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09A -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09A
KR20180042609A KR1020160134972A KR20160134972A KR20180042609A KR 20180042609 A KR20180042609 A KR 20180042609A KR 1020160134972 A KR1020160134972 A KR 1020160134972A KR 20160134972 A KR20160134972 A KR 20160134972A KR 20180042609 A KR20180042609 A KR 20180042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t potato
seedling
main frame
sprocket
end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
최일수
전현종
강태경
현창식
최덕규
이충근
남상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3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609A/ko
Publication of KR2018004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6Seeders with other distributing devices, e.g. brushes, discs, screws o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의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일자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양 끝단에 종단 스프라켓이 형성되는 일자 형태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는 두둑 성형용 쟁기; 상기 두둑 성형용 쟁기의 후방에 구비되는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이 견인됨에 따라 회전하고, 제1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종단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의 후방에 구비되어 성형된 두둑 위에 닿은 상태로 회전하는 진압롤러; 상기 진압롤러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종단 스프라켓과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연결되어, 상기 종단 스프라켓이 회전하면 상기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고구마 묘를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에 의해 갈라진 두둑의 틈새로 공급하는 묘 공급기; 및 상기 진압롤러의 후방에 구비되어,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에 흙을 덮고 다지는 배토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트랙터가 메인 프레임을 견인하면 구동바퀴가 회전하는데, 이때 발생된 회전력이 제1 및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묘 공급기로 전달되고,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묘 공급기가 구동함으로써,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높낮이차가 존재하는 두둑에서도 누락되는 곳 없이 일정하게 고구마 묘를 정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Planting machine for sweet potatoes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씨 고구마를 파종 후 순을 키워 채묘한 고구마 묘를 두둑에 심는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신문, 방송 또는 각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고구마가 건강 식품 및 다이어트 보조 식품 중 하나로서 집중적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이와 같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고구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고구마에 대한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고구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와 달리, 농촌 지역에서 실제로 고구마 재배가 가능한 인력이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고구마 재배가 가능한 기존의 농업인의 대다수가 급속한 고령화를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전 세대에 걸쳐 고구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증가하는 수요만큼의 원활한 공급이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고구마 생산을 위한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생산비가 급격히 상승하여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었다.
고구마 재배를 위한 여러 작업 과정 중에서도 특히, 고구마 묘를 밭에 심는 정식 작업과, 성장이 완료한 고구마를 수확하는 수확 작업이 다른 작업 과정에 비하여 인력 의존도가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그 중에서도 정식 작업 과정은 다른 작업 과정에 비하여 기계화 과정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히 고가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고구마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데 크게 일조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일본 특허공개 1994-327309호(1994.11.29)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78967호(2012.07.11)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두둑에 정식함으로써, 노동력 감소를 통해 고구마의 가격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구마 정식기는 전방의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일자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양 끝단에 종단 스프라켓이 형성되는 일자 형태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는 두둑 성형용 쟁기; 상기 두둑 성형용 쟁기의 후방에 구비되는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이 견인됨에 따라 회전하고, 제1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종단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의 후방에 구비되어 성형된 두둑 위에 닿은 상태로 회전하는 진압롤러; 상기 진압롤러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종단 스프라켓과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연결되어, 상기 종단 스프라켓이 회전하면 상기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고구마 묘를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에 의해 갈라진 두둑의 틈새로 공급하는 묘 공급기; 및 상기 진압롤러의 후방에 구비되어,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에 흙을 덮고 다지는 배토기;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전방의 3점식 견인부가 트랙터에 연결되어 견인되고, 상기 견인부의 후방 상부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좌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압롤러는 두둑을 중심으로 한 쌍이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묘 공급기는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과 묘 공급기 상단 스프라켓의 사이에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이 연결되고,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의 외측에 일정 거리 이격된 복수 개의 묘 이송용 홀더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상기 묘 이송용 홀더에 적재된 고구마 묘를 두둑의 틈새로 투하할 수 있다.
