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855A -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 Google Patents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855A
KR20140105855A KR1020147020605A KR20147020605A KR20140105855A KR 20140105855 A KR20140105855 A KR 20140105855A KR 1020147020605 A KR1020147020605 A KR 1020147020605A KR 20147020605 A KR20147020605 A KR 20147020605A KR 20140105855 A KR20140105855 A KR 2014010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loth
portions
outer edge
elongated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592B1 (ko
Inventor
다이스케 하시모토
고우지 후쿠모토
도시야 히로오카
아키히로 나가후치
히로유키 마츠오카
다쿠야 다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4010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2Shielding other than Faraday c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Abstract

전자 실드 기구(1)는, 금속천(3)과, 2개의 브래킷 본체부(2)를 구비한다.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은, 2개의 장척부(10) 및 연결부(20, 4)를 구비하고, 금속천(3)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31) 및 그 반대측의 제2 외연부(32) 각각을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유지한다. 2개의 장척부(1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금속천(3)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고,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조합됨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0, 4)는,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2개의 장척부(10)를 환형으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ELECTROMAGNETIC SHIELDING TOOL AND WIRE HARNESS}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와이어 하니스에 있어서 노이즈 전자파를 차폐하는 전자 실드 기구 및 그것을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선의 변형에 따라 변형 가능한 실드 부재로서는, 통상, 특허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편조선(編組線)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전선이 금속제의 케이스의 개구로부터 케이스 내로 배선되는 경우, 통 형상의 편조선은, 그 일단이 금속제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개구의 프레임부에 씌워진다. 또한, 통 형상의 편조선은, 코킹 링에 의해 케이스의 개구의 프레임부에 고정된다.
한편, 금속제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전선 도입용 개구의 프레임부는, 독립된 부재로서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프레임부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개구의 부분에 대하여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한 독립된 부재는, 일반적으로 실드셸(shield shell)이라고 칭해진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금속제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전선 도입용 개구의 프레임부(실드셸을 포함함)를 실드 프레임부라고 칭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4398호 공보
그런데, 편조선은 통 형상이다. 그 때문에, 전선은, 기본적으로는 그 말단에 커넥터가 부착되기 전에, 편조선에 삽입 관통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선(先)통과라고 칭해진다. 이와 같이 전선의 선통과가 필요해지면, 와이어 하니스의 제조 및 배선의 순서의 자유도가 제한된다.
가령, 전선의 말단에 커넥터가 부착된 후에 전선에 편조선을 부착하는 것, 즉, 편조선의 후부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큰 편조선의 채용이 필요해진다. 이 경우, 전선보다 외형이 큰 커넥터 등도 삽입 관통 가능한, 쓸데없이 큰 편조선의 채용이 필요해진다. 그러한 것은, 와이어 하니스의 배치 스페이스, 중량 및 제조 비용이 증대하게 되고, 비현실적이다.
또한, 전선이 선통과된 통 형상의 편조선을 실드 프레임부에 씌우는 작업에 있어서, 전선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편조선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편조선의 양단이, 비교적 가까이 배치된 2개의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 각각에 씌워지는 경우, 편조선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기 위한 스페이스의 여유가 작다. 그 때문에, 편조선을 실드 프레임부에 씌우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이상으로부터, 요즘, 실드 부재의 부착의 작업성 및 순서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드 부재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전선 및 케이스에 대한 실드 부재의 후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 하니스의 배치 스페이스, 중량 및 제조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전선 및 케이스에 대한 실드 부재의 후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금속사(金屬絲)의 직물인 금속천과, 2세트의 브래킷을 구비한다. 2세트의 브래킷은, 상기 금속천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 및 상기 제1 외연부의 반대측의 제2 외연부 각각을 상기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유지한다. 또한, 2세트의 상기 브래킷 각각은, 2개의 장척부(長尺部) 및 연결부를 구비한다. 2개의 상기 장척부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천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상기 금속천과 접합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상기 장척부는, 상기 전선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조합됨으로써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2개의 상기 장척부 각각의 단부(端部)끼리를 연결하여 2개의 상기 장척부를 환형으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브래킷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장척부는, 상기 금속천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는, 상기 제1 외연부 및 상기 제2 외연부 이외의 외연부이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3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브래킷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상기 장척부는, 상기 2개의 장척부의 일단을 이으며 가요성을 갖는 중계부와 함께 일련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4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2세트의 상기 브래킷 각각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2개의 상기 장척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천과 접합된 양단부가 겹쳐지는 상태에서 2개의 상기 장척부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5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상기 금속천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 각각과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금속 부재인 금속천 접합 부재를 더 구비한다. 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는, 상기 제1 외연부 및 상기 제2 외연부 이외의 외연부이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6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2세트의 상기 브래킷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장척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측의 내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6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7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2세트의 상기 브래킷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장척부 각각은, 이들이 상호 대향하는 측의 반대측의 외측면에 있어서 상기 금속천과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6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8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장척부 각각은, 상기 금속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외연부 및 상기 제2 외연부의 각각에 압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척부 각각은 상기 금속천과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8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9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장척부 각각의 상기 금속천에 압착된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천에 접하는 면과 단부면과의 경계 부분은 모따기부이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9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10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는, 2세트의 상기 브래킷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상기 장척부 각각에, 이들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기립한 위치 결정용 기립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과, 그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형태 내지 제10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를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의 발명으로서 파악되어도 좋다.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2세트의 브래킷 각각을 구성하는 2개의 장척부는, 금속천과 케이스와의 전기적 접속을 중계하는 부재이다. 2개의 장척부는, 금속제의 케이스의 일부, 예컨대,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에 고정된다. 금속천은, 2세트의 브래킷을 통해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케이스 접지의 상태가 된다.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따르면,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2개의 장척부가, 전선의 양측으로부터 조합되어 환형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장척부와 접합된 금속천은,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미리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가 아니기 때문에, 전선에 대한 후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는,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기 위해서 과부족이 없는 크기의 금속천이 채용되면 된다. 그 때문에, 배치 스페이스, 중량 및 제조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2세트의 브래킷 각각을 구성하는 2개의 장척부는,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를 끼워 넣어 환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가, 조합된 2개의 장척부를 환형으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2개의 장척부와 접합된 금속천은,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즉, 2세트의 브래킷은, 금속천을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역할과, 금속천과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가 채용된 경우, 종래의 편조선 및 코킹 금구의 채용에 의해 복수의 부재가 취급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의 관리 및 취급의 공정수가 간소화된다.
