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385B1 -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385B1
KR102210385B1 KR1020200096118A KR20200096118A KR102210385B1 KR 102210385 B1 KR102210385 B1 KR 102210385B1 KR 1020200096118 A KR1020200096118 A KR 1020200096118A KR 20200096118 A KR20200096118 A KR 20200096118A KR 102210385 B1 KR102210385 B1 KR 10221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heel
carrier
rails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고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9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2Ste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상면과 하면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레일 프레임(11)에 이어져서 설치된 복수개의 제1레일(30);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상면과 하면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11)에 이어져서 설치된 복수개의 제2레일(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30)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2레일(40)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Rail structure for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process carrier and carrier rail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 이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중 캐리어가 이동할 때에 충격력 및 충격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와 캐리어의 휠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며, 이차전지의 양쪽 단부 또는 한쪽 단부에 전극탭이 돌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 중에는 복수장의 극판에 돌출된 각각의 전극탭이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전극탭이 합쳐진 전극탭을 융착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고, 복수장의 전극탭을 융착하는 공정을 위하여 전극조립체를 이송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극탭 접합장치 쪽으로 이송하고, 전극탭 접합장치에서는 이송된 전극조립체의 복수장의 전극탭을 융착하는 방식으로 접합하여, 이차전제에 전극탭이 돌출되도록 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전극탭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복수장의 양극 전극탭과 음극 전극탭을 융착이나 레이저 접합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게 된다.
도 1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와 레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와 레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의 맨 앞의 휠이 레일 간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 나머지 휠들이 자세를 잡아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의 가운데의 휠이 레일 간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 나머지 휠들이 자세를 잡아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의 마지막 휠이 레일 간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 나머지 휠들이 자세를 잡아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캐리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들 간에 단차가 발생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캐리어에 구비된 휠이 레일을 따라 넘어갈 때에 도 6의 단차로 인하여 레일과 휠이 충돌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상기 캐리어의 양쪽에는 외주면이 일반적인 롤러의 면과 같은 제2휠과 외주면이 단면으로 볼 때에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구성된 제1휠이 있는데, 캐리어의 가로 방향으로 세 개의 제1휠과 제2휠이 배치된다. 제1휠은 외주면이 원주면으로 구성되고 제2휠은 외주면에 오목한 홈 형태의 캐리홈이 구비된다. 캐리어가 이동할 때에 상부 제1휠의 외주면과 하부 제1휠의 외주면은 제1레일의 상면과 하면을 따라 롤링되고, 상부 제2휠의 캐리홈과 하부 제2휠의 캐리홈은 제2레일의 상하부 브이자형 롤링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제2휠과 하부 제2휠이 롤링된다. 상기 캐리어의 가로 방향으로 세 개의 제1휠과 제2휠이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캐리어의 제2휠과 제1휠을 설명의 편의상 휠이라 통칭하고,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설명의 편의상 레일로 통칭한다.
맨 앞에 있는 휠이 레일 사이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에 나머지 두 개의 휠이 자세를 잡아주므로 맨 앞의 휠이 상기 유격부에 빠지지 않고 지나가게 된다.
가운데의 휠이 레일 사이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에도 가운데의 앞쪽과 뒤쪽에 있는 휠들이 자세를 잡아주므로 가운데의 휠이 상기 유격부에 빠지지 않고 지나가게 된다.
맨 마지막의 휠이 레일 사이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에서 앞쪽의 두 개의 휠들이 자세를 잡아주므로 맨 마지막 휠이 상기 유격부에 빠지지 않고 지나가게 된다.
이때, 자세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휠과 하부휠이 레일에 밀착될 수 있도록 예압이 걸리도록 조립한다. 즉, 캐리어의 양쪽 측면에는 상부휠과 하부휠이 캐리어의 길이 방향으로 세 개씩 구비되는데, 자세를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캐리어 양쪽 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상부휠과 하부휠들의 외주면이 레일의 상면과 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예압이 걸리도록 조립한다.
한편, 상기 레일은 캐리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 레일 프레임에 장착된다.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전후 레일 프레임의 외표면게 각각 레일이 장착된다. 캐리어의 이동 구간을 따라 복수개의 레일들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때, 각각의 레일들마다 일정 간격 이격된 유격부가 확보된 상태로 복수개의 레일들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캐리어의 이동 구간을 따라 설치된다. 즉, 서로 이웃한 레일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상기 유격부가 확보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레일이 캐리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그런데, 기존의 캐리어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 연결부(즉, 서로 이웃한 레일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와 유격부)에서 단차 발생시 충격력 및 충격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레일 연결부에서 단차 발생이란 복수개의 레일을 캐리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유격부)을 두고 설치(즉, 서로 이웃한 레일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유격부을 두고 설치)할 때에 각 레일의 높낮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처럼 레일 연결부에서 단차가 발생하면 캐리어의 휠이 레일에서 롤링되면서 캐리어가 지나갈 때에 휠이 레일 연결부에 생겨있는 단차로 인하여 휠이 덜컹거리거나 휠이 뒤쪽의 레일에서 상기 유격부을 지나서 앞쪽의 레일로 넘어갈 때에 앞쪽의 레일 모서리 등에 부딪히면서 충격력이 발생하고 충격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캐리어의 휠이 레일을 타고 이동할 때에 충력력이 발생하여 휠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일 연결부의 단차로 인하여 캐리어 상부의 극판 얼라인이 틀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 상부롤(또는 하부롤)이 뒤쪽의 레일에서 앞쪽의 레일로 넘어갈 때에 상부롤(또는 하부롤)의 외주면이 상기 단차로 인하여 앞쪽의 레일에 충돌하여 충격력과 충돌 소음이 발생한다. 충격력의 방향은 주로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이다.
이처럼 캐리어의 상부롤 또는 하부롤이 충돌하게 되면서 충격 소음과 휠의 파손 및 캐리어 상부의 극판 얼라인이 틀어지는 문제가 생기는데, 단차의 크기가 커질수록 충격력은 더 커지고, 캐리어의 진행 속도가 빨라질수록 충격력이 더 커지고, 상기 예압이 커질수록 충격력도 더 커지며, 캐리어 중량이 더 무거워지고 레일 사이의 간격(즉, 유격부)가 커질수록 충격력도 더 커지게 된다.
