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548A -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548A
KR20210120548A KR1020200037396A KR20200037396A KR20210120548A KR 20210120548 A KR20210120548 A KR 20210120548A KR 1020200037396 A KR1020200037396 A KR 1020200037396A KR 20200037396 A KR20200037396 A KR 20200037396A KR 20210120548 A KR20210120548 A KR 20210120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rack
displacement sensor
lsm
log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박희진
채인준
서정건
김윤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3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548A/ko
Publication of KR2021012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54/02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ostatic, electric, or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20) 위치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의 구성은 구성은 캐리어(20)를 트랙(15)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작동부(30); 상기 캐리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어 감지부(50); 상기 캐리어(20)의 위치값에 대해 보정 신호를 주어서 상기 캐리어(20)를 상기 트랙(15)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하는 변위센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LSM logistics displacement sensor carrier position adjustment system and carrier position adjustment method}
본 발명은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 Tab Welding 조립기 LSM(Linear Synchronous Motor) 물류 이송시 캐리어의 위치 정밀도 문제로 Cp, Cpk 값의 영향을 주는 공정 포지션에서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캐리어 위치를 보정하는 새로운 구성의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며, 이차전지의 양쪽 단부 또는 한쪽 단부에 전극탭이 돌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 중에는 복수장의 극판에 돌출된 각각의 전극탭이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전극탭이 합쳐진 전극탭을 융착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고, 복수장의 전극탭을 융착하는 공정을 위하여 전극조립체를 이송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극탭 접합장치 쪽으로 이송하고, 전극탭 접합장치에서는 이송된 전극조립체의 복수장의 전극탭을 융착하는 방식으로 접합하여, 이차전제에 전극탭이 돌출되도록 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전극탭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복수장의 양극 전극탭과 음극 전극탭을 융착이나 레이저 접합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전극조립체 캐리어(J/R CARRIER)를 이송하는 도중에 캐리어마다 가공성, 조립성, 마그넷 취부 위치가 미세하게 상이하여 캐리어마다 정지 위치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각 캐리어마다 Cp, Cpk 값에 영향을 주는 공정 3 포지션(Main Welding(+), Main Welding(-), Final Vision)에 변위센서로 위치값에 대해 보정 신호를 주어서 캐리어의 정지 위치를 동일하게 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8006호(2015년06월04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4970호(2014년10월28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7689호(2015년03월12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캐리어마다 Cp, Cpk 값에 영향을 주는 공정 포지션에서 변위센서로 위치값에 대해 보정 신호를 주어서 캐리어 정지 위치를 동일하게 하는 방식으로서 새로운 구성의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과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 Tab Welding 조립기 LSM 물류 이송시 캐리어의 위치 정밀도 문제로 Cp, Cpk 값의 영향을 주는 공정 3 포지션(Main Welding(+), Main Welding(-), Final Vision)에서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캐리어 위치를 보정하는 시스템과 보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사에서 요청하는 Cp, Cpk 사양에 만족하기 위하여 보정 시스템을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캐리어마다 위치 보정값을 주는 제어 공수를 절약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과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를 트랙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작동부;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어 감지부; 상기 캐리어의 위치값에 대해 보정 신호를 주어서 상기 캐리어를 상기 트랙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하는 변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변위센서는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트랙의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작동부는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구비된 마그넷과, 상기 트랙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코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위센서는 상기 캐리어에 의해 상기 트랙을 따라 이송되는 전지셀의 양극탭을 용접하는 제1메인 웰딩부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메인 웰딩부에서 상기 캐리어가 미리 보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에 의해 상기 트랙을 따라 이송되는 전지셀의 음극탭을 용접하는 제2메인 웰딩부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가 미리 보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랙에 배치된 파이널 비젼부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파이널 