제 2 전환 부재(80)만을 갖고 있어도 되며, 이 예에 있어서도 제 2 전환 부재(80)만에 기인하는 전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환 기구》
다음으로, 전환 기구(88)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환 기구의 전체 구성〉
전환 기구(88)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가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기구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각(20) 및 후각(21) 모두에 캐스터로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설치되며,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규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이 도 1, 도 3, 도 5에 나타난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각(20)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후각(21)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규제한다. 한편,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이 도 2, 도 4, 도 6에 나타난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각(20)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규제함과 함께, 후각(21)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전환 기구(88)는, 핸들(70)에 설치되며 또한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동작 가능한 제 1 전환 부재(75)와, 후각(21)에 지지되며 또한 제 1 전환 부재(75)의 동작에 수반하여 동작 가능한 제 2 전환 부재(80)와, 차륜 유지 유닛(100)에 설치된 로크 부재(130)와, 제 2 전환 부재(80)의 동작을 로크 부재(130)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87)을 갖고 있다.
이 중 제 1 전환 부재(7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7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전환 부재(75)는, 핸들(70)이 도 1, 도 3, 도 5에 나타난 제 1 위치와 도 2, 도 4, 도 6에 나타난 제 2 위치의 사이를 요동할 때, 핸들(70)의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동작, 즉 회전 운동 또는 주회 운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의 요동 축선(da)은 핸들(70)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환 부재(75)도 축 부재(13)에 관통되어 있으므로, 제 1 전환 부재(75)는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핸들(70)의 요동 축선(da)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게 된다. 제 2 전환 부재(80)는 제 1 전환 부재(75)보다도 상방으로 되는 후각(21) 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전환 부재(75)는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동작할 때에 제 2 전환 부재(80)에 맞닿는 캠 맞닿음면(76)을 갖고 있다. 한편, 제 2 전환 부재(80)는 캠 맞닿음면(76)을 받치는 캠 받침편(81)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력뿐만 아니라, 압압 부재(85)가 예를 들면 후각(21) 내에 내장되어 있고(도 19 참조), 후술하는 중계 부재(83)를 통하여 제 2 전환 부재(80)를 후각(21)을 따라서 하방으로 압압하고 있다. 압압 부재(85)로부터의 압압에 의하여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과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이 맞닿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캠 맞닿음면(76) 중 캠 받침편(81)에 맞닿는 위치가 변환되는 것에 의해, 압압 부재(85)의 압압력에 저항해서 제 2 전환 부재(80)가 후각(21) 상을 슬라이딩한다.
도 17∼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함에 따라, 캠 맞닿음면(76) 중 캠 받침편(81)에 맞닿게 되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이간해 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70)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시켰을 경우,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상방을 향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70)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요동시켰을 경우,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하방을 향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은, 주로 제 1 전환 부재(75)를 소형화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에 대해서도 추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제 2 전환 부재(80)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동작하는 로크 부재(130)는 차륜 유지 유닛(100)에 설치되어 있다. 차륜 유지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륜(101)과,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110)와, 전각(20) 및 후각(21) 중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며 또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는,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도 26의 로크 위치와,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도 25의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로크 부재(130)를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혹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부재(130)는 그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30), 및 로크 부재(130)를 유지하는 차륜 유지 유닛(100)의 구조에 대해서도 추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다음으로 전달 수단(87)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달 수단(87)은 제 2 전환 부재(80)와 차륜 유지 유닛(100) 사이에 설치되며, 제 2 전환 부재(80)의 슬라이딩 동작을 차륜 유지 유닛(100)의 로크 부재(130)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를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각(21) 내에 중계 부재(8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계 부재(83)는 제 2 전환 부재(80)와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전환 부재(80)의 후각(21)에 대한 슬라이딩과 동기해서 후각(21) 내에서 상하 이동한다. 전달 수단(87)은, 일단이 중계 부재(83)에 부착되며 또한 타단이 로크 부재(130)에 부착된 와이어재(87b)와, 와이어재(87b)가 그 내부를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는 통형상 부재(87a)를 갖고 있다. 통형상 부재(87a)의 일단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각(21) 내의 중계 부재(83)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유지부(84)에 유지되고, 통형상 부재(87a)의 타단은,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 유지 유닛(100)의 로크 부재(130)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유지부(107)에 유지되어 있다. 그 결과, 제 2 전환 부재(80)가 후각(21)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 와이어재(87b)가 통형상 부재(87a) 내를 이동하여, 와이어재(87b)의 타단에 접속된 로크 부재(130)가 와이어재(87b)의 동작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각(20) 및 후각(21) 모두에 캐스터로서 기능하는 차륜 유지 유닛(100)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부재(83)와 전각용의 차륜 유지 유닛(100) 사이에 하나의 전달 수단(87)이 설치되고, 중계 부재(83)와 후각용의 차륜 유지 유닛(100) 사이에 다른 하나의 전달 수단(8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체로 폭 방향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환 기구(88)를 이루는 제 1 전환 부재(75), 제 2 전환 부재(80) 및 중계 부재(83), 전각용의 전달 수단(87), 전각용의 차륜 유지 유닛(100), 후각용의 전달 수단(87), 및 후각용의 차륜 유지 유닛(100)도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전환 부재의 캠 맞닿음면 및 제 2 전환 부재의 캠 받침편〉
