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842A - 프린터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842A
KR20140059842A KR1020147008996A KR20147008996A KR20140059842A KR 20140059842 A KR20140059842 A KR 20140059842A KR 1020147008996 A KR1020147008996 A KR 1020147008996A KR 20147008996 A KR20147008996 A KR 20147008996A KR 20140059842 A KR20140059842 A KR 20140059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rame
closing arm
platen roller
pla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965B1 (ko
Inventor
마사히로 츠치야
유키히로 모리
스미오 와타나베
마사루 기하라
요시나리 다카바타케
데츠히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230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75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23035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60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23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75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26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9691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84427A external-priority patent/JP5977516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9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35Structure of thermal heads
    • B41J2/33505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2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pressure adjustment mechanisms, e.g. pressure-on-the pape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1Thermal printer with head or platen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프린터 장치는, 프레임 후면부를 갖는 프레임과, 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당해 프레임에 지지되는 개폐 암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암 또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레임 후면부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레임 후면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프레임 후면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린터 장치{PRINTER DEVICE}
본 발명은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 장치는, 상점 등의 계산대, 은행 등의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및 CD (Cash dispenser) 등의 용도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록지가 되는 감열지를 반송하면서, 기록지를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 개재시켜 서멀 헤드 등에 의해 기록지 소정의 위치에 인쇄 등이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프린터 장치는,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 기록지를 용이하게 개재시킬 수 있도록, 플래튼 롤러를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보 제3734753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318260호(특허공보 제3599595호)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68551호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94767호
그런데, 서멀 헤드 등에 의해 기록지에 인쇄 등을 행하는 통상의 프린터 장치는, 인쇄시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서멀 헤드를 플래튼 롤러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로크 암 부재에 설치되고 플래튼 롤러의 둘레면을 라인 서멀 헤드 쪽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과, 로크 암에 형성된 작업편과, 상기 작업편과 맞물려서 이 작업편을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버티게 하는 버팀 수단과, 플래튼 롤러의 회전축과 로크 암 부재의 회전축 지지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플래튼 롤러 이탈 수단을 구비하는 서멀 프린터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프레임에,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을 가이드하는 형상을 가지는 슬릿을 설치하고, 서멀 헤드를 플래튼 롤러에 압접하는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로크 암으로,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을 상기 슬릿으로 밀어붙여서, 플래튼 롤러를 지지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압 스프링은, 서멀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체와 로크 암을 서로 떨어지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로크 암과 서멀 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플래튼 롤러를 서멀 헤드에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과, 서멀 헤드와 본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서멀 헤드를 플래튼 롤러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한 서멀 프린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서멀 헤드와 플래튼이 유닛화되어 있는 서멀 프린터에 있어, 상기 플래튼을 상기 서멀 헤드에서 떨어지도록 움직일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플래튼을 움직여서 상기 플래튼을 상기 서멀 헤드에서 이격시켜, 용지를 서멀 헤드와 플래튼 사이를 통하여 세팅할 때의 용지 통로를 형성한 서멀 프린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코일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가 로크 암의 후면 지지판에 설치되고, 가압 부재에 의해 서멀 헤드가 로크 암의 후면 지지판에 대해 플래튼 롤러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 후면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개폐 암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개폐 암에 지지된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레임 후면부와 상기 플래튼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레임 후면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프레임 후면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과, 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개폐 암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암 또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며, 한쪽 단부가 상기 개폐 암에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프린트 헤드에 접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개폐 암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암 또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개폐 암에 접속되며, 상기 개폐 암 또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플래튼 롤러가 지지된 경우에 당해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튼 롤러를 탈착할 때 프린트 헤드에 강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고, 내구성을 높게 하고 수명을 길게 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가압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가압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가압 스프링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2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8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튼 베어링과 개폐 암과 프레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튼 베어링과 개폐 암과 프레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튼 베어링과 개폐 암과 프레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플래튼을 꺼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플래튼을 꺼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개폐 암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개폐 암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는 기록지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기록지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기록지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개폐 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개폐 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개폐 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플래튼 롤러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플래튼 롤러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9는 도 58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플래튼 롤러를 꺼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플래튼 롤러를 꺼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플래튼 롤러를 꺼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플래튼 롤러를 꺼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8은 종래의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9는 종래의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2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9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의 측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9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프린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가압 부재가 개폐 암(로크 암)의 후면 지지판에 설치된 구성의 프린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과 도 2는 가압 부재가 개폐 암의 후면 지지판에 설치된 일반적인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 장치(900)는 히트 싱크를 가지는 서멀 헤드(910), 플래튼 롤러(920), 개폐 암(930), 코일 스프링(950), 프레임(960)을 가진다. 서멀 헤드(910), 플래튼 롤러(920), 개폐 암(930) 및 코일 스프링(950)은 프레임(960)에 설치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920)는 개폐 암(930)에 지지된다. 개폐 암(930)에는 후면 지지판(940)이 설치되어 있고, 후면 지지판(940)과 서멀 헤드(910) 사이에 코일 스프링(950)이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 장치(900)에서는, 코일 스프링(950)의 복원력이, 화살표 A1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910)를 통해 플래튼 롤러(920)에 가해진다. 그로 인해, 서멀 헤드(910)에는, 코일 스프링(950)에 의해 플래튼 롤러(920)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950)의 복원력은, 화살표 B1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920)를 통해 개폐 암(930)에도 가해지고 있다. 플래튼 롤러(920)는 코일 스프링(9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암(930)에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프린터 장치(900)에서 기록지에 인쇄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서멀 헤드(910)와 플래튼 롤러(920)의 사이에 미도시의 기록지를 개재시켜 기록지에 인쇄 등을 행한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록지를 설치할 때 등에는, 개폐 암(930)을 화살표 C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플래튼 롤러(920)를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이 때, 후면 지지판(940)은 개폐 암(93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후면 지지판(940)도 서멀 헤드(910)에 대하여 이동한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920)를 탈착할 때, 후면 지지판(940)과 서멀 헤드(910)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950)이 수축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950)에는 강한 복원력이 생기고, 이 힘이 응력으로서 히트 싱크를 통해 서멀 헤드(910)의 뒤쪽에 강하게 가해진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프레임(960)의 위치를 일점 쇄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프린터 장치)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프린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는, 도 3내지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가 되는 서멀 헤드(110), 플래튼 롤러(120), 개폐 암(130), 제1 가압 스프링(140), 제2 가압 스프링(150, 예를 들어 도 7 참조), 프레임(160), 모터(170) 및 기어부(180)를 가진다. 서멀 헤드(110), 플래튼 롤러(120), 개폐 암(130), 제1 가압 스프링(140) 및 제2 가압 스프링(150)은 프레임(160)에 설치되어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100)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인데, 도 3은 전방에서의 사시도, 도 4는 후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인데, 도 5는 전방에서의 사시도, 도 6은 후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과 도8은 모터(170) 및 기어부(180)를 분리하여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인데, 도 7 은 전방에서의 사시도, 도 8은 후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플래튼 롤러(120), 모터(170) 및 기어부(180)를 분리하여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인데, 도 9는 전방에서의 사시도, 도 10은 후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베어링(121)을 가진다. 프레임(160)은 프레임 측면부(161) 및 프레임 후면부(162,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를 가진다.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개폐 암(130) 및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 유지되어 있다. 모터(170)는 프레임(160)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170)를 회전시킴으로써 기어부(180)를 통해 플래튼 롤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프린터 장치(100)는, 서멀 헤드(110)의 후면에 설치되어 헤드 지지판이 되는 히트 싱크(111)를 더 포함한다. 프레임(160)의 프레임 후면부(162)는 히트 싱크(111)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 스프링(140)은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코일 스프링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가압 스프링(140)은 히트 싱크(111)와 프레임 후면부(16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110)는 히트 싱크(111)를 통해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제1 가압 스프링(140)은 프레임(160)과 서멀 헤드(110)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가압 스프링(140)은 서멀 헤드(110)를 플래튼 롤러(120)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개폐 암(130)은, 암 회전축(131), 개폐 암 후면부(132), 개폐 암 측면부(133, 도 14 참조) 및 개폐 암 조작부(134)를 가진다. 개폐 암(130)은, 프레임(160)에 대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 측면부(161)에 지지되어 있다.
제2 가압 스프링(150)은 개폐 암(130)의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감겨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 등으로 할 수 있다(도 16 참조).