상기 배토기는 좌우 한 쌍의 디스크형 배토날과, 상기 배토날의 후방에 수평으로 설치된 다짐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는 상기 두둑 성형용 쟁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두둑을 가르면서 절개하도록 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중공상태일 수 있다.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의 상부에 위치하여,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기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통; 상기 물통에 일단이 연결된 급수관; 및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기는 상기 물통에 구비되는 급수밸브를 조절하여 급수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묘 공급기의 묘 이송용 홀더가 이송되는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밸브가 개폐되도록 하여 고구마 묘가 심어진 위치에만 급수를 진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동시에 정식하는 경우에, 동시에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 복수 개의 메인 프레임 및 회전축이 직렬 형태로 연장 설치되고, 연장 설치된 복수 개의 회전축에 진압롤러, 묘 공급기 및 배토기가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이 직렬 형태로 연장 설치되는 경우에, 연장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에 죠 커플링(Jaw Coupling)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이 직렬 형태로 연장되면, 연장된 각각의 회전축의 내측에 내부 스프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라켓과 상기 묘 공급기의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내부 롤러 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구마 정식기의 구동 방법은 일자 형태의 메인 프레임이 전방에 위치하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바퀴가 회전하여 밭고랑을 주행하는 단계;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두둑 성형용 쟁기가 고구마 묘를 정식하기 위해 두둑을 형성하는 단계;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가 형성된 두둑을 가르면서 절개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와 연결된 제1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이 회전하는 단계; 상기 종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종단 스프라켓과 연결된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하는 단계;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과 연결된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의 외측에 형성된 묘 이송 홀더가 회전하여 상기 묘 이송 홀더에 적재된 고구마 묘를 두둑에 투하하는 단계; 및 배토기가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 흙을 덮고 다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기가 급수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묘 이송용 홀더가 회전하여 이송되는 속도에 대응하여 급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에 따라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만 급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트랙터가 메인 프레임을 견인하면 구동바퀴가 회전하는데, 이때 발생된 회전력이 제1 및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묘 공급기로 전달되고,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묘 공급기가 구동함으로써,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높낮이차가 존재하는 두둑에서도 누락되는 곳 없이 일정하게 고구마 묘를 정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 및 회전축을 직렬 상태로 연장 형성하고, 연장된 회전축에 동시에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 진압롤러, 묘 공급기 및 배토기를 각각 추가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정식할 수 있어, 고구마 정식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구마 정식기 중 회전축과 구동바퀴 및 진압롤러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구마 정식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는 씨 고구마를 묘상에 파종하여 순을 키운 후, 채묘하여 트랙터를 통해 견인되는 정식기 위에서 탑승자가 고구마 묘를 하나씩 공급하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묘 공급기가 두둑 위에 형성된 홈에 고구마 묘를 투하하여 심고,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 일정량의 급수를 진행한 후 해당 위치에 흙을 다시 덮고 다짐으로써, 고구마 정식을 간략화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에 대하여 도 1을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구마 정식기(1)는 메인 프레임(100a), 회전축(100), 두둑 성형용 쟁기(200),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300), 구동바퀴(140), 진압롤러(400), 묘 공급기(500), 배토기(600) 및 급수기(70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0a)은 일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전방의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부(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0a)은 일측에 형성된 전방의 3점식 견인부(110)와 연결된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고, 상기 견인부(110)의 후방 상부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좌석(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의 후방 즉, 묘 공급기(500)의 상부에 두둑에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가 적재되는 트레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의 하부에 상기 메인 프레임(100a)과 대응하도록 위치하며, 양 끝단에 종단 스프라켓(101)을 포함한다.
두둑 성형용 쟁기(200)는 상기 회전축(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a)과 연결되어, 고구마 묘를 심기 위한 두둑을 형성한다.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300)는 상기 두둑 성형용 쟁기(200)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두둑 성형용 쟁기(200)에 의해 형성된 두둑을 가르면서 절개하도록 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중공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300)는 두둑을 약 5 내지 6 cm의 일정한 깊이로 갈라서, 고구마 묘를 심는 홈을 연속으로 형성한다.
구동바퀴(140)는 회전축(100a)의 양 끝단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별도의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바퀴(140)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바퀴 스프라켓(142)은 상기 회전축(1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101)과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전방에 위치한 트랙터가 견인부(110)를 통해 메인 프레임(100a)을 견인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0a)과 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구동바퀴(140)가 회전하여 밭고랑을 주행한다. 이처럼, 상기 구동바퀴(140)가 회전할 때, 상기 구동바퀴(140)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바퀴 스프라켓(142) 또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 스프라켓(142)과 상기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 연결된 상기 회전축(1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101)이 회전한다.
진압롤러(400)는 상기 구동바퀴(140)의 후방에 구비되고, 성형된 두둑 위에 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성형된 상기 두둑을 눌러준다. 이러한 진압롤러(400)는 두둑을 향하여 한 쌍이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묘 공급기(500)는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과 묘 공급기 상단 스프라켓(520)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과 묘 공급기 상단 스프라켓(520)은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묘 이송용 홀더(5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면, 상기 복수 개의 묘 이송용 홀더(540) 또한 회전하여 상기 묘 이송용 홀더(540)에 각각 적재된 고구마 묘를 두둑에 형성된 홈으로 투하한다.
