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417A - 전압 감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전압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압 감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전압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417A
KR20140010417A KR1020137025685A KR20137025685A KR20140010417A KR 20140010417 A KR20140010417 A KR 20140010417A KR 1020137025685 A KR1020137025685 A KR 1020137025685A KR 20137025685 A KR20137025685 A KR 20137025685A KR 20140010417 A KR20140010417 A KR 2014001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
voltage monitoring
cell
monitor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344B1 (ko
Inventor
히데끼 기우찌
Original Assignee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전압 감시 모듈(100)은 입력 단자(V1),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 스위치(SWa_1), 및 제어 회로(CON)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V1)는 전지 셀(EC1)의 고전위측 단자와 필터용 저항(Rf)을 통하여 접속된다.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는 전지 셀(EC1)의 고전위측 단자와 접속된다. 스위치(SWa_1)는 입력 단자(V1)와 접속된다. 제어 회로(CON)는 스위치(SWa_1)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한다. 필터용 용량(C1)은 스위치(SWa_1)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다. 스위치(SWa_1)를 온으로 함으로써, 제어 회로(CON)는 고전위측 전압(VH)과 저전위측 전압(VL)을 비교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전압 감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전압 감시 시스템{VOLTAGE MONITORING MODULE AND VOLTAG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전압 감시 모듈 및 전압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의 오측정을 방지하는 전압 감시 모듈 및 전압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이브리드카(hybrid car)와 전기 자동차의 보급이 진행하고, 전력을 얻기 위해서 전지를 탑재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은 고전압을 얻기 위해서 직렬 접속된 다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는 조전지(assembled battery)를 일반적으로 이용한다. 조전지의 전지 셀의 전압은 가솔린 차의 가솔린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사용 상황에 따라 변동한다. 따라서, 전지 셀의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해서 전압을 감시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지 셀의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 모듈의 예가 이미 개시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1). 도 12는 전지 셀의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 모듈(300)의 주요 부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압 감시 모듈(300)이 직렬 접속된 전지 셀(EC31 및 EC32)의 전압을 감시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압 감시 모듈(300)은 스위치(SW31~SW33), A/D 컨버터(ADC)(31), 레지스터(32), 통신 회로(33), 제어 회로(34) 및 입력 단자(V31~V33)를 포함한다.
전압 감시 모듈(300)과 전지 셀(EC31 및 EC32) 사이에는 필터 회로(301) 및 보호 회로(302)가 삽입된다. 필터 회로(301)는 필터용 저항(Rf31~Rf33) 및 필터용 용량(C31~C33)을 포함한다. 전지 셀(EC31)의 고전위측 단자는 필터용 저항(Rf31)을 통하여 입력 단자(V31)와 접속된다. 전지 셀(EC31)의 저전위측 단자 및 전지 셀(EC32)의 고전위측 단자는 필터용 저항(Rf32)을 통하여 입력 단자(V32)와 접속된다. 전지 셀(EC32)의 저전위측 단자는 필터용 저항(Rf33)을 통하여 입력 단자(V33)와 접속된다. 필터용 용량(C31~C33)은 각각 입력 단자(V31~V33)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필터 회로(301)는 RC 필터로서 기능하여, 전압 감시 모듈(300)에의 고주파 노이즈 유입을 방지한다.
보호 회로(302)는 보호 다이오드(D31~D33)를 포함한다. 보호 다이오드(D31~D33)는 각각 입력 단자(V31~V33)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입력 단자(V31~V33)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보호 다이오드(D31~D33)의 항복이 발생함으로써, 전압 감시 모듈(300)에의 과전압의 인가를 방지한다.
스위치(SW31~SW33)는 각각 입력 단자(V31~V33)와 ADC(31) 사이에 접속된다. 스위치(SW31~SW33)는 제어 회로(34)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스위치(SW31~SW33)가 온으로 될 때, ADC(31)은 입력 단자(V31~V33)의 전압 값을 레지스터(32)에 출력한다. 레지스터(32)는 제어 회로(34)에 의해 제어되고 입력 단자(V31~V33)의 전압 값을 외부 회로(도시 생략)에 출력한다. 외부 회로(도시 생략)는 입력 단자(V31)와 입력 단자(V32) 사이의 전압차로부터 전지 셀(EC31)의 전압을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외부 회로(도시 생략)는 입력 단자(V32)와 입력 단자(V33) 사이의 전압차로부터 전지 셀(EC32)의 전압을 산출한다. 전지 셀(EC1)의 고전위측 단자의 전압을 V+, 및 전지 셀(EC1)의 저전위측 단자의 전압을 V-로 하면, 전지 셀(EC31)의 전압(V_EC31)은 이하의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그 외에도, 전지 셀의 단자 전압의 계측 회로의 이상을 진단하는 진단 기능을 갖는 차량용 직류 전원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2009-89488호
그런데, 본 발명자가 전술한 전압 감시 모듈(300)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바, 전압 감시 모듈(300)에서는 전지 셀의 전압 감시에 오작동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문제의 메카니즘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전압 감시 모듈(300)에는 필터 회로(301) 및 보호 회로(302)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에 리크가 발생한 경우, 전압 감시 모듈(300)은 전지 셀의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
이후에, 전지 셀(EC31)의 전압을 측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스위치(SW31 및 SW32)가 온이 된다. 이 상태에서, 필터용 용량(C31)의 오작동에 의해 필터용 용량(C31)을 통해서 리크 전류(Ic)가 흐를 수 있다. 도 13은 필터용 용량(C31)을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3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 전류(Ic)가 흐르면 필터용 저항(Rf31)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필터용 저항(Rf31)에 의해 생기는 전압 강하(VRf31)는 Rf31×Ic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단자(V31)의 전압은 이하의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따라서, 입력 단자(V31)와 입력 단자(V32) 사이의 정상 측정 전압(ΔV)은 이하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따라서, 입력 단자(V31)와 입력 단자(V32) 사이의 전압은 리크 전류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Rf31×Ic만큼 낮아진다. 그 결과, 본래의 전압인 전압(V_EC31)보다도 Rf31×Ic만큼 낮은 전압(ΔV)이 전지 셀(EC31)의 전압으로서 잘못 측정된다.
마찬가지로, 보호 다이오드(D31)의 오작동에 의해 보호 다이오드(D31)를 통해서 리크 전류(Id)가 흐를 수 있다. 도 14는 보호 다이오드(D31)를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3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 전류(Id)가 흐르면 필터용 저항(Rf31)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필터용 저항(Rf31)의 의해 생기는 전압 강하(VRf31)는 Rf31×Id가 된다. 따라서, 입력 단자(V31)의 전압은 이하의 수학식 4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따라서, 입력 단자(V31)와 입력 단자(V32) 사이의 전압(ΔV)은 이하의 수학식 5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따라서, 입력 단자(V31)와 입력 단자(V32) 사이의 전압은 리크 전류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Rf31×Id만큼 낮아진다. 그 결과, 본래의 전압인 전압(V_EC31)보다도 Rf31×Id만큼 낮은 전압(ΔV)이 전지 셀(EC31)의 전압으로서 잘못 측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 감시 모듈(300)의 외부 회로인 필터 회로 또는 보호 회로의 소자를 통하여 리크 전류가 흐르면, 전압 감시 모듈(100)은 전지 셀의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 그 결과, 정확한 전압을 측정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전지 셀이 충전됨으로써, 과충전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전압 감시 모듈로서, 이 전압 감지 모듈은 전지 셀의 고전위측 단자와 외부 저항을 통하여 접속되는 제1 입력 단자; 상기 전지 셀의 상기 고전위측 단자와 접속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고정 전압 사이에 상기 제1 입력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는 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제1 스위치를 온함으로써,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제1 전압과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압이 비교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저항을 통하여 전지 셀에 접속되는 소자에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 리크 전류에 기인하는 전압 강하의 영향에 의한 전압의 오측정을 방지할 수 있는 전압 감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 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전압 감시 모듈(VMM1~VMMn)과 셀 모니터부(CMU) 사이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3은 전압 감시 모듈(VMM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압 감시 모듈(100)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전압 감시 모듈(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필터용 용량(C1)을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1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7은 보호 다이오드(D1)를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1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8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압 감시 모듈(200)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9는 전압 감시 모듈(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필터용 용량(C1)을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2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1은 보호 다이오드(D1)를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2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2는 전지 셀의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 모듈(300)의 주요부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3은 필터용 용량(C31)을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3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4는 보호 다이오드(D31)를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3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고, 중복 설명은 적절히 생략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로서, 전기 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전기 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구성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전기 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압 감시 시스템(VMS)은 전압 감시 모듈(VMM1~VMMn)(n은 2 이상의 정수), 절연 소자(INS1 및 INS2), 셀 모니터부(CMU) 및 전지 관리부(BMU)를 포함한다. 셀 모니터부(CMU) 및 전지 관리부(BMU) 각각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이하, MCU: Micro Computing Unit)로 구성된다.