도 7, 도 9, 도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압 스프링(150)은,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 장착되고,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를 서멀 헤드(110)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가압 스프링(150)의 한쪽 단부(151)는 프레임 측면부(161)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152)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의 일부에 접하고 있다.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는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서멀 헤드(110)가 설치되어 있는 쪽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제2 가압 스프링(15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도 13은 개폐 암 후면부(132)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모터(170) 및 프레임(160) 등을 분리하여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개폐 암 측면부(133)는 플래튼 롤러(120)의 양단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13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은, 개폐 암 측면부(133)가 개폐 암 후면부(132)에 의해 접속되어 일체로 되어 있고, コ 모양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암 후면부(132)는 플래튼 롤러(120)의 연장 방향 및 서멀 헤드(110, 도 13 등에는 미도시)의 연장 방향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서멀 헤드(110) 또는 서멀 헤드(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개폐 암 조작부(134)는, 개폐 암(130)을,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개폐 암 조작부(134)를 누름으로써, 개폐 암 조작부(134)는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프레임(160) 등에 대하여 개폐 암(130)이 회동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는, 도 8, 도 10, 도 13,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111)의 양단에 돌기부(11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는 개구부(161a)가 설치되어 있다. 히트 싱크(111)는, 돌기부(111a)가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 설치된 개구부(161a)에 끼워짐으로써, 프레임(160)에 고정된다. 이로써, 히트 싱크(111) 및 히트 싱크(111)에 접속되어 있는 서멀 헤드(110)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제2 가압 스프링)
이어서, 제2 가압 스프링(15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가압 스프링(150)은,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 및 개폐 암(130)에 접하고 있어서, 개폐 암(130)을 프레임(160)(의 후면부 162)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개폐 암(130)에 유지된 플래튼 롤러(120)를 서멀 헤드(110) 쪽으로 가압한다.
도 16 과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가압 스프링(1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에서는, 설명을 위해 개폐 암 측면부(133) 및 프레임 측면부(161)를 나타내지 않는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압 스프링(15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 등이며, 한쪽 단부(151)와 다른쪽 단부(152)를 가진다. 제2 가압 스프링(150)은, 암 회전축(131)의 중심이 대략적인 중심이 되도록, 암 회전축(131)에 감겨 있다. 제2 가압 스프링(150)의 한쪽 단부(151)는 프레임 측면부(161, 도 16에서는 미도시)와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제2 가압 스프링(150)은 프레임(160)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다른쪽 단부(152)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와 접하고 있다. 또한, 제2 가압 스프링(150)의 구성은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도 47내지 도 49에 나타내는 구성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플래튼 롤러(120)를 꺼낼 때 개폐 암 조작부(134)가 화살표 B 방향으로 가압되면, 개폐 암(130)은 암 회전축(131)을 축으로 프레임(160)에 대해 회전한다. 그러나, 제2 가압 스프링(150)은 개폐 암(130)을 프레임(160)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개폐 암 조작부(134)를 화살표 B 방향으로 가압하는, 개폐 암(130)에 가해지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제2 가압 스프링(15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도 17 은 암 회전축(131), 제1 가압 스프링(140) 및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에, 제1 가압 스프링(140)에 의해 프레임 후면부(162, 도 15를 참조, 도 17 에서는 미도시)에 힘이 가해지는 위치(제1 가압 스프링(140)이 프레임 후면부(162)에 접하는 위치)를 파선 a1(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다른쪽 단부(152)와 개폐 암 후면부(132)가 접촉하고 있는 위치를 파선 a2(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으로 나타낸다. 이 때, 암 회전축(131)에서 파선 a1 위까지의 거리보다, 암 회전축(131)에서 파선 a2 위까지의 거리가 더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가압 스프링(15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지만, 일반적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 등(제1 가압 스프링 140)에 비해 복원력이 약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토크를 벌 수 있다.
(개폐 암)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1 내지 도 3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은 암 회전축(131)을 중심(131c)으로 하여 회전한다.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이 들어가는 개폐 암 개구부(1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암 회전축(131)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개폐 암 개구부(135)의 가장자리 일부를 구성하는 로크부(13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는, 플래튼 베어링(121)이 들어가는 프레임 개구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은,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 및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은 프레임 측면부(161)의 프레임 개구부(163)의 가장자리와 접해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은, 개폐 암 측면부(133)의 개폐 암 개구부(135) 및 로크부(136)에서 접해 있다. 로크부(136)는,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160) 및 개폐 암(130)에 지지되어 회전할 때 플래튼 롤러(120)가 튀어 나오는 일이 없도록, 플래튼 베어링(121)을 지지한다.
도 21는 도 19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9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베어링(121)은, 암 회전축(131)의 중심(131c)과 플래튼 베어링(121)의 중심(121c)을 연결하는 연장선 L1 에서의 접촉부(136a)에서, 개폐 암 개구부(135)의 로크부(136)와 접하고 있다. 개폐 암 개구부(135)의 로크부(136)는, 접촉부(136a)에서 암 회전축(131)의 중심(131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K1 의 일부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136)가, 암 회전축(131)의 중심(131c)과 플래튼 베어링(121)의 중심(121c)을 연결하는 연장선L1 보다 위에 있도록, 즉, 이 연장선 L1 보다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플래튼 베어링(121)을 더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 2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136)는 암 회전축(131)의 중심(131c)과 플래튼 베어링(121)의 중심(121c)을 연결하는 연장선 L1 을 넘지 않고 아래에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로크부(136)는 연장선 L1 보다 제1 가압 스프링(140)이 형성된 쪽에 있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23과 도 24는 플래튼 롤러(120)를 개폐 암(130)에 지지시킬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과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 로크부(136)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플래튼 베어링(121)을 개폐 암 개구부(135)에 넣을 때에 플래튼 베어링(121)과 접촉하는 외측 접촉부(137)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접촉부(137)는 제1 외측 접촉부(137a)와 제2 외측 접촉부(137b)를 가진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를 제1 가압 스프링(140)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에서 넣는 경우에는, 플래튼 베어링(121)은 제1 외측 접촉부(137a)에 접촉한다. 이로써,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도면에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개폐 암(130)을 회동시켜, 플래튼 롤러(120)를 개폐 암 개구부(135) 안에 넣을 수 있다. 제1 외측 접촉부(137a)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단면도에서, 플래튼 베어링(121)이 개폐 암 개구부(135) 내로 도입되었을 때 플래튼 베어링(121)이 접하는 개폐 암 개구부(135) 내의 면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경사가 구비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를 제1 가압 스프링(140)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거의 평행한 방향(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에서 넣는 경우에는, 플래튼 베어링(121)은 제2 외측 접촉부(137b)에 접촉한다. 이로써,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도면에서의 화살표 C' 방향으로 개폐 암(130)을 회동시켜, 플래튼 롤러(120)를 개폐 암 개구부(135)에 넣을 수 있다. 제2 외측 접촉부(137b)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단면도에서, 제1 외측 접촉부(137a)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경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 외측 접촉부(137b)의 경사는 수평 방향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120)가 제2 외측 접촉부(137b)에 접촉했을 때 개폐 암(130)을 아래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발생한다. 이 경우, 개폐 암 조작부(134)는, 플래튼 롤러(120)의 침입 방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개폐 암 조작부(134)를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눌러서 개폐 암(130)을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동시켰을 때 소정의 위치에서 회동이 정지하도록, 돌기부(138a)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암(130)을,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켰을 때, 프레임(160)의 프레임 저면부(164)와 돌기부(138a)가 접촉함으로써, 개폐 암(130)의 회동이 정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개폐 암(130)을 필요 이상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과 도 29는 플래튼 롤러(120)를 개폐 암(130) 및 프레임(160)에서 분리해서 떼어낼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개폐 암 조작부(134)를 누르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9는 개폐 암 조작부(134)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30은 도28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31은 도 29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9 에서의 파선은 도 28에서 나타나는 상태를 표시하고, 도 31에서의 파선은 도 30에서 나타나는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도 28과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플래튼 취출부(138b)가 설치되어 있다. 플래튼 취출부(138b)는 서멀 헤드(110)와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 사이에 설치된다. 플래튼 취출부(138b)는, 개폐 암 조작부(134)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눌러서 개폐 암(130)을 프레임(160)에 대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동시켰을 때, 플래튼 베어링(121)을 서멀 헤드(110)로부터 떼어 내어서 플래튼 베어링(121)을 개폐 암 개구부(135) 및 프레임 개구부(163)로부터 원활하게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암 조작부(134)를 누름으로써 플래튼 취출부(138b)가 플래튼 베어링(121)에 접촉하고, 플래튼 베어링(121)이 서멀 헤드(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플래튼 베어링(121)을 밀어 움직인다. 이로써, 플래튼 베어링(121)이 플래튼 취출부(138b)에 따라 개폐 암 개구부(135) 및 프레임 개구부(163) 안으로부터 밖으로 나온다. 그러므로, 플래튼 롤러(120)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프레임)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프레임(1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 내지 도 41은 본 실시형태에서 프레임(1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에서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측면부(161)에 플래튼 베어링(121)이 들어가는 프레임 개구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도 20을 참조하여 프레임 개구부(163)의 형상을 설명한다. 도 2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개구부(163)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에 대한 수직선으로서 플래튼 베어링(121)의 중심(121c)을 통하는 선 L2 으로부터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서멀 헤드(110)가 설치된 쪽, 도면에서 왼쪽)에서는, 플래튼 베어링(121)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4와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L2 으로부터 제1 가압 스프링(140)이 형성된 쪽에서는,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의 프레임 개구부(163)와 접촉하고 있다. 한편, 선 L2 으로부터 제1 가압 스프링(140)이 형성된 쪽의 반대쪽에서는,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160)이 아니라 로크부(136)의 접촉부(136a)에서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와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접촉부(136a)는 원칙적으로는 점이다.