여기에서, 주로 도 16∼도 21을 참조하면서,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에 대하여 더 상세히 기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캠 맞닿음면(76) 중 캠 받침편(81)에 맞닿는 위치가 변환되는 것에 의해, 압압 부재(85)에 의하여 제 1 전환 부재(75)를 향해서 압압된 제 2 전환 부재(80)가 후각(21) 상을 슬라이딩한다. 도 17∼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함에 따라서, 캠 맞닿음면(76) 중 캠 받침편(81)에 맞닿게 되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이간해 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70)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시켰을 경우,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상방을 향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70)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요동시켰을 경우,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하방을 향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도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변환된다. 도 17∼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70)이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요동할 때,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는, 캠 맞닿음면(76)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변환된다. 즉,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는, 핸들(70)과 함께 동작하는 캠 맞닿음면(76)과 동일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70)이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이,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하는 동안에 접촉하게 되는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의 부위 중 일부분에만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70)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캠 맞닿음면(76)이,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하는 동안에 접촉하게 되는 캠 받침편(81)의 부위 중 일부분에만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가 변환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1 전환 부재(75)가 도 2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부분을 더 갖도록 해서,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을 더 길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잡화되기 쉬운 전환 기구(88)의 제 1 전환 부재(75)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모차(10)의 소형화 경량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핸들(70)의 요동 축선(da)의 근방은,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나 시트 지지 유닛(40) 및 시트(150)의 리클라이닝 동작 등에 관련된 구성이 배치되어 스페이스적인 여유가 작다. 실제로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환 부재(75)의 바로 후방에는 상태 유지 기구(35)의 조작 부재(35b)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조작 부재(35b)와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 2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연장 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 맞닿음면(76) 및 캠 받침편(81)의 구성은, 유모차(10)의 소형 경량화뿐만 아니라 유모차(10)의 전체적인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체예로서,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은 캠 맞닿음면(76)과 마찬가지로 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면, 평면, 굽힘면 등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 같이,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이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를 갖도록 해도 된다. 이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한 캠 맞닿음면(76)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핸들(70)의 요동 위치에 따라서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는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변환될 수 있다. 캠 받침 돌출부(82a, 82b)를 갖는 캠 받침편(81)의 설계 및 제작은, 캠 받침편(81)의 전체가 아닌 캠 받침 돌출부(82a, 82b)의 위치에만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캠 받침편(81)의 제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캠 받침 돌출부(82a, 82b)는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단일한 캠 받침편(81)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핸들(70)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캠 맞닿음면(76)이, 당해 캠 맞닿음면(76)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환 부재(80)가 압압 부재(85)에 의하여 제 1 전환 부재(75)를 향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캠 받침 돌출부(82a, 82b)는, 핸들(70)과 함께 동작하는 캠 맞닿음면(76)의 일정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환된다. 따라서, 캠 맞닿음면(76)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에 동시에 접촉하는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는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변환되어갈 때에, 압압 부재(85)에 의하여 제 1 전환 부재(75)와 제 2 전환 부재(80)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핸들(70)이 요동 가능 범위 내에서 한쪽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 및 다른 쪽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도, 즉,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하는 경우 및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를 향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도, 캠 받침 돌출부(82a, 82b)의 캠 맞닿음면(76)에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나,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캠 맞닿음면(76)의 단부(76a, 76b)에 접촉하며 타고 넘는 것에 의한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고, 핸들(70)의 원활한 요동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은,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로서,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때의 캠 맞닿음면(76)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난 핸들(70)이 제 1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에 있어서, 캠 맞닿음면(76)은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 중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에만 대면하며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에 접촉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난 핸들(70)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캠 맞닿음면(76)은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 중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에만 대면하며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에 접촉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캠 받침편(81)의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는 위치가 캠 맞닿음면(76)의 이동에 추종해서 변환되므로, 캠 맞닿음면(76)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복잡화되기 쉬운 전환 기구(88)의 제 1 전환 부재(75)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유모차(10)의 소형화 경량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 맞닿음면(76) 및 캠 받침편(81)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전체적인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70)이 도 17의 제 1 위치와 도 21의 제 2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도 18에 나타난 제 1 중간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캠 맞닿음면(76)은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의 양쪽에 대면하며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에만 접촉해 있다. 