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381A -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381A
KR20130115381A KR1020137023406A KR20137023406A KR20130115381A KR 20130115381 A KR20130115381 A KR 20130115381A KR 1020137023406 A KR1020137023406 A KR 1020137023406A KR 20137023406 A KR20137023406 A KR 20137023406A KR 20130115381 A KR20130115381 A KR 20130115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polylactic acid
acid res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238B1 (ko
Inventor
무네히사 오쿠츠
료이치 하시모토
아키라 다케나카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0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폴리락트산 수지,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일용 잡화품, 식품 포장재, 가전 부품, 가전 부품용 곤포 자재, 자동차 부품 등의 여러 가지 공업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2 차 가공성, 그 중에서도, 열성형성이 개선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시트, 그 시트를 2 차 가공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그 시트의 2 차 가공 방법, 및, 그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식품 용기나 포장 용기에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각종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환경 의식의 고조로 인해, 이와 같은 수지의 대체품으로서 양호한 생분해성을 가지며, 나아가서는 식품 용기에 사용해도 안전한 우수한 환경 조화형 수지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는 우수한 생분해성을 갖는 환경 조화형의 수지로서 많은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또, 폴리락트산 수지는 투명성도 우수한 점에서, 식품 용기나 포장 용기에 대한 적용도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락트산 수지는 단단하고 취약한 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2 차 가공성이 낮아, 식품 용기나 포장 용기 등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부족하거나 접어 구부렸을 때 백화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성형체로의 부형성이 나쁘다.
이들의 점에서, 폴리락트산 수지의 성형품은 주로 경질 성형품 분야에서의 사용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현상황이며, 이들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가소제 등을 첨가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소제와 폴리락트산의 친화성이나 가소제의 분자량 증가에 의한 블리드 아웃 억제를 겨냥하여, 예를 들어 락트산이나 락트산올리고머,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폴리락트산과 폴리알킬렌에테르 등과의 공중합체를 가소제로서 사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가소제는 성형시의 열안정성이 낮아, 얻어지는 성형물의 강도가 열등하고, 나아가서는 2 차 가공성의 개선이 불충분하고, 또 블리드 아웃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폴리락트산에 특정한 가소제 (숙신산에스테르류) 및 결정핵제 (유기계 결정핵제) 를 조합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열성형에 있어서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성형체의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또 동일하게, 결정핵제로서 탤크를 사용하고, 이것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조합함으로써 결정화를 촉진시켜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각종 플라스틱으로 대체할 수 있는 수지로서, 종래의 폴리락트산 수지에서는 가일층의 개량이 필요하다. 즉, 폴리락트산 수지의 열성형에 있어서, 투명성을 유지하고, 열성형할 수 있는 온도 폭이 넓고, 충분한 결정화 속도를 가지며, 즉 충분한 열성형성 (부형성과 결정화를 양립할 수 있는 온도 범위가 넓다) 을 실현할 수 있는 개질제 (첨가제) 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3089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46624호
본 발명은,
[1] 폴리락트산 수지, 가소제, 식 (1) :
Figure pct0000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p≤3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
[화학식 1]
Figure pct00002
(식 중, R3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5 ∼ 21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및/또는, 식 (3) :
[화학식 2]
Figure pct00003
(식 중, R6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7 및 R8 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 상기 [1] 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상대 결정화도가 80 % 이하인 시트,
[3] 상기 [2] 에 기재된 시트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4] 상기 [2] 에 기재된 시트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2 차 가공 방법, 그리고
[5] 상기 [3] 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열성형성 평가시에 사용한 금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락트산 수지, 가소제에 더하여, 추가로 특정한 결정핵제와 특정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조합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열성형에 있어서의 부형성과 결정화를 양립할 수 있고, 즉 열성형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수지에 충분한 2 차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2 차 가공성, 그 중에서도 열성형성이 개선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시트, 그 시트를 2 차 가공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그 시트의 2 차 가공 방법, 및, 그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투명성, 내열성, 내블리드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시트, 그 시트를 2 차 가공하여 얻어지는 열성형품 등의 성형체, 그 시트의 2 차 가공 방법, 및, 그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2 차 가공성, 그 중에서도 열성형성이 우수한 점에서,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시트나 필름 등을 열 가공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 열성형성이 우수한 점에서,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 내열성, 내블리드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폴리락트산 수지에 더하여 특정한 첨가제, 즉, 가소제, 특정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특정한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것에 하나의 특징을 갖는다.
(가소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것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옥틸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나 숙신산디옥틸 등의 숙신산에스테르, 디옥틸아디페이트 등의 아디프산에스테르와 같은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글리세린 등 지방족 폴리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내열성, 내블리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식 (4) :
Figure pct00004
(식 중, R9 및 R10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단, R9 및 R10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R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단, m 또는 n 개의 A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m 및 n 은 각각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m≤5, 0≤n≤5 이며, 또한 1≤m+n≤8 을 만족시키는 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식 (5) :
Figure pct00005
[식 중, R11 은 탄소수가 1 ∼ 4 의 알킬기, R12 는 탄소수가 2 ∼ 4 의 직사슬 알킬렌기, R13 은 탄소수가 2 ∼ 6 의 알킬렌기이며, s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1 ∼ 6 의 정수이며, t 는 (OR13)sO-CO-R12-CO- 의 반복수를 나타내는 1 ∼ 6 의 수이며, 단, 모든 R1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모든 R1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는 충분한 분자량 및 열안정성을 가지며, 또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친화성이 높은 점에서, 내휘발성이 우수하고, 조성물의 투명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식 (4) 에 있어서의 R9 및 R10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서는, 직사슬이거나 분기 사슬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친화성 향상의 관점에서, 탄소수 1 ∼ 2 의 알킬기, 즉, 메틸기,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R9 및 R10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또, 내휘발성 향상의 관점에서 벤질기가 바람직하다.
식 (4) 에 있어서의 R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로서는, 직사슬이거나 분기 사슬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부틸렌기, 이소부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친화성이나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탄소수 2 ∼ 3 의 알킬렌기, 즉,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가 바람직하다.
식 (4) 에 있어서의 A2 는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O 는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로서는, 직사슬이거나 분기 사슬이어도 되고,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m 개의 A2 및 n 개의 A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식 (4) 에 있어서의 m 및 n 은 각각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m≤5, 0≤n≤5 이며, 또한 1≤m+n≤8 을 만족시키는 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친화성이나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0≤m≤5, 0≤n≤5 이며, 또한, 4≤m+n≤8 이 바람직하고, 0≤m≤5, 0≤n≤5 이며, 또한, 6≤m+n≤8 이 보다 바람직하고, m 과 n 이 각각 3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내휘발성, 내블리드성,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250 이상이 바람직하고, 250 ∼ 700 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 600 이 더욱 바람직하고, 330 ∼ 500 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소제의 평균 분자량은 JIS K0070 에 기재된 방법으로 비누화가를 구하고, 다음 식에서 계산으로 구할 수 있다.
