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861B1 - 유모차 및 시트 유닛 - Google Patents

유모차 및 시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861B1
KR102037861B1 KR1020147032111A KR20147032111A KR102037861B1 KR 102037861 B1 KR102037861 B1 KR 102037861B1 KR 1020147032111 A KR1020147032111 A KR 1020147032111A KR 20147032111 A KR20147032111 A KR 20147032111A KR 102037861 B1 KR102037861 B1 KR 10203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ment
seat
baby carriage
frame
s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262A (ko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신사쿠 아리모토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6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head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와 시트 유닛(50)을 갖는다. 유모차 본체는, 전각(22)과, 후각(24)과, 전각에 부착된 전측 지지 요소(40)와, 후각에 부착된 후측 지지 요소(45)를 갖는 유모차 본체(15)를 갖는다. 시트 유닛(50)은,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와,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접속되어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를 갖는다. 전측 지지 요소는, 시트 유닛과 고착되어 전각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전측 지지부(41)를 포함한다. 후측 지지 요소는, 시트 유닛과 피벗 부착되어 후각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후측 지지부(4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모차 및 시트 유닛{BABY STROLLER AND SEAT UNIT}
본 발명은, 유모차 및 시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유유아(乳幼兒)를 승차시키는 유모차가 널리 이용에 제공되고 있다. JP2007-99000A(CN1939787A, US2007/132207)에 개시된 유모차는, 쿠션성을 갖는 시트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seat)부 지지 프레임, 등받이부 지지 프레임, 사이드 플레이트 및 헤드레스트를 갖고 있다. 이 유모차에서는, 리클라이닝이 가능하도록, 등받이부 지지 프레임이 시트부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도 시트부 지지 프레임 및 헤드레스트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플레이트는, 링크로서 기능하여, 등받이부 지지 프레임의 요동에 따라서, 헤드레스트를 등받이부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시키게 되어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JP2007-99000A에 개시되어 있는 유모차와 같이, 이용에 제공되고 있는 유모차의 대부분이 절첩(折疊)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절첩 가능한 유모차에서는, 각 구성 요소가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으며, 일부의 요소가 링크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절첩 가능한 유모차는 각 구성 요소를 서로 고착 또는 피벗 부착해 감으로써 조립되어 있다. JP2007-99000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시트부 지지 프레임이 절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링크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등받이부 지지 프레임의 시트부 지지 프레임에의 피벗 부착 개소가, 후각(後脚), 브래킷, 연결 로드 및 핸들의 피벗 부착 개소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번의 피벗 부착 공정에 의해, 이 다수의 구성 요소들을 피벗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본건 발명자들은,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유모차의 구성 부분, 즉 시트부 프레임 요소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유닛이, 유모차의 다른 구성 부분과는 별도로 설계할 수 있는, 구성할 수 있는 또는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유모차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이번에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知見)에 의거한 것이며,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는,
전각(前脚)과, 후각과, 상기 전각에 부착된 전측 지지 요소와, 상기 후각에 부착된 후측 지지 요소를 갖는 유모차 본체와,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접속되어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를 갖는 시트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측 지지 요소는, 상기 시트 유닛과 고착되어 상기 전각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전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측 지지 요소는, 상기 시트 유닛과 피벗 부착되어 상기 후각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후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이 피벗 부착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후단부와 피벗 부착되며 또한 상기 후측 지지 요소에 접속되어 상기 후측 지지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링크 요소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과 상기 후측 지지부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한 요동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측 지지부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를 위쪽으로부터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접속되어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상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상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상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측방 프레임 요소를 더 갖고,
유모차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과 상기 후측 지지부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은, 상기 측방 프레임 요소의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는,
전각 및 후각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적어도 1개소에 있어서 피벗 부착된 시트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 유닛은,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접속되어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를 갖고,
유모차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과 상기 유모차 본체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한 요동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유모차.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이 피벗 부착된 암레스트와, 상기 후각과 피벗 부착되며 또한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피벗 부착된 후측 지지 요소와, 상기 암레스트의 후단부와 피벗 부착되며 또한 상기 후측 지지 요소에 접속되어 상기 후측 지지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제1 링크 요소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접속되어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상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상방 프레임 요소 및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상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측방 프레임 요소를 더 갖고,
유모차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상기 측방 프레임 요소의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한 요동 축선은, 상기 시트 유닛과 상기 유모차 본체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 및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한 요동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상기 전각에 부착된 전측 지지 요소를 더 갖고, 상기 전측 지지 요소는, 상기 시트 유닛과 고착되어 상기 전각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전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측 지지부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를 위쪽으로부터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측 지지 요소는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부분을 통하여, 상기 전측 지지부는 상기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전각으로부터 이간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후측 지지 요소는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부분을 통하여, 상기 후측 지지부는 상기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상기 후각으로부터 이간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및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장착된 직물재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의 양 단부(端部) 또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양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및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장착된 직물재와,
상기 직물재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요소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직물재와 상기 연결 프레임 요소 사이에서 연장되는 긴장(緊張) 부재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를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시키면, 상기 상방 프레임 요소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의 양 단부가, 각각, 대응하는 측의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 프레임재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재의 양단에 고착된 한 쌍의 지지 기재를 갖고,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등받이부 프레임재를 갖고,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재의 양 단부가, 각각 대응하는 측의 상기 지지 기재에 피벗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가, 상기 시트 유닛에 장착되는 시트 본체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유닛은,
전각 및 후각을 갖는 유모차 본체에 적어도 1개소에 있어서 피벗 부착됨으로써,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게 되는 시트 유닛으로서,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접속되어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를 갖고,
