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115A - 부품 공급 장치,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 장치,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115A
KR20130129115A KR1020130053592A KR20130053592A KR20130129115A KR 20130129115 A KR20130129115 A KR 20130129115A KR 1020130053592 A KR1020130053592 A KR 1020130053592A KR 20130053592 A KR20130053592 A KR 20130053592A KR 20130129115 A KR20130129115 A KR 20130129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omponent supply
uppermost
head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874B1 (ko
Inventor
히로토시 야마가타
토시미치 사토우
아츠시 오카다
아키라 키시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부품 공급 장치는 팔렛트가 수납되는 매거진과, 최상위의 팔렛트에 탑재되는 트레이가 부품 인출용 헤드의 가동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트레이의 상방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복수의 팔렛트를 지지 가능한 부품 공급 테이블과, 매거진 및 부품 공급 테이블에 대해 팔렛트의 출납을 행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부품 공급 장치,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COMPONENT SUPPLYING DEVICE,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COMPONENT SUPPLYING METHOD}
본 발명은 부품 실장 장치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 장치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로서 종래,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24386 호 공보(특허문헌이라 함)에 개시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개시되는 부품 공급 장치는 부품 실장 장치에 부설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QFP(Quad Flat Package) 등의 패키지형의 전자 부품(이하, 간단히 부품으로 약칭함)을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에서 공급한다.
이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트레이를 각각 탑재한 팔렛트가 상하 복수단에 수납된 매거진과, 이 매거진의 전방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매거진으로부터 팔렛트를 인출하여 유지하는 인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품 공급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부품의 공급이 행해진다. 우선, 인출부가 소망의 트레이가 탑재된 팔렛트의 위치로 이동하고, 트레이와 함께 상기 팔렛트를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여 유지한다. 그 후 인출부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부품 공급 위치에 상기 트레이를 배치한다. 상세하게는 부품 실장 장치측의 헤드가 부품을 인출 가능하게 되는 소정의 높이 위치(부품 공급 위치)에 트레이를 배치한다. 이로써 트레이 상의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한다. 부품 공급 후는 인출부가 상기와 반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트레이를 매거진 내의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킨다. 또한, 부품 공급에 의해 트레이 상의 부품이 없어졌을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를 매거진 내의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킨 후, 부품이 수납된 새로운 트레이(팔렛트)를 인출부가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고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소정의 부품 공급 위치에 상기 트레이를 배치한다.
상기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에서는 부품 실장 장치측의 헤드에 의한 부품의 인출 후, 부품 공급 위치의 트레이를 매거진으로 리턴시키고 새로운 트레이를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여 부품 공급 위치로 배치할 때까지 상기 헤드에 의해 트레이 상의 부품(다음의 부품)을 인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상기 헤드에 대기 시간이 발생할 경우가 적지 않아 실장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에 공헌할 수 있는 부품 공급 장치는 아니었다. 특히, 하나의 트레이에 동일 부품이 수납되어 서로 다른 부품(종류가 다른 부품)을 연속하여 공급할 경우에는 매거진에 대해 상기와 같은 트레이(팔렛트)의 출납 동작이 반복되어 행해지므로 실장 효율을 보다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효율 좋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는 소정의 가동 범위를 갖는 헤드에 의해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인출 가능한 작업 장치에 인접 설치되는 부품 공급 장치로서, 상기 트레이가 탑재되는 복수의 팔렛트를 갖고, 이들 팔렛트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수평한 제 l 방향으로 출납 가능하게 수납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인출된 팔렛트를 지지 가능한 부품 공급 테이블과, 상기 매거진과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 사이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 및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팔렛트의 주고 받기를 행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은 복수의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복수의 팔렛트 중 최상위의 팔렛트에 탑재되는 트레이가 상기 헤드의 상기 가동 범위 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의 상방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와, 이 부품 공급 장치가 부설된 부품 실장 장치(본 발명의 부품 실장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부품 공급 장치에 구비된 중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중계 장치를 도시하는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A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맞물림 상태의 팔렛트 및 출납용 헤드를 도시하고, 도 4b는 비 맞물림 상태의 팔렛트 및 출납용 헤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부품 공급 장치에 구비된 부품 공급 테이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부품 공급 테이블을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도 7은 나사축과 이에 지지되는 팔렛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와 팔렛트의 피 맞물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매거진으로부터 팔렛트가 인출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9b는 부품 공급 테이블(나사축)에 팔렛트가 이송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a~도 10d는 부품 공급 장치에 의한 부품 공급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부품 공급 테이블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부품 공급 테이블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은 부품 공급 테이블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a~도 13d는 부품 공급 테이블에 있어서의 팔렛트의 무브 업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4a~도 14d는 부품 공급 테이블에 있어서의 팔렛트의 무브 업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와, 이 부품 공급 장치가 부설된 부품 실장 장치(본 발명의 부품 실장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 및 나중에 사용하는 도면에는 방향 관계를 명확화하기 위해 XYZ 직각 좌표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부품 공급 장치(10)는 부품 실장 장치(1)(본 발명의 작업 장치의 일례)에 인접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동 도면에서는 부품 실장 장치(1)는 그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부품 실장 장치(1)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2a)로 이루어지는 기판 반송 기구(2)와, 실장용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부와, 부품 실장용의 승강 가능(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헤드(5a)를 구비하고 또한 X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헤드 유닛(5)을 구비하고 있고, 기판 반송 기구(2)에 의해 소정의 작업 위치로 반입되어 위치 결정되는 프린트 배선판(PWB ; Printed wiring board) 등의 기판(3)에 대해 상기 헤드(5a)에 의해 부품 공급부로부터 부품을 인출하여 실장한다. 상기 헤드(5a)는 일정한 가동 범위를 갖고 있고, 이 가동 범위 내에서 부품 공급부로부터의 부품의 인출 및 기판(3)의 부품의 실장을 행한다.
상기 부품 공급 장치(10)는 이 부품 실장 장치(1)의 상기 부품 공급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부품 공급 장치(10)는 주로 QFP(Quad Flat Package) 등의 패키지형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부품 실장 장치(1)의 후방측(-Y 방향측)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하, 이 부품 공급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부품 실장 장치(1) 및 부품 공급 장치(10)는 모두, 도면 중에 도시하는 +Y 방향측이 장치 전방측이며, -Y 방향측이 장치 후방측이다.
부품 공급 장치(10)는 프레임(12), 매거진(14), 부품 공급 테이블(15), 중계 장치(16), 테이프 피더 유지부(18) 및 중계 장치(16)의 승강 구동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2)은 이동용 차륜(111)을 구비한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11a)와, 이 베이스(11a)의 대략 중앙에 세워 설치되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중공 기둥부(11b)를 포함한다.
상기 매거진(14)은 이 프레임(12)의 중공 기둥부(11b)의 상단이며 그 후방측(-Y 방향측)에 조립되어 있다. 매거진(14)은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가 탑재되는 복수의 팔렛트(P)를 수납하는 상자형의 부재이며, 복수의 팔렛트(P)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Y 방향/본 발명의 제 1 방향에 상당함)으로 출납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트레이(도시 생략)는 상향으로 개방되고 또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부품 수납용 오목부를 갖는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직사각형의 접시형 부재이다. 상기 매거진(14)의 내부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20장~30장의 팔렛트(P)가 수납되어 있다.
여기에서 팔렛트(P)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팔렛트(P)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벽부를 구비한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직사각형의 접시형 본체부(6)와, 이 본체부(6)의 폭방향(X 방향) 양단에 있어서 상기 둘레 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7)를 구비하고 있다. 팔렛트(P)는 플랜지부(7)가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장치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한 상태에서 매거진(14) 내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팔렛트(P)는 본체부(6)의 전후 양단이며 그 폭방향 중앙에 각각 피 맞물림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피 맞물림부(8)는 매거진(14) 등에 대한 팔렛트(P)의 출납시에 상기 팔렛트(P)를 후술하는 중계 장치(16)[출납용 헤드(25A, 25B)]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각 피 맞물림부(8)에는 폭방향 양측에 각각 외향으로 개방되는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반원 형상의 노치부(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트레이는 팔렛트(P) 중 상기 본체부(6)의 둘레 벽부 내측에 상기 둘레 벽부를 따르도록 탑재되고, 예를 들면 자석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6)에 고정된다.
상기 매거진(14)에는 그 배면(-Y 방향측의 측면)에 부품 교환용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어 부품 교환이나 부품 보충시에는 이 개구부를 통해 매거진(14)의 배면측으로부터 팔렛트(P)의 출납이 행해진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팔렛트(P)는 예를 들면 10장을 1단위로 하여 소정의 케이스(도시 생략)에 수납되어 있고, 이 케이스마다 매거진(14)에 수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를 통해 상기 매거진(14) 내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부품 실장 장치(1)에서의 생산 기판(3)의 변경시 등에는 매거진(14) 내의 복수의 트레이(부품)를 일괄하여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15)은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팔렛트(P)를 상하 방향(Z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 공급 테이블(15)은 매거진(14)에 대해 Y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상기 프레임(12)의 중공 기둥부(11b)의 상단이며 그 전방측(+Y 방향측)에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 장치(16)가 이 부품 공급 테이블(15)과 상기 매거진(14) 사이의 위치, 즉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프레임(12)의 상기 중공 기둥부(11b) 내측의 위치에 승강 가능하게(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 배치되어 있다.
중계 장치(16)는 매거진(14) 및 부품 공급 테이블(15) 사이에서 팔렛트(P)의 출납(주고 받기)을 행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중계 장치(16)는 프레임(20)과, 2개의 출납용 헤드(25A, 25B)[제 1 출납용 헤드(25A), 제 2 출납용 헤드(25B)]와, 이들 출납용 헤드(25A, 25B)를 전후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출납용 헤드 구동 기구와, 출납용 헤드(25A, 25B)의 후기한 맞물림부(253)를 구동하기 위한 맞물림부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0)은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21)의 폭방향(X 방향) 양단에 세워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22)을 갖는다. 각 측벽(22)의 상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24)(본 발명의 안내부에 상당함)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부(24)는 상기 팔렛트(P)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각 가이드부(24)는 팔렛트(P)의 플랜지부(7)를 지지하고 상기 팔렛트(P)를 폭방향(X 방향)으로 구속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적어도 팔렛트(P)의 슬라이딩 접촉 부분에는 마찰 계수를 저감시키기 위한 예를 들면 경질 알루마이트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출납용 헤드(25A, 25B)는 매거진(14) 및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대해 팔렛트(P)를 출납하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제 1 출납용 헤드(25A)가 매거진(14)에 대한 팔렛트(P)의 출납을 행하고, 제 2 출납용 헤드(25B)가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대한 팔렛트(P)의 출납을 행한다.
