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534A -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 Google Patents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534A
KR20150085534A KR1020157015989A KR20157015989A KR20150085534A KR 20150085534 A KR20150085534 A KR 20150085534A KR 1020157015989 A KR1020157015989 A KR 1020157015989A KR 20157015989 A KR20157015989 A KR 20157015989A KR 20150085534 A KR20150085534 A KR 20150085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milk
fatty acid
acid ester
emul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496B1 (ko
Inventor
겐 후루세
다카유키 사카우에
히로키 세키노
고지 마츠모토
다카토키 하기하라
Original Assignee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23L1/03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분리, 응집된 유성분의 재분산성을 유성분 함유 음료에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한 신규한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의 제공, 및 당해 유화제를 함유하는 유성분 함유 음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산가 90 ㎎KOH/g 이하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이고, 또, 당해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응집된 유성분의 재분산성이 우수한 유성분 함유 음료이다.

Description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EMULSIFIER FOR MILK CONSTITUENT-CONTAINING BEVERAGE}
본 발명은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밀크 커피나 밀크 티 등의 다종 다양한 유성분 함유 음료 (유음료를 포함한다) 가 제품화되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성분 함유 음료는, 시장에 유통되는 동안, 유지방이나 유단백질 등의 유성분이 분리, 응집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 종래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캔에 담은 유성분 함유 음료에 비해 페트병에 (PET 용기) 담은 것에 특히 발생하기 쉽다.
그 원인은, 통상적인 캔에 담은 유성분 함유 음료는, 과혹한 가열 살균 (레토르트 살균) 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유단백질이 변성되어, 유성분의 응집이 약간 억제되고 있는 데에 반해, 페트병에 담은 음료에서는, 고온 단시간 살균 (UHT 살균) 을 실시하기 때문에, 가열에 의한 유단백질의 변성이 적어, 유성분의 응집이 일어나기 쉬운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그래서, UHT 살균이 실시되는 유성분 함유 음료에 대하여, 유성분의 분산 안정성을 높여 그 응집을 억제하는 방법이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들은, 예를 들어, 유음료를, UHT 살균 처리를 거쳐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유음료 중에, 20 % 염화나트륨 수용액 중 1 중량% 농도로 측정한 담점 (曇点) 이 90 ℃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증점 다당류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음료의 제조 방법 (특허문헌 1 참조), HLB 10 이상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HLB 10 미만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UHT 살균된 유음료 (특허문헌 2 참조) 등이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해도, 음료의 보존 조건 등에 따라 유성분의 응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용기에 담은 유성분 함유 음료에 유성분의 응집이 발생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유성분이 부상, 합일하여, 용기 내면을 따른 링상의 층 (네크 링) 을 형성한다. 그리고, 네크 링이 발생한 유성분 함유 음료의 용기를 진탕해도, 응집된 유성분은 음료 표면으로 부상하여, 백색 부유물로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상태에 이른다. 그래서, 네크 링이 발생한 경우, 용기를 가볍게 진탕하는 것만으로, 유성분이 백색 부유물이 되지 않고 재분산되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담은 유성분 함유 음료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함유하는 페트병에 담은 유성분 함유 음료로서, A 성분이 유리 (遊離) 된 폴리올의 함유량이 10 질량% 미만이고, 또한 모노에스테르체의 함유량이 35 ∼ 50 % 인 트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이고, B 성분이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이며, C 성분이 모노에스테르체의 함유량이 20 ∼ 40 % 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에 담은 유성분 함유 음료 (특허문헌 3)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종래 유성분 함유 음료에 사용되고 있는 3 종류의 유화제를 병용하여 상승적인 효과를 얻는다는 것으로, 개개의 유화제에 대해 그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분리, 응집된 유성분의 재분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신규한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052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946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91159호
본 발명은 분리, 응집된 유성분의 재분산성을 유성분 함유 음료에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한 신규한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에 대해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산가가 특정한 범위에 있는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에 의해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알아내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및 (2) 로 이루어져 있다.