도 38은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와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100)는, 선 L2 보다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에서는,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가,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보다, 플래튼 베어링(121)에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선 L2 으로부터 제1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에서는,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 접하고 있다. 한편, 선 L2 으로부터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서는, 플래튼 베어링(121)이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의 접촉부(136a)와 접촉하고 있다.
도 39 는 프레임(160)의 프레임 개구부(163)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60)의 프레임 개구부(163)에는, 제1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에 상측 개구 가장자리부(163b, 제1 개구 가장자리부의 일례)가, 그리고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과는 플래튼 베어링(121)을 사이에 둔 반대쪽에 하측 개구 가장자리부(163c, 제2 개구 가장자리부의 일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측 개구 가장자리부(163b)는, 선 L2과, 선 L2 에 대략 평행하고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에서 플래튼 베어링(121)과 접하는 선 L3 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 개구 가장자리부(163b)는 플래튼 베어링(121) 위에 돌출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측 개구 가장자리부(163b)는,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 L2 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하측 개구 가장자리부(163c)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략 평행하며 플래튼 베어링(121)과 접하는 선 L4 과, 암 회전축(131)의 중심(131c)과 플래튼 베어링(121)의 중심(121c)을 연결하는 연장선 L1에 평행하며 암 회전축(131)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서 플래튼 베어링(121)과 접하는 선 L5 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0과 도 41은, 프레임(160)의 프레임 개구부(163)와 개폐 암(130)의 개폐 암 개구부(135)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와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의 상측 개구 가장자리부(163b)와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의 선단부(136b) 사이의 간격 P1 이 플래튼 베어링(121)의 직경 D 보다 짧아지도록 (P1 < D)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160) 및 개폐 암(130)에 의해 지지된다.
도 41은 개폐 암 조작부(134)를 아래로 누른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의 상측 개구 가장자리부(163b)와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의 선단부(136b) 사이의 간격 P2가 플래튼 베어링(121)의 직경 D 보다 넓어져서,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도 41에서는, 설명을 위해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의 일부 구성(플래튼 취출부 138b 등)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도 40과 도 41에서, 파선은 플래튼 베어링(121)을 꺼낼 때 플래튼 베어링(121)의 궤적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가압 스프링(25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개폐 암(130)의 배치 위치가 다르고, 따라서, 제2 가압 스프링(250)의 구성 역시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다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개폐 암(130)의 암 회전축(231)이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의 상방부(도면에서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가압 스프링(250)은 암 회전축(231)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감겨 있다. 제2 가압 스프링(250)의 한쪽 단부(251)는 도 18에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 측면부(161)와 접속하고, 다른쪽 단부(252)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와 접촉하고 있다.
도 25및 도 26은, 도 18에 나타낸 구성의 프린터 장치(100)에서 플래튼 롤러 (120)를 개폐 암(130)에 유지시킬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도, 플래튼 롤러(120)를 개폐 암(130)에 유지시킬 때의 동작은, 도 23및 도 24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5는, 플래튼 롤러(120)를 제1 가압 스프링(140)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넣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6은, 플래튼 롤러(120)를 제1 가압 스프링(140)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인 방향(화살표 C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넣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 프레임(16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개구부(163)는 플래튼 베어링(12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도 36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베어링(121)은 선 L2 과 프레임 개구부(163)의 가장자리가 교차하는 근방의 접촉점(163a)에서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와 접촉하고 있다. 또한, 플래튼 베어링(121)은,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와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서, 암 회전축(131)의 중심(131c)과 플래튼 베어링(121)의 중심(121c)을 연결하는 연장선 L1 상에서 로크부(136)의 접촉부(136a)와 접촉하고 있다.
(개폐 암의 위치검출센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는, 도 42및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310)를 더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42는 개폐 암(130)과 프레임(160)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는 프레임의 프레임 후면부(162)에 대략 접하고 있다. 센서(310)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가 프레임의 프레임 후면부(162)에 접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2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에 의해 센서(310)가 눌려져서 온 상태가 된다.
프린터 장치(100)는, 기록지의 존재를 검출하는 기록지 검출센서(미도시)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42에 나타낸 상태에서, 기록지 검출센서에 의해 기록지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에는, 기록지에 정상적으로 인쇄 등을 행하도록 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한편, 기록지 검출센서에 의해 기록지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 등의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 43은, 개폐 암 조작부(134)가 아래로 눌려져, 플래튼 롤러(120)가 꺼내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와 센서(310)의 사이가 떨어져서 오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인쇄 등의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프린터 장치(100)는, 센서(310) 및 기록지 검출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인쇄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기록지 가이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는,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저면부(164)에 기록지 가이드(190)가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기록지 가이드(190)의 양쪽에는, 서멀 헤드(110)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도입부(191)가 설치되어 있다. 도입부(191)는, 기록지(미도시)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도입부(191)를 설치함으로써, 기록지(미도시)를 원활하게 서멀 헤드(110)가 설치된 쪽으로 보낼 수 있다.
기록지 가이드(190)는, 도 4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110) 또는 히트 싱크(11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92)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에 의하면, 플래튼 롤러를 탈착할 때 서멀 헤드에 강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고, 내구성을 높게 하고 수명을 길게 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에서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이 프레임(160)의 프레임 후면부(162)와 서멀 헤드(110)의 사이에 설치되고, 서멀 헤드(110)가 프레임 후면부(162)에 대해 플래튼 롤러(120)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120)의 탈착시에 개폐 암(130)을 회동시키더라도, 제1 가압 스프링(140)은 개폐 암(130)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제1 가압 스프링(140)은 거의 신축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100)는, 개폐 암(130)을 프레임(160)의 프레임 후면부(162)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 스프링(15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은, 개폐 암(130)의 개폐 암 개구부(135)와 프레임(160)의 프레임 개구부(16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데,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서멀 헤드(110)의 방향으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서멀 헤드(110)와 플래튼 롤러(120) 사이의 접촉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의 탈착시에 개폐 암(130)을 회동시키는 때에는, 개폐 암(130)을 회동시켜서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플래튼 롤러(120)를 서멀 헤드(110)에서 떼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120)를 탈착할 때 서멀 헤드(110)에 특별히 강한 응력이 가해지는 일도 없고, 서멀 헤드(110)가 변형되거나 파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은 프린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가 개폐 암(130)의 개폐 암 개구부(135) 및 프레임(160)의 프레임 개구부(163)로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 스프링(150)을 설치함으로써, 개폐 암(130)이 프레임(160)에 대해 회전된 경우에도,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암(130)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
(프린터 장치)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7내지 도 51은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있어서도, 프린터 장치(100A)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도 47 내지 도 51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는 방향이 좌우 반대로 나타내고 있다.
(개폐 암의 동작)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A)에서, 플래튼 롤러(120)를 탈착할 때 개폐 암(1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7 내지 도 49 는 프린터 장치(100A)의 개폐 암(130)과 프레임(160)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
도 47은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제1 상태)를 나타낸다. 도 48은,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낼 때 개폐 암(130)이 프레임(160)에 대해 가장 많이 회전한 상태(제2 상태)를 나타낸다. 도 49 는 플래튼 롤러(120)가 분리되어 떼어내진 후의 중립 상태(제3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A)는, 프레임(160)에 대한 개폐 암(13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도 47 내지 도 49 에 나타낸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7에 나타낸 제1 상태는,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데, 서멀 헤드(110)는, 히트 싱크(111)를 사이에 두고, 히트 싱크(111)와 프레임 후면부(162) 사이에 설치된 제1 가압 스프링(140)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120)를 소정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플래튼 롤러(120)에 의해 서멀 헤드(110)가 가압되고, 서멀 헤드(110)의 후면에 설치된 히트 싱크(111)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압 스프링(140)을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 상태에서 서멀 헤드(110)와 플래튼 롤러(120)의 사이에 미도시의 기록지를 설치하고, 기록지에 인쇄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 후면부(162)와 개폐 암 후면부(132)가 대략 접촉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히트 싱크(111)의 양단에는 돌기부(111a)가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히트 싱크(111)의 양단에 설치된 돌기부(111a)가 들어가는 개구부(139)가 설치되어 있다. 도 47 에 나타낸 제1 상태에서는, 개폐 암 측면부(133)의 개구부(139)가 히트 싱크(111)의 돌기부(111a)와 맞물려 있지 않고, 개폐 암 측면부(133)의 개구부(139)에서 히트 싱크(111)의 돌기부(111a)와 개폐 암 측면부(133) 사이에 공간이 존재한다.
도 48에 나타낸 제2 상태는, 플래튼 롤러(120)를 탈착할 때 개폐 암(130)이 프레임(160)에 대해 가장 많이 회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암 조작부(134)를 사람의 손 등 외부의 힘에 의해 아래로 누름으로써, 개폐 암(130)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프레임(160)등에 대해 회동하여,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해서 떼어낼 수 있다.
