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689A -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689A
KR20150027689A KR20140101341A KR20140101341A KR20150027689A KR 20150027689 A KR20150027689 A KR 20150027689A KR 20140101341 A KR20140101341 A KR 20140101341A KR 20140101341 A KR20140101341 A KR 20140101341A KR 20150027689 A KR20150027689 A KR 20150027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carrier
light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진
김민수
박기수
정태윤
조현근
한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480048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765758B/zh
Priority to PCT/KR2014/008126 priority patent/WO2015030542A1/ko
Priority to US14/912,656 priority patent/US10249902B2/en
Priority to EP14841104.4A priority patent/EP3029755B1/en
Priority to JP2016538862A priority patent/JP2016528710A/ja
Priority to TW103130102A priority patent/TWI611622B/zh
Publication of KR20150027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689A/ko
Priority to JP2017237367A priority patent/JP651430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생산 공정에서 이차전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를 수납하는 캐리어에 이차전지의 안착불량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는, 이차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캐리어와, 캐리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캐리어에 삽입되는 이차전지가 일정 높이에 다다를 때 상기 이차전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착검출센서와, 안착검출센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이송부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 안착불량 검출방법은, 캐리어와의 마찰로 인한 이차전지의 케이스 파손 여부를 검출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을 사전에 파악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THE SECONDARY BATTERY TRANSFER EQUIPMENT AND LOADING CONDITION DETECTING METHOD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생산 공정에서 이차전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를 수납하는 캐리어에 이차전지의 안착불량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이차전지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에 대한 기술적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전지로, 대표적으로는 리튬(Li)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이차전지의 케이스 내부에 전지셀 및 전해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전지셀은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호 교번으로 적층되는 음극판 및 양극판과, 양극판과 음극판이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다.
이차전지 케이스 내부에 전지셀이 삽입되고 전해액이 주입된 후에는 케이스의 측면부분을 실링하는 등의 추가 공정을 위해서 이차전지를 캐리어 내에 수납한 후 원하는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이차전지의 수납 및 이송은 자동화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차전지를 케이스에 수납시키는 과정에서, 이차전지가 케이스 내부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 경우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이 캐리어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여 케이스가 파손되거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의 파손으로 인해 전해액이 케이스 외부로 누설될 수 있으며, 전해액의 누설은 이차전지의 폭발 등과 같은 이차적이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29604 (공개일자: 1998년 08월 17일)
본 발명은 캐리어 내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못한 이차전지를 검출할 수 있는 이송장치 및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는, 이차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캐리어와, 캐리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캐리어에 삽입되는 이차전지가 일정 높이에 다다를 때 이차전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착검출센서와, 안착검출센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이송부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검출센서는 이차전지의 상측으로 돌출된 전극탭이 일정 높이에 다다를 때 전극탭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안착검출센서는 이송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이차전지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이차전지가 캐리어에 비정상적인 안착할 경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은 전극탭으로 인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발광부에서 발산된 빛이 전극탭에 의해 차단될 경우 이송부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는 박스형의 지지판 및 지지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판형의 격판을 구비하여, 지지판의 상부 그리고 격판 사이에 이차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캐리어와, 캐리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격판 사이를 거쳐 상향으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캐리어 상에 위치하며 발광부가 발산하는 광을 수신하여 수신된 광량을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는 광량에 따라 이차전지가 수납공간에 안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어부는 판단 결과 이차전지가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경우, 캐리어 및 이차전지의 식별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안착불량 검사방법은 이차전지가 수납된 캐리어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이차전지가 일정 높이에 다다를 때 이차전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착불량센서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안착불량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안착불량센서는 광센서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 안착불량 검출방법은, 캐리어와의 마찰로 인한 이차전지의 케이스 파손 여부를 검출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을 사전에 파악 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파손으로 인해 전해액의 누설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한 이차적인 폭발 위험도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 안착불량 검출방법은 기존의 이송수단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캐리어에 이차전지가 정상적으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차전지의 안착불량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캐리어에 이차전지가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이차전지의 