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057A - 채소 이식기 - Google Patents

채소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057A
KR20150084057A KR1020157015767A KR20157015767A KR20150084057A KR 20150084057 A KR20150084057 A KR 20150084057A KR 1020157015767 A KR1020157015767 A KR 1020157015767A KR 20157015767 A KR20157015767 A KR 20157015767A KR 20150084057 A KR20150084057 A KR 2015008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od
irrigation
seed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210B1 (ko
Inventor
타다시 콘도
유이치 카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이식 후의 모종의 활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승용형 주행부(10)의 후부에 승강 기구(30)를 통하여 식부부(40)가 장착이 장착되고, 상기 식부부(40)는 로터리식 또는 크랭크식 식부조부(70)를 구비하며, 상기 식부조부(70)의 상하 방향의 회동에 의해 모종 적재대(41) 상에 적재한 셀 모종 매트(8)로부터 한 포기씩 식부조(45)에 의해 잘라내어 논밭에 식부하는 채소 이식기(1)로서, 채소 이식기(1)에는 식부시에 관수하는 관수 장치(6)가 구비되고, 상기 관수 장치(6)는 주행부(10)에 탑재되는 관수용 탱크(62), 식부부(40)에 마련되어 식부 타이밍에 맞추어 관수 탱크(62)로부터의 물을 토출하는 관수 펌프(64) 및 상기 관수 펌프(64)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식부 위치 근방으로 토수하는 관수 노즐(6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채소 이식기{VEGETABLE TRANS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채종이나 양배추 등의 모종을 이식하는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용형 주행기체의 후부에 승강 기구를 통하여 식부부가 장착되며, 주행기체에 관수용 탱크를 탑재하고 식부부의 식부 위치 근방에 관수 토출 노즐을 배치한 관수 장치를 구비하는 채소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행형 주행기체의 전부(前部)에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탱크 내의 물을 펌프의 작동에 의해 빨아들여, 개폐조의 내부로 토수되도록 구성한 채소 이식기의 관수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7-5312호 공보
종래, 종횡으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한 트레이에 의해 셀 모종(또는 포트 모종)을 재배하여 보행형 채소 이식기의 모종 적재대에 트레이를 적재하고, 주행하면서 트레이에서 하나씩 채소 모종을 꺼내어 개폐조 내에 삽입하고, 개폐조를 하강시켜 포장(圃場, 이하 '논밭'이라고 함)면에 이르는 도중에 관수를 실시하여, 논밭면에서 개폐조를 열어 식부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 경우의 관수는 하강하는 개폐조 내에 토수해야 하기 때문에 관수하는 물의 양이 한정되며, 토수하는 타이밍도 정확하게 행해야 한다. 또한, 잎이 크게 자라 있거나 토수의 방향이 어긋나면 뿌리 토분(흙 부분)에 균일하게 물이 뿌려지지 않아 활착 불량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 논밭의 식부 위치에 관수함으로써, 활착성을 향상시키고 승용형 채소 이식기에 의해 대량으로 이식하는 경우에도 확실히 관수할 수 있는 채소 이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청구항 1에서는 승용형 주행부의 후부에 승강 기구를 통하여 식부부가 장착되고, 상기 식부부에 마련한 식부조의 상하 방향의 회동에 의해 모종 적재대 상에 적재한 셀 모종 매트로부터 한 포기씩 식부조에 의해 잘라내어 논밭에 식부하는 채소 이식기로서, 채소 이식기에는 식부시에 관수하는 관수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관수 장치는 관수용 탱크, 및 식부부에 마련되며 식부 타이밍에 맞추어 관수 탱크로부터 물을 토출하는 토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서는, 상기 토수 수단은 관수 펌프와 관수 노즐로 이루어지며, 관수 노즐은 식부조가 회동되는 최하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서는, 상기 토수 수단은 관수 펌프와 관수 노즐로 이루어지고, 관수 노즐은 식부조가 회동되는 최하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청구항 4에서는, 상기 관수 노즐은 상기 식부조의 전측 하방에 배치하여 논밭면에 이랑을 형성하는 작구기에 장착되는 것이다.
청구항 5에서는, 상기 관수 탱크는 좌우의 전륜보다 전방의 스텝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청구항 1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기계적으로 셀 모종을 이식할 때 동시에 관수가 가능하여 활착이 좋아지고, 기계적으로 이식해도 시드는 것을 감소시켜 생육률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이식시에 최소한의 필요한 수량을 토출할 수 있어 쓸데없는 관수가 없으며, 한 번 관수 탱크에 급수하는 것만으로 넓은 논밭의 연속 이식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논밭의 흙을 적시고 나서 셀 모종이 식부되어 논밭의 흙과 뿌리 토분의 활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3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셀 모종의 식부 및 복토 후에 관수되어, 복토된 흙과 뿌리 토분과 그 주위의 흙이 물로 축여져서 어우려져 활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4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논밭에 대한 높이 및 토수 위치가 일정해져 관수 상태가 일정하게 되어, 이식 후의 모종의 생육도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전방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고, 기체 프레임 하방의 차축 전방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전후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채소 이식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채소 이식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식부부의 측면도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식부부의 후면도이다.
