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717A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717A
KR20150035717A KR1020147035779A KR20147035779A KR20150035717A KR 20150035717 A KR20150035717 A KR 20150035717A KR 1020147035779 A KR1020147035779 A KR 1020147035779A KR 20147035779 A KR20147035779 A KR 20147035779A KR 20150035717 A KR20150035717 A KR 20150035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multifunctional portable
function
sho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502B1 (ko
Inventor
히로유키 쯔카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07C5/0825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using optical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5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hybrid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운전자가 조작하여 작업을 행하는 쇼벨은, 표시 입력 기능과 무선통신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장착부(50)와, 쇼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를 가진다. 장착부(50)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접속되는 접속부(58)를 가진다. 제어장치(30)는, 접속부(58)를 통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또한 접속부(58)를 통하여 쇼벨의 축전부(70)로부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전력을 공급한다.

Description

쇼벨{Excavator}
본 발명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조종장치를 조작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쇼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관리장치에 의하여 쇼벨의 운전을 관리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운전자가 작업조건을 입력하거나, 운전조건이나 운전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전자에 대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장치를 쇼벨의 운전실에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127372호
운전석의 근방에 기존의 모니터장치를 설치했을 경우, 모니터장치 자체가 크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 쇼벨의 운전실 내에 있어서, 운전석의 전방에는, 작업하는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큰 유리창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는, 운전석의 전방을 육안으로 보면서 조종장치를 조작하여 쇼벨에 의한 작업을 행한다.
운전석의 근방에는 조종장치 등이 배치되어 있어, 모니터장치를 배치하는 장소는 한정되어 있다. 운전자가 전방을 보면서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장소로서, 운전실의 전방의 프레임(전방창을 구성하는 필러)에 가까운 위치가 적합하다. 이 위치라면, 전방을 보고 있던 운전자가 약간 시선을 옆으로 돌리는 것만으로 모니터장치의 표시장치를 볼 수 있고, 손을 뻗으면 용이하게 모니터장치의 입력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모니터장치의 크기는, 운전자의 시야에 대한 영향 등은 고려하지 않고 정해져 있어, 운전실의 전방의 프레임의 근방에 모니터장치를 설치했다고 해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 고가의 모니터장치를 전용부품으로서 모든 쇼벨에 설치하면, 그만큼 쇼벨의 가격이 상승해 버린다.
따라서, 전용의 모니터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모니터장치와 동일한 입력 기능이나 표시 기능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쇼벨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의하면, 운전자가 조작하여 작업을 행하는 쇼벨로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배치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액츄에이터와,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압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마련된 캐빈과, 상기 캐빈 내에 마련되고, 또한, 표시 입력 기능과 무선통신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또한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쇼벨의 축전부로부터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이 제공된다.
상기 서술한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소지하고 있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쇼벨에 탑재함으로써,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각종 기능을 쇼벨의 운전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가 마련된 캐빈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가 마련된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쇼벨의 컨트롤러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과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쇼벨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메인화면 표시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음성지시 실행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음성지령 인식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한 경우의 메인펌프(14)의 토출압력과 토출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1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표시부에, 백모니터용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쇼벨 이상 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통신링크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1 예)이다.
도 14는 통신링크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2 예)이다.
도 15는 통신링크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3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다음으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쇼벨의 측면도이다. 쇼벨의 하부 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 선회체(3)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 암(5)이 장착되며, 암(5)의 선단에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 암(5) 및 버킷(6)은,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 구동된다. 상부 선회체(3)에는, 캐빈(10)이 마련되고, 또한 엔진 등의 동력원이 탑재된다. 캐빈(10)에는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으며, 운전자는 운전석에 착석하여 쇼벨을 조작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계는 이중선, 고압유압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파선, 전기 구동·제어계는 가는 실선으로 각각 나타나 있다.
쇼벨의 구동계는, 주로, 엔진(11),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17), 조작장치(26), 및 컨트롤러(30)로 구성된다.
엔진(11)은, 쇼벨의 구동원이며, 예를 들면, 소정의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동작되는 엔진이다. 엔진(11)의 출력축은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의 입력축에 접속된다.
메인펌프(14)는, 고압유압라인(16)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하는 유압펌프이며, 예를 들면, 사판(斜板)식 가변 용량형 유압펌프이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이며, 예를 들면, 고정 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는, 유압쇼벨에 있어서의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밸브이다. 컨트롤밸브(17)는, 예를 들면,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 유압모터(1A)(우측용),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 및 선회용 유압모터(2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것에 대하여, 메인펌프(14)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 유압모터(1A)(우측용),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 및 선회용 유압모터(2A)를 집합적으로 “유압액츄에이터”라고 칭한다.
조작장치(26)는, 조작자가 유압액츄에이터의 조작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며,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파일럿펌프(15)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유압액츄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유량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공급한다. 다만, 파일럿포트의 각각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은, 유압액츄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레버 또는 페달(26A~26C)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이 된다.
컨트롤러(30)는, 유압액츄에이터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이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된다. 컨트롤러(30)의 CPU는, 쇼벨의 동작이나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으로부터 독출하여 RAM에 전개하면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쇼벨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한 쇼벨의 운전을 보조하기 위하여 입력표시장치를 운전석의 근방에 배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입력표시장치로서 휴대형 정보기기(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이라고 칭해짐.)를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단말로서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인 이른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등을 입력표시장치로서 운전석의 근방에 배치한다. 운전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표시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나 지령을 쇼벨의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다. 또, 쇼벨의 운전상황이나 제어정보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은 널리 보급되어 있어, 쇼벨의 운전자 대부분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소유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석 근방의 소정의 위치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하기 위한 홀더 등의 장착부를 마련해 둠으로써, 쇼벨의 운전자는 쇼벨의 운전을 개시할 때에, 개인 소유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부에 설치함으로써, 개인 소유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쇼벨의 입력표시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쇼벨의 입력표시장치로서 이용하는 휴대기기는, 개인 소유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한정되지 않고, 쇼벨용으로서 사업자가 미리 준비한 휴대기기여도 된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쇼벨의 제어부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과 쇼벨의 제어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최근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대다수에는, 외부와의 접속용으로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소켓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에,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플러그를 마련해 둠으로써,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쇼벨의 제어부에 접속할 수 있다.
