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971A - 용접 방법 및 용접 이음부 - Google Patents

용접 방법 및 용접 이음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971A
KR20140093971A KR1020147014630A KR20147014630A KR20140093971A KR 20140093971 A KR20140093971 A KR 20140093971A KR 1020147014630 A KR1020147014630 A KR 1020147014630A KR 20147014630 A KR20147014630 A KR 20147014630A KR 20140093971 A KR20140093971 A KR 20140093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bead
gusset plate
welde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아키 시가
카즈오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오사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오사카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14009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Arc welding or cut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026Arc welding or cut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9/0043Locally welding a thin plate to a thick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23K9/0256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for welding rib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Abstract

본 발명은 거싯플레이트와 고장력강철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피로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방법 및 용접 이음부를 제공한다.
거싯플레이트를 고강력강철로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하여 용접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용접 금속의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점이 350℃ 이하인 용접재료를 이용하여, 거싯플레이트의 단부의 길이방향으로 17mm 이상 길이의 비드를 형성하는 용접 방법. 상기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거싯플레이트가 고장력강철에 용접되어 있는 용접 이음부. 기존 강철구조물에 있어서의 거싯트와 모재로 이루어진 모서리 돌림 용접부를 용접에 의하여 보수 또는 보강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용접금속의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점이 350℃ 이하인 용접재료를 이용해서,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거싯플레이트의 단부의 길이방향으로, 거싯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의 비드부의 길이가 17mm이상이 되도록 비드를 형성하는 용접 방법.

Description

용접 방법 및 용접 이음부{WELDING METHOD AND WELD JOINT}
본 발명은, 고장력강철을 이용한 용접 구조물에 있어서 거싯플레이트(gusset plate)를 고장력강철에 모서리 돌림(box-welding) 용접할 때의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해양구조물, 교량 등의 용접 구조물의 대형화와 그에 따른 경량화와 안전성을 목적으로, 최근에는 항장력이 종래의 500MPa에서 1000MPa까지 증가한 고장력강철이 사용되게 되었다.
고장력화에 비례하여 모재의 피로 수명과 피로 한도로 대표되는 피로 강도도 향상되지만, 용접부에 대해서는, 종래의 용접기술을 사용하는 한, 피로 강도는 향상되지 않는다.
용접부에는, 맞댐 용접부, 모살용접부, 모서리 돌림 용접부 등 각종 용접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모재의 고장력강철에 거싯플레이트를 용접할 때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는, 가장 피로강도가 낮기(모재에 비해 1/7 정도) 때문에, 용접 구조물의 설계 하중(허용 하중)은 이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 거싯플레이트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 대해서 종래의 용접 기술을 사용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부의 피로 강도가 향상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최근의 고장력화한 고장력강철을 사용함으로써 경량화와 안전성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다.
종래의 거싯플레이트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 있어서 피로 강도가 저하하는 원인은, 용접 지단부에 있어서 단면 형상 변화로 인한 응력 집중도가 큰 점에 더하여, 용접열 응력에 의한 인장 잔류 응력의 생성에 의한 악영향도 겹쳐서 용접 지단부에서의 인장력이 국부적으로 매우 높아지는 것에 있다.
이 점에 대하여서는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거싯플레이트가 부착된 상태에서 인장력을 가하였을 때 평판에 발생되는 인장력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10)은 모재인 평판, (20)은 거싯플레이트이다. 거싯플레이트(20)는 하부 측면부(21) 및 하부 지단부(22)에서 평판(10)에 용접되어, 하부 측면의 용접부(31) 및 모서리 돌림 용접부(3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F는 평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며, (90)은, 이 인장력에 의해서 평판(10)에 발생하는 모서리 돌림 용접부(32)의 용접 지단부(33)를 통하는 짧은 변 방향(폭 방향)에 따른 인장력의 분포를 나타내고, (91)은 평판(10)의 짧은 변 방향의 단면부의 응력이며, (92)는 중앙부의 응력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10)에 발생하는 응력은, 거싯플레이트(20)의 하부 지단부(22)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32)의 용접 지단부(33)에서 가장 커진다.