(1) 산가 90 ㎎KOH/g 이하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2) 상기 (1) 에 기재된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분 함유 음료.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는, 산가 90 ㎎KOH/g 이하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으로써, 그것을 첨가한 유성분 함유 음료는, 그 용기를 진탕함으로써, 백색 부유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분리, 응집된 유성분을 재분산시키는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가 90 ㎎KOH/g 이하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라고도 한다) 는, 통상 글리세린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와 무수 숙신산 (또는 숙신산) 의 반응, 혹은 글리세린과 숙신산과 지방산의 반응 등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가의 하한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60 ㎎KOH/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으로는, 식용 가능한 동식물 유지를 기원으로 하는 지방산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탄소수 6 ∼ 24 의 직사슬의 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카프로산, 카프릴 산, 카프린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딘산, 베헨산, 리그노세린산 등) 또는 불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팔미트올레산, 올레산, 엘라이딘산, 리놀산, γ-리놀렌산, α-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리시놀산, 축합 리시놀산 등)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특히 팔미트산 및/또는 스테아르산을 약 9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지방산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의 개략은 이하와 같다. 예를 들어, 교반기, 가열용의 재킷, 방해판 등을 구비한 통상적인 반응 용기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무수 숙신산을 약 88/12 ∼ 83/17 의 질량비로 주입하고, 필요에 따라 알칼리 촉매를 첨가하고, 예를 들어 약 90 ∼ 130 ℃, 바람직하게는 약 94 ∼ 110 ℃ 에서 약 0 ∼ 180 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 120 분간 가열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한다. 반응의 종점은, 반응 생성물의 산가를 측정하여, 약 90 ㎎KOH/g 이하인 것, 바람직하게는 약 60 ∼ 90 ㎎KOH/g 의 범위 내인 것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산가는, 「제 8 판 식품 첨가물 공정서」 (일본 식품 첨가물 협회) 의 「40. 유지류 시험법」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측정된다.
또,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결합 숙신산 함유량이 2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 미만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숙신산 함유량이 20 % 미만이면, 분리, 응집된 유성분의 재분산성을 유성분 함유 음료에 부여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결합 숙신산 함유량이 15 %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에 더하여, 유성분 함유 음료의 보존 중에 용기 내면을 따른 링상의 층 (네크 링) 의 형성 등이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결합 숙신산 함유량이 20 % 미만인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얻기 위한 조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원료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을 55 % 이상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결합 숙신산 함유량이 15 % 미만인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얻기 위한 조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원료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을 55 ∼ 75 %, 바람직하게는 60 ∼ 70 % 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원료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을 55 ∼ 75 % 로 하는 것은, 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이 55 ∼ 75 % 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이 55 % 미만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이 75 % 를 초과하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병용하는 것 등에 의해, 원료로 사용하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전체의 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을 55 ∼ 75 % 로 하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결합 숙신산 함유량은, 하기 1) ∼ 9) 의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분석할 수 있다.
1) 클로로포름 100 ㎖ 를 300 ㎖ 용량 분액 깔때기에 넣고, 이것에 피검 시료 125 ㎎ 을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2) 그 분액 깔때기에 이온 교환수 50 ㎖ 를 첨가하여 가볍게 혼합하고, 30 분간 가만히 정지시킨다.
3) 분리된 하층 (클로로포름층) 을 다른 300 ㎖ 용량 분액 깔때기로 옮긴다.
4) 2) 및 3) 의 조작을 합계 3 회 반복하여 실시한다.
5) 얻어진 클로로포름층을 가지형 플라스크에 넣고, 박막 증류기로 클로로포름을 증류 제거한다.
6)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 10 ㎖ 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이것에 이온 교환수 10 ㎖ 를 첨가한다.
7) 추가로 1 %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3 방울 첨가하고, 0.02 N NaOH-메탄올 용액으로 적정하여, 그 적정량 (㎖) 을 V 라고 한다.
8) 클로로포름에 피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블랭크에 대해서도 1) ∼ 7) 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그 적정량 (㎖) 을 B 라고 한다.