평균 분자량 = 56108 × (에스테르기의 수)/비누화가
따라서,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서는,
<1> R9 및 R10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단, R9 및 R10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R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단, m 또는 n 개의 A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m 및 n 은 각각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m≤5, 0≤n≤5 이며, 또한 1≤m+n≤8 을 만족시키는 수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2> R9 및 R10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단, R9 및 R10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R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단, m 또는 n 개의 A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m 및 n 은 각각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m≤5, 0≤n≤5 이며, 또한 4≤m+n≤8 을 만족시키는 수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3> R9 및 R10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단, R9 및 R10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R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단, m 또는 n 개의 A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m 및 n 은 각각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m≤5, 0≤n≤5 이며, 또한 6≤m+n≤8 을 만족시키는 수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4> R9 및 R10 은 탄소수 1 ∼ 2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단, R9 및 R10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R 은 탄소수 2 ∼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단, m 또는 n 개의 A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m 및 n 은 각각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m = 3, n = 3 인 화합물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말론산이나 숙신산, 글루타르산, 2-메틸숙신산, 아디프산 등의 포화 디카르복실산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또는 벤질알코올과의 디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블리드성이나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숙신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숙신산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의 디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내휘발성의 향상의 관점에서는, 아디프산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벤질알코올 혼합물 (중량비 : 1/1) 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는 충분한 분자량 및 열안정성을 가지며, 또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친화성이 높은 점에서, 내휘발성이 우수하고, 조성물의 투명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식 (5) 에 있어서의 R11 은 탄소수가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1 분자 중에 2 개 존재하며, 분자의 양 말단에 존재한다. 탄소수가 1 ∼ 4 의 알킬기로서는, 직사슬이거나 분기 사슬이어도 되고, 알킬기의 탄소수로서는,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상용성과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1 ∼ 4 가 바람직하고, 1 ∼ 2 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상용성과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메틸기, 에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5) 에 있어서의 R12 는 탄소수가 2 ∼ 4 의 직사슬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기, 1,3-프로필렌기, 1,4-부틸렌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상용성과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에틸렌기가 바람직하다. 단, 모든 R1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식 (5) 에 있어서의 R13 은 탄소수가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OR13 은 옥시알킬렌기로서 반복 단위 중에 존재한다. 탄소수가 2 ∼ 6 의 알킬렌기로서는, 직사슬이거나 분기 사슬이어도 되고, 알킬렌기의 탄소수로서는,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상용성과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2 ∼ 6 이 바람직하고, 2 ∼ 3 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기, 1,2-프로필렌기, 1,3-이소프로필렌기, 1,2-부틸렌기, 1,3-부틸렌기, 1,4-부틸렌기, 2-메틸-1,3-프로필렌기, 1,2-펜틸렌기, 1,4-펜틸렌기, 1,5-펜틸렌기, 2,2-디메틸-1,3-프로필렌기, 1,2-헥실렌기, 1,5-헥실렌기, 1,6-헥실렌기, 2,5-헥실렌기, 3-메틸-1,5-펜틸렌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상용성과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에틸렌기, 1,2-프로필렌기, 1,3-프로필렌기가 바람직하다. 단, 모든 R1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s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6 의 정수이다.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상용성 및 내휘발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1 ∼ 3 의 정수가 바람직하다.
t 는 (OR13)sO-CO-R12-CO- [식 (5) 에 있어서의 반복 단위라고도 한다] 의 반복수 (평균 중합도) 를 나타내고, 1 ∼ 6 의 수이다. 폴리락트산 수지와의 상용성과 가소화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 1 ∼ 4 의 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서는,
<1> R11 은 탄소수가 1 ∼ 4 의 알킬기, R12 는 탄소수가 2 ∼ 4 의 직사슬 알킬렌기, R13 은 탄소수가 2 ∼ 6 의 알킬렌기이며, s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1 ∼ 6 의 정수이며, t 는 (OR13)sO-CO-R12-CO- 의 반복수를 나타내는 1 ∼ 6 의 수이며, 단, 모든 R1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모든 R1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2> R11 은 탄소수가 1 ∼ 2 의 알킬기, R12 는 에틸렌기, R13 은 탄소수가 2 ∼ 3 의 알킬렌기이며, s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1 ∼ 3 의 정수이며, t 는 (OR13)sO-CO-R12-CO- 의 반복수를 나타내는 1 ∼ 4 의 수이며, 단, 모든 R1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모든 R1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중에서는, 내휘발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이염기산과,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2 가 알코올과의 올리고에스테르 [식 (5) 중, t = 1.2 ∼ 3] 가 바람직하다.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는 시판품이거나 공지된 제조 방법에 따라 합성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7674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내열성, 내블리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4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 ∼ 3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2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비정(非晶) 시트의 내열성이 필요한 경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 ∼ 7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5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전체 가소제 중의 함유량으로서는, 내블리드성, 가소화 효율, 2 차 가공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6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이란, 조성물에 함유되는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합계 함유량이며, 전체 가소제란, 조성물에 함유되는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5)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다른 가소제를 합한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은, 내블리드성, 2 차 가공성, 내열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3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 ∼ 2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1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1 중량부 이상이면 2 차 가공성이 양호해지고, 30 중량부 이하이면 내열성, 내블리드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식 (1) :
Figure pct00006
[식 중, R1 은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p≤3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폴리락트산 수지나 결정핵제 등에 대한 친화성 및 분산성이 좋은 점에서, 그 중에서도 식 (4) 로 나타내는 가소제와 조합함으로써, 열성형에 있어서의 투명성이나 충분한 열성형성 (부형성과 결정화를 양립할 수 있는 온도 범위가 넓다) 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식 (1) 에 있어서의 R1 은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로서는,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이어도 되고, 포화 또는 불포화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라우릴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미리스틸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세틸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스테아릴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베헤닐기 등의 직사슬 알킬기, 2-에틸헥실기, 1-헥사데실기, 이소데실기, 이소스테아릴기 등의 분기 알킬기 외에, 운데세닐기나 올레일기 등의 불포화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로서는, 총 탄소수가 8 ∼ 22 이면 포화 또는 불포화이어도 되고, 옥타노일기, 노나노일기, 데카노일기, 운데카노일기, 도데카노일기 (라우로일기), 트리데카노일기, 테트라데카노일기, 펜타데카노일기, 헥사데카노일기, 헵타데카노일기, 옥타데카노일기, 노나데카노일기, 에이코사노일기, 베헤노일기 등의 직사슬 아실기 외에, 2-에틸헥사노일기 등의 분기 아실기, 올레산 유래의 불포화 아실기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식 (1) 에 있어서의 R1 로서는, 총 탄소수 8 ∼ 22 까지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가 바람직하고, 총 탄소수 10 ∼ 18 까지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의 R2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서는,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를 들 수 있다.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로서는, 포화 또는 불포화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아세틸기, 프로파노일기, 부타노일기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식 (1) 에 있어서의 R2 로서는, R1 이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의 경우에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가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식 (1) 에 있어서의 R1 이 수소 원자의 경우에는, R2 도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의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1O 는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로서는, 직사슬이거나 분기 사슬이어도 되고,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에틸렌기 또는 이소프로필렌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p 개의 A1O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이어도 되지만, 블록형이 바람직하고,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형의 블록형이 바람직하고, 성형 온도폭과 투명성의 관점에서,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의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p≤300 이지만, R1 이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의 경우에는, 2≤p≤50 이 바람직하고, 5≤p≤20 이 보다 바람직하다. R1 이 수소 원자의 경우에는 10≤p≤200 이 바람직하고, 20≤p≤10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R1 및 R2 모두가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10≤p≤200 이 바람직하고, 20≤p≤10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게다가, R1 이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A1O)p 는 상이한 A1O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형의 블록형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각 블록 유닛을 구성하는 A1O 의 수 (p') 는 각각 5≤p'≤80 이 바람직하고, 5≤p'≤6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경우의 폴리옥시에틸렌 (EO) 과 폴리옥시프로필렌 (PO) 의 중량비 (EO/PO) 는 5/95 ∼ 70/30 이 바람직하고, 5/95 ∼ 60/40 이 보다 바람직하고, 10/90 ∼ 50/50 이 더욱 바람직하고, 10/90 ∼ 40/60 이 더욱 바람직하고, 10/90 ∼ 30/70 이 더욱 바람직하고, 15/85 ∼ 25/75 가 더욱 바람직하다.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원료의 용융 혼련시의 유동성이나 성형시의 내블리드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300 ∼ 100000 이 바람직하고, 500 ∼ 50000 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 10000 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 ∼ 6000 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정질 상태의 시트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1000 ∼ 6000 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0 ∼ 6000 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평균 분자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는, R1 이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인 경우에는,
