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713A - 필름반송장치 - Google Patents

필름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713A
KR20150092713A KR1020150017022A KR20150017022A KR20150092713A KR 20150092713 A KR20150092713 A KR 20150092713A KR 1020150017022 A KR1020150017022 A KR 1020150017022A KR 20150017022 A KR20150017022 A KR 20150017022A KR 20150092713 A KR20150092713 A KR 2015009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lamper
state
moving
sandwi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930B1 (ko
Inventor
요시카타 사토시
호소야 마사토
코지마 케니치
Original Assignee
후타바 코포레이션
사츠키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타바 코포레이션, 사츠키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타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9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 B65H23/18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connection with running-web
    • B65H23/188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connection with running-web and controll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7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shred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50Gripping means
    • B65H2405/52Gripping means reciprocating

Landscapes

  • Advancing Web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필름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을 해소하여 필름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한다. 필름의 반송방향 및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입구측에 위치된 제1이동클램퍼(26)와, 반송방향 및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출구측에 위치된 제2이동클램퍼(30)를 구비하고, 필름의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됨과 동시에 제1이동클램퍼 또는 제2이동클램퍼의 적어도 한 쪽이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이동됨으로써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며, 제1이동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가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제1이동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가 동기하여 반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텐션이 부여된 필름이 반송된다.

Description

필름반송장치{Film transport equipment}
본 발명은 필름을 클램퍼에 의해 텐션을 부여한 상태로 반송하는 필름반송장치에 대한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다층필름 등의 각종 필름을 반송하는 필름반송장치가 있다. 이와같은 필름반송장치에는, 예를 들면, 반송중인 필름에 대한 다른 필름의 첩부나 반송중인 필름으로부터의 일부 층의 박리 등의 각종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있다. 또한, 필름반송장치에는 반송중인 필름의 일부를 전단가공하는 것도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반송중인 필름에 대하여 일정 텐션을 부여하여 필름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을 해소하고, 필름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필름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의 발생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필름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제1반송부와 제2반송부가 형성되고, 필름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1반송부의 반송속도와 제2반송부의 반송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제어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필름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입구측에 설치된 그립과 출구측에 설치된 그립에 의해 필름을 각각 유지하고, 입구측에 설치된 그립과 출구측에 설치된 그립의 동작 타이밍을 늦추는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특개 2011-235391호 공보 특개 2008-30755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필름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1반송부의 반송속도와 제2반송부의 반송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제어하고 있지만, 반송전의 상태에 있어서 이미 필름에 처짐 등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속도를 같은 속도로 제어하더라도 필름의 처짐 등을 해소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필름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입구측에 설치된 그립과 출구측에 설치된 그립의 동작 타이밍을 늦추는 제어를 실시하고 있지만, 필름 처짐 등의 정도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필름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필름반송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름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을 해소하여 필름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는,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 및 상기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입구측에 위치된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반송방향 및 상기 반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출구측에 위치된 제2이동클램퍼를 구비하며, 상기 필름의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이동클램퍼 또는 상기 제2이동클램퍼의 적어도 한 쪽이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고,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동기하여 상기 반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텐션이 부여된 상기 필름이 반송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필름의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되어 제1이동클램퍼 또는 제2이동클램퍼의 적어도 한 쪽이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반송방향 또는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고, 제1이동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에 의해 필름이 협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가 동기하여 반송방향으로 이동된다.
두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필름의 상기 입구측의 부분이 면접촉상태로 협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상기 반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름에 대한 텐션 부여시와 필름 반송시에 어느 경우라도 제2이동클램퍼가 필름을 협지한다.
세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입구측에 위치된 제1고정클램퍼와,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필름의 상기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출구측에 위치된 제2고정클램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필름의 상기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름에 대하여 텐션이 부여될 때에, 면접촉상태로 협지된 필름의 두 부분 중 하나의 부분이 반송방향 및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네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입구측에 위치된 제1고정클램퍼와,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필름의 상기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출구측에 위치된 제2고정클램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텐션이 부여된 상기 필름이 반송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클램퍼와 상기 제2고정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상기 비협지상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처짐 등이 해소된 필름이 반송된 상태에 있어서 필름이 제1고정클램퍼와 제2고정클램퍼에 의해 협지된다.
다섯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고정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필름의 상기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름에 대하여 텐션이 부여될 때에, 면접촉상태로 협지된 필름의 두 부분 중 하나의 부분이 반송방향 및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여섯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고정클램퍼와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고정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각각 상기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가동부와 상기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불가능한 고정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고정클램퍼와 제1이동클램퍼와 제2고정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의 각 일부가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된다.
일곱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를 상기 반송방향 및 상기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축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각각 상기 제1고정클램퍼의 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클램퍼의 고정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이드축의 각 일단부를 연결하는 전용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여덟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에 상기 필름의 일부를 박리하는 박리부와 상기 필름에 보호필름을 첩부하는 첩부부와 상기 필름에 점착필름을 첩부하여 상기 점착필름에 의해 상기 필름의 일부를 박리하는 첩부박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름의 반송시에 필름에 대한 소정의 가공이 실시된다.
