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866A - 건물도어용 범퍼 - Google Patents

건물도어용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866A
KR20070025866A KR1020050082461A KR20050082461A KR20070025866A KR 20070025866 A KR20070025866 A KR 20070025866A KR 1020050082461 A KR1020050082461 A KR 1020050082461A KR 20050082461 A KR20050082461 A KR 20050082461A KR 20070025866 A KR20070025866 A KR 20070025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ffer
case
bump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05008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5866A/ko
Publication of KR2007002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도어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 부착부(2)전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되는 받침부(4)의 케이스(6)에 자체탄성을 갖거나 또는 스프링(14)과 안내장공(18)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구(8)를 갖도록 구하여 상부도어틀(22)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토록 한것으로서 도어(B)가 완충구(8)와의 접촉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로서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24) 가까이에 작은크기로 설치해줄 수가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완충작용시 소음발생을 최소화하며 완충구(8)를 영구자석으로 하고 도어(B)에는 금속재부착판(20)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를 개방상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건물도어용 범퍼{THE BUMPER FOR BUILDING'S DOOR}
도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2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3 : 본 발명의 평단면구성도
도4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범퍼 (B)--도어
(2)--부착부 (4)--받침부
(6)--케이스 (8)--완충구
(10)--단턱 (12)--리벳
(14)--스프링 (16)--스프링실
(18)--안내장공 (20)--부착판
(22)--도어틀 (24)--경첩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도어틀에 설치되어 도어개방시 벽체와의 직접적인 충 격을 방지하는 도어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주택이나 아파트 그리고 빌딩 등 각종 건물의 도어는 도어틀에 경첩으로 개폐가능케 연결되는데, 도어개방시 필요이상의 큰 힘이 가해지게 되면 도어가 갖는 도어록이 벽체와의 부딛힘으로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됨은 물론 반복되는 충격으로 벽체나 도어록의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도 단부에 고무재 완충구를 갖는 도어범퍼를 도어나 벽체에 고정설치하거나 또는 도어록 전면에 연질의 완충구를 돌출형성하여 도어개방시 완충구에 의한 부딪힘으로 소음감소와 충격완화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어범퍼의 경우 그 부착부로부터 도어록의 돌출폭 이상의 길이로 직각되게 돌출되는 받침부 단부에 고무재 완충구가 형성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으로부터 원거리에 설치해주어야만 완충구와의 부딪힘면이 받침부와 거의 직각을 이루어 큰 지지력을 얻을 수가 있게 되므로 외딴곳에 갖는 긴 도어범퍼는 외관상 보기 흉하고 또 현실적으로 더이상 길게 형성해 주기가 곤란함을 감안할 때 제작과정에서 크기나 형상변화 등을 통하여는 도어의 개방각을 변회시켜 줄수가 없으며, 경첩으로부터 원거리에 설치되는 만큼 소음감소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가 없게된다.
또한 도어록에 고무재완충구를 돌출형성하여 완충작용을 겸하도록 할 경우 이 역시 고무재 완충구로 인하여 도어록의 미감효과가 반감되고 또 그 자체로서는 도어의 개방각을 변화시켜줄 수가 없으며,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으로부터 원거리에서 부딪힘이 이루어지는 만큼 소음감소는 크게 기대할 수가 없을 뿐만아니라 도어 록의 충격완화 효과도 크게 기대할 수가 없어 도어록의 잦은 고장이나 수명단축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이들 모두는 도어범퍼로서의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은 기대할 수가 없어 도어개방에 의한 부딪힘시 도어는 그 반발력과 완충구가 갖는 탄성에 의해 다시 닫힘방향으로 복귀하면서 출입자를 위협하게 되고 또 도어를 개방시켜두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수단을 필요로 하게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재발문제점들을 감안하여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제작과정에서 도어의 개방각을 임의로 변화시켜 줄수가 있고 또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 가까이에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가 있는 건물도어용 범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어의 부딪힘시 여간의 반발력이나 완충구의 탄성에도 도어가 튕겨날 우려가 없고 또 외력의 작용에도 원하는 개방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부를 통하여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인근의 도어틀에 고정설치되어 받침부의 케이스가 갖는 완충구를 통한 도어와의 접촉으로 완충작용을 하며 상기 완충구는 영구자석으로 하고 도어측에는 금속제부착판을 갖도록 하여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한 건물도어용범퍼에 의해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 건물도어용 범퍼(A)는 부착부(2) 전면에 받침부(4)가 연장형성되고 상기받침부 저면에 갖는 케이스(6)에 완충구(8)가 설치된다.