<1> R1 은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p≤3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2> R1 은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2≤p≤5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3> R1 은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2≤p≤5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4> R1 은 총 탄소수 8 ∼ 22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2≤p≤5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5> R1 은 총 탄소수 10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2≤p≤5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6> R1 은 총 탄소수 10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5≤p≤2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는, R1 이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1> R1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p≤3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2> R1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0≤p≤2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3> R1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0≤p≤2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지 않고, 반복 단위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 또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형의 블록형이며, 각 블록 유닛을 구성하는 p' 는 5≤p'≤80 을 만족시키는 수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4> R1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0≤p≤2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지 않고, 반복 단위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며, 각 블록 유닛을 구성하는 p' 는 5≤p'≤8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폴리옥시에틸렌 (EO)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PO) 의 중량비 (EO/PO) 가 5/95 ∼ 70/30 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5> R1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20≤p≤1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지 않고, 반복 단위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며, 각 블록 유닛을 구성하는 p' 는 5≤p'≤6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폴리옥시에틸렌 (EO)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PO) 의 중량비 (EO/PO) 가 5/95 ∼ 70/30 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 8 ∼ 22 의 지방족 알코올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화물, 혹은 탄소수 8 ∼ 22 의 지방산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화물 외에, 그들의 메틸에테르체를 들 수 있지만, 유연성이나 상기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나 지방산과 메틸폴리글리콜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올레산 등의 장사슬 지방산과 폴리글리콜의 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시판품이거나 공지된 제조 방법에 따라 합성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예를 들어, 카오사 제조, 「에마논 4110」등의 에마논 시리즈) 를 들 수 있다. 또 그 밖에 바람직한 예로서는, 고분자형 논이온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예를 들어, ADEKA 사 제조, 상품명 : 아데카플루로닉 논이온 시리즈) 를 들 수 있지만, 투명성이나 상용성, 유동성의 관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양 말단에 산화프로필렌을 부가 중합시킨, 이른바 역블록형의 아데카플루로닉 논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ADEKA 사 제조의 아데카플루로닉 25R-2, 25R-1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이외의 공지된 다른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혼련시의 폴리락트산 수지의 분해를 피하는 관점에서, 이온성 계면 활성제 이외의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2 차 가공성, 내블리드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5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 3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이상이면 2 차 가공성이 양호해지고, 10 중량부 이하이면 내블리드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게다가,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가소제의 유연성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기 위해,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가소제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1 ∼ 5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5 ∼ 5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5 ∼ 45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결정핵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정핵제로서는, 식 (2) :
[화학식 3]
Figure pct00007
(식 중, R3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5 ∼ 21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및/또는, 식 (3) :
[화학식 4]
Figure pct00008
(식 중, R6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7 및 R8 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폴리락트산 수지의 결정핵을 다수 생성하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폴리락트산 수지가 미결정을 형성하는 점에서, 투명성 향상이라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식 (2) 에 있어서의 R3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직사슬이거나 분기 사슬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메타자일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에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메타자일리렌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2) 에 있어서의 R4 및 R5 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5 ∼ 21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포화 또는 불포화이어도 되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R4 및 R5 의 치환기로서는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R4 및 R5 의 구체예로서는, 헵틸기, 노닐기, 운데실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헵타데실기, 헨이코실기, 헵타데셀기,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운데실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헵타데실기, 헵타데셀기,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가 바람직하고,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는,
<1> R3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5 ∼ 21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2> R3 은 에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또는 메타자일리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운데실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헵타데실기, 헵타데셀기, 또는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3> R3 은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모두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를 나타내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총 탄소수 8 ∼ 22 의 지방산류와, 에틸렌디아민 또는 1,3-프로판디아민, 1,4-부탄디아민, 1,5-펜탄디아민, 1,6-헥산디아민, m-자일렌디아민 등의 디아민류의 디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에틸렌비스 지방산 아미드나 프로필렌비스 지방산 아미드, 부틸렌비스 지방산 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 지방산 아미드, 메타자일렌비스 지방산 아미드가 바람직하고, 에틸렌비스팔미트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메타자일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메타자일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폴리락트산 수지의 결정핵을 다수 생성하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폴리락트산 수지가 미결정을 형성하는 점에서, 투명성 향상이라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식 (3) 에 있어서의 R6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직사슬이거나 분기 사슬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에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3) 에 있어서의 R7 및 R8 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포화 또는 불포화이어도 되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또 R7 및 R8 의 치환기로서는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R7 및 R8 의 구체예로서는, 옥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도코실기, 옥타데셀기, 12-하이드록시옥타데실기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옥타데셀기, 12-하이드록시옥타데실기가 바람직하고,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옥타데셀기, 12-하이드록시옥타데실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는,
<1> R6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7 및 R8 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2> R6 은 에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또는 옥타메틸렌기를 나타내고, R7 및 R8 은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옥타데셀기, 또는 12-하이드록시옥타데실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3> R6 은 에틸렌기 또는 테트라메틸렌기를 나타내고, R7 및 R8 은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옥타데셀기, 또는 12-하이드록시옥타데실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22 의 지방족 모노아민류와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등의 디카르복실산류의 디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숙신산팔미틸비스아미드, 숙신산스테아릴비스아미드, 숙신산올레일비스아미드, 숙신산12-하이드록시스테아릴비스아미드, 아디프산팔미틸비스아미드, 아디프산스테아릴비스아미드, 아디프산올레일비스아미드, 아디프산12-하이드록시스테아릴비스아미드가 바람직하고, 숙신산팔미틸비스아미드, 숙신산스테아릴비스아미드, 숙신산올레일비스아미드, 숙신산12-하이드록시스테아릴비스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중에서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식 (2) 로 나타내는 비스아미드류가 바람직하다.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시판품이거나 공지된 제조 방법에 따라 합성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이외의 공지된 다른 결정핵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결정핵제로서는, 천연 또는 합성 규산염 화합물, 산화티탄, 황산바륨, 인산 3 칼슘, 탄산칼슘, 인산소다 등의 금속염이나 카올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탤크, 스멕타이트, 버뮤라이트, 마이카 등의 무기 화합물 외에, 페닐포스폰산 금속염 등이 예시된다. 이들의 함유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관점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의 전체 결정핵제 중의 함유량으로서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6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10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의 함유량이란, 조성물에 함유되는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와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의 합계 함유량을, 전체 결정핵제란, 조성물에 함유되는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와 다른 결정핵제를 합한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나 투명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3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01 ∼ 2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 1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0.01 중량부 이상이면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양호해지고, 3 중량부 이하이면, 폴리락트산 수지에 대한 상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투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게다가,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는,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가소제의 유연성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기 위해,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가소제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0.5 ∼ 5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5 ∼ 3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2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2 ∼ 10 중량부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 (4) 로 나타내는 가소제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가소제와,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열성형에 있어서의 투명성이나 충분한 열성형성 (부형성과 결정화를 양립할 수 있는 온도 범위가 넓다) 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것은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폴리락트산 수지나 결정핵제에 대한 친화성·분산성이 좋은 점에서, 각각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전술한 효과가 발효되게 된다고 추찰된다.
(폴리락트산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락트산 수지란,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과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의 코폴리머이다.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서 글리콜산, 하이드록시부티르산, 하이드록시발레르산, 하이드록시펜탄산, 하이드록시카프로산, 하이드록시헵탄산 등을 들 수 있고, 글리콜산, 하이드록시카프로산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락트산의 분자 구조는 L-락트산 (L 체) 또는 D-락트산 (D 체) 어느 것의 단위 80 ∼ 100 몰% 와 그 대장체의 락트산 단위 0 ∼ 20 몰%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락트산과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의 코폴리머는 L-락트산 또는 D-락트산 어느 것의 단위 85 ∼ 100 몰% 와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단위 0 ∼ 15 몰%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들 폴리락트산 수지는 L-락트산, D-락트산 및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중에서 필요로 하는 구조의 것을 선택하여 원료로 하고, 탈수 중축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락트산의 고리형 2 량체인 락티드, 글리콜산의 고리형 2 량체인 글리코리드 및 카프로락톤 등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구조의 것을 선택하여 개환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락티드에는 L-락트산의 고리형 2 량체인 L-락티드, D-락트산의 고리형 2 량체인 D-락티드, D-락트산과 L-락트산이 고리형 2 량화한 메소-락티드 및 D-락티드와 L-락티드의 라세미 혼합물인 DL-락티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 락티드도 사용할 수 있다. 단, 주원료는 D-락티드 또는 L-락티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향상의 관점에서, 락트산 성분의 광학 순도가 높은 폴리락트산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리락트산 수지의 전체 락트산 성분 중, L 체 또는 D 체가 80 % 이상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L 체 또는 D 체가 90 % 이상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L 체 또는 D 체가 95 % 이상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L 체 또는 D 체가 98 % 이상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L 체 또는 D 체가 99 % 이상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락트산으로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투명성의 향상, 및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의 강도와 내충격성의 양립, 내열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상이한 이성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락트산 성분을 사용하여 얻어진 2 종류의 폴리락트산으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콤플렉스 폴리락트산을 사용해도 된다. 스테레오 콤플렉스 폴리락트산을 구성하는 일방의 폴리락트산 [이후, 폴리락트산 (A) 라고 기재한다] 은 L 체 90 ∼ 100 몰%, D 체를 함유하는 그 밖의 성분 0 ∼ 10 몰% 를 함유한다. 타방의 폴리락트산 [이후, 폴리락트산 (B) 라고 기재한다] 은 D 체 90 ∼ 100 몰%, L 체를 함유하는 그 밖의 성분 0 ∼ 10 몰% 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L 체 및 D 체 이외의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2 개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디카르복실산, 다가 알코올,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락톤 등을 들 수 있고, 또, 미반응의 상기 관능기를 분자 내에 2 개 이상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이어도 된다.