상기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인하여 고속화 장비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8006호(2015년06월04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4970호(2014년10월28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7689호(2015년03월12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 중 캐리어가 이동할 때에 캐리어의 휠이 복수개로 설치된 레일들에 부딪혀서 생기는 충격력 및 충격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캐리어의 휠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 이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과 제1하부 휠이 상면과 하면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메일 프레임에 이어져서 설치된 복수개의 제1레일; 상기 캐리어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과 제2하부 휠이 상면과 하면의 제2 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제2 하부 롤링 가이드부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상기 메일 프레임에 이어져서 설치된 복수개의 제2레일; 상기 제1레일 또는 상기 제2레일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된 제1테이퍼부 또는 제2테이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제1레일의 상면과 하면은 수평면인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레일은 상면과 하면이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가 점점 좁아지는 제2 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제2 하부 롤링 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1상부 휠의 외주면과 상기 제1하부 휠의 외주면은 상기 제1레일의 상기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에 접촉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 휠과 상기 제2하부 휠의 외주면에 형성된 캐리홈은 상기 제1레일의 상기 제2 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상기 제2 하부 롤링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레일의 상면과 하면은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레일의 상면과 하면은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제2 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제2 하부 롤링 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1상부 휠의 외주면과 상기 제1하부 휠의 외주면에 형성된 캐리홈은 상기 제1레일의 상기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 휠과 상기 제2하부 휠의 외주면에 형성된 캐리홈은 상기 제1레일의 상기 제2 상부 롤링 가이드부와 상기 제2 하부 롤링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레일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레일의 상면과 하면 일부에 구비된 제1상부 테이퍼면과 제1하부 테이퍼면에 의해 상기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테이퍼면은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1상부 휠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 테이퍼면은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1하부 휠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의 상면과 하면 일부에 구비된 제2상부 테이퍼면과 제2하부 테이퍼면에 의해 상기 제2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 테이퍼면은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2상부 휠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 테이퍼면은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2하부 휠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레일은 레일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1상부 휠과 상기 제1하부 휠이 뒤쪽의 제1레일에서 상기 유격부를 지나서 앞쪽의 제1레일로 넘어갈 때에 상기 제1테이퍼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상부 휠과 상기 제1하부 휠의 외주면이 뒤쪽의 상기 제2레일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2레일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다른 쪽 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2상부 휠과 상기 제2하부 휠이 뒤쪽의 제2레일에서 상기 유격부를 지나서 앞쪽의 제2레일로 넘어갈 때에 상기 제2테이퍼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상부 휠과 상기 제2하부 휠의 외주면이 뒤쪽의 상기 제2레일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들 중에서 어느 한쪽의 제1레일의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가 구비된 경우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레일들 중에서 어느 한쪽의 제2레일의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가 구비된 경우,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들 사이의 유격부와 어느 한쪽의 제1레일에 형성된 제1상부 테이퍼면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상부 휠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들 사이의 유격부와 어느 한쪽의 제1레일에 형성된 제1하부 테이퍼면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하부 휠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2레일들 사이의 유격부와 어느 한쪽의 제2레일에 형성된 제2상부 테이퍼면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상부 휠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2레일들 사이의 유격부와 어느 한쪽의 제2레일에 형성된 제2하부 테이퍼면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하부 휠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가 구비된 경우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레일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가 구비된 경우,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들 사이의 유격부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들의 각각의 제1테이퍼부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의 복수개의 제1상부 휠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상부 휠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들 사이의 유격부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들의 서로 이웃한 각각의 제1테이퍼부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의 복수개의 제1하부 휠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하부 휠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2레일들 사이의 유격부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테이퍼부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의 복수개의 제2상부 휠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상부 휠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2레일들 사이의 유격부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테이퍼부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의 복수개의 제2하부휠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하부 휠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과 제1하부 휠이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롤링되어 지나가는 제1레일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1테이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과 제2하부 휠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제2레일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레일을 레일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 복수개로 이어지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레일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에 상기 제2레일을 복수개로 이어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레일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2레일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 중 캐리어가 이동할 때에 캐리어의 휠이 복수개로 설치된 레일들에 부딪혀서 생기는 충격력 및 충격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캐리어의 휠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와 레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와 레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의 맨 앞의 휠이 레일 간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 나머지 휠들이 자세를 잡아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의 가운데의 휠이 레일 간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 나머지 휠들이 자세를 잡아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의 마지막 휠이 레일 간의 유격부를 지나갈 때 나머지 휠들이 자세를 잡아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캐리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들 간에 단차가 발생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캐리어에 구비된 휠이 레일을 따라 넘어갈 때에 도 6의 단차로 인하여 레일과 휠이 충돌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와 캐리어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레일에서 한쪽의 제1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뒤쪽의 제1레일에서 앞쪽의 제1레일로 캐리어의 제1상부 휠과 제1하부 휠이 테이퍼부에 의해 충돌없이 넘어오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레일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레일에서 한쪽의 제2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뒤쪽의 제2레일에서 앞쪽의 제2레일로 캐리어의 제2상부 휠과 제2하부 휠이 테이퍼부에 의해 충돌없이 넘어오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2레일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이퍼부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레일의 테이퍼부와 캐리어의 제2상부 휠의 캐리홈 사이에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제1레일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제2레일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로서 주요부인 제1레일과 제2레일 및 캐리어의 휠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소음 검증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소음 검증 테스트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표