또한, 거싯플레이트(20)는, 용접 시의 가열에 의해 팽창하며, 그 후의 냉각에 의하여 수축하지만, 평판(10)의 팽창과 수축은, 거싯플레이트(20)의 팽창, 수축보다 작기 때문에, 거싯플레이트(20)의 용접부(31)(32)에 용접열 응력에 의한 인장 잔류 응력이 발생하며, 이 인장 잔류 응력도 모서리 돌림 용접부(32)의 용접 지단부(33)에서 최대가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거싯플레이트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 있어서 피로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오래전부터 용접부에 해머 피닝(hammer peening) 처리나 레이저 피닝 처리를 실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만, 작업 부하가 크기 때문에,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근래의 10년, 용접 금속의 마르텐사이트 변태점을 저하시켜, 저온영역에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켜서, 변태 팽창에 의해 용접부의 잔류 인장 응력을 경감시키거나, 약간의 압축 응력을 도입하는 저 변태점 용접 재료 및 이러한 용접 재료를 이용한 용접 시공법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6).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도, 용접부의 피로 수명의 향상은 기껏해야 기존의 1.5 ~ 2배 정도에 머물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평11(1999년)13829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 2000-28872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공개 2000-17380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 공개 2002-113577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허 공개 2003-275890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국 특허 공개 2003-290972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거싯플레이트과 고장력강철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피로 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방법, 및 상기 용접 방법에 의해 용접된 용접 이음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의 해결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중에,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서의 거싯플레이트 단부로부터의 비드의 길이에 착안하여,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을 일반적으로 각장(leg length)이라고 칭하는 비드 길이 7mm에서 실시한 후, 이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선단에 다양한 길이의 신장 비드를 형성하고, 신장 비드의 길이와 신장 비드 선단부의 응력 집중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실험을 실시했다.
이 때 중요한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모재로서 800MPa의 고장력강철(크기 : 폭 200 × 길이 1000 × 두께 20mm), 거싯플레이트로서 800MPa의 고장력강철(크기 : 폭 50 × 길이 200 × 두께 20mm)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서, 세로축은 응력 집중도이며, 가로축은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선단으로부터 신장시킨 신장 비드의 길이이다. 또한, 응력 집중도는, 신장 비드가 형성되지 않은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의 경우에 있어서의 용접부 지단 위치의 응력에 대한 비율로 표시되어 있다. 도 6으로부터, 신장 비드가 짧은 영역에서 응력 집중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신장 비드가 7mm인 경우 응력 집중도가 0.4 정도까지 저하하며, 10mm에서 0.3 정도까지 충분히 저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mm 이상에서는 0.2 보다 다소 작고 안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장 비드를 10mm 이상 형성함으로써 응력 집중이 충분히 완화되고, 그 결과,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서의 피로 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자는, 다음으로, 용접열 응력에 기인하는 인장 잔류 응력과 신장 비드의 길이, 및 용접 재료 종류의 관계에 대해서 실험을 실시했다. 즉, 종래 용접 재료 및 용접 금속의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 온도)가 350℃ 이하인 저 변태점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비드 길이(각장) 10mm) 후, 신장 비드의 길이를 변화시켜서 신장 비드 선단부의 표면 위치 및 깊이 5mm의 위치에서의 인장 잔류 응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저 변태 용접 재료는, 피용접재료와의 용접에 의하여 형성된 용접 금속의 Ms 온도가 350℃ 이하인 용접 재료를 말하며, 용접 재료 자체의 Ms 온도는 250도 이하이다.
그리고 이 때의 주요한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모재로서 800MPa의 고장력강철(크기 : 폭 200 × 길이 1000 × 두께 20mm), 거싯플레이트로서 800MPa의 고장력강철(크기 : 폭 50 × 길이 200 × 두께 20mm)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용접 재료의 화학 조성은, C 0.12wt%, Ni 1.5wt%, Mo 0.5wt%이며, 저 변태점 용접 재료의 화학 조성은 C 0.05wt%, Cr 14wt%, Ni 9wt%이다.