스테레오 콤플렉스 폴리락트산에 있어서의, 폴리락트산 (A) 와 폴리락트산 (B) 의 중량비 [폴리락트산 (A)/폴리락트산 (B)] 는 10/90 ∼ 90/10 이 바람직하고, 20/80 ∼ 80/20 이 보다 바람직하고, 40/60 ∼ 60/40 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의 기계 물성을 향상시키고, 압출 성형시의 용융 장력을 저하시키는 관점에서 10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성형시의 유동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4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락트산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사용하여 용매에 클로로포름, 칼럼에 토오소사 제조, 고온 SEC 칼럼 (GMHHR-H 시리즈), 유량 1.0 ㎖/min, 칼럼 온도 40 ℃, 검출기에 시차 굴절률 검출기 (RI), 레퍼런스로서 이미 알려진 분자량을 갖는 스티렌을 사용하여 환산해서 구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 수지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폴리락트산 수지 (예를 들어, 미츠이 화학사 제조 : 상품명 레이시아 H-100, H-280, H-400, H-440 등이나, Nature Works 사 제조 : 상품명 Nature Works PLA/NW3001D, NW4032D 등) 외에, 락트산이나 락티드로부터 합성한 폴리락트산을 들 수 있다. 강도나 내열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광학 순도 90 % 이상의 폴리락트산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비교적 분자량이 높고, 또 광학 순도가 높은 Nature Works 사 제조 폴리락트산 (NW4032D 등) 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양태로서는, 이하의 양태를 들 수 있다.
<1>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2>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3>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4>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5> 폴리락트산 수지,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6> 폴리락트산 수지,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7> 폴리락트산 수지,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8>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9>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10>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양태
이들 중에서도, 예를 들어,
<11>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R1 은 총 탄소수 10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5≤p≤2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화합물인 양태,
<12>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R1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20≤p≤1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지 않고, 반복 단위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며, 각 블록 유닛을 구성하는 p' 는 5≤p'≤6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폴리옥시에틸렌 (EO)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PO) 의 중량비 (EO/PO) 가 5/95 ∼ 70/30 인 화합물인 양태
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이외에, 추가로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일 양태로서는,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다른 양태로서는, 이하의 양태를 들 수 있다.
<1'>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2'>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3'>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4'>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5'> 폴리락트산 수지,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6'> 폴리락트산 수지,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7'> 폴리락트산 수지,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8'>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2) 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9'>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10'>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그리고,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양태
가수 분해 억제제로서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나 모노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내구성,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내구성, 성형성 (유동성) 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모노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의 내구성, 내충격성, 성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모노카르보디이미드와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서는, 폴리(4,4'-디페닐메탄카르보디이미드), 폴리(4,4'-디시클로헥실메탄카르보디이미드),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폴리카르보디이미드,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및 1,5-디이소프로필벤젠)폴리카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모노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서는, N,N'-디-2,6-디이소프로필페닐카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의 내구성, 내충격성 및 성형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폴리(4,4'-디시클로헥실메탄카르보디이미드) 는 카르보디라이트 LA-1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을,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폴리카르보디이미드 및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및 1,5-디이소프로필벤젠)폴리카르보디이미드는 스타박솔 P 및 스타박솔 P-100 (Rhein Chemie 사 제조) 을, N,N'-디-2,6-디이소프로필페닐카르보디이미드는 스타박솔 I (Rhein Chemie 사 제조) 를 각각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수 분해 억제제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의 투명성,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5 ∼ 3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0 ∼ 2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인성 등의 물성 향상의 관점에서, 코어쉘형 고무를 함유해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코어;실리콘/아크릴 중합체, 쉘;메타크릴산메틸 중합체), (코어;실리콘/아크릴 중합체, 쉘;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글리시딜 중합체), (코어;부탄디엔/스티렌 중합체, 쉘;메타크릴산메틸 중합체), (코어;아크릴 중합체, 쉘;메타크릴산메틸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시판품으로서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메타브렌 S-2006, S-2100, S-2200, W-600A, 롬·앤드·하스사 제조;파라로이드 BPM-500 이 바람직하다. 코어쉘형 고무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3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2 ∼ 2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이외의 다른 성분으로서, 충전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난연제, 산화 방지제, 탄화수소계 왁스류나 아니온형 계면 활성제인 활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광 안정제, 안료, 곰팡이 방지제, 항균제, 발포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즉 열성형성 등의 2 차 가공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또 동일하게,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고분자 재료나 다른 수지 조성물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없이 조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수지,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가소제,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 추가로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는 원료를, 밀폐식 니더, 1 축 혹은 2 축의 압출기, 오픈롤형 혼련기 등의 공지된 혼련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원료는, 미리 헨셸 믹서, 수퍼 믹서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융 혼련 온도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및 열화 방지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60 ∼ 220 ℃ 가 바람직하고, 170 ∼ 20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180 ∼ 19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용융 혼련 시간은 용융 혼련 온도, 혼련기의 종류에 따라서 일괄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15 ∼ 900 초간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용융 혼련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식 (1) ∼ (5)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나 그 밖의 첨가제의 함유량에 따라 일괄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30 ∼ 60 ℃ 가 바람직하고, 30 ∼ 55 ℃ 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 55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열성형을 실시하기 전의 비정질 상태의 시트를 창고에 보관, 또는 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정질 시트의 내열성의 관점에서는 40 ∼ 58 ℃ 가 바람직하고, 45 ∼ 58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결정화 온도 (Tc) 는 식 (1) ∼ (5)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나 그 밖의 첨가제의 함유량에 따라 일괄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50 ∼ 110 ℃ 가 바람직하고, 50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 9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및 결정화 온도 (Tc) 는, 예를 들어, DSC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JIS K 7121 에 따라, 측정 샘플량을 7.5 mg, 승온 조건은 25 ℃ 에서 200 ℃ 까지 매분 15 ℃ 로 측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용융 혼련물은, 열성형성 등의 2 차 가공성이 우수한 점에서, 본 발명은 또,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는,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성형체 (예를 들어, 시트상 성형체)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정질 상태란 결정 영역에 대해 비정질 영역이 충분히 많은 상태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시험예 5 의 방법으로부터 구한 상대 결정화도가 60 % 미만이 되는 상태를, 반결정 상태란 동일한 방법으로부터 구한 상대 결정화도가 60 ∼ 80 % 가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성형체란, 상대 결정화도가 80 % 이하의 성형체를 의미한다.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성형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시트상 성형체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압출 성형이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압출 성형은, 가열한 압출기에 충전된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에 T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이 압출된 시트상 성형물을 곧바로 냉각 롤에 접촉시키고, 시트를 Tg 이하로 냉각시켜 냉각 롤로부터 분리하고, 그것들을 권취 롤로 권취하여, 시트상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압출기의 온도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또한 폴리락트산 수지의 열화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170 ∼ 240 ℃ 가 바람직하고, 175 ∼ 22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180 ∼ 21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냉각 롤의 온도는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성형체를 얻는 관점에서 40 ℃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압출 속도는, 비정질 영역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 ∼ 200 m/분이 바람직하고, 5 ∼ 150 m/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100 m/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프레스 성형으로 시트상 성형체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시트 형상을 갖는 프레임으로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둘러싸고 프레스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다.