최근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는, Bluetooth(등록상표)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나, 적외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많아, 이들 근거리 무선장치를 이용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과 쇼벨의 제어부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해도 된다.
여기에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표시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면, 예를 들면 2~3시간 정도의 사용으로 전지가 소모되어 버린다. 쇼벨에서의 작업시간이 이 전지 소비시간보다 길면, 작업 도중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쇼벨의 전원부로부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통하여 전원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이 전원 공급전용의 커넥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이와 같은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장착부에 마련해 두면 된다.
이상과 같이, 쇼벨의 캐빈(10) 내의 운전석의 근방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를 마련해 둠으로써,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쇼벨의 입력표시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가 마련된 캐빈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가 마련된 캐빈의 평면도이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50)는, 설치대(52)와, 설치대(52)에 지지된 탑재부(54)를 포함한다. 설치대(52)는, 운전석(60)이 마련된 캐빈(10)의 프레임(10a)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탑재부(54)는, 스프링이나 부드러운 고무 등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제진기구(56)를 통하여 설치대에 지지되어 있어, 캐빈(10)의 진동이나 충격이 설치대(52)를 통하여 탑재부(54)에 직접 전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탑재부(54)는 제진기구(56)를 통하여 설치대(52)에 지지되어 있어, 탑재부(54)에 고정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전해지는 캐빈(10)의 진동이나 충격이 억제되고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운전석(60)에 착석한 운전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붐(4)이 배치되어 있어, 운전자는 붐(4)의 선단에 장착된 암(5)이나 버킷(6)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쇼벨을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 캐빈(10)의 전방 우측의 프레임(10a)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부분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부분을 이용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장착부(50)를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원래 시야를 방해하던 부분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이 배치되므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 자체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는 없다. 프레임(10a)의 폭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 전체가 프레임(10a)의 폭에 들어가도록,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세로로 하여 탑재부(54)에 고정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쇼벨의 컨트롤러(30)(제어장치)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과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50)는, 스위치패널(51)을 포함한다. 스위치패널(51)은, 각종 하드웨어스위치를 포함하는 패널이며, 탑재부(54)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패널(51)은, 하드웨어버튼으로서의 라이트스위치(51a), 와이퍼스위치(51b), 및 윈도우워셔스위치(51c)를 포함한다. 라이트스위치(51a)는, 캐빈(10)의 외부에 장착되는 라이트의 점등·소등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와이퍼스위치(51b)는, 와이퍼의 작동·정지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윈도우워셔스위치(51c)는, 윈도우워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이 장착부(50)의 탑재부(54)에 장착되면, 접속부(58)를 통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의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탑재부(54)에 마련된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플러그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측의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리셉터클(소켓)에 삽입 접속되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과 컨트롤러(3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가 접속부(58)를 구성한다.
마이크로 USB 커넥터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과 함께, 전원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이다. 컨트롤러(30)는 쇼벨에 구비되어 있는 축전지(70)(예를 들면, 24V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구동된다. 컨트롤러(30)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을, 접속부(58)를 통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그 자체의 전지를 소비하지 않고, 쇼벨의 축전지(7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쇼벨에서의 작업시간이 길어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전지 잔량에 구애받지 않고, 쇼벨의 작업시간 중에는 항상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접속부(58)의 형태로서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와 같은 배선끼리를 접촉시키는 접촉식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식인 것이어도 된다.
다만, 축전지(70)는 엔진(11)의 얼터네이터(11a)(발전기)로 발전한 전력으로 충전된다. 축전지(70)의 전력은, 컨트롤러(30) 이외의 쇼벨의 전장품(電裝品)(72)에도 공급된다. 또, 엔진(11)의 스타터(11b)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엔진(11)을 시동시킨다.
엔진(11)은, 엔진제어장치(ECU)(74)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ECU(74)로부터는,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냉각수온(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되고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30)는 일시 기억부(메모리)(30a)에 이 데이터를 축적해 두고, 필요할 때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송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30)에는 이하와 같이 각종 데이터가 공급되어, 컨트롤러(30)의 일시 기억부(30a)에 격납된다.
먼저, 가변 용량식 유압펌프인 메인펌프(14)의 레귤레이터(14a)로부터 사판각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또, 메인펌프(14)의 토출압력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토출압력센서(14b)로부터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이들 데이터(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일시 기억부(30a)에 격납된다. 메인펌프(14)가 흡입하는 작동유가 저장된 탱크에는, 유온센서(14c)가 마련되어 있어, 탱크 내의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유온센서(14c)로부터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또, 조작레버(26A~26C)를 조작했을 때에 컨트롤밸브(17)에 보내지는 파일럿압이, 유압센서(15a, 15b)에서 검출되고, 검출된 파일럿압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이 데이터(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일시 기억부(30a)에 격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은, 캐빈(10) 내에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을 구비한다.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은,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회전수를 4단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로부터는, 엔진 회전수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되고 있다. 또,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은,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아이들링모드의 4단계로 엔진 회전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도 5는,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로 H모드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SP모드는, 작업량을 우선시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가장 높은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다. H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두번째로 높은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다. A모드는, 연비를 우선시하면서 저소음으로 쇼벨을 가동시키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세번째로 높은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다. 아이들링모드는, 엔진을 아이들링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가장 낮은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다. 그리고, 엔진(11)은, 조정다이얼(75)로 설정된 작업모드의 엔진 회전수로 일정하게 회전수 제어된다.