그런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조선 또는 금속천은,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와 코킹 금구 등의 다른 고정 부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면, 실드 프레임부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금속천과 2세트의 브래킷의 장척부는 미리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2세트의 브래킷을, 금속천을 통하지 않고,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에 대하여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 실드 기구가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로부터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가 채용되는 전형적인 제1 경우로서는, 이하의 경우가 고려된다. 그것은, 2세트의 브래킷 각각이 고정될 2개의 케이스가 가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천의 길이가 특히 짧은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후부착 가능한 전자 실드 기구의 채용은 특히 적합하다.
즉, 후부착 가능한 전자 실드 기구는, 케이스에 대한 부착 작업에 있어서 금속천의 위치를 전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후부착 가능한 전자 실드 기구는, 작업 스페이스의 여유가 작은 경우에 있어서도, 용이한 작업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가 채용되는 전형적인 제2 경우로서는, 이하의 경우가 고려된다. 그것은, 브래킷이 고정될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의 폭이 크기 때문에, 그에 맞춰, 브래킷의 장척부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종래의 전자 실드 기구는, 편조선이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와 고정 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 때문에, 실드 프레임부의 폭이 클수록, 고정 부재가 실드 프레임부를 체결하는 힘이 넓게 분산되어, 실드 프레임부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문제가 보다 현저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세트의 브래킷을, 금속천을 통하지 않고,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에 대하여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상기 전형적인 제2 경우에 있어서,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가 채용되면,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로부터 떨어지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또한, 제3 형태에 따르면, 2세트의 브래킷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가 각각 별도의 부재인 경우보다 부품 개수가 감소한다. 그 때문에, 케이스에 대한 전자 실드 기구의 부착의 공정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형태에 따르면, 금속천은,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방향의 양단부를 이루는 2개의 외연부(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에 있어서 겹쳐지고, 거의 간극이 없는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노이즈 전자파가 보다 확실하게 차폐되며, 안정된 실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5 형태에 따르면, 금속천은,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방향의 양단부를 이루는 2개의 외연부(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에 있어서 금속 부재를 통해 접합된다. 그 결과, 금속천은, 금속 부재와 더불어 간극이 없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노이즈 전자파가 보다 확실하게 차폐되며, 안정된 실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6 형태에 따르면, 장척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의 작용에 의해, 브래킷과 케이스의 장척부와의 마찰 저항이 높아진다. 따라서,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에 대한 브래킷의 유지력이 강해진다. 그 결과, 전자 실드 기구가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로부터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7 형태에 있어서는, 금속천은, 장척부의 외측면에 접합된다. 그 때문에, 장척부와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 사이에 끼워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금속천의 끼임 방지를 위해서, 장척부에 있어서,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에 접촉하는 부분과, 금속천과 접합되는 부분이, 분리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장척부(브래킷)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장척부와 금속천이 용접에 의해 접합된 경우, 얇은 금속천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제8 형태에 있어서는, 장척부 각각은, 금속천의 외연부에 압착됨으로써 금속천과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얇은 금속천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장척부와 금속천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제9 형태에 있어서는, 장척부 각각의 금속천에 압착된 부분에 있어서의 금속천에 접하는 면과 단부면과의 경계 부분은 모따기부이다. 이에 따라, 금속천이 장척부의 가장자리의 모서리에 스쳐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0 형태에 있어서는, 장척부 각각에 위치 결정용 기립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립부는, 브래킷이 접속되는 상대 부재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구멍에 끼워 넣어진다. 이에 따라, 브래킷과 상대 부재를 정확한 위치 관계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가 채용됨으로써,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대해서 서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실드 기구(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전자 실드 기구(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A)의 부착 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전자 실드 기구(1A)의 제1 부착 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전자 실드 기구(1A)의 제2 부착 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B)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전자 실드 기구(1B)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B)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C)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C)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D)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전자 실드 기구(1D)에 있어서의 장척부와 금속천과의 접합부(압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전자 실드 기구(1D)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D)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와이어 하니스(100D)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E)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전자 실드 기구(1E)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전자 실드 기구(1E)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사례는 아니다. 이하에 나타난 각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차량에 탑재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전선에 부착되는 전장(電裝) 부품이다. 그리고, 전자 실드 기구는,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도전성의 금속천에 의해 노이즈 전자파를 차폐한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 및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실드 기구(1)는, 2개의 브래킷 본체부(2)와,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과 접합된 금속천(3)과,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을 금속제의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구인 2개의 나사(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브래킷 본체부(2) 및 한쪽의 나사(4)가 1세트의 브래킷을 구성하고 있고, 다른쪽의 브래킷 본체부(2) 및 다른쪽의 나사(4)가 다른 1세트의 브래킷을 구성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브래킷 본체부(2) 및 그것을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의 나사(4)를 브래킷(2, 4)이라고 총칭한다. 즉, 전자 실드 기구(1)는, 2세트의 브래킷(2, 4)을 구비한다.
2세트의 브래킷(2, 4) 중 한쪽은, 전선(9)의 한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일부에 고정되고, 2세트의 브래킷(2, 4) 중 다른쪽은, 전선(9)의 다른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일부에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0)는, 복수의 전선(9)과, 복수의 전선(9)의 주위를 일괄해서 덮는 전자 실드 기구(1)를 구비한다.
<전선>
전선(9)은,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선(core wire)과, 심선의 주위를 덮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 피복에 의해 구성된 절연 전선이다. 통상, 전선(9)의 단부의 심선에는, 도시하지 않은 금속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하니스(100)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군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전선 유지 부재는, 복수의 전선(9)의 단부를 일정한 위치 관계로 유지하며, 복수의 전선(9)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전선(9)은 가상선(이점 쇄선)에 의해 그려져 있다.
<금속천>
전자 실드 기구(1)를 구성하는 금속천(3)은, 금속사의 직물이다. 금속천(3)은, 금속의 실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짜여진 그물코 구조를 갖는 천이다. 금속의 실은, 예컨대 구리를 주성분으로 한다. 또한, 금속천(3)은, 금속사의 천에 필름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 경우도 있다. 필름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유연성을 갖는다. 금속천(3)은, 도전성 및 유연성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금속천(3)의 사방의 외연부 각각을, 제1 외연부(31), 제2 외연부(32),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라고 칭한다. 제1 외연부(31)는, 금속천(3)의 사방의 외연 중, 부착 대상이 되는 전선(9)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을 이루는 외연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한다. 제2 외연부(32)는,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제1 외연부(31)에 대하여 반대측의 외연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한다.