프레스 성형의 온도와 압력으로서는, 예를 들어,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성형체를 조제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170 ∼ 240 ℃ 의 온도, 5 ∼ 30 MPa의 압력의 조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 ∼ 220 ℃ 의 온도, 10 ∼ 25 MPa 의 압력의 조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210 ℃ 의 온도, 10 ∼ 20 MPa 의 압력의 조건하에서 프레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시간은 프레스의 온도와 압력에 의해 일괄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1 ∼ 10 분이 바람직하고, 2 ∼ 8 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6 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조건으로 프레스한 후 곧바로, 바람직하게는 0 ∼ 40 ℃ 의 온도, 5 ∼ 30 MPa 의 압력의 조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0 ℃ 의 온도, 10 ∼ 25 MPa 의 압력의 조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 의 온도, 10 ∼ 20 MPa 의 압력의 조건하에서 프레스하여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시간은 프레스의 온도와 압력에 의해 일괄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충분히 냉각시켜 비정질 또는 반결정 상태로 하기 위해, 10 초 ∼ 10 분이 바람직하고, 20 초 ∼ 10 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초 ∼ 10 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시트상 성형체를 조제하는 경우, 그 두께는 균일한 성형체 (2 차 가공품) 를 얻는 관점에서 0.1 ∼ 1.5 mm 가 바람직하고, 0.2 ∼ 1.4 mm 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 1.2 mm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시트는, 열성형 가능한 온도폭이 크고 열성형성이 양호한 점에서, 2 차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폴리락트산 수지에 대한 친화성이 양호한 점에서, 내블리드성도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시트는 2 차 가공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시트를, 예를 들어, 진공 압공 성형기를 사용하여 금형 내에 설치하고, 금형 내를 가압 또는 무가압 상태로 유지하여 성형함으로써, 성형체 (2 차 가공품) 로 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본 발명의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시트를 2 차 가공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2 차 가공품) 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시트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및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시트의 2 차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한 성형체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성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상기에 의해 조제한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시트를 진공 압공 성형기 등을 사용하여, 폴리락트산 수지의 Tg 이상으로 가열하고, 금형을 사용하여 진공 상태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금형 온도로서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속도 향상 및 작업성 향상의 관점에서, 1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1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70 ℃ 이상이 바람직하고, 7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금형 온도는 70 ∼ 120 ℃ 가 바람직하고, 75 ∼ 115 ℃ 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 11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금형 내에서의 유지 시간은,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의 내열성 및 생산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80 ℃ 의 금형에 있어서, 2 ∼ 60 초가 바람직하고, 3 ∼ 30 초가 보다 바람직하고, 5 ∼ 20 초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짧은 시간의 유지 시간으로도 충분한 내열성을 갖는 성형체가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성형체는, 본 발명의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시트가 열성형성이 양호한 점에서, 끼워맞춤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의한 연질화 효과가 우수한 점에서, 얻어진 필름은 결정성이 높은 것이며, 내열성,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얻어진 비정질 상태 또는 반결정 상태의 시트를 바람직하게는 60 ∼ 1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10 ℃ 의 온도하에서 유지함으로써 결정화를 실시하여 결정 시트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시트의 2 차 가공 방법으로서는, 그 시트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체를 조제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와 같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성형체는 결정성이 높고, 또한 내블리드성이나 내열성, 투명성이 우수한 점에서, 일용 잡화품, 가전 부품, 가전 부품용 곤포 자재, 자동차 부품 등의 여러 가지 공업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식품 포장을 비롯한 각종 포장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온이란 15 ∼ 30 ℃ 이다.
[가소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평균 분자량]
평균 분자량은 JIS K0070 에 기재된 방법으로 비누화가를 구하고, 다음 식에서 계산으로 구한다.
평균 분자량 = 56108 × (에스테르기의 수)/비누화가
가소제의 제조예 1 (숙신산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의 디에스테르)
교반기, 온도계, 탈수관을 구비한 3 ℓ 플라스크에, 무수 숙신산 500 g,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463 g, 파라톨루엔술폰산 1 수화물 9.5 g 을 주입하고, 공간부에 질소 (500 ㎖/분) 를 불어넣으면서, 감압하 (4 ∼ 10.7 kPa), 110 ℃ 에서 15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의 산가는 1.6 (KOHmg/g) 이었다. 반응액에 흡착제 쿄워드 500SH (쿄와 화학 공업사 제조) 27 g 을 첨가하여 80 ℃, 2.7 kPa 로 45 분간 교반하여 여과한 후, 액온도 115 ∼ 200 ℃, 압력 0.03 kPa 로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증류 제거하고, 80 ℃ 로 냉각 후, 잔액을 감압 여과하여, 여과액으로서, 숙신산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의 디에스테르 [(MeEO3)2 SA] 를 얻었다. 얻어진 디에스테르는 중량 평균 분자량 410, 점도 (23 ℃) 27 mPa·s, 산가 0.2 KOHmg/g, 비누화가 274 KOHmg/g, 수산기가 1 KOHmg/g 이하, 색상 APHA200 이었다.
가소제의 제조예 2 (숙신산과 디에틸렌글리콜의 올리고에스테르)
4 구 플라스크 (교반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증류관, 질소 취입관 부착) 에 디에틸렌글리콜 999 g (9.41 몰), 및 28 % 나트륨메톡사이드 함유 메탄올 용액 23.6 g (나트륨메톡사이드 0.122 몰) 을 넣고, 상압 (101.3 kPa), 120 ℃ 에서 0.5 시간 교반하면서 메탄올을 유출(留出)시킨 후, 숙신산디메틸 (와코 쥰야쿠 공업사 제조) 4125 g (28.2 몰) 을 3 시간에 걸쳐 적하하여 반응시키면서, 동시에 반응에 의해 생기는 메탄올을 유출시켰다. 다음으로, 압력 50 ∼ 760 mmHg, 75 ℃ 에서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추가로 28 % 나트륨메톡사이드 함유 메탄올 용액 4.4 g (나트륨메톡사이드 0.023 몰) 을 첨가하고, 압력 22 ∼ 760 mmHg, 100 ℃ 에서 메탄올을 유출시켰다. 쿄워드 600S (쿄와 화학 공업사 제조) 41 g 을 첨가하여, 압력 30 mmHg, 80 ℃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 여과를 실시했다. 여과액을 압력 2 mmHg, 70 ∼ 190 ℃ 에서 가열하여, 미반응의 숙신산디메틸을 증류 제거하고, 숙신산과 디에틸렌글리콜의 올리고에스테르 [MeSA-DEG (t = 1.5)] 를 얻었다.
실시예 1 ∼ 18, 비교예 1 ∼ 8, 및 참고예 1
표 1 ∼ 3 에 나타내는 원료를 표 1 ∼ 3 에 나타내는 양 사용하여, PARKER 사 제조 2 축 압출 혼련기 (HK-25D) 에 의해, 혼련 온도 180 ℃, 회전 속도 90 회전/분으로 10 분간 혼련을 실시하여,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표 1 ∼ 3 에 있어서의 원료는 이하와 같다.