도 5는 관수 탱크 배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채소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식부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셀 모종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센서 롤러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식부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셀 모종 매트와 모종 분리용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관수 펌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채소 이식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면 중의 화살표(F)로 나타내는 방향을 채소 이식기(1)의 전진 방향이며 전방으로 하고, 이하에 서술하는 각 부재의 위치나 방향 등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채소 이식기(1)는 주행부(10) 및 식부부(40)를 가지며, 주행부(10)에 의해 주행하면서 식부부(40)에 의해 셀 모종(80)을 논밭에 식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부부(40)는 주행부(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이 주행부(10)의 후부에 승강 기구(30)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주행부(10)와 승강 기구(30)의 기본 구성은 이앙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주행부(10)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11)의 전방 하부에 프론트 엑슬 케이스(16)를 통하여 좌우 양측에 전륜(12·12)이 지지되고, 기체 프레임(11)의 후부에 리어 엑슬 케이스(17·17)를 통하여 후륜(13·13)이 좌우 양측에 지지된다. 기체 프레임(11)의 후방 상부에는 엔진(14)이 마련되며 차체 커버(23)에 의해 피복된다. 기체 프레임(11)의 후방 상부의 엔진(14)의 후부에 미션 케이스(18)가 배치되고,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전륜(12) 및 후륜(13)에 전달함과 함께, PTO축을 통하여 식부부(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주행부(10)에는, 기체 프레임(11)의 전후 중간부 상에 운전 조작부(20)가 마련된다. 운전 조작부(20)의 전부에는 대시 보드(21)가 배치되고 대시 보드(21)의 좌우 중앙부에는 조향 핸들(24)이 배치된다. 조향 핸들(24)의 후방에는, 운전석(22)이 배치된다. 운전석(22)의 하방에는 차체 커버(23)가 배치된다. 차체 커버(23)는 전후 중간부나 대시 보드(21)의 좌우 양측을 승강용 스텝(23a)으로 되어 있다. 운전 조작부(20)에서는 메인 변속 레버(25)나 변속 페달(26)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 도구가 배치된다. 이러한 조작 도구에 의해 주행부(10) 및 식부부(40)에 대하여 적절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좌우 양측의 후륜(13·13)의 차축(13a·13a)보다 전방에는 관수용 탱크(62)가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륜(12·12) 전방의 스텝(23a) 하방의 기체 프레임(11)에 관수용 탱크(62·62)가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관수용 탱크(62)의 바닥부에는 도시 생략한 호스의 일단이 연통되고, 호스의 타단은 후술하는 관수 펌프(64)의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관수용 탱크(62·62)에 급수하기 위하여 차체 커버(23) 내에 급수 펌프(63)가 배치되어 엔진(14)과 연동 연결되고, 상기 급수 펌프(63)의 토출구와 관수용 탱크(62)의 보급구 사이에는 보급 호스가 연통되어 있다. 급수 펌프(63)의 흡입구에는 급수 호스의 일단이 접속되고, 급수 호스의 타단에는 석션 필터가 마련되며 석션 필터를 연못이나 강 등에 넣어 엔진(14)으로부터 동력을 급수 펌프(63)에 전달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물을 빨아올려 관수용 탱크(62)에 급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관수용 탱크(62)의 배치는 기체 프레임(11)의 전측 하방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22)의 후부의 기체 프레임(11) 위(후륜(13·13)의 상방)에 관수용 탱크(62a)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후륜(13·13)의 외측방에 관수용 탱크(62b·62b)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 관수용 탱크(62)는 전부의 대시 보드(21) 내에 엔진(14)을 배치하는 구성의 이식기에서는 운전석(22)의 하방에 배치할 수도 있고, 또한 관수용 탱크(62)는 식부부(40)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급수하는 물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는, 기체 프레임(11)의 좌우 전부(62), 운전석(22)의 후부(62a) 및 후륜(13)의 측부(62b) 중 어느 2지점 또는 3지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관수용 탱크(62)에는 급수 펌프(63)에 의해 급수하는 것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기구(30)는 상 링크(31), 하 링크(32) 및 도시 생략한 승강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 링크(31)와 하 링크(32)의 전단이 회동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회동 프레임과 기체 프레임(11) 사이에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실린더가 개재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를 신축 구동함으로써 식부부(40)를 승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승강 기구(30)의 상 링크(31)와 하 링크(32)의 후단에 식부부측의 히치(33)가 연결된다. 