또한,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는, 금속천(3)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 이외의 외연부이다.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는,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방향의 양단부를 이루는 외연부라고도 말할 수 있다.
전자 실드 기구(1)의 금속천(3)은, 제1 외연부(31)에 있어서, 후술하는 2세트의 브래킷(2, 4) 중 한쪽과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금속천(3)은, 제2 외연부(32)에 있어서, 2세트의 브래킷(2, 4) 중 다른쪽과 접합되어 있다. 금속천(3)은,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을 통해 2개의 금속제의 케이스(8)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금속천(3)은 케이스 접지의 상태가 된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천(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는,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로부터 약간 비어져 나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전자 실드 기구(1)의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에 있어서, 브래킷 본체부(2)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구부러진 판 형상의 부재이다. 브래킷 본체부(2)는, 예컨대, 구리의 합금, 철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의 부재이다. 브래킷 본체부(2)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본체부(2)는, 금속천(3)과 케이스(8)와의 전기적 접속을 중계하는 부재이다. 브래킷 본체부(2)는, 금속제의 케이스(8)의 일부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본체부(2)는, 2개의 장척부(10)와, 이들의 일단을 잇는 중계부(19)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는 2개의 차양부(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 본체부: 장척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은, 구부러진 판 형상의 부분이다. 2개의 장척부(10) 각각은, 자기 실드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전선(9)에 걸쳐 가설된 반환(半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장척부(10)는,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조합됨으로써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각 장척부(10)는, 전선(9)을 횡단하는 중간 부분이 평탄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 장척부(10)의 형상은, 고정할 곳인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2개의 장척부(10)는, 금속천(3)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다. 금속천(3)과 장척부(10)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2세트의 브래킷(2, 4) 중 한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는, 금속천(3)의 제1 외연부(31)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금속천(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2세트의 브래킷(2, 4) 중 다른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는, 금속천(3)의 제2 외연부(32)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금속천(3)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장척부(10)는, 후술하는 중계부(19)를 통해 되접은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장척부(10)와 접합된 금속천(3)은, 2개의 장척부(10)에 의해, 중간부(35)에 있어서 되접혀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장척부(10) 각각은, 이들이 상호 대향하는 측의 반대측의 외측면에 있어서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다. 한편, 2개의 장척부(10) 각각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측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11)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돌기(11)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11x)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본체부: 중계부>
또한, 중계부(19)는, 되접혀진 판 형상의 부분이며,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일단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장척부(10) 및 중계부(19)는, 일련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중계부(19)는, 되접음 각도가 변화하는 방향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부(19)의 가요성에 의해, 2개의 장척부(10)는, 중계부(19)를 지점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브래킷 본체부(2)는, 이들 각각의 단부가 이격하여 내측이 개방된 개방 상태와, 이들 각각의 단부가 접하는 폐쇄 상태로 변형 가능하다.
도 2에 있어서, 개방 상태의 브래킷 본체부(2)가 실선으로 그려져 있고, 폐쇄 상태의 브래킷 본체부(2)가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이 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2개의 브래킷 본체부(2)와 접합된 금속천(3)도,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가 이격된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이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2개의 브래킷 본체부(2)와 접합된 금속천(3)은,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가 근접하여 통 형상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천(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로부터 약간 비어져 나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브래킷 본체부(2)가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금속천(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는, 거의 간극없이 접한다. 이에 따라, 금속천(3)은, 거의 간극이 없는 통 형상이 된다.
<브래킷 본체부: 차양부>
2개의 차양부(20) 각각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타단에 연속해 있고, 2개의 장척부(10) 각각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평탄한 판 형상의 부분이다.
따라서, 브래킷 본체부(2)는, 일련의 금속 부재이다. 브래킷 본체부(2)에는, 2개의 장척부(10)와, 이들의 일단을 잇는 중계부(19)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타단에 연속해 있는 2개의 차양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장척부(10)는, 이들의 일단을 이으며 가요성을 갖는 중계부(19), 및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타단에 연속해 있는 2개의 차양부(20)와 함께 일련의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장척부(10)가 환형으로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차양부(20)는 겹쳐진다. 또한, 2개의 차양부(20) 각각에는, 이들이 겹쳐진 상태에 있어서 연통(連通)되는 관통 구멍이며, 나사(4)가 장착되는 나사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본체부(2)는, 2개의 차양부(20)가 겹쳐짐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겹쳐진 2개의 차양부(20)는, 나사(4)가 장착됨으로써 합체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끼리가 연결되어, 2개의 장척부(10)는 환형으로 유지된다.
브래킷(2, 4)에 있어서, 2개의 차양부(20) 및 나사(4)는,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2개의 장척부(10)를 환형으로 유지하는 연결부의 일례이다.
2개의 차양부(20) 각각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21)의 내연부에는, 나사(4)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나사(4)를 차양부(20)에 대하여 직접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2개의 차양부(20)를 합체시키기 위한 너트 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물론, 2개의 장척부(10)를 환형으로 유지하는 연결부가, 관통 구멍이 형성된 2개의 차양부(20), 나사(4) 및 나사(4)가 체결되는 너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너트 부재가, 겹쳐지는 2개의 차양부(20) 중 한쪽에 미리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는 것도 고려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은, 2개의 장척부(10)와, 2개의 장척부(10)의 일단을 잇는 중계부(19)와, 2개의 장척부(10)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0, 4)를 구비한다. 그리고,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은, 금속천(3)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31) 및 그 반대측의 제2 외연부(32) 각각을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유지한다.
<전자 실드 기구의 치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에 있어서의 장척부(10)의 길이(L1)는, 금속천(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길이(L2)보다 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수 구성을 갖는 전자 실드 기구(1)가 채용되는 전형적인 제1 경우로서는, 이하의 경우가 고려된다. 그것은,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이 고정될 2개의 케이스(8)가 가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천(3)의 길이(L2)가 특히 짧은 경우이다.