제2 가압 스프링(150)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개폐 암(130)의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감겨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 등으로 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는,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암(130)은 프레임(160)의 프레임 후면부(162)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개폐 암 조작부(134)가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는 프레임(160)의 프레임 후면부(162)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개폐 암(130)의 움직임에 따라, 플래튼 롤러(120)도 서멀 헤드(110) 및 히트 싱크(111)로부터 떨어진다. 이로써,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서멀 헤드(110) 및 히트 싱크(111)가 플래튼 롤러(120) 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 제1 가압 스프링(140)은 프레임(160)과 히트 싱크(11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암(130)이 이동하여도 거의 신축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상태에서, 개폐 암(130)의 돌기부(138a)와 프레임(160)의 프레임 저면부(164)가 접촉하고, 개폐 암(130)은 소정 위치에 정지한다.
도 49 에 나타낸 제3 상태는, 플래튼 롤러(120)가 분리되어 떼어내져서, 개폐 암 조작부(134)에 힘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히트 싱크(111)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되어 있던 쪽으로 가압된다. 또한, 개폐 암 조작부(134)에는 힘이 가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개폐 암(130)에는,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되어 있던 상태의 위치(도 47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복귀하려고 하는 힘이 더해진다. 이 상태에서 개폐 암 측면부(133)의 개구부(139,제1 맞물림부)와 히트 싱크(111)의 돌기부(111a, 제2 맞물림부)가 맞물리고(접촉), 히트 싱크(111) 및 개폐 암(130)이 서로 가압하는 구성이 되어 이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는, 개폐 암(130)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의 상태이고,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과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이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상태를 중립 상태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서 개폐 암 조작부(134)에 힘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도 49에 나타낸 중립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각 상태의 개폐 암(130)의 프레임(160)에 대한 위치 검출을 행함으로써, 기록지(미도시)에 인쇄 등의 작업을 실시할지 말지의 판단을 용이하게 내릴 수 있다. 즉, 도 47에 나타내는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 기록지(미도시)가 존재하는 경우, 기록지에 인쇄 등을 행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제2 또는 제3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기록지에 인쇄 등을 행하는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플래튼 롤러의 설치 방법)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100A)의 플래튼 롤러(120)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100A)에서는,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는 프레임 개구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개폐 암 개구부(135)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개구부(163) 및 개폐 암 개구부(135) 안에,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을 넣음으로써,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와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을 넣을 때, 플래튼 베어링(121)은, 개폐 암 개구부(135)의 가장자리인 로크부(136)에 접촉하면서, 프레임 개구부(163) 및 개폐 암 개구부(135) 내에 들어간다. 이로써, 제1 가압 스프링(140)에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어서, 도 5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개구부(163) 및 개폐 암 개구부(135) 내에 플래튼 베어링(121)을 더 넣음으로써, 제1 가압 스프링(140)에는, 더욱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히트 싱크 (111) 및 서멀 헤드(110)가 프레임 후면부(16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히트 싱크(111)가 이동함에 의해, 히트 싱크(111)의 양단에 설치된 돌기부(111a)도, 개폐 암 측면부(133)의 개구부(139) 안을 프레임 후면부(16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히트 싱크(111)을 통해 프레임 후면부(1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폐 암 측면부(133)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암(130)이 암 회전 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런 다음, 프레임 개구부(163) 및 개폐 암 개구부(135) 안에 플래튼 베어링(121)이 완전히 들어옴으로써, 플래튼 베어링(121)이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에 의해 눌려져서, 플래튼 롤러(120)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가 상술한 제1 상태이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120)를 설치할 수 있다.
(스위치)
이어서, 기록지에 인쇄 등의 작업을 실시할지 말지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A)에서는, 기록지에 인쇄 등의 작업을 실시할지 말지를 제어하기 위한 검출부가 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2 내지 도 5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A)에는 스위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00)는 스위치 본체부(201)와 스위치 가동부(202)를 가진다.
또한,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 내측에는, 볼록부(233, 도 54 등)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00)는, 개폐 암(130)의 위치 관계가 프레임(160)에 대하여 제2 상태 (도 48 참조) 또는 제3 상태 (도 49 참조) 가 될 때, 스위치 가동부(202)가 개폐 암(130)의 볼록부(233)에 가압되고, 개폐 암(130)의 위치 관계가 프레임(160)에 대하여 제1 상태 (도 47 참조) 가 될 때, 스위치 가동부(202)가 개폐 암(130)의 볼록부(233)에 가압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스위치(200)는, 스위치 가동부(202)가 개폐 암(130)의 볼록부(233)에 가압되는 때에, 기록지에 인쇄 등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하는 신호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54는 도 48에 나타낸 제2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 가동부(202)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의 내측에 설치된 볼록부(233)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온 상태). 이 상태는 플래튼 롤러(120)의 탈착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록지에 인쇄 등이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 55는 도 49에 나타낸 제3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도 도 54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위치 가동부(202)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 안쪽에 설치된 볼록부(233)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온 상태). 이 상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록지에 인쇄 등이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 56는 도 47에 나타낸 제1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 가동부(202)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측면부(133) 내측에 설치된 볼록부(233)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오프 상태). 이 상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20)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록지에 인쇄 등이 행하여지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기록지로의 인쇄의 제어는 미도시의 제어부에 의해 행하여지지만, 상기 스위치(200)의 상태, 즉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A)는, 기록지의 존재를 검출하는 기록지 검출 센서(미도시)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프린터 장치(100)는 스위치(200)와 기록지 검출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인쇄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래튼 롤러를 탈착할 때에 서멀 헤드에 강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높이고 수명을 늘이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A)에 의하면, 개폐 암의 위치에 따라 인쇄 등의 작업을 할지 말지 판단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프린터 장치)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프린터 장치(100B)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 57은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는,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가 되는 서멀 헤드(110), 플래튼 롤러(120), 개폐 암(130), 제1 가압 스프링(140), 제2 가압 스프링(150), 프레임(160), 모터(170) 및 기어부(180)를 가진다. 프린트 헤드가 되는 서멀 헤드(110), 플래튼 롤러(120), 개폐 암(130), 제1 가압 스프링(140) 및 제2 가압 스프링(150)은 프레임(160)에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에서, 플래튼 롤러(120)는 제1 가압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프레임(160)에 지지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가압 스프링(140)으로는 코일 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제2 가압 스프링(150)으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베어링(121)을 가진다. 프레임(160)은 프레임 측면부(161) 및 프레임 후면부(162)을 가진다.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 지지되어 있다. 모터(170)를 회전시킴으로써, 기어부(180)를 통해 플래튼 롤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프린터 장치(100B)는 서멀 헤드(110)의 후면에 설치되고, 헤드 지지판이 되는 히트 싱크(111)를 포함한다. 프레임(160)은 히트 싱크(111)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후면부(162)을 가진다. 히트 싱크(111)와 프레임 후면부(162)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등의 제1 가압 스프링(140)이 설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110)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히트 싱크(111)을 통해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개폐 암(130)은 암 회전축(131)을 가진다. 개폐 암(130)은 프레임(160)에 대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 측면부(161)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개폐 암(130)와 프레임(160) 사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 등의 제2 가압 스프링(150)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가압 스프링(150)의 한쪽 단부는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는 개폐 암(130)의 개폐 암 후면부(132)에 접하고 있다. 개폐 암(130)은, 개폐 암 조작부(134)를 아래로 누름에 의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나, 개폐 암 조작부(134)에 가해진 힘이 해제됨으로써,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암 조작부(134)는 위쪽으로 올라가서, 개폐 암(130)을 원래 방향으로 되돌릴 수 있다.
(프레임)
이어서, 도 58내지 도 60에 따라 프레임(1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8은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의 측면도이고, 도 59는 도 58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60 은 프레임(160)의 측면도이다.
프레임(160)의 프레임 측면부(161)에는, 플래튼 롤러(120)를 지지하기 위해 플래튼 베어링(121)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개구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개구부(163)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개구부(163) 안에 플래튼 베어링(121)을 도입할 수 있도록, 프레임 개구부(163)의 입구 부분에는 제1 도입부(165)와 제2 도입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입부(165)는 제2 도입부(166)보다 서멀 헤드 110 (히트 싱크 111) 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도입부(165)는 제2 도입부(166)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입부(165)에서 프레임 개구부(163)가 형성되어 있는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165a)에 따른 직선 L6 과, 제2 도입부(166)에서 프레임 개구부(163)가 형성되어 있는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166a)에 따른 직선 L7 은,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직선 L6 과 직선 L7 의 연장 방향은, 화살표 A2 로 나타내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에서는, 히트 싱크(111) 및 서멀 헤드(110)가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은, 프레임(160)의 프레임 개구부(163)의 제2 도입부(166)의 가장자리부(166a)에 접하여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직선 L7 은, 제2 도입부(166)의 가장자리부(166a)와 플래튼 베어링(121)과의 접촉점에서의 접선이 된다.