측면 보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과 상기 유모차 본체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한 요동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시트 본체를 떼어낸 유모차를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가 세워 올려진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를 등받이부가 쓰러진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유모차를 절첩한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시트 본체 및 직물재를 떼어낸 유모차를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가 쓰러진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유모차를 등받이부가 쓰러진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1의 유모차를 절첩한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유모차(10)는, 전각(22) 및 후각(24)을 갖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 본체(15)에 지지된 시트 유닛(50)과, 시트 유닛(50)에 장착된 시트 본체(13)를 갖고 있다. 시트 본체(13)는 쿠션성을 갖는 기지(旣知)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 유닛(5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시트 본체(13) 상에 유유아가 앉거나 눕게 된다. 또, 시트 본체(13)는, 이해의 편의상,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중에서는 도 2에만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15)는, 전각(22) 및 후각(24)을 갖는 본체 프레임(16)과, 본체 프레임(16)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푸시 핸들(38)을 갖고 있다. 이 유모차(10)에서는 핸들(38)이 본체 프레임(16)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38)은, 도 1 및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배면 밀기 위치(후방 위치)와, 도 2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대면 밀기 위치(전방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38)을 본체 프레임(16)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기지의 구성, 예를 들면, JP2008-254688A에 개시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22), 후각(24) 및 핸들(38)이 서로 접근하도록 하여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모차 본체(15)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는 절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로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 본체(13)는 유연성을 갖는 직물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0), 유모차 본체(15) 및 시트 유닛(50)에 대한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을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측이 「전측」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유모차(10)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가로 방향」 및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방향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우」 및 「좌」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가로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 및 「좌」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유닛(50) 및 유모차 본체(15)에 대하여 차례로 상세히 기술해 간다. 도 1∼도 5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유닛(50)은,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와,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와 접속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를 갖고 있다.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둔부에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등의 배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해서 요동 가능(경도(傾倒)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리클라이닝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보다 엄밀하게는 약간 각진 대략 U자의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고,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도 전체적으로 U자 형상(보다 엄밀하게는 약간 각진 대략 U자의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 형상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와 U자 형상의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가, 서로의 개방부를 마주보도록 해서, 대응하는 단부끼리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와 직접적으로 접속되며,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이 예에 한하지 않으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가 다른 부재를 통하여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와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 프레임재(61)와, 시트부 프레임재(61)가 이루는 U자의 단부(61a)에 각각 부착된 지지 기재(63)를 갖고 있다. 시트부 프레임재(61)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2a)와,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2a)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부(62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2a)는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부(62b)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2a)의 전측 단부를 잇도록 연장되어 있다. 시트부 프레임재(61)는 단일의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파이프)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일체물의 부품(부재)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시트부 프레임재(61)의 단부(61a)에 고착된 지지 기재(63)는, 폭 방향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연장되는 부품(부재)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등받이부 프레임재(66)와, 등받이부 프레임재(66)가 이루는 U자의 단부(66a)에 각각 부착된 단부 부재(캡재)(68)를 갖고 있다. 등받이부 프레임재(66)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7a)와,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7a)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부(67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7a)는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내에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부(67b)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7a)의 후측 단부를 잇도록 연장되어 있다. 등받이부 프레임재(66)는 단일의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파이프)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일체물의 부품(부재)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등받이부 프레임재(66)의 단부(66a)에 고착된 단부 부재(68)는, 등받이부 프레임재(66)의 단부(66a)를 덮는 캡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부재를 사용하여,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단부 부재(68)가,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지지 기재(63)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가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시트 본체(13)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직물재(80)가 팽팽하게 설치, 환언하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직물재(80)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를 이루는 시트부 프레임재(61)의 연결 프레임부(62b)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2a),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를 이루는 등받이부 프레임재(66)의 연결 프레임부(67b)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7a)에, 그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그 결과, 직물재(80)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긴장 상태, 환언하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의하여 지지된 직물재(80)가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게 되므로, 시트 본체(13)를 지지하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를 판 형상의 부재로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시트 본체(13)에 판 형상 부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이에 따라, 유모차(10)를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승차감의 면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양 단부의 사이 또는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양 단부의 사이에 연결 프레임 요소(55)가 설치되고, 직물재(80)와 연결 프레임 요소(55) 사이에서 긴장 부재(83)가 연장되도록 해도 된다.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 요소(55)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지지 기재(63)에 고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긴장 부재(83)는, 일단이 연결 프레임 요소(55)에 부착됨과 함께, 타단이 직물재(80)에 꿰매 붙여져 있다. 또한,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 요소(55)의 지지 기재(63)에의 부착 위치는,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부착 위치보다, 즉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피벗 부착 축선(요동 축선)(A1)보다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그 결과, 긴장 부재(83)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지지된 직물재(80)를 아래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 긴장 부재(83)에 의하면, 직물재(80)를 보다 안정적으로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트 본체(13)를 직물재(80)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유닛(50)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접속되어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상방 프레임 요소(70)와, 상방 프레임 요소(70) 및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각각 접속된 측방 프레임 요소(75)를 갖고 있다. 측방 프레임 요소(75)는 상방 프레임 요소(70)와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방 프레임 요소(70)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2개의 접속구(53)를 통하여,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구(53)는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를 이루는 등받이부 프레임재(66)의 연결 프레임부(67b)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 프레임 요소(70)의 하단부가 접속구(53)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양 측방에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75)가 설치되어 있다. 각 측방 프레임 요소(75)는, 그 하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의 지지 기재(63)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각 측방 프레임 요소(75)의 상단 부분에는, 상방 프레임 요소(70)의 접속 걸어맞춤부(접속 걸어맞춤 수단)(71)와 걸어맞춤 가능한 접속 걸어맞춤부(접속 걸어맞춤 수단)(76)이 설치되어 있다. 각 측방 프레임 요소(75)는, 접속 걸어맞춤부(71, 76)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방 프레임 요소(7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측방 프레임 요소(75)는, 상방 프레임 요소(70) 및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각각에 대해서,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되어 있다.