이러한 묘 공급기(500)는 한 쌍의 진압롤러(400) 사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이 제2 롤러 체인(180)을 통해 상기 종단 스프라켓(101)과 연결되어, 상기 종단 스프라켓(101)이 회전하면 상기 제2 롤러 체인(180)을 통해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300)에 의해 갈라진 두둑의 틈새로 고구마 묘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제2 롤러 체인(180)은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묘 이송용 홀더(540)는 좌석(120)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고구마 묘(P)가 수평 상태로 적재되면, 두둑을 향하여 회전하며 하부로 이송되는데, 이때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기울어지고, 고구마 묘의 줄기 아랫부분이 먼저 두둑에 형성된 홈에 접하게 되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구마 묘가 투하된다. 또한, 상기 묘 이송용 홀더(540)는 그 선단 부분에 고구마 묘(P)가 이송 중에 미끄러지는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그립(542)이 부착되며, 상기 그립(542)은 두둑에서 상단으로 다시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상단에서 지면까지 이송되는 과정에서는 고구마 묘(P)의 위치가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므려지는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묘 이송용 홀더(540)가 조별 프레임의 수직으로 부착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60) 사이를 통과할 때, 가이드 스프링(544)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0)에 접촉하여 눌리면서 상기 그립(542)을 안쪽으로 오므려주도록 하여, 두둑 상에 고구마 묘의 정식이 완료되면 즉, 묘 이송용 홀더(540)가 가이드 플레이트(160)를 벗어나면 상기 가이드 스프링(544) 및 그립(542)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펼쳐져, 상부에 다시 고구마 묘(P)를 적재할 수 있다.
배토기(600)는 상기 진압롤러(400)의 후방에 구비되어, 고구마 묘가 심어진 위치의 두둑 상부에 흙을 덮고 다진다. 이러한 배토기(600)는 좌우 한 쌍의 디스크형 배토날(610)과, 상기 배토날(610)의 후방에 수평으로 설치된 다짐롤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형 배토날(610)과 다짐 롤러(620)는 프레임(100) 후단에 그 설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정식 현장의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다리(150)가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의 후단 좌우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다리(150)는 본 발명의 고구마 정식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두둑 또는 밭고랑에 닿도록 하여 움직이지 않고 바르게 세워놓기 위한 지지대로서 사용되며, 고구마의 정식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두둑 또는 밭고랑으로부터 높이 들어올려져 원활한 정식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급수기(700)는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 물을 공급한다. 이러한 급수기(700)는 메인 프레임(100a)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통(710), 상기 물통(710)에 일단이 연결된 급수관(720) 및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 노즐(7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수기(700)는 상기 물통(710)에 구비되는 급수밸브(미도시)를 조절하여 두둑으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묘 공급기(500)의 묘 이송용 홀더(540)가 이송되는 속도에 맞춰 상기 급수밸브가 개폐되도록 하여 고구마 묘가 심어진 해당 위치에만 급수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 중 회전축과, 구동바퀴 및 진압롤러간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고구마 정식기 중 회전축과 구동바퀴 및 진압롤러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구마 정식기(1) 중 메인 프레임(100a)이 일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의 하부에 상기 메인 프레임(100a)과 대응하도록 회전축이 위치한다. 이러한 회전축은 메인 프레임(100a)과 같이 일자 형태로 구비되며, 양 끝단에 종단 스프라켓(101)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바퀴(140)는 외측에 구동바퀴 스프라켓(142)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바퀴 스프라켓(142)는 상기 회전축(100)의 종단 스프라켓(101)과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트랙터가 메인 프레임(100a)에 형성된 전방의 3점식 견인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을 견인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100)의 양 끝단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바퀴(140)가 회전하여 밭고랑을 주행한다.