한편, 핸들이 도 18의 제 1 중간 위치와 도 21의 제 2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도 20에 나타난 제 2 중간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캠 맞닿음면(76)은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의 양쪽에 대면하며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에만 접촉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캠 맞닿음면(76)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에 동시에 접촉하는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핸들(70)이 도 18의 제 1 중간 위치와 도 20의 제 2 중간 위치 사이의 도 19에 나타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캠 맞닿음면(76)이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는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변환되어 갈 때에, 캠 받침 돌출부(82a, 82b)의 캠 맞닿음면(76)에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나,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캠 맞닿음면(76)의 단부(76a, 76b)에 접촉하며 타고 넘는 것에 의한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아, 핸들(70)의 원활한 요동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캠 맞닿음면(76) 및 캠 받침편(81)을 실현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을 따라서 관찰했을 경우,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캠 맞닿음면(76)의 각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La)는,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할 때의 이동 방향 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76) 상의 일단(76a)으로부터 이동 방향 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 상의 타단(76b)을 향해서 점차 길어져 가며, 또한 핸들(70)이 도 21에 나타난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까지의 직선 거리(Lb)는,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까지의 직선 거리(Lc)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을 따라서 관찰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캠 맞닿음면(76)의 각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La)는, 핸들(70)이 요동 가능한 범위 내에 있어서의 한쪽 편으로부터 다른 쪽 편으로 요동할 때의 이동 방향 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76) 상의 일단(76a)으로부터 이동 방향 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 상의 타단(76b)을 향해서 점차 길어져 가며,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70)의 요동 축선(da)과 평행한 방향을 따른 캠 맞닿음면(76)의 폭(w)은, 캠 맞닿음면(76) 상의 일단(76a)으로부터 이동 방향 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76) 상의 타단(76b)을 향해서 점차 넓어져 간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따르면, 캠 맞닿음면(76)의 폭(w)은, 측면 보기에 있어서의 핸들(70)의 요동 축선(da)으로부터의 직선 거리(La)가 길어지는 캠 맞닿음면(76) 상의 위치에 있어서 넓어져 있다. 핸들(70)의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캠 맞닿음면(76) 상의 소정의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La)가 길어지면, 캠 맞닿음면(76)의 당해 위치가 캠 받침편(81)에 맞닿았을 때에, 캠 받침편(81)을 캠 맞닿음면(76)을 향해서 압압하는 압압 부재(85)로부터의 압압력은 보다 커진다. 그리고, 핸들(70)의 요동 축선(da)으로부터의 직선 거리(La)가 길어지는 위치에서의 캠 맞닿음면(76)의 폭(w)이 넓게 되어 있으므로, 압압 부재(85)로부터의 보다 큰 압압력을 캠 맞닿음면(76) 중 보다 폭이 넓은 부위에 의해 받을 수 있다. 즉, 캠 맞닿음면(76)의 크기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제 1 전환 부재(75) 및 유모차(1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 1 전환 부재(75)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상대 동작을 보다 원활화할 수 있다.
〈로크 부재 및, 차륜 유지 유닛〉
다음으로, 주로 도 25∼도 27을 참조하면서, 로크 부재(130) 및 차륜 유지 유닛(100) 중 로크 부재(130)와 관련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는,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도 26의 로크 위치와,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도 25의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105)는, 일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회전체(110)에 대면하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개구된 수용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부(10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한편, 회전체(110)의 지지 블록(115)에는, 고정체(105)의 수용부(106)와 일방향으로 대면할 수 있는 위치에, 걸어 맞춤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130)는 그 길이 방향이 일방향을 따르도록 해서 수용부(106) 내에 배치되며, 또한 수용부(106)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 부재(130)가 수용부(106) 내에서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이동한 위치가 도 25에 나타난 로크 해제 위치이며, 로크 부재(130)는 로크 해제 위치에 있어서 그 전장(全長)에 걸쳐서 고정체(105)의 수용부(106)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로크 부재(13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로크 부재(130)는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체(110)의 회전을 규제하지 않는다. 한편, 로크 부재(130)가 수용부(106) 내에서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이동한 위치가 도 26에 나타난 로크 위치이며, 로크 부재(130)는 로크 위치에 있어서 그 일측단이 수용부(106) 밖으로 뻗어나온다. 이때 로크 부재(130)의 일측단은 회전체(110)의 걸어 맞춤 오목부(114) 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로크 부재(1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경우, 로크 부재(130)는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체(110)의 회전을 규제한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105)의 수용부(106) 내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130)의 일측이 되는 위치에 압축 스프링(10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 스프링(103)은 수용부(106)의 일측 단면과 로크 부재(130) 사이에서 압축되고,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를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압압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에는 전달 수단(87)의 와이어재(87b)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와이어재(87b)가 이동해서, 로크 부재(130)가 압축 스프링(103)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끌어올려지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와이어재(87b)가 이동해서, 압축 스프링(103)의 압압력에 의하여 로크 부재(130)가 밀려내려가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가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130)는, 압축 스프링(103)의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면(131a)을 포함하고 있고, 부가해서, 로크 부재(130)는, 스프링 받침면(131a)보다도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압축 스프링(103)의 측방에 위치하는 스프링측 연장부(135)를 갖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가 수용부(106) 내에서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슬라이딩해서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스프링측 연장부(135)의 길이는, 스프링 받침면(131a)과 수용부(106)의 일측 단면 사이에서 압축된 압축 스프링(103)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크 부재(130)는, 압축 스프링(103)이 배치되는 영역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106)의 일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그 전장을 길게 할 수 있다. 