단, 도시된 예에 한하지 않으며, 상방 프레임 요소(70)는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다른 부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측방 프레임 요소(75)는 상방 프레임 요소(70) 및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 다른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측방 프레임 요소(75)의 접속 걸어맞춤부(76)는 가늘고 긴 유도 구멍(76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방 프레임 요소(70)의 접속 걸어맞춤부(71)는, 유도 구멍(76a)을 관통하는 접속 걸어맞춤 돌기(71a)와, 접속 걸어맞춤 돌기(71a)의 유도 구멍(76a)을 관통한 부분에 부착된 빠짐 방지재(71b)를 갖고 있다. 접속 걸어맞춤 돌기(71a)는 가늘고 긴 유도 구멍(76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께를 갖고 있다. 빠짐 방지재(71b)는 유도 구멍(76a)에 들어가지 않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방 프레임 요소(75)는, 링크로서 기능하여,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요동에 따라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대하여 상방 프레임 요소(70)를 요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가 쓰러진 상태에 있어서, 상방 프레임 요소(70)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대하여 세워 올려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유닛(50) 상에서 누운 상태의 유유아를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75)에 의하여 측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상방 프레임 요소(70)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가 세워 올려진 상태에 있어서, 상방 프레임 요소(70)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시트 유닛(50) 상에 앉은 상태의 유유아를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75)에 의하여 측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상방 프레임 요소(70)가 헤드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를 절첩함과 함께,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를 일으켰을 때에는, 상방 프레임 요소(70)도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게 되어, 절첩 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로부터 상방 프레임 요소(70)가 튀어나오게 되는 것을 회피하여, 유모차(10)의 절첩 치수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 있어서, 시트 유닛(50)은 적어도 1개소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15)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이 유모차(10)에 있어서는, 시트 유닛(50)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가 유모차 본체(15)와 피벗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지지 기재(63)에, 유모차 본체(15)와의 피벗 부착에 사용되는 축 부재(49)가 관통하는 구멍(6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이 구멍(63a)은, 연결 프레임 요소(55)의 부착 개소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피벗 부착 개소 및 측방 프레임 요소(75)의 피벗 부착 개소보다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유닛(50)과 유모차 본체(15)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A3)은, 측방 프레임 요소(7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2)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1)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1∼도 3을 참조해서, 전술해 온 시트 유닛(50)을 지지하는 유모차 본체(15)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좌우의 전각(22) 및 좌우의 후각(24)을 갖는 본체 프레임(16)과, 각 전각(2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차륜(전륜)(23)과, 각 후각(24)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차륜(후륜)(25)과, 본체 프레임(16)에 대해서 대면 밀기 위치와 배면 밀기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핸들(38)을 갖고 있다. 본체 프레임(16)은, 대응하는 측의 전각(22) 및 후각(24)이 각각 피벗 부착된 좌우의 암레스트(28)와, 대응하는 측의 암레스트(28)의 후단부에 피벗 부착된 좌우의 링크 요소(26)와, 대응하는 측의 전각(22)에 부착된 좌우의 전측 지지 요소(40)와, 대응하는 측의 후각(24)에 부착된 좌우의 후측 지지 요소(45)를 갖고 있다.