여기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 상에서 동작하는 쇼벨제어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쇼벨제어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쇼벨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도 7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이 쇼벨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을 표시하는 처리(이하, “메인화면 표시처리”라고 함)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41)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화면(41)은, 시각 표시부(41a), 주행모드 표시부(41b), 어태치먼트 표시부(41c), 평균연비 표시부(41d), 배기가스필터 상태 표시부(41e), 엔진 작동시간 표시부(41f), 냉각수온 표시부(41g), 연료 잔량 표시부(41h), 작업모드 표시부(41i), 및 작동유온 표시부(41k)를 포함한다.
시각 표시부(41a)는,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디지털표시가 채용되어, 현재 시각이 “9:25”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주행모드 표시부(41b)는, 현재의 주행모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주행모드는, 가변 용량펌프를 이용한 주행유압모터의 설정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주행모드는, 저속모드 및 고속모드를 가진다. 저속모드는, “거북이”를 본뜬 마크로 표시되고, 고속모드는 “토끼”를 본뜬 마크로 표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토끼”를 본뜬 마크가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는 고속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표시부(41c)는, 현재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쇼벨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는, 버킷, 착암기, 그래플, 리프팅마그넷 등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포함한다. 어태치먼트 표시부(41c)는, 예를 들면, 이들 어태치먼트를 본뜬 마크 및 어태치먼트에 대응하는 번호를 표시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착암기를 본뜬 마크가 표시되고, 또한 착암기의 출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로서 “3”이 표시되어 있다.
평균연비 표시부(41d)는, 현재의 평균연비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위 [L/hr(리터/시)]를 이용한 값이 표시되어 있다. 현재의 평균연비는, 바그래프 등의 다른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표시되어도 된다. 다만, 평균연비는, 컨트롤러(30)로부터 엔진(11)으로 송신되는 연료 분사량의 지령값에 근거하여 구할 수 있다.
배기가스필터 상태 표시부(41e)는, 배기가스필터(예를 들면, 디젤미립자 제거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DPF))이다.)의 막힘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배기가스필터의 최대 사용시간에 대한 현재의 사용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엔진 작동시간 표시부(41f)는, 엔진의 누적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위 “hr(시)”를 이용한 값이 표시되어 있다.
냉각수온 표시부(41g)는, 현재의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냉각수온의 상태를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연료 잔량 표시부(41h)는,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잔량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현재의 연료 잔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작업모드 표시부(41i)는, 현재의 작업모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작업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아이들링모드의 4개를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H모드를 나타내는 기호 “H”가 표시되어 있다.
작동유온 표시부(41k)는, 작동유탱크 내의 작동유의 온도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작동유온의 상태를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메인화면 표시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장착부(50)의 탑재부(54)에 장착될 때마다, 이 메인화면 표시처리를 실행한다. 또, 쇼벨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된다. 다만, 쇼벨제어 어플리케이션은,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배포되어도 된다.
먼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스텝 S1).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미리 기억된 자신의 식별정보를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송신하여, 컨트롤러(30)에 의한 인증의 취득을 시도한다(스텝 S2).
컨트롤러(30)에 의한 인증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스텝 S2의 NO),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와의 연계를 개시시키지 않고, 또, 메인화면(41)을 표시하지 않고, 이번 메인화면 표시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컨트롤러(30)에 의한 인증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스텝 S2의 YES),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와의 연계를 개시시킨다(스텝 S3). 구체적으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메인화면(41)의 표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연료 잔량 등)를 컨트롤러(30)로부터 수신한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메인화면(41)을 표시하고, 컨트롤러(30)로부터 수신한 각종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행모드 표시부(41b), 어태치먼트 표시부(41c) 등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내용을 갱신한다(스텝 S4).
이와 같이 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와의 연계를 개시시킨 후에,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메인화면(41)을 표시한다. 또, 컨트롤러(30)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과의 연계를 개시시킴으로써,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로부터의 지령을 수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쇼벨의 컨트롤러(30)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과의 연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입력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에 조작하는 스위치(42)가, 예를 들면, 조작레버(26A)에 마련된다. 스위치(42)를 운전자가 조작하면, 신호가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컨트롤러(30)는 이 신호에 근거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제어신호를 보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입력 기능을 ON으로 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조종레버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스위치(4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지령을 쇼벨의 제어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음성입력용의 마이크로폰으로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마이크로폰(40a)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조종레버에 마련된 스위치(42)를 조작한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향하여 원하는 지령을 나타내는 음성을 발성하면, 마이크로폰(40a)으로부터 음성신호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부(40b)에 입력된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부(40b)는, 마이크로폰(40a)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 음성인식처리를 실시하여, 입력된 음성신호에 상당하는 지령을 판정한다. 음성인식부(40b)가 판정한 지령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표시입력장치(40c)(예를 들면, 터치패널)에 표시됨과 함께, 접속부(58)를 통하여 쇼벨의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의도한 지령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 기능을 통하여 쇼벨에 입력된다. 다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외부 장착 마이크로폰(44)을 접속하여, 외부 장착 마이크로폰(44)을 운전자가 음성을 입력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하여 두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음성입력의 일례로서, 운전자가 음성입력에 의하여 엔진(11)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이, 운전자의 음성지령을 인식하여, 컨트롤러(30)에 그 음성지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처리(이하, “음성지령 실행처리”라고 함)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9는, 음성인식부(40b)가 운전자에 의한 음성입력의 내용을 음성지령으로서 인식된 때에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되는 화면(이하, “음성지령 인식화면”이라고 함)의 예를 나타낸다.