아홉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에 상기 필름의 일부를 전단하는 프레스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름의 반송시에 필름에 대한 전단가공이 실시된다.
열 번째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에, 상기 필름의 일부를 박리하는 박리부와 상기 필름에 보호필름을 첩부하는 첩부부와 상기 필름에 점착필름을 첩부하여 상기 점착필름에 의해 상기 필름의 일부를 박리하는 첩부박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에 상기 필름의 일부를 전단하는 프레스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름의 반송시에 필름에 대한 소정의 가공이 실시되는 동시에 필름에 대한 전단가공이 실시된다.
본 발명의 필름반송장치는, 필름이 면접촉상태로 협지되어 제2이동클램퍼가 반송방향으로 이동되고 또는 제1이동클램퍼가 반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며, 제1이동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에 의해 필름이 협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가 동기하여 반송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필름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을 해소하여 필름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 도 2 내지 도 15와 함께 본 발명의 필름반송장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도면은 필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 필름에 있어서 표면보호층의 일부가 박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3] 필름에 있어서 점착필름이 첩부되고 표면보호층의 일부와 점착층의 일부가 박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4] 필름에 있어서 보호필름이 첩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5] 필름반송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6] 도 7 내지 도 12와 함께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고, 본 도면은, 제1고정클램퍼와 제1이동클램퍼와 제2고정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7] 제1고정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에 의해 필름이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8] 제2이동클램퍼가 대기위치에서 이동되고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어 처짐이 해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9] 제1이동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에 의해 필름이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10] 필름을 협지하고 있는 제1이동클램퍼와 제2이동클램퍼가 동기하여 반송위치까지 이동되고, 필름이 반송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11] 제1고정클램퍼와 제2고정클램퍼에 의해 필름이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12] 타임챠트 도면이다.
[도 13] 기대의 내측에 첩부박리부가 마련된 필름반송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14] 입구측 그립피더와 출구측 그립피더의 사이에 프레스부가 마련된 필름반송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15] 입구측 그립피더와 출구측 그립피더의 사이에 프레스부와 박리부와 첩부박리부와 첩부부가 마련된 필름반송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필름반송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필름의 반송방향을 오른쪽으로 하고,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을 왼쪽으로 하여 전후상하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아래에 나타내는 전후상하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의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해서는 이들의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의 구성 및 필름 가공공정의 개요]
우선,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필름의 구성 및 필름 가공공정의 일례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도 1 내지 도 4 참조).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필름은, 수지재료나 금속재료 등 각종 재료에 의해 형성된 각종의 것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비교적 얇은 금속박 등도 포함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필름의 층수는 임의이고, 다층필름도 좋으며, 단층필름도 좋다.
필름(100)은 가공전에 있어서, 예를 들면, 3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의 베이스 보호층(101)과 상측의 표면보호층(102)이 점착층(103)에 의해 점착되어 있다(도 1 참조). 필름(100)에는 미리 표면보호층(102) 및 점착층(103)에 도시하지 않은 제1프레스장치에 의해 직사각형의 홈(하프커트부, 104,104, ...)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필름(100)은 필름반송장치에 있어서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오른쪽으로 향하여 반송된다. 반송중에는, 우선, 후술하는 박리부에 의해 표면보호층(102)에 있어서의 홈(104,104, ...)의 외측부분(102a)이 박리된다(도 2 참조).
이어서, 후술하는 첩부박리부에 의해 표면보호층(102)의 잔존부분인 홈(104,104, ...)의 내측부분(102b, 102b, ...)과 점착층(103)에 점착필름(200)이 첩부되고, 점착필름(200)에 의해 표면보호층(102)의 내측부분(102b, 102b, ...)과 점착층(103)의 일부가 박리된다(도 3 참조). 이 때 점착층(103)은 내측부분(102b, 102b, ...)의 외측에 존재하는 외측부분(103a)이 박리되고, 내측부분(102b, 102b, ...)과 베이스 보호층(101)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내측부분(103b, 103b, ...)이 잔존된다.
계속해서, 후술하는 첩부부에 의해 보호필름(300)이 점착층(103)의 내측부분(103b, 103b, ...)과 베이스 보호층(101)에 첩부된다.
필름(100)이 상기와 같이 가공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2프레스장치에 의해 점착층(103)의 내측부분(103b, 103b, ...)을 각각 하나씩 포함 부분마다 절단되어 다수의 제품이 제조된다.
[필름반송장치의 개략구성]
다음으로, 필름(100)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가공 및 반송을 실시하는 필름반송장치(1)의 개략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도 5 참조).
필름반송장치(1)는 기대(2)와 기대(2)상에 좌측부터 순서대로 각각 설치된 제1지주(3), 제2지주(4), 제3지주(5) 및 제4지주(6)를 갖고 있다. 필름반송장치(1)에는 좌측부터 순서대로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가 설치되어 있다.
