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781A -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781A
KR20150022781A KR1020147033012A KR20147033012A KR20150022781A KR 20150022781 A KR20150022781 A KR 20150022781A KR 1020147033012 A KR1020147033012 A KR 1020147033012A KR 20147033012 A KR20147033012 A KR 20147033012A KR 20150022781 A KR20150022781 A KR 20150022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guard
bumper
cab
fron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수봉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50022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굴삭기 등이 전도되거나 중량물이 운전실에 낙하되는 경우, 변형되는 운전실 구조물 또는 중량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운전실 보호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과,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작업장치와, 운전실 외측으로 보호구조물이 장착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 적용되며, 운전실의 전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구조물의 전방 지지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프론트 가드와, 전방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에 로킹 및 언로킹되도록 프론트 가드에 장착되는 래치로서 이뤄진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CAB PROTECTION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 등이 전도되거나, 중량물이 운전실에 낙하되는 경우, 변형되는 운전실 구조물 또는 중량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운전실 외측으로 보호구조물이 장착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는,
굴삭기(1) 등이 전도되거나, 중량물이 운전실(2)에 낙하되는 경우, 변형되는 운전실 구조물 또는 중량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운전실(2)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상부 프레임(3) 상에 장착되는 전방 지지프레임(4) 및 후방 지지프레임(5)과, 전방 지지프레임(4) 및 후방 지지프레임(5)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상면 지지프레임(6)으로 이뤄진 보호구조물(7)이 구비된다.
이때, 운전실(2)의 전면 유리(8)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전방 지지프레임(4)에 프론트 가드(front guard)(9)가 장착된다.
종래 기술의 운전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프론트 가드(9)의 상,하부가 전방 지지프레임(4)에 착탈가능하게 볼트(10)로서 장착된다. 이로 인해 운전실(2)의 전면 유리(8)와 프론트 가드(9)사이의 이물질(낙엽, 먼지 등)을 제거하거나, 전면 유리(8)를 청소하거나, 와이퍼 등을 수리하는 작업을 위해서는, 프론트 가드(9)를 고정시킨 수개의 볼트(10)를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 지지프레임(4)으로부터 프론트 가드(9)를 분리 및 장착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으로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중량체의 프론트 가드(9)를 분리 및 장착시, 이를 붙잡고 작업하게 되므로 작업자 또는 운전자는 불편함을 감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실 전면에 프론트 가드를 힌지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장착함에 따라, 운전실 전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전면 유리의 교체 작업시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과,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작업장치와, 운전실 외측으로 보호구조물이 장착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운전실의 전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구조물의 전방 지지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프론트 가드와,
전방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에 로킹 및 언로킹되도록 프론트 가드에 장착되는 래치로서 이뤄진 로킹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프론트 가드의 내측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닫을 경우 범핑역할을 하게 되는 쿠션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론트 가드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개폐시 사용되는 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고정단이 전방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이 전방 지지프레임 및 프론트 가드의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의 개방됨을 유지하는 스테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스트라이커가 장착되는 전방 지지프레임의 제1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고,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닫을 경우 완충기능 및 소음 방지기능을 하게 되는 제1범퍼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론트 가드가 힌지고정되는 전방 지지프레임의 제2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고,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개방시킬 경우, 설정각도 이하로 제한하는 제2범퍼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제1범퍼가 고정되는 제1브라킷을 제1지지대에 고정하되, 제1범퍼에 인서트성형된 체결부재가 제1브라킷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제2범퍼가 고정되는 제2브라킷을 제2지지대에 고정하되, 제2범퍼에 인서트성형된 체결부재가 제2브라킷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론트 가드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전방 지지프레임에 힌지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재는 전방 지지프레임에 볼트로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운전실 전면에 프론트 가드를 힌지식으로 장착함에 따라, 운전실 전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 프론트 가드를 개폐시키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전면 유리의 보수 작업시 작업자 접근이 용이하여 작업성 및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가 장착된 굴삭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가 장착된 굴삭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서, 프론트 가드를 개방시킨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서, 프로트 가드를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의 확대도,
도 5(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서, 프론트 가드를 개폐시 완충역할을 하는 범퍼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1; 전방 지지프레임
12; 프론트 가드
13; 스트라이커
14; 래치
15; 로킹장치
16; 쿠션패드
17; 핸들
18,19; 결합공
20; 스테이
21; 제1범퍼
22; 제2범퍼
23; 제1브라킷
24,26; 체결부재
25; 제2브라킷
27; 힌지부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5(a,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는,
하부 주행체(a)와, 하부 주행체(a)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프레임(b)과, 상부 프레임(b)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c)과, 상부 프레임(b)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붐 등을 포함하는 작업장치(d)와, 운전실(c) 외측으로 보호구조물(e)이 장착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운전실(c)의 전면부(일 예로서, 전면 유리 또는 와이퍼 등의 구조물을 말함)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구조물(protective structure member)(e)의 전방 지지프레임(11)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프론트 가드(12)와,
전방 지지프레임(11)의 제1지지대(11a)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striker)(13)와, 스트라이커(13)에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되도록 프론트 가드(12)에 장착되는 래치(latch)(14)로서 이뤄진 로킹장치(15)를 구비한다.