이들 출납용 헤드(25A, 25B)는 프레임(20)의 폭방향 중간을 경계로 하여 그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 출납용 헤드(25A, 25B)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21) 상에 고정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2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납용 헤드(25A, 25B)는 각각 상기 레일(26)에 장착되는 본체부(251)와, 이 본체부(251)에 대해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본체부(251)의 상부에 지지되는 가동부(252)를 구비한다.
가동부(252)에는 맞물림부(2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맞물림부(253)는 매거진(14) 등에 대한 팔렛트(P)의 출납시에 상기 팔렛트(P)에 대해 출납용 헤드(25A, 25B)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253)는 팔렛트(P)에 맞물림 가능한 형상, 구체적으로는 상기 피 맞물림부(8)의 노치부(8a)에 맞물림 가능한 단면이 원형인 축 형상의 맞물림 클로(253a)를 구비하고 있다. 맞물림부(253)는 팔렛트(P)에 맞물림 가능한 위치와 팔렛트(P)의 하방으로 퇴피하는 위치로 변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맞물림부(253)는 맞물림 클로(253a)가 가동부(252)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작동 위치(동 도면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와 상기 맞물림 클로(253a)가 가동부(252)에 대해 횡방향으로 눕는 퇴피 위치(도 3b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걸쳐 경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맞물림부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동부(252)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254)이 그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축(254)의 일방측의 단부에 상기 맞물림부(253)가 고정되고, 타방측의 단부에 피니언(255)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51)에 랙(256)이 고정되고, 이 랙(256)에 상기 피니언(255)이 맞물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본체부(251)에 대해 가동부(252)가 X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 가동부(252)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255), 지지축(254) 및 맞물림부(253)가 일체로 회전하고, 이로써 맞물림부(253)가 상기 작동 위치와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그리고, 맞물림부(253)가 작동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렛트(P)의 피 맞물림부(8)[노치부(8a)]에 맞물림 클로(253a)가 맞물림 가능하게 되는 한편, 맞물림부(253)가 퇴피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부 구동 기구는 가동부(252)를 진퇴 구동함으로써 상기 맞물림부(253)를 상기 작동 위치와 퇴피 위치에 걸쳐 변위시키는 것이다. 이 맞물림 구동 기구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 방향에 있어서 출납용 헤드(25A, 25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Y 방향과 평행한 지지축(281)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프레임(20)] 상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부재(28)와, 이 요동 부재(28)에 연결되어 공기압의 급배 스위칭에 따라 상기 요동 부재(28)를 요동시키는 에어 실린더(29)를 포함한다. 요동 부재(28)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282)을 구비하고 있고, 각 출납용 헤드(25A, 25B)의 가동부(252)는 베어링 등을 통해 이 가이드 축(28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맞물림부 구동 기구는 에어 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요동 부재(28)를 지지축(281) 주위로 요동시키고, 이 요동 부재(28)의 요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축(282)을 통해 가동부(252)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각 출납용 헤드(25A, 25B)는 상기 출납용 헤드 구동 기구에 의해 레일(26)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출납용 헤드 구동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21) 상의 양 레일(26) 사이의 위치이고 Y 방향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풀리(30)와, 이들 풀리(30)에 걸쳐지는 무단 형상의 구동 벨트(32)와, 모터(34)와, 상기 풀리(30) 중 일방측의 풀리(30)에 대해 상기 모터(34)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출납용 헤드(25A, 25B)의 본체부(251)가 각각 구동 벨트(32)에 대해 연결(고정)되어 있다. 즉, 출납용 헤드 구동 기구는 모터(34)에 의해 구동 벨트(32)을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구동 벨트(32)의 이동에 따라 출납용 헤드(25A, 25B)를 각각 레일(26) 및 가이드 축(282)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각 출납용 헤드(25A, 25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각 출납용 헤드(25A, 25B)는 전후 방향(Y 방향)에 있어서 프레임(20)의 외측에 맞물림부(253)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 맞물림부(253)가 퇴피 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맞물림 클로(253a)가 서로 프레임(20)의 폭방향(X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출납용 헤드(25A)가 프레임(20)의 전후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에 위치될 때에는 제 2 출납용 헤드(25B)가 프레임(20)의 타방측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각각 출납용 헤드(25A, 25B)가 상기 벨트(32)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중계 장치(16)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출납용 헤드(25A)의 맞물림부(253)를 팔렛트(P)의 전방측(+Y 방향측)의 피 맞물림부(8)(본 발명의 제 1 피 맞물림부에 상당함)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출납용 헤드(25A)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매거진(14)에 대해 팔렛트(P)를 출납하고, 제 2 출납용 헤드(25B)의 맞물림부(253)를 팔렛트(P)의 후방측(-Y 방향측)의 피 맞물림부(8)(본 발명의 제 2 피 맞물림부에 상당함)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출납용 헤드(25B)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대해 팔렛트(P)를 출납한다.
중계 장치(1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 기둥부(11b)[프레임(12)]에 고정된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3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승강 구동 기구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이 승강 구동 기구는 상기 중공 기둥부(1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프레임(20)에 조립된 도면 외의 너트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38)과, 이 나사축(38)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도시 생략) 등을 갖고 있고, 상기 모터에 의해 나사축(38)을 정역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중계 장치(16)를 승강시킨다. 이 승강 구동 기구는 매거진(14)의 팔렛트 수납 영역 전체에 걸쳐 중계 장치(16)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가동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장치(16)는 매거진(14)에 수납되는 임의의 팔렛트(P)를 출납 가능하다.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15)은 매거진(14)으로부터 인출된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로부터 수취하고, 상기 팔렛트 유닛(5)에 의한 부품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팔렛트(P)(트레이)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 공급 테이블(15)은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최상위에 위치되는 팔렛트(P)에 탑재된 트레이가 상기 부품 실장 장치(1)의 헤드(5a)의 가동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트레이의 상방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복수의 팔렛트(P)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4개의 나사축(42)(본 발명의 지지 부재에 상당함)과, 이들 나사축(42)에 지지된 팔렛트(P)를 그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팔렛트 승강 기구(본 발명의 승강 기구에 상당함)와, 팔렛트(P)를 폭방향(X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와, 팔렛트(P)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를 포함한다.
부품 공급 테이블(15)은 팔렛트(P)가 없는 상태에서 4개의 나사축(42)의 내측의 공간[저장부(Sp)라 칭함]이 베이스 플레이트(40)로부터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나사축(42)은 그 기단부 근방의 위치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동일 형상의 나사산이 연속적으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동일한 나사축이다. 각 나사축(42)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의 네 코너에 각각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편, 팔렛트(P)의 상기 플랜지부(7)는 Y 방향을 따라 상기 나사축(42)의 나사홈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축의 나사홈이 팔렛트의 지지부(이하, 편의상, 팔렛트 지지부라 함)로 되고, 도 1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나사축(42)은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폭방향(X 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나사축(42) 사이에 팔렛트(P)가 삽입되고 또한 그 플랜지부(7)가 각 나사축(42)의 나사홈(골부)에 삽입됨으로써 팔렛트(P)를 지지한다. 본 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축(42)은 측면으로부터 봤을 때 나사홈의 하나 걸러에 팔렛트(P)를 지지하고 또한 최대 5장의 팔렛트(P)를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축 길이 및 나사의 피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5장의 팔렛트(P)를 지지했을 때의 최상위의 팔렛트(P)의 높이 위치, 정확하게는 상기 팔렛트(P)에 지지되는 트레이 내의 부품의 높이 위치가 부품 실장 장치(1)의 상기 헤드(5a)에 의한 부품의 인출 높이 위치가 되도록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높이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P)의 높이 위치와 매거진(14)에 지지되는 최상위의 팔렛트(P)의 높이 위치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대해 상기 매거진(14)의 높이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나사축(42)의 나사홈(골부)이 팔렛트 지지부로 된다. 상세하게는 2피치마다 나사홈이 팔렛트 지지부가 됨으로써 4개의 나사축(42)이 복수단(5단)의 팔렛트 지지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나사축(42)의 나사홈 중 상기 헤드 유닛(5)[헤드(5a)]에 의한 부품의 인출 높이 위치가 되는 최상위의 나사홈이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 되어 있다.
또한, 나사축(42)에 복수 개의 팔렛트(P)가 지지될 경우에는 그 최상위의 팔렛트(P)에 지지되는 트레이(최상위의 트레이)가 상방으로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실장 장치(1)의 후방측(-Y 방향측)에 부품 공급 장치(10)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품 공급 테이블(15)은 헤드 유닛[헤드(5a)]의 XY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범위(MA)(도 1 참조) 내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5a)는 최상단에 지지됨으로써 상방이 개방된 최상위의 팔렛트(P)에 지지되는 트레이로부터 부품을 흡착할 수 있다.