각 암레스트(28)에는 대응하는 측의 전각(22)의 상단부 및 대응하는 측의 후각(24)의 상단부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 각 링크 요소(26)는, 후측 지지 요소(45)와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후측 지지 요소(45)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링크 요소(26)는 후측 지지 요소(45)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링크 요소(26)는 요동 가능하도록 하여 후측 지지 요소(45)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 있어서, 전측 지지 요소(40)는, 전각(22)의 중간부에 고착된 폭 방향 돌출 부분(42)과, 폭 방향 돌출 부분(42)에 접속된 전측 지지부(41)를 갖고 있다. 전측 지지부(41)는, 폭 방향 돌출 부분(42) 및 전각(22)을 관통하는 축 부재를 사용하여, 폭 방향 돌출 부분(42) 및 전각(22)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측 지지부(41)는 전각(22)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측 지지 요소(40)의 전측 지지부(41)는 시트 유닛(50)과 고착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전측 지지부(41)는 시트 유닛(50)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고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전측 지지부(41)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를 이루는 시트부 프레임재(61)의 대응하는 측의 측면 프레임부(62a)와 고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지지부(41)의 상단부에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시트부 프레임재(61)를 위쪽으로부터 수용하는 오목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 프레임재(61)가 이 오목부(41a)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핀 등을 사용하여 시트부 프레임재(61)가 전측 지지부(41)에 대해서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는 전측 지지 요소(40)에 의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다.
전측 지지부(41)의 하단부는 폭 방향 돌출 부분(42)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폭 방향 돌출 부분(42)은 대응하는 측의 전각(22)으로부터 유모차(10)의 폭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뻗어 나와 있다. 이 폭 방향 돌출 부분(42)을 통하여, 전측 지지부(41)는 유모차(10)의 폭 방향으로 전각(22)으로부터 이간해 있다. 이러한 폭 방향 돌출 부분(42)에 의하면, 전측 지지부(41)와 전각(22) 사이에 충분한 극간(隙間)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측 지지부(41)가 전각(22)에 대해서 요동했을 때에, 전측 지지부(41)와 전각(22) 사이에 의복이나 시트 본체(13) 등이 끼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지지부(41)의 상단부가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측면 프레임부(62a)와 고착되어 있으므로, 전측 지지부(41)가 전각(22)에 대해서 요동했을 때에, 시트 유닛(50)과 전각(22) 사이에 의복이나 시트 본체(13) 등이 끼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전측 지지 요소(40)의 각 전측 지지부(41)가 스테이 홀더(44b) 및 시트 받침 스테이터(44a)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시트 받침 스테이터(44a)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테이 홀더(44b)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시트 받침 스테이터(44a)가 전방으로 뻗어나옴으로써, 시트 본체(13)의 전방 부분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시트 유닛(50)의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가 쓰러져서 유유아가 시트 본체(13) 상에 누워 있을 경우에, 시트 받침 스테이터(44a)에 의하여 시트 본체(13)의 전방 부분을 들어올려서, 유유아의 다리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후측 지지 요소(45)는 시트 유닛(50)과 피벗 부착된 후측 지지부(46)를 갖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측 지지부(46)는 시트 유닛(50)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후측 지지부(46)는 축 부재(49)를 사용하여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를 이루는 지지 기재(63)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부 프레임 요소(60)가 후측 지지 요소(45)에 의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게 된다.
후측 지지부(46)는 축 부재(49)를 사용하여 링크 요소(26)와도 피벗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축 부재(49)를 사용하여 링크 요소(26) 및 시트 유닛(50)이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후측 지지부(46)와 시트 유닛(50)의 회동 축선(A3)은, 후측 지지부(46)와 링크 요소(26)의 회동 축선(A3), 및 링크 요소(26)와 시트 유닛(50)의 회동 축선과 일치해 있다. 한편,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이 시트 유닛(50)과 후측 지지부(46)를 피벗 부착하는 이 축선(A3)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1) 및 측방 프레임 요소(7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2)의 양쪽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다.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 부재(49)는 후측 지지부(46)의 위쪽 단부 부분을 관통해 있다. 한편, 후측 지지부(46)는 아래쪽 단부 부분에 있어서 후각(24)에 접속되어 있다. 특히 제1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지지부(46)는 후각(24)의 중간부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후측 지지부(46)는 후각(24)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도록 하여 당해 후각(24)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후측 지지 요소(45)는 후측 지지부(46)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6)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2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풋레스트(17)와, 한 쌍의 후각(24)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연결재(19)와, 한 쌍의 암레스트(28)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드 부재(18)를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프레임(16)에 대해서, U자 형상의 핸들(38)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38)은, U자의 양 단부가 대응하는 측의 후측 지지 요소(45)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들(38)은, 축 부재(49)를 사용하여 후측 지지 요소(45)의 후측 지지부(46), 링크 요소(26), 시트 유닛(50)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시된 유모차(10)에 있어서, 축 부재(49)는, 폭 방향을 따른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핸들(38), 후측 지지 요소(45)의 후측 지지부(46), 링크 요소(26), 시트 유닛(50)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지지 기재(63)의 순서로 이 구성 요소들을 관통해 있다.
핸들(38)은, 핸들(38)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핸들(38)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핸들 고정 부재(30)를 갖고 있다. 핸들 고정 부재(30)는 본체 프레임(16)에 설치된 걸어맞춤 핀(31)과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 핀(31)과 핸들 고정 부재(30)가 걸어맞춰짐으로써, 핸들(38)은 대면 밀기 위치 또는 배면 밀기 위치에 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절첩 상태로 절첩할 수 있다. 절첩 동작 중, 유모차(10)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추동, 요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핸들(38)을 일단 후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아래쪽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후측 지지 요소(45)의 후측 지지부(46)를 후각(24)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암레스트(28) 및 시트 유닛(50)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가 링크 요소(26)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조작에 의해, 핸들(38)과 전각(22)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접근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38)의 배치 위치가 낮춰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어, 유모차(1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절첩 상태에서 전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밟으면 된다.