9) 적정량 V, B 및 하기 식에 기초하여 결합 숙신산 함유량 (%) 을 산출한다.
결합 숙신산 함유량 (%) = 118.1 × 0.02 × (V-B)/125 × 100
또,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 원료로 사용되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모노에스테르체의 함유량 (%) 은, HPLC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로 분석함으로써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분석 조건으로 시료를 분석하고, 분석 후,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크로마토그램 상에 기록된 피검 시료의 각 성분에 대응하는 피크에 대하여, 적분계를 사용하여 피크 면적을 측정한다. 측정된 피크 면적에 기초하여, 면적 백분율로서 각 성분의 함유량을 구할 수 있다. HPLC 분석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HPLC 분석 조건>
장치:시마즈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 (형식:LC solution ver. 1.0;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펌프 (형식:LC-20AD;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칼럼 오븐 (형식:CTO-20A;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오토샘플러 (형식:SIL-20A;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검출기:RI 검출기 (형식:RID-10A;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칼럼:GPC 칼럼 (형식:SHODEX KF-801;쇼와 전공사 제조)
칼럼:GPC 칼럼 (형식:SHODEX KF-802;쇼와 전공사 제조)
2 개 연결
이동상: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량:1.0 ㎖ /min
칼럼 온도:40 ℃
샘플 농도:0.01 g/1 ㎖ THF
샘플 주입량:20 ㎕ (in THF)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는, 산가 90 ㎎KOH/g 이하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며, 그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로서 유성분 함유 음료 또는 유성분 함유 음료를 구성하는 성분에 직접 첨가해도 되고, 또, 그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외 성분을 미리 혼합하여 제제화하여 첨가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수분산액을 조제하고 나서 유성분 함유 음료 또는 유성분 함유 음료를 구성하는 성분에 첨가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를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유화제를 그 제제에 함유시킬 수 있다. 그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는, 글리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외에, 예를 들어 글리세린 유기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산 에스테르가 포함되고, 그 글리세린 유기산 지방산 에스테르에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아세트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락트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시트르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 (본 발명에 관련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제외한다) 등이 포함된다. 또 레시틴으로는, 예를 들어 대두 레시틴 및 난황 레시틴 등 유분을 포함하는 액상 레시틴, 액상 레시틴으로부터 유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분말 레시틴, 액상 레시틴을 분별 정제한 분별 레시틴 그리고 레시틴을 효소로 처리한 효소 분해 레시틴 및 효소 처리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유성분 함유 음료로는, 예를 들어 밀크 커피, 밀크 티, 밀크 코코아, 말차 밀크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는, UHT 살균 처리를 거쳐 제조된 유성분 함유 음료를 용기에 밀봉 보존한 경우에 발생한 유성분의 분리, 응집의 재분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UHT 살균 처리에 의해 제조된 페트병에 담은 유성분 함유 음료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유성분 함유 음료에 사용되는 유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생유, 생크림, 버터, 가당 연유, 탈지 가당 연유, 농축유, 탈지 농축유, 탈지 분유, 전지 분유, 치즈, 카세인과 그 염, 훼이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또, 음료에 대한 유성분의 함유량은, 음료의 종류, 기호 등에 따라 상이하여 일정하지 않지만, 통상 유고형분으로 환산하여 약 0.4 ∼ 10.0 질량%, 바람직하게는 약 2.0 ∼ 7.5 질량% 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유성분 함유 음료에 대한 본 발명에 관련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첨가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통상 약 200 ∼ 2,700 ppm, 바람직하게는 300 ∼ 1,400 ppm 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유성분 함유 음료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의 제법의 개략은 이하와 같다. 예를 들어, 시판되는 홍차잎 (예를 들어 아삼종, 실론종 및 틴브라종인 것 등) 으로부터 약 75 ∼ 85 ℃ 의 정제수로 추출된 홍차잎 추출액에, 우유, 전분유 또는 탈지 분유 등의 유성분, 설탕,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상기한 각종 유화제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원하는 바에 따라 증점 안정제의 수용액을 첨가하고,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탄산수소나트륨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를 약 5 ∼ 7 로 조정하여, 밀크 티를 얻는다.