즉, 차륜 유지 유닛(100)을 대형화 및 중량화시키지 않고 로크 부재(130)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30)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의 확실한 슬라이딩을 확보하기 위한 간극을 로크 부재(130)와 수용부(106) 사이에 설치했다고 해도, 수용부(106) 내에서의 로크 부재(130)의 래틀(rattle)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로크 부재(130)의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110)가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체(110)가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측 연장부(135)는, 한 쌍의 측벽부(136)와, 한 쌍의 측벽부(13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부(137)를 갖고 있다. 압축 스프링(103) 중 적어도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부분은 스프링측 연장부(135)에 의하여 세 방향으로부터 둘러싸인다. 따라서,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106) 내에서의 슬라이딩에 수반해서 압축 스프링(103)의 압축 및 팽창이 스프링측 연장부(135)에 의하여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106) 내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 안정된다. 예를 들면, 로크 부재(130)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할 경우, 압축 스프링(103)은 압축력을 받게 되지만, 이때에 압축 스프링(103)이 굴곡되어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106) 내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 안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는, 스프링 받침면(131a)을 형성하며 또한 스프링측 연장부(135)와 접속된 기부(基部)(131)와, 기부(131)와 접속되며 기부(131)보다도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연장된 차륜측 연장부(141)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달 수단(87)의 와이어재(87b)의 단부는, 기부(13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차륜측 연장부(141)는, 한 쌍의 측벽부(142)와, 한 쌍의 측벽부(14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143)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로크 부재(130)는 그 전장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106) 내에 있어서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실현하면서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측 연장부(141)는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선단 테이퍼부(141a)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로크 부재(130)에 의하면, 로크 부재(130)의 일측단이, 고정체(105)의 수용부(106)로부터 뻗어나와, 회전체(110)의 걸어 맞춤 오목부(114) 내에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다. 즉, 로크 부재(130)의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의 슬라이딩을 보다 원활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의 차륜측 연장부(141)에 있어서의 선단 테이퍼부(141a)에 부가하여, 걸어 맞춤 오목부(114)가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바닥 테이퍼부(114a)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차륜 유지 유닛(100)에 의하면, 로크 부재(130)의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의 슬라이딩을 원활화시키면서, 또한 로크 부재(130)가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의 로크 부재(130)와 걸어 맞춤 오목부(114) 사이의 간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는 상태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음과 함께, 그 후에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래틀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안정된 주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103)이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또한 스프링 받침면(131a)을 형성하는 로크 부재(130)의 기부(131)에 한쪽의 단부가 부착된 와이어재(87b)가, 압축 코일 스프링(103)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륜 유지 유닛(100)에 의하면,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106) 내에서의 슬라이딩에 수반한 압축 코일 스프링(103)의 압축 및 팽창은, 와이어재(87b) 및 스프링측 연장부(135)에 의하여 유도된다. 따라서,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 내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 안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130)가 전달 수단을 통해서 핸들(70)의 동작에 수반하여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로크 부재(130) 및 로크 부재(130)에 관련되는 차륜 유지 유닛(100)의 구성은 수동으로 동작하는 차륜 유지 유닛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로크 부재(130) 및 로크 부재(130)에 관련되는 차륜 유지 유닛(100)의 구성에 기인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시트(150)》
다음으로, 주로 도 1, 도 2 및 도 28∼도 30을 참조해서, 시트 지지 유닛(40) 상에 지지되는 시트(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15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체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28∼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50)는, 앉음면부(156)와, 앉음면부(156)와 접속되며 앉음면부(156)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받이부(157)와, 앉음면부(156)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된 좌우의 측면부(160)와, 등받이부(157)로부터 연장된 좌우의 상방 측면부(167)를 갖고 있다. 앉음면부(156)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엉덩이부를 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부(157)는 유유아의 등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측면부(제 1 측면부)(160) 및 상방 측면부(제 2 측면부)(167)는 유유아의 측방에 위치하는 측벽부를 구성한다. 또한, 시트(150)는 등받이부(157)의 앉음면부(156)로부터 이간한 상방으로 되는 위치에 접속된 상방부(上方部)(169)를 더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부(169)는 좌우의 상방 측면부(167)를 연결하고 있으며 헤드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앉음면부(156)는 주로,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앉음면부(156)는 그 후연부(後緣部)에 있어서 등받이부(157)와 접속되어 있으며, 한 쌍의 측연부(側緣部)에 있어서 각각 대응하는 측의 측면부(160)와 접속되어 있다. 등받이부(157)는 주로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57)는, 평면 보기에 있어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한쪽의 단변(短邊)을 곡선 형상이 되도록 모따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등받이부(157)는 이 곡선 형상으로 정형된 연부(緣部)가 앉음면부(156)로부터 후방 또는 상방으로 이간하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등받이부(157)는 그 하연부(下緣部)에 있어서 앉음면부(156)의 후연부와 접속되어 있다. 등받이부(157)와 앉음면부(156)는 예를 들면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며, 이 경우, 등받이부(157)와 앉음면부(156)의 접속 개소는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봉제 라인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다.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이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시트(150)의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는 서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는 봉제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선 형상의 접속 개소를 요동 축선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요동할 수 있다.