측정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 세로축은 잔류 응력이며, 가로축은 거싯플레이트 단부로부터의 비드 길이(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비드 길이)이다. 그리고, 종래 용접 재료 (도 7에서는 "종래재"로 표시)의 표면 위치에서의 잔류 응력을 ●, 깊이 5mm 위치에서의 잔류 응력을 ■로 표시하며, 저 변태점 용접 재료(도 7에서는, "저 변태용재"로 표시)의 표면 위치에서의 잔류 응력을 ○, 깊이 5mm의 위치에서의 잔류 응력을 □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인장 잔류 응력은 양의 값으로 표시하고, 압축 잔류 응력은 음의 값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측정 결과는, 중성자 회절에 의한 잔류 응력 측정과 FEM 유한요소해석의 응력 해석으로부터 얻은 결과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용접 재료를 이용한 경우, 모서리 돌림 용접이 행해진 때(비드 길이(각장) 10mm)에는, 표면 위치에서 300MPa 정도, 깊이 5mm 위치에서 680MPa 정도의 인장 잔류 응력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후, 비드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어떤 위치에서도 인장 잔류 응력이 상승하여, 비드 길이가 80mm(신장 비드 길이 : 70mm)된 경우에는 800MPa 정도의 큰 인장 잔류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저 변태점 용접 재료를 이용한 경우, 모서리 돌림 용접이 행해졌을 때(비드 길이(각장) 10mm)의 인장 잔류 응력은, 깊이 5mm 위치의 경우, 300MPa이지만, 비드 길이 17mm(신장 비드 길이 7mm)의 위치에서 인장 잔류 응력이 소실하고 있다. 그리고, 비드 길이가 17mm 이상이 되면, 반대로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비드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이 압축 잔류 응력은 커지고, 최종적으로는, 300MPa 정도의 큰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표면 위치의 경우에는, 모서리 돌림 용접이 행해졌을 때, 이미 170MPa 정도의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하고 있으며, 비드 길이가 80mm의 위치에서는 580MPa 정도의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신장 비드 길이 7mm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에 있어서, 응력 집중도를 충분히 저하시킬 수 있는 길이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종래 용접 재료와 저 변태점 용접 재료는 비드 길이의 신장이 잔류 응력에 따라서 반대의 영향을 미치며, 저 변태점 용접 재료일 경우는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이하, 간단히 "거싯플레이트 단부"라고도 칭함)로부터, 길이 17mm 이상의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확실하게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 있어서의 피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 후, 용접 금속의 Ms 온도가 350도 이하인 저 변태점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거싯플레이트와 평행하게 거싯플레이트 단부로부터의 비드 길이가 17mm 이상이 되도록 신장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용접 지단부의 기하학적 요인으로부터 발생되는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는 동시에, 큰 압축 잔류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피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있다.
그리고, 종래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 후, 용접 금속의 Ms 온도가 350도 이하인 저 변태점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거싯플레이트와 평행으로 거싯플레이트 단부로부터의 비드 길이가 17mm 이상이 되도록 신장 비드를 형성하여도, 마찬가지로, 피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거싯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의 비드 길이가 잔류 응력의 내용을 크게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길이 17mm 이상인 비드의 형성은, 상기와 같이,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 후에 신장 비드를 형성하는 것 외에도, 모서리 돌림 용접 시에 한번에 17mm 이상의 비드 형성을 실시하여도, 마찬가지로, 피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 있어서의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연구로서, 종래부터, 용접 후, 드레싱 등의 후 처리를 행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처리에 의한 피로 강도의 향상은 충분하다고 할 수 없으며, 또, 그 효과도 불안정하였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용접 금속의 Ms 온도가 350도 이하인 저 변태점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17mm 이상의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높은 피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의거한 것이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거싯플레이트를 고장력철강에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해 용접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용접 금속의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점이 350℃ 이하인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17mm 이상 길이의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이다.