다음으로, 얻어진 밀크 티를, 고압식 균질화 처리기를 사용하여 균질화한다. 고압식 균질화 처리기로는, 예를 들어 APV 고린 호모게나이저 (APV 사),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 (마이크로플루이덱스사), 알티마이저 (스기노머신사), 나노마이저 (야마토 제관사), HV-OA-07-1.5S (이즈미푸드머시너리사) 등을 들 수 있다. 균질화는, 밀크 티를 예를 들어 온도 약 60 ∼ 70 ℃, 압력 약 15 ∼ 30 ㎫ 의 조건에서 약 1 ∼ 3 회 처리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균질화된 밀크 티 (균질화 용액) 의 가열 살균의 방법으로는, UHT (Ultra High Temperature) 살균 등이 이용된다. UHT 살균의 방법으로는, 밀크 티에 직접 수증기를 불어 넣는 스팀 인젝션식이나 밀크 티를 수증기 중에 분사하여 가열하는 스팀 인퓨전식 등의 직접 가열 방식, 플레이트나 튜브 등 표면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간접 가열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플레이트식 살균 장치를 사용하는 UHT 살균은, 통상 약 130 ∼ 150 ℃ 에서, 121 ℃ 의 살균가 (F0) 가 약 10 ∼ 50 에 상당하는 가열 조건에서 실시될 수 있다. UHT 살균된 밀크 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 용기 (즉, 페트병) 에 무균적으로 충전·밀전되어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가 얻어진다.
이하,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상품명:리케멀 P-100S;모노에스테르체 함량 97 % 리켄 비타민사 제조) 765 g, 무수 숙신산 (상품명:리카시드;신닛폰 이화사 제조) 135 g, 탄산나트륨 (다카스기 제약사 제조) 1.44 g 을 주입하고, 80 ℃ 에서 20 ℃/시간 로 94 ℃ 까지 교반하면서 승온시키고, 94 ℃ 에서 120 분간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시켰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산가 78.7 ㎎KOH/g 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인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시작품 1) 를 얻었다. 또, 시작품 1 의 결합 숙신산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15.0 % 였다.
[제조예 2]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상품명:리케멀 P-100S;모노에스테르체 함량 97 % 리켄 비타민사 제조) 756 g, 무수 숙신산 (상품명:리카시드;신닛폰 이화사 제조) 144 g, 탄산나트륨 (다카스기 제약사 제조) 1.44 g 을 주입하고, 80 ℃ 에서 20 ℃/시간으로 94 ℃ 까지 교반하면서 승온시키고, 94 ℃ 에서 120 분간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시켰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산가 88.1 ㎎KOH/g 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인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시작품 2) 를 얻었다. 또, 시작품 2 의 결합 숙신산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15.6 % 였다.
[제조예 3]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상품명:에멀지 P-100;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 약 97 % 리켄 비타민사 제조) 211.5 g,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상품명:포엠 P-200;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 약 50 % 리켄 비타민사 제조) 544.5 g, 무수 숙신산 (상품명:리카시드;신닛폰 이화사 제조) 111.0 g, 120 ℃ 에서 5 분간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시켰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산가 71 ㎎KOH/g 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인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시작품 3) 를 얻었다. 또, 시작품 3 의 결합 숙신산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13.2 % 였다.
[제조예 4]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상품명:에멀지 P-100;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 약 97 % 리켄 비타민사 제조) 254.3 g,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상품명:포엠 P-200;모노에스테르체 함유량 약 50 % 리켄 비타민사 제조) 501.7 g, 무수 숙신산 (상품명:리카시드;신닛폰 이화사 제조) 118.0 g, 120 ℃ 에서 5 분간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시켰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산가 76 ㎎KOH/g 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인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시작품 4) 를 얻었다. 또, 시작품 4 의 결합 숙신산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14.5 % 였다.