등받이부(157)의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측연부에는 각 상방 측면부(16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157)의 곡선 형상의 상연부(上緣部)에는 헤드 레스트로서 기능하는 상방부(169)가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상방 측면부(167)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측방 지지 요소(45)에 지지되고, 상방부(169)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상방 지지 요소(41)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28에 나타난 예에서는, 한 쌍의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는 동일한 재료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한 쌍의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는 예를 들면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하여 등받이부(157)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와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봉제 라인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 지지 요소(41)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방 지지 요소(41)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한 요동에 수반하여, 상방부(169)는 봉제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선 형상의 접속 개소를 요동 축선으로 해서 등받이부(157)에 대하여 요동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방 지지 요소(45)는 리클라이닝 동작에 상관없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의하여 구획 형성되는 면에 대해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리클라이닝 동작에 상관없이 측방 지지 요소(45)에 지지되는 상방 측면부(167)는, 등받이부(157)에 기대는 유유아의 측방에 기립되어 있다. 상방 측면부(167)는 유유아의 머리부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는 상방에 있어서 넓은 폭을 갖고 있다. 한편, 앉음면부(156)에 접근하는 하방에 있어서 좁은 폭을 갖고 있어, 도 29 및 도 30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접근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앉음면부(156),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앉음면부(156),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는 쿠션성을 가진 직물재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쿠션성을 가진 스펀지 등의 재료를 2개의 천으로 사이에 끼워넣어서 이루어지는 직물재나, 쿠션성을 가진 천 그 자체로 이루어지는 직물재를 이용해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앉음면부(156),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에 이용되는 직물재가 보강판 등을 포함해서 보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150)를 세정하는 것을 고려하면 시트(150)는 유모차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150)의 유모차 본체(11)에의 고정은 시트(150)의 각 위치에 부착된 버튼 등의 공지의 연결구를 이용해서 실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우의 측면부(160)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28∼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면부(160)는, 앉음면부(156)에 접속된 측면 본체부(161)와, 적어도 그 일부분이 대응하는 측의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裏面)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또한 측면 본체부(161)와 등받이부(157) 및 상방 측면부(167) 중 적어도 한쪽에 접속된 측면 연결부(165)를 갖고 있다. 외관면을 고려하면 리클라이닝 상태에 상관없이, 즉 도 2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하여 가장 젖혀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측면 본체부(161)의 후방측의 연부가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에 대면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 환언하면 측면 연결부(165)가 상방 측면부(167) 및/또는 등받이부(157)의 이면측에 위치해서,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의 반대측의 면을 「이면」이라 부른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는 등받이부(157)의 좌측의 측연부에 접속되고, 우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는, 등받이부(157)의 우측의 측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가 등받이부(157)와 좌측의 상방 측면부(167)의 접속 개소에 이면측으로부터 접속되고, 우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가 등받이부(157)와 우측의 상방 측면부(167)의 접속 개소에 이면측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각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는 등받이부(157)의 대응하는 측의 측연부 및 대응하는 측의 상방 측면부(167)의 양쪽과 겹쳐서 봉착(縫着)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는 앉음면부(156)의 좌측의 측연부에 접속되며, 또한 등받이부(157)의 하방 부분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는 앉음면부(156)의 우측의 측연부에 접속되며, 또한 등받이부(157)의 하방 부분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각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는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의 대응하는 측의 측연부와 겹쳐서 봉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각 측면부(160)는, 그 측면 본체부(161) 및 측면 연결부(165)에 있어서,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각 상방 측면부(167)와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의 하방단의 위치가, 측면부(160)의 등받이부(157)에의 접속연(接續緣) 중 측면 본체부(161)와 측면 연결부(165)의 경계로 되는 위치와 일치해 있다.
또한, 측면부(160)가,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이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변형되어 폭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가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보다도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를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보다도 변형하기 쉬운 천을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측면 본체부(161)를 전술한 앉음면부(156),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와 마찬가지로 쿠션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하고, 측면 연결부(165)를 단순한 천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측면 본체부(161)는 앉음면부(156)로부터 세워진 자세로 유지되며,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에 측방으로부터 대면한다. 이 점에서, 유유아에 접촉할 수 있는 측면 본체부(161)가 쿠션성을 가진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측면 본체부(161)가, 쿠션성을 가진 스펀지 등의 재료를 2개의 천으로 사이에 끼워 넣어서 이루어지는 직물재 등, 자립성을 가진 직물재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8∼도 3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에는 제 1 접힘 주름(162a) 및 제 2 접힘 주름(16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8∼도 3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힘 주름(162a, 162b)은,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요동 축선이 되는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의 측단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의 경로를 대체로 따르도록 해서 연장되어 있다. 측면 본체부(161)는, 2개의 접힘 주름(162a, 162b)에 의하여, 앉음면부(156)와 접속된 제 1 부분(161a)과, 측면 연결부(165)와 접속된 제 3 부분(161c)과, 제 1 부분(161a)과 제 3 부분(161c)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161b)으로 구획 형성된다.