상기 히치(33)의 후부에 식부 프레임(49)이 좌우 경도(傾倒)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으로, 채소 이식기(1)에 의해 이식되는 셀 모종 매트(8)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 모종 매트(8)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판(배양지)으로서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각뿔대) 형상의 뿌리 토분(81)을 종횡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판 형상 매트의 바닥부를 격자 형상으로 깎아 뿌리 토분(81·81…)을 형성하고, 각 뿌리 토분(81·81…)에 파종하고 육묘하여 몇 개의 잎이 자란 채소 모종(82·82…)과 뿌리 토분(81·81…) 전체를 셀 모종 매트(8)로 만든다. 그리고, 하나의 채소 모종(82)과 뿌리 토분(81)을 잘라낸 것을 셀 모종(포트 모종)(80)으로 만든다. 또한, 셀 모종 매트(8)의 조 수(좌우 방향의 셀 모종(80) 수)나 열 수(전후 방향의 셀 모종(80)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채소의 종류나 식부 시기 등에 따라 그 수는 결정된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셀 모종 매트(8)를 적재하여 식부하는 식부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6조식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조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식부부(40)는, 셀 모종 매트(8)를 좌우 평행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6조) 나열하여 배치되는 모종 적재대(41), 모종 적재대(41)로부터 한 개씩 셀 모종(80)을 잘라내어 논밭에 식부하는 식부조부(70),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모종 적재대(41)를 가로 이송하거나 식부조부(70)를 구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식부 미션 케이스(47), 식부 미션 케이스(47)로부터 식부조부(70)에 동력을 전달하는 식부 전동 케이스(46), 이들을 지지하는 식부 프레임(49), 식부 위치에 이랑을 형성하는 작구기(50), 관수 펌프(64)와 관수 노즐(65)로 이루어지는 토수 수단, 식부 후에 복토하는 복토판(51) 및 복토 후의 흙을 누르는 진압륜(52) 등을 구비한다.
상기 식부 프레임(49)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지지 케이스(49a)와 지지 케이스(49a)로부터 상방으로 세로로 마련되는 식부 프레임체(49b)로 구성된다. 지지 케이스(49a)는 사각 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지지 케이스(49a)의 좌우 대략 중앙에는 식부 미션 케이스(47)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전방으로 식부 입력축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식부 입력축은 전동축이나 조인트 등을 통하여 주행부(10)의 미션 케이스(18)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PTO축과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엔진(14)으로부터 동력이 미션 케이스(18)나 PTO축 등을 통하여 식부부(40)의 식부 미션 케이스(47)에 전달된다.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47)로부터 모종 적재대 가로 이송 구동축, 세로 이송 구동축 및 식부 구동축이 돌출되고, 모종 적재대 가로 이송 구동축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모종 적재대(41)를 좌우 왕복 구동하여 모종 적재대가 좌우단에 도달하면, 세로 이송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모종 적재대(41) 위에 마련한 세로 이송 벨트(41a)가 구동되어 1열분의 셀 모종 매트(8)가 하방으로 보내진다.
상기 지지 케이스(49a)의 후면으로부터는, 3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46·46)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상기 지지 케이스(49a)로부터 후방으로 복수 돌출되어 마련되는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는, 회전 케이스(44)와 식부조(45·45)로 이루어지는 식부조부(70·70)가 배치된다. 즉,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 회전 케이스(44·44)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 케이스(44)는 식부조 수와 같은 수, 즉 본 실시예에서는 6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회전 케이스(44)에는 회동 지점(회전 케이스 구동축(44a))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 양측에 2개의 식부조(45·45)가 지지되어 있다. 회전 케이스(44) 내에는 편심 기어열이 수납되고, 회전 케이스(44)의 회전에 의해 식부조(45·45)가 요동되어 식부조(45·45)의 선단 궤적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세로 타원 형상이 되도록 구동된다. 이렇게 하여 로터리식 식부조부(7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식부조부(70)는 로터리식 대신 크랭크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크랭크식 식부조부(7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부 아암(71), 식부 구동축(72), 회동 아암(73) 및 요동 아암(74)으로 이루어진다.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식부 구동축(72) 상에 회동 아암(73)의 일단이 고정되어 마련되고, 회동 아암(73)의 타단은 식부 아암(71)의 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식부 아암(71)의 후단에는 요동 아암(7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요동 아암(74)의 타단은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식부 구동축(72)의 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식부 아암(71)의 일단에는 식부조(45)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식부 구동축(72)을 회전시키면 회동 아암(73)이 회전되어 식부조(45)의 선단은 세로로 긴 대략 긴 타원의 궤적을 그리듯이 회전하여, 모종 적재대(41)의 가로 이동에 동기시켜 셀 모종(80)을 한 개씩 잘라내어 식부하는 것이다.