그리고,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비드를 형성하는 방법이, 모서리 돌림 용접 후,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해 형성된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의 비드 선단부에, 부가하여 신장 비드를 형성하는 비드 형성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용접 방법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비드를 형성하는 방법이, 모서리 돌림 용접시에,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에 17mm 이상 길이의 비드를 형성하는 비드 형성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용접 방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설명한 길이 17mm 이상의 비드는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비드의 폭은 도 8에 도시한 돌림 용접 폭 (D) 이상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응력 집중의 완화 및 압축 잔류 응력 발생의 관점에서는, 도 8과 같이, 돌림 용접부 폭 (D)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비드의 비드의 폭이, 돌림 용접부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접 방법이다.
다음으로, 신장 비드는,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해 형성된 비드부의 선단에 형성되지만, 모서리 돌림 용접부를 덮도록 거싯플레이트 단부로부터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 돌림 용접 후, 거싯플레이트 단부와의 접속부에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매끄러운 형상으로 신장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더 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서리 돌림 용접 시, 긴 비드를 형성 할 때에도, 거싯플레이트 단부와의 접속부에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매끄러운 형상으로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더 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와의 접속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서,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접 방법이다.
다음으로, 모서리 돌림 용접 후,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해 형성된 비드부의 선단에 신장 비드를 형성하는 경우, 신장 비드는, 통상,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선단의 일부에 중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모서리 돌림 용접부와 신장 비드와의 접속부에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매끄러운 형상으로 신장 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피로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해 형성된 비드 용접부와의 접속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서, 신장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용접 방법이다.
이상과 같은 용접 방법을 사용하여 용접된 용접 이음부는, 응력 집중이 크게 완화되고, 또한, 큰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로 강도가 충분히 향상된 용접 이음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즉,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거싯플레이트가 고장력철강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이음부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은, 기존 강철 구조물에 있어서의 피로 수명 및 파괴 수명 연장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즉, 현재, 세계의 인프라 구조물인, 예를 들면, 다리나 고속도로 등의 강철 구조물에서는,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보수나 보강이 실시되어, 피로 수명 및 파괴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조선 및 탱크 등의 운송물이나 압력 용기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검사나 처리가 행하여져서, 피로 수명 및 파괴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 및 그 확대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철 구조물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32)에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피로에 의한 크랙(피로 균열)(40)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피로 균열(40)에 대해서, 종래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 용접을 실시하여 보수 용접부(34)를 형성함으로써 보수를 실시했다.
그러나 종래의 보수 방법의 경우, 보수 용접부(34)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응력 집중을 충분히 완화할 수 없고, 피로 수명 및 파괴 수명을 충분히 연장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서, 미리 종래의 보수 용접부를 형성한 후, 본 발명을 적용하고, 용접 금속의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점이 350℃ 이하인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거싯플레이트의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비드 길이가 17mm 이상이 되도록 신장 비드를 형성하고 보수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로 수명 및 파괴 수명을 충분히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거한 신장 비드의 형성은, 사전에 보수 용접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또, 이미 보수 용접부를 형성한 기존의 강철구조물에 대해서 적용해도, 피로 수명 및 파괴 수명의 연장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균열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의 보수에 한정되지 않고, 사전 예방으로서의 보강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피로 수명 및 파괴 수명을 대폭으로 연장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정기 검사의 기간을 대폭 연장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비용의 대폭적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의 형성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돌림 용접부 폭보다 큰 비드 폭으로 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비드 선단부와의 접속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서 형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0(d)에 보수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10(d)에 있어서는, 보수 용접부(34)의 형성 이외에, 보수 용접부(34)를 덮는 형태로,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거싯플레이트(gusset plate)(20)의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17mm 이상의 길이로,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돌림 용접부 폭보다 큰 비드 폭의 신장 비드(35)를 형성하고 있다.
즉,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기존 강철 구조물에 있어서 거싯트(gusset)와 모재로 이루어진 모서리 돌림 용접부를 용접에 의하여 보수 또는 보강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용접 금속의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점이 350℃ 이하인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거싯플레이트의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의 비드부의 길이가 17mm 이상이 되도록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이다.
