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440B1 -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440B1
KR101662440B1 KR1020150053212A KR20150053212A KR101662440B1 KR 101662440 B1 KR101662440 B1 KR 101662440B1 KR 1020150053212 A KR1020150053212 A KR 1020150053212A KR 20150053212 A KR20150053212 A KR 20150053212A KR 101662440 B1 KR101662440 B1 KR 10166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elt
belt unit
longitudinal dir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익
Original Assignee
손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익 filed Critical 손영익
Priority to KR102015005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상하 이격된 상부 및 하부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각각 상기 상부 지지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레일부에 각각 끼움되어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체인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체인의 단부를 연결하는 측부 체인을 포함하여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체인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상기 측부 체인을 회전가능하게 상기 측부 체인과 결합하여 배치되는 롤러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체인부에 결합하고, 일면에는 원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밸트유닛, 및 상기 밸트유닛이 원지의 하중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상기 밸트유닛을 가압하도록, 상기 밸트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체인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유닛을 포함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CONVEYOR FOR TRANSFERRING STENCIL PAPER}
본 발명은 원지(原紙)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트 컨베이어는 운송물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광석, 원지 등 여러가지 원료들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박스 원단을 생산하는 라인에 원지롤(Roll)을 공급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라고 할 수 있다.
종종 컨베이어 밸트는 장거리의 운반을 위하여 복수개가 단부끼리 연결되어 배치되며, 이 때에는 상류 컨베이어 밸트의 하류 단부와 하류 컨베이어 밸트의 상류 단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간극에는 종종 고정 플레이트(dead plate)가 위치되어, 상류 컨베이어 밸트로부터 하류 컨베이어 밸트로 간극에 걸쳐 이송되는 제품을 위한 라이드 오버면(ride-over surface)을 제공하거나, 상기 컨베이어 밸트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하여 인접하게 배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 원지는 지름이 수 미터에 달할 수 있으며, 그 무게도 상당해 컨베이어에 회전을 통해 이송을 담당하는 밸트부분을 가압하여, 일부 밸트가 진행되지 않아 선행하여 인접한 밸트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트가 스틸(STEEL) 재질로 된 경우 그 무게가 무거워 밸트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유격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아울러, 밸트의 폭이 넓은 경우 인접한 밸트끼리의 간격이 넓어져 이로인한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유격은, 연속적인 밸트를 통해 누적되어 좀 더 큰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격으로 인하여 인접한 밸트 사이의 거리가 넓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넓어진 거리는 밸트가 밸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여 올라오는 때에 인접한 밸트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밸트 사이의 공간에 원지의 표면이 끼여, 상기 원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0368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접한 밸트 사이에 원지를 손상시킬 수 있는 유격의 발생을 저감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는, 상하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상하 이격된 상부 및 하부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각각 상기 상부 지지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레일부에 각각 끼움되어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체인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체인의 단부를 연결하는 측부 체인을 포함하여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체인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상기 측부 체인을 회전가능하게 상기 측부 체인과 결합하여 배치되는 롤러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체인부에 결합하고, 일면에는 원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밸트유닛, 및 상기 밸트유닛이 원지의 하중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상기 밸트유닛을 가압하도록, 상기 밸트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체인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밸트유닛은,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앙부보다 높이가 높은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와 상기 중앙부는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각 체인은 복수로 구비되어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체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트유닛은, 중앙부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이격된 각 체인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밸트유닛이 원지의 자중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상기 상부 지지판과 닿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트유닛은, 상기 이격된 체인에 각각 체결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인을 덮는 부분이 중공되어 체결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은, 상기 체인부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트유닛을 가압하는 가이드 봉, 및 상기 가이드 봉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봉의 진행에 대응되어 회전하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봉은 상기 