상기 식부조(45)는 강제조(압출식 식부조)여도 되고 블록조(협지식 식부조)여도 되며, 그 식부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취 로드(45a)와 압출 로드(45b)를 구비하여 모종 적재대(41)에서 셀 모종(80)을 잘라내고, 식부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 압출 로드(45b)를 신장시켜 셀 모종(80)을 논밭면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강제조, 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판 형상 조(45c)가 좌우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모종 적재대(41)에서 셀 모종(80)을 잘라냄과 동시에 판 형상 조(45c·45c)에서 셀 모종(80)을 사이에 두고 지지하고, 식부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 판 형상 조(45c·45c)를 열어 셀 모종(80)을 논밭면에 식부하는 블록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모종(80)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강제조에 지지조(45d)를 더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도 9의 (a) 실시예의 경우에, 식부조(45)를 장착하는 조 케이스(45k)의 전부(모종 적재대(41)측)에 절취 로드(45a)가 고정되어 마련되며, 상기 절취 로드(45a)의 후부 하면에 지지조(45d)의 베이스부가 고정되고, 선단은 압출 로드(45b)의 상면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조(45d)는 봉 형상체를 측면에서 보아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절취 로드(45a)의 좌우 중앙에 배치된다. 단, 지지조(45d)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조(45d)의 베이스부측을 조 케이스(45k)의 전방 하부에 고정하고, 선단측을 압출 로드(45b)의 하면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모종 적재대(41)에서 절취 로드(45a)로 셀 모종(80)을 잘라냄과 동시에 지지조(45d)의 선단부와의 3점에서 셀 모종(80)을 지지하고, 식부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 압출 로드(45b)를 신장시켜 셀 모종(80)을 논밭면으로 밀어내 식부하는 것이다.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46) 내에는 베벨 기어나 전동축이 수납되어 있고, 식부 전동 케이스(46) 내의 베벨 기어나 전동축이나 유닛 클러치 등을 통하여,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에 좌우 방향으로 옆으로 걸쳐놓은 회전 케이스 구동축(44a)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 케이스(44)를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각 식부 전동 케이스(46·46·46)의 전방 상부에 모종 적재대 레일(42)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로로 접촉되어, 모종 적재대(41)의 하부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 케이스(49a)의 상면에 식부 프레임(49b)의 하부가 장착된다. 식부 프레임(49b)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부 레일(43)이 마련되어 모종 적재대(41)의 이면(전면) 상부를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모종 적재대(41)의 하부는 상기 모종 적재대 레일(42)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모종 적재대(41)는 상기 모종 적재대 가로 이송 구동축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가로 이송 기구의 작동에 의해 좌우 왕복으로 가로 이송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모종 적재대(41)는 표면에 전후 방향의 리브를 좌우 방향으로 셀 모종 매트(8)의 폭에 맞추어 형성하고, 6조의 모종 매트 적재부를 구성하고 있다. 모종 매트 적재부의 각 조에는 세로 이송 벨트(41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로 이송 벨트(41a)는, 상기 모종 적재대(41)가 좌우 왕복 가로 이송의 스트로크단에 도달할 때마다, 도시 생략한 세로 이송 기구에 의해 모종 적재대(41) 상의 셀 모종 매트(8)를 하방을 향해 세로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모종 적재대(41)의 하부에는, 셀 모종 매트(8)에서 좌우 인접하는 셀 모종(80)의 채소 모종(82)이 식부시에 얽히는 것을 방지하는 모종 분리용 가이드(76)가 마련되어 있다. 모종 분리용 가이드(76)는 도 3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모종 적재대(41)의 리브 상에 옆으로 걸쳐 고정된다. 모종 분리용 가이드(76)는 평면에서 보아 전변 및 후변이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부가 낮고 뾰족한 형상이 되며 후부가 높게 형성되고, 후부의 높이는 채소 모종(82)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정도로 되어 있다. 전변에 형성되는 전방 볼록부(76a·76a…)는 모종 적재대(41)에 적재한 셀 모종 매트(8) 하부의 셀 모종(80)과 셀 모종(80)의 경계 상방에 위치시킨다. 상기 전방 볼록부(76a)와 전방 볼록부(76a) 사이의 전방 오목부(76b)에는 채소 모종(82)이 위치하게 된다. 전방 볼록부(76a·76a…)의 후측 하방은 전방으로 패인 오목부(76c·76c…)가 형성되고, 이후 오목부(76c·76c…)의 위치에 식부조(45)의 선단(좌우의 절취 로드(45a·45a))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셀 모종 매트(8)가 모종 적재대(41)에 적재되어 하방의 모종 적재대 레일(42)까지 미끄러져 내려지면, 모종 분리용 가이드(76)의 전방 볼록부(76a·76a…)가 셀 모종(80)의 줄기와 줄기 사이에 들어감과 함께, 뿌리 토분(81)의 표면을 눌러 뜨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전방 오목부(76b·76b…)에서 채소 모종(82)의 잎부를 감싸도록 하여 인접하는 셀 모종(80)의 잎부를 분리하고, 식부조(45)는 후방 오목부(76c·76c…)를 통과하도록 하여 식부조(45)가 잎부에 닿아 손상되지 않게 한다. 이 상태에서 식부조(45)가 회동되면, 좌우의 절취 로드(45a·45a)가 후방 오목부(76c·76c…)에 들어가 셀 모종(80)과 셀 모종(80)의 경계 부분을 잘라내어 뿌리 토분(81)의 측면을 잡고, 압출 로드(45b)의 선단과 지지조(45d)에 의해 뿌리 토분(81)을 지지하면서 하강하여, 논밭면에서 하나의 셀 모종(80)(한 포기의 모종)을 방출하여 논밭에 식부된다.