그리고,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비드 선단부에 보수 용접 또는 보강 용접을 형성한 후, 상기 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용접 방법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비드의 비드 폭이, 돌림 용접부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용접 방법이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와의 접속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서, 상기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용접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싯플레이트와 고장력강철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피로 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접 구조물의 허용 하중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 구조물의 고장력화를 크게 확대시킨다. 그 결과, 중량 경감 등에 의한 저탄소화 사회로의 요구에 크게 공헌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허용 응력 상승에 따른 안전성 향상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용접 구조물의 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보수나 보강의 관점에서도 이점이 있다. 전쟁 후, 건설되어, 40년 이상 경과한 구조물이, 최근 10년 내로 대부분이 폐물이 되지만, 본 발명은 보수나 보강에 의한 수명 연장의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접 방법으로 제작된 용접 이음부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용접 방법으로 제작된 용접 이음부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으로 제작된 용접 이음부의 다른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a은 평면도, 도 3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으로 제작된 용접 이음부의 다른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으로 제작된 용접 이음부의 다른 일례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a는 평면도, 도 5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신장 비드의 길이와 응력 집중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모서리 돌림 용접부에 형성된 비드의 길이와 잔류 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이음부의 다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이음부의 다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 9a는 평면도 및 도 9b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을 보수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은 거싯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인장력을 가하였을 때 평판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동일 및 동등한 범위 내에서 다음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다양한 변경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용접 이음부의 개요와, 종래의 용접 이음부의 개요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으로 제작된 용접 이음부를, 또한 도 2에 종래의 용접 방법으로 제작된 용접 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1, 도 2에 있어서 각각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종래의 용접 이음부에 있어서는, 종래의 모서리 돌림 용접을 이용하여, 모재인 평판(10)과 거싯플레이트(20)가 용접되어, 거싯플레이트(20)의 하부측면의 용접부(31) 및 모서리 돌림 용접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용접 이음부에 있어서는, 모서리 돌림 용접부(32)의 선단에, 거싯플레이트 단부로부터의 비드 길이가 17mm 이상이 되도록, 부가하여 신장 비드(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접 이음부를 제작함으로써,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피로 강도가 크게 향상된다. 또한 신장 비드(35)의 형성은, 먼저 형성된 모서리 돌림 용접부(32)의 비드 온도가 Ms점까지 냉각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s 점까지 냉각한 후, 신장 비드(35)를 형성하려고 하면, 재가열에 의하여, 표면의 일부에 변태되지 않는 영역이 생겨서, 변태 영역과의 경계에 인장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 도 1에 도시한 비드 형성 방법 이외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경우, 모서리 돌림 용접부(32)의 비드의 선단부 근처에서부터, 연결 부분을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서 돌림 용접부 폭과 동일한 폭으로 신장 비드(35)를 형성하여, 소정의 길이의 비드를 형성하고있다.
도 4의 경우는, 모서리 돌림 용접부(32)의 비드 전체를 덮는 상태에서, 거싯플레이트 단부에서부터, 돌림 용접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신장 비드(35)를 형성하고 있다.이 경우 거싯플레이트 단부와의 접속부에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매끄러운 형상으로 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의 경우는, 모서리 돌림 용접 시, 한번에 긴 비드를, 거싯플레이트의 단부에서부터 돌림 용접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거싯플레이트 단부와의 접속부에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매끄러운 형상으로 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 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실험은, 용접 재료로서, (C 0.1wt% 이하, Cr 8 ~ 13wt%, Ni 5 ~ 12wt%를 베이스로 하는 화학조성이며, 용접 금속의 Ms 온도 350℃ 이하인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을 실시한 후, 동일한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표 1에 표시한 길이의 각각의 신장 비드를 형성하고, 각각의 신장 비드 선단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도 및 잔류 응력의 크기를 측정함과 동시에, 피로강도로서, 응력 범위 150MPa의 하중(± 150MPa의 하중)을 10회/초 반복해서 부여하여, 파단하였을 때의 반복 횟수(피로 파단 횟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비교를 위하여, 종래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통상의 모서리 돌림 용접을 실시하여, 이와 같은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서리 돌림 용접의 비드 길이(각장(leg length))는 일반적인 비드 길이인 7mm로 설정하였다. 