밸트유닛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판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휠이 처짐되지 않도록 상기 휠의 하부에서 상기 휠을 지지하는 휠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트유닛은 폭방향의 길이가 10mm 에서 2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에 의하면, 밸트유닛이 원지의 하중에 의해 눌림되어 진행방향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 밸트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유닛이 상기 밸트유닛을 가압하여, 눌림된 밸트유닛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인접한 밸트유닛들 사이에 유격을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베이어 밸트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 밸트의 일 단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컨베이어 밸트의 일 단부의 단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컨베이어 밸트의 일 단부의 단면을 정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밸트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베이어 밸트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 밸트의 일 단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컨베이어 밸트의 일 단부의 단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컨베이어 밸트의 일 단부의 단면을 정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70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700)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따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700)의 상부면을 따라 원지(10)가 이송된다. 하나의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와 인접한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와 사이에는 간극(G)이 존재하게 된다.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700)는 후에 자세하게 기술할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체인부(300)에 끼움되고, 상부에 원지를 지지하는 지지면(501)이 형성된 밸트유닛(500)이 이동함으로써, 원지를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밸트유닛(50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100)의 양측에 상기 측부 체인을 회전가능하게 상기 측부 체인과 결합하여 배치되는 롤러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400)는 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상기 회전력을 공급하는 장치가 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를 이용하거나 유체를 이용한 동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700)는 지지부(100),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 체인부(300), 롤러부(400), 밸트유닛(500) 및 가이드 롤러유닛(600)을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상하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상하 이격된 상부 및 하부 지지판(110)(1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하나의 H빔일 수 있다. 상부 지지판(110)과 하부 지지판(120)은 하나의 H빔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상, 하부 지지판(110)(120)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는 상기 상부 지지판(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에는 상기 상부 지지판(110)과 결합하는 면의 반대면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레일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일부(23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이 평행을 이루며 상기 상부 지지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30)에는 후술할 체인부(300)가 결합되어, 상기 체인부(300)는 상기 레일부(230)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23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상부 레일부(231) 및 하부 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하부 레일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부(300)는 상부, 하부 및 측부 체인(310)(320)(3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체인(310)(320)의 단부와 측부 체인(330)이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체인은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돌출되는 레일부(230)와 결합되고, 하부 체인은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돌출되는 레일부(230)와 결합된다. 측부 체인(330)은 지지부(100)의 양 단에서 후술할 롤러부(400)와 결합하여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체인(310)(320)의 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각 체인이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원지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하부 및 측부 체인(310)(320)(330)은,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응하는 이격된 한 쌍의 체인으로 구성된다.
또한, 체인부(3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체인유닛(30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체인유닛(301)에는 후술할 밸트유닛(500) 또는 가이드 롤러유닛(600)과의 결합을 위한 체인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4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양측에 상기 측부 체인(330)을 회전가능하게 상기 측부 체인(330)과 결합하여 배치된다. 상기 롤러부(4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예를 들어, 모터나 엔진 등)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롤러부(400)의 회전에 대응되어, 측부 체인(330)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체인이 측부 체인(330)쪽으로 이동되며, 측부 체인(330)이 상부 체인(31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밸트유닛(500)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체인부(300)에 연속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밸트유닛(500)의 상부면에는 원지를 지지하는 지지면(501)이 형성된다. 밸트유닛(500)은 상기 각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부(3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밸트유닛(500)이 측부 체인(330)에 위치할 때, 인접한 밸트유닛(500)과 유격이 발생한다. 