<폴리락트산 수지>
NW4032D : 폴리락트산 수지, 네이쳐 워크스 LLC 사 제조, Nature Works 4032D, 광학 순도 98.5 %, 융점 160 ℃, 중량 평균 분자량 180000
<가소제>
(MeEO3)2SA : 상기 가소제의 제조예 1 에서 제조한 숙신산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의 디에스테르 화합물, 평균 분자량 410, 식 (4) 에 있어서의 R9 및 R10 이 메틸기, R 이 에틸렌기, A2 가 에틸렌기, m = 3, n = 3 인 화합물
DAIFATTY-101 : 아디프산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벤질알코올 = 1/1 혼합물의 디에스테르, 다이하치 화학 공업사 제조, 평균 분자량 338, 식 (4) 에 있어서의 R9 가 메틸기, R10 이 벤질기, R 이 테트라메틸렌기, A2 가 에틸렌기, m = 2, n = 0 인 화합물
MeSA-DEG (t = 1.5) : 상기 가소제의 제조예 2 에서 제조한 숙신산과 디에틸렌글리콜의 올리고에스테르, 평균 분자량 430, 식 (5) 에 있어서의 R11 이 메틸기, R12 가 에틸렌기, R13 이 에틸렌기, s = 2, t = 1.5 인 화합물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에마논 4110 : 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에스테르, 카오사 제조, 평균 분자량 680, 식 (1) 에 있어서의 R1 이 올레산 유래의 불포화 아실기, R2 가 수소 원자, A1 이 에틸렌기, p 가 9 인 화합물 아데카플루로닉 25R-2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ADEKA 사 제조, 평균 분자량 3500, 식 (1) 에 있어서의 R1 및 R2 가 수소 원자, (A1O)p 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며, 폴리옥시프로필렌기의 합계 p' 가 47, 폴리옥시에틸렌기의 합계 p' 가 16, 식 (1) 에 있어서의 총계 p 가 63 인 화합물
포엠 J-0081HV : 데카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리켄 비타민사 제조 에마논 1112 : 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에스테르, 카오사 제조, 평균 분자량 685, 식 (1) 에 있어서의 R1 이 라우르산 유래의 아실기, R2 가 수소 원자, A1 이 에틸렌기, p 가 11 인 화합물
아데카플루로닉 25R-1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ADEKA 사 제조, 평균 분자량 3050, 식 (1) 에 있어서의 R1 및 R2 가 수소 원자, (A1O)p 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며, 폴리옥시프로필렌기의 합계 p' 가 47, 폴리옥시에틸렌기의 합계 p' 가 7, 식 (1) 에 있어서의 총계 p 가 54 인 화합물
EmalexGIS-120 :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EO20 몰), 닛폰 에멀션사 제조
<결정핵제>
스리팍스 H : 에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닛폰 화성사 제조, 식 (2) 에 있어서의 R4 및 R5 가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 R3 이 에틸렌기인 화합물
탤크 : 마이크로 에이스 P-6, 닛폰 탤크사 제조
스리팍스 ZHH : 헥사메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닛폰 화성사 제조, 식 (2) 에 있어서의 R4 및 R5 가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 R3 이 헥사메틸렌기인 화합물
스리팍스 8 : 에틸렌비스카프릴산아미드, 닛폰 화성사 제조, 식 (2) 에 있어서의 R4 및 R5 가 헵틸기, R3 이 에틸렌기인 화합물
스리팍스 0 : 에틸렌비스카프릴산아미드, 닛폰 화성사 제조, 식 (2) 에 있어서의 R4 및 R5 가 헵타데셀기, R3 이 에틸렌기인 화합물
에누제스타 TF-1 : 트리메스산트리시클로헥실아미드, 신닛폰 이화사 제조
<가수 분해 억제제>
카르보디라이트 LA-1 :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비정질 상태의 시트의 조제
얻어진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대해, 2 매의 금속판 (페로판) 과 두께 0.
4 mm, 가로 세로 20 cm 의 금속제 스페이서 프레임 (폭 1 cm) 을 사용하고, 프레임 내의 중앙에 소정량 (약 22 g) 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사이에 끼고, 도요 정기사 제조의 오토 프레스 성형기를 사용하여, 먼저 180 ℃/4 MPa 의 온도/압력으로 2 분간 프레스한 후, 다시 계속해서 180 ℃/20 MPa 의 온도/압력으로 2 분간 프레스하고, 그 후, 즉시 실온까지 급냉하여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 (두께 0.4 mm) 를 15 cm × 15 cm 의 정방형으로 잘랐다.
결정 상태의 시트의 조제
얻어진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대해, 2 매의 금속판 (페로판) 과 두께 0.4 mm, 가로 세로 20 cm 의 금속제 스페이서 프레임 (폭 1 cm) 을 사용하고, 프레임 내의 중앙에 소정량 (약 20 g) 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사이에 끼고, 도요 정기사 제조의 오토 프레스 성형기를 사용하여, 먼저 180 ℃/4 MPa 의 온도/압력으로 2 분간 프레스한 후, 다시 계속해서 180 ℃/20 MPa 의 온도/압력으로 2 분간 프레스하고, 그 후, 즉시 실온까지 급냉하여 비정질 상태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다시 80 ℃/10 MPa 의 온도/압력으로 3 분간 프레스한 후, 실온까지 방랭하여 스페이서 프레임으로부터 꺼내어, 가로 세로 20 cm 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 및 시트에 대해, 이하의 시험예 1 ∼ 6 에 따라 특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 3 에 나타낸다.
시험예 1 <내블리드성의 평가>
각 조성물의 결정 상태의 시트에 대해, 시트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블리드의 유무를 확인했다. 블리드가 전혀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A」, 블리드가 약간 확인된 경우를 「B」, 블리드가 많이 확인된 경우를 「C」로 했다. 또한, 참고예 1 에 대해서는, 폴리락트산 수지 이외의 원료가 사용되지 않고, 블리드 아웃되지 않기 때문에,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시험예 2 <끼워맞춤성의 평가>
끼워맞춤성의 평가는, 단발 진공 압공 성형기 (와키사카 제작소사 제조, FVS-500P WAKITEC) 를 사용하여, 상기 자른 비정질 상태의 시트를 가이드에 장착하고, 히터 온도를 400 ℃ 로 설정한 히터부 중에서의 유지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시트 표면의 온도가 표 2 에 나타내는 온도가 될 때까지 시트를 가열했다. 각 온도로 가열한 시트를 각 표에 기재한 온도로 설정한 상하 금형을 사용하여 진공 성형을 실시하고, 금형 내에서 10 초간 유지하여 진공 성형체 (뚜껑) 를 꺼냈다. 얻어진 뚜껑을 시판품의 용기 (상품명 찻잔 90 시노 시피 화성사 제조) 의 본체 부분 (φ 81 mm 높이 51 mm 재질 PP 가 포함된 저발포 PS 제) 에 끼워 맞추어,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었던 경우를 「A」로 하고, 그 이외를 「B」로 했다. 시트 표면의 온도는 가열 후의 시트 표면 온도를 직접 표면 온도계로 측정했다. 또한, 사용한 금형을 도 1 에 나타낸다.
시험예 3 <내열성의 평가 1>
상기 끼워맞춤성의 평가에서,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었던 성형체를 80 ℃ 의 열수 중에 30 초 침지한 후, 끼워맞춤성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경우는 「A」, 끼워맞춤성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는 「B」로 했다.
시험예 4 <투명성의 평가>
상기 끼워맞춤성의 평가에서,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었던 성형체의 일부를 잘라내고, 헤이즈미터 (HM-150 형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사 제조) 를 사용하여, Haze 치를 측정하고, 이것을 투명도의 지표로 했다. Haze 치의 값이 작을수록,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시험예 5 <결정성의 평가>
상기 비정질 상태의 시트 및 상기 끼워맞춤성의 평가에서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었던 성형체의 일부를 잘라내어, 상대 결정화도를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Perkin Elmer 제조 DSC 를 사용하여, 25 ℃ 에서 200 ℃ 까지 15 ℃/min 으로 승온시키고, 관찰된 냉결정화 발열 피크의 절대치 ΔHc 와 결정 용융 피크의 절대치 ΔHm 으로부터 하기 식에서 상대 결정화도를 구했다.