전압 감시 시스템(VMS)에서는,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에 의해 조전지(assy)의 전압을 감시한다. 조전지(assy)는 직렬 접속된 n개의 전지 모듈(EM1~EMn)을 포함한다. 전지 모듈(EM1~EMn)의 각각은 직렬 접속된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전지 셀을 포함한다. 즉, 조전지(assy)에서는, (m×n)개의 전지 셀이 직렬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조전지(assy)는 높은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셀 모니터부(CMU)는 절연 소자(INS2)를 통해서 전압 감시 모듈(VMMn)의 통신 입력 단자와 접속되고, 절연 소자(INS1)를 통해서 전압 감시 모듈(VMM1)의 통신 출력 단자와도 접속된다. 절연 소자(INS1 및 INS2)의 각각은, 예를 들면, 포토커플러로 구성되고, 전압 감시 모듈(VMM1~VMMn)과 셀 모니터부(CMU)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고장 시에 조전지(assy)로부터 셀 모니터부(CMU)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한 셀 모니터부(CMU)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관리부(BMU)와 또한 접속된다. 셀 모니터부(CMU)는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전압 감시 결과로부터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산출하고, 산출한 출력 전압을 전지 관리부(BMU)에 통지한다. 또한,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관리부(BMU)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엔진 제어부(ECU)와 또한 접속된다. 전지 관리부(BMU)는 셀 모니터부(CMU)로부터 통지된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 및 엔진 제어부(ECU)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예를 들어, 전압 감시 시스템(VMS) 및 조전지(assy)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엔진 제어부(ECU)에 통지한다. 셀 모니터부(CMU) 및 전지 관리부(BMU)의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의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동작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전압 감시 모듈(VMM1~VMMn)과 셀 모니터부(CMU) 사이의 접속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전압 감시 모듈(VMM1~VMMn)과 셀 모니터부(CMU) 사이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은 각각 전지 모듈(EM1~EMn)과 접속되고, 전지 모듈(EM1~EMn)로부터 받는 각 전압을 감시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서 구성된다. 전압 감시 모듈(VMM2~VMMn)의 통신 회로의 출력은 각각 전압 감시 모듈(VMM1~VMM(n-1))의 통신 회로의 입력과 접속된다.
셀 모니터부(CMU)는 절연 소자(INS2)를 통하여 전압 감시 모듈(VMMn)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VMM(n-1))에 대한 제어 신호는 데이지 체인 구성을 이용하여 전압 감시 모듈(VMM1~VMM(n-1))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셀 모니터부(CMU)는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은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절연 소자(INS1)를 통하여 감시 결과를 셀 모니터부(CMU)에 출력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2~VMMn)로부터의 감시 결과는 데이지 체인 구성을 이용하여 셀 모니터부(CMU)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대표 예로서 전압 감시 모듈(VMM1)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전압 감시 모듈(VMM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압 감시 모듈(VMM1)은 전원 회로(VMM_S), 통신 회로(VMM_C), 전압 측정 회로(VMC), 셀 밸런싱 회로(CB1~CBm)(m은 2 이상의 정수), 전원 단자(VCC), 입력 단자(V1~V(m+1)),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VBm), 통신 입력 단자(Tin), 및 통신 출력 단자(Tout)를 포함한다.
전지 모듈(EM1)에서는, 고전압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지 셀(EC1~ECm)이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전압 감시 모듈(VMM1)의 전원 단자(VCC)는 전지 셀(EC1)의 고전압측과 접속된다. 전지 셀(ECm)의 저전압측은 입력 단자(V(m+1))와 접속된다. 입력 단자의 전압은 전압 감시 모듈(VMM1) 내에서 분기되어 전압 측정 회로(VMC) 및 통신 회로(VMM_C)의 각각에 그라운드 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전압 감시 모듈(VMM1)에는 전지 모듈(EM1)의 출력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전원 회로(VMM_S)는 전원 단자(VCC)를 통하여 전지 셀(EC1)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다. 전원 회로(VMM_S)는 통신 회로(VMM_C) 및 전압 측정 회로(VMC)의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압 측정 회로(VMC)는 선택 회로(VMC_SEL),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VMC_ADC), 레지스터(VMC_REG), 및 제어 회로(VMC_CON)를 포함한다. 선택 회로(VMC_SEL)는 스위치(SWa_1~SWa_m 및 SWb_1~SWb_m)를 포함한다. 스위치(SWa_1~SWa_m 및 SWb_1~SWb_m)는 제어 회로(VMC_CON)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한다. j를 1~m의 정수로 가정하면, 전지 셀(ECj)의 전압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스위치(SWa_j 및 SWb_j)가 동시에 온으로 된다. 이에 따라, 전지 셀(ECj)의 고전위측 단자로부터의 전압이 입력 단자(Vj)를 통하여 고전위측 전압(VH)으로서 A/D 컨버터(VMC_ADC)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전지 셀(ECj)의 저전위측 단자로부터의 전압이 입력 단자 V(j+1)를 통하여 저전위측 전압(VL)으로서 A/D 컨버터(VMC_ADC)에 공급된다.
A/D 컨버터(VMC_ADC)는 고전위측 전압(VH)과 저전위측 전압(VL)의 값을 디지털 값인 전압값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A/D 컨버터(VMC_ADC)는 디지털 값인 전압값을 레지스터(VMC_REG)에 출력한다. 레지스터(VMC_REG)는 A/D 컨버터(VMC_ADC)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을 기억한다. 제어 회로는 스위치(SWa_1~SWa_m 및 SWb_1~SWb_m)를 순차적으로 온으로 하는 동작을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 msec)마다 반복한다. 이에 따라, 레지스터(VMC_REG)에는 소정의 시간마다, 입력 단자(Vj 및 V(j+1))에 공급되는 전압의 값이 덮어 써진다.
통신 회로(VMM_C)는 통신 입력 단자(Tin)를 통하여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명령 및 다른 전압 감시 모듈(VMM2~VMMn)로부터의 출력을 받는다. 통신 회로(VMM_C)는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명령을 제어 회로(VMC_CON)에 전송한다. 통신 회로(VMM_C)는 전압 감시 모듈(VMM2~VMMn)로부터의 출력을 셀 모니터부(CMU)에 전송한다.
셀 밸런싱 회로(CBj)와 외부 저항(Rj)은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j)를 통하여 입력 단자(Vj)와 입력 단자(V(j+1)) 사이에 접속된다. 셀 밸런싱 회로(CBj)가 온으로 될 때, 입력 단자(Vj)와 입력 단자(V(j+1)) 사이는 도통한다. 제어 회로(VMC_CON)가 셀 밸런싱 회로(CB1~CBm)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전지 셀(EC1~ECm)을 선택적으로 방전시킨다.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지 셀의 출력 전압 감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압 감시 시스템(VMS)은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전압 감시 동작 개시 명령에 따라 전지 셀의 출력 전압 감시 동작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엔진 제어부(ECU)는 전기 자동차의 파워 온을 검출하고, 전지 관리부(BMU)에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기동 명령을 발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기동 명령에 따라 셀 모니터부(CMU)에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기동 명령을 발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기동 명령에 따라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에 전압 감시 동작 개시 명령을 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압 감시 동작 개시 명령을 받은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압 감시 모듈(VMM1)의 동작을 대표 예로서 설명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은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전압 감시 동작 개시 명령에 따라 전압 감시 동작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회로(VMM_C)는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전압 감시 동작 개시 명령을 전압 측정 회로(VMC)의 제어 회로(VMC_CON)에 전송한다. 제어 회로(VMC_CON)는 전압 감시 동작 개시 명령에 따라 스위치(SWa_j 및 SWb_j)를 온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입력 단자(Vj 및 V(j+1))의 각각은 각각 A/D 컨버터(VMC_ADC)와 접속된다. A/D 컨버터(VMC_ADC)는 접속된 입력 단자(Vj 및 V(j+1))에 각각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디지털 값인 전압값으로 변환하고, 전압값을 레지스터(VMC_REG)에 기입한다.
이 예에서는, 제어 회로(VMC_CON)는 소정의 시간 내에 스위치(SWa_1~SWa_m 및 SWb_1~SWb_m)를 순차적으로 온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시간 내에 m회의 스위칭 동작을 반복한다.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10 msec이다. 이 경우, 전압 감시 모듈(VMM1)은 소정의 시간(10 msec)마다 입력 단자(Vj 및 V(j+1))에 각각 공급되는 전압의 값을 측정한다. 레지스터(VMC_REG)에 이 값이 순차적으로 덮어 써진다. 전압 감시 모듈(VMM1)이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다른 명령을 받지 않는 한, 전압 감시 모듈(VMM1)은 전술한 전압 감시 동작을 계속해서 행한다.
전기 자동차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의 값을 참조할 경우에는,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관리부(BMU)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전압값 출력 명령을 전압 감시 모듈(VMM1)에 발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은 전압값 출력 명령에 따라 지정된 입력 단자의 전압값을 셀 모니터부(CMU)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회로(VMM_C)는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전압값 출력 명령을 전압 측정 회로(VMC)의 제어 회로(VMC_CON)에 전송한다. 제어 회로(VMC_CON)는 전압값 출력 명령에 따라 레지스터(VMC_REG)에 출력 명령을 발한다. 이 경우, 제어 회로(VMC_CON)는 레지스터(VMC_REG)에서, 어느 입력 단자의 전압값을 출력할지를 지정한다. 레지스터(VMC_REG)는 제어 회로(VMC_CON)로부터의 출력 명령에 따라 출력 명령을 받은 시점에서 지정된 입력 단자의 전압값을 통신 회로(VMM_C)를 통하여 셀 모니터부(CMU)에 출력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전압 감시 모듈(VMM1)로부터 받은 입력 단자(Vj 및 V(j+1))의 전압값으로부터 전지 셀(ECj)의 출력 전압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셀 모니터부(CMU)는 입력 단자(V1)와 입력 단자(V2) 사이의 전압의 차로부터 전지 셀(EC1)의 출력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에,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관리부(BMU)의 요구에 따라서 산출한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전지 관리부(BMU)에 통지한다.
