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085U - 핸들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핸들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085U
KR19980031085U KR2019960044232U KR19960044232U KR19980031085U KR 19980031085 U KR19980031085 U KR 19980031085U KR 2019960044232 U KR2019960044232 U KR 2019960044232U KR 19960044232 U KR19960044232 U KR 19960044232U KR 19980031085 U KR19980031085 U KR 19980031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riable
steering wheel
ecm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085U/ko
Publication of KR19980031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08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을 무겁게 제어함으로써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된 핸들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차속을 센싱하는 속도센서(10)와, 상기 속도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전압성분으로 변환시키는 F/V변환기(12), 상기 F/V변환기(12)로부터의 신호와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는 비교기(14), 상기 비교기(1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핸들제어에 대한 가변신호를 출력하는 ECM(16), 상기 ECM(16)으로부터의 가변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저항(18) 및, 상기 가변저항(18)이 가변됨에 따른 구동전압(Vcc)에 의해 동력실린더내의 피스톤(22)을 동작시키는 모터(20)로 구성되어, 주행시 운전자가 느끼는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안전운전에 막대한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Description

핸들 자동제어장치
본 고안은 핸들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주행시 핸들이 가볍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핸들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측에는 핸들이 갖추어지게 되고, 그 핸들조작에 의해 차량을 직진 또는 좌/우회전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핸들을 갖춘 차량을 이용하여 국도 또는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중에 특히 고속주행일 경우 핸들의 유격이 적게 되어 핸들떨림이 적어야 됨에도 불구하고 속도에 비례하여 핸들이 가볍게 되어 안전운전을 저해하게 되고 그로 인해 운전자가 금방 피로를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을 무겁게 제어함으로써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된 핸들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차속을 센싱하는 속도센서와, 그 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전압성분으로 변환시키는 F/V변환기, 그 F/V변환기로부터의 신호와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는 비교기, 그 비교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핸들제어에 대한 가변신호를 출력하는 ECM, 그 ECM으로부터의 가변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저항 및, 그 가변저항이 가변됨에 따른 구동전압에 의해 동력실린더내의 피스톤을 동작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핸들 자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자동제어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속도센서12: F/V변환기
14: 비교기 16: ECM
18: 가변저항20: 모터
22: 피스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자동제어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속도센서(10), F/V변환기(12), 비교기(14), ECM(16), 가변저항(18), 모터(20), 피스톤(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속도센서(10)는 주행중의 차량의 현재의 차속을 센싱한다.
F/V변환기(12)는 그 속도센서(10)에서 센싱된 신호(예컨대, 주파수성분의 신호임)를 그에 상응하는 전압치로 변환시킨다.
비교기(14)는 그 F/V변환기(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일정치의 기준치(Vref)를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상호 비교한다.
ECM(16)은 그 비교기(14)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핸들제어에 대한 가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가변저항(18)은 그 ECM(16)으로부터의 가변신호에 따라 저항치가 가변된다.
모터(20)는 그 가변저항(18)의 저항치가 가변됨에 따라 입력되는 구동전압(Vcc)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실린더(도시 생략)내에 설치된 피스톤(22)을 조작하게 되는 바, 그 모터(20)는 도시되지 않은 동력실린더내의 피스톤(22)을 조작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자동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차량이 주행을 하게 되면 속도센서(10)에서 차속을 센싱하게 되고, 그 센싱된 신호(예컨대, 주파수성분의 신호)는 F/V변환기(12)에 의해 그에 상응하는 전압치로 변환되어 비교기(14)로 인가되며, 그 비교기(14)에서는 입력된 현재의 신호와 기준치(Vref)를 상호 비교하게 된다.
그 결과, 입력된 현재의 신호가 기준치(Vref)보다 높으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ECM(16)으로 인가하고, 입력된 현재의 신호가 기준치(Vref)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ECM(16)으로 인가하게 되는 바, 그 ECM(16)에서는 입력된 현재의 신호를 기초로 가변저항(18)의 저항치를 가변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모터(20)는 가변적인 구동전압(Vcc)이 인가되므로 그 구동전압(Vcc)에 의해 동력실린더(도시 생략)내의 피스톤(22)을 작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현재 차속이 고속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모터구동에 의한 피스톤(22)의 작동에 의해 오일탱크(도시 생략)로 리턴되는 오일의 양이 많게 되어 핸들이 무겁게 작동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차속이 고속일 경우 핸들이 무겁게 작동되므로, 주행시 운전자가 느끼는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안전운전에 막대한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Claims (1)

  1. 차량의 차속을 센싱하는 속도센서(10)와, 상기 속도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전압성분으로 변환시키는 F/V변환기(12), 상기 F/V변환기(12)로부터의 신호와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는 비교기(14), 상기 비교기(1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핸들제어에 대한 가변신호를 출력하는 ECM(16), 상기 ECM(16)으로부터의 가변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저항(18) 및, 상기 가변저항(18)이 가변됨에 따른 구동전압(Vcc)에 의해 동력실린더내의 피스톤(22)을 동작시키는 모터(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자동제어장치.
KR2019960044232U 1996-11-30 1996-11-30 핸들 자동제어장치 KR199800310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232U KR19980031085U (ko) 1996-11-30 1996-11-30 핸들 자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232U KR19980031085U (ko) 1996-11-30 1996-11-30 핸들 자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085U true KR19980031085U (ko) 1998-08-17

Family

ID=5398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232U KR19980031085U (ko) 1996-11-30 1996-11-30 핸들 자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0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542A1 (ko) * 2013-09-02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542A1 (ko) * 2013-09-02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US10249902B2 (en) 2013-09-02 2019-04-02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ceipt failure of secondary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0278A (en) Motorized power steering apparatus
US6725965B2 (en) Stabl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GB2233293A (en) Vehicle power steering system
US4913250A (en) Control apparatus of power steering device
KR960017410A (ko) 전동파워 스티어링 장치
KR890004933A (ko) 차량용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970059543A (ko) 무단 변속기 제어 장치
EP0972695A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19980031085U (ko) 핸들 자동제어장치
US4674588A (en) Electric power steering equipment
KR950017430A (ko) 전기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989683A (en) Motorized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0204784B1 (ko) 자동차의 저속회전시 능동 비선형 조향 콘트롤러
JPH07100450B2 (ja) 動力舵取装置の制御装置
JPH03112776A (ja) 動力舵取装置の制御装置
KR970036356A (ko) 전기 자동차의 주행 성능 향상 제어장치
KR100552728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200269153Y1 (ko) 자동차의 흡기 모드 제어장치
KR880003455Y1 (ko) 차량속도에 감응되는 파워스티어링장치
KR970074481A (ko) 자동차의 속도감응형 조향각 제어방법
KR950014556A (ko) 엔진제어장치를 이용한 구동전원 보상회로
KR940002123A (ko) 자동차의 조향제조방법
KR970074489A (ko) 자동차 바퀴의 자동 정렬 장치 및 그 방법
KR970015170A (ko) 전기자동차의 가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5425U (ko) 파워 스티어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