전술한 프론트 가드(12)의 내측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며,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프론트 가드(12)를 닫을 경우 범핑역할을 하게 되는 쿠션패드(16)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론트 가드(12)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프론트 가드(12)를 개폐시 사용되는 핸들(1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고정단이 전방 지지프레임(11)의 하측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이 전방 지지프레임(11) 및 프론트 가드(12)의 결합공(18)(19)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프론트 가드(12)의 개방됨을 유지하는 스테이(stay)(2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스트라이커(13)가 장착되는 전방 지지프레임(11)의 제1지지대(11a)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고,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프론트 가드(12)를 닫을 경우 완충기능 및 소음 방지기능을 하게 되는 제1범퍼(21)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론트 가드(12)가 힌지고정되는 전방 지지프레임(11)의 제2지지대(11b)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고,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프론트 가드(12)를 개방시킬 경우, 설정각도 이하로 제한하는 제2범퍼(2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a)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범퍼(21)가 고정되는 제1브라킷(23)을 제1지지대(11a)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하되, 제1범퍼(21)에 인서트성형된 체결부재(일 예로서 볼트를 말함)(24)가 제1브라킷(23)에 축방향(전방 지지프레임(11)에 대해 프론트 가드(12)가 개폐되는 방향을 말함)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5(a)에 가상선으로 도시됨). 이때 너트(24a)로서 볼트(24)의 이완으로 인해 제1범퍼(21)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프론트 가드(12)를 개폐가능하게 조립할 경우, 제1범퍼(21)와 이와 접촉되도록 프론트 가드(12)에 형성된 접촉편(12a)사이의 간격을 가변 조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b)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2범퍼(22)가 고정되는 제2브라킷(25)을 제2지지대(11b)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하되, 제2범퍼(22)에 인서트성형된 체결부재(일 예로서 볼트를 말함)(26)가 제2브라킷(25)에 축방향(전방 지지프레임(11)에 대해 프론트 가드(12)가 개폐되는 방향을 말함)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5(b)에 가상선으로 도시됨). 이때 너트(26a)로서 볼트(26)의 이완으로 인해 제2범퍼(22)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프론트 가드(12)를 개폐가능하게 조립할 경우, 제2범퍼(22)와 이와 접촉되도록 프론트 가드(12)에 형성된 접촉편(12b)사이의 간격을 가변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론트 가드(12)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힌지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프론트 가드(12)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재(27)(일 예로서 경첩을 말함)는 전방 지지프레임(11)에 볼트(미도시됨)로서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론트 가드(12)를 전방 지지프레임(11)에 개폐가능하게 조립할 경우 발생되는 이들의 조립오차를 극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a,b)에서와 같이, 전술한 운전실(c)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운전실 외측으로 위치하는 보호구조물(e)을 상부 프레임(b)에 장착하되, 보호구조물(e)은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28)과, 전방 지지프레임(11) 및 후방 지지프레임(28)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상면 지지프레임(29)으로 이뤄진다.