또한,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하방에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작구기(50), 관수 노즐(65), 복토판(51) 및 진압륜(52)이 배치되고, 좌우 중앙의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측방에는 센서 롤러(54)가 배치된다.
작구기(50)는 링크 기구(56)를 통하여 식부 전동 케이스(46)에 지지된다. 링크 기구(5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 링크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작구기(50)를 평행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링크 기구(56)는 전방 링크(56a)와 후방 링크(56b)로 이루어지고, 전방 링크(56a)와 후방 링크(56b)의 상부는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하부에 피봇 지지되고 하부는 작구기(50)의 상면에 피봇 지지된다. 그리고, 전방 링크(56a)(또는 후방 링크(56b))의 상부로부터 전측 상방에 높이 조절 레버(56c)가 연장되어 마련돼 복수 지점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여, 작구기(50)의 높이, 즉 작구 깊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단, 링크 기구(5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링크(56a)와 후방 링크(56b)를 측면에서 보아 「X」자 형태로 배치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구기(50)는, 평면에서 보아 탄환 형상으로서 전부가 뾰족한 형상으로서 서서히 후부가 좌우로 넓어지고, 측면에서 보아 배 형상으로서 전측 상부로부터 서서히 후측 하방으로 내려가는 구성으로 하고, 후부에는 좌우의 측판이 평행하게 후방으로 수직하여 연장되어 마련되며, 후부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됨과 함께 후방도 개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전부의 배 형상 부분이 전방으로 진행함과 함께 땅 속에 진입시켜 이랑을 형성하고 좌우의 측판으로 식부 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이 좌우의 측판 사이에 관수 노즐(65)이 배치되고, 그 후방의 측판 사이를 식부조(45)가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작구기(50)의 후부 내에 식부조(45)의 회동 궤적의 하부가 배치되고 회동 궤적의 전방에 관수 노즐(65)이 배치된다. 단, 작구기(50)의 구성은 선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가 평면에서 보아 뾰족한 형상이고, 작구기(50) 전면이 측면에서 보아 서서히 전측 하방으로 낮아지는 배토기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관수 노즐(65)은 물을 모종의 식부 위치(9)의 이랑 내에 토수하는 것으로, 토수 위치는 식부조(45)의 하사점 근방, 다시 말하면 식부조(45) 선단의 회동 궤적의 하단 위치가 되는 식부 위치(9)의 근방에 토수하도록 배치된다. 관수 노즐(65)은 호스를 통하여 관수 펌프(64)와 접속되어 관수용 탱크(62) 내의 물을 관수 펌프(64)의 구동에 의해 흡입하여 관수 노즐(65)로부터 토출하는 것이다. 관수 노즐(65)은 작구기(50)의 전후 중간부의 좌우 중앙에 고정되고 하측 후방을 향해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토수 위치는 복토 직후여도 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수 노즐(65)은 작구기(50)의 측판 후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지지체(53)에 지지되어, 식부 후의 셀 모종(80) 근방의 복토 상에 토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토수 위치는 식부와 동시에 식부 위치(9) 근방이어도 된다. 이 경우, 관수 노즐(65)은 작구기(50)의 후측부에 배치되고 식부 위치의 측방으로 관수된다. 한편, 토수량을 많게 하는 경우 등은 식부 위치(9)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측방 중 어느 2지점 또는 3지점에 토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관수용 탱크(62)로부터 물을 빨아들여 관수 노즐(65)로 압송하는 관수 펌프(64)는 식부 미션 케이스(47)의 측부 또는 식부 전동 케이스(46)에 장착되어 동력이 전달되고, 식부조(45)에 의한 식부 타이밍에 맞추어 간헐 구동되어 식부 위치(9) 근방에 토수되도록 하고 있다.
 관수 펌프(64)는,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 펌프(77)로 구성할 수 있다. 튜브 펌프(77)는 식부 구동축에 연동한 펌프축(77a) 상에 로터리 아암(77b)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고정되고, 로터리 아암(77b)의 양단에 롤러(77c·77c)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펌프축(77a)을 중심으로 한 롤러(77c)의 외측에 원호상의 가압 가이드(77d)가 마련되고, 가압 가이드(77d)와 롤러(77c) 사이에 튜브(77e)가 배치된다. 튜브(77e)의 일단에 호스를 통하여 관수용 탱크(62)와 접속되고, 튜브(77e)의 타단에는 호스를 통하여 관수 노즐(65)이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식부 구동에 연동하여 펌프축(77a)이 회전되면, 롤러(77c)가 가압 가이드(77d)를 따라 회전하고, 튜브(77e) 내에 흘러든 물은 롤러(77c)와 가압 가이드(77d)에 끼워진 상태에서 관수 노즐(65)측으로 밀려나와 관수 노즐(65)로부터 토수된다. 롤러(77c)가 통과한 튜브(77e)는 원래 굵기로 복원되어 물을 흡입한다.