비전부에서 미리 보정된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마그넷이 상기 코일부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트랙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랙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반복하여 감지하는 캐리어 포지션 센싱 단계; 상기 트랙에서 상기 캐리어의 위치값에 대한 보정 신호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를 상기 트랙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하는 캐리어 위치 보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캐리어 포지션 센싱 단계에서는 상기 트랙이 인접한 캐리어 감지부에서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반복하여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 위치 보정단계에서는 상기 트랙에 인접하여 설치된 변위센서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의 위치값에 대한 보정 신호를 주어서 상기 캐리어를 상기 트랙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 Tab Welding 조립기 LSM 물류 이송시 캐리어의 위치 정밀도 문제로 Cp, Cpk 값의 영향을 주는 공정 3 포지션(Main Welding(+), Main Welding(-), Final Vision)에서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캐리어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각 캐리어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Cp, Cpk 값을 고객사 요청 사양에 만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변위센서와 캐리어 감지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파이널 비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와 이송 작동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에 의해 트랙에서 캐리어의 보정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랙의 보정 위치에서 LSM 반복측정 위치 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모든 캐리어에 대하여 그래프로 표현한 도면
도 7은 제1메인 웰딩 포지션에서 캐리어의 오프셋 값을 적용하기 이전의 모든 캐리어의 트랙에서의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측정 그래프
도 8은 제1메인 웰딩 포지션에서 캐리어의 오프셋 값을 적용한 이후에 모든 캐리어의 트랙에서의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측정 그래프
도 9는 제2메인 웰딩 포지션에서 캐리어의 오프셋 값을 적용하기 이전의 모든 캐리어의 트랙에서의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측정 그래프
도 10은 제2메인 웰딩 포지션에서 캐리어의 오프셋 값을 적용한 이후에 모든 캐리어의 트랙에서의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측정 그래프
도 11은 파이널 비젼 포지션에서 캐리어의 오프셋 값을 적용하기 이전의 모든 캐리어의 트랙에서의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측정 그래프
도 12는 파이널 비젼 포지션에서 캐리어의 오프셋 값을 적용한 이후에 모든 캐리어의 트랙에서의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측정 그래프
도 13은 캐리어의 오프셋 값 적용 이전의 모든 캐리어의 트랙에서의 위치 평균값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
도 14는 캐리어의 오프셋 값 적용 이후의 모든 캐리어의 트랙에서의 위치 평균값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
도 15는 모든 캐리어의 오프셋 값 적용 이후 트랙의 전 구간에서 평균값이 범위 내로 들어온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은 이송 작동부(30)에 의해 캐리어(20)를 트랙(15)을 따라 이송시키고, 캐리어 감지부(50)와 변위센서(40)에 의해 캐리어(20)의 위치를 측정하여 보정(offset) 값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 작동부(30)는 마그넷(32)과 코일부(34)로 구성된다. 상기 마그넷(32)은 캐리어(20)의 하부에 장착된다. 마그넷(32)은 캐리어(20)의 하부에 판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코일부(34)는 캐리어(20)가 이송되는 트랙(15)에 구비된다. 코일부(34)는 트랙(15)의 바닥부에 구비된다. 코일부(34)는 마그넷(32)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그넷(32)은 캐리어(20)에 장착되어 위쪽에 배치되고, 코일부(34)는 트랙(15)에 장착되어 아래쪽에 배치된다. 마그넷(32)은 코일부(34)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마그넷(32)과 코일부(3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마그넷(32)이 코일부(34)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캐리어(20)가 트랙(15)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20)가 마그넷(32)과 코일부(34)에 의해 자기부상 열차처림 트랙(15)의 코일부(34)에서 일정 거리 위쪽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트랙(15)을 따라 이송되거나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감지부(50)는 트랙(15)에 구비되거나 트랙(15)의 옆에 배치된 프레임(42)에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 감지부(50)는 트랙(15)을 따라 캐리어(20)가 이동할 때에 캐리어(20)의 위치를 반복하여 감지한다.
상기 변위센서(40)는 상기 프레임(42)에 지지되어 트랙(15)의 옆쪽에 배치된다. 상기 변위센서(40)는 캐리어(20)의 위치값에 대해 보정 신호를 주어서 캐리어(20)를 트랙(15)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20)의 위치를 캐리어 감지부(50)에서 반복하여 검출한 보정값(offset 값)을 변위센서(40)에서 미리 신호로 주어서 캐리어(20)가 트랙(15)에서 정상적인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변위센서(40)에서 보정값은 이송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에 주고, 컨트롤부에서는 변위센서(40)에서 미리 신호를 준 보정값에 따라서 캐리어(20)가 트랙(15)에서 정상적인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캐리어(20)가 트랙(15)에서 정지되는 정상 위치에서 0.1mm 거리 범위 이내로 정지하도록 캐리어(20)를 트랙(15)에 정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파이널 비젼부(60)를 더 구비한다. 파이널 비젼부(60)는 트랙(15)에 설치된 비젼 비젼 서포트 프레임에 카메라(62)와 센서(64)가 장착되어, 캐리어(20)에서 이송되는 전지셀(2)의 위치(특히, 양극탭과 음극탭)의 위치를 비젼으로 검사하게 된다.