즉, 이 유모차(10)에 있어서, 후측 지지 요소(45)는, 유모차(10)의 절첩 조작 시 및 유모차(10)의 전개 조작 시에 링크로서도 기능한다. 마찬가지로, 시트 유닛(50)의 일부분(구체적으로는, 후측 지지 요소(45)와 피벗 부착된 영역으로부터 전측 지지 요소(40)에 고착된 영역까지의 부분) 및 전측 지지 요소(40)도, 유모차(10)의 절첩 조작 시 및 유모차(10)의 전개 조작 시에 하나의 링크로서 기능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요소(26)에는 후측 지지부(46)와 걸어맞춤 가능한 로크 부재(33)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33)는 링크 요소(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링크 요소(26)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 부재(33)는, 후측 지지부(46)를 향하여 가압되어, 후측 지지부(46)와 걸어맞춰짐으로써, 링크 요소(26)와 후측 지지부(46)의 상대 요동을 규제한다. 한편, 핸들(38)에는, 로크 부재(33)와 걸어맞춤 가능한 로크 조작 부재(34)와, 로크 조작 부재(34)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원격 조작 기구(35)를 사용함으로써, 로크 조작 부재(34)를 통해서 로크 부재(33)를 조작하여, 로크 부재(33)와 후측 지지부(46)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원격 조작 기구(35)를 조작함으로써,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절첩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 따르면, 시트 유닛(50)이, 유모차 본체(15)의 전측 지지 요소(40) 및 후측 지지 요소(45)를 통하여 유모차 본체(15)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 본체(15)와는 별도로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독립하여 시트 유닛(50)의 설계, 구성, 제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 따르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시트 유닛(50)과 유모차 본체(15)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A3)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1)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다. 또한,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시트 유닛(50)과 유모차 본체(15)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A3)은, 측방 프레임 요소(7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2)으로부터도 어긋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유모차 본체(15)와는 별도로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독립하여 시트 유닛(50)의 설계, 구성, 제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모차 본체(15)와는 별도로 독립하여 시트 유닛(50)을 설계, 구성,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면, 유모차(10)의 설계의 자유도를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절첩 가능한 유모차(10)의 링크 구성을 대폭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전측 지지 요소(40) 및 후측 지지 요소(45)의 구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높이 방향 위치, 환언하면 유모차(10)의 시트면의 높이를, 넓은 범위에서 높은 자유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모차(10)의 절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부터 큰 제약을 받지 않아,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1)의 위치를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적절해지도록 유모차(1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유닛(50) 상에 장착되는 시트 본체(13)의 절첩 시에 있어서의 형상(형체, 자세)을 적정화하고,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절첩 조작을 용이화 또는 원활화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1)의 위치를 적절히 설계하여, 절첩된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의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와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사이의 각도가 지나치게 좁아지지 않도록 해 두면 된다. 이 경우,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가 지나치게 접근하여 시트 본체(13)의 스페이스가 확보되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의 제조에 있어서, 시트 유닛(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요에 따라서 유모차 본체(15)의 일부분과 함께 미리 제작하고, 다음으로, 제작된 시트 유닛(50)을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각 구성 요소를 차례로 부착해 가서 유모차를 제조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유모차(10)의 생산을 용이화, 안정화, 고효율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시트 유닛(50)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뿐만 아니라, 상방 프레임 요소(70) 및 상방 프레임 요소(70)의 틸팅(tilting)을 제어하는 링크로서 기능하는 측방 프레임 요소(75)를 포함하는 바와 같은 경우, 미리 복잡한 구성을 갖는 시트 유닛(50)을 조립해 둠으로써, 유모차(10)의 제조를 대폭적으로 간략화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시트 유닛(50)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팽팽하게 설치된 직물재(80)를 가질 경우,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 요소(55)나, 직물재(80)를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 부재(83)를 가질 경우에는, 미리 복잡한 구성을 갖는 시트 유닛(50)을 조립해 둠으로써, 유모차(10)의 제작을 비약적으로 간략화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재(80)를 미리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장착해 둘 수 있고, 또한 긴장 부재(83)도 미리 시트 유닛(50)에 조립해 둘 수 있으므로, 직물재(80)의 팽팽한 정도가 높은 정밀도로 조절되게 된다. 