또한, 관수 펌프(64)는, 예를 들면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 펌프(78)로 구성할 수 있다. 플런저 펌프(78)는 식부 구동축에 연동된 펌프축이 되는 크랭크축(78a)에 커넥팅 로드(78b)를 통하여 플런저(78c)와 연결되고, 플런저(78c)는 펌프 케이스(78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펌프 케이스(78d)의 헤드 측에는 흡입 밸브(78e)와 토출 밸브(78f)가 배치되고, 흡입 밸브(78e)에는 호스를 통하여 관수용 탱크(62)와 접속되고, 토출 밸브(78f)에는 호스를 통하여 관수 노즐(65)과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식부 구동에 연동하여 크랭크축(78a)이 회전되면, 플런저(78c)가 크랭크축(78a) 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흡입 밸브(78e)가 열리고 토출 밸브(78f)가 닫혀, 물이 펌프 케이스(78d) 내로 유입된다. 또한, 크랭크축(78a)이 회동하여 플런저(78c)가 헤드측으로 슬라이딩되면, 흡입 밸브(78e)가 닫히고 토출 밸브(78f)가 열려, 펌프 케이스(78d) 내의 물이 관수 노즐(65) 측으로 밀려나와 토출된다.
또한, 관수 펌프(64)는, 예를 들면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스캐이드 펌프(79)로 구성할 수 있다. 캐스캐이드 펌프(79)는 케이싱(79b) 내에 원판 형상의 임펠러(79c)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임펠러(79c)의 중심이 엔진(14)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축(79a)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79b)의 외주에는 흡입구(79d)와 토출구(79e)가 마련되고, 흡입구(79d)와 토출구(79e) 사이의 케이싱(79b)과 임펠러(79c) 사이에는 격벽(79f)이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79d)에는 호스를 통하여 관수용 탱크(62)와 접속되고, 토출구(79e)에는 호스 및 전환 밸브(79g)를 통하여 관수 노즐(65)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환 밸브(79g)에는 잉여수 호스가 접속되어 관수 노즐(65)로부터 토수하지 않을 때에는 관수 탱크(62)로 되돌아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식부 작업시에는 상시 펌프축(79a)에 동력이 전달되어 임펠러(79c)가 회전하면, 와류가 발생하여 흡입구(79d)로부터 물을 빨아들여 토출구(79e)로부터 토출된다. 그리고, 전환 밸브(79g)는 식부 타이밍에 맞추어 개폐시켜 관수 노즐(65)로부터 소정량 토수한다. 이 경우, 토출 측에 도시 생략한 축압실을 마련함으로써 안정된 토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관수 펌프(64)는 기어 펌프나 베인 펌프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관수 펌프(64) 대신 상기 엔진(14)에 의해 구동되는 급수 펌프(63)를 이용하여 관수 노즐(65)로 물을 압송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급수 펌프(63)의 토출부에는 관수용 탱크(62)와 관수 노즐(65)로 토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가 마련된다.
복토판(51)은 상기 작구기(50)의 후부 양측에 장착된다. 좌우의 복토판(51)은 평면에서 보아 좌우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장착되고, 전진과 함께 식부 후의 셀 모종(80)의 뿌리 토분(81)으로 흙을 대도록 한다.
진압륜(52)은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단으로부터 후측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 로드(57)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진압륜(52)은, 원뿔대 형상으로 구성되며 식부 위치 후방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 로드(57)와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부 사이에는 바이어스 부재(58)가 개재되고, 진압륜(52)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이어스 부재(58)는 로드와 로드에 밖에서 끼워진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비틀림 스프링 등으로 바이어스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압륜(52)의 논밭면과 접하는 외주면은 발수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구성하여 흙이 잘 뭍지 않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전진과 함께 복토판(51)에서 모종의 근기에 더해진 흙의 표면을 진압륜(52)으로 가압함으로써, 활착하기 쉽게 하고 있다.