여기서, 제조예 1 ∼ 4 에서 얻어진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 (시작품 1 ∼ 4) 에 대해 산가 및 결합 숙신산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시험예 1]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에 있어서의 평가 시험]
(1)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의 조제
홍차잎 (아삼종) 100 g 을 80 ∼ 90 ℃ 의 정제수 4,000 g 으로 추출하여, 홍차잎 추출액을 얻었다. 그 홍차잎 추출액 5,920 g, 우유 2,400 g, 그라뉴당 960 g 및 표 2 에 기재된 유화제를 배합하고, 이것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량을 16,000 g 으로 하고, 유화제의 전체 첨가량이 900 ppm 인 밀크 티를 얻었다. 얻어진 밀크 티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살균 후의 pH 가 6.8 이 되도록 조정하고, 고압식 균질화 처리기 (형식:HV-OA-07-1.5S;이즈미푸드머시너리사 제조) 를 사용하여, 액온 약 60 ∼ 70 ℃, 제 1 단 압력 약 15 ㎫, 제 2 단 압력 5 ㎫ 의 조건에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밀크 티 (균질화 용액) 를 소형 연속식 UHT 장치 (플레이트형 간접 열교환기;파워 포인트 인터내셔널사 제조) 를 사용하여 141 ℃ 에서 30 초 (F 값 약 50 상당) 가열 살균 후, 미리 멸균 처리해 둔 용량 350 ㎖ 의 페트병 (PET 용기) 에 무균적으로 충전시키고, 유화제 첨가량의 합계량이 900 ppm 인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 ∼ 5 (각 5 개) 를 얻었다.
Figure pct00002
시판품 1:포엠 B-10 (상품명;리켄 비타민사 제조;산가 1076)
시판품 2:포엠 TRP-97RF (상품명;리켄 비타민사 제조)
시판품 3:료토슈가에스테르 P-1670 (상품명:미츠비시 화학 푸즈사 제조)
여기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 ∼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이고,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5 는 그들에 대한 비교예이다.
(2) 재분산성의 평가 시험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제작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 ∼ 5 (각 5 개) 를 37 ℃ 의 항온기 내에서 4 주간 보존하고, 페트병의 상부에 네크 링을 발생시켰다. 그 후, 밀크 티를 항온기로부터 꺼내, 빙수로 1 시간 냉각시키고, 네크 링을 고화시켰다. 다음으로, 밀크 티가 담겨진 페트병을 각각 15 회 반전시키는 조작을 실시한 후, 페트병 내의 밀크 티를 500 ㎖ 용량 유리제 비커에 쏟고, 그 비커 내의 액면 상의 백색 부유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조작에서는, 구체적으로는, 가만히 정지시킨 상태에 있는 페트병을 파지하고, 천천히 상하로 180 도 반전시켜 원래의 가만히 정지시킨 상태로 되돌릴 때까지의 동작을 15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또, 각 동작은 10 초 이내에서 실시하였다.
(3) 결과
상기 서술한 (2) 의 평가 시험의 결과로서, 전체 5 개 중 백색 부유물이 확인된 페트병의 개수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표 3 에는,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 ∼ 5 의 각각에 첨가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가를 함께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를 첨가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 ∼ 4 는, 페트병을 진탕하는 조작에 의해, 백색 부유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네크 링이 재분산되었다. 이것에 대해, 비교예의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5 에서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해도, 5 개 중 4 개에서 백색 부유물이 관찰되어, 본 발명의 것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여기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 및 2 와,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5 를 대비하면, 양자는, 첨가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가가 90 ㎎KOH/g 이하인지 아닌지라는 점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는, 산가가 90 ㎎KOH/g 이하인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으로써, 그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분명하다.