상기 변위센서(40)는 캐리어(20)에 의해 트랙(15)을 따라 이송되는 전지셀(2)의 양극탭을 용접하는 제1메인 웰딩부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메인 웰딩부에서 상기 캐리어(20)가 미리 보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20)에 의해 트랙(15)을 따라 이송되는 전지셀(2)의 음극탭을 용접하는 제2메인 웰딩부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캐리어(20)가 미리 보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랙(15)에 배치된 파이널 비젼부(60)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캐리어(20)가 파이널 비전부(60)에서 미리 보정된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트랙(15)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20)의 위치를 반복하여 감지하는 캐리어 포지션 센싱 단계와, 상기 트랙(15)에서 캐리어(20)의 위치값에 대한 보정 신호에 의해서 캐리어(20)를 트랙(15)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하는 캐리어 위치 보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캐리어 포지션 센싱 단계에서는 트랙(15)이 인접한 캐리어 감지부(50)에서 캐리어(20)의 위치를 반복하여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감지부(50)에서 캐리어(20)가 트랙(15)에서 정지하는 위치를 반복하여 검출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 위치 보정 단계에서는 트랙(15)에 인접하여 설치된 변위센서(40)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20)의 위치값에 대한 보정 신호를 미리 줌으로써 캐리어(20)를 트랙(15)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 감지부(50)에서 반복적으로 검출한 캐리어(20)의 위치값을 평균하여 상기 변위센서(40)에서 미리 캐리어(20) 위치 보정값을 줌으로써 상기 트랙(15)에서 캐리어(20)가 정상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0.1mm 범위 내는 캐리어(20)의 정상적인 위치로서, 이러한 0.1mm 이내에서 캐리어(20)가 트랙(15)에 정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캐리어(20)가 트랙(15)에 보정값(offset 값)에 의해서 트랙(15)의 각 구간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하도록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에서는 캐리어(20)가 이송되는 트랙(15)으로서 제1메인 웰딩 포지션(①),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 및 파이널 비젼 포지션(③)에서 캐리어(20) 위치를 보정값(offset 값)에 의해 보정한다. 도 6에서는 캐리어(20)별 위치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그래프로 보여준다. LSM 반복측정 위치 값의 최대값, 최소값을 모든 캐리어(20)에 대하여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빨간색은 최소값, 파란색은 최대값을 나타낸다.
상기 캐리어(20)의 offset 값 적용 이전에는 캐리어(20)의 트랙(15)에서의 위치가 정상 정지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offset 값 적용 이전에 캐리어(20)가 제1메인 웰딩 포지션(①)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를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메인 웰딩 포지션(①)에서 캐리어(20)의 정상 정지 위치가 0.1mm 범위라면 도 7에서는 offset 값 적용 이전에 캐리어(20)가 제1메인 웰딩 포지션(①)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0.1mm의 범위를 벗어나 있게 된다.
반면, 캐리어(20)의 offset 값 적용 이후에는 캐리어(20)의 트랙(15)에서의 위치가 정상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offset 값 적용 이후에 캐리어(20)가 제1메인 웰딩 포지션(①)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메인 웰딩 포지션(①)에서 캐리어(20)의 정상 정지 위치가 0.1mm 범위라면 도 8에서는 offset 값 적용 이후에 캐리어(20)가 제1메인 웰딩 포지션(①)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0.1mm의 범위 내에서 정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메인 웰딩 포지션(①)에서 캐리어(20)가 정상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여 캐리어(20)가 운송하는 전지셀(2)의 양극탭에 대한 메인 웰딩((+)Main Weld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Mail Welding 구간의 LSM offset 적용 전 측정과 적용 후 측정 그래프에서와 같이 적용 후 캐리어(20)가 트랙(15)에서 정상 정지 위치에 정지하도록 많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캐리어(20)가 트랙(15)을 따라 계속 이송되어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에서 정지한다. 상기 캐리어(20)의 offset 값 적용 이전에는 캐리어(20)의 트랙(15)에서의 위치가 정상 정지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offset 값 적용 이전에 캐리어(20)가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를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에서 캐리어(20)의 정상 정지 위치가 0.1mm 범위라면 도 9에서도 offset 값 적용 이전에 캐리어(20)가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0.1mm의 범위를 벗어나 있게 된다.