또한 모재로서는 800MPa의 고장력강철(크기: 폭 200 × 길이 1000 × 두께 20mm)를, 또한 거싯플레이트로서는 800MPa의 고장력강철(크기: 높이 50 × 길이 200 × 두께 20mm)을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냈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응력 집중도는, 각각의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도 2의 용접 이음부, 즉 신장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용접 이음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도를 1로 한 상대값으로 표시하였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응력 집중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잔류 응력은, +가 인장 잔류 응력, -가 압축 잔류 응력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피로 강도는 종래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도 2의 용접 이음부의 피로 파단 횟수 δ를 기준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δ는, 시험체의 형상에 따라서, 예를 들면, 폭 70 × 길이 1000 × 두께 12mm의 모재 및 높이 50 × 길이 100 × 두께 12mm인 거싯플레이트의 경우에는 500만 회 정도, 폭 160 × 길이 1000 × 두께 20mm의 모재 및 높이 50 × 길이 150 × 두께 20mm인 거싯플레이트의 경우에는 30만 회 정도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10mm의 신장 비드, 즉, 길이 17mm인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응력 집중도가 1에서 0.4까지 급격하게 저하하고 있으며, 40mm 이상의 신장 비드에서는 0.2로 안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모서리 돌림 용접부 만으로 신장 비드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실험예 1-1)에는, 표면에서는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하고 있지만, 깊이 5mm의 위치에서는 아직 인장 잔류 응력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피로 강도는 종래의 1.5배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10mm의 신장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깊이 5mm 위치에도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하며, 표면의 압축 잔류 응력의 증가와 더불어서, 피로 강도는 3배까지 향상하고 있다(실험예 1-2). 또한, 40mm 이상의 신장 비드에서는, 표면, 깊이 5mm 모두 압축 잔류 응력이 증가하여, 피로 강도는 15배까지 크게 향상하고 있다(실험예 1-4 ~ 1-6).
또한, 상기의 실험에서는, 모서리 돌림 용접 후, 신장 비드의 형성을 실시하고 있지만, 모서리 돌림 용접 시에 긴 비드를 형성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 설명으로부터, 저 변태점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10mm 이상의 신장 비드, 즉 거싯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17mm 이상의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피로 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0mm 이상의 신장 비드를 형성하여도,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는 포화하기 때문에, 저 변태점 용접 재료를 이용한 신장 비드의 형성은 40mm, 즉, 거싯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47mm인 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응력 집중도 저하와 압축 잔류 응력의 발생에 의해, 피로 강도의 비약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험 - 2)
이하에서는, 기존 강철 구조물의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보수, 보강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d와 같이, 보수 용접부(34)를 덮는 형태이며, 저 변태점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40mm 길이의 신장 비드(35)를 형성하고, 용접 지단부의 응력 집중도, 표면 위치 및 깊이 5mm에서의 잔류 응력, 및 피로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는, 보강 처리를 위하여, 보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장 비드를 형성시켰을 때의 결과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2
표 2에서, 보수, 보강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신장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피로 강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피로 수명 및 파괴 수명을 대폭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0 : 평판
20 : 거싯플레이트
21 : 거싯플레이트의 하부 측면부
22 : 거싯플레이트의 하부 지단부
31 : 거싯플레이트의 하부 측면의 용접부
32 : 모서리 돌림 용접부
33 :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용접 지단부
34 : 보수 용접부
35 : 신장 비드
40 : 피로 균열
90 : 인장력의 분포
91 : 평판의 짧은 변 방향의 단면부의 응력
92 : 평판의 짧은 변 방향 중앙부의 응력

Claims (11)

  1. 거싯플레이트를 고장력강철에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해 용접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용접 금속의 마르텐 사이트 변태 개시점이 350℃ 이하의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17mm 이상 길이의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를 형성하는 방법이, 모서리 돌림 용접 후,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해 형성된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의 비드 선단부에, 부가하여 신장 비드를 형성하는 비드 형성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를 형성하는 방법이, 모서리 돌림 용접 시에,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에, 17mm 이상 길이의 비드를 형성하는 비드 형성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의 비드 폭이, 돌림 용접부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와의 접속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서,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돌림 용접에 의해 형성된 비드 용접부와의 접속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서 신장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거싯플레이트가 고장력강철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이음부.