먼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부(40b)는, 운전자에 의한 음성입력을 음성지령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1).
운전자에 의한 음성입력을 음성지령으로서 인식할 수 없는 경우(스텝 S11의 NO),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금회의 음성지령 실행처리를 종료시킨다. 예를 들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운전자의 음성을 의미가 있는 단어로서 인식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 단어가 미리 등록된 소정의 단어(이하, “등록어”라고 함)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지령이 아니라고 판정하여 음성지령 실행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운전자에 의한 음성입력을 음성지령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스텝 S11의 NO),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그 인식된 음성지령의 내용을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한다(스텝 S12).
도 9는, 음성지령 인식화면의 예이며, 운전자에 의한 음성입력 “SP”를, 엔진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기능에 대응하는 등록어 “SP”로서 인식된 경우의 음성지령 인식화면을 나타낸다. 이 경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인식된 음성지령의 내용 “엔진 회전수 업”과 등록어 “SP”를 포함하는 음성지령 표시부(41m)를 팝업 표시시킨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인식된 음성지령에 대응하는 지령신호를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13). 다만, 스텝 S12와 스텝 S13의 순서는 무작위이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지령신호를 송신한 후에 음성지령 인식화면을 표시시켜도 되고, 지령신호의 송신과 음성지령 인식화면의 표시를 동시에 실행해도 된다.
그 후, 지령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30)는, 그 지령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스텝 S14).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30)는, 엔진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운전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엔진 회전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입력을 행하기 위하여, 먼저, 운전자는 조작레버(26A)에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42)를 누른다. 이로써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부(40b)가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엔진 회전수 업” 또는 “SP”라고 목소리를 내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마이크로폰(40a)은 운전자의 목소리를 모아, 목소리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음성인식부(40b)에 보낸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부(40b)는, 보내져 온 음성신호에 음성인식처리를 실시하여, “엔진 회전수 업”을 지시하기 위한 처리신호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이를 받은 컨트롤러(30)는, 처리신호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ECU(74)에 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을 받은 ECU(74)는, 엔진(11)의 회전수를 미리 정해진 회전수만큼 증가시킨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엔진 회전수의 증가에 대응시켜, 메인펌프(14)의 출력마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레귤레이터에 신호를 송신한다. 이로써,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펌프출력특성이 예를 들면 I1로부터 I2로 변경되어, 메인펌프(14)의 출력마력이 증대된다.
다만, 도 10은, 엔진(11)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했을 경우의 메인펌프(14)의 토출압력(P)과 토출유량(Q)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엔진의 회전수는 5단계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각 회전수에 있어서의 메인펌프(14)의 펌프출력 특성이 각각 IMIN, I1, I2, I3, IMAX가 된다.
다만, 운전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엔진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운전자는, 주행모드를 전환하는 기능, 쇼벨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하는 기능, 컨트롤러(30)와 쇼벨의 외부에 있는 관리장치(90)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기능 등을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쇼벨에는, 운전자의 시야 이외의 부분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장치(80)(도 3~도 5 참조.)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캐빈(10)이 향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후방)을 촬상하여, 그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이른바 백모니터용의 카메라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장치(80)에서 얻어진 영상 데이터는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컨트롤러(30)는, 보내져 온 영상 데이터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보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표시입력장치(40c)에 영상을 표시시킨다. 이로써, 운전자는 촬상장치(80)로 촬상한 영상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표시부(40c)에, 백모니터용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표시부(40c)에는, 운전자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쇼벨의 후부 부근의 화상이 비춰지고 있어, 운전자는 앞을 향하면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표시부(40c)로 시선을 옮김으로써, 쇼벨의 후방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운전자가 쇼벨의 측방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이드 모니터용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쇼벨의 표시입력장치로서 이용함으로써, 고가의 전용 표시입력장치를 처음부터 쇼벨에 탑재하여 두지 않아도, 유저측에서 간단하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쇼벨에 탑재하여, 표시입력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각종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쇼벨의 제어·관리를 행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이용할 수 있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기능으로서, 전화 기능, 촬상 기능, 진동계측 기능, 방위판정 기능, GPS 기능, 및 지도표시 기능 등이 있다. 또, 스마트폰 등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뿐만 아니라, 안경형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이 쇼벨의 표시입력장치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쇼벨에 있어서, 컨트롤러(30)는 상기 서술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쇼벨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되면, 판정한 시각보다 소정의 시간 전의 시각 t1부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한 시각 t2까지, 일시 기억부(30a)에 축적되어 있던 데이터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송신한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로부터 보내져 오는 데이터를 시계열로 표시하거나, 그래프로 하여 표시입력부(40c)에 표시한다. 쇼벨의 운전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표시된 시계열 데이터나 그래프를 보고, 이상 발생 전의 쇼벨의 상태를 파악하여, 예를 들면 어떠한 이상인지, 어느 부분에 기인하는 이상인지 등을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로부터 보내져 오는 데이터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무선통신 기능(예를 들면, 패킷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의 관리장치(90)에 송신하여, 관리장치(90)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관리장치(90)는, 예를 들면 쇼벨의 메이커나 서비스센터에 설치된 컴퓨터이며, 전문 스탭이 해당하는 쇼벨의 상황을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쇼벨을 수리하러 가기 전에, 미리 고장발생의 원인을 특정하거나, 추정할 수 있다. 이로써, 쇼벨의 수리에 필요한 부품 등을 지참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나 수리에 소비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혹은,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 컨트롤러(30)는, 일시 기억부(30a)에 축적되어 있던 데이터를, 컨트롤러(30) 내의 이상정보 기억부에 전송하여 두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정보 기억부에 전송된 데이터는, 그 후에 필요한 시점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보내 표시하거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로부터 다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센터의 관리장치(90)에 보내는 것으로 해도 된다. 