박리부(7)는 제1지주(3)의 상단부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박리용 권취릴(10)과 기대(2)의 상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박리용 롤(11, 11)을 갖고 있다. 박리용 권취릴(10)은 도시하지 않은 제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박리용 롤(11, 11)은 기대(2)상에 취부된 지지부재(12)에 상하로 나란히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박리부(7)에 있어서는, 미리 표면보호층(102) 및 점착층(103)에 제1프레스장치에 의해 직사각형의 홈(104,104, ...)이 형성된 가공전의 필름(100)이 박리용 롤(11, 11)에 의해 협지되고, 표면보호층(102)의 외측부분(102a)이 박리용 권취릴(10)에 감겨서 박리된다.
첩부박리부(8)는 제2지주(4)의 상단부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첩부박리용 공급릴(13)과 제3지주(5)의 상단부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첩부박리용 권취릴(14)과 기대(2)의 상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1첩부박리용 롤(15, 15)과 기대(2)의 상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2첩부박리용 롤(16, 16)을 갖고 있다. 첩부박리용 권취릴(14)은 도시하지 않은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제1첩부박리용 롤(15, 15)은 기대(2)상에 취부된 지지부재(17)에 상하로 나란히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제2첩부박리용 롤(16, 16)은 기대(2)상에 취부된 지지 부재(18)에 상하로 나란히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첩부박리부(8)에 있어서는, 점착필름(200)이 첩부박리용 공급릴(13)로부터 공급되어 한 쌍의 제1첩부박리용 롤(15, 15)과 한 쌍의 제2첩부박리용 롤(16, 16)의 사이에서 표면보호층(102)의 내측부분(102b, 102b, ...)과 점착층(103)에 첩부되고, 표면보호층(102)의 내측부분(102b, 102b, ...)과 점착층(103)의 외측부분(103a)이 점착필름(200)과 함께 첩부박리용 권취릴(14)에 감겨서 박리된다.
첩부부(9)는 제4지주(6)의 상단부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첩부용 공급릴(19)과 기대(2)의 상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첩부용 롤(20, 20)을 갖고 있다. 첩부용 롤(20, 20)은 기대(2)상에 취부된 지지부재(21)에 상하로 나란히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첩부부(9)에 있어서는, 보호필름(300)이 첩부용 공급릴(19)로부터 공급되어 한 쌍의 첩부용 롤(20, 20)에 의해 점착층(103)의 내측부분(103b, 103b, ...)과 베이스 보호층(101)에 첩부된다.
한 쌍의 첩부용 롤(20, 20)에 의해 보호필름(300)이 첩부된 필름(100)은 제2프레스장치에 의해 점착층(103)의 내측부분(103b, 103b, ...)을 각각 하나씩 포함하는 부분마다 절단된다.
기대(2)상에는, 입구측인 박리부(7)의 왼쪽에 입구측 그립피더(22)가 배치되고, 출구측인 첩부부(9)의 오른쪽에 출구측 그립피더(23)가 배치되어 있다.
입구측 그립피더(22)는 왼쪽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인입 롤러(24)와 제1고정클램퍼(25)와 제1이동클램퍼(26)와 가이드 연결부(27)를 갖고 있다. 입구측 그립피더(22)에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각각 제1고정클램퍼(25)와 가이드 연결부(27)에 연결된 가이드축(28)이 설치되어 있다.
제1고정클램퍼(25)는 상하에 위치하는 가동부(25a)와 고정부(25b)에 의해 구성되고, 가동부(25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고정부(25b)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제1고정클램퍼(25)는 가동부(25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을 두께방향으로부터 가동부(25a)와 고정부(25b)에 의해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가동부(25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된다.
제1이동클램퍼(26)는 상하에 위치하는 가동부(26a)와 고정부(26b)에 의해 구성되고, 가동부(26a)와 고정부(26b)가 좌우방향으로 일체로 이루어져서 이동가능하게 되며, 가동부(26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이동클램퍼(26)는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좌단의 대기위치와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우단의 반송위치와의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이동클램퍼(26)는 가동부(26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을 두께방향으로부터 가동부(26a)와 고정부(26b)에 의해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가동부(26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된다.
가이드축(28)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좌단부가 제1고정클램퍼(25)의 고정부(25b)에 연결되며 우단부가 가이드 연결부(27)에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축(28)에는 제1이동클램퍼(26)의 고정부(26b)가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되고, 제1이동클램퍼(26)가 가이드축(28)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출구측 그립피더(23)는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2고정클램퍼(29)와 제2이동클램퍼(30)와 가이드 연결부(31)와 인출 롤러(32)를 갖고 있다. 출구측 그립피더(23)에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각각 제2고정클램퍼(29)와 가이드 연결부(31)에 연결된 가이드축(33)이 설치되어 있다.
제2고정클램퍼(29)는 상하에 위치하는 가동부(29a)와 고정부(29b)에 의해 구성되고, 가동부(29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며, 고정부(29b)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도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제2고정클램퍼(29)는 가동부(29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을 두께방향으로부터 가동부(29a)와 고정부(29b)에 의해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가동부(29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된다.