  8. 기존 강철구조물에 있어서의 거싯트와 모재로 이루어진 모서리 돌림 용접부를 용접에 의하여 보수 또는 보강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용접 금속의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점이 350℃ 이하인 용접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거싯플레이트의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의 비드부의 길이가 17mm 이상이 되도록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돌림 용접부의 비드 선단부에 보수 용접 또는 보강 용접을 형성한 후, 상기 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의 비드 폭이, 돌림 용접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싯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부와의 접속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서 상기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KR1020147014630A 2011-11-09 2012-10-26 용접 방법 및 용접 이음부 KR201400939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5441 2011-11-09
JP2011245441A JP5881055B2 (ja) 2011-11-09 2011-11-09 溶接方法および溶接継手
PCT/JP2012/077790 WO2013069484A1 (ja) 2011-11-09 2012-10-26 溶接方法および溶接継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971A true KR20140093971A (ko) 2014-07-29

Family

ID=4828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630A KR20140093971A (ko) 2011-11-09 2012-10-26 용접 방법 및 용접 이음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01776A1 (ko)
EP (1) EP2777865B1 (ko)
JP (1) JP5881055B2 (ko)
KR (1) KR20140093971A (ko)
CN (1) CN103917327B (ko)
WO (1) WO2013069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58222T3 (es) * 2012-11-29 2018-03-0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Método para la formación de junta de soldadura por arco en ángulo y junta de soldadura por arco en ángulo
CN105069183B (zh) * 2015-07-10 2017-12-26 厦门理工学院 一种焊接的模拟方法和装置
JP6740805B2 (ja) * 2016-08-23 2020-08-19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溶接方法、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溶接継手
CN107414331B (zh) * 2017-08-29 2020-04-2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间断式角焊方法
CN109604851A (zh) * 2018-12-19 2019-04-12 内蒙古北方重型汽车股份有限公司 矿车车厢铰接支架角焊缝的焊接方法
JP7406795B2 (ja) * 2020-01-28 2023-12-28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溶接方法および溶接構造物
CN113145980B (zh) * 2021-04-30 2022-07-2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包角焊接工艺
JP7468460B2 (ja) 2021-06-09 2024-04-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疲労強度に優れた回し溶接継手および回し溶接方法
CN113857728B (zh) * 2021-10-25 2023-11-07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船舶组立件焊接的焊接方法
CN113932074B (zh) * 2021-10-29 2022-07-15 临海伟星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钢丝网增强复合管高压连接接头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40846A1 (de) * 1965-03-04 1970-07-02 Ishikawajima Harima Jokugyo Ka Schweissverfahren fuer Stahl von hoher Zugfestigkeit
JPS56134067A (en) * 1980-03-22 1981-10-20 Nippon Steel Corp Fillet build-up welding method
JPS5966619A (ja) * 1982-10-06 1984-04-16 Hitachi Ltd ガスタ−ビン燃焼器
US5233149A (en) * 1991-08-02 1993-08-03 Eaton Corporation Reprocessing weld and method
JPH0724570A (ja) * 1993-07-09 1995-01-2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すみ肉溶接方法
JPH09253843A (ja) * 1996-03-21 1997-09-30 Kawasaki Heavy Ind Ltd 応力緩和溶接ビード構造
EP0850719B1 (en) * 1996-12-27 2003-09-03 Kawasaki Steel Corporation Welding method
JP3350726B2 (ja) 1996-12-27 2002-11-25 川崎製鉄株式会社 溶接方法および溶接材料