센서 롤러(54)는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아암(59)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좌우 중앙의 작구기(50)의 측방 또는 전방에 배치된다. 지지 아암(59)의 중간부는 지지 케이스(49a)(또는 식부 전동 케이스(46))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 아암(59)의 타단은 전측 상방으로 연장하여 마련되며 센서 와이어(61)로 연결되어 있다. 센서 와이어(61)의 타단은 주행부(10)에 마련한 도시 생략한 승강 유압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승강 유압 장치는 식부부(40)를 승강하는 승강 실린더를 승강 제어하는 것으로, 식부부(4)를 설정 높이, 즉 식부 깊이가 설정 깊이가 되도록 승강 실린더를 승강 제어한다. 예를 들면, 논밭이 딱딱하여 작구기(50)가 부상하면, 센서 롤러(54)는 하강하며 센서 와이어(61)는 신장되고, 승강 유압 장치는 승강 실린더를 신장시켜서 식부부(40)를 하강시켜, 설정 깊이까지 하강시킨다. 반대로, 논밭이 부드러워 작구기(50)가 가라앉아 하강하면, 센서 롤러(54)는 상승하며 센서 와이어(61)는 당겨져, 승강 유압 장치는 승강 실린더를 축소시켜서 식부부(40)를 상승시켜, 설정 깊이까지 상승시킨다. 이렇게 하여 설정 깊이를 유지하고, 식부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승용형 주행부(10)의 후부에 승강 기구(30)를 통하여 식부부(40)가 장착되며, 상기 식부부(40)는 로터리식 또는 크랭크식 식부조부(70)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조부(70)의 상하 방향의 회동에 의해 모종 적재대(41) 상에 적재한 셀 모종 매트(8)로부터 한 포기씩 식부조(45)에 의해 잘라내어 논밭에 직접 셀 모종(80)을 식부하므로, 이식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식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셀 모종(80)은 작구기(50)내에서 방출되므로, 경지가 아닌 경우라도 주위의 잡초나 흙덩이 등의 영향을 받아 식부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게 식부된다.
또한, 채소 이식기(1)에는 식부시에 관수하는 관수 장치(6)가 구비되고, 상기 관수 장치(6)는 채소 이식기(1)에 탑재되는 관수용 탱크(62), 식부부(40)에 마련되어 식부 타이밍에 맞추어 관수 탱크(62)로부터 물을 토출하는 관수 펌프(64) 및 상기 관수 펌프(64)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식부 위치 근방에 토수하는 토수 수단을 구비하므로, 기계적으로 셀 모종을 이식하는 경우, 동시에 관수를 할 수 있어 활착이 좋아지고 기계적으로 이식하여도 시드는 것을 감소시켜 생육률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이식시에 최소한 필요한 수량을 토출할 수 있어 불필요한 관수가 없으며, 한 번 관수 탱크에 급수하는 것만으로 넓은 논밭의 연속 이식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토수 수단이 되는 관수 노즐(65)은 식부조(45)가 회동되는 최하부의 전방에 배치한 경우 논밭의 흙을 축이고 나서 셀 모종(80)이 식부되어, 논밭의 흙과 뿌리 토분(81)의 활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토수 수단이 되는 관수 노즐(65)은 식부조(45)가 회동되는 최하부의 후방에 배치한 경우에는 셀 모종(80)의 식부 및 복토 후에 관수되어, 복토된 흙과 뿌리 토분(81)과 그 주위의 흙이 물로 축여져서 어우러져 활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관수 노즐(65)은 상기 식부조(45)의 전측 하방에 배치하여 논밭면에 이랑을 형성하는 작구기(50)에 장착되므로, 논밭에 대한 높이 및 토수 위치가 일정해지고 관수 상태가 일정해져, 이식 후의 모종의 생육도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수 탱크(62)는 좌우의 전륜(12·12)보다 전방의 스텝(23a) 하방에 배치되므로 전방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고, 기체 프레임(11)의 하방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채소나 화훼 등의 셀 모종을, 주행부의 후부에 장착한 식부부의 모종 적재대에 적재하여, 회전하는 로터리식 또는 크랭크식 식부조로 잘라내어 이식하는 이식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채소 이식기 6: 관수 장치
8: 셀 모종 매트 10: 주행부
30: 승강 기구 40: 식부부
41: 모종 적재대 45: 식부조
62: 관수용 탱크 64: 관수 펌프
65: 관수 노즐

Claims (5)

  1. 승용형 주행부의 후부에 승강 기구를 통하여 식부부가 장착되고, 상기 식부부에 마련한 식부조의 상하 방향의 회동에 의해 모종 적재대 상에 적재한 셀 모종 매트로부터 한 포기씩 식부조에 의해 잘라내어 논밭에 식부하는 채소 이식기로서, 채소 이식기에는 식부시에 관수하는 관수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관수 장치는 관수용 탱크, 및 식부부에 마련되며 식부 타이밍에 맞추어 관수 탱크로부터 물을 토출하는 토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 수단은 관수 펌프와 관수 노즐로 이루어지며, 관수 노즐은 식부조가 회동되는 최하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이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 수단은 관수 펌프와 관수 노즐로 이루어지고, 관수 노즐은 식부조가 회동되는 최하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이식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 노즐은 상기 식부조의 전측 하방에 배치하여 논밭면에 이랑을 형성하는 작구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이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 탱크는 좌우의 전륜보다 전방의 스텝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이식기.