안착불량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이차전지가 정상적으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이차전지가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캐리어에 이차전지가 정상적으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차전지의 안착불량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캐리어에 이차전지가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이차전지의 안착불량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는 크게 캐리어(100), 이송부(200), 안착검출센서(S)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리어(100)는 수납공간(105)이 형성되어 이차전지(10)를 수납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차단된 형태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100)의 상부는 한 쌍의 격판(110)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지지판(120)은 이러한 격판(110) 하부에 연결되어 격판(110)을 지지하며, 동시에, 서로 이격된 격판(110) 하부를 차단한다. 즉, 캐리어(100)는 박스형의 지지판(120)과 지지판(120)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판형의 격판(1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캐리어(100)에 수납되는 이차전지(10)의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이차전지(10)의 케이스 내부에는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이 교번되게 적층된 전극조립체(미도시) 및 전해액이 수용되어 있으며, 양극판 및 음극판과 각각 연결된 전극탭(11)이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탭(11)은 별도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이차전지(10)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파우치형상의 이차전지(10)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이차전지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된 캐리어(1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다. 이송부(200)는 전술된 것과 같이 캐리어(100) 및 이차전지(10)를 이송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캐리어(100) 및 이차전지(10)를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자동화방식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부(200)는 컨베이어벨트 및 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롤러로 구성된 컨베이어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컨베이어 이외에도 다양한 이송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200)의 양측에는 안착검출센서(S)가 위치한다. 안착검출센서(S)는 캐리어(100)의 수납공간(105)에 이차전지(10)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차전지(10)의 탭(11)의 위치를 센싱함으로써 안착여부를 검출한다. 이러한 안착검출센서(S)는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이송부(200)를 중심으로 일 측에는 발광부(S1)가 타 측에는 수광부(S2)가 위치한다. 발광부(S1)는 광을 발산하는 부분으로 전방을 향해 광을 지속적으로 발산한다. 그리고 수광부(S2)는 발광부(S1)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감지한다.
이때, 안착검출센서(S) 및 이송부(200)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수광부(S2)가 발광부(S1)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이송부(200)의 운전을 정지시키거나 알람 등을 울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착검출센서(S)는 단일의 발광부(S1) 및 수광부(S2)로 구성되어 한 쌍의 전극탭(11)을 센싱할 수도 있으며, 각 한 쌍씩의 발광부(S1) 및 수광부(S2)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극탭(11)을 센싱할 수도 있다. 또한, 안착검출센서(S)는 광센서 이외에도 전극탭(11)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차전지 이송장치 이외에도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은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 상에 정상적으로 안착될 때와 비정상적으로 안착될 때의 이차전지(10)의 높이, 구체적으로 이차전지(10) 전극탭(11)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검출방법을 위해서 광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및 이차전지 이송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캐리어(100)에 안착된 이차전지(10)는 이송부(200)의 운전에 의해 원하는 지점까지 이송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착검출센서(S)의 발광부(S1)에서 발산된 광은 수광부(S2)가 감지하게 된다.
이 때, 캐리어(100)가 안착검출센서(S)가 장착된 위치에 다다르더라도 발광부(S1) 및 수광부(S2)가 장착된 높이가 이차전지(10)의 전극탭(11)의 높이보다 높아서, 안착검출센서(S)는 전극탭(11)을 감지하지 못한다.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면, 이차전지(10)의 일부분이 캐리어(100)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상 솟아올라오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 높이 이상 솟아올라온 전극탭(11)이 발광부(S1)에서 발산하는 광을 차단하여 수광부(S2)가 이 광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여부가 검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착검출센서(S) 및 이송부(200)와 연결된 제어부가 이송부(200)의 운전을 정지시키거나 알람을 울려 작업자에게 안착불량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100) 상의 이차전지(10)의 안착불량으로 인한 이차전지(10) 케이스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전지(10)로부터 전해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이차전지가 정상적으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이차전지가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이송장치는 캐리어(100), 이송부(200), 발광부(310), 수광부(3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00)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수납공간(105)이 형성되어 수납공간(105)에 이차전지(10)를 수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캐리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차단된 박스형태 일 수 있다. 즉, 캐리어(100)는 하부에 지지판(120)과 지지판(120) 상에 형성되는 2개의 격판(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120)은 상의 격판(11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개방부가 형성되며, 격판(110) 아래에 형성된 지지판(120)은 이차전지(10)가 수납되도록 하부에 형성된다. 즉, 지지판(120) 및 두 개의 격판(110)에 의해 이차전지(10)가 수납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00)는 박스형의 지지판(120) 및 지지판(120)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판형의 격판(110)을 포함하며, 지지판(120)의 상부 그리고 격판(110) 사이에 이차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05)을 형성한다. 이송부(200)는 이차전지(10)를 수납공간(105)에 수납한 캐리어(100)를 이송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판(120)에는 발광부(310)가 형성된다. 발광부(310)는 2개의 격판(110) 사이 지지판(120)의 상면을 통해 광이 발산되도록 지지판(120)에 형성되며, 발광부(310)의 광을 발산하는 부분이 지지판(12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발광부(310)는 지지판(120)의 상면으로부터 격판(110) 사이를 거쳐 상향으로 광을 발산한다.