또한, 동일한 치수 구성을 갖는 전자 실드 기구(1)가 채용되는 전형적인 제2 경우로서는, 이하의 경우가 고려된다. 그것은, 브래킷(2, 4)이 고정될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의 폭이 크기 때문에, 그에 맞춰 브래킷(2, 4)의 장척부(10)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케이스에 대한 전자 실드 기구의 고정의 구조>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케이스(8)에 대한 전자 실드 기구(1)의 고정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도 5는, 케이스(8)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케이스(8)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의 단면도이다. 도 6의 단면도는, 도 5에 도시된 II-II 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0)의 전선(9)은, 금속제의 케이스(8)의 외부로부터 케이스(8)의 개구를 지나 케이스(8) 내에 걸쳐 배선된다. 또한, 케이스(8)에 있어서의 전선 도입용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그 개구를 둘러싸는 금속제의 실드 프레임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세트의 브래킷(2, 4) 중 한쪽은, 전선(9)의 한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되고, 2세트의 브래킷(2, 4) 중 다른쪽은, 전선(9)의 다른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개방 상태로 된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이, 2개의 케이스(8) 각각의 실드 프레임부(81)의 외측에 씌워지고, 마찬가지로 개방 상태[비(非)통형상체]의 금속천(3)이, 전선(9)에 있어서의 2개의 케이스(8)에 걸친 부분에 씌워진다.
다음으로,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이, 실드 프레임부(81)의 외측에 있어서 폐쇄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장척부(10)는 실드 프레임부(81)를 끼워 넣으며, 금속천(3)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이 된다. 이때, 2개의 장척부(10)의 복수의 돌기(11)가, 실드 프레임부(81)의 외측면에 강하게 닿게 된다. 즉, 2개의 장척부(10)가 실드 프레임부(81)를 끼워 넣는 힘은, 복수의 돌기(11)의 꼭대기 부분에 집중된다.
마지막으로, 2개의 나사(4) 각각이,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에 있어서 겹쳐진 2개의 차양부(20)의 나사 구멍(21)에 삽입되고, 2개의 차양부(20)가, 나사(4)에 의해 겹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은,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이, 2개의 케이스(8) 각각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과 2개의 케이스(8) 각각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2개의 브래킷 본체부(2) 각각과 접합된 도전성의 금속천(3)도, 2개의 케이스(8)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금속천(3)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로, 케이스(8)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선(9)으로 향하는 노이즈 전자파를 차폐한다.
<효과>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을 구성하는 2개의 장척부(10)는, 금속제의 케이스(8)에 있어서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이들 2개의 장척부(10)는, 금속천(3)과 케이스(8)와의 전기적 접속을 중계한다. 금속천(3)은, 2세트의 브래킷(2, 4)을 통해 케이스(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케이스 접지의 상태가 된다.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2개의 장척부(10)는,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조합되어 환형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장척부(10)와 접합된 금속천(3)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자 실드 기구(1)는, 미리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가 아니기 때문에, 전선(9)에 대한 후부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실드 기구(1)가, 단부에 커넥터 등이 부착된 후의 전선(9)에 대하여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가, 케이스(8)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배선이 행해진 후의 전선(9)에 대하여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는,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기 위해서 과부족이 없는 크기의 금속천(3)이 채용되면 된다. 그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의 채용에 있어서, 배치 스페이스, 중량 및 제조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을 구성하는 2개의 장척부(10)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를 끼워 넣어 환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차양부(20) 및 나사(4)로 구성되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그 연결부가, 조합된 2개의 장척부(10)를 환형으로 유지함으로써, 2개의 장척부(10)와 접합된 금속천(3)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즉, 2세트의 브래킷(2, 4)은, 금속천(3)을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역할과, 금속천(3)과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자 실드 기구(1)가 채용된 경우, 종래의 편조선 및 코킹 금구의 채용에 의해 복수의 부재가 취급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의 관리 및 취급의 공정수가 간소화된다.
또한, 금속천(3)이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르는 전선(9)의 주위를 둘러쌀 수도 있다.
그런데, 금속천(3)의 표면은, 편조선의 표면과 마찬가지로, 금속의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미소한 요철면이기 때문에, 마찰 저항이 매우 작다. 그 때문에, 금속천(3)은,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81)와 코킹 금구 등의 다른 고정 부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면, 실드 프레임부(81)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다.
한편,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 금속천(3)과 2세트의 브래킷(2, 4)의 장척부(10)는 미리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2세트의 브래킷(2, 4)을, 금속천(3)을 통하지 않고, 실드 프레임부(81)에 대하여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 실드 기구(1)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로부터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는, 장척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1)의 작용에 의해, 장척부(10)와 실드 프레임부(81)와의 마찰 저항이 높아진다. 따라서, 실드 프레임부(81)에 대한 브래킷(2, 4)의 유지력이 강해진다. 그 결과, 전자 실드 기구(1)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로부터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이 고정될 2개의 케이스(8)가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척부(10)의 길이(L1)와, 금속천(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길이(L2)가, L1>L2의 관계가 되기 쉽다. 그와 같이 작업 스페이스의 여유가 작은 경우에 있어서도, 전자 실드 기구(1)는, 케이스(8)에 대한 부착 작업에 있어서 금속천(3)의 위치를 전선(9)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용이한 작업에 의해 전자 실드 기구(1)의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브래킷(2, 4)이 고정될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의 폭이 크기 때문에, 그에 맞춰 장척부(10)의 길이(L1)가 길어, L1>L2의 관계가 되는 경우도 고려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실드 프레임부(81)에 대하여 직접 고정 가능한 브래킷(2, 4)을 구비하는 전자 실드 기구(1)가 채용되면,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로부터 떨어지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는, 2세트의 브래킷(2, 4)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는, 중계부(19)와 함께 일련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가 채용된 경우, 2개의 장척부(10)가 각각 별도의 부재인 경우보다 부품 개수가 감소한다. 그 때문에, 케이스(8)에 대한 부착의 공정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 금속천(3)은, 장척부(10)의 외측면에 접합된다. 이 경우, 금속천(3)은, 장척부(10)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 사이에 끼워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금속천(3)의 끼임 방지를 위해서, 장척부(10)에 있어서, 실드 프레임부(81)에 접촉하는 부분과, 금속천(3)과 접합되는 부분이, 분리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장척부(10)[브래킷 본체부(2)]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A)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실드 기구(1A)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와 비교하여, 2개의 장척부(10)가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7 내지 도 9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A)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은 전자 실드 기구(1A)의 부착 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전자 실드 기구(1A)의 제1 부착 후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9는 전자 실드 기구(1A)의 제2 부착 후 상태의 정면도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전선(9) 및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가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도 9에 있어서, 전선(9)이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전자 실드 기구(1A)는, 금속천(3)과, 2세트의 브래킷(2A, 4)을 구비하고 있다. 2세트의 브래킷(2A, 4) 각각은, 2개의 브래킷 본체부(2A)와 2개의 나사(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브래킷 본체부(2A) 각각은, 전선(9)에 걸쳐 가설된 반환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장척부(10)와, 그 양단 각각에 이어져 형성된 2개의 차양부(20)를 갖는다.