도 24는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제1레일과 테이퍼부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A-A선과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서 다른 주요부인 제2레일과 테이퍼부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A'-A'선과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서로 이웃한 제1레일과 한쪽의 제1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뒤쪽의 제1레일에서 앞쪽의 제1레일로 캐리어의 제1상부 휠과 제1하부 휠이 충돌없이 넘어가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서로 이웃한 제2레일과 한쪽의 제2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뒤쪽의 제2레일에서 앞쪽의 제2레일로 캐리어의 제2상부 휠과 제2하부 휠이 충돌없이 넘어가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서로 이웃한 제1레일에 모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뒤쪽의 제1레일에서 앞쪽의 제1레일로 캐리어의 제1상부 휠과 제1하부 휠이 충돌없이 넘어가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서로 이웃한 제2레일 모두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뒤쪽의 제2레일에서 앞쪽의 제2레일로 캐리어의 제2상부 휠과 제2하부 휠이 충돌없이 넘어가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와 캐리어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레일에서 한쪽의 제1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뒤쪽의 제1레일에서 앞쪽의 제1레일로 캐리어의 제1상부 휠과 제1하부 휠이 테이퍼부에 의해 충돌없이 넘어오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레일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레일에서 한쪽의 제2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뒤쪽의 제2레일에서 앞쪽의 제2레일로 캐리어의 제2상부 휠과 제2하부 휠이 테이퍼부에 의해 충돌없이 넘어오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2레일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이퍼부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레일의 테이퍼부와 캐리어의 제2상부 휠의 캐리홈 사이에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제1레일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제2레일이 레일 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로서 주요부인 제1레일과 제2레일 및 캐리어의 휠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소음 검증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소음 검증 테스트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표, 도 24는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제1레일과 테이퍼부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A-A선과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서 다른 주요부인 제2레일과 테이퍼부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A'-A'선과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서로 이웃한 제1레일과 한쪽의 제1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뒤쪽의 제1레일에서 앞쪽의 제1레일로 캐리어의 제1상부 휠과 제1하부 휠이 충돌없이 넘어가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서로 이웃한 제2레일과 한쪽의 제2레일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뒤쪽의 제2레일에서 앞쪽의 제2레일로 캐리어의 제2상부 휠과 제2하부 휠이 충돌없이 넘어가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서로 이웃한 제1레일에 모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뒤쪽의 제1레일에서 앞쪽의 제1레일로 캐리어의 제1상부 휠과 제1하부 휠이 충돌없이 넘어가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서로 이웃한 제2레일 모두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뒤쪽의 제2레일에서 앞쪽의 제2레일로 캐리어의 제2상부 휠과 제2하부 휠이 충돌없이 넘어가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는 레일 프레임(11)에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이 장착되고, 제1레일(30)과 제2레일(40)로는 캐리어(1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과 제1상부 휠(12UW) 및 제1하부 휠(12LW)이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되며, 레일 프레임(11)에 복수개로 설치된 제1레일(30)과 제2레일(40) 중에서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적어도 제1레일(30)에 제1테이퍼부(130)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2레일(40)에서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도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프레임(11)은 좌우 양쪽의 제1프레임판(11A)과 제2프레임판(11A)의 하단부에 프레임 바텀판(11B)이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제1프레임판(11A)과 제2프레임판(11A)은 좌우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레일 프레임(11)은 캐리어(10)의 이송 라인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는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구비된다. 세 개의 제1상부 휠(12UW)이 캐리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세 개의 제1하부 휠(12LW)도 캐리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세 개의 제1상부 휠(12UW)의 중심부와 세 개의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는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제1상부 휠(12UW)과 제2하부 휠(14LW)은 외주면이 원주면으로 구성된 플랫휠이다. 또한,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는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구비된다. 세 개의 제2상부 휠(14UW)이 캐리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세 개의 제2하부 휠(14LW)도 캐리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세 개의 제2상부 휠(14UW)의 중심부와 세 개의 제2하부 휠(14LW)의 중심부도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세 개의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와 세 개의 제2하부 휠(14LW)의 중심부도 캐리어(10)의 좌우 양쪽 측면 사이의 폭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은 외주면에 캐리홈(CG)이 구비된다. 상기 캐리홈(CG)은 오목한 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홈(CG)이 브이홈 형상으로 구성된 경우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은 브이휠이다.
상기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상기 제1레일(30)이 레일 프레임(11)에 지지된다. 레일 프레임(11)의 제1프레임판(11A)의 안쪽면에 제1레일(30)이 장착됨으로써 제1레일(30)이 레일 프레임(11)에 지지되어 장착된 구조가 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11)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에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은 양쪽 마주하는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레일(30)은 위쪽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아래쪽의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를 구비하는데, 레일 프레임(11)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에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는 수평면(평평한 면)으로 구성된다. 제1레일(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레일(30)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는 수평면(즉,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레일(30)은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인하여 평레일이라 할 수 있다. 제1레일(30)을 단면으로 볼 때에 평레일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0)은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11)이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레일 프레임(11)에 복수개의 제1레일(30)이 지지되어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레일(30)이 연속되도록 길게 설치된다. 이때, 복수개의 제1레일(30)들 사이에는 유격부(SP)가 형성된다.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유격부(SP)가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상기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은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접촉된 상태에서 롤링되면서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제1레일(30)의 평탄면 형상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로 롤링되면서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10)(이하에서는 편의상 캐리어(10)라 칭함)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상기 제2레일(40)이 레일 프레임(11)에 지지된다. 레일 프레임(11)의 제2프레임판(11A)의 안쪽면에 제2레일(40)이 장착됨으로써 제2레일(40)이 레일 프레임(11)에 지지되어 장착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레일(40)은 위쪽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아래쪽의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를 구비하는데, 레일 프레임(11)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에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는 역브이자 형상이고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는 브이자 형상이다. 제2레일(40)은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로 인하여 브이레일이라 할 수 있다. 제2레일(40)을 단면으로 볼 때에 브이레일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0)은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11)이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레일 프레임(11)에 복수개의 제2레일(40)이 지지되어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레일(40)이 연속되도록 길게 설치된다. 이때, 복수개의 제2레일(40)들 사이에는 유격부(SP)가 형성된다.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유격부(SP)가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상기 제2상부 휠(14UW)의 캐리홈(CG)과 제2하부 휠(14LW)의 캐리홈(CG)은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삽입된 상태에서 롤링되면서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로 롤링되면서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한편,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유격부(SP)는 상기 캐리어(1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캐리어(10)의 좌우 양쪽 측면에 구비된 세 개의 제1상부 휠(12UW)과 세 개의 제1하부 휠(12LW)과 세 개의 제2상부 휠(14UW)과 세 개의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복수개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와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접촉되어 롤링되면서 상기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유격부(SP)를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과 제2상부 휠(14UW) 및 제2하부 휠(14LW)이 동시에 넘어가게 된다.
상기 제1테이퍼부(130)는 제1레일(30)의 양단부 중에서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된다. 즉, 제1테이퍼부(130)는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진입하는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된다. 서로 이웃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1레일(30) 중에서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제1상부 휠(12UW)과 제1상부 휠(12U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한쪽의 제1레일(30)의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된다. 즉, 두 개의 이웃한 제1레일(30)들 중에서 한쪽의 제1레일(30)에만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된 구조가 된다. 상기 캐리어(10)가 한 방향으로만 주행할 때에는 두 개의 이웃한 제1레일(30)들 중에서 한쪽의 제1레일(30)에만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테이퍼부(130)는 제1레일(30)의 상면과 하면 일부에 구비된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상부 테이퍼면(130TA)은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은 상기 캐리어(10)의 제1하부 휠(12LW)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은 제1레일(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상하부 위치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레일(30)을 정면에서 볼 때에 제1레일(30)의 일부의 상하면 폭이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쪽으로 점점 작아지는 구조가 된다.