프레임 개구부(163)의 제2 도입부(166)의 가장자리부(166a)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평행이며 플래튼 베어링(121)의 중심(121c)을 통하는 직선 L8 의 위이거나 또는 직선 L8 보다 도면상으로 위쪽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에 있어서, 제2 도입부(166)에서 직선 L7 과 겹치는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166a)의 길이는 약 0.2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암)
이어서, 도 58, 도 59 및 도 61에 따라 개폐 암(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1은 개폐 암(130)의 측면도이다.
개폐 암(130)은 개폐 암 후면부(132), 개폐 암 측면부(133) 및 개폐 암 조작부(134)를 더 포함한다.
개폐 암(130)은, 예를 들어 개폐 암 조작부(134)를 아래로 누름으로써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 회동한다.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이 들어가는 개폐 암 개구부(1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암 회전축(131)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 개폐 암 개구부(135)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크부(1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암 측면부(133)에는, 개폐 암 개구부(135)를 사이에 두고 로크부(136)와는 반대쪽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낼 때 플래튼 베어링(121)을 밖으로 밀어 내는 플래튼 취출부(138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은 화살표 A2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플래튼 베어링(121)은 화살표 B2 방향으로 프레임(160)을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플래튼 베어링(121)은 프레임(160)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즉, 플래튼 베어링(121)은 개폐 암 개구부(135)에 들어간 상태이나, 화살표 A2 로 나타내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 작동방향으로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플래튼 베어링(121)은 중심(121c)보다 아래쪽에서, 화살표 B2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는, 개폐 암(130)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플래튼 베어링(121)의 중력이 개폐 암(130)에 작용하는 일은 없고, 플래튼 베어링(121)이 개폐 암(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래튼 베어링(121)은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와 접촉부(136a)에서 접하고 있는데, 이것은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 개구부(163) 내에서 도면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화살표 A2 로 나타내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의 복원력 작용방향에 대해 플래튼 베어링(121)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화살표 A2 로 나타내는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발생한 플래튼 롤러(120)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플래튼 롤러(120)의 분리)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에서 플래튼 롤러(120)의 분리 방법에 대해, 도 62 내지 도 65 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에서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해서 떼어낼 때에는, 도 5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조작부(134)를 아래로 누른다. 개폐 암 조작부(134)를 아래로 누름으로써, 도 5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62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도 6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플래튼 베어링(121)과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가 접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베어링(121)은 프레임 개구부(163) 밖으로 나갈 수 없다.
또한, 개폐 암 조작부(134)를 아래로 누름으로써 도 63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플래튼 베어링(121)과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와의 접촉이 떨어져, 플래튼 베어링(121)은 프레임 개구부(163) 밖으로 나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개폐 암(130)의 플래튼 취출부(138b)가 플래튼 베어링(121)과 접하고, 플래튼 취출부(138b)에 의해 플래튼 베어링(121)이 가압되어, 프레임 개구부(163) 밖으로 나온다.
도 6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63에 나타낸 상태로 될 때, 플래튼 베어링(121)이 개폐 암(130)과 접하는 접점과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 개구부(163)와 접하는 접점이 이루는 각도는 α1∼α2 (α1 > α2) 가 된다.
이후, 개폐 암 조작부(134)에 가해진 힘을 해제하면,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암(130)에는 원래대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도 6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프레임 개구부(163) 밖으로 나온 플래튼 베어링(121)은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후, 다시 제2 가압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 암(130)은 원래대로 돌아가서 도 65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어, 플래튼 베어링(121)은 개폐 암(130)의 로크부(136)의 상부로 이동하여 들어 올려진다.
이로써, 프레임 개구부(163)로부터 플래튼 베어링(121)을 꺼낼 수 있어서,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래튼 롤러를 탈착할 때에 서멀 헤드에 강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B)에 의하면, 플래튼 롤러(120)를 회전시킬 때에 플래튼 롤러(120)가 프레임(160)에서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120)가 회전할 때에 개폐 암(130)에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개폐 암(130)의 변형이나 위치 오류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플래튼 롤러(120)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며, 인쇄 품질 등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 암(130)에 플래튼 취출부(138b)를 설치함으로써, 개폐 암(130)을 회동시켰을 때에 플래튼 롤러(120)를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폐 암의 형상이 제3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6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2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과 개폐 암(230)은, 로크부(136)의 접촉부(136a)와, 접촉부(136a)보다 개폐 암 개구부(135)의 내부 접촉부(230a)에서 접촉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플래튼 베어링(121)과 개폐 암(130)을 접촉부(230a)에서 접촉시킴으로써, 플래튼 베어링(121)과 개폐 암(130)이 접촉하는 접촉부(136a)의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과 개폐 암(230)은, 접촉부(136a)와 접촉부(230a)의 2점에서 접촉하고 있지만, 접촉부(230a)로부터 접촉부(136a)까지의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부(136a)의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5 실시형태)
이어서, 제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플래튼 롤러(120)의 회전 방향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플래튼 롤러(120)는, 프레임(160)의 제2 도입부(166)의 가장자리부(166a)와 접하는 부분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즉, 프레임 개구부(163)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67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플래튼 롤러(120)를 로크부(136)의 선단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서멀 헤드(110)와 기록지를 사이에 두고 접하는 부분의 마찰력에 의해, 제2 도입부(166)의 가장자리부(166a)와 접하는 플래튼 베어링(121)에는 아래쪽으로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플래튼 베어링(121)에는, 프레임 개구부(163)의 내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120)가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인쇄 등을 할 때 플래튼 롤러(120)를 회전시킨 경우에,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 개구부(163) 밖으로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7에서 플래튼 롤러(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제2 도입부(166)의 가장자리부(166a)와 접하는 플래튼 베어링(121)에는 위쪽으로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플래튼 베어링(121)에는 프레임 개구부(163)의 외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플래튼 롤러(120)가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7에서 플래튼 롤러(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플래튼 베어링(121)은 프레임 개구부(163)의 내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인쇄시에 플래튼 베어링(121)이 프레임 개구부(163) 밖으로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의 회전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기어부(370) 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6 실시형태)
우선, 제1 실시형태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것과 마찬가지로, 개폐 암의 후면 지지판을 가지는 구조의 서멀 헤드를 이용한 프린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8과 도 69를 참조하여, 플래튼 롤러(920)를 분리하에 떼어낼 때, 서멀 헤드(910) 및 플래튼 롤러(920)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 등 프린터 장치(900)는, 프린트 헤드가 되는 서멀 헤드(910), 플래튼 롤러(920), 개폐 암(930), 코일 스프링(950), 기록지(미도시)를 안내하는 기록지 가이드(980) 및 기록지를 반송하는 모터(970) 등을 가진다. 개폐 암(930)은 후면 지지판(940), 조작부(932) 등을 가지며, 플래튼 롤러(920)의 플래튼 베어링(921)은 개폐 암(9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서멀 헤드(910)에는 히트 싱크가 장착되어 있다.
후면 지지판(940)과 서멀 헤드(910)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950)이 설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950)의 복원력에 의해 서멀 헤드(910)는 후면 지지판(940)에 대해 플래튼 롤러(920)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서멀 헤드(910)는 서멀 헤드(910)에 장착된 히트 싱크를 사이에 두고 코일 스프링(950)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개폐 암(930)은 암 회전축(93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프레임(960, 케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데, 조작부(932)를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개폐 암(930)이 암 회전축(93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69에 나타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래튼 롤러(920)의 플래튼 베어링(921)을 지지하고 있던 개폐 암(930)이 암 회전축(93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플래튼 롤러(920)를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후면 지지판(940)은 개폐 암(93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920)를 분리하여 떼어낼 때 개폐 암(930)이 암 회전축(93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후면 지지판(940)도 서멀 헤드(910)가 설치된 쪽으로 움직인다. 이로써, 코일 스프링(950)이 수축하고, 코일 스프링(950)의 복원력이 강해진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950)의 복원력이 강해지면, 서멀 헤드(910)에 큰 힘이 가해지고, 마찬가지로 분리하여 떼어내어지기 직전의 플래튼 롤러(920)에도 큰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큰 힘이 서멀 헤드(910) 및 플래튼 롤러(920)에 가해짐으로써, 서멀 헤드(910) 및 플래튼 롤러(920)의 형상이 변형되고, 수명이 단축되거나 파손 등이 일어나기도 한다.
(프린터 장치)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린터 장치(100C)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C)는, 도 7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가 되는 서멀 헤드(110), 플래튼 롤러(120), 개폐 암(130), 코일 스프링(142), 프레임(160), 기록지(미도시)를 안내하는 기록지 가이드(190) 및 기록지를 반송하는 모터(170) 등을 가진다. 개폐 암(130)은 개폐 암 조작부(134) 등을 가지고 있고, 프레임(160) 및 개폐 암(130)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멀 헤드(110)에 히트 싱크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서멀 헤드(110)에는, 서멀 헤드 및 히트 싱크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서멀 헤드가 포함된다.