가) 전방 지지프레임(11)으로부터 프론트 가드(12)를 개방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운전실(c)의 전면 유리(f)와 프론트 가드(12)사이에 쌓인 낙엽 등의 이물질을 청소해야될 경우 로킹장치(15)의 로킹을 해제시킨다. 즉 프론트 가드(12)에 형성된 래치(14)의 손잡이(14a)를 파지하여 프론트 가드(1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로 인해 로킹장치(15)를 이루도록 전방 지지프레임(11)에 장착된 스트라이커(13)로부터 프론트 가드(12)에 장착된 래치(14)의 로킹이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도 3에서와 같이, 프론트 가드(12)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된 핸들(17)을 붙잡아 힌지부재(27)를 중심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전방 지지프레임(11)으로부터 프론트 가드(12)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프론트 가드(12)의 상,하부에 형성된 접촉편(12b)이 이와 대응되게 제2지지대(11b)에 장착된 제2범퍼(22)와 접촉된다. 이때 프론트 가드(12)는 이의 접촉편(12b)이 제2범퍼(22)와 접촉됨에 의해 설정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이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프레임(11)으로부터 개방된 프론트 가드(12)의 개방 각도를 작업중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전방 지지프레임(11)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테이(20)를 상 방향으로 들어올림에 따라, 스테이(20)의 자유단이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형성된 결합공(18)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20)를 이의 고정단을 중심축으로 프론트 가드(12)쪽으로 회전시킨 후, 스테이(20)를 하강시켜 이의 자유단을 프론트 가드(12)에 형성된 결합공(19)에 결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가드(12)를 설정각도로 개방시킨 후, 스테이(20)에 의해 개방된 각도를 유지함에 따라,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전면 유리(f)에 달라붙은 낙엽, 먼지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프론트 가드(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전면 유리(f)를 교체하거나, 와이퍼 등을 수리시 작업자 접근이 용이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 프론트 가드(12)를 운전실(c) 전면부쪽으로 닫는 것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스테이(20)를 상 방향으로 들어올려 이의 자유단을 프론트 가드(12)에 형성된 결합공(19)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스테이(20)를 이의 고정단을 중심축으로 전방 지지프레임(11)쪽으로 회전시킨 후, 이의 자유단을 전방 지지프레임(11)에 형성된 결합공(18)에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전술한 프론트 가드(12)를 전방 지지프레임(11)쪽으로 닫을 수 있게 된다. 즉 프론트 가드(12)의 하부에 형성된 핸들(17)을 붙잡아 힌지부재(27)를 중심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프론트 가드(12)는 전방 지지프레임(11)의 초기위치로 닫히게 된다. 이때 프론트 가드(12)에 장착된 래치(14)가 전방 지지프레임(11)에 장착된 스트라이커(13)에 결합되므로 로킹장치(15)는 로킹상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프론트 가드(12)는 작업중 또는 운전중에 전방 지지프레임(11)으로부터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가드(12)를 전방 지지프레임(11)에 닫을 경우, 프론트 가드(12)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착된 쿠션패드(16)가 전방 지지프레임(11)의 프레임(11c)에 각각 접촉된다. 이로 인해 전방 지지프레임(11)에 대해 프론트 가드(12)를 닫을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프론트 가드(12)를 전방 지지프레임(11)에 닫을 경우, 전방 지지프레임(11)의 제1지지대(11a)의 상부 및 하부에 장착된 제1범퍼(21)와, 이와 대응되게 프론트 가드(12)에 형성된 접촉편(12a)이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프론트 가드(12)를 전방 지지프레임(11)에 대해 닫을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실 전면에 프론트 가드를 힌지식으로 장착함에 따라, 운전실 전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 프론트 가드를 개폐시키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전면 유리의 보수 작업시 작업자 접근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과,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작업장치와, 운전실 외측으로 보호구조물이 장착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의 전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구조물의 전방 지지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프론트 가드와,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에 로킹 및 언로킹되도록 상기 프론트 가드에 장착되는 래치로서 이뤄진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가드의 내측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닫을 경우 범핑역할을 하게 되는 쿠션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가드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개폐시 사용되는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단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 및 프론트 가드의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의 개방됨을 유지하는 스테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장착되는 전방 지지프레임의 제1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닫을 경우 완충기능 및 소음 방지기능을 하게 되는 제1범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가드가 힌지고정되는 전방 지지프레임의 제2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개방시킬 경우, 설정각도 이하로 제한하는 제2범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범퍼가 고정되는 제1브라킷을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하되, 상기 제1범퍼에 인서트성형된 체결부재가 제1브라킷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범퍼가 고정되는 제2브라킷을 상기 제2지지대에 고정하되, 상기 제2범퍼에 인서트성형된 체결부재가 제2브라킷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가드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힌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프론트 가드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재는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볼트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KR1020147033012A 2012-06-18 2012-06-18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KR201500227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4785 WO2013191308A1 (ko) 2012-06-18 2012-06-18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781A true KR20150022781A (ko) 2015-03-04

Family

ID=4976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012A KR20150022781A (ko) 2012-06-18 2012-06-18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23428A1 (ko)
KR (1) KR20150022781A (ko)
DE (1) DE112012006544T5 (ko)
WO (1) WO2013191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36B1 (ko) * 2014-12-11 2016-12-27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 및 운전사 보호 가드
WO2015087951A1 (ja) * 2014-12-11 2015-06-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ガード付き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油圧ショベル
ITUB20150409A1 (it) * 2015-04-22 2016-10-22 Same Deutz Fahr Italia S P A Cabina per un veicolo, in particolare per un trattore agricolo.