상기 제2테이퍼부(140)는 제2레일(40)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된다. 즉, 제2테이퍼부(140)는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는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된다. 서로 이웃하여 설치된 두 개의 제2레일(40) 중에서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제2상부 휠(14UW)과 제2상부 휠(14U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한쪽의 제2레일(40)의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다. 즉, 두 개의 이웃한 제2레일(40)들 중에서 한쪽의 제2레일(40)에만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테이퍼부(140)는 제2레일(40)의 상면과 하면 일부에 구비된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 테이퍼면(140TA)은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은 상기 캐리어(10)의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상기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은 상기 제2레일(4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상하부 위치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40)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서 일정 거리 들어온 위치에서 제2레일(40)의 상단부측 일부의 한쪽 측면을 절삭한 다음 제2레일(40)의 상단부측 일부의 다른 쪽 측면을 절삭하게 되면, 제2상부 테이퍼면(140TA)이 제2레일(40)의 종단면으로 볼 때에 위로 뾰족한 브이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상부 테이퍼면(140TA)의 뾰족한 첨두부는 상기 절삭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제2레일(4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쪽으로 하향 경사진 상단 테이퍼 라인으로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금친 부분이 절삭으로 제거되는 부분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레일(40)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서 일정 거리 들어온 위치에서 제2레일(40)의 하단부측 일부의 한쪽 측면을 절삭한 다음 제2레일(40)의 하단부측 일부의 다른 쪽 측면을 절삭하게 되면,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이 제2레일(40)의 종단면으로 볼 때에 아래로 뾰족한 브이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의 뾰족한 첨두부는 상기 절삭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제2레일(4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쪽으로 상향 경사진 하단 테이퍼 라인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레일(40)의 양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모두 제2테이퍼부(1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절삭 방식으로 제2레일(40)의 양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모두 제2테이퍼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0)을 정면에서 볼 때에 제2레일(40)의 일부의 상하면 폭이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쪽으로 점점 작아지는 구조가 된다.
상기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와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는 캐리어(1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레일(30)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하나씩 두 개의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레일(30)들이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경우, 두 개의 이웃한 제1레일(30)들 중에서 한쪽의 제1레일(30)과 다른 쪽의 제1레일(30)에 모두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가 양방향으로 정주행하거나 역주행할 경우에 대비하여 두 개의 이웃한 제1레일(30)들 모두에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군데의 제1테이퍼부(130)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유격부(SP)를 기준으로 두 군데의 제1테이퍼부(130)가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두 군데의 제1테이퍼부(130)가 제1레일(30)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제1레일(30)을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도록 설치하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면서 두 개의 제1테이퍼부(1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유격부(SP)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들의 제2테이퍼부(140)들은 상기 유격부(SP)를 기준으로 전후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1레일(30)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하나씩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제2레일(40)들이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경우, 두 개의 이웃한 제2레일(40)과 다른 쪽의 제2레일(40)에 모두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40)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를 형성하고, 두 군데의 제2테이퍼부(140)는 제2레일(40)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을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도록 설치하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면서 두 개의 제1테이퍼부(1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유격부(SP)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면서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유격부(SP)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들의 제1테이퍼부(130)들은 상기 유격부(SP)를 기준으로 전후 대칭되도록 배열되며,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들의 제2테이퍼부(140)들은 상기 유격부(SP)를 기준으로 전후 대칭되도록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유격부(SP)는 상기 캐리어(1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롤링되어 지나가는 제1레일(30)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1테이퍼부(130)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14LW)과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제2레일(40)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레일(30)을 레일 프레임(11)의 한쪽 측면에 복수개로 이어지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레일(30)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레일 프레임(11)에 제2레일(40)을 복수개로 이어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복수개의 제1레일(30)을 레일 프레임(11)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프레임판(11A)에 설치하고, 복수개의 제2레일(40)을 레일 프레임(11)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프레임판(11A)에 설치한다. 그러면, 복수개의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면서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져서 설치된 구조가 되며, 제1레일(30)들과 제2레일(4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는 유격부(SP)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레일(40)에서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단부쪽에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를 더 형성할 수 있고, 제2테이퍼부(140)를 구비한 제2레일(40)을 캐리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일(30)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1테이퍼부(130)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2레일(40)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레일(30)은 레일 프레임(11)의 한쪽 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30)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부(SP)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뒤쪽의 제1레일(30)에서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1레일(30)로 넘어갈 때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는 세 개의 제1상부 휠(12UW)과 세 개의 제1하부 휠(12LW)이 구비되는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하나씩 뒤쪽의 제1레일(30)에서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1레일(30)로 넘어가는데, 앞쪽의 제2레일(40)에는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어 있어서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앞쪽의 제1레일(30)의 모서리 등에 충돌하는 경우가 없이 제1테이퍼부(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앞쪽의 제1레일(30) 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뒤쪽의 제1레일(30)에서 앞쪽의 제1레일(30)로 넘어갈 때에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경사진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을 각각 타고 넘어갈 수 있어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앞쪽의 제1레일(30)의 모서리 등에 충돌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레일(40)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제2테이퍼부(140)가 형성된 상태에서 레일 프레임(11)의 다른 쪽 측면에 복수개로 제2레일(40)이 설치된 경우,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40)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부(SP)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뒤쪽의 제2레일(40)에서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2레일(40)로 넘어갈 때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에 충돌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는 세 개의 제2상부 휠(14UW)과 세 개의 제2하부 휠(14LW)이 구비되는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하나씩 뒤쪽의 제2레일(40)에서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2레일(40)로 넘어가는데, 앞쪽의 제2레일(40)에는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되어 있어서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앞쪽의 제2레일(40)의 모서리 등에 충돌하는 경우가 없이 제2테이퍼부(14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앞쪽의 제2레일(40) 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뒤쪽의 제2레일(40)에서 앞쪽의 제2레일(40)로 넘어갈 때에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경사진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을 각각 타고 넘어갈 수 있어서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앞쪽의 제2레일(40)의 모서리 등에 충돌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캐리어(10)의 좌우 양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 및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동시에 뒤쪽의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에서 앞쪽의 제1레일(30)과 제2레일(40)로 넘어가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 및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의 모서리 등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이웃한 제1레일(30)들 중에서 한쪽의 제1레일(30)과 다른 쪽의 제1레일(30)에 모두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고 두 개의 이웃한 제2레일(40)과 다른 쪽의 제2레일(40)에 모두 제2테이퍼부(140)가 구조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정주행할 때에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하나씩 뒤쪽의 제1레일(30)에서 제1테이퍼부(130)와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1레일(30)로 넘어가는데, 상기 두 군데의 제1테이퍼부(130)로 인하여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앞쪽의 제1레일(30)의 모서리 등에 충돌하는 경우가 없이 제1테이퍼부(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앞쪽의 제1레일(30) 쪽으로 넘어갈 수 있고, 상기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하나씩 뒤쪽의 제2레일(40)에서 제2테이퍼부(140)와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2레일(40)로 넘어가는데, 상기 두 군데의 제2테이퍼부(140)로 인하여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도 앞쪽의 제2레일(40)의 모서리에 충돌하는 경우가 없이 제2테이퍼부(14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앞쪽의 제2레일(40) 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가 역주행할 경우에도 상기 두 군데의 제1테이퍼부(130)로 인하여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앞쪽의 제1레일(30)의 모서리에 충돌하는 경우가 없이 제1테이퍼부(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앞쪽의 제1레일(30) 쪽으로 넘어갈 수 있고, 상기 두 군데의 제2테이퍼부(140)로 인하여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도 앞쪽의 제2레일(40)의 모서리 등에 충돌하는 경우가 없이 