서비스센터에서는 관리장치(90)의 표시부에 이상 발생 시의 데이터를 표시하여, 이상 발생의 부위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쇼벨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서 실행되는 처리(이하, “쇼벨 이상 시 처리”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2는, 쇼벨 이상 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3 및 도 14는, 관리장치(90)와의 통신을 통하여 취득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하, “통신링크화면”이라고 함)의 예이다. 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로부터의 통지에 근거하여 쇼벨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 이 쇼벨 이상 시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통신링크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21).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링크화면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리점정보 표시부(41n), 송신버튼(41p), 통화버튼(41q)을 포함한다. 대리점정보 표시부(41n)는, 쇼벨 판매 회사의 대리점 등, 쇼벨 이상 시의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송신버튼(41p) 및 통화버튼(41q)은,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버튼이다. 송신버튼(41p)이 탭 조작된 경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 내의 소정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장치(90)에 송신한다. 통화버튼(41q)이 탭 조작된 경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표시입력장치(40c) 상에서 선택된 상태에 있는 연락처에 전화를 건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자신의 위치정보를 관리장치(9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22).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GPS 기능을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정보를 관리장치(90)에 대하여 송신한다. 관리장치(90)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대리점 등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대리점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관리장치(90)는, 생성한 대리점정보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관리장치(90)로부터 대리점정보를 수신하여(스텝 S23), 수신한 대리점정보를 통신링크화면의 대리점정보 표시부(41n)에 표시한다(스텝 S24). 도 13은, 3개의 대리점이 가장 가까운 대리점으로서 검색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25).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대리점정보 표시부(41n)에 있어서의 3개의 대리점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 중 어느 것이 운전자에 의하여 탭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특정의 대리점이 아직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5의 NO),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될 때까지 그대로 대기한다.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5의 YES),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선택된 대리점, 및 그 선택된 대리점의 상세정보를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한다(스텝 S26).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선택된 특정의 대리점을 표시하는 피선택 대리점 표시부(41r)와, 그 선택된 특정의 대리점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정보 표시부(41s)를 포함하는 통신링크화면을 표시한다. 도 14는,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되어, 그 선택된 대리점의 보다 상세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송신버튼(41p)이 탭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27).
그리고, 송신버튼(41p)이 탭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7의 NO),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탭 조작될 때까지 그대로 대기한다.
한편, 송신버튼(41p)이 탭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7의 YES),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S28).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전송 지령을 수신한 컨트롤러(30)는, 일시 기억부(30a), 이상정보 기억부 등의 소정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송신한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스텝 S29), 그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장치(90)에 전송한다(스텝 S30).
다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통화버튼(41q)이 탭 조작된 경우에는, 선택된 상태에 있는 대리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에서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통신링크화면을 표시하여, 대리점으로의 연락 등의 조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쇼벨 이상 시 처리 시에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되는 통신링크화면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통신링크화면은, 송신버튼(41p), 통화버튼(41q), 상세정보 표시부(41s), 및 지도표시부(41t)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관리장치(90)로부터 대리점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된 후에 이 통신링크화면을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한다. 다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되기 전에 이 통신링크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지도표시부(41t)는,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며, 쇼벨(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아이콘(41u)과, 검색된 혹은 선택된 대리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대리점 위치 아이콘(41v)을 포함한다.
운전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있어서, 스와이프 조작, 핀치 인 조작, 핀치 아웃 조작 등을 이용하면서 지도표시부(41t)의 지도정보의 스크롤, 축소 표시, 확대 표시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에서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지도정보를 표시하여, 쇼벨과 대리점의 위치 관계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에 장착되는 전용의 통신용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쇼벨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구비된 진동계측 기능은, 쇼벨을 구성하는 부품의 고장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구비된 방위판정 기능은, 쇼벨의 방향을 지도표시부(41t) 상에 표시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쇼벨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하고 있지만,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의 하이브리드형 쇼벨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하,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계는 이중선, 고압유압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파선, 전기 구동·제어계는 가는 실선으로 각각 나타나 있다.
기계식 구동부로서의 엔진(11)과, 어시스트 구동부로서의 전동발전기(12)는, 변속기(13)의 2개의 입력축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변속기(13)의 출력축에는, 유압펌프로서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가 접속되어 있다. 메인펌프(14)에는, 고압유압라인(16)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밸브(17)는, 하이브리드식 쇼벨에 있어서의 유압계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이다. 하부 주행체(1)용의 유압모터(1A(우측용) 및 1B(좌측용)),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에 접속된다.
전동발전기(12)에는, 인버터(18A)를 통하여, 축전기로서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축전계(120)가 접속된다. 축전계(120)에는, 인버터(20)를 통하여 전동작업요소로서의 선회용 전동기(21)가 접속되어 있다. 선회용 전동기(21)의 회전축(21A)에는, 리졸버(22), 메커니컬브레이크(23), 및 선회변속기(24)가 접속된다. 또, 파일럿펌프(15)에는,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조작장치(26)가 접속된다. 선회용 전동기(21)와, 인버터(20)와, 리졸버(22)와, 메커니컬브레이크(23)와, 선회변속기(24)로 부하구동계가 구성된다.