즉, 전자 실드 기구(1A)는, 1장의 금속천(3)과 4개의 브래킷 본체부(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A)에 있어서, 장척부(10) 각각은, 각각 독립된 부재인 4개의 브래킷 본체부(2A) 각각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A)에 있어서도, 2개의 장척부(10)가 금속천(3)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장척부(10) 각각이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세트의 브래킷(2A, 4) 중 한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는, 금속천(3)의 제1 외연부(31)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금속천(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2세트의 브래킷(2A, 4) 중 다른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는, 금속천(3)의 제2 외연부(32)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금속천(3)에 접합되어 있다. 금속천(3)과 장척부(10)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전자 실드 기구(1A)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본체부(2A)가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조합되면, 2개의 장척부(10)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금속천(3)에 있어서의 2개의 브래킷 본체부(2A) 각각과 접합된 부분 사이의 중간부(35)에서 되접혀진다.
또한, 2개의 브래킷 본체부(2A)는, 2개의 장척부(10)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를 끼워 넣는 상태로 조합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브래킷 본체부(2)와 접합된 금속천(3)은,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가 근접하여 통 형상이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세트의 브래킷(2A, 4) 각각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본체부(2A)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를 사이에 끼우는 상태로 조합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장척부(10)는 실드 프레임부(81)를 끼워 넣고, 금속천(3)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이 된다. 한편, 복수의 돌기(11)의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4개의 나사(4) 각각이, 2쌍의 브래킷 본체부(2A)의 양단 각각에 있어서 겹쳐진 2개의 차양부(20)의 나사 구멍(21)에 삽입되고, 2개의 차양부(20)가, 나사(4)에 의해 겹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2쌍의 브래킷 본체부(2A) 각각은, 실드 프레임부(81)를 사이에 두고 환형으로 유지되며,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그런데, 전자 실드 기구(1A)는, 통상은 도 8에 도시된 형태로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되지만,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 케이스(8)의 일부에 고정되는 것도 고려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조합된 한 쌍의 브래킷 본체부(2A)는, 그 양단의 2개소의 차양부(20)에 있어서, 케이스(8)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판(82)에 대하여 나사(4)에 의해 고정된다. 2개의 장척부(10)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가, 브래킷 본체부(2A)에 있어서의 양단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 장척부(10)의 돌기(11)는 필요없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B) 및 그것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0B)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실드 기구(1B)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와 비교하여, 2개의 장척부(10) 중 한쪽의 단부의 구조가 상이하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은 전자 실드 기구(1B)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전자 실드 기구(1B)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와이어 하니스(100B)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전선(9) 및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가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도 11에 있어서, 전선(9)이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전자 실드 기구(1B)는, 전자 실드 기구(1)와 마찬가지로 2세트의 브래킷(2B, 4)을 구비하고 있다. 2세트의 브래킷(2B, 4)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장척부(10) 중 한쪽의 장척부(10)의 단부에는, 차양부(20)보다 다른쪽의 장척부(10)측으로 돌출되어, 다른쪽의 장척부(10)의 단부에 겹쳐지는 연장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천(3)은, 장척부(10)의 연장부(12)까지 이르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천(3)의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 각각은, 장척부(10)의 연장부(12)에 이르는 범위에 있어서 장척부(10)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2세트의 브래킷(2B, 4) 각각에 있어서, 차양부(20)와 나사(4)에 의해 구성되는 연결부는, 2개의 장척부(10) 각각에 있어서의 금속천(3)과 접합된 양단부가 겹쳐지는 상태에서 2개의 장척부(10)를 연결한다. 여기서, 2개의 장척부(10)의 양단부 중 한쪽은, 연장부(12)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 금속천(3)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방향의 양단부를 이루는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에 있어서 겹쳐지고, 거의 간극이 없는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노이즈 전자파가 보다 확실하게 차폐되며, 안정된 실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C) 및 그것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0C)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실드 기구(1C)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에 대하여, 금속천 접합 부재(5)가 추가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C)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은 전자 실드 기구(1C)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전자 실드 기구(1C)와 전선(9)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0C)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13에 있어서, 전선(9)이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한편, 도 13은, 개방 상태의 전자 실드 기구(1C)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실드 기구(1C)가 구비하는 금속천 접합 부재(5)는,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 각각과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판 형상의 금속 부재이다. 개방 상태의 전자 실드 기구(1C)에 있어서, 금속천 접합 부재(5)는,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 중 어느 한쪽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실드 기구(1C)가, 폐쇄 상태로 되어 전선(9) 및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부착된다. 그 후, 금속천 접합 부재(5)와,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 중 나머지 한쪽이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금속천(3)의 제3 외연부(33)는, 금속천 접합 부재(5)의 한쪽의 면에 접합되고, 금속천(3)의 제4 외연부(34)는, 금속천 접합 부재(5)의 다른쪽의 면에 접합된다. 따라서,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양쪽이 금속천 접합 부재(5)에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는 겹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금속천(3)끼리를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금속제의 금속천 접합 부재(5)가, 금속천(3)에 있어서의 2개소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금속천(3)에 있어서의 2개소의 가장자리부를 이들이 겹쳐지는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전자 실드 기구(1C)가 채용됨으로써, 금속천(3)은, 금속천 접합 부재(5)와 더불어 간극이 없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노이즈 전자파가 보다 확실하게 차폐되며, 안정된 실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금속천 접합 부재(5)가,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금속천(3)의 유연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 실드 기구(1C)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르는 전선(9)의 주위를 둘러쌀 수도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D) 및 그것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0D)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실드 기구(1D)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A)와 비교하여, 브래킷 본체부의 장척부와 금속천과의 접합의 구조가 상이하다. 또한, 와이어 하니스(100D)는, 전자 실드 기구(1D)와 복수의 전선(9)을 구비하고, 또한, 복수의 전선(9)의 단부를 일정한 위치 관계로 유지하는 전선 유지 부재(9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5 내지 도 19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D)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A)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는 전자 실드 기구(1D)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전자 실드 기구(1D)에 있어서의 장척부와 금속천과의 접합부(압착부)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전자 실드 기구(1D)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II-II 단면의 도면이다. 또한, 도 18은 와이어 하니스(100D)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와이어 하니스(100D)의 평면도이다. 한편, 도 17에 있어서, 전선(9) 및 전선 유지 부재(91)가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실드 기구(1D)는, 전자 실드 기구(1, 1A)와 마찬가지로, 금속천(3)과, 2세트의 브래킷(2C, 4)을 구비하고 있다. 2세트의 브래킷(2C, 4) 각각은, 2개의 브래킷 본체부(2C)와 2개의 나사(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브래킷 본체부(2C) 각각은, 전선(9)에 걸쳐 가설된 반환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장척부(10A)와, 그 양단 각각에 이어져 형성된 2개의 차양부(20)를 갖는다.