접힘 주름(162a, 162b)은 측면 본체부(161)의 다른 개소보다도 변형하기 쉽게 이루어진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접힘 주름(162a, 162b)은 쿠션성을 가진 직물재에 형성된 봉제 라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제 라인 이외의 형태로서, 선 형상으로 나열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이나 열 압축된 라인에 의하여 접힘 주름(162a, 162b)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8∼도 3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측면부(160)의 이면측에는 보강 부재(163a, 163b, 163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163a, 163b, 163c)는 측면 본체부(161)보다도 변형하기 어려운 재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며, 각 측면 본체부(161)의 제 1∼제 3 부분(161a, 161b, 161c)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부가해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50)는,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의 등받이부(157)로부터 이간한 외연부(外緣部)로부터 연장된 커버(170)를 더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170)는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의 이면의 일부를 덮어 감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에 대면해서 배치된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 및 측면 연결부(165)의 일부분이, 커버(170)에 의하여 덮인다. 또한, 커버(170)의 도시는 도 29 및 도 30에서 생략되어 있다.
그런데,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50)의 측면부(160)에는 시트 지지 유닛(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153)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구(153)는 측면 본체부(161) 중 제 3 부분(161c)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연결구(153)는 제 3 부분(161c)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로부터 이간하는 측이 되는 제 3 부분(161c)의 연부(상연부)의 근방이며 측면 연결부(165)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시트 지지 유닛(40) 중 리클라이닝 동작 시에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대 요동하는 부재에, 이 연결구(153)와 걸어 맞춤 가능한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150)와 시트 지지 유닛(40)은 연결구(153, 46)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구(153, 46)는 버튼, 버클, 후크와 루프, 면파스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측방 지지 요소(45)에 연결구(46)가 부착되어 있다.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의 요동 축선(sc1)이 되는 전하방 연결부(45a)로부터 어긋난 위치이며 요동 축선(sc1)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당해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요동 축선(sc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요동 축선(sc1)보다도 후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한 상태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보다도, 전방이며 상방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15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150)의 측면부(160)와 시트 지지 유닛(40)이 연결구(46, 153)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혹은,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 등에 수반하여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 혹은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부(160)가 내측으로 쓰러져서 측면부(160)가 유모차 본체(11)로부터 이간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150)와 유모차 본체(11) 사이에 의복 등이 끼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내측으로 쓰러진 측면부(160)는, 유유아를 유모차(10)에 승차시킬 때에 유유아가 앉음면부(156)에 앉는 것을 저해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측면부(160)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유유아를 유모차(10)에 적절히 승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측면부(160)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은 외관상의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부가해서, 측면부(160)가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유모차 본체(11)의 절첩 동작 시 및 전개 동작 시에 측면부(160)가 유모차 본체(11)에 간섭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절첩 조작 및 전개 조작을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시에, 연결구(46)는, 시트 지지 유닛(40) 중의 리클라이닝 동작 시에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대 요동하는 부재, 구체적으로는 측방 지지 요소(45)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150)의 측면부(160) 중의, 연결구(46, 153)를 통하여 측방 지지 요소(45)와 접속되어 있는 부분 및 적어도 그 근방이 되는 부분이, 유모차(10)의 시트 지지 유닛(40)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수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46, 153)의 부착 위치를 적절히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리클라이닝 동작에 의해서 이동하는 등받이부(157)에 대하여, 측면부(160)를 항상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시트의 측면부의 폭 방향 안쪽으로의 쓰러짐이나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벌어짐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아울러 등받이부에 대하여 시트의 측면부가 적절히 위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의 요동 축선(sc1)이 되는 전하방 연결부(45a)로부터 어긋난 위치로서 요동 축선(sc1)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부(157)에 대하여 측면부(160)를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등받이부(157)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수반하여 측면부(160)의 연결구(153)가 부착된 부위가 크게 이동해 버려, 측면부(160) 중 연결구(153)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 이외의 부분, 예를 들면, 측면부(160) 중 앉음면부(156)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과 연결구(153)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 사이의 부분,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본체부(161)의 제 2 부분(161b)이 폭 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쓰러져 버리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당해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요동 