제2테이퍼부(14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앞쪽의 제2레일(40) 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과 제2레일(40)들에 모두 제1테이퍼부(130)와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경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캐리어(10)의 좌우 양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 및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동시에 뒤쪽의 제1레일(30)에서 앞쪽의 제1레일(30)로 넘어가도 앞쪽의 제2레일(40)에서 제2레일(40)로 넘어가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 및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의 모서리 등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생기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 중 캐리어(10)가 이동할 때에 캐리어(10)의 휠이 복수개로 설치된 레일들에 부딪혀서 생기는 충격력 및 충격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캐리어(10)의 휠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설령,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 및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아래로 약간 처지는 등의 여러 요인 생기더라도 상기 제1테이퍼부(130)와 제2테이퍼부(140)를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 및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들이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 및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의 모서리 등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생기지 않게 되고, 이러한 충격력이 방지됨으로 인하여 충돌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30)들 중에서 어느 한쪽의 제1레일(30)의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된 경우,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어느 한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레일(30)측 테이퍼면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상부 휠(12U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어느 한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레일(30)측 테이퍼면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들을 타고 넘어갈 때에 어느 하나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상기 유격부(SP)와 하나의 제1테이퍼부(130) 영역에 있더라도 다른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은 제1레일(30)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가해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하부 휠(12LW)이 상기 유격부(SP)와 하나의 제1테이퍼부(130) 영역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제1레일(30)에 부딪히는 충력력이 가해지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로 이웃한 상기 제2레일(40)들 중에서 어느 한쪽의 제2레일(40)의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경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들을 타고 넘어갈 때에 어느 하나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상기 유격부(SP)와 한 개의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 있더라도 다른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은 제2레일(40)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가해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상기 유격부(SP)와 하나의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제2레일(40)에 부딪히는 충력력이 가해지는 경우 역시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1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과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은 상기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에 결합되어 캐리어(10)가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을 따라 정주행 또는 역주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유격부(SP)가 확보되고, 유격부(SP)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는 두 개의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의 제1테이퍼부(130)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상부 휠(12U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와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레일(30)들을 타고 넘어갈 때에 어느 하나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상기 유격부(SP)와 두 개의 제1테이퍼부(130) 영역에 있더라도 다른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은 제1레일(30)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가해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상기 유격부(SP)와 두 개의 제1테이퍼부(130) 영역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제1레일(30)에 부딪히는 충력력이 가해지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유격부(SP)가 확보되고, 유격부(SP)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는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테이퍼부(140)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상부 휠(14U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하부 휠(14L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게 구성된다.
이처럼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유격부(SP)가 확보되고, 유격부(SP)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는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유격부(SP)가 확보되고, 유격부(SP)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는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경우에는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들을 타고 넘어갈 때에 어느 하나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상기 유격부(SP)와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 있더라도 다른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은 제2레일(40)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가해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상기 유격부(SP)와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제1레일(30)에 부딪히는 충력력이 가해지는 경우 역시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레일(40)들을 타고 넘어갈 때에 어느 하나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상기 유격부(SP)와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 있더라도 다른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은 제2레일(40)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가해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상기 유격부(SP)와 두 개의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제2레일(40)에 부딪히는 충력력이 가해지는 경우 역시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충돌 소음을 다른 것에 비하여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와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로 인하여 캐리어(10)의 주행시 휠이 레일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발생되지 않고, 만일 충격력이 생기더라도 충격력의 최소화로 인하여 충돌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주요 특징이 나온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레일(30)이 브이레일로 형성된 경우 제1레일(30) 측의 제1테이퍼부(130)도 단면으로 볼 때에 제1레일(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예를 들어 단면 브이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에 형성된 캐리홈(CG)은 상기 제1테이퍼부(130)의 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서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에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충돌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캐리어(10)의 이송 중에서 충돌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레일(40)이 브이레일로 형성된 경우 제2레일(40) 측의 제2테이퍼부(140)도 단면으로 볼 때에 제2레일(40)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예를 들어 단면 브이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에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에 형성된 캐리홈(CG)은 상기 제2테이퍼부(140)의 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서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제2레일(30)의 제2테이퍼부(140)에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1하부 휠(14LW)이 충돌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캐리어(10)의 이송 중에서 충돌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6 참조.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1레일(30)에 끝이 단면 브이자 형상의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되든 제2레일(40)에 단면 브이자 형상의 제2테이퍼부(140)가 형성되든 상기 테이퍼부(130 또는 140)의 표면에서 캐리어(10)의 좌우 양쪽 휠, 다시 말해,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과 제2상부 휠(14UW) 및 제2하부 휠(14LW) 외주면의 캐리홈(CG)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등에 의한 소음을 더 확실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소음 검증 테스트에서 소음 개선 효과가 확실히 나타남이 증명되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테이퍼부(130)의 길이는 55mm,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테이퍼부(130)의 상단 코너부가 제1레일(30)측의 상면보다 1mm 더 아래에 있록 형성하고, 제1테이퍼부(130)의 하단 코너부가 제1레일(30)측의 하면보다 1mm 더 위에 있도록 형성하고, 두 개의 이웃한 제1레일(30)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의 유격부(SP) 거리는 2mm로 설정하고, 두 개의 이웃한 제1상부 휠(12UW)들의 간격과 두 개의 이웃한 제1하부 휠(12LW)들 사이의 간격은 77mm로 정하여 소음 검증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소음 검증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기존 레일에서는 캐리어(10)가 주행할 때에 소음이 평균 91.8dBA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평레일 쪽에만 테이퍼부를 적용한 경우(즉, 제1레일(30) 쪽에만 제1테이퍼부(130)를 적용한 경우) 소음은 86.1dBA로 나왔으며, 따라서 소음 저감 효과가 확실함이 입증되었다. 도면에 소음 테스트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평레일과 브이 레일에 모두 테이퍼부를 적용한 경우(즉,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에 모두 제1테이퍼부(130)와 제2테이퍼부(140)를 적용한 경우)에는 도면에서 보듯이 소음이 더 많이 저감됨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소음 검증 테스트 결과를 놓고 보면 개선 효과가 확실히 나타남을 입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휠의 충격력(즉,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과 제1상부 휠(12UW) 및 제1하부 휠(12LW)의 충격력)의 방지 내지는 최소화로 인하여 휠의 수명이 연장(즉,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과 제1상부 휠(12UW) 및 제1하부 휠(12LW)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고, 캐리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이차전지 전지셀 등이 제위치에서 틀어지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여 제품 품질(주로 이차전지의 생산 품질)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으며, 레일 세팅 시간(즉,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의 셋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레일(30)의 상면과 하면은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구성되고, 상기 제2레일(40)의 상면과 하면은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에 형성된 캐리홈(CG)은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에 형성된 캐리홈(CG)은 제1레일(3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레일(30)과 제2레일(40) 모두 브이레일로 구성되고,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 외주면의 캐리홈(CG)과 제1하부 휠(12LW) 외주면의 캐리홈(CG)이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고,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14UW) 외주면의 캐리홈(CG)과 제2하부 휠(14LW) 외주면의 캐리홈(CG)이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4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1 참조.