프레임(160)에는 프레임 후면 지지판(171)이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 후면 지지판(171)과 서멀 헤드(110)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42)이 설치되어 있다. 즉, 코일 스프링(142)의 한쪽 단부는 프레임 후면 지지판(171)과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는 서멀 헤드(110)와 접하고 있다. 이로써, 코일 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해, 서멀 헤드(110)는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서멀 헤드(110)는, 서멀 헤드에 장착된 히트 싱크를 사이에 두고 코일 스프링(142)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개폐 암(130)은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프레임(160, 케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개폐 암(130)의 개폐 암 조작부(134)를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개폐 암(130)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71에 나타낸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베어링(121)을 지지하고 있던 개폐 암(130)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142)에 대신하여, 판 스프링 등의 다른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프레임(160)에는, 플래튼 롤러(120)가 분리하여 떼어내어진 상태에서는 서멀 헤드(110)가 소정 위치에 머물도록 미도시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
프레임 후면 지지판(171)은, 프레임(16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낼 때에 개폐 암(130)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도 움직일 수는 없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낼 때에도 코일 스프링(142)은 대부분 신축하지 않기 때문에, 서멀 헤드(110)에 가해지는 힘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낼 때, 코일 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해 서멀 헤드(110)의 위치가 약간 이동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42)에 의해 서멀 헤드(110)에 가해지는 힘은 거의 변화가 없다. 따라서, 서멀 헤드(110) 및 플래튼 롤러(120)에 큰 응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고, 형상 등이 변형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수명이 길어지고 이러한 파손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암(130)와 기록지 가이드(19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개폐 암(130)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때에 기록지 가이드(190)도 일체로 움직인다. 이러한 개폐 암(130)과 기록지 가이드(190)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고, 개폐 암 (130)과 기록지 가이드(190)를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접합한 것 등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개폐 암(130)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기록지 가이드(190)를 몰드 성형에 의해 형성하여, 각각을 접합한 것이어도 좋고, 개폐 암(130)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한 후, 기록지 가이드(190)를 몰드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분리하여 떼어낸 플래튼 롤러(120)를 다시 장착하는 경우에는, 개폐 암(130)이 도 70에 나타내는 위치가 되도록, 도 70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폐 암 조작부(134)에 힘을 가한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120)를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이어서, 제 7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개폐 암(130)의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한 구조이다. 도 72과 도 73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D)는 제1 광학식 센서(281)와 제2 광학식 센서(282)를 가진다.
제1 광학식 센서(281) 및 제2 광학식 센서(282)는 반사형 광학식 센서이다. 제1 광학식 센서(281)는 기록지 가이드(19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기록지 가이드(190)에 설치된 개구부(미도시)보다 기록지(210)가 설치되는 쪽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록지(210)의 유무를 검출한다.
제2 광학식 센서(282)는 기록지 가이드(19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도 72와 도 73의 지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 즉, 개폐 암(130)이 설치된 쪽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개폐 암(130)의 개폐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광학식 센서(282)로부터 출사된 광이 개폐 암(130)에서 반사되고, 이 반사광이 제2 광학식 센서(282)에서 검출된다. 이로써, 개폐 암(130)이 닫혀 있는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광학식 센서(282)로부터 출사된 광이 개폐 암(130)에서 반사되지 않고 직진하기 때문에, 제2 광학식 센서(282)에서 반사광이 검출되지 않는다. 이로써, 개폐 암(130)이 열려있는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개폐 암(130)과 기록지 가이드(19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광학식 센서(282)에서 도 72 및 도 73의 지면상 오른쪽, 즉, 기록지 가이드(190)가 설치된 쪽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록지 가이드(190)의 유무를 검출하고 개폐 암(130)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암(13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광학식 센서(282)로부터 출사된 광이 기록지 가이드(190)에서 반사되고, 이 반사광이 제2 광학식 센서(282)에서 검출된다. 따라서, 기록지 가이드(190)가 검출되므로, 개폐 암(130)이 닫혀 있는 상태임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암(130)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광학식 센서(282)로부터 출사된 광이 기록지 가이드(190)에서 반사되지 않고 직진하므로, 제2 광학식 센서(282)에서 반사광이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록지 가이드(190)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개폐 암(130)이 열려 있는 상태임을 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8 실시형태)
이어서, 제 8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E)는, 도 7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지 가이드(190) 아래에 스프링(390, 제3 가압부재의 일례)을 설치하고, 기록지 가이드(190)가,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에 힘이 가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록지 가이드(190)를,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에 힘이 가해지는 구조로 함으로써, 기록지 가이드(190)와 플래튼 롤러(120)의 사이에도 기록지(210)를 끼울 수 있고, 기록지(210)의 반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스프링(390)을 사용하였으나, 기록지 가이드(190)가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에 힘이 가해지는 가압 부재라면, 다른 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100E)는, 도 7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에 접하는 핀치 롤러(391)를 기록지 가이드(190)의 근방에 설치하고, 핀치 롤러(391)를,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에 힘이 가해지도록 스프링(392)을 설치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기록지(210)와 기록지 가이드(190) 등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고, 기록지(210)의 반송능력을 향상시키면서 원활하게 기록지(210)를 반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6 실시형태 또는 제7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에서는, 제1 가압 스프링(140)이 프레임(160)의 프레임 후면부(162)와 서멀 헤드(110) 사이에 설치되고, 서멀 헤드(110)가 프레임 후면부(162)에 대해 플래튼 롤러(120)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플래튼 롤러(120)의 탈착시에 개폐 암(130)을 회동시켜도, 제1 가압 스프링(140)은 개폐 암(130)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제1 가압 스프링(140)은 거의 신축하지 않는다.
이로써, 서멀 헤드 등에 의해 기록지에 인쇄 등을 행하는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서멀 헤드 및 플래튼 롤러의 수명을 높임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폐 암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9 실시형태)
(프린터 장치)
이어서, 제9 실시형태에서의 프린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6내지 도 79는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F)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F)는, 도 7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가 되는 서멀 헤드(110), 플래튼 롤러(120), 개폐 암(130), 비틀림 코일 스프링 (토션 스프링, 156) 을 가진다. 도 7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은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160)에 대해 회전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은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감겨져 있고, 한쪽 단부(156a)는 개폐 암(130)의 측면(개폐 암 측면부)에 접속되어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156b)는 서멀 헤드(110)의 후면에 접하고, 서멀 헤드(110)를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플래튼 롤러(120)는, 개폐 암(130)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2 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프레임(160)에는 플래튼 롤러(120)를 지지하는 프레임 개구부(163)가 설치되어 있어서, 개폐 암(130)을 움직여도, 플래튼 롤러(120)는 프레임(160)의 프레임 개구부(163)에서 유지된다. 이후 플래튼 롤러(120)를 화살표 D1 으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꺼낼 수 있다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멀 헤드(110)에는 히트 싱크 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서멀 헤드(110)에는 이러한 히트 싱크가 설치된 것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7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은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감겨져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의 지점(支點,157)은 개폐 암(1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F)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의 한쪽 단부(156a)는 개폐 암(130)에 접하여 고정되어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의 다른쪽 단부(156b)에서 서멀 헤드(110) 후면에서부터 서멀 헤드(110)를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79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후면 지지판(941)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부품 및 제조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저비용으로 프린터 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프린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F)의 서멀 헤드(110)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을 도 80에 나타낸다. 도 80의 (a)는 사시도이고, 도 80의 (b)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은 플래튼 롤러(120)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 샤프트(174)의 양단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샤프트(174)는 개폐 암(130)에 장착되어 있고,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은 샤프트(174)의 외측을 덮도록 감겨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이 플래튼 롤러(120)를 분리하여 떼어내기 위하여 개폐 암(130)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개폐 암(13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100F)는, 도 8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일체화한 구조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158)를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도 81의 (a)는 사시도이고, 도 81의 (b)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158)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암(130)이 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화살표 D2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플래튼 롤러(120)를 개폐 암(130)으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이 때, 도 8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110)를 가압 방향으로, 개폐 암(130)을 회전시켜서 움직이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8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110)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개폐 암(130)을 회전시켜 움직이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의 측부에 개폐 암(130)을 움직이기 위한 조작부가 되는 굽힘부(131a)를 설치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130)의 하부에 개폐 암(130)을 움직이기 위한 굽힘부(131b)를 설치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4의 (c)는 굽힘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개폐암(130)을 나타낸다.
(제10 실시형태)
이어서, 제10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9 실시형태에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 대신에 판 스프링을 이용한 구조의 프린터 장치이다.