그리고, 측부 체인(330)이 상기 롤러부(400)에 의해 상부 체인으로 이동될 때, 상기 밸트유닛(500)은 인접한 밸트유닛(500)과의 이격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동된 밸트유닛(500)은 인접한 밸트유닛(500)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된다. 상기 인접한 밸트유닛(500) 사이의 유격이 줄어드는 과정에서 상기 밸트유닛(500)의 지지면(501)에 배치되는 원지가 상기 유격에 끼움되지 않도록 상기 밸트유닛(500)의 폭이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밸트유닛(500)의 폭방향의 길이가 10mm 에서 20mm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상기 밸트유닛(500) 상부에 배치되는 원지의 크기나 인접한 밸트유닛(500)과의 배치상태에서의 유격거리 등에 따라 그 폭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가이드 롤러유닛(600)은 소정의 개수의 상기 밸트유닛(500)과 소정의 개수의 상기 밸트유닛(50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트유닛(500)이 연속적으로 10 내지 15개소가 배치되고, 그 하류에 가이드 롤러유닛(600)이 하나가 배치되며, 그 하류에 다시 밸트유닛(500)이 연속적으로 10 내지 15개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밸트유닛(500)이 원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이드 롤러유닛(600)이 상기 밸트유닛(50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600)은 상기 체인부(300)에 결합된다. 상기 밸트유닛(500)이 원지의 하중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밸트유닛(500)이 이동되지 못하고 뒤따라오는 밸트유닛(500)을 가압하며 앞선 밸트유닛(500)과 이격이 발생할 수 있다.이때, 체인부(300)에 결합 되는 가이드 롤러유닛(600)은 원지에 의해 눌림 된 밸트유닛(500)을 가압하여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이격의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밸트유닛(500)은 밸트유닛(500)의 중앙부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이격된 한 쌍의 체인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0)는 상기 밸트유닛(500)이 원지의 자중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상기 상부 지지판(110)과 닿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밸트유닛(500)이 상기 원지에 의해 눌림되어 변위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트유닛(500)이 눌림 되는 경우 변위가 커지지 않으므로, 가이드 롤러유닛(600)에 의해 가압 되어 보다 수월하게 진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밸트유닛(500) 및 가이드 롤러유닛(6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밸트유닛(500)은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앙부(510)보다 높이가 높은 날개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520)와 상기 중앙부(510)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 상술하였던 원지를 지지하는 지지면(501)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면(501)의 폭방향의 양 단부는, 인접한 밸트유닛(500)과 이격되었다가 인접하는 경우 원지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테이퍼진 형태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벨트유닛(500)은 상기 지지면(501)을 따라, 제1체결중공부(540)가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제1체결중공부(540)는 상기 이격 된 체인에 각각 체결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인을 덮는 부분이 중공 되어 제1체결중공부(5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체결중공부(540)의 개소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그 수가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밸트유닛(500)은, 폭방향의 길이(W)가 10mm 에서 20m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폭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면, 밸트유닛(500)이 원지에 의해 하부로 눌림되는 경우, 선행한 밸트유닛(500)과 발생하는 유격의 길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600)은 가이드 봉(610) 및 휠(6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봉(610)은 상기 체인부(3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체인부(300)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 봉(610)은 상기 지지부(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봉(610)은 상기 밸트유닛(50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봉(610)에도 상기 밸트유닛(5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체인부에 연결을 위한 제2체결중공부(640)가 형성된다.
상기 휠(620)은 상기 가이드 봉(61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된다. 휠(620)은 가이드 봉(610)이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600)이 원지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에도 상기 휠(620)이 회전하므로,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600)은 체인부(300)의 이동에 따라 계속해서 진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600)이 상기 체인부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 봉(610)은 상기 밸트유닛(500)보다 높이가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밸트유닛(500)의 상부에 원지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600)도 함께 눌림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판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휠(620)이 처짐 되지 않도록 상기 휠(620)의 하부에서 상기 휠(620)을 지지하는 휠레일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밸트유닛(500)은 중앙부(510)에 돌출부를 포함하므로,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휠레일부(630)는 가이드 롤러유닛(600)의 휠(620)과 상부 지지판의 높이 차이를 상보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휠레일부(630)는 상부 지지판(110)에 형성되는 제1휠레일부(631)와 하부 지지판(120)에 형성되는 제2휠레일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G : 간극 10 : 원지
700 :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100 : 지지부
110 : 상부 지지판 120 : 하부 지지판
210 : 상부 플레이트 220 : 하부 플레이트
230 : 레일부 231 : 상부 레일부
232 : 하부 레일부 300 : 체인부
301 : 체인유닛 310 : 상부체인
320 : 하부체인 330 : 측부체인
400 : 롤러부 500 : 벨트유닛
501 : 지지면 540 : 제1체결중공부
600 : 가이드 롤러유닛 610 : 가이드 봉
620 : 휠 630 : 휠레일부
631 : 제1휠레일부 632 : 제2휠레일부
640 :제2체결중공부

Claims (10)