전기 자동차가 파워 오프될 경우에는, 엔진 제어부(ECU)는 전기 자동차의 파워 오프를 검출하고 전지 관리부(BMU)에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정지 명령을 발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정지 명령에 따라 셀 모니터부(CMU)에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정지 명령을 발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정지 명령에 따라 전압 감시 모듈(VMM1~VMMn) 각각에 전압 감시 동작 정지 명령을 발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은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전압 감시 동작 정지 명령에 따라 전압 감시 동작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회로(VMM_C)는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전압 감시 동작 정지 명령을 전압 측정 회로(VMC)의 제어 회로(VMC_CON)에 전송한다. 제어 회로(VMC_CON)는 전압 감시 동작 정지 명령에 따라 스위치(SWa_1~SWa_m 및 SWb_1~SWb_m)를 모두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전압 감시 동작이 정지한다.
이상에서는 각 전지 셀의 전압 감시 동작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전압 감시 시스템(VMS)은,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등에 탑재되므로, 전압 감시 시스템(VMS)은 전기 자동차의 사용상황 등에 따른 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기 자동차의 사용 상황에 따른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 충전소 등에서 조전지(assy)의 충전을 행할 필요가 있다. 조전지(assy)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엔진 제어부(ECU)는 충전 플러그의 접속 등의 운전자의 조작을 검지하고, 조전지(assy)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명령을 전지 관리부(BMU)에 발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엔진 제어부(ECU)로부터의 충전 명령에 따라 릴레이(REL1 및 REL2)를 연다. 이에 따라 조전지(assy)와 인버터(INV)는 전기적으로 절단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충전 플러그를 통하여 조전지(assy)에 외부 충전 전압(CHARGE)이 공급됨으로써, 조전지(assy)가 충전된다.
전지 셀 등의 이차 전지가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면 전지 셀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조전지(assy)와 같이 복수의 전지 셀이 직렬 접속된 구성에서는, 전지 셀들이 마찬가지의 충방전 동작을 행하게 해도, 전지 셀들의 제조 격차에 의해 전압의 변동 등이 생긴다. 이러한 변동이 생길 때 조전지(assy)의 충방전 동작을 반복하면, 특정한 전지 셀만의 열화,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발생한다. 그 결과, 조전지(assy) 전체의 단수명화 및 고장 발생의 원인으로 된다. 이 때문에, 직렬 접속된 전지 셀을 이용할 경우에는, 전지 셀의 전압의 밸런스(소위 셀 밸런싱)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 충전소 등에서의 충전 시의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전지 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 감시 동작 및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전지 관리부(BMU)는 엔진 제어부(ECU)로부터의 충전 명령에 따라 셀 모니터부(CMU)에 출력 전압 측정 명령을 발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관리부(BMU)로부터의 출력 전압 측정 명령에 따라 조전지(assy)를 구성하는 모든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산출하고, 산출한 출력 전압을 전지 관리부(BMU)에 통지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조전지(assy) 중에서 가장 출력 전압이 낮은 전지 셀을 특정한다.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여기에서는 전지 모듈(EM1)의 전지 셀(EC1)은 조전지(assy) 중에서 가장 출력 전압이 낮은 전지 셀로 가정한다.
그 후에, 전지 관리부(BMU)는 셀 밸런싱 동작 명령을 셀 모니터부(CMU)에 발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셀 밸런싱 동작 명령에 따라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각각에 방전 명령을 발한다. 이하에서는 전압 감시 모듈(VMM1)의 동작을 대표 예로서 설명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에서는, 전압 측정 회로(VMC)의 제어 회로(VMC_CON)가 통신 회로(VMM_C)를 통하여 방전 명령을 받는다. 제어 회로(VMC_CON)는 방전 명령에 따라 셀 밸런싱 회로(CB2~CBm)를 온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지 셀(EC2~ECm)이 방전된다.
셀 모니터부(CMU)는 방전 중의 전지 셀(EC2~ECm)의 출력 전압값을 순차적으로 산출한다.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이 전지 셀(EC1)의 출력 전압까지 강하한 경우에, 셀 모니터부(CMU)는 해당하는 전지 셀의 방전 동작을 정지시키는 방전 정지 명령을 발한다. 이하에서는 방전에 의해 전지 셀(EC2)의 출력 전압이 전지 셀(EC1)의 출력 전압까지 강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셀(EC2)의 출력 전압이 전지 셀(EC1)의 출력 전압까지 강하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셀 모니터부(CMU)는 전압 감시 모듈(VMM1)에 전지 셀(EC2)의 방전 정지 명령을 발한다.
전압 감시 모듈(VMM1)의 제어 회로(VMC_CON)는 통신 회로(VMM_C)를 통하여, 전지 셀(EC2)의 방전 정지 명령을 받는다. 제어 회로(VMC_CON)는 전지 셀(EC2)의 방전 정지 명령에 따라 셀 밸런싱 회로(CB2)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전지 셀(EC2)의 방전은 정지하고 전지 셀(EC2)의 출력 전압은 전지 셀(EC1)의 출력 전압과 같아진다. 셀 모니터부(CMU)가 마찬가지의 동작을 함으로써 전지 모듈(EM1)의 전지 셀(EC3~ECm)의 출력 전압 및 전지 모듈(EM2~EMn)의 전지 셀의 출력 전압도 전지 셀(EC1)의 출력 전압과 같아진다. 이에 따라, 전지 모듈(EM2~EMn)의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이 균일화되고, 셀 모니터부(CMU)는 셀 밸런싱 동작을 종료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셀 밸런싱 동작 종료를 전지 관리부(BMU)에 통지한다.
셀 밸런싱 동작 종료의 통지에 따라, 전지 관리부(BMU)는 충전 플러그와 접속되는 수전부(power receiving unit)(도시 생략)에 충전 개시의 명령을 발한다. 이에 따라, 조전지(assy)에 외부 충전 전압(CHARGE)이 공급되고 조전지(assy)의 충전이 개시된다.
셀 모니터부(CMU)는 충전 중의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한다. 어느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이 충전 상한 전압에 도달하면, 셀 모니터부(CMU)는 과충전 경보를 전지 관리부(BMU)에 통지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과충전 경보의 통지에 따라 수전부에 충전 정지의 명령을 발한다. 이에 따라, 외부 충전 전압(CHARGE)의 공급이 차단되고 충전은 정지된다. 전지 셀의 과충전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충전 상한 전압은 과충전시의 전압 레벨로부터 충분한 마진을 갖는 과충전시의 임계값 전압 레벨보다도 작은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 모듈(EM1~EMn)의 각 전지 셀의 충전 특성은 변동한다. 따라서, 충전 후의 각 전지 셀의 전압값에는 변동이 생긴다. 그러므로, 각 전지 셀의 전압값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셀 모니터부(CMU)는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측정한다. 그리고, 셀 모니터부(CMU)는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의 변동이 규정 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전지 관리부(BMU)에 통지한다.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의 변동이 규정 범위 내에 들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지 관리부(BMU)는 셀 밸런싱 동작의 개시를 셀 모니터부(CMU)에 명령한다. 셀 밸런싱 동작 종료 후, 전지 관리부(BMU)는 충전 개시를 수전부에 명령한다. 한편,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의 변동이 규정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전지 관리부(BMU)는 엔진 제어부(ECU)에 충전 완료를 통지한다. 엔진 제어부(ECU)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조전지(assy)의 충전이 완료한 것을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전압 감시 시스템(VMS)이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과충전을 방지하고 양호한 셀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조전지(assy)를 풀 충전 상태까지 충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자동차를 가속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를 가속시키는 경우에는, 엔진 제어부(ECU)는 엑셀 페달의 밟기 등의 운전자의 조작을 검지하고, 전기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한 가속 명령을 인버터(INV) 및 전지 관리부(BMU)의 각각에 발한다. 인버터(INV)의 동작 모드는 엔진 제어부(ECU)로부터의 가속 명령에 따라 직류-교류 변환 모드로 전환된다. 전지 관리부(BMU)는 엔진 제어부(ECU)로부터의 가속 명령에 따라 릴레이(REL1 및 REL2)를 닫는다. 이에 따라, 조전지(assy)로부터 인버터(INV)에 직류 전압이 공급된다. 인버터(INV)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교류 전압을 모터 제너레이터(MG)에 공급한다. 모터 제너레이터(MG)는 교류 전압의 공급을 받는 것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 제너레이터(MG)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드라이브 샤프트 등을 통하여 구동륜에 전달됨으로써, 전기 자동차는 가속한다.
전기 자동차가 가속하는 경우에는, 전지 셀에 축적된 전력이 소비되고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은 강하한다. 따라서, 각 전지 셀의 과방전을 방지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전압 감시 시스템(VMS)은 주행 시의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항상 감시한다. 예를 들면, 어느 전지 셀의 전압이 경고 레벨 전압을 하회한 경우에는,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관리부(BMU)에 전압 강하 경보를 발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전압 강하 경보에 따라 조전지(assy)의 충전 잔량 저하 경보를 엔진 제어부(ECU)에 발한다. 엔진 제어부(ECU)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조전지(assy)의 충전 잔량 저하 경보를 표시하고, 운전자에 전지 셀의 과방전이 생길 우려가 있다는 것을 통지한다. 이에 따라 전압 감시 시스템(VMS)은 주행 정지 등의 과방전 방지 조치를 취하는 것을 운전자에 재촉할 수 있다.