이처럼, 상기 구동바퀴(1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140)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바퀴 스프라켓(142) 또한 함께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구동바퀴 스프라켓(142)에 연결된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 상기 구동바퀴(1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100)의 종단 스프라켓(101)으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축(100)의 종단 스프라켓(101)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00)의 종단 스프라켓(101)은 상기 구동바퀴 스프라켓(142)과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2 롤러 체인(180)을 통해 진압롤러(4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과도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바퀴(140)의 회전을 통해 발생한 회전력이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 종단 스프라켓(101)으로 전달되고, 상기 종단 스프라켓(101)이 상기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다시 제2 롤러 체인(180)을 통해 묘 공급기(500) 내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으로 전달한다. 이후,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이 제2 롤러 체인(180)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에 따라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에 연결된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이 회전하고,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의 외측에 형성된 묘 이송용 홀더(540)가 회전하여, 상기 묘 이송용 홀더(540)에 적재된 고구마 묘가 두둑에 투하된다.
결과적으로, 트랙터의 견인에 의해 구동바퀴가 회전하면서, 발생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묘 공급기를 구동시킴으로써, 두둑 상에 고구마 묘를 심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둑 상에 고구마 묘를 한 줄에 하나씩 정식할 수도 있지만, 보다 높은 작업 효율을 위해 본 발명의 고구마 정식기를 이용하여 2조식 내지 4조식 등의 형태로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동시에 두둑에 정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두둑에 동시에 정식하는 고구마 정식기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고구마 정식기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동시에 정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는 동시에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 복수 개의 메인 프레임(100a) 및 회전축(100)을 직렬 상태로 연장하여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100)이 직렬 상태로 연장되는 경우에, 연장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에 죠 커플링(Jaw Coupling, 105)이 구비되어, 상기 죠 커플링(105)을 통해 연장하고자 하는 복수 개의 회전축(100)이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호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회전축이 연장하여 구비되면, 본 발명의 고구마 정식기(1)는 앞서 도 1을 통해서 설명한 진압롤러(400), 묘 공급기(500) 및 배토기(600)가 함께 각각의 회전축(100) 마다 동시에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 추가하여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동시에 정식하기 위해, 해당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의 메인 프레임(100a)과 회전축(100)이 직렬 상태로 연장 형성되면, 연장된 각각의 회전축(100)에 한 쌍의 진압롤러(400)와, 상기 한 쌍의 진압롤러(400) 사이의 상부에 묘 공급기(500)가 형성되고, 각각의 회전축(100)의 내측에 상기 진압롤러(400)와 접하여 내부 스프라켓(1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스프라켓(103)과, 상기 묘 공급기(500)의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은 내부 롤러 체인(미도시)을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가 메인 프레임(100a)을 견인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의 하부에 위치한 회전축(100)의 양 끝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바퀴(14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바퀴(1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140)의 구동바퀴 스프라켓(142)과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 연결된 종단 스프라켓(101)이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종단 스프라켓(101)을 포함하는 회전축(100) 또한 회전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축(100)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 스프라켓(103) 또한 함께 회전한다.
즉, 회전축(1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101)과 상기 회전축(100)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 스프라켓(103)이 각각 제1 롤러 체인(170)과 내부 롤러 체인에 의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총 4조식 형태로 고구마 묘를 동시에 정식하는 경우에, 고구마 정식기(1)에 구비되는 4개의 묘 공급기(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묘 공급기) 중에서, 전체 회전축(100)의 양 끝 즉, 구동바퀴(140)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묘 공급기(500, 예를 들면, 제1 묘 공급기 및 제4 묘 공급기)에 포함된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은 상기 회전축(100)의 종단 스프라켓(101)과 연결된 제2 롤러 체인(180)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반면에, 상기 제1 묘 공급기와 제4 묘 공급기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내지 제3 묘 공급기의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은 상기 회전축(100)의 내부 스프라켓(103)과 연결된 내부 롤러 체인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처럼 제2 롤러 체인(180) 및 내부 롤러 체인을 통해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은 묘 공급기(500)의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과 연결된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이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의 외측에 형성된 묘 이송용 홀더(540)가 회전하여, 상기 묘 이송용 홀더(540)에 적재된 고구마 묘를 두둑의 틈새로 투하할 수 있다.
특히, 높낮이차가 존재하는 두둑을 성형한 경우에, 다른 두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두둑에 대해서도 해당 두둑의 상부에 묘 공급기가 고구마 묘를 투하함으로써, 누락되는 두둑 없이 일괄적으로 고구마 묘의 정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를 구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정식기의 구동 방법은 먼저, 전방에 위치하는 트랙터와 메인 프레임(100a)의 일측에 형성된 견인부(110)가 연결되어 상기 트랙터가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을 견인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0a)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100)의 양 끝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바퀴(140)가 회전하면서 밭고랑을 주행한다(S210).
이처럼, 구동바퀴(140)가 회전함에 따라 두둑 성형용 쟁기(200)가 고구마 묘(P)를 정식하기 위해 두둑(D)을 형성한다(S220).