도 85는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 개폐 암(130) 및 판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5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제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56) 대신에 개폐 암(130)에 접속된 판 스프링(270)을 포함한다. 판 스프링(270)은 서멀 헤드(110)의 후면에 접하고, 서멀 헤드(110)를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270)을 사용함으로써, 부품 수를 더욱 줄일 수 있고, 서멀 헤드(110)의 후면으로부터, 서멀 헤드(110)를 더욱 균일하게 플래튼 롤러(120)가 설치된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86은 개폐 암과 판 스프링을 동일한 재료로 일체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암과 판 스프링을, 동일한 금속 재료이면서 스프링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부품 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개폐 암부(283)와 스프링부(285)가 되는 판 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의 스프링 일체 개폐 암(280)은, 예를 들어, 금속판 등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285)는 플래튼 롤러(120)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금속판 등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고, 개폐 암부(283)는 플래튼 롤러(1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금속판 등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8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개폐 암부(283a)와 스프링부(28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스프링 일체 개폐 암(280a)을 이용한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개폐 암(280a)과 스프링부(285a)는 동일한 금속 재료이며 스프링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9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11 실시형태)
이어서, 제1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서멀 헤드(110)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개폐 암(130)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분리한 구조의 프린터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도 88및 도 8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74)의 양단에 설치된 2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350)을 포함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50)은,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351)와, 서멀 헤드를 가압하는 헤드 가압 스프링부(352)를 가진다. 또한,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351)와 헤드 가압 스프링부(352)는 접속부(353)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접속부(353)는 개폐 암(130)의 저면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351)의 단부는 개폐 암(130)의 측면과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개폐 암(130)을 복귀시키는 기능과 서멀 헤드(110)를 가압하는 기능을 독립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기능을,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351)와 헤드 가압 스프링부(352)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부(353)가 프레임(160)의 저면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도 9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350)을 접속부(355)에 의해 접속하여 일체화시킨 구조의 스프링부(360)를 설치한 것이어도 좋고, 도 9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74)의 한쪽에만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351)를 설치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
또한, 본 실시형태는 도 9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대신에 판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판 스프링부(380)는, 판 스프링에 의한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381)와 판 스프링에 의한 헤드 가압 스프링부(382)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9 또는 제10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서멀 헤드 등에 의해 기록지에 인쇄 등을 행하는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저비용이며 소형화 가능한 프린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프레임에 대해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ㆍ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개폐 암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개폐 암에 접하여 유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개폐 암에 접하고 있으며,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프린트 헤드 쪽으로 회동시키는 제2 가압 스프링을 가지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개폐 암과 접하고 있으며, 상기 암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가압 스프링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암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다른쪽 단부에서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이 상기 개폐 암과 접하고 있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더 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플래튼 베어링이 들어가는 개폐 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이 들어가는 프레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래튼 베어링은, 상기 개폐 암과, 상기 개폐 암 개구부의 접촉부에서 접촉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 방향에 수직이며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 대하여,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쪽의 반대쪽에 존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플래튼 베어링이 들어가는 개폐 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이 들어가는 프레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래튼 베어링은, 상기 개폐 암과, 상기 개폐 암 개구부의 접촉부에서 접촉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암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상에 존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암 회전축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폐 암의 로크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크부는 상기 암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보다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들어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폐 암의 로크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크부는 상기 암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보다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에는,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상기 개폐 암 개구부로부터 밖으로 밀어내는 돌출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은, 상기 개폐 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2 개의 개폐 암 측면부와, 상기 2 개의 개폐 암 측면부를 연결하는 개폐 암 후면부를 가지고, 2개의 상기 암 측면부와 상기 개폐 암 후면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 측면부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 또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개폐 암 후면부 근방에는, 상기 개폐 암이 회동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부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 외형의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는 가장자리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상기 프레임 개구부는,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이며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대해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서 접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이며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대해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서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대해, 상기 프레임 개구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접촉부를 제외하고, 상기 개폐 암 개구부의 가장자리보다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부는, 상기 프레임 개구부 양단 근방에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와 하부 개구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이며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지나는 선과,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이며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서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접하는 선의 사이가 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부는, 상기 프레임 개구부의 양단 근방에,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와 하부 개구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개구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평행이며 상기 암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서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접하는 선과, 상기 암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의 사이가 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 상기 돌기부가 상기 프레임의 프레임 저면부와 접촉하여 소정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기록지를 상기 서멀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이끌기 위한 기록지 가이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프린트 헤드에 따른 상기 기록지 가이드의 양단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입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기록지를 상기 프린트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이끌기 위한 기록지 가이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기록지가 이끌어지는 면과 반대쪽의 면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 또는 상기 프린트 헤드와 접속되어 있는 헤드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프레임에 대해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ㆍ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개폐 암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개폐 암에 접하여 유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린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개폐 암에 접하고 있으며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프린트 헤드 쪽으로 회동시키는 제2 가압 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플래튼 롤러가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암은, 상기 플래튼 롤러가 유지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를 꺼내기 위해 회동된 제2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는 제3 상태가 되는 것인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는 상기 제2 상태와 같은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에 의한 상기 기록지에의 인쇄가 행해지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프린트 헤드를 통한 상기 가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ㆍ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개폐 암을 가지며,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개폐 암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개폐 암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플래튼 롤러를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플래튼 베어링이 들어가는 프레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의 접촉점에서의 접선 방향과, 상기 가압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대략 수직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회전 방향은, 상기 프레임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의 접촉점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개구부의 입구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플래튼 롤러 쪽에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개폐 암을 가지고, 상기 개폐 암은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케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는 프레임 후면 지지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상기 프레임 후면 지지판에 접하고 있으며, 다른쪽 단부는 상기 프린터 헤드에 접하고 있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근방에는 기록지를 안내하는 용지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개폐 암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가지고, 상기 센서는 광학식 센서로서 상기 용지 가이드를 검지하여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가지고, 상기 센서는 광학식 센서로서 상기 개폐 암을 검지하여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가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플래튼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힘이 가해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개폐 암을 가지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연장 방향에 대략 평행이 되도록 감겨 있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상기 개폐 암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프린트 헤드에 접하고 있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에 대략 평행하게 샤프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의 외측을 덮도록 감겨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상기 샤프트 양단의 근방에 각각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접속되어 일체화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상기 개폐 암을 복귀시키는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가압하는 헤드 가압 스프링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개폐 암을 가지고, 상기 판 스프링은 개폐 암에 접속되어 있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과 상기 판 스프링은 스프링성을 가지는 동일 재료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개폐 암을 형성하는 재료를 상기 플래튼 롤러의 연장 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절곡하여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개폐 암을 복귀시키는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가압하는 헤드 가압 스프링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플래튼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개폐 암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접하고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프린트 헤드 쪽으로 가압하는 개폐 암 개구부가 설치되고, 당해 개폐 암 개구부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접하는 접촉부는, 상기 암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상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은, 상기 암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으로부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된 쪽으로 들어와 있는 로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암 개구부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접하는 접촉부는 상기 개폐 암의 상기 로크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은, 상기 암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으로부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된 쪽으로 들어와 있지 않은 로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암 개구부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접하는 접촉부는 상기 개폐 암의 상기 로크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플래튼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개폐 암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 암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상기 프린트 헤드에서 떼어내고 당해 플래튼 베어링을 상기 개폐 암 개구부로부터 꺼내는 플래튼 취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부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 외형의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는 가장자리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이며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대해,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된 쪽에는, 상기 프레임 개구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대해 상기 접촉부를 제외하고는 상기 개폐 암 개구부의 가장자리보다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부에는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된 쪽에 제1 개구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개구 가장자리부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통과하는 제1 선과, 상기 제1 방향에 대략 평행하고 당해 프레임 개구부 내에 유지되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된 쪽에서 접하는 제2 선과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부에는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 제2 개구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개구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략 평행하고 당해 프레임 개구부 내에 유지되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상기 암 회전축이 설치된 쪽에서 접하는 선과, 상기 암 회전 축의 중심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과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은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감겨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플래튼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개폐 암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지지하는 개폐 암 개구부가 각각 설치된 2개의 개폐 암 측면부와, 상기 2개의 개폐 암 측면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 후면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 암 후면부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암 측면부와 상기 개폐 암 후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 측면부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 또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에 따른 기록지의 양단에 상기 프린트 헤드가 설치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입부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기록지를 상기 프린트 헤드가 설치된 쪽으로 이끌기 위한 기록지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기록지를 상기 프린트 헤드가 설치된 쪽으로 이끌기 위한 기록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지가 이끌어지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 또는 상기 프린트 헤드와 접속되어 있는 헤드 지지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을,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켰을 때, 상기 개폐 암이 상기 플래튼 롤러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플래튼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이 들어가는 프레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개구부와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접촉점에서의 접선 방향과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복원력 작동 방향은 대략 수직이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을 검지하여 상기 개폐 암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광학식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부재는 스프링이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은 상기 플래튼 롤러에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의 외측을 덮도록 감겨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양단의 근방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접속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상기 개폐 암을 복귀 시키는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가압하는 헤드 가압 스프링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개폐 암을 형성하고 있는 재료를 상기 플래튼 롤러의 연장 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개폐 암을 복귀시키는 개폐 암 복귀 스프링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가압하는 헤드 가압 스프링부를 가진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기재한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며 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 범위 내의 모든 변경 사항이 포함된다.