JP6488228B2 (ja) * 2015-12-22 2019-03-20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ノピ及びキャノピを備えた作業機
JP6657021B2 (ja) * 2016-05-31 2020-03-04 ヤンマー株式会社 建設機械
EP3517413B1 (en) * 2018-01-25 2020-07-08 Kubota Corporation Cabin-protection structure and tractor
JP7214519B2 (ja) * 2019-03-15 2023-01-30 株式会社クボタ フロントガード及び作業機
JP6994003B2 (ja) 2019-03-22 2022-01-14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CN112012256A (zh) * 2020-08-17 2020-12-01 合肥学院 一种zwy型矿用履带挖掘式装载机安全防护装置
DE102021103321A1 (de) * 2021-02-12 2022-08-18 Liebherr-France Sas Bedienerkabine mit Schutzgitter
US11702145B2 (en) * 2021-06-30 2023-07-1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7333A (en) * 1959-01-05 1961-08-22 Crane Rental Company Inc All-weather cab enclosure employing removable panels
DE1278856B (de) * 1965-06-10 1968-09-26 Paul Erich Kettler Schlepperverdeck
US3692083A (en) * 1970-12-07 1972-09-19 Case Co J I Plural panel door assembly
US3967850A (en) * 1974-12-20 1976-07-06 Deere & Company Grab handle and door stop assembly
US3993346A (en) * 1975-05-27 1976-11-23 Caterpillar Tractor Co. Rear wall structure for a vehicle cab
DE2733166A1 (de) * 1977-07-22 1979-02-01 Kloeckner Humboldt Deutz Ag Fahrzeugtuer, insbesondere fuer eine fahrerkabine
US4940280A (en) * 1988-05-02 1990-07-10 Hunter Contracting Company Protection structure for heavy equipment
US4932714A (en) * 1988-09-16 1990-06-12 Harold Chance Demountable door for a golf cart or the like
US5044678A (en) * 1990-07-25 1991-09-03 Lectron Products, Inc. Solenoid operated latch device with movable pole piece
ATE166007T1 (de) * 1992-06-24 1998-05-15 Vtz Eng & Services Ag Verfahren, vorrichtung und maschine zum reinigen von einseitig offenen behältnissen
JP2746003B2 (ja) * 1992-08-28 1998-04-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キャビン車のドアオープンロック装置
US5616848A (en) * 1995-03-20 1997-04-01 Chrysler Corporation Plat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esting
JPH11123966A (ja) * 1997-10-23 1999-05-11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解除構造
AU3054499A (en) * 1999-03-31 2000-10-23 Press Kogyo Co., Ltd. Window device
EP1512816B1 (en) * 1999-04-02 2010-01-13 Komatsu Ltd. Cab window lock system
US6409457B1 (en) * 1999-10-15 2002-06-25 George Korycan Work vehicle
CA2381479A1 (en) * 2002-04-11 2003-10-11 James Warkentin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loader
JP4133109B2 (ja) * 2002-08-20 2008-08-13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シャッター式のガード装置
JP3927481B2 (ja) * 2002-10-25 2007-06-06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キャブ
CA2461249A1 (en) * 2004-03-17 2005-09-17 Laurie Gibson Protective blind for excavator windows
JP3908750B2 (ja) * 2004-04-30 2007-04-25 株式会社竹内製作所 建設機械の運転室
KR100689292B1 (ko) * 2005-06-01 2007-03-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에 장착되는 운전자 보호구조물
KR20070025866A (ko) * 2005-09-05 2007-03-08 이성훈 건물도어용 범퍼
KR200433409Y1 (ko) * 2006-09-29 2006-12-11 손병문 자동차 도어 취부용 패드
JP4711440B2 (ja) * 2007-05-21 2011-06-29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キャブの前窓ロック装置