수광부(320)는 캐리어(100) 및 이송부(2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광부(320)는 발광부(310)가 발광한 광을 수신하여 수신되는 광량을 도출하고, 이 광량을 출력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광부(320)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수광되는 광의 광량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수광부(320)로부터 수신한 광량에 따라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경우, 이차전지(10)의 하부면은 지지판(120)과 밀착되어 발광부(310)의 광을 발산하는 부분을 가린다. 이에 따라, 발광부(310)는 지속적으로 광을 발산하지만, 이차전지(10)의 하부면에 의해 발광부(310)의 광을 발산하는 부분이 가로막혀 수광부(320)는 발광부(3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수광 할 수 없다.
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않은 경우, 이차전지(10)의 하부면(13)과 지지판(120)이 이격된다. 따라서 발광부(310)의 광을 발산하는 부분으로부터 발산된 광은 회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격판(110)과 이차전지(10) 사이를 통해 수광부(32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320)는 발광부(3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수광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경우, 수광부(320)는 발광부(310)가 발산하는 광은 수광 할 수 없다. 반면, 비정상적인 경우, 수광부(320)는 발광부(310)가 발산하는 광을 수광 할 수 있다. 수광부(320)는 캐리어(100)가 수광부(320)의 하부로 지나갈 때마다, 수광되는 광량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수광부(320)로부터 수신한 광량에 따라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캐리어(100)가 이차전지(10)를 싣고 수광부(320)의 하부를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수광부(320)는 근접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수광부(320)는 근접 센서가 캐리어(100) 혹은 이차전지(10)를 감지하는 동안 수광되는 광량을 측정한 후, 측정된 광량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캐리어(100) 및 이차전지(10)는 각각 캐리어(100)와 이차전지(1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할당된다. 이러한 식별자는 연속된 일련번호가 될 수 있다. 이차전지(10)를 실은 캐리어(100)는 순차로 수광부(320)의 아래로 지나갈 것이고, 수광부(320)는 순차로 이차전지(10)를 실은 캐리어(100)를 감지하고, 유입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수광부(320)로부터 수신한 광량을 통해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에 비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을 때, 해당 이차전지(10) 혹은 캐리어(100)의 식별자를 다양한 출력 수단을 통해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를 통해 비정상적인 안착이 발생한 이차전지(10) 혹은 캐리어(100)의 식별자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이차전지(10)가 캐리어(100)에 비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100) 상의 이차전지(10)의 안착불량으로 인한 이차전지(10) 케이스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전지(10)로부터 전해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10: 이차전지 11: 전극탭
100: 캐리어 200: 이송부
S: 안착검출센서 S1: 발광부
S2: 수광부 310: 발광부
320: 수광부

Claims (9)

  1. 이차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캐리어에 삽입되는 이차전지가 일정 높이에 다다를 때 상기 이차전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착검출센서; 및
    상기 안착검출센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이송부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검출센서는
    상기 이차전지의 상측으로 돌출된 전극탭이 일정 높이에 다다를 때 상기 전극탭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검출센서는
    상기 이송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차전지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캐리어에 비정상적으로 안착될 경우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광은 상기 전극탭으로 인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된 광이 상기 전극탭에 의해 차단될 경우 상기 이송부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5. 박스형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판형의 격판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판의 상부 그리고 상기 격판 사이에 이차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격판 사이를 거쳐 상향으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캐리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부가 발산하는 광을 수신하여 수신된 광량을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에 따라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수납공간에 안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차전지가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경우, 상기 캐리어 및 상기 이차전지의 식별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8. 이차전지가 수납된 캐리어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이차전지가 일정 높이에 다다를 때 상기 이차전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착불량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안착불량여부를 검출하는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불량센서는 광센서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사방법.