단, 본 발명은, 유모차(10)의 제조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지지부(41)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를 위쪽으로부터 수용하는 오목부(41a)를 가지며,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전측 지지 요소(40)를 통한 시트 유닛(50)의 유모차 본체(15)에의 부착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유닛(50)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미리 제작하여 유모차 본체(15)를 제작할 경우에는, 전측 지지 요소(40)를, 시트 유닛(50) 및 유모차 본체(15) 외의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에 먼저 부착해도 된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제조 방법의 자유도도 향상하며, 유모차(10)의 생산 효율의 개선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도 10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도 10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된 유모차(10)에 대하여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대응하는 구성 요소, 부재, 부위에 대해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도 8에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유모차(10)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와 마찬가지로, 전각(22) 및 후각(24)을 갖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 본체(15)에 지지된 시트 유닛(50)과, 시트 유닛(50)에 장착된 시트 본체(13)를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15)는, 전각(22) 및 후각(24)을 갖는 본체 프레임(16)과, 본체 프레임(16)에 대해서 대면 밀기 위치(도 7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배면 밀기 위치(도 7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푸시 핸들(38)을 갖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트 유닛(5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와 마찬가지로,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접속되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 상방 프레임 요소(70) 및 측방 프레임 요소(75)를 갖고 있다. 시트부 프레임 요소(60)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2a) 및 연결 프레임부(62b)를 포함하는 U자 형상의 시트부 프레임재(61)와, 시트부 프레임재(61)의 단부(61a)에 부착된 좌우의 지지 기재(63)를 갖고 있다.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7a) 및 연결 프레임부(67b)를 포함하는 U자 형상의 등받이부 프레임재(66)와, 등받이부 프레임재(66)의 단부(66a)에 부착된 좌우의 단부 부재(캡재)(68)를 갖고 있다. 각 단부 부재(68)가 대응하는 측의 지지 기재(63)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 요소(70)의 하단부가 등받이부 프레임재(66)의 연결 프레임부(67)에 대해서 접속구(53)를 통하여 접속되며, 상방 프레임 요소(70)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 요소(70)의 양 측부에 각각 측방 프레임 요소(75)가 접속되어 있다. 각 측방 프레임 요소(75)는, 그 접속 걸어맞춤부(접속 걸어맞춤 수단)(76)를 상방 프레임 요소(70)의 접속 걸어맞춤부(접속 걸어맞춤 수단)(71)와 걸어맞춤으로써, 상방 프레임 요소(70)에 접속되며 또한 상방 프레임 요소(70)에 대해서 상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유닛(50)과 유모차 본체(15)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A3)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1)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방 프레임 요소(75)의 반대측의 단부는, 시트부 프레임 요소(60)가 아닌, 유모차 본체(15)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보다 엄밀하게는, 측방 프레임 요소(75)는 유모차 본체(15)의 링크 요소(26)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축 부재(49)를 수용하는 구멍(63a)이 연결 프레임 요소(55)의 부착 개소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피벗 부착 개소보다 위쪽에 위치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는 이 점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단,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를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해서 요동시키면, 측방 프레임 요소(75)가 링크로서 기능하여, 상방 프레임 요소(70)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 대해서 요동하게 할 수 있다.
도 9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부 프레임 요소(60) 및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에는 직물재(80)가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기재(63)의 사이에는, 연결 프레임 요소(55)가 연장되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재(80)와 연결 프레임 요소(55) 사이에 긴장 부재(83)가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모차 본체(15)의 본체 프레임(1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와 마찬가지로, 전각(22), 후각(24), 암레스트(28), 링크 요소(26), 가드 부재(18), 풋레스트(17), 후방 연결재(19), 전측 지지 요소(40) 및 후측 지지 요소(45)를 갖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측 지지 요소(40)는, 전각(22)에 부착된 부착 부분(43)과, 시트 유닛(50)을 수용하는 오목부(41a)가 상단부에 형성된 전측 지지부(41)와, 전측 지지부(41)와 부착 부분(43) 사이에서 연장되는 폭 방향 돌출 부분(42)을 갖고 있다. 부착 부분(43)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하여 대응하는 측의 전각(22)에 고착되어 있다. 부착 부분(43)은 유모차(10)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연장되어 있다. 즉, 부착 부분(43)은 폭 방향 돌출 부분(42)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측 지지 요소(45)의 후측 지지부(46)는, 선 형상, 특히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재료, 특히 금속제의 재료와, 당해 재료의 선단에 고착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L자 형상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축 부재(49)를 사용하여, 후측 지지부(46)는, L자의 일단부에 있어서, 핸들(38), 링크 요소(26) 및 시트 유닛(50)과, 동일 축선 상에서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지지 요소(45)가 후측 지지부(46)의 L자의 타단부에 설치된 폭 방향 돌출 부분(47)을 더 갖고 있다. 폭 방향 돌출 부분(47)은, 대응하는 측의 후각(24)으로부터 유모차(10)의 폭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뻗어 나와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지지부(46)가 폭 방향 돌출 부분(47)을 통하여 후각(24)에 접속되어 있다.
즉, 폭 방향 돌출 부분(47)을 통하여, 후측 지지부(46)는 유모차(10)의 폭 방향으로 후각(24)으로부터 이간해 있다. 이러한 폭 방향 돌출 부분(47)에 의하면, 후측 지지부(46)와 후각(24) 사이에 충분한 극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후측 지지부(46)가 후각(24)에 대해서 요동했을 때에, 후측 지지부(46)와 후각(24) 사이에 의복이나 시트 본체(13) 등이 끼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U자 형상의 핸들(38)은, 축 부재(49)를 사용하여, 링크 요소(26), 후측 지지 요소(45)의 후측 지지부(46), 시트 유닛(50)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도시된 유모차(10)에 있어서, 축 부재(49)는, 폭 방향을 따른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핸들(38), 링크 요소(26), 후측 지지 요소(45)의 후측 지지부(46), 시트 유닛(50)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의 지지 기재(63)의 순서로 이 구성 요소들을 관통해 있다.