도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로서, 부착부(2)와 받침부(4)는 비교적 납작한 형태로서 수평형성되는데 그 받침부(4)는 부착부(2)와의 사이에 면으로 이루어진 긴 단턱(10)이 형성되고 또 부착부(2) 전방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그 일측저면에 케이스(6)가 일체로 형성된다.
다만 케이스(6)에 설치되는 완충구(8)는 받침부(4)로부터 갖는 위치와 방향에 의해 도어(B)의 개방각이 결정되므로 제작과정에서 완충구(8)가 갖는 위치와 방향변화로 도어(B)의 개방각을 임의로 변화시켜 결정해 줄수가 있다.
또한 완충구(8)는 케이스(6)에 리벳(12) 등으로 연결설치되는데 완충구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데에는 그 재질을 연질의 합성수지로 하여 자체탄성에 의해 완충되게 할 수도 있고 또 재질을 금속이나 경질 합성수지등으로 하면서 케이스(6)와의 사이에 한개이상의 스프링(14)을 갖도록하여 완충되게 할수도 있을 것이다.
완충구(8)가 스프링(14)에 의해 완충되게 할 경우 완충구(8) 측면에 스프링실(16)을 형성하여 케이스(6)의 내벽과의 사이에 스프링(14)이 탄력설치되게 하고 상하로는 완충방향으로 긴 안내장공(18)을 형성하여 연결해주는 것으로 만족할 수가 있게 된다.
더나아가 완충구(8)가 스프링(14)에 의해 완충되게 할 경우 그 재질을 영구자석으로 하고 도어(B)측의 접촉면에는 금속재 부착판(20)을 부착형성해주게 되면 도어(B) 개방시 완충작용은 물론 도어(B)가 완충구(8)의 자력에 의해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로서, 본 발명은 완충구(8)가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상부도어틀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데, 이와 반대로 완충구(8)가 위로 향하도록 하여 하부도어틀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다만 하부도어틀에 설치시 출입의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수가 있는바, 상부도어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시에는 도어틀(22)과 도어(B) 사이에 갖는 유격이 부착부(2)의 두께 이상으로 여유가 있을 경우 단순히 상부도어틀(22) 저면에 부착고정해 주면 되나, 주어지는 유격이 좁을 경우 도어틀의 부착면을 요입형성하여 그 요입흠을 통하여 부착고정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받침부(4)가 갖는 긴 면으로 이루어진 단턱(10)이 상부도어틀(22)의 전면과 전체적으로 긴밀히 밀착되게 하면 완충구는 상시 정위치를 유지할 수가 있어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 횡방향으로 보다 큰 지지력을 발휘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 건물도어용 범퍼(A)는 상부도어틀(22)에 고정설치되어 도어(B) 개방시 그 저부에 갖는 완충구(8)와의 부딪힘으로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므로서 경첩(24) 가까이 설치해 줄수가 있고 또 경첩 가까이 설치해 줄수록 그 크기는 축소됨은 물론 도어(B)의 부딪힘시 소음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도어(B)의 최대개방각은 완충구(8)의 위치나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데 제작과정에서 부착부(2) 전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만곡형성되는 받침부(4)의 길이를 변화시키고 또 케이스(6)에 설치되는 완충구(8)가 도어(B)와 정면으로 부딛힐 수 있는 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만족하므로 제작과정에서 도어(B)의 최대개방각 범위내에서 원하는 개방각을 갖도록 제작해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완충구(8)는 그 재질을 연질의 합성수지로 하여 완충작용을 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경질재질로 하면서 스프링(14) 등을 통하여 완충작용을 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를 통한 완충작용시 그 재질을 영구자석으로 하고 또 도어(B)에는 상기완충구(8)와의 접촉면에 금속재 부착판(20)을 부착형성해주게 되면 도어의 손상방지는 물론 도어(B)가 완충구(8)의 자력에 의해 주어진 개방각을 유지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B)를 연결하는 경첩(24) 가까이에 최소한의 크기로 설치해줄 수가 있어 외관을 크게 저해할 우려가 없고 또 제작과정에서 완충구(8)의 위치와 각도변화로 도어(B)의 개방각을 임의로 변화시켜 결정해줄 수가 있으며, 경첩(24) 가까이에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만큼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가 