상기 팔렛트 승강 기구는 각 나사축(42)을 동일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축(42)에 지지되어 있는 각 팔렛트(P)를 그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일체적으로 승강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팔렛트 승강 기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설치되고, 각 나사축(42)을 그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등의 나사 지지부(410)(본 발명의 제 1 지지부에 상당함)와, 각 나사축(42)을 동일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이 회전 구동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방에 있어서 각 나사축(42)에 장착되는 풀리(411)와, 이들 풀리(411)에 걸쳐지는 무단 형상의 전동 벨트(413)와, 이 전동 벨트(413)를 팽팽히 설치하기 위한 텐션 풀리(412, 414)와, 텐션 풀리(414)와 동축으로 설치된 구동 풀리(415)와, 모터(430)와, 상기 모터(430)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풀리(431)와, 상기 풀리(431)와 상기 구동 풀리(415)에 걸쳐지는 구동 벨트(432)를 포함한다. 즉, 팔렛트 승강 기구는 모터(430)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각 풀리 및 벨트를 통해 각 나사축(42)으로 전달함으로써 각 나사축(42)을 동기하여 회전시킴과 아울러 모터(430)의 구동 방향의 스위칭에 의해 나사축(42)의 회전 방향을 스위칭한다. 이로써 팔렛트 승강 기구는 팔렛트(P)를 각 나사축(42)의 회전에 따라 그들의 나사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는 각 나사축(42)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P)를 그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각 팔렛트(P)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폭방향(X 방향) 양단에 설치된 한쌍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와, 이들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레이트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X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어 있고, 이들의 대향면에는 나사축(42)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P)의 플랜지부(7)를 개재시키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홈(44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는 전후로 배열된 나사축(4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에 고정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442)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는 나사축(42)에 지지된 팔렛트(P)[플랜지부(7)]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홈(441)의 내측 저부에 접하도록 서로 접근하는 작동 위치와, 이 작동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한 위치이며 상기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 사이에서 각 팔렛트(P)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퇴피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레일(44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 구동 기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서 지지축(448)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 부재(445)와, 이 제 1 링크 부재(445)의 길이 방향 양단과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를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한쌍의 제 2 링크 부재(446)와, 상기 제 1 링크 부재(445)에 연결되고 공기압의 급배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 부재(445)를 지지축(448) 주위로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447)를 구비한다. 즉, 플레이트 구동 기구는 에어 실린더(447)에 의해 제 1 링크 부재(445)를 지지축(448) 주위로 요동시키고, 이 제 1 링크 부재(445)의 요동에 따라 각 제 2 링크 부재(446)를 통해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를 작동 위치와 퇴피 위치에 걸쳐 폭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는 나사축(42)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P)를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전단부를 기준으로 해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또한 팔렛트(P)의 승강시에는 상기 위치 결정 상태에서 각 팔렛트(P)를 각각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는 전후 방향(Y 방향)으로 두께를 갖고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전방 끝면을 따라 폭방향(X 방향으로)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와, 이들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레이트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으로부터 봤을 때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X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460a)를 구비하고 있다.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의 가이드부(460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렛트(P)의 전방측의 피 맞물림부(8)에 대해 외측(X 방향 외측)으로부터 맞물림 가능하고 또한 상기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팔렛트(P)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상기 피 맞물림부(8)의 노치부(8a)에 대응한 단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의 각 가이드부(460a)에는 팔렛트(P)[피 맞물림부(8)]의 마찰 계수를 저감시키기 위한 예를 들면 경질 알루마이트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는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전방 끝면에 고정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461)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사축(42)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P)의 피 맞물림부(8)[각 노치부(8a)]에 가이드부(460a)가 맞물리는 작동 위치(도 8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와, 이 작동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퇴피하는 퇴피 위치(도 8의 실선에 도시하는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가 작동 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각 가이드부(460a)가 팔렛트(P)의 전방측의 피 맞물림부(8)에 맞물리고, 이 맞물림에 의해 팔렛트(P)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한편,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가 퇴피 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팔렛트(P)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 구동 기구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중심선(폭방향 중심을 통과해 Y 방향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출력축이 진퇴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면에 고정되는 에어 실린더(462)와, 이 에어 실린더(462)의 작동축과 각 베이스 플레이트(40)에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되는 한쌍의 링크(463)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플레이트 구동 기구는 상기 에어 실린더(462)의 작동에 의해 링크(463)를 통해 각각 각 베이스 플레이트(40)를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중에 있어서 부호 48은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후단이며 그 폭방향 양단에 세워 설치된 팔렛트 가이드 부재이다. 이들 팔렛트 가이드 부재(48)는 상기 중계 장치(16)에 의한 부품 공급 테이블(15)로의 팔렛트(P)의 출납시에 각 팔렛트(P)의 플랜지부(7)를 안내하는 것이다. 각 팔렛트 가이드 부재(48)에는 상기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의 가이드 홈(441)과 동등한 가이드 홈(4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피더 유지부(18)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의 중공 기둥부(11b)의 측방에 고정되어 있다. 이 테이프 피더 유지부(18)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도시 생략)를 폭방향으로 병렬로 배열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테이프 피더는 IC, 트랜지스터, 콘덴서 등의 소편 형상의 칩 부품을 수납, 유지한 테이프가 권취된 릴을 구비하고, 이 릴로부터 간헐적으로 테이프를 풀어가면서 부품 실장 장치(1)의 상기 헤드 유닛(5)으로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술한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한 부품의 공급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부품 공급 장치(10)는 부품 공급 테이블(15)이나 중계 장치(1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하의 동작은 이 제어 장치에 의해 부품 공급 테이블(15)이나 중계 장치(16)가 제어됨으로써 행해진다.
<매거진(14)으로부터의 팔렛트(P)의 인출>
중계 장치(1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망의 트레이가 지지된 팔렛트(P)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 즉 가이드(24) 상으로 팔렛트(P)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높이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때, 각 출납용 헤드(25A, 25B)는 가동 범위 내의 소정의 대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 맞물림부(253)는 상기 퇴피 위치에 세팅되어 있다.
중계 장치(16)가 소망의 팔렛트(P)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도달하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출납용 헤드(25A)가 그 가동 범위 내의 후단까지 이동한 후, 상기 제 1 출납용 헤드(25A)의 맞물림부(253)가 퇴피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스위칭된다. 이 스위칭에 의해 맞물림 클로(253a)가 팔렛트(P)의 전방측의 피 맞물림부(8)[노치부(8a)]에 맞물리고, 상기 팔렛트(P)와 제 1 출납용 헤드(25A)가 연결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 1 출납용 헤드(25A)가 전방(+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팔렛트(P)가 가이드부(24)에 지지되면서 중계 장치(16) 내로 인입된다. 또한, 이 제 1 출납용 헤드(25A)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 2 출납용 헤드(25B)가 후방(-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 2 출납용 헤드(25B)의 맞물림부(253)는 퇴피 위치에 세팅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맞물림부(253)[맞물림 클로(253a)]가 팔렛트(P)에 간섭할 일은 없다.
출납용 헤드(25A, 25B)의 위치가 전후로 바뀌고, 제 2 출납용 헤드(25B)의 맞물림부(253)가 상기 팔렛트(P)의 후방측의 피 맞물림부(8)에 맞물림 가능한 위치까지 양 출납용 헤드(25A, 25B)가 이동하면, 제 2 출납용 헤드(25B)의 맞물림부(253)가 퇴피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스위칭되고, 그 후 제 1 출납용 헤드(25A)의 맞물림부(253)가 작동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스위칭된다. 즉, 팔렛트(P)와 제 1 출납용 헤드(25A)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팔렛트(P)가 제 2 출납용 헤드(25B)에 연결된다.
<부품 공급 테이블(15)로의 팔렛트(P)의 이송>
팔렛트(P)가 매거진(14)으로부터 중계 장치(16)로 인입되면 또는 팔렛트(P)가 중계 장치(16)에 인입되고 또한 출납용 헤드(25A, 25B)와 팔렛트(P)의 상기한 연결 스위칭이 완료되면, 중계 장치(1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팔렛트(P)를 가이드부(24)로부터 부품 공급 테이블(15)[나사축(42)]로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높이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축(42)은 팔렛트(P)를 상하 5단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중계 장치(16)는 이들 5단 중 소망의 단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서 정지한다.
중계 장치(16)가 상기 소망의 단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도달하면, 제 2 출납용 헤드(25B)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렛트(P)가 가이드부(24)를 따라 상기 중계 장치(16)로부터 부품 공급 테이블(15)측으로 압출된다. 이 때, 팔렛트(P)는 그 플랜지부(7)가 팔렛트 가이드 부재(48)의 가이드 홈(481)을 따라 안내되면서 우선 후방측의 각 나사축(42)의 나사홈 내로 인도되고, 또한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의 가이드 홈(441)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방측의 각 나사축(42)의 나사홈 내로 인도된다. 이에 따라 4개의 나사축(42)에 의해 팔렛트(P)가 지지된다. 이 때,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의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 및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의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는 모두 퇴피 위치에 세팅되어 있다.
제 2 출납용 헤드(25B)가 그 가동 범위의 전단(또는 소정의 전방 위치)까지 이동되고, 팔렛트(P)가 중계 장치(16)로부터 완전히 압출되어 상기 팔렛트(P)가 완전히 나사축(42)에 지지되면,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가 퇴피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스위칭된다. 이로써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의 가이드부(460a)가 팔렛트(P)의 전방측의 피 맞물림부(8)[노치부(8a)]에 맞물리고, 팔렛트(P)가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것과 병행되어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의 양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가 작동 위치로 스위칭되고, 이로써 팔렛트(P)가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 후 제 2 출납용 헤드(25B)의 맞물림부(253)가 작동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스위칭됨으로써 팔렛트(P)와 상기 제 2 출납용 헤드(25B)의 연결이 해제된다.
<부품 실장 장치(1)로의 부품 공급>
여기에서, 예를 들면 인출 대상 부품이 수납되는 트레이가 탑재되는 팔렛트(P)가 저장부(Sp)의 최상단에 지지된 경우에는 부품 실장 장치(1)의 팔렛트 유닛(5)에 의해 상기 팔렛트(P)에 탑재되어 있는 트레이로부터 부품의 인출이 행해진다.
한편, 상기 팔렛트(P)가 예를 들면 저장부(Sp)의 2단째(위로부터 2단째)에 지지된 경우이며 최상단에 다른 팔렛트(P)가 지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상단의 팔렛트(P)가 부품 공급 테이블(15)로부터 중계 장치(16)로 인출되고, 그 후 상기 2단째의 팔렛트(P)가 최상단으로 상승된 후에 상기 팔렛트(P)로부터 부품의 인출이 행해진다.