[시험예 2]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에 있어서의 평가 시험]
(1)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의 조제
홍차잎 (아삼종) 100 g 을 80 ∼ 90 ℃ 의 정제수 4,000 g 으로 추출하여, 홍차잎 추출액을 얻었다. 그 홍차잎 추출액 5,920 g, 우유 2,400 g, 그라뉴당 960 g 및 표 4 에 기재된 유화제를 배합하고, 이것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량 16,000 g 의 밀크 티를 얻었다. 얻어진 밀크 티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살균 후의 pH 가 6.8 이 되도록 조정하고, 고압식 균질화 처리기 (형식:HV-OA-07-1.5S;이즈미푸드머시너리사 제조) 를 사용하여, 액온 약 60 ∼ 70 ℃, 제 1 단 압력 약 15 ㎫, 제 2 단 압력 5 ㎫ 의 조건에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밀크 티 (균질화 용액) 를 소형 연속식 UHT 장치 (플레이트형 간접 열교환기;파워 포인트 인터내셔널사 제조) 를 사용하여 141.2 ℃ 에서 30 초 (F 값 약 51 상당) 가열 살균 후, 미리 멸균 처리해 둔 용량 350 ㎖ 의 페트병 (PET 용기) 에 무균적으로 충전시키고,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6 ∼ 9 (각 1 개) 를 얻었다.
Figure pct00004
(2) 네크 링 및 재분산성의 평가 시험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제작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6 ∼ 9 를 37 ℃ 의 항온기 내에서 4 주간 보존하고, 페트병의 상부에 네크 링을 발생시켜, 그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기호화하였다.
○:미소하게 관찰된다
△:확실하게 관찰되지만 소량이다
×:다량으로 관찰된다
그 후, 밀크 티를 항온기로부터 꺼내, 빙수로 1 시간 냉각시키고, 네크 링을 고화시켰다. 다음으로, 밀크 티가 담겨진 페트병을 각각 15 회 반전시키는 조작을 실시한 후, 페트병 내의 밀크 티를 500 ㎖ 용량 유리제 비커에 쏟고, 그 비커 내의 액면 상의 백색 부유물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기호화하였다.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미소하게 관찰된다
×:확실히 관찰된다
또한, 상기 조작에서는, 구체적으로는, 가만히 정지시킨 상태에 있는 페트병을 파지하고, 천천히 상하로 180 도 반전시켜 원래의 가만히 정지시킨 상태로 되돌릴 때까지의 동작을 15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또, 각 동작은 10 초 이내에서 실시하였다.
(3) 결과
상기 서술한 (2) 의 평가 시험의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 표 5 에는,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6 ∼ 9 의 각각에 첨가한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결합 숙신산 함유량을 함께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5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시작품 1 ∼ 4) 를 첨가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6 ∼ 9 는, 페트병을 진탕함으로써, 백색 부유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네크 링이 재분산되었다. 또, 결합 숙신산 함유량이 15 % 미만인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 (시작품 3 및 4) 를 첨가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8 및 9 에서는, 결합 숙신산 함유량이 15 % 를 초과하는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 (시작품 1 및 2) 를 첨가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6 및 7 에 비해 네크 링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었다.
[시험예 3]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에 있어서의 평가 시험]
(1)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의 조제
홍차잎 (아삼종) 100 g 을 80 ∼ 90 ℃ 의 정제수 4,000 g 으로 추출하여, 홍차잎 추출액을 얻었다. 그 홍차잎 추출액 5,920 g, 우유 2,400 g, 그라뉴당 960 g 및 표 6 에 기재된 유화제를 배합하고, 이것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량 16,000 g 의 밀크 티를 얻었다. 얻어진 밀크 티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살균 후의 pH 가 6.8 이 되도록 조정하고, 고압식 균질화 처리기 (형식:HV-OA-07-1.5S;이즈미푸드머시너리사 제조) 를 사용하여, 액온 약 60 ∼ 70 ℃, 제 1 단 압력 약 15 ㎫, 제 2 단 압력 5 ㎫ 의 조건에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밀크 티 (균질화 용액) 를 소형 연속식 UHT 장치 (플레이트형 간접 열교환기;파워 포인트 인터내셔널사 제조) 를 사용하여 141.2 ℃ 에서 30 초 (F 값 약 51 상당) 가열 살균 후, 미리 멸균 처리해 둔 용량 350 ㎖ 의 페트병 (PET 용기) 에 무균적으로 충전시키고,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0 (2 개) 을 얻었다.