제2이동클램퍼(30)는 상하에 위치하는 가동부(30a)와 고정부(30b)에 의해 구성되고, 가동부(30a)와 고정부(30b)가 좌우방향으로 일체로 이루어져서 이동가능하게 되며, 가동부(30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이동클램퍼(30)는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좌단의 대기위치와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우단의 반송위치와의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이동클램퍼(30)는 가동부(30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을 두께방향으로부터 가동부(30a)와 고정부(30b)에 의해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가동부(30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된다.
제2이동클램퍼(30)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범위는 제1이동클램퍼(26)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범위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2고정클램퍼(29)의 협지상태와 제2이동클램퍼(30)의 협지상태에 있어서는, 보호필름(300)이 첩부된 상태의 필름(100)이 각각 가동부(29a, 30a)와 고정부(29b , 30b)에 의해 협지된다.
가이드축(33)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좌단부가 제2고정클램퍼(29)의 고정부(29b)에 연결되며 우단부가 가이드 연결부(31)에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축(33)에는 제2이동클램퍼(30)의 고정부(30b)가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되고, 제2이동클램퍼(30)가 가이드축(33)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반송장치(1)에 있어서는,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를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축(28, 33)이 각각 설치되고, 가이드축(28, 33)의 각 일단부가 각각 제1고정클램퍼(25)의 고정부(25b)와 제2고정클램퍼(29)의 고정부(29b)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축(28, 33)의 각 일단부를 연결하는 전용부재가 필요없고, 필름반송장치(1)의 부품개수의 삭감에 의한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필름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동작]
이하에, 필름(100)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도 6 내지 도 12 참조).
그리고, 이하에는 도 6 내지 도 11의 각 동작도면과 도 12의 타임차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필름(100)에는 동작의 개시전에 있어서 처짐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도 12에 있어서의 T1 내지 T9의 각 동작시간은, 미리 소정의 시간마다 실시되도록 타이머 및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우선, 제1고정클램퍼(25)와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고정클램퍼(29)와 제2이동클램퍼(30)의 초기상태에 대해 설명한다(도 6 참조).
초기상태에 있어서, 제1고정클램퍼(25)는 가동부(25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을 협지하는 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제1이동클램퍼(26)는 왼쪽의 이동단인 대기위치에 있으며 가동부(26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제2고정클램퍼(29)는 가동부(29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을 협지하는 협지상태로 설정되며, 제2이동클램퍼(30)는 왼쪽의 이동단인 대기위치에 있으며 가동부(30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초기상태에 있어서, 필름(100)은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고정클램퍼(29)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필름(100)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각 부의 운전(동작상태)으로서 위치결정운전과 장력제어운전과 동기운전이 실시된다.
위치결정운전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이동클램퍼를 이동시키는 각 모터가 동작되고, 이동클램퍼를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거나 정지하거나 하는 운전이다.
장력제어운전은, 제어부에 설정한 토크값(장력)과 동작시간에 따라서 이동클램퍼를 이동시키는 각 모터가 동작되고, 이동클램퍼를 설정된 토크로 설정된 시간만큼 이동하는 운전이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전이라도, 필름(100)의 장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한 시점에서 이동력과 장력이 균형을 이루면, 그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클램퍼가 정지된다.
동기운전은, 주구동이 실시되는 한 쪽의 모터의 구동상태와 동기하여 다른 쪽의 모터가 한 쪽의 모터와 같은 이동량 및 이동속도로 구동되는 운전이다. 두 개의 모터에 의해 각각 이동되는 이동클램퍼는, 양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한 초기상태에 있어서 동작이 개시되고, 이 때 필름반송장치(1)는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가 함께 위치결정운전으로 되고 있다. 동작이 개시되면, 가동부(30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제2이동클램퍼(30)가 협지상태로 설정된다(도 12의 T1 참조).
이어서, 가동부(29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제2고정클램퍼(29)가 비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면접촉상태로 협지된다(도 7 및 도 12의 T2 참조).
계속해서, 출구측 그립피더(23)가 위치결정운전으로부터 장력제어운전으로 전환되고, 제2이동클램퍼(30)가 대기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소정의 시간 이동된다(도 8 및 도 12의 T3 참조). 이 때 제2이동클램퍼(30)는 후술하는 필름(100)의 반송시보다 작은 역량(설정된 인장토크)으로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필름(100)에 텐션이 부여되어 처짐이나 사행이 해소된다.