상기 팔렛트(P)의 상승은 모터(430)의 작동에 의해 4개의 나사축(42)이 동기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행해진다. 즉, 각 나사축(42)이 동기 회전함으로써 팔렛트(P)가 나사홈을 따라 2단째로부터 최상단으로 상승한다. 또한, 이와 같이 나사축(42)이 회전 구동될 때는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가 작동 위치에 세팅된 상태가 유지되는 한편,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의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가 퇴피 위치에 세팅된다. 이로써 팔렛트(P)는 그 피 맞물림부(8)가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가이드부(460a)]를 따라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팔렛트(P)가 최상단에 도달하면,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의 작동에 의해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가 퇴피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를 1회 내지 복수회 진퇴 구동되고, 이로써 팔렛트(P)의 폭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팔렛트(P)의 위치 결정 후,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의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와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의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가 각각 작동 위치에 세팅된 채의 상태에서 헤드 유닛(5)에 의해 상기 팔렛트(P)에 탑재된 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이 행해지게 된다.
<팔렛트(P)의 수납>
부품 공급을 종료한 팔렛트(P)는 부품 공급 테이블(15)로부터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되고, 상술한 동작과 역의 동작에 따라 매거진(14)으로 리턴된다. 즉 최상단의 팔렛트(P)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중계 장치(16)가 이동한 후, 나사축(42)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P)를 제 2 출납용 헤드(25B)에 의해 부품 공급 테이블(15)로부터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입한다. 이어서 중계 장치(1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이 이동중에 팔렛트(P)와 제 2 출납용 헤드(25B)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팔렛트(P)가 제 1 출납용 헤드(25A)에 연결된다. 그리고, 중계 장치(16)가 매거진(14)의 소망의 빈 팔렛트 수납 높이 위치에 도달하면, 제 1 출납용 헤드(25A)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로부터 매거진(14) 내로 압출하고, 이 압출 후 상기 제 1 출납용 헤드(25A)와 팔렛트(P)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로써 매거진(14)으로의 팔렛트(P)의 수납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의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는 팔렛트(P)의 승강시 및 중계 장치(16)에 대한 팔렛트(P)의 주고 받기시에는 퇴피 위치에 유지되고, 그 이외는 작동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의 각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는 중계 장치(16)에 대한 팔렛트(P)의 주고 받기시에는 퇴피 위치에 유지되고, 그 이외는 작동 위치에 유지된다.
이상, 이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해 부품 실장 장치(1)[헤드 유닛(5)]로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일련의 기준 동작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하에 보다 구체적인 동작의 일례에 대해 도 10a~도 10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도 10d에 도시하는 예는 매거진(14)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 중 특정한 5종류의 부품을 한세트로 하여 부품 실장 장치(1)로 공급할 경우, 예를 들면 1개의 기판(3)에 상기 5종류의 부품을 실장할 경우에 유용한 동작의 일례이다.
이 예에서는 우선, 5종류의 부품(트레이) 각각이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P1~P5)를 상술한 동작에 따라 매거진(14)으로부터 인출하여 부품 공급 테이블(15)로 이송한다. 이 경우, 헤드 유닛(5)에 의한 인출이 빠른 부품[부품 실장 장치(1)에 있어서의 실장 순번이 빠른 부품]이 상위에 위치되도록 각 팔렛트(P1~P5)를 나사축(42)에 지지시킨다(도 10a; 본 발명의 팔렛트 인출 공정에 상당함).
그리고, 최상단(최상위)에 위치되는 팔렛트(P1)에 지지되어 있는 최초의 부품이 헤드 유닛(5)에 의해 인출되면, 상기 팔렛트(P1)를 부품 공급 테이블(15)로부터 중계 장치(16)로 인출함과 아울러 상기 인출후, 즉시 나사축(42)을 회전 구동하고, 2단째~ 5단째에 지지되어 있는 각 팔렛트(P2~P5)를 연동하여 1단씩 무브 업한다. 이로써 다음 부품이 지지되는 팔렛트(P2)를 팔렛트 유닛(5)에 의한 인출이 가능한 최상단에 배치한다. 또한, 중계 장치(16)를 하강시켜 원래의 최상단의 팔렛트(P1)를 최하단(최하위; 5단째)으로 이동시킨다(도 10b~도 10d; 본 발명의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에 상당함).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최상단에 위치되는 팔렛트(P)로부터 부품이 인출됨에 따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P)를 연동하여 일단씩 무브 업한 후에 원래의 최상단의 팔렛트(P)를 최하단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상기 5종류의 부품을 반복하여 부품 실장 장치(1)에 대해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부품 공급 장치(10)는 매거진(14)에 대해 팔렛트(P1)를 출납하는 중계 장치(16)와는 별도로 인출된 팔렛트(P)를 상하 복수단(적어도 2단)에 저장 가능함과 아울러 팔렛트(P)가 없는 상태에서 이 상하 복수단의 저장부(Sp)를 상방으로 개방할 수 있고, 또한 저장된 팔렛트(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부품 공급 테이블(15)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중계 장치(16)는 선행하는 팔렛트(P)(선행 부품)를 부품 공급 테이블(15)로 공급하여 저장부(Sp)의 최상단에 남긴 채로 후속 팔렛트(P)(후속 부품)의 인출 동작[매거진(14)으로부터의 인출 동작]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종래의 이 종류의 부품 공급 장치에 비해 효율적으로 부품 공급을 행할 수 있다. 즉 매거진 및 이 매거진에 대해 팔렛트의 출납을 행하는 인출부만을 구비하고, 인출부로 인출된 팔렛트로부터 직접 부품의 인출이 행해지는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배경기술에서 설명한 특허문헌 1)에서는 선행하는 팔렛트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이 종료되고, 또한 상기 팔렛트를 매거진으로 리턴시킨 후가 아니면 다음 팔렛트(부품)의 준비를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부품 실장 장치측의 헤드에 대기 시간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상기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선행하는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로 이송한 후, 즉시 후속 팔렛트(P)의 인출 동작으로 이행함으로써 헤드 유닛(5)에 의한 상기 선행 팔렛트(P)에 있어서의 부품의 인출 기간을 이용하여 다음 팔렛트(P)(부품)를 사전에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저장부(Sp)의 하위의 단에 준비할 수 있고, 또한 중계 장치(16)를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 위치로 이동해 대기시켜 둘 수 있다. 그리고, 선행하는 팔렛트(P)로부터의 부품의 인출 종료 후, 상기 선행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로부터 중계 장치(16)로 인출하고, 다음의 팔렛트(P)(부품)을 최상단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다음 팔렛트(P)의 부품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만큼 종래의 부품 실장 장치에 비해 효율 좋게 부품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장치(16)를 사용하여 상위로부터 순번대로 공급순에 따라 부품(트레이)이 배치되도록 미리 복수의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준비해 두면, 헤드 유닛(5)에 의한 부품의 인출 후는 중계 장치(16)에 의해 최상위의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로부터 인출만 하면, 부품 공급 테이블(15) 상의 팔렛트(P)를 자동적으로 무브 업하여 최상위의 팔렛트(P)로부터 다음의 부품의 인출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장치(16)에 의해 인출된 선행 팔렛트(P)는 매거진(14)으로 리턴되거나,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저장부(Sp)의 하위의 단[팔렛트(P)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팔렛트 지지부]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대단히 짧은 시간 피치로 미리 정해진 순번에 의해 다른 팔렛트(P)로부터 연속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1)로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이 점에서도 효율 좋게 부품 공급을 행할 수 있다. 특히, 특정한 복수 종류의 부품을 한세트로 하여 미리 정해진 순번대로 연속적으로 또한 반복 공급하는 것이 요구될 경우에는 도 10의 예와 같이, 상위로부터 순번대로 공급 순차에 따라 부품(트레이)가 배치되도록 미리 복수의 팔렛트(P1~P5)를 나사축(42)에 지지시킨 후에 상기 팔렛트(P1~P5)를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있어서 순환시키고,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장치(16)에 의해 최상위의 팔렛트(P)를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P)를 동기하여 일단씩 무브 업한 후에 원래의 최상위의 팔렛트(P)를 최하위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세트의 부품을 반복하여 효율 좋게 부품 실장 장치(1)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와 같이 부품마다 매회 매거진에 대해 팔렛트의 출납을 행할 필요가 없어 대단히 짧은 시간 피치로 상기 한세트의 부품을 반복하여 부품 실장 장치(1)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이 점에서도 효율 좋게 부품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15)은 팔렛트(P)의 지지 부재로서 복수의 나사축(4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나사축(42)의 나사홈에 팔렛트(P)의 플랜지부(7)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팔렛트(P)를 지지함과 아울러 각 나사축(42)이 동기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나사축(42)의 회전에 따라 팔렛트(P)를 동기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구성에 의하면, 팔렛트(P)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나사축(42)]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를 일 없이 상기 지지 부재[나사축(42)]의 작동(회전)만으로 각 팔렛트(P)를 연동하여 원활히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팔렛트(P)의 상하 이동을 대단히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팔렛트 승강 기구의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하면서 비교적 작은 구동력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15)은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 및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를 구비하고 있어 나사축(42)에 지지되는 팔렛트(P)를 전후 방향(Y 방향) 및 폭방향(X 방향)으로 위치 결정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축(42)의 구동에 의해 팔렛트(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도 헤드 유닛(5)에 의한 부품의 인출을 정밀도 좋게 행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나사축(42)의 회전력이 팔렛트(P)에 작용함으로써 나사축(42)에 대해 각 팔렛트(P)가 전후 방향 및 폭방향으로 어긋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 및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를 구비하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의하면,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440)가 팔렛트(P)의 상하 방향 이동 후에 작동 위치에 세팅되고 또한 전후 방향 위치 결정 기구(46)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460)가 팔렛트(P)의 상하 방향 이동 중 및 이동 후에 작동 위치에 세팅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팔렛트(P)의 어긋남이 억제되고 또한 방지된다. 그 때문에 이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팔렛트(P)의 지지 부재로서 나사축(42)을 사용하여 상기 나사축(42)의 회전에 따라 팔렛트(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면서도 헤드 유닛(5)에 의한 부품의 인출을 정밀도 좋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있어서는 폭방향 위치 결정 기구(44)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팔렛트(P)에 복수의 기준 마크를 형성해 두고[예를 들면 팔렛트(P)의 외주에 2개의 기준 마크를 형성해 둠], 부품 공급 데이블(15)의 최상단에 팔렛트(P)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팔렛트(P)의 각 기준 마크를 헤드 유닛(5)에 탑재된 기판 카메라(도시 생략) 등을 사용하여 촬상, 인식시킨다. 그리고, 그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헤드 유닛(5)의 XY 방향의 위치 보정을 행하고, 상기 헤드 유닛(5)에 의해 상기 팔렛트(P) 상의 트레이로부터 부품의 인출을 행하게 하도록 하면 확실하고 또는 정확한 부품의 인출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도 10a~도 10d의 예에서는 최상단에 위치되는 팔렛트(P)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이 끝나면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하고, 저장부(Sp)의 다른 팔렛트(P)를 연동하여 일단씩 무브 업한 후에 중계 장치(16) 상의 원래의 최상단의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최하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5종류의 부품을 반복하여 부품 실장 장치(1)에 대해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과는 반대의 방법(즉, 본 발명의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에 상당함)에 의해 5종류의 부품을 반복하여 부품 실장 장치(1)에 대해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즉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상하 5단의 팔렛트(P)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도 10a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최상단(최상위)에 위치되는 팔렛트(P)에 지지되어 있는 최초의 부품이 헤드 유닛(5)에 의해 인출되고 있는 도중에 최하단(최하위)의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로부터 중계 장치(16)로 인출하고, 이 중계 장치(16)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팔렛트(P)를 저장부(Sp)의 최상단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대기시켜 둔다. 그리고, 헤드 유닛(5)에 의해 최상단에 위치되는 팔렛트(P)에 지지되어 있는 부품의 인출이 종료된 시점에서 나사축(42)을 회전 구동하여 최상단(1단째)~4단째에 지지되어 있는 각 팔렛트(P)를 연동하여 1단씩 무브 다운한다. 그리고 그 후 원래의 최하단의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로부터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최상단으로 이송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도 10a~도 10d의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5종류의 부품을 반복하여 효율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1)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는 도 10a~도 10d의 예와는 상하 반대의 배열로 팔렛트(P1~P5)를 부품 공급 테이블(15)에 세팅한다.