JP3545610B2 (ja) 1997-10-29 2004-07-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ワイヤおよび溶接方法
US6336583B1 (en) * 1999-03-23 2002-01-08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Welding process and welded joints
JP3718365B2 (ja) 1999-04-07 2005-11-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疲労強度溶接継手
JP3937389B2 (ja) * 2000-09-29 2007-06-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構造部材の溶接方法および溶接接合部
JP2002113577A (ja) * 2000-10-05 2002-04-16 Nippon Steel Corp 低温変態溶材を用いた溶接施工方法および鋼構造物
JP4926353B2 (ja) * 2001-09-27 2012-05-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2003251489A (ja) * 2002-02-27 2003-09-09 Jfe Steel Kk 低合金鉄鋼材料の溶接継手及びその溶接方法
JP4733903B2 (ja) * 2002-03-18 2011-07-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疲労寿命向上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よる長寿命溶接継手
JP4394860B2 (ja) * 2002-04-08 2010-01-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超低温変態溶材を用いた溶接施工方法および高疲労強度継手ならびに超低温変態溶材
KR100659030B1 (ko) * 2002-09-09 2006-12-21 도쿠리츠교세이호징 붓시쯔 자이료 겐큐키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
AU2003901595A0 (en) * 2003-04-08 2003-05-01 Onesteel Trading Pty Limited Welded connections
JP4571432B2 (ja) * 2004-02-17 2010-10-27 株式会社アークリエイト 鉄骨構造物柱梁接合部の梁と内ダイアフラム直結工法
US20100006545A1 (en) * 2005-12-22 2010-01-14 Macia Mario L Welding of Pipeline to Enhance Strain Performance
JP4936813B2 (ja) * 2006-07-24 2012-05-23 株式会社東芝 炉心シュラウドの溶接方法
CN1916225A (zh) * 2006-09-06 2007-02-21 天津大学 一种改善焊接结构的疲劳性能的相变喷熔方法
CN102554507A (zh) * 2012-02-01 2012-07-11 天津大学 一种产生残余压缩应力的实芯焊丝及其在不锈钢焊接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7865B1 (en) 2017-02-22
CN103917327A (zh) 2014-07-09
US20140301776A1 (en) 2014-10-09
WO2013069484A1 (ja) 2013-05-16
CN103917327B (zh) 2017-09-29
JP2013099764A (ja) 2013-05-23
EP2777865A4 (en) 2015-09-02
JP5881055B2 (ja) 2016-03-09
EP2777865A1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3971A (ko) 용접 방법 및 용접 이음부
CN103264356B (zh) 一种超声冲击枪用多针式冲击头及其设计方法
KR20120095364A (ko) 기계적 저항성에 국지 변이를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RU2545855C1 (ru) Способ повторного нагрева сварной зоны рельсов
KR20170121278A (ko) 용접 구조체
CN109196126B (zh) 具有优异疲劳特性的焊接接头及用于制造其的方法
CN1257790C (zh) 提高焊接接头疲劳性能的实芯焊丝
Oh et al. Fatigue test of an advanced orthotropic steel deck system using high performance steel for bridges
KR20180074826A (ko) 용접부 내기공성 및 피로 특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용접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69846B (zh) A thick steel sheet excellent in fatigue resista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thick welded steel joint
RU2423262C1 (ru) Куз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JP2007044698A (ja) 溶接構造物及び構造物の溶接方法
JP5055758B2 (ja) ステンレス鋼の溶接継手
JP6740805B2 (ja) 溶接方法、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溶接継手
JP2014233747A (ja) ガセット板の溶接方法
JP2012223818A (ja) 疲労特性に優れた構造物
JP2015229183A (ja) 疲労特性に優れた構造物
JP2005144503A (ja) 耐疲労溶接継手およびその溶接方法
WO2024090319A1 (ja) 低温ガス用タンク、低温ガス用タンクの製造方法
JP2021115612A (ja) 溶接方法および溶接構造物
JP2004337938A (ja) 疲労強度の高い溶接継手
CN107052684A (zh) 一种钢结构板单元焊接反变形翻转胎架及其使用方法
JP2024062502A (ja) 低温ガス用タンク、低温ガス用タンクの製造方法
JP6300779B2 (ja) 耐食性と防眩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製レーザ溶接形鋼の製造方法
CN114761169A (zh) 预应力钢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