이와 같이 제2이동클램퍼(30)는 작은 역량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내라도 필름(100)에 일정한 텐션이 부여된 곳에서 필름(100)의 장력과 제2이동클램퍼(30)의 이동력이 균형을 이루어 제2이동클램퍼(30)의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필름(100)에 대하여 제2이동클램퍼(30)로부터 과도한 텐션이 부여되지 않고, 필름(100)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필름(100)이 단열(斷裂)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에는, T2에 있어서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T2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되고, T3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26)가 이동되지 않고 제2이동클램퍼(30)가 대기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에 텐션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T2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되고, T3에 있어서 제2이동클램퍼(30)가 이동되지 않고 제1이동클램퍼(26)가 왼쪽으로 이동되어 필름(100)에 텐션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이동클램퍼(26)가 초기상태에 있어서 대기위치보다 오른쪽에 위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나아가, T2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되고, T3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가 함께 이동되어 필름(100)에 텐션이 부여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실시예로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3개의 실시예가 있다.
제1실시예로서는,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가 모두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제1이동클램퍼(26)의 이동량보다 제2이동클램퍼(30)의 이동량이 크게 되는 실시예이다.
제2실시예로서는,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가 모두 왼쪽으로 이동되고 제1이동클램퍼(26)의 이동량이 제2이동클램퍼(30)의 이동량보다 크게 되는 실시예이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가 각각 초기상태에 있어서 대기위치보다 오른쪽에 위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제3실시예로서는, 제1이동클램퍼(26)가 왼쪽으로 이동되고 제2이동클램퍼(30)가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실시예이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이동클램퍼(26)의 이동량과 제2이동클램퍼(30)의 이동량의 차이는 임의적이고, 제1이동클램퍼(26)의 이동량과 제2이동클램퍼(30)의 이동량의 차이가 달라도 좋고, 제1이동클램퍼(26)의 이동량과 제2이동클램퍼(30)의 이동량이 같아도 좋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이동클램퍼(26)가 초기상태에 있어서 대기위치보다 오른쪽에 위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어서, 입구측 그립피더(22)는 위치결정운전에서 출구측 그립피더(23)가 장력제어운전으로부터 동기운전으로 전환되고, 가동부(26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제1이동클램퍼(26)가 협지상태로 설정된다(도 12의 T4 참조).
계속해서, 가동부(25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제1고정클램퍼(25)가 비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면접촉상태로 협지된다(도 9 및 도 12의 T5 참조).
이어서, 필름(100)을 협지하고 있는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가 동기하여 반송위치까지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필름(100)이 처짐 등이 해소된 상태로 반송된다(도 10 및 도 12의 T6 참조).
계속해서, 가동부(25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제1고정클램퍼(25)가 협지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가동부(29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제2고정클램퍼(29)가 협지상태로 설정된다(도 12의 T7 참조).
이어서, 가동부(26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제1이동클램퍼(26)가 비협지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가동부(30a)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제2이동클램퍼(30)가 비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고정클램퍼(29)에 의해 필름(100)이 면접촉상태로 협지된다(도 11 및 도 12의 T8 참조).
계속해서, 출구측 그립피더(23)가 동기운전으로부터 위치결정운전으로 전환되고,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가 반송위치로부터 대기위치까지 왼쪽으로 이동되며, 제1고정클램퍼(25)와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고정클램퍼(29)와 제2이동클램퍼(30)가 초기상태로 돌아오고 1사이클의 동작이 종료한다(도 6 및 도 12의 T9 참조).
제1고정클램퍼(25)와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고정클램퍼(29)와 제2이동클램퍼(30)가 초기상태로 돌아오면, 상기한 T1 내지 T9의 동작이 반복 실시되고, 처짐 등이 해소된 상태로 필름(100)이 복수 사이클의 동작에 의해 단속(斷續)적으로 반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반송장치(1)에 있어서는,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가 이동됨으로써 텐션이 부여된 필름(100)이 반송된 상태에 있어서,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고정클램퍼(29)가 협지상태로 설정된다(도 11 참조).