또한, 상기한 부품 공급 장치(10)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효율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1)로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중계 장치(16)에 의해 소망의 팔렛트(P)(부품)를 매거진(14)으로부터 인출하여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최상단으로 이송하고, 헤드 유닛(5)에 의해 상기 선행 팔렛트(P)로부터 부품(선행 부품)의 인출이 행해지고 있는 도중에 중계 장치(16)에 의해 다음 팔렛트(P)를 매거진(14)으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최상단과 동일한 위치에서 대기시킨다. 그리고, 선행 팔렛트(P)로부터의 부품(선행 부품)의 인출이 종료된 시점에서 나사축(42)을 회전 구동하여 최상단의 선행 팔렛트(P)를 다른 팔렛트(P)와 함께 1단 무브 다운하여 중계 장치(16) 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최상단으로 이송한다. 그 후 팔렛트 유닛(5)에 의해 최상단의 팔렛트(P)로부터 부품이 인출되고 있는 도중에 중계 장치(16)를 하강시켜서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하위단에 배치되어 있는 불필요 팔렛트(P)[부품 공급의 필요가 없는 트레이가 탑재된 팔렛트(P)]를 인출하고, 이 팔렛트(P)를 매거진(14)에 수납한다. 그 후, 추가로 중계 장치(16)에 의해 다음 팔렛트(P)를 매거진(14)으로부터 인출하고,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대기시킨다. 이후, 상기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1)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부품 공급 테이블(15)의 예에서는 4개의 나사축(42)에 의해 팔렛트(P)를 지지하지만, 나사축(42)의 수는 팔렛트(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이면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부품 공급 장치(10)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 테이블의 다른 실시형태[부품 공급 테이블(15A)]에 대해 도 11 및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부품 공급 테이블(15A)은 상술한 부품 공급 테이블(15) 대신에 부품 공급 장치(10)가 조립된 것이다.
이 부품 공급 테이블(15A)은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5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50)의 폭방향(X 방향) 양단에 위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판형상의 한쌍의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와, 이들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에 근접 설치되어 그들 내측에 배열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판형상의 한쌍의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와, 상기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를 그들의 배열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를 그들의 배열 방향(X 방향) 및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부품 공급 테이블(15A)에 있어서는 상기 한쌍의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가 「본 발명의 한쌍의 지지 부재」에 상당하고, 후기한 레일(58)이 본 발명의 「제 2 지지부」에 상당하고, 상기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가 본 발명의 「지지 부재 구동 기구」에 상당하고, 상기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 및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 등이 본 발명의 「이송 기구」에 상당한다. 따라서, 레일(58),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 및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 등이 본 발명의 승강 기구에 상당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한쌍의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는 각각 전후 방향(Y 방향)으로 가늘고 긴 측면으로부터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53a)와, 각 플레이트(53a)의 대향면이며 그 전후 방향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 블록(53b)과, 상기 플레이트(53a)의 대향면 상단이며 양 지지 블록(53b) 사이의 위치에서 플레이트(53a)에 고정되는 중간 블록(53c)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지지 블록(53b)은 그들의 대향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531)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가이드 홈(531)에 팔렛트(P)의 플랜지부(7)가 삽입됨으로써 팔렛트(P)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 블록(53b)은 4개의 가이드 홈(531)을 구비하고 있고,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는 이들 가이드 홈(531)에 의해 팔렛트(P)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 블록(53b) 및 중간 블록(53c)의 상면에서 팔렛트(P)[플랜지부(7)]를 지지한다. 즉, 가이드 홈(531)과, 지지 블록(53b) 및 중간 블록(53c)의 상면에 의해 복수단(5단)의 팔렛트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품 공급 테이블(15A)도 도 5에 도시한 부품 공급 테이블(15)과 마찬가지로 최대 5장의 팔렛트(P)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에 고정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58)에 시트(56)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는 지지 블록(53b) 및 중간 블록(53c)으로 팔렛트(P)[플랜지부(7)]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접근 위치와, 이 접근 위치보다도 간격이 넓어지는 이간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레일(58)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된다.
이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에 지지축(50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 부재(61)와, 지지축(50a)을 경계로 하여 제 1 링크 부재(61)의 길이 방향 양측부와 상기 시트(56)를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한쌍의 제 2 링크 부재(62)와, 상기 제 1 링크 부재(61)에 연결되어 공기압의 급배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 부재(61)를 지지축(50a) 주위로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60)를 구비한다. 즉,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에어 실린더(60)에 의해 제 1 링크 부재(61)를 지지축(50a) 주위로 요동시키고, 이 제 1 링크 부재(61)의 요동에 따라 각 제 2 링크 부재(62)를 통해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를 접근 위치와 이간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한쌍의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전후 방향(Y 방향)으로 가늘고 긴 측면으로부터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의 블록 부재이다. 이들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상기 한쌍의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각 플레이트(53a)의 사이이며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전후의 지지 블록(53b)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그들의 대향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가이드 홈(541)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가이드 홈(541)에 상기 플랜지부(7)가 삽입됨으로써 팔렛트(P)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도면 밖의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 상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플레이트(64)에 조립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가동 플레이트(64)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든(4개) 가이드 홈(541)이 각각 상기 지지 블록(53b)의 가이드 홈(531)과 합치하는 상승 위치와, 가이드 홈(541)의 1피치 분만큼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에 대해 하방으로 어긋나는 하강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1은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하강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가동 플레이트(64)에 고정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68)에 시트(66)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팔렛트(P)[플랜지부(7)]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접근 위치와, 이 접근 위치보다도 간격이 넓어지는 이간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레일(68)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의 하면에 고정되어 공기압의 급배 스위칭에 따라 상기 가동 플레이트(64)를 베이스 플레이트(5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실린더(6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64)에 지지축(64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 부재(71)와, 지지축(64a)을 경계로 하여 제 1 링크 부재(71)의 길이 방향 양측부와 상기 시트(66)를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한쌍의 제 2 링크 부재(72)와, 상기 제 1 링크 부재(71)에 연결되어 공기압의 급배 스위칭에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 부재(71)를 지지축(64a) 주위로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70)를 구비한다. 즉,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에어 실린더(65)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64)를 승강시킴으로써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에어 실린더(70)에 의해 제 1 링크 부재(71)를 그 지지축(64a)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이 제 1 링크 부재(71)의 요동에 따라 각 제 2 링크 부재(72)를 통해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를 접근 위치와 이간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양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 및 양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함께 접근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각 지지 블록(53b)의 가이드 홈(531)(내측 저부)의 위치와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의 가이드 홈(541)(내측 저부)의 위치가 X 방향에 있어서 일치하고, 이로써 양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 및 양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함께 팔렛트(P)[플랜지부(7)]를 지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양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만이 이간 위치에 배치되면,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양 지지 블록(53b)의 가이드 홈(53)의 위치가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의 가이드 홈(541)의 위치에 대해 X 방향 외측으로 어긋난다. 즉,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양 지지 블록(53b)의 가이드 홈(53)의 위치가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에 지지된 팔렛트(P)의 플랜지(7)의 X 방향 단부의 위치보다도 X 방향 외측으로 어긋난다. 이로써 양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팔렛트(P)를 지지한 채로 양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플레이트(53a) 내측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가 접근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근 위치와 이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의 두께 치수(X 방향의 두께 치수)가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상기 지지 블록(53b)의 두께 치수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지지 블록(53b)]에 의한 팔렛트(P)의 지지 상태를 유지한 채로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를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양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의 대향면의 위치를 양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지지 블록(53b)의 가이드 홈(531)(내측 저부)의 위치보다도 X축 방향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도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와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플레이트(53a) 사이에는 간극이 유지되고,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상기 이간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부품 공급 테이블(15A)에서는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가 접근 위치에 세팅됨과 아울러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접근 위치이며 또한 상승 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팔렛트(P)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 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중계 장치(16)와의 사이에서 팔렛트(P)의 주고 받기가 행해진다. 즉, 이 상태에서는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4개의 가이드 홈(531)과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의 4개의 가이드 홈(541)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일치하고, 팔렛트(P)를 지지 가능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4개의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지지 블록(53b)의 상면과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의 상면에 의해 팔렛트(P)를 지지 가능한 한개의 지지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최대 5장의 팔렛트(P)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부품 공급 테이블(15A)에 지지된 팔렛트(P)의 승강(무브 업 및 무브 다운)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이하, 도 10a~도 10d에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 동작을 행할 경우를 예로 이 부품 공급 테이블(15A)에 있어서의 팔렛트(P)의 승강 동작에 대해 도 13a~도 13d, 도 14a~도 14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동 도면은 각 팔렛트 지지 부재(52, 54)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조상 실제로는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외측으로 이동할 일은 없지만, 일부의 도면(예를 들면 도 13C 등)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외측으로 이동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트레이)이 지지된 팔렛트(P1~P5) 가 매거진(14)으로부터 인출되어 부품 공급 테이블(15A)로 이송되고, 헤드 유닛(5)에 의한 인출이 빠른 부품[부품 실장 장치(1)에 있어서의 실장 순번이 빠른 부품]이 상위에 위치되도록 각 팔렛트(P1~P5)가 양 팔렛트 지지 부재(52, 54)에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는 접근 위치에 세팅되고,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는 접근 위치이며 또한 상승 위치에 세팅되어 있다.