Figure pct00006
(2) 네크 링 및 재분산성의 평가 시험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제작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0 을 5 ℃ 및 20 ℃ 의 항온기 내에 4 주간 보존하고, 페트병의 상부에 네크 링을 발생시켜, 그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기호화하였다.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미소하게 관찰된다
×:확실히 관찰된다
그 후, 밀크 티를 항온기로부터 꺼내, 빙수로 1 시간 냉각시키고, 네크 링을 고화시켰다. 다음으로, 밀크 티가 담겨진 페트병을 각각 15 회 반전시키는 조작을 실시한 후, 페트병 내의 밀크 티를 500 ㎖ 용량 유리제 비커에 쏟고, 그 비커 내의 액면 상의 백색 부유물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기호화하였다.
○:미소하게 관찰된다
△:확실하게 관찰되지만 소량이다
×:다량으로 관찰된다
또한, 상기 조작에서는, 구체적으로는, 가만히 정지시킨 상태에 있는 페트병을 파지하고, 천천히 상하로 180 도 반전시켜 원래의 가만히 정지시킨 상태로 되돌릴 때까지의 동작을 15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또, 각 동작은 10 초 이내에서 실시하였다.
(3) 결과
(2) 의 평가 시험의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7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시작품 4) 를 첨가한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0 은, 보존 온도 5 ℃ 및 20 ℃ 중 어느 것에서도 네크 링의 발생이 충분히 억제되어 있었다. 또, 페트병에 담은 밀크 티 10 에서 미소하게 발생한 네크 링은, 페트병을 진탕함으로써, 백색 부유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재분산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산가가 특정한 범위에 있는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분리, 응집된 유성분의 재분산성을 유성분 함유 음료에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한 신규한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가 제공되여, 그 산업상의 공헌도는 다대한 것이다.

Claims (2)

  1. 산가 90 ㎎KOH/g 이하의 글리세린 숙신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2. 제 1 항에 기재된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분 함유 음료.
KR1020157015989A 2012-11-19 2013-11-18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KR102102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2897 2012-11-19
JP2012252897 2012-11-19
PCT/JP2013/081025 WO2014077385A1 (ja) 2012-11-19 2013-11-18 乳成分含有飲料用乳化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534A true KR20150085534A (ko) 2015-07-23
KR102102496B1 KR102102496B1 (ko) 2020-04-20

Family

ID=5073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989A KR102102496B1 (ko) 2012-11-19 2013-11-18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53201B2 (ko)
KR (1) KR102102496B1 (ko)
CN (1) CN104797146B (ko)
WO (1) WO2014077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1006B2 (ja) * 2016-09-26 2021-04-21 理研ビタミン株式会社 乳風味増強剤
CN106866830A (zh) * 2017-01-16 2017-06-20 南昌大学 一种提高阿拉伯胶乳化性能的方法
US11179312B2 (en) 2017-06-05 2021-11-23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Aqueous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air
JP6867915B2 (ja) * 2017-08-28 2021-05-12 理研ビタミン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用乳化安定剤
US10617617B1 (en) 2018-12-04 2020-04-1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Polycarboxylic aci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fibrious amino acid based substrates, especially hair
US11090255B2 (en) 2018-12-04 2021-08-17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Use of polycarboxylic aci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fibrious amino acid based substrates, especially hair