반면, 캐리어(20)의 offset 값 적용 이후에는 캐리어(20)의 트랙(15)에서의 위치가 정상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offset 값 적용 이후에 캐리어(20)가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에서 캐리어(20)의 정상 정지 위치가 0.1mm 범위라면 도 10에서는 offset 값 적용 이후에 캐리어(20)가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0.1mm의 범위 내에서 정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메인 웰딩 포지션(②)에서 캐리어(20)가 정상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여 캐리어(20)가 운송하는 전지셀(2)의 음극탭에 대한 메인 웰딩((-)Mail Weld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Mail Welding 구간의 LSM offset 적용 전 측정과 적용 후 측정 그래프에서와 같이 적용 후 캐리어(20)가 트랙(15)에서 정상 정지 위치에 정지하도록 많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캐리어(20)가 트랙(15)을 따라 계속 이송되어 파이널 비젼 포지션(③)에서 정지한다. 상기 캐리어(20)의 offset 값 적용 이전에는 캐리어(20)의 트랙(15)에서의 위치가 정상 정지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11에서와 같이, offset 값 적용 이전에 캐리어(20)가 파이널 비젼 포지션(③)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를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파이널 비젼 포지션(③)에서 캐리어(20)의 정상 정지 위치가 0.1mm 범위라면 도 11에서도 offset 값 적용 이전에 캐리어(20)가 파이널 비젼 포지션(③)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0.1mm의 범위를 벗어나 있게 된다.
반면, 캐리어(20)의 offset 값 적용 이후에는 캐리어(20)의 트랙(15)에서의 위치가 정상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도 132에서와 같이, offset 값 적용 이후에 캐리어(20)가 파이널 비젼 포지션(③)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파이널 비젼 포지션(③)에서 캐리어(20)의 정상 정지 위치가 0.1mm 범위라면 도 13에서는 offset 값 적용 이후에 캐리어(20)가 파이널 비젼 포지션(③)에서 정상 정지 위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0.1mm의 범위 내에서 정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은 캐리어(20)에 대한 offset 값의 적용 이전의 평균값(트랙(15)에서 캐리어(20)가 정지되는 위치의 평균값)을 보여준 그래프이고, 도 14는 캐리어(20)에 대한 offset 값의 적용 이후의 평균값 그래프로서, 캐리어(20) offset 값의 적용 이후에 캐리어(20)가 트랙(15)에 정상 위치 범위에서 정지되도록 많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4는 LSM offset 값 적용 이전의 전 구간 평균값(트랙(15)에서 캐리어(20)가 정지되는 위치의 평균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LSM offset 값 적용 이후의 전 구간 평균값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LSM의 offset 값 적용 이후 전 구간의 평균값이 범위 이내(예를 들어, 0.1mm 범위 이내)로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캐리어(20) 조립 에러, 마그넷(32) 취부 에러, 마그넷(32) 배열에 따른 에러, 코일부(34) 배치하는 등의 에러를 통합해서 캐리어(20)의 트랙(15)에서 위치를 보정해주기 때문에, 각 캐리어(20)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Cp, Cpk 값을 고객사 요청 사양에 만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전지셀 15. 트랙
20. 캐리어 30. 이송 작동부
40. 변위센서 50. 캐리어 감지부

Claims (6)

  1. 캐리어(20)를 트랙(15)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작동부(30);
    상기 캐리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어 감지부(50);
    상기 캐리어(20)의 위치값에 대해 보정 신호를 주어서 상기 캐리어(20)를 상기 트랙(15)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하는 변위센서(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40)는 프레임(42)에 지지되어 상기 트랙(15)의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40)는 상기 캐리어(20)에 의해 상기 트랙(15)을 따라 이송되는 전지셀(2)의 양극탭을 용접하는 제1메인 웰딩부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메인 웰딩부에서 상기 캐리어(20)가 미리 보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20)에 의해 상기 트랙(15)을 따라 이송되는 전지셀(2)의 음극탭을 용접하는 제2메인 웰딩부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20)가 미리 보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랙(15)에 배치된 파이널 비젼부(60)에서 위치 보정신호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20)가 상기 파이널 비전부(60)에서 미리 보정된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4. 트랙(15)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20)의 위치를 반복하여 감지하는 캐리어 포지션 센싱 단계;