KR20140101341A 2013-09-02 2014-08-06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KR20150027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8463.3A CN105765758B (zh) 2013-09-02 2014-09-01 二次电池传送设备和用于检测二次电池的接收故障的方法
PCT/KR2014/008126 WO2015030542A1 (ko) 2013-09-02 2014-09-01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US14/912,656 US10249902B2 (en) 2013-09-02 2014-09-01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ceipt failure of secondary battery
EP14841104.4A EP3029755B1 (en) 2013-09-02 2014-09-01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ceipt failure of secondary battery
JP2016538862A JP2016528710A (ja) 2013-09-02 2014-09-01 二次電池移送装置及び二次電池の装着不良検出方法
TW103130102A TWI611622B (zh) 2013-09-02 2014-09-01 二次電池傳輸設備及用於偵測二次電池裝載缺陷之方法
JP2017237367A JP6514309B2 (ja) 2013-09-02 2017-12-12 二次電池移送装置及び二次電池の装着不良検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000 2013-09-02
KR20130105000 201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89A true KR20150027689A (ko) 2015-03-12

Family

ID=5302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1341A KR20150027689A (ko) 2013-09-02 2014-08-06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49902B2 (ko)
EP (1) EP3029755B1 (ko)
JP (2) JP2016528710A (ko)
KR (1) KR20150027689A (ko)
CN (1) CN105765758B (ko)
TW (1) TWI611622B (ko)
WO (1) WO2015030542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41A1 (ko) * 2019-06-04 2020-12-10 주식회사 엠플러스 캐리어 운반용 트랙 구조를 구비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
KR20200139366A (ko)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KR20210000477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KR20210000481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얼라인 장치
KR20210000475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투입정도 개선 시스템
KR102210385B1 (ko) 2020-07-31 2021-02-01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KR20210120548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엠플러스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KR20240000820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을 이송시키는 셔틀 장치
WO2024019395A1 (ko) 2022-07-21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을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1918B2 (ja) * 2015-08-24 2020-03-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識別装置
KR102023739B1 (ko) * 2019-04-17 2019-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와전류를 이용한 전지셀 내부의 균열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837B2 (ja) 1978-03-31 1984-08-04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鉛蓄電池極板群の検査方法
US4583286A (en) 1983-03-28 1986-04-22 Gnb Batte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transferring battery cell elements
JPH04133274A (ja) 1990-09-25 1992-05-07 Yuasa Corp 蓄電池用極板群の製造装置
JPH06176770A (ja) 1992-12-01 1994-06-24 Fuji Elelctrochem Co Ltd スパイラル形電池の組立ラインにおける電極セット部品の検査方法
KR19980031085U (ko) 1996-11-30 1998-08-17 양재신 핸들 자동제어장치
JPH10250833A (ja) 1997-03-11 1998-09-22 Fuji Photo Film Co Ltd 製造ラインでのワーク管理方法
JPH1173948A (ja) * 1997-09-01 1999-03-16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用極板群の検査装置
JPH11312538A (ja) 1998-04-28 1999-11-09 Fuji Photo Film Co Ltd 電池の識別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電池パック
JP4383648B2 (ja) 2000-12-14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用連接構造体の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KR20020079194A (ko) 2001-04-13 2002-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캐리어 감지장치
KR20020087534A (ko) * 2001-05-14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수평형 가변식 웨이퍼 로딩장치
JP2003059463A (ja) 2001-08-08 2003-02-28 Sony Corp 電池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電池製造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30037579A (ko) 2001-11-06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리어 스테이지
JP2005228533A (ja) 2004-02-12 2005-08-25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バッテリー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4923449B2 (ja) * 2004-08-06 2012-04-25 豊田合成株式会社 タンク用キャップ
KR20060092595A (ko) 2005-02-18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캐리어 로딩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094028B1 (ko) 2005-03-25 2011-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형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케이스 미융착 검사장치