축선(sc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요동 축선(sc1)보다도 후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한 상태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보다도 전방이며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하여 세워지고 유유아가 시트(150) 상에 착좌(着座)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부(160)는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해서 상방으로 끌어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측면부(160)에 의하여 유모차(10)에 착좌한 유유아를 측방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하여 젖혀지고 유유아가 시트(150) 상에 누워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부(160)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측면부(160) 및 상방 측면부(167)에 의하여 유모차(10)에 누운 유유아를 측방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모차 본체(11)에 장착되는 시트(150)의 측벽으로 되는 부분이, 앉음면부(156)의 측으로부터 연장된 측면부(160)와, 등받이부(157)로부터 연장된 상방 측면부(167)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혹은,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 등에 수반하여 등받이부(157)가 젖혀진 상태로부터 세워졌을 때에는, 측면부(160)와 상방 측면부(167)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면부(160)가 예를 들면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 혹은 폭 방향으로의 어떠한 변형을 초래해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60)는, 상방 측면부(167)에 이면측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측면 연결부(165)에 의하여 등받이부(157)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150)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 연결부(165)는 측면 본체부(161)의 재료보다도 변형하기 쉬운 재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트(150)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이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시트(150)의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때에, 등받이부(157) 및 앉음면부(156)를 연결하는 측면부(160)는,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측면 연결부(165)에 있어서 변형하기 쉬워져, 측면 본체부(161)에서의 변형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가 접근해서 상방 측면부(167)와 측면부(160)가 상대 이동할 때에,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가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이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부(160)는,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의 측방단(側方端)이 되는 위치를 통과해서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속 개소를 통하여,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허리 부분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시트(150)에 구멍 또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 연결부(165)와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 및 측면 연결부(165)와 측면 본체부(161)의 경계가, 대체로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의 한 궤적을 따라서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이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시트(150)의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때에, 등받이부(157) 및 앉음면부(156)를 연결하는 측면부(160)는,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측면 연결부(165)에 있어서 변형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가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이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에 제 1 접힘 주름(162a) 및 제 2 접힘 주름(16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접힘 주름(162a, 162b)은, 대체로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된다. 예를 들면 유모차(10)의 절첩 시와 같이, 등받이부(157)와 앉음면부(156)가 매우 접근하는 바와 같은 경우, 측면부(160)는, 측면 연결부(165)에 있어서 변형할 뿐만 아니라, 제 1 접힘 주름(162a) 및 제 2 접힘 주름(162b)에 있어서 절곡되어, 제 1 부분(161a), 제 2 부분(161b) 및 제 3 부분(161c)이 겹치도록 해서 측면 본체부(161)가 절첩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있어서의, 측면부(160)의 폭 방향 안쪽으로의 쓰러짐 및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 본체부(161)의 제 1∼제 3 부분(161a, 161b, 161c)의 각각에 보강 부재(163a, 163b, 16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163a, 163b, 163c)에 의해서도, 등받이부(157)의 리클라이닝 시나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있어서의, 측면부(160)의 폭 방향 안쪽으로의 쓰러짐 및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3 부분(161c)에 설치된 보강 부재(163c)는, 연결구(15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동작에 수반하여 측면부(160)가 동작했다고 해도, 측방 지지 요소(45)와 측면부(160)를 연결하는 연결구(46, 153)의 근방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163c)에 의하여, 측면부(160)의 폭 방향 안쪽으로의 쓰러짐 및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구니(90)》
다음으로, 주로 도 5, 도 7,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서, 바구니(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구니(90)는 유모차 본체(11)에 부착되며 시트 지지 유닛(40)의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90)는, 저면(91)과, 전면(93)과, 후면(92)과, 전면(93)과 후면(92)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94)을 갖고 있다. 이 중 저면(91)은 바닥 패널(9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후면(92)은, 바닥 패널(96)의 후방 부분, 도시된 예에서는 후방연(後方緣)에 접속된 후측 패널(97)을 포함하고 있다.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은, 각각 직물재로 피복되도록 해서 저면(91) 및 후면(92)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후측 패널(97)은, 바닥 패널(96)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db)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93) 또는 측면(94)의 전방 부분과 측면(94)의 중간 부분이 유모차 본체(11)에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바구니(90)의 후방 부분이 시트 지지 유닛(40)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개구되어 있다.