그런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전각(22) 및 후각(24)에 부착된 차륜 유지 기구(22a, 24a)가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 축선(La)을 중심으로 하여 차륜(23, 25)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회전 축선(La)에 교차해서 연장되는 선회 축선(Lb)을 중심으로 하여, 차륜(23) 및 차륜(25)을 유지하는 축 부재(차축)를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차륜 유지 기구(22a, 24a)에는 선회 축선(Lb)을 중심으로 한 차륜(23, 25)의 선회를 규제하기 위한 로크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로크 기구에 의한 차륜(23, 25)의 선회의 규제 및 규제 해제는, 예를 들면 JP2008-254688A, JP2008-254688A, JP2010-234988A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38)의 위치에 연동하여 행해지게 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각(22) 및 후각(24) 중의 이동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기구(22a, 24a)에 대해서는, 선회 축선(Lb)을 중심으로 한 차륜(23, 25)의 선회가 가능하고, 이동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기구(22a, 24a)에 대해서는, 선회 축선(Lb)을 중심으로 한 차륜(23, 25)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조작자(보호자)가 유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핸들(38)을 파지하고 유모차(10)를 조종할 경우, 및 조작자가 유유아에 대면하는 전각측의 위치로부터 핸들(38)을 파지하고 유모차(10)를 조종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주행 중에 유모차(10)를 원활하게 선회시킬 수 있다.
도시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일례로서, 후각(24)에 전환 부재(27)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부재(27)는, 후각(24)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핸들(38)의 단부 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핸들(38)의 단부에는 압압부(38a)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부(38a)는 전환 부재(27)와 접촉하는 외주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환 부재(27)는 핸들(38)의 요동에 따라서 압압부(38a)에 압압되게 되고, 이에 따라, 전환 부재(27)는 후각(24)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전환 부재(27)의 슬라이딩이 각 차륜 유지 기구(22a, 24a)의 로크 기구에 전달되어 차륜(23, 25)의 선회가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 의하면, 시트 유닛(50)이, 유모차 본체(15)의 전측 지지 요소(40) 및 후측 지지 요소(45)를 통하여 유모차 본체(15)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 본체(15)와는 별도로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독립하여 시트 유닛(50)의 설계, 구성, 제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가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 따르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시트 유닛(50)과 유모차 본체(15)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A3)은,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시트부 프레임 요소(60)에 대한 요동 축선(A1)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다. 또한,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시트 유닛(50)과 유모차 본체(15)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A3)은, 측방 프레임 요소(75)의 요동 축선(A2)으로부터도 어긋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유모차 본체(15)와는 별도로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독립하여 시트 유닛(50)의 설계, 구성, 제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점에서, 제2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 요소(55)가 한 쌍의 지지 기재(63)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 프레임 요소(55)가, 시트부 프레임재(61)의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2a)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65)의 한 쌍의 단부 부재(68)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등받이부 프레임재(66)의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67a)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되도록 절첩한 후에 더 절첩하여 폭 방향으로도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유모차(10)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모차 본체(15)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 즉 핸들(38), 가드 부재(18), 풋레스트(17) 및 후방 연결재(19)가 힌지(굴곡점)를 가지며, 이 부재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되도록 절첩된 후에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더 굴곡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유모차(10)에 있어서, 핸들(38)이 배면 밀기 위치(후방 위치)와 대면 밀기 위치(전방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즉,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핸들(38)이 링크 요소(26)와는 별도로 설치되며, 핸들(38)이 본체 프레임(16)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핸들(38)이 후방 위치에 고정되고, 배면 밀기 위치로부터 요동 불가능하게 유모차(10)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38)의 하단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하여, 한 쌍의 링크 요소(26)가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환언하면, 링크 요소(26)가 암레스트(28)와의 접속 개소를 넘어서 더 연장되어, 핸들(38)의 일부분을 구성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시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5)

  1. 전각(前脚)과, 후각(後脚)과, 상기 전각에 부착된 전측 지지 요소와, 상기 후각에 부착된 후측 지지 요소를 갖는 유모차 본체와,
    시트(seat)부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와 접속되어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를 갖는 시트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측 지지 요소는, 상기 시트 유닛과 고착되어 상기 전각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전측 지지부와, 상기 전측 지지부의 하단부에 피벗 부착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측 지지부는, 그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를 위쪽으로부터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전측 지지부는,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상기 폭 방향 돌출 부분보다 위쪽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며, 상기 폭 방향 돌출 부분은, 상기 유모차 본체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전측 지지부를 상기 전각에서 이간시키고,
    상기 후측 지지 요소는, 상기 시트 유닛과 피벗 부착되어 상기 후각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후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유모차의 측면 보기에서, 상기 시트 유닛과 상기 후측 지지부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에 대한 요동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유모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접속되어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상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상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상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측방 프레임 요소를 더 갖고,
    유모차의 측면 보기에서, 상기 시트 유닛과 상기 후측 지지부를 피벗 부착하는 축선은, 상기 측방 프레임 요소의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 축선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유모차.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지지 요소는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부분을 통하여, 상기 후측 지지부는 상기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상기 후각으로부터 이간해 있는 유모차.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 및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에 장착된 직물재를 더 갖는 유모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은,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의 양 단부(端部) 또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양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 요소와,
    상기 직물재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요소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직물재와 상기 연결 프레임 요소 사이에서 연장되는 긴장(緊張) 부재를 더 갖는 유모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 프레임 요소의 양 단부가, 각각, 대응하는 측의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요소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유모차.