조작장치(26)는, 레버(26A), 레버(26B), 페달(26C)을 포함한다. 레버(26A), 레버(26B), 및 페달(26C)은, 유압라인(27 및 28)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 및 압력센서(29)에 각각 접속된다. 압력센서(29)는, 전기계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30)는, 하이브리드식 쇼벨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주제어부로서의 제어장치이다. 컨트롤러(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장치로 구성되며, CPU가 내부 메모리에 격납된 구동 제어용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장치이다.
컨트롤러(30)는, 압력센서(29)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속도지령으로 변환하여, 선회용 전동기(21)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압력센서(29)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는, 선회기구(2)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조작장치(26)를 조작했을 경우의 조작량을 나타내는 신호에 상당한다.
컨트롤러(30)는, 전동발전기(12)의 운전제어(전동(어시스트)운전 또는 발전운전의 전환)를 행함과 함께, 축전계(120)의 승강압 컨버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축전계(120)의 축전부인 커패시터의 충방전 제어를 행한다. 컨트롤러(30)는, 커패시터의 충전 상태, 전동발전기(12)의 운전 상태(전동(어시스트)운전 또는 발전운전), 및 선회용 전동기(21)의 운전 상태(역행운전 또는 회생운전)에 근거하여, 승강압 컨버터의 승압 동작과 강압 동작의 전환 제어를 행하여, 이로써 커패시터의 충방전 제어를 행한다.
또, 본원은, 2012년 7월 19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2-160909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 원용한다.
1 하부 주행체
1A, 1B 유압모터
2 선회기구
2A 선회용 유압모터
3 상부 선회체
4 붐
5 암
6 버킷
7 붐실린더
8 암실린더
9 버킷실린더
10 캐빈
10a 프레임
11 엔진
12 전동발전기
13 변속기
14 메인펌프
14a 레귤레이터
14b 토출압력센서
14c 유온센서
15 파일럿펌프
16 고압유압라인
17 컨트롤밸브
18, 20 인버터
21 선회용 전동기
22 리졸버
23 메커니컬브레이크
24 선회변속기
25 파일럿라인
26 조작장치
26A, 26B 레버
26C 페달
26D 버튼스위치
30 컨트롤러
30a 일시 기억부
40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
40a 마이크로폰
40b 음성인식부
40c 표시입력장치
41 메인화면
41a 시각 표시부
41b 주행모드 표시부
41c 어태치먼트 표시부
41d 평균연비 표시부
41e 배기가스필터 상태 표시부
41f 엔진 작동시간 표시부
41g 냉각수온 표시부
41h 연료 잔량 표시부
41i 작업모드 표시부
41k 작동유온 표시부
41m 음성지령 표시부
41n 대리점정보 표시부
41p 송신버튼
41q 통화버튼
41r 피선택 대리점 표시부
41s 상세정보 표시부
41t 지도표시부
41u 현재 위치 아이콘
41v 대리점 위치 아이콘
50 장착부
51 스위치패널
51a 라이트스위치
51b 와이퍼스위치
51c 윈도우워셔스위치
52 설치대
54 탑재부
56 제진기구
58 접속부
60 운전석
70 축전지
72 전장품
75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
80 촬상장치
90 관리장치

Claims (10)

  1. 운전자가 조작하여 작업을 행하는 쇼벨로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배치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액츄에이터와,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압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마련된 캐빈과,
    상기 캐빈 내에 마련되고, 또한, 표시 입력 기능과 무선통신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또한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쇼벨의 축전부로부터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은, 전화 기능, 촬상 기능, 진동계측 기능, 방위판정 기능, GPS 기능, 및 지도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쇼벨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면, 이상 발생을 판정한 시각보다 전의 시각부터 이상 발생을 판정한 시각까지의 사이의, 상기 제어장치에 입력된 입력량을 나타내는 입력량 데이터와 쇼벨의 상태를 검출하여 얻어진 물리량을 나타내는 물리량 데이터를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송신된 입력량 데이터와 물리량 데이터를,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로부터 무선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의 송신처는,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표시입력부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운전자의 발성에 의한 입력 지령을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음성인식 장치에 의하여 인식시키고, 상기 인식된 입력 지령을,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음성인식 기능을 ON/OFF하는 스위치는, 상기 쇼벨의 조작레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쇼벨의 커버에 카메라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상한 영상을 상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입력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제진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쇼벨의 상기 캐빈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전방 우측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벨.