KR1020157015767A 2012-12-06 2013-11-28 채소 이식기 KR101776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518524.0A CN103843501B (zh) 2012-12-06 2012-12-06 蔬菜移植机
CN201210518524.0 2012-12-06
PCT/JP2013/082044 WO2014087917A1 (ja) 2012-12-06 2013-11-28 野菜移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057A true KR20150084057A (ko) 2015-07-21
KR101776210B1 KR101776210B1 (ko) 2017-09-07

Family

ID=5085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767A KR101776210B1 (ko) 2012-12-06 2013-11-28 채소 이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52118B2 (ko)
KR (1) KR101776210B1 (ko)
CN (1) CN103843501B (ko)
WO (1) WO2014087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5145B (zh) * 2014-10-09 2016-04-06 浙江理工大学 两行半自动小株距蔬菜移栽机构
WO2016195604A1 (en) * 2015-06-03 2016-12-08 Kasetsart University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eedlings or plant propagation materials and process thereof
JP6640708B2 (ja) * 2016-12-26 2020-02-05 株式会社クボタ 移植作業機
CN108235848B (zh) * 2016-12-26 2021-05-25 株式会社久保田 移植作业机械
CN107624314B (zh) * 2017-11-15 2023-10-20 河南科技大学 一种育苗移栽机用苗盘自动输送装置
CN108064510B (zh) * 2018-01-17 2024-01-16 辽宁省盐碱地利用研究所 水稻本田移栽补苗器
JP7200053B2 (ja) * 2019-06-18 2023-01-06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KR102303353B1 (ko) * 2019-07-15 2021-09-1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CN110301200A (zh) * 2019-08-06 2019-10-08 丁研 一种单排纸钵苗移栽机分苗机构
CN111165132B (zh) * 2019-12-03 2024-01-30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穴盘苗移栽装置和方法
CN112970393B (zh) * 2020-12-29 2022-11-29 中国热带农业科学院南亚热带作物研究所 一种双行菠萝种植机
CN114830890B (zh) * 2022-06-02 2024-06-18 武汉中科水生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沉水植物种植集成平台
EP4295658A1 (en) * 2022-06-24 2023-12-27 Yanmar Holdings Co., Ltd. Seedling transplanter
CN115462224A (zh) * 2022-09-22 2022-12-13 浙江理工大学 一种蔬菜钵苗植苗机构及其植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817Y2 (ja) * 1979-05-31 1983-11-19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移植機の高畦成形装置
JPH064662Y2 (ja) * 1988-03-01 1994-02-09 三菱農機株式会社 苗植付装置
JPH0829007B2 (ja) * 1988-04-13 1996-03-27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JPH04173011A (ja) * 1990-11-06 1992-06-19 Kubota Corp 苗植付爪
JP2628228B2 (ja) * 1990-11-28 1997-07-0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種子マット使用苗移植方法
JP3235122B2 (ja) * 1991-08-02 2001-12-0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2558103Y2 (ja) * 1992-01-10 1997-12-1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の散布装置
JPH04110417U (ja) * 1992-02-27 1992-09-25 三菱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植付機
JPH1056827A (ja) * 1996-08-23 1998-03-03 Iseki & Co Ltd 苗載置装置
JPH1142005A (ja) * 1997-07-28 1999-02-16 Iseki & Co Ltd 苗植機
JP3482964B2 (ja) * 2002-06-17 2004-01-06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4038615B2 (ja) * 2002-11-29 2008-01-30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4466204B2 (ja) 2004-06-01 2010-05-26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2006314233A (ja) * 2005-05-11 2006-11-24 Minoru Industrial Co Ltd 移植機
JP2012157326A (ja) * 2011-02-02 2012-08-23 Iseki & Co Ltd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87917A1 (ja) 2017-01-05
CN103843501B (zh) 2017-03-01
KR101776210B1 (ko) 2017-09-07
CN103843501A (zh) 2014-06-11
JP6152118B2 (ja) 2017-06-21
WO2014087917A1 (ja)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210B1 (ko) 채소 이식기
RU26309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саж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JP2015043731A (ja) 田植機
JP2012147692A (ja) 苗移植機
CN203327530U (zh) 钵苗移栽机
KR20180042609A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6105517B (zh) 一种气道式水稻插秧机
JP7025728B2 (ja) 苗移植機
Pandirwar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mi-automatic six row onion seedlings transplanter
CN103299750B (zh) 钵苗移栽机
JP4843849B2 (ja) 苗植機
CN208143792U (zh) 一种硒砂瓜移栽注水覆膜一体机
KR19980061911A (ko) 파종기
JPH07298736A (ja) 苗植機
JP2007312674A (ja) 苗植機
JP2007295819A (ja) 苗移植機
JP2015043730A (ja) 播種育苗方法
JP5870485B2 (ja) 苗移植機
JP2017006151A (ja) 田植機
JP2012187081A (ja) 移植機
JP2017006150A (ja) 田植機
JP2011050264A (ja) 苗移植機
KR101945853B1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1142889A (ja) 田植機
CN117501927A (zh) 一种直插式木薯连续种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