조전지(assy)의 충전 잔량 저하 경보가 방치되고 그 후에도 주행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은 더욱 저하한다. 따라서, 각 전지 셀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전지 셀의 방전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어느 전지 셀의 전압이 긴급 정지 레벨 전압을 하회한 경우에는,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관리부(BMU)에 긴급 정지 경보를 발한다. 전지 셀의 과방전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긴급 정지 레벨 전압은 과방전시의 전압 레벨로부터 충분한 마진을 갖는 과방전의 임계값 전압 레벨보다도 큰 전압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 관리부(BMU)는 셀 모니터부(CMU)로부터의 긴급 정지 경보에 따라 긴급 정지 동작을 발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지 관리부(BMU)는 릴레이(REL1 및 REL2)를 열어서 조전지(assy)로부터 인버터(INV)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 강하가 정지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엔진 제어부(ECU)에 긴급 정지 동작의 실행을 통지한다. 엔진 제어부(ECU)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긴급 정지 동작이 발동된 것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전지 셀의 과방전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자동차를 감속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를 감속시키는 경우에는, 엔진 제어부(ECU)는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등의 운전자의 조작을 검지하고, 전기 자동차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명령을 인버터(INV) 및 전지 관리부(BMU)의 각각에 발한다. 인버터(INV)의 동작 모드는 엔진 제어부(ECU)로부터의 감속 명령에 따라 교류 직류 변환 모드로 전환된다. 전지 관리부(BMU)는 엔진 제어부(ECU)로부터의 감속 명령에 따라 릴레이(REL1 및 REL2)를 닫는다. 모터 제너레이터(MG)는 드라이브 샤프트 등을 통하여 전달되는 타이어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을 행한다. 발전에 의해 생기는 회전 저항은 드라이브 샤프트 등을 통하여 제동력으로서 구동륜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는 감속한다. 이 제동 방법은 일반적으로 회생 브레이크 동작이라고 불린다. 회생 브레이크 동작에 의해 생긴 교류 전압은 인버터(INV)에 공급된다. 인버터(INV)는 모터 제너레이터(MG)로부터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직류 전압을 조전지(assy)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조전지(assy)는 회생 브레이크 동작에서 회수된 전압으로 충전된다.
회생 브레이크 동작 시에는 조전지(assy)가 충전되므로,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은 상승한다. 따라서, 각 전지 셀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전압 감시 시스템(VMS)은 주행 시의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항상 감시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회생 브레이크 동작 개시시의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이 충전 상한 전압 이하인지를 판정한다. 충전 상한 전압보다도 큰 출력 전압을 갖는 전지 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셀 모니터부(CMU)는 과충전 경보를 전지 관리부(BMU)에 발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과충전 경보에 따라 릴레이(REL1 및 REL2)를 열어서 조전지(assy)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생 브레이크 동작에 의한 충전 중에도, 셀 모니터부(CMU)는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의 감시를 계속한다. 출력 전압이 충전 상한 전압에 도달한 전지 셀이 발견된 경우에는, 셀 모니터부(CMU)는 과충전 경보를 전지 관리부(BMU)에 발한다. 전지 관리부(BMU)는 과충전 경보에 따라 릴레이(REL1 및 REL2)을 열어서 조전지(assy)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조전지(assy)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에서는 전지 셀의 전압이 정상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동작을 설명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을 정상적으로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전압 감시 모듈(VMM1~VMMn)과 조전지(assy) 사이의 배선이 단선되면, 단선 부분의 전압이 이상 강하 또는 이상 상승한다. 이에 따라 셀 모니터부(CMU)는 정상적인 전압 산출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목적인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의 감시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단선 고장을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셀 모니터부(CMU)에는 출력 전압의 값의 적정 범위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산출한 각 전지 셀의 출력 전압값이 적정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셀 모니터부(CMU)는 단선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셀 모니터부(CMU)는 단선 고장의 발생을 전지 관리부(BMU)에 통지한다. 단선 고장 발생의 통지에 따라, 전지 관리부(BMU)는 릴레이(REL1 및 REL2)를 열고 인버터(INV)와 조전지(assy) 사이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에 추가 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지 관리부(BMU)는 단선 고장의 발생을 엔진 제어부(ECU)에 통지한다. 엔진 제어부(ECU)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단선 고장의 발생을 표시하고, 운전자에 고장 발생을 통지한다. 이상과 같이, 전압 감시 시스템(VMS)은 단선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수도 있다.
전압 감시 시스템(VMS)의 구성 및 동작은 예시에 불과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셀 모니터부(CMU) 및 전지 관리부(BMU)를 하나의 회로 블록으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셀 모니터부(CMU)와 전지 관리부(BMU)가 분담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서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셀 모니터부(CMU), 전지 관리부(BMU), 및 엔진 제어부(ECU)를 하나의 회로 블록으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엔진 제어부(ECU)는 셀 모니터부(CMU) 및 전지 관리부(BMU)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압 감시 모듈(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압 감시 모듈(100)은 도 1 내지 3에 나타내는 전압 감시 모듈(VMM1~VMMn)의 각각에 상당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압 감시 모듈(100)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4에서는, 전압 감시 모듈(100)의 구성 및 동작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는 전원 회로(VMM_S)를 생략하고, 도 4는 입력 단자(V1~V3),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 및 VB2)에 관한 회로 소자 및 회로 블록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전압 감시 모듈(VMM1)과 비교하여, 전압 감시 모듈(100)은 선택 회로(SEL2)가 추가된 구성을 갖는다. 전압 감시 모듈(100)과 전지 모듈(EM1) 사이에는 필터 회로(101) 및 보호 회로(102)가 삽입된다.
필터 회로(101)는 필터용 저항(Rf1~Rfm) 및 필터용 용량(C1~Cm)을 포함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4에서는 필터용 저항(Rf1~Rf3) 및 필터용 용량(C1~C3)만을 나타내고 있다. 전지 셀(EC1)의 고전위측 단자는 필터용 저항(Rf1)을 통하여 입력 단자(V1)와 접속된다. 전지 셀(EC1)의 저전위측 단자 및 전지 셀(EC2)의 고전위측 단자는 필터용 저항(Rf2)을 통하여 입력 단자(V2)와 접속된다. 전지 셀(EC2)의 저전위측 단자는 필터용 저항(Rf3)을 통하여 입력 단자(V3)와 접속된다. 필터용 용량(C31~C33)은 각각 입력 단자(V1~V3)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필터 회로(101)는 RC 필터로서 기능하여, 전압 감시 모듈(100)에의 고주파 노이즈 유입을 방지한다.
보호 회로(102)는 보호 다이오드(D1~Dm)를 포함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4에서는 보호 다이오드(D1~D3)만을 나타내고 있다. 보호 다이오드(D1~D3)는 각각 입력 단자(V1~V3)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입력 단자(V1~V3)에 과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 보호 다이오드(D1~D3)의 항복이 발생함으로써, 전압 감시 모듈(100)에의 과전압의 인가를 방지한다.
셀 밸런싱 회로(CB)는 N 채널 트랜지스터(NM1~NMm)를 포함한다. N 채널 트랜지스터(NM1~NMm)는 각각 도 3의 셀 밸런싱 회로(CB1~CBm)에 상당한다. N 채널 트랜지스터(NM1~NMm)의 드레인은 각각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VBm)와 접속된다. N 채널 트랜지스터(NM1~NMm)의 소스는 각각 입력 단자(V2~V(m+1))와 접속된다. N 채널 트랜지스터(NM1~NMm)의 게이트는 제어 회로(CON)와 접속된다. N 채널 트랜지스터(NM1~NMm)는 제어 회로(CON)로부터의 제어 신호(SIG_CB)에 따라 온/오프한다.
선택 회로(SEL1)는 도 4의 선택 회로(VMC_SEL)에 상당한다. 선택 회로(SEL1)의 스위치(SWa_1~SWa_m 및 SWb_1~SWb_m)는 제어 회로(CON)로부터의 제어 신호(SIG_S1)에 의해 온/오프한다. 선택 회로(SEL1)는 선택 회로(VMC_SEL)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고 전지 셀의 통상 측정 전압을 측정한다. 선택 회로(SEL1)의 그 밖의 구성은 선택 회로(VMC_SEL)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 회로(SEL2)는 스위치(SWc_1~SWc_m 및 SWd_1~SWd_m)를 포함한다. 스위치(SWc_1~SWc_m)의 일단은 각각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VBm)와 접속된다. 스위치(SWc_1~SWc_m)의 타단은 A/D 컨버터(ADC)와 접속되고 A/D 컨버터(ADC)에 고전위측 전압(VH)을 출력한다. 스위치(SWd_1~SWd_(m-1)m)의 일단은 각각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2~VBm)와 접속된다. 스위치(SWd_m)의 일단은 입력 단자(V(m+1))와 접속된다. 바꾸어 말하면, 스위치(SWd_m)는 입력 단자(V(m+1))를 셀 밸런싱 입력 단자로서 이용하고 있다. 스위치(SWd_1~SWd_m)의 타단은 A/D 컨버터(ADC)와 접속되고 A/D 컨버터(ADC)에 저전위측 전압(VL)을 출력한다.
j를 1~m의 정수로 가정하면, 전지 셀(ECj)의 통상 측정 전압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스위치(SWc_j 및 SWd_j)가 동시에 온으로 된다. 이에 따라, 전지 셀(ECj)의 고전위측 단자로부터의 전압이 고전위측 전압(VH)으로서 A/D 컨버터(ADC)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전지 셀(ECj)의 저전위측 단자로부터의 전압이 저전위측 전압(VL)로서 A/D 컨버터(ADC)에 공급된다. A/D 컨버터(ADC)는 도 4의 A/D 컨버터(VMC_ADC)에 대응한다.