KR101363193B1 (ko) * 2007-11-29 2014-02-1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캐빈 보호장치
US7677648B2 (en) * 2008-01-31 2010-03-16 Cnh America Llc Gas strut mounting to door handle
AU2009233288B2 (en) * 2008-03-31 2012-03-29 Honda Motor Co., Ltd. Door device for small-sized vehicle
US8070213B2 (en) * 2008-06-06 2011-12-06 Caterpillar Inc. Machine having trim piece assembly with reduced discordance and method
KR200453772Y1 (ko) * 2008-11-26 2011-05-27 김득관 중장비용 도어스테이
JP5179418B2 (ja) * 2009-03-18 2013-04-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ガード固定装置
US7938479B2 (en) * 2009-04-17 2011-05-10 Clark Equipment Company Releasable door hinge
WO2011025874A1 (en) * 2009-08-27 2011-03-03 Adc Custom, Llc Quick attach riser for cabin protection structure
JP5173976B2 (ja) * 2009-10-13 2013-04-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フロントガード取付装置
DE102012102140A1 (de) * 2012-03-12 2013-09-12 Echle Hartstahl Gmbh Kabinenschutz
WO2014073723A1 (ko) * 2012-11-12 2014-05-15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캐빈 보호장치
WO2014155659A1 (ja) * 2013-03-29 2014-10-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運転員保護ガード、ガード付き作業機械用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DE102014105868A1 (de) * 2014-04-25 2015-10-29 Jürgen Wolf Schutzvorrichtung für eine Fahrerkabine eines Nutzfahrzeugs
KR101690436B1 (ko) * 2014-12-11 2016-12-27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 및 운전사 보호 가드
WO2015087951A1 (ja) * 2014-12-11 2015-06-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ガード付き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油圧ショベル
DE202015003295U1 (de) * 2015-05-05 2015-06-17 Liebherr-Werk Bischofshofen Gmbh Arbeits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3428A1 (en) 2015-05-07
WO2013191308A1 (ko) 2013-12-27
DE112012006544T5 (de)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2781A (ko)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RU2531782C2 (ru) Улучшенный бампер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059289B1 (ko) 건설 기계
CA2683267C (en) Hood tilt locking system
JP2008195348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JP5541302B2 (ja) 建設機械の前ガード装置
KR101439053B1 (ko)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
KR100921102B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구조
KR101650063B1 (ko) 건설기계의 엔진룸 후드 로킹장치
JP2008082113A (ja) 建設機械のキャブガードロック装置
KR20100004671A (ko) 보호장치가 장착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캡
CN109823411A (zh) 长头卡车发动机罩翻转限位及锁止装置
JP2014047462A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取付構造
KR20170039120A (ko) 피봇팅 도어
KR20120071647A (ko) 건설중장비의 캐빈 윈도우 가드 장치
JP5751429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ガード装置
US20060289578A1 (en) Vehicle door transport device, method and product thereof
KR100900435B1 (ko) 중장비용 도어 잠금장치
JP7396826B2 (ja) ショベル
JP5873778B2 (ja) 作業機械
JP6899285B2 (ja) 作業車両
WO2014073723A1 (ko) 건설기계용 캐빈 보호장치
US20080251305A1 (en) Engine hood door including variable door handle
JP2011131736A (ja) 車両のボンネットフードロック構造
KR20140082661A (ko) 굴삭기용 부품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