KR20210037587A (ko) * 2019-09-27 2021-04-06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유성분 함유 음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706A (ja) * 1992-10-14 1994-05-10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乳飲料用乳化安定剤
JPH09143491A (ja) * 1995-11-22 1997-06-03 Taiyo Kagaku Co Ltd 液状油脂の品質改良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油脂組成物
JP2004194653A (ja) 2002-12-03 2004-07-15 Mitsubishi Chemicals Corp ショ糖脂肪酸エステルとポリグリセリン脂肪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乳飲料
JP2004305223A (ja) 2004-07-02 2004-11-04 Mitsubishi Chemicals Corp 乳飲料の製造方法
JP2009291159A (ja) 2008-06-09 2009-12-17 Riken Vitamin Co Ltd ペットボトル入り乳成分含有飲料
JP2011173824A (ja) * 2010-02-24 2011-09-08 Riken Vitamin Co Ltd グリセリンコハク酸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692A (ja) * 1993-01-22 1994-08-09 Riken Vitamin Co Ltd 製パン用油脂組成物及びパン類の製造方法
TW200621167A (en) * 2004-10-28 2006-07-01 San Ei Gen Ffi Inc Process for producing food containing plant sterol
JP2009247288A (ja) * 2008-04-08 2009-10-29 Riken Vitamin Co Ltd 乳成分含有飲料
JP5714234B2 (ja) * 2009-03-04 2015-05-07 株式会社Adeka 乳風味飲料
CN101633617B (zh) * 2009-08-20 2013-05-29 河南正通化工有限公司 有机酸甘油脂肪酸酯的制备方法
CN102669506B (zh) * 2012-05-10 2014-01-29 河南正通化工有限公司 一种聚合甘油及其脂肪酸酯的精制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706A (ja) * 1992-10-14 1994-05-10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乳飲料用乳化安定剤
JPH09143491A (ja) * 1995-11-22 1997-06-03 Taiyo Kagaku Co Ltd 液状油脂の品質改良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油脂組成物
JP2004194653A (ja) 2002-12-03 2004-07-15 Mitsubishi Chemicals Corp ショ糖脂肪酸エステルとポリグリセリン脂肪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乳飲料
JP2004305223A (ja) 2004-07-02 2004-11-04 Mitsubishi Chemicals Corp 乳飲料の製造方法
JP2009291159A (ja) 2008-06-09 2009-12-17 Riken Vitamin Co Ltd ペットボトル入り乳成分含有飲料
JP2011173824A (ja) * 2010-02-24 2011-09-08 Riken Vitamin Co Ltd グリセリンコハク酸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97146B (zh) 2017-03-08
KR102102496B1 (ko) 2020-04-20
CN104797146A (zh) 2015-07-22
JP6253201B2 (ja) 2017-12-27
WO2014077385A1 (ja) 2014-05-22
JPWO2014077385A1 (ja)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5534A (ko) 유성분 함유 음료용 유화제
JP6276050B2 (ja) 水中油型乳化物
JP5872839B2 (ja) 高生豆含有コーヒー用安定剤及びその安定化方法
JP6969087B2 (ja) 乳化安定性の高いクリーミングパウダー
JP4267605B2 (ja) 乳成分含有飲料
JP4402075B2 (ja) 乳成分含有飲料
JP4267606B2 (ja) 乳成分含有飲料
JP2009247288A (ja) 乳成分含有飲料
JP2009291159A (ja) ペットボトル入り乳成分含有飲料
JP4527688B2 (ja) 乳成分含有飲料
JP2021052749A (ja) 乳成分含有飲料
JP5001701B2 (ja) コーヒー飲料
JP2015146737A (ja) 加熱殺菌飲料用粉末状乳化油脂および該粉末状乳化油脂を含有する加熱殺菌飲料
JP3840906B2 (ja) 乳飲料
JP6591821B2 (ja) 食品用消泡剤
JP6734036B2 (ja) 乳成分含有コーヒー飲料
JP5802094B2 (ja) 液状栄養組成物の製造方法
TWI777036B (zh) 食品及其製造方法、以及抑制食品中產生經時異味的方法
JP6841966B1 (ja) 植物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容器詰め飲料
JP2012139163A (ja) 乳脂肪含有飲料
JP6495520B1 (ja) 乳飲料用の安定剤
JP6784857B1 (ja) 植物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容器詰め飲料
JP2009118797A (ja) スケール抑制剤
JP3840903B2 (ja) ジグリセリン脂肪酸エステル、有機酸モノグリセリド、及びアルカリ金属塩を含有する乳化安定剤
JPWO2015151345A1 (ja) 乳成分含有飲料用乳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