  14.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에 장착되는 시트 본체를 더 구비하는 유모차.
  15. 삭제
KR1020147032111A 2012-05-29 2013-05-23 유모차 및 시트 유닛 KR102037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2299 2012-05-29
JP2012122299A JP6017184B2 (ja) 2012-05-29 2012-05-29 ベビーカー
PCT/JP2013/064405 WO2013180014A1 (ja) 2012-05-29 2013-05-23 乳母車およびシート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262A KR20150023262A (ko) 2015-03-05
KR102037861B1 true KR102037861B1 (ko) 2019-10-29

Family

ID=4967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111A KR102037861B1 (ko) 2012-05-29 2013-05-23 유모차 및 시트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57279B1 (ko)
JP (1) JP6017184B2 (ko)
KR (1) KR102037861B1 (ko)
CN (1) CN104395174B (ko)
TW (1) TWI648184B (ko)
WO (1) WO20131800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593A (ko) 2019-12-06 2021-06-16 서운용 도어 푸쉬가 가능한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4979B2 (ja) * 2014-11-04 2019-04-03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6696764B2 (ja) * 2015-12-01 2020-05-20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6771990B2 (ja) * 2016-08-09 2020-10-21 コンビ株式会社 手押しカート
DE202017106245U1 (de) 2017-10-16 2017-11-09 Cybex Gmbh Kinderwagensitz und Kinderwagen-System
KR101894463B1 (ko) * 2018-02-27 2018-09-05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CN111717266A (zh) * 2019-03-20 2020-09-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收折机构及其幼儿载具
KR102415226B1 (ko) 2021-11-15 2022-06-29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000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3062A (ja) * 1987-03-19 1987-12-08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部分
JP3385122B2 (ja) * 1995-01-05 2003-03-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TW280801B (ko) *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JP3385120B2 (ja) * 1994-12-27 2003-03-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JP3385118B2 (ja) * 1994-12-26 2003-03-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US6375213B1 (en) * 1999-09-27 2002-04-23 Combi Corporation Stroller
JP4545278B2 (ja) * 2000-05-18 2010-09-1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299016B2 (ja) * 2003-02-04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KR101159711B1 (ko) * 2003-12-03 2012-06-25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CN2806266Y (zh) * 2005-06-22 2006-08-16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可收合婴儿车车架
JP4841879B2 (ja) * 2005-07-08 2011-12-2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912653B2 (ja) * 2005-09-30 2012-04-1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ガードアーム
KR101368447B1 (ko) 2005-09-30 2014-02-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JP2007098994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
KR101327296B1 (ko) * 2005-09-30 2013-1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의 핸들
JP4757594B2 (ja) * 2005-09-30 2011-08-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2007098996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JP2007098998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摺動制御装置
TWM313999U (en) * 2006-12-29 2007-06-21 Mei-Chuen Lin Rotational foldable chair
JP4994925B2 (ja)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TWM343618U (en) * 2008-06-16 2008-11-01 China Mascot Products Co Ltd Folding seat device of bicycle frame
JP5449752B2 (ja) * 2008-12-03 2014-03-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436911B2 (ja) 2009-03-31 2014-03-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02258291B (zh) * 2010-05-28 2013-10-1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多向使用状态的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000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593A (ko) 2019-12-06 2021-06-16 서운용 도어 푸쉬가 가능한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7279A4 (en) 2016-02-17
JP2013244942A (ja) 2013-12-09
TW201402383A (zh) 2014-01-16
KR20150023262A (ko) 2015-03-05
EP2857279A1 (en) 2015-04-08
CN104395174A (zh) 2015-03-04
EP2857279B1 (en) 2020-01-01
TWI648184B (zh) 2019-01-21
WO2013180014A1 (ja) 2013-12-05
CN104395174B (zh) 2017-03-01
JP6017184B2 (ja)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861B1 (ko) 유모차 및 시트 유닛
JP5410313B2 (ja)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JP2009101790A (ja) 幌付折畳式乳母車
JP2007099000A (ja) ベビーカー
KR102246595B1 (ko)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WO2018051807A1 (ja) ベビーカー
JP2007098996A (ja)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JP5953123B2 (ja)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KR101327296B1 (ko) 유모차의 핸들
KR102331278B1 (ko) 유모차
TWI752337B (zh) 嬰兒車
WO2019054429A1 (ja) 乳母車
KR102246596B1 (ko)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TWI753279B (zh) 嬰兒車
KR102213626B1 (ko) 유모차
TWI755566B (zh) 嬰兒車及保持構件
CN112969625B (zh) 婴儿车
WO2024013906A1 (ja) 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