    상기 트랙(15)에서 상기 캐리어(20)의 위치값에 대한 보정 신호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20)를 상기 트랙(15)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하는 캐리어 위치 보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포지션 센싱 단계에서는 상기 트랙(15)이 인접한 캐리어 감지부(50)에서 상기 캐리어(20)의 위치를 반복하여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위치 보정 단계에서는 상기 트랙(15)에 인접하여 설치된 변위센서(40)에 의해서 상기 캐리어(20)의 위치값에 대한 보정 신호를 주어서 상기 캐리어(20)를 상기 트랙(15)에서 정상 위치로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KR1020200037396A 2020-03-27 2020-03-27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KR20210120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96A KR20210120548A (ko) 2020-03-27 2020-03-27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96A KR20210120548A (ko) 2020-03-27 2020-03-27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48A true KR20210120548A (ko) 2021-10-07

Family

ID=7811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396A KR20210120548A (ko) 2020-03-27 2020-03-27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5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799A1 (ko) * 2021-12-20 2023-06-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고정자와 이동자를 포함하는 선형 반송 시스템의 추력 리플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970A (ko) 2013-04-17 2014-10-28 세방전지(주) 리튬이차전지 극판 이송 장치
KR20150027689A (ko) 2013-09-02 2015-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KR101528006B1 (ko) 2012-09-14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의 이송 캐리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006B1 (ko) 2012-09-14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의 이송 캐리어
KR20140124970A (ko) 2013-04-17 2014-10-28 세방전지(주) 리튬이차전지 극판 이송 장치
KR20150027689A (ko) 2013-09-02 2015-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799A1 (ko) * 2021-12-20 2023-06-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고정자와 이동자를 포함하는 선형 반송 시스템의 추력 리플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4725B2 (en) Vehicle misalignment measurement and compensation in dynamic wireless charging applications
KR101765588B1 (ko) 연료전지 스택 조립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120548A (ko) 엘에스엠 물류 변위센서 캐리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캐리어 위치 보정 방법
US11148644B2 (en) Battery swapping system
CN101002154A (zh) 控制系统
WO2014021362A1 (ja) 無人搬送車の異常検出システム
CN104924783A (zh) 标签打印机检测标签的方法
CN113770721A (zh) 一种刹车片自动组装生产线
US9989380B2 (en) Method, linear drive and installation
KR100756012B1 (ko) 배터리 팩 보호회로모듈 조립장치 및 방법
KR20100054534A (ko) 차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체 위치 보정 방법
US20230094299A1 (en) Electric mobile apparatus,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mobile apparatus
KR102263601B1 (ko) 배터리 내부균열 검사장치
JPH04341444A (ja) 巻取紙の自動装着装置
KR20210058130A (ko) 이차 전지 제조용 전극 자동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자동공급 방법
KR102201393B1 (ko) 극판 오토 스플라이싱 비젼 자동 정렬장치 및 극판 오토 스플라이싱 비젼 자동 정렬방법
JP2010091366A (ja) 磁気平衡式電流センサ
KR970063324A (ko) 전자총 조립 장치 및 전자총 조립 방법
CN219523722U (zh) 车轮定位装置、换电平台及换电站
CN214374373U (zh) 一种电池模组放置方向检测装置
CN214526429U (zh) 实时定位的运输设备
CN211043606U (zh) 一种电芯检测装置
KR102335410B1 (ko) 롤 운송용 무인운반차
JP3107273B2 (ja) 電池端子の位置ずれ検査法およびその検査装置
CN112917092B (zh) 车厢地板凹槽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