제어 회로(CON)는 도 4의 제어 회로(VMC_CON)에 대응한다. 제어 회로(CON)는 각각 제어 신호(SIG_CB, SIG_S1, 및 SIG_S2)에 의해 N 채널 트랜지스터(NM1~NMm), 선택 회로(SEL1 및 SEL2)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레지스터(VMC_REG) 및 통신 회로(VMM_C)는 도 4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압 감시 모듈(100)의 그 밖의 구성은 전압 감시 모듈(VMM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전압 감시 모듈(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대표 예로서 전지 셀(EC1)의 전압을 측정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전압 감시 모듈(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제어 회로(CON)는 제어 신호(SIG_S1)에 의해 스위치(SWa_1 및 SWb_1)를 온으로 한다(스텝 S101). 이 상태에서, 입력 단자(V1)와 입력 단자(V2)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스텝 S102).
구체적으로는, A/D 컨버터(ADC)가 입력 단자(V1) 및 입력 단자(V2)의 전압을 참조하고, 이 참조한 전압을 디지털 값인 전압값 V1_d 및 V2_d로 각각 변환한다. A/D 컨버터(ADC)는 전압값 V1_d 및 V2_d를 레지스터(VMC_REG)에 기입한다. 레지스터(VMC_REG)는 제어 회로(CON)으로부터의 제어 신호(SIG_R)에 따라 전압값(V1_d 및 V2_d)를 도 1에 나타내는 셀 모니터부(CMU)에 출력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전압값(V1_d)으로부터 전압값(V2_d)을 감하여 전지 셀(EC1)의 통상 측정 전압(ΔV)를 산출한다.
필터용 용량(C1)의 오작동에 의해 필터용 용량(C1)에 리크 전류(Ic)가 흐르는 경우에 대해 검토한다. 도 6은 필터용 용량(C1)을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1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리크 전류(Ic)가 흐르면, 필터용 저항(Rf1)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필터용 저항(Rf1)에 의해 생기는 전압 강하(VRf1)는 Rf1×Ic가 된다. 전지 셀(EC1)의 고전위측 단자의 전압을 V+, 저전위측 단자의 전압을 V-로 하면, 입력 단자(V1)의 전압은 이하의 수학식 6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따라서, 통상 측정 전압(ΔV)은 이하의 수학식 7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한편, 전지 셀(EC1)의 전압(V_EC1)은 이하의 수학식 8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따라서, 통상 측정 전압(ΔV)은 리크 전류가 없는 경우의 전압보다 Rf1×Ic만큼 낮아진다. 그 결과,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셀(EC1)의 본래의 전압인 전압(V_EC1)보다도 Rf31×Ic만큼 낮은 통상 측정 전압(ΔV)를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보호 다이오드(D1)의 오작동에 의해 보호 다이오드(D1)에 리크 전류(Id)가 흐르는 경우에 대해 검토한다. 도 7은 보호 다이오드(D1)를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1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 전류(Id)가 흐르면 필터용 저항(Rf1)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필터용 저항(Rf1)에 의해 생기는 전압 강하(VRf1)는 Rf1×Id가 된다. 따라서, 입력 단자(V1)의 전압은 이하의 수학식 9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따라서, 통상 측정 전압(ΔV)은 이하의 수학식 10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따라서, 통상 측정 전압(ΔV)은 리크 전류가 없는 경우의 전압보다 Rf1×Id만큼 낮아진다. 그 결과,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셀(EC1)의 본래의 전압인 전압(V_EC1)보다도 Rf1×Id만큼 낮은 통상 측정 전압(ΔV)을 산출한다.
요컨대,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외부 회로의 소자를 통하여 리크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셀의 본래의 전압보다도 낮은 통상 측정 전압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 회로(CON)는 제어 신호(SIG_S1)에 의해 스위치(SWa_1 및 SWb_1)를 오프로 한다(스텝 S103). 그 후에, 제어 회로(CON)는 제어 신호 SIG_S2에 의해 스위치(SWc_1 및 SWd_1)를 온으로 한다(스텝 S104). 이 상태에서,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와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2)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스텝 S105).
구체적으로는, A/D 컨버터(ADC)는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로부터의 고전위측 전압(VH) 및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2)로부터의 저전위측 전압(VL)을 참조하고, 이 참고한 전압을 디지털 값인 전압값(VB1_d 및 VB2_d)으로 각각 변환한다. A/D 컨버터(ADC)는 전압값(VB1_d 및 VB2_d)을 레지스터(VMC_REG)에 기입한다. 레지스터(VMC_REG)는 제어 회로(CON)으로부터의 제어 신호(SIG_R)에 따라 전압값(VB1_d 및 VB2_d)을 도 1에 나타내는 셀 모니터부(CMU)에 출력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전압값(VB1_d)으로부터 전압값(VB2_d)을 감하여 전지 셀(EC1)의 용장 측정 전압(ΔVB)을 산출한다. 그 후에, 스위치(SWc_1 및 SWd_1)를 오프로 한다(스텝 S106).
다음으로, 셀 모니터부(CMU)는 리크 전류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셀 모니터부(CMU)는 통상 측정 전압(ΔV)과 용장 측정 전압(ΔVB)을 비교하고, 전지 셀(EC1)의 통상 측정 전압(ΔV)과 용장 측정 전압(ΔVB) 사이에 규정 값 이상의 차가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07). 전술한 바와 같이, 리크 전류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상 측정 전압(ΔV)이 저하한다. 따라서, 통상 측정 전압(ΔV)과 용장 측정 전압(ΔVB)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크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전지 셀(EC1)의 통상 측정 전압(ΔV)과 용장 측정 전압(ΔVB)의 차가 규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전지 관리부(BMU)에 리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108). 전지 관리부(BMU)는 리크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 제어부(ECU)에 전압 감시 이상 경보를 발한다. 엔진 제어부(ECU)는 대시보드에 설치된 표시 장치 등에 전압 감시에 오작동이 생긴 것을 표시하여 운전자에 전지 셀(EC1)의 전압 감시에 오작동이 생긴 것을 통지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주행 정지 또는 고장 수리를 위한 조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엔진 제어부(ECU)는 전지 셀의 전압 감시에 오작동이 생김에 따라 전지 셀의 손상을 방지하는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중에 오작동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전지 셀의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바로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전지 셀이 과충전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엔진 제어부(ECU)는 외부 충전 전압(CHARGE)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과충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지 셀(EC1)의 통상 측정 전압(ΔV)과 용장 측정 전압(ΔVB)의 차가 규정 값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전지 셀(EC1)의 전압 측정을 종료한다. 그 후에, 전술한 스텝 S101~S107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전지 셀(EC2)의 전압 측정을 개시한다. 그 후에, 전지 셀(EC3~ECm)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전압을 측정한다.
이상에서, 본 구성에 따르면, 전지 셀의 전압 감시에 수반하여, 리크 전류의 발생에 의한 전지 셀 전압 감시의 오작동을 검출할 수 있는 전압 감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회로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단자 수를 늘리지 않고서 전지 셀 전압 감시의 오작동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압 감시 모듈(100)에서는, 입력 단자(V1~V(m+1)) 및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VBm)를 이용하여 전지 셀 전압 측정을 행하므로, 각 단자의 오픈/쇼트 점검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택 회로(SEL1 및 SEL2)의 스위치를 전환하여 전지 셀의 전압을 측정하므로, 선택 회로(SEL1 및 SEL2)의 오작동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측정 전압(ΔV) 및 용장 측정 전압(ΔVB)의 측정을 한 번 행하지만, 측정 방법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상 측정 전압(ΔV) 및 용장 측정 전압(ΔVB)의 측정을 각각 여러 번 행하고, 셀 모니터부(CMU)가 이동 평균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통상 측정 전압(ΔV)의 측정을 여러 번 행하고, 셀 모니터부(CMU)는 평균 통상 측정 전압(ΔV_ave)을 산출한다. 용장 측정 전압(ΔVB)의 측정을 여러 번 행하고, 셀 모니터부(CMU)는 평균 용장 측정 전압(ΔVB_ave)을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 S106과 마찬가지로, 평균 통상 측정 전압(ΔV_ave)과 평균 용장 측정 전압(ΔVB_ave)을 비교함으로써 리크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 측정 전압(ΔV) 또는 용장 측정 전압(ΔVB)의 값이 노이즈 교란에 의해 변동되는 경우에, 리크 전류를 잘못 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압 감시 모듈(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압 감시 모듈(200)은 전압 감시 모듈(100)의 변형예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압 감시 모듈(200)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8에서는 전압 감시 모듈(200)의 구성 및 동작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서는 전원 회로(VMM_S)를 생략하고, 입력 단자(V1~V3),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 및 VB2)에 관한 회로 소자 및 회로 블록만을 나타내고 있다.