  1. 상하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상하 이격된 상부 및 하부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각각 상기 상부 지지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레일부에 각각 끼움되어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체인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체인의 단부를 연결하는 측부 체인을 포함하여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체인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상기 측부 체인을 회전가능하게 상기 측부 체인과 결합하여 배치되는 롤러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체인부에 결합하고, 일면에는 원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밸트유닛; 및
    상기 밸트유닛이 원지의 하중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상기 밸트유닛을 가압하도록, 상기 밸트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체인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유닛을 포함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트유닛은,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앙부보다 높이가 높은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와 상기 중앙부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체인은 복수로 구비되어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체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부 및 측부 체인은 이격된 한 쌍의 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밸트유닛은,
    중앙부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이격된 한 쌍의 체인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밸트유닛이 원지의 자중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상기 상부 지지판과 닿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트유닛은,
    상기 이격된 체인에 각각 체결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인을 덮는 부분이 중공되어 체결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은,
    상기 체인부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트유닛을 가압하는 가이드 봉; 및
    상기 가이드 봉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봉의 진행에 대응되어 회전하는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봉은 상기 밸트유닛보다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판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휠이 처짐되지 않도록 상기 휠의 하부에서 상기 휠을 지지하는 휠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트유닛은
    폭방향의 길이가 10mm 에서 2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KR1020150053212A 2015-04-15 2015-04-15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KR10166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212A KR101662440B1 (ko) 2015-04-15 2015-04-15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212A KR101662440B1 (ko) 2015-04-15 2015-04-15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440B1 true KR101662440B1 (ko) 2016-10-05

Family

ID=5715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212A KR101662440B1 (ko) 2015-04-15 2015-04-15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499A (en) * 1995-12-15 1997-05-20 Ackley Machi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ably fastening a bar-like member to a conveyor belt
US5988364A (en) * 1997-01-22 1999-11-23 R. W. Hartnell Company Quick connect/disconnect device
US20060030251A1 (en) * 2004-07-20 2006-02-09 G.-E. Leblance Inc. Modular belt shaped to fit the shape of a loin
US8356710B2 (en) * 2010-08-05 2013-01-22 Ge Leblanc Inc. Modular conveyor bel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499A (en) * 1995-12-15 1997-05-20 Ackley Machi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ably fastening a bar-like member to a conveyor belt
US5988364A (en) * 1997-01-22 1999-11-23 R. W. Hartnell Company Quick connect/disconnect device
US20060030251A1 (en) * 2004-07-20 2006-02-09 G.-E. Leblance Inc. Modular belt shaped to fit the shape of a loin
US8356710B2 (en) * 2010-08-05 2013-01-22 Ge Leblanc Inc. Modular conveyor be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467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CN105151650B (zh) 一种板链式输送机
JP6140468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US9611101B1 (en) Return belt tracking idler for conveyor belt system
KR20100017400A (ko) 가로 방향- 롤러 벨트 및 모듈들
WO2018016380A1 (ja) 金型搬送台車
JP2574039Y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US3184039A (en) Heavy duty vertical lift conveyor
JP2009120395A (ja) 物品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2004504235A (ja) コンベヤ・ノーズバー
CA2409582C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bulk materials
CN104925508A (zh) 袋装产品分路输送机
KR101662440B1 (ko)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CN200974702Y (zh) 链板式输料机
US2990052A (en) Conveyor
US3470998A (en) Slowdown means for longitudinal movement to lateral movement
CN203740458U (zh) 用于直接输送非平底物品及柔性物品的方形辊子输送机
CN208545649U (zh) 铺砖机的砖料输送装置
CN207467719U (zh) 一种高密度纤维板码垛系统上的输送机
CN205616061U (zh) 一种轴承套圈的运输装置
CN206336788U (zh) 大箱产品整理装置
US10138093B2 (en) Passenger conveyor step flow adjusting apparatus
KR101140828B1 (ko) 벨트 컨베이어
CN206358820U (zh) 便捷清煤隔板装置
JP6746581B2 (ja) ラミネート製品用ロー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