따라서, 처짐 등이 해소된 필름(100)이 반송된 상태에 있어서 필름(100)이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고정클램퍼(29)에 의해 협지되기 때문에, 필름(100)이 다음으로 반송될 때 필름(100)의 처짐이나 사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는, T3에 있어서 제2이동클램퍼(30)가 대기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소정 시간 이동되어 필름(100)의 처짐 등이 해소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대신하여, T2의 종료시에 제1이동클램퍼(26)가 대기위치와 반송위치의 중간 위치에 있고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고정클램퍼(29) 또는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되며, T3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26)가 왼쪽으로 소정 시간 이동되어 필름(100)의 처짐 등이 해소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상기와 같이, T3에 있어서 제2이동클램퍼(30)가 대기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름(100)에 대한 텐션 부여시(처짐 등의 해소시)와 필름(100)의 반송시에 모두 제2이동클램퍼(30)가 필름(100)을 협지하게 되므로, 필름(100)에 대한 텐션부여동작과 필름(100)의 반송동작이 연속동작으로서 이루어져 작업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T3에 있어서 제2이동클램퍼(30)가 대기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름(100)에 대한 텐션 부여시와 필름(100)의 반송시에 모두 제2이동클램퍼(30)가 필름(100)을 협지하고, 또한, 어떤 동작에 있어서도 필름(100)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필름반송장치의 다른 형태]
상기에는,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의 사이에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가 설치된 필름반송장치(1)를 예로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필름반송장치는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가 설치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필름반송장치는, 예를 들면,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구성이나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 마련된 구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의 사이에 박리부(7)나 첩부박리부(8)나 첩부부(9)가 설치된 타입의 필름반송장치(1)에 있어서는,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에 의해 처짐 등이 해소된 필름(100)이 반송되기 때문에, 필름(100)에 대한 양호한 가공기능을 확보한 후에 필름(100)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을 해소하여 필름(100)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필름반송장치는, 예를 들면,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 모두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는,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가 기대(2)의 위쪽에 위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부(7)나 첩부박리부(8)나 첩부부(9)가 기대(2)의 내측(기대(2)의 상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가 기대(2)의 상면보다 하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3에는, 예로서, 기대(2)의 내측에 첩부부(9)만이 설치된 필름반송장치(1A)를 나타내고 있다. 필름반송장치(1A)에는, 예를 들면, 입구측 그립피더(22)에 좌우로 이격하여 한 쌍의 인입 롤러(24, 24)가 설치되고, 출구측 그립피더(23)에 좌우로 이격하여 한 쌍의 인출 롤러(32, 32)가 설치되며, 기대(2)상의 좌우 양단부에 지지부(34, 34)에 각각 지지된 반송롤러(35, 35, ...)가 설치되고, 기대(2)의 상면부에 점착필름(200)의 통과경로로 되는 통과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박리부(7)나 첩부박리부(8)나 첩부부(9)를 기대(2)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가 기대(2)의 외측에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필름반송장치(1A)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필름반송장치(1A)에 있어서는,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박리부(7)나 첩부박리부(8)나 첩부부(9)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대하여 달라지고 필름(100)이 일직선이 아닌 상태에 있어서 반송되지만, 필름(100)이 일직선이 아닌 상태에 있어서도, 소형화를 확보한 후에 필름(100)에 텐션을 부여하여 필름(100)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 할 수 있다.
나아가, 예를 들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필름반송장치는, 박리부(7)나 첩부박리부(8)나 첩부부(9)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필름(100)의 일부를 전단하는 프레스부(36)가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의 사이에 마련된 필름반송장치(1B)라도 좋다(도 14 참조).
필름반송장치(1B)에 있어서는, 입구측 그립피더(22)로부터 인입된 필름(100)의 일부가 프레스부(36)에 의해 전단되어 출구측 그립피더(23)로부터 인출된다.
이와 같이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의 사이에 프레스부(36)가 마련된 타입의 필름반송장치(1B)에 있어서도,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에 의해 처짐 등이 해소된 필름(100)이 반송되기 때문에, 필름(100)에 대한 양호한 가공기능을 확보한 후에 필름(100)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을 해소하여 필름(100)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 할 수 있다.
그리고, 입구측 그립피더(22)에 있어서 제1고정클램퍼(25)와 제1이동클램퍼(26)는 좌우방향에 있어서 어느 쪽이 프레스부(36)에 가까운 측에 위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출구측 그립피더(23)에 있어서 제2고정클램퍼(29)와 제2이동클램퍼(30)는 좌우방향에 있어서 어느 쪽이 프레스부(36)에 가까운 측에 위치되어 있어도 좋다.
단, 제1고정클램퍼(25)가 제1이동클램퍼(26) 보다 프레스부(36)에 가까운 측에 위치되고, 또한, 제2고정클램퍼(29)가 제2이동클램퍼(30) 보다 프레스부(36)에 가까운 측에 위치됨으로써, 프레스부(36)의 하사점에서 필름(10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필름(100)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프레스가공에 있어서는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고정클램퍼(29)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된 상태에서 프레스가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름(100)에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프레스부(36)에 가까운 측에 위치된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고정클램퍼(29)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됨으로써, 필름(100)에 안정된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프레스가공을 실시할 수 있고, 필름(100)의 품질 향상에 효과적이다.
나아가, 예를 들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필름반송장치는, 박리부(7), 첩부박리부(8) 또는 첩부부(9)의 적어도 하나와 프레스부(36)가 입구측 그립피더(22)와 출구측 그립피더(23)의 사이에 설치된 필름반송장치(1C)라도 좋다(도 15 참조). 그리고, 도 15에는, 예로서, 프레스부(36)와 박리부(7)와 첩부박리부(8)와 첩부부(9)가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된 필름반송장치(1C)를 나타내고있다.