도 31 및 도 32에는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이 도시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난 구체예에서는, 바닥 패널(96)의 상면(바구니(90)의 내측이 되는 면)의 후방 부분과 접속재(98)가 폭 방향을 따른 솔기(seam)(98a)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또한 후측 패널(97)의 전면(바구니(90)의 내측이 되는 면)의 하방 부분과 접속재(98)가 폭 방향을 따른 솔기(98a)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은,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진 자립 가능한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되고, 접속재(98)는 예를 들면 천과 같은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은 서로 접속되며 또한 서로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에 부착되며 또한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 사이에서 연장되는 압압 부재(99)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99)는 바구니(90)의 후면(92)이 저면(91)으로부터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압압하고 있다. 도 32에 나타난 구체예에서는, 압압 부재(99)는 예를 들면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재이며, 신장된 상태에서 한쪽의 단부가 바닥 패널(96)에 부착되며 또한 다른 쪽의 단부가 후측 패널(97)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압압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구니(90)에서는, 압압 부재(99)에 의하여, 바구니(90)의 후면(92)이 저면(91)으로부터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압압되어 있다. 따라서, 바구니(90)의 후면(92)이 후방으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화물의 출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90)의 내부를 시인(視認)하기 쉽게 되어 있으므로, 바구니(90)로부터의 화물의 방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의 방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화물의 방치에 기인해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94)의 상연(上緣)은 측면 보강연(補强緣)(94a)으로서 형성되며, 전면(93)과 후면(92) 사이에서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바구니(90)의 측면(94)이 긴장되어 내측으로 쓰러지지 않으므로, 화물의 출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90)의 내부를 시인하기 쉽게 되어 있으므로, 바구니(90)로부터의 화물의 방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의 방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화물의 방치에 기인해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모차 본체(11)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유모차 본체(11)가 절첩되었을 때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바구니(90)의 후면(92)은, 압압 부재(99)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하여, 유모차 본체(1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상연이 유모차 본체(1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하연(下緣)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를 절첩했을 때, 바구니(90) 내에 수납되어 있던 화물은 후면(92)의 경사에 의하여 바구니(90) 내로부터 자동적으로 나오려고 한다. 이 점에서도, 바구니(90)로부터의 화물의 방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화물의 방치에 기인해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유모차 본체(11)가 절첩되었을 때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바구니(90)의 저면(91)이, 유모차 본체(1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후연(後緣)이 유모차 본체(1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전연(前緣)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를 절첩했을 때, 바구니(90) 내에 수납되어 있던 화물은 저면(91)의 경사에 의하여 바구니(90) 내로부터 자동적으로 나오려고 한다. 이 점에서도, 바구니(90)로부터의 화물의 방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화물의 방치에 기인해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차륜과,
    전(前)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일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회전체에 대면하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로크 부재로서,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그 일측단이 수용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회전체와 걸어 맞춰져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서 압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받침면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측방에 위치하는 스프링측 연장부를 갖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스프링 받침면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스프링측 연장부와 접속된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와 접속되며 상기 기부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연장된 차륜측 연장부를 갖고,
    차륜측 연장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를 갖는, 유모차용의 차륜 유지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측 연장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를 가지며, 적어도 세 방향으로부터 상기 압축 스프링을 둘러싸는 차륜 유지 유닛.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측 연장부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선단 테이퍼부를 갖는 차륜 유지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상기 로크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차륜측 연장부를 수용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바닥 테이퍼부를 갖는 차륜 유지 유닛.
  6.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과,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륜 유지 유닛으로서,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고정체가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로 혹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핸들의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에 따라 동작하는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환 부재의 동작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유모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을 관통해서 연장되는 와이어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재의 한쪽의 단부가, 상기 스프링 받침면을 형성하는 상기 로크 부재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KR1020140083183A 2013-07-04 2014-07-03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KR102246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1051 2013-07-04
JP2013141051A JP6257938B2 (ja) 2013-07-04 2013-07-04 乳母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68A KR20150005468A (ko) 2015-01-14
KR102246595B1 true KR102246595B1 (ko) 2021-04-30

Family

ID=5225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183A KR102246595B1 (ko) 2013-07-04 2014-07-03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57938B2 (ko)
KR (1) KR102246595B1 (ko)
CN (1) CN104276197B (ko)
TW (1) TWI6119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4796B2 (ja) * 2015-03-31 2018-12-2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用のシート、乳母車及びシート規制具
JP6639168B2 (ja) * 2015-09-18 2020-02-05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7116679B2 (ja) 2016-04-28 2022-08-10 日本ケミファ株式会社 多発性硬化症の治療のための医薬
JP7009086B2 (ja) * 2017-06-01 2022-01-25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11902146B (zh) 2018-03-14 2024-04-12 日本化学药品株式会社 用于治疗咳嗽的医药品
AU2020439775A1 (en) 2020-03-30 2022-11-03 Nippon Chemiphar Co., Ltd. Medicament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JPWO2022030428A1 (ko) 2020-08-03 2022-02-10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693A (ja) * 2007-04-09 2008-10-23 Combi Corp 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3564Y1 (ko) * 1969-02-27 1973-04-13
JPS60105559U (ja) * 1983-12-26 1985-07-18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押棒のロツク機構
US5125676A (en) * 1991-07-03 1992-06-30 Teng Jerry M S Controlling structure for a handle and castors of a stroller
TWI409186B (zh) * 2007-01-16 2013-09-21 Combi Corp 嬰兒車(一)
JP5101744B2 (ja) * 2012-04-23 2012-12-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693A (ja) * 2007-04-09 2008-10-23 Combi Corp 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13567A (ja) 2015-01-22
TW201507905A (zh) 2015-03-01
KR20150005468A (ko) 2015-01-14
JP6257938B2 (ja) 2018-01-10
CN104276197B (zh) 2018-11-16
TWI611963B (zh) 2018-01-21
CN104276197A (zh)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595B1 (ko)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KR102127849B1 (ko) 유모차
KR20120121394A (ko) 절첩 가능한 유모차
KR102037861B1 (ko) 유모차 및 시트 유닛
KR102246596B1 (ko)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KR102213626B1 (ko) 유모차
CN112203921B (zh) 婴儿车
JP6169426B2 (ja) 乳母車及びシート支持ユニット
CN103419828B (zh) 座垫及婴儿车
KR101799331B1 (ko) 유모차
KR102331278B1 (ko) 유모차
JP7382688B1 (ja) 乳母車
JP6976603B2 (ja) 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