KR1020147035779A 2012-07-19 2013-07-09 쇼벨 KR102132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0909 2012-07-19
JP2012160909 2012-07-19
PCT/JP2013/068767 WO2014013910A1 (ja) 2012-07-19 2013-07-09 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717A true KR20150035717A (ko) 2015-04-07
KR102132502B1 KR102132502B1 (ko) 2020-07-09

Family

ID=4994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779A KR102132502B1 (ko) 2012-07-19 2013-07-09 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540792B2 (ko)
EP (2) EP3825471A1 (ko)
JP (5) JP6084613B2 (ko)
KR (1) KR102132502B1 (ko)
CN (2) CN107620340B (ko)
WO (1) WO2014013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6471A1 (de) * 2013-03-22 2014-09-25 Mts Maschinentechnik Schrode Ag Mobiles Baustellenvermessungsgerät, sowie Gerät zur Bereitstellung von Informationen, insbesondere zur Erzeugung von Handlungsanweisungen, für einen Baumaschinenführer
WO2015121893A1 (ja) * 2014-02-14 2015-08-20 株式会社ソウ・システム・サービス 操作者認証運転システム
CN113463721A (zh) * 2015-08-26 2021-10-01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挖土机的测量装置及管理装置
CN114232719A (zh) * 2015-12-08 2022-03-25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的通信系统、多旋翼飞行器及挖土机
JP7023714B2 (ja) * 2015-12-28 2022-02-22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KR102573390B1 (ko) * 2016-02-09 2023-08-30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JP6437937B2 (ja) * 2016-02-17 2018-12-1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EP3438355A4 (en) * 2016-03-30 2019-03-2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JP6618421B2 (ja) * 2016-05-09 2019-12-11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JP6949483B2 (ja) 2016-12-22 2021-10-1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WO2018155567A1 (ja) 2017-02-22 2018-08-30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N110325687B (zh) * 2017-02-24 2022-06-14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挖土机的控制方法以及便携信息终端
WO2018199143A1 (ja) 2017-04-26 2018-11-01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ショベル管理装置、及びショベル管理支援装置
CN110998034B (zh) 2017-07-27 2022-04-29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JPWO2019031431A1 (ja) * 2017-08-08 2020-08-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ショベルの支援装置、及び、ショベルの管理装置
CN110462142A (zh) * 2017-08-14 2019-11-15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及与挖土机协同工作的支援装置
JP6946172B2 (ja) * 2017-12-27 2021-10-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EP3656932A4 (en) 2017-12-27 2021-05-12 Kubota Corporation WORK EQUIPMENT AND ITS PRODUCTION PROCESS
EP3779069B1 (en) * 2018-03-30 2023-07-05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CN112888824A (zh) * 2018-10-17 2021-06-01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的显示装置
CN114423909B (zh) * 2019-09-18 2023-09-29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
JP7114559B2 (ja) * 2019-12-16 2022-08-08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建設機械用の端末及び端末用プログラム
JP2022018680A (ja) * 2020-07-16 2022-01-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仕様変更システム及び作業車仕様変更方法
JP7445568B2 (ja) 2020-09-11 2024-03-07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チュービング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267A (ja) * 2001-09-10 2003-03-2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機体管理システム
JP2005035426A (ja) * 2003-07-16 2005-02-10 Calsonic Kansei Corp 乗り物用モニタ装置
US20060271263A1 (en) * 2005-05-27 2006-11-30 Self Kelvin P Determination of remote control operator position
JP2010105567A (ja) * 2008-10-30 2010-05-13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ワイパー操作装置
KR20100096707A (ko) * 2009-02-25 2010-09-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외부통신 제어방법 및 외부통신 제어기능이 구비된 건설기계
JP2012123645A (ja) * 2010-12-09 2012-06-28 Isuzu Motors Ltd 補給所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2495B2 (ja) * 1992-04-13 1999-06-2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多機能ディスプレイモニタ装置とその操作方法
JP3011256B2 (ja) * 1993-05-25 2000-02-21 日立建機株式会社 移動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942706B2 (ja) * 1994-07-20 1999-08-30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
JP2989529B2 (ja) * 1995-10-02 1999-12-13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用機械におけるモニタ装置
JP3445897B2 (ja) * 1996-03-22 2003-09-08 日立建機株式会社 移動作業機械のデータ送信装置
JPH1088628A (ja) * 1996-09-13 1998-04-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無線式報知装置
US6169789B1 (en) *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JPH11303151A (ja) * 1998-04-17 1999-11-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制御装置
US5905432A (en) * 1998-08-11 1999-05-18 Greene; Desmond Vehicle anti-theft and anti-vandalism alarm
JP2000104855A (ja) 1998-09-28 2000-04-11 Komatsu Ltd 絞り弁
JP2000297443A (ja) * 1999-04-15 2000-10-24 Komatsu Ltd 建設機械の情報管理装置
JP2001127372A (ja) 1999-10-28 2001-05-11 Victor Co Of Japan Ltd 半導体レーザ装置
JP3836280B2 (ja) * 1999-11-08 2006-10-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WO2001053917A2 (en) * 2000-01-24 2001-07-26 Sanjay Chadha Hand-held personal computing device with microdisplay
JP4193957B2 (ja) * 2000-03-17 2008-12-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始動ロック機構
KR20020087097A (ko) * 2000-03-23 2002-11-21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작업기계의 가동데이터 송신방법 및 장치
JP3676204B2 (ja) * 2000-07-18 2005-07-2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音声アタッチメント制御方法
JP2002322679A (ja) * 2001-04-25 2002-11-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情報通信が可能な建設機械および建設機械の携帯情報送信機ホルダ
JP2003078630A (ja) 2001-09-04 2003-03-14 Aichi Corp 作業車両の情報通信システム
US6564144B1 (en) 2002-01-10 2003-05-13 Navigation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 hand-gesture responsive device for collecting data for a geographic database
JP2003219474A (ja) * 2002-01-22 2003-07-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方路誘導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方路誘導システム並びに前記方法のプログラムと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035508B2 (en) * 2002-06-11 2011-10-11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using cellular phones