한편, 상기 제1레일(3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레일(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가 구비되고, 상기 제2레일(40)의 상면과 하면에 제2레일(40)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가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 테이퍼부(130,140)이 각각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에 구비된다. 즉,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이 모두 브이레일로 구성된 경우에도 제1레일(30)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고 제2레일(40)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브이레일 형상의 제1레일(30)의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거나 상기 브이레일 형상의 제2레일(40)의 한쪽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될 수 있고, 브이레일 형상의 제1레일(30)의 양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모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거나 상기 브이레일 형상의 제2레일(40)의 양쪽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모두 상기한 구조의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이 모두 브이레일 형상으로 구성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테이퍼부(130 및 140)가 구비된 구조로 인한 기능 내지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테이퍼부(130)와 제2테이퍼부(140)의 구조와 제1테이퍼부(130)와 제2테이퍼부(140)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과 제2상부 휠(14UW) 및 제2하부 휠(14LW)이 각각 테이퍼부(134)와 제2테이퍼부(140)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과 충돌력 발생 방지 과정 및 소음이 저감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8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테이퍼부(130)와 제2테이퍼부(140)의 구조와 캐리어(10)의 휠이 제1레일(30)과 제2레일(40)을 따라 진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도 2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4에서와 같이 제1테이퍼부(130)는 제1레일(30)에서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제1테이퍼부(130)는 제1레일(30)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면 사이의 폭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은 수평면이면서 동시에 제1레일(30)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면 사이의 폭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6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6에서와 같이,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는 제2레일(40)에서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제2테이퍼부(140)는 제2레일(40)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면 사이의 폭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은 끝이 뾰족한 형상이면서 동시에 제2레일(40)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면 사이의 폭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 중에서 한쪽의 제1레일(30)에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된 경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에는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고 제1레일(30)의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는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다가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나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와 접촉되지 않는 영역으로 전진한 상태가 되면, 상기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에는 예압이 가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앞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테이퍼부(13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좁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선을 따라서 전진하고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은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접촉되어 롤링될 때에 비하여 제1레일(3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쪽으로 더 좁혀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캐리어(10)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앞쪽 제1레일(30) 쪽으로 전진하고, 캐리어(10)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앞쪽 제1레일(30) 쪽으로 전진하다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되고,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된 다음에는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을 타고 넘어가서 앞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나는 순간에 뒤쪽의 제1레일(30)과 앞쪽의 제1레일(30)에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충돌하는 경우가 없게 되므로 충격력과 충돌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고, 상기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나는 순간에 다소 마찰 소음이 발생할 여지는 있으나 이러한 마찰 소음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작은 소음이다. 바람직하게, 뒤쪽 제1레일(30)의 상단 모서리부와 하단 모서리부는 곡면으로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나는 순간에 다소 마찰 소음이 발생할 여지까지도 없기 때문에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난 다음에는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 사이의 유격부를 지나서 상기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캐리어(10)와 제1상부 휠(12UW)과 제2상부 휠(14UW)이 제1테이퍼부(130) 영역에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도 충돌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할 경우에도 접촉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여지는 있으나 이러한 마찰 소음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작은 소음이며,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을 타고 부드럽게 넘어가므로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을 타고 부드럽게 넘어가는 구간에서는 충돌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2상부 휠(14U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제1레일(30)의 단부쪽에 제1테이퍼부(130)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기존에 비하여 충돌 소음이 많이 저감되는 효과와 캐리어(10)의 휠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와 캐리어(10)에 의해 이동하는 이차전지 전지셀 조립체 등의 제품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 중에서 한쪽의 제2레일(40)에 제2테이퍼부(140)가 형성된 경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뒤쪽의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에는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고 제2레일(40)의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는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다가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나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와 접촉되지 않는 영역으로 전진한 상태가 되면, 상기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에는 예압이 가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앞쪽의 제2레일(40)에 형성된 제2테이퍼부(14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좁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중심부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선을 따라서 전진하고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은 뒤쪽의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접촉되어 롤링될 때에 비하여 제2레일(4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쪽으로 더 좁혀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캐리어(10)와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앞쪽 제2레일(40) 쪽으로 전진하고, 캐리어(10)와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앞쪽 제2레일(40) 쪽으로 일정 거리 전진하다가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에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 접촉되고,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 접촉된 다음에는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을 타고 넘어가서 앞쪽의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나는 순간에 뒤쪽의 제2레일(40)과 앞쪽의 제2레일(40)에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충돌하는 경우가 없게 되므로 충격력과 충돌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고, 상기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나는 순간에 다소 마찰 소음이 발생할 여지는 있으나 이러한 마찰 소음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작은 소음이다. 바람직하게, 뒤쪽 제2레일(40)의 상단 모서리부와 하단 모서리부는 곡면으로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나는 순간에 다소 마찰 소음이 발생할 여지까지도 없기 때문에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를 벗어난 다음에는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 사이의 유격부를 지나서 상기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캐리어(10)와 제2상부 휠(14UW)과 제2상부 휠(14UW)이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도 충돌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 접촉할 경우에도 접촉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여지는 있으나 이러한 마찰 소음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작은 소음이며,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을 타고 부드럽게 넘어가므로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을 타고 부드럽게 넘어가는 구간에서는 충돌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제1레일(30)의 단부쪽에 제1테이퍼부(130)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기존에 비하여 충돌 소음이 많이 저감되고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제2레일(40)의 단부쪽에도 제2테이퍼부(140)까지 형성함으로 인하여 제1테이퍼부(130)에 의한 소음 저감에 더하여서 제2테이퍼부(140)에 의한 소음 저감까지 있게 되므로, 충돌 소음이 더욱더 많이 저감되는 효과와 캐리어(10)의 휠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도 더 높여주고 캐리어(10)에 의해 이동하는 이차전지 전지셀 조립체 등의 제품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도 더 확실하게 해소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 모두에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에 모두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된 경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에는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고 제1레일(30)의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는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다가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테이퍼부(130)로 들어와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와 접촉되지 않는 영역으로 전진한 상태가 되면, 상기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에는 예압이 가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테이퍼부(130)와 앞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테이퍼부(13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좁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선을 따라서 전진하고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은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접촉되어 롤링될 때에 비하여 제1레일(3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쪽으로 더 좁혀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캐리어(10)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앞쪽 제1레일(30) 쪽으로 전진하는데, 상기 제1테이퍼부(130)이 영역에서 일정 구간 동안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되지 않고 전진하게 된다.