상대 결정화도 (%) = ((ΔHm - ΔHc)/Hm) × 100
시험예 6 <내열성의 평가 2>
비정질 상태의 시트에 대해, 12 cm × 12 cm 의 샘플을 잘라내어, 종횡 각각 10 cm 간격의 표선을 넣고, JIS K 7133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각 온도 일정하게 24 시간 방치하고, 각각의 가열 치수 변화 (열수축률) 를 측정했다. 온도는 25 ℃ 에서 60 ℃ 까지 1 ℃ 마다 각각의 온도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을 측정하고, 종 또는 횡방향에서 큰 쪽의 열수축률이 0.3 % 이하가 되는 최대의 온도를 비정질 시트의 내열성으로 했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표 1 ∼ 3 에서, 특정한 가소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결정핵제의 조합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은, 가열 존에서의 유지 시간이 상이하여 시트 표면의 온도가 변화해도, 충분한 끼워맞춤성이 얻어지는 온도 영역 (성형 온도폭) 이 넓고, 또한 그 범위에서 얻어진 성형체의 내열성, 투명성, 결정성도 양호한 것이었다. 또, 표 2 에서, 특정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분자량이 크고, 가소제의 첨가량이 보다 적은 것이 비정질 상태의 시트의 내열성이 양호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일용 잡화품, 식품 포장재, 가전 부품, 가전 부품용 곤포 자재, 자동차 부품 등의 여러 가지 공업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어느 것에 관계될 수 있다;
<1>
폴리락트산 수지, 가소제, 식 (1) :
Figure pct00012
[식 중, R1 은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p≤3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
[화학식 5]
Figure pct00013
(식 중, R3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5 ∼ 21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및/또는, 식 (3) :
[화학식 6]
Figure pct00014
(식 중, R6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7 및 R8 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
가소제가 식 (4) :
Figure pct00015
(식 중, R9 및 R10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단, R9 및 R10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R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단, m 또는 n 개의 A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m 및 n 은 각각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m≤5, 0≤n≤5 이며, 또한 1≤m+n≤8 을 만족시키는 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식 (5) :
Figure pct00016
[식 중, R11 은 탄소수가 1 ∼ 4 의 알킬기, R12 는 탄소수가 2 ∼ 4 의 직사슬 알킬렌기, R13 은 탄소수가 2 ∼ 6 의 알킬렌기이며, s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1 ∼ 6 의 정수이며, t 는 (OR13)sO-CO-R12-CO- 의 반복수를 나타내는 1 ∼ 6 의 수이며, 단, 모든 R1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모든 R1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1> 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
식 (4) 에 있어서의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또는 벤질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2> 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4>
식 (4) 에 있어서의 R 은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부틸렌기, 이소부틸렌기, 또는 테트라메틸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또는 이소프로필렌기인, <2> 또는 <3> 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5>
식 (4) 에 있어서의 A2 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또는 이소프로필렌기인, <2>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6>
식 (4) 에 있어서의 m 및 n 은 바람직하게는 0≤m≤5, 0≤n≤5 이고, 또한 1≤m+n≤8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m≤5, 0≤n≤5 이고, 또한, 4≤m+n≤8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m≤5, 0≤n≤5 이고, 또한, 6≤m+n≤8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3 인, <2>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7>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 7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600,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330 ∼ 500 인, <2>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8>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숙신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숙신산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의 디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한, <2>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9>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아디프산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벤질알코올 혼합물 (중량비 : 1/1) 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한, <2>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0>
식 (5) 에 있어서의 R11 은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ec-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인, <2> 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1>
식 (5) 에 있어서의 R12 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1,3-프로필렌기, 또는 1,4-부틸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인, <2> 또는 <10> 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2>
식 (5) 에 있어서의 R13 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1,2-프로필렌기, 1,3-이소프로필렌기, 1,2-부틸렌기, 1,3-부틸렌기, 1,4-부틸렌기, 2-메틸-1,3-프로필렌기, 1,2-펜틸렌기, 1,4-펜틸렌기, 1,5-펜틸렌기, 2,2-디메틸-1,3-프로필렌기, 1,2-헥실렌기, 1,5-헥실렌기, 1,6-헥실렌기, 2,5-헥실렌기, 또는 3-메틸-1,5-펜틸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1,2-프로필렌기, 또는 1,3-프로필렌기인, <2>, <10>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3>
식 (5) 에 있어서의 s 는 바람직하게는 1 ∼ 6 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 의 정수인, <2>, <10>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4>
식 (5) 에 있어서의 t 는 바람직하게는 1 ∼ 6 의 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4 의 수인, <2>, <10>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5>
식 (5)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이염기산과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2 가 알코올의 올리고에스테르 [식 (5) 중, t = 1.2 ∼ 3] 가 바람직한, <2>, <10>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6>
식 (4) 및/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중,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부인, <2>, <10>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7>
식 (1) 에 있어서의 R1 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 또는 수소 원자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포화 또는 불포화의 알킬기, 총 탄소수가 8 ∼ 22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아실기, 또는 수소 원자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포화 또는 불포화의 알킬기, 총 탄소수가 10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아실기, 또는 수소 원자인, <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8>
식 (1) 에 있어서의 R2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또는 아세틸기, 프로파노일기, 부타노일기인,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9>
식 (1) 에 있어서의 R2 는, R1 이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인,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0>
식 (1) 에 있어서의 R2 는, R1 이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인, <1>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1>
식 (1) 에 있어서의 A1 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또는 이소프로필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또는 이소프로필렌기인, <1>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2>
식 (1) 에 있어서의 p 개의 A1O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가 바람직하게는 블록형 또는 랜덤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블록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형의 블록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인,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3>
식 (1) 에 있어서의 p 는 바람직하게는 0<p≤300 이며, R1 이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2≤p≤50, 보다 바람직하게는 5≤p≤20 이며, R1 이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10≤p≤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p≤100 인, <1>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4>
식 (1) 에 있어서의 R1 이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A1O)p 는 상이한 A1O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 또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형의 블록형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각 블록 유닛을 구성하는 p' 의 수는 각각 5≤p'≤80 이 바람직하고, 5≤p'≤60 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 (EO)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PO) 의 중량비 (EO/PO) 는 5/95 ∼ 70/30 이 바람직하고, 5/95 ∼ 60/40 이 보다 바람직하고, 10/90 ∼ 50/50 이 더욱 바람직하고, 10/90 ∼ 40/60 이 더욱 바람직하고, 10/90 ∼ 30/70 이 더욱 바람직하고, 15/85 ∼ 25/75 가 더욱 바람직한, <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5>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300 ∼ 100000 이 바람직하고, 500 ∼ 50000 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 10000 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 ∼ 6000 이 더욱 바람직한, <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6>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탄소수 8 ∼ 22 의 지방족 알코올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화물, 혹은 탄소수 8 ∼ 22 의 지방산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화물 외에, 그들의 메틸에테르체가 바람직하고,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나 지방산과 메틸폴리글리콜의 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고, 올레산 등의 장사슬 지방산과 폴리글리콜의 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한, <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7>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중,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5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 3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한, <1> ∼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8>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가소제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1 ∼ 5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5 ∼ 5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5 ∼ 45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한 <2>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9>
식 (2) 에 있어서의 R3 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또는 메타자일리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또는 메타자일리렌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인, <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0>
식 (2) 에 있어서의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헵틸기, 노닐기, 운데실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헵타데실기, 헨이코실기, 헵타데셀기, 또는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운데실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헵타데실기, 헵타데셀기, 또는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기인, <1> ∼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1>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에틸렌비스 지방산 아미드나 프로필렌비스 지방산 아미드, 부틸렌비스 지방산 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 지방산 아미드, 메타자일렌비스 지방산 아미드가 바람직하고, 에틸렌비스팔미트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메타자일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메타자일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가 더욱 바람직한, <1> ∼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2>
식 (3) 에 있어서의 R6 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또는 옥타메틸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또는 옥타메틸렌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또는 테트라메틸렌기인, <1> ∼ <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3>
식 (3) 에 있어서의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옥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도코실기, 옥타데셀기, 또는 12-하이드록시옥타데실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옥타데셀기, 또는 12-하이드록시옥타데실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옥타데셀기, 또는 12-하이드록시옥타데실기인, <1> ∼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4>
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숙신산팔미틸비스아미드, 숙신산스테아릴비스아미드, 숙신산올레일비스아미드, 숙신산12-하이드록시스테아릴비스아미드, 아디프산팔미틸비스아미드, 아디프산스테아릴비스아미드, 아디프산올레일비스아미드, 아디프산12-하이드록시스테아릴비스아미드가 바람직하고, 숙신산팔미틸비스아미드, 숙신산스테아릴비스아미드, 숙신산올레일비스아미드, 숙신산12-하이드록시스테아릴비스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한, <1> ∼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5>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3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01 ∼ 2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 1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한, <1> ∼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6>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의 함유량은 식 (4) 및 식 (5) 로 나타내는 가소제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0.5 ∼ 5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5 ∼ 3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2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2 ∼ 10 중량부가 보다 더 바람직한, <1> ∼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7>
추가로, 가수 분해 억제제를 함유하는, <1> ∼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8>
가수 분해 억제제의 함유량은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5 ∼ 3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0 ∼ 2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한, <1> ∼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9>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용융 혼련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30 ∼ 60 ℃ 가 바람직하고, 30 ∼ 55 ℃ 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 55 ℃ 가 더욱 바람직한, <1> ∼ <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40>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용융 혼련물의 결정화 온도 (Tc) 는 50 ∼ 110 ℃ 가 바람직하고, 50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 90 ℃ 가 더욱 바람직한, <1> ∼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41>
<1> ∼ <4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상대 결정화도가 80 % 이하인 시트.