필름반송장치(1C)에 있어서는, 박리부(7), 첩부박리부(8) 또는 첩부부(9)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과 프레스부(36)의 프레스가공이 연속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름(100)에 대한 작업성 향상 및 작업시간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필름(100)에 대한 양호한 가공기능을 확보한 후에 필름(100)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을 해소하여 필름(100)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정리]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필름반송장치(1, 1A, 1B, 1C)에 있어서는, 필름(100)의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됨과 동시에 제1이동클램퍼(26) 또는 제2이동클램퍼(30)의 적어도 한 쪽이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이동됨으로써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고,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이동클램퍼(30)가 동기하여 반송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필름(100)의 처짐이나 사행 등의 변형을 해소하여 필름(100)의 안정된 반송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클램퍼(25)와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고정클램퍼(29)와 제2이동클램퍼(30)가 각각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가동부(25a, 26a, 29a, 30a)와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불가능한 고정부(25b, 26b, 29b, 3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25a, 26a, 29a, 30a)만이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고정클램퍼(25)와 제1이동클램퍼(26)와 제2고정클램퍼(29)와 제2이동클램퍼(30)의 구성이 간소하고, 필름반송장치(1 ,1A, 1B)의 구조의 간소화 및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고정클램퍼(25) 또는 제2고정클램퍼(29)가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필름(100)이 면접촉상태로 협지되고, 제1이동클램퍼(26) 또는 제2이동클램퍼(30)가 이동되어 필름(100)에 텐션이 부여됨으로써, 면접촉상태로 협지된 필름(100)의 두 부분 중 하나의 부분이 반송방향 및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름(100)이 제1고정클램퍼(25) 또는 제2고정클램퍼(29)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협지되어 텐션의 부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필름(100)에 대한 텐션 부여시의 동작에 있어서의 제어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또한, 제1고정클램퍼(25)와 제2이동클램퍼(30)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된 상태에서 텐션이 부여되고, 또는, 제2고정클램퍼(29)와 제1이동클램퍼(26)에 의해 필름(100)이 협지된 상태에서 텐션이 부여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면접촉상태로 협지된 필름(100)의 두 부분의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1사이클의 반송동작에 있어서의 필름(100)의 반송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고, 필름반송장치(1)에 있어서의 필름(100)에 대한 작업성 향상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1 ... 필름반송장치
7 ... 박리부
8 ... 첩부박리부
9 ... 첩부부
24 ... 인입 롤러
25 ... 제1고정클램퍼
25a ... 가동부
25b ... 고정부
26 ... 제1이동클램퍼
26a ... 가동부
26b ... 고정부
28 ... 가이드축
29 ... 제2고정클램퍼
29a ... 가동부
29b ... 고정부
30 ... 제2이동클램퍼
30a ... 가동부
30b ... 고정부
33 ... 가이드축
1A ... 필름반송장치
1B ... 필름반송장치
36 ... 프레스부
1C ... 필름반송장치
100 ... 필름
200 ... 점착필름
300 ... 보호필름

Claims (10)

  1.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 및 상기 반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입구측에 위치된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반송방향 및 상기 반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출구측에 위치된 제2이동클램퍼를 구비하고,
    상기 필름의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이동클램퍼 또는 상기 제2이동클램퍼의 적어도 한 쪽이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고,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동기하여 상기 반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텐션이 부여된 상기 필름이 반송되는 필름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상기 일부로서 상기 입구측의 부분이 면접촉상태로 협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상기 반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필름에 텐션이 부여되는 필름반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입구측에 위치된 제1고정클램퍼와,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필름의 상기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출구측에 위치된 제2고정클램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필름의 상기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되는 필름반송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입구측에 위치된 제1고정클램퍼와,
    상기 필름을 면접촉상태로 협지하는 협지상태 또는 상기 필름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는 비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필름의 상기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출구측에 위치된 제2고정클램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텐션이 부여된 상기 필름이 반송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클램퍼와 상기 제2고정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상기 비협지상태로 설정되는 필름반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클램퍼가 상기 협지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필름의 상기 일부가 면접촉상태로 협지되는 필름반송장치.
  6.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클램퍼와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고정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가 각각 상기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가동부와 상기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불가능한 고정부에 의해 구성된 필름반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클램퍼와 상기 제2이동클램퍼를 상기 반송방향 및 상기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축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각각 상기 제1고정클램퍼의 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클램퍼의 고정부에 연결된 필름반송장치.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상기 필름의 일부를 박리하는 박리부와 상기 필름에 보호필름을 첩부하는 첩부부와 상기 필름에 점착필름을 첩부하여 상기 점착필름에 의해 상기 필름의 일부를 박리하는 첩부박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필름반송장치.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상기 필름의 일부를 전단하는 프레스부가 마련된 기재된 필름반송장치.
  10.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상기 필름의 일부를 박리하는 박리부와 상기 필름에 보호필름을 첩부하는 첩부부와 상기 필름에 점착필름을 첩부하여 상기 점착필름에 의해 상기 필름의 일부를 박리하는 첩부박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상기 필름의 일부를 전단하는 프레스부가 마련된 필름반송장치.