다음, 캐리어(10)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앞쪽의 제1레일(30) 쪽으로 더 전진하다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되고,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된 다음에는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을 타고 넘어가서 앞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 모두에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된 경우에는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 중에서 한쪽의 제1레일(30)에만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충돌력이 발생에 의한 소음을 두 배 이상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 모두에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에 모두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된 경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에는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고 제1레일(30)의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는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다가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테이퍼부(130)로 들어와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와 접촉되지 않는 영역으로 전진한 상태가 되면, 상기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에는 예압이 가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테이퍼부(130)와 앞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테이퍼부(13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좁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선을 따라서 전진하고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은 뒤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접촉되어 롤링될 때에 비하여 제1레일(3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쪽으로 더 좁혀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캐리어(10)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앞쪽 제1레일(30) 쪽으로 전진하는데, 상기 제1테이퍼부(130)이 영역에서 일정 구간 동안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되지 않고 전진하게 된다.
다음, 캐리어(10)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앞쪽 제1레일(30) 쪽으로 계속해서 더 전진하다가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되고,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접촉된 다음에는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제1테이퍼부(130)의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을 타고 넘어가서 앞쪽의 제1레일(30)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 모두에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된 경우에는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 중에서 한쪽의 제1레일(30)에만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충돌력이 발생에 의한 소음을 두 배 이상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 모두에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에 모두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경우, 상기 캐리어(10)가 이송될 때에 뒤쪽의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에는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고 제2레일(40)의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는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롤링되다가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테이퍼부(140)로 들어와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와 접촉되지 않는 영역으로 전진한 상태가 되면, 상기 캐리어(10)의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에는 예압이 가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제2레일(40)에 형성된 제2테이퍼부(140)와 앞쪽의 제2레일(40)에 형성된 제2테이퍼부(14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좁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중심부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선을 따라서 전진하고 제2상부 휠(14UW)의 외주면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은 뒤쪽의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접촉되어 롤링될 때에 비하여 제2레일(40)의 길이 방향 중심선 쪽으로 더 좁혀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캐리어(10)와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앞쪽 제2레일(40) 쪽으로 전진하는데, 상기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서 일정 구간 동안은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 접촉되지 않고 전진한다.
다음, 캐리어(10)와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앞쪽 제2레일(40) 쪽으로 계속해서 더 전진하다가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 접촉되고,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 접촉된 다음에는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제2테이퍼부(140)의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을 타고 넘어가서 앞쪽의 제2레일(40)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로 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 모두에도 제2테이퍼부(140)가 형성된 경우에는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 중에서 한쪽의 제2레일(40)에만 제12레일측 테이퍼부가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충돌력이 발생에 의한 소음을 두 배 이상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며에서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 영역이나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서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4LW)과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예압으로 인하여 제1레일(30)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과 제2레일(40)의 중심선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4LW)과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좁아지는 거리는 0.001mm ~ 0.1mm 정도의 매우 작은 거리이다. 본 발명의 도 28 내지 도 31은 제1레일(30)의 제1테이퍼부(130) 영역이나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 영역에서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4LW)과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예압으로 인하여 제1레일(30)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과 제2레일(40)의 중심선 방향으로 좁아지는 상태와 캐리어(10)의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4LW)과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제1레일(30)의 테이퍼부(40) 또는 제2레일(40)의 제2테이퍼부(140)에 의해 충돌이 방지되어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 모두에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되고 동시에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 모두에도 제2테이퍼부(140)가 형성된 경우에는 캐리어(10)가 양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보다 이동 방향 선택에 있어서 유연성이 있으면서도 캐리어가(10)가 이동할 때에 충돌력에 의한 소음을 가장 많이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캐리어 11. 레일 프레임
12UW. 제1상부 휠 12LW. 제1하부 휠
14UW. 제2상부 휠 14LW. 제2하부 휠
14CG. 캐리홈 30. 제1레일
40. 제2레일 130. 제1테이퍼부
130TA. 제1상부 테이퍼면 130TB. 제1하부 테이퍼면
140. 제2테이퍼부 140TA. 제2상부 테이퍼면
140TB. 제2하부 테이퍼면 SP. 유격부

Claims (9)

  1.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상면과 하면의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레일 프레임(11)에 이어져서 설치된 복수개의 제1레일(30);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상면과 하면의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11)에 이어져서 설치된 복수개의 제2레일(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30)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2레일(40)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레일(30)은 레일 프레임(11)의 한쪽 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30)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부(SP)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상기 제1하부 휠(12LW)이 뒤쪽의 제1레일(30)에서 상기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1레일(30)로 넘어갈 때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상기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상기 제1레일(30)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2레일(40)은 상기 레일 프레임(11)의 다른 쪽 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40)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부(SP)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상기 제2하부 휠(14LW)이 뒤쪽의 제2레일(40)에서 상기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2레일(40)로 넘어갈 때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상기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상기 제2레일(40)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30)의 상면과 하면은 수평면인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구성되고,
    상기 제2레일(40)은 상면과 하면이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가 점점 좁아지는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상기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은 상기 제1레일(30)의 상기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접촉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상기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에 형성된 캐리홈(CG)은 상기 제1레일(30)의 상기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상기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30)의 상면과 하면은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로 구성되고,