즉, 전자 실드 기구(1D)는, 1장의 금속천(3)과 4개의 브래킷 본체부(2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C)에 있어서, 장척부(10A) 각각은, 4개의 브래킷 본체부(2C) 각각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브래킷 본체부(2C)는, 각각 독립된 부재이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C)에 있어서도, 2개의 장척부(10A)가 금속천(3)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장척부(10A) 각각이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세트의 브래킷(2C, 4) 중 한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A)는, 금속천(3)의 제1 외연부(31)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금속천(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2세트의 브래킷(2A, 4) 중 다른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A)는, 금속천(3)의 제2 외연부(32)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금속천(3)에 접합되어 있다.
브래킷 본체부(2C)에 있어서, 장척부(10A) 각각은, 금속천(3)의 외연부에 압착됨으로써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다. 즉, 2세트의 브래킷 본체부(2C) 중 한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A) 각각은,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제1 외연부(31)에 압착됨으로써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세트의 브래킷 본체부(2C) 중 다른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A) 각각은, 금속천(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에 압착됨으로써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다.
장척부(10A) 각각은, 금속천(3)의 외연부에 압착되기 위한 이하의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척부(10A) 각각은, 기부(基部; 13)와 그 기부(13)에 이어진 되접음부(14)를 갖고 있다.
장척부(10A)의 기부(13)는, 금속천(3)의 외연부[제1 외연부(31) 또는 제2 외연부(32)]를 따르는 부분이다. 기부(13)에 이어진 되접음부(14)는, 기부(13)에 겹쳐져 되접혀진 부분이다. 되접음부(14)는, 기부(13)와의 사이에 금속천(3)의 외연부를 끼워 넣고 있다. 장척부(10A)는, 기부(13)와 되접음부(14) 사이에 금속천(3)의 외연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금속천(3)의 외연부에 압착되어 있다. 한편, 도 15에 있어서, 되접히기 전의 되접음부(14)가 가상선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척부(10A) 각각의 금속천(3)에 압착된 부분에 있어서의 제1 주면(主面; 101)과 단부면(103)과의 경계 부분은 모따기부(104)이다. 제1 주면(101)은, 장척부(10A) 각각에 있어서의 금속천(3)에 접하는 면이다. 이 모따기부(104)의 표면은, 제1 주면(101)과 단부면(103)과의 경계를 이루며, 외측으로 볼록 형상의 만곡면이다. 한편, 장척부(10A)가 금속천(3)에 압착된 상태에 있어서, 장척부(10A)의 제1 주면(101)은 금속천(3)에 접하는 내측면이고, 제1 주면(101)의 반대측의 제2 주면(102)은 금속천(3)에 대하여 반대측의 외측면이다.
예컨대, 장척부(10A)의 기초가 되는 판재(板材)가, 판 형상의 금속의 모재에 대한 펀칭 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경우가 고려된다. 또한 이 경우, 장척부(10A)의 제1 주면(101)이, 펀칭 가공에 있어서 펀치날이 접촉하는 측의 면이며, 장척부(10A)의 제2 주면(102)이, 펀칭 가공에 있어서 다이에 의해 지지되는 면인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펀칭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버어(burr; 105)는, 제2 주면(102)과 단부면(103)과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고, 그와 같은 버어(105)는 금속천(3)의 손상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 또한, 펀치날 및 다이의 형상이 고안됨으로써, 특별한 모따기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따기부(10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전자 실드 기구(1C)를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0D)에 대해서 설명한다. 와이어 하니스(100D)에 있어서, 전선 유지 부재(91)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전선 유지 부재(91)는, 복수의 전선(9)의 단부를 일정한 위치 관계로 유지하며, 복수의 전선(9)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부재이다.
예컨대, 전선 유지 부재(91)는, 비도전성의 합성 수지의 부재이다. 이 경우, 전선 유지 부재(91)가,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전선(9)의 단부를 인서트부로 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의 부재인 것이 고려된다. 전선 유지 부재(91)는,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에 끼워 넣어진다. 이에 따라, 케이스의 개구에 있어서의 전선(9)과 케이스 사이의 간극이 막힌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0D)의 전자 실드 기구(1D)는, 케이스(8)의 일부에 고정된다.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조합된 한 쌍의 브래킷 본체부(2C)는, 그 양단의 2개소의 차양부(20)에 있어서, 케이스(8)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판(82)에 대하여 나사(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2개의 장척부(10)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가, 브래킷 본체부(2C)에 있어서의 양단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D)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0D)의 전자 실드 기구(1D)에 있어서도, 도 4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와 마찬가지로, 2세트의 브래킷(2C, 4) 각각에 있어서의 장척부(10A)의 길이(L1)가, 금속천(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길이(L2)보다 긴 것이 고려된다.
전자 실드 기구(1D)가 채용된 경우, 전자 실드 기구(1, 1A)가 채용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D)에 있어서는, 장척부(10A) 각각은, 금속천(3)의 외연부에 압착됨으로써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얇은 금속천(3)이 용접에 의해 손상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얇은 금속천(3)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장척부(10A)와 금속천(3)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D)에 있어서는, 장척부(10A) 각각의 금속천(3)에 압착된 부분에 있어서의 금속천(3)에 접하는 제1 주면(101)과 단부면(103)과의 경계 부분은 모따기부(104)이다. 이에 따라, 금속천(3)이 장척부의 가장자리의 모서리에 스쳐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E) 및 그것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0E)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실드 기구(1E)는,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D)에 장척부의 일부의 요소가 추가된 구조를 갖고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E)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D)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0은 전자 실드 기구(1E)의 평면도이고, 도 21은 전자 실드 기구(1E)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2는 와이어 하니스(100E)의 정면도이다. 한편, 도 21에 있어서, 전선(9) 및 전선 유지 부재(91)가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실드 기구(1E)는, 전자 실드 기구(1, 1A, 1E)와 마찬가지로, 금속천(3)과, 2세트의 브래킷(2D, 4)을 구비하고 있다. 2세트의 브래킷(2D, 4) 각각은, 2개의 브래킷 본체부(2D)와 2개의 나사(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브래킷 본체부(2D) 각각은, 전선(9)에 걸쳐 가설된 반환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장척부(10B)와, 그 양단 각각에 이어져 형성된 2개의 차양부(20)를 갖는다.