본 국제 출원은 2011년 10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1-223033호, 2011년 10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1-223034호, 2011년 10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2011-223035호, 2011년 10월 13일에 출원 된 일본 특허출원2011-226262호 및 2011년 1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2011-28442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모든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20)

  1. 프레임 후면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개폐 암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개폐 암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레임 후면부와 상기 플래튼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레임 후면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프레임 후면부에 대하여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개폐 암을 상기 프레임 후면부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이 상기 개폐 암을 상기 프레임 후면부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프린트 헤드 쪽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프린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플래튼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개폐 암에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대해 상기 프린트 헤드가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접하여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프린트 헤드 쪽으로 가압하는 개폐 암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대해 상기 프린트 헤드가 설치된 쪽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접하는 프레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프린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플래튼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개폐 암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접하여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프린트 헤드 쪽으로 가압하는 개폐 암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 암 개구부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접하는 접촉부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에 대해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 존재하는 것인 프린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접하는 프레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프린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상기 프레임 개구부는,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대해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설치된 쪽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인 프린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상기 프레임과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개폐 암과 접하고 있으며,
    상기 암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이 상기 프레임 후면부와 접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암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다른쪽 단부에서 상기 제2 가압 스프링이 상기 개폐 암과 접하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더 긴 것인 프린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저면부를 가지고,
    상기 개폐 암에는,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저면부와 접촉하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프린터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는 제1 상태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가장 많이 회전시킨 제2 상태와,
    상기 외부의 힘을 제거했을 때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중에 어느 하나의 상태인 제3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된 것인 프린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과 상기 프린트 헤드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와 제2 맞물림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1 맞물림부가 상기 제2 맞물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개폐 암이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복원력과 제2 가압 스프링의 복원력의 균형이 확보된 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인 프린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이 상기 제1 상태를 취하고 있는지, 아니면 상기 제2 상태 또는 상기 제3 상태를 취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개폐 암이 상기 제2 상태 또는 상기 제3 상태를 취하고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에 의한 상기 기록지에의 인쇄가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인 프린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통한 상기 제1 가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인 프린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플래튼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개폐 암은, 상기 프린트 헤드가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과 접하는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이 들어가는 프레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래튼 롤러는 상기 로크부의 선단부와 마주 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인 프린터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암과 일체로 형성되며, 기록지를 안내하는 기록지 가이드와,
    상기 기록지 가이드를 검지함으로써 상기 개폐 암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광학식 센서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가이드는, 제3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플래튼 롤러가 설치된 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것인 프린터 장치.
  18. 프레임과,
    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개폐 암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암 또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감겨 있고, 한쪽 단부가 상기 개폐 암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프린트 헤드에 접하며,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19. 프레임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개폐 암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암 또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개폐 암에 접속되어, 상기 개폐 암 또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플래튼 롤러가 지지된 경우에, 상기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플래튼 롤러 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암과 상기 판 스프링은 스프링성을 가지는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프린터 장치.
KR1020147008996A 2011-10-07 2012-10-03 프린터 장치 KR101656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3034 2011-10-07
JP2011223033A JP5797518B2 (ja) 2011-10-07 2011-10-07 プリンタ装置
JPJP-P-2011-223033 2011-10-07
JPJP-P-2011-223035 2011-10-07
JP2011223035A JP6026094B2 (ja) 2011-10-07 2011-10-07 プリンタ装置
JP2011223034A JP5797519B2 (ja) 2011-10-07 2011-10-07 プリンタ装置
JP2011226262A JP5969189B2 (ja) 2011-10-13 2011-10-13 プリンタ装置
JPJP-P-2011-226262 2011-10-13
JPJP-P-2011-284427 2011-12-26
JP2011284427A JP5977516B2 (ja) 2011-12-26 2011-12-26 プリンタ装置
PCT/JP2012/075720 WO2013051631A1 (ja) 2011-10-07 2012-10-03 プリン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842A true KR20140059842A (ko) 2014-05-16
KR101656965B1 KR101656965B1 (ko) 2016-09-12

Family

ID=4804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996A KR101656965B1 (ko) 2011-10-07 2012-10-03 프린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86904B2 (ko)
EP (2) EP2765005B1 (ko)
KR (1) KR101656965B1 (ko)
CN (1) CN103842181B (ko)
WO (1) WO2013051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5126B2 (ja) * 2012-03-02 2016-0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372982B2 (ja) 2013-08-28 2018-08-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411071B2 (ja) 2014-05-30 2018-10-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440382B2 (ja) 2014-05-30 2018-12-1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440381B2 (ja) * 2014-05-30 2018-12-1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WO2016006572A1 (ja) 2014-07-07 2016-01-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TWI642555B (zh) * 2014-08-27 2018-12-01 日商精工電子有限公司 印字單元及熱列印機
JP6351502B2 (ja) * 2014-12-24 2018-07-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6203382A (ja) 2015-04-15 2016-12-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US9604475B2 (en) 2015-05-08 2017-03-28 Zih Corp. Media processing device with enhanced media and ribbon loading and unloading features
JP6751309B2 (ja) * 2016-05-24 2020-09-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KR20180089290A (ko) 2017-01-31 2018-08-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6864047B (zh) * 2017-03-03 2019-01-04 上海威侃电子材料有限公司 打印头与胶辊间隙的自动调节机构
JP7178279B2 (ja) * 2019-01-29 2022-11-2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CN115179661B (zh) * 2022-07-21 2023-12-01 珠海柏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高打印稳定性的票据打印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767A (ja) 1998-09-25 2000-04-04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0318260A (ja) 1999-05-10 2000-11-21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3734753B2 (ja) 2001-12-28 2006-01-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8068551A (ja) 2006-09-15 2008-03-27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8179087A (ja) * 2007-01-25 2008-08-07 Seiko Instruments Inc プラテン保持機構および記録ユニット
KR20090064317A (ko) * 2007-12-14 2009-06-18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써멀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7776B1 (fr) * 1992-11-06 1995-03-03 Axiohm Dispositif d'impression thermique ouvrant.
JP2810908B2 (ja) * 1994-02-03 1998-10-15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記録ヘッドの支持装置
JPH07309052A (ja) * 1994-05-18 1995-11-28 Asahi Optical Co Ltd 感熱プリンタ
JPH10119326A (ja) * 1996-10-16 1998-05-12 Seiko Instr Inc プリンタ装置
JPH11245458A (ja) 1998-02-27 1999-09-14 Victor Co Of Japan Ltd 熱転写プリンタ
JP4675469B2 (ja) 2000-08-08 2011-04-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装置
JP3648154B2 (ja) * 2000-12-12 2005-05-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のカバー体
JP2002248820A (ja) 2001-02-23 2002-09-03 Japan Cbm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2283631A (ja) 2001-03-26 2002-10-03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3885564B2 (ja) * 2001-11-16 2007-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ユニット
JP4690135B2 (ja) * 2005-06-22 2011-06-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印字装置
JP5108072B2 (ja) * 2005-06-22 2012-12-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印字装置
JP2007331112A (ja) * 2006-06-12 2007-12-27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4910965B2 (ja) * 2007-09-28 2012-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5037289B2 (ja) * 2007-10-04 2012-09-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ユニットおよび印字装置
JP5334408B2 (ja) * 2007-12-13 2013-11-0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2011073290A (ja) * 2009-09-30 2011-04-14 Alps Electric Co Ltd プラテンローラを着脱できるプリンタ
JP2011073372A (ja) * 2009-09-30 2011-04-14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2210800A (ja) * 2011-03-24 2012-11-01 Seiko Instruments Inc 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767A (ja) 1998-09-25 2000-04-04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0318260A (ja) 1999-05-10 2000-11-21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3734753B2 (ja) 2001-12-28 2006-01-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8068551A (ja) 2006-09-15 2008-03-27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8179087A (ja) * 2007-01-25 2008-08-07 Seiko Instruments Inc プラテン保持機構および記録ユニット
KR20090064317A (ko) * 2007-12-14 2009-06-18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써멀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5005B1 (en) 2017-12-06
EP3278997A1 (en) 2018-02-07
CN103842181B (zh) 2016-03-02
US9186904B2 (en) 2015-11-17
EP2765005A4 (en) 2015-11-18
EP2765005A1 (en) 2014-08-13
WO2013051631A1 (ja) 2013-04-11
US20140232806A1 (en) 2014-08-21
EP3278997B1 (en) 2020-06-10
CN103842181A (zh) 2014-06-04
KR101656965B1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965B1 (ko) 프린터 장치
CN105383190B (zh) 打印单元和热敏打印机
KR102541304B1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101643485B1 (ko) 프린터 장치
KR20150002536A (ko) 서멀 프린터
JP5797519B2 (ja) プリンタ装置
JP5797518B2 (ja) プリンタ装置
JP4696509B2 (ja) 画像形成装置
CN105291609B (zh) 打印机
EP3006217B1 (en) Printer
JP4247251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CN111070904B (zh) 热敏打印机
KR100452677B1 (ko) 프린터
JP5977516B2 (ja) プリンタ装置
JP3947897B2 (ja) プリンタ
CN220180403U (zh) 打印机
US20070274756A1 (en) Ink ribbon cassette and printer including ink ribbon
JPH10305600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3696061B2 (ja) プリンタ
CN110202958B (zh) 打印机
JP6026094B2 (ja) プリンタ装置
JP2002046321A (ja) プリンタ
JP3713423B2 (ja) プリンタ
JP2000203122A (ja) プリンタ
JP4400947B2 (ja) 媒体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