있고, 완충구(8)의 재질을 영구자석으로 하고 또 도어(B)에는 금속재 부착판(20)을 형성해 주는 것으로 도어(B)의 개방시 여간의 반발력이나 완충구의 탄성에도 자력에 의해 개방각을 유지하게 되므로 출입자를 위협할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보조수단 없이도 필용에 따라 도어를 개방시켜둘 수가 있게 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도어틀과의 연결수단인 부착부와, 상기부착부 전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받침부 일면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케이스에 연결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도어용 범퍼
  2. 청구항1에 있어서, 완충구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도어용 범퍼
  3. 청구항1에 있어서, 케이스와 완충구 사이에 스프링이 탄력설치되고, 상기완충구는 완충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안내장공을 통하여 케이스에 리벳으로 연결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도어용 범퍼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완충구는 영구자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도어용 범퍼
KR1020050082461A 2005-09-05 2005-09-05 건물도어용 범퍼 KR20070025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461A KR20070025866A (ko) 2005-09-05 2005-09-05 건물도어용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461A KR20070025866A (ko) 2005-09-05 2005-09-05 건물도어용 범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718U Division KR200401712Y1 (ko) 2005-09-06 2005-09-06 건물도어용 범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866A true KR20070025866A (ko) 2007-03-08

Family

ID=3810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461A KR20070025866A (ko) 2005-09-05 2005-09-05 건물도어용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58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08A1 (ko) * 2012-06-18 2013-12-2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08A1 (ko) * 2012-06-18 2013-12-2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0693352B1 (ko) 도어 자석 스토퍼
KR102602235B1 (ko) 완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0880376B1 (ko) 방음문
KR20070025866A (ko) 건물도어용 범퍼
KR200401712Y1 (ko) 건물도어용 범퍼
US11939810B2 (en) Shower door sliding mechanism for soft positioning
ATE527422T1 (de) Beschlag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KR200395339Y1 (ko) 도어의 방풍 겸용 쿠션장치
KR10211676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듀얼 댐핑 스토퍼
KR200254982Y1 (ko) 미닫이식 창호용 스토퍼
KR200406257Y1 (ko) 문프레임 스토퍼
KR1009863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로크 걸림편
KR100721329B1 (ko) 건축물 실내도어 충격흡수 구조체
KR100691388B1 (ko) 건축물에 설치되어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는 창문
KR20130000290U (ko)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102030494B1 (ko) 창호의 창짝 완충용 조립체
CN215803974U (zh) 淋浴房的滑轮限位结构及具有该滑轮限位结构的淋浴房
JP4287789B2 (ja) 保持金具および戸当り金具
KR100786322B1 (ko) 사물함용 잠금구
KR200419941Y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구조
KR101822533B1 (ko) 미닫이문용 홀딩댐퍼장치
KR20090117087A (ko) 샷시 프레임의 문틀 개선구조
KR20080013142A (ko) 내풍압용 미서기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