즉, 전자 실드 기구(1E)는, 1장의 금속천(3)과 4개의 브래킷 본체부(2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E)에 있어서, 장척부(10B) 각각은, 각각 독립된 부재인 4개의 브래킷 본체부(2D) 각각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E)에 있어서도, 2개의 장척부(10B)가 금속천(3)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장척부(10B) 각각이 금속천(3)에 대하여 압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장척부(10B) 각각은, 하나의 기부(13)와 그 기부(13)에 이어진 복수의 되접음부(14)를 갖고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예에서는, 장척부(10B) 각각은,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되접음부(14)를 갖고 있다.
또한, 2세트의 브래킷(2D, 4)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B) 각각에, 이들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기립한 위치 결정용의 기립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예에서는, 위치 결정용의 기립부(15)는, 장척부(10B)에 있어서의 2개의 되접음부(14)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예에서는, 기립부(15)는, 판 형상의 장척부(10B)의 일부가 절곡된 부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0E)도, 와이어 하니스(100D)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전선(9)과 전자 실드 기구(1E)와 전선 유지 부재(91)를 구비하고 있다. 도 22에 도시된 예에서는, 와이어 하니스(100E)는 6개의 전선(9)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6개의 전선(9)은, 제1의 3상 교류 전류를 전송하는 3개의 전선(9)과 제2의 3상 교류 전류를 전송하는 3개의 전선(9)을 포함한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부(15)는, 전선 유지 부재(91)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의 구멍(911)에 끼워 넣어진다. 전선 유지 부재(91)는, 브래킷 본체부(2D)가 접속되는 상대 부재이다. 이에 따라, 브래킷 본체부(2D)와 전선 유지 부재(91)를 정확한 위치 관계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22에 도시된 예에서는, 위치 결정용의 구멍(911)은, 전선 유지 부재(91)에 있어서의, 제1의 3상 교류 전류를 전송하는 3개의 전선(9)을 유지하는 부분과 제2의 3상 교류 전류를 전송하는 3개의 전선(9) 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외>
이상에 나타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호 조합되는 2개의 장척부(10)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호 조합되는 2개의 장척부(10)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 1A, 1B, 1C, 1D, 1E)에 있어서, 장척부(10, 10A, 10B)의 길이(L1)와 금속천(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길이(L2)와의 관계는, 반드시 L1>L2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L1<L2인 경우, 또는 L1=L2인 경우도 고려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는,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이상에 나타난 실시형태를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 또는 실시형태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일부 생략함으로써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 1A, 1B, 1C, 1D, 1E: 전자 실드 기구
2, 2A, 2B, 2C, 2D: 브래킷 본체부(브래킷)
3: 금속천 4: 나사(연결부)
5: 금속천 접합 부재 8: 케이스
9: 전선 10, 10A, 10B: 장척부
11: 돌기 12: 연장부
13: 장척부의 기부 14: 장척부의 되접음부
15: 장척부의 기립부 19: 중계부
20: 차양부(연결부) 21: 나사 구멍
31: 금속천의 제1 외연부 32: 금속천의 제2 외연부
33: 금속천의 제3 외연부 34: 금속천의 제4 외연부
35: 금속천의 중간부 81: 실드 프레임부
82: 지지판 91: 전선 유지 부재
100, 100B, 100C, 100D, 100E: 와이어 하니스
101: 장척부의 제1 주면 102: 장척부의 제2 주면
103: 장척부의 단부면 104: 장척부의 모따기부
105: 버어 911: 전선 유지 부재의 구멍

Claims (11)

  1. 금속사(金屬絲)의 직물인 금속천(3)과,
    상기 금속천(3)에 있어서의 사방(四方)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31) 및 상기 제1 외연부의 반대측의 제2 외연부(32) 각각을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유지하는 2세트의 브래킷(2, 4)을 구비하고,
    2세트의 상기 브래킷(2, 4) 각각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천(3)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상기 금속천(3)과 접합되고, 상기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조합됨으로써 상기 전선(9)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2개의 장척부(10)와,
    2개의 상기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2개의 상기 장척부(10)를 환형으로 유지하는 연결부(20, 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실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브래킷(2, 4)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장척부(10)는, 상기 금속천(3)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상기 제1 외연부(31) 및 상기 제2 외연부(32) 이외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자 실드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브래킷(2, 4)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상기 장척부는, 상기 2개의 장척부의 일단을 이으며 가요성을 갖는 중계부(19)와 함께 일련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자 실드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브래킷(2B, 4) 각각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 4)는, 2개의 상기 장척부(10)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천(3)과 접합된 양단부가 겹쳐지는 상태에서 2개의 상기 장척부(10)를 연결하는 것인 전자 실드 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천(3)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상기 제1 외연부(31) 및 상기 제2 외연부(32) 이외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 각각과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금속 부재인 금속천 접합 부재(5)를 더 구비하는 전자 실드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브래킷(2, 4)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장척부(10) 각각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측의 내측면에 복수의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자 실드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브래킷(2, 4)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장척부(10) 각각은, 이들이 상호 대향하는 측의 반대측의 외측면에 있어서 상기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는 것인 전자 실드 기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부(10A) 각각은, 상기 금속천(3)의 외연부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금속천(3)과 접합되어 있는 것인 전자 실드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부(10A) 각각의 상기 금속천(3)에 압착된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천(3)에 접하는 면(101)과 단부면(103)과의 경계 부분은 모따기부(104)인 것인 전자 실드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브래킷(2D, 4)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상기 장척부(10B) 각각에, 이들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기립한 위치 결정용 기립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자 실드 기구.
  11. 전선(9)과,
    상기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전자 실드 기구(1)를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로서,
    상기 전자 실드 기구(1)는,
    금속사의 직물이며, 상기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금속천(3)과,
    상기 금속천(3)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31) 및 상기 제1 외연부의 반대측의 제2 외연부(32) 각각을 상기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유지하는 2세트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2세트의 상기 브래킷(2, 4) 각각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천(3)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상기 금속천(3)과 접합되고, 상기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조합됨으로써 상기 전선(9)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2개의 장척부(10)와,
    2개의 상기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2개의 상기 장척부(10)를 환형으로 유지하는 연결부(20, 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니스.