    상기 제2레일(40)의 상면과 하면은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제1상부 휠(12UW)의 외주면과 상기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에 형성된 캐리홈(CG)은 상기 제1레일(30)의 상기 제1상부 롤링 가이드부(30URG)와 제1하부 롤링 가이드부(30LRG)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상기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에 형성된 캐리홈(CG)은 상기 제1레일(30)의 상기 제2상부 롤링 가이드부(40URG)와 상기 제2하부 롤링 가이드부(40LRG)에 삽입된 상태로 롤링되어 지나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30)의 상면과 하면 일부에 구비된 제1상부 테이퍼면(130TA)과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에 의해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테이퍼면(130TA)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제1상부 휠(12UW)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제1하부 휠(12LW)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40)의 상면과 하면 일부에 구비된 제2상부 테이퍼면(140TA)과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에 의해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 테이퍼면(140TA)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제2상부 휠(14UW)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는 단부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30)들 중에서 어느 한쪽의 제1레일(30)의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된 경우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레일(40)들 중에서 어느 한쪽의 제2레일(40)의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경우,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3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어느 한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상부 테이퍼면(130TA)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상부 휠(12U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3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어느 한쪽의 제1레일(30)에 형성된 제1하부 테이퍼면(130TB)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4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어느 한쪽의 제2레일(40)에 형성된 제2상부 테이퍼면(140TA)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상부 휠(14U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4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어느 한쪽의 제2레일(40)에 형성된 제2하부 테이퍼면(140TB)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하부 휠(14L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30)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가 구비된 경우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레일(40)들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가 구비된 경우,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3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30)들의 각각의 제1테이퍼부(130)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복수개의 제1상부 휠(12UW)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상부 휠(12U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3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1레일(3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1레일(30)들의 서로 이웃한 각각의 제1테이퍼부(130)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복수개의 제1하부 휠(12LW)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1하부 휠(12L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4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테이퍼부(140)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복수개의 제2상부 휠(14UW)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상부 휠(14U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고,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40) 중에서 서로 이웃한 제2레일(40)들 사이의 유격부(SP)와 서로 이웃한 상기 제2테이퍼부(140)들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는 상기 캐리어(10)의 복수개의 제2하부휠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하부 휠(14LW)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8.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상부 휠(12UW)과 제1하부 휠(12LW)이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롤링되어 지나가는 제1레일(30)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1테이퍼부(130)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제2상부 휠(14UW)과 제2하부 휠(14LW)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제2레일(40)의 적어도 한쪽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2테이퍼부(14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레일(30)을 레일 프레임(11)의 한쪽 측면에 복수개로 이어지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레일(30)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11)에 상기 제2레일(40)을 복수개로 이어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일(30)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레일(40)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를 형성하고,
    상기 제1레일(30)은 레일 프레임(11)의 한쪽 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레일(30)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부(SP)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상기 제1하부 휠(12LW)이 뒤쪽의 제1레일(30)에서 상기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1레일(30)로 넘어갈 때에 상기 제1테이퍼부(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상부 휠(12UW)과 상기 제1하부 휠(12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상기 제1레일(30)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2레일(40)은 상기 레일 프레임(11)의 다른 쪽 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2레일(40)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부(SP)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0)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상기 제2하부 휠(14LW)이 뒤쪽의 제2레일(40)에서 상기 유격부(SP)를 지나서 앞쪽의 제2레일(40)로 넘어갈 때에 상기 제2테이퍼부(14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상부 휠(14UW)과 상기 제2하부 휠(14LW)의 외주면이 뒤쪽의 상기 제2레일(40)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9. 삭제
KR1020200096118A 2020-07-31 2020-07-31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KR102210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118A KR102210385B1 (ko) 2020-07-31 2020-07-31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118A KR102210385B1 (ko) 2020-07-31 2020-07-31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385B1 true KR102210385B1 (ko) 2021-02-01

Family

ID=7457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118A KR102210385B1 (ko) 2020-07-31 2020-07-31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12B1 (ko) * 2021-11-09 2022-02-25 주식회사 엔시스 이차전지 교차이송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14U (ko) * 1999-03-03 2000-10-05 이종수 에스컬레이터 레일의 충격 완화 및 스텝 롤러의 파손 방지장치
KR100286123B1 (ko) * 1997-08-28 2001-04-16 하나와 요시카즈 차량의 바디 사이드 조립장치
KR20140124970A (ko) 2013-04-17 2014-10-28 세방전지(주) 리튬이차전지 극판 이송 장치
KR20150027689A (ko) 2013-09-02 2015-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KR101528006B1 (ko) 2012-09-14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의 이송 캐리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123B1 (ko) * 1997-08-28 2001-04-16 하나와 요시카즈 차량의 바디 사이드 조립장치
KR20000017714U (ko) * 1999-03-03 2000-10-05 이종수 에스컬레이터 레일의 충격 완화 및 스텝 롤러의 파손 방지장치
KR101528006B1 (ko) 2012-09-14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의 이송 캐리어
KR20140124970A (ko) 2013-04-17 2014-10-28 세방전지(주) 리튬이차전지 극판 이송 장치
KR20150027689A (ko) 2013-09-02 2015-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12B1 (ko) * 2021-11-09 2022-02-25 주식회사 엔시스 이차전지 교차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385B1 (ko) 이차전지 제조 공정 캐리어용 레일 구조 및 캐리어용 레일 구조 제조방법
US20050051047A1 (en) Carriage type conveyor
CA2573566A1 (en) Lift and pulley assembly for use in a lift
SK88396A3 (en) Wagon for laying of the track for loading and unloading rails
WO2014156271A1 (ja) 搬送装置
KR102258462B1 (ko) 캐리어 운반용 트랙 구조를 구비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
FI90837C (fi) Menetelmä tankomaisten työkappaleiden tukemiseksi
CN103182395A (zh) 一种高速线材轧机立活套装置
CN216471643U (zh) 一种对接式长度可调的电梯导轨
CN210883829U (zh) 一种空调主机装配滚筒线的阻挡装置
CN209793449U (zh) 导向条
CN211201327U (zh) 一种框架横移无导轨带导向装置
JPS6241150A (ja) つかみ具チエ−ン軌道
JP2019535529A (ja) 搬送装置
CN210730194U (zh) 立式交叉带分拣机
CN205802316U (zh) 一种防跑偏捡拾输送带
WO1994010383B1 (en) Sliding joint system for railway tracks, allowing a wide longitudinal excursion, particularly for suspension bridges
CN220411814U (zh) 分拣设备行走导向轮轨道
CN211012458U (zh) 一种滑块
US5090618A (en) Rail joint
CN212918167U (zh) 一种应用于带极堆焊机头的导带轮组件及带极堆焊机头
CN215709437U (zh) 一种便于对心组装的回转轨道及分拣设备
CN218081416U (zh) 一种机床滑动导轨机构
CN215860195U (zh) 隧道拱顶作业平台
JP3635207B2 (ja) 連続溶接されるストリップ又はシートの連続拘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