KR100574652B1 (ko) 2003-10-01 2006-04-28 팅크웨어(주) 지도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7756736B2 (en) * 2003-10-31 2010-07-13 Komatsu Ltd Work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US7689392B2 (en) * 2003-12-09 2010-03-30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uter model
DE602004008674T2 (de) * 2004-02-05 2008-06-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torsteuerung und antrieb für ansprechzeitverbesserung einer electrischen anwendung
JP2005307605A (ja) 2004-04-22 2005-11-04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音響機器操作装置
JP2006052547A (ja) * 2004-08-10 2006-02-2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車両モニタリング装置
US7434392B2 (en) * 2004-12-16 2008-10-14 Husco International, Inc. Configurable hydraulic system for agricultural tractor and implement combination
US8108242B2 (en) * 2005-02-14 2012-01-31 Komatsu Ltd. Working machine failure information centralized managing system
CN2837393Y (zh) * 2005-03-25 2006-11-15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挖掘机全功率控制器
JP2007023527A (ja) * 2005-07-13 2007-02-0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オペレータ用通信端末
JP3121619U (ja) 2005-12-26 2006-05-25 精元電腦股▲ふん▼有限公司 自動車ハンドル用ブルートゥース音声通信装置
AU2007205618B2 (en) * 2006-01-12 2010-01-2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EP1994529B1 (en) * 2006-02-14 2011-12-07 Intellectual Ventures Fund 21 LL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peaker 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US20100311390A9 (en) * 2006-03-20 2010-12-09 Black Gerald 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074822A4 (en) * 2006-10-13 2010-07-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EVICE FOR STORING AND PLAYING DIGITAL MEDIA
US8271713B2 (en) 2006-10-13 2012-09-1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igital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s
JP2008271126A (ja) 2007-04-19 2008-11-06 Ntt Docomo Inc 移動端末装置、移動端末装置の診断方法
WO2009011630A1 (en) * 2007-07-13 2009-01-22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 method for providing an operator of a work machine with operation instructions and a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5141687B2 (ja) * 2007-07-31 2013-02-13 富士通株式会社 音声認識用照合ルール学習システム、音声認識用照合ルール学習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認識用照合ルール学習方法
US7738979B2 (en) * 2007-11-01 2010-06-15 Caterpillar Inc. Work tool notification and user-selectable machine control configuration
JP5141463B2 (ja) * 2008-09-18 2013-0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及び通信の接続先選択方法
JP4794617B2 (ja) * 2008-12-12 2011-10-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JP5154463B2 (ja) 2009-01-29 2013-02-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通信システム
KR101078341B1 (ko) * 2009-02-12 2011-11-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후방 감시수단이 구비된 건설장비
JP5601653B2 (ja) * 2009-03-31 2014-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595031B2 (ja) 2009-12-18 2014-09-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稼動モード制御装置
JP2011191135A (ja) 2010-03-12 2011-09-29 Fujitsu Ltd 移動端末、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232521A (ja) 2010-04-27 2011-11-17 On Semiconductor Trading Ltd 音声認識装置
JP2012070328A (ja) 2010-09-27 2012-04-05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及び入力方法
JP4790080B1 (ja) 2010-10-01 2011-10-12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2107992A (ja) 2010-11-17 2012-06-07 Sony Corp 歩行状況検出装置、歩行状況検出方法及び歩行状況検出プログラム
JP5546427B2 (ja) 2010-11-22 2014-07-09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JP2012127059A (ja) * 2010-12-13 2012-07-05 Toho Gas Co Ltd 工事車両支援システム
JP2012160909A (ja) 2011-01-31 2012-08-23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2232682A (ja) * 2011-05-02 2012-11-29 Komatsu Ltd 建設機械および建設機械管理システム
US20130096771A1 (en) * 2011-10-12 2013-04-1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presentation of media to users of a vehicle
US8676893B1 (en) * 2011-12-12 2014-03-18 Google Inc. Utilizing multiple teleo-operated devices for common teleo-experience sessions
US20130238168A1 (en) * 2012-03-07 2013-09-12 Jerome Reyes Vehicle control and interface with mobile device
US20150287406A1 (en) * 2012-03-23 2015-10-08 Google Inc. Estimating Speech in the Presence of Noi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267A (ja) * 2001-09-10 2003-03-2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機体管理システム
JP2005035426A (ja) * 2003-07-16 2005-02-10 Calsonic Kansei Corp 乗り物用モニタ装置
US20060271263A1 (en) * 2005-05-27 2006-11-30 Self Kelvin P Determination of remote control operator position
JP2010105567A (ja) * 2008-10-30 2010-05-13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ワイパー操作装置
KR20100096707A (ko) * 2009-02-25 2010-09-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외부통신 제어방법 및 외부통신 제어기능이 구비된 건설기계
JP2012123645A (ja) * 2010-12-09 2012-06-28 Isuzu Motors Ltd 補給所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8807B2 (en) 2020-12-08
JP6084613B2 (ja) 2017-02-22
EP2876220B1 (en) 2021-01-06
JP2024015350A (ja) 2024-02-01
JP2017133355A (ja) 2017-08-03
US20170089040A1 (en) 2017-03-30
CN104395536B (zh) 2017-10-20
JP6736492B2 (ja) 2020-08-05
KR102132502B1 (ko) 2020-07-09
EP3825471A1 (en) 2021-05-26
WO2014013910A1 (ja) 2014-01-23
EP2876220A1 (en) 2015-05-27
US10094094B2 (en) 2018-10-09
EP2876220A4 (en) 2015-07-08
US9540792B2 (en) 2017-01-10
JP2020125683A (ja) 2020-08-20
CN107620340A (zh) 2018-01-23
JPWO2014013910A1 (ja) 2016-06-30
US20180371722A1 (en) 2018-12-27
US20150114731A1 (en) 2015-04-30
JP2023016952A (ja) 2023-02-02
CN104395536A (zh) 2015-03-04
CN107620340B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6492B2 (ja) ショベル
JP6665123B2 (ja) ショベル用の多機能型携帯情報端末
CN108026715B (zh) 挖土机
US20190218753A1 (en) Shovel,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6073170B2 (ja) ショベル
JP6073169B2 (ja) ショベル
EP4159929A1 (en) Excavator
WO2020080501A1 (ja) ショベルの表示装置
US20220205222A1 (en) Shovel
WO2023190116A1 (ja) ショベル、ショベルの管理システム、ショベルの支援装置
JP2019167754A (ja) 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