이어서,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300)가 형성된 두둑을 가르면서 절개하여 홈을 형성한다(S230). 이러한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300)는 두둑(D)을 약 5 내지 6 cm의 일정한 깊이로 갈라서, 두둑(D)에 고구마 묘가 심어지는 홈을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바퀴(14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구동바퀴(140)에 형성된 구동바퀴 스프라켓(142)와 연결된 제1 롤러 체인(170)을 통해 상기 회전축(1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101)으로 전달되어, 상기 종단 스프라켓(101)이 회전한다(S240).
이와 같이, 상기 종단 스프라켓(101)은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2 롤러 체인(180)을 통해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으로 전달하여,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이 회전한다(S250).
이처럼,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510)과 연결된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을 통해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530)의 외측에 형성된 묘 이송 홀더(54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묘 이송 홀더(540)에 적재된 고구마 묘를 두둑에 투하한다(S260). 이때, 상기 묘 공급기(5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진압롤러(400)가 두둑의 상부에 닿은 채로 회전함에 따라, 고구마 묘가 투하된 위치의 두둑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후, 배토기(600)가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 흙을 덮고 다진다(S270).
이에 더하여, 급수기가 급수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묘 이송용 홀더(540)가 회전하여 이송되는 속도에 대응하여 급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에 따라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만 급수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트랙터가 메인 프레임을 견인하면 구동바퀴가 회전하는데, 이때 발생된 회전력이 제1 및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묘 공급기로 전달되고,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묘 공급기가 구동함으로써,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높낮이차가 존재하는 두둑에서도 누락되는 곳 없이 일정하게 고구마 묘를 정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 및 회전축을 직렬 상태로 연장 형성하고, 연장된 회전축에 동시에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 진압롤러, 묘 공급기 및 배토기를 각각 추가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정식할 수 있어, 고구마 정식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a: 메인 프레임 100: 회전축
101: 종단 스프라켓 103: 내부 스프라켓
105: 죠 커플링 110: 견인부
120: 좌석 130: 트레이
140: 구동바퀴 142: 구동바퀴 스프라켓
150: 보조다리 170: 제1 롤러 체인
180: 제2 롤러 체인 190: 내부 롤러 체인
200: 두둑 성형용 쟁기 300: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
400: 진압롤러 500: 묘 공급기
510: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 520: 묘 공급기 상단 스프라켓
530: 묘 공급기 롤러 체인 540: 묘 이송용 홀더
600: 배토기 700: 급수기
710: 물통 720: 급수관
730: 급수 노즐

Claims (14)

  1. 전방의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일자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양 끝단에 종단 스프라켓이 형성되는 일자 형태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는 두둑 성형용 쟁기;
    상기 두둑 성형용 쟁기의 후방에 구비되는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이 견인됨에 따라 회전하고, 제1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종단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의 후방에 구비되어 성형된 두둑 위에 닿은 상태로 회전하는 진압롤러;
    상기 진압롤러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종단 스프라켓과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연결되어, 상기 종단 스프라켓이 회전하면 상기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고구마 묘를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에 의해 갈라진 두둑의 틈새로 공급하는 묘 공급기; 및
    상기 진압롤러의 후방에 구비되어,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에 흙을 덮고 다지는 배토기;
    를 포함하는 고구마 정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전방의 3점식 견인부가 트랙터에 연결되어 견인되고, 상기 견인부의 후방 상부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좌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압롤러는
    두둑을 중심으로 한 쌍이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묘 공급기는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과 묘 공급기 상단 스프라켓의 사이에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이 연결되고,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의 외측에 일정 거리 이격된 복수 개의 묘 이송용 홀더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상기 묘 이송용 홀더에 적재된 고구마 묘를 두둑의 틈새로 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는
    좌우 한 쌍의 디스크형 배토날과, 상기 배토날의 후방에 수평으로 설치된 다짐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는
    상기 두둑 성형용 쟁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두둑을 가르면서 절개하도록 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중공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의 상부에 위치하여,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통;