최상단(최상위)에 위치되는 팔렛트(P1)에 지지되어 있는 부품이 팔렛트 유닛(5)에 의해 인출되면, 상기 팔렛트(P1)가 부품 공급 테이블(15A)로부터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된다(도 13B). 최상단의 팔렛트(P1)가 인출되면,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이간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한 후 이간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이동한다(도 13C, 도 13d, 도 14a). 이로써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에 대해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하측으로 오프셋되어 팔렛트(P2~P5)가 지지되는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의 가이드 홈(541)의 위치가 1단만큼 위로 어긋나게 된다.
이어서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가 이간 위치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가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한 후,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가 이간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이동한다(도 14B~도 14d). 이로써 팔렛트(P)가 지지되는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의 가이드 홈(531)의 위치가 1단만큼 위로 어긋나고, 그 결과 부품 공급 테이블(15A)에 지지되어 있는 각 팔렛트(P2~P4)의 위치가 함께 일단만큼 무브 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래의 최상단의 팔렛트(P1)가 중계 장치(16)에 의해 최하단(최하위)으로 이동된다(도 14d 중 이점 쇄선으로 도시함).
또한, 이상 설명한 부품 공급 테이블(15A)의 팔렛트(P)의 승강 동작에 있어서는 도 13a에 도시하는 동작이 본 발명의 「팔렛트 인출 공정」에 상당하고, 도 13b~도 13d 및 도 14a~도 14d에 도시하는 동작이 본 발명의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은 부품 공급 테이블(15A)에 대해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복수개(5장)의 팔렛트(P)를 상하 복수단에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각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를 사용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품 공급 테이블(15A)이 조립된 부품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한 부품 공급 테이블(15)이 조립된 것과 마찬가지로 부품 실장 장치(1)에 대한 부품 공급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3a~도 13d, 도 14a~도 14d의 예에서는 최상단에 위치되는 팔렛트(P) 상의 트레이로부터 부품이 인출되면,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P)를 일단씩 무브 업한 후에 원래의 최상단의 팔렛트(P)를 최하단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 반대, 즉 팔렛트(P)를 하강(무브 다운)하면서 부품을 공급하는 것(본 발명의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에 상당함)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우선 도 13a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헤드 유닛(5)에 의한 최상단의 팔렛트(P)로부터의 부품의 인출 중에 중계 장치(16)에 의해 최하단(최하위)의 팔렛트(P)를 인출하고, 상기 팔렛트(P)를 최상단의 높이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중계 장치(16)를 대기시킨다. 그리고, 최상단의 팔렛트(P)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이 종료된 후,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를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를 하강 위치로 이동시킨 후,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2)를 접근 위치로 리셋한다. 그리고, 각 제 1 팔렛트 지지 부재(5)가 복수의 팔렛트(P)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를 접근 위치로부터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고,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를 복수의 팔렛트(P)의 외측에 배치한다. 또한, 각 제 2 팔렛트 지지 부재(54)를 이들이 이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시킨 후, 이간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리셋한다. 그 후 최초에 최하단으로부터 인출된 팔렛트(P)를 최상단(최상위)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15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부품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부품 공급 장치(10A)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품 공급 테이블(15B), 중계 장치(16), 중계 장치(16)의 승강 구동 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단, 도 1과 같은 매거진(14)은 구비하고 있지 않고, 부품 공급 테이블(15B)이 매거진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테이프 피더 유지부(18)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부품 공급 장치(10A)는 부품 실장 장치(1)의 전방측(+Y 방향측)에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 상태에서 부품 공급 테이블(15B)은 헤드 유닛[헤드(5a)]의 XY 방향의 가동역(MA) 내에 배치된다. 부품 공급 테이블(15B)은 상술한 도 5 또는 도 11의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과 동등한 구성이며, 따라서 헤드 유닛(5)은 헤드(5a)의 승강에 따라 부품 공급 테이블(15B)의 상방이 개방된 저장부(Sp)의 최상단에 지지되는 팔렛트(P)(트레이)로부터 부품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 공급 테이블(15B)은 도 5에 도시하는 부품 공급 테이블(15) 또는 도 11에 도시하는 부품 공급 테이블(15A)에 비해 팔렛트 지지부의 수가 많고, 예를 들면 팔렛트 지지부의 수는 20단으로 설정되어 있다. 단, 부품 공급 테이블(15B)과 중계 장치(16) 사이의 팔렛트(P)의 주고 받기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 부품 공급 장치(10A)에서는 예를 들면 부품 공급 테이블(15B)의 최상단(최상위)에 위치되는 팔렛트(P)(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이 종료된 후,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P)를 상기 최상단의 높이 위치에 대기시키고 있던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하고, 이 인출후 즉시 다른 팔렛트(P)를 연동하여 일단씩 무브 업한다. 또한, 중계 장치(16) 상의 원래의 최상단의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B)의 최하단으로 이동시키고, 비어진 중계 장치(16)를 최상단의 높이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대기시켜 둔다. 이와 같은 동작(제 3 팔렛트 이동 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부품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또는 최상단의 팔렛트(P)(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이 종료될 때까지 최하단(최하위)의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B)로부터 중계 장치(16)로 인출하고, 중계 장치(16)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팔렛트(P)를 최상단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대기시킨다. 최상단에 위치되는 팔렛트(P)에 지지되어 있는 부품의 인출이 종료된 시점에서 지지 부재[나사축(42) 등]에 지지되어 있는 각 팔렛트(P)를 연동하여 1단씩 무브 다운하고, 원래의 최하단의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로부터 부품 공급 테이블(15B)의 최상단으로 이송한다. 이와 같은 동작(제 4 팔렛트 이동 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부품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공급 장치(10, 10a)의 상기 설명에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팔렛트(P)(트레이)에는 가상 또는 실체의 식별 기호가 부여되어 있고, 부품 공급 장치(10, 10a)의 상기 제어 장치는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에 있어서의 팔렛트 지지부, 매거진(14)의 각 수납단 및 중계 장치(16)와, 이들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P)의 식별 기호를 대응시킨 팔렛트 위치 정보를 기억함과 아울러 팔렛트(P)의 이동에 따라 이 팔렛트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팔렛트(P)(트레이) 내의 부품 종류나 수납 수 등의 부품 정보를 기억함과 아울러 헤드 유닛(5)에 의한 부품의 인출에 따라 이 부품 정보를 갱신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10, 10a) 및 부품 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술한 부품 공급 장치(10, 10a) 및 부품 공급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예시이며, 그 구체적인 구성 및 방법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의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에 의해 이동시킬 때, 최상단의 팔렛트(P)를 최하단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최하단의 팔렛트(P)를 최상단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최상단의 팔렛트(P)로부터의 부품의 인출 중에 도중의 단(최상단 및 최하단 이외의 팔렛트 지지부)에 지지된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하고, 차회의 최상단으로의 배치에 대비하여 상기 팔렛트(P)를 최상단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대기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는 최상단의 팔렛트(P)로부터의 부품의 인출 후,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함과 아울러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의 다른 팔렛트(P)를 무브 업하고, 그 후 중계 장치(16)에 유지되어 있는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의 팔렛트 지지부 중 팔렛트(P)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빈 팔렛트 지지부에 수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에 대해 팔렛트(P)의 주고 받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중계 장치(16)의 최고 높이 위치가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의 최상단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을 경우[중계 장치(16)의 가동역의 상한이 최상단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과 중계 장치(16) 사이에서 팔렛트(P)의 주고 받기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예를 들면, 헤드 유닛(5)에 의한 부품의 인출이 종료된 최상단의 팔렛트(P)를 하위의 팔렛트(P)와 함께 1단 또는 복수단 하강시킨 후, 소정 높이 위치에 사전에 대기시키고 있던 중계 장치(16)로 원래의 최상단의 팔렛트(P)를 인출한다. 그 직후에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에 남아있는 팔렛트(P)를 상승시켜 최상위의 팔렛트(P)를 최상단에 배치하고, 팔렛트 유닛(5)에 의해 최상단의 팔렛트(P)(트레이)로부터 부품의 인출을 행하게 한다. 그리고, 이 부품의 인출 중에 중계 장치(16) 상의 팔렛트(P)를 새로운 팔렛트(P)로 교환하고, 상기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의 소정의 팔렛트 지지부에 수납한 후, 상기 중계 장치(16)를 상기 소정의 높이 위치에 대기시키도록 한다.