<42>
<41> 에 기재된 시트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43>
<41> 에 기재된 시트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2 차 가공 방법.
<44>
<42> 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Claims (17)

  1. 폴리락트산 수지, 가소제, 식 (1) :
    Figure pct00017

    [식 중, R1 은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총 탄소수 2 ∼ 4 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p≤3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상이한 경우의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식 (2) :
    [화학식 1]
    Figure pct00018

    (식 중, R3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5 ∼ 21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및/또는, 식 (3) :
    [화학식 2]
    Figure pct00019

    (식 중, R6 은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7 및 R8 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식 (4) :
    Figure pct00020

    (식 중, R9 및 R10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단, R9 및 R10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R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단, m 또는 n 개의 A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m 및 n 은 각각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0≤m≤5, 0≤n≤5 이며, 또한 1≤m+n≤8 을 만족시키는 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식 (5) :
    Figure pct00021

    [식 중, R11 은 탄소수가 1 ∼ 4 의 알킬기, R12 는 탄소수가 2 ∼ 4 의 직사슬 알킬렌기, R13 은 탄소수가 2 ∼ 6 의 알킬렌기이며, s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1 ∼ 6 의 정수이며, t 는 (OR13)sO-CO-R12-CO- 의 반복수를 나타내는 1 ∼ 6 의 수이며, 단, 모든 R1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모든 R1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1 ∼ 30 중량부,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0.1 ∼ 10 중량부, 또한, 식 (2) 및/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결정핵제의 함유량이 0.01 ∼ 3 중량부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식 (1) 로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1 ∼ 50 중량부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1) 중의 R1 이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 R2 가 수소 원자, A1 이 탄소수 2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가 2≤p≤50 을 만족시키는 수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1) 중의 R1 및 R2 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p 가 10≤p≤2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가 동일하지 않고, 반복 단위는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식 (1) 중의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을 구성하고, 상기 블록의 각 반복 단위수 (p') 가 각각 독립적으로 5≤p'≤80 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식 (1) 중의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을 구성하고, 폴리옥시에틸렌 (EO)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PO) 의 중량비 (EO/PO) 가 5/95 ∼ 70/30 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핵제가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1.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1) 중의 R1 이 총 탄소수 8 ∼ 22 의 아실기, R2 가 수소 원자, A1 이 탄소수 2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가 2≤p≤50 을 만족시키는 수인 화합물을 함유하고,
    결정핵제가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가소제가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2.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1) 중의 R1 이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은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 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0≤p≤20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A1O) 로 나타내는 p 개의 옥시알킬렌기는 동일하지 않고, 반복 단위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형의 블록형이며, 각 블록 유닛을 구성하는 p' 는 5≤p'≤80 을 만족시키는 수이며, 폴리옥시에틸렌 (EO)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PO) 의 중량비 (EO/PO) 가 5/95 ∼ 70/30 인 화합물을 함유하고,
    결정핵제가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가소제가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화 온도 (Tc) 가 60 ∼ 90 ℃ 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상대 결정화도가 80 % 이하인 시트.
  15. 제 14 항에 기재된 시트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16. 제 14 항에 기재된 시트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2 차 가공 방법.
  17. 제 15 항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KR1020137023406A 2011-02-07 2012-02-07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KR101590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4244 2011-02-07
JP2011024244 2011-02-07
PCT/JP2012/052729 WO2012108425A1 (ja) 2011-02-07 2012-02-07 ポリ乳酸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381A true KR20130115381A (ko) 2013-10-21
KR101590238B1 KR101590238B1 (ko) 2016-01-29

Family

ID=4663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406A KR101590238B1 (ko) 2011-02-07 2012-02-07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87903A1 (ko)
EP (1) EP2674459A4 (ko)
JP (1) JP5833463B2 (ko)
KR (1) KR101590238B1 (ko)
CN (1) CN103328571B (ko)
WO (1) WO20121084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743A (ko) 2019-12-30 2021-07-09 (주) 에이치피엠글로벌 통기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 필름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359A1 (ja) * 2012-02-22 2013-08-29 花王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WO2013172351A1 (ja) * 2012-05-18 2013-11-21 花王株式会社 熱成形用ポリ乳酸樹脂シート
CN104704050B (zh) * 2012-10-10 2016-10-12 东丽株式会社 聚乳酸树脂组合物、成型体及聚乳酸树脂组合物的制备方法
MX2015013451A (es) * 2013-03-25 2016-01-14 Teijin Ltd Composicion de resina.
WO2015008841A1 (ja) 2013-07-19 2015-01-22 三井化学株式会社 結晶化高分子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16197A1 (ja) * 2013-07-31 2015-02-05 花王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組成物
WO2015119155A1 (ja) * 2014-02-10 2015-08-13 花王株式会社 熱成形用ポリ乳酸樹脂シート
JP6612785B2 (ja) * 2014-06-24 2019-11-27 トタル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フエリユイ ポリラクチドをベースにしたポリマーを含む組成物
CN104804388A (zh) * 2015-04-03 2015-07-29 浙江大学 高立构复合物含量的高分子量聚乳酸材料的制备方法
JP2017066229A (ja) * 2015-09-29 2017-04-06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シート状成形体、ポリ乳酸系マスターバッチペレット
CN108659485B (zh) * 2018-04-08 2021-01-08 广州医科大学 一种量子点改性pla功能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20447B1 (ko) * 2021-01-11 2022-07-15 케이비에프(주) 내열성 발포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527765A (zh) * 2021-06-25 2021-10-22 浙江兴越材料技术有限公司 聚乳酸组合物及其添加剂组合物、塑料制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895A (ja) 2005-11-10 2007-05-31 Kao Corp 生分解性樹脂成形品の製造法。
JP2007246624A (ja) 2006-03-14 2007-09-2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耐熱性に優れた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押し出し成型シート及び容器
JP2009155489A (ja) * 2007-12-27 2009-07-16 Toray Ind Inc 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18938A (ko) * 2007-02-23 2009-11-1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락트산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262A (ja) * 1997-12-25 1999-07-06 Shimadzu Corp 乳酸系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型品
JP4541085B2 (ja) * 2004-09-27 2010-09-08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水性分散体の製造方法
JP4116015B2 (ja) 2004-11-25 2008-07-09 花王株式会社 生分解性樹脂用可塑剤
JP2008037941A (ja) * 2006-08-03 2008-02-21 Mitsui Chemicals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5583912B2 (ja) * 2008-04-28 2014-09-03 花王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の製造法
JP4737261B2 (ja) * 2008-10-01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895A (ja) 2005-11-10 2007-05-31 Kao Corp 生分解性樹脂成形品の製造法。
JP2007246624A (ja) 2006-03-14 2007-09-2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耐熱性に優れた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押し出し成型シート及び容器
KR20090118938A (ko) * 2007-02-23 2009-11-1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락트산 조성물
JP2009155489A (ja) * 2007-12-27 2009-07-16 Toray Ind Inc 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743A (ko) 2019-12-30 2021-07-09 (주) 에이치피엠글로벌 통기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 필름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33463B2 (ja) 2015-12-16
KR101590238B1 (ko) 2016-01-29
JP2012180512A (ja) 2012-09-20
WO2012108425A1 (ja) 2012-08-16
CN103328571B (zh) 2014-11-05
CN103328571A (zh) 2013-09-25
EP2674459A1 (en) 2013-12-18
US20130287903A1 (en) 2013-10-31
EP2674459A4 (en)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5381A (ko)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KR101889135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체
KR102076953B1 (ko) 열성형용 폴리락트산 수지 시트
WO2008075775A1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乳酸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5936953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体
JP5184695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
KR20160037933A (ko)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WO2015119155A1 (ja) 熱成形用ポリ乳酸樹脂シート
JP5882710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体
JP6430803B2 (ja) 熱成形用シート
JP5302476B1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からなる熱成形品
JP2014009266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からなる熱成形品
JP6494086B2 (ja) 熱成形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02108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から成るシート又はフィルム
JP2015101717A (ja) 透明性、耐衝撃性及び耐熱性を同時に併せ持つポリ乳酸成形品
JP2016183222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
JP2016113539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
JP2017036434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