ITVR20050078A1 (it) * 2005-06-14 2006-12-15 Sovema Spa Linea e metodo di assemblaggio di batterie di accumulatori
KR20060133260A (ko) 2005-06-20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설비의 캐리어 수납 장치
US20100090654A1 (en) 2006-12-20 2010-04-15 Daniel Breiting Secondary cells with distinguishing physical features
JP2008204729A (ja) 2007-02-19 2008-09-04 Furukawa Battery Co Ltd:The 鉛蓄電池用極板群の検査方法
JP2010212142A (ja) 2009-03-11 2010-09-24 Nissan Motor Co Ltd 電池判別装置および電池判別方法
JP5489797B2 (ja) * 2010-03-17 2014-05-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JP2011238375A (ja) 2010-05-06 2011-11-24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735633B2 (en) * 2010-07-14 2014-05-27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s for making 1,3-dihydroxyacetone (DHA) from glycerol
CN102004105A (zh) * 2010-11-02 2011-04-06 严巧整 用于判别电池的各生产工序的加工质量的自动检测装置
CN102332598B (zh) * 2011-03-22 2013-11-13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基于ccd定位的全自动打钢珠和上化成螺丝设备
CN102765593B (zh) * 2012-06-26 2015-05-06 安徽理士电源技术有限公司 蓄电池热封定位控制方法
CN103219539B (zh) 2013-01-30 2015-08-19 东莞市鸿宝锂电科技有限公司 电芯自动成型设备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41A1 (ko) * 2019-06-04 2020-12-10 주식회사 엠플러스 캐리어 운반용 트랙 구조를 구비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
KR20200139366A (ko)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KR20200139364A (ko)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엠플러스 캐리어 운반용 트랙 구조를 구비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
KR20210000477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KR20210000481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얼라인 장치
KR20210000475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투입정도 개선 시스템
KR20210120548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엠플러스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KR102210385B1 (ko) 2020-07-31 2021-02-01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KR20240000820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을 이송시키는 셔틀 장치
WO2024019395A1 (ko) 2022-07-21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을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KR20240012949A (ko)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을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1622B (zh) 2018-01-11
EP3029755A1 (en) 2016-06-08
EP3029755B1 (en) 2018-10-31
US20160204462A1 (en) 2016-07-14
EP3029755A4 (en) 2016-12-07
JP2018078111A (ja) 2018-05-17
US10249902B2 (en) 2019-04-02
JP6514309B2 (ja) 2019-05-15
TW201530859A (zh) 2015-08-01
WO2015030542A1 (ko) 2015-03-05
CN105765758B (zh) 2019-05-21
CN105765758A (zh) 2016-07-13
JP2016528710A (ja)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7689A (ko)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CN213425051U (zh) 电池单体泄漏检测装置
KR102291536B1 (ko) 배터리 팩 검사 장치 및 방법
TWI404077B (zh) 晶圓輸送系統中晶圓對位的校正系統及方法與晶圓盒
KR102029422B1 (ko) 배터리팩 온도검출용 센서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모니터링 장치
KR101839566B1 (ko) 전지팩의 시트 부착 장치
TWI557843B (zh) Pneumatic type inspection mechanism for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apparatus, work apparatus for inspec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20220099414A (ko) 파우치 전지셀의 실링 갭 측정방법
WO2022080209A1 (ja) 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電池製造設備の検査方法
TW201350419A (zh) 基板檢測裝置
KR101094028B1 (ko) 팩형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케이스 미융착 검사장치
CN116076080A (zh) 智能相机基板
JP6341418B2 (ja) 電池用電極シートの供給装置
KR101574202B1 (ko) 기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TWI684013B (zh) 作業分類設備之電荷偵測裝置
KR102281208B1 (ko) 배터리 케이스 공차 측정장치
KR20200016654A (ko) 배터리 팩의 발열원 분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20240001519A (ko) 전지 셀의 누설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7712A (ko) 배터리 팩 성능평가장치
KR20230127805A (ko) 전극 제조공정의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25673A (ko) 셀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셀 이송 시스템
JP2015001852A (ja) ガス警報器
CN114864458A (zh) 晶圆盒、晶圆搬运设备及控制方法、电气设备及存储介质
KR20060109528A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장치
KR20160114367A (ko) 이차전지의 누설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