전압 감시 모듈(200)은 전압 감시 모듈(100)의 선택 회로(SEL2)를 검출 회로(DET)로 치환한 구성을 갖는다. 검출 회로(DET)는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 레벨 시프터(LS_1~LS_m) 및 OR 회로(OR)를 포함한다.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는 각각 입력 단자(V1~Vm)의 전압과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VBm)의 전압을 비교한다.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에는 각각 오프셋 전압 Vo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를 대표 예로서 설명한다. 입력 단자(V1)의 전압과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의 전압 사이에 오프셋 전압 Vo 이상의 차가 있는 경우에는,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는 하이(High) 레벨을 출력한다. 입력 단자(V1)의 전압과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의 전압 사이의 차가 오프셋 전압 Vo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는 로우(Low) 레벨을 출력한다.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2~COMP_m)의 동작은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와 마찬가지이다.
레벨 시프터(LS_1~LS_m)는 각각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의 출력과 OR 회로(OR)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다. 레벨 시프터(LS_1~LS_m)는 각각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의 출력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압 레벨을 상승시킨다.
OR 회로(OR)는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된다. OR 회로(OR)의 출력은 셀 모니터부(CMU)와 접속된다. OR 회로(OR)는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셀 모니터부(CMU)에 리크 검출 신호(ALM)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로부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것이 하이 레벨일 경우에는, 하이 레벨 신호를 리크 검출 신호(ALM)로서 출력한다.
전압 감시 모듈(200)의 그 밖의 구성은 전압 감시 모듈(100)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전압 감시 모듈(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대표 예로서, 전지 셀(EC1)의 전압을 측정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전압 감시 모듈(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201~S203은 도 5의 스텝 S101~S103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에, 스텝 S201~S203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전지 셀(EC2~ECm)의 전압을 측정한다(스텝 S204).
다음으로, 셀 모니터부(CMU)는 제어 회로(CON)에 리크 검출 명령을 발한다(스텝 S205). 제어 회로(CON)는 제어 신호(SIG_C)에 의해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를 온으로 한다(스텝 S206). 이에 따라,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로부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것이 하이 레벨인지, 또는 OR 회로(OR)의 출력이 하이인지가 판단된다(스텝 S207).
필터용 용량(C1)의 문제점에 의해 필터용 용량(C1)에 리크 전류(Ic)가 흐르는 경우에 대해 검토한다. 도 10은 필터용 용량(C1)을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2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리크 전류(Ic)가 흐르면, 필터용 저항(Rf1)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필터용 저항(Rf1)에 의해 생기는 전압 강하(VRf1)는 Rf1×Ic이 된다. 따라서, 입력 단자(V1)의 전압은 이하의 수학식 1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11
한편,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의 전압은 이하의 수학식 1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12
따라서, 컴퍼레이터(COMP_1)가 입력 단자(V1)의 전압과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의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필터용 용량(C1)에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것을 검출한다. 이것은 필터용 용량(C2~Cm)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로, 보호 다이오드(D1)의 오작동에 의해 보호 다이오드(D1)에 리크 전류(Id)가 흐르는 경우에 대해 검토한다. 도 11은 보호 다이오드(D1)를 통해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압 감시 모듈(200)의 전압 측정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 전류(Id)가 흐르면 필터용 저항(Rf1)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필터용 저항(Rf1)에 의해 생기는 전압 강하(VRf1)는 Rf1×Id가 된다. 따라서, 입력 단자(V1)의 전압은 이하의 수학식 13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13
따라서, 통상 측정 전압(ΔV)은 이하의 수학식 14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14
따라서, 컴퍼레이터(COMP_1)가 입력 단자(V1)의 전압과 셀 밸런싱 입력 단자(VB1)의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보호 다이오드(D1)에 리크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것은 보호 다이오드(D2~Dm)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요컨대,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외부 회로의 소자를 통하여 리크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검출 회로(DET)는 리크 전류의 발생을 검출하고, 리크 전류의 발생을 셀 모니터부(CMU)에 통지한다.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로부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것이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OR 회로(OR)로부터 하이 레벨 신호가 리크 검출 신호(ALM)로서 셀 모니터부(CMU)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셀 모니터부(CMU)는 리크 전류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셀 모니터부(CMU)는 전지 관리부(BMU)에 리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208). 전지 관리부(BMU)는 리크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 제어부(ECU)에 전압 감시 이상 경보를 발한다. 엔진 제어부(ECU)는 대시보드에 설치된 표시 장치 등에 전압 감시에 오동작이 생긴 것을 표시하여 운전자에 전지 셀(EC1)의 전압 감시에 오동작이 생긴 것을 통지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주행 정지나 고장 수리를 위한 조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엔진 제어부(ECU)는 전지 셀의 전압 감시에 오동작이 생김에 따라 전지 셀의 손상을 방지하는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중에 오동작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전지 셀의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바로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전지 셀이 과충전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엔진 제어부(ECU)는 외부 충전 전압(CHARGE)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과충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COMP_1~COMP_m)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모두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OR 회로(OR)로부터 로우 레벨 신호가 리크 검출 신호(ALM)로서 셀 모니터부(CMU)에 출력된다. 이 경우, 전지 셀의 전압 감시에 오동작은 없으므로 전압 감시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본 구성에 따르면, 전압 감시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전지 셀의 전압 감시에 관련된 리크 전류의 발생에 의한 전지 셀 전압 감시의 오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전압 감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압 감시 모듈(200)은 A/D 컨버터(ADC), 레지스터(VMC_REG) 및 통신 회로(VMM_C)를 개재하지 않고 검출 회로(DET)로부터 셀 모니터부(CMU)에 리크 발생을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 감시 모듈(200)은 A/D 컨버터(ADC), 레지스터(VMC_REG) 및 통신 회로(VMM_C)의 고장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리크 전류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요컨대, 본 구성에 따르면, 보다 용장성이 우수한 전지 셀 전압 감시의 오동작 검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압 감시 모듈(200)에서는, 선택 회로(SEL2)를 이용한 전지 셀(EC1~ECm)의 측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전압 감시 모듈(100)에 비해 고속으로 리크 발생을 검출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보호 다이오드는 입력 단자에 외부 접속되어 있지만, 보호 다이오드는 셀 밸런싱 입력 단자에 외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보호 다이오드는 전압 센서 모듈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보호 다이오드를 입력 단자 및 셀 밸런싱 입력 단자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1년 3월 31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1-79864호를 기초라고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는 모두 여기에 참고로 포함된다.
31, ADC: A/D 컨버터
32, VMC_REG: 레지스터
33, VMM_C: 통신 회로
34, CON, VMC_CON: 제어 회로
100, 200, 300: 전압 감시 모듈
101, 301: 필터 회로
102, 302: 보호 회로
ALM: 리크 검출 신호
assy: 조전지
BMU: 전지 관리부
C31~C33: 필터용 용량
CHARGE: 외부 충전 전압
CMU: 셀 모니터부
COMP_1~COMP_m: 오프셋 전압 컴퍼레이터
CON: 제어 회로
D1~Dm: 보호 다이오드
D31~D33: 보호 다이오드
DET: 검출 회로
EC1~ECm, EC31, EC32: 전지 셀
ECU: 엔진 제어부
EM1~EMn: 전압 모듈
Ic, Id: 리크 전류
INS1, INS2: 절연 소자
INV: 인버터
LS_1~LS_m: 레벨 시프터
MG: 모터 제너레이터
NM1~NMm: N 채널 트랜지스터
OR: OR 회로
REL1, REL2: 릴레이
Rf1-Rf3: 필터용 저항
Rf1~Rfm, Rf31~Rf33: 필터용 저항
CB1~CBm: 셀 밸런싱 회로
SEL1, SEL2: 선택 회로
SIG_C, SIG_R, SIG_S1, SIG_S2, SIG_CB: 제어 신호
SW31~SW33, SWa_1-SWa_m, SWb_1-SWb_m, SWc_1~SWc_m: 스위치
Tin: 통신 입력 단자
Tout: 통신 출력 단자
V1~Vm, V31~V33: 입력 단자
VB1~VBm: 셀 밸런싱 입력 단자
VCC: 전원 단자
VH: 고전위측 전압
VL: 저전위측 전압
VMC: 전압 측정 회로
VMC_ADC: A/D 컨버터
VMC_SEL: 선택 회로
VMM_S: 전원 회로
VMM1~VMMn: 전압 감시 모듈
VMS: 전압 감시 시스템
ΔV: 통상 측정 전압
ΔVB: 용장 측정 전압

Claims (13)

  1. 전압 감시 모듈로서,
    전지 셀의 고전위측 단자와 외부 저항을 통하여 접속되는 제1 입력 단자;
    상기 전지 셀의 상기 고전위측 단자와 접속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고정 전압 사이에 상기 제1 입력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는 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제1 스위치를 온함으로써,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제1 전압과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압이 비교되는 것인 전압 감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온함으로써,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압이 비교되는 것인 전압 감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압은 상기 전지 셀의 상기 고전위측 단자의 전압보다도 낮은 것인 전압 감시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는 상기 소자는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저항 사이의 노드와 상기 고정 전압 사이에 접속되는 용량인 전압 감시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는 상기 소자는 캐소드가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저항 사이의 노드와 접속되고, 애노드가 상기 고정 전압과 접속되는 다이오드인 전압 감시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는 상기 소자는 캐소드가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의 노드와 접속되고, 애노드가 상기 고정 전압과 접속되는 다이오드인 전압 감시 모듈.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을 비교하는 컴퍼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퍼레이터의 출력에 따라 외부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감시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 사이의 차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감시 모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입력 단자,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및
    복수의 상기 제1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압과 복수의 상기 제2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압을 각각 비교하는 복수의 상기 컴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컴퍼레이터의 출력 중 어느 것이든 하이인 경우에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감시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입력이 상기 복수의 상기 컴퍼레이터의 출력과 접속되고, 출력으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OR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압 감시 모듈.