    상기 물통에 일단이 연결된 급수관; 및
    상기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는
    상기 물통에 구비되는 급수밸브를 조절하여 급수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묘 공급기의 묘 이송용 홀더가 이송되는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밸브가 개폐되도록 하여 고구마 묘가 심어진 위치에만 급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구마 묘를 동시에 정식하는 경우에, 동시에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 복수 개의 메인 프레임 및 회전축이 직렬 형태로 연장 설치되고, 연장 설치된 복수 개의 회전축에 진압롤러, 묘 공급기 및 배토기가 정식하고자 하는 고구마 묘의 개수만큼 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이 직렬 형태로 연장 설치되는 경우에, 연장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에 죠 커플링(Jaw Coupling)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을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이 직렬 형태로 연장되면, 연장된 각각의 회전축의 내측에 내부 스프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라켓과 상기 묘 공급기의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내부 롤러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
  13. 고구마 정식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일자 형태의 메인 프레임이 전방에 위치하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바퀴가 회전하여 밭고랑을 주행하는 단계;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두둑 성형용 쟁기가 고구마 묘를 정식하기 위해 두둑을 형성하는 단계;
    토양 절개용 스크레이퍼가 형성된 두둑을 가르면서 절개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와 연결된 제1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에 형성된 종단 스프라켓이 회전하는 단계;
    상기 종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종단 스프라켓과 연결된 제2 롤러 체인을 통해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하는 단계;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묘 공급기 하단 스프라켓과 연결된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을 통해 상기 묘 공급기 롤러 체인의 외측에 형성된 묘 이송 홀더가 회전하여 상기 묘 이송 홀더에 적재된 고구마 묘를 두둑에 투하하는 단계; 및
    배토기가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 흙을 덮고 다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급수기가 급수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묘 이송용 홀더가 회전하여 이송되는 속도에 대응하여 급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에 따라 고구마 묘가 심어진 두둑의 위치에만 급수를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정식기의 구동 방법.
KR1020160134972A 2016-10-18 2016-10-18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80042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972A KR20180042609A (ko) 2016-10-18 2016-10-18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972A KR20180042609A (ko) 2016-10-18 2016-10-18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15A Division KR101945853B1 (ko) 2018-12-07 2018-12-07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09A true KR20180042609A (ko) 2018-04-26

Family

ID=6208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972A KR20180042609A (ko) 2016-10-18 2016-10-18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6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5397A (zh) * 2018-10-30 2019-01-29 东北农业大学 秧托板自动快速伸缩式链夹移栽机构
CN111642201A (zh) * 2020-07-09 2020-09-11 临沂市农业科学院 一种与水稻分株带土旱育秧盘相配套的水稻摆栽机
KR20200133411A (ko) * 2019-05-20 2020-11-30 김재동 두둑성형장치가 구비된 고구마 정식기
KR20210008580A (ko)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5397A (zh) * 2018-10-30 2019-01-29 东北农业大学 秧托板自动快速伸缩式链夹移栽机构
CN109275397B (zh) * 2018-10-30 2021-07-06 东北农业大学 秧托板自动快速伸缩式链夹移栽机构
KR20200133411A (ko) * 2019-05-20 2020-11-30 김재동 두둑성형장치가 구비된 고구마 정식기
KR20210008580A (ko)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CN111642201A (zh) * 2020-07-09 2020-09-11 临沂市农业科学院 一种与水稻分株带土旱育秧盘相配套的水稻摆栽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23750Y (zh) 马铃薯分层施肥播种机
KR101790094B1 (ko) 고구마순 삽식기
KR20180042609A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US9743577B1 (en) Planter for rhizomes and the like
CN206118367U (zh) 一种定向自走式水稻盘式育秧机
JP2016526902A (ja) 農作植物の苗を定植及び処理するための装置
CN203327530U (zh) 钵苗移栽机
KR101701006B1 (ko) 고구마 정식기
JP6019897B2 (ja) 育苗方法
KR101733849B1 (ko) 고구마 정식기
JP2014027902A5 (ko)
KR101945853B1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3299750B (zh) 钵苗移栽机
CN112514567A (zh) 甘薯多功能栽苗机
CN102119598B (zh) 一种水稻育秧、起秧机
CN107736099A (zh) 一种花生旋耕、起垄、播种、施肥、平土一体机
KR20010035185A (ko) 직립형 마늘 파종기
CN201938056U (zh) 一种水稻育秧、起秧机
KR101315055B1 (ko) 마늘 파종기의 파종장치
KR101852841B1 (ko) 이동식 양파 씨앗 파종용 상토층 형성장치
JP2015043730A (ja) 播種育苗方法
CN220493564U (zh) 一种红薯苗移栽机
KR20190036674A (ko) 병목해소장치와 절단장치가 구비된 감자 파종기
JP6720782B2 (ja) 混植苗の作成方法
CN217509399U (zh) 一种复合式山药旋耕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