KR1020150017022A 2014-02-05 2015-02-03 필름반송장치 KR101664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0122 2014-02-05
JP2014020122A JP6034814B2 (ja) 2014-02-05 2014-02-05 フィルム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713A true KR20150092713A (ko) 2015-08-13
KR101664930B1 KR101664930B1 (ko) 2016-10-11

Family

ID=5372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022A KR101664930B1 (ko) 2014-02-05 2015-02-03 필름반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34814B2 (ko)
KR (1) KR101664930B1 (ko)
CN (1) CN104816976B (ko)
TW (1) TWI564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2142B3 (de) * 2015-11-10 2016-12-08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oduktion und zum Abzug eines bahnförmigen Produktes
CN106698029A (zh) * 2015-11-17 2017-05-24 富鼎电子科技(嘉善)有限公司 自动收料机构
CN105538881B (zh) 2016-01-05 2017-1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撕膜机移动系统
CN106986055A (zh) * 2017-03-30 2017-07-28 苏州欧康诺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半自动覆膜机及其工作方法
JP6262899B1 (ja) * 2017-03-30 2018-01-17 株式会社システム技研 送り装置及び送り切出し装置
DE102017213255B3 (de) 2017-08-01 2018-07-26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orrichtung zum Abzug eines bahnförmigen Produktes von einer Webmaschine
CN108861753A (zh) * 2018-03-28 2018-11-23 海宁金麒麟时装有限公司 验布机中的布料夹持装置
CN110127427B (zh) * 2019-04-27 2020-08-07 江苏立讯机器人有限公司 剥离送膜装置
CN112607497A (zh) * 2020-12-07 2021-04-06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撕胶带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865A (ja) * 1999-03-18 2000-09-26 Canon Aptex Inc ラベル製造装置およびラベル製造方法
JP2003335443A (ja) * 2002-05-14 2003-11-25 Toray Eng Co Ltd 帯状ワークの露光装置
JP2008307555A (ja) 2007-06-13 2008-12-25 Panasonic Corp 条材の搬送方法および条材の搬送装置
JP2011054587A (ja) * 2009-08-31 2011-03-17 Misuzu Kogyo:Kk 基板テープの搬送装置
JP2011235391A (ja) 2010-05-10 2011-11-24 Chiyoda Integre Co Ltd フイルム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0825A2 (en) * 1995-06-20 1997-01-09 Ecrm Incorporated Sheet transporting
US5957360A (en) * 1998-01-16 1999-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clamping flexible film structures
ITVE20010011A1 (it) * 2001-02-13 2002-08-13 Dalcos S R L Alimentatore a pinza per nastri di lamiera
JP2006315776A (ja) * 2005-05-10 2006-11-2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397863B2 (ja) * 2005-08-05 2010-01-13 キヤノンマシナリー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5794430B2 (ja) * 2011-10-21 2015-10-14 日本碍子株式会社 炭素繊維入り樹脂シートの搬送装置
CN103303732A (zh) * 2013-05-31 2013-09-18 泰兴联创绝缘材料有限公司 一种原膜-离型膜贴合保护膜剥离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865A (ja) * 1999-03-18 2000-09-26 Canon Aptex Inc ラベル製造装置およびラベル製造方法
JP2003335443A (ja) * 2002-05-14 2003-11-25 Toray Eng Co Ltd 帯状ワークの露光装置
JP2008307555A (ja) 2007-06-13 2008-12-25 Panasonic Corp 条材の搬送方法および条材の搬送装置
JP2011054587A (ja) * 2009-08-31 2011-03-17 Misuzu Kogyo:Kk 基板テープの搬送装置
JP2011235391A (ja) 2010-05-10 2011-11-24 Chiyoda Integre Co Ltd フイルム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34814B2 (ja) 2016-11-30
TW201540635A (zh) 2015-11-01
TWI564235B (zh) 2017-01-01
JP2015147630A (ja) 2015-08-20
KR101664930B1 (ko) 2016-10-11
CN104816976A (zh) 2015-08-05
CN104816976B (zh)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930B1 (ko) 필름반송장치
JP5078672B2 (ja)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JP5992491B2 (ja) 接着性のある薄いバンド、特にコードバンドを切断する切断装置
US7611600B2 (en) Sticking apparatus and sticking method
TWI610874B (zh) 片材供給裝置
JP2007245438A (ja) フィルム貼付方法とその装置
KR101529485B1 (ko) 필름절단장치
KR101605625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접착시트 제조장치
JP2017061040A (ja) 積層ラベル体の製造装置
JP2019042950A (ja) 積層ラベル体の製造装置
WO2018168380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20018813A (ko) 인쇄회로기판의 라미네이팅 방법 및 그 장치
TW201940402A (zh) 薄膜構件黏貼裝置及方法
JP5992670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CN107428427A (zh) 片材供给装置及片材供给方法
JPH11192664A (ja) フイルム貼合せ方法および装置
JP2012082048A (ja) 長尺極薄材料搬送装置
WO2019026554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529484B1 (ko) 필름부착장치
KR101529483B1 (ko) 필름이동장치
JP5645225B2 (ja) 積層成形システムおよび積層成形方法
JP6300755B2 (ja) フィルム搬送装置及びフィルム搬送方法
JP6226660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JPH1120115A (ja) フィルム張付方法及び装置
JP4179064B2 (ja) 加熱装置及び加熱加工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