  11.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셀의 저전위측 단자와 접속되는 제2 입력 단자 및 제2 단자;
    상기 제2 입력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제4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둘 다 온/오프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를 둘 다 온/오프함으로써,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제3 스위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압 사이의 차인 제3 전압과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제4 스위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압 사이의 차인 제4 전압이 비교되는 것인 전압 감시 모듈.
  12. 전압 감시 시스템으로서,
    제11항에 따른 전압 감시 모듈; 및
    상기 전지 셀의 전압을 모니터하는 셀 모니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셀 모니터부는 상기 제3 전압과 상기 제4 전압이 상이한 경우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전압 감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모니터부는 상기 제3 전압과 상기 제4 전압 사이의 차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전압 감시 시스템.
KR1020137025685A 2011-03-31 2012-02-24 전압 감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1948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9864 2011-03-31
JP2011079864 2011-03-31
PCT/JP2012/001286 WO2012132220A1 (ja) 2011-03-31 2012-02-24 電圧監視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電圧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417A true KR20140010417A (ko) 2014-01-24
KR101948344B1 KR101948344B1 (ko) 2019-02-14

Family

ID=4693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685A KR101948344B1 (ko) 2011-03-31 2012-02-24 전압 감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전압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945910B2 (ko)
EP (1) EP2693597B1 (ko)
JP (1) JP5658354B2 (ko)
KR (1) KR101948344B1 (ko)
CN (1) CN103444046B (ko)
WO (1) WO201213222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803A (ko) * 2014-11-19 2016-05-2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62575A (ko) * 2014-11-25 2016-06-0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63069A (ko) * 2014-11-26 2016-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부품 절연파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3896A (ko) * 2014-11-27 2016-06-0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풀다운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28859B1 (ko) * 2014-12-12 2016-06-2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셀 진단 회로 및 진단 장치
KR20210054258A (ko) * 2019-11-05 2021-05-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누설전류 검출 기능을 구비한 bms 반도체 장치 및 그것의 누설전류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606B1 (en) * 2011-10-20 2019-04-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attery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charg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same
DE102012211088A1 (de) * 2012-06-28 2014-01-02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und Kraftfahrzeug mit Batteriesystem
JP6200139B2 (ja) * 2012-09-21 2017-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均等化装置
EP2908401B1 (en) * 2012-10-10 2017-05-1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and method of controlling shovel
JP5999048B2 (ja) * 2012-10-24 2016-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JP5870899B2 (ja) * 2012-10-30 2016-03-0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監視装置
KR101816978B1 (ko) * 2012-11-19 2018-01-09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배터리 어셈블리에 대한 보호 디바이스 및 보호 시스템
KR102024196B1 (ko) * 2012-12-03 2019-09-23 도요타 지도샤(주) 축전 시스템
JP5673658B2 (ja) 2012-12-03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JP5673657B2 (ja) 2012-12-03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KR101589198B1 (ko) * 2013-02-19 2016-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 회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JP6056553B2 (ja) * 2013-03-01 2017-01-1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監視装置
JP6201395B2 (ja) * 2013-04-19 2017-09-27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圧検出装置
JP5850017B2 (ja) * 2013-10-15 2016-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監視装置
KR101619603B1 (ko) * 2014-08-13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안전장치 및 그의 작동 방법
CN107110895B (zh) * 2014-10-28 2020-09-04 三洋电机株式会社 内置状态监视部的集成电路以及电源装置
CN104655959B (zh) * 2015-01-29 2019-02-22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下电后高压余电的检测装置
DE102015202567A1 (de) 2015-02-12 2016-08-18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mit einer Batterie und mehreren Messeinheiten zum Messen einer mittels mindestens einer Batteriezelle der Batterie bereitgestellte Spannung und Verfahren zum Messen einer mittels mindestens einer Batteriezelle einer Batterie bereitgestellte Spannung
JP6544681B2 (ja) 2015-03-31 2019-07-17 株式会社ケーヒン 電池電圧検出装置
WO2016182743A1 (en) 2015-05-09 2016-11-17 Medtronic, Inc. Methods and devices that utilize hardware to move blocks of operating parameter data from memory to a register set
EP3385035B1 (en) * 2015-10-30 2020-05-27 Black & Decker Inc. Control and power module for driving a brushless motor in a power tool
CN107923949B (zh) * 2016-01-28 2021-07-0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管理装置以及蓄电系统
JP6863365B2 (ja) * 2016-03-22 2021-04-21 日本電気株式会社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CN106183823A (zh) * 2016-07-08 2016-12-0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高压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792092B (zh) * 2016-09-13 2022-03-18 三洋电机株式会社 管理装置和电源系统
CN106199457A (zh) * 2016-09-29 2016-12-07 福州福光电子有限公司 蓄电池组中开路电池的在线快速检测装置和方法
JP6798224B2 (ja) * 2016-09-30 2020-12-0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蓄電システム、蓄電装置の状態判定方法
EP3327455B1 (en) * 2016-11-28 2020-10-21 NXP USA, Inc. Leakage current determination
DE102016224492A1 (de) * 2016-12-08 2018-06-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raktions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Batteriemanagementvorrichtung hierfür
US20190324086A1 (en) * 2016-12-30 2019-10-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Battery Leakage Current Check Method, Apparatus, And Circuit
CN106786944B (zh) * 2016-12-31 2020-12-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串联电池组单体电池的采样电路、均衡电路及系统
JP6607217B2 (ja) * 2017-03-03 2019-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自動車
KR102150147B1 (ko) * 2017-05-24 2020-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균등화 장치 및 방법
CN110712698A (zh) * 2017-07-07 2020-01-21 熊火平 一种基于人工智能的电动车全自动自检系统
US10964928B2 (en) * 2017-11-15 2021-03-30 Nova Semiconducto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multi-cell batteries
US11216370B2 (en) * 2018-02-20 2022-01-04 Medtronic, Inc. Methods and devices that utilize hardware to move blocks of operating parameter data from memory to a register set
JP2019175755A (ja) * 2018-03-29 2019-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装置、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661305B (zh) 2018-06-28 2021-01-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US11056891B2 (en) * 2018-07-18 2021-07-06 Nxp Usa, Inc. Battery stack monitoring and balancing circuit
US11228059B2 (en) * 2018-11-08 2022-0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with multiple sets of output terminals and adjustable capacity
US11152813B2 (en) 2018-11-08 2021-10-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with adjustable capacity
WO2020121864A1 (ja) * 2018-12-14 2020-06-18 ローム株式会社 ランプ制御装置
US11235748B2 (en) 2019-03-01 2022-0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se of adjustable battery system within a vehicle with an HV battery or fuel cell system
FR3094920B1 (fr) * 2019-04-09 2021-10-01 Ateq Dispositif pour systeme electronique de controle de la pression des pneus d’un vehicule automobile.