또는 헤드 유닛(5)에 의한 부품의 인출이 종료된 최상단의 팔렛트(P)를 하위의 팔렛트(P)와 함께 2단 또는 그 이상의 복수단 하강시킨 후, 소정의 높이 위치에 사전에 대기시킨 중계 장치(16), 구체적으로는 팔렛트 지지부 중 상기 하강에 의해 비어진 팔렛트 지지부의 높이 위치에 대기시키고 있던 중계 장치(16)로부터 다음 팔렛트(P)를 상기 팔렛트 지지부로 이송하고, 상기 팔렛트(P)를 최상단으로 상승시킨 후에 헤드 유닛(5)에 의해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P)(트레이)로부터 부품의 인출을 행하게 한다. 그리고, 이 부품의 인출 중에 먼저 부품의 인출이 행해진 팔렛트(P)[최상단에 있던 원래의 팔렛트(P)]를 중계 장치(16) 상으로 인출하고, 이 팔렛트(P)를 새로운 팔렛트로 교환한 후, 이 새로운 팔렛트(P)를 지지한 중계 장치(16)를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의 상기 소정의 높이 위치에 대기시키도록 한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최상단의 팔렛트(P)를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과 중계 장치(16) 사이에서 주고받을 경우에 2개의 팔렛트(P)의 이동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헤드 유닛(5)[헤드(5a)]에 의한 최상단의 팔렛트(P)(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 중에 중계 장치(16)에 의한 팔렛트(P)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와 비교하면, 효율 좋게 부품 실장 장치(1)로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부품 실장 장치(1)의 실장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함에 있어서 유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실장 장치(1)에 대한 위치 결정을 위해 부품 공습 장치(10, 10a)를 부품 실장 장치(1)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의 최상단의 팔렛트(P)가 헤드 유닛(5)[헤드(5a)]의 XY 방향의 가동역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면, 반드시 부품 실장 장치(1)에 부품 공급 장치(10, 10a)를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는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이나 팔렛트(P)(트레이)에 복수의 기준 위치 마크를 형성해 두고, 헤드 유닛(5)에 탑재되는 기판 인식 카메라 등으로 상기 기준 위치 마크를 촬상함으로써 부품 실장 장치(1)에 대한 부품 공급 테이블(15, 15A, 15B)의 위치를 검출하고, 팔렛트(P)(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시에는 이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헤드 유닛[헤드(5a)]의 XY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하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품 실장 장치(1)에 부품 공급 장치(10, 10a)를 연결했을 경우와 손색없는 정밀도로 헤드 유닛(5)에 따라 팔렛트(P)(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는 소정의 가동 범위를 갖는 헤드에 의해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인출 가능한 작업 장치에 인접 설치되는 부품 공급 장치로서, 상기 트레이가 탑재되는 복수의 팔렛트를 갖고 이들 팔렛트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수평한 제 1 방향으로 출납 가능하게 수납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인출된 팔렛트를 지지 가능한 부품 공급 테이블과, 상기 매거진과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 사이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 및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팔렛트의 주고 받기를 행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은 복수의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복수의 팔렛트 중 최상위의 팔렛트에 탑재된 트레이가 상기 헤드의 상기 가동 범위 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의 상방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이 부품 공급 장치에서는 중계 장치가 매거진 및 부품 공급 테이블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매거진에 수납되어 있는 임의의 위치의 팔렛트를 인출하여 부품 공급 테이블로 이송한다. 이 경우, 부품 공급 테이블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팔렛트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계 장치는 선행하는 팔렛트(선행 부품)를 테이블 상에 남긴 채로 후속하는 팔렛트(후속 부품)의 인출 동작(매거진으로부터의 팔렛트 인출 동작)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부품 공급 테이블(지지 부재)의 최상위의 팔렛트(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 중에 예를 들면 다음 팔렛트를 준비하여 상기 최상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기시켜 둘 수 있다. 그 때문에 헤드에 의한 부품의 인출 종료 후, 조기에 상기 다음 팔렛트를 부품 공급 테이블의 최상위에 배치하여 상기 팔렛트(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을 행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다음 부품의 공급을 짧은 피치(시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부품을 연속하여 공급할 경우에는 상기 부품(트레이)이 수납된 복수의 팔렛트를 미리 부품 공급 테이블 상에 준비해 두고, 중계 장치에 의해 부품 공급 테이블 상의 팔렛트의 위치를 교대함으로써 매거진에 대해 매회 팔렛트의 출납을 행함이 없이 상기 복수 종류의 부품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부품의 공급을 보다 짧은 피치(시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팔렛트를 지지하는 복수단의 팔렛트 지지부를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복수의 팔렛트를 그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이, 부품 공급 테이블 자체로써 팔렛트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테이블에 지지되는 최상위의 팔렛트를 중계 장치에 의해 인출시키면 그 밑의 팔렛트를 자동적으로 무브 업하여 상기 팔렛트 상의 트레이로부터 부품 인출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부품의 공급을 보다 짧은 피치(시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나사축이며 각 나사축의 나사홈을 상기 팔렛트 지지부로 하는 것이며, 상기 팔렛트는 상기 나사홈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나사축에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각 나사축이 그들의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각 나사축을 동일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각 나사축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팔렛트를 상기 나사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팔렛트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따를 일 없이, 대단히 간단한 구성으로 각 팔렛트를 연동하여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은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한 제 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방향 외측으로부터 팔렛트를 지지하는 한쌍의 상기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는 팔렛트를 지지 가능한 접근 위치와 팔렛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간 위치에 접촉 이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를 상기 접근 위치와 상기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를 일괄 유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팔렛트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를 이간 위치에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를 접근 위치로 리턴시킴으로써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도 부품 공급 테이블에 지지되는 복수의 팔렛트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각 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팔렛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팔렛트에 맞물림 가능한 위치와 팔렛트의 하방으로 퇴피하는 위치로 변위 가능한 맞물림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출납용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팔렛트는 상기 출납용 헤드의 피 맞물림부이며, 상기 팔렛트 중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 1 피 맞물림부와 타단부에 설치된 제 2 피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피 맞물림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출납용 헤드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매거진에 대해 팔렛트를 출납하고, 상기 제 2 피 맞물림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출납용 헤드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에 대해 팔렛트를 출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매거진에 대한 팔렛트의 출납 및 부품 공급 테이블에 대한 팔렛트의 출납을 중계 장치의 출납용 헤드의 이동에 따라 원활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출납용 헤드는 상기 제 1 피 맞물림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매거진에 대해 팔렛트의 출납을 행하는 제 1 출납용 헤드와, 상기 제 2 피 맞물림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부품 공급 테이블에 대해 팔렛트의 출납을 행하는 제 2 출납용 헤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적절하다.
이 구성에서는 매거진으로부터 부품 공급 테이블 상으로 팔렛트를 이송할 때에는 제 1 출납용 헤드에 의해 매거진으로부터 중계 장치로 팔렛트가 인출된 후, 이 인출된 팔렛트를 제 2 출납용 헤드가 중계 장치로부터 테이블 상으로 압입한다. 반대로 부품 공급 테이블로부터 매거진으로 팔렛트를 리턴시킬 때에는 제 2 출납용 헤드에 의해 테이블로부터 중계 장치로 팔렛트가 인출된 후, 이 인출된 팔렛트를 제 1 출납용 헤드가 중계 장치로부터 매거진 내로 압입한다. 이와 같이 제 1 출납용 헤드와 제 2 출납용 헤드가 연계하여 팔렛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매거진 및 부품 공급 테이블에 대한 팔렛트의 출납이 원활하고 또는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는 소정의 가동 범위를 갖는 헤드에 의해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인출하는 작업 장치에 인접 설치되는 부품 공급 장치로서, 상기 트레이가 탑재되는 복수의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복수의 팔렛트 중 최상위에 위치되는 팔렛트에 탑재된 트레이가 상기 헤드의 가동 범위 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의 상방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지지 가능한 복수단의 팔렛트 지지부를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최상단에 지지된 팔렛트의 하위단으로의 이동 또는 하위단에 지지된 팔렛트의 최상단으로의 이동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부품 공급 테이블과,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에 인접하는 위치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의 상기 각 팔렛트 지지부에 대해 팔렛트를 출납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헤드에 의한 최상위의 팔렛트(트레이)로부터의 부품의 인출 중에 다음 팔렛트를 부품 공급 테이블(지지 부재)의 최상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기시켜 두고, 헤드에 의한 부품의 인출 종료 후, 조기에 다음 팔렛트를 부품 공급 테이블의 최상위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음 부품의 공급을 짧은 피치(시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부품을 연속하여 공급할 경우에는 상기 부품(트레이)이 수납된 복수의 팔렛트를 미리 부품 공급 테이블 상에 준비해 두고, 중계 장치에 의해 부품 공급 테이블 상의 팔렛트의 위치를 교대함으로써 상기 복수 종류의 부품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부품의 공급을 보다 짧은 피치(시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한 부품 실장 장치는 소정의 가동 범위를 갖고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인출하여 기판 상에 장착하는 헤드와, 상기한 어느 하나의 부품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이 부품 공급 장치가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팔렛트에 탑재되는 트레이가 상기 헤드의 가동 범위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헤드가 보다 짧은 피치(시간)로 부품의 공급을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실장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한 부품 공급 방법은 상기와 같은 부품 공급 장치를 사용한 부품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트레이가 탑재된 복수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순차 인출하여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의 지지 부재에 지지시키는 팔렛트 인출 공정과,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최상위의 팔렛트의 트레이로부터 부품이 인출된 후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를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1단씩 상위로 이동시키고 그 후 원래의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최하위로 이동시키는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 또는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의 트레이로부터 부품이 인출된 후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를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1단씩 하위로 이동시키고 그 후 원래의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최상위에 이동시키는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매거진에 대해 매회 팔렛트의 출납을 행하지 않고, 부품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부품의 공급을 보다 짧은 피치(시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 부재의 복수단의 팔렛트 지지부 중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써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지지시키고, 상기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에서는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부터 인출하여 다른 팔렛트를 일단씩 상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른 팔렛트 중 최상위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에서는 원래의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부품이 인출되는 다음 팔렛트(트레이)를 단시간으로 최상단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부품의 공급을 짧은 피치(시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부품 공급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부재의 복수단의 팔렛트 지지부 중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에서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지지시키고, 상기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에서는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보다 하방의 팔렛트 지지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하방의 팔렛트 지지부로부터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인출한 후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다른 팔렛트를 일단씩 상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른 팔렛트 중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에 지지시키고, 상기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에서는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 중 최상위의 팔렛트가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부터 복수단 하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다른 팔렛트를 하위로 이동시키고, 원래의 최하위의 팔렛트가 최상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팔렛트를 지지 부재로 이동시킨 후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를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1단씩 상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래의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중계 장치의 상하 이동 범위(최상위 위치)에 제약이 있을 경우라도, 부품이 인출되는 다음 팔렛트(트레이)를 단시간으로 최상단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부품의 공급을 짧은 피치(시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품 공급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 또는 상기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의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팔렛트를 각 트레이로부터 반복하여 소정의 순번대로 부품의 인출을 행하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부품을 한세트로 하여 이 한세트의 부품을 반복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효율 좋게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소정의 가동 범위를 갖는 헤드에 의해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인출 가능한 작업 장치에 인접 설치되는 부품 공급 장치로서:
    상기 트레이가 탑재되는 복수의 팔렛트를 갖고 이들 팔렛트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수평한 제 1 방향으로 출납 가능하게 수납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인출된 팔렛트를 지지 가능한 부품 공급 테이블과,
    상기 매거진과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 사이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 및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팔렛트의 주고 받기를 행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은 복수의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복수의 팔렛트 중 최상위의 팔렛트에 탑재되는 트레이가 상기 헤드의 상기 가동 범위 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의 상방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팔렛트를 지지하는 복수단의 팔렛트 지지부를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복수의 팔렛트를 그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나사축이며 각 나사축의 나사홈을 상기 팔렛트 지지부로 하는 것이며,
    상기 팔렛트는 상기 나사홈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나사축에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각 나사축이 그들의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각 나사축을 동일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각 나사축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팔렛트를 상기 나사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은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한 제 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방향 외측으로부터 팔렛트를 지지하는 한쌍의 상기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는 팔렛트를 지지 가능한 접근 위치와 팔렛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간 위치에 접근 이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를 상기 접근 위치와 상기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를 일괄 유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팔렛트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를 이간 위치에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를 접근 위치로 리턴시킴으로써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팔렛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팔렛트에 맞물림 가능한 위치와 팔렛트의 하방으로 퇴피하는 위치로 변위 가능한 맞물림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출납용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팔렛트는 상기 출납용 헤드의 피 맞물림부이며 상기 팔렛트 중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 1 피 맞물림부와 타단부에 설치된 제 2 피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피 맞물림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출납용 헤드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매거진에 대해 팔렛트를 출납하고, 상기 제 2 피 맞물림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출납용 헤드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에 대해 팔렛트를 출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납용 헤드는 상기 제 1 피 맞물림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매거진에 대해 팔렛트의 출납을 행하는 제 1 출납용 헤드와, 상기 제 2 피 맞물림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부품 공급 테이블에 대해 팔렛트의 출납을 행하는 제 2 출납용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7. 소정의 가동 범위를 갖는 헤드에 의해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인출하는 작업 장치에 인접 설치되는 부품 공급 장치로서:
    상기 트레이가 탑재되는 복수의 팔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복수의 팔렛트 중 최상위에 위치되는 팔렛트에 탑재된 트레이가 상기 헤드의 가동 범위 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의 상방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지지 가능한 복수단의 팔렛트 지지부를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최상단에 지지된 팔렛트의 하위단으로의 이동 또는 하위단에 지지된 팔렛트의 최상단으로의 이동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부품 공급 테이블과,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에 인접하는 위치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의 상기 각 팔렛트 지지부에 대해 팔렛트를 출납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8. 소정의 가동 범위를 갖고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인출하여 기판 상에 장착하는 헤드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품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팔렛트에 탑재되는 트레이가 상기 헤드의 가동 범위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품 공급 장치를 사용한 부품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트레이가 탑재된 복수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순차 인출하여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의 지지 부재에 지지시키는 팔렛트 인출 공정과,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최상위의 팔렛트의 트레이로부터 부품이 인출된 후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를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1단씩 상위로 이동시키고 그 후 원래의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최하위로 이동시키는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 또는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의 트레이로부터 부품이 인출된 후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를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1단씩 하위로 이동시키고 그 후 원래의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최상위로 이동시키는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복수단의 팔렛트 지지부 중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에서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지지시키고,
    상기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에서는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부터 인출하여 다른 팔렛트를 일단씩 상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른 팔렛트 중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에서는 원래의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복수단의 팔렛트 지지부 중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에서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지지시키고,
    상기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에서는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부터 하방의 팔렛트 지지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하방의 팔렛트 지지부로부터 상기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인출한 후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다른 팔렛트를 일단씩 상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른 팔렛트 중 최상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에 지지시키고,
    상기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에서는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중계 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인출하고, 다른 팔렛트 중 최상위의 팔렛트가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부터 복수단 하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다른 팔렛트를 하위로 이동시키고, 원래의 최하위의 팔렛트가 최상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계 장치에 의해 상기 팔렛트를 지지 부재로 이동시킨 후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팔렛트를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1단씩 상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래의 최하위의 팔렛트를 상기 최상단의 팔렛트 지지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팔렛트 이동 공정 또는 상기 제 2 팔렛트 이동 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 테이블의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팔렛트의 각 트레이로부터 반복하여 소정의 순번대로 부품의 인출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방법.
KR1020130053592A 2012-05-17 2013-05-13 부품 공급 장치,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KR101472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3461 2012-05-17
JP2012113461A JP5941750B2 (ja) 2012-05-17 2012-05-17 部品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115A true KR20130129115A (ko) 2013-11-27
KR101472874B1 KR101472874B1 (ko) 2014-12-15

Family

ID=4848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592A KR101472874B1 (ko) 2012-05-17 2013-05-13 부품 공급 장치,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21624B2 (ko)
EP (1) EP2665353B1 (ko)
JP (1) JP5941750B2 (ko)
KR (1) KR101472874B1 (ko)
CN (1) CN1034290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146A1 (ja) * 2016-04-13 2017-10-1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CN106516766A (zh) * 2016-11-22 2017-03-22 苏州超群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料盘码垛机
CN106516767A (zh) * 2016-11-22 2017-03-22 苏州超群智能科技有限公司 双料盘码垛装置
CN107249295B (zh) * 2017-06-01 2020-07-10 广东天机工业智能系统有限公司 铜箔贴覆装置
KR102171565B1 (ko) * 2019-06-18 2020-10-29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초경인서트 제품 연삭을 위한 핸들러의 팔레트 공급 및 취출장치
JP7245976B2 (ja) * 2019-06-27 2023-03-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位置決め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
CN110856436B (zh) * 2019-11-12 2020-11-10 浙江华企正邦自动化科技有限公司 立式贴片机
WO2022196253A1 (ja) * 2021-03-15 2022-09-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パレット保管装置、及び、トレイ部品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027A (en) * 1975-08-18 1977-06-28 Lindberg Gunnar Vilhelm Automatic tray loading device
SE420905B (sv) * 1978-04-03 1981-11-09 Lindberg Gunnar Vilhelm Anordning for overforing av serveringsbrickor och liknande i ena eller andra riktningen mellan en vagn och en transportbana
US5503516A (en) * 1987-08-07 1996-04-02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article feeding system
US4950120A (en) * 1989-02-27 1990-08-21 Burnd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card edge connectors and connector magazines
US5645392A (en) * 1995-09-08 1997-07-08 Micromatic Operations, Inc. Dunnage handling system
DE19619486A1 (de) 1996-05-14 1997-12-04 Luekon Paul Luescher Werke Ag Förd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Durchlauföfen und einen damit ausgerüsteten Durchlaufofen
JP3459534B2 (ja) * 1997-03-27 2003-10-2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における部品供給装置
DE69825365T2 (de) * 1997-06-05 2005-07-21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Einrichtung zur Montage von elektronischen Bauteilen und Speisevorrichtung dafür
US6241459B1 (en) * 1998-12-21 2001-06-05 Micron Electronics, Inc. Shuttle assembly for tray handling
JP3491557B2 (ja) * 1999-04-22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用のトレイフィーダ
JP3562391B2 (ja) 1999-07-07 2004-09-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レイフィーダのレベル出し方法
DE10043198A1 (de) * 2000-09-01 2002-03-28 Siemens Ag Versorgungsanordnung für eine Bestück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Verwenden der Versorgungsanordnung
CN100562939C (zh) * 2003-04-04 2009-11-25 富士机械制造株式会社 盘式部件供应装置
JP5278122B2 (ja) * 2009-04-06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トレイ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5353B1 (en) 2017-08-30
CN103429063A (zh) 2013-12-04
KR101472874B1 (ko) 2014-12-15
US20130309049A1 (en) 2013-11-21
US9221624B2 (en) 2015-12-29
CN103429063B (zh) 2016-03-16
EP2665353A2 (en) 2013-11-20
JP5941750B2 (ja) 2016-06-29
EP2665353A3 (en) 2014-02-26
JP2013239679A (ja)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9115A (ko) 부품 공급 장치,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JP5926115B2 (ja) 収納装置
JP5278122B2 (ja) トレイ供給装置
JP4523217B2 (ja) 板状部材の搬送保持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部品実装装置
JP4875160B2 (ja) 部品移送装置
JP5850661B2 (ja) 部品供給装置
ITTO970872A1 (it) Metodo per impilare pacchi di piastre di circuiti stampati e relativo dispositivo di carico e scarico di pacchi per una macchina utensile.
KR101110172B1 (ko) 부품이송장치 및 방법
CN109983858B (zh) 元件供给系统及元件安装机
KR101107788B1 (ko) 칩 트레이 공급장치 및 방법
JP4696041B2 (ja) プラネタリーキャリア組立装置
JP4696042B2 (ja) プラネタリーキャリア組立装置
KR20140003991A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
WO2022157831A1 (ja) 装着作業システム、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の交換方法
JP5841901B2 (ja) 部品供給装置、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JP5077287B2 (ja) 部品実装装置
JP4414314B2 (ja) 表面実装機
JP2003023295A (ja)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JP4448383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2003094259A (ja) 基板搬送ライン
JP4414816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6505888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
CN116584161A (zh) 部件存放装置和部件安装系统
JP2006100583A (ja) 表面実装機
JP2006100584A (ja) 表面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