KR1020147020605A 2012-01-23 2013-01-17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KR101602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0943 2012-01-23
JP2012010943 2012-01-23
JP2012187463A JP5942703B2 (ja) 2012-01-23 2012-08-28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JP-P-2012-187463 2012-08-28
PCT/JP2013/050791 WO2013111665A1 (ja) 2012-01-23 2013-01-17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855A true KR20140105855A (ko) 2014-09-02
KR101602592B1 KR101602592B1 (ko) 2016-03-10

Family

ID=4887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605A KR101602592B1 (ko) 2012-01-23 2013-01-17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41431B2 (ko)
EP (1) EP2797189B1 (ko)
JP (1) JP5942703B2 (ko)
KR (1) KR101602592B1 (ko)
CN (1) CN104067468B (ko)
WO (1) WO2013111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4CN02886A (ko) * 2011-10-24 2015-07-03 Honda Motor Co Ltd
JP6036653B2 (ja) * 2013-11-12 2016-11-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5095355A (ja) * 2013-11-12 2015-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6062874B2 (ja) * 2014-02-13 2017-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子台
JP6432303B2 (ja) * 2014-11-21 2018-12-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導電部材及び電磁シールド具
JP2016100463A (ja) * 2014-11-21 2016-05-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導電部材及び電磁シールド具
WO2016111070A1 (ja) * 2015-01-07 2016-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接続構造
JP6352872B2 (ja) 2015-01-07 2018-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接続構造
JP6141363B2 (ja) * 2015-07-22 2017-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6614017B2 (ja) * 2016-04-28 2019-12-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10103527B2 (en) * 2016-07-05 2018-10-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hielded harness including molded body and fixing member
JP2018116891A (ja) * 2017-01-20 2018-07-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JP6900243B2 (ja) * 2017-06-07 2021-07-07 日置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体およびセンサ
JP6899730B2 (ja) * 2017-08-04 2021-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6955219B2 (ja) * 2018-03-30 2021-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DE102020117363A1 (de) * 2020-07-01 2022-01-05 Karl Storz Se & Co. Kg HF-Abschirmbox, medizinisches Instrument und Verfahr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579A (ja) * 1991-09-24 1993-03-30 Toyoda Gosei Co Ltd ブラケツト
JPH0715165A (ja) * 1993-06-25 1995-01-17 Kitagawa Ind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
JP2003197037A (ja) * 2001-12-26 2003-07-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機器取付け用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6344398A (ja) 2005-06-07 2006-12-21 Toyota Motor Corp シールドシェル
JP2009068515A (ja) * 2007-09-10 2009-04-02 Honda Motor Co Ltd 長尺部材の保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8683U (ko) * 1980-09-04 1982-03-18
JPS5748683A (en) 1980-09-06 1982-03-20 Hitachi Ltd Diverter for nuclear fusion reactor
JPH10224943A (ja) * 1997-01-31 1998-08-21 Keihin Sokki Kk シールドチューブ
JP4764556B2 (ja) 2001-03-06 2011-09-07 矢崎総業株式会社 導体付き導体薄膜シート
JP4914539B2 (ja) * 2001-05-18 2012-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ハーネスの組立方法
US6639148B2 (en) * 2001-06-20 2003-10-28 Federal-Mogul Systems Protection Group, Inc. Extendible drain members for grounding RFI/EMI shielding
FR2853148B1 (fr) * 2003-03-24 2008-11-14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Gaine de blindage electro-magnetique notamment pour proteger des faisceaux de cables dans l'aeronautique.
FR2916081B1 (fr) * 2007-05-07 2009-09-25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S Gaine de protection electromagnetique en textile.
JP2009048952A (ja) * 2007-08-22 2009-03-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導電体
JP5362206B2 (ja) * 2007-12-04 2013-12-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部材
JP5362207B2 (ja) * 2007-12-13 2013-12-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部材
JP5362270B2 (ja) * 2008-07-03 2013-12-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及び該シールド電線の編組端末処理方法、並びに、編組端末処理装置
JP5293644B2 (ja) * 2010-03-02 2013-09-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5586335B2 (ja) * 2010-06-10 2014-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端末接続構造及び方法
JP5880070B2 (ja) * 2012-01-23 2016-03-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579A (ja) * 1991-09-24 1993-03-30 Toyoda Gosei Co Ltd ブラケツト
JPH0715165A (ja) * 1993-06-25 1995-01-17 Kitagawa Ind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
JP2003197037A (ja) * 2001-12-26 2003-07-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機器取付け用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6344398A (ja) 2005-06-07 2006-12-21 Toyota Motor Corp シールドシェル
JP2009068515A (ja) * 2007-09-10 2009-04-02 Honda Motor Co Ltd 長尺部材の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42703B2 (ja) 2016-06-29
EP2797189B1 (en) 2016-11-09
EP2797189A1 (en) 2014-10-29
KR101602592B1 (ko) 2016-03-10
JP2013176279A (ja) 2013-09-05
US20150027772A1 (en) 2015-01-29
US9241431B2 (en) 2016-01-19
CN104067468B (zh) 2017-03-15
WO2013111665A1 (ja) 2013-08-01
EP2797189A4 (en) 2015-07-01
CN104067468A (zh)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592B1 (ko)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KR101609966B1 (ko)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US9490551B2 (en) Fitting equipped electrically conductive sheet
US10236634B2 (en) Electromagnetic shield member and electromagnetic shield member-equipped wiring device
JP587874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付き電線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09123519A (ja) シールドシェルの取付構造
US20140305696A1 (en) Cable branching structure
JP2013214690A (ja)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6219103A (ja) 配線装置
JP2006269666A (ja) シールド構造体
JP2012033284A (ja) シールド導電体及びシールド導電体の接続部材
WO2013046405A1 (ja) コネクタ
WO2016080522A1 (ja) 導電部材及び電磁シールド具
JP2019080447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組付方法
US10595449B2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and wire harness
JP5772772B2 (ja)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443911B2 (ja) 金属板付導電性シート
JP6900931B2 (ja) 金具付導電シート
JP2018107020A (ja) ハーネス及び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5642440B2 (ja) コネクタ
JP6326271B2 (ja) 電線のシールド構造
JP2022124868A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14123623A (ja) 電磁シールド部材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3042171A (ja) シールドシェ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