KR20200137509A (ko) *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의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428906B1 (ko) 2019-11-11 2022-08-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저전압 및 고전압 배터리를 통합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통신 방법
DE102020123183A1 (de) 2020-09-04 2022-03-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ystem eines Energiespeichers und Fahrzeug
US11469607B2 (en) 2021-01-22 2022-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ttery leakage detection
US20220255335A1 (en) * 2021-02-11 2022-08-11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Fail-Safe Battery Protection Independent from Battery Management System
FR3134631A1 (fr) * 2022-04-19 2023-10-20 Psa Automobiles Sa Surveillance de la tension mesurée d’une batterie principale d’un véhicule pendant une recharge en mode 2 ou 3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4567A (en) * 1971-05-12 1973-01-30 Canadian Patents Dev Detector-demodulator for modulated (reversed) ac and dc signals
CA1047112A (en) * 1976-03-09 1979-01-23 Majesty (Her)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Battery alarm
JPS58123B2 (ja) 1976-04-10 1983-01-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感温電線
US4316185A (en) * 1980-07-17 1982-02-16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monitor circuit
US4506253A (en) * 1983-01-03 1985-03-19 General Signal Corporation Supervisory and control circuit for alarm system
JP2593253B2 (ja) * 1991-05-29 1997-03-26 富士通株式会社 電流測定回路
US5418401A (en) * 1991-10-29 1995-05-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batteries of different voltages which are charged according to alternator speed
KR950001354B1 (ko) * 1992-01-27 1995-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battery) 단일전원 이동시스템의 기능 제어장치
JPH05236650A (ja) * 1992-02-20 1993-09-10 Asahi Optical Co Ltd 電源装置
US5760587A (en) * 1995-06-28 1998-06-0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Battery measurement method
JP3270327B2 (ja) * 1996-05-24 2002-04-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過充放電検出回路
US5867008A (en) * 1996-06-05 1999-02-02 Double-Time Battery Corporation Overcharge protection circuitry for rechargeable battery pack
WO1999045402A1 (fr) * 1998-03-06 1999-09-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strument de mesure de tension a condensateur volant
JP3580123B2 (ja) * 1998-03-20 2004-10-20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US6163131A (en) * 1998-04-02 2000-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attery having a built-in controller
US6259254B1 (en) * 1998-07-27 2001-07-10 Mid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out diagnostic tests on batteries and for rapidly charging batteries
JP3430083B2 (ja) * 1999-10-21 2003-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電圧測定装置
US6700384B2 (en) * 2000-02-22 2004-03-02 Sanyo Electric Co., Ltd. Circuit for detecting leakage in power supply
JP4421070B2 (ja) * 2000-04-10 2010-0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積層電圧計測装置
JP3681624B2 (ja) * 2000-08-31 2005-08-10 富士通株式会社 充電回路、充放電回路、及び電池パック
JP3731482B2 (ja) 2001-02-16 2006-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強電系バッテリの電圧センサ
JP3791767B2 (ja) * 2001-03-27 2006-06-28 株式会社デンソー フライングキャパシタ式電圧検出回路
JP3594562B2 (ja) * 2001-03-30 2004-12-0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の漏電検出回路
JP3545367B2 (ja) * 2001-08-08 2004-07-21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JP3738721B2 (ja) * 2001-10-02 2006-01-25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電圧検出回路
JP4131394B2 (ja) * 2003-02-19 2008-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EP1617229B1 (en) * 2003-03-24 2016-08-10 Sanken Electric Co., Ltd. Voltage measurement device
JP4179205B2 (ja) * 2004-03-29 2008-11-12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電圧測定装置
JP4293942B2 (ja) * 2004-05-28 2009-07-0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車両用漏電検出回路および電動車両用漏電検出方法
JP4326415B2 (ja) * 2004-07-06 2009-09-09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US7091728B2 (en) * 2004-08-27 2006-08-15 Gencsus Voltage isolated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60043933A1 (en) * 2004-08-31 2006-03-02 Latinis Gary R Battery voltage monitor
US7679317B2 (en) * 2005-02-15 2010-03-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eable USB device
US7161355B1 (en) * 2005-06-30 2007-01-09 Yazaki Corporation Voltage detection device and insulation detecting apparatus for non-grounded power supply including the voltage detection device
JP2007040842A (ja) * 2005-08-03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圧計測装置及び電動工具
JP4231038B2 (ja) * 2005-08-22 2009-02-25 株式会社ケーヒン 高電圧測定装置
JP4241714B2 (ja) * 2005-11-17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動工具用の電池パック
JP4597905B2 (ja) * 2006-05-01 2010-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圧検出装置
JP4785627B2 (ja) * 2006-06-08 2011-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車両用漏電検出回路および電動車両用漏電検出方法
JP4241787B2 (ja) * 2006-09-06 2009-03-18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組電池総電圧検出およびリーク検出装置
KR100846710B1 (ko) * 2006-09-07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US7679369B2 (en) * 2006-10-06 2010-03-16 Enerdel, Inc.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series-connected cell voltages using a flying capacitor
KR100839382B1 (ko) * 2006-10-16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JP4989205B2 (ja) * 2006-12-05 2012-08-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車両用の漏電検出方法
JP5076812B2 (ja) * 2006-12-18 2012-11-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異常診断装置
JP4864730B2 (ja) * 2007-01-05 2012-02-0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池電圧監視装置
US20080197910A1 (en) * 2007-02-16 2008-08-21 Denso Corporation Input processing circuit and switch input circuit using the same
ATE514956T1 (de) * 2007-04-03 2011-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Überwachungssystem der batteriespannung
KR100968350B1 (ko) * 2007-08-08 2010-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JP4881819B2 (ja) * 2007-09-07 2012-02-22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電池電圧検出回路
JP4942602B2 (ja) * 2007-09-26 2012-05-30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5459946B2 (ja) * 2007-09-28 2014-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直流電源装置
DE102007049528B4 (de) * 2007-10-15 2009-06-25 Panasonic Electronic Devices Europ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von Zellenspannungen in einer Mehrzahl von in Reihe geschalteten Akkumulatorzellen
JP5469813B2 (ja) 2008-01-29 2014-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電池システム
WO2009158367A2 (en) * 2008-06-27 2009-12-30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Cell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WO2010018959A2 (ko) * 2008-08-11 2010-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JP5334500B2 (ja) 2008-08-29 2013-11-06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958795B1 (ko) * 2008-09-01 2010-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JP4770894B2 (ja) * 2008-09-03 2011-09-14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電圧検出装置
DE102009000396B4 (de) * 2009-01-23 2019-03-14 Robert Bosch Gmbh Spannungserfassung von Batteriezellen
KR101114317B1 (ko) * 2009-03-23 2012-02-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전압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절연저항 측정회로
JP5133926B2 (ja) * 2009-03-26 2013-0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電池システム
JP5627246B2 (ja) * 2009-04-03 2014-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電動車両及び電池制御装置
US8222907B2 (en) * 2009-04-08 2012-07-17 Analog Devices, Inc. Architecture and method to determine leakage impedance and leakage voltage node
JP5390925B2 (ja) * 2009-04-24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8258792B2 (en) * 2009-05-11 2012-09-0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5448661B2 (ja) * 2009-09-08 2014-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制御装置および電力装置
US9203248B2 (en) * 2009-09-28 2015-12-01 Hitachi,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non-volatile memory
US8547064B2 (en) * 2010-01-14 2013-10-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attery cell tab monitor
US8598897B2 (en) * 2010-01-26 2013-12-03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Isol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variable emulated inductance
JP5847995B2 (ja) * 2010-04-27 2016-01-27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
DE102010034510A1 (de) * 2010-08-16 2012-02-16 Atmel Automotive Gmbh Schaltung zur Überwachung von in Reihe geschalteten Akkumulatorzellen
JP5152310B2 (ja) * 2010-12-03 2013-02-27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JP5698004B2 (ja) * 2011-01-12 2015-04-08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回路、電池監視システム、診断プログラム、及び診断方法
JP5353915B2 (ja) * 2011-02-01 2013-11-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電圧監視装置
US8788226B2 (en) * 2011-03-22 2014-07-22 DHC, Speciality Corp. Battery tester with high precision
WO2012132178A1 (ja) * 2011-03-28 2012-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電動車両、移動体、電力貯蔵装置および電源装置
JP2012208067A (ja) * 2011-03-30 2012-10-25 Keihin Corp 電池電圧検出装置
JP5801605B2 (ja) * 2011-05-16 2015-10-28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比較回路、半導体装置、電池監視システム、充電禁止方法、及び充電禁止プログラム
JP5718731B2 (ja) * 2011-05-31 2015-05-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圧監視システム及び電圧監視モジュール
US20130027049A1 (en) * 2011-07-28 2013-01-31 Tesla Motors, Inc. Method for Determining Battery Pack Isolation Resistance Via Dual Bus Monitoring
JP5767077B2 (ja) * 2011-10-24 2015-08-19 株式会社ケーヒン 漏電検出装置
JP5932488B2 (ja) * 2012-05-30 2016-06-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圧監視モジュール及び電圧監視システム
JP5928509B2 (ja) * 2014-03-12 2016-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監視装置
JP6753715B2 (ja) * 2016-07-20 2020-09-09 株式会社東芝 漏電検出装置および漏電検出方法
FI127776B (en) * 2018-02-08 2019-02-15 Akkurate Oy SYSTEM FOR DETERMINING THE INTERNAL BATTERY LEAKER FLOW INDICATOR
US10901045B2 (en) * 2018-03-16 2021-01-26 Infineon Technologies Ag Battery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using second path redundant measurement approach
IT201800005828A1 (it) * 2018-05-29 2019-11-29 Procedimento di funzionamento di sistemi di gestione di batterie, dispositivo e veicolo corrispondenti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803A (ko) * 2014-11-19 2016-05-2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62575A (ko) * 2014-11-25 2016-06-0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63069A (ko) * 2014-11-26 2016-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부품 절연파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15693B2 (en) 2014-11-26 2018-03-13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insulation-breakdown of vehicle component
KR20160063896A (ko) * 2014-11-27 2016-06-0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풀다운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28859B1 (ko) * 2014-12-12 2016-06-2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셀 진단 회로 및 진단 장치
KR20210054258A (ko) * 2019-11-05 2021-05-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누설전류 검출 기능을 구비한 bms 반도체 장치 및 그것의 누설전류 검출 방법
US11549992B2 (en) 2019-11-05 2023-01-10 Hyundai Mobis Co., Ltd. BMS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eakage current detection function and leakage current dete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44046B (zh) 2016-06-08
EP2693597A4 (en) 2014-09-10
WO2012132220A1 (ja) 2012-10-04
US20180217206A1 (en) 2018-08-02
JPWO2012132220A1 (ja) 2014-07-24
US20130335095A1 (en) 2013-12-19
CN103444046A (zh) 2013-12-11
KR101948344B1 (ko) 2019-02-14
US9945910B2 (en) 2018-04-17
EP2693597A1 (en) 2014-02-05
EP2693597B1 (en) 2023-10-25
US10895603B2 (en) 2021-01-19
JP5658354B2 (ja)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344B1 (ko) 전압 감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전압 감시 시스템
US10241154B2 (en) Voltage monitoring module and voltage monitoring system
US9103891B2 (en) Voltage monitoring circuit, test method therefor, and voltage monitoring system
US10164442B2 (en) Battery monitoring device
KR101234059B1 (ko) 셀 밸런싱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256952B1 (ko) 셀 밸런싱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JP5753764B2 (ja) 電池システム監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蓄電装置
US7830126B2 (en) Hybrid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839047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両
US20170125995A1 (en) Electricity storage system
CN110462969B (zh) 监视装置和蓄电系统
KR20090129212A (ko)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전류센서의 고장진단방법
KR20160047633A (ko) 절연저항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전압 전원 분배 장치
JP6251136B